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9042B1 - 안테나 반사 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반사 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9042B1
KR102699042B1 KR1020190039744A KR20190039744A KR102699042B1 KR 102699042 B1 KR102699042 B1 KR 102699042B1 KR 1020190039744 A KR1020190039744 A KR 1020190039744A KR 20190039744 A KR20190039744 A KR 20190039744A KR 102699042 B1 KR102699042 B1 KR 102699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antenna
feedback signal
controller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3019A (ko
Inventor
김대영
조영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6/561,579 priority Critical patent/US10727958B2/en
Priority to DE102019124240.1A priority patent/DE102019124240A1/de
Priority to TW108137651A priority patent/TWI811470B/zh
Publication of KR20200063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9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904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0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 H04B17/103Reflected power, e.g. return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04B17/19Self-tes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Abstract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송신 신호를 안테나에 전달하는 커플러(coupler)가 제공하는 RF 피드백 신호로부터 생성된 피드백 신호를 캡쳐하는 버퍼, 및 송신 신호에 포함되는 제1 심볼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심볼의 순환 전치부(cyclic prefix)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제1 피드백 신호 및 제1 심볼의 말단부(back end)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제2 피드백 신호를 피드백 신호로부터 추출하고, 제1 피드백 신호 및 제2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계산하는 안테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반사 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ANTENNA REFLECTION COEFFICIEN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안테나가 설계된 임피던스를 가지지 아니하는 경우, 무선 통신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기기는 안테나 튜너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 튜너는 안테나의 측정된 임피던스 또는 반사 계수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요구되는 한편, 무선 통신 기기의 소형화, 저전력 등에 기인하여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오버헤드를 최소화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오버헤드를 최소화하면서도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라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는, 안테나로 전달되는 송신 신호의 일부로서 커플러(coupler)가 제공하는 RF 피드백 신호로부터 생성된 피드백 신호를 캡쳐하는 버퍼, 및 송신 신호에 포함되는 제1 심볼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심볼의 순환 전치부(cyclic prefix)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제1 피드백 신호 및 제1 심볼의 말단부(back end)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제2 피드백 신호를 피드백 신호로부터 추출하고, 제1 피드백 신호 및 제2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계산하는 안테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라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커플러(coupler)를 통해서 안테나에 제공되는 송신 신호에 포함되는 제1 심볼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1 심볼의 정보에 기초하여, 커플러가 제1 심볼의 순환 전치부(cyclic prefix)의 적어도 일부를 전달하는 제1 구간에서 제공하는 RF 피드백 신호로부터 생성된 제1 피드백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제1 심볼의 정보에 기초하여, 커플러가 제1 심볼의 말단부(back end)의 적어도 일부를 전달하는 제2 구간에서 제공하는 RF 피드백 신호로부터 생성된 제2 피드백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피드백 신호 및 제2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라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커플러(coupler)를 통해서 안테나에 제공되는 송신 신호에 포함되는 제1 심볼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1 심볼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심볼의 순환 전치부(cyclic prefix)의 적어도 일부를 전달하는 구간에서 커플러를 제1 커플링 방향으로 설정하는 단계, 제1 심볼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심볼의 말단부(back end)를 전달하는 구간에서 커플러를 제2 커플링 방향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커플러가 제공하는 RF 피드백 신호로부터 생성된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송신기로부터 송신 신호를 캡쳐하거나 송신기로부터 커플러를 통과하는 피드백 경로의 지연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단순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테나의 반사 계수가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아니한 효과들 역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3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러의 예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단계 S110의 예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러의 예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단계 S110의 예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러의 예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단계 S110의 예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송신 신호에 포함된 심볼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13의 단계 S117의 예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측정된 안테나의 반사 계수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활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예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5)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기기(5)는 컨트롤러(10), 송수신기(20), 전단 회로(30), 안테나(40) 및 피드백 회로(5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기기(5)는 안테나(40)를 통해서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무선 통신 기기(5)가 접속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RAT(Radio Access Technology)로서 지칭될 수도 있고,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5G(5th generation wireless) 시스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LTE-Advanced 시스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시스템 등과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cellular network)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도 있고,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시스템 또는 다른 임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이하에서, 무선 통신 기기(5)가 접속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룰러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인 것으로 가정되어 설명될 것이나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는 점은 이해될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가용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무선 통신 기기(5)를 포함하는 다수의 무선 통신 기기들이 통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 등과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방식으로 정보가 전달할 수 있다.
무선 통신 기기(5)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접속하는 임의의 기기를 지칭할 수 있다. 무선 통신 기기(5)의 일 예로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기기 및/또는 다른 기지국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지칭할 수 있고, 사용자 기기 및/또는 타 기지국과 통신함으로써 데이터 및 제어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Node B, eNB(evolved-Node B), gNB(Next generation Node 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AP(Access P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스몰 셀(small cell)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 있고,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 RRH, RU, 스몰 셀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
무선 통신 기기(5)의 일 예로서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는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고, 기지국과 통신하여 데이터 및/또는 제어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기기들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기기는 단말 기기(terminal equipment),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 Station), 무선 장치(wireless device), 휴대 장치(handheld 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통신 기기(5)는 사용자 기기(UE)인 것으로 가정될 것이나,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는 점은 이해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테나(40)는 전단 회로(30)에 연결될 수 있고, 전단 회로(3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다른 무선 통신 기기로 송신하거나, 다른 무선 통신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전단 회로(30)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기기(5)는 위상 배열(phased array),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등을 위하여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40)는 임피던스를 가질 수 있고, 안테나(40)의 임피던스는 다양한 요인들에 기인하여 변동할 수 있다. 안테나(40)의 임피던스 변동을 보상하기 위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안테나(40)는 전단 회로(30)에 포함된 안테나 튜너(32)에 연결될 수 있다.
전단 회로(30)는 커플러(31) 및 안테나 튜너(32)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러(31)는 송수신기(20) 및 안테나 튜너(32)에 연결될 수 있다. 커플러(31)는 송신 모드에서 RF 송신 신호(TX_RF)를 수신할 수 있고, 전환가능한 커플링 방향에 따라 RF 송신 신호(TX_RF)에 커플링된(coupled) 신호(포워드 커플링 신호로서 지칭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40) 및 안테나 튜너(32)에서 반사된 신호(리버스 커플링 신호로서 지칭될 수 있다)를 RF 피드백 신호(RF_FB)로서 피드백 회로(5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31)는 양방향(bidirectional) 커플러로서 지칭될 수 있고, 포워드 커플링(F)으로 설정된 경우 RF 송신 신호(TX_RF)에 커플링된 신호를 RF 피드백 신호(RF_FB)로서 피드백 회로(50)에 제공할 수 있는 한편, 리버스 커플링(R)으로 설정된 경우 반사된 신호를 RF 피드백 신호(RF_FB)로서 피드백 회로(50)에 제공할 수 있다. 커플러(31)의 커플링 방향은 안테나 컨트롤러(14)로부터 제공되는 전단 제어 신호(C_FE)에 기초하여 전단 제어 신호(C_FE)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커플러(31)는 RF 송신 신호(TX_RF)에 커플링된 신호 및 반사된 신호를 동시에 피드백 회로(5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안테나 튜너(32)는 전단 제어 신호(C_FE)에 따라 가변적인 임피던스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안테나(40) 및 안테나 튜너(32)의 임피던스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안테나(40) 및 안테나 튜너(32)의 임피던스 또는 반사 계수는 안테나(40)의 임피던스 또는 반사 계수로서 단순하게 지칭될 수도 있다.
송수신기(20)는 송신기(21), 수신기(22) 및 스위치(23)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21)는 컨트롤러(10)로부터 수신되는 기저대역(baseband) 송신 신호(TX_BB)를 처리함으로써 RF 송신 신호(TX_RF)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기(21)는 필터, 믹서,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송신 모드에서 커플러(31)에 제공되는 RF 송신 신호(TX_RF)는 송신 신호로서 단순하게 지칭될 수 있다. 수신기(22)는 스위치(23)로부터 수신되는 RF 수신 신호(RX_RF)를 처리함으로써 기저대역 수신 신호(RX_BB)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기(22)는 필터, 믹서,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신 모드에서 커플러(31)로부터 수신기(22)에 제공되는 RF 수신 신호(RX_RF) 및 기저대역 수신 신호(RX_BB)는 수신 신호로서 총괄적으로 지칭될 수 있다. 스위치(23)는, 송신 모드에서 RF 송신 신호(TX_RF)를 전단 회로(30)에 제공할 수 있는 한편, 수신 모드에서 커플러(31)를 통해서 수신되는 신호를 RF 수신 신호(RX_RF)로서 수신기(22)에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치(23)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듀플렉서(duplexer) 및/또는 스위치플렉서(switchplexer)로 대체되거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듀플렉서 및/또는 스위치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회로(50)는 커플러(31)로부터 RF 피드백 신호(RF_FB)를 수신할 수 있고, RF 피드백 신호(RF_FB)를 처리함으로써 피드백 신호(S_FB)(또는 기저대역 피드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드백 회로(50)는 필터, 믹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백 회로(50)는 피드백 신호(S_FB)를 컨트롤러(10)에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10)는 송신 컨트롤러(11), 버퍼(13) 및 안테나 컨트롤러(14)를 포함할 수 있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버퍼(13) 및 안테나 컨트롤러(14)는 안테나(40)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컨트롤러(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은 논리 합성 등을 통해서 설계된 전용의 하드웨어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블록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유닛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전용의 하드웨어 블록 및 프로세싱 유닛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컨트롤러(100)는 안테나(40)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지칭될 수 있다.
송신 컨트롤러(11)는 송신기(21)를 통한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 컨트롤러(11)는 무선 통신 기기(5)가 접속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상대방 무선 통신 기기에 따라 기저대역 송신 신호(TX_BB) 및 RF 송신 신호(TX_RF)가 생성되도록, 다양한 송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고 송수신기(20)에 포함된 송신기(2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컨트롤러(11)는 송신 파라미터들 중 RF 송신 신호(TX_RF)에 포함되는 심볼에 대한 심볼 정보(I_SYM)를 안테나 컨트롤러(14)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심볼 정보(I_SYM)는 심볼의 길이 및 순환 전치부(cyclic prefix)의 길이를 포함할 수 있고,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윈도잉(windowing)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안테나 컨트롤러(14)에 의해서 안테나(40)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버퍼(13)는 피드백 회로(50)로부터 제공되는 피드백 신호(S_FB)를 캡쳐할 수 있고, 피드백 데이터(D_FB)를 안테나 컨트롤러(14)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퍼(13)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피드백 신호(S_FB)를 캡쳐함으로써 생성된 피드백 데이터(D_FB)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버퍼(13)는 안테나 컨트롤러(14)의 제어에 따라 정해진 구간에서 피드백 신호(S_FB)를 캡쳐할 수 있다.
안테나 컨트롤러(14)는 송신 컨트롤러(11)로부터 심볼 정보(I_SYM)를 수신할 수 있고, 버퍼(13)로부터 피드백 데이터(D_FB)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컨트롤러(14)는 다양한 방식들로 심볼의 경계를 나타내는 타이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안테나 컨트롤러(14)는 전단 제어 신호(C_FE)를 생성할 수 있고, 전단 제어 신호(C_FE)는 커플러(31)의 커플링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커플러 제어 신호 및 안테나 튜너(32)의 임피던스를 조절하기 위한 안테나 튜닝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컨트롤러(14)는 RF 송신 신호(TX_RF)에 포함된 심볼이 순환 전치부 및 순환 전치부와 일치하는 말단부(back-end)를 포함하는 특징을 이용하여 안테나(40)의 반사 계수(또는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안테나 컨트롤러(14)는 송신 컨트롤러(11)가 제공하는 심볼 정보(I_SYM) 및 심볼의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심볼에서, 커플러(31)를 제1 커플링 방향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순환 전치부를 획득할 수 있고, 커플러(31)를 제2 커플링 방향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심볼의 말단부를 획득할 수 있다. 안테나 컨트롤러(14)는 커플러(31)의 상이한 커플링 방향들에 각각 대응하는 순환 전치부 및 심볼의 말단부로부터 안테나(40)의 반사 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40)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안테나(40)에 제공되는 송신 신호, 예컨대 RF 송신 신호(TX_RF)를 피드백하기 위한 추가적인 부품들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반사된 신호의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하여 커플러(31) 및 피드백 회로(50)를 포함하는 피드백 경로에서 발생하는 지연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테나(40)의 반사 계수는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이하에서, 도 2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의 안테나(40)에 제공되는 RF 송신 신호(TX_RF)는 일련의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송신 신호(TX_RF)는 제1 심볼(SYM1), 제1 심볼(SYM1)에 선행하는 제2 심볼(SYM2) 및 제1 심볼(SYM1)에 후속하는 제3 심볼(SYM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심볼(SYM1)은 순환 전치부(CP) 및 데이터 심볼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심볼(SYM1)의 길이(TSYM)는 순환 전치부(CP)의 길이(TCP) 및 데이터 심볼의 길이(TU)의 합과 일치할 수 있다. 순환 전치부(CP)의 길이(TCP)는 보호 구간(guard interval)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고, 데이터 심볼은 제1 심볼(SYM1)의 유효(effective) 부분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순환 전치부(CP)는 데이터 심볼의 말단부(BE)의 복사본으로서, 심볼의 앞부분에 삽입될 수 있고, 순환 전치부(CP)에 기인하여, 상호 심볼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ISI)이 방지될 수 있고, 반송파간 간섭(Inter-Carrier Interference; ICI)이 제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순환 전치부(CP)에 대응하는, 데이터 심볼의 말단부(BE)는 말단부(BE)로서 단순하게 지칭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안테나 컨트롤러(14)는 커플러(31)가 순환 전치부(CP)를 통과시키는 구간 및 말단부(BE)를 통과시키는 구간에서 상이한 커플링 방향들을 각각 가지도록 커플러(3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 'A 경우'와 같이, 커플러(31)는 순환 전치부(CP)를 포함하는 구간에서 포워드 커플링으로 설정될 수 있는 한편, 말단부(BE)를 포함하는 구간에서 리버스 커플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B 경우'와 같이, 커플러(31)는 순환 전치부(CP)를 포함하는 구간에서 리버스 커플링으로 설정될 수 있는 한편, 말단부(BE)를 포함하는 구간에서 포워드 커플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순환 전치부(CP)는 말단부(BE)의 복사본이므로, 동일한 신호에 대하여 포워드 커플링에 의한 신호 및 리버스 커플링에 의한 신호가 획득될 수 있고, 안테나(40)의 반사 계수가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rfwd가 포워드 커플링을 통해서 획득된 신호를 나타내고, rrev가 리버스 커플링을 통해서 획득된 신호를 나타낼 때, 안테나(40)의 반사 계수 Γ는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의 방법은 도 1의 안테나 컨트롤러(14)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은 복수의 단계들(S110 내지 S18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단계 S110에서, 심볼 정보(I_SYM) 및 타이밍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안테나 컨트롤러(14)는 송신 컨트롤러(11)로부터 심볼 정보(I_SYM)를 수신할 수 있고, 심볼 정보(I_SYM)는 순환 전치부(CP)의 길이(TCP) 및 심볼의 길이(TSYM)를 포함할 수 있다. 심볼의 타이밍 정보는, 제1 심볼(SYM1) 경계를 검출하기 위한 정보로서, 심볼의 경계를 나타낼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심볼의 타이밍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예시들은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이에 따라, 안테나 컨트롤러(14)는 심볼 정보(I_SYM) 및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커플러(31)의 커플링 방향을 전환할 타이밍을 판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순환 전치부(CP) 및 말단부(BE) 각각을 캡쳐할 구간도 판정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제1 커플링 방향으로 커플러(31)를 설정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플러(31)는 포워드 커플링으로 설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RF 송신 신호(TX_RF)에 커플링된 신호를 RF 피드백 신호(RF_FB)로서 피드백 회로(5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커플러(31)는 리버스 커플링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안테나(40)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RF 피드백 신호(RF_FB)로서 피드백 회로(50)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제1 피드백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드백 회로(50)는 단계 S120에서 제1 커플링 방향으로 설정된 커플러(31)로부터 RF 피드백 신호(RF_FB)를 수신할 수 있고, RF 피드백 신호(RF_FB)를 처리함으로써 피드백 신호(S_FB)를 컨트롤러(10)의 버퍼(13)에 제공할 수 있다. 버퍼(13)는 피드백 회로(50)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S_FB)를 제1 피드백 신호로서 캡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피드백 신호는, 단계 S120에서 커플러(31)가 포워드 커플링으로 설정된 경우 RF 송신 신호(TX_RF)에 대응할 수 있는 한편, 단계 S120에서 커플러(31)가 리버스 커플링으로 설정된 경우 안테나(40)로부터 반사된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 컨트롤러(14)는 버퍼(13)가 제1 피드백 신호를 캡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140에서, 순환 전치부(CP)의 종료 여부를 판정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컨트롤러(14)는, 단계 S110에서 획득된 심볼 정보(I_SYM) 및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순환 전치부(CP)의 끝을 추정할 수 있고, 추정된 순환 전치부(CP)의 끝에 기초하여, 커플러(31)에 제공되는 RF 송신 신호(TX_RF)에 포함된 제1 심볼(SYM1)의 순환 전치부(CP)가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 전치부(CP)가 종료하지 아니한 경우 단계 S130에서 제1 피드백 신호의 획득이 계속될 수 있는 한편, 순환 전치부(CP)가 종료한 경우 단계 S150이 후속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피드백 신호는 제1 커플링 방향으로 설정된 커플러(31)로부터 순환 전치부(CP)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1 피드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 컨트롤러(14)는 순환 전치부(CP)가 종료한 경우, 버퍼(13)가 제1 피드백 신호의 캡쳐를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순환 전치부(CP)가 종료되면, 단계 S150에서, 제2 커플링 방향으로 커플러를 설정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50의 제2 커플링 방향은 단계 S120의 제1 커플링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120에서 커플러(31)가 포워드 커플링으로 설정된 경우 단계 S150에서 커플러(31)는 리버스 커플링으로 설정될 수 있는 한편, 단계 S120에서 커플러(31)가 리버스 커플링으로 설정된 경우 단계 S150에서 커플러(31)는 포워드 커플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160에서, 제2 피드백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드백 회로(50)는 단계 S150에서 제2 커플링 방향으로 설정된 커플러(31)로부터 RF 피드백 신호(RF_FB)를 수신할 수 있고, RF 피드백 신호(RF_FB)를 처리함으로써 피드백 신호(S_FB)를 컨트롤러(10)의 버퍼(13)에 제공할 수 있다. 버퍼(13)는 피드백 회로(50)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S_FB)를 제2 피드백 신호로서 캡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피드백 신호는, 단계 S150에서 커플러(31)가 포워드 커플링으로 설정된 경우 RF 송신 신호(TX_RF)에 대응할 수 있는 한편, 단계 S150에서 커플러(31)가 리버스 커플링으로 설정된 경우 안테나(40)로부터 반사된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 컨트롤러(14)는 버퍼(13)가 제2 피드백 신호를 캡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170에서, 제1 심볼(SYM1)의 종료 여부를 판정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컨트롤러(14)는, 단계 S110에서 획득된 심볼 정보 및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심볼(SYM1)의 끝을 추정할 수 있고, 추정된 제1 심볼(SYM1)의 끝에 기초하여 커플러(31)에 제공되는 RF 송신 신호(TX_RF)에 포함된 제1 심볼(SYM1)이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심볼(SYM1)이 종료하지 아니한 경우 단계 S160에서 제2 피드백 신호의 획득이 계속될 수 있는 한편, 제1 심볼(SYM1)이 종료한 경우 단계 S180이 후속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피드백 신호는 제2 커플링 방향으로 설정된 커플러(31)로부터 제1 심볼(SYM1)의 말단부(BE)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2 피드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 컨트롤러(14)는 제1 심볼(SYM1)이 종료되면, 버퍼(13)가 제2 피드백 신호의 캡쳐를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심볼(SYM1)이 종료되면, 단계 S180에서, 제1 피드백 신호 및 제2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안테나(40)의 반사 계수를 계산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컨트롤러(14)는 버퍼(13)로부터 제공되는 피드백 데이터(D_FB)로부터 제1 피드백 신호 및 제2 피드백 신호를 획득할 수 있고, 제1 피드백 신호 및 제2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예컨대 [수학식 1]과 같이 안테나(40)의 반사 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안테나 컨트롤러(14)는 계산된 반사 계수에 기초하여 안테나 튜너(32)를 제어하거나 무선 통신 기기(5)의 외부 대상을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5')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무선 통신 기기(5')는 컨트롤러(10'), 송수신기(20'), 전단 회로(30'), 안테나(40') 및 피드백 회로(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무선 통신 기기(5)와 비교할 때, 도 4의 무선 통신 기기(5')에서 커플러(31')는 RF 송신 신호(TX_RF)에 커플링된 신호 및 반사된 신호를 동시에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에 대한 설명 중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것이다.
전단 회로(30')는 커플러(31') 및 안테나 튜너(32')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러(31')는 RF 송신 신호(TX_RF)에 커플링된 신호 및 안테나(40')에 반사된 신호를 동시에 피드백 회로(5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플러(31')는 송신 모드에서 송수신기(20')로부터 RF 송신 신호(TX_RF)를 수신할 수 있고, RF 송신 신호(TX_RF)에 커플링된 신호로서 포워드 피드백 신호(F_FB)를 피드백 회로(5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안테나(40')에 반사된 신호로서 리버스 피드백 신호(R_FB)를 피드백 회로(50')에 제공할 수 이다. 이에 따라, 도 1의 커플러(31)와 상이하게, 컨트롤러(10')의 안테나 컨트롤러(14')로부터 제공되는, 도 4의 커플러(31')의 커플링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생략될 수 있다.
송수신기(20')는 송신기(21'), 수신기(22') 및 스위치(23')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21')는 기저대역 송신 신호(TX_BB)를 처리함으로써 RF 송신 신호(TX_RF)를 생성할 수 있고, 수신기(22')는 RF 수신 신호(RX_RF)를 처리함으로써 기저대역 수신 신호(RX_BB)를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10')는 송신 컨트롤러(11'), 버퍼(13') 및 안테나 컨트롤러(14')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컨트롤러(11')는 송신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심볼 정보(I_SYM)를 안테나 컨트롤러(14')에 제공할 수 있다. 버퍼(13')는 피드백 회로(50')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S_FB)를 캡쳐할 수 있고, 피드백 데이터(D_FB)를 안테나 컨트롤러(14')에 제공할 수 있다.
안테나 컨트롤러(14')는 심볼 정보(I_SYM), 타이밍 정보 및 피드백 데이터(D_FB)에 기초하여 안테나(40')의 반사 계수를 측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컨트롤러(14')는 안테나(40')의 측정된 반사 계수에 기초하여 안테나 튜너(32')의 임피던스를 조절하기 위하여 안테나 튜닝 신호(C_ANT)를 안테나 튜너(32')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컨트롤러(14')는 피드백 제어 신호(C_FB)를 피드백 회로(50')에 제공할 수 있고, 피드백 회로(50')는 피드백 제어 신호(C_FB)에 따라 포워드 피드백 신호(F_FB) 및 리버스 피드백 신호(R_FB) 중 하나를 처리함으로써 피드백 신호(S_FB)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1의 안테나 컨트롤러(14)는 전단 제어 신호(C_FE)에 포함된 커플러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커플러(31)의 커플링 방향을 제어하는 한편, 도 4의 안테나 컨트롤러(14')는 피드백 제어 신호(C_FB)를 사용하여, 포워드 피드백 신호(F_FB) 및 리버스 피드백 신호(R_FB) 중 하나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S_FB)가 버퍼(13')에 의해서 캡쳐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5는 도 4의 안테나 컨트롤러(14')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은 복수의 단계들(S210 내지 S28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도 5에 대한 설명 중 도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것이다.
단계 S210에서, 심볼 정보(I_SYM) 및 타이밍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단계 S220에서, 제1 커플링 방향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하도록 피드백 회로(50')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컨트롤러(14')는 피드백 제어 신호(C_FB)를 사용하여 피드백 회로(50')가 포워드 피드백 신호(F_FB) 또는 리버스 피드백 신호(R_FB)를 처리함으로써 피드백 신호(S_FB)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제1 피드백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퍼(13')는 피드백 회로(50')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S_FB)를 제1 피드백 신호로서 캡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피드백 신호는, 단계 S220에서 피드백 회로(50')가 포워드 피드백 신호(F_FB)를 처리하도록 설정된 경우 RF 송신 신호(TX_RF)에 대응할 수 있는 한편, 단계 S220에서 피드백 회로(50')가 리버스 피드백 신호(R_FB)를 처리하도록 설정된 경우 안테나(40')로부터 반사된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단계 S240에서, 순환 전치부(CP)의 종료 여부를 판정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순환 전치부(CP)가 종료하지 아니한 경우, 단계 S230이 후속하여 수행될 수 있는 한편, 순환 전치부(CP)가 종료한 경우, 단계 S250이 후속하여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피드백 신호는 순환 전치부(CP)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50에서, 제2 커플링 방향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하도록 피드백 회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컨트롤러(14')는 피드백 제어 신호(C_FB)를 사용하여, 단계 S220에서 피드백 회로(50')가 포워드 피드백 신호(F_FB)를 처리하도록 설정된 경우 리버스 피드백 신호(R_FB)를 처리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한편, 단계 S220에서 피드백 회로(50')가 리버스 피드백 신호(R_FB)를 처리하도록 설정된 경우 포워드 피드백 신호(F_FB)를 처리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260에서, 제2 피드백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퍼(13')는 피드백 회로(50')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S_FB)를 제2 피드백 신호로서 캡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피드백 신호는, 단계 S250에서 피드백 회로(50')가 포워드 피드백 신호(F_FB)를 처리하도록 설정된 경우 RF 송신 신호(TX_RF)에 대응할 수 있는 한편, 단계 S250에서 피드백 회로(50')가 리버스 피드백 신호(R_FB)를 처리하도록 설정된 경우 안테나(40')로부터 반사된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단계 S270에서, 제1 심볼(SYM1)의 종료 여부를 판정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심볼(SYM1)이 종료하지 아니한 경우, 단계 S260이 후속하여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피드백 신호는 말단부(BE)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1 심볼(SYM1)이 종료되면, 단계 S280에서 제1 피드백 신호 및 제2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안테나(40')의 반사 계수를 계산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컨트롤러(14)에 의해서 커플링 방향이 전환되는 커플러(31)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기기(5)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는 점은 이해될 것이며, 이하에서 후술되는 실시예들이 도 4 및 도 5의 예시에도 적용가능한 점 역시 이해될 것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러의 예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의 컨트롤러(60)는, 도 1의 컨트롤러(10)와 유사하게, 송신 컨트롤러(61), 버퍼(63) 및 안테나 컨트롤러(64)를 포함할 수 있는 한편, 타이밍 분석기(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에 대한 설명 중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것이다.
타이밍 분석기(65)는 타이밍 정보(I_TIM)를 생성하여 안테나 컨트롤러(64)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 분석기(65)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피드백 신호(S_FB)를 수신할 수도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버퍼(63)가 피드백 신호(S_FB)를 캡쳐함으로써 제공하는 피드백 데이터(D_FB)를 수신할 수도 있다. 타이밍 분석기(65)는 순환 전치부(CP) 및 말단부(BE)를 포함하는 피드백 신호(S_FB)로부터 제1 심볼(SYM1)의 경계를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 컨트롤러(14)는 제1 심볼(SYM1)에 선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심볼, 예컨대 도 2의 제2 심볼(SYM2)의 경계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제2 심볼(SYM2)의 경계 및 심볼 정보(I_SYM)에 기초하여, 제1 심볼(SYM1)에서 커플러(31)의 커플링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 타이밍 분석기(65)의 동작의 예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에 따라, 안테나 컨트롤러(64)는 송신 컨트롤러(61)로부터 수신된 심볼 정보(I_SYM), 버퍼(63)로부터 수신된 피드백 데이터(D_FB) 및 타이밍 분석기(65)로부터 수신된 타이밍 정보(I_TIM)에 기초하여, 안테나(예컨대, 도 1의 40)의 반사 계수를 측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단계 S110의 예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단계 S110a에서 심볼의 타이밍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7의 단계 S110a는 도 5의 단계 S210의 예시일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7의 단계 S110a는 도 6의 타이밍 분석기(65)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고, 이하에서, 도 7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111에서, 심볼의 2개 부분들 사이 상관연산(correlation)이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단계 S112에서, 최대 상관에 기초하여 심볼의 타이밍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타이밍 분석기(65)는 심볼의 순환 전치부를 포함하는 부분 및 심볼의 말단부를 포함하는 부분을 상관연산할 수 있고, 가장 높은 상관이 발견되는 지점에 기초하여 심볼의 경계가 검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이밍 분석기(65)는 검출된 심볼의 경계를 포함하는 타이밍 정보(I_TIM)를 안테나 컨트롤러(64)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러의 예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의 컨트롤러(80)는, 도 1의 컨트롤러(10)와 유사하게, 송신 컨트롤러(81), 버퍼(83) 및 안테나 컨트롤러(84)를 포함할 수 있는 한편, 송신 컨트롤러(81)는 심볼의 타이밍 신호(T_SYM)를 안테나 컨트롤러(84)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8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안테나 컨트롤러(84)는 송신 컨트롤러(81)로부터 심볼 정보(I_SYM) 및 심볼의 타이밍 신호(T_SYM)를 수신할 수 있고, 버퍼(83)로부터 피드백 데이터(D_FB)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심볼 정보(I_SYM)는 순환 전치부(CP)의 길이(TCP) 및 데이터 심볼의 길이(TU)를 포함할 수 있는 한편, 심볼의 타이밍 신호(T_SYM)는 기저대역 송신 신호(TX_BB)에 포함된 심볼의 경계를 나타낼 수 있다. 안테나 컨트롤러(84)는 경로들의 지연들을 미리 알 수 있고, 타이밍 신호(T_SYM) 및 경로들의 지연들에 기초하여 심볼의 경계를 인식할 수 있고, 심볼의 경계를 나타내는 타이밍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안테나 컨트롤러(84)가 타이밍 신호(T_SYM)에 기초하여 타이밍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의 예시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단계 S110의 예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9의 단계 S110b에서 심볼의 타이밍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9의 단계 S110b는 도 5의 단계 S210의 예시일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9의 단계 S110b는 도 8의 안테나 컨트롤러(84)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고, 이하에서, 도 9는 도 1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113에서, 심볼의 타이밍 신호(T_SYM)를 수신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고, 그 다음에 단계 S114에서, 경로들의 지연들에 기초하여 타이밍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타이밍 신호(T_SYM)는 제1 심볼(SYM1)의 경계에 동기된 신호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타이밍 신호(T_SYM) 및 경로들의 지연들에 기초하여 심볼의 경계를 나타내는 타이밍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 컨트롤러(84)는 심볼의 타이밍 신호(T_SYM)에 기초하여, 커플러(31)에 도달하는 심볼의 경계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컨트롤러(84)는 기저대역 송신 신호(TX_BB)에 포함된 제1 심볼(SYM1)이 송신기(21) 및 스위치(23)를 통과하여 커플러(31)에 도달하는 경로, 즉 송신 경로의 지연을 미리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심볼의 타이밍 신호(T_SYM) 및 송신 경로의 지연에 기초하여 제1 심볼(SYM1)의 경계가 커플러(31)에 도달하는 시점을 추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 컨트롤러(84)는 심볼의 타이밍 신호(T_SYM)에 기초하여, 피드백 신호(S_FB)에 포함된 심볼의 경계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컨트롤러(84)는 커플러(31)가 제공하는 RF 피드백 신호(RF_FB)가 피드백 회로(50)에 의해서 처리되어 피드백 신호(S_FB)로 생성되는 경로, 즉 피드백 경로의 지연을 미리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심볼의 타이밍 신호(T_SYM), 송신 경로의 지연 및 피드백 경로의 지연에 기초하여 제1 심볼(SYM1)의 경계가 버퍼(13)에 도달하는 시점을 추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러의 예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의 컨트롤러(100)는, 도 1의 컨트롤러(10)와 유사하게, 송신 컨트롤러(110), 버퍼(130) 및 안테나 컨트롤러(140)를 포함할 수 있는 한편, 수신 컨트롤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0에 대한 설명 중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것이다.
수신 컨트롤러(120)는 수신기(22)를 통한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 컨트롤러(120)는 무선 통신 기기(5)가 접속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상대방 무선 통신 기기에 따라 RF 수신 신호(RX_RF) 및 기저대역 수신 신호(RX_BB)가 처리되도록, 다양한 수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고 송수신기(20)에 포함된 수신기(2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컨트롤러(120)는 기저대역 수신 신호(RX_BB)를 처리하기 위하여 타이밍 분석기(1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유사하게, 수신 컨트롤러(120)에 포함된 타이밍 분석기(121)는 기저대역 수신 신호(RX_BB)에서 심볼의 경계를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신 컨트롤러(120)는, 도 10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백 신호(S_FB)를 수신하거나 피드백 데이터(D_FB)를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40)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동안, 송수신기(20)는 송신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신 컨트롤러(120)의 타이밍 분석기(121)는 기저대역 수신 신호(RX_BB)를 처리하지 아니할 수 있고, 유휴(idle)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 컨트롤러(120)에 포함된 타이밍 분석기(121)는 안테나(40)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데 공유될 수 있다. 도 10의 컨트롤러(100)에서 타이밍 정보(I_TIM)가 생성되는 동작의 예시는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단계 S110의 예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단계 S110c에서 심볼의 타이밍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1의 단계 S110c는 도 5의 단계 S210의 예시일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1의 단계 S110c는 도 9의 안테나 컨트롤러(14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고, 이하에서, 도 11은 도 1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S115에서, 수신 컨트롤러(120)에 피드백 신호(S_FB)를 제공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고, 그 다음에 단계 S116에서, 수신 컨트롤러(120)로부터 타이밍 정보(I_TIM)를 수신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수신 컨트롤러(120)의 타이밍 분석기(121)는 안테나(40)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테나 컨트롤러(140)는 피드백 신호(S_FB)(또는 피드백 데이터(D_FB))를 수신 컨트롤러(120)에 제공함으로써 타이밍 분석기(121)로부터 피드백 신호(S_FB)에 포함된 심볼의 경계를 나타내는 타이밍 정보(I_TIM)가 획득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송신 신호에 포함된 심볼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연속적인 제2 심볼(SYM2), 제1 심볼(SYM1) 및 제3 심볼(SYM3)을 개별적으로 나타낸다. 이하에서, 도 12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연속적인 심볼들 사이 위상 단절에 의한 스펙트럼 누설(spectral leakage)을 방지하기 위하여 윈도잉(windowing)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심볼(SYM1) 및 제2 심볼(SYM2) 사이 경계 근처에서 제1 심볼(SYM1)의 일부분 및 제2 심볼(SYM2)의 일부분이 왜곡되는 제1 윈도잉 구간(TWIN1)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 심볼(SYM1) 및 제3 심볼(SYM3) 사이 경계 근처에서 제1 심볼(SYM1)의 일부분 및 제3 심볼(SYM3)의 일부분이 왜곡되는 제2 윈도잉 구간(TWIN2)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윈도잉은 기저대역 송신 신호(TX_BB) 생성시 적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저대역 송신 신호(TX_BB)에 포함된 일련의 심볼들은 경계 근처에서 왜곡될 수 있다. 안테나(40)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호 일치하는 신호들이 필요하므로,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피드백 신호(S_FB) 중 윈도잉 구간, 예컨대 제1 윈도잉 구간(TWIN1) 및 제2 윈도잉 구간(TWIN2)에 대응하는 부분은 배제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3은 도 3의 단계 S110 및 단계 S180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도 13의 단계 S110'에서 심볼 정보 및 타이밍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고, 단계 S180'에서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계산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3은 도 3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S110'은 단계 S117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17에서, 윈도잉 구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윈도잉은 기저대역 송신 신호(TX_BB) 생성시 적용될 수 있고, 송신 컨트롤러(11)는 윈도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 컨트롤러(14)는 송신 컨트롤러(11)로부터 윈도잉 구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 심볼 정보(I_SYM)는 순환 전치부(CP)의 길이(TCP) 및 심볼의 길이(TSYM)뿐만 아니라 윈도잉 구간에 대한 정보, 예컨대 윈도잉 구간의 길이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80'은 단계 S181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81에서, 윈도잉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추출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단계 S180'에 선행하여, 순환 전치부(CP)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1 피드백 신호 및 말단부(BE)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2 피드백 신호가 획득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안테나(40)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호 일치하는 신호들이 필요하므로, 제1 피드백 신호에서 윈도잉 구간(예컨대, 도 12의 TWIN1)을 제외한 구간에 대응하는 부분이 추출될 수 있고, 제2 피드백 신호에서 윈도잉 구간(예컨대, 도 12의 TWIN2)을 제외한 구간에 대응하는 부분이 추출될 수 있다. 안테나 컨트롤러(14)는 추출된 부분들에 기초하여 안테나(40)의 반사 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 13의 단계 S117의 예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도 14의 단계 S117'에서 윈도잉 구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17'은 단계 S117_1, 단계 S117_2 및 단계 S117_3을 포함할 수 있고, 이하에서 도 14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단계 S117_1에서, 윈도잉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컨트롤러(14)는 송신 컨트롤러(11)로부터 윈도잉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심볼 정보(I_SYM)를 수신할 수 있고, 심볼 정보(I_SYM)로부터 윈도잉 구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17_2에서, 윈도잉 구간의 길이(TWIN) 및 문턱값(TTHR)을 비교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컨트롤러(14)는 단계 S117_1에서 획득된 윈도잉 구간에 대한 정보로서 윈도잉 구간의 길이(TWIN)를 획득할 수 있고, 윈도잉 구간의 길이(TWIN)를 문턱값(TTHR)과 비교할 수 있다. 문턱값(TTHR)은 안테나(40)의 반사 계수를 계산하기 위하여 최소로 필요한 순환 전치부(CP)(또는 말단부(BE))의 길이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즉, 안테나(40)의 반사 계수를 계산하기 위하여, 윈도잉 구간의 길이(TWIN)는 문턱값(TTHR)보다 작을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구간의 길이(TWIN)가 문턱값(TTHR)보다 작은 경우, 윈도잉 구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S117'은 종료할 수 있는 한편, 윈도우 구간의 길이(TWIN)가 문턱값(TTHR)보다 작지 아니한 경우, 단계 S117_3이 후속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17_3에서, 윈도잉 구간의 단축을 요청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컨트롤러(14)는 송신 컨트롤러(11)에 윈도잉 구간의 단축을 요청할 수 있다. 송신 컨트롤러(11)는 안테나 컨트롤러(14)의 요청에 응답하여, 기저대역 송신 신호(TX_BB)에 단축된 윈도잉 구간을 적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신 컨트롤러(14)는 윈도잉 구간의 단축을 요청하는 동시에 원하는 윈도잉 구간의 길이를 송신 컨트롤러(11)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신 컨트롤러(14)는 문턱값(TTHR)을 미리 알 수 있고, 안테나 컨트롤러(13)의 요청에 응답하여 문턱값(TTHR)보다 작은 길이의 윈도잉 구간을 기저대역 송신 신호(TX_BB)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5의 동작은 도 1의 안테나 컨트롤러(14)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고, 이하에서 도 15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심볼들 각각에서 반사 계수들이 계산될 수 있고, 계산된 반사 계수들에 기초하여 안테나(40)의 반사 계수가 판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심볼들(SYMx, SYMy, SYMz) 각각으로부터 3개의 반사 계수들(Γx, Γy, Γz)이 계산될 수 있고, 3개의 반사 계수들(Γx, Γy, Γz)로부터, 예컨대 3개의 반사 계수들(Γx, Γy, Γz)의 평균으로서 안테나(40)의 반사 계수(Γ)가 판정될 수 있다. 안테나 컨트롤러(14)는 복수의 심볼들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반사 계수들이 계산될 수 있도록, 커플러(31)의 커플링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컨트롤러(14)는 심볼의 길이(TSYM)를 주기로 커플러(31)의 방향을 토글(toggle)할 수 있다. 비록 도 15는 연속적인 3개의 심볼들(SYMx, SYMy, SYMz)에 기초하여 안테나(40)의 반사 계수(Γ)가 판정되는 예시를 도시하나, 안테나(40)의 반사 계수(Γ)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 혹은 3개 초과의 심볼들에 기초하여 판정될 수도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불연속적인 2이상의 심볼들에 기초하여 판정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측정된 안테나의 반사 계수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6은 전술된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6에서 세모 마커들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들은, {0.4, 0.6, 0.8}의 크기들 및 {0°, 45°, 90°, 135°, 180°, 225°, 270°, 315°}의 위상들의 반사 계수들을 각각 가질 수 있다. 도 16에서 원형 마커들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 NR sub-6G 100MHz의 송신 신호를 사용하여 측정된 반사 계수들은 안테나의 실제 반사 계수들과 일치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활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7의 단계 S190은,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계산하는 도 3의 단계 S180 및 도 5의 단계 S280에 후속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7에서, 단계 S190은 단계 S191 및 단계 S19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계 S190은 단계 S191 및 단계 S192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계 S190은 도 1의 안테나 컨트롤러(14)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고, 이하에서 도 17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단계 S191에서, 안테나 튜너(32)를 제어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컨트롤러(14)는 계산된 안테나(40)의 반사 계수가 최소화되도록 전단 제어 신호(C_FE)를 통해 안테나 튜너(3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안테나 컨트롤러(14)는 심볼의 순환 전치부(CP)를 사용하여 측정된 안테나(40)의 반사 계수에 기초하여 안테나 임피던스 튜닝(Antenna Impedance Tuning; AIT)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92에서, 외부 대상을 검출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무선 통신 기기(5)에 무선 통신 기기(5)의 사용자와 같이 외부 대상이 근접하는 경우, 안테나(40)의 반사 계수가 변동할 수 있다. 밀리미터파(mmWave)와 같이 높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기기(5)는 높은 송신 전력으로서 안테나(40)를 통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 기기(5)의 사용자는 안테나(40)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로부터 높은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고, 사용자에 흡수되는 에너지를 줄이기 위하여 무선 통신 기기(5)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여부 및/또는 사용자가 접근한 무선 통신 기기(5)의 부분을 검출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안테나 컨트롤러(14)는 안테나(40)의 측정된 반사 계수를, 안테나(40)의 설계된 반사 계수와 비교할 수 있고, 측정된 반사 계수 및 설계된 반사 계수 사이 오차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같은 외부 대상이 무선 통신 기기(5)(또는 안테나(40))에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200)의 예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장치(200)는 도 1의 컨트롤러(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200)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210), ASIP(Application Specific Instruction set Processor)(230), 메모리(250), 메인 프로세서(270) 및 메인 메모리(290)를 포함할 수 있다. ASIC(210), ASIP(230) 및 메인 프로세서(270) 중 2개 이상은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또한, ASIC(210), ASIP(230), 메모리(250), 메인 프로세서(270) 및 메인 메모리(290) 중 적어도 2개 이상은 하나의 칩에 내장될 수 있다.
ASIP(230)은 특정한 용도를 위하여 커스텀화된 집적 회로로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전용의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를 지원할 수 있고, 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250)는 ASIP(230)와 통신할 수 있고, 비일시적인 저장장치로서 ASIP(230)에 의해서 실행되는 복수의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250)는,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테이프, 자기디스크, 광학디스크,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이, ASIP(230)에 의해서 접근가능한 임의의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통신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270)는 ASIC(210) 및 ASIP(230)를 제어할 수도 있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통신 장치(20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할 수도 있다. 메인 메모리(290)는 메인 프로세서(270)와 통신할 수 있고, 비일시적인 저장장치로서 메인 프로세서(270)에 의해서 실행되는 복수의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메인 메모리(290)는,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테이프, 자기디스크, 광학디스크,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이, 메인 프로세서(270)에 의해서 접근가능한 임의의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은, 도 18의 통신 장치(2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의 안테나 컨트롤러(14)의 동작은 메모리(250)에 저장된 복수의 명령어들로서 구현될 수 있고, ASIP(230)는 메모리(250)에 저장된 복수의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의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의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는 논리 합성 등을 통해서 설계된 하드웨어 블록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그러한 하드웨어 블록이 ASIC(2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의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는, 메인 메모리(290)에 저장된 복수의 명령어들로서 구현될 수 있고, 메인 프로세서(270)가 메인 메모리(290)에 저장된 복수의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의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안테나에 전달되는 RF 송신 신호의 일부로서 커플러(coupler)가 제공하는 RF 피드백 신호로부터 생성된 피드백 신호를 캡쳐하도록 구성된 버퍼; 및
    상기 송신 신호에 포함되는 제1 심볼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심볼의 순환 전치부(cyclic prefix)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제1 피드백 신호 및 상기 제1 심볼의 말단부(back end)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제2 피드백 신호를 상기 피드백 신호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제1 피드백 신호 및 상기 제2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계산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심볼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피드백 신호가 생성되기 전 상기 커플러를 제1 커플링 방향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피드백 신호가 생성되기 전 상기 커플러를 제2 커플링 방향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송신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심볼의 경계를 포함하는 윈도잉(windowing)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송신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윈도잉 구간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외된 상기 제1 피드백 신호 및 상기 제2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반사 계수를 계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컨트롤러는, 상기 윈도잉 구간의 단축을 상기 송신 컨트롤러에 요청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의 정보는,
    상기 제1 심볼의 길이 및 상기 순환 전치부의 길이를 포함하는 심볼 정보; 및
    상기 제1 심볼의 경계를 나타내는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드백 신호 및 상기 제2 피드백 신호를 상관연산(correlation)함으로써 상기 타이밍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타이밍 분석기를 더 포함하는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송신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컨트롤러는, 상기 송신 컨트롤러로부터 심볼 경계를 나타내는 타이밍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신호가 이동하는 경로의 지연 및 상기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밍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를 통해서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를 제어하는 수신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 컨트롤러가 상기 피드백 신호를 분석하도록 하고, 상기 수신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타이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에 의해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커플러(coupler)를 통해서 상기 안테나에 제공되는 송신 신호에 포함되는 제1 심볼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심볼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커플러가 상기 제1 심볼의 순환 전치부(cyclic prefix)의 적어도 일부를 전달하는 제1 구간에서 제공하는 RF 피드백 신호로부터 생성된 제1 피드백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심볼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커플러가 상기 제1 심볼의 말단부(back end)의 적어도 일부를 전달하는 제2 구간에서 제공하는 상기 RF 피드백 신호로부터 생성된 제2 피드백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피드백 신호 및 상기 제2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간 전 상기 커플러를 제1 커플링 방향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심볼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구간 전 상기 제2 구간 전 상기 커플러를 제2 커플링 방향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링 방향 및 상기 제2 커플링 방향은, 상기 커플러의 포워드 커플링 및 리버스 커플링 중 상이한 커플링 방향들에 각각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심볼의 경계를 포함하는 윈도잉(windowing) 구간에 대한 정보를 송신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피드백 신호 및 상기 제2 피드백 신호로부터, 상기 제1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 중 상기 윈도잉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 대응하는 부분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피드백 신호 및 상기 제2 피드백 신호의 추출된 상기 부분들에 기초하여, 상기 반사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윈도잉 구간의 단축을 상기 송신 컨트롤러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의 정보는,
    상기 제1 심볼의 길이 및 상기 순환 전치부의 길이를 포함하는 심볼 정보; 및
    상기 제1 심볼의 경계를 나타내는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피드백 신호 및 상기 제2 피드백 신호를 상관연산(correlation)하는 단계; 및
    최대 상관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송신 컨트롤러로부터 심볼 경계를 나타내는 타이밍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신호가 이동하는 경로의 지연 및 상기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심볼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서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제어하는 수신 컨트롤러에 상기 제1 피드백 신호 및 상기 제2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타이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반사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안테나에 연결된 안테나 튜너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청구항 9에 있어서,
    계산된 상기 반사 계수 및 상기 안테나의 설계된 반사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안테나에 근접한 외부 대상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 기기에 포함되는 컨트롤러에 의해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커플러(coupler)를 통해서 상기 안테나에 제공되는 송신 신호에 포함되는 제1 심볼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심볼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심볼의 순환 전치부(cyclic prefix)의 적어도 일부를 전달하는 구간에서 상기 커플러를 제1 커플링 방향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심볼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심볼의 말단부(back end)의 적어도 일부를 전달하는 상기 커플러를 제2 커플링 방향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커플러가 제공하는 RF 피드백 신호로부터 생성된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90039744A 2018-11-27 2019-04-04 안테나 반사 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699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61,579 US10727958B2 (en) 2018-11-27 2019-09-05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antenna reflection coefficient
DE102019124240.1A DE102019124240A1 (de) 2018-11-27 2019-09-10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essen eines Antennenreflexionskoeffizienten
TW108137651A TWI811470B (zh) 2018-11-27 2019-10-18 用於測量天線的反射係數的方法及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763 2018-11-27
KR20180148763 2018-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019A KR20200063019A (ko) 2020-06-04
KR102699042B1 true KR102699042B1 (ko) 2024-08-27

Family

ID=71081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744A Active KR102699042B1 (ko) 2018-11-27 2019-04-04 안테나 반사 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99042B1 (ko)
TW (1) TWI811470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01487A1 (en) 2012-05-13 2013-11-14 Amir Keyvan Khandani Full Duplex Wireless Transmission with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182B1 (ko) * 2008-11-04 2013-0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용 피드백 채널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송수신기
JP5265716B2 (ja) * 2011-03-09 2013-08-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送信機および反射波電力測定方法
US8600319B2 (en) * 2011-10-14 2013-12-03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Feedback receiver for antenna tuner calculations
US10090901B2 (en) * 2012-02-07 2018-10-02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antenna precoder selection with coupled antennas
US20170142615A1 (en) * 2015-11-18 2017-05-18 Prakash Bhalerao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additional narrowband traffic over an existing 4g/lte network
US10355662B2 (en) * 2016-12-06 2019-07-1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mpedance matching using tunable elements
KR102635791B1 (ko) * 2016-12-21 2024-02-08 인텔 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기술, 장치 및 방법
KR102424395B1 (ko) * 2017-02-20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튜닝 장치 및 튜닝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01487A1 (en) 2012-05-13 2013-11-14 Amir Keyvan Khandani Full Duplex Wireless Transmission with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37101A (zh) 2020-10-01
KR20200063019A (ko) 2020-06-04
TWI811470B (zh) 2023-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7958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antenna reflection coefficient
US8102754B2 (en) Synchronization time difference measurements in OFDM systems
US9843307B2 (en) Passive automatic antenna tuning based on received-signal analysis
WO2016106491A1 (zh) 用于高低频共站网络的天线的波束对准的方法与装置
US11224039B2 (en) Systems and methods of sharing channel information between co-located radio nodes
CN108292940B (zh) 收发器装置、调制解调器、通信装置和处理信号的方法
CN111630886B (zh) 异频测量时延确定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3812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US20220182844A1 (en)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interference cancell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7852683B (zh) 用于发送和接收波束对准的方法和装置
KR102699042B1 (ko) 안테나 반사 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7579764B (zh) 上行天线选择方法及装置
US11178511B2 (en)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ing communication device
US10944489B2 (en) Active antenna system, communication device, calibration method of active antenna system and recording medium
WO2020227926A1 (en) Radio network node with automatic gain control enhancement
US20240097333A1 (en) Antenna impedance detection and tuning
KR100915226B1 (ko) 랜덤액세스 프리앰블 송신 방법
CN113825242B (zh) 一种天线校准位置自适应调整方法及装置
JP2017538308A5 (ko)
KR20230052761A (ko) 아이솔레이션 측정 제어 방법 및 중계기
JP2017538308A (ja) 受信信号分析に基づく受動的自動アンテナチューニング
CN117641552A (zh) 用于在不良信道状况下增强功率控制的系统和方法
KR2020006395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20170051187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보호 구간을 이용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4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4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