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8483B1 - Fishing hook assembly for catching squid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Fishing hook assembly for catching squid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98483B1 KR102698483B1 KR1020210194427A KR20210194427A KR102698483B1 KR 102698483 B1 KR102698483 B1 KR 102698483B1 KR 1020210194427 A KR1020210194427 A KR 1020210194427A KR 20210194427 A KR20210194427 A KR 20210194427A KR 102698483 B1 KR102698483 B1 KR 1026984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not
- squid
- fishing hook
- fishing
- bund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부품의 소요가 최소화되고 조립 구조가 단순하여 작업공수를 크게 줄여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분해가 쉬워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며, 폐기 시 자원의 분리 회수가 용이하여 환경친화적인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는 오징어를 유인하는 유인관체와; 상기 유인관체에 접속하는 접속부재와; 오징어를 낚는 낚시바늘묵음체와; 상기 낚시바늘묵음체를 결속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낚시바늘묶음체를 관통하여 상기 접속부재에 접속 체결되는 고정용결속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인관체 내에는 상기 접속부재가 접속하였을 때 고립된 매듭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유인관체로부터 고정용결속핀부재까지 상하로 전체를 관통하는 낚시줄에 매듭을 형성하되 상기 매듭이 상기 고립된 매듭 수용공간 내에 갇힌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ims to prov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squid fishing hook assembly and an assembly method thereof, which minimizes the need for parts and has a simple assembly structure,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number of man-hours and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is easy to disassemble, making it easy to replace parts, and is easy to separate and recover resources when discarded. To this end, the squid fishing hoo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ttracting tube for attracting squid;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attracting tube; a fishing hook silencer for catching squid; and a fixing tying pin member that penetrates the fishing hook bundle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to support the fishing hook silencer by binding it. An isolated knot-receiving space is provided inside the attracting tube when the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and a knot is formed in a fishing line that penetrates the entire upper and lower portion from the attracting tube to the fixing tying pin member, but the knot is trapped in the isolated knot-receiving sp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징어 낚시 도중에 낚시바늘과 낚시줄이 분리되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낚시바늘 조립체의 조립부품수를 줄이고 부품의 조립이 쉬어 생산성을 크게 높이며, 분해가 용이하여 부품의 교체가 쉽고 폐기 시 손쉽게 분해하여 재질별로 자원을 쉽게 분리 회수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vironmentally friendly squid fishing hook assembly and an assembly method thereof, which can prevent the phenomenon of a fishing hook and a fishing line becoming separated during squid fishing,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assembly parts of a fishing hook assembly, making it easy to assemble the parts, thereby greatly increasing productivity, and making it easy to disassemble so that parts can be easily replaced, and making it easy to disassemble when discarding so that resources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covered by material.
일반적으로 오징어 낚시줄을 감고 풀어주는 자동 조산기를 이용하여 낚시를 할 때에는 통상 낚시줄에 일정 간격(대략 80cm 내외)으로 80∼100개 정도의 낚시바늘 조립체를 매어달아 놓고 낚시를 하고 있으며, 이와같이 낚시줄(경심)에 일정간격으로 매어단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들이 형광 유인관체를 포함하고 있어 조류의 흐름과 파도에 의하여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들이 이리저리 흔들거릴 수 있게 하므로서 조명 빛을 난반사시키는 형광 유인관체를 통해 빛을 좋아하는 오징어를 유인하여 낚시바늘에 걸리도록 하여 오징어들을 포획하게 된다.Generally, when fishing using an automatic squid fishing line winder, 80 to 100 hook assemblies are usually tied to the fishing line at regular intervals (approximately 80 cm or less). These squid hook assemblies tied to the fishing line (light core) at regular intervals include fluorescent lures, which cause the squid hook assemblies to shake back and forth depending on the flow of the current and waves. This allows the fluorescent lures to reflect light in a diffuse manner, luring squids that like light and causing them to get caught on the hooks, thereby capturing the squid.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98-0067040호(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53615호(특허문헌 2) 및 등록특허공보 10-0353237호(특허문헌 3) 등을 통해 다양한 조립구조의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들을 제안한 바 있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squid fishing hook assemblies having various assembly structures through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8-0067040 (Patent Document 1),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53615 (Patent Document 2), and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353237 (Patent Document 3).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 기술의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는, 도 1 및 도 2의 도시예에서 보듯이 형광물질이 혼합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된 유선형 몸체의 유인관체(1)와, 그 하단부에 1개 이상, 바람직하기는 두 개의 낚시바늘(4,4)을 2단으로 적층되게 하여 중간부분이 U자형으로 절곡된 상,하측 연결고리(6)(7)들이 서로 중간부분의 절곡부위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유인관체(1)와 두 개의 낚시 바늘(4,4)을 조립하고 있는 구조로 있다.The squid fishing hook assembly of the prior art disclosed in the above patent document 1, as shown in the examples of FIGS. 1 and 2, comprises a streamlined body lure tube (1) injection-molded using synthetic resin mixed with a fluorescent material, and at least one, preferably two, fishhooks (4,4) are laminated in two stages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upper and lower connecting rings (6)(7) whose middle portions are bent into a U shape are structured such that the lure tube (1) and two fishhooks (4,4) are assembled in a state where the middle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ring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bent portions.
그리고 상,하측 연결고리(6)(7) 중 낚시바늘(4,4)의 중심공(4a)에 위치하는 하측 연결고리(7)는 합성수지제 보호관체(72)로 감싸고 있으며, 또한 상,하측 연결고리의 연결부위는 상기 유인관체(1)의 하단부와 상측에 적층된 낚시바늘(4)과의 사이에 조립되는 금속체(3) 부분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하므로서 유인 관체(1)와 낚시바늘(4)이 약간 꺽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상,하측 연결고리(6)(7)의 상,하단은 모두 U자형으로 구부려 만든 U형고리(6a,6b)(71)에 링고리(9)(8)를 연결시키는데, 상측의 링고리(9)는 유인관체(1)의 상단과 U형고리(6a,6b)에 의해 꽉끼인 상태가 되게 하고, 또 하측의 링고리(8)은 하측의 낚시바늘(4)에 조립된 와샤(5)와 U형고리(71)에 의해 꽉끼인 상태가 되게 조립하며, 각각의 양측 링고리(8)(9)에는 경심(낚시줄)(도시는 생략)을 묶어 매는 구조로서 낚시바늘 조립체를 제조하고 있다.And among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rings (6)(7), the lower connecting ring (7) located at the center hole (4a) of the fishhook (4,4) is wrapped with a synthetic resin protective tube (72),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rings is located near the metal body (3) assembl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lure tube (1) and the fishhook (4) laminat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lure tube (1) and the fishhook (4) can be slightly bent,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rings (6)(7) are both bent into a U shape to connect the ring ring (9)(8) to the U-shaped ring (6a, 6b)(71), and the upper ring ring (9) is tightly fitted by the upper end of the lure tube (1) and the U-shaped ring (6a, 6b), and also the lower The ring hook (8) is assembled so that it is tightly fitted by the washer (5) and U-shaped ring (71) assembled on the lower fishing hook (4), and a fishing hook assembly is manufactured by tying a fishing line (omitted) to each of the ring hooks (8)(9) on both sides.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조 조립된 종래의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는 제작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몇가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quid fishing hook assembly manufactured and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had the following problems in terms of manufacturing.
종래의 낚시바늘 조립체는 양단에 링고리(8)(9)를 강하게 압박할 수 있게 강한 인장력을 가지도록 연결고리(6)(7)와의 연결 결속 작업을 하여야 하며, 복잡한 U자형의 절곡 구조를 가지는 연결고리(6)(7)가 펴지게 되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관체(72)를 필요하고, 또한 경심(낚시줄)(10)(10)을 매기 위한 링고리(8)(9)와 와셔(5) 등을 필요로 하는 등 많은 부품들의 소요와, 부품들의 복잡한 가공 및 경심(10)을 낚시바늘 조립체 1개마다 양단에 매듭을 지어 묶어 주는 작업을 하여야 하는 등 그로 인해 복잡하고 난해한 조립 공정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매우 낮아 원가 부담이 매우 큰 문제가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fishing hook assembly, the connection and fastening work with the connecting ring (6)(7) must be done so that the ring (8)(9) at both ends can be strongly pressed with a strong tensile force, and a protective tube (72) is required to prevent the connecting ring (6)(7) having a complex U-shaped bend structure from being spread out and becoming loose, and also, a ring (8)(9) and a washer (5) for tying the fishing line (10)(10) are required, etc., and many parts are required, and the complex processing of the parts and the work of tying the fishing line (10) by tying it by tying a knot at both ends of each fishing hook assembly are required, resulting in a very low productivity and a very high cost burden due to the complex and difficult assembly process.
한편, 낚시바늘 조립체는 드럼에 감아들였다 풀었다를 반복하게 되는 과정에서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유인관체(1)가 날카로운 낚시바늘(4)에 긁혀 표면이 손상되는 경우, 빛을 반사하는 기능이 저하되어 빛을 좋아하는 오징어의 관심을 끌지 못해 어획량이 감소될 수밖에 없으며, 또 낚시바늘(4)이 휘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유인관체(1) 및/또는 낚시바늘(4) 부품의 교체가 필요하나, 종래 낚시바늘 조립체의 경우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는 그 조립구조상 분해가 어려워 부품의 교체 대신 낚시바늘 조립체 전체를 폐기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 폐기되는 경우 부품의 분해 작업이 어렵고 시간이 걸려 플라스틱과 금속 부품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작업이 어려워 그대로 쓰레기로 처리하는 관계로 자원의 재활용율이 낮고 환경 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Meanwhile, in the process of repeatedly winding and unwinding the fishhook assembly, if the lure tube (1) made of synthetic resin is scratched by the sharp fishhook (4) and the surface is damaged, the light-reflecting function is reduced, so that it cannot attract the attention of squid that likes light, and thus the catch is bound to decrease. In addition, if a problem such as the fishhook (4) bending occurs, the lure tube (1) and/or the fishhook (4) parts need to be replac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fishhook assembly, since it is difficult to disassemble after assembly is completed due to its assembly structure, the entire fishhook assembly must be discarded instead of replacing the parts. In addition, if it is discarded, it is difficult to disassemble the parts, and it takes time, so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plastic and metal parts and collect them, so it is disposed of as wast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cycling rate of resources is low and environmental pollution occur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부품의 소요가 최소화되고 조립 구조가 단순하여 작업공수를 크게 줄여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분해가 쉬워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며, 폐기 시 자원의 분리 회수가 용이하여 환경친화적인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ims to prov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squid fishing hook assembly and an assembly method thereof, in which the number of parts required is minimized, the assembly structure is simple, the man-hours are greatly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ered, the disassembly is easy, so that the parts can be easily replaced, and the separation and recovery of resources are easy when discard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는, 오징어를 유인하는 유인관체와; 상기 유인관체에 접속하는 접속부재와; 오징어를 낚는 낚시바늘묶음체와; 상기 낚시바늘묶음체를 결속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낚시바늘묶음체를 관통하여 상기 접속부재에 접속 체결되는 고정용결속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인관체 내에는 상기 접속부재가 접속하였을 때 고립된 매듭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유인관체부터 고정용결속핀부재까지 상하로 관통하는 낚시줄에 매듭을 형성하여 상기 매듭이 상기 고립된 매듭 수용공간 내에 갇힌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quid fishing hoo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ttracting tube for attracting squid;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attracting tube; a fishing hook bundle for catching squid; and a fixing tying pin member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by penetrating the fishing hook bundle to support and tie the fishing hook bundle, wherein an isolated knot-accommodating space is provided within the attracting tube when the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and a knot is formed in a fishing line passing vertically from the attracting tube to the fixing tying pin member so that the knot is trapped within the isolated knot-accommodating spa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립된 매듭 수용공간은 상기 매듭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유인관체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는 크기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solated knot receiving space is characterized by being designed to have a size that allows the upper and lower movement of the inducing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knot is receiv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인관체는 중심에 축방향으로 낚시줄이 관통하여 지나는 제1관통공과, 상기 제1관통공보다 확개되고 단부가 개구된 매듭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접속부재는 중심에 축방향으로 낚시줄이 관통하여 지나는 제2관통공과, 상기 매듭 수용공간 내에 접속되어 일부 수용공간을 고립 수용공간으로 만들어 낚시줄의 도중에 형성하는 매듭을 수용하여 고립시키는 접속 몸체와, 상기 접속 몸체로부터 일체로 돌출 연장되는 복수개의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단부에 내측으로 돌출 연장하는 내향걸림편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용결속핀부재는 중심에 축방향으로 낚시줄이 관통하여 지나는 제3관통공과, 상기 낚시바늘묶음체의 중심공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접속부재의 내향걸림편부재에 걸려 결속되는 외향걸림편부재를 구비하며, 체결 상태에서 상기 낚시바늘묶음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결속하는 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ure body has a first through-hole through which a fishing line passes axially in the center, and a knot receiving space which is expanded more than the first through-hole and has an open end; the connecting member has a second through-hole through which a fishing line passes axially in the center, a connecting body which is connected within the knot receiving space to make a part of the receiving space into an isolated receiving space and receives and isolates a knot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ishing line, a plurality of elastic pieces which protrude and extend integrally from the connecting body, and an inwardly engaging piece member which protrudes and extends inwardly from the ends of the elastic pieces; the fixing fastening pin member has a third through-hole through which a fishing line passes axially in the center, and an outwardly engaging piece member which is inserted through the central hole of the fishhook bundle and is hooked onto the inwardly engaging piece member of the connecting member to be fastened,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flange which is fastened to prevent the fishhook bundle from being detached in a fastened sta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인관체와 상기 접속부재의 접속구조는 분리가 가능한 암수나사 체결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inducing body and the connecting member is characterized by a separable male-female screw connection structure.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고정용결속핀부재는 외향걸림편부재의 소직경부인 목부에서 시작하여 본체까지 점차 직경이 확개되는 테이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fastening pin member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tapered portion whos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neck portion, which is a small diameter portion of the outwardly engaging member, to the main body.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낚시바늘묶음체는 중심공을 두고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낚시바늘들을 원통의 결속관체에 의해 결속하여 형성하며, 상기 고정용결속핀부재를 상기 접속부재로부터 분리 시 상기 접속부재를 낚시바늘묶음체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탄성편의 내향결림편부재가 상기 테이퍼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며, 계속하여 상기 원통 결속관체와 접촉하여 내향걸림편부재의 내단 사이의 폭이 상기 외향걸림편부재의 하단 외경보다 벌어져 지지되게 됨으로써 상기 고정용결속핀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shhook bundle is formed by binding a plurality of fishhooks, which are arranged radially with a central hole, by a cylindrical binding tube, and when the fixing binding pin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member, the connecting member is moved toward the fishhook bundle, and at this time, the inwardly engaging member of the elastic piece slides along the tapered portion to spread outward, and continues to contact the cylindrical binding tube so that the width between the inner ends of the inwardly engaging member is wid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outwardly engaging member, thereby enabling the fixing binding pin member to be separated.
본 발명의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의 조립방법은, 낚시줄에 오징어를 유인하는 유인관체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유인관체를 관통한 낚시줄의 도중에 낚시줄보다 외경이 증가토록 매듭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속부재를 낚시줄에 끼워 접속부재의 일단을 유인관체의 매듭 수용공간의 개구부를 통해 접속하여 고립된 매듭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매듭이 유인관체에 마련된 고립된 매듭 수용공간 내에 고립되어 있도록 조립하는 단계와; 1개 이상의 낚시바늘 묶음체를 중심공을 통해 낚시줄에 끼워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낚시바늘 묶음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용결속핀부재를 낚시줄에 끼워 삽입한 후 낚시바늘 묶음체의 중심공을 관통시켜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유인관체의 외부로 돌출 연장된 접속부재의 단부에 상기 낚시바늘묶음체로부터 돌출 연장된 상기 고정용결속핀부재의 단부를 접속하는 결속완료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ethod for assembling a squid fishing hoo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nserting a lure tube for luring squid into a fishing line; forming a knot in the middle of the fishing line penetrating the lure tube so that the outer diameter thereof is greater than that of the fishing line; inserting a connecting member into the fishing line and connecting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through an opening of a knot-accommodating space of the lure tube to form an isolated knot-accommodating space, and assembling the knot so that it is isolated within the isolated knot-accommodating space provided in the lure tube; inserting one or more fishhook bundles into the fishing line through a central hole; inserting a fixing fastening pin member into the fishing line to prevent the fishhook bundles from detaching, and then assembling the same by penetrating the central hole of the fishhook bundle; and completing a fastening step of connecting an end of the fixing fastening pin member protruding from the fishhook bundle to an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protruding outward from the lure tub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듭은 오버핸드 매듭, 8자 매듭, 8자연결 매듭, 맞매듭, 피셔맨 매듭, 스퀘어 매듭 중에서 선택되는 매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no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knot selected from an overhand knot, a figure-of-eight knot, a figure-of-eight link knot, a cross knot, a fisherman's knot, and a square knot.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오징어를 유인하는 유인관체 내부로 낚시줄에 형성한 매듭을 수용하는 매듭 수용공간을 두고, 접속부재를 유인관체에 분리 가능하게 접속하여 매듭이 매듭 수용공간 내에 갇히도록 하여 낚시줄의 도중에 유인관체가 고정된 위치에 매달려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낚시바늘묶음체를 고정 결속하는 고정용결속핀부재가 접속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부품이 최소화되고, 조립 작업 공정수가 크게 감소하여 단순 조립작업만으로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를 제작할 수 있어 제조원가가 크게 감소되어 생산성 및 경제성이 매우 높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knot-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knot formed on a fishing line is provided inside a lure tube for luring squid, a connecting member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ure tube so that the knot is trapped in the knot-accommodating space, and the lure tube is hung in a fixed position in the middle of the fishing line, and further, a fixing fastening pin member for fixing and binding a bundle of fishing hooks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parts are minimized and the number of assembly processes is greatly reduced, so that a squid fishing hook assembly can be manufactured by only a simple assembly process,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resulting in very high productivity and economic efficiency.
또한 유인관체나 낚시바늘묶음체의 손상 시 낚시줄을 끊고 해당 부품을 교체하고 다시 조립 후 끊어진 낚시줄을 서로 엮어 매듭 뭉치를 형성해 준 후 다시 부품 사이를 체결 조립해 주는 것으로 부품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쉽고 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lure tube or hook bundle is damaged, the fishing line can be cut, the relevant part replaced, reassembled, and the broken fishing lines tied together to form a knot bundle before reassembling the parts. This makes maintenance easy and reduces costs.
또한 금속과 플라스틱 부품으로 이루어진 낚시바늘 조립체를 폐기 시 서로 단순 구조로 접속된 3개의 주요 부품들을 간단한 조작만으로 쉽게 분리시킬 수 있어 자원의 재활용을 위한 회수 작업이 종래에 비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품의 분해가 어려워 그냥 버려져서 환경 파괴를 일으키던 종래 기술에 비해 환경친화적인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when the fishhook assembly made of metal and plastic parts is disposed of, the three main parts that are simply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easily separated with a simple operation, so that the recovery work for recycling resources can be done much more easily than before. Accordingl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nvironmentally friendly compared to the existing technology where the parts were difficult to disassemble and were simply thrown away, thus causing environmental destruction.
특히, 매듭 뭉치를 수용하는 매듭 수용공간이 매듭 뭉치 길이보다 크게 여유있게 형성되기 때문에 낚시바늘 조립체가 종래처럼 낚시줄에 정해진 한 지점에 고정된 상태가 아니어서 그 여유 공간 범위 내에서 조류에 따라 상하로 유인관체가 움직이게 됨으로써(대략 5~25mm 정도 상하로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도록 고립된 매듭 수용공간의 크기를 설계), 오징어의 시선을 끌어 들이는 유인 효과가 크게 증대되어 오징어의 어획량을 크게 늘릴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유인관체가 조력이나 부력에 의해 수용공간 범위 내에서 부상하여 많은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에 의해 낚시줄에 가해지는 인장력(중력)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낚시줄의 수명 연장에 도움을 준다.In particular, since the knot accommodation space that accommodates the knot bundle is formed with a large amount of space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knot bundle, the fishhook assembly is not fixed to a fixed point on the fishing line as in the past, so that the lure tube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current within the range of the space (the size of the isolated knot accommodation space is designed to allow up and down movement of approximately 5 to 25 mm), the lure effect that attracts the attention of squid is greatly enhanced, so that the catch of squid can be greatly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lure tube rises within the range of the accommodation space by the tidal force or buoyancy, the tensile force (gravity) load applied to the fishing line by many squid fishhook assemblies can be reduced, which helps extend the life of the fishing line.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를 나타낸 부품 분해 사시도 및 조립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의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의 접속부재의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의 접속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의 접속부재의 우측 또는 좌측면도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의 접속부재의 저면도 형상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의 고정용결속핀부재를 나타낸 장단면도 형상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낚시줄의 도중에 오버핸드 매듭 뭉치를 형성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가)~(라)는 본 발명 오버핸드 매듭 방식에 의한 1중 내지 4중 매듭 뭉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매듭 뭉치로 사용 가능한 8자 매듭 형성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매듭 뭉치로 사용 가능한 맞매듭 형성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매듭 뭉치로 사용 가능한 1중 및 3중 피셔맨 매듭 형성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매듭 뭉치로 사용 가능한 8자연결 매듭 형성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매듭 뭉치로 사용 가능한 스퀘어 매듭 형성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낚시바늘 조립체를 낚시줄에 조립하여 형성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접속부재와 고정용결속핀부재를 접속하여 연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접속부재와 고정용결속핀부재를 서로 분리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s 1 and 2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and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s of parts showing a squid fishing hoo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quid fishing hoo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arts of the squid fishing hoo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ng member of a squid fishing hoo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connecting member of a squid fishing hoo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rawing showing the shape of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squid fishing hoo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bottom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squid fishing hoo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xing pin member of the squid fishing hoo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rawing showing in sequence a method of forming an overhand knot bundle in the middle of a fishing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1(a) to 11(d) are drawings showing a bundle of 1- to 4-fold knots using the overhand kno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drawing showing a method for forming a figure-8 knot that can be used as a knot bu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drawing showing a method of forming a counter-knot that can be used as a knot bu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drawing showing a method for forming single-ply and triple-ply fisherman's knots that can be used as a knot bu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drawing showing a method for forming an 8-piece knot that can be used as a knot bu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drawing showing a method for forming a square knot that can be used as a knot bu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step-by-step the method of forming a fishhoo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ssembling it to a fishing line.
Figure 18 is a drawing showing a process of connecting and connecting a connecting member and a fixing fastening pi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drawing showing a process of separating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fixing fastening pi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ed form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and/or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particular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s" as used herein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implemented,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 usage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wi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일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below,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component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nd the same symbol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elements.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에 대해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quid fishing hook assembly and its assembl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상의 위를 상측(상부) 또는 상단, 아래를 하측(하부) 또는 하단 등으로 기술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op in the drawing is referred to as the upper side (top) or top, and the bottom is referred to as the lower side (bottom) or bottom.
도 3은 본 발명의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의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quid fishing hoo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parts of the squid fishing hoo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체를 부호 10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10)는 불빛을 좋아하는 오징어를 유인하기 위하여 어선에서 조명되는 강한 불빛을 난반사시키기에 용이한 형태를 가지는 대략 유선형 형상의 유인관체(12)와, 그 유인관체(12)의 하단에 접속 연결되는 접속부재(14), 다시 그 접속부재(14)의 하단에 접속 연결되는 고정용결속핀부재(16)와, 그 고정용결속핀부재(16)에 의해 고정 결속되는 낚시바늘묶음체(18a, 18b; 대표 부호는 1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같은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10)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낚시줄(20)이 관통하여 지난다. 도 3에서는 복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조립체의 전체를 관통하여 지나는 낚시줄(20)은 그의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었다.The squid fishing hook assembl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dicated by the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10)는 낚시줄(20)의 도중에 적어도 1개, 바람직하기는 50~100m 길이의 장척의 낚시줄(20)에 대략 0.5~1.5m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 가장 바람직하기는 전체 낚시줄의 길이에 걸쳐 대략 1m 정도의 간격으로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10)를 달아매어 고정 설치한다.The squid fishing hook assembly (10) is installed at least once in the middle of the fishing line (20), preferably at intervals of approximately 0.5 to 1.5 m on a long fishing line (20) of 50 to 100 m in length, and most preferably at intervals of approximately 1 m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fishing line, by tying and fixing the squid fishing hook assembly (10).
도 5는 본 발명의 유인관체의 단면도 구성으로서, 상기 유인관체(12)는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되고, 바람직하기는 사출 시 형광(야광, 축광) 안료를 재료에 혼합하여 제작하면 평시에 빛을 축적하였다가 어두운 물속에서도 빛을 발산하게 됨으로써 오징어 유인에 효과적이며, 그의 중심축선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제1관통공(22)이 형성되며, 이 제1관통공(22)은 낚시줄(20)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낚시줄(20)의 외경보다는 약간 크게 형성한다.FIG. 5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lure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lure tube (12) is injection-molded with plastic, and preferably, when manufactured by mixing fluorescent (luminescent, luminescent) pigment into the material during injection, so that light is accumulated in normal times and light is emitted even in dark water, thereby being effective in attracting squid, and a first through-hole (22) penetrating vertically is formed on its central axis, and this first through-hole (22) is formed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shing line (20) to allow passage of the fishing line (20).
그리고 상기 유인관체(12)의 하부 측에는 상기 제1관통공(22)에 연통하며, 제1관통공(22)보다는 직경이 크고, 하단이 개구(24)된 매듭 수용공간(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매듭 수용공간(26)의 일부 하부 구간, 즉 개구(24)로부터 소정 높이 구간까지는 접속부재(14)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으로서 암나사(28)가 형성되어 있다.And, on the lower side of the above-mentioned lure body (12), a knot receiving space (26) is formed,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through hole (22),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first through hole (22), and has an opening (24) at the lower end, and a female screw (28) is formed as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o the connecting member (14) in a lower section of the above-mentioned knot receiving space (26), that is, from the opening (24) to a predetermined height section.
도 6 내지 도 8은 상기 유인관체(12)에 접속되는 접속부재(14)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유인관체(12)에의 접속수단으로서 상기 암나사(28)와 나사 체결되는 숫나사(30)가 원통체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몸체(3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접속몸체(32)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즉 상하 방향으로 낚시줄(20)이 관통하여 지나는 제2관통공(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몸체(32)의 하단으로는 슬릿(36)에 의해 복수개, 예를 들면 2~4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대칭 구조물로서 2개로 분할된 탄성편(38,38)이 돌출 연장하고 있으며, 이들 마주 대향하고 있는 탄성편(38,38)의 하단에는 각기 내측으로 돌출 연장하는 내향걸림편부재(40,40)가 마련되어 있다.FIGS. 6 to 8 are drawings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necting member (14)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attracting tube (12), and includes a connecting body (32) in which a male screw (30) that is screw-connected with the female screw (28) is formed on the outside of a cylindrical body as a connecting means to the above-described attracting tube (12), a second through hole (34)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connecting body (32), that is, in the up-and-down direction, through which a fishing line (20) passes, and a plurality of elastic pieces (38, 38), for example, 2 to 4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2 as a symmetrical structure), are protruded and exten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body (32) by slits (36), and an inwardly engaging member (40, 40) that protrudes and extends inward is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each of the elastic pieces (38, 38) facing each other.
상기 내향걸림편부재(40,40)는 상측에 걸림턱(40a, 40a)이 형성되고, 그의 하부면은 하단을 향해 직경이 확개되는 경사부(40b,40b)를 구비하고 있어 마치 갈고리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내향걸림편부재(40,40)의 첨단부 사이의 간격(b1)은 최소한 제2관통공(34)의 직경보다는 크게 설정된다.The above inwardly engaging member (40, 40) has a hook (40a, 40a)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its lower surface has an inclined portion (40b, 40b) whose diameter expands toward the bottom, so that it has a hook shape, and the gap (b1) between the tips of the above inwardly engaging member (40, 40) is set to be at leas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34).
그리고 상기 탄성편(38,38)들은 내향걸림편부재(40,40)를 통해 외측을 향해 축과 직각 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시 접속몸체(32)로부터의 연장이 시작되는 기저부(뿌리 부분)를 중심하여 각기 바깥쪽으로 휘어짐에 의한 변형(서로 벌어지는 변형)이 허용되는 탄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외력의 작용이 제거될시에는 복귀 탄성력에 의해 원상 위치, 즉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로 복귀한다.And the above elastic pieces (38, 38) have elasticity that allows deformation (deformation that spreads apart) by bending outwardly centered on the base (root part) where the extension from the connecting body (32) begin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toward the outside through the inward-facing engaging piece member (40, 40),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y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 i.e., a vertically standing state, by the restorative elasticity.
도 9는 낚시바늘묶음체(18)를 고정 결속하기 위한 고정용결속핀부재(16)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단에는 상기 내향걸림편부재(40,40)의 첨단부 사이의 간격(b1)을 통과하여 걸림되는 상협하광한 원뿔 형상의 외향걸림편부재(42)가 구비되며, 그의 하부면에는 상기 내향걸림편부재(40,40)의 걸림턱(40a, 40a)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턱(4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걸림턱(42a)의 직경이 최소로 축소된 목부(44)로부터 본체(46)를 향해 하강할수록 직경이 점차 증가되는 테이퍼부(48)를 구비하고 있으며, 고정용결속핀부재(16)의 중심축방향을 따라 상하로 낚시줄(20)의 통과를 허용하는 크기를 가지는 제3관통공(50)이 형성되어 있다.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xing tying pin member (16) for fixing a fishing hook bundle (18), wherein an outwardly tangentially conical tangentially ...
그리고 고정용결속핀부재(16)의 하단에는 본체(46)의 직경보다 확개된, 동시에 고정용결속핀부재(16)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낚시바늘묶음체(18)의 중심공(52)보다 직경이 큰 플랜지(54)가 구비되어 있어, 낚시바늘묶음체(18)를 고정용결속핀부재(16)의 상부인 외향걸림편부재(42)를 통해 삽입 조립 시에 본체(46)를 타고 하강하는 낚시바늘묶음체(18)가 플랜지(54)에 도달하여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고 그 위치에서 지지되어지게 된다. An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in member (16), a flange (54) is provided that is wider than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46) and at the same time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center hole (52) of the fishing hook bundle (18) through which the fixing pin member (16) is inserted and penetrated, so that when the fishing hook bundle (18) is inserted and assembled through the outwardly engaging member (42)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in member (16), the fishing hook bundle (18) descending along the main body (46) reaches the flange (54) and cannot descend any further and is supported in that position.
도 4의 부품 분해 사시도에서 보여지고 있는 낚시바늘 묶음체(18)는 J자 형상의 단위 바늘(56)들을 방사상으로 배열하여 중심에 중심공(52)이 형성되도록 하여 그의 외부를 결속관체(58)가 감싸 단단히 고정시켜 형성한다.The fishing hook bundle (18) shown in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is formed by radially arranging J-shaped unit needles (56) so that a central hole (52)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outside of the unit is wrapped and firmly fixed by a binding tube (58).
도 4의 부품 분해 사시도에서 보여지고 있는 부호 20은 낚시바늘 조립체(10)를 상하로 관통하는 낚시줄로서, 낚시줄(20)의 도중에는 매듭(60)(또는 매듭 뭉치라 한다)이 형성되는바, 이 매듭(60)은 개개의 낚시바늘 조립체(10)를 낚시줄(20)에 꿰어 조립시마다 조립 현장에서 형성하게 된다.The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매듭(60)은 발명의 조립 구조 상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으나, 매듭 형성이 손쉬운 오버핸드 매듭(overhand knot)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 매듭의 사용 종류에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고, 기본 매듭인 오버핸드 매듭(옭매듭)뿐 아니라, 8자 매듭, 8자연결 매듭, 맞매듭, 피셔맨 매듭(1중 내지 5중 피셔맨 매듭), 스퀘어 매듭 등 매듭 형식에 어떠한 제한도 없다.The knot (6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important function in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methods, but an overhand knot that is easy to form a knot can be used. However, there is no limitation to the type of kno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addition to the basic knot, such as an overhand knot (a cross knot), a figure-8 knot, a figure-8 connecting knot, a matching knot, a fisherman's knot (a single- to five-fold fisherman's knot), a square knot, etc., there is no limitation to the knot type.
따라서, 낚시줄(20)로서 전체가 장척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속하는 1개의 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버핸드 매듭(60) 또는 8자 매듭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낚시줄(20)이 낚시바늘 조립체(10)들 간격마다 분할된 것을 사용시에는 끊어진 양쪽 단부를 엮어 묶는 맞매듭, 피셔맨 매듭(1중 내지 5중), 8자연결 매듭, 스퀘어 매듭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using a single continuous line with a long overall length as the fishing line (20), it is recommended to use an overhand knot (60) or a figure-of-eight knot, and when using a fishing line (20) divided at intervals between the fishing hook assemblies (10), it is recommended to use a tie knot, a fisherman's knot (1 to 5), a figure-of-eight knot, a square knot, etc. that tie together the broken ends.
도 10은 오버핸드 매듭을 형성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0 is a step-by-step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forming an overhand knot.
도 11은 오버핸드 매듭을 형성함에 있어 1중 내지 4중 오버핸드 매듭을 나타낸 도면으로, (가)는 한번만 꼬아준 1중 오버핸드 매듭이고, (나)는 두번을 꼬아준 2중 오버핸드 매듭이며, (다)는 3번을 꼬아준 오버핸드 매듭이며, (라)는 4번을 꼬아준 오버핸드 매듭으로, 더 많이 꼬아주면 매듭부의 뭉치 길이가 길어지며, 이는 유인관체(12)에 접속부재(14)를 나사 체결하여 조립한 상태에서 남게 되는 고립된 매듭 수용공간(26a)(여기서 하부가 개구된 전체 수용공간은 부호 26으로 표시하고, 접속부재가 체결된 후 상부에 남는 고립된 매듭 수용공간은 부호 26a를 부여하여 표기하기로 한다)의 용적 크기를 고려하여 매듭 뭉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FIG. 11 is a drawing showing a single- to four-fold overhand knot when forming an overhand knot, (a) is a single-fold overhand knot with only one twist, (b) is a double-fold overhand knot with two twists, (c) is an overhand knot with three twists, and (d) is an overhand knot with four twists. If more twists are added, the bundle length of the knot portion becomes longer, and this can be adjusted by considering the volume size of the isolated knot accommodation space (26a) (here, the entire accommodation space with the lower part open is indicated by the
이 같은 매듭(60) 뭉치는 고립된 매듭 수용공간(26a) 내에 갇힌 상태에서 낚시줄(20)이 통과하는 제1관통공(22)과 제2관통공(34)을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서, 매듭 뭉치 부위의 외경은 낚시줄(20) 직경의 대략 3배 정도 크기를 가지므로, 접속부재(14)를 분리해 내지 않는 이상 매듭(60) 뭉치는 외부로 인출 내지 노출되지 않고 고립된 매듭 수용공간(26a) 내에 갇혀지게 되기 때문에, 낚시바늘 조립체(10)는 낚시줄(20)의 도중에 달아매어지도록 조립이 일단 완료되면, 항시 그 위치를 벗어나지 않고 낚시줄(20)의 도중에 매달려 있게 된다.A bundle of knots (60) like this is so large that it cannot pas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2)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4) through which the fishing line (20) passes while being trapped in the isolated knot receiving space (26a),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knot bundle portion is approximately three times the diameter of the fishing line (20). Therefore, unless the connecting member (14) is separated, the bundle of knots (60) is not pulled out or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trapped in the isolated knot receiving space (26a). Therefore, once the fishing hook assembly (10) is assembled to be hung in the middle of the fishing line (20), it always remains suspended in the middle of the fishing line (20) without leaving that position.
그런데 여기서 매듭(60) 뭉치와 접속부재(14)의 체결 후의 고립된 매듭 수용공간(26a)의 크기의 상관 관계는, 매듭 뭉치의 크기에 맞게 공간 크기를 형성하는 것보다는 매듭 뭉치(60)가 수용된 상태에서 고립된 매듭 수용공간(26)이 상하로 5~25mm 정도의 여유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매듭 뭉치 상하 길이≪고립된 매듭 수용공간의 상하 길이), 이로써 유인관체(12)는 고립된 매듭 뭉치(60)를 두고 5~25mm 정도 범위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However, in this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the isolated knot accommodation space (26a) after the knot bundle (60) and the connecting member (14) are fastened is such that, rather than forming the space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knot bundl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isolated knot accommodation space (26) to have a space of about 5 to 25 mm vertically while the knot bundle (60) is accommodated (upper and lower length of the knot bundle <> upper and lower length of the isolated knot accommodation space), and thereby the lure body (12) can move up and down within a range of about 5 to 25 mm with the isolated knot bundle (60).
이처럼 매듭 뭉치(60)를 수용하는 고립된 매듭 수용공간(26a)이 매듭 뭉치 길이보다 크게 여유있게 형성되기 때문에 낚시바늘 조립체(10)가 종래처럼 낚시줄의 정해진 한 지점에 정확이 고정된 상태가 아니어서 그 고립된 수용공간(26a) 범위 내에서 조류 및 부력에 따라 상하로 유인관체(12)가 오르락 내리락 하면서 움직이게 됨으로써(대략 5~25mm 정도 범위에서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도록 고립된 매듭 수용공간 크기를 설계), 오징어의 시선을 끌어 들이는 유인 효과(축광된 상태의 유인관체가 해수 속에서 상하로 요동하면서 빛을 발산하여 오징어의 시선을 끌게 된다)가 크게 증대되어 오징어의 어획량을 크게 늘릴 수 있게 된다. 여기에 더하여 유인관체(12)가 조력이나 부력에 의해 고립된 수용공간(26a) 범위 내에서 부상하여 낚시줄에 1m 정도의 간격마다 설치되는 많은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10)에 의해 낚시줄에 가해지는 인장력(중력) 부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어 낚시줄의 수명 연장에도 도움을 준다.In this way, since the isolated knot receiving space (26a) that accommodates the knot bundle (60) is formed with a larger amount of space than the length of the knot bundle, the fishing hook assembly (10) is not fixed exactly to a fixed point on the fishing line as in the past, and thus the lure tube (12)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current and buoyancy within the range of the isolated receiving space (26a) (the size of the isolated knot receiving space is designed to allow movement within a range of approximately 5 to 25 mm), the lure effect that attracts the attention of squid (the lure tube in a luminous state oscillates up and down in seawater and emits light to attract the attention of squid) is greatly enhanced, so that the catch of squid can be greatly increased. In addition, the lure body (12) floats within the isolated receiving space (26a) by buoyancy or force, and the tensile force (gravity) load applied to the fishing line by the numerous squid hook assemblies (10) installed at intervals of about 1 m on the fishing line can be greatly reduced, thereby helping to extend the life of the fishing line.
도 12는 8자 매듭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간편하고 빠르게 강한 매듭으로 만들 수 있고 충격 받은 이후에도 쉽게 풀 수 있다. Figure 12 is a drawing showing a method of forming a figure-8 knot, which is a strong knot that can be made easily and quickly and can be easily untied even after being impacted.
도 13은 낚시줄(로프)의 두 끝을 서로 잇는 매듭으로서 단단하고 풀기 쉬운 맞매듭을 나타내고 있다.Figure 13 shows a strong and easy-to-untie knot that connects two ends of a fishing line (rope).
도 14는 두 줄을 연결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피셔맨 매듭, 소위 어부맨 매듭으로 불리우며 낚시줄을 묶는데 많이 사용하는 매듭으로서, 각기 1중 및 3중 피셔맨 매듭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14 shows the most commonly used fisherman's knot when connecting two lines, the so-called fisherman's knot, and is a knot often used for tying fishing lines, showing a single- and triple-fisherman's knot, respectively.
도 15는 8자연결 매듭으로, 두 줄을 사용하여 매듭 시 매듭이 풀리지 않으며, 힘을 받아 조여진 후에도 쉽게 풀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먼저 낚시줄의 한쪽 끝부분에 한가닥의 8자 매듭을 느슨하게 만든 후, 그 다음 다른 낚시줄의 한 끝으로 되따라 들어가기를 하는 방식으로 매듭을 형성하여 주며, 이렇게 하면 두 낚시줄이 서로 물고 물리면서 안전하게 하나의 낚시줄로 연결되며, 연결 후 반드시 옭매듭(오버핸드 매듭)을 하여 준다.Figure 15 is a figure-8 knot. It has the advantage of not coming undone when tied using two lines, and being easy to untie even after being tightened by force. First, make a loose figure-8 knot at one end of the fishing line, and then tie it back to the other end of the fishing line to form a knot. In this way, the two fishing lines bite each other and are safely connected to one fishing line. After connecting, always make a sling knot (overhand knot).
도 16은 스퀘어 매듭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맞매듭 후 옭매듭을 하는 방식이다. 이 매듭은 매듭하기 쉽고, 풀기 쉬운 장점이 있는 반면에 쉽게 풀릴 수 있어 정확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주의할 점은 매듭시 낚시줄의 끝이 같은 면에 있어야 한다는 점이며, 엇갈려서 매듭을 하였을 경우에는 가벼운 움직임에도 쉽게 풀어져 위험 할 수 있어, 스퀘어 매듭을 이용하여 두줄을 연결할 경우에는 더 확실하게 하려면 반드시 대칭되게 매듭하여야 하고 양 끝을 이중으로 옭매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ure 16 is a drawing showing a square knot, which is a method of tying a counter knot and then a cross knot. This kno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tie and untie, but it can also be easily undone, so it must be used correctly. One thing to be careful of is that the ends of the fishing line must be on the same side when tying the knot. If the knot is crossed, it can easily come undone even with a light movement, which can be dangerous. Therefore, when connecting two lines using a square knot, it must be tied symmetrically to make it more secure, and it is recommended to double-knot both ends.
이하에 본 발명의 낚시바늘 조립체(10)를 낚시줄(20)에 조립 장착하여 달아매는 방법에 대해 도 17에 의해 설명하기로 한다.Below, a method of assembling and mounting the fishing hook assembl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fishing line (20) and hanging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7.
먼저, 낚시줄(20)에 오징어를 유인하는 유인관체(12)를 제1관통공(22)을 통해 끼워 삽입한다(단계 1). First, a lure tube (12) for luring squid onto a fishing line (20)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2) (step 1).
상기 유인관체(12)를 관통한 낚시줄(20)의 도중에 낚시줄(20)보다 외경이 증가토록 1개 이상의 매듭(60) 뭉치를 형성한다(단계 2). At least one knot (60) bundle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ishing line (20) penetrating the above-mentioned lure body (12) so that the outer diameter increases compared to the fishing line (20) (step 2).
상기 매듭(60)이 유인관체(12)에 마련된 매듭 수용공간(26) 내에 위치하도록 조정한 상태에서 접속부재(14)를 낚시줄(20)에 끼워 접속부재(14)의 일단을 유인관체(12)의 매듭 수용공간(26)의 개방된 하부의 개구부(24)를 통해 접속하며(단계 3), 이로써 매듭(60) 뭉치는 고립된 매듭 수용공간(26a) 내에 갇힌 상태가 되며, 이때 유인관체(12)와 접속부재(14)는 서로 나사(28, 30)로 체결되므로 분리가 가능하다. In a state where the above knot (60) is adjusted to be positioned within the knot receiving space (26) provided in the lure tube (12), the connecting member (14) is inserted into the fishing line (20) and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4) is connected through the opening (24) of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knot receiving space (26) of the lure tube (12) (step 3). As a result, the knot (60) bundle is trapped within the isolated knot receiving space (26a). At this time, the lure tube (12) and the connecting member (14) are fastened to each other with screws (28, 30), so that they can be separated.
다음, 1개 이상, 본 발명에서는 2개의 낚시바늘 묶음체(18a, 18b)를 중심공(52)을 통해 낚시줄(20)에 끼워 삽입한다(단계 4).Next, one or 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wo fishing hook bundles (18a, 18b) are inserted into the fishing line (20) through the center hole (52) (step 4).
그 다음으로 상기 낚시바늘 묶음체(18)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용결속핀부재(16)를 제3관통공(50)을 통해 낚시줄(20)에 끼워 삽입한 후 낚시바늘 묶음체(18)의 중심공(52)을 관통시켜 조립하며(단계 5), 이로써 낚시바늘 묶음체(18)는 고정용결속핀부재(16)의 하단부 구성인 플랜지(54)에 의해 지지되므로 하방으로 빠지는 일이 플랜지(54)에 의해 차단된다.Next, to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above-mentioned fishing hook bundle (18), a fixing pin member (16) is inserted into the fishing line (20) through the third through hole (50), and then the central hole (52) of the fishing hook bundle (18) is penetrated and assembled (step 5). As a result, the fishing hook bundle (18) is supported by the flange (54), which is a lower portion component of the fixing pin member (16), so that the downward falling is prevented by the flange (54).
이 상태에서 상기 낚시바늘 묶음체(18)의 상부로 돌출된 외향걸림편부재(42)를, 앞서 상기 유인관체(12)에 이미 접속되어 유인관체의 외부로 돌출 연장된 접속부재(14)의 단부인 탄성편(38, 38) 사이의 간격 b1을 통해 강제로 밀어넣는다(도 18 참조). 외향걸림편부재(42)가 간격 b1을 통해 강제로 밀어넣어지게 되면, 탄성편(38, 38)이 벌어지게 되면서 외향걸림편부재(42)가 내향걸림편부재(40)를 통과하게 되며, 통과하는 순간 벌어졌던 탄성편(38, 38)이 변형 과정을 통해 내부에 축적되었던 복원 탄성력에 의해 중심 방향으로 오므러들면서 원래의 기립 상태로 복귀하게 되며, 이에따라 내향걸림편부재(40)가 외향걸림편부재(42)를 걸어 잠그게 되는 것이며, 양측은 축방향의 직각방향으로 평면인 양측 걸림턱(40a, 40a)(42a, 42b)이 서로 맞물려 있어 축방향의 힘 작용에 의해서는 서로 분리되지 않게 되며, 이로써 결속이 완료된다(단계 6). In this state, the outwardly protruding hooking member (42) of the above-mentioned fishing hook bundle (18) is forcibly pushed in through the gap b1 between the elastic members (38, 38), which are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14) that have already been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lure pipe (12) and protrude outwardly from the lure pipe (see Fig. 18). When the outward engaging member (42) is forcibly pushed in through the gap b1, the elastic pieces (38, 38) are spread apart, causing the outward engaging member (42) to pass through the inward engaging member (40). The elastic pieces (38, 38) that were spread apart at the moment of passing through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standing state by shrinking toward the center due to the restoring elastic force accumulated inside through the deformation process, and accordingly, the inward engaging member (40) engages and locks the outward engaging member (42). Since the engaging projections (40a, 40a) (42a, 42b) on both sides are planar and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they do not separate from each other due to the axial force, and thus the fastening is completed (step 6).
여기서 접속부재(14)와 고정용결속핀부재(16)는 그 접속 구조상 어느 정도의 꺽임이 가능하여 유연성이 확보된다.Here, the connecting member (14) and the fixing fastening pin member (16) are capable of bending to a certain degree due to their connecting structure, thereby ensuring flexibility.
상기 조립 단계에서는 단계가 반대 방향(단계 1~6 → 단계 6~1)일 수도 있고, 또 일부 단계의 조립 과정(단계)의 순서가 서로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낚시바늘 묶음체(18)를 고정용결속핀부재(16)와 먼저 조립한 상태에서 낚시줄(20)에 삽입하거나, 또는 여기에 더해 접속부재(14)를 포함하여 3개의 부재를 먼저 조립한 상태에서 낚시줄(20)에 끼우고 유인관체(12)에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고정용결속핀부재(16)를 낚시줄(20)에 먼저 끼운 상태에서 낚시바늘 묶음체(18)를 고정용결속핀부재(16)의 플랜지(54) 후방으로부터 끼우는 것은 플랜지(54)의 기능 및 특성상 불가능하며, 이를 제외하곤 최종적으로 완성된 조립체(도 3)를 가져올 수 있는 한 각 단계의 순서들은 서로 변경이 가능하다.In the above assembly steps, the steps may be in the opposite direction (steps 1 to 6 → steps 6 to 1), and the order of the assembly process (steps) of some steps may be interchanged. For example, the fishhook bundle (18) may be first assembled with the fixing pin member (16) and then inserted into the fishing line (20), or in addition, three members including the connecting member (14) may be first assembled, and then inserted into the fishing line (20) and then assembled into the lure tube (12). However, it is impossible to insert the fishhook bundle (18) from the rear of the flange (54) of the fixing pin member (16) while first inserting the fixing pin member (16) into the fishing line (20) due to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flange (54), and except for this, the order of each step may be interchanged as long as a final completed assembly (Fig. 3) can be obtained.
다음에는 낚시바늘 조립체(10)의 유지보수, 특히 폐기 시 부품들의 분해 작업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we will explain the maintenance of the fishhook assembly (10), especially the disassembly of parts when discarding.
도 19는 접속부재와 고정용결속핀부재의 접속 해제 시의 부재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부품의 분리시에는 어느 한쪽 부재, 예를 들면 접속부재(14)를 고정용결속핀부재(16)를 향해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가해 밀어붙이게 된다(F1 참조).Figure 19 is a drawing showing the state of movement of the members whe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fixing fastening pin member are disconnected. When separating the parts, one of the members, for example, the connecting member (14), is pushed toward the fixing fastening pin member (16) by apply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ee F1).
이 같은 상태에서는 처음에는 내향걸림편부재(40)의 내단부가 테이퍼부(48)를 따라 밀착 접촉 상태에서 미끄러지듯이 하강하게 되며, 하강에 따라 접촉하는 테이퍼부(48)의 직경이 점차 증가하므로, 축방향으로 미는 화살표 방향의 힘(F1)은 테이퍼부(48)에 의한 수평 방향 분력의 작용으로 점차 벌어지게 된다.In this state, the inner end of the inwardly facing member (40) initially slides down along the tapered portion (48) in close contact, and as it descends, the diameter of the tapered portion (48) in contact gradually increases, so the force (F1)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pushing in the axial direction gradually increases due to the horizontal force component by the tapered portion (48).
계속해서 축방향 힘(F1)이 가해지면 내향걸림편부재(40) 부분이 결속관체(58) 부분에 이르게 되며, 이 상태에서 내향걸림편부재(40)의 내측 첨단 사이의 간격이 벌어져 외향걸림편부재(42)의 하단 직경보다 크게 확장되며, 하측으로 가하는 화살표의 축방향 힘(F1)을 유지하는 한 고정용결속핀부재(16)는 잠금이 해제된 상태라서 축방향의 이동, 즉 도시 상태에서는 하측을 향한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As the axial force (F1) continues to be applied, the inwardly engaging member (40) reaches the tie tube (58), and in this state, the gap between the inner tips of the inwardly engaging member (40) widens to become larger than the lower diameter of the outwardly engaging member (42), and as long as the axial force (F1) of the arrow applied downward is maintained, the fixed tie pin member (16) is unlocked and thus is free to move in the axial direction, i.e., move downward in the open state.
이 같은 상태에서 잠금이 해제된 고정용결속핀부재(16)를 잡고 하부로 빼는 힘(F2)을 가하게 되면(또는 중력의 자연 힘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용결속핀부재(16)는 낚시바늘 묶음체(18)의 중심공(52)의 안내를 따라 하부로 빠지는 이동이 일어나게 되어, 도 19의 우측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점선 도시 상태에서 실선 도시 상태로 고정용결속핀부재(16)의 분리 이동이 발생하는 것이다.In this state, if a force (F2) is applied to the unlocked fixed tying pin member (16) to pull it downward (or the natural force of gravity can also be used), the fixed tying pin member (16) moves downward along the guidance of the center hole (52) of the fishing hook bundle (18), and as shown in the right drawing of Fig. 19, the fixed tying pin member (16) moves separately from the dotted line state to the solid line state.
한편, 접속부재(14)는 유인관체(12)가 회전하지 않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나사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유인관체(12)로부터 간단히 분리되어지게 된다.Meanwhile, the connecting member (14)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lure tube (12) by rotating it in the direction of loosening the screw while the lure tube (12) is fixed so that it does not rotate.
이 같이 큰 힘이나 기교를 요하지 않고 2개의 분리 동작만으로 모든 부품들이 분리되므로, 금속재와 플라스틱재를 간단히 분리 회수할 수 있는 것이다.Since all parts are separated with only two separation movements without requiring great force or technique, metal and plastic materials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covered.
다른 한편, 일부 부품, 예를 들면 유인관체(12)의 교체시에는 낚시줄(20)을 절단한 후 유인관체(12)로부터 접속부재(14)를 분리시키고, 새로운 유인관체를 끊어진 낚시줄 단부를 통해 끼우고, 끊어진 부위의 두 가닥의 낚시줄을 맞매듭(도 13 참조)이나 8자연결 매듭(도 15 참조) 등을 사용하여 매듭 뭉치를 형성한 후 유인관체의 위치를 조정하여 새로 형성된 매듭 뭉치를 매듭 수용공간(26) 내에 위치하도록 한 후 접속부재(14)를 나사 체결(28, 30)하여 조립하면(이로써 매듭 뭉치가 다시 고립된 매듭 수용공간에 갇히게 된다) 유인관체의 교체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며, 다른 부품들의 교체도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replacing some parts, for example, the lure tube (12), the fishing line (20) is cut, the connecting member (14) is separated from the lure tube (12), the new lure tube is inserted through the broken fishing line end, the two fishing lines at the broken part are tied together using a cross knot (see FIG. 13) or a figure-of-eight knot (see FIG. 15), etc. to form a knot bundle, and then the position of the lure tube is adjusted so that the newly formed knot bundle is positioned within the knot receiving space (26), and then the connecting member (14) is assembled by screwing (28, 30) (whereby the knot bundle is trapped in the isolated knot receiving space again), thereby completing the replacement of the lure tube, and the replacement of other parts can also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추가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예를 들면 기능, 방법 및 결과가 동일한 구성, 혹은 목적 및 효과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의 본질적이지 않은 부분을 대체한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작용 효과가 있는 구성 또는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한다.또,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공지기술을 부가한 구성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additionally possible.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figuration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for example, a configuration having the same function, method, and result, or a configuration having the same purpose and effec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figuration in which non-essential parts of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replac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figuration having the same operational effect as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r a configuration capable of achieving the same purpos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known technology is added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10: 낚시바늘 조립체 12: 유인관체
14: 접속부재 16: 고정용결속핀부재
18(a,b): 낚시바늘 묶음체 20: 낚시줄
22: 제1관통공 24: 개구
26: 매듭 수용공간 26a: 고립된 매듭 수용공간
28,30: 체결수단(암나사28: 숫나사30) 32: 접속몸체
34: 제2관통공 36: 슬릿
38: 탄성편 40: 내향걸림편부재
40a:걸림턱 40b: 경사부
42: 외향걸림편부재 42a: 걸림턱
44: 목부 46: (고정용결속핀부재의) 본체
48: 테이퍼부 50: 제3관통공
52: 중심공 54: 플랜지
56: 단위 바늘 58: 결속관체
60: 매듭(매듭 뭉치) b1: 내향걸림편부재 사이의 간격10: Fishing hook assembly 12: Bait tube
14: Connecting member 16: Fixing pin member
18(a,b): A bundle of fishhooks 20: A fishing line
22: First penetration hole 24: Opening
26:
28,30: Fastening means (female screw 28: male screw 30) 32: Connecting body
34: Second through hole 36: Slit
38: Elastic piece 40: Inward hanging piece
40a: stumbling
42: Outward facing hanging
44: Neck 46: Body (of the fixing pin member)
48: Tapered section 50: Third through hole
52: Center hole 54: Flange
56: Unit needle 58: Binding tube
60: Knot (knot bundle) b1: Spacing between inwardly facing members
Claims (7)
낚시줄에 오징어를 유인하는 유인관체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유인관체를 관통한 낚시줄의 도중에 낚시줄보다 외경이 증가토록 매듭을 형성하는 단계와;
접속부재를 낚시줄에 끼워 접속부재의 일단을 유인관체의 매듭 수용공간의 개구부를 통해 접속하여 고립된 매듭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매듭이 유인관체에 마련된 고립된 매듭 수용공간 내에 고립되어 있도록 조립하는 단계와;
1개 이상의 낚시바늘 묶음체를 중심공을 통해 낚시줄에 끼워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낚시바늘 묶음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용결속핀부재를 낚시줄에 끼워 삽입한 후 낚시바늘 묶음체의 중심공을 관통시켜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유인관체의 외부로 돌출 연장된 접속부재의 단부에 상기 낚시바늘묶음체로부터 돌출 연장된 상기 고정용결속핀부재의 단부를 접속하는 결속완료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의 조립방법.
In the assembly method of a squid fishing hook assembly,
A step of inserting a lure tube to attract squid onto a fishing line;
A step of forming a knot in the middle of the fishing line penetrating the above-mentioned lure body so that the outer diameter increases compared to the fishing line;
A step of attaching a connecting member to a fishing line, connecting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through an opening in a knot receiving space of a lure body to form an isolated knot receiving space, and assembling the knot so that it is isolated within the isolated knot receiving space provided in the lure body;
A step of inserting one or more bundles of fishing hooks into a fishing line through a center hole;
A step of assembling the above-mentioned fishing hook bundle by inserting a fixing pin member into the fishing line to prevent the fishing hook bundle from detaching and then penetrating the center hole of the fishing hook bundle;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squid fishing hook assembly, comprising: a step of completing a connection by connecting an end of the fixing fastening pin member that protrudes from the fishing hook bundle to an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that protrudes outside the above-mentioned lure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94427A KR102698483B1 (en) | 2021-12-31 | 2021-12-31 | Fishing hook assembly for catching squid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94427A KR102698483B1 (en) | 2021-12-31 | 2021-12-31 | Fishing hook assembly for catching squid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3505A KR20230103505A (en) | 2023-07-07 |
KR102698483B1 true KR102698483B1 (en) | 2024-08-28 |
Family
ID=87154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94427A Active KR102698483B1 (en) | 2021-12-31 | 2021-12-31 | Fishing hook assembly for catching squid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9848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6494B1 (en) | 2023-09-05 | 2024-08-21 | (주)휴몬트코리아 | Squid Stick For Squid Fishing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37147A (en) | 2003-03-18 | 2004-12-02 | Ryoji Matsumoto | Fishing tackle and fishing hook |
KR101403404B1 (en) | 2013-11-22 | 2014-06-03 | 박종민 | Fishing hook assembly for catching squids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169143A (en) * | 1990-10-31 | 1992-06-17 | Asari Kenkyusho:Kk | Squid-fishing hook |
KR200153615Y1 (en) | 1996-12-30 | 1999-08-02 | 박종범 | Squid hook |
KR19980067040U (en) | 1997-05-22 | 1998-12-05 | 박현규 | Squid hook |
KR100353237B1 (en) * | 1999-12-23 | 2002-09-16 | 박현규 | Fishhook for cuttle fish |
JP3091412U (en) * | 2002-04-30 | 2003-01-31 | 良治 松本 | Ikari needle alignment tool |
KR20210047680A (en) * | 2019-10-22 | 2021-04-30 | 이주동 | Fishing tackle |
-
2021
- 2021-12-31 KR KR1020210194427A patent/KR10269848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37147A (en) | 2003-03-18 | 2004-12-02 | Ryoji Matsumoto | Fishing tackle and fishing hook |
KR101403404B1 (en) | 2013-11-22 | 2014-06-03 | 박종민 | Fishing hook assembly for catching squid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3505A (en) | 2023-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09899B2 (en) | Flyline connecting device | |
KR102698483B1 (en) | Fishing hook assembly for catching squid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 |
WO2005089401A2 (en) | Terminal tackle including bearing for fishing line | |
KR20190067061A (en) | Fishing hook for baby squid | |
KR20110007483A (en) | Catch for mollusks | |
KR200474974Y1 (en) | Fishing tool | |
KR20190105954A (en) | Aquaculture net fixture | |
KR100353237B1 (en) | Fishhook for cuttle fish | |
JP2008022786A (en) | Fishnet | |
US20190174733A1 (en) | Shock leader swivel | |
JP2021175384A (en) | Connection hook between cord and rope | |
JP2016149949A (en) | One tenya fishing tackle | |
KR20190011937A (en) | Fishing Tackle For Cephalopoda | |
KR20160048478A (en) | Grass fishing rod with guide ring | |
KR20100078164A (en) | Assemble type fishing net | |
US20250194574A1 (en) | Apparatus for attaching a hook to a fishing lure or bait | |
KR20240061243A (en) | Fishing gear having snatching function | |
JP5386621B1 (en) | Rope and fishing net connection method | |
KR100635781B1 (en) | Connector of Longline Fishing, and Implement and Method of Longline Fishing using the Connector | |
KR200286355Y1 (en) | Fixing Device For Fishing Sinker | |
KR19980067040U (en) | Squid hook | |
KR900006080Y1 (en) | Catcher of the eel | |
KR200279505Y1 (en) | Apparatus for arranging fishing hooks in single lines | |
KR20230141312A (en) | Cephalopod fishing gear with improved functionality | |
JP3188370U (en) | Connecting structure of fishing net and ro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06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