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8814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8814B1
KR102698814B1 KR1020200013672A KR20200013672A KR102698814B1 KR 102698814 B1 KR102698814 B1 KR 102698814B1 KR 1020200013672 A KR1020200013672 A KR 1020200013672A KR 20200013672 A KR20200013672 A KR 20200013672A KR 102698814 B1 KR102698814 B1 KR 102698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ethod
display device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9832A (ko
Inventor
진수환
윤승일
윤응식
최은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3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8814B1/ko
Priority to EP21750201.2A priority patent/EP4014507A4/en
Priority to PCT/KR2021/000717 priority patent/WO2021157905A1/en
Priority to US17/158,324 priority patent/US11375447B2/en
Publication of KR20210099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8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88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7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8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서로 다른 복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에 따른 통신 방법은 복수의 통신 방식 별로 품질 순위를 저장하는 단계;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되면,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우선 순위를 식별하는 단계;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식별된 우선 순위 및 품질 순위를 바탕으로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대응되는 통신 방식을 식별하는 단계; 및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버와 식별된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통신 방법{DISPLAY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통신 방법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방식 별 품질 순위 및 어플리케이션 별 동작 우선 순위를 바탕으로 식별된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로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다양한 통신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5G 통신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게임 콘텐츠를 비롯한 다양한 콘텐츠들이 5G 통신 방식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되고 있다.
5G 통신 방식은 유선이나 와이파이와 같은 기존의 통신 방식에 비해 통신 속도가 빠르다는 이점이 있으나, 데이터 전송 량이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통신 비용이 비싸다는 문제가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 특정 통신 방식만 전용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통신 방식을 변경한다면 통신 비용도 줄이면서 효율적인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응적으로 통신 방식을 변경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방식을 적절하게 변경하여 효율적인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복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방식 별로 품질 순위를 저장하는 단계;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되면,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우선 순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식별된 우선 순위 및 상기 품질 순위를 바탕으로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대응되는 통신 방식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식별된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예시적인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복수의 통신 모듈;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별 품질 순위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되면,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우선 순위를 식별하며,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식별된 우선 순위 및 상기 품질 순위를 바탕으로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통신 방식을 식별하며,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식별된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방식을 유동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스루풋 감소 및 지연시간 발생을 방지하고, 통신 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 및 만족감이 향상될 수 있다.
그 외에 본 개시의 실시 예로 인하여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예컨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a는 싱글 스크린 모드에서 동작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싱글 스크린 모드에서 동작하는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멀티 스크린 모드로 동작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멀티 스크린 모드로 동작하는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사용자 감지 유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G(Generation), 4G, LTE, 유선 이더넷(Ethernet), 와이파이(WiFi) 등의 통신 방식으로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5G 동글(300)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5G 동글(300)이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래 지원하던 통신 방식에 추가하여 5G 통신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통신 방식들의 통신 성능을 미리 파악하여,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빠른 통신 속도 및 대용량 컨텐츠 수신이 필요한 경우에는 5G 통신 방식을 선택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통신 속도로도 충분히 사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와이파이나, 유선 이더넷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통신 방식들에 대해서 품질 순위를 매기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도 우선 순위를 설정한 후, 품질 순위 및 우선 순위를 함께 고려하여 통신 방식을 적응적으로 결정한다. 통신 방식 결정은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때 수행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UI 엘리먼트(User Interface Element)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영상 시청 어플리케이션, 게임 어플리케이션, 화상 통화 어플리케이션 및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UI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A에 대응되는 제1 UI 엘리먼트(10) 및 어플리케이션B에 대응되는 제2 UI 엘리먼트(20)를 디스플레이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1 및 제2 UI 엘리먼트(10, 20)는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 어플리케이션 명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썸네일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이들 UI 엘리먼트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리모콘 신호, 터치, 음성 입력, 모션 입력 등)이 획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제1 UI 엘리먼트(10)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A가 동영상 제공 사이트에 대한 것이라면, 사용자가 제1 UI 엘리먼트(10)를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영상 제공 사이트를 제공하는 제1 서버(210)와 통신을 수행하여 동영상 제공 사이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그 사이트에서 하나의 동영상 컨텐츠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서버(210)로부터 선택된 동영상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통신 방식 별로 품질 순위를 저장할 수 있다. 품질 순위란 통신 방식들을 서로 비교하여 정하는 우선 순위를 의미한다. 품질 순위라고 해서 반드시 통신 품질을 기준으로만 순위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일 예로, 통신 속도를 기초로 통신 품질 속도가 정해지는 경우, 5G가 1순위, 유선 이더넷이 2순위로 정해질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통신 비용을 기초로 통신 품질 속도가 정해지는 경우, 유선 이더넷이 1순위, 5G가 1순위로 정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 품질 순위는 통신 안전성을 바탕으로 정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대응되는 통신 방식을 식별하고, 식별된 통신 방식으로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품질 순위 및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해 필요한 통신 요구 스펙을 바탕으로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통신 방식을 식별할 수 있다. 예로,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해 최대 전송 속도가 3Gbps인 통신 스펙이 요구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스펙을 만족하는 5G 통신 방식을 식별하여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영상 시청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해 100Mbps의 통신 스펙이 요구되며 5G 및 유선 이더넷 모두 해당 통신 스펙을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비용을 기준으로 고순위인 유선 이더넷을 식별하여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도 1에서 어플리케이션A 및 어플리케이션B가 함께 선택되었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서버(210) 및 제2 서버(220)와 각각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동작 우선 순위를 식별하고, 식별된 우선 순위를 바탕으로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대응되는 통신 방식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작 우선 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통신 방식으로 상대적 고 품질의 통신 방식을 식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체 데이터 사용량이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버와의 통신 방식을 후 순위의 품질 순위를 갖는 통신 방식으로 전환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통신 방식을 변경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실행되는 경우,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또는 제조자에 의해 설정된 단일의 통신 방식으로만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므로, 데이터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스루풋(throughput)이 감소하거나, 지연시간(latency)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따르면, 다양한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통신 방식이 변경되어 통신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던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커넥터에 5G 동글과 같은 통신 장치(300)가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로 가정하여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와 같이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와이파이 모듈이나 유선 이더넷 모듈 등과 마찬가지로 5G 통신 칩이 별도로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내장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모니터, 대형 스크린, 사용자 단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메모리(120), 디스플레이(130), 사용자 감지부(14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일부 구성이 생략 또는 추가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으로 치환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를 포함하며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LAN(Local Area Network)와 같은 유선 통신 모듈(111)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111)은 유선 이더넷(Ethernet)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와이파이 모듈(112) 및 5G 통신 모듈(1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실시 예에 따라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셀룰러 통신모듈, 4세대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요소와 관련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120)는 비휘발성 메모리(ex: 하드 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메모리(120)는 통신 방식 별 통신 품질 순위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통신 품질 순위를 바탕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통신 방식을 식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의하여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턴 온되었을 때,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할 수 있다. 초기 화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지원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50)는 리모콘에서 메뉴 버튼이 눌러지거나, 사용자가 특정 음성 신호 또는 모션 신호를 입력하였을 때,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되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화면 상에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스크린 모드에 해당하는 UI 엘리먼트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멀티 스크린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을 복수 개로 구분하여, 각 영역 별로 서로 다른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한다.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다면, 프로세서(150)는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서로 다른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감지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로, 사용자 감지부(140)는 카메라, 레이저 센서, 레이더 센서, 광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감지부(140)가 획득한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감지 여부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통신 방식을 식별할 수 있다. 예로,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 중인 프로세서(15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사용자가 없음을 감지하면, 프로세서(150)는 현재 통신 방식보다 후 순위의 통신 품질을 갖는 통신 방식으로 변경하여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 별 통신 품질 순위를 획득하여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된 환경에서 각각의 통신 방식 별 스루풋 또는 지연시간을 획득하여 통신 방식 별 통신 품질 순위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우선 순위를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130)의 멀티 스크린 모드를 포함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된 UI에서 멀티 스크린 모드가 선택되고 각 디스플레이 영역 별로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50)는 각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는 상대적으로 큰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일수록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어 권한이 부여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를 높은 고 순위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로 실행되면, 실행 중이던 어플리케이션과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를 비교하여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우선 순위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0는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식별된 우선 순위 및 통신 품질 순위를 바탕으로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대응되는 통신 방식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버와 식별된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 프로세서(150)는 우선 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외부 서버와는 상대적으로 높은 통신 품질을 갖는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프로세서(150)는 우선 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외부 서버와는 상대적으로 낮은 통신 품질을 갖는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술한 통신 장치(300)에 의해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300)는 통신 인터페이스(310), 메모리(320) 및 프로세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300)는 통신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장치(300)는 통신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10)는 USB 포트에 연결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320) 및 통신 장치(300)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프로세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되면, 5G 주파수 대역의 통신 채널(예로, 3.5GHz 또는 28GHz)을 형성할 수 있다. 통신 장치(3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5G 통신 주파수 대역의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장치(300)는 자체 배터리를 구비하지 않은 형태로 구현된 경우, 통신 장치(3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턴 온되어 동작할 수 있다. 자체 배터리 및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한 형태로 구현된 경우,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온 된 상태에서 5G 통신 주파수 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여러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및 4b는 싱글 스크린 모드에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은 라이브 스트리밍 콘텐츠의 시청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1 서버(410)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1 서버(410)가 보유한 콘텐츠 중 4K 해상도를 갖는 제1 영상 콘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획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서버(410)와 통신을 수행하여 4K 해상도를 갖는 제1 영상 콘텐츠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4K 해상도로 제1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로, 제1 영상 콘텐츠는 이-스포츠(e-sports)를 비롯한 각종 스포츠 경기와 관련된 라이브 스트리밍 콘텐츠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제1 영상 콘텐츠는 가수의 콘서트와 관련된 라이브 스트리밍 콘텐츠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포츠 경기나 콘서트가 진행되는 장소에 위치하여 관객들에게 스포츠 경기 또는 공연에 대한 실시간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서버(410)와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해 요구되는 통신 스펙을 바탕으로 복수의 통신 방식 중 제1 통신 방식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방식은 5G 통신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즉, 4K 해상도의 제1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여 실시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5G 통신 방식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5G 통신 방식으로 제1 서버(410)와 통신을 수행하여 4K 해상도의 제1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고 실시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는 5G 통신이 불가하여 4K 해상도를 갖는 실시간 스트리밍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지연시간(latency)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5G 통신이 가능하므로 4K 해상도를 갖는 라이브 스트리밍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콘텐츠 속성을 바탕으로 제1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방식을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콘텐츠 중 사용자의 원활한 시청을 위해 또는 사용자의 관심도가 높아 반드시 4K 해상도가 필요한 장면(예로, 이-스포츠 경기에서 게이머들의 화면)들을 수신하기 위해 제1 통신 방식을 유지하며 제1 서버(4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제1 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콘텐츠 중 사용자의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장면(예로, 이-스포츠 경기의 해설자에 대한 화면)을 수신할 때는, 제1 통신 방식으로부터 제1 통신 방식보다 통신 속도 측면에서 품질 순위가 낮은 제2 통신 방식(예로, 유선 이더넷 또는 와이파이)으로 전환하여 제1 서버(4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제1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면서, 비디오 데이터의 크기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크기가 일정 수준 이하라고 떨어졌다고 판단되면, 제2 통신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에도 상황에 따라 통신 방식을 전환하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는 사용자 명령이 획득되면 전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의 전환에 응답하여 통신 방식을 변경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 도 4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b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1 서버(410)와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4K 해상도를 갖는 제1 영상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제1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1 영상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2 어플리케이션(예로,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획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2 통신 방식을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2 통신 방식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또는 제조자에 의해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예로, 제2 통신 방식은 유선 이더넷이나 와이파이로 정해질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해 요구되는 통신 스펙 및 메모리(120)에 저장된 각 통신 방식 별 통신 품질 순위를 바탕으로 제2 통신 방식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해서는 100Mbps의 다운로드 속도가 통신 스펙으로 요구될 수 있으며, 5G, 유선 이더넷 및 와이파이 모두 상기 통신 스펙을 만족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5G에 비해 비용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유선 이더넷 또는 와이파이를 제2 통신 방식으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식별된 제2 통신 방식으로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2 서버(420)와 통신을 수행하여 FHD 화질을 갖는 제2 영상 콘텐츠(예로, 웹 페이지 화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제2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변경되면, 변경된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통신 방식을 식별하여 식별된 통신 방식으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불필요한 통신 비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바탕으로 통신 방식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실시간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통신 방식으로 5G를 식별하며,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통신 방식으로 유선 이더넷 또는 와이파이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별로 대응되는 통신 방식은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5a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멀티 스크린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51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51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디스플레이 영역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511)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4K 해상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512)에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FHD 해상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로, 제1 어플리케이션은 스포츠 경기에 대한 라이브 스트리밍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며, 제2 어플리케이션은 웹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모드(즉, 멀티 스크린 모드 또는 싱글 스크린 모드)의 선택을 위한 UI 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명령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UI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선택되고 각 디스플레이 영역 별로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통신 방식을 식별하고, 식별된 통신 방식으로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우선 순위를 바탕으로 통신 방식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동작 우선 순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버와의 통신을 위해 품질 순위가 고 순위인 통신 방식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작 우선 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버와의 통신을 위해 품질 순위가 저 순위인 통신 방식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우선 순위가 제2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통신 방식으로 제1 통신 방식(예로, 5G)을 식별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통신 방식으로 제2 통신 방식(예로, 유선 이더넷이나 와이파이)을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별된 통신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통신 방식으로 제1 서버(521)와 통신을 수행하며, 제2 통신 방식으로 제2 서버(522)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별 동작 우선 순위는 다양한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를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우선 순위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큰 제1 디스플레이 영역(511)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우선 순위가 제2 디스플레이 영역(512)에서 실행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우선 순위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우선 순위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영역(512)의 크기를 제1 디스플레이 영역(511)의 크기보다 크게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획득되어 제2 디스플레이 영역(512)의 크기가 제1 디스플레이 영역(511)의 크기보다 커지면 제2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우선 순위가 제1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우선 순위보다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제어 권한이 부여된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별 동작 우선 순위가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영역(511)의 크기가 제2 디스플레이 영역(512)의 크기보다 크더라도, 제어 권한이 제2 디스플레이 영역(512)에 부여된 상태라면, 제2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우선 순위가 제1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우선 순위보다 높을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바탕으로 어플리케이션 별 동작 우선 순위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우선 순위는 웹 페이즈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우선 순위보다 높을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우선 순위를 바탕으로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및 서브 디스플레이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의 동작 우선 순위는 서브 디스플레이 영역의 동작 우선 순위보다 높을 수 있다. 예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511)은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식별되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512)은 서브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식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a에서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통신 방식이 상이한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통신 방식은 동일할 수 있다. 예로,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은 모두 유선 이더넷일 수 있다.
도 5b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b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로 실행되는 경우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싱글 모드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 제1 어플리케이션에 더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을 추가로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획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멀티 스크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각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2 디스플레이 영역(512)에 디스플레이 하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1 디스플레이 영역(51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511)은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 이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512)은 서브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명령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로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는 기 실행되던 어플리케이션 보다 추가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높은 관심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추가로 실행된 제2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우선 순위가 기 실행되던 제1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화면을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인 제1 디스플레이 영역(51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동작 우선 순위가 낮은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서브 디스플레이 영역인 제2 디스플레이 영역(51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별 동작 우선 순위를 바탕으로 통신 방식을 재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싱글 스크린 모드에서는 4K 해상도의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1 통신 방식(즉, 5G)으로 통신을 수행하다가, 멀티 스크린 모드로 진입한 후에는 FHD 해상도의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2 통신 방식(즉, 유선 이더넷 또는 와이피아)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 실행중이던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는 새로이 실행된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관심도보다 낮을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통신 방식보다 통신 품질 순위가 낮은 제2 통신 방식으로 전환하여 제1 서버(521)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으로 발생하는 통신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 도 5b에서 시기상 늦게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브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멀티 스크린 모드로 진입하면서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화면을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인 제1 디스플레이 영역(51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이 상이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스크렌이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는 모두 동영상 시청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 주변의 사용자 유무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바탕으로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방식을 식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통신 방식으로 제1 서버(610)와 통신을 수행하여 4K 해상도를 갖는 영상 콘텐츠를 수신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통신 방식을 제1 통신 방식보다 통신 품질 순위가 낮은 제2 통신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통신 방식으로 제1 서버(610)와 통신을 수행하여 FHD 해상도를 갖는 영상 콘텐츠를 수신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1 통신 방식(즉, 5G)으로 통신이 수행되면 불필요한 통신 비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유무에 따라 통신 방식을 적응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불필요한 통신 비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지 식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감지부(64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사용자 감지부(64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사용자 감지부(640)는 설치 위치는 특정 위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로 다른 복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통신 방식 별로 품질 순위를 저장할 수 있다(S710).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르풋이나 지연 시간을 측정하여 각 통신 방식 별 품질 순위를 획득하고,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예로, 품질 순위는 1순위가 5G, 2순위가 유선 이더넷, 3순위가 와이파이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우선 순위를 식별할 수 있다(S720).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를 바탕으로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동작 우선 순위를 식별할 수 있다.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가 클수록,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우선 순위가 높은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버와 식별된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74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을 통해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처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
120: 메모리 130: 디스플레이
140: 사용자 감지부 150: 프로세서
210: 제1 서버 220: 제2 서버
300: 통신 장치

Claims (15)

  1. 서로 다른 복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방식 별로 품질 순위를 저장하는 단계;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되면,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우선 순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식별된 우선 순위 및 상기 품질 순위를 바탕으로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대응되는 통신 방식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식별된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통신 스펙에 대응되는 통신 방식을 식별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미 감지되면,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통신 방식을 후 순위의 통신 품질을 갖는 통신 방식으로 전환하여, 전환된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되면,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우선 순위를 식별하는 단계는,
    메뉴 선택을 위한 UI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UI에서 멀티 스크린 모드가 선택되면,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디스플레이 영역 별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 스크린 모드에서 표시되는 각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되면,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우선 순위를 식별하는 단계는,
    메뉴 선택을 위한 UI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UI에서 멀티 스크린 모드가 선택되면,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디스플레이 영역 별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 스크린 모드에서 제어 권한이 부여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를 고 순위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되면,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우선 순위를 식별하는 단계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통신 스펙에 대응되는 통신 방식을 식별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로 실행되면, 실행 중이던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방식은 5G, LTE, 유선 이더넷, 와이파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품질 순위는 통신 속도, 안정성 및 통신 비용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결정되는, 통신 방법.
  8.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복수의 통신 모듈;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별 품질 순위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되면,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우선 순위를 식별하며,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식별된 우선 순위 및 상기 품질 순위를 바탕으로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통신 방식을 식별하며,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식별된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복수의 통신 방식 중에서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통신 스펙에 대응되는 통신 방식을 식별하고, 식별된 통신 방식에 대응되는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미 감지되면,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통신 방식을 후 순위의 통신 품질을 갖는 통신 방식으로 전환하여, 전환된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메뉴 선택을 위한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UI에서 멀티 스크린 모드가 선택되면,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디스플레이 영역 별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를 식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메뉴 선택을 위한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UI에서 멀티 스크린 모드가 선택되면,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디스플레이 영역 별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멀티 스크린 모드에서 제어 권한이 부여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를 고 순위로 식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통신 스펙에 대응되는 통신 방식을 식별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로 실행되면, 실행 중이던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따라 각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방식을 재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은,
    5G 통신 용 동글과 결합 가능한 커넥터;
    유선 이더넷 모듈; 및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5G 통신 용 동글이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면, 5G 통신 방식까지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방식에 대해 품질 순위를 식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서로 다른 복수의 통신 방식 별로 품질 순위를 저장하는 단계;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되면,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우선 순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식별된 우선 순위 및 상기 품질 순위를 바탕으로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대응되는 통신 방식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버와 상기 식별된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200013672A 2020-02-05 2020-02-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Active KR102698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672A KR102698814B1 (ko) 2020-02-05 2020-02-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EP21750201.2A EP4014507A4 (en) 2020-02-05 2021-01-19 DISPLAY DEVICE AND ASSOCIATED COMMUNICATION METHOD
PCT/KR2021/000717 WO2021157905A1 (en) 2020-02-05 2021-01-19 Display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17/158,324 US11375447B2 (en) 2020-02-05 2021-01-26 Display device for identifying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priority order of applic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672A KR102698814B1 (ko) 2020-02-05 2020-02-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832A KR20210099832A (ko) 2021-08-13
KR102698814B1 true KR102698814B1 (ko) 2024-08-27

Family

ID=77200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672A Active KR102698814B1 (ko) 2020-02-05 2020-02-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75447B2 (ko)
EP (1) EP4014507A4 (ko)
KR (1) KR102698814B1 (ko)
WO (1) WO20211579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65986B2 (en) * 2019-05-20 2021-03-30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witching content providers to maintain streaming experienc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936A (ko) * 1997-07-14 1999-02-05 구자홍 모니터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787029B2 (ja) * 1998-03-03 2006-06-21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手段選択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7113765B2 (en) 2004-01-13 2006-09-26 Qualcomm Inc. System and method for allowing user based application licensing across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KR100748312B1 (ko) * 2004-09-24 2007-08-09 주식회사 케이티 범용 단말기에서 서비스 품질 보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트래픽 전송 방법
US20080311912A1 (en) 2007-06-15 2008-12-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selection based on application requirements and preferences
WO2010041412A1 (ja) * 2008-10-09 2010-04-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移動端末
KR101624355B1 (ko) 2009-12-18 2016-05-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어플리케이션 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선택 방법 및 시스템
US9055556B2 (en) * 2010-04-01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radios and mapping applications to radios on a wireless device
KR102123352B1 (ko) 2013-05-20 2020-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055104B2 (ja) 2013-09-11 2016-12-27 フリービット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接続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10051533B2 (en) * 2014-01-28 2018-08-14 Openet Telecom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network selection
US9955412B2 (en) * 2014-07-21 2018-04-24 Lenovo (Singapore) Pte. Ltd. Selecting a network
US10411958B2 (en) * 2014-09-08 2019-09-10 Intel Corporation Automatic device configuration
WO2016043008A1 (ja) * 2014-09-16 2016-03-24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と制御プログラム
KR102355622B1 (ko) * 2014-12-24 2022-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JP6524717B2 (ja) 2015-03-04 2019-06-05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機器、通信モード制御方法および通信モード制御プログラム
JP6477040B2 (ja) 2015-03-06 2019-03-06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端末、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178356A (ja) 2015-03-18 2016-10-06 株式会社リコー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受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200725B2 (en) 2015-06-15 2019-02-05 Intel Corporation Adaptive data streaming based on virtual screen size
KR102458444B1 (ko) 2016-01-05 2022-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75230B1 (ko) * 2016-08-18 2022-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망 연결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501940B1 (ko) * 2018-07-13 2023-0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40342A1 (en) 2021-08-05
EP4014507A1 (en) 2022-06-22
WO2021157905A1 (en) 2021-08-12
KR20210099832A (ko) 2021-08-13
US11375447B2 (en) 2022-06-28
EP4014507A4 (en) 202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982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media playing, apparatus thereof and storage medium
US115863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on control of display page
US9916865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400019B1 (ko) 콘텐츠 시청 장치 및 그 콘텐츠 시청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US9521588B2 (en) Establishing data strategy
US11825153B2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US20150185980A1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screens
US9621477B2 (en) System and method of offloading browser computations
CN111741357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20130174042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4187043A1 (zh) 应用程序的显示处理方法及装置
CN110662109B (zh) 一种视频播放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600800B (zh) 一种智能电视的开机方法及智能电视
EP3745729A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45544B1 (ko)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CN101651803B (zh) 实现数字电视主题模式变更的方法
KR10269881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EP4000273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EP3089468A1 (en) Smart television 3d sett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2011012599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77827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20162530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2021008785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522280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CN118715781A (zh) 一种显示设备、分屏显示及分屏应用切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