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8247B1 - Air circuit breaker - Google Patents

Air circuit br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8247B1
KR102698247B1 KR1020220002656A KR20220002656A KR102698247B1 KR 102698247 B1 KR102698247 B1 KR 102698247B1 KR 1020220002656 A KR1020220002656 A KR 1020220002656A KR 20220002656 A KR20220002656 A KR 20220002656A KR 102698247 B1 KR102698247 B1 KR 102698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plate
restraint
air circuit
ke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6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06921A (en
Inventor
박용익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20002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8247B1/en
Priority to PCT/KR2022/004102 priority patent/WO2022211360A1/en
Priority to CN202280022577.5A priority patent/CN116997985A/en
Priority to US18/284,773 priority patent/US20240186082A1/en
Publication of KR20230106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9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8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824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1/06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cover, or protective shutt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기중차단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중차단기는 일측면이 개방된 크래들; 상기 크래들의 일측면으로 인입출되는 차단기본체; 상기 차단기본체의 버튼에 연결되어 상기 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는 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위치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 2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인터록 레버; 상기 크래들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기본체를 인입출시키는 이송 모듈; 및 상기 이송 모듈의 전방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잠금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인터록 레버를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 고정시키고, 해제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인터록 레버의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구속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구속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n air circuit breaker is disclose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circuit breaker may include: a cradle having one open side; a circuit breaker main body extendable and withdrawable through one side of the cradle; an interlock lever connected to a button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so as to be positioned at a first position when the button is pressed and at a second position located at one side of the first position when the button is not pressed; a transport module provided in the cradle for extending and withdrawing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and a restraint module having a restraint plate movably installed in front of the transport module so as to fix the interlock lever at the first position when it is in a locked position and to allow the interlock lever to mov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when it is in an unlocked position.

Description

기중차단기{Air circuit breaker} Air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기중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인입출 및 위치 이동을 구속 또는 허용하는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ircuit breaker,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ir circuit breaker having an interlock device that restricts or allows the introduction/withdrawal and positional movement of a main body.

기중차단기(Air Circuit Breaker: ACB)는 일반적으로 저압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공기를 소호 매질로 하여 전력계통의 송수전, 절체 및 정지 등을 계획적으로 수행하고 이상전류 발생시 회로를 차단하여 인명 및 주변기기를 보호하는 장치이다.An air circuit breaker (ACB) is a device that is generally installed in low-voltage distribution lines and uses air as an arcing medium to systematically perform transmission and reception, switching, and stopping of power systems, and to protect human life and peripheral equipment by cutting off the circuit when an abnormal current occurs.

기충자단기는 특정한 장소에 고정되는 고정형과 차단기본체가 크래들에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출형이 있다. 인출형 차단기의 경우, 크래들 내부에서 차단기본체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디스커넥트 포지션(Disconnect Position), 테스트 포지션(Test Position), 커넥트 포지션(Connect Position)으로 나누어진다. There are fixed types of circuit breakers that are fixed to a specific location and drawable types in which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is installed so that it can be drawn into and out of the cradle. In the case of drawable circuit breakers, they are divided into the Disconnect Position, Test Position, and Connect Position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within the cradle.

이때, 디스커넥트 포지션은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서 인출되어 제어 전원 단자가 분리된 상태(비운전 상태)이고, 테스트 포지션은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 내부로 소정거리 인입하여 제어 전원 단자가 접속되어 차단기의 접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이고, 커넥트 포지션은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완전히 인입되어 본체 터미널이 크래들 터미널에 접속되어 주회로가 통전된 상태(운전 상태)이다.At this time, the disconnect position is a state in which the circuit breaker body is withdrawn from the cradle and the control power terminal is disconnected (non-operating state), the test position is a state in which the circuit breaker body is inserted into the cradle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control power terminal is connected so that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circuit breaker can be checked, and the connect position is a state in which the circuit breaker body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radle and the body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radle terminal so that the main circuit is energized (operating state).

기중차단기는 저압 수배전계통의 최상위에 설치되는 차단기로써 높은 사고전류로부터 부하단을 보호하고 있다. 따라서, 기중차단기의 제어는 매우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관계자 외에는 차단기를 제어해서는 안된다.An air circuit breaker is a circuit breaker installed at the top of a low-voltage distribution system, protecting the load from high fault currents. Therefore, the control of an air circuit breaker must be done very carefully, and no one other than the person in charge should control the circuit breaker.

이를 위해, 기중차단기에는 운전 상태나 비운전 상태를 유지하거나 사용자 안정 목적 등을 위하여 허가되지 않은 주회로의 통전을 방지하고 임의로 차단기본체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인터록 장치들이 사용된다. For this purpose, interlock devices are used in air circuit breakers to prevent unauthorized main circuit energization and to prevent arbitrary movement of the circuit breaker body for purposes such as maintaining the operating or non-operating state or for user safety.

인터록 기능은 일반적으로 차단기본체에 적용되어 임의적인 전력 투입이 방지되도록 구현하거나, 크래들에 적용되어 임의로 차단기본체의 위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현된다. 다시 말해, 인터록 장치는 차단기본체 및 크래들에 적용되는 두가지의 인터록으로 구현된다.The interlock function is generally implemented by applying it to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to prevent arbitrary power input, or by applying it to the cradle to prevent arbitrary movement of the position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In other words, the interlock device is implemented by two interlocks applied to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and the cradle.

이러한 인터록 기능들을 수행하는 인터록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고 단순화한 기중차단기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또한, 인터록 장치를 용이하게 보수 및 교체함으로써 고객의 편의 및 요구를 즉각 반영할 수 있는 기중차단기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There has been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n air circuit breaker that integrates and simplifies the interlock devices that perform these interlock functions.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n air circuit breaker that can immediately reflect customer convenience and needs by making it easy to maintain and replace interlock devic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단기본체의 투입 동작을 구속하는 기능 및 크래들 내부에서 차단기본체의 위치 이동을 구속하는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ircuit breaker having an interlock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implementing a function of restricting the closing operation of a circuit breaker main body and a function of restricting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within a crad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단기본체의 오프버튼을 누른 상태를 유지하여 차단기본체의 투입 제한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차단기본체의 위치 이동 제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ircuit breaker having an interlock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the opening limiting function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while maintaining the position movement limiting function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by maintaining the OFF button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press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터록 장치를 구속하는 작동 수단의 유지,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여 고객의 요구를 즉각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ircuit breaker having an interlock device, which is easy to maintain, repair and replace for the operating means that restrains the interlock device, thereby enabling immediate reflection of customer need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면이 개방된 크래들; 상기 크래들의 일측면으로 인입출되는 차단기본체; 상기 차단기본체의 버튼에 연결되어 상기 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는 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 2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인터록 레버; 상기 크래들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기본체를 인입출시키는 이송 모듈; 및 상기 이송 모듈의 전방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잠금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인터록 레버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 고정시키고, 해제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인터록 레버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구속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구속 모듈을 포함하는, 기중차단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circuit breaker is provided, comprising: a cradle having one open side; a circuit breaker main body extendable and withdrawable through one side of the cradle; an interlock lever connected to a button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and formed to be at a first position when the button is pressed and at a second position when the button is not pressed; a transport module provided in the cradle to extend and withdraw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and a restraint module having a restraint plate movably installed in front of the transport module, the restraint plate fixing the interlock lever at the first position when it is in a locked position and allowing the interlock lever to mov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when it is in an unlocked position.

이때, 상기 이송 모듈의 외면을 커버하되 홀이 형성된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이송 모듈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 홀을 개폐하는 셔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속 모듈은 상기 잠금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홀을 폐쇄하는 위치에 상기 셔터 플레이트를 위치 고정시키고,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셔터 플레이트의 상기 커버 플레이트 홀을 개폐하는 운동을 허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ver plate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port module and having a hole formed therein; and a shutter plate positioned between the transport module and the cover plat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plate hole are further included, and the restraint module can fix the shutter plate in a position to close the cover plate hole when moved to the locking position, and can allow the movement of the shutter plate to open and close the cover plate hole when moved to the release position.

이때, 상기 구속 모듈은 상기 구속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작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straint module may include an operating means for moving the restraint plate.

이때,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상기 작동 수단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상기 구속 플레이트가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operating means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and the restraining plate may be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이때, 상기 작동 수단은 키 조립체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ng means may be a key assembly.

이때,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키 조립체가 관통할 수 있는 키 조립체 홀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key assembly hole through which the key assembly can penetrate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home.

이때,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구속 플레이트의 양 측부에 상기 구속 플레이트의 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ver plate may have a first guide protrusion formed alo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restraint plate on both sides of the restraint plate.

이때,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구속 플레이트 측으로 돌출되는 제 2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구속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구속 플레이트의 운동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second guide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restraint plate may be formed on the cover plate, and a guide groove may be formed in the restraint plate, into which the second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and which extends alo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restraint plate.

이때,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수용홈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 cover member covering the receiving groove may be installed on the cover plate.

이때, 상기 인터록 레버의 운동 방향과 상기 구속 플레이트의 운동 방향은 서로 수직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interlock lever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restraint plate can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이때, 상기 구속 플레이트에는 상기 구속 플레이트를 일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이 설치되는 스프링 설치부가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a spring installation part may be provided on the restraint plate, in which a return spring is installed to provide elastic force for returning the restraint plate to one position.

이때, 상기 구속 플레이트에는 상기 인터록 레버의 운동을 제한 또는 허용하는 구속 돌기가 상기 인터록 레버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restraining projection that restricts or allows the movement of the interlock lever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interlock lever on the restraining plate.

이때, 상기 구속 돌기는 상기 잠금 위치 상태에서 상기 인터록 레버를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 방향으로 상기 인터록 레버의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straint projection can support one side of the interlock lever from the second position toward the first position in the locked position.

이때, 상기 키 조립체는, 키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통; 및 상기 회전통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통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구속 플레이트를 가압하여 운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key assembly may include a rotating cylinder that rotates by the key; and a lev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cylinder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ting cylinder to pressurize and move the restraining plate.

이때, 상기 레버는 상기 구속 플레이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구속 플레이트에는 상기 레버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레버 홀이 상기 구속 플레이트의 운동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ver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restraint plate, and a lever hole may be formed in the restraint plat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restraint plate so that the lever may be inserted and rotated.

이때, 상기 키 조립체는 2개가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한쌍의 키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위치에 위치시 상기 구속 플레이트를 상기 잠금 위치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key assemblies are provided in pairs of two, and when at least one of the pair of key assemblies is positioned at a specific position, the restraint plate can be positioned and fixed at the locking position.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는, 구속 플레이트가 잠금 위치에 위치하여 인터록 레버를 오프버튼이 눌러진 상태에 대응되는 제 1 위치에 위치 고정시키고, 차단기본체를 인출입시키는 핸들이 출입하는 커버 플레이트 홀을 폐쇄하도록 셔터 플레이트를 위치 고정시킴으로써, 차단기본체의 투입 동작을 구속하는 기능 및 크래들 내부에서 차단기본체의 위치 이동을 구속하는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implement a function of restraining the insertion motion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and a function of restraining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within the cradle by fixing the interlock lever in a first position corresponding to a state in which the off button is pressed by positioning the restraint plate in a locked position and closing the cover plate hole through which the handle for withdrawing and withdrawing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enters and exit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는, 구속 플레이트를 이동 및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키 조립체를 조작하여 구속 플레이트를 인터록 레버와 셔터 플레이트의 운동을 제한하는 위치에 위치 고정시킴으로써, 차단기본체의 투입 제한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차단기본체의 위치 이동 제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function of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while maintaining the function of limiting the input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by manipulating the key assembly capable of moving and position-fixing the restraining plate to position-fix the restraining plate at a position that limits the movement of the interlock lever and the shutter pla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는, 이송 모듈의 외면을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구속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키 조립체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구속 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커버 플레이트를 기중차단기로부터 탈착하지 않고 키 조립체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키 조립체의 유지,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여 고객의 요구를 즉각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a key assembly for moving a restraint plat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a cover plate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a transport module, and a restraint plate is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so that the key assembly can be separated without removing the cover plate from the air circuit breaker, so that maintenance, repair, and replacement of the key assembly can be easily performed, thereby immediately reflecting customer needs.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but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하우징은 점선으로 표시되었으며, 하우징에 의해 투시되는 구성은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에서 크래들과 차단기본체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이송 모듈, 구속 모듈, 셔터 플레이트 및 전면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이송 모듈, 구속 모듈, 셔터 플레이트 및 커버 플레이트를 각각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구속 모듈 및 커버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커버 플레이트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조립체 및 구속 플레이트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조립체 및 구속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 플레이트, 셔터 플레이트 및 인터록 레버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각 구성은 간략하게 도시되었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조립체 및 구속 플레이트를 이송 모듈측에서 커버 플레이트측 방향으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2는 제 1 및 제 2 키 조립체가 모두 해제 상태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제 1 키 조립체는 잠금 상태이고 제 2 키 조립체는 해제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제 1 키 조립체는 해제 상태이고 제 2 키 조립체는 잠금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제 1 및 제 2 키 조립체 모두 잠금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invention, the housing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and the components seen through the housing are indicated by a solid line.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and circuit breaker main body with the housing of the circuit breaker separa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transport module, a restraint module, a shutter plate, and a front cover of an air circuit breaker are combin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transport module, restraint module, shutter plate, and cover plate of an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different angles, respectively.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straint module and cover plate of an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ircuit breaker body inserted into a crad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invention, the cover plate is not shown.
FIGS.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of a key assembly and a restraint pl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viewed from different angles.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key assembly and a restraint pl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8.
FIG. 11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operation process of a restraint plate, a shutter plate, and an interlock le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invention, each component is illustrated briefly.
FIGS. 12 to 15 are drawing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key assembly and a restraint plate are viewed from the transfer module side toward the cover plate si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drawing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both the first and second key assemblies are in an unlocked state, FIG. 13 is a drawing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first key assembly is in a locked state and the second key assembly is in an unlocked state, FIG. 14 is a drawing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first key assembly is in an unlocked state and the second key assembly is in a locked state, and FIG. 15 is a drawing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both the first and second key assemblies are in a locked stat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the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words and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but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by which the inventor can define terms and concepts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cribe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in front of," "behind," "above," or "below" another component,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it includes not only being positioned "in front of," "behind," "above," or "below" the other component in direct contact with it, but also cases where there are other components intervening therebetween. Furthermore,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it includes cases where they are in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as well as cases where they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하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각 방향은 도면상에서 기중차단기의 차단기본체가 인입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볼 때 기중차단기(1)의 차단기본체(200)가 크래들(100)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규정하고, 차단기본체(200)가 크래들(100)로 인입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규정한다. 또한, 크래들(100)에서 제어 전원부(113)가 위치하는 방향을 상측 방향이라 규정하고, 이송모듈(300)이 위치하는 방향을 하측 방향이라 규정한다. In describing the drawings below, each direction is defined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of the air circuit breaker is introduced or withdrawn in the drawings. More specifically, as seen in FIG. 2, the direction in which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200) of the air circuit breaker (1) is introduced from the cradle (100) is defined as forwar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200) is introduced into the cradle (100) is defined as rearward. In addi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trol power supply unit (113) is located in the cradle (100) is defined as upwar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nsfer module (300) is located is defined as downwar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는 구속 플레이트가 차단기본체의 오프버튼이 눌러진 상태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터록 레버를 위치 고정시키고, 동시에 차단기본체의 인출입을 위한 핸들이 출입하는 커버 플레이트의 홀을 폐쇄하도록 셔터 플레이트를 위치 고정시킨 후, 키 조립체가 구속 플레이트를 위치 고정시킴으로써, 차단기본체의 투입을 제한 기능과 차단기본체의 위치 이동을 구속하는 기능을 동시에 구현 및 유지할 수 있는 인터록 장치를 갖는 기중차단기에 관한 발명이다.An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 circuit breaker having an interlock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implementing and maintaining a function of limiting the insertion of a circuit breaker main body and a function of restraining the movement of a circuit breaker main body by having a restraining plate positionally fix an interlock lever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state in which an off button of a circuit breaker main body is pressed, and at the same time fixing a shutter plate in a position to close a hole of a cover plate through which a handle for withdrawing and withdrawing a circuit breaker main body enters and exits, and then a key assembly positionally fixing the restraining pl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하우징은 점선으로 표시되었으며, 하우징에 의해 투시되는 구성은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에서 크래들과 차단기본체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invention, the housing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and the structure seen through the housing is indicated by a solid line.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and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with the housing of the air circuit breaker separa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1)는 하우징(3), 크래들(100), 차단기본체(200), 이송모듈(300), 구속모듈(400), 셔터모듈(500)(도 4에 도시됨), 전면 커버(600) 및 인터록 레버(7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기본체(200)와 크래들(100)은 내부 구성이 보이도록 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이해하기 쉽도록 주요 부품만 도시되고 기타 부품은 생략되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n air circuit breaker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3), a cradle (100), a circuit breaker main body (200), a transfer module (300), a restraint module (400), a shutter module (500) (illustrated in FIG. 4), a front cover (600), and an interlock lever (700). Here,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200) and the cradle (100) are shown so that the internal configuration is visible, and only major components are shown and other components are omitted so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understood.

하우징(3)의 내부에는 크래들(100) 및 차단기본체(20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3)은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기중차단기(1)의 주요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우징(3)에는 크래들(100) 및 차단기본체(200)를 조작하는 구성 및 배전선로를 이루는 구성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A space for accommodating a cradle (100) and a circuit breaker main body (2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3). The housing (3) may perform a function of protect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air circuit breaker (1) from external impacts, etc.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3) so that the components for operating the cradle (100) and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200) and the components forming the distribution lines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크래들(100)은 크래들 몸체(110) 및 크래들 터미널(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크래들 몸체(110)는 상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크래들 몸체(110)의 전면에는 차단기본체(200)가 인입출되는 입출구(111)가 위치할 수 있다. 크래들 몸체(110)는 차단기본체(200)를 지지하며, 차단기본체(200)가 디스커넥트 포지션, 테스트 포지션 및 커넥트 포지션으로 이동하고 각 위치에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크래들(100)은 주회로에 연결되어 차단기본체(200)와 주회로의 연결을 매개할 수 있다.The cradle (100) may be composed of a cradle body (110) and a cradle terminal (120). The cradle body (110)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and an inlet/outlet (111) through which a circuit breaker main body (200) is introduced/withdrawn may be positioned on the front of the cradle body (110). The cradle body (110) supports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200), and allows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200) to move to a disconnect position, a test position, and a connect position, and to be fixed in each position. In addition, the cradle (100) may be connected to a main circuit to mediate a connection between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200) and the main circuit.

크래들 몸체(110)의 측면에는 차단기본체(200)의 인입출을 보조하는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크래들 몸체(110)의 내면에는 차단기본체(200)의 인입출을 가이드하는 본체 가이드(112)가 마련될 수 있다.Components that assist the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blocking main body (200) may be arranged on the side of the cradle body (110).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a main body guide (112) that guides the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blocking main body (20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radle body (110).

크래들 몸체(110)의 후면에는 크래들 터미널(120)이 설치될 수 있다. 크래들 터미널(120)은 전원측 터미널 및 부하측 터미널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터미널은 상별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상 차단기의 경우 전원측 터미널 및 부하측 터미널은 각각 3개씩 구비될 수 있다.A cradle terminal (120)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cradle body (110). The cradle terminal (120) may be composed of a power-side terminal and a load-side terminal, and each terminal may be provided for each phas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hree-phase circuit breaker, three power-side terminals and three load-side terminals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크래들 몸체(110) 상면의 후방부에는 아크 박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아크 박스는 후술하는 차단기본체(200)의 소호부(230)에서 발생한 아크 박스를 기중차단기(1)의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n arc box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radle body (110). The arc box may perform the function of discharging an arc generated in the arc protection section (230)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200) described below to the outside of the air circuit breaker (1).

크래들 몸체(110) 상면의 전방부에는 제어 전원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어 전원부(113)는 크래들(100)과 차단기본체(200)가 주회로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단 동작 시험 또는 잔류 전류 제거 등 유지 관리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 control power supply unit (113) may be formed on the front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radle body (110). The control power supply unit (113) may perform maintenance operations such as a blocking operation test or residual current removal when the cradle (100) and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200) are not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크래들 몸체(110)의 하면에는 차단기본체(200)를 지지 및 인입출시킬 수 있는 이송모듈(30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이송모듈(300)은 크래들 몸체(110)의 하면을 이룰 수 있다. A transfer module (300) capable of supporting and withdrawing the blocking main body (20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radle body (110). At this time, the transfer module (300) may form the lower surface of the cradle body (11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이송 모듈, 구속 모듈, 셔터 플레이트 및 전면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이송 모듈, 구속 모듈, 셔터 플레이트 및 커버 플레이트를 각각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구속 모듈 및 커버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transport module, a restraint module, a shutter plate, and a front cover of an air circuit breaker are combin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transport module, a restraint module, a shutter plate, and a cover plate of an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viewed from different angles.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straint module and a cover plate of an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송모듈(300)은 베이스 플레이트(310), 상측 커버 플레이트(320) 및 인입출 장치(330,3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to 5, the transfer module (300) may be composed of a base plate (310), an upper cover plate (320), and a pull-out device (330, 340).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이송모듈(3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안착 및 지지될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배면부(312)와 전면부(314)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ase plate (310) can provide a frame on which other components of the transport module (300) can be mounted and supported. The base plate can be composed of a back portion (312) and a front portion (314).

배면부(312)는 이송모듈(300)의 하면을 이루는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314)는 배면부(312)의 전방 모서리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인입출 장치(330,340)의 전방을 커버할 수 있다.The back surface (312) may be formed as a plate-shaped member forming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ort module (300). The front surface (314) may be folded upward from the front edge of the back surface (312) to cover the front of the introduction/withdrawal device (330, 340).

배면부(312)의 상면에는 차단기본체(200)를 인입출시키는 인입출 장치(330,340)가 설치될 수 있다. 인입출 장치(330,340)는 인입출 스크류(330) 및 위치표시 스크류(340)를 포함할 수 있다. A draw-in/out device (330, 340) for drawing in/out the blocking body (20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 surface (312). The draw-in/out device (330, 340) may include a draw-in/out screw (330) and a positioning screw (340).

보다 구체적으로, 배면부(312)의 상면 중심에는 핸들의 힘을 받아 차단기본체(200)의 인입출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인입출 스크류(330)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인입출 스크류(330)의 일측에는 위치표시 스크류(340)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 pull-out screw (330) that provides power for the pull-out/pull-out movement of the blocking body (200) by receiving the force of the handle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 surface (312). A positioning screw (340)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on one side of the pull-out screw (330).

전면부(314)에는 인입출 스크류(330)의 전방 단부 및 위치표시 스크류(340)의 전방 단부를 전방으로 노출시키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A hole may be formed in the front part (314) to expose the front end of the lead-in screw (330) and the front end of the positioning screw (340) to the front.

인입출 스크류(330)의 전방 단부에는 다각형(예를 들면, 6각형)으로 형성되는 공구홈(331)이 형성될 수 있다. 핸들(4)(도 1에 도시됨)은 전면 커버(600)의 핸들 삽입홀(613)을 통과하여 공구홈(331)에 결합된 후 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차단기본체(200)를 인출입시키는 동력을 이송모듈(300)로 전달할 수 있다. A tool groove (331) formed in a polygonal shape (e.g., hexagonal)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insertion/withdrawal screw (330). The handle (4) (shown in FIG. 1) passes through the handle insertion hole (613) of the front cover (600) and is coupled to the tool groove (331) and then rotates in one direction to transmit power for inserting/withdrawing the blocking main body (200) to the transfer module (300).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차단기본체(200)는 접점부(미도시), 개폐기구부(220), 트립부(미도시) 및 소호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개폐기구부(220)는 접점부의 개폐가 일어나도록 하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2,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200) may include a contact portion (not shown), a switching mechanism portion (220), a trip portion (not shown), and a breaker portion (230). At this time, the switching mechanism portion (220) may provide a driving force to caus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portion.

개폐기구부(220)는 접점부의 개폐 동작을 위한 온버튼(221) 및 오프버튼(222)을 포함할 수 있다. 온버튼(221) 또는 오프버튼(222)이 눌러지면, 개폐기구부(220)에 의하여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주축(24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접점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주회로는 전력이 차단되거나 통전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mechanism (220) may include an on button (221) and an off button (222) for opening/closing the contact portion. When the on button (221) or the off button (222) is pressed, the main shaft (240) rotates in one direction by the driving force provided by the opening/closing mechanism (220) to open/close the contact portion. As a result, the main circuit may be powered off or 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커버 플레이트는 도시되지 않았다.Fig.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ircuit breaker body inserted into a crad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invention, the cover plate is not shown.

도 7을 참조하면, 오프버튼(222)은 오프버튼 회전축(22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오프버튼(222)이 눌려지면 오프버튼(222)은 후방으로 이동되고, 오프버튼 회전축(225)을 중심으로 오프버튼(222)에 대향하는 오프버튼 걸림부(223)는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오프버튼(222)에는 토션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프버튼(222)을 누르는 외력이 제거되면 오프버튼(222)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off button (222) may be installed to be rotatable around the off button rotation axis (225). When the off button (222) is pressed, the off button (222) moves backward, and the off button engaging portion (223) facing the off button (222) around the off button rotation axis (225) may move forward. The off button (222) may be equipped with a torsion spring. Accordingly, when the external force pressing the off button (222) is removed, the off button (222) may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이때, 오프버튼 걸림부(223)는 측벽(224)에 형성된 오프버튼 걸림홀(2241)을 관통하여 측벽(224)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오프버튼 걸림부(223)는 개폐기구부(220)의 일측에 마련되는 회전부재(226) 및 승강부재(228)를 동작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off button catch portion (223) can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224) by penetrating the off button catch hole (2241) formed in the side wall (224). The off button catch portion (223) can operate the rotating member (226) and the lifting member (228)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pening/closing mechanism (220).

오프버튼 걸림홀(2241)의 하측에는 오프버튼 걸림부(223)의 동작을 승강부재(228)에 전달할 수 있는 회전부재(226)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부재(226)의 중앙부에는 회전부재 회전축(2261)이 설치될 수 있다. 회전부재 회전축(2261)은 측벽(22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회전부재(226)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A rotary member (226) that can transmit the operation of the off button engaging portion (223) to the lifting member (228) can be installed at the lower side of the off button engaging hole (2241). A rotary member rotating shaft (2261) can b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rotary member (226). The rotary member rotating shaft (2261)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ide wall (224) and can also be formed so as to support the rotary member (226).

회전부재(226)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 형성되는 2개의 팔(arm)을 갖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2개의 팔 중 상측을 향해 연장된 부분의 단부에는 오프버튼 걸림부(223)가 삽입되는 오프버튼 착용홀(2263)이 형성될 수 있다. 오프버튼 걸림부(223)는 오프버튼 착용홀(2263)과 결합된 후, 오프버튼 걸림홀(2241)에서 슬라이딩하며 회전부재(226)를 동작시킬 수 있다.The rotary member (226) may be formed as a plate having two arms that extend at a predetermined angle centered on the central portion. An off-button wearing hole (2263) into which an off-button catch (223) is inserted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portion extending upward among the two arms. After being combined with the off-button wearing hole (2263), the off-button catch (223) may slide in the off-button catch hole (2241) to operate the rotary member (226).

2개의 팔 중 다른 하나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단부에는 회전부재(226)의 운동을 승강부재(228)로 전달하는 후크(226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팔 중 다른 하나는 활 형태로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재(226)의 후크(2262)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The other of the two arms may be formed to protrude backwards, and a hook (2262) may be formed at the end to transmit the motion of the rotary member (226) to the lifting member (228). At this time, the other of the two arms may be formed to bend in a bow shape. Accordingly, the hook (2262) of the rotary member (226) may perform a linear movement in the up-and-down direction.

승강부재(228)는 측벽(224)의 하단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에 끼워져 승하강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승강부재(228)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승강부재 몸체(2282) 및 승강부재 몸체(2282)의 하단부에 인터록 레버(700)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는 누름판(228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승강부재 몸체(2282)의 상단부에는 회전부재(226)의 후크(2262)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는 후크홀(2283)이 형성될 수 있다.The lifting member (228) can perform an up-and-down movement by being fit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side wall (224). At this time, the lifting member (228) can be formed of a plate-shaped lifting member body (2282) that extends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 and a pressing plate (2284) that can press the interlock lever (700) downward at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member body (2282). At this time, a hook hole (2283) into which a hook (2262) of a rotating member (226) can be inserted and fitted can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member body (2282).

오프버튼(222)이 눌려지면, 오프버튼(222)은 후측으로 이동하며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회전부재(226)는 회전부재 회전축(226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도 6의 좌측에서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승강부재(228)는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off button (222) is pressed, the off button (222) moves backward and rotates, and in conjunction with this, the rotating member (226) can rotate clockwise (when viewed from the left side of FIG. 6) around the rotating member rotation axis (2261). In response, the lifting member (228) can move upward.

오프버튼(222)을 누르는 외력이 제거되면, 오프버튼(222)은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돌아오고, 이에 연동하여 회전부재(226)는 반시계 방향(도 6의 좌측에서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승강부재(228)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external force pressing the off button (222) is removed, the off button (222)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and in conjunction with this, the rotating member (226) can rotate counterclockwise (when viewed from the left side of FIG. 6). In response, the lifting member (228) moves downward.

온버튼(221)은 오프버튼(222)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온버튼(221)은 개폐기구부(220)를 작동시켜 투입 작동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온버튼(221)이 눌려지면 접점부가 이동하여 통전될 수 있다. 한편, 온버튼(221)은 오프버튼(222)이 눌러진 상태에서는 동작하지 않도록 구성된다.The on button (221) can be placed on the right side of the off button (222). The on button (221) can operate the opening/closing mechanism (220) to cause an opening operation. When the on button (221) is pressed, the contact part can move and be energized. Meanwhile, the on button (221) is configured not to operate when the off button (222) is pressed.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인터록 레버(700)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배면부(312)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인터록 레버(700)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좁아지는 삼각 형상의 돌출부(710)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4, the interlock lever (700)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back surface (312) of the base plate (310). At this time, the interlock lever (700) may be formed with a triangular protrusion (710) whose length becomes narrower as it goes upward.

상면 커버 플레이트(320)의 상측에는 돌출부(710)가 상면 커버 플레이트(320)를 관통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인터록 레버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710)는 인터록 레버홀(321)을 통하여 전술한 승강부재(228)의 누름판(2284)(도 7에 도시됨)의 하면에 접할 수 있다. An interlock lever hole (32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cover plate (320) so that the protrusion (710) can operate by penetrating the upper cover plate (320). The protrusion (710) can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2284) (illustrated in FIG. 7) of the aforementioned lifting member (228) through the interlock lever hole (321).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 플레이트, 셔터 플레이트 및 인터록 레버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각 구성은 간략하게 도시되었다.FIG. 11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operation process of a restraint plate, a shutter plate, and an interlock le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invention, each component is illustrated briefly.

도 4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인터록 레버(700)는 도 11의 (a)에서와 같이 하측(또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배면부(312) 측)으로 이동된 제 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인터록 레버(700)는 도 11의 (b)에서와 같이 상측 (또는, 상면 커버 플레이트(320) 측)으로 이동된 제 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인터록 레버(700)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도 4를 기준으로, 상하 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nd FIG. 11 together, the interlock lever (700) may be positioned at a second position moved downward (or toward the back surface (312) of the base plate (310)) as in (a) of FIG. 11. In addition, the interlock lever (700) may be positioned at a first position moved upward (or toward the upper cover plate (320)) as in (b) of FIG. 11. The interlock lever (700) may be formed to be movable (up and down-movable based on FIG. 4)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한편,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인터록 레버(700)는 인터록 레버 복귀스프링에 의하여 상승하는 힘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외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인터록 레버(700)는 제 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again to Fig. 4, the interlock lever (700) can receive an upward force by the interlock lever return spring. Accordingly, the interlock lever (700) can be positioned in the first position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인터록 레버의 운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오프버튼(222)이 눌러지면 승강부재(228)는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인터록 레버(700)는 인터록 레버 복귀스프링(7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 1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오프버튼(222)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승강부재(228)는 하측으로 이동되므로, 인터록 레버(700)의 돌출부(710)는 승강부재(228)의 누름판(2284)에 의하여 하측으로 가압되며, 제 2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7 and FIG. 11 to explain the movement of the interlock lever in more detail, when the off button (222) is pressed, the lifting member (228) moves upward, so that the interlock lever (700) moves to the first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interlock lever return spring (720). When the off button (222)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lifting member (228) moves downward, so that the protrusion (710) of the interlock lever (700) is pressed downward by the pressing plate (2284) of the lifting member (228) and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전면부(314) 일측에는 셔터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셔터모듈은 셔터 플레이트(510) 및 셔터모듈 복귀스프링(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4, a shutter module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ont portion (314) of the base plate (310). The shutter module may be composed of a shutter plate (510) and a shutter module return spring (not shown).

셔터 플레이트(510)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전면부(314)의 우측을 커버하며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셔터 플레이트(510)의 좌측 하단에는 좌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셔터 돌기(520)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hutter plate (510) covers the right side of the front part (314) of the base plate (310) and can be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shutter protrusion (520) that protrudes to the left can be formed at the lower left side of the shutter plate (510).

도 4 및 도 11의 (a)를 참고하면, 인터록 레버(700)가 제 2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셔터 돌기(520)가 인터록 레버(700)에 걸려 셔터 플레이트(510)의 좌측 이동이 제한된다. 도 11의 (b)를 참고하면, 인터록 레버(700)가 제 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셔터 돌기(520)가 인터록 레버(700)에 걸리지 않아 셔터 플레이트(510)의 좌측 이동이 허용된다. Referring to (a) of FIG. 4 and FIG. 11, when the interlock lever (70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shutter protrusion (520) is caught by the interlock lever (700), thereby restricting the leftward movement of the shutter plate (510). Referring to (b) of FIG. 11, when the interlock lever (70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shutter protrusion (520) is not caught by the interlock lever (700), thereby allowing the leftward movement of the shutter plate (510).

도 4의 확대도를 참고하면, 셔터 플레이트(510)에는 핸들이 삽입될 수 있는 핸들 홀(5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핸들 홀(511)은 외력을 받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 인입출 스크류(330)의 단부에 형성되는 공구홈(331)이 일부만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Referring to the enlarged view of Fig. 4, a handle hole (511) into which a handle can be inserted can be formed in the shutter plate (510). At this time, the handle hole (511) is formed so that only a part of the tool groove (331) formed at the end of the lead-in/out screw (330) is exposed in a normal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보다 구체적으로, 셔터 플레이트(510)에는 핸들 홀(511)에 인접한 부분(도 4의 확대도를 기준으로 좌측 부분)에 핸들 삽입 방지부(512)가 형성될 수 있다. 핸들 삽입 방지부(512)에 의해 공구홈(331)에 핸들의 삽입이 제한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 handle insertion prevention portion (512) may be form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handle hole (511) of the shutter plate (510) (left portion based on the enlarged view of FIG. 4). The insertion of the handle into the tool groove (331) may be restricted by the handle insertion prevention portion (512).

오프버튼(222)이 눌러질 경우, 인터록 레버(700)는 제 1 위치에 위치하므로, 셔터 플레이트(510)의 좌측 이동이 허용되어 핸들은 핸들 홀(511)을 통해 인입출 스크류(330)의 공구홈(3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단기본체(200)의 인입출이 가능할 수 있다.When the off button (222) is pressed, the interlock lever (700) is positioned in the first position, so that the shutter plate (510) is allowed to move to the left, and the handle can be engaged with the tool groove (331) of the withdrawal screw (330) through the handle hole (511). As a result, the withdrawal of the blocking body (200) can be made possible.

셔터 플레이트(510)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힘을 제공하기 위해 셔터모듈 복귀스프링이 마련될 수 있다. 셔터 플레이트(510)에는 셔터모듈 복귀스프링이 설치되는 스프링 고정부(530)가 형성될 수 있다. A shutter module return spring may be provided to provide a force for returning the shutter plate (510) to its original position. A spring fixing part (530) on which the shutter module return spring is installed may be formed on the shutter plate (510).

스프링 고정부(530)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2개의 돌기 사이에는 셔터모듈 복귀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셔터모듈 복귀스프링의 일부는 전면 커버 플레이트(610)의 일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The spring fixing member (530) may be formed by two projections that protrude forward and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shutter module return spring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two projections. A part of the shutter module return spring may be fixed to a part of the front cover plate (610).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 셔터 플레이트(510)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위치하므로, 인입출 스크류(330)의 공구홈(331)의 일부를 가릴 수 있다. 인터록 레버(70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핸들(4)(도 1에 도시됨)을 공구홈(331)에 넣으면, 삽입 방지부가 핸들(4)에 의하여 좌측으로 밀려나므로(즉, 셔터 플레이트(510)가 좌측으로 밀려나므로) 사용자는 핸들(4)을 이용하여 인입출 스크류(3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In a normal state where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shutter plate (510) is moved to the right and positioned so as to cover a part of the tool groove (331) of the insertion/extraction screw (330). When the restraint by the interlock lever (700) is released, if the handle (4) (shown in FIG. 1) is inserted into the tool groove (331), the insertion prevention portion is pushed to the left by the handle (4) (i.e., the shutter plate (510) is pushed to the left), so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insertion/extraction screw (330) using the handle (4).

핸들(4)이 제거되면 셔터 플레이트(510)는 셔터모듈 복귀스프링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되므로, 공구홈(331)의 일부는 핸들 삽입 방지부(512)에 의해 커버된다.When the handle (4) is removed, the shutter plate (510) moves to the right by the shutter module return spring, so that a portion of the tool groove (331) is covered by the handle insertion prevention portion (51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송모듈(300) 및 셔터모듈(500)의 전방에는 이송모듈(300)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커버(600)가 위치할 수 있다. 전면 커버(600)는 전면 커버 플레이트(610) 및 수용홈 커버 부재(620)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a front cover (600) covering the front of the transport module (300) and the shutter module (500) may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transport module (300). The front cover (600) may be composed of a front cover plate (610) and a receiving groove cover member (620).

이때, 전면 커버 플레이트(610)에는 구속모듈(400)이 설치될 수 있다. 구속모듈(400)은 키 조립체(450,460), 구속 플레이트(410) 및 구속모듈 복귀스프링(4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a restraint module (400)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cover plate (610). The restraint module (400) may be composed of a key assembly (450, 460), a restraint plate (410), and a restraint module return spring (440).

전면 커버 플레이트(610)의 전면에는 키 조립체 수용홈(611)이 형성될 수 있다. 전면 커버 플레이트(610)의 후면에서 키 조립체 수용홈(611)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구속 플레이트(410)가 수평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A key assembly receiving groove (611)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cover plate (610). A restraint plate (410)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assembly receiving groove (611)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cover plate (610).

키 조립체 수용홈(611)은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키 조립체 수용홈(611)의 바닥면에는 키 조립체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키 조립체(450,460)는 키 조립체 홀을 관통하여 구속 플레이트(410)와 결합함으로써 구속 플레이트(410)를 수평 방향으로 운동시킬 수 있다. The key assembly receiving groove (611) can be opened forward. A key assembly hole can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key assembly receiving groove (611). The key assembly (450, 460) can penetrate the key assembly hole and engage with the restraint plate (410), thereby moving the restraint plate (410) in a horizontal direction.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1)는 커버 플레이트를 이송모듈(300)로부터 분해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키 조립체(450,460)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키 조립체(450,460)의 유지,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여 고객의 요구를 즉각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ir circuit breaker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the key assembly (450, 460) without disassembling the cover plate from the transfer module (300), so that maintenance, repair, and replacement of the key assembly (450, 460) are easy, thereby immediately reflecting customer needs.

또한, 키 조립체(450,460)는 구속 플레이트(410)를 운동시키기 위한 다른 작동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 조립체(450,46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전자식 인터페이스 및 구속 플레이트(410)를 운동시키는 모터로 이루어진 전자 장비로 대체될 수 있다. 구속 플레이트(410)와 키 조립체(450,46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Additionally, the key assembly (450, 460) may be replaced with another actuating means for moving the restraint plate (410). For example, the key assembly (450, 460) may be replaced with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 electronic interface operable by a user and a motor for moving the restraint plate (410). A specific description of the restraint plate (410) and the key assembly (450, 460) will be provided below.

전면 커버 플레이트(610)에는 키 조립체 수용홈(611)을 커버할 수 있는 수용홈 커버 부재(6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키 조립체 수용홈(611)의 내부에 수용된 키 조립체(450,460)는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며, 제 3자의 키 조립체에 대한 임의적인 접근이 차단될 수 있다. 수용홈 커버 부재(620) 및 키 조립체 수용홈(611)의 양 측부에는 각각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 홈이 마련될 수 있다.A receiving groove cover member (620) that can cover a key assembly receiving groove (611)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cover plate (610). As a result, the key assembly (450, 460) received inside the key assembly receiving groove (611) may be protected from the outside, and arbitrary access to the key assembly by a third party may be blocked. Screw grooves for screw coupling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ceiving groove cover member (620) and the key assembly receiving groove (611), respectively.

한편, 전면 커버 플레이트(610)에는 핸들 삽입홀(613), 핸들 보관홀(615)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핸들 삽입홀(613)은 인입출 스크류(330)의 공구홈(33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핸들은 핸들 삽입홀(613)을 관통하여 공구홈(33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핸들 삽입홀(613)은 셔터 플레이트(510)의 수평운동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Meanwhile, a handle insertion hole (613), a handle storage hole (615), etc. may be formed in the front cover plate (610). At this time, the handle insertion hole (613)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ol groove (331) of the insertion/withdrawal screw (330). Accordingly, the handle may be coupled to the tool groove (331) by passing through the handle insertion hole (613). In addition, the handle insertion hole (613)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hutter plate (510).

즉, 다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셔터 플레이트(510)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핸들 삽입홀(613)은 핸들 삽입 방지부(512)에 의하여 일부가 폐쇄될 수 있다. 그러나, 셔터 플레이트(510)가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핸들 삽입홀(613)은 셔터 플레이트(510)의 핸들 홀(511)과 연결됨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That is, referring again to FIGS. 4 and 6, when the shutter plate (510) is moved to the right, the handle insertion hole (613) may be partially closed by the handle insertion prevention portion (512). However, when the shutter plate (510) is moved to the left, the handle insertion hole (613) may be opened by being connected to the handle hole (511) of the shutter plate (510).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조립체 및 구속 플레이트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조립체 및 구속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Figures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of a key assembly and a restraint pl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viewed from different angles.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key assembly and restraint pl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ure 8.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차단기본체의 투입을 방지하는 기능 및 차단기본체의 인입출을 제한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하여 구속모듈(400)이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 to 11, a restraint module (400) may be provided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insertion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and the function of restricting the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구속모듈(400)의 제 1 키 조립체(450)는 제 1 회전통(452), 제 1 키홈(453) 및 제 1 키 레버(4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회전통(452)은 제 1 키홈(453)에 삽입되는 키를 이용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A first key assembly (450) of a restraint module (400)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cylinder (452), a first key home (453), and a first key lever (454). The first rotating cylinder (452) may be rotated in one direction using a key inserted into the first key home (453).

제 1 회전통(452)의 후방에는 제 1 회전통(452)과 함께 회전하는 제 1 키 레버(454)가 결합될 수 있다. 제 1 키 레버(454)는 구속 플레이트(410)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 1 키 레버(454)는 구속 플레이트(410)에 형성되는 제 1 키 레버 홀(411a)에 삽입될 수 있다.A first key lever (454)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rotary cylinder (452) can be coupled to the rear of the first rotary cylinder (452). The first key lever (454) can be bent toward the restraint plate (410). The first key lever (454) can be inserted into a first key lever hole (411a) formed in the restraint plate (410).

제 1 키 레버(454)는 회전하며 제 1 키 레버 홀(411a)의 내주면의 일부분을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기준으로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 1 회전통(45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키 레버(454)는 제 1 키 레버 홀(411a)의 우측 내면을 가압하여 구속 플레이트(410)를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first key lever (454) can rotate and pressurize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key lever hole (411a). For example, when viewed from the front with reference to FIG. 10, if the first rotary cylinder (452)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first key lever (454) can pressurize the right inner surface of the first key lever hole (411a) to move the restraining plate (410) to the right.

한편, 제 2 키 조립체(460)는 제 1 키 조립체(45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 2 키 조립체(460)는 제 2 회전통(462), 제 2 키홈(463) 및 제 2 키 레버(464)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2 회전통(462), 제 2 키홈(463) 및 제 2 키 레버(464)는 각각 제 1 회전통(452), 제 1 키홈(453) 및 제 1 키 레버(454)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key assembly (46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key assembly (450). That is, the second key assembly (460) may be formed of a second rotating cylinder (462), a second key home (463), and a second key lever (464), and the second rotating cylinder (462), the second key home (463), and the second key lever (464)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rotating cylinder (452), the first key home (453), and the first key lever (454), respectively.

이때, 제 1 키 조립체(450)와 제 2 키 조립체(460)는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구속 플레이트(410)에는 제 2 키 레버(464)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 키 레버 홀(411b)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레버 홀(411a,411b)은 구속 플레이트(410)의 운동 방향(즉, 수평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key assembly (450) and the second key assembly (460) may b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parallel. In addition, a second key lever hole (411b) into which a second key lever (464) may be inserted may be provided in the restraint plate (410). At this time, the lever holes (411a, 411b) may be formed along the movement direction (i.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restraint plate (410).

도 10 및 11의 (c)를 참조하면, 구속 플레이트(410)의 우측 하단에는 구속 돌기(4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속 돌기(420)는 인터록 레버(700)가 제 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인터록 레버(700)의 하단부로 진입하여 인터록 레버(700)의 하측면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c) of FIGS. 10 and 11, a restraint projection (420) may be formed to protrude at the lower right side of the restraint plate (410). When the interlock lever (70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he restraint projection (420) may enter the lower part of the interlock lever (700) and perform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interlock lever (700) in an upward direction.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는 오프버튼(222)을 누르는 외력이 제거되어도, 인터록 레버(700)가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으므로, 차단기본체(200)의 투입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external force pressing the off button (222) is removed, the interlock lever (700) does not move downward, so that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2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pened.

다시 도 5의 확대도 및 도 10을 참조하면, 구속 플레이트(410)는 전면 커버 플레이트(610)의 후방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속 플레이트(410)에는 레버 홀(411a,411b)의 상측에 구속모듈 복귀스프링(440)이 삽입될 수 있는 복귀스프링 홈(415)이 형성될 수 있다. 복귀스프링 홈(415)의 내주면에는 구속 플레이트(410)의 운동방향(즉,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프링 설치부(430)가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the enlarged view of FIG. 5 and FIG. 10, the restraint plate (410) may be installed horizontally movably at the rear of the front cover plate (610). A return spring groove (415)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ver hole (411a, 411b) in the restraint plate (410), into which a restraint module return spring (440) may be inserted. A spring installation portion (430)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i.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restraint plate (41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turn spring groove (415).

스프링 설치부(430)에는 구속모듈 복귀스프링(44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구속모듈 복귀스프링(440)은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전면 커버 플레이트(610)의 후면에는 구속 플레이트(410) 측으로 복귀스프링 지지부(617)가 돌출될 수 있다. 복귀스프링 지지부(617)는 구속 플레이트(410)의 복귀스프링 홈(415)의 일 구간에 삽입되어 구속모듈 복귀스프링(44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A restraint module return spring (440) may be installed in the spring installation portion (430). At this time, the restraint module return spring (440) may be a coil spring. A return spring support portion (617) may protrude toward the restraint plate (410)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cover plate (610). The return spring support portion (617) may be inserted into one section of the return spring groove (415) of the restraint plate (410) to support one side of the restraint module return spring (440).

이에 의해, 구속 플레이트(41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정상상태에서 구속 플레이트(410)는 도 5를 기준으로 우측(인터록 레버(7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외력의 작용(예를 들어, 키 조립체의 키 레버에 의한 힘)에 의해 구속 플레이트(410)가 도 5를 기준으로 좌측(인터록 레버(700)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구속모듈 복귀스프링(440)에 탄성력이 저장될 수 있다. 구속 플레이트(410)에 외력이 제거되면 구속모듈 복귀스프링(440)의 복원력에 의하여 구속 플레이트(410)는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ly, in a normal state where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restraint plate (410), the restraint plate (410) may be moved to the right (away from the interlock lever (700)) based on Fig. 5. When the restraint plate (410) moves to the left (closer to the interlock lever (700)) based on Fig. 5 due to the application of an external force (for example, force by the key lever of the key assembly), elastic force may be stored in the restraint module return spring (440).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from the restraint plate (410), the restraint plate (410) may be moved to the right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straint module return spring (440).

도 5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전면 커버 플레이트(610)의 후측면에는 구속 플레이트(410)의 상측 및 하측에 구속 플레이트(410)의 운동 방향을 따라 제 1 가이드 돌기(614)가 형성될 수 있다. 구속 플레이트(410)는 제 1 가이드 돌기(614)의 내측에 삽입되어 제 1 가이드 돌기(614)에 의하여 가이드되며 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enlarged view of Fig. 5, a first guide protrusion (614) may b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cover plate (610) alo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restraint plate (410)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straint plate (410). The restraint plate (410)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guide protrusion (614) and may move while being guided by the first guide protrusion (614).

또한, 전면 커버 플레이트(610)에는 구속 플레이트(410) 측으로 돌출되는 제 2 가이드 돌기(616)가 형성될 수 있다. 구속 플레이트(410)의 복귀스프링 홈(415)의 일측부에는 구속 플레이트(410)의 운동 방향(즉, 수평 방향)으로 가이드 홀(4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 돌기(616)는 가이드 홀(413)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구속 플레이트(410)가 운동함에 따라, 제 2 가이드 돌기(616)는 가이드 홀(413)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guide protrusion (616) protruding toward the restraint plate (410) may be formed on the front cover plate (610). A guide hole (413)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return spring groove (415) of the restraint plate (410) in the movement direction (i.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restraint plate (410). The second guide protrusion (616)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413). Accordingly, as the restraint plate (410) moves, the second guide protrusion (616) may perform a sliding movement inside the guide hole (413).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 플레이트(410)는 제 1 가이드 돌기(614) 및 제 2 가이드 돌기(616)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며 운동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restraint plate (4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ably guided and moved by the first guide protrusion (614) and the second guide protrusion (616).

한편, 전면 커버 플레이트(610)의 후측면에는 구속 플레이트(410) 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618)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618)는 구속 플레이트(410)가 이동하는 경로상에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a stopper (618) protruding toward the restraint plate (41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cover plate (610). The stopper (618) may be placed on the path along which the restraint plate (410) moves.

예를 들어, 도 5의 확대도를 기준으로, 스토퍼(618)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구속 플레이트(410)의 우측 상단 및 우측 하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618)는 구속 플레이트(410)가 설정된 운동 경로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based on the enlarged view of Fig. 5, there may be a plurality of stoppers (618), and they may be respectively positioned at the upper right and lower right of the restraint plate (410). The stoppers (618) may perform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restraint plate (410) from deviating from the set movement path.

이하에서, 도 11을 참조하며, 구속 플레이트(410), 인터록 레버(700) 및 셔터 플레이트(510)의 상대적인 운동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1,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restraint plate (410), the interlock lever (700), and the shutter plate (5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차단기본체의 오프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투입 상태에서, 인터록 레버(700)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제 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셔터 플레이트(510)는 셔터 돌기(520)가 인터록 레버(700)의 하단부에 의해 걸려 좌측으로 이동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셔터 플레이트(510)의 핸들 삽입 방지부는 인입출 스크류의 공구홈의 일부를 커버하여, 차단기본체(200)의 인입출을 제한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11, in the state where the off button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is not pressed, the interlock lever (700) can be moved downward and positioned in the second position. At this time, the shutter plate (510) cannot be moved to the left because the shutter projection (520) is caught by the lower part of the interlock lever (700). Accordingly, the handle insertion prevention portion of the shutter plate (510) can cover a part of the tool groove of the insertion/withdrawal screw, thereby restricting the insertion/withdrawal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200).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차단기본체의 오프버튼이 눌려지면 인터록 레버(700)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 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셔터 플레이트(510)의 셔터 돌기(520)는 인터록 레버(700)에 의하여 걸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셔터 플레이트(510)는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구속 플레이트(410)에 의해서도 걸리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셔터 플레이트(510)는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b) of Fig. 11, when the off button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is pressed, the interlock lever (700) can move upward and be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At this time, the shutter protrusion (520) of the shutter plate (510) may not be caught by the interlock lever (700). In addition, the shutter plate (510) may not be caught by the restraining plate (410) located at the release position. Therefore, the shutter plate (510) can move to the left.

따라서, 셔터 플레이트(510)는 인입출 스크류의 공구홈을 핸들 홀(511)을 통하여 외측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핸들을 스크류의 공구홈에 결합하여 차단기본체를 인입출 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shutter plate (510) can expose the tool groove of the insertion/extraction screw to the outside through the handle hole (511). Accordingly, the user can insert/extract the blocking body by engaging the handle with the tool groove of the screw.

도 11의 (c)를 참조하면, 구속 플레이트(410)의 구속 돌기(420)는 구속 플레이트(410)가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인터록 레버(700)의 하측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1의 (c)에 도시된 구속 플레이트(410)의 위치를 구속 위치라 한다. Referring to (c) of Fig. 11, the restraint projection (420) of the restraint plate (410) can enter the lower side of the interlock lever (700) as the restraint plate (410) moves to the right. Hereinafter, the position of the restraint plate (410) shown in (c) of Fig. 11 is referred to as the restraint position.

구속 위치에 위치한 구속 돌기(420)는 인터록 레버(700)의 하부를 지지하여 인터록 레버(700)를 제 1 위치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프버튼을 누르는 외력이 사라지더라도 차단기본체의 투입은 방지될 수 있다. The restraining projection (420) located at the restraining position can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interlock lever (700) to fix the interlock lever (700) in the first position. Accordingly, even if the external force pressing the off button disappears,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losed.

또한, 셔터 플레이트(510)의 셔터 돌기(520)는 구속 플레이트(410)의 구속 돌기(420)에 걸려 좌측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셔터 플레이트(510)의 핸들 삽입 방지부는 인입출 스크류의 공구홈을 일부 커버하여, 차단기본체의 인입출을 제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utter projection (520) of the shutter plate (510) can be restricted from moving to the left by being caught by the restraining projection (420) of the restraining plate (410). As a result, the handle insertion prevention portion of the shutter plate (510) can partially cover the tool groove of the insertion/withdrawal screw, thereby restricting the insertion/withdrawal of the blocking body.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구속모듈(400)은 차단기본체(200)의 투입 동작과 인입출을 구속하는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That is, the restraint module (400) of the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implement the function of restraining the closing operation and the withdrawal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2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조립체는 구속 플레이트를 구속 위치로 이동시킨 후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구속모듈은 차단기본체의 투입 동작과 인입출이 구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 key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a restraining plate to a restraining position and then fix the position. Accordingly, the restraining module of an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closing operation and the insertion/withdrawal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are restrained.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조립체 및 구속 플레이트를 이송모듈측에서 커버 플레이트측 방향으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2는 제 1 및 제 2 키 조립체가 모두 해제 상태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제 1 키 조립체는 잠금 상태이고 제 2 키 조립체는 해제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제 1 키 조립체는 해제 상태이고 제 2 키 조립체는 잠금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제 1 및 제 2 키 조립체 모두 잠금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S. 12 to 15 are drawing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key assembly and a restraint plate are viewed from the transfer module side toward the cover plate si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drawing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both the first and second key assemblies are in an unlocked state, FIG. 13 is a drawing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first key assembly is in a locked state and the second key assembly is in an unlocked state, FIG. 14 is a drawing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first key assembly is in an unlocked state and the second key assembly is in a locked state, and FIG. 15 is a drawing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both the first and second key assemblies are in a locked state.

도 12를 참조하면, 구속모듈(400)은 해제된 상태로서 제 1 키 조립체(450)와 제 2 키 조립체(460)는 모두 해제 상태이다. 도 12를 기준으로 제 1 키 레버(454)와 제 2 키 레버(464)는 모두 우측으로 이동되어 있으므로, 구속 플레이트(410)는 키 레버(454,464)에 의하여 위치 고정되지 않은 채 구속모듈 복귀스프링(440)의 복원력에 의하여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구속 플레이트(410)는 인터록 레버(700)의 운동 및 셔터 플레이트(510)의 운동을 제한할 수 없다.Referring to FIG. 12, the restraint module (400) is in a released state, and both the first key assembly (450) and the second key assembly (460) are in a released state. With reference to FIG. 12, both the first key lever (454) and the second key lever (464) are moved to the right, so that the restraint plate (410) can be moved to the right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straint module return spring (440) without being fixed in position by the key levers (454, 464). That is, the restraint plate (410) cannot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interlock lever (700) and the movement of the shutter plate (510).

도 13을 참조하면, 제 1 키 조립체(450)는 잠금 상태이고 제 2 키 조립체(460)는 해제 상태이다. 도 13을 기준으로 제 2 키 레버(464)가 우측으로 이동되어 있으나, 제 1 키 레버(454)는 좌측으로 이동되어 있으므로, 구속 플레이트(410)는 제 1 키 레버(454)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이 제한된다. 즉, 구속 플레이트(410)는 구속 위치에 위치 고정되어 인터록 레버(700)의 운동 및 셔터 플레이트(510)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first key assembly (450) is in a locked state and the second key assembly (460) is in an unlocked state. With reference to FIG. 13, the second key lever (464) has moved to the right, but the first key lever (454) has moved to the left, so the restraining plate (410) is restricted from moving to the right by the first key lever (454). That is, the restraining plate (410) is fixed in a restraining position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interlock lever (700) and the movement of the shutter plate (510).

도 14를 참조하면, 제 1 키 조립체(450)는 해제 상태이고 제 2 키 조립체(460)는 잠금 상태이다. 도 14를 기준으로 제 1 키 레버(454)가 우측으로 이동되어 있으나, 제 2 키 레버(464)는 좌측으로 이동되어 있으므로, 구속 플레이트(410)는 제 2 키 레버(464)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이 제한된다. 즉, 구속 플레이트(410)는 구속 위치에 위치 고정되어 인터록 레버(700)의 운동 및 셔터 플레이트(510)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first key assembly (450) is in an unlocked state and the second key assembly (460) is in a locked state. With reference to FIG. 14, the first key lever (454) has moved to the right, but the second key lever (464) has moved to the left, so that the restraint plate (410) is restricted from moving to the right by the second key lever (464). That is, the restraint plate (410) is fixed in a restrained position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interlock lever (700) and the movement of the shutter plate (510).

도 15를 참조하면, 구속모듈(400)은 해제된 상태로서 제 1 키 조립체(450)와 제 2 키 조립체(460)는 모두 잠금 상태이다. 도 15를 기준으로 제 1 키 레버(454)와 제 2 키 레버(464)는 모두 좌측으로 이동되어 있으므로, 구속 플레이트(410)는 키 레버(454,464)에 의하여 구속 위치에 위치 고정되어 우측으로 이동될 수 없다. 즉, 구속 플레이트(410)는 인터록 레버의 운동 및 셔터 플레이트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restraint module (400) is in a released state, and both the first key assembly (450) and the second key assembly (460) are in a locked state. Based on FIG. 15, both the first key lever (454) and the second key lever (464) are moved to the left, so the restraint plate (410) is fixed in a restraint position by the key levers (454, 464) and cannot be moved to the right. That is, the restraint plate (410) can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interlock lever and the movement of the shutter plate.

도 12와 같이 키 조립체(450,460)가 모두 해제된 경우를 제외하고, 도 13 내지 도 15와 같이 어느 하나 이상의 키 조립체(450,460)가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 인터록 레버의 하강 운동이 제한되어 오프버튼은 누름 상태를 유지하므로 투입 작용이 방지되고, 셔터 플레이트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차단기본체의 인입출은 방지된다.Except for the case where all key assemblies (450, 460) are released as shown in Fig. 12, when one or more key assemblies (450, 460) are in a locked state as shown in Figs. 13 to 15,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interlock lever is restricted, the off button remains pressed, thus preventing the insertion operation, and the movement of the shutter plate is restricted, thus preventing the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제 1 키 조립체(450)와 제 2 키 조립체(460)는 적절한 용도와 방식으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제 1 키 조립체(450)와 제 2 키 조립체(460)는 병행 사용뿐만 아니라 독자적인 사용도 가능할 수 있다. The first key assembly (450) and the second key assembly (460) can be combined and used in an appropriate manner and for an appropriate purpose. That is, the first key assembly (450) and the second key assembly (460) can be used independently as well as in parallel.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는 구속 플레이트를 잠금 위치에 위치시켜 인터록 레버와 셔터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한시킴으로써, 차단기본체의 투입 동작과 인입출을 구속하는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는 작동 수단을 이용하여 구속 플레이트를 잠금 위치에 위치 고정시킴으로써, 차단기본체의 투입 동작과 인입출이 구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implement the function of restricting the closing operation and the insertion/withdrawal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by positioning the restraining plate in the locked position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interlock lever and the shutter plate. Furthermore, the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closing operation and the insertion/withdrawal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in a restricted state by positioning and fixing the restraining plate in the locked position using an operating mean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중차단기는 이송모듈의 외면을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구속 플레이트를 배치시키되, 외측면에 구속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작동 수단을 위치시키고, 커버 플레이트에 작동 수단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커버 플레이트를 탈착시키지 않고도 작동 수단을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으므로, 작동 수단의 유지,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여 고객의 요구를 즉각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In addition, an air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a restraint plate on the inner surface of a cover plate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a transport module, and positions an operating means for moving the restraint plate on the outer surface, and an accommodation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operating means is formed in the cover plate, so that the operating means can be easily separated without detaching the cover plate, thereby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and replacement of the operating means, thereby immediately reflecting customer need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easily propose other embodiments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but this will also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기중차단기 3: 하우징
4: 핸들 100: 크래들
110: 크래들 몸체 111: 입출구
120: 크래들 터미널 200: 차단기본체
210: 중앙 몸체 220: 개폐기구부
230: 소호부 240: 주축
300: 이송모듈 310: 베이스 플레이트
320: 상측 커버 플레이트 330: 인입출 스크류
340: 위치표시 스크류 400: 구속모듈
410: 구속 플레이트 420: 구속 돌기
430: 스프링 설치부 440: 구속모듈 복귀스프링
450 460: 키 조립체 500: 셔터모듈
510: 셔터 플레이트 520: 셔터 돌기
530: 스프링 고정부 540: 셔터모듈 복귀스프링
600: 전면 커버 610: 전면 커버 플레이트
620: 수용홈 커버 부재 700: 인터록 레버
710: 돌출부 720: 인터록 레버 복귀스프링
1: Air circuit breaker 3: Housing
4: Handle 100: Cradle
110: Cradle body 111: Entry/exit
120: Cradle terminal 200: Circuit breaker main body
210: Central body 220: Opening mechanism
230: Sohobu 240: Main axis
300: Transfer module 310: Base plate
320: Top cover plate 330: Inlet/outlet screw
340: Positioning screw 400: Restraint module
410: Restraint plate 420: Restraint lug
430: Spring installation part 440: Restraint module return spring
450 460: Key assembly 500: Shutter module
510: Shutter plate 520: Shutter projection
530: Spring fixing part 540: Shutter module return spring
600: Front cover 610: Front cover plate
620: Receiving home cover absence 700: Interlock lever
710: Protrusion 720: Interlock lever return spring

Claims (16)

일측면이 개방된 크래들;
상기 크래들의 일측면으로 인입출되는 차단기본체;
상기 차단기본체의 버튼에 연결되어 상기 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는 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 2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인터록 레버;
상기 크래들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기본체를 인입출시키는 이송 모듈; 및
상기 이송 모듈의 전방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잠금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인터록 레버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 고정시키고, 해제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인터록 레버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구속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구속 모듈;
상기 이송 모듈의 외면을 커버하되 홀이 형성된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이송 모듈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홀을 개폐하는 셔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 모듈은 상기 잠금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기 홀을 폐쇄하는 위치에 상기 셔터 플레이트를 위치 고정시키고,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셔터 플레이트의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기 홀을 개폐하는 운동을 허용하는, 기중차단기.
Cradle with one open end;
A circuit breaker main body that is inserted and removed from one side of the above cradle;
An interlock lever connected to a button of the above circuit breaker body and formed so as to be positioned at a first position when the button is pressed and at a second position when the button is not pressed;
A transport module provided in the above cradle for introducing and withdrawing the above circuit breaker body; and
A restraint module having a restraint plate movably installed in front of the transport module, the restraint plate fixing the interlock lever in the first position when in the locked position and allowing the interlock lever to mov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when in the unlocked position;
A cover plate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above transport module, wherein a hole is formed; and
A shutter plate positioned between the above transport module and the above cover plate and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hole of the above cover plate,
An air circuit breaker in which the above restraint module, when moved to the locking position, fixes the shutter plate in a position to close the hole of the cover plate, and when moved to the releasing position, allows the shutter plate to move to open and close the hole of the cover pla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모듈은 상기 구속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작동 수단을 포함하는, 기중차단기.
In paragraph 1,
An air circuit breaker, wherein the restraint module comprises an operating means for moving the restraint plat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상기 작동 수단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상기 구속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기중차단기.
In the third paragraph,
An air circuit breaker, wherein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operating means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and the restraining plate is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은 키 조립체인, 기중차단기.
In paragraph 4,
The above operating means is a key assembly, an air circuit break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키 조립체가 관통할 수 있는 키 조립체 홀이 형성되는, 기중차단기.
In paragraph 5,
An air circuit breaker, wherein a key assembly hole through which the key assembly can penetrat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groo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구속 플레이트의 양 측부에 상기 구속 플레이트의 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기중차단기.
In paragraph 1,
An air circuit breaker, wherein the cover plate has first guide project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straint plate alo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restraint pl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구속 플레이트 측으로 돌출되는 제 2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구속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구속 플레이트의 운동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기중차단기.
In paragraph 1,
The above cover plate is formed with a second guide projection protruding toward the restraint plate,
An air circuit breaker, wherein the second guide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restraint plate and a guide groove is formed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restraint plat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수용홈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가 설치되는, 기중차단기.
In paragraph 4,
An air circuit breaker, wherein a cover member covering the receiving groove is installed on the cover pl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레버의 운동 방향과 상기 구속 플레이트의 운동 방향은 서로 수직하는, 기중차단기.
In paragraph 1,
An air circuit breaker in whic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interlock lever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restraint plate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플레이트에는 상기 구속 플레이트를 일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이 설치되는 스프링 설치부가 마련되는, 기중차단기.
In paragraph 1,
An air circuit breaker, wherein the restraint plate is provided with a spring installation section in which a return spring is installed to provide elastic force for returning the restraint plate to one 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플레이트에는 상기 인터록 레버의 운동을 제한 또는 허용하는 구속 돌기가 상기 인터록 레버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기중차단기.
In paragraph 1,
An air circuit breaker, wherein a restraining projection for restricting or allowing movement of the interlock lever is formed protruding toward the interlock lever on the restraining plat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돌기는 상기 잠금 위치 상태에서 상기 인터록 레버를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 방향으로 상기 인터록 레버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기중차단기.
In Article 12,
An air circuit breaker in which the above-mentioned restraint projection supports one side of the interlock lever from the second position toward the first position in the locked posi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키 조립체는,
키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통; 및
상기 회전통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통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구속 플레이트를 가압하여 운동시키는 키 레버를 포함하는, 기중차단기.
In paragraph 5,
The above key assembly is,
A rotary cylinder rotated by a key; and
An air circuit breaker comprising a key lev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cylinder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ting cylinder to pressurize and move the restraining plat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키 레버는 상기 구속 플레이트 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구속 플레이트에는 상기 키 레버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키 레버 홀이 상기 구속 플레이트의 운동 방향으로 형성되는, 기중차단기.
In Article 14,
The above key lever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restraint plate,
An air circuit breaker, wherein a key lever hole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restraint plate so that the key lever can be inserted and rotat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키 조립체는 2개가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한쌍의 키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위치에 위치시 상기 구속 플레이트를 상기 잠금 위치에 위치 고정시키는 , 기중차단기.
In paragraph 5,
The above key assembly is provided in pairs of two.
An air circuit break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air of key assemblies is positioned at a specific position to secure the restraint plate in the locked position.
KR1020220002656A 2021-03-29 2022-01-07 Air circuit breaker Active KR1026982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656A KR102698247B1 (en) 2022-01-07 2022-01-07 Air circuit breaker
PCT/KR2022/004102 WO2022211360A1 (en) 2021-03-29 2022-03-24 Air circuit breaker
CN202280022577.5A CN116997985A (en) 2021-03-29 2022-03-24 Air circuit breaker
US18/284,773 US20240186082A1 (en) 2021-03-29 2022-03-24 Air circuit br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656A KR102698247B1 (en) 2022-01-07 2022-01-07 Air circuit bre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921A KR20230106921A (en) 2023-07-14
KR102698247B1 true KR102698247B1 (en) 2024-08-22

Family

ID=87155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656A Active KR102698247B1 (en) 2021-03-29 2022-01-07 Air circuit break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98247B1 (en)
CN (1) CN11699798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382B1 (en) * 2007-03-08 2008-08-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Circuit break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382B1 (en) * 2007-03-08 2008-08-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Circuit br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921A (en) 2023-07-14
CN116997985A (en) 2023-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08868B1 (en) Enclosed switchboard
US5486978A (en) Draw-out circuit breaker unit with coordinated cable interlock and shutter
EP2267852B1 (en) Device for preventing withdrawing and inserting of a circuit breaker
EP3016223B1 (en) Cradle with a door interlock device for a withdrawable vacuum circuit breaker
US8523599B2 (en) Plug device having a closure unit
CN104471806B (en) Switching device
KR101993450B1 (en) Releasing Device of Door Interlock of Circuit Breaker
CN107872027B (en) Interlock device for preventing closing during insertion or withdrawal of a circuit breaker in a switchboard
EP3518359B1 (en) Switchgear
EP2980827B1 (en) Panel board to circuit breaker positive retention interlock
JPS6339405A (en) Enclosed switchboard
CA2829851C (en) Flexible cover for contacts of a plug-in or withdrawable unit
US5936214A (en) Apparatus for restricting operation of push buttons on electric switching apparatus
KR102698247B1 (en) Air circuit breaker
US201702366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king a circuit breaker
EP1983624B1 (en) Support and extension rail assembly
CN113711451B (en) Distribution board with position locking device
US5381119A (en) Circuit breaker trip unit interlock
KR102727477B1 (en) Circuit Breaker having Interlock Device for Drawing-In And Drawing-Out
US20240186082A1 (en) Air circuit breaker
EP3453041B1 (en) Combination of a panel for accommodating a draw-out device and the draw-out device
US3052769A (en) Fusible plug-in device
JP7660977B2 (en) Electrical equipment storage box
KR100954557B1 (en) Multi switchboard with two-stage entry / exit structure
KR102786453B1 (en) Door Interlock Device of Distribution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