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6884B1 -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 - Google Patents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6884B1
KR102696884B1 KR1020220172523A KR20220172523A KR102696884B1 KR 102696884 B1 KR102696884 B1 KR 102696884B1 KR 1020220172523 A KR1020220172523 A KR 1020220172523A KR 20220172523 A KR20220172523 A KR 20220172523A KR 102696884 B1 KR102696884 B1 KR 102696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tip
cutting
fitting fixing
fixing part
bla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2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87128A (ko
Inventor
김호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캐스트
Priority to KR1020220172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6884B1/ko
Publication of KR20240087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7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6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68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23C5/1054T slot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165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chipbreaking or chipdivi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32Chip breaking or chip evac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형 커팅 날을 사용한 슬롯 홈부의 가공에서 절삭 칩의 배출을 용이하게 만드는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절삭 장치에 물리는 자루(110, Shank), 자루(11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공구 홀더(120), 및 공구 홀더(120)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결합되는 복수의 절삭 팁(140)을 포함하며, 복수의 절삭 팁(140)은 상부 날(142)이 형성된 제1 절삭 팁(141)과 하부 날(146)이 형성된 제2 절삭 팁(145)으로 마련되되, 공구 홀더(120)는 제1 절삭 팁(141)의 단부가 반경 방향으로 끼움 가능하며 제1 절삭 팁(141)의 측면부가 접촉 지지되도록 마련된 제1 끼움 고정부(121), 및 제1 끼움 고정부(121)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제2 절삭 팁(145)의 단부가 반경 방향으로 끼움 가능하며 제2 절삭 팁(145)의 측면부가 접촉 지지되도록 마련된 제2 끼움 고정부(122)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1 절삭 팁(141)과 제2 절삭 팁(142)이 상하 반대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상부 날(142)과 하부 날(146)이 피절삭재의 절삭면을 상부면과 하부면으로 구분하여 교대로 절삭하여 절삭 칩이 원활하게 배출되게 만든다.

Description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T-CUT TOOL WITH IMPROVED CHIP EVACUATION}
본 발명은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T형 커팅 날을 사용한 슬롯 홈부의 가공에서 절삭 칩의 배출을 용이하게 만드는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형 엔드밀을 사용한 홈 또는 슬롯 밀링 가공에서는 엔드밀 가공보다 사이드 및 평면 밀링을 선호한다. 가공될 슬롯 또는 홈은 짧거나 길거나, 닫혀 있거나 열려 있거나, 직선이거나 비 직선이거나, 깊거나 얕거나, 넓거나 좁을 수 있다. 이처럼 홈의 폭과 깊이, 또는 길이를 고려하여 T형 엔드밀 공구를 선택하게 된다.
T형 엔드밀의 사용 가능한 장비 유형 및 작업 빈도에 따라 엔드밀, 롱에지 커터 또는 사이드 및 평면 밀링 커터의 사용 여부가 정해진다. 사이드 및 평면 커터는 길고 깊은 홈을 많이 밀링 가공할 때 가장 효율적이며, 특히 수평 밀링 기계를 사용할 때 효과적이다. 그러나 수직형 밀링 머신 및 머시닝 센터가 널리 보급되면서 최근에는 다양한 홈 밀링 작업에서 엔드밀 및 롱에지 커터를 사용한다.
본원발명은 KS규격의 ALDC 계열, JIS규격의 ALDC10, ALDC12, ALDC3등의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으로 다이캐스팅된 부품들의 내경부에 홈을 가공하는 데에 사용되는 공구에 관한 기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의 피스톤이나 엔진 부품, 가전부품, 항공기 부품들을 가공하기 위한 T형 엔드밀(50)은 절삭장치의 콜릿 척에 고정되는 자루(51, 생크: Shank)의 하단부에 피절삭재(10)에서 슬롯 홈부(11)를 가공하기 위한 절삭 날(55)이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절삭 날(55)은 자루의 직경보다 큰 반경에 위치하여, 피절삭재(10) 측에 슬롯 홈부(11)를 형성한다.
그러나, 기존의 대부분의 T형 엔드밀(50)은 자루(51)의 하단부에 절삭 날(55)이 일정한 반경 위치에 구비되어 있으며, 슬롯 홈부(11)를 절삭가공 하면서 절삭 날(55)의 상부와 하부에서 절삭되는 절삭 칩이 슬롯 홈부(11)에서 마찰 간섭이 이루어지므로, 배출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동차의 피스톤이나 엔진 부품, 가전부품, 항공기 부품들은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하여 다이캐스팅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 부품들은 일반적인 주조용 합금보다 높은 인장강도 와 연신율을 가진 것으로 다이캐스팅된 부품들의 내경부에 홈을 절삭가공에 절삭된 칩에 절삭면 또는 절삭된 홈의 상하면을 손상할 수 있고, 배출이 용이하기 않은 문제점에 있다.
등록특허 제10-0884179호 “회전 슬롯 밀링 커터 및 그 절삭삽입체”
본 발명은 T형 엔드밀을 사용한 슬롯 홈부의 가공에서 칩 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가공 정밀도를 높이며, 가공면의 열화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하고, 절삭 날을 보호하는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는, 절삭 장치에 물리는 자루; 상기 자루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공구 홀더; 및 상기 공구 홀더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결합되는 복수의 절삭 팁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절삭 팁은, 상부 날이 형성된 제1 절삭 팁; 및 하부 날이 형성된 제2 절삭 팁을 포함하되, 상기 공구 홀더는, 상기 제1 절삭 팁의 단부가 반경 방향으로 끼움 가능하며, 상기 제1 절삭 팁의 측면부가 접촉 지지되도록 마련된 제1 끼움 고정부; 및 상기 제1 끼움 고정부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절삭 팁의 단부가 반경 방향으로 끼움 가능하며, 상기 제2 절삭 팁의 측면부가 접촉 지지되도록 마련된 제2 끼움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삭 팁의 상부 날은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절삭 팁의 하부 날은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절삭 팁과 상기 제2 절삭 팁이 상하 반대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상기 상부 날과 상기 하부 날이 피절삭재의 절삭면을 상부면과 하부면으로 구분하여 교대로 절삭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삭 팁의 상부 날은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2 절삭 팁의 하부 날은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끼움 고정부는 상기 제1 절삭 팁의 상부 날에 대응하여 상부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끼움 고정부는 상기 제2 절삭 팁의 하부 날에 대응하여 하부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끼움 고정부와 상기 제2 끼움 고정부가 상하 반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끼움 고정부와 상기 제2 끼움 고정부는, 상기 자루의 하단부에 결합되거나 연결되며, 반경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 바디; 및 상기 고정 바디에서 접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결되는 서포트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끼움 고정부와 상기 제2 끼움 고정부의 상부 돌출부 및 하부 돌출부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상부 지지부 및 하부 지지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절삭 팁과 상기 제2 절삭 팁 및 상기 서포트 바디의 외측 단부와 상기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의 외측 단부는 경사 곡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끼움 고정부와 고정 바디와 상기 제2 끼움 고정부의 고정 바디 사이로 상기 제1 절삭 팁과 상기 제2 절삭 팁 중 어느 하나가 끼움 고정되며, 상기 제1 절삭 팁과 상기 제2 절삭 팁의 내측 단부는 상기 고정 바디에 대응하여 내측 경사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삭 팁은 상면부가 상기 공구 홀더의 상측에 대응하는 높이로 평평하며, 저면부가 상기 공구 홀더의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날이 외측 상부에 마련되되, 상기 제2 절삭 팁은 상면부가 상기 공구 홀더의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저면부가 상기 공구 홀더의 상측에 대응하는 높이로 평평하여 상기 하부 날이 외측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T형 엔드밀을 사용한 슬롯 홈부의 가공에서 칩 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가공 정밀도를 높이며, 가공면의 열화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하고, 절삭 날을 보호하는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T형 엔드밀에 의한 피절삭재의 가공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의 가공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절삭 날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끼움 고정부와 제2 끼움 고정부 및 제1 절삭 팁과 제2 절삭 팁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의 입체도 및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도면 복합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 예들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들의 조합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관용적인 사항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실질적인 구현성이 높으며,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높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를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의 가공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절삭 날의 상세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100)는, KS규격의 ALDC 계열, JIS규격의 ALDC10, ALDC12, ALDC3등의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으로 다이캐스팅된 부품들의 내경부에 홈을 절삭가공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티컷 공구(100)는, 절삭 장치에 물리는 자루(110, Shank), 자루(11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공구 홀더(120), 및 공구 홀더(120)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결합되는 복수의 절삭 팁(140)을 포함하며, 복수의 절삭 팁(140)은 상부 날(142)이 형성된 제1 절삭 팁(141)과 하부 날(146)이 형성된 제2 절삭 팁(145)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100)는, 제1 절삭 팁(141)과 제2 절삭 팁(145)이 상하 반대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상부 날(142)과 하부 날(146)이 피절삭재(10)의 절삭면을 상부면과 하부면으로 구분하여 교대로 절삭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피절삭재(10)에서 절삭 칩의 배출이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어 두 줄로 형성되며, 절삭 영역에서 외부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원 발명의 제1 절삭 팁(141)과 제2 절삭 팁(145)은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100)의 직경에 따라 2의 배수로 추가할 수 있다.
즉, 제1 절삭 팁(141)과 제2 절삭 팁(145)을 각각 추가됨에 따라 절삭 팁은 2, 4, 6, 8개로 형성된다.
먼저, 공구 홀더(120)는, 제1 절삭 팁(141) 및 제2 절삭 팁(145)의 단부가 반경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홈(200)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200)은 제1 절삭 팁(141) 및 제2 절삭 팁(145)의 단부가 삽입되고, 단부의 접합면과 오목홈(200)의 내측벽 사이로 브레이징(Brazing) 용액이 침투될 수 있도록 0.3 ~ 0.4 mm의 간격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오목홈(200)에 제1 절삭 팁(141) 및 제2 절삭 팁(145)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브레이징 용접(Brazing Welding)됨으로 3개의 면에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삭 팁(141)과 제2 절삭 팁(145)은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자루(110) 및 공구 홀더(120)는 강철 또는 고속도강(高速度鋼)을 사용한다.
상기 공구 홀더(120)는 제1 절삭 팁(141)의 측면부가 접촉 지지되도록 마련된 제1 끼움 고정부(121) 및 제1 끼움 고정부(121)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절삭 팁(145)의 측면부가 접촉 지지되도록 마련된 제2 끼움 고정부(122)로 이루어지며, 제1 끼움 고정부(121) 및 제2 끼움 고정부(122)에는 상기 제1 절삭 팁(141) 및 제2 절삭 팁(145)의 단부가 삽입되는 상기 오목홈(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절삭 팁(141) 및 제2 절삭 팁(145)의 단부는 제1 끼움 고정부(121) 및 제2 끼움 고정부(122)에 각각 형성된 상기 오목홈(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브레이징 용접(Brazing Welding)으로 견고하게 접합된다.
이러한 제1 끼움 고정부(121)와 제2 끼움 고정부(122)는, 자루(110)의 하단부에 결합되거나 연결되며, 반경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 바디(123), 및 고정 바디(123)에서 접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결되는 서포트 바디(124)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끼움 고정부(121)는 제1 절삭 팁(141)의 상부 날(142)에 대응하여 상부 돌출부(125)를 구비하며, 제2 끼움 고정부(122)는 제2 절삭 팁(145)의 하부 날(146)에 대응하여 하부 돌출부(127)를 구비하며, 제1 끼움 고정부(121)와 제2 끼움 고정부(122)가 상하 반대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제1 끼움 고정부(121)와 제2 끼움 고정부(122)는 마련된 상부 돌출부(125) 및 하부 돌출부(127)에 각각 대응하여 상부 지지부(128) 및 하부 지지부(126)가 형성된다. 이때, 상부 돌출부(125)는 하부에 하부 지지부(126)가 형성되며, 하부 돌출부(127)는 상부에 상부 지지부(128)가 형성된 구조이다.
제1 끼움 고정부(121)와 제2 끼움 고정부(122)의 대응한 서포트 바디(124)의 외측 단부와 상부 지지부(128)와 하부 지지부(126)의 외측 단부는 경사 곡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끼움 고정부(121)와 제2 끼움 고정부(122)는 외측 단부가 경사 곡면을 형성되며, 상하 위치가 바뀐 구조이다. 이에 대응하여 제1 절삭 팁(141)과 제2 절삭 팁(145)의 외측 단부의 단차진 상부와 하부는 경사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끼움 고정부(121)와 제2 끼움 고정부(122) 및 제1 절삭 팁(141)과 제2 절삭 팁(145)의 외측 단부의 단차진 상부와 하부는 경사 곡면은 자루(110)의 회전 중심이 곡률의 중심이 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 절삭 팁(141)과 제2 절삭 팁(145)을 보면, 제1 절삭 팁(141)의 상부 날(142)은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2 절삭 팁(145)의 하부 날(146)은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제1 절삭 팁(141)은 개략적으로 “『”와 같은 형상이며, 제2 절삭 팁(145)은 제1 절삭 팁(141)을 수평라인에 대해 하방으로 180도 대칭한 반대 형상이다. 이에 따라 제1 절삭 팁(141)의 상부에 상부 날(142)이 형성되며, 제2 절삭 팁(145)의 하부에 하부 날(146)이 형성된다.
이처럼 제1 절삭 팁(141)과 제2 절삭 팁(145)은 상부 날(142)과 하부 날(146)에 대응하여 지지구조가 형성된 제1 끼움 고정부(121)와 제2 끼움 고정부(122)에 브레이징 용접으로 고정되며, 상부 날(142)과 하부 날(146)을 회전 방향에서 교대로 피절삭재(10)에 접촉시킴으로써 피절삭재(10)의 접촉면의 상면에서 한 줄의 절삭 칩을 형성하며, 하면에서 다른 한 줄의 절삭 칩을 형성한다. 이러한 피절삭재(10)의 절삭면인 슬롯 홈부(11)에서 상면 절삭 칩(15)과 하면 절삭 칩(16)은 슬롯 홈부(11)보다 좁은 너비로서 형성되는 슬롯 홈부(11)에서 각각의 상부 날(142)과 하부 날(146)의 회전 방향에 따른 접선 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끼움 고정부(121)와 고정 바디(123)와 제2 끼움 고정부(122)의 고정 바디(123) 사이로 제1 절삭 팁(141)과 제2 절삭 팁(145)이 교대로 배치되며, 제1 절삭 팁(141)과 제2 절삭 팁(145)의 내측 단부는 고정 바디(123)에 대응하여 내측 경사면(148)이 마련된다. 이때 제1 절삭 팁(141)과 제2 절삭 팁(145)의 내측 경사면(148)은 자루(110)의 하단 외주부에서 거의 접선 방향에 가깝게 형성된다.
한편, 제1 절삭 팁(141)과 제2 절삭 팁(145)은 대응하는 제1 끼움 고정부(121)와 제2 끼움 고정부(122)에 복수의 나사로 체결되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절삭 팁(141)과 제2 절삭 팁(145)의 조립 구조는 통상의 절삭 팁의 조립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끼움 고정부와 제2 끼움 고정부 및 제1 절삭 팁과 제2 절삭 팁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끼움 고정부(121)와 제2 끼움 고정부(122) 및 제1 절삭 팁(141)과 제2 절삭 팁(145)은, 상하 방향으로 슬립 결합이 가능하며, 반대로 반경 외측 방향으로 슬립 이동이 충분히 저지되는 구조인 상하방향의 사각 기어들이 형성된 사각 기어부(149)로 상호 끼움되어 브레이징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끼움 고정부(121)와 제2 끼움 고정부(122)에서 제1 절삭 팁(141)과 제2 절삭 팁(145)이 충분히 고정된 상태에서 원주 방향의 절삭 공정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물론 이때도, 조립나사는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사각 기어부(149)는 도 5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100)의 입체도 및 정면도이다.
다른 실시 예의 제1 절삭 팁(141)가 제2 절삭 팁(145)을 도 5에서 보면, 제1 절삭 팁(141)은 상면부가 공구 홀더(120)의 상측에 대응하는 높이로 평평하며 저면부가 공구 홀더(120)의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 날(142)이 외측 상부에 마련된다.
또한, 제2 절삭 팁(145)은 상면부가 공구 홀더(120)의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저면부가 공구 홀더(120)의 상측에 대응하는 높이로 평평하여 하부 날(146)이 외측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절삭 팁(141)과 제2 절삭 팁(145)은 각각 저면부와 상면부가 경사지게 제1 경사면(151)과 제2 경사면(152)이 형성됨으로써 상부 날(142)과 하부 날(146)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피절삭재(10)의 절삭면에 대응하여 상부 날(142)과 하부 날(146)이 교대로 접촉됨으로써 상면 절삭 칩(15)과 하면 절삭 칩(16)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절삭면에 형성되는 슬롯 홈부(11)보다 절삭 칩의 좁게 형성되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교차로 배치된 상단 날과 하단 날이 각각 다른 높이로 소재를 절삭하여 선두의 공구 날인 상부 날(142)과 하부 날(146)이 교대로 피절삭재(10)에 접촉되면서 발생한 피절삭재(10)의 절삭되는 슬롯 홈부(11)에서 소재 칩을 배출할 공간이 확보된다. 즉, 칩의 넓이보다 가공되는 전체 홈의 넓이가 넓게 되므로, 절삭 칩이 원활하게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가공 중 홈에 칩이 끼기 어렵기 때문에 검사 공정이 줄며, 절삭 중 칩 배출로 인한 스크래치(scratch) 감소와 칩 끼임 감소로 가공이 용이해지고 품질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응용 예는, 상기에 나타난 실시 양태들로 제한되진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 항들을 적절히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10: 피절삭재
11: 슬롯 홈부
15: 상면 절삭 칩
16: 하면 절삭 칩
100: 티컷 공구
110: 자루
120: 공구 홀더
121: 제1 끼움 고정부
122: 제2 끼움 고정부
123: 고정 바디
124: 서포트 바디
125: 상부 돌출부
126: 하부 지지부
127: 하부 돌출부
128: 상부 지지부
140: 복수의 절삭 팁
141: 제1 절삭 팁
142: 상부 날
145: 제2 절삭 팁
146: 하부 날
148: 내측 경사면
151: 제1 경사면
152: 제2 경사면

Claims (5)

  1. 절삭 장치에 물리는 자루(110);
    상기 자루(11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공구 홀더(120); 및
    상기 공구 홀더(120)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결합되는 복수의 절삭 팁(140)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절삭 팁(140)은,
    상부 날(142)이 형성된 제1 절삭 팁(141); 및
    하부 날(146)이 형성된 제2 절삭 팁(145)을 포함하되,
    상기 공구 홀더(120)는,
    상기 제1 절삭 팁(141)의 단부가 반경 방향으로 끼움 가능하며, 상기 제1 절삭 팁(141)의 측면부가 접촉 지지되도록 마련된 제1 끼움 고정부(121); 및
    상기 제1 끼움 고정부(121)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절삭 팁(145)의 단부가 반경 방향으로 끼움 가능하며, 상기 제2 절삭 팁(145)의 측면부가 접촉 지지되도록 마련된 제2 끼움 고정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삭 팁(141)의 상부 날(142)은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2 절삭 팁(145)의 하부 날(146)은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절삭 팁(141)과 상기 제2 절삭 팁(145)이 상하 반대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상기 상부 날(142)과 상기 하부 날(146)이 피절삭재(10)의 절삭면을 상부면과 하부면으로 구분하여 교대로 절삭하며,
    상기 제1 끼움 고정부(121)는 상기 제1 절삭 팁(141)의 상부 날(142)에 대응하여 상부 돌출부(125)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끼움 고정부(122)는 상기 제2 절삭 팁(145)의 하부 날(146)에 대응하여 하부 돌출부(127)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끼움 고정부(121)와 상기 제2 끼움 고정부(122)가 상하 반대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움 고정부(121)와 상기 제2 끼움 고정부(122)는,
    상기 자루(110)의 하단부에 결합되거나 연결되며, 반경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 바디(123); 및
    상기 고정 바디(123)에서 접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결되는 서포트 바디(124)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끼움 고정부(121)와 상기 제2 끼움 고정부(122)의 상부 돌출부(125) 및 하부 돌출부(127)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상부 지지부(128) 및 하부 지지부(126)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움 고정부(121)와 고정 바디(123)와 상기 제2 끼움 고정부(122)의 고정 바디(123) 사이로 상기 제1 절삭 팁(141)과 상기 제2 절삭 팁(145) 중 어느 하나가 끼움 고정되며,
    상기 제1 절삭 팁(141)과 상기 제2 절삭 팁(145)의 내측 단부는 상기 고정 바디(123)에 대응하여 내측 경사면(148)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삭 팁(141)은 상면부가 상기 공구 홀더(120)의 상측에 대응하는 높이로 평평하며, 저면부가 상기 공구 홀더(120)의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날(142)이 외측 상부에 마련되되,
    상기 제2 절삭 팁(145)은 상면부가 상기 공구 홀더(120)의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저면부가 상기 공구 홀더(120)의 상측에 대응하는 높이로 평평하여 상기 하부 날(146)이 외측 하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
  5. 삭제
KR1020220172523A 2022-12-12 2022-12-12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 Active KR102696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2523A KR102696884B1 (ko) 2022-12-12 2022-12-12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2523A KR102696884B1 (ko) 2022-12-12 2022-12-12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7128A KR20240087128A (ko) 2024-06-19
KR102696884B1 true KR102696884B1 (ko) 2024-08-20

Family

ID=91712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2523A Active KR102696884B1 (ko) 2022-12-12 2022-12-12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68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3995A (en) 1985-09-13 1988-03-29 Stellram S.A. Milling cutter for machining T-shaped grooves
JP2009018354A (ja) * 2007-07-10 2009-01-29 Toshiba Mach Co Ltd 切削工具、工作機械及び切削方法
CN201572954U (zh) 2009-12-23 2010-09-08 南京二机数控车床有限责任公司 铣刀
JP5940167B2 (ja) * 2012-10-31 2016-06-29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リブの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7486A (en) * 1976-05-18 1977-04-12 American Cyanamid Company Cationic alpha-cyano-p-dimethylaminocinnamoyl dyes and paper dyed therewith
IL159157A (en) 2003-12-02 2008-03-20 Amir Satran Rotary slot milling cutter and cutting insert theref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3995A (en) 1985-09-13 1988-03-29 Stellram S.A. Milling cutter for machining T-shaped grooves
JP2009018354A (ja) * 2007-07-10 2009-01-29 Toshiba Mach Co Ltd 切削工具、工作機械及び切削方法
CN201572954U (zh) 2009-12-23 2010-09-08 南京二机数控车床有限责任公司 铣刀
JP5940167B2 (ja) * 2012-10-31 2016-06-29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リブの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7128A (ko) 202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060B1 (ko) 절삭 인서트, 밀링 공구 및 절삭 방법
JP5007853B2 (ja) 切削用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US4733995A (en) Milling cutter for machining T-shaped grooves
KR101732790B1 (ko) 일회용 밀링 커터의 블레이드 위치결정 구조
WO2018074038A1 (ja) チップ付き丸鋸刃
AU2004244876A1 (en) Core cutter
HUT57111A (en) Slot mil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WO2010023761A1 (ja) 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回転工具
EP3009217B1 (en) Tangential cutting insert and milling tool comprising such a cutting insert
JP4945382B2 (ja) 溝切削加工方法および溝切削加工装置
JP3919241B2 (ja) リーマ
JPS62188616A (ja) フライス
US7441991B2 (en) Chamfering tool
KR102696884B1 (ko) 칩 배출 기능이 향상된 티컷 공구
JPH11170106A (ja) ドリル
KR101753218B1 (ko) 양면 홀 면취용 절삭공구
KR102019084B1 (ko) 강성을 보강한 플랫 릴리프를 구비한 엔드밀
JP2001277033A (ja) エンドミル
JPH0313004B2 (ko)
JP3821108B2 (ja) チップブレーカを備えたドリル
CN217070873U (zh) 钻铰刀
JP2014108474A (ja) 穴あけ工具
JP4756609B2 (ja) 回転切削工具
JP5219671B2 (ja) 内径加工用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方法
JP5667221B2 (ja) 複合切削刃具及びワークの切削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