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6636B1 - Agricultural Vehicle - Google Patents

Agricultural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6636B1
KR102696636B1 KR1020160179656A KR20160179656A KR102696636B1 KR 102696636 B1 KR102696636 B1 KR 102696636B1 KR 1020160179656 A KR1020160179656 A KR 1020160179656A KR 20160179656 A KR20160179656 A KR 20160179656A KR 102696636 B1 KR102696636 B1 KR 102696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ear wheel
vehicle body
agricultural work
ax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6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5822A (en
Inventor
정남형
김중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9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6636B1/en
Publication of KR20180075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8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6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663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이 설치된 차량본체; 상기 차량본체에 설치된 전륜(前輪); 상기 차량본체에 후륜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후륜샤프트; 상기 전륜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후륜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후륜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후륜샤프트에 설치된 후륜(後輪); 및 상기 엔진으로부터 제공된 구동에 의해 출력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출력기어를 갖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되, 상기 후륜축이 상기 출력축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농업용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including a vehicle body having an engine installed; a front wheel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a rear wheel shaft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rear wheel axle; a rear wheel installed on the rear wheel shaft so as to rotate about the rear wheel axle as the rear wheel shaft rotates, the rear wheel being arranged at a position spaced rearward from the front wheel;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having an output gear that rotates about an output shaft by drive provided from the engine, wherein the rear wheel axle is arranged at a position spaced rearward from the output shaft.

Description

농업용 작업차량{Agricultural Vehicle}Agricultural Vehicle

본 발명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농업용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used to cultivate crops necessary for human life using land.

농업용 작업차량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콤바인(Combine), 트랙터(Tractor) 등이 농업용 작업차량에 해당한다. 콤바인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탈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Agricultural work vehicles are used to cultivate crops necessary for human life by utilizing land. For example, combines and tractors are agricultural work vehicles. A combine performs the work of harvesting and threshing crops such as rice, barley, wheat, and soybeans. A tractor performs the work necessary for cultivating crops by utilizing traction force.

이러한 농업용 작업차량은 주변기구 장착을 통해 더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예컨대, 농업용 작업차량에는 주변기구로 잔디 등을 깎는 모어(Mower)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농업용 작업차량은 모어를 이용하여 잔디 등을 깎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se agricultural work vehicles are implemented to perform more diverse tasks by installing peripheral equipment. For example, agricultural work vehicles can be equipped with a mower as a peripheral equipment for cutting grass, etc. In this case, agricultural work vehicles can perform tasks such as cutting grass, etc. using the mower.

이와 같은 주변기구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방 및 농업용 작업차량의 후방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륜(前輪) 및 후륜(後輪) 사이에도 장착된다.Such peripheral devices are installed not only at the front and rear of agricultural work vehicles, but also, in some cases, between the front and rear wheels of agricultural work vehicles.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전륜 및 후륜 간의 축간 거리로 인해 전륜 및 후륜 사이에 주변기구를 장착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agricultural work vehicles according to conventional technology have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peripheral equipment between the front and rear wheels du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axles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전륜 및 후륜 사이에 주변기구를 장착하는 작업에 대한 어려움을 경감시킬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that can reduce the difficulty of installing peripheral equipment between the front and rear wheels.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엔진이 설치된 차량본체; 상기 차량본체에 설치된 전륜(前輪); 상기 차량본체에 후륜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후륜샤프트; 상기 전륜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후륜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후륜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후륜샤프트에 설치된 후륜(後輪); 및 상기 엔진으로부터 제공된 구동을 상기 후륜샤프트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엔진으로부터 제공된 구동에 의해 출력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출력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륜샤프트는 상기 출력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에 의해 상기 후륜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후륜을 회전시키되, 상기 후륜축이 상기 출력축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차량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An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ehicle body having an engine installed; a front wheel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a rear wheel shaft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rear wheel axle; a rear wheel installed on the rear wheel shaft so as to be positioned rearwardly from the front wheel and rotated about the rear wheel axle as the rear wheel shaft rotates;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drive provided from the engine to the rear wheel shaf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include an output gear that rotates about an output shaft by the drive provided from the engine. The rear wheel shaft may be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so as to rotate about the rear wheel axle by the drive transmitted through the output gear, while the rear wheel is rotated, and the rear wheel is arranged at a position rearwardly from the output shaft.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차량본체의 크기 증대를 감소시키면서 축간거리를 늘릴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주변기구에 대한 장착작업 및 분리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기구에 대한 장착작업 및 분리작업에 걸리는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가동률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as to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axles while reducing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vehicle body,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installation and removal work for peripheral devices and reducing the work time required for installation and removal work for peripheral devices, thereby contributing to increasing the operating rate.

본 발명은 축간거리를 늘림에 따른 차량본체의 크기 증대를 감소시켜서 전체적인 크기 증대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작은 사이즈가 요구되는 작업환경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 및 활용폭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reduce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vehicle body due to the increase in the distance between axles, thereby reducing the increase in the overall size, thereby increasing the versatility and range of use that can be applied to work environments that require an overall small size.

본 발명은 차량본체의 크기 증대를 감소시키면서 전륜 및 후륜이 상대적으로 더 긴 거리로 이격되어서 차량본체를 지지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전도(顚倒) 등과 같이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강화된 안전성을 갖출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ize of the vehicle body and, by implementing the front and rear wheels to be relative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upport the vehicle body, reduc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such as overturning, thereby providing enhanced safe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케이스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비교예에 있어서 출력기어 및 후륜샤프트 간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개념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출력기어 및 후륜샤프트 간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개념적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저장홈에 대한 확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일부 측단면도
Figure 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part of a case in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sid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output gear and the rear shaft in a comparative example of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nceptual sid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output gear and the rear shaft in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tension of a storage home in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트랙터, 콤바인 등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cultivate crops necessary for human life using land.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ractor, a combine, or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차량본체(2), 전륜(前輪)(3), 후륜(後輪)(4), 동력전달부(5, 도 2에 도시됨), 및 후륜샤프트(6)를 포함할 수 있다.An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ehicle body (2), a front wheel (3), a rear wheel (4), a power transmission unit (5, shown in FIG. 2), and a rear shaft (6).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차량본체(2)는 엔진(Engine)(100, 도 2에 도시됨)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엔진(100)은 상기 차량본체(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차량본체(2)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차량본체(2)에는 상기 전륜(3), 상기 후륜(4), 및 상기 동력전달부(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엔진(100)은 상기 동력전달부(5)를 통해 상기 전륜(3) 및 상기 후륜(4)에 구동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차량본체(2)를 주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주행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은 상기 차량본체(2)가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주행 이동하는 전진방향, 및 상기 차량본체(2)가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주행 이동하는 후진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 방향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vehicle body (2) supports an engine (100, illustrated in FIG. 2). The engine (100) is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vehicle body (2), and thus can be supported by the vehicle body (2). The front wheel (3), the rear wheel (4),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 can be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2). The engine (100) provides drive to the front wheel (3) and the rear wheel (4)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 thereby allowing the vehicle body (2) to move along the driv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this case, the driv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may be an axial direction parallel to a forward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body (2) moves fo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FD arrow), and a backward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body (2) moves backward (in the direction of the BD arrow).

상기 차량본체(2)는 작업기(미도시)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작업기는 상기 차량본체(2)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차량본체(2)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작업기 장착을 통해 수행 가능한 작업 범위를 늘릴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차량본체(2)에는 흙을 치우거나 옮기는데 이용되는 로더 작업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로더 작업기는 상기 차량본체(2)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차량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차량본체(2)에는 굴삭작업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백호 작업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백호 작업기는 상기 차량본체(2)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차량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The above vehicle body (2) can support a work machine (not shown). The work machine can be supported by the vehicle body (2) by being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2).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work range that can be performed by mounting the work machine. For example, a loader work machine used for clearing or moving soil can be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2). The loader work machine can be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2)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front (in the direction of the FD arrow) of the vehicle body (2). For example, a backhoe work machine used for performing an excavation work can be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2). The backhoe work machine can be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2)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rear (in the direction of the BD arrow) of the vehicle body (2).

상기 차량본체(2)는 운전석(20)을 지지할 수 있다. 운전자가 상기 차량본체(2)에 마련된 운전석(20)에 탑승하여 조향장치, 조작장치 등을 조작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above vehicle body (2) can support a driver's seat (20). When a driver gets on the driver's seat (20)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2) and operates the steering device, operating device, etc.,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predetermined task.

상기 차량본체(2)는 장착홈(21, 도 1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vehicle body (2) may include a mounting groove (21, shown in FIG. 1).

상기 장착홈(21)은 주변기구(미도시)가 장착되기 위한 공간이다. 상기 주변기구는 상기 차량본체(2)에 장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주변기구 장착을 통해 수행 가능한 작업 범위를 늘릴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주변기구가 잔디 등을 깎는 모어(Mower)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모어의 장착을 통해 잔디 등을 깎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mounting groove (21) is a space for mounting a peripheral device (not shown). The peripheral device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2).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range of work that can be performed by mounting the peripheral device. For example, if the peripheral device is a mower for cutting grass, etc.,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work of cutting grass, etc. by mounting the mower.

상기 장착홈(21)은 상기 전륜(3) 및 상기 후륜(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주변기구는 상기 장착홈(21)에 삽입되어서 상기 차량본체(2)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전륜(3) 및 상기 후륜(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변기구는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전륜(3) 및 상기 후륜(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장착홈(21)은 상기 차량본체(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주변기구는 상기 차량본체(2)의 하면(下面)에 설치된 장착기구(미도시)를 통해 상기 차량본체(2)에 장착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ounting groove (21) may be located between the front wheel (3) and the rear wheel (4). The above-described peripheral device may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1) and mounted on the vehicle body (2), thereby being located between the front wheel (3) and the rear wheel (4). 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peripheral device may be located between the front wheel (3) and the rear wheel (4)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above-described mounting groove (21)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body (2). The above-described peripheral device may be mounted on the vehicle body (2) through a mounting device (not shown)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2).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전륜(3)은 상기 차량본체(2)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전륜(3)은 상기 차량본체(2)가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주행 이동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전륜(3)은 상기 차량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륜(3)은 상기 엔진(100)으로부터 제공된 구동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차량본체(2)를 주행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전륜(3)은 전륜샤프트(미도시)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전륜샤프트를 통해 상기 차량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륜(3)은 상기 전륜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전륜(3)은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륜(4)으로부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륜(3)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front wheel (3) is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2). The front wheel (3) can be used to move the vehicle body (2) along the driv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front wheel (3) can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2). The front wheel (3) can rotate by the drive provided from the engine (100) to move the vehicle body (2). The front wheel (3) is installed on a front wheel shaft (not shown), and can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2) through the front wheel shaft. The front wheel (3) can rotate together as the front wheel shaft rotates. The front wheel (3) can be positioned at a position spaced fo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FD arrow) from the rear wheel (4)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front wheels (3).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후륜(4)은 상기 차량본체(2)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후륜(4)은 상기 차량본체(2)가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주행 이동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후륜(4)은 상기 차량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후륜(4)은 상기 엔진(100)으로부터 제공된 구동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차량본체(2)를 주행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후륜(4)은 상기 후륜샤프트(6)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후륜샤프트(6)를 통해 상기 차량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후륜(4)은 상기 후륜샤프트(6)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후륜(4)은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전륜(3)으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후륜(4)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rear wheel (4) is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2). The rear wheel (4) can be used to move the vehicle body (2) along the driv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rear wheel (4) can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2). The rear wheel (4) can rotate by the drive provided from the engine (100) to move the vehicle body (2). The rear wheel (4) is installed on the rear wheel shaft (6), and can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2) through the rear wheel shaft (6). The rear wheel (4) can rotate together as the rear wheel shaft (6) rotates. The rear wheel (4) can be positioned at a position spaced rea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BD arrow) from the front wheel (3)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ar wheels (4).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동력전달부(5)는 상기 엔진(100)으로부터 제공된 구동을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동력전달부(5)는 상기 엔진(100)으로부터 제공된 구동을 상기 후륜샤프트(6)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5)는 상기 후륜샤프트(6)를 통해 상기 후륜(4)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5)는 상기 엔진(100)으로부터 제공된 구동을 상기 전륜샤프트에 추가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5)는 상기 전륜샤프트를 통해 상기 전륜(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5)는 상기 차량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 transmits the drive provided from the engine (100).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 can transmit the drive provided from the engine (100) to the rear wheel shaft (6). Accordingly,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 can rotate the rear wheel (4) through the rear wheel shaft (6).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 can additionally transmit the drive provided from the engine (100) to the front wheel shaft. Accordingly,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 can rotate the front wheel (3) through the front wheel shaf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 can be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2).

상기 동력전달부(5)는 변속기구(50,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속기구(50)는 상기 엔진(100)으로부터 제공된 구동에 대해 변속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변속기구(50)에 의해 변속된 구동은, 상기 후륜샤프트(6)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변속기구(50)에 의해 변속된 구동은, 상기 전륜샤프트에 추가로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변속기구(50)는 변속을 수행하기 위해 유압무단변속기(HST, Hydro Static Transmissio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속기구(50)는 변속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개의 기어(Gear) 및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Sleeve)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슬리브는 싱크로나이저 슬리브(Synchronizer Sleeve)일 수 있다. 상기 변속기구(50)는 변속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개의 기어 및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Clutch)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5) may include a transmission mechanism (50, illustrated in FIG. 2). The transmission mechanism (50) performs transmission for the drive provided from the engine (100). The drive shifted by the transmission mechanism (50) may be transmitted to the rear shaft (6). The drive shifted by the transmission mechanism (50) may additionally be transmitted to the front shaft. The transmission mechanism (50) may include a hydrauli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HST) to perform transmission. The transmission mechanism (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gears and at least one sleeve to perform transmission. The sleeve may be a synchronizer sleeve. The transmission mechanism (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gears and at least one clutch to perform transmission.

상기 동력전달부(5)는 출력기어(51,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power transmission unit (5) may include an output gear (51, shown in FIG. 3).

상기 출력기어(51)는 상기 후륜샤프트(6)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출력기어(51)는 상기 엔진(100)으로부터 제공된 구동을 상기 후륜샤프트(6)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후륜샤프트(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출력기어(51)는 상기 변속기구(50)를 거쳐 변속된 구동을 상기 후륜샤프트(6)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기어(51)는 상기 변속기구(50)가 갖는 기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어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변속기구(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출력기어(51)는 상기 변속기구(50)가 갖는 샤프트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변속기구(50)에 연결될 수도 있다.The above output gear (51) is connected to the rear wheel shaft (6). The output gear (51) can rotate the rear wheel shaft (6) by outputting the drive provided from the engine (100) to the rear wheel shaft (6). The output gear (51) can output the drive that has been shifted through the transmission mechanism (50) to the rear wheel shaft (6). In this case, the output gear (51) can b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mechanism (50) by engaging with at least one gear among the gears of the transmission mechanism (50). The output gear (51)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mechanism (50) by engaging with at least one shaft among the shafts of the transmission mechanism (50).

상기 출력기어(51)는 상기 차량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출력기어(51)는 출력축(5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차량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출력기어(51)는 상기 출력축(511)이 제1축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 및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은 하나의 수평면 상에서 서로 수직한 축 방향일 수 있다.The above output gear (51)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2). The output gear (51)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2)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n output shaft (511). The output gear (51)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output shaft (511) is arranged parallel to the first axial direction. The first axial direction and the driv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may be axial directions that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on one horizontal plane.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후륜샤프트(6)는 상기 후륜(4)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후륜샤프트(6)는 후륜축(6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차량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후륜샤프트(6)에는 상기 후륜(4)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후륜샤프트(6)는 상기 동력전달부(5)에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륜샤프트(6)는 상기 동력전달부(5)로부터 전달되는 구동에 의해 상기 후륜축(6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후륜(4)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륜(4)은 상기 후륜축(6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5, the rear wheel shaft (6) rotates the rear wheel (4). The rear wheel shaft (6) may be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2)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rear axle (60). The rear wheel (4)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wheel shaft (6). The rear wheel shaft (6)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 Accordingly, the rear wheel shaft (6) may rotate about the rear axle (60) by the drive transmitt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 to rotate the rear wheel (4). In this case, the rear wheel (4) may rotate about the rear axle (60).

상기 후륜샤프트(6)는 상기 출력기어(51)에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륜샤프트(6)는 상기 출력기어(51)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에 의해 상기 후륜축(6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후륜(4)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후륜축(60)은 상기 출력축(511)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륜축(60) 및 상기 출력축(511)은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rear shaft (6) may b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output gear (51). In this case, the rear shaft (6) may rotate the rear wheel (4) while rotating around the rear axle (60) by the drive transmitted through the output gear (51). The rear axle (60)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output shaft (511). The rear axle (60) and the output shaft (511)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first axial direction.

상기 후륜샤프트(6)는 상기 후륜축(60)이 상기 출력축(511)으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차량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륜축(60) 및 상기 출력축(511)이 동일한 수직선(PL) 상에 배치된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차량본체(2)의 크기 증대를 감소시키면서 상기 전륜(3) 및 상기 후륜(4) 간의 축간거리(Wheelbase, W)(도 1에 도시됨)를 늘릴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rear shaft (6) above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2) so that the rear axle (60) is positioned rearwardly (in the direction of the BD arrow) from the output shaft (511). Accordingly,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wheelbase (W) (as shown in FIG. 1) between the front wheel (3) and the rear wheel (4) while reducing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vehicle body (2) when compared to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rear axle (60) and the output shaft (511) are positioned on the same vertical line (PL)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This will be specifically examined as follows.

우선, 상기 비교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륜축(60) 및 상기 출력축(511)이 동일한 수직선(P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직선(PL)은 상기 출력축(511)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연장한 가상의 선이다. 이에 따라,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륜(4)은 상기 출력축(511)과 동일한 수직선(PL)에 배치된 후륜축(6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비교예에 있어서 상기 축간거리(W)를 늘리기 위해서는, 상기 출력축(511) 및 상기 후륜축(60) 모두가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배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비교예는 상기 출력축(511) 및 상기 후륜축(60)이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배치된만큼 상기 차량본체(2)의 크기가 증대되어야 한다.First, in the comparative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4, the rear axle (60) and the output shaft (511) may be arranged on the same vertical line (PL)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vertical line (PL) is an imaginary lin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output shaft (511). Accordingly, the rear wheel (4) may be installed to rotate around the rear axle (60) arranged on the same vertical line (PL) as the output shaft (511)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this comparative example, in order to increase the axle distance (W), both the output shaft (511) and the rear axle (60) must be arranged to move rea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BD arrow). Accordingly, in the comparative example, the size of the vehicle body (2) must be increased by the amount that the output shaft (511) and the rear axle (60) are arranged to move rea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BD arrow).

다음,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륜축(60)이 상기 출력축(511)으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차량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륜샤프트(6)는 상기 비교예와 대비할 때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륜(4)은 상기 출력축(511)으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후륜축(6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출력축(511) 및 상기 출력기어(51)를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배치하지 않고도, 상기 후륜축(60) 및 상기 후륜샤프트(6)만을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배치함으로써 상기 후륜(4)을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차량본체(2)의 크기 증대를 감소시키면서 상기 축간거리(W)를 늘릴 수 있도록 구현된다.Next,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2) so that the rear axle (6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spaced rea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BD arrow) from the output shaft (511)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X-axis) as illustrated in FIG. 5. In this case, the rear wheel shaft (6) may be positioned to move rea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BD arrow)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Accordingly, the rear wheel (4) may be installed to rotate around the rear axle (60) positioned rea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BD arrow) from the output shaft (511)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X-axis). Therefore,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the rear wheel (4) toward the rear (in the direction of the BD arrow) by only moving the rear axle (60) and the rear wheel shaft (6) toward the rear (in the direction of the BD arrow) without moving the output shaft (511) and the output gear (51) toward the rear (in the direction of the BD arrow). Therefore,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as to increase the axle distance (W) while reducing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vehicle body (2)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차량본체(2)의 크기 증대를 감소시키면서 상기 축간거리(W)를 늘릴 수 있으므로, 상기 주변기구를 상기 차량본체(2)에 장착하는 장착작업 및 상기 주변기구를 상기 차량본체(2)로부터 분리하는 분리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작업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차량본체(2)의 크기 증대를 감소시키면서도, 상기 주변기구에 대한 장착작업 및 분리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차량본체(2)의 크기 증대를 감소시키면서도, 상기 주변기구에 대한 장착작업 및 분리작업에 걸리는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가동률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First, since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axle distance (W) while reducing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vehicle body (2), the work space can be increased when performing the installation work of installing the peripheral device to the vehicle body (2) and the separation work of separating the peripheral device from the vehicle body (2). Therefore,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ease of installation work and separation work for the peripheral device while reducing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vehicle body (2). In addition,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horten the work time taken for the installation work and separation work for the peripheral device while reducing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vehicle body (2), and thus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operating rate.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축간거리(W)를 늘림에 따른 상기 차량본체(2)의 크기 증대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크기 증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대적으로 소형 마력급의 잔디 깎기가 주요 작업인 경우 등과 같이 전체적으로 작은 사이즈가 요구되는 작업환경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 및 활용폭을 증대시킬 수 있다.Second,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vehicle body (2) due to the increase in the axle distance (W), and thus reduce the increase in the overall size. Accordingly,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versatility and utilization range that can be applied even to work environments that require a small overall size, such as when the main work is lawn mowing with a relatively small horsepower level.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차량본체(2)의 크기 증대를 감소시키면서 상기 축간거리(W)를 늘릴 수 있으므로, 상기 전륜(3) 및 상기 후륜(4)이 상대적으로 더 긴 거리로 이격되어서 상기 차량본체(2)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륜(3) 및 상기 후륜(4)이 상기 차량본체(2)를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전도(顚倒) 등과 같이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강화된 안전성을 갖출 수 있다.Third, since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axle distance (W) while reducing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vehicle body (2), the front wheel (3) and the rear wheel (4) can be spaced apart by a relatively longer distance to support the vehicle body (2). Accordingly,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vehicle body (2) more stably by the front wheel (3) and the rear wheel (4),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such as tipping over. Accordingly,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enhanced safety.

상기 후륜샤프트(6)는 상기 출력기어(5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출력기어(51)는 상기 후륜샤프트(6)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륜샤프트(6)는 상기 출력축(511)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연장한 가상의 수직선(PL) 및 상기 출력축(511)과 상기 후륜축(60)을 연결한 가상의 연결선(CL, 도 5에 도시됨) 간의 끼인각(Included Angle)(IA)이 예각(銳角)을 이루도록 상기 차량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차량본체(2)의 크기 증대를 감소시키면서 상기 축간거리(W)를 늘릴 수 있으면서도, 상기 출력기어(51)에서 상기 후륜샤프트(6)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구동에 대한 손실이 발생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The rear shaft (6) may be arranged to be located below the output gear (51). That is, the output gear (51) may be arranged to be located above the rear shaft (6). In this case, the rear shaft (6)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2) such that an included angle (IA) between an imaginary vertical line (PL)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output shaft (511) and an imaginary connecting line (CL, illustrated in FIG. 5) connecting the output shaft (511) and the rear shaft (60) forms an acute angle. Accordingly,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axle distance (W) while reducing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vehicle body (2), while reducing the degree of loss in driving that occurs during the process of transmitting driving from the output gear (51) to the rear shaft (6).

상기 후륜샤프트(6)는 상기 후륜축(60)이 상기 출력축(511)으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서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장착홈(21)을 확장시키도록 상기 차량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주변기구에 대한 장착작업 및 분리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확장된 장착홈(21)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주변기구에 대한 장착작업 및 분리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주변기구에 대한 장착작업 및 분리작업에 걸리는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The rear shaft (6) above can be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2) so that the rear axle (60) is positioned rearwardly (in the direction of the BD arrow) from the output shaft (511) and the mounting groove (21) is expand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mounting groove (21) expand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can be used when performing mounting and detaching operations for the peripheral equipment,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mounting and detaching operations for the peripheral equipment and shortening the work time required for the mounting and detaching operations for the peripheral equipment.

이 경우, 상기 장착홈(21)은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후륜축(60)이 상기 출력축(511)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거리(60D)만큼 확장된 길이(21L, 도 1에 도시됨)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륜축(60)이 상기 출력축(511)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거리(60D), 및 상기 비교예와 대비하여 상기 장착홈(21)이 늘어난 길이는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후륜축(60)이 상기 출력축(511)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거리(60D)를 최대한 활용하여 상기 장착홈(21)의 길이(21L)를 확장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주변기구에 대한 장착작업 및 분리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주변기구에 대한 장착작업 및 분리작업에 걸리는 작업시간을 더 단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unting groove (21) may be formed with a length (21L, illustrated in FIG. 1) extended by a distance (60D) by which the rear axle (60) is spaced rearwardly from the output shaft (511)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That is, the distance (60D) by which the rear axle (60) is spaced rearwardly from the output shaft (511)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the length by which the mounting groove (21) is extended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manner. Accordingly,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o extend the length (21L) of the mounting groove (21) by making maximum use of the distance (60D) by which the rear axle (60) is spaced rearwardly from the output shaft (511). Accordingly,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further improve the ease of installation and removal work for the peripheral equipment, but also further shorten the work time required for installation and removal work for the peripheral equipment.

상기 후륜샤프트(6)에는 입력기어(61, 도 3에 도시됨)가 설치될 수 있다.An input gear (61, shown in FIG. 3) can be installed on the above rear shaft (6).

상기 입력기어(61)는 상기 출력기어(51)에 맞물림되는 것이다. 상기 입력기어(61)는 상기 후륜샤프트(6)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기어(61)는 상기 출력기어(5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후륜샤프트(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후륜샤프트(6)는 상기 입력기어(61)를 통해 상기 출력기어(5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력기어(61)는 상기 후륜축(6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후륜샤프트(6)에 설치될 수 있다.The input gear (61) above is engaged with the output gear (51). The input gear (61)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rear shaft (6). Accordingly, the input gear (61) may rotate as the output gear (51) rotates, thereby rotating the rear shaft (6). That is, the rear shaft (6)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gear (51) through the input gear (61). The input gear (61)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haft (6) so as to rotate about the rear axle (60).

상기 입력기어(61)는 상기 출력기어(51)에 비해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출력기어(51)에서 상기 후륜샤프트(6)로 구동이 전달되면서 속도가 느려지는 감속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동력전달부(5) 및 상기 후륜샤프트(6)를 연결하기 위한 입력기어(61) 및 출력기어(51)를 이용하여 추가로 감속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되므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토크, 속도 등을 조절하는 변속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input gear (61)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output gear (51). Accordingly, a reduction gear shift can be performed in which the speed is reduced while the drive is transmitted from the output gear (51) to the rear shaft (6). Accordingly,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additional reduction gear shift is performed by using the input gear (61) and the output gear (51) for connect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 and the rear shaft (6), and thus the gear shift function for controlling various torques, speeds, etc., as needed, can be improved.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케이스(7,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6,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se (7, shown in FIG. 3).

상기 케이스(7)는 상기 출력기어(51) 및 상기 입력기어(61)를 수용하는 것이다. 상기 출력기어(51) 및 상기 입력기어(61)는 상기 케이스(7)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후륜샤프트(6)는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7)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케이스(7)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7)는 상기 차량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7)는 상기 차량본체(2)에 일체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The above case (7) accommodates the output gear (51) and the input gear (61). The output gear (51) and the input gear (61)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case (7). The rear wheel shaft (6) may be installed in the case (7) so as to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case (7) along the first axial direction. The case (7)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2). The case (7) may also be implemented so as to be integrated into the vehicle body (2).

상기 케이스(7)는 저장홈(71,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ase (7) may include a storage home (71, shown in FIG. 3).

상기 저장홈(71)은 작동유체를 저장하는 것이다. 작동유체는 윤활유 등과 같은 유체일 수 있다. 상기 저장홈(71)은 상기 출력기어(51) 및 상기 입력기어(61)를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홈(71)에는 상기 출력기어(51) 및 상기 입력기어(61)가 작동유체에 담겨진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출력기어(51) 및 상기 입력기어(61)를 수용하는 케이스(7)가 작동유체를 저장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작동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 등과 같은 기구물을 추가하지 않고도 작동유체에 대한 저장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주변기구뿐만 아니라 로더 작업기, 백호 작업기 등과 같은 작업기가 추가로 장착된 경우에도, 상기 케이스(7)에 저장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작업기가 원활하게 동작하기 위한 충분한 유압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음에도 다양한 작업기의 장착을 통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다양한 작업환경에 적용 가능한 범용성 및 활용폭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The storage groove (71) above stores the working fluid. The working fluid may be a fluid such as a lubricating oil. The storage groove (71) can accommodate the output gear (51) and the input gear (61). In this case, the output gear (51) and the input gear (61) may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groove (71) while being immersed in the working fluid. Accordingly,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uch that the case (7) accommodating the output gear (51) and the input gear (61) stores the working fluid, thereby increasing the storage amount for the working fluid without adding a device such as a tank for storing the working fluid. Therefore,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sufficient hydraulic pressure for the working machine to operate smoothly by using the working fluid stored in the case (7) even when a work machine such as a loader work machine and a backhoe work machine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addition to the peripheral devices. Accordingly,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with a compact structure and can perform various tasks by mounting various work machines,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versatility and range of use applicable to various work environments.

상기 저장홈(71)은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륜샤프트(6)는 상기 후륜축(60)이 상기 출력축(511)으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차량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기어(61)가 설치된 후륜샤프트(6)는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7)는 상기 후륜샤프트(6)를 수용하는 부분이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술한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저장홈(71)의 용적이 증대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storage groove (71) above can be expanded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this case, the rear wheel shaft (6) can be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2) so that the rear wheel shaft (60) is arranged at a position spaced rea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BD arrow) from the output shaft (511). That is, the rear wheel shaft (6) on which the input gear (61) is installed can be moved and arranged toward the rear (in the direction of the BD arrow). Accordingly, the case (7) is formed so that the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rear wheel shaft (6) protrudes toward the rear (in the direction of the BD arrow), so that the volume of the storage groove (71)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described above. This will be specifically examined as follows.

우선, 상기 비교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륜축(60) 및 상기 출력축(511)이 동일한 수직선(PL) 상에 배치되므로, 상기 케이스(7)에서 상기 후륜샤프트(6)를 수용하는 부분이 도 6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4, in the comparative example, since the rear axle (60) and the output shaft (511) are arranged on the same vertical line (PL)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rear axle shaft (6) in the case (7) can be implemented as shown in the dotted line in FIG. 6.

다음,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륜축(60)이 상기 출력축(511)으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므로, 상기 케이스(7)에서 상기 후륜샤프트(6)를 수용하는 부분이 도 6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7)는 상기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후륜샤프트(6)를 수용하는 부분이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 배치됨으로써, 상기 저장홈(71)에 대한 확장을 통해 상기 저장홈(71)의 용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Next, since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uch that the rear axle (60) is spaced rea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BD arrow) from the output shaft (511)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as illustrated in FIG. 5, the portion of the case (7) that accommodates the rear shaft (6) can be implemented as illustrated in a solid line in FIG. 6. In this case, when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the portion of the case (7) that accommodates the rear shaft (6) is arranged to be moved rea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BD arrow), thereby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storage groove (71) through expansion of the storage groove (71).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작동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 등과 같은 기구물을 추가하지 않고도, 상기 케이스(7) 및 상기 저장홈(71)의 용적 증대를 통해 작동유체에 대한 저장량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케이스(7)에 저장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작업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작동유체의 유압을 더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음에도 더 다양한 작업기의 장착을 통해 더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다양한 작업환경에 적용 가능한 범용성 및 활용폭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ncrease the storage amount of the working fluid by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case (7) and the storage groove (71) without adding a device such as a tank for storing the working fluid. Accordingly,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as to further increase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working fluid for operating the working machine by using the working fluid stored in the case (7). Therefore,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with a compact structure, and can perform a wider variety of tasks by mounting a wider variety of working machines,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versatility and utilization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상기 저장홈(71)은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후륜축(60)이 상기 출력축(511)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거리(60D, 도 5에 도시됨)만큼 확장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륜축(60)이 상기 출력축(511)으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60D), 및 상기 비교예와 대비하여 상기 저장홈(71)이 늘어난 길이(71L, 도 6에 도시됨)는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후륜축(60)이 상기 출력축(511)으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60D)를 최대한 활용하여 상기 저장홈(71)의 길이를 확장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후륜축(60)이 상기 출력축(511)으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됨에 따라 확보된 확장공간에 대한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The storage groove (71)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that is extended by the distance (60D, illustrated in FIG. 5) that the rear axle (60) is spaced rearwardly from the output shaft (511)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That is, the distance (60D) that the rear axle (60) is spaced rearwardly (in the direction of the BD arrow) from the output shaft (511)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the length (71L, illustrated in FIG. 6) that the storage groove (71) is extended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manner. Accordingly,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o extend the length of the storage groove (71) by making maximum use of the distance (60D) that the rear axle (60) is spaced rearwardly (in the direction of the BD arrow) from the output shaft (511). Accordingly,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expanded space secured by the rear axle (60) being spaced rea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BD arrow) from the output shaft (511).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ttached drawings,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농업용 작업차량 2 : 차량본체
3 : 전륜 4 : 후륜
5 : 동력전달부 6 : 후륜샤프트
7 : 케이스 21 : 장착홈
50 : 변속기구 51 : 출력기어
60 : 후륜축 61 : 입력기어
71 : 저장홈 511 : 출력축
1: Agricultural work vehicle 2: Vehicle body
3: Front wheel 4: Rear wheel
5: Power transmission unit 6: Rear shaft
7 : Case 21 : Mounting hole
50: Transmission mechanism 51: Output gear
60: Rear axle 61: Input gear
71 : Storage Home 511 : Output Shaft

Claims (7)

농업용 작업차량으로서,
엔진이 설치된 차량본체;
상기 차량본체에 설치된 전륜(前輪);
상기 차량본체에 후륜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후륜샤프트;
상기 전륜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후륜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후륜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후륜샤프트에 설치된 후륜(後輪); 및
상기 엔진으로부터 제공된 구동을 상기 후륜샤프트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엔진으로부터 제공된 구동에 의해 출력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출력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후륜샤프트는 상기 출력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에 의해 상기 후륜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후륜을 회전시키되, 상기 후륜축이 상기 출력축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차량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본체는 상기 전륜과 상기 후륜 사이에 주변기구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후륜샤프트는 상기 후륜축이 상기 출력축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서 상기 차량본체가 주행 이동하는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장착홈을 확장시키도록 상기 차량본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As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The vehicle body with the engine installed;
Front wheel installed on the above vehicle body;
A rear shaft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the rear axle of the vehicle body;
A rear wheel (後輪) installed on the rear wheel shaft so as to rotate around the rear wheel axle as the rear wheel shaft rotates, and is positioned at a position spaced rearward from the front wheel; and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drive provided from the engine to the rear wheel shaft,
The above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an output gear that rotates around an output shaft by drive provided from the engine,
The rear wheel shaft rotates the rear wheel by rotating around the rear wheel axle by the drive transmitted through the output gear, and is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rear wheel axle is positioned rearwardly from the output shaft.
The above vehicle body includes a mounting groove for mounting a peripheral device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wheel shaft is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rear wheel axle is positioned rearwardly from the output shaft and the mounting groove is expanded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body mov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샤프트에는 상기 출력기어에 맞물림되는 입력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입력기어는 상기 출력기어에서 상기 후륜샤프트로 구동이 전달되면서 감속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출력기어에 비해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In the first paragraph,
An input gear that meshes with the output gear is installed on the above rear shaft,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gear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output gear so that a reduction gear change is performed while driving is transmitted from the output gear to the rear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기어는 상기 후륜샤프트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후륜샤프트는 상기 출력축으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연장한 가상의 수직선 및 상기 출력축과 상기 후륜축을 연결한 가상의 연결선 간의 끼인각(Included Angle)이 예각(銳角)을 이루도록 상기 차량본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output gear is arranged to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shaft,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shaft is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included angle between an imaginary vertical lin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output shaft and an imaginary connecting line connecting the output shaft and the rear shaft forms an acute ang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상기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후륜축이 상기 출력축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거리만큼 확장된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In the first paragraph,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mounting groove is formed with a length extended by the distance that the rear axle is rearwardly separated from the output shaft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기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후륜샤프트에는 상기 출력기어에 맞물림되는 입력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는 작동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홈을 포함하되, 상기 저장홈에는 상기 출력기어 및 상기 입력기어가 수용되고,
상기 후륜샤프트는 상기 후륜축이 상기 출력축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서 상기 차량본체가 주행 이동하는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홈을 확장시키도록 상기 차량본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In the first paragraph,
Including a case that accommodates the above output gear,
An input gear that meshes with the output gear is installed on the above rear shaft.
The above case includes a storage groove for storing the working fluid, wherein the output gear and the input gear ar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groove,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wheel shaft is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rear wheel axle is positioned rearwardly from the output shaft and the storage home is expanded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body mov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홈은 상기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후륜축이 상기 출력축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거리만큼 확장된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In Article 6,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home is formed with a length that is extended by the distance that the rear axle is rearwardly separated from the output shaft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KR1020160179656A 2016-12-27 2016-12-27 Agricultural Vehicle Active KR1026966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656A KR102696636B1 (en) 2016-12-27 2016-12-27 Agricultural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656A KR102696636B1 (en) 2016-12-27 2016-12-27 Agricultural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822A KR20180075822A (en) 2018-07-05
KR102696636B1 true KR102696636B1 (en) 2024-08-21

Family

ID=6292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656A Active KR102696636B1 (en) 2016-12-27 2016-12-27 Agricultural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663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648B1 (en) * 2005-02-08 2007-02-27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A passenger vehicle
JP2014080079A (en) * 2012-10-16 2014-05-08 Shoshin:Kk Four-wheel-drive running system of work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3472B2 (en) * 2003-03-11 2008-08-13 三菱農機株式会社 Paddy field work vehicle
DE102011004018A1 (en) * 2011-02-14 2012-08-16 Robert Bosch Gmbh Actuator, flow valve, exhaust gas turbocharg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648B1 (en) * 2005-02-08 2007-02-27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A passenger vehicle
JP2014080079A (en) * 2012-10-16 2014-05-08 Shoshin:Kk Four-wheel-drive running system of work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822A (en)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53196B1 (en) Transmission system for motor vehicles having pto-shafts
US6237708B1 (en) Working vehicle
JP2015086995A (en) Drive control mechanism for work part of work vehicle
WO2014096448A1 (en) Agricultural vehicle transmission
JP2009214818A (en) Work vehicle
KR102449338B1 (en)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for construction and snow removing work
JP4750516B2 (en) Paddy field work vehicle
JP2009092169A (en) Work machine transmission case structure
KR102696636B1 (en) Agricultural Vehicle
JP5723452B2 (en) Tractor
KR101029371B1 (en) Tractor
JP5207787B2 (en) Work vehicle
US9919558B2 (en) Rear axle case of agricultural work vehicle and rear axle assembly of agricultural work vehicle, including same
JP6132756B2 (en) Work vehicle
JP7130605B2 (en) Elevating device for work vehicle and work machine
JP7033971B2 (en) Paddy field work machine
EP2329968B1 (en) Front axle assembly for an agricultural tractor
KR102788101B1 (en) Power Take-off Apparatus of Agricultural Vehicle
JP2016136901A (en) Rice planting machine or direct seeding machine
JP2015223110A (en) Working machine
JP7519958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work vehicles
KR101195206B1 (en) Tractor
CN105984493B (en) Riding rice transplanter or riding direct seeder
JP7012573B2 (en) Paddy field work machine
KR102530334B1 (en) Assembly for Hydrostatic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0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13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