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7752B1 - Folding pallet for export - Google Patents

Folding pallet for ex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7752B1
KR102697752B1 KR1020220103960A KR20220103960A KR102697752B1 KR 102697752 B1 KR102697752 B1 KR 102697752B1 KR 1020220103960 A KR1020220103960 A KR 1020220103960A KR 20220103960 A KR20220103960 A KR 20220103960A KR 102697752 B1 KR102697752 B1 KR 102697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weight
link
parts
bottom fl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9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025834A (en
Inventor
김창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일수출포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일수출포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일수출포장
Priority to KR1020220103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7752B1/en
Publication of KR20240025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8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7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775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2Collapsible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6Pallets comprising a flexible load carrier extending between guide elements, e.g. guide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2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65D2519/0051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skelet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65D2519/00532Fram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크 받침용 사각 바텀플로어; 상기 바텀플로어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바텀플로어를 지지하는 다수의 서포트블록; 상기 바텀플로어의 네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다수의 기립(起立)형 포스트; 상기 각 포스트 중 서로 마주하는 포스트 끼리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링크; 및 상기 바텀플로어와 상기 포스트의 하단을 상호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홀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각 링크는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케 연결되는 두 링크분체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함으로써, 수납성이 우수하여 포장 시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기에 수출 증대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수출용 폴딩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pallet for export, comprising: a square bottom floor for supporting a fork; a plurality of support blocks for supporting the bottom floor so that the bottom floor is spaced from the ground; a plurality of upright posts arranged in four corner areas of the bottom floor; a plurality of links for interconnecting posts facing each other among the respective posts; and a holding means for mutually connecting and separating the bottom floor and the lower ends of the posts; wherein each link is implemented to be made of two link parts rotatably connected by a hinge, thereby enabling excellent storability and minimizing the volume during packaging, thereby greatly contributing to increasing exports.

Description

수출용 폴딩 파레트{FOLDING PALLET FOR EXPORT}FOLDING PALLET FOR EXPORT

본 발명은 적재 또는 운반 대상 물품을 보관 또는 운반할 때 사용하는 파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딩이 가능하여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기에 수출 시 포장 부피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수출용 폴딩 파레트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llet used when storing or transporting an object to be loaded or transport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for a folding pallet for export that can be folded to minimize its size and thus significantly reduce the packaging volume when exporting.

일반적으로, 각종 물품의 생산 현장 및 물품 보관창고 등에서는 원료제품이나 반제품 또는 완제품의 적재나 운반 시에 그 적재 대상 또는 운반 대상 물품을 받침대(또는 적재대)로서의 파렛트 상에 올려놓은 상태로 물품의 보관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파렛트에 적재된 상태의 물품을 파렛트와 함께 지게차 등의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운반하고 있다.In general, in production sites and warehouses for various goods, when loading or transporting raw materials, semi-finished products or finished products, the goods are stored by placing them on pallets as a support (or loading platform), or the goods loaded on pallets are transported together with the pallets using a transport means such as a forklift.

이와 같은 팔레트는 설계 시 수백 킬로그램(kg)에서 수 톤(ton)에 달하는 화물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강도로 설계함과 동시에, 그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중량을 경량화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 및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Pallets like these are designed to have a certain strength so that they can support cargo weights ranging from hundreds of kilograms (kg) to several tons, and research and efforts are actively being conducted to reduce the weight while maintaining the strength.

이러한 파레트에 관한 기술로는,The technology for these palettes is: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87566호 (2010.10.06.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조립식 파레트』가 제시되어 있는 바,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87566 (registered on October 6, 20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1') discloses an 'assembly-type pallet'.

문헌 1은 상부면상 또는, 하부면상에 끼움판에 의해 끼움 공간이 형성된 제1결합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세로부재와, 하부면상에 제1결합부와 동일한 형태의 제2결합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로부재와, 세로부재의 위나 또는, 아래에 가로부재가 직교되게 결합시키기 위해 제1결합부의 끼움공간 및 제2결합부의 끼움공간으로 삽입되는 정방형의 상부끼움판 및 하부끼움판이 기둥판에 의해 이격된 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이때, 세로부재의 내부 빈공간은 격자 형태의 사각틀로 형성되고, 세로부재의 중심축 상에는 원형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원형틀의 사방에는 사각틀로 연장되는 리브가 형성되고, 사각틀 중에서 사이드사각틀의 내부에는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서로 교차되는 리브나, 또는 각봉 및 환봉 등이 삽입될 수 있으며, 또한, 가로부재의 상부면상 가장자리선상에는 볼트의 머리가 아래를 향하도록 거꾸로 매립되는 설치홈이 형성되어 거꾸로 매립된 볼트의 나사부에 벽부재가 결합되어 박스 형태로 조립될 수도 있으므로, 제1결합부, 제2결합부 및 브라켓의 내측면 상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공차에 의한 유격을 없애고, 부재들 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파레트에 관한 기술이다.Document 1 comprises a bracket in which a first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longitudinally in a vertical member having an insertion space formed by an insertion plate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a second connecting portion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longitudinally on a lower surface, and a square upper connecting plate and a lower connecting plate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insertion space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to orthogonally connect the horizontal members above or below the vertical members, and are separated by a pillar plate. At this time, the internal empty space of the vertical member is formed as a lattice-shaped square frame, a circular frame is formed longitudinally on the central axis of the vertical member, ribs extending to the square frame are formed on all sides of the circular frame, and among the square frames, ribs, or square bars and round bars that intersect each other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ide square frames to enhance durability. In addition, an installation groove is formed on an edge li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in which the head of a bolt is buried upside down, so that the head of the bolt buried upside down is This is a technology for an assembly pallet in which a number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a first joint portion, a second joint portion, and a bracket so that a wall member can be joined to a screw portion and assembled in a box shape, thereby eliminating a gap due to tolerance and preventing separation between members.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10977호 (2017.12.14.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조립식 철재 파렛트』가 제시되어 있는 바,As another technology,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10977 (registered on December 14, 2017,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2') 'Assembly-type steel pallet' is presented.

문헌 2는 상면 또는 하면에 다수 개의 결합홈이 형성된 'ㅁ'자 형상의 외곽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측에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다수 개의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판 및 하판과, 상기 상판 및 하판의 외곽프레임에 형성된 결합홈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판을 지지하는 환봉 형상의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철재 프레임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파렛트의 무게를 최소화하면서도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단순한 구조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여 현장에서 직접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철재 파렛트에 관한 기술이다.Document 2 is a technology regarding an assembly-type steel pallet, which comprises an outer frame in the shape of the letter 'ㅁ' having a plurality of joining grooves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includ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and vertical members installed so as to intersect each other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frame, and a supporting member in the shape of a round bar that is conne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joining grooves formed on the outer frame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to support the upper plate, thereby minimizing the weight of the pallet formed by combining steel frames while reinforcing the supporting force, and at the same time having a simple structure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so that it can be directly combined and used on site.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76485호 (2019.05.02.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3'이라고 함) 『분해조립 및 운반적재가 용이한 팔레트』가 제시되어 있는 바,Another technology is present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76485 (registered on May 2, 2019,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3”), titled “Palette for Easy Disassembly and Assembly and Transport Loading.”

문헌 3은 바닥면에 접촉지지되는 하판과, 하판에 하측이 끼움결합되는 복수의 기둥과, 하판과 평행하도록 기둥의 상측이 끼움결합되는 중판과, 중판에 직교되도록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되, 상기 기둥은, 제1기둥과 제2기둥의 암수결합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기둥은, 일측 끝단에 외측결합편이 절곡형성되고, 타측 끝단에 내측결합편이 절곡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제1기둥의 외측결합편과 제2기둥의 내측결합편간의 끼움결합 및, 제2기둥 내측결합편과 제2기둥 외측결합편간의 끼움결합에 의해, 수직 강도를 보강하는 이중 지주가 구비되면서 제1,2기둥이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수출 시 선적이 용이하도록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부품의 적재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하여 수출 선적물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분해조립 및 운반적재가 용이한 팔레트에 관한 기술이다.Document 3 is a technology regarding a pallet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nd transport, including a lower plate that is supported by contacting a floor surface, a plurality of columns whose lower sides are fit-joined to the lower plate, a middle plate whose upper sides of the columns are fit-join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lower plate, and an upper plate that is installed orthogonal to the middle plate, wherein the columns are integrally formed by male-female joints between a first column and a second column, and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are configured such that an outer joint piece is folded and formed at one end and an inner joint piece is folded and formed at the other end, so that a double support that reinforces vertical strength is provided by the fit-joint between the outer joint piece of the first column and the inner joint piece of the second column and the fit-joint between the inner joint piece of the second column and the outer joint piece of the second column, thereby making it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for easy shipment during export, and minimizing the loading volume of parts so as to increase the export shipment volume.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문헌 1 내지 3에서와 같이, 파레트의 각 부품 일체를 부품별로 포장하여 운반, 보관 및 수출한 후, 현지 또는 사용처에서는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팔레트가 개발되고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파레트 자체를 수출할 경우, 한 번에 많은 양의 물량이 선적될 수 없어 포장 부피에 따른 포장비와 운송비가 상승하게 되고, 제품 단가가 상승하게 되어, 현지의 실수요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줄 뿐 아니라, 국가의 수출산업발전에 따른 수출물량을 증대시킬 수 없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As in Documents 1 to 3 consisting of the above configurations, an assembly-type pallet has been developed in which each part of the pallet is individually packaged, transported, stored, and exported, and then assembled and used locally or at the place of use. However, not only is its structure complex, but if the pallet itself is exported, a large quantity cannot be shipped at one time, so the packaging cost and transportation cost according to the packaging volume increase, and the unit price of the product increases, which not only places an economic burden on local end users, but also makes it impossible to increase the export volume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s export industry, and so there are various problems.

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87566호 (2010.10.06.등록)Literature 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987566 (Registered on October 6, 2010) 문헌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10977호 (2017.12.14.등록)Literature 2.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10977 (Registered on December 14, 2017) 문헌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76485호 (2019.05.02.등록)Document 3.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976485 (Registered on May 2, 2019)

본 발명은 파레트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고, 특히 연결용 부재인 링크를 폴딩시켜 수납성을 높인 수출용 폴딩 파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lding pallet for export in which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allet can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and in particular, link, which is a connecting member, is folded to increase storage capacity.

나아가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 간의 연결 부위에 대한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수출용 폴딩 파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export folding pallet capable of increasing the fixing strength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each component.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폴딩 파레트는,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folding pallet for ex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포크 받침용 사각 바텀플로어;Square bottom floor for fork support;

상기 바텀플로어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바텀플로어를 지지하는 다수의 서포트블록;A plurality of support blocks supporting the bottom floor so that the bottom floor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상기 바텀플로어의 네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다수의 기립(起立)형 포스트;A plurality of standing posts arranged in the four corner areas of the above bottom floor;

상기 각 포스트 중 서로 마주하는 포스트 끼리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링크; 및A number of links interconnecting each of the above posts; and

상기 바텀플로어와 상기 포스트의 하단을 상호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홀딩수단;A holding means for mutually connecting and separating the bottom floor and the lower part of the post;

을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각 링크는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케 연결되는 두 링크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above links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two link parts that are rotatably connected by a hinge.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폴딩 파레트는,The folding pallet for ex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수납성이 우수하여 포장 시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기에 수출 증대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It has the greatest effect of contributing greatly to increasing exports because it has excellent storability and can minimize volume when packag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폴딩 파레트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 구성도,
도 4는 링크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 구성도,
도 5는 링크의 결합 구조 및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록킹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8 내지 도 10은 서브링크 및 이의 결합 및 동작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 구성도,
도 11은 중계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단면 구성도.
Figure 1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olding pallet for ex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ain body for “A” of Figure 2.
Figure 4 is a front view diagram to show the link.
Figure 5 is a front view diagram showing the link's joint structure and the ability to adjust the height up and down.
Figures 6 and 7 are three-dimensional diagrams showing the locking means.
Figures 8 to 10 are front configuration diagrams for showing the sub-link and its coupling and operating status.
Figure 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relay mean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that conform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ed example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도 2를 기준으로 바텀플로어 측을 하부 또는 하방, 포스트 측을 상부 또는 상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Based on Figure 2, the bottom floor side is designated as the lower or downward direction, and the post side is designated as the upper or upward direction.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폴딩 파레트는,As shown in Figures 1 to 11, the folding pallet for ex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크게 바텀플로어(10), 서포트블록(20), 포스트(30), 링크(40), 홀딩수단(50)으로 이루어진다.It is largely composed of a bottom floor (10), a support block (20), a post (30), a link (40), and a holding means (50).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Let's look at each configuration:

상기 바텀플로어(10)는The above bottom floor (10)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1 to 3,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어 받치게 되는 것으로, 상부에 적재물이 안착되도록 사각 구조로 이루어진다.It is designed to have a square structure so that the fork of the forklift is inserted and supported, and the load can be placed on top.

이때 사각 판재로 구현할 수도 있으나, 경량화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좌우로 둘 이상의 긴 블록을 이용해 사각을 이루도록 배치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이렇게 배치된 각 블록은 상기 서포트블록(2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고정된다.At this time, it can be implemented as a square board, but to make it lightweight and easy to assemble, it can also be implemented by arranging two or more long blocks on the left and right to form a square. Each block arranged in this way is connected and fixed to each other by the support block (20).

상기 서포트블록(20)은The above support block (20)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1 to 3,

상기 바텀플로어(1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바텀플로어(10)를 지지하도록 전후로 긴 블록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바텀플로어(10)를 이루는 각 블록에 대해 교차되는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된다.The bottom floor (10) is formed as a long block structure in the front and rear to support the bottom floor (10) while being spaced from the ground, and a plurality of blocks are provided by being arranged in an intersecting manner for each block forming the bottom floor (10).

이때 상기 바텀플로어(10)와 상기 각 서포트블록(20)은 볼팅 등에 의해 상호 조립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ttom floor (10) and each support block (20) can be mutually assembled by bolting or the like.

상기 포스트(30)는The above post (30)

도 1 내지 도 5,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1 to 5 and Figures 8 to 10,

상기 바텀플로어(10)의 네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며 기립(起立)형 기둥 구조로 이루어져, 다수 개가 구비되는데, 특히 상기 바텀플로어(10)의 네 모서리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도록 최소 4개가 구비되며, 적재 물품의 종류나 크기 등에 따라 이들 사이사이에 더 구비될 수도 있다.It is arranged in the four corner areas of the bottom floor (10) and is composed of an upright column structure, and is provided in multiple pieces. In particular, at least four pieces are provided so that they can be arranged in each of the four corner areas of the bottom floor (10), and additional pieces may be provided between them depending on the type or size of the loaded goods.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각 포스트(30)에는 상기 플랜지(41)가 상하로 슬라이딩 되게 삽입되는 레일라인(31)이 형성되며, 상기 각 포스트(30)에는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외벽에서 상기 레일라인(31)까지 관통되는 다수의 조절공(32)이 형성된다.And as shown in Fig. 5, a rail line (31) is formed in each of the posts (30) into which the flange (41) is inserted to slide up and down, and a number of adjustment holes (32) are formed in each of the posts (30) at a certain interval up and down and penetrating from the outer wall to the rail line (31).

상기 링크(40)는The above link (40)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4 to 8,

상기 각 포스트(30) 중 서로 마주하는 포스트(30) 끼리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This is for connecting the posts (30) facing each other among the above posts (30).

바(bar) 구조로 이루어져, 다수 개가 구비되는데, 특히 상기 각 포스트(30) 중 서로 마주하는 포스트(30) 끼리를 상호 연결함에 따라 상기 각 포스트(30)가 최소 4개가 구비되는 경우, 최소 2개의 링크(40)가 구비될 수 있고, 이때 도 10에서와 같이 2개의 마주한 포스트(30)에 상하로 2개 이상의 링크(40)가 구비될 수도 있다.It is composed of a bar structure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m. In particular, when at least four of the above posts (30) are provided by connecting the posts (30) facing each other among the above posts (30), at least two links (40) can be provided, and at this time, as in FIG. 10, two or more links (40) can be provided above and below two facing posts (30).

이때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각 링크(40)는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케 연결되는 두 링크분체(40A, 40B)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두 링크분체(40A, 40B)는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여 일정 각도로 접어 보관 및 포장이 가능하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4 and 6, each link (40) is composed of two link parts (40A, 40B) that are rotatably connected by a hinge. As a result, the two link parts (40A, 40B) can be rotated based on the hinge, and can be folded at a certain angle for storage and packaging.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각 링크(40)에서 서로 힌지 결합된 두 링크분체(40A, 40B) 중 하나의 링크분체(40B) 단부에 다른 하나의 링크분체(40A) 회동 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4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43)는 일정 각도로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회동된 다른 하나의 링크분체(40A)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6, in each link (40), a stopper (43) is formed at the end of one link body (40B) among the two link bodies (40A, 40B) hinge-coupled to each other to limit the rotation angle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the other link body (40A) rotates. At this time, since the stopper (43) is formed with a structure inclined at a certain angle, it can stably support the other link body (40A) that is rotated.

그리고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각 링크(40)의 두 링크분체(40A, 40B) 양단에는 상기 레일라인(31)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되게 삽입되도록 확경된 플랜지(41)가 형성된다.And as shown in FIGS. 4 and 6, a flange (41)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two link parts (40A, 40B) of each link (40) so as to be inserted so as to slide up and down along the rail line (31).

아울러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플랜지(41)에는 상기 각 조절공(32) 중 하나의 조절공(32)을 지난 볼트가 체결되는 나선홈(42)이 형성된다. 결국 상기 포스트(30)에 상기 링크(40)의 상하 높낮이 조절은 물론, 조절 완료 후 고정 및 이의 해제가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a spiral groove (42) is formed in the flange (41) to which a bolt passing through one of the adjustment holes (32) is fasten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ink (40) up and down on the post (30), as well as fix it and release it after the adjustment is completed.

상기 홀딩수단(50)은The above holding means (50)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2 and 3,

상기 바텀플로어(10)와 상기 포스트(30)의 하단을 상호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For mutually connecting and separating the bottom of the above bottom floor (10) and the bottom of the above post (30),

상기 바텀플로어(10)의 네 모서리 영역에 하방 요입되게 형성되는 탑인서트홈(51A),A top insert home (51A) formed downwardly in the four corner areas of the bottom floor (10) above,

상기 각 서포트블록(20)에서 상기 탑인서트홈(51A) 하부 측 영역에 상기 탑인서트홈(51A)과 상하 연통되면서 내측으로 편심되도록 하방 요입되게 형성되는 바텀인서트홈(51B),In each of the above support blocks (20), a bottom insert home (51B) is formed in a lower area of the top insert home (51A) so as to be eccentrically inserted downward while being in vertical communication with the top insert home (51A).

상기 각 포스트(3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탑인서트홈(51A)과 상기 바텀인서트홈(51B)을 차지하는 형태로 삽입되는 인서트(52),An insert (52) formed at the bottom of each of the above posts (30) and inserted in a form that occupies the top insert home (51A) and the bottom insert home (51B),

상기 바텀플로어(10) 내부에 상기 포스트(30) 측으로 개구(開口) 되게 형성되는 리세스(53A),A recess (53A) formed inside the bottom floor (10) so as to be open toward the post (30),

상기 리세스(53A)에 슬라이딩 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54),A slider (54) arranged to slide in the above recess (53A),

상기 리세스(53A)의 내벽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연장리세스(53B),An extension recess (53B)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wall of the above recess (53A),

상기 슬라이더(54)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리세스(53B)에 삽입되는 가이드(55),A guide (55) connected to the above slider (54) and inserted into the above extension recess (53B),

상기 리세스(53A)의 내벽과 상기 슬라이더(54) 사이에 개재(介在)되어 상기 슬라이더(54) 측으로 탄성 발휘하는 스프링(56),A spring (56)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recess (53A) and the slider (54) and exerting elasticity toward the slider (54),

상기 바텀플로어(10)에서 상기 연장리세스(53B)를 교차하는 형태로 지나가도록 상하 관통되는 핀삽입공(57A),A pin insertion hole (57A) that passe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arts in a form that intersects the extension recess (53B) in the bottom floor (10).

상기 가이드(55)에서 상기 핀삽입공(57A)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 관통되는 대응핀삽입공(57B),A corresponding pin insertion hole (57B) that penetrates upward and downw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in insertion hole (57A) in the above guide (55),

상기 핀삽입공(57A)을 지나 상기 대응핀삽입공(57B)에 삽입되는 홀딩핀(58), 그리고A holding pin (58)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pin insertion hole (57B) through the above pin insertion hole (57A), and

상기 홀딩핀(58) 제거 시 압축되어 있던 상기 스프링(56)이 복원되면서 상기 슬라이더(54)가 전진할 때에 상기 슬라이더(54)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인서트(52)에 형성되는 홀딩홀(59)A holding hole (59) formed in the insert (52) so that the end of the slider (54) is inserted when the spring (56) that was compressed is restored when the holding pin (58) is removed and the slider (54) moves forward.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t consists of including:

이때 도 3의 [나]에서와 같이, 상기 인서트(52)는 상기 탑 및 바텀 인서트홈(51A, 51B)에 삽입 안착된 상태에서 일부 영역이 상기 서포트블록(20)의 상부면에 지지됨에 따라 좀 더 안정적으로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in [B] of Fig. 3, the insert (52) can maintain a more stable standing state as some areas are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20) while being inserted and seated in the top and bottom insert homes (51A, 51B).

따라서 도 3의 [가]에서와 같이, 상기 홀딩핀(58)을 이용해 상기 슬라이더(54)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탑 및 바텀 인서트홈(51A, 51B)에 상기 인서트(52)를 끼운 후, 상기 홀딩핀(58)을 상기 핀삽입공(57A)과 상기 대응핀삽입공(57B)으로부터 제거하면 압축되어 있던 상기 스프링(56)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54)가 전진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54)의 단부가 상기 홀딩홀(59)에 삽입되기에 상기 포스트(30)의 움직임이 제한된다.Therefore, as in [A] of FIG. 3, when the slider (54) is fixed using the holding pin (58), the insert (52) is inserted into the top and bottom insert holes (51A, 51B), and the holding pin (58) is removed from the pin insertion hole (57A) and the corresponding pin insertion hole (57B), the slider (54) moves for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ed spring (56), so that the end of the slider (54) is inserted into the holding hole (59), and thus the movement of the post (30) is limi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폴딩 파레트는 록킹수단(60)을 더 포함하는데,Meanwhile, the folding pallet for ex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ocking means (60).

상기 록킹수단(60)은The above locking means (60)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6 and 7,

상기 각 링크(40)에서 서로 힌지 결합된 두 링크분체(40A, 40B) 중 하나의 링크분체(40B) 단부의 양측벽에 하방 요입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U자홈(61),A pair of U-shaped grooves (61) formed downwardly on both sides of the end of one of the two link bodies (40A, 40B) hinged to each other in each link (40),

상기 각 링크(40)에서 서로 힌지 결합된 두 링크분체(40A, 40B) 중 다른 하나의 링크분체(40A)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시 상기 U자홈(61)에 삽입 안착되는 한 쌍의 록킹헤드(62), 그리고A pair of locking heads (62) that are hinge-joined to the end of the other link body (40A) among the two link bodies (40A, 40B) that are hinge-joined to each other in each link (40) above and are inserted and seated in the U-shaped groove (61) when rotating, and

상기 U자홈(61)의 외벽에서 상기 각 록킹헤드(62)를 지나 반대편의 U자홈(61) 까지 관통 삽입되는 록킹핀(63)A locking pin (63) inserted through the outer wall of the U-shaped groove (61) above, through each locking head (62), and into the U-shaped groove (61) on the opposite side.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t consists of including:

결국 상기 포스트(30)에서 적정 위치에 상기 링크(40)를 위치시켜 고정한 후 상기 한 쌍의 록킹헤드(62)를 회동시켜 상기 한 쌍의 U자홈(61)에 삽입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록킹핀(63)을 이용해 고정함으로써, 상기 링크(40)를 이루는 두 링크분체(40A, 40B) 간의 힌지 부위에서의 회동 동작을 제한할 수 있기에 두 링크분체(40A, 40B)의 펼침 상태에 대한 유지가 가능한 것이다.Finally, by positioning and fixing the link (40) at an appropriate position on the post (30), and then inserting and settling the pair of locking heads (62) into the pair of U-shaped grooves (61) by rotating them, and fixing them using the locking pin (63), the rotational motion at the hinge area between the two link parts (40A, 40B) forming the link (40) can be restricted, so that the unfolded state of the two link parts (40A, 40B) can be maintain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폴딩 파레트는 서브링크(70)를 더 포함하는데,Meanwhile, the folding pallet for ex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ub-link (70).

상기 서브링크(70)는The above sub-link (70)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8 to 11,

상기 레일라인(31)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는 서브인서트(71),A sub-insert (71) that is slidably inserted along the above rail line (31),

상기 서브인서트(71)에 연결되는 서브바디(72),A subbody (72) connected to the above sub-insert (71),

상기 서브바디(72)에 힌지 결합되는 서브로드(73),A sub-load (73) hinge-connected to the above sub-body (72),

상기 서브바디(72)에 돌출 형성되며 수평으로 펼쳐진 상기 서브로드(73)를 지지하는 받침부재(74),A support member (74) that protrudes from the above sub-body (72) and supports the above sub-load (73) that is spread out horizontally.

상기 서브바디(72) 내부에 상기 서브로드(73)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하방 경사진 경로부(75), 그리고A downwardly inclined path portion (75)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load (73) is spread inside the above sub-body (72), and

상기 경로부(75)를 따라 움직이도록 내장되는 구형(球形) 웨이트(76)A spherical weight (76) built to move along the above path (75)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다수 개가 구비된다.It consists of several pieces, including: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경로부(75)는 상기 웨이트(76)가 구름 운동을 하여 정지하는 양끝 정지 위치에서 상기 웨이트(76)의 중심점이 상기 서브바디(72)와 상기 서브로드(73) 간의 힌지 중심점으로부터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웨이트(76)가 정지한 위치에서 상기 웨이트(76)의 중심점이 상기 경로부(75)의 일단 중심점 보다 일측으로 편심되어 있기에 별다른 외력 없이는 기립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웨이트(76)가 정지한 위치에서 상기 웨이트(76)의 중심점이 상기 경로부(75)의 타단 중심점 보다 타측으로 편심되어 있기에 별다른 외력 없이는 수평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동작 가능한 상기 서브로드(73)를 이용해 상기 바텀플로어(10)에 적재된 물품을 좀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특히 적재되는 물품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상기 서브링크(70)의 수량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path portion (75) is formed so that the center point of the weight (76) can be arranged to be eccentric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from the hinge center point between the sub-body (72) and the sub-rod (73) at the two end stop positions where the weight (76) performs a rolling motion and stops.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9, since the center point of the weight (76) at the position where the weight (76) stops is eccentric to one side compared to the center point of one end of the path portion (75), the upright state can be maintained without a separate external force, and as shown in FIG. 10, since the center point of the weight (76) at the position where the weight (76) stops is eccentric to the other side compared to the center point of the other end of the path portion (75), the horizontal state can be maintained without a separate external force. By using the sub-load (73) capable of operating in this manner, the goods loaded on the bottom floor (10)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and in particular, the number of sub-links (70)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type or size of the goods load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폴딩 파레트는 중계수단(80)을 더 포함하는데,Meanwhile, the folding pallet for ex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elay means (80).

상기 중계수단(80)은The above relay means (8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 11,

상기 각 서브링크(70) 중 서로 마주한 서브링크(70)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펼쳐진 각 서브로드(73)의 단부에 내부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끼움홈(81),A fitting groove (81) form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end of each sub-rod (73) that is spread in the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mong the sub-links (70) above,

상기 끼움홈(81)에 연결되며 상방 개방된 안내홈(82),A guide groove (82) that is connected to the above fitting groove (81) and is open upward,

텔레스코프(telescope) 타입의 두 중계분체(83), 그리고Two relay bodies (83) of the telescope type, and

상기 두 중계분체(83) 사이에 개재되어 하나의 중계분체(83) 측으로 탄성 발휘하는 중계스프링(84)A relay spring (84) interposed between the two relay particles (83) and exerting elasticity toward one of the relay particles (8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t consists of including:

결국 도 11의 [나]에서와 같이, 상기 두 중계분체(83)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시켜 중계스프링(84)을 압축시킨 후 상기 두 중계분체(83)의 각 단부를 상기 안내홈(82)에 끼우면서 상기 끼움홈(81) 측으로 눌러 이동시키면 상기 중계스프링(8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두 중계분체(83)가 가압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끼움홈(81) 내벽 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서로 마주한 두 서브링크(70)를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연결한 상기 두 서브링크(70)의 서브로드(73)와 함께 상기 두 중계분체(83)가 상기 바텀플로어(10)에 적재된 물품을 좀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Eventually, as in [B] of Fig. 11, the two relay powders (83) are pressed in the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o compress the relay spring (84), and then each end of the two relay powders (83)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82) and moved toward the insertion groove (81), so that the two relay powders (83)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ressing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lay spring (84) and are inserted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insertion groove (81), thereby connecting the two sub-links (70) facing each other. The two relay powders (83) together with the sub-rods (73) of the two sub-links (70) connected in this way can more stably support the goods loaded on the bottom floor (1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출용 폴딩 파레트에서 상기 바텀플로어(10) 또는 상기 포스트(30), 또는 이들 모두의 표면에 미끄럼 방지 및 방청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코팅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folding pallet for ex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ating layer can be formed using a coating composition so as to exhibit anti-slip and anti-rust effects on the surface of the bottom floor (10) or the post (30), or both.

상기 코팅용 조성물은 아크릴 수지(polypropylene, PP) 60 내지 70 중량부에 대하여 부타디엔 고무(BR) 30 내지 40 중량부, 아크릴산 20 내지 30 중량부, 규산염 10 내지 20 중량부, 알루미늄 플레이크 5 내지 10 중량부, 아연 플레이크 5 내지 10 중량부, 가소제 10 내지 15 중량부, 핵제 5 내지 10 중량부, 용제 0 내지 5 중량부로 이루어진 코팅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미끄럼 및 정전기를 방지하는 특성을 얻고 있다.The coating composition comprises 60 to 7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resin (polypropylene, PP), 30 to 40 parts by weight of butadiene rubber (BR), 20 to 30 parts by weight of acrylic acid, 10 to 20 parts by weight of silicate, 5 to 10 parts by weight of aluminum flakes, 5 to 10 parts by weight of zinc flakes, 10 to 15 parts by weight of a plasticizer, 5 to 10 parts by weight of a nucleating agent, and 0 to 5 parts by weight of a solvent. By applying the coating composition, the coating layer is formed, thereby obtaining properties preventing slipping and static electricity.

상기 아크릴 수지는 코팅층을 형성할 때 내구성,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수지 성분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5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조성물을 구성하는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The above acrylic resin is widely used as a resin component when forming a coating layer because it has excellent durability and impact resistance.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use on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 to 50,000, which can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compatibility with oth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mposition.

상기 부타디엔 고무는 플라스틱과 고무의 성질을 동시에 발현하며 아크릴 수지와 상용성 우수하므로 조성물에 함유됨으로써 미끄럼을 저감시키는 성능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 SBS는 30 내지 40 중량부의 범위로 함유됨으로써 미끄럼 방지 특성을 나타내게 되는데 SBS 함량이 너무 적으면 코팅층의 미끄럼 방지 특성이 불충분하며 너무 많으면 코팅용 조성물의 코팅 성능이 나빠져 코팅층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above butadiene rubber exhibits properties of both plastic and rubber and has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acrylic resin, so it exhibits performance of reducing slippage when included in the composition. The SBS exhibits anti-slip properties when included in a range of 30 to 40 parts by weight. However, if the SBS content is too low, the anti-slip properties of the coating layer are insufficient, and if it is too high, the coating performance of the coating composition deteriorates,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durability of the coating layer.

또한, 상기 아크릴산은 가교성 단량체로서 수지의 가교도를 높여 표면경도,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아크릴산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경화가 불충분하게 진행되어 표면 경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너무 많으면 코팅층의 균열이 발생하거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rylic acid is used as a crosslinking monomer to increase the crosslinking degree of the resin and improve surface hardness and adhesion. If the content of the acrylic acid is too low, curing may not proceed sufficiently and surface hardness may decrease, and if it is too high, cracks in the coating layer may occur or adhesion may decrease.

또한, 상기 규산염은 방청제의 분산을 위하여 함유될 수 있다. 상기 규산염으로는 소듐실리케이트, 포타슘실리케이트 또는 콜로이달 실리카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규산염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방청제의 분산성이 저하되어 방청 효과가 저하되며, 너무 많으면 코팅층의 밀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licate may be contained for dispersing the rust inhibitor. As the silicate, sodium silicate, potassium silicate or colloidal silica may be used. If the content of the silicate is too small, the dispersibility of the rust inhibitor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rust inhibitor effect, and if the content is too large, the adhesion of the coating layer may be reduced.

또한, 상기 알루미늄 플레이크 및 아연 플레이크는 철보다 부식 속도가 빨라 기재의 부식을 방지하는 방청제로서 작용한다. 상기 플레이크는 판상형 입자로서 조성물 내에서 분산을 고려하여 150 메쉬 이상의 입도로 분급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루미늄 플레이크 및 아연 플레이크는 2:1 내지 1:1의 중량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방청성 및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In addition, the aluminum flakes and zinc flakes have a faster corrosion rate than iron and act as a rust inhibitor that prevents corrosion of the substrate. The flakes are plate-shaped particles, and it is preferable to classify them into particle sizes of 150 mesh or more in consideration of dispersion within the composition. The aluminum flakes and zinc flakes are preferably contained in a weight ratio of 2:1 to 1:1, and it was found that rust prevention and adhesion may be reduced when the weight ratio is exceeded.

또한, 상기 가소제는 PP와 SBS를 혼합한 조성물의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가되는 성분이다. 일반적으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사용하나 본 발명에서는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인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ioctyl terephthalate, DOTP)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10 내지 15 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되는데, 상기 가소제의 함량이 너무 적거나 너무 많으면 코팅용 조성물의 가공성이 불충분하고 표면에 코팅했을 때의 도막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lasticizer is a component added to improve the processability of the composition mixed with PP and SBS. Generally, a phthalate plasticizer is us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dioctyl terephthalate (DOTP), which is a non-phthalate plasticizer, can be used. The plasticizer is used in the range of 10 to 15 parts by weight. If the content of the plasticizer is too little or too much, the processability of the coating composition may be insufficient and the durability of the coating film when coated on the surface may be reduced, so it is preferable to use it in the above range.

또한, 핵제는 이종의 수지가 혼합되는 코팅용 조성물에서 경화시간을 단축시키는 기능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핵제로는 일반적으로,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탈크, 카올린 등의 성분이 사용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평균 입자 크기가 1 내지 30㎛인 실리카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실리카를 사용하면 본 발명의 코팅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지의 상용성을 높여 경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분산성의 향상을 위하여 평균 입자 크기가 1 내지 30㎛인 실리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자의 크기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공정 효율이 저하되어 분산도나 분산편차가 오히려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너무 큰 경우에는 핵제의 분산도가 낮아져 경화시간 단축의 효과가 떨어져 코팅층 형성시 도막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In addition, the nucleating agent is used to obtain the function of shortening the curing time in the coating composition in which different resins are mixed. Generally, components such as silica, aluminum hydroxide, talc, and kaolin are used as the nucleating agent,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lica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 to 30 μm is used. It was shown that the use of the silica increases the compatibility of the resin contained in th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shortening the curing time, and further, it was shown that it is preferable to use silica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 to 30 μm in order to improve the dispersibility. It was shown that when the particle size is too small, the process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dispersion degree or dispersion deviation is lowered, and when it is too large, the dispersion degree of the nucleating agent is lowered, which reduces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curing time, and thus, a defect in the coating film occurs when forming the coating layer.

또한, 상기 용제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중 어느 하나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사용하지 않아도 되나 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코팅층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적절한 함량으로 사용되어야 한다.In addition, any one alcohol among methanol, ethanol, propanol, and isopropanol can be used as the solvent. The solvent does not have to be used, but if it is used in excess of 5 parts by weigh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ating layer may deteriorate, so it should be used in an appropriate amount as needed.

또한, 상기 성분들 외에도 소량의 첨가제를 부가할 수 있는데, 이러한 첨가제로는 커플링제, 산화방지제, UV 안정제, 난연제, 안료, 열안정제, 분산제 등을 들 수 있으며, PP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의 범위에서 함유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a small amount of additives may be added. Such additives may include coupling agents, antioxidants, UV stabilizers, flame retardants, pigments, heat stabilizers, dispersants, etc., and may be contained in the range of 1 to 5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PP.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수출용 폴딩 파레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bove, the "folding pallet for export"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has been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바텀플로어
20 : 서포트블록
30 : 포스트
31 : 레일라인
32 : 조절공
40 : 링크
40A, 40B : 링크분체
41 : 플랜지
42 : 나선홈
43 : 스토퍼
50 : 홀딩수단
51A : 탑인서트홈
51B : 바텀인서트홈
52 : 인서트
53A : 리세스
53B : 연장리세스
54 : 슬라이더
55 : 가이드
56 : 스프링
57A : 핀삽입공
57B : 대응핀삽입공
58 : 홀딩핀
59 : 홀딩홀
60 : 록킹수단
61 : U자홈
62 : 록킹헤드
63 : 록킹핀
70 : 서브링크
71 : 서브인서트
72 : 서브바디
73 : 서브로드
74 : 받침부재
75 : 경로부
76 : 웨이트
80 : 중계수단
81 : 끼움홈
82 : 안내홈
83 : 중계분체
84 : 중계스프링
10: Bottom floor
20 : Support Block
30 : Post
31 : Rail Line
32 : Regulator
40 : Link
40A, 40B: Link powder
41 : Flange
42: Spiral Home
43 : Stopper
50 : Holding means
51A: Top insert home
51B: Bottom insert home
52 : Insert
53A : Recess
53B: Extension recess
54 : Slider
55 : Guide
56 : Spring
57A: Pin insertion hole
57B: Corresponding pin insertion hole
58 : Holding pin
59 : Holding hole
60 : Locking means
61: U-shaped home
62 : Locking head
63 : Locking pin
70 : Sublink
71 : Subinsert
72 : Subbody
73 : Subload
74 : Supporting member
75 : Path section
76 : Weight
80 : Relay means
81 : Insert Home
82 : Guide Home
83 : Relay powder
84 : Relay spring

Claims (8)

포크 받침용 사각 바텀플로어(10);
상기 바텀플로어(1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바텀플로어(10)를 지지하는 다수의 서포트블록(20);
상기 바텀플로어(10)의 네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다수의 기립(起立)형 포스트(30);
상기 각 포스트(30) 중 서로 마주하는 포스트(30) 끼리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링크(40); 및
상기 바텀플로어(10)와 상기 포스트(30)의 하단을 상호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홀딩수단(50);
을 포함하고,
상기 각 링크(40)는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케 연결되는 두 링크분체(40A, 40B)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딩수단(50)은 상기 바텀플로어(10)의 네 모서리 영역에 하방 요입되게 형성되는 탑인서트홈(51A)과, 상기 각 서포트블록(20)에서 상기 탑인서트홈(51A) 하부 측 영역에 상기 탑인서트홈(51A)과 상하 연통되면서 내측으로 편심되도록 하방 요입되게 형성되는 바텀인서트홈(51B)과, 상기 각 포스트(3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탑인서트홈(51A)과 상기 바텀인서트홈(51B)을 차지하는 형태로 삽입되는 인서트(52)와, 상기 바텀플로어(10) 내부에 상기 포스트(30) 측으로 개구(開口) 되게 형성되는 리세스(53A)와, 상기 리세스(53A)에 슬라이딩 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54)와, 상기 리세스(53A)의 내벽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연장리세스(53B)와, 상기 슬라이더(54)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리세스(53B)에 삽입되는 가이드(55)와, 상기 리세스(53A)의 내벽과 상기 슬라이더(54) 사이에 개재(介在)되어 상기 슬라이더(54) 측으로 탄성 발휘하는 스프링(56)과, 상기 바텀플로어(10)에서 상기 연장리세스(53B)를 교차하는 형태로 지나가도록 상하 관통되는 핀삽입공(57A)과, 상기 가이드(55)에서 상기 핀삽입공(57A)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 관통되는 대응핀삽입공(57B)과, 상기 핀삽입공(57A)을 지나 상기 대응핀삽입공(57B)에 삽입되는 홀딩핀(58)과, 상기 홀딩핀(58) 제거 시 압축되어 있던 상기 스프링(56)이 복원되면서 상기 슬라이더(54)가 전진할 때에 상기 슬라이더(54)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인서트(52)에 형성되는 홀딩홀(5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용 폴딩 파레트.
Square bottom floor for fork support (10);
A plurality of support blocks (20) supporting the bottom floor (10) so that the bottom floor (10)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A plurality of standing posts (30) arranged in the four corner areas of the bottom floor (10);
A plurality of links (40) that interconnect the posts (30) facing each other among the above posts (30); and
A holding means (50) for mutually connecting and separating the bottom floor (10) and the lower part of the post (30);
Including,
Each of the above links (40) is composed of two link parts (40A, 40B) that are rotatably connected by a hinge.
The holding means (50) comprises a top insert home (51A)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ly in the four corner areas of the bottom floor (10), a bottom insert home (51B)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ly in the lower area of the top insert home (51A) in each of the support blocks (20) so as to be connected vertically with the top insert home (51A) and eccentrically inwardly, an insert (52) formed at the lower end of each post (30) and inserted in a form that occupies the top insert home (51A) and the bottom insert home (51B), a recess (53A) formed to be open toward the post (30) inside the bottom floor (10), a slider (54) arranged to slide in the recess (53A), and a slider (54) formed to be recessed into the inner wall of the recess (53A). An extension recess (53B), a guide (55) connected to the slider (54) and inserted into the extension recess (53B), a spring (56)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recess (53A) and the slider (54) and elastically exerting force toward the slider (54), a pin insertion hole (57A) that passes through the extension recess (53B) in a manner intersecting the bottom floor (10) and the extension recess (53B), a corresponding pin insertion hole (57B) that passes through the guide (55)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in insertion hole (57A) and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pin insertion hole (57B) through the pin insertion hole (57A), and a holding pin (58) that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pin insertion hole (57B) when the spring (56) that was compressed when the holding pin (58) is removed is restored so that the end of the slider (54) is inserted when the slider (54) moves forward. A folding pallet for export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holding hole (59) formed in an insert (52).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링크(40)의 두 링크분체(40A, 40B) 양단에는 확경된 플랜지(41)가 형성되고,
상기 각 포스트(30)에는 상기 플랜지(41)가 상하로 슬라이딩 되게 삽입되는 레일라인(31)이 형성되며,
상기 각 포스트(30)에는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외벽에서 상기 레일라인(31)까지 관통되는 다수의 조절공(32)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41)에는 상기 각 조절공(32) 중 하나의 조절공을 지난 볼트가 체결되는 나선홈(4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용 폴딩 파레트.
In paragraph 1,
An expanded flange (41)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two link parts (40A, 40B) of each link (40) above.
In each of the above posts (30), a rail line (31) is formed into which the flange (41) is inserted to slide up and down.
In each of the above posts (30), a number of adjustment holes (32) are formed at a certain interval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penetrate from the outer wall to the rail line (31).
A folding pallet for ex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nge (41) above has a spiral groove (42) formed therein to which a bolt passing through one of the above adjustment holes (32) is fasten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링크(40)에서 서로 힌지 결합된 두 링크분체(40A, 40B) 중 하나의 링크분체(40B) 단부에 다른 하나의 링크분체(40A) 회동 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4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용 폴딩 파레트.
In the third paragraph,
An export folding pallet characterized in that a stopper (43) is formed at the end of one of the two link parts (40A, 40B) hinge-joined to each other in each of the above links (40) to limit the rotation angl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the other link part (40A) rotat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링크(40)에서 서로 힌지 결합된 두 링크분체(40A, 40B) 중 하나의 링크분체(40B) 단부의 양측벽에 하방 요입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U자홈(61)과,
상기 각 링크(40)에서 서로 힌지 결합된 두 링크분체(40A, 40B) 중 다른 하나의 링크분체(40A)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시 상기 U자홈(61)에 삽입 안착되는 한 쌍의 록킹헤드(62)와,
상기 U자홈(61)의 외벽에서 상기 각 록킹헤드(62)를 지나 반대편의 U자홈(61) 까지 관통 삽입되는 록킹핀(63)
으로 이루어진 록킹수단(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용 폴딩 파레트.
In paragraph 4,
A pair of U-shaped grooves (61) formed downwardly on both sides of the end of one of the two link bodies (40A, 40B) hinged to each other in each link (40),
A pair of locking heads (62) that are hinge-joined to the end of the other link body (40A) among the two link bodies (40A, 40B) that are hinge-joined to each other in each link (40) above and are inserted and seated in the U-shaped groove (61) when rotating,
A locking pin (63) inserted through the outer wall of the U-shaped groove (61) above, through each locking head (62), and into the U-shaped groove (61) on the opposite side.
A folding pallet for ex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locking means (60) consisting of: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라인(31)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는 서브인서트(71)와,
상기 서브인서트(71)에 연결되는 서브바디(72)와,
상기 서브바디(72)에 힌지 결합되는 서브로드(73)와,
상기 서브바디(72)에 돌출 형성되며 수평으로 펼쳐진 상기 서브로드(73)를 지지하는 받침부재(74)와,
상기 서브바디(72) 내부에 상기 서브로드(73)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하방 경사진 경로부(75)와,
상기 경로부(75)를 따라 움직이도록 내장되는 구형(球形) 웨이트(76)
로 이루어진 다수의 서브링크(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부(75)는 상기 웨이트(76)가 구름 운동을 하여 정지하는 양끝 정지 위치에서 상기 웨이트(76)의 중심점이 상기 서브바디(72)와 상기 서브로드(73) 간의 힌지 중심점으로부터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용 폴딩 파레트.
In paragraph 5,
A sub-insert (71) that is slidably inserted along the above rail line (31),
A subbody (72) connected to the above sub-insert (71), and
A sub-load (73) hinge-connected to the above sub-body (72),
A support member (74) that protrudes from the above sub-body (72) and supports the above sub-load (73) that is spread out horizontally,
A downwardly inclined path portion (75)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load (73) is spread inside the above sub-body (72),
A spherical weight (76) built to move along the above path (75)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ub-links (70) consisting of,
The above path section (75) is formed so that the center point of the weight (76) can be eccentrically position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hinge between the sub-body (72) and the sub-load (73) at both end stop positions where the weight (76) stops while performing a rolling motion. A folding pallet for expor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링크(70) 중 서로 마주한 서브링크(70)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펼쳐진 각 서브로드(73)의 단부에 내부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끼움홈(81)과,
상기 끼움홈(81)에 연결되며 상방 개방된 안내홈(82)과,
텔레스코프(telescope) 타입의 두 중계분체(83)와,
상기 두 중계분체(83) 사이에 개재되어 하나의 중계분체(83) 측으로 탄성 발휘하는 중계스프링(84)
으로 이루어진 중계수단(8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두 중계분체(83)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시켜 중계스프링(84)을 압축시킨 후 상기 두 중계분체(83)의 각 단부를 상기 안내홈(82)에 끼우면서 상기 끼움홈(81) 측으로 눌러 이동시키면 상기 중계스프링(8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두 중계분체(83)가 가압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끼움홈(81) 내벽 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용 폴딩 파레트.
In paragraph 6,
An insertion groove (81) formed internally at the end of each sub-rod (73) that is extended in the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mong the above sub-links (70),
A guide groove (82) that is connected to the above fitting groove (81) and is open upward,
Two relay bodies (83) of the telescope type,
A relay spring (84) interposed between the two relay particles (83) and exerting elasticity toward one of the relay particles (83)
It further includes a relay means (80) consisting of,
An export folding pallet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two relay powders (83) are press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o compress the relay spring (84), and each end of the two relay powders (83)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82) and pressed toward the fitting groove (81), the two relay powders (83) are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ressing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lay spring (84) and inserted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fitting groove (81).
제 1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 또는 제 6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플로어(10) 또는 상기 포스트(30), 또는 이들 모두의 표면에 미끄럼 방지 및 방청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코팅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코팅용 조성물은 아크릴 수지(polypropylene, PP) 60 내지 70 중량부에 대하여 부타디엔 고무(BR) 30 내지 40 중량부, 아크릴산 20 내지 30 중량부, 규산염 10 내지 20 중량부, 알루미늄 플레이크 5 내지 10 중량부, 아연 플레이크 5 내지 10 중량부, 가소제 10 내지 15 중량부, 핵제 5 내지 10 중량부, 용제 0 내지 5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용 폴딩 파레트.
In any one of paragraph 1 or paragraph 3 or paragraph 4 or paragraph 5 or paragraph 6 or paragraph 7,
A coating layer is formed using a coating composition so as to exhibit anti-slip and anti-rust effects on the surface of the bottom floor (10) or the post (30), or both.
The above coating composi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60 to 70 parts by weight of acrylic resin (polypropylene, PP), 30 to 40 parts by weight of butadiene rubber (BR), 20 to 30 parts by weight of acrylic acid, 10 to 20 parts by weight of silicate, 5 to 10 parts by weight of aluminum flakes, 5 to 10 parts by weight of zinc flakes, 10 to 15 parts by weight of plasticizer, 5 to 10 parts by weight of nucleating agent, and 0 to 5 parts by weight of solvent, for an export folding pallet.
KR1020220103960A 2022-08-19 2022-08-19 Folding pallet for export Active KR1026977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960A KR102697752B1 (en) 2022-08-19 2022-08-19 Folding pallet for ex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960A KR102697752B1 (en) 2022-08-19 2022-08-19 Folding pallet for ex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834A KR20240025834A (en) 2024-02-27
KR102697752B1 true KR102697752B1 (en) 2024-08-22

Family

ID=90058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960A Active KR102697752B1 (en) 2022-08-19 2022-08-19 Folding pallet for exp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7752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336A (en) 2000-02-21 2001-08-28 Ricoh Co Ltd Pallet, and goods housing device equipped with the pallet
US20040168946A1 (en) 2003-01-27 2004-09-02 Safelite Glass Corp. Reusable windshield pallet
KR100740509B1 (en) 2005-02-23 2007-07-19 최병수 Support structure of plastic pallet
US20130145971A1 (en) 2011-12-07 2013-06-13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allet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16159971A (en) 2015-03-04 2016-09-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Rack for roll product
US20180057204A1 (en) 2016-08-24 2018-03-01 Dane Technologies, Inc. Stackable, Collapsible Pallets for Transporting Wheeled Devic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990596B1 (en) * 2018-12-20 2019-06-18 김승환 Pallet of box typ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36U (en) * 1993-07-29 1995-02-21 日建リース工業株式会社 palette
KR100987566B1 (en) 2008-05-02 2010-10-12 임용석 Prefabricated Pallet
EP2357142A1 (en) * 2010-02-11 2011-08-17 Number 1 Logistics Group S.p.A. A cage structure for goods transport
JP6058783B2 (en) * 2013-03-05 2017-01-11 協立化学産業株式会社 Battery electrode or separator coating film composition, battery electrode or separator having a coating film obtained by using the same, and battery having this battery electrode or separator
KR101810977B1 (en) 2016-01-12 2017-12-20 이희만 Assembly type steel pallet
KR101976485B1 (en) 2018-03-23 2019-05-14 (주)우연엘에프파레트 Pallet for exporting with easily detaching, assembling, carrying and loading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336A (en) 2000-02-21 2001-08-28 Ricoh Co Ltd Pallet, and goods housing device equipped with the pallet
US20040168946A1 (en) 2003-01-27 2004-09-02 Safelite Glass Corp. Reusable windshield pallet
KR100740509B1 (en) 2005-02-23 2007-07-19 최병수 Support structure of plastic pallet
US20130145971A1 (en) 2011-12-07 2013-06-13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allet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16159971A (en) 2015-03-04 2016-09-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Rack for roll product
US20180057204A1 (en) 2016-08-24 2018-03-01 Dane Technologies, Inc. Stackable, Collapsible Pallets for Transporting Wheeled Devic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990596B1 (en) * 2018-12-20 2019-06-18 김승환 Pallet of box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834A (en)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58166A1 (en) Modular storage systems and methods
US3981410A (en) Rigid, collapsible and nestable container
EP2176130A1 (en) Collapsible plastic container
KR20180036719A (en) Intermediate devices and methods
US11332922B2 (en) Jointed member
CN110436014B (en) Combined pallet box and pallet box
US20070022919A1 (en) Low profile plastic pallet
US20160257444A1 (en) Pallet Assembly
KR102697752B1 (en) Folding pallet for export
US20050121658A1 (en) Interlocking devices
JP2016517832A (en) Container storage systems, and columns and crosspieces of such container storage systems
CN202518601U (en) Cargo transportation rack
US20170029164A1 (en) Bulk bin with panel to panel interlock features
CN101090848A (en) A collapsible and stackable supporting device for shipping and storage of materials
CN211140353U (en) Container device
CN210311330U (en) Folding cage for warehouse
CN100497043C (en) Container for transporting semitrailer chassis
KR101366511B1 (en) Pallete using latch type bending column for agricultural machinery storage
KR200244490Y1 (en) Carry box
KR20240000983U (en) Self-assembly type freight box for container
KR100556708B1 (en) Prefabricated Pallets for Automobile Parts Storage
CN214268639U (en) Foldable panel transportation frame
WO2024191358A1 (en) Stackable, modular and portable transportation and storage system
CN212922377U (en) Folding turnover box
CA3153931A1 (en) Intermodal warehou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