[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9671B1 - Tissue case which can cut easily rolled tissue - Google Patents

Tissue case which can cut easily rolled tissu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9671B1
KR102699671B1 KR1020190056661A KR20190056661A KR102699671B1 KR 102699671 B1 KR102699671 B1 KR 102699671B1 KR 1020190056661 A KR1020190056661 A KR 1020190056661A KR 20190056661 A KR20190056661 A KR 20190056661A KR 102699671 B1 KR102699671 B1 KR 102699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aper
cut
operating cover
cutting
eas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6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30978A (en
Inventor
김도현
Original Assignee
김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현 filed Critical 김도현
Publication of KR20190130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978A/en
Priority to KR1020240112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229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9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967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 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10/3631The cutting devices being driven manual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 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 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취라인이 형성된 롤 형태의 화장지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인출된 화장지 일부분이 놓일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일측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 타측은 인출되는 화장지를 상기 몸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가압부가 마련된 작동커버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인출된 화장지를 이용하여 상기 작동커버의 일측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압시킴으로써 상기 작동커버를 회동시키면, 상기 작동커버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가압부가 화장지를 밀착 고정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인출된 화장지가 절취라인에서 절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paper case that is easy to cut. The toilet paper case that is easy to c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that is provided with a space inside so as to store toilet paper in a rol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cutting lin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e side of which is open; a receiving portion on which a portion of toilet paper pulled out from inside the body can be placed; an operating cover that is rotatably hinged to the open side of the body and has a pressing portion that allows the pulled-out toilet paper to be closely fixed to the body when one side moves in a first direction around the hinge joint point; and when a user rotates the operating cover by pressing one side of the operating cover in the first direction using the pulled-out toilet paper, the pressing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ng cover closely fixes the toilet paper and at the same time, the toilet paper pulled out to the outside is cut at the cutting lines.

Description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TISSUE CASE WHICH CAN CUT EASILY ROLLED TISSUE}{TISSUE CASE WHICH CAN CUT EASILY ROLLED TISSUE}

본 발명은 화장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한 손만으로도 화장지를 원하는 길이만큼 쉽게 절취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화장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paper case, and more specifically, to a toilet paper case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cut and use toilet paper of a desired length using only one hand.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장지 케이스는 롤 형태의 화장지를 사용할 때 한 손은 화장지 끝부분을 붙잡고 사용할 만큼 적당량 인출하고, 또 다른 한 손으로는 화장지가 인출되지 않게 잡은 후 상기 화장지를 빼낸 손으로 잡아당기면 화장지 절취선에서 절취가 진행된다.When using a commonly used toilet paper case, when using a roll of toilet paper, hold the end of the toilet paper with one hand and take out an appropriate amount to use, and with the other hand, hold the toilet paper so that it does not come out, and then pull the toilet paper with the hand that took it out, and the toilet paper is cut along the tear line.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하다 보면 양손을 사용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어린 아이들의 경우 화장지를 사용할 만큼의 길이로 절취하는 것을 잘 하지 못하여 화장지의 불필요한 손실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using it this way not only cause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use both hands, but also has the problem of unnecessary loss of toilet paper, especially in the case of young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cutting the toilet paper to a length that can be used.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36394호의 한 손으로 절취 가능한 두루마리 휴지케이스가 있다. 이는 휴지걸이 봉이 있는 두루마리 휴지케이스에서 휴지가 되말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판을 설치하여 휴지가 휴지케이스 안으로 되말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휴지가 나오는 입구에 로울러를 설치하여 휴지교환시 휴지가 어떤 방향으로 들어가더라도 휴지가 잘 풀어지도록 도와주며, 휴지케이스 바깥쪽에 휴지가 나오는 입구보다 높게 휴지 절취모서리를 만들어 주어 휴지를 절취모서리에 대고 아래로 당기면 한 손으로도 휴지를 절취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toilet paper roll case that can be cut with one hand, registered in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36394. This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a plate is installed to prevent toilet paper from being rolled back in a toilet paper roll case having a toilet paper holder, so that toilet pap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olled back into the toilet paper case, a roller is installed at the toilet paper outlet to help the toilet paper unwind properly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inserted when changing toilet paper, and a toilet paper cutting edge is formed higher than the toilet paper outlet on the outside of the toilet paper case, so that the toilet paper can be cut with one hand by placing the toilet paper against the cutting edge and pulling it downward.

그러나 이러한 휴지케이스는 상기 절취모서리가 매우 날카롭지 않은 이상 절취가 쉽게 되지 않을 뿐더러 휴지케이스가 바닥에 고정이 되지 않을 경우 휴지를 사용자가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휴지케이스가 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상기 날카로운 절취모서리에서 절취 작용이 진행될 때 사용자가 다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se tissue cases are not easy to cut unless the cutting edge is very sharp, and if the tissue case is not fixed to the flo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ssue case may fall over due to the force with which the user pulls the tissue,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user may get injured when the cutting action is performed at the sharp cutting edge.

또 다른 배경기술로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36442호 (휴지 절취기 겸 휴지걸이 케이스)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가 휴지를 사용하기 위해 소정의 길이로 늘어져 있는 휴지를 아래쪽으로 당기면, 휴지가 휴지 회전억제부의 회전억제봉 및 가이드부를 따라 휴지 자동 절취부재를 지나서 풀리게 되고, 일정량만큼의 휴지가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지의 끝단을 위쪽으로 당기면 휴지 자동 절취부재가 가이드 라인의 하부로 들어가면서 휴지를 누르게 되고, 휴지를 당기는 힘에 의해 휴지 자동 절취부재의 톱니부에서 휴지가 절취되도록 구성된 것이다.As another background technology, a utility model publication number 20-0236442 (toilet paper cutter and toilet paper holder case) registered in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is proposed. This is configured so that when a user pulls downward a tissue that has stretched out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use the tissue, the tissue passes through an automatic tissue cutter along a rotation-inhibiting bar and a guide section of a tissue rotation-inhibiting section and is released, and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tissue is pulled out and the user pulls upward at the end of the tissue, the automatic tissue cutter enters the lower part of the guide line and presses the tissue, and the tissue is cut at the teeth of the automatic tissue cutter by the force of pulling the tissu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지걸이 케이스는 원하는 만큼 한 손만으로 휴지를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은 가지고 있으나, 이 역시 휴지 자동 절취부재의 날카로운 톱니부에 의해 사용자가 다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그 절취동작이 부자연스러울 뿐만 아니라, 이 휴지케이스는 벽에 고정식으로만 사용될 뿐 탁상용으로는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lthough this type of toilet paper holder case using conventional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the user to cut and use as much toilet paper as desired with just one hand, it also has the problem that the user may get hurt by the sharp teeth of the automatic toilet paper cutting member, and not only is the cutting motion unnatural, but this toilet paper case can only be used as a wall-mounted device and cannot be used on a table.

상기한 종래 기술의 예들과 같이, 종래에 사용되는 휴지 케이스들은 탁상용으로 사용될 경우 그 휴지 절취동작이 용이하지 않고, 휴지를 빠른 동작으로 낚아챌 경우 절취동작이 잘 되지 않아 휴지 케이스가 넘어지기 쉬우며, 또한 대부분 날카로운 커터날이 사용되어 위험하고, 그 커터날의 특성상 장기간 사용시 마모에 의해 절취가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As in the examples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when the tissue cases used in the past are used on a table, the tissue cutting motion is not easy, and when the tissue is quickly grabbed, the cutting motion is not good, so the tissue case is likely to fall over, and in addition, most of them use sharp cutter blades, which are dangerous, 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tter blad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tting is not good due to wear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절취라인이 미리 형성된 화장지를 절취함에 있어 사용자가 한 손만으로도 화장지를 원하는 길이만큼 절취하는 것이 쉽고 확실하게 이루어지며, 절취 동작이 적은 힘으로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한편, 화장지 절취를 위한 커터날이나 톱니날도 필요 없어서 사용자가 다칠 염려가 없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paper case that is easy to cut, in which a user can easily and reliably cut toilet paper to a desired length with only one hand when cutting toilet paper having a cut line formed in advance, and in which the cutting motion is performed naturally with little force, and in which a cutter blade or saw blade for cutting toilet paper is not required,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worry about getting hurt.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취라인이 형성된 롤 형태의 화장지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인출된 화장지 일부분이 놓일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일측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 타측은 인출되는 화장지를 상기 몸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가압부가 마련된 작동커버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인출된 화장지를 이용하여 상기 작동커버의 일측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압시킴으로써 상기 작동커버를 회동시키면 상기 작동커버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가압부가 화장지를 밀착 고정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인출된 화장지가 절취라인에서 절취되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easy-to-cut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storing a roll of toilet paper having a plurality of cutting line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 opening at one end thereof, a receiving portion on which a portion of toilet paper pulled out from inside the body can be placed, an operating cover which is rotatably hinged to the open end of the body, and has a pressing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so as to closely fix the pulled-out toilet paper to the body when one end moves in a first direction around the hinge joint point, and when a user rotates the operating cover by pressing one end of the operating cover in the first direction using the pulled-out toilet paper, the pressing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operating cover closely fixes the toilet paper and at the same time, the toilet paper pulled out to the outside is cut at the cutting lines.

또한, 상기 작동커버는 상기 화장지가 몸체 내부로부터 인출될 때 화장지가 슬립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의 한쪽 단부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안착부를 상기 가압부와 연결해주는 슬립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ng cover is formed with a slip portion that extends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fixing por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connect the fixing portion to the pressurizing portion so that the toilet paper can slip when the toilet paper is pulled out from inside the body.

또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슬립부와 접해 있는 화장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뚫려있는 인출개방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be formed with a pull-out opening through which toilet paper in contact with the slip section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슬립부와 이어지는 상기 안착부의 한쪽 단부에는 화장지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안착부의 외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파지자리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lip portion is provided with a gripping portion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to facilitate gripping of toilet paper.

또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작동커버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도록 상기 작동커버를 받쳐주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atch is formed on the body to support the operating cover so as to limit the rotation range of the operating cover.

또한, 상기 작동커버는 상기 힌지결합 지점을 기준으로 할 때 무게중심이 상기 가압부와 가까운 쪽에 있도록 구성되어, 절취 작업이 이루어지고 나면 무게중심에 따른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기 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ng cov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closer to the pressurizing portion based on the hinge joint point, so that after the cutting operation is performed, it rotates due to its own weight accor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so that the pressuriz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body.

또한, 상기 작동커버와 상기 몸체의 힌지결합 구조는, 상기 작동커버에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힌지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inge joint structure of the operating cover and the body is such that a hinge axis is formed in the operating cover and a hinge groove is formed in the body so that the hinge axis can be inserted.

또한, 상기 작동커버는 상기 안착부에 놓인 화장지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면서 화장지 절취 동작이 진행될 때 화장지 절취라인 일부분에 인장력이 집중 작용되어 절취되도록 상기 안착부에서 돌출된 절취력 증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ng cover be provided with a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mounting portion so that when the toilet paper cutting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supporting the toilet paper placed on the mount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height, tensile force is concentrated on a part of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to cut the toilet paper.

또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폭이 화장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be formed with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toilet paper.

또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is formed to become narrower as it goes upward.

또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화장지 절취라인의 중앙에서 인장력이 집중 작용되도록 상기 안착부의 폭방향 중앙에 위치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ing portion so that the tensile force is concentrated at the center of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또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화장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mentioned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s are arranged in pair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oilet paper.

또한, 상기 절취력 증대부의 일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안착부 중 상기 제1 방향으로 눌리는 가장자리와 일치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edge of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be formed to coincide with the edge of the fixing portion that is pressed in the first direction.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취라인이 형성된 롤 형태의 화장지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인출된 화장지 일부분이 놓일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작동커버 및 상기 작동커버의 회동 운동에 연동되어 화장지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화장지 정지수단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인출된 화장지를 이용하여 상기 작동커버의 일측을 제1 방향으로 가압시킴으로써 상기 작동커버를 회동시키면, 상기 화장지 정지수단에 의해 화장지가 고정됨과 동시에 외부로 인출된 화장지가 절취라인에서 절취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asy-to-cut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having an interior space that can hold a roll of toilet paper having a plurality of cutting line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n open side, a receiving portion on which a portion of toilet paper pulled out from inside the body can be placed, an operating cover that is rotatably hinged to the open side of the body, and a toilet paper stopping means that can stop the movement of the toilet paper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operating cover, and it is preferable that when a user rotates the operating cover by pressing one side of the operating cover in a first direction using the pulled-out toilet paper, the toilet paper is fixed by the toilet paper stopping means and at the same time, the toilet paper pulled out to the outside is cut at the cutting lines.

또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취라인이 형성된 롤 형태의 화장지를 내부에 설치하여 화장지를 일부 인출한 후 상기 절취라인에서 절취하는데 사용되는 화장지 케이스로서, 상기 화장지 케이스에는 화장지 절취 동작이 진행될 때 화장지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면서 화장지 절취라인의 일부분에 인장력이 집중 작용되어 절취되도록 소정 높이로 돌출된 절취력 증대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toilet paper case is installed inside a roll of toilet paper having a plurality of cutting lin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used to cut the toilet paper at the cutting lines after withdrawing a portion of the toilet paper, wherein the toilet paper case preferably has a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formed therein that protrudes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when the toilet paper cutt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toilet paper is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tensile force is concentrated on a portion of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s to cut the toilet paper.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에 의하면 사용자가 한 손만 사용해서 적은 힘으로도 화장지를 쉽게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asy-to-cut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a user can easily cut and use toilet paper with little force using only one han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는 사용자가 다칠 수 있는 위험한 톱니날이나 커터날이 불필요하므로 사용자가 톱니날이나 커터날에 의해 다칠 염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asy-to-cut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re is no need for dangerous saw blades or cutter blades that may injure the user, so there is no need to worry about the user being injured by saw blades or cutter blade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지 케이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화장지 절취 길이에 따라 화장지 파지 위치가 여러 군데에 배치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하여 한번에 절취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고, 화장지를 필요한 만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이 절약된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to use because the toilet paper holder positions are arranged in multiple places according to the toilet paper cutting length desir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pull out the desired length and cut it at once to use, and has the advantage of saving resources because the toilet paper can be used as much as need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지 케이스는 간단하게 제조할 경우 최소 2개의 부품만으로 구성할 수 있어서 대량생산이 아주 용이하며, 낮은 가격으로 널리 보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imply manufactured by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so it is very easy to mass-produce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widely distributed at a low pr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몸체 일부분을 제거하여 도시한 것으로 화장지 절취전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몸체 일부분을 제거하여 도시한 것으로 화장지를 절취할 때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화장지가 다른 절취라인에서 절취되는 동작 상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를 이용하여 절취를 위한 단계별 진행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전방 절취력증대부에서 화장지를 파지하고 인출한 후 절취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a 및 도 8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파지자리부에서 화장지를 파지하여 인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9a 및 도 9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를 이용하여 다른 방식의 파지동작과 절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파지자리부에서 화장지를 다른 방식으로 파지하여 인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작동커버에 대한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몸체를 일부 변형하여 작동커버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before cutting the toilet paper, with a part of the body removed from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state when cutting toilet paper, with a part of the body removed from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state in which toilet paper is cut at a different cutting line in the state of Figure 4.
FIGS. 6A to 6E are photographs showing step-by-step progress for cutting using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to 7C are photographs showing the state of cutting toilet paper after it is gripped, pulled out, and then cut in the front cutting force-enhancing section of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and FIG. 8c are photographs showing a state in which toilet paper is pulled out by gripping it in the gripping portion of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9A and 9D are photographs showing different types of paper-cutting operations and cutting processes using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0A and 10B are photographs showing a manner in which toilet paper is pulled out by gripping it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e gripping portion of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form of the operating cover in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2a and 12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form in which the body of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ally modified and combined with an operating cover.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몸체 일부분을 제거하여 도시한 것으로 화장지 절취 전 상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of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part of the body removed, showing the state before the toilet paper is cut.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는, 화장지를 담을 수 있는 몸체(10)와, 이 몸체에 힌지결합되어 화장지(1)의 절취라인(2)에 대해 절취동작을 수행하는 작동커버(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easy-to-cut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10) capable of containing toilet paper, and an operating cover (20) hinged to the body to perform a cutting operation for a cutting line (2) of toilet paper (1).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100)는, 소정 구간 절취라인(2)이 형성된 화장지(1) 롤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 내부로부터 일부 인출되는 화장지(1)가 놓일 수 있는 안착부(22)가 마련되고 상기 개방된 몸체(10)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이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일측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 타측에는 인출되는 화장지를 상기 몸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가압부(24)가 마련된 작동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o explain in more detail, the easy-to-cut toilet paper ca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10) having an interior space formed therein so as to be able to hold a roll of toilet paper (1) having a predetermined section cutting line (2) formed therein and having one side open, and an operating cover (20) having a mounting portion (22) on which toilet paper (1) partially pulled out from the inside of the body (10) can be placed, which is rotatably hinged to one side of the open body (10), and having a pressing portion (24) formed on the other side so as to be able to tightly fix the pulled-out toilet paper to the body when one side is moved in a first direction around the hinge joint point.

또한, 상기 작동커버(20)는 화장지(1) 절취 동작이 진행될 때, 화장지 절취라인(2) 일부분에 인장력이 집중 작용됨으로써 절취되도록 안착부(2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절취력 증대부(26, 27)가 추가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operating cover (20) may additionally include a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27) protruding upward from the fixing portion (22) so that when the toilet paper (1) cutting operation is in progress, tensile force is concentrated on a part of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2) to enable cutting.

그래서 사용자가 인출된 화장지(1)를 이용하여 작동커버(20)의 일측을 제1 방향으로 가압시켜 작동커버(20)를 회동시킬 때, 작동커버(20) 타측의 가압부(24)에 의해 화장지(1)가 고정됨과 동시에 외부로 인출된 화장지(1)가 절취라인(2)에서 절취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when the user rotates the operating cover (20) by pressing one side of the operating cover (20) in the first direction using the extracted toilet paper (1), the toilet paper (1) is fixed by the pressing part (24) on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ng cover (20) and the toilet paper (1) extracted to the outside is cut at the cutting line (2).

상기 제1 방향은 화장지 케이스가 놓인 상태나 여러 실시 예 구조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휴지케이스가 놓인 바닥 방향 또는 아래 방향을 지칭한다.The above first direc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state in which the toilet paper case is placed or the structure of various embodiments, but in this embodiment, it refers to the direction of the floor or downward direction in which the toilet paper case is placed.

이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Below, each component is described in detail.

몸체(10)는 전체적으로 구조가 육면체이고,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소정 간격마다 절취라인(2)이 형성된 화장지(1) 롤을 내부에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The body (10) has a hexahedral structure overall, an open upper surface, and a space provided inside to accommodate a roll of toilet paper (1) with cut lines (2) formed at regular intervals.

몸체(10)는 상면이 개방되는 것을 예시 하였으나, 편의에 따라 작동에 지장이 없는 부분들이 다양하게 더 개방될 수 있다.The body (10) is exemplified as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but various other parts may be opened for convenience without hindering operation.

몸체(10)는 작동커버(20)와 힌지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몸체(10)의 개방된 상부의 좌우 양단에는 작동커버(20)의 좌우 양단에 결합된 힌지축(21)과 힌지결합될 수 있는 힌지공(11)이 형성되며, 이 힌지공(11)은 몸체(10)의 양 측면 각각에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힌지공(11)의 위치는 몸체(10) 상부의 좌측 모서리 및 우측 모서리의 전후 중앙 또는 중앙 부근이 좋다.The body (10) is hinge-connected to the operating cover (20). To this end, hinge holes (11) that can be hinge-connected to hinge axes (21)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operating cover (20) ar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The hinge holes (11) are formed at each of the two sides of the body (10). More preferably, the location of the hinge holes (11) is near the front and rear center or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힌지공(11)은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된 최소거리는 힌지축(21)의 직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어 힌지축(21)을 힌지공(11) 상방에서 가압할 때 탄력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힌지축(21)은 힌지공(11)에 탄력적으로 착탈될 수 있다.The hinge hole (11) is open at the top, and the minimum open distance is formed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inge shaft (21), so that the hinge shaft (21) can be elastically inserted when pressure is applied from above the hinge hole (11). In other words, the hinge shaft (21) can be elastical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hinge hole (11).

다른 한편으로, 힌지공(11)에 힌지축(21)이 저항감 없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고려해 볼 때, 힌지공(11)의 상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그 개방된 거리는 힌지공(11)의 직경과 동일하되, 그 개방된 위치가 몸체 후방으로 약간 치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동커버(20)가 회동될 때 가압부(24)의 반작용에 의해 힌지축(21)이 몸체(10)의 전방으로 밀려나려는 힘이 발생되는데, 힌지공(11)의 개방 방향이 몸체 후방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화장지(10) 절취동작 시 힌지공(11)으로부터 힌지축(21)이 이탈되지 않게 되며, 힌지공(11)으로부터 힌지축(11)을 착탈하기도 용이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when considering a structure in which the hinge shaft (21) can be inserted into the hinge hole (11) without resista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hinge hole (11) is open, and the open distance is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hinge hole (11), but the open position is slightly tilted toward the rear of the body. This is because when the operating cover (20) rotates, a force is generated to push the hinge shaft (21) toward the front of the body (10) due to the reaction of the pressure part (24), and if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hinge hole (11) is tilted toward the rear of the body, the hinge shaft (21) will not be detached from the hinge hole (11) during the tissue (10) cutting operation, and it is also easy to attach or detach the hinge shaft (11) from the hinge hole (11).

이상에서는 몸체(10)와 작동커버(20)의 힌지결합 구조에서, 작동커버(20)에는 힌지축(21)이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10)에는 힌지축(21)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힌지공(11)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작동커버(20)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몸체(10)에 힌지축이 구비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in the hinge joint structure of the body (10) and the operating cover (20), the hinge shaft (21) is formed integrally in the operating cover (20), and the hinge hole (11) into which the hinge shaft (21) can be inserted and supported is formed in the body (10). However, conversely, the hinge hole may be formed in the operating cover (20), and the hinge shaft may be provided in the body (10).

몸체(10)의 정면 상단부에는 작동커버(20)가 회동될 때 작동커버(20)의 전단부가 스윙될 수 있도록 비어있는 공간인 스윙 공간부(12)가 마련되어 있다.A swing space (12), which is an empty space that allows the front end of the operating cover (20) to swing when the operating cover (20) rotates, is provided at the upper front portion of the body (10).

또한, 몸체(10)의 후면에는 화장지(1)가 몸체(10) 내부로부터 초기에 인출될 때 화장지(1)가 수직 방향으로 일정 구간만큼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 인출개방부(13)가 형성되고, 인출개방부(13)의 좌우 양측에는 인출되는 화장지(1)가 몸체(10) 밖으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화장지(1)의 가장자리를 지지 및 안내하는 가이드부(14)가 형성된다.In addition, an opening (13) is formed on the rear of the body (10) so that the toilet paper (1)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a vertical direction for a certain section when the toilet paper (1) is initially withdrawn from inside the body (10), and guide parts (14) a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pening (13) to support and guide the edge of the toilet paper (1) so that the withdrawn toilet paper (1) does not protrude out of the body (10).

또한, 상기 몸체(10)의 후면 벽체의 내부 면에 마찰자리부(15)가 형성된다. 상기 마찰자리부(15)는 작동커버(20)의 가압부(24)가 화장지(1)를 몸체(10)에 밀착 고정시킬 때 상기 화장지(1)와 맞닿아 마찰 작용을 함으로써 화장지(1)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 friction part (15)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wall of the body (10). The friction part (15) acts to fix the toilet paper (1)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toilet paper (1) and causing friction when the pressurizing part (24) of the operating cover (20) closely fixes the toilet paper (1) to the body (10).

마찰자리부(15)는 그 재질이 몸체(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조적으로 볼 때에도 몸체(10)의 배면 내측과 동일한 평면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마찰력 증대를 위해 미소한 다수의 마찰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찰자리부(15)는 마찰력 증대를 위해 고무, 실리콘 등의 마찰증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riction part (15)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terial of the body (10), and may be formed with the same flat structure as the inner side of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10) in terms of structure, but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minute friction protrusions (not shown)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In addition, the friction part (15) may be formed of a friction-increasing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그리고 몸체(10)는 양측면 내측에서 소정 돌출된 걸림턱(16)이 형성된다. 걸림턱(16)은 작동커버(20)의 회동 범위가 소정 구간 제한되도록 작동커버(20)의 양 측단부 저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화장지 절취 동작이 진행되지 않을 때는 작동커버(20)가 항상 걸림턱(16)에 놓여지도록 구성된다. And the body (10)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protruding catch (16) on the inner side of both sides. The catch (16)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both side ends of the operating cover (20) so that the rotation range of the operating cover (20)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section,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operating cover (20) is always placed on the catch (16) when the toilet paper cutting operation is not in progress.

또한, 몸체(10)는 화장지(1) 롤이 몸체 내부에 위치될 때 필요에 따라 화장지(1) 롤의 중심부에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는 막대 형상의 거치바(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이 거치바는 몸체의 내면에 고정 또는 착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10) may be formed with a rod-shaped holder (not show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toilet paper (1) roll and held therein as needed when the toilet paper (1) roll is positioned inside the body, and this holder may be formed so as to be fixed or detachabl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그리고 몸체(10)는 전면 하단에서 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보조 바닥지지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바닥지지부(17)는 사용자가 화장지를 절취 동작할 때 절취하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화장지 케이스(100)가 전방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바닥면과 밀착되어 있어서 화장지 케이스(100)를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 바닥지지부(17)는 1개 이상이면 되나 소정 간격을 두고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body (10) can be formed with an auxiliary floor support (17) that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bottom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auxiliary floor support (17)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to prevent the toilet paper case (100) from falling forward due to the force of the user cutting the toilet paper when the user cuts the toilet paper, thereby auxiliary supporting the toilet paper case (100). There may be one or more auxiliary floor support (17),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formed as a pair on the left and right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몸체(10) 양 측면의 일부에는 개방된 투시창(18)이 형성된다. 투시창(18)은 몸체(10) 내부에 있는 화장지가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됨에 따라 얼마나 남았는지를 사용자에게 육안으로 쉽게 인식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투시창(1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외관 이미지 향상을 위해 다양한 문양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투시창은 몸체(10)의 전면에도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외관을 고려하여 문자, 캐릭터 등 다양한 문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open viewing window (18) is formed on part of both sides of the body (10). The viewing window (18) helps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with the naked eye how much toilet paper is left inside the body (10) as it is pulled out and used. Of course, the viewing window (18) can be formed with various patterns, etc. to improve the appearance image of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ewing window can also be formed through the front of the body (10) and can be formed with various patterns, such as letters and characters, considering the appearanc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는 사용 장소에 따라 실내외 벽면에도 고정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몸체(10)의 후면에 고정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못이나 흡착판 등의 머리부분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될 경우 화장지 케이스가 벽면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toilet paper ca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not shown) on the rear of the body (10) so that it can be fixed and used on an indoor or outdoor wall depending on the place of use. That is, when the head of a nail or suction plate, etc., which is fixedly installed on a wall,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oilet paper case can be fixed and used on a wall.

다음으로 작동커버(20)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ng cover (20) will be described.

작동커버(20)는 몸체(10)의 상부 개방된 곳을 커버하도록 위치하며, 몸체(10)에 앞뒤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작동커버(20)는 몸체(10) 내부로부터 일부 인출되는 화장지(1)가 놓일 수 있도록 평판 형상의 안착부(22)를 구비한다. 안착부(22)는 평면에서 볼 때 사각 형상이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이 가능하고, 작동커버(20)의 베이스판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작동커버(20)가 회동 작동 시 휘어지지 않고 힘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로 형성된다.The operating cover (20) is positioned to cover the upper open portion of the body (10) and is hinge-connected to the body (10) so as to be rotatable back and forth. The operating cover (20) is provided with a flat-shaped mounting portion (22) on which a piece of toilet paper (1) partially pulled out from the inside of the body (10) can be placed. The mounting portion (22) can be formed into a square shape or various shapes when viewed from a plane, and is formed with a sufficient thickness so that the operating cover (20) does not bend when the operating cover (20) is rotated and force can be transmitted well.

안착부(22)는 몸체(10)와 작동커버(20)가 힌지 결합될 때 그 전방 단부가 몸체(10)의 스윙공간부(12) 상에 위치하며, 후방 단부는 몸체(10)의 배면 내측으로부터 소정의 유격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몸체(10)의 배면 내측으로부터 안착부(22)의 후방 단부까지의 유격거리 d는 화장지가 잘 통과되는 것을 고려하고 원활한 작동커버(20)의 회동 동작을 고려하여, 1mm~5mm 정도가 좋다.The mounting portion (22) is positioned at its front end on the swing space portion (12) of the body (10) when the body (10) and the operating cover (20) are hingedly connected, and its rear end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clearance distance from the inner side of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10). The clearance distance d from the inner side of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10) to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22) is preferably 1 mm to 5 mm, taking into account that toilet paper passes through smoothly and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operating cover (20) is smooth.

작동커버(20)는 안착부(22)의 후방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슬립부(23)가 형성된다. 슬립부(23)는 몸체(10) 내부에서 초기 인출되는 화장지가 슬립되는 곳으로, 사용자가 후술하는 파지자리부(25)에서의 파지 동작과 연결되어 슬립부(23) 상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화장지를 슬립시키면서 화장지(1)가 충분한 길이로 파지되도록 하는 역할에 관여된다. 슬립부(23)의 형태는 사각의 평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rating cover (20) is formed with a slip portion (2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22). The slip portion (23) is where the toilet paper initially pulled out from inside the body (10) slips, and is involved in the role of allowing the toilet paper (1) to be gripped to a sufficient length while the user slips the toilet paper with his or her finger on the slip portion (23) in connection with the gripping motion in the gripping position (25)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lip portion (23) be in the shape of a square flat plate.

작동커버(20)에서 슬립부(23)의 하단부에는 가압부(24)가 형성된다.A pressure portion (24)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lip portion (23) in the operating cover (20).

가압부(24)는 화장지 절취 동작시 인출되는 화장지를 몸체(10)에 밀착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그 모양은 좌우로 뻗은 긴 막대 형상이며, 화장지(1)를 마찰자리부(15)에 균일하게 밀착시킬 수 있도록 화장지(1)의 폭 방향에서 볼 때 높낮이가 없이 매끈하게 형성됨이 좋다. 가압부(24)는 슬립부(23)를 더 연장시켜 슬립부(23)와 동일한 평면을 가지고, 동일 재질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pressurizing portion (24) serves to securely fix the toilet paper pulled out during the toilet paper cutting operation to the body (10). Its shape is a long bar extending left and right, and it is preferably formed smoothly without any height fluctuations when view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ilet paper (1) so that the toilet paper (1) can be evenly pressed against the friction portion (15).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surizing portion (24) can be formed by further extending the slip portion (23) so that it has the same plane as the slip portion (23) and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가압부(24)의 저면은 화장지(1)가 인출될 때 인출 저항이 줄어들도록 둥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izing portion (24) be formed round so that the withdrawal resistance is reduced when the toilet paper (1) is withdrawn.

작동커버(20)의 안착부(22)의 양 측면부에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힌지축(21)이 형성되며, 힌지축(21)이 몸체(10)의 힌지공(11)에 삽입되어 힌지 결합된다.A hinge axis (21) protru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mounting portion (22) of the operating cover (20), and the hinge axis (21) is inserted into the hinge hole (11) of the body (10) and hinge-connected.

작동커버(20)는 측면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 모양인데, 몸체(10)와 힌지결합된 지점을 중심으로 작동커버(20)는 전후 회동 가능한 구조가 되는 것으로, 이러한 회동 동작은 작동커버(20)의 전방 단부가 하방으로 이동될 때 후방에 있는 가압부(24)가 화장지(1)를 몸체(10)의 마찰자리부(15)에 밀착시키는 동작을 진행되게 한다.The operating cover (20) has an overall '┏'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the operating cover (20) has a structure that can rotate back and forth around the point where it is hinged to the body (10). This rotational motion causes the pressure part (24) at the rear to press the toilet paper (1) against the friction part (15) of the body (10) when the front end of the operating cover (20) moves downward.

작동커버(20)는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그 무게중심이 후방에 있도록 구성되며, 절취 작업을 제외할 땐 그 무게중심에 따른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가압부(24)가 몸체(10)의 마찰자리부(15)로부터 전방으로 떨어져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24)와 마찰자리부(15)의 이격으로 인해 사용자가 화장지(1)를 인출할 때 화장지(1)가 이들 이격된 사이 공간을 지나서 원활하게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The operating cover (20) is configured so that its center of gravity is rearward centered on the hinge joint point, and when excluding the cutting operation, it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it rotates by its own weight according to its center of gravity so that the pressurizing portion (24) is separated forward from the friction portion (15) of the body (10). Due to the separation between the pressurizing portion (24) and the friction portion (15), when the user pulls out the toilet paper (1), the toilet paper (1) can be smoothly pulled out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m.

작동커버(20)에서 힌지축(21)의 위치는 무게중심이 후방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22)의 양 측면 중 적절한 위치로 한다. 작동커버(20)에는 안착부(22)의 후방 상단부에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 돌출된 파지자리부(25)가 형성된다.The position of the hinge axis (21) in the operating cover (20) is set at an appropriate position on either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22)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located at the rear. A gripping portion (25)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22) to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in the operating cover (20).

파지자리부(25)는 몸체(10) 내부에서 인출되는 화장지가 슬립부(23)를 경유하여 수직 방향으로 인출된 후 파지자리부(25)에서 수평 방향으로 꺾이는 자리로서, 파지자리부(25) 상단에 화장지가 위치된다.The slit (25) is a position where toilet paper pulled out from inside the body (10) is pulled out vertically via the slip portion (23) and then bent horizontally at the slit (25), with the toilet paper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slit (25).

사용자는 손으로 화장지(1)를 파지자리부(25)에 밀착시키면서 화장지(1)를 파지한 후 잡아당겨 원하는 길이로 화장지(1)를 인출시키는 것으로, 사용자는 파지자리부(25)에 의해 화장지를 용이하게 파지 및 인출할 수 있다.The user holds the toilet paper (1) in contact with the grip portion (25) by hand, grips the toilet paper (1), and then pulls the toilet paper (1) to the desired length,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easily grip and pull out the toilet paper using the grip portion (25).

파지자리부(25)의 돌출 높이는 파지하는 손가락이 파지자리부(25)에 걸릴 정도이면 되는 것으로 5~15mm 범위인 것이 좋다. 또한, 파지자리부(25)의 폭은 접촉하는 화장지(1)의 폭보다 더 크거나 작을 수도 있고, 파지자리부(25)의 상부는 화장지(1)의 이동 방향을 따라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truding height of the gripping part (25) should be such that the gripping finger can be caught on the gripping part (25), and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to 15 mm.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gripping part (25) may be larger or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toilet paper (1) with which it comes into contact,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art of the gripping part (25) be formed in a rounded shape alo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oilet paper (1).

또한, 작동커버(20)의 안착부(22) 상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절취력 증대부(26)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the mounting portion (22) of the operating cover (20).

절취력 증대부(26)는 화장지(1)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면서 화장지(1) 절취 동작이 진행될 때 화장지 절취라인(2) 일부분에 인장력이 집중적으로 가해지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로 인해 적은 힘으로도 화장지(1)가 용이하게 절취된다. 이는 롤 형태의 화장지(1)가 절취라인(2)에서 절취될 때 1개의 절취라인(2) 전체에서 동시에 절취되는 것보다 1개의 절취라인(2) 일부분부터 절취가 진행될 때 훨씬 적은 힘으로도 화장지(1)가 절취된다는 원리가 적용된 것이다.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 (26) supports the toilet paper (1)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when the toilet paper (1) cutting motion is in progress, causes a tensile force to be concentrated on a part of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2), so that the toilet paper (1) can be easily cut with less force. This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when the toilet paper (1) in the form of a roll is cut at the cutting line (2), the toilet paper (1) can be cut with much less force when cutting is performed from a part of one cutting line (2) than when cutting is performed simultaneously along the entire one cutting line (2).

절취력 증대부(26)는 화장지(1)의 절취라인(2)의 중앙에 인장력이 집중 작용되도록 안착부(22)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착부(22)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는 양 단 사이에 있으면 되나 바람직하게는 안착부(22)의 전방 단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절취력 증대부(26)의 전면이 안착부(22)의 전방 단부와 수직방향에서 일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그 이유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화장지(1)의 절취 동작을 위해 사용자가 인출 및 파지한 화장지(1)를 하방으로 내릴 때 화장지(1)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과 안착부(22)의 전방 단부 사이에 화장지 절취라인(2)이 있을 경우 이 절취라인(2)에 인장력이 가장 크게 집중되므로 이 절취라인(2)이 최우선적으로 절취되기 때문이다.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is preferably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ing portion (22) so that the tensile force is concentrated at the center of the cutting line (2) of the toilet paper (1), and when viewe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xing portion (22), it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ends, but is preferably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ortion (22). More preferably, the front of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is arranged so that it is vertically aligned with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ortion (22). The reason for this is that, as illustrated in FIG. 5, when the user lowers the toilet paper (1) that the user has pulled out and gripped for a cutting motion of the toilet paper (1), if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2) is present between the user's hand gripping the toilet paper (1) and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ortion (22), the tensile force is most concentrated at this cutting line (2), so that this cutting line (2) is cut with the highest priority.

상기 절취력 증대부(26)는 그 높이가 5mm 이상이면 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mm 범위가 좋다. 그리고 절취력 증대부(26)의 폭은 화장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면 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화장지 폭의 1/7~1/2 크기 범위인 것이 좋다.The height of the abov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should be 5 mm or more, but more preferably, the range is 10 to 20 mm.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should be formed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toilet paper, but more preferably, the size should be in the range of 1/7 to 1/2 of the width of the toilet paper.

또한, 절취력 증대부(26)는 상방으로 갈수록 그 수평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절취력 증대부(26)는 급격한 모서리가 생기지 않도록 라운드 처리되고, 그 높이가 전방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는 높고 양 측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be formed so that its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becomes smaller as it goes upward. More preferably,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is rounded so that no sharp corners are formed, and its height is preferably structured so that the center is high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height decreases as it goes toward both sides.

한편, 상기 절취력 증대부(26)는 파지자리부로서의 역할을 겸한다. 이를 위하여 도면과 같이 절취력 증대부(26)는 전면이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배면은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절취력 증대부(26)에서 화장지(1)를 파지할 때 경사면을 따라 화장지(1)가 미끄러지도록 하여 파지가 용이하게 진행된다.Meanwhile,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 (26) also functions as a gripping part. To this e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 (26) is formed with a front surface as a vertical surface and a back surface as an inclined slope. Thus, when gripping toilet paper (1) by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 (26), the toilet paper (1) slid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making gripping easy.

절취력 증대부(26)는 1개로도 가능하나, 절취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화장지 이동 방향을 따라 안착부(22) 위에 소정 간격으로 2개 배치되어 한 쌍으로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cutting force increasing unit (26) can be configured as a single unit, but it is more preferable to configure two units as a pair by arranging them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ettling unit (22) alo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oilet paper to increase cutting efficiency.

이러한 배경은 화장지(1) 절취 작업 진행 시 2개의 절취력 증대부(26,27) 사이에 화장지 절취라인(2)이 위치할 때 이들 2개의 절취력 증대부(26,27)를 잇는 가상의 직선과 이 가상의 직선과 만나는 절취라인(2)의 교차지점에서 인장력이 가장 집중 작용됨으로써 절취가 쉽게 진행되기 때문이다.This background is because when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2) is located between two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s (26, 27) during the toilet paper (1) cutting operation, the tensile force is most concentrat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these two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s (26, 27) and the cutting line (2) that intersects the imaginary straight line, making cutting easy.

절취력 증대부(26,27)가 2개 배치되는 경우 전,후방에 하나씩 위치하는 전방 절취력증대부(26)와 후방 절취력증대부(27)로 구성되는 바, 이들 중 전방에 배치된 절취력증대부(26)는 그 전면이 안착부(22)의 가장자리, 즉, 안착부(22)의 전방 단부와 수직 방향에서 일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When two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s (26, 27) are arranged, it is composed of a front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 (26) and a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 (27) positioned one at the front and one at the rear. Among the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 (26) arranged at the front be arranged so that its front side is aligned with the edge of the fixing part (22), i.e.,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art (22)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 쌍의 전,후방 절취력 증대부(26,27)는 서로의 간격이 화장지 절취라인(2)들 간의 간격, 즉, 화장지 1마디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화장지 1마디의 50~9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전,후방 절취력 증대부(26,27) 사이에서 2개 이상의 절취라인(2)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전,후방 절취력 증대부(26,27) 사이에 1개의 절취라인(2)이 있을 때 이 절취라인(2)에서 정확히 절취되도록 하기 위함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s (26, 27) is formed so that it is smaller than the space between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s (2), that is, the length of one piece of toilet paper, and is preferably formed in the range of 50 to 90% of one piece of toilet paper. The reason for this is to prevent two or more cutting lines (2) from existing between the front and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s (26, 27), and to ensure that when there is one cutting line (2) between the front and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s (26, 27), the cutting is performed accurately at this cutting line (2).

전,후방 절취력 증대부(26,27) 사이에 화장지 절취라인(2)이 없을 경우에는 전방 절취력 증대부(26)를 지나서 그 앞에 절취라인(2)이 존재하게 되고 이 부분이 우선적으로 절취된다.If there is no toilet paper cutting line (2) between the front and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s (26, 27), the cutting line (2) exists in front of the front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 (26) and this part is cut with priority.

그리고 후방 절취력 증대부(27)도 파지자리부로서의 기능을 겸한다. 후방 절취력 증대부(27)의 구조는 상기 언급된 전방 절취력 증대부(26)의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면 되므로 세부 설명은 생략한다.And the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 (27) also functions as a gripping part. Since the structure of the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 (27)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structure of the front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 (26) mention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다만, 후방 절취력 증대부(27)는 전방 절취력 증대부(26)보다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됨이 좋다. 그 이유는 화장지 절취동작이 진행될 때, 후방 절취력 증대부(27) 상에 놓인 화장지가 경로상에서 충분히 꺽이도로 하여 후방 절취력 증대부(27)와 이 위에 놓인 화장지 간에 마찰력을 증대시켜서 전,후방 절취력 증대부(26, 27) 사이에서 화장지 절취라인이 잘 절취될 수 있기 때문이다.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7) be formed higher than the front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This is because when the toilet paper cutting operation is in progress, the toilet paper placed on the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7) is sufficiently bent along the path, thereby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7) and the toilet paper placed thereon, so that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can be properly cut between the front and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s (26, 27).

작동커버(20)는 안착부(22)에서 화장지(1)가 안착부(22) 밖으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도록 안착부(22)의 양 측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부(28)가 여러 개소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28)가 안착부(22)의 좌우로 한 쌍이 설치되되 각 쌍은 작동커버(20)의 전단과 후단 가까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이탈방지부(28)가 작동커버(20)에 형성되지 않고 몸체(10)의 측면 상단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operating cover (20) is provided with several anti-separation parts (28) that protrude upwardly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art (22) to prevent the toilet paper (1) from falling out of the mounting part (22). More preferably, as shown in the drawing, the anti-separation parts (28) are installed in pai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unting part (22), and each pair is preferably positioned near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operating cover (20).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nti-separation parts (28) may not be formed on the operating cover (20) but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0).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작동커버에 대한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Meanwhile,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form of the operating cover in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작동커버(2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작동커버(20)에 대해 이미 언급한 설명은 생략하고, 추가 및 변형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The description of the modified form of the operating cover (20) is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ng cover (20) already mentioned above, and only the added and modified parts are described.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커버(20)는 사용자가 화장지를 파지할 때 더욱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화장지 파지홈(31,32,33)이 다수 곳에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1, the operating cover (20) has toilet paper gripping grooves (31, 32, 33) formed in multiple locations so that the user can grip the toilet paper more easily.

작동커버(20)의 안착부(22) 중 파지자리부(25)에 인접한 부위에 엄지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파지홈(31)이 형성된다. 이 파지홈(3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지(1)의 파지를 위하여 엄지손가락 삽입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착부(22) 표면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깊게 형성된다. 그 깊이는 엄지손가락 1마디가 삽입되는 깊이이면 되나, 바람직하게는 10~30mm 정도가 좋다. 또한 상기 파지홈(31)의 폭은 엄지손가락 굵기이면 좋으나, 파지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안착부(22) 폭의 1/2~1/4 범위 정도가 좋다. A grip groove (31) into which a thumb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a portion adjacent to a gripping portion (25) of a fixing portion (22) of an operating cover (20). As shown in FIG. 11, this grip groove (31) is formed deeper toward the rear from the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22) so that the thumb can be naturally inserted to grip a tissue (1). The depth may be a depth where one thumb joint can be inserted, but is preferably about 10 to 30 mm.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grip groove (31) may be as thick as a thumb, but is preferably about 1/2 to 1/4 of the width of the fixing portion (22) in consideration of ease of gripping.

파지자리부(25)를 이용하여 화장지를 파지할 때는, 파지홈(31)에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을 화장지(1)와 함께 삽입하고 나머지 손가락을 슬립부(23) 방향의 화장지(1)에 접촉시켜 화장지(1)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자연스럽게 화장지가 인출된다는 이점이 있다.When using the gripper (25) to grip the toilet pap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 naturally pull out the toilet paper by inserting the user's thumb into the gripper groove (31) together with the toilet paper (1) and lifting the toilet paper (1) upward by contacting the remaining fingers with the toilet paper (1) in the direction of the slip portion (23).

또한 전,후방 절취력 증대부(26,27) 각각에도 화장지(1) 파지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절취력 증대부(26,27)의 전면에 엄지 손가락이 일부 삽입될 수 있는 파지홈(32,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화장지(1) 파지 동작 시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화장지(1)와 함께 절취력 증대부(26,27)의 전면 파지홈(32,33)에 삽입되고 나머지 손가락으로 후방 경사면의 화장지를 쓸어 올림으로써 용이하게 화장지가 파지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make it easier to grip the toilet paper (1), a grip groove (32, 33) into which a thumb can be partially inserted may be formed on the front of each of the front and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s (26, 27) in order to make it easier to grip the toilet paper (1).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gripping the toilet paper (1), the user's thumb is inserted into the front grip groove (32, 33) of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s (26, 27) together with the toilet paper (1), and the remaining fingers are used to sweep up the toilet paper on the rear inclined surface,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 in that the toilet paper is easily gripped.

상기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의 구조를 통해서 사용자는 절취하고자 하는 화장지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원하는 길이를 쉽게 절취 가능할 수 있다.Through the structure of the easy-to-cut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user can selectively hold the length of toilet paper he or she wants to cut and easily cut the desired length.

한편,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몸체를 일부 변형하여 작동커버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Meanwhile, FIGS. 12a and 12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form in which the body of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ally modified and combined with an operating cover.

몸체를 일부 변형하여 작동커버와 결합된 형태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동일하게 언급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몸체의 추가 및 변형된 부분에 대해서 주요하게 설명한다.The description of the form in which the body is partially modified and combined with the operating cover will omit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identically mentioned above, and mainly describe the additional and modified parts of the body.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내부 바닥 및 저면이 곡면형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2a and FIG. 12b, the inner bottom and bottom surface of the body are formed in a curved shap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몸체(10) 내부 바닥 및 저면이 곡면형상인 구조는 몸체의 전후방향에서 중앙이 하방으로 볼록한 곡면형상 구조로 형성된다. To explain in more detail, the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floor and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 are curved is formed as a curved structure in which the center is convex downward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body.

이러한 구조를 통해, 몸체(10) 내부 바닥에 놓인 화장지(1) 롤이 자중에 의해 항상 몸체(1) 바닥 중앙에 위치하게 되고, 사용자가 투시창(18)을 통해 몸체 내부의 화장지 롤을 볼 때 흩트러지지 않아 미관상 보기에 좋고, 남은 화장지량을 파악하기에도 좋다.Through this structure, the roll of toilet paper (1) placed on the floor inside the body (10) is always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floor of the body (1) due to its own weight, and when the user looks at the roll of toilet paper inside the body through the viewing window (18), it does not scatter, which is aesthetically pleasing and also helps in determining the amount of toilet paper remaining.

그리고 상기 몸체(10)는 저면을 외부 바닥으로 부터 이격 지지하도록 저면 코너자리에서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이격지지부(19)가 형성된다.And, the above body (10) is formed with a spaced support portion (19) that extends downward from the bottom corner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apart from the external floor.

상기 이격지지부(10)는 직선막대(미도시)나 곡선막대(미도시) 등 이격 지지 용도의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나, 미관을 고려할 경우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모양도 가능하고 또는 사물, 동물, 인물 등 여러 캐릭터 모양(미도시)으로도 가능하다.The above-mentioned spacer support member (10) can have various shapes for spacer support purposes, such as a straight bar (not shown) or a curved bar (not shown), but when considering appearance, it can also have a wheel shape as shown in FIGS. 12a and 12b, or various character shapes such as objects, animals, and people (not shown).

다음으로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의 사용방법 및 그 작용을 설명한다.Next, the method of use and operation of the easy-to-cut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몸체 일부분을 제거하여 도시한 것으로 화장지를 절취할 때의 동작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화장지가 다른 절취라인에서 절취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body of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operational state when cutting toilet paper, and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oilet paper is cut at a different cutting line in the state of FIG. 4.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장지를 파지 및 인출한 후 화장지(1)가 작동커버(20)의 상부에 놓인 상태에서 화장지를 일방향, 즉, 본 실시 예의 경우 화살표 F가 표시하는 방향인 작동커버(20)의 전방 아래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작동커버(20)는 힌지축(21)을 중심으로 전방 단부가 하방으로 회동되고, 이와 동시에 작동커버(20)의 후방에 있는 가압부(24)가 몸체 배면 내측의 마찰자리부(15)와 맞닿도록 이동하여 그 사이에 위치하는 화장지(1)를 밀착 고정시키게 되어 A영역으로 표시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로써 화장지(1)가 이동될 수 없게 고정되어 전,후방 절취력 증대부(26,27) 사이에 있는 화장지 절취라인(2)의 중앙부(T영역)에 인장력이 집중적으로 작용되어 절취가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As illustrated in FIG. 4, when a user pulls the toilet paper in one dir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F in the present embodiment, toward the front and downward direction of the operating cover (20) while the toilet paper (1)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operating cover (20) after the user has taken out and pulled the toilet paper, the operating cover (20) rotates downward at its front end around the hinge axis (21),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sure portion (24) at the rear of the operating cover (20) move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riction portion (15) on the inner side of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thereby tightly fixing the toilet paper (1) located therebetween, so that a state is created as indicated by region A. As a result, the toilet paper (1) is fixed so that it cannot move, and a tensile force is concentrated on the central portion (T region) of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2) locat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s (26, 27), so that cutting is easily performed.

상기 절취라인(2)에서의 절취가 완료된 후에는 도 3과 같이 작동커버(20)의 자중에 의해 몸체(10)의 마찰자리부(15)와 작동커버(20)의 가압부(24)는 가압 상태가 해제되어 소정 유격거리 d를 유지하게 된다.After the cutting at the above cutting line (2)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3, the friction part (15) of the body (10) and the pressurized part (24) of the operating cover (20) are released from the pressurized state by the weight of the operating cover (20) to maintain a predetermined clearance distance d.

도 5는 화장지 절취라인(2)이 전방 절취력 증대부(26)를 넘어서 더 앞에 있게 될 경우로서, 이 경우 도 5와 같은 절취 동작이 진행될 때 그 절취라인(2)의 중앙부분(T'영역)에 우선적으로 인장력이 집중되어 절취가 쉽게 진행된다.Fig. 5 shows a case where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2) is further forward than the front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 (26). In this case, when a cutting motion like Fig. 5 is performed, the tensile force is preferentially concentrated in the central part (T' area) of the cutting line (2), making cutting easy.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를 이용하여 절취를 위한 단계별 사용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FIGS. 6A to 6E are photographs showing a step-by-step usage process for cutting using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e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화장지 케이스(100)의 전방에 있을 때 화장지(1)를 파지, 인출 및 절취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도 6a는 작동커버(20)의 상부에 놓인 화장지(1)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후방 절취력 증대부(27)를 이용하여 화장지(1)를 파지한 상태이고, 도 6b는 그후 사용자가 화장지(1)를 원하는 길이로 인출시키는 상태이며, 도 6c는 그후 사용자가 파지한 화장지(1)를 작동커버(20)의 전방에서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화장지(1)가 작동커버(20)에 의해 고정되어 화장지(1)가 한 쌍의 전,후방 절취력 증대부(26,27) 사이에서 가장 긴장된 상태이고, 도 6d는 그후 상기 한 쌍의 절취력 증대부 (26,27) 사이에 놓인 화장지 절취라인(2)의 중앙부(T영역)에서부터 절취가 진행되는 상태이며, 도 6e는 그후 상기 한쌍의 절취력 증대부(26, 27) 사이에 놓인 화장지 절취라인(2)에서 절취가 완료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후방 절취력 증대부(27)를 이용하여 화장지(1)를 파지하고 인출 및 절취하는 경우는 화장지(1)를 2~3마디 정도 절취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합하다.FIGS. 6A to 6E sequentially show the process of gripping, withdrawing, and cutting toilet paper (1) when the user is in front of the toilet paper cas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FIG. 6A shows a state in which the user grips toilet paper (1)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operating cover (20) using the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 (27) with his fingers. FIG. 6B shows a state in which the user then pulls out the toilet paper (1) to a desired length. FIG. 6C shows a state in which the user then pulls the gripped toilet paper (1) downward from the front of the operating cover (20), and the toilet paper (1) is fixed by the operating cover (20) so that the toilet paper (1) is in the most tensed state between a pair of front and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s (26, 27). FIG. 6D shows a state in which the user then pulls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2) from the central part (T region) between the pair of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s (26, 27). The cutting is in progress, and Fig. 6e shows a state in which cutting is completed at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2) located between the pair of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s (26, 27). In this way, the case of using the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 (27) to grip, pull out, and cut the toilet paper (1) is suitable for use when the toilet paper (1) is cut into 2 to 3 segments.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의 전방 절취력 증대부(26)에서 화장지(1)를 파지하고 인출한 후 절취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FIGS. 7a to 7d are photographs showing a state in which toilet paper (1) is cut after being gripped and pulled out by the front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of a toilet paper cas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사용자가 전방 절취력 증대부(26)를 이용하여 화장지를 파지한 상태이고, 도 7b는 화장지(1)를 인출한 후 사용자가 파지한 화장지(1)를 작동커버(20)의 전방에서 하방으로 당기면 화장지(1)가 작동커버(20)에 의해 고정되어 전방 절취력 증대부(26)와 화장지(1)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 사이에서 절취라인(20)의 중앙부(T'영역)가 가장 긴장이 되어 이 부분에서부터 절취가 진행되는 상태이고, 도 7c는 화장지 절취라인(2)에서 절취가 완료된 상태이다.FIG. 7a shows a state in which a user has gripped a tissue using a front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FIG. 7b shows a state in which, after withdrawing the tissue (1), the user pulls the gripped tissue (1) downward from the front of the operating cover (20), so that the tissue (1) is fixed by the operating cover (20), and the central portion (T' area) of the cutting line (20) between the front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and the hand of the user gripping the tissue (1) is the most tense, and cutting is performed from this portion, and FIG. 7c shows a state in which cutting is completed at the tissue cutting line (2).

이와 같이 전방 절취력 증대부(26)를 이용하여 화장지(1)를 파지하고 인출 및 절취하는 경우는 화장지를 1마디 정도 절취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합하다.In this way, the case of using the front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 (26) to cut, withdraw and cut the toilet paper (1) is suitable when it is desired to cut and use about one section of toilet paper.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의 파지자리부(25)에서 화장지(1)를 파지하여 인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FIGS. 8A to 8C are photographs showing a state in which toilet paper (1) is pulled out by being pulled out from the gripper section (25) of a toilet paper cas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는 사용자가 작동커버(20)의 파지자리부(25)에 놓인 화장지(1)에 엄지손가락을 대고 나머지 손가락은 슬립부(23)에 놓인 화장지(1)에 댄 상태이고, 도 8b는 그후 상기 나머지 손가락으로 슬립부(23)에 놓인 화장지(1)를 쓸어 올려 화장지(1)를 손가락으로 파지한 상태이며, 도 8c는 사용자가 화장지(1)를 원하는 길이로 인출하는 상태인 것을 보여주며, 이후 절취하는 과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FIG. 8a shows a state in which a user places his thumb on a toilet paper (1) placed on a grip portion (25) of an operating cover (20) and the remaining fingers are placed on a toilet paper (1) placed on a slip portion (23). FIG. 8b shows a state in which the user then sweeps up the toilet paper (1) placed on the slip portion (23) with the remaining fingers and grips the toilet paper (1) with his fingers. FIG. 8c shows a state in which the user pulls out the toilet paper (1) to a desired length, and the process of cutting it thereafter is as mentioned above.

이와 같이 파지자리부(25)를 통해 화장지(1)를 파지하고, 인출 및 절취하는 경우는 화장지(1)를 3~4마디 정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합하다.In this way, when the toilet paper (1) is broken through the paper holder (25), and is withdrawn and cut, it is suitable for cases where 3 to 4 pieces of toilet paper (1) are to be used.

상기 3~4마디보다 더 많은 양의 화장지(1)를 절취하고자 할 때는 파지자리부(25)에서 파지 작업을 2번 또는 그 이상 진행하여 화장지(1)가 여러 번 겹치도록 파지한 후 절취하면 된다. 예를 들어 파지자리부(25)에서 화장지(1)를 1차 파지한 후 인출시키고 다시 파지자리부(25)에서 2차 파지한 후 재차 인출시킨 후 작동커버(20)를 통해 화장지(1)를 절취하면 된다When cutting more toilet paper (1) than the above 3~4 pieces, the cutting operation is performed twice or more at the cutting position (25) so that the toilet paper (1) overlaps several times, and then cut. For example, the toilet paper (1) is cut once at the cutting position (25), then taken out, then cut a second time at the cutting position (25), then taken out again, and then the toilet paper (1) is cut through the operating cover (20).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를 이용하는 다른 방식의 파지 동작과 절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FIGS. 9A to 9D are photographs showing another method of squeezing and cutting operation using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내지 도 9d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화장지 케이스(100)의 측방에 있을 때 화장지를 파지, 인출, 절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먼저 도 9a는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화장지를 후방 절취력 증대부(27)에 대고 화장지(1)를 파지하는 상태이고, 도 9b는 그후 사용자가 파지한 화장지(1)를 원하는 길이로 인출시키는 상태이며, 도 9c는 그후 사용자가 파지한 화장지를 작동커버(20)의 전방에서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화장지(1)가 작동커버(20)에 의해 고정되고 동시에 전방 절취력 증대부(26)에 위치된 화장지 절취라인(2)의 중앙부가 먼저 절취되기 시작한 상태이고, 도 9d는 그후 화장지 절취라인(2)에서 절취가 완료된 상태이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는 절취력 증대부(26,27)가 구성된 경우를 가지고 설명을 하였으나, 사용자의 필요 여부에 따라 절취력 증대부(26,27)가 포함될 수도 있고 제외될 수도 있다.FIGS. 9A to 9D illustrate the process of gripping, pulling out, and cutting toilet paper when the user is at the side of the toilet paper cas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FIG. 9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user grips toilet paper (1) by placing the toilet paper against the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7) with the user's thumb and index finger, FIG. 9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user then pulls out the gripped toilet paper (1) to a desired length, FIG. 9C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user then pulls the gripped toilet paper downward from the front of the operating cover (20), and the toilet paper (1) is fixed by the operating cover (20) and at the same time, the central portion of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2) located at the front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starts to be cut first, and FIG. 9D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cutting is completed at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2). The toilet paper case (100)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a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 (26, 27), but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 (26, 27) may be included or excluded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user.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의 파지자리부(25)에서 화장지(1)를 다른 방식으로 파지하여 인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FIGS. 10A and 10B are photographs showing a manner in which toilet paper (1) is pulled out by gripping it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e gripping portion (25) of a toilet paper cas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 내지 도 10b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화장지 케이스(100)의 측방에 있을 때 화장지(1)를 파지, 인출 및 절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0a는 사용자가 작동커버(20)의 파지자리부(25)에 놓인 화장지에 엄지손가락으로 대고, 검지 손가락은 슬립부(23)에 놓인 화장지(1)에 댄 상태이고, 도 10b는 그후 상기 검지 손가락으로 슬립부(23)에 놓인 화장지(1)를 쓸어 올려 화장지(1)를 손가락으로 파지한 상태이며, 이후 절취하는 과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FIGS. 10A and 10B illustrate the process of gripping, withdrawing, and cutting toilet paper (1) when the user is at the side of the toilet paper cas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user places the thumb on the toilet paper placed on the gripping portion (25) of the operating cover (20) and places the index finger on the toilet paper (1) placed on the slip portion (23). FIG. 10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user then sweeps up the toilet paper (1) placed on the slip portion (23) with the index finger and grips the toilet paper (1) with the finger. The process of cutting the toilet paper thereafter is as described above.

도 1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A)에 대한 설명은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의 동일 부분에 대해 동일 부호를 표기하고 설명은 간략 또는 생략하며, 추가 및 변형된 부분에 대해서만 다른 부호를 표기하고 중점적으로 설명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toilet paper case (100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parts of the toilet paper cas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ed abov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is brief or omitted, and only the added and modified parts are denoted by different reference numerals and ar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A)는 앞서 언급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파지자리부 및 슬립부가 사라지고, 가압부와 마찰자리부의 위치가 변경된 것이다.A toilet paper case (100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in which the grip portion and the slip portion are eliminated and the positions of the pressure portion and the friction portion are changed.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24a)는 안착부(22)의 후방 단부에 위치되어 몸체(10a) 내면과 소정 거리 유격을 두고 있고, 이 유격을 통해 몸체 내부에서 인출되는 화장지가 통과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24a)는 안착부(22)가 연장되어 안착부(22)와 동일 재질을 가지고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재질 및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That is, the pressurizing portion (24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fixing portion (22) and has a predetermined clearanc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a), and toilet paper pulled out from inside the body can pass through this clearance. The pressurizing portion (24a) may be formed by extending the fixing portion (22) and having the same material as the fixing portion (22) and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or may be formed of a different material and a different structure.

그리고 상기 마찰자리부(15a)는 몸체(10a)의 배면이 상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이 연장된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꺾여서 소정 길이만큼 더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24a)와 마찰자리부(15a)가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구조가 되며, 작동커버(20a)는 힌지축(21)을 중심으로 전방 단부가 아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작동커버(20a)의 후방 단부에 있는 가압부(24a)가 상방으로 회동되어 마찰자리부(15a)와 밀착되는 구조인 것이다.And the friction part (15a) is formed by extending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10a)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n bending horizontally at the extended end to extend further by a predetermined length. Thus, as illustrated in FIG. 13, the pressure part (24a) and the friction part (15a) are structured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when the front end of the operating cover (20a) rotates downward around the hinge axis (21), the pressure part (24a) at the rear end of the operating cover (20a) rotates upward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riction part (15a).

따라서 몸체(10a) 내부로부터 인출된 화장지를 이용하여 작동커버(20a)를 회동시키면 가압부(24a)와 마찰자리부(15a) 사이에서 화장지가 고정되고 동시에 절취력 증대부(26,27)에 의해 인장력이 화장지 절취라인에 집중되어 화장지가 쉽게 절취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operating cover (20a) is rotated using toilet paper pulled out from inside the body (10a), the toilet paper is fixed between the pressure portion (24a) and the friction portion (15a), and at the same time, the tensile force is concentrated on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by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27), so that the toilet paper is easily cut.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A)는 절취력 증대부(26,27)가 필요에 따라 적어도 1개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The toilet paper case (100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r exclude at least one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 (26, 27) as needed.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B)에 대한 설명은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동일 부분에 대해 동일 부호를 표기하고 설명은 간략 또는 생략하며, 추가 및 변형된 부분에 대해서만 다른 부호를 표기하고 중점적으로 설명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toilet paper case (100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parts of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is brief or omitted, and only the added and modified parts are denoted by different reference numerals and ar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B)는 몸체(10b)에 작동커버(20b)가 힌지결합될 때 그 힌지결합 위치가 화장지 케이스(100B)의 상단 후방에서 힌지결합된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ilet paper case (100B) has a hinged position at the upper rear of the toilet paper case (100B) when the operating cover (20b) is hinged to the body (10b).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힌지 결합을 위하여 몸체(10b)의 상단 후방 좌우측면에는 내부로 소정길이 돌출된 힌지축(47)이 형성되고, 작동커버(20b)에는 후방 양측 코너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중심에 힌지공(46)이 마련된 힌지편(45)이 형성된다.To explain in more detail, for the hinge connection, a hinge axis (47) protruding in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on the upper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10b), and a hinge piece (45)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ear corners on both sides and having a hinge hole (46) provided in the center is formed on the operating cover (20b).

그래서 상기 힌지편(45)의 힌지공(46)이 상기 힌지축(47)에 결합되는 구조로 힌지결합 된다. 상기 힌지결합 지점은 몸체(10b)와 작동커버(20b)가 힌지결합될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가 된다. Therefore, the hinge hole (46) of the hinge piece (45) is hinge-connected in a structure that is connected to the hinge axis (47). The hinge connection point is structured so that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body (10b) and the operating cover (20b) are hinge-connected.

상기 힌지축(47)은 표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럴 경우 상기 힌지편(45)을 상기 힌지축(47) 중심을 향해 소정의 외력을 가할 경우 상기 힌지편(45)의 힌지공(46)이 상기 힌지축(47)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될 수 있다.The above hinge axis (47) may be formed with a surface that is inclined, and in that case, when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hinge piece (45) toward the center of the hinge axis (47), the hinge hole (46) of the hinge piece (45) may be structured to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hinge axis (47).

이러한 힌지결합 구조에 의해서, 몸체(10b)에 힌지결합된 작동커버(20b)의 전방 단부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면 후방 코너 부근의 상기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작동커버(20b)가 회동되어 몸체(10b) 상면이 개방되는 구조가 된다. By this hinge-connected structure, when the front end of the operating cover (20b) hinge-connected to the body (10b) is lifted upward, the operating cover (20b) rotates around the hinge-connected point near the rear corner, thereby open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b).

그리고 몸체(10b)에는 상기 작동커버(20b)가 결합될 때 작동커버(20b)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막대형상의 지지바(40)가 몸체의 상단 후방쪽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지지바(40)는 그 양단이 몸체(20b)의 각 힌지축(47)으로부터 전방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몸체(10b)의 양측면에 지지되는 구조이다.And, when the operating cover (20b) is coupled to the body (10b), a rod-shaped support bar (40) is form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body so as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operating cover (20b). To explain in more detail, the support bar (40) is structured so that both ends ar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orward direction from each hinge axis (47) of the body (20b) and are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body (10b).

상기 지지바(40)는 그 양단이 몸체(10b)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몸체와 일체화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support bar (4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ar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ody (10b) o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상기 지지바(40)는 상면이 평평하거나 요철형태인(미도시) 마찰자리부(42)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화장지(1)가 잘 슬립되도록 곡면형상의 슬립부(41)가 형성된다.The above support bar (40) has a friction part (4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at is flat or has an uneven shape (not shown), and a curved slip part (41) formed on the rear surface to allow the toilet paper (1) to slip well.

그리고 상기 작동커버(20b)의 중앙 부근에는 화장지(1)가 인출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인출공(29)이 형성된다.And, near the center of the above-mentioned operating cover (20b), a long withdrawal hole (29) i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oilet paper (1) can be withdrawn.

상기 인출공(29)의 크기는 상기 화장지(1)가 자연스럽게 인출될 수 있을 정도의 좌우 및 전후방향 폭을 가지면 된다.The size of the above withdrawal hole (29) should be such that it has a width in the left-right and front-back directions that the toilet paper (1) can be withdrawn naturally.

또한 상기 몸체(10b)와 작동커버(20b)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인출공(29)은 그 위치가 지지바(40) 보다 전방에 위치하면 되나, 작동커버(20b)의 전후 중앙부근이 좋다.In addition, when the body (10b) and the operating cover (20b) are combined, the extraction hole (29) should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support bar (40), but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operating cover (20b) is preferable.

그리고 작동커버(20b)는 인출공(29)의 전방으로 안착부(22b)상에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언급된 절취력 증대부(26)가 1개 또는 소정간격의 다수개(미도시)가 돌기 형성될 수 있다. And the operating cover (20b) may have one or multiple (not shown)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s (26) formed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mounting portion (22b) in front of the extraction hole (29) as mentioned in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결합 구조에서 화장지(1)가 놓이는 경로를 설명하면, 몸체(10b) 내부에 있는 화장지(1)가 일부 인출될 때 화장지(1)의 일부가 지지바(40)의 슬립부(41)를 접촉하고 이후 지지바(40)의 마찰자리부(42)와 작동커버(20b)의 사이에 위치되며, 이후 작동커버(20b)의 인출공(29)을 경유하여 안착부(22b) 또는 절취력 증대부(26) 상에 놓이게 된다.In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path along which the toilet paper (1) is placed will be described. When the toilet paper (1) inside the body (10b) is partially withdrawn, a part of the toilet paper (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lip part (41) of the support bar (40), and is then positioned between the friction part (42) of the support bar (40) and the operating cover (20b), and then passes through the withdrawal hole (29) of the operating cover (20b) to be placed on the fixing part (22b) or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 (26).

상기 화장지 케이스(100B)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작동커버(20b)의 안착부(22b) 또는 절취력 증대부(26)에 놓인 화장지를 한손으로 잡고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그 힘에 의해 지지바(40)로부터 작동커버(20b)가 조금 이격되면서 화장지(1)가 인출공(29)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된 화장지(1)를 이용하여 안착부(22b) 상의 전방 단부에 있는 절취력 증대부(26)가 눌려지도록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작동커버(20b)와 지지바(40) 사이에 놓인 화장지가 마찰 정지하면서 안착부(22b)상에서 절취력 증대부(26)에 의해 화장지의 절취라인이 쉽게 절취된다.The operation process of the above toilet paper case (100B) will be explained. When the toilet paper placed on the fixing portion (22b) or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of the operating cover (20b) is held with one hand and pulled upward, the operating cover (20b) is slightly separated from the support bar (40) by the force, and the toilet paper (1) is pulled out through the extraction hole (29). At this time, when the user pulls downward using the toilet paper (1) pulled out to the desired length so that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at the front end on the fixing portion (22b) is pressed, the toilet paper placed between the operating cover (20b) and the support bar (40) comes to a frictional stop, and the cutting line of the toilet paper is easily cut on the fixing portion (22b) by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한편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몸체를 일부 변형하여 사용될 수 있는 바, 상기 지지바(40)가 제거된 몸체로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can be used by partially modifying the body, and can be used as a body with the support bar (40) removed.

이럴경우 상기 작동커버(20b)는 자중에 의해서 하방으로 회동되어 작동커버(20b)의 저면이 화장지 롤의 외경에 직접 접촉되는 구조가 된다.In this case, the operating cover (20b) rotates downward due to its own weight,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operating cover (20b)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toilet paper roll.

화장지(1) 사용에 따라 화장지 롤의 외경이 작아지면 그만큼 작동커버(20b)는 힌지축(47)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그 전방 단부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구조가 된다. 이때 작동커버(20b)의 전방 단부가 하방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몸체의 전면에 스윙공간부(12)를 충분히 둘 필요가 있다.As the outer diameter of the toilet paper roll decreases due to the use of toilet paper (1), the operating cover (20b) rotates around the hinge axis (47) and its front end moves downward.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ufficient swing space (12) on the front of the body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operating cover (20b)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ownward movement.

이러한 변형 구조에서 화장지 케이스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작동커버(20b)의 안착부(22b) 또는 절취력증대부(26)에 놓인 화장지를 한손으로 잡고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그 힘에 의해 작동커버(20b)가 화장지 롤 외경으로부터 조금 이격되면서 화장지가 인출공(29)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된 화장지(1)를 이용하여 작동커버(20b)의 절취력 증대부(26)가 눌려지도록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작동커버(20b)의 저면이 화장지 롤 외경을 가압하게 되어 화장지 롤의 회전이 정지하면서 안착부(22b)상에서 절취력 증대부(26)에 의해 화장지의 절취라인이 쉽게 절취된다. In this modified structure,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toilet paper case is explained. When the toilet paper placed on the fixing portion (22b) or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of the operating cover (20b) is held with one hand and pulled upward, the operating cover (20b) is slightly separated from the outer diameter of the toilet paper roll by the force, and the toilet paper is pulled out through the withdrawal hole (29). At this time, when the user pulls downward so that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of the operating cover (20b) is pressed using the toilet paper (1) pulled out to the desired length, the lower surface of the operating cover (20b) presses the outer diameter of the toilet paper roll, and the rotation of the toilet paper roll stops, and the cutting line of the toilet paper is easily cut by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on the fixing portion (22b).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B)는 절취력 증대부(26)가 필요에 따라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 있다.The toilet paper case (100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r exclude a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as needed.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100)를 설명하면, 화장지를 담을 수 있는 몸체와, 이 몸체에 힌지결합되어 화장지의 절취라인에 대해 절취동작 하는 작동커버와 이 작동커버에 연동되어 화장지 이동을 정지시키는 화장지 정지수단으로 구성된다.Meanwhile, a toilet paper case (100) that is easy to cu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that can hold toilet paper, an operating cover that is hinge-connected to the body and performs a cutt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a cutting line of the toilet paper, and a toilet paper stopping means that is linked to the operating cover and stops the movement of the toilet paper.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소정 구간 절취라인이 형성된 화장지 롤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일부 인출되는 화장지가 놓일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방된 몸체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 되는 작동커버와, 상기 작동커버의 회동 운동에 연동되어 화장지 이동을 정지시키는 화장지 정지수단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인출된 화장지를 이용하여 작동커버의 일단을 제1 방향으로 가압시켜 작동커버를 회동시킬 때, 상기 화장지 정지수단에 의해 화장지가 고정됨과 동시에 외부로 인출된 화장지가 절취라인에서 절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be more specific,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having an interior space formed therein so as to accommodate a toilet paper roll having a predetermined section cut line formed therein and having one open end, an operating cover having a receiving portion on which toilet paper partially withdrawn from the interior of the body can be placed and being rotatably hinged to one end of the open body, and a toilet paper stopping means for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toilet paper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operating cover, wherein when a user rotates the operating cover by pressing one end of the operating cover in a first direction using the withdrawn toilet paper, the toilet paper is fixed by the toilet paper stopping means and at the same time, the toilet paper withdrawn to the outside is cut at the cut line.

여기서의 화장지 정지수단은 다양하게 구성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화장지 롤의 중심홀이 별도의 회전축에 밀착 삽입되어 일체화 결합된 후, 상기 화장지가 결합된 회전축이 몸체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 될 경우, 이 회전축을 작동커버의 회동 동작에 연동되게 하여 상기 회전축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해제시킴으로서 상기 화장지 롤의 화장지 인출 이동을 정지 또는 해제할 수 있다.Here, the toilet paper stop means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if the center hole of the toilet paper roll is tightly inserted into a separate rotational axis and integrally combined, and the rotational axis to which the toilet paper is combined is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inside the body, the rotational axis can be linked 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operating cover to stop or release the rotation of the rotational axis, thereby stopping or releasing the toilet paper withdrawal movement of the toilet paper roll.

상기 회전축을 작동커버의 회동 동작에 연동되게 하여 상기 회전축 회전을 정지시키는 일예를 들면, 작동커버의 저면 일측에서 상기 회전축 근처까지 연장된 브레이크 바가 일체화 형성되고, 상기 작동커버가 회동될 때 상기 브레이크바도 회동되고 이때 이 브레이크바의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일측 표면에 접촉되면서 마찰작용을 일으켜 회전축의 회전을 정지 시킬수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stop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by link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operating cover with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operating cover, a brake bar is formed integrally and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perating cover to near the rotation shaft, and when the operating cover rotates, the brake bar also rotates, and at this time, when an end of the brake bar comes into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a frictional action is generated, thereby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상기 화장지 정지수단은 앞서 제1, 제2, 제3 실시예의 화장지 케이스에서 언급된 작동커버의 가압부와 몸체와의 마찰 작동 관계를 통해서도 화장지 인출이 정지 또는 해제될 수 있는 화장지 정지수단이 될 수 있다.The above toilet paper stop means can be a toilet paper stop means in which toilet paper withdrawal can be stopped or released through the frictional opera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surizing portion of the operating cover and the body as mentioned in the toilet paper cas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상기 안착부 상에는 절취력증대부가 1개 또는 다수개 형성될 수 있고, 이 절취력 증대부의 구조 및 작용은 앞 실시예에서 언급된 바와 같다.One or more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s may be formed on the above-mentioned anchorage, 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s are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는 소정 구간 절취라인이 형성된 화장지 롤을 내부에 설치하여 화장지를 일부 인출한 후 상기 절취라인에서 절취하는데 사용되는 화장지 케이스로서, 상기 화장지 케이스에는 화장지 절취 동작이 진행될 때 화장지 절취라인의 일부분에 인장력이 집중 작용되어 절취되도록 소정 높이로 돌기된 절취력 증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easy to cut is a toilet paper case that is installed inside a toilet paper roll having a predetermined section of cutting line formed therein, and is used to cut toilet paper at the cutting line after a portion of the toilet paper is withdrawn. The toilet paper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a cutting force-increasing portion that protrudes to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so that tensile force is concentrated on a portion of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when the toilet paper cutting operation is perform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는 상기 구조를 통해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도 화장지를 절취할 수 있고, 또한 절취하고자 하는 화장지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원하는 길이만큼 절취할 수 있으며, 절취 동작 또한 간단하고 적은 힘으로도 쉽게 화장지가 절취되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asy-to-cut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cut the toilet paper with one hand through the above structure, and can selectively hold the length of the toilet paper to be cut and cut it to the desired length, and the cutting action is also simple and the toilet paper can be easily cut with little force.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only with respect to preferred specific examples.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specific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it is also natural tha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화장지 2 : 절취라인
10, 10a, 10b : 몸체 11, 46 : 힌지공
12 : 스윙공간부 13 : 인출개방부
14 : 가이드부 15, 15a, 42 : 마찰자리부
16 : 걸림턱 17 : 보조 바닥지지부
18 : 투시창 19 : 이격지지부
20, 20a, 20b : 작동커버 21, 47 : 힌지축
22, 22b : 안착부 23, 41 : 슬립부
24, 24a : 가압부 25 : 파지자리부
26, 27 : 절취력 증대부 28 : 이탈방지부
29 : 인출공 31, 32, 33 : 파지홈
40 : 지지바 45 : 힌지편
100, 100A, 100B : 화장지 케이스
1: Toilet paper 2: Cut line
10, 10a, 10b: Body 11, 46: Hinge hole
12: Swing space 13: Withdrawal opening
14: Guide section 15, 15a, 42: Friction section
16: Jaw 17: Auxiliary floor support
18: Viewing window 19: Separating support
20, 20a, 20b: Operating cover 21, 47: Hinge shaft
22, 22b: Fixing part 23, 41: Slip part
24, 24a: Pressurized part 25: Phasing part
26, 27: Cutting force enhancement part 28: Detachment prevention part
29: Withdrawal hole 31, 32, 33: Phage home
40: Support bar 45: Hinge piece
100, 100A, 100B: Toilet Paper Case

Claims (15)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취라인이 형성된 롤 형태의 화장지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인출된 화장지 일부분이 놓일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일측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 타측은 인출되는 화장지를 상기 몸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가압부가 마련된 작동커버;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인출된 화장지를 이용하여 상기 작동커버의 일측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압시킴으로써 상기 작동커버를 회동시키면, 상기 작동커버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가압부가 화장지를 밀착 고정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인출된 화장지가 절취라인에서 절취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동커버는 상기 힌지결합 지점을 기준으로 할 때 무게중심이 상기 가압부와 가까운 쪽에 있도록 구성되어, 절취 작업이 이루어지고 나면 무게중심에 따른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기 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A body having an open side and a space provided inside to hold a roll of toilet paper having a number of cut lin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n operating cover is provided with a fixing portion on which a portion of toilet paper pulled out from inside the body can be placed, is rotatably hinged to one open side of the body, and has a pressurizing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so that when one side moves in a first direction around the hinge joint point, the other side can tightly fix the pulled toilet paper to the body;
When the user rotates the operating cover by pressing one side of the operating cover in the first direction using the withdrawn toilet paper, the pressurizing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ng cover tightly fixes the toilet paper and at the same time, the toilet paper withdrawn to the outside is cut at the cutting line.
A tissue case that is easy to cut,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cov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perating cover is closer to the pressurizing portion when based on the hinge joint point, and after the cutt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operating cover rotates due to its own weight accor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so that the pressuriz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커버는 상기 화장지가 몸체 내부로부터 인출될 때 화장지가 슬립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의 한쪽 단부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안착부를 상기 가압부와 연결해주는 슬립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In the first paragraph,
A toilet paper case that is easy to cut,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cover has a slip portion formed that extends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fixing por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connect the fixing portion to the pressurizing portion so that the toilet paper can slip when the toilet paper is pulled out from inside the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슬립부와 접해 있는 화장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뚫려있는 인출개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In the second paragraph,
A toilet paper case that is easy to cut,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has a pull-out opening formed so that toilet paper in contact with the slip section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부와 이어지는 상기 안착부의 한쪽 단부에는 화장지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안착부의 외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파지자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In the second paragraph,
A toilet paper case that is easy to cut,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lip portion is provided with a gripping portion that i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to facilitate gripping of toilet pap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작동커버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도록 상기 작동커버를 받쳐주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In claim 1 or 2,
A tissue case that is easy to cut, characterized in that a catch is formed on the body to support the operating cover so that the rotation range of the operating cover is limited.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커버와 상기 몸체의 힌지결합 구조는, 상기 작동커버에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힌지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In claim 1 or 2,
A toilet paper case that is easy to cut,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joint structure of the operating cover and the body is such that a hinge axis is formed in the operating cover and a hinge groove is formed in the body so that the hinge axis can be insert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커버는 상기 안착부에 놓인 화장지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면서 화장지 절취 동작이 진행될 때 화장지 절취라인 일부분에 인장력이 집중 작용되어 절취되도록 상기 안착부에서 돌출된 절취력 증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In claim 1 or 2,
A toilet paper case that is easy to cut,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operating cover supports the toilet paper placed on the above-mentioned fix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has a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xing portion so that when the toilet paper cutting operation is performed, tensile force is concentrated on a part of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to cut 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폭이 화장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In Article 8,
A toilet paper case that is easy to cut,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ting force-enhancing portion is formed with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toilet pap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In Article 8,
A toilet paper case that is easy to cut,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ting force-increasing portion is formed to become narrower as it goes upwar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화장지 절취라인의 중앙에서 인장력이 집중 작용되도록 상기 안착부의 폭방향 중앙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In Article 8,
A toilet paper case that is easy to cut,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ing portion so that tensile force is concentrated at the center of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화장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In Article 8,
A toilet paper case that is easy to cut,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cutting force-enhancing parts are arranged in pair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oilet pap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력 증대부의 일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안착부 중 상기 제1 방향으로 눌리는 가장자리와 일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In Article 8,
A tissue case that is easy to cut,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edge of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is formed to coincide with the edge of the fixing portion that is pressed in the first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56661A 2018-05-15 2019-05-14 Tissue case which can cut easily rolled tissue Active KR1026996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12646A KR102822993B1 (en) 2018-05-15 2024-08-20 Tissue case which can cut easily rolled tissu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155 2018-05-15
KR20180055155 2018-05-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12646A Division KR102822993B1 (en) 2018-05-15 2024-08-20 Tissue case which can cut easily rolled tiss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978A KR20190130978A (en) 2019-11-25
KR102699671B1 true KR102699671B1 (en) 2024-08-27

Family

ID=6854043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661A Active KR102699671B1 (en) 2018-05-15 2019-05-14 Tissue case which can cut easily rolled tissue
KR1020240112646A Active KR102822993B1 (en) 2018-05-15 2024-08-20 Tissue case which can cut easily rolled tissue
KR1020250054167A Pending KR20250060178A (en) 2018-05-15 2025-04-24 Tissue case which can cut easily rolled tissue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12646A Active KR102822993B1 (en) 2018-05-15 2024-08-20 Tissue case which can cut easily rolled tissue
KR1020250054167A Pending KR20250060178A (en) 2018-05-15 2025-04-24 Tissue case which can cut easily rolled tissu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2699671B1 (en)
WO (1) WO2019221519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978Y1 (en) * 2000-06-20 2000-11-01 김조천 Easy cutting one touch rolling fr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692U (en) * 1993-12-27 1995-07-18 俊一 亀和田 Simple cutting tool for continuous roll paper
KR970001614Y1 (en) * 1994-05-04 1997-03-15 심혁봉 Toilet paper withdrawal case
JP4411541B2 (en) * 2005-04-15 2010-02-10 博 鈴川 Toilet paper holder
JP3214977U (en) * 2017-07-13 2018-02-22 吉弘 町田 Paper holder attach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978Y1 (en) * 2000-06-20 2000-11-01 김조천 Easy cutting one touch rolling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32421A (en) 2024-09-03
WO2019221519A1 (en) 2019-11-21
KR20250060178A (en) 2025-05-07
KR102822993B1 (en) 2025-06-24
KR20190130978A (en) 201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5574Y2 (en) Roll paper holder
KR102822993B1 (en) Tissue case which can cut easily rolled tissue
JP5463523B1 (en) Roll paper holding and cutting device
JP5286474B1 (en) Roll paper cutting device
JP6856834B2 (en) Roll paper holder
KR900004395Y1 (en) Toilet paper cutting device of toilet paper holder
JP2010110609A (en) Roll paper holder
JP5372433B2 (en) Roll paper holder
JP3058570U (en) Roll paper holder
JPH0321677Y2 (en)
JP2003000472A (en) Roll paper holder
JP5571136B2 (en) Adhesive tape holder with cutter guard plate
JP2014124523A (en) Roll paper holder
KR102564281B1 (en) One handed toilet paper holder
JP6072864B1 (en) Roll paper holder
JPH057991Y2 (en)
JP3578743B2 (en) Roll paper cutting tool for toilet and paper holder with roll paper cutting tool
CN210961737U (en) Paper handkerchief stopper
JP2020168339A (en) Roll paper cutter
JP2005192682A (en) Paper holder
JP3110748U (en) Hook remover
JPH08173346A (en) Toilet roll holder
JP3207787U (en) Toilet paper holder
JP3137534U (en) Toilet paper holder that can be used with one hand
CN101020546A (en) Plastic wrap electric cu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5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5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