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6601B1 - 복수의 챔버를 갖는 시샤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복수의 챔버를 갖는 시샤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6601B1
KR102696601B1 KR1020197037312A KR20197037312A KR102696601B1 KR 102696601 B1 KR102696601 B1 KR 102696601B1 KR 1020197037312 A KR1020197037312 A KR 1020197037312A KR 20197037312 A KR20197037312 A KR 20197037312A KR 102696601 B1 KR102696601 B1 KR 102696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cartridge
chambers
shisha
cha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7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6412A (ko
Inventor
펠릭스 페르난도
마이클 패튼
데이비드 크로스
에바 사아데 라토레
테렌스 존 윌비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00096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6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66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00Tobacco pipes
    • A24F1/30Hookah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sme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는 시샤 장치 내로 작동 가능하게 삽입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된 외부 표면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카트리지는 하우징 내의 제1 챔버; 제1 챔버 내의 제1 에어로졸 발생 기재; 하우징 내의 제2 챔버를 더 포함한다. 제2 챔버는 제1 챔버에 인접한다. 제2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제2 챔버 내에 있다. 제1 에어로졸 발생 기재 및 제2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조성물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1 챔버는 제1 새로운 공기 유입구 및 대향하는 제1 에어로졸 배출구를 정의하여, 사용시, 제1 새로운 공기 유입부에 들어가는 새로운 공기는 제1 에어로졸 배출구를 통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운반한다. 제2 챔버는 제2 새로운 공기 유입구 및 대향하는 제2 에어로졸 배출구를 정의하여, 사용 시, 제2 새로운 공기 유입구에 들어가는 새로운 공기는 제2 에어로졸 배출구를 통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운반한다.

Description

복수의 챔버를 갖는 시샤 카트리지
본 개시는 2개 이상의 챔버를 갖고, 챔버 카트리지 내에 배치된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가열하지만 연소하지 않도록 구성된 시샤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함유하는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시샤 장치는 담배를 피우는 데 사용되고 증기 및 연기가 소비자에 의해 흡입되기 전에 물통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시샤 장치는 시샤 장치가 한 번에 한 명 초과의 소비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나의 배출구 또는 하나 초과의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시샤 장치의 사용은 많은 사람에 의해 여가 활동과 사회 경험으로 간주된다.
시샤 장치에 사용된 담배는 다른 성분과 혼합되어, 예를 들어 생성된 증기와 연기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풍미를 변경하거나 혹은 둘 모두일 수 있다. 목탄 펠릿은 전형적으로 시샤 장치에서 담배를 가열하는 데 사용되어, 담배 또는 다른 성분의 완전 연소 또는 부분 연소를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탄 연소의 부산물을 예방하거나 담배가 연소되는 일관성을 개선하기 위해 전기 열원을 사용하여 담배를 연소시키는 몇몇 시샤 장치가 제안되었다. 담배 이외의 e-액체를 사용하는 다른 시샤 장치가 제안되었다. e-액체를 사용하는 시샤 장치는 연소 부산물을 제거하지만, 담배-기반 경험을 시샤 소비자에게서 박탈한다.
예상된 시샤 경험을 제공하는 동안, 연소 부산물을 초래하지 않는 기재를 사용하는 시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담배 기재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 시샤 장치를 편리한 소모품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효율적으로 가열될 수 있는 시샤 소모품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과열 없이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완전한 또는 거의 완전한 소비를 허용하는 시쉬 소모품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고유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상이한 유형 또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제공하도록 맞춤화될 수 있는 시샤 소모품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에서, 시샤 장치 내로 작동 가능하게 삽입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된 외부 표면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카트리지는 하우징 내의 제1 챔버; 제1 챔버 내의 제1 에어로졸 발생 기재; 하우징 내의 제2 챔버로서, 제1 챔버에 인접한 제2 챔버; 및 제2 챔버 내의 제2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더 포함하며, 제1 에어로졸 발생 기재 및 제2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조성물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제1 챔버는 제1 새로운 공기 유입구 및 대향하는 제1 에어로졸 배출구를 정의하여, 사용시, 제1 새로운 공기 유입부에 들어가는 새로운 공기는 제1 에어로졸 배출구를 통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운반한다. 제2 챔버는 제2 새로운 공기 유입구 및 대향하는 제2 에어로졸 배출구를 정의하여, 사용 시 제2 새로운 공기 유입구에 들어가는 새로운 공기는 제2 에어로졸 배출구를 통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운반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챔버는 열 전도성 재료, 자성 열 유도에 민감한 재료, 또는 전도성 재료 및 자성 열 유도에 민감한 열 재료 둘 모두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는 제1 및 제2 챔버에 더하여 하나 이상의 추가 챔버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추가 챔버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추가 챔버 중 적어도 하나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가 없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가 없는 챔버는 비어 있을 수 있다. 빈 챔버는 카트리지의 과열; 특히 다른 챔버에 배치된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과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저장하는 챔버는 기재를 태우지 않고 기재를 가열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모든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소비를 허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함유하는 챔버, 또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함유하는 챔버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약 1.5:1, 적어도 약 2:1 또는 적어도 약 3:1의 종횡비(길이 대 폭 비 또는 폭 대 길이 비)를 갖는다.
다양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를 작동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시샤 조립체가 제공된다. 시샤 조립체는 액체의 부피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내부를 정의하는 용기를 더 포함한다. 용기는 헤드스페이스 배출구 도관을 포함한다. 시샤 조립체는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를 가열하여 카트리지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 요소를 더 포함한다. 가열 요소는 전기 저항 가열 요소, 및 유도 가열 요소, 또는 저항 및 유도 가열 요소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열 요소는 작동 동안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 내에 함유된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가열하지만 태우지 않도록 구성된다. 시샤 조립체는 또한 카트리지 리셉터클과 유체 연결되는 에어로졸 배출구 및 카트리지 리셉터클과 유체 연결되는 새로운 공기 유입구 채널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 및 시샤 조립체의 다양한 양태 또는 구현예는 기존의 시샤 소모품 및 시샤 조립체에 비해 하나 이상의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는 기재를 태우지 않고 기재를 가열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모든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소비를 허용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될 수 있는 복수의 챔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함유하는 챔버의 종횡비는 모든 기재의 충분하고 효율적인 가열을 허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챔버는 적어도 약 1.5:1, 적어도 약 2:1, 또는 적어도 약 3:1의 종횡비를 갖는다. 챔버의 크기 및 형상은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연소시키지 않고 에어로졸 형성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정도로 챔버 내의 실질적으로 모든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가열을 허용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는 또한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빈 챔버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카트리지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연소를 방지하며, 예를 들어 빈 챔버에 인접한 챔버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과열을 방지한다. 다른 예로서, 본원에 설명된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의 다양한 양태는 하나보다 많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포함할 수 있어, 소비자가 자신의 개인적인 취향에 맞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들 및 다른 장점은 본원에 제시된 개시를 읽을 때에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함유하는 2개 이상의 챔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는 3개 이상의 챔버, 5개 이상의 챔버, 또는 7개 이상의 챔버를 포함한다.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는 임의의 적절한 수의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는 100 이하의 챔버, 80 이하의 챔버 또는 40 이하의 챔버를 포함한다.
채널의 수, 구성 및 치수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가 함유되는 단일 구획부를 갖는 시샤 장치에 비해 시샤 조립체에서 카트리지의 사용 동안 소모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양을 증가시키도록 맞춤화될 수 있다. 하나의 큰 챔버보다는 복수의 챔버를 포함하도록 카트리지를 분할하는 것은 특히 챔버가 기재의 가열에 기여하면, 에어로졸 발생 기재로부터 에어로졸의 실질적인 고갈을 허용하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더 작은 부분의 가열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챔버는 기재를 가열하는 데 기여한다.
카트리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도를 통해 가열되는 시샤 조립체에 사용하도록 구성되면, 챔버, 또는 챔버의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열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다. 임의의 적절한 열 전도성 재료는 챔버 또는 챔버의 일부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열 전도성 재료의 예는 알루미늄, 구리, 아연, 니켈, 은,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챔버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다.
카트리지가 유도를 통해 가열되는 시샤 조립체에 사용되도록 구성되면, 챔버, 또는 챔버의 일부는 서셉터 재료로 형성된다. 임의의 적절한 서셉터 재료는 챔버 또는 챔버의 일부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서셉터'는 전자기 에너지를 열로 변환할 수 있는 재료를 지칭한다. 교류 전자기장 내에 위치될 때, 와전류가 유도되어 서셉터의 가열을 야기하는 히스테리시스 손실이 서셉터에 발생할 수 있다. 서셉터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열적 접촉하거나 열적으로 밀접한 근위에 위치하므로, 기재는 에어로졸이 형성되도록 서셉터에 의해 가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서셉터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배열된다.
서셉터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에 충분한 온도로 유도 가열될 수 있는 임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서셉터는 금속 또는 탄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서셉터는 강자성 재료, 예를 들어 페라이트 철, 강자성 합금, 예컨대 강자성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페라이트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합한 서셉터는 알루미늄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서셉터는 금속 서셉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이다. 그러나, 서셉터 재료는 또한 흑연, 몰리브덴, 실리콘 카바이드, 알루미늄, 니오븀, 인코넬 합금(오스테나이트 니켈-크롬-기반의 초합금), 금속화 필름, 예를 들어 지르코니아와 같은 세라믹, 예를 들어 Fe, Co, Ni과 같은 전이 금속, 또는 예를 들어 B, C, Si, P, Al과 같은 준금속 성분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제조될 수 있다.
서셉터는 바람직하게는 5%, 바람직하게는 20%, 바람직하게는 50% 또는 90%보다 더 많은 강자성 재료 또는 상자성 재료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서셉터는 250
Figure 112019130464181-pct00001
를 초과하는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적합한 서셉터는 비금속 코어 상에 배치된 금속층(예를 들어, 세라믹 코어의 표면 상에 성형된 금속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카트리지의 베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서셉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서셉터 재료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카트리지의 하우징의 외부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서셉터 재료로 제조된다. 그러나, 또한 카트리지의 하우징의 내부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서셉터 재료로 코팅되거나 서셉터 재료로 라이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라이닝은 하우징에 부착되거나 고정되어, 예컨대 쉘의 통합된 일부를 형성한다.
하나 이상의 챔버의 측벽은 서셉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 또는 그의 일부는 열 전도성 재료 및 서셉터 재료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로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가 유도를 통해 가열되는 시샤 조립체에 사용하도록 구성되면, 챔버, 또는 챔버의 일부는 서셉터 재료로 형성되고, 카트리지는 바람직하게는 서셉터 재료의 최소 표면적이 자기장에 평행한 방식으로 시샤 조립체에 위치된다. 시샤 조립체의 카트리지 및 리셉터클은 리셉터클 내의 카트리지의 적절한 배향을 보장하고 이에 따라 시샤 장치 내의 챔버의 적절한 배향을 보장하기 위해 키형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챔버는 유도 자기장에 평행할 수 있는 표면적을 감소시키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는 원통형이고 둥근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5개 이상의 측벽을 갖는 다각형 프리즘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유도 자기장에 평행할 수 있는, 챔버의 일부, 및 이에 따라 서셉터 재료를 제한할 수 있다.
챔버의 형상과 관계없이, 챔버는 바람직하게는 단단히 패킹된다. 단단히 패킹된 챔버는 하나의 챔버로부터 인접 챔버로의 열의 전도를 통한 가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챔버는 전도에 의한 챔버 사이의 열 전달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다른 챔버에 인접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챔버의 벽은 제2 챔버의 벽의 역할을 한다. 챔버의 특히 바람직한 배열은 밀집된 육각형 프리즘 어레이, 예를 들어 벌집형 구조와 같은 균일한 육각형 프리즘 어레이이다.
카트리지 내의 챔버의 정확한 배열에 상관없이, 평균적으로 챔버의 외부 표면적의 50% 이상은 인접 챔버의 일부를 인접하거나 형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균적으로 챔버의 외부 표면적의 70% 이상 또는 80% 이상은 인접 챔버의 일부를 인접하거나 형성한다. 일부 예에서, 예컨대 벌집 유형 구조에서, 적어도 일부 챔버의 외부 표면의 100%는 하나 이상의 다른 챔버에 인접할 수 있다.
챔버는 임의의 적합한 크기 및 형상일 수 있다. 챔버의 크기 및 형상은 균일할 수 있거나 불균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챔버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일부 예에서, 챔버는 약 5 mm 내지 약 30 mm, 예컨대 약 10 mm 내지 약 20 mm, 또는 약 14 mm 내지 약 18 mm 범위의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챔버는 약 3 mm 내지 약 20 mm, 예컨대 약 4 mm 내지 약 10 mm 또는 약 5 mm 내지 약 7 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챔버는 약 14 mm 내지 약 18 mm의 길이 및 약 5 mm 내지 약 7 mm의 폭을 갖는다.
카트리지의 2개 이상의 챔버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함유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카트리지의 모든 챔버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함유한다. 일부 예에서, 카트리지의 챔버 중 적어도 하나는 비어 있고 에어로졸 발생 기재가 없다. 빈 챔버는 과도한 열이 용기로부터 운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카트리지의 내용물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의 챔버는 새로운 공기 유입구 및 에어로졸 배출구를 갖는다. 새로운 공기 유입구는 사용자가 시샤 장치 상에서 흡인할 때 새로운 공기가 카트리지 내로 흐를 수 있게 한다. 그 다음, 공기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부터 에어로졸 배출구를 통해 챔버 내에 형성된 에어로졸을 운반한다. 챔버의 새로운 공기 유입구 및 에어로졸 배출구는 바람직하게는 챔버의 대향 단부에 있다.
일부 예에서, 측벽은 챔버 사이의 기류를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포함한다. 동일한 측벽이 제1 및 제2 챔버의 일부를 형성하면, 측벽 내의 애퍼처는 제1 및 제2 챔버 사이의 기류를 허용할 것이다. 애퍼처의 수, 크기 및 형상은 챔버 사이에서 흐를 수 있는 공기의 양을 조정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애퍼처는 임의의 적합한 크기 및 형상일 수 있다. 크기 및 형상은 균일하거나 불균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애퍼처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애퍼처는 균일하거나 불균일한 방식으로 분포될 수 있다. 채널 사이의 기류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챔버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소비(에어로졸의 고갈)를 향상시키도록 조정된다.
카트리지는 챔버가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시샤 조립체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 외부 표면을 정의한다. 하우징은 챔버의 새로운 공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고, 챔버의 에어로졸 배출구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의 유입구 또는 배출구의 수가 챔버의 새로운 공기 유입구 또는 에어로졸 배출구의 수 미만이면, 카트리지는 챔버의 보다 많은 새로운 공기 유입구를 하우징의 유입구에 유체 연결하거나 챔버의 보다 많은 에어로졸 배출구를 하우징의 배출구에 유체 연결하는 매니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챔버의 수와 동일한 수의 유입구 및 챔버의 수와 동일한 수의 배출구를 포함한다.
다른 것 중에서, 챔버의 유입구, 배출구, 길이, 크기 및 치수, 챔버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존재 또는 부재, 챔버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양, 및 하우징의 유입구 및 유입구의 크기 및 형상은 임의의 적절한 흡인 저항을 카트리지에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는 본 개시에 기초하여 명백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유입구의 크기 및 형상은 주로 카트리지를 통해 RTD를 제어할 책임이 있다.
본 발명의 카트리지는 임의의 적절한 RTD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구 또는 유입구들로부터 배출구 또는 배출구들로의 카트리지를 통한 RTD는 약 10 mm H2O 내지 약 50 mm H2O, 바람직하게는 약 20 mm H2O 내지 약 40 mm H2O일 수 있다. 시편의 RTD는, 용적 유량(volumetric flow)이 배출 단부에서 초당 17.5 밀리리터인 정상 상태 조건 하에서 기류에 의해 가로지를 때, 시편의 두 단부 간의 정압차를 지칭한다. 시편의 RTD는, 통기가 전부 차단된 상태에서 ISO 표준 6565:2002에 규정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은 측벽 및 하단을 단일 부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고 별도의 상단 또는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의 하나 이상의 유입구는, 바람직하게는 상단 또는 리드에 의해 정의되는 반면, 하나 이상의 배출구는 바람직하게는 하단에 의해 정의된다.
하우징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내열성 중합체 또는 금속과 같은, 내열성 재료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열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은 알루미늄, 구리, 아연, 니켈, 은 및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된다.
챔버는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챔버는 단일 부품으로 형성된다. 챔버는 하우징 내에 삽입될 수 있거나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단일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는 시샤 장치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 임의의 적절한 형상일 수 있다. 시샤 장치가 전도에 의해 카트리지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면, 카트리지는, 바람직하게는 시샤 장치의 가열 요소 사이의 접촉을 허용하도록 형상화되고 크기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내부 및 카트리지의 외부는 유사한 크기 및 치수이다. 일부 예에서, 카트리지는 약 1.5 대 1보다 큰 베이스 폭(또는 직경) 비 또는 약 1.5 대 1보다 큰 베이스 폭(또는 직경) 비를 갖는다. 이러한 비는 가열 요소로부터의 열이 카트리지의 중간에 침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 동안 카트리지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보다 효율적인 고갈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는 높이의 약 1.5배 내지 약 5배, 높이의 약 1.5배 내지 약 4배, 또는 높이의 약 1.5배 내지 약 3배 베이스 직경(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카트리지는 베이스 직경(또는 폭)의 약 1.5배 내지 약 5배, 또는 베이스 직경(또는 폭) 약 1.5배 내지 약 4배, 또는 베이스 직경(또는 폭)의 약 1.5배 내지 약 3배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는 약 1.5 내지 1 내지 약 2.5 대 1의 높이 대 베이스 직경 비 또는 베이스 직경 대 높이 비를 갖는다.
일부 예에서, 카트리지는 약 15 mm 내지 약 25 mm 범위의 높이 및 약 40 mm 내지 약 60 mm 범위의 베이스 직경을 갖는다.
카트리지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는 실질적으로 입방형 형상 또는 절두 원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는 절두 원추형 형상을 갖는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는 임의의 적합한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기재를 함유하는 카트리지의 각 챔버는 동일한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챔버는 상이한 챔버 내에 함유된 에어로졸 발생 기재와 상이한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함유할 수 있다. 소비자는 그들의 개인적인 취향에 맞추도록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조합을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 기재이다. 휘발성 화합물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가열함으로써 방출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거나 고체 및 액체 성분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고체이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니코틴을 포함할 수 있다. 니코틴 함유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니코틴 염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식물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담배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담배 함유 물질은 가열 시 에어로졸 발생 기재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담배 향미 화합물을 함유한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균질화 담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균질화된 담배 물질은 미립자로 된 담배를 응집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존재한다면, 균질화된 담배 재료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30 중량% 초과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은 건조 중량 기준으로 약 95% 미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은 약 55%까지이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비-담배 함유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균질화된 식물계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예를 들어 허브 잎, 담뱃잎, 담배 리브 조각, 재구성 담배, 균질화 담배, 압출 담배 및 팽화 담배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분말, 과립, 펠릿, 슈레드(shred), 스파게티(spaghetti), 스트립 또는 시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사용 시, 조밀하고도 안정적인 에어로졸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작동 온도에서의 열적 열화(degradation)에 실질적으로 내성을 가지는, 임의의 적절한 공지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적합한 에어로졸 형성제는 당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트리에틸렌 글리콜, 1,3-부탄디올 및 글리세린과 같은 다가 알코올; 글리세롤 모노-, 디- 또는 트리아세테이트와 같은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및 디메틸 도데칸디오에이트(dimethyl dodecanedioate) 및 디메틸 테트라데칸디오에이트(dimethyl tetradecanedioate)와 같은, 모노-, 디- 또는 폴리카르복실산의 지방족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에어로졸 형성제는 트리에틸렌 글리콜, 1,3-부탄디올과 같은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이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향미제와 같은 다른 첨가제 및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니코틴 및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제는 글리세린이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열적으로 안정한 캐리어에 제공되거나 캐리어에 매립될 수 있다. 캐리어는 고체 기재가 제1 주 표면 상에, 제2 주 외부 표면 상에, 또는 제1 및 제2 주 표면 둘 모두에 증착된 얇은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는, 예를 들어 종이, 종이류 재료, 부직 탄소 섬유 매트, 저 질량 오픈 메쉬 금속 스크린, 또는 천공된 금속 호일 또는 임의의 다른 열적으로 안정한 중합체 매트릭스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캐리어는 분말, 과립, 펠릿, 슈레드, 스파게티, 스트립 또는 시트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캐리어는 담배 성분이 통합된 부직포 직물 또는 섬유 다발일 수 있다. 부직포 직물 또는 섬유 다발은, 예를 들어 탄소 섬유, 천연 셀룰로스 섬유, 또는 셀룰로스 유도체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현탁액의 형태이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두꺼운, 당밀형 현탁액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임의의 적절한 양으로 하나 이상의 당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수크로스를 분할함으로써 얻어진 글루코스 및 프룩토스의 혼합물인 전화당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약 1 중량% 내지 약 40 중량%의 당, 예컨대 전화당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하나 이상의 당은 콘스타치 또는 말토덱스트린과 같은 적절한 캐리어와 혼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하나 이상의 감각 증강제를 포함한다. 적절한 감각 증강제는 향미제 및 감각제, 예컨대 감열소염제를 포함한다. 적절한 향미제는 천연 또는 합성 멘톨, 페퍼민트, 스피어민트, 커피, 홍차, 향신료(예컨대 계피, 정향 및/또는 생강), 코코아, 바닐라, 과일 향미, 초콜릿, 유칼립투스, 제라늄, 유제놀, 용설란, 주니퍼, 아네톨, 리날로올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임의의 적절한 양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카트리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는 약 10분 내지 약 60분, 바람직하게는 약 20분 내지 약 50분,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분 내지 약 40분 동안 지속되는 시샤 경험을 위해 충분한 양의 에어로졸을 제공할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양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카트리지는 약 5 g 내지 약 50 g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는 약 10 g 내지 약 25 g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는 약 10 g 내지 약 20 g, 또는 약 15 g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는 임의의 적절한 시샤 조립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샤 조립체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로부터 에어로졸의 형성을 일으키지만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연소시키지 않도록 카트리지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충분히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시샤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일정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약 150℃ 내지 약 25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80℃ 내지 약 230℃ 또는 약 200℃ 내지 약 230℃의 범위에서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샤 조립체는 전도, 대류, 유도, 또는 전도, 대류 및 유도 중 2개 이상의 조합에 의해 가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샤 조립체가 유도에 의해 가열되도록 구성되면, 카트리지의 챔버는, 바람직하게는 서셉터 재료를 포함한다. 시샤 조립체는 유도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샤 조립체는 서셉터 재료에 와전류 및/또는 히스테리시스 손실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유도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서셉터 재료의 가열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시샤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서셉터 재료 및 유도 가열 구성은, 예를 들어 PCT 공개 특허 출원 WO 2014/102092 및 WO 2015/177255에 기재된 것을 포함한다.
시샤 조립체가 전도에 의해 카트리지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면, 시샤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가 시샤 조립체에 의해 작동 가능하게 수용될 때 카트리지의 하우징을 접촉하거나 이와 근접한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가열 요소는 저항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는 하나 이상의 저항 와이어 또는 다른 저항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저항 와이어는 더 넓은 영역에 걸쳐 생성된 열을 분배하기 위해 열 전도성 재료와 접촉할 수 있다. 적절한 전도성 재료의 예는 알루미늄, 구리, 아연, 니켈, 은,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목적을 위해, 저항 와이어가 열 전도성 재료과 접촉하고 있으면, 저항 와이어 및 열 전도성 재료 둘 모두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가열 요소의 일부이다.
시샤 조립체가 카트리지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가열하는 메커니즘에 관계없이, 시샤 조립체는 가열 요소의 가열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기재가 가열되는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전자기기는 임의의 적합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어기 또는 메모리와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 상태 기계,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게이트 어레이,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동등한 별개의 또는 집적된 논리 회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전자기기는 회로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제어 전자기기의 기능 또는 양태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제어 전자기기에 기인하는 기능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 중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회로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회로는 전력 공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력은 전류 펄스의 형태로 히터 요소에 공급될 수 있다.
가열 요소가 저항 가열 요소이면, 제어 전자기기는 가열 요소의 전기 저항을 감시하고, 가열 요소의 전기 저항에 따라 가열 요소에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 전자기기는 저항 요소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가열 구성요소가 유도 코일을 포함하고, 가열 요소가 서셉터 재료를 포함하면, 제어 전자기기는 유도 코일의 양태를 감시하고, 예를 들어 WO 2015/177255에 설명된 바와 같은 코일의 양태에 따라 유도 코일에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 전자기기는 서셉터 재료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시샤 장치는 가열 요소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 전자기기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열전대와 같은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는 가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온도를 감시하기 위해 리셉터클 내에 수용된 카트리지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온도 센서는 가열 요소와 접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온도 센서는 시샤 조립체의 에어로졸 배출구 또는 그의 일부에서 온도를 검출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센서는 감지된 온도에 관한 신호를 제어 전자기기에 전송하며, 이는 센서에서 적절한 온도를 달성하기 위해 가열 요소의 가열을 조정할 수 있다.
시샤 장치, 또는 시샤 장치의 가열 요소는 (i) 상이한 온도에서 카트리지의 상이한 챔버를 가열하거나, (ii) 상이한 시간에 카트리지의 상이한 챔버를 가열하거나, (iii) 가변 온도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카트리지의 하나 이상의 챔버를 가열하거나, (i) 내지 (iii)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조합을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이한 온도에서 카트리지의 상이한 챔버를 가열하는 것은 카트리지의 상이한 챔버 또는 섹션이 상이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경우 유리할 수 있다. 이는 상이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 또는 그의 구성요소가 상이한 기화 온도를 갖는 경우에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상이한 시간에 카트리지의 상이한 챔버를 가열하는 것은 기재가 고갈될 때까지 시간을 유리하게 연장하거나, 주어진 시간에 적절한 양의 에어로졸을 전달할 수 있거나, 또는 둘 모두일 수 있다. 즉, 전체 카트리지를 가열하기보다는 주어진 시간에 카트리지의 하나 이상의 챔버를 가열하는 것은 기재가 너무 이르게 고갈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의 연장된 사용을 허용할 수 있다. 전체 카트리지를 가열하기보다는 주어진 시간에 카트리지의 하나 이상의 챔버를 가열하는 것은 과잉보다는 적절한 양의 에어로졸이 주어진 시간에 생성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시샤 장치의 가열 요소는 임의의 적절한 시간에 카트리지의 하나 이상의 챔버를 순차적으로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의 하나 이상의 챔버를 순차적으로 가열하는 것은 유리하게는 조기 기재 고갈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카트리지의 챔버의 가열에는 중첩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의 제1 챔버가 먼저 가열될 수 있다. 카트리지의 제2 챔버의 가열은 제1 챔버의 가열이 완료되고 제1 챔버 내의 기재가 고갈되기 전에 시작될 수 있다. 이는 전체 카트리지 내의 기재가 고갈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카트리지의 챔버의 순차적이면서 혼합된 가열은 이전의 가열된 챔버 내의 기재의 고갈 전에 후속 가열된 챔버 내의 기재가 예열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는, 이는 제1 및 제2 챔버 내의 기재의 소비 사이에서 사용자에 대한 임의의 대기 시간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제1, 제2 및 임의의 후속 가열 프로파일은 서로 동일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은 상이할 수 있다.
가변 온도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카트리지 또는 전체 카트리지의 하나 이상의 챔버를 가열하는 것은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먼저 제1 휘발 온도를 갖는 제1 기재로부터의 에어로졸 생산을 허용하고, 그 다음 제2 휘발 온도를 갖는 기재로부터의 에어로졸 생산을 허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휘발 온도는 제2 휘발 온도보다 더 낮다. 제1 및 제2 기재는 서로 동일할 수 있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기재는 카트리지의 상이한 챔버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휘발 온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 휘발 온도는 제2 휘발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일 수 있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일정한 온도 보다는 가변 온도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카트리지의 하나 이상의 챔버를 가열하는 것은 (i) 에어로졸이 기재의 고갈 시간을 연장하기 위해, 연속적으로보다는 특정 시간에만 생성되거나, (ii) 장치의 전력 소비가 감소되거나, (i) 및 (ii) 둘 모두가 되게 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가변 온도 프로파일의 일 예가 카트리지의 하나 이상의 특정 섹션 또는 챔버와 같은 카트리지를 상이한 온도로 가열하는 것은 히터 온도를 작동 온도로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가변 온도 프로파일의 다른 예는 하나 이상의 특정 섹션 또는 챔버와 같은 카트리지를 제1 온도로 신속하게 가열한 다음 온도를 제2 온도로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제1 온도는 기재의 휘발 온도 바로 아래의 온도일 수 있다. 제2 온도는 기재의 휘발 온도 이상인 온도일 수 있다. 가변 온도 프로파일의 다른 예에서, 장치 또는 가열 요소는 온도를 제2 온도로 증가시키기 전에 온도를 제1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가열 프로파일은 카트리지의 각각의 챔버에 적용될 수 있다. 챔버는 상이한 가열 프로파일을 각각 가질 수 있다. 일부 챔버는 동일한 가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가열 프로파일은 순차적 방식으로 각각의 챔버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가열 프로파일은 제1 챔버 내의 기재가 실질적으로 고갈될 때까지 제1 챔버에 적용될 수 있다. 이어서, 제2 가열 프로파일은 제2 챔버 내의 기재가 실질적으로 고갈될 때까지 제2 챔버에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전체 카트리지 내의 기재가 고갈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임의의 후속 가열 프로파일은 서로 동일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은 상이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카트리지의 각각의 챔버에 대한 가열 프로파일의 적용에 중첩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열 프로파일은 카트리지의 제1 챔버에 적용될 수 있다. 그 다음, 제2 가열 프로파일은 제1 챔버에 적용된 제1 가열 프로파일이 완료되고 제1 챔버 내의 기재가 고갈되기 전에 카트리지의 제2 챔버에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전체 카트리지 내의 기재가 고갈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카트리지의 챔버에 가열 프로파일의 순차적이면서 혼합된 적용은 이전의 가열된 챔버 내의 기재의 고갈 전에 후속 가열된 챔버 내의 기재가 예열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는, 이는 제1 및 제2 챔버 내의 기재의 소비 사이에 사용자에 대한 임의의 대기 시간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제1, 제2 및 임의의 후속 가열 프로파일은 서로 동일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은 상이할 수 있다.
기재의 과열은 본 개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수의 챔버를 갖는 카트리지로 발생할 수 있고, 기재는 조기에 고갈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술한 시샤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문제점은 가열 요소가 (i) 상이한 온도에서 카트리지의 상이한 챔버를 가열하는 것, (ii) 상이한 시간에 카트리지의 상이한 챔버를 가열하는 것, (iii) 카트리지의 챔버를 순차적으로 가열하는 것, (iv) 중복 방식으로 카트리지의 챔버를 순차적으로 가열하는 것, (v) 가변 온도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카트리지의 하나 이상의 챔버를 가열하는 것 및 (i) 내지 (v)의 임의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시샤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시샤 장치는 상이한 온도에서 카트리지의 상이한 부분을 가열하거나, (ii) 상이한 시간에 카트리지의 상이한 섹션을 가열하거나, (iii) 카트리지의 챔버를 순차적으로 가열하거나, (iv) 중복 방식으로 카트리지의 챔버를 순차적으로 가열하거나, (v) 가변 온도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카트리지의 하나 이상의 섹션을 가열하거나, 또는 (i) 내지 (iv)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조합을 가열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시샤 장치는 카트리지의 상이한 섹션 또는 챔버를 가열하기 위한 2개 이상의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한 시간에, 상이한 온도로, 또는 상이한 온도 프로파일을 통해 카트리지의 상이한 섹션을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시샤 장치는 상이한 시간에, 상이한 온도로, 또는 상이한 온도 프로파일을 통해 카트리지의 상이한 챔버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단일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요소의 가열의 타이밍, 온도 및 온도 프로파일은 제어 전자기기에 의해 제어 가능할 수 있다.
제어 전자기기는 전원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시샤 장치는 임의의 적절한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샤 장치의 전원은 배터리 또는 배터리 세트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캐소드 및 애노드 요소는 그들이 배치되는 시샤 장치의 일부의 기하학적 구조를 매칭하도록 롤링 및 조립될 수 있다. 전원의 배터리는 충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거 가능하고 교체 가능할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업용 대형 전력 공구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대형 유형 또는 표준 배터리가 시장에 존재한다. 대안으로, 전원 유닛은 수퍼 또는 하이퍼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전기 전원일 수 있다. 대안으로, 조립체는 외부 전기 전력원에 연결되고, 그러한 목적을 위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전자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사용되는 전원의 유형에 상관없이, 전원은 바람직하게는 재충전되거나 외부 전기 전력원에 연결될 필요가 있기 전에, 에어로졸이 카트리지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로부터 고갈될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시샤 세션 동안 조립체의 정상 기능을 위해 충분한 에너지를 제공한다. 전원은 재충전되거나 외부 전기 전력원에 연결될 필요가 있기 전에, 장치의 연속 작동의 적어도 약 70분 동안 조립체의 정상 기능을 위해 충분한 에너지를 제공한다.
일 예에서, 시샤 조립체는 카트리지 리셉터클, 가열 요소, 에어로졸 배출구, 및 새로운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요소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리셉터클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함유하는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가열 요소는 리셉터클의 적어도 2개의 표면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는 상단 표면, 측면 표면, 및 하단 표면 중 2개 이상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열 요소는 상단 표면의 적어도 일부 및 측면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열 요소는 리셉터클의 전체 상단 표면 및 전체 측벽 표면을 형성한다. 가열 요소는 리셉터클의 내부 표면 또는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시샤 장치는 리셉터클과 유체 연결되는 새로운 공기 유입구 채널을 포함한다. 새로운 공기는 채널을 통해 리셉터클로 그리고 리셉터클 내로 배치된 카트리지 내의 챔버로 흘러서 시샤 장치가 사용 중일 때 카트리지의 챔버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로부터 에어로졸 배출구로 발생된 에어로졸을 운반한다. 바람직하게는, 채널의 적어도 일부는 리셉터클 또는 카트리지에 들어가기 전에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가열 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표면을 형성하는 가열 요소의 일부는 새로운 공기 유입구 채널의 일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새로운 공기 유입구 채널은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상단 표면 및 가열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측벽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입구 채널은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상단 표면 및 가열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측벽 둘 모두에 의해 형성된다.
공기 유입구 채널의 임의의 적절한 부분은 가열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입구 채널의 길이의 약 50% 이상이 가열 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많은 예에서, 가열 요소는 새로운 공기 유입구 채널의 길이의 95% 이하를 형성할 것이다.
새로운 공기 유입구 채널을 통해 흐르는 공기는 가열 요소에 의해 임의의 적절한 양만큼 가열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공기는 가열된 공기가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함유하는 카트리지를 통해 흐를 때 에어로졸을 형성하도록 충분히 가열될 것이다. 일부 예에서, 공기는 에어로졸 형성을 자체적으로 유발하도록 충분히 가열되지 않지만, 가열 요소에 의한 기재의 가열을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재를 가열하고 에어로졸 형성을 일으키는 가열 요소에 공급된 에너지의 양은 공기가 예열되지 않는 설계에 비해, 공기가 본 발명에 따라 예열될 때, 5% 이상, 예컨대 10% 이상, 또는 15% 이상만큼 감소된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절약은 75% 미만일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기류 채널의 적어도 일부는 가열 요소와 열 차폐물 사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새로운 공기 유입구 채널에 의해 형성된 새로운 공기 유입구 채널의 실질적으로 전체 부분은 또한 열 차폐물에 의해 형성된다. 열 차폐물 및 가열 요소는 공기가 열 차폐물과 가열 요소 사이에서 흐르도록, 새로운 공기 유입구 채널의 대향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 차폐물은 카트리지 리셉터클에 의해 형성된 내부 외부에 위치된다.
임의의 적절한 열 차폐물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 차폐물 재료는 열 반사성인 표면을 포함한다. 열 반사성 표면은 절연 재료로 지지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열 반사성 재료는 알루미늄 금속화 필름 또는 다른 적절한 열 반사성 재료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절연 재료는 세라믹 재료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열 차폐물은 알루미늄 금속화 필름 및 세라믹 재료 배킹을 포함한다.
새로운 공기 유입구 채널은 시샤 장치의 외부로부터의 새로운 공기가 채널을 통해 그리고 애퍼처를 통해 카트리지 리셉터클 내로 흐를 수 있도록 카트리지 리셉터클을 통하는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이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포함하면, 채널은 채널을 통해 흐르는 공기를 각 애퍼쳐로 유도하기 위한 매니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샤 장치는 2개 이상의 새로운 공기 유입구 채널을 포함한다.
몇몇 예에서, 공극은 카트리지의 적어도 일부와 리셉터클의 표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공극은 새로운 공기 유입구 채널의 일부의 역할을 한다.
시샤 조립체의 리셉터클는 하나 이상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는 2개 이상의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카트리지를 리셉터클 내로 삽입하기 위한 리셉터클의 내부로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다른 부분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한 부분은 부분이 분리될 때 카트리지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다른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 가능할 수 있다. 부분은 나사산 결합, 억지 끼워맞춤, 스냅 끼워 맞춤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부착 가능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부분은 경첩을 통해 서로 부착된다. 상기 부분 경첩을 통해 부착될 때, 부분은 또한 리셉터클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서로에 대해 부분을 고정하는 잠금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카트리지 리셉터클은 카트리지가 드로어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개방 슬라이딩될 수 있고 시샤 장치가 사용될 수 있도록 폐쇄 슬라이딩될 수 있는 드로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는 사용시 카트리지의 챔버를 통한 기류를 허용하도록 하우징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입구를 포함한다. 리셉터클이 하나 이상의 유입구 애퍼처를 포함하면, 카트리지 내의 유입구 중 적어도 일부는 리셉터클의 상단에서 애퍼처와 정렬될 수 있다. 카트리지는 카트리지가 리셉터클 내에 삽입될 때 카트리지의 유입구를 리셉터클의 애퍼처와 정렬시키기 위해 리셉터클의 상보적인 정렬 특징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정렬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의 챔버 내로 들어가는 공기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가로질러 흐르고, 에어로졸을 동반 비말하고, 에어로졸 배출구를 통해 챔버, 카트리지 및 리셉터클을 빠져나간다. 에어로졸 배출구로부터, 에어로졸을 운반하는 공기는 시샤 조립체의 용기에 들어간다.
시샤 조립체는 액체를 함유하도록 구성된 내부 부피를 정의하고 액체 충전 레벨 위의 헤드스페이스에 배출구를 정의하는 임의의 적절한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는 소비자가 용기에 함유된 내용물을 관찰할 수 있도록 광학적으로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는 액체 충전 라인과 같은 액체 충전 경계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하우징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하우징은 유리 또는 적절한 강성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기는 소비자가 용기를 채우고 세척할 수 있도록 에어로졸 발생 요소를 포함하는 시샤 조립체의 일부로부터 제거 가능하다.
용기는 소비자에 의해 액체 충전 레벨로 충진될 수 있다. 액체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착색제, 향미제, 또는 착색제 및 향미제와 선택적으로 주입될 수 있는 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물은 식물성 또는 약초 주입물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와 주입될 수 있다.
리셉터클의 에어로졸 배출구를 빠져나가는 공기에 비말 동반된 에어로졸은 용기 내에 위치된 도관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도관은 시샤 조립체의 에어로졸 발생 요소의 에어로졸 배출구에 결합될 수 있고 용기의 액체 충진 레벨 아래에 개구를 가질 수 있어, 용기를 통해 흐르는 에어로졸은 도관의 개구부를 통해 흐르고, 그 다음 액체를 통해 용기의 헤드스페이스 내로 흐르고,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헤드스페이스 배출구를 빠져나간다.
헤드스페이스 배출구는 에어로졸을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호스에 결합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는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 가능한 스위치 또는 시샤 장치의 제어 전자기기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퍼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위치 또는 퍼프 센서는 제어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결합된다. 스위치 또는 퍼프 센서의 활성화는 제어 전자기기가 가열 요소에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보다는 가열 요소를 활성화시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또는 퍼프 센서의 사용은 일정한 가열보다는 주문형 가열을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요소를 사용하지 않는 장치에 비해 에너지를 절약하는 역할을 수 있다.
예의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시샤 장치를 사용하는 하나의 방법이 아래에서 시간순으로 제공된다. 용기는 시샤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분리되고 물로 충전될 수 있다. 천연 과일 주스, 식물성 주입물 및 약초 주입물 중 하나 이상이 향미를 위해 물에 첨가될 수 있다. 첨가되는 액체의 양은 도관의 일부를 덮어야하지만 용기에 선택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충전 레벨 마크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그 후에 용기가 시샤 장치에 재조립된다. 에어로졸 발생 요소의 일부는 카트리지가 리셉터클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거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그 다음, 에어로졸 발생 요소가 재조립되거나 폐쇄된다. 그 후에, 장치가 턴 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대로 마우스피스를 퍼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에어로졸이 더 이상 보이지 않거나 전달되지 않을 때까지 장치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치는 카트리지가 사용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고갈할 때 자동으로 차단될 것이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소비자는, 예를 들어 소모품이 고갈 또는 거의 고갈되었다는 신호를 장치로부터 수신한 후에 장치를 새로운 카트리지로 재충전할 수 있다. 새로운 카트리지로 재충전되면, 장치는 계속해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샤 장치는, 예를 들어 장치를 스위치 오프함으로써 소비자에 의해 언제든지 턴 오프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마우스피스 상에 활성화 요소를 사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활성화 요소는, 예를 들어 제어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할 수 있고 가열 요소를 대기 모드로부터 완전 가열로 활성화하기 위해 제어 전자기기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수동 활성화는 카트리지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과열 또는 불필요한 가열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마우스피스 상에 퍼핑하는 동안에만 가능하다.
몇몇 예에서, 마우스피스는 제어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퍼프 센서를 포함하며 소비자에 의한 마우스피스의 퍼핑으로 대기 모드로부터 완전 가열 모드로 가열 요소의 활성화를 유발한다.
본 발명의 시샤 장치는 임의의 적합한 공기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사용자로부터의 퍼핑 작용은 흡입 효과를 생성하여, 외부 공기가 장치의 공기 유입구를 통해, 새로운 공기 유입구 채널 내로, 그리고 리셉터클 내로 흐르게 할 장치 내부에서 저압을 야기할 것이다. 그 다음, 공기는 리셉터클 내의 카트리지의 챔버를 통해 유동하여 챔버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을 운반할 수 있다. 그 다음, 비말 동반된 에어로졸을 갖는 공기는 리셉터클의 에어로졸 배출구를 빠져나가고, 도관을 통해 용기 내부의 액체로 흐른다. 그 다음, 에어로졸은 액체로부터 그리고 액체 레벨 위의 용기 내의 헤드스페이스 내로, 헤드스페이스 배출구 밖으로, 그리고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호스 및 마우스피스를 통해 버블링될 것이다. 외부 공기의 유동 및 시샤 장치 내부의 에어로졸의 유동은 사용자로부터의 퍼핑 작용에 의해 추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시샤 장치의 모든 주요 부품의 조립체는 장치의 밀폐 기능을 보장한다. 밀폐 기능은 적절한 공기 유동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보장해야 한다. 밀폐 기능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 링 및 와셔와 같은 시일이 밀폐 밀봉을 보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밀봉 링 및 밀봉 와셔 또는 다른 밀봉 요소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 또는 재료들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일은 하나 이상의 그래핀 화합물 및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 물질은 미국 식품 의약국(FDA)에서 인간의 사용을 위해 승인되었다.
주요 부분, 예컨대 리셉터클로부터의 도관, 리셉터클의 커버 하우징, 및 용기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 또는 재료들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부품은 유리, 유리계 화합물, 폴리설폰(PSU), 폴리에테르설폰(PES) 또는 폴리페닐설폰(PPSU)으로 독립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품은 표준 식기 세척기에서 사용하는 데 적합한 물질로 형성된다.
몇몇 예에서,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는 호스 유닛에 연결하기 위한 신속 커플링 수형/암형 특징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이 이제 참조될 것이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양태가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에 포함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면에서 사용되는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부품, 단계 등을 지칭한다. 그러나, 주어진 도면 내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번호를 사용하는 것이 동일한 번호로 라벨링된 다른 도면 내의 구성 요소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상이한 도들에서 부품을 지칭하는 상이한 번호를 사용하는 것은 상이한 번호의 부품이 다른 번호의 부품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없음을 표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은 제한의 목적이 아닌 예시의 목적으로 제시된다. 도면에 제시된 개략도는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150)의 일 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도 1) 및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150)의 길이 방향으로 절단된 개략적인 사시도(도 2)가 도시된다. 카트리지(150)는 시샤 조립체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카트리지(150)는 시샤 조립체 의해 수용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되는 외부 표면을 정의하는 하우징(210)을 포함한다. 복수의 챔버(220)는 하우징(210)에 배치된다. 하우징(210) 및 챔버(220)는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모든 챔버(220)는 하우징(110) 내에 삽입되는 단일 부분으로 형성된다. 일부 예에서, 하우징(210) 및 챔버(220)의 적어도 일부는 동일한 부분으로 형성된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230)는 챔버(220) 중 2개 이상 내에 배치된다. 도 2에서 에어로졸 발생 기재(230)로부터 연장되는 화살표는 챔버(220)를 통해 공기의 흐름을 예시한다. 따라서, 화살표는 챔버(220)의 에어로졸 배출구로부터 연장된다.
하우징(210)은 커버(250)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플랜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250)는 카트리지(150)의 배출구를 형성하는 애퍼처(255)를 포함한다. 애퍼처(255)는 바람직하게는 챔버(220)로부터 하우징(210) 밖으로 커버(250)를 통해 직접 유동하기 위해 챔버(220)와 정렬된다. 애퍼처(255)는 바람직하게는 느슨한 에어로졸 발생 기재(230)가 애퍼처(255)의 넘쳐 흐름으로부터 방지하기 위해 충분히 작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카트리지(210)는 챔버(220) 주위의 기류를 방지하고 기류를 챔버(220)를 통해 유도하기 위해 시일(260)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카트리지(150)의 하단의 일 예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된다. 하우징의 하단(270)(도 1 및 도 2에 대해 하단)은 카트리지 내로 유입구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복수의 애퍼처(275)를 형성한다. 애퍼처(275)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내의 챔버와 정렬되어 공기의 흐름을 애퍼처(275로부터 하우징의 챔버로 유도한다. 애퍼처(275)는 바람직하게는 느슨한 에어로졸 발생 기재가 애퍼처(275)의 넘쳐 흐름으로부터 방지하기 위해 충분히 작다.
도 4를 참조하면, 챔버(220)의 어레이(225)의 일 예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된다. 음영 처리된 챔버(220)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함유하는 챔버를 예시하고, 음영 처리되지 않은 챔버(221)는 빈 챔버를 예시한다. 빈 챔버(221)는 히트 싱크의 역할을 할 수 있거나 (하우징의 유입구 및 배출구와 유체 연결되면)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함유하는 챔버(220)로부터 과도한 열을 전달할 수 있어 작동 동안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과열 및 연소를 방지한다.
도 4에 도시된 챔버(220, 221)는 단단히 패킹된 육각형 피라미드이다. 하나의 챔버(220)의 측벽(227)은 다른 챔버의 측벽을 형성한다. 밀집된 성질과 인접 측벽으로 인해, 챔버(220, 221) 사이의 전도성 열 전달이 용이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챔버(220)의 어레이(225)의 대안적인 예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된다. 음영 처리된 챔버(220)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함유하는 챔버를 예시하고, 음영 처리되지 않은 챔버(221)는 빈 챔버를 예시한다. 어레이(225)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 함유 챔버(220)를 형성하는 단단히 패킹된 실린더의 어레이이다. 실린더 사이에, 대략 삼각형 형상 빈 챔버(221)가 형성된다. 빈 챔버(221)는 히트 싱크의 역할을 할 수 있거나 (하우징의 유입구 및 배출구와 유체 연통되면)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함유하는 챔버(220)로부터 과도한 열을 전달할 수 있어 작동 동안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과열 및 연소를 방지한다.
도 5에 도시된 어레이(225)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 함유 챔버(220) 사이의 열 전달은 도 5에 도시된 어레이(225)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 함유 챔버(220)의 측벽의 적은 접촉 또는 공유로 인해,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어레이 내의 챔버 사이의 전달보다 덜 효율적인 경향이 있다. 그러나, 그들의 형상으로 인해, 도 5에 도시된 챔버(220)는 유도 자기장에 평행할 수 있는 제한된 표면적으로 인해 유도 가열에 특히 적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챔버(220)의 어레이(225)의 대안적인 예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된다. 어레이(225)는 단단히 패킹된 정사각형 피라미드의 어레이이다. 하나 이상의 챔버(220)는 비어 있고(도시되지 않음), 히트 싱크의 역할을 할 수 있거나 (하우징의 유입구 및 배출구와 유체 연통되면)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함유하는 챔버(220)로부터 과도한 열을 전달할 수 있어 작동 동안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과열 및 연소를 방지한다.
도 6에 도시된 어레이(225)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 함유 챔버(220) 사이의 열의 전달은 측벽(227)의 적은 접촉 또는 공유로 인해 효율적인 경향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챔버의 어레이의 예는 단지 예를 위해 도시되고 챔버의 다른 어레이 및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절두 원추형 형상을 갖는 카트리지(150)의 일 예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된다. 물론, 카트리지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시샤 조립체(100)의 일 예의 개략적인 개략도가 도시된다. 조립체(100)는 액체(19)를 함유하도록 구성된 내부 부피를 정의하고 액체(19)에 대한 충전 레벨 위에 헤드스페이스 배출구(15)를 정의하는 용기(17)를 포함한다. 액체(19)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착색제, 하나 이상의 향미제, 또는 하나 이상의 착색제 또는 하나 이상의 향미제와 선택적으로 주입될 수 있는 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물에는 식물성 주입물 또는 약초 주입물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주입될 수 있다.
장치(100)는 또한 에어로졸 발생 요소(130)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요소(130)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함유하는 카트리지(15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리셉터클(140)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요소(130)는 리셉터클(140)의 적어도 2개의 표면을 형성하는 가열 요소(160)를 포함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가열 요소(160)는 리셉터클(140)의 상단 및 측면 표면을 정의한다. 에어로졸 발생 요소(130)는 또한 새로운 공기를 장치(100) 내로 흡인하는 새로운 공기 유입구 채널(170)을 포함한다. 새로운 공기 유입구 채널(170)의 일부는 공기가 리셉터클(140)로 들어가기 전에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가열 요소(160)에 의해 형성된다. 그 다음, 사전 가열된 공기는 용기(150)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운반하기 위해, 가열 요소(160)에 의해 가열된 카트리지(150)에 들어간다. 공기는 에어로졸 발생 요소(130)의 에어로졸 배출구(180)를 빠져나간다.
도관(190)은 에어로졸 배출구(180)로부터 용기(17) 내로 액체(19)의 레벨 아래에 공기 및 에어로졸을 운반한다. 공기 및 에어로졸은 액체(19)를 통해 버블링되고 에어로졸 발생 요소(130)의 용기 에어로졸 발생 요소(13017)의 헤드스페이스 배출구(15)를 빠져나간다. 호스(20)는 에어로졸을 사용자의 입으로 운반하기 위해 헤드스페이스 배출구(15)에 부착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25)는 부착되거나 호스(2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사용 시, 장치의 기류 경로는 도 8의 두꺼운 화살표로 도시된다.
마우스피스(25)는 활성화 요소(27)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성화 요소(27)는 스위치, 버튼 등일 수 있거나 퍼프 센서 등일 수 있다. 활성화 요소(27)는 장치(100)의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활성화 요소(27)는 제어 전자기기(30)와 무선 통신할 수 있어 사용을 위한 조건에서 장치(100)를 배치하거나, 예를 들어 전원(35)이 가열 요소(140)에 전력을 공급하게 함으로써 제어 전자기기가 가열 요소(160)를 활성화시키게 한다.
제어 전자기기(30) 및 전원(35)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소(130)의 하단 부분 이외에 에어로졸 발생 요소(130)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9는 에어로졸 발생 요소(130)의 일 예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모든 구성 요소가 간결성 및 명료성을 위해 도시되어 있지 않다. 예시된 구현예에서, 공기(화살표)는 에어로졸 발생 요소(130)의 상부 부분(131) 내의 공기 유입구(171)에 들어가고, 그 다음 열 차폐물(165)를 통과하고, 그 다음 가열 요소(160)의 외부 표면을 따라고 가열 요소(160)의 상단에 도착한다. 그 다음, 가열된 공기는 카트리지(150)의 하우징의 상단 표면을 통해, 에어로졸 발생 기재(155)를 통해, 그리고 하단 부분(133) 내의 보이드를 통해, 에어로졸 배출구(180) 아래로 통과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공기는 가열 요소(160)의 외부 표면을 따라 그 다음 가열 요소(160)를 통해 이동한다.
도 9에 도시된 예에서, 상부 부분(131)은 하부 부분(133)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어 카트리지(150)가 가열 요소(160) 및 하단 부분(131)의 상단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리셉터클로부터 삽입되거나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도 10은 에어로졸 발생 요소(130)의 일 예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모든 구성요소가 간결성 및 명료성을 위해 도시되어 있지 않다. 예시된 구현예에서, 공기(화살표)가 에어로졸 발생 요소(130)의 상부 부분(131) 내의 공기 유입구(171)에 들어가고, 그 다음 열 차폐물(165) 및 가열 요소(160)를 통과한다. 그 다음, 공기는 가열 요소(160)의 측면 표면 및 카트리지(150)의 하우징의 외부 표면을 따르고, 카트리지(150)의 하우징의 상단에 도착한다. 그 다음, 가열된 공기는 카트리지(150)의 하우징의 상단 표면을 통해, 에어로졸 발생 기재(155)를 통해, 그리고 하단 부분(133) 내의 보이드를 통해, 에어로졸 배출구(180) 아래로 통과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공기는 가열 요소(160)를 통해 그리고 가열 요소(160)의 내부 표면을 따라 이동한다.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 상부 부분(131)은 하부 부분(133)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어 카트리지(150)가 가열 요소(160) 및 하단 부분(131)의 상단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리셉터클로부터 삽입되거나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 상부 부분(131)의 본체는 열 절연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의 개략적인 단면도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요소(130)는 제어 전자기기(도 11에 도시되지 않음)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열전대(199)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열전대(199)는 카트리지(150) 및 에어로졸 발생 기재(155) 내로 침투된다. 열전대(199)는 카트리지(150)가 하단 부분(133) 상에 배치되고 상단 부분(131)이 하단 부분(131) 위에 배치될 때 카트리지(150) 내로 침투할 수 있다. 열전대(199)는 가열 요소(160)와 접촉하거나, 배출구(180)에 근접하거나,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위치에 있어 시샤 장치가 사용 중일 때 관련 온도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하여 전술한 특징은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과학적 및 기술적 용어는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당업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제공된 한정은 본원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특정 용어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a", "an", 및 "the")은, 달리 그 내용이 명확하게 기술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 대상을 갖는 구현예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또는"은 달리 그 내용이 명확하게 기술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및/또는"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갖다", "갖는", "포함하다(include)", "포함하는(including)", "포함하다(comprise)", "포함하는(comprising)" 등은 개방형의 의미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로 이루어지는" 등은 "이루어지는" 등에 포함되는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단어 "바람직한" 및 "바람직하게"는 특정 환경 하에서 특정 이익을 제공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구현예를 지칭한다. 그러나, 다른 구현예가 동일 또는 다른 환경 하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구현예의 설명은 다른 구현예가 유용하지 않음을 암시하는 것이 아니며, 청구항을 포함하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로부터 다른 구현예를 배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지칭되는 임의의 방향, 예컨대 "상단", "하단", "좌측", "우측", "상부", "하부", 및 다른 방향 또는 배향은 명료성 및 간결을 위해 본원에서 설명되고, 실제 장치 또는 시스템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원에 기술된 장치 및 시스템은 다수의 방향 및 배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시된 구현예는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전술한 구현예와 일치하는 다른 구현예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Claims (15)

  1.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shisha consumable cartridge)로서,
    시샤 장치 내로 작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크기 설정되고 형상화된 외부 표면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의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 내의 제1 에어로졸 발생 기재;
    상기 하우징 내의 제2 챔버로서, 상기 제1 챔버에 인접한, 제2 챔버;
    상기 제2 챔버 내의 제2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에어로졸 발생 기재 및 상기 제2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조성물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상기 제1 챔버는 제1 새로운 공기 유입구 및 대향하는 제1 에어로졸 배출구를 정의하여, 사용 시, 상기 제1 새로운 공기 유입구에 들어가는 새로운 공기는 상기 제1 에어로졸 배출구를 통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운반하고;
    상기 제2 챔버는 제2 새로운 공기 유입구 및 대향하는 제2 에어로졸 배출구를 정의하여, 사용 시, 상기 제2 새로운 공기 유입구에 들어가는 새로운 공기는 상기 제2 에어로졸 배출구를 통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운반하며; 및
    상기 제1 및 제2 챔버는 각각 독립적으로, 적어도 1.5:1, 또는 적어도 2:1, 또는 적어도 3:1의 종횡비(aspect ratio)를 갖는,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챔버에 더하여 하나 이상의 추가 챔버를 더 포함하는,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중 적어도 하나는 비어 있는,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열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는,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도성 재료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자기 유도 서셉터 재료로 형성되는,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챔버는 원통형 챔버인,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챔버는 그들의 길이를 따라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형상은 육각형인,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상기 제2 챔버의 측벽인,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챔버는 챔버의 벌집형 어레이의 일부인,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어레이는 적어도 7개의 챔버를 포함하는,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
  13. 시샤 조립체로서,
    액체의 부피를 함유하도록 구성된 내부를 정의하는 용기로서, 헤드스페이스 배출구 도관을 포함하는, 용기;
    상기 용기와 유체 연결되는 에어로졸 발생 요소로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요소는:
    제1항에 따른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리셉터클;
    상기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와 열 접촉되는 가열 요소로서, 상기 가열 요소는 (i) 상이한 온도에서 카트리지의 상이한 챔버를 가열하거나, (ii) 상이한 시간에 카트리지의 상이한 챔버를 가열하거나, (iii) 가변 온도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카트리지의 하나 이상의 챔버를 가열하거나, (i) 내지 (iii)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조합으로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가열 요소
    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요소; 및
    상기 카트리지 리셉터클과 유체 연결되는 에어로졸 배출구 및 상기 카트리지 리셉터클과 유체 연결되는 새로운 공기 유입구 채널을 포함하는, 시샤 조립체.
  14. 시샤 조립체로서,
    액체의 부피를 함유하도록 구성된 내부를 포함하는 용기로서, 헤드스페이스 배출구 도관을 포함하는, 용기;
    상기 용기와 유체 연결되는 에어로졸 발생 요소로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요소는:
    제1항에 따른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리셉터클로서, 상기 제1 및 제2 챔버를 형성하는 재료는 자기 서셉터 재료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리셉터클;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리셉터클 내에 수용될 때 상기 서셉터 재료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유도 가열 요소로서, 상기 가열 요소는 (i) 상이한 온도에서 카트리지의 상이한 챔버를 가열하거나, (ii) 상이한 시간에 카트리지의 상이한 챔버를 가열하거나, (iii) 가변 온도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카트리지의 하나 이상의 챔버를 가열하거나, (i) 내지 (iii)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조합으로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가열 요소
    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요소; 및
    상기 카트리지 리셉터클과 유체 연결되는 에어로졸 배출구 및 상기 카트리지 리셉터클과 유체 연결되는 새로운 공기 유입구 채널을 포함하는, 시샤 조립체.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샤 장치는, 상기 시샤 소모품 카트리지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가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충분히 가열되지만 작동 동안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태우지 않도록, 상기 가열 요소의 가열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시샤 조립체.
KR1020197037312A 2017-06-28 2018-06-26 복수의 챔버를 갖는 시샤 카트리지 Active KR102696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78428 2017-06-28
EP17178428.3 2017-06-28
PCT/IB2018/054719 WO2019003117A1 (en) 2017-06-28 2018-06-26 SHISHA CARTRIDGE HAVING A PLURALITY OF ROO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412A KR20200096412A (ko) 2020-08-12
KR102696601B1 true KR102696601B1 (ko) 2024-08-21

Family

ID=5925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312A Active KR102696601B1 (ko) 2017-06-28 2018-06-26 복수의 챔버를 갖는 시샤 카트리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224253B2 (ko)
EP (1) EP3644769B1 (ko)
JP (1) JP7222925B2 (ko)
KR (1) KR102696601B1 (ko)
CN (1) CN110708971B (ko)
ES (1) ES2949280T3 (ko)
RU (1) RU2763185C2 (ko)
WO (1) WO20190031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63185C2 (ru) * 2017-06-28 2021-12-28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Кальянный картридж, имеющий множество камер
CN110769706B (zh) 2017-07-19 2023-10-17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用于增强气溶胶特性的水烟装置
US12332618B2 (en) 2017-12-21 2025-06-17 Juul Labs, Inc. Vaporizer controls
US11123502B2 (en) * 2018-09-27 2021-09-21 JJ & J Industries LLC Vaporizer cartridge system
BR112021011385A2 (pt) * 2019-01-14 2021-08-31 Philip Morris Products S.A. Sistema gerador de aerossol aquecido por radiação, cartucho, elemento gerador de aerossol e método para os mesmos
WO2020152603A1 (en) * 2019-01-25 2020-07-30 Philip Morris Products S.A. Shisha cartridge with cap
EP3914104B1 (en) * 2019-01-25 2024-07-10 Philip Morris Products S.A. Shisha cartridge with cap
DK3934458T3 (da) * 2019-03-07 2023-06-26 Adalsia Ltd Vandpibe-enhed
GB201904845D0 (en) * 2019-04-05 2019-05-22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generating system
CN113966175A (zh) * 2019-05-29 2022-01-21 日本烟草国际股份有限公司 用于气溶胶产生装置的烟弹
IL293302B2 (en) * 2019-12-02 2025-06-01 Philip Morris Products Sa Systems for inserting cartridges into aerosol generating devices
US11659866B2 (en) * 2019-12-12 2023-05-30 Aspire North America Llc Atomization assembly and hookah comprising the same
US11653695B2 (en) * 2019-12-12 2023-05-23 Aspire North America Llc Atomization assembly and hookah comprising the same
US11998050B2 (en) * 2020-06-23 2024-06-04 Altria Client Services Llc Capsules with internal channels,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and methods of generating an aerosol
RU2755459C1 (ru) * 2020-09-15 2021-09-16 Георгий Ильич Ломидз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грева табакосодержащей курительной смеси в чаше кальяна
KR102545842B1 (ko) 2020-11-24 2023-06-2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45840B1 (ko) * 2020-11-24 2023-06-2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7263599B2 (ja) * 2021-06-09 2023-04-24 Future Technology株式会社 喫煙具用カートリッジ
USD1010920S1 (en) 2021-08-31 2024-01-09 Adlsia Limited Hookah device
USD1075136S1 (en) 2021-08-31 2025-05-13 Adalsia Limited Shisha pod
GB2620122A (en) * 2022-06-27 2024-01-03 Air Ip Holdings Ltd Capsu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5722A2 (en) 2009-12-20 2011-06-23 Sammy Capuano Electronic hookah
US20140182606A1 (en) 2012-12-28 2014-07-03 Noy Lotringer Smoking device for smoking through a liquid
US20160192709A1 (en) 2014-11-26 2016-07-07 Huizhou Kimree Technology Co., Ltd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hookah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8571A (en) * 1977-10-18 1979-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queous cigarette smoking instrument
US5095921A (en) * 1990-11-19 1992-03-17 Philip Morris Incorporated Flavor generating article
CN201031217Y (zh) * 2007-04-20 2008-03-05 成都市新筑路桥机械股份有限公司 沥青快速升温装置
ES2480492T3 (es) * 2008-10-24 2014-07-28 Pflaum, Andre Porción de tabaco para Narguile
EP2316286A1 (en) 2009-10-29 2011-05-04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with improved heater
RU121706U1 (ru) * 2012-08-10 2012-11-10 Валентин Владимирович Ильин Одноразовая электронная сигарета
ES2942183T3 (es) 2012-12-28 2023-05-30 Philip Morris Products Sa Unidad de calentamiento para un sistema generador de aerosol
TWI608805B (zh) * 2012-12-28 2017-12-2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加熱型氣溶膠產生裝置及用於產生具有一致性質的氣溶膠之方法
JP6685907B2 (ja) * 2013-08-21 2020-04-22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 水パイプ用喫煙物品
CN103932401B (zh) 2013-09-29 2015-09-30 深圳麦克韦尔股份有限公司 电子烟
DE202014102318U1 (de) * 2013-12-10 2015-01-13 Wael Salim Elhalwani Elektronische Wasserpfeife
ES2775196T3 (es) * 2014-05-12 2020-07-24 Af Development Holding Ltd Narguile energizado eléctricamente
TWI692274B (zh) 2014-05-21 2020-04-2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用於加熱氣溶膠形成基材之感應加熱裝置及操作感應加熱系統之方法
WO2016082851A1 (de) 2014-11-28 2016-06-02 Hauni Maschinenbau Ag Portionsbehälter für tabakmaterial, teilekit für wasserpfeifen und wasserpfeifensystem
US9968128B2 (en) * 2014-12-04 2018-05-15 Healthy Hookah, LLC Waterpipe and portion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O2016147396A1 (ja) 2015-03-19 2016-09-2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喫煙物品用熱源の製造装置
US11445747B2 (en) * 2015-10-22 2022-09-20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DE102015121435B4 (de) * 2015-11-10 2020-06-18 AF Development Holding Ltd. Wasserpfeife
EP3170766B1 (en) 2015-11-19 2018-09-12 Sarels International Limited (Off-Shore) SAL Multi-compartment cartridge with filtration capabilities
US20170165293A1 (en) * 2015-12-10 2017-06-15 Geno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cavenging plasma free hemoglobin
US10561172B2 (en) * 2016-03-07 2020-02-18 Wallbrooke Investments Ltd. Inductive heat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ES2941779T3 (es) * 2016-04-11 2023-05-25 Philip Morris Products Sa Artículo de consumo de narguile
JP7080888B2 (ja) * 2016-12-19 2022-06-06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側面開口部を備えるカートリッジ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US10856579B2 (en) * 2016-12-19 2020-12-08 Altria Client Services Llc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a modular assembly
RU2763185C2 (ru) * 2017-06-28 2021-12-28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Кальянный картридж, имеющий множество камер
CN110769706B (zh) * 2017-07-19 2023-10-17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用于增强气溶胶特性的水烟装置
GB2595607A (en) * 2019-02-22 2021-12-01 Ryah Medtech Inc Cartridge for vaporiz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5722A2 (en) 2009-12-20 2011-06-23 Sammy Capuano Electronic hookah
US20140182606A1 (en) 2012-12-28 2014-07-03 Noy Lotringer Smoking device for smoking through a liquid
US20160192709A1 (en) 2014-11-26 2016-07-07 Huizhou Kimree Technology Co., Ltd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hooka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08971B (zh) 2023-08-18
JP2020524986A (ja) 2020-08-27
EP3644769A1 (en) 2020-05-06
BR112019025326A2 (pt) 2020-06-23
KR20200096412A (ko) 2020-08-12
JP7222925B2 (ja) 2023-02-15
ES2949280T3 (es) 2023-09-27
RU2763185C2 (ru) 2021-12-28
RU2019142115A3 (ko) 2021-10-01
RU2019142115A (ru) 2021-07-28
CN110708971A (zh) 2020-01-17
WO2019003117A1 (en) 2019-01-03
US11224253B2 (en) 2022-01-18
EP3644769B1 (en) 2023-06-07
US20200113235A1 (en)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96601B1 (ko) 복수의 챔버를 갖는 시샤 카트리지
KR102696113B1 (ko) 연소 없이 공기를 예열하는 시샤 장치
JP7513526B2 (ja) 空気予熱を有するエアロゾル形成基体を加熱するための装置
EP3691479B1 (en) Shisha device with aerosol condensation
EP3740089B1 (en) Shisha device with active cooling for enhanced aerosol characteristics
EP3654787B1 (en) Shisha device for enhanced aerosol characteristics
KR102754308B1 (ko) 시샤 카트리지
BR112019025326B1 (pt) Cartucho consumível de shisha, e montagem de shish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5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16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