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6585B1 - Method for providing image of tmj using virtual camera,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image of tmj using virtual camera,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6585B1
KR102696585B1 KR1020220035669A KR20220035669A KR102696585B1 KR 102696585 B1 KR102696585 B1 KR 102696585B1 KR 1020220035669 A KR1020220035669 A KR 1020220035669A KR 20220035669 A KR20220035669 A KR 20220035669A KR 102696585 B1 KR102696585 B1 KR 102696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camera
tmj
axis
setting
im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6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38070A (en
Inventor
김종문
박수희
주원형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5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6585B1/en
Publication of KR20230138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80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6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658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 A61B6/524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an ionising-radiation diagnostic technique and a non-ionising radiation diagnostic technique, e.g. X-ray and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6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adapted to display 3D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61B6/563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involving image data transmission via a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가상 카메라 설정을 통해 턱관절(TMJ)의 외형 및 내부 구조를 다양한 시점에서 관찰할 수 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가상 카메라를 이용한 TMJ 영상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구강 CT 데이터 및 구강 스캔 데이터를 정합한 3D 영상에서 하악골과 두개골을 연결하는 TMJ(temporomandibular joint) 영역에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의 교합 상태가 정적 교합 상태에서 동적 운동 상태로 변환 시, 상기 TMJ 영역에 설정된 가상 카메라의 위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for providing a temporomandibular joint (TMJ) image using a virtual camera capable of providing an image capable of observing the external shape and internal structure of the TMJ from various viewpoints through virtual camera settings is provided. The method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etting a position of a virtual camera in a TMJ (temporomandibular joint) region connecting the mandible and the skull in a 3D image obtained by matching oral CT data and oral scan data, obtaining an image captured at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set in the TMJ region when the occlusion state of the maxillary teeth and the mandibular teeth is converted from a static occlusion state to a dynamic movement state, and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on a screen.

Description

TMJ 영상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METHOD FOR PROVIDING IMAGE OF TMJ USING VIRTUAL CAMERA,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METHOD}METHOD FOR PROVIDING IMAGE OF TMJ USING VIRTUAL CAMERA,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TMJ 영상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치과 영상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가상 카메라 설정을 통해 TMJ(temporomandibular joint) 부근의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TMJ 영상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TMJ image, and a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for providing a TMJ image for providing an image near the TMJ (temporomandibular joint) through a virtual camera setting using dental image software, and a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치과 영상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을 촬영한 CT 또는 파노라마 영상을 관찰하는 것은 환자의 치아 및 턱관절과 같은 구강 구조에 대한 정확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Observing CT or panoramic images of the patient's oral cavity using dental imaging software is very important in establishing an accurate treatment plan for the patient's oral structures, such as teeth and temporomandibular joints.

특히 턱관절(TMJ: temporomandibular joint) 장애의 경우 턱의 통증, 개구 장애, 및 안면 비대칭과 같은 증상이 발현될 수 있어 치과 영상을 통해 턱관절의 상태를 자세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치아 교정 치료의 경우에 있어서도 상악과 하악의 교합 시 턱관절 운동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영상을 통한 진단이 필요하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emporomandibular joint (TMJ) disorders, symptoms such as jaw pain, difficulty opening the mouth, and facial asymmetry may occur, so it is necessary to closely observe the condi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hrough dental imaging. In addition, in the case of orthodontic treatment, it is necessary to diagnose through imaging how the temporomandibular joint moves when the maxilla and mandible occlude.

기존에는 턱관절(TMJ) 부근의 영상을 얻기 위해, 치과 영상 소프트웨어 상에서 제공되는 구강 CT 또는 파노라마 영상을 사용하거나, 실물 내시경 카메라를 이용하여 턱관절 내부의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Previously, to obtain images of the area around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it was possible to use intraoral CT or panoramic images provided by dental imaging software, or to obtain images of the insid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using a real endoscope camera.

그러나, 치과 영상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경우, 턱관절(TMJ)의 외형을 관찰할 수 있는 화면은 제공하지만 턱관절(TMJ)의 내부 구조는 구조적으로 가려져 있어 관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치과 영상 소프트웨어와 별도로 실물 내시경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 턱관절(TMJ) 구조를 정확하게 관찰할 수는 있으나, 내시경 카메라로 촬영하는 과정에서 환자와 의료진 모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However, when using dental imaging software, there is a problem that although it provides a screen that allows observation of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is structurally obscured, making it difficult to observe. In addition, when using a real endoscope camera separately from dental imaging software, the structur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can be observed accurately, but both the patient and the medical staff may feel uncomfortable during the process of filming with the endoscope camera.

따라서, 실물 내시경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도 치아 영상 소프트웨어 상에서 턱관절의 내부 구조를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is required to observ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on dental imaging software without using an actual endoscopic camera.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7467호(2011.03.16. 공개)Publication of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27467 (Published on March 16, 20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치과 영상 소프트웨어에서, 가상 카메라 설정을 통해 턱관절(TMJ)의 외형 및 내부 구조를 다양한 시점에서 관찰할 수 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TMJ 영상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TMJ image capable of observing the external shape and internal structure of the TMJ from various viewpoints through a virtual camera setting in dental imaging software, and a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치과 영상 소프트웨어에서, 턱관절(TMJ)이 정적 교합 상태에서 동적 운동 상태로 변화 시 턱관절(TMJ)과 주변 구조와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관찰하여 턱관절(TMJ)의 장애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TMJ 영상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TMJ image capable of diagnosing a disorder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by visually obser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MJ and surrounding structures when the TMJ changes from a static occlusion state to a dynamic movement state in dental imaging software, and a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치과 영상 소프트웨어에서, 턱관절(TMJ)의 이동 경로를 분석하고 이동 경로에 따른 가상 카메라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는 TMJ 영상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TMJ image capable of analyzing the movement path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and controlling the settings of a virtual camera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 in dental image software, and a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구강 CT 데이터 및 구강 스캔 데이터를 정합한 3D 영상에서 하악골과 두개골을 연결하는 TMJ(temporomandibular joint) 영역에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의 교합 상태가 정적 교합 상태에서 동적 운동 상태로 변환 시, 상기 TMJ 영역에 설정된 가상 카메라의 위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method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etting a position of a virtual camera in a TMJ (temporomandibular joint) region connecting the mandible and the skull in a 3D image in which oral CT data and oral scan data are aligned, obtaining an image captured at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set in the TMJ region when the occlusion state of the maxillary teeth and the mandibular teeth is converted from a static occlusion state to a dynamic movement state, and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on a screen.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카메라의 모드가 시점 가변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TMJ 영역 중 하악두의 내측골(Medial Pole)에 대응하는 제1 지점과, 상기 하악두의 외측골(Lateral Pole)에 대응하는 제2 지점, 및 상기 하악두의 최상방 점에 대응하는 제3 지점을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tep of setting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may include, when the mode of the virtual camera is selected as a variable viewpoint mode, setting a first point corresponding to the medial pole of the mandible in the TMJ region, a second point corresponding to the lateral pole of the mandible, and a third point corresponding to the uppermost point of the mandible as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카메라의 모드가 위치 가변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TMJ 영역 중 제4 지점과 제5 지점을 선택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와 상기 가상 카메라의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one embodiment, the step of setting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may include, when the mode of the virtual camera is selected as a position variable mode, a step of set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virtual camera by selecting the fourth point and the fifth point among the TMJ regions.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와 상기 가상 카메라의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4 지점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지점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5 지점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추가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one embodiment, the step of setting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and the direction of the virtual camera may include the step of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tting the fourth point, and the step of additionally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tting the fifth point while the fourth point is set.

일 실시예로서, 상기 TMJ 영역에 설정된 가상 카메라의 위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좌우측 TMJ 영역의 상기 제4 지점에 위치된 상기 가상 카메라들 사이의 시점 불일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one embodiment, the step of acquiring an image captured at a position of a virtual camera set in the TMJ region may include a step of acquiring an image by utilizing a viewpoint mismatch between the virtual cameras positioned at the fourth point of the left and right TMJ regions.

일 실시예로서, 상기 동적 운동 상태는, 상기 상악 치아 및 상기 하악 치아 간 전치의 교합 여부에 기초한 전방 운동 상태와, 양 구치의 교합 여부에 기초한 측방 운동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dynamic movement state may include a forward movement state based on whether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are in occlusion, and a lateral movement state based on whether the two molars are in occlusion.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상호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 각각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UI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회전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one embodime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providing a UI capable of rotating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about each of the X-axis, Y-axis, and Z-axis which are mutually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a step of setting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by rotating it according to a user input to the UI.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상호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 중 상기 Z축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UI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이동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providing a UI capable of moving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while fixing the Z-axis among the X-axis, Y-axis, and Z-axis that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a step of moving and setting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according to a user input to the UI.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상호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 중 상기 Z축 상의 양의 방향 또는 음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UI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이동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one embodime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providing a UI capable of moving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in a positive or negative direction on the Z axis among the X-axis, Y-axis, and Z-axis that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a step of moving and setting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according to a user input to the UI.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와 상호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상 카메라의 투시 투영 값을 조절하기 위한 배율을 설정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UI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 카메라의 배율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one embodime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providing a UI capable of setting a magnification for adjusting a perspective projection value of the virtual camera while fixing an X-axis, a Y-axis, and a Z-axis that are orthogonal to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and a step of setting the magnification of the virtual camera according to a user input to the UI.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가상 카메라의 방향이 변경되도록 상기 제5 지점의 위치를 수정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을 회전시킬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UI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촬영된 영상을 회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providing a UI capable of rotating the captured image by modifying the position of the fifth point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virtual camera is changed, and a step of rotating and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a user input to the UI.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제공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구강 CT 데이터 및 구강 스캔 데이터를 정합한 3D 영상에서 하악골과 두개골을 연결하는 TMJ(temporomandibular joint) 영역에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동작,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의 교합 상태가 정적 교합 상태에서 동적 운동 상태로 변환 시, 상기 TMJ 영역에 설정된 가상 카메라의 위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comprises: one or more processor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memory for loading a computer program executed by the processor, and a storage for storing the computer program, wherein the computer program includes instructions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setting a position of a virtual camera in a TMJ (temporomandibular joint) area connecting the mandible and the skull in a 3D image obtained by matching oral CT data and oral scan data, an operation of acquiring an image captured at a position of a virtual camera set in the TMJ area when the occlusion state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is converted from a static occlusion state to a dynamic movement state, and an operation of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on a scree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카메라를 이용한 TMJ 영상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구강 CT 데이터와 구강 스캔 데이터를 정합한 3D 영상을 생성하는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정적 교합 데이터 및 동적 교합 데이터를 획득하는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방 운동 데이터를 정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좌측방 및 우측방 운동 데이터를 정합한 영상을 도시한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점 가변 모드에서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기준점으로서 과두의 중심을 찾는 예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방 운동 및 측방 운동 시 과두가 움직일 수 있는 각도를 찾는 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가변 모드에서 카메라의 위치 및 방향을 설정하는 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카메라의 회전 기능을 제공하는 예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카메라의 이동 기능을 제공하는 예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카메라의 줌 인/줌 아웃 기능을 제공하는 예이다.
도 16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치과 영상 제공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Figure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a TMJ image using a virtual camer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ample of generating a 3D image by aligning oral CT data and oral scan data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ample of obtaining static occlusion data and dynamic occlusion data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ample illustrating a process of matching forward motion data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ample of an image showing aligned left-side and right-side motion data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ample of setting the position of a camera in a variable viewpoint mod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ample of finding the center of the condyle as a reference point for determining the movement path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0 and 11 are examples of finding the angles at which the condyle can move during forward and lateral movement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xample of set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a camera in a position variable mod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example of providing a rotation function of a virtual camera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n example of providing a movement function of a virtual camera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n example of providing a zoom in/zoom out function of a virtual camera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of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외부 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환자의 구강 구조를 촬영한 CT 데이터 및 구강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강 구조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외부 장치(10)는 환자의 구강 구조를 촬영한 CT 데이터 및 구강 스캔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장치로, 예컨대 서버 또는 PC와 같은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Fig.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image of an oral structure using CT data and oral scan data that photograph the oral structure of a patient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10), and displays the image on a screen. The external device (10) is a device that stores and manages CT data and oral scan data that photograph the oral structure of a patient, and may be, for example, a computing device such as a server or a PC.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치아 및 턱관절의 영상을 분석하고자 하는 사용자 또는 의료진의 단말기로, 예컨대 PC,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 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is a terminal of a user or medical staff who wants to analyze images of teeth and temporomandibular joints using software, and can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PC, laptop, tablet, smart phone, etc.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구강 CT 데이터 및 구강 스캔 데이터를 정합한 3D 영상을 생성하고, 정합된 3D 영상 내에서 하악골과 두개골을 연결하는 턱관절(TMJ) 영역에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가상 카메라의 위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카메라의 모드가 시점 가변 모드(또는 제자리 모드)인지 또는 위치 가변 모드(또는 이동 모드)인지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의 모드가 시점 가변 모드(또는 제자리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가상 카메라의 위치는 턱관절(TMJ) 영역의 특정 지점에 고정되고, 이 때 카메라의 방향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의 모드가 위치 가변 모드(또는 이동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가상 카메라의 위치는 소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동하는 동안 카메라의 방향은 카메라의 이동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A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can generate a 3D image by aligning oral CT data and oral scan data, and can set the position of a virtual camera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region connecting the mandible and the skull within the aligned 3D image.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mode of the camera selected according to user input is the viewpoint variable mode (or stationary mode) or the position variable mode (or moving mode). When the mode of the camera is selected as the viewpoint variable mode (or stationary mode),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is fixed to a specific point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region, and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the camera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In addition, when the mode of the camera is selected as the position variable mode (or moving mode),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moves along a predetermined path, and the direction of the camera during the movement can be identica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mera.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의 교합 상태가 정적 교합 상태에서 동적 운동 상태로 변환 시, 턱관절(TMJ) 영역에 설정된 가상 카메라의 위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동적 운동 상태는,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 간 전치의 교합 여부에 기초한 전방 운동 상태와, 양 구치의 교합 여부에 기초한 측방 운동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A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can obtain an image captured at the position of a virtual camera set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region when the occlusion state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changes from a static occlusion state to a dynamic movement state. Here, the dynamic movement state can include a forward movement state based on whether the anterior teeth betwee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are occluded, and a lateral movement state based on whether the two molars are occlud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에 따라, 치과 영상 소프트웨어에서 가상 카메라 설정을 통해 턱관절(TMJ)의 외형 및 내부 구조를 다양한 시점에서 관찰할 수 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턱관절(TMJ)이 정적 교합 상태에서 동적 운동 상태로 변화 시 턱관절(TMJ)과 주변 구조와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관찰하여 턱관절(TMJ)의 장애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예로서, 정적 교합 상태에서 동적 운동 상태로 변화 시, 턱관절(TMJ)과 하악와/하악두 간의 시각적인 상태 변화와, 턱관절(TMJ)과 관절 융기 간의 시각적인 상태 변화 등을 관찰하고, 이를 통해 턱관절(TMJ)에 장애가 있는지 여부를 진단하여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According to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mage that can observe the external appearance and internal structur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from various viewpoints through a virtual camera setting in the dental imaging software. In addition, whe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changes from a static occlusion state to a dynamic movement st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MJ and the surrounding structures can be visually observed to diagnose whether the TMJ has a disorder. For example, when the TMJ changes from a static occlusion state to a dynamic movement state, the visual state change between the TMJ and the mandibular fossa/mandibular head, and the visual state change between the TMJ and the articular eminence can be observed, and through this, whether the TMJ has a disorder can be diagnosed and a treatment plan can be established.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통신부(13), 저장부(14), 및 프로세서(11)를 포함하고, 통신부(13)를 통해 외부 장치(10)와 연결될 수 있다. A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3), a storage unit (14), and a processor (11), and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

외부 장치(10)는 환자의 구강 구조를 촬영한 CT 데이터 및 구강 스캔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장치로, 예컨대 서버 또는 PC와 같은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10) is a device that stores and manages CT data and oral scan data that capture the patient's oral structure, and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such as a server or a PC.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가상 카메라 설정을 통해 턱관절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PC,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A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is a device that provides an interface that can perform a series of operations to obtain a temporomandibular joint image through a virtual camera setting according to a user's input, and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such as a PC, laptop, tablet, or smart phone.

통신부(13)는 외부 장치(1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통신부(13)는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유선 통신방식으로 외부 장치(10)와 통신하거나, 와이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3)가 통신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3)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device (10) us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communication unit (13) may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device (10) using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Ethernet, or may communicat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or Bluetooth. The method by which the communication unit (13) communicates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communicate using other communication methods.

저장부(14)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행되는 가상 카메라의 설정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가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턱관절(TMJ)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4) stores data related to the settings of a virtual camera perform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and can stor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images captured by the virtual camera.

프로세서(11)는 가상 카메라 설정을 통해 턱관절(TMJ)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모듈(11a)을 포함하고, 가상 카메라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11)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module (11a) for acquiring a temporomandibular joint (TMJ) image through a virtual camera setting, and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module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the virtual camera setting.

프로세서(1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가상 카메라 설정을 통한 턱관절(TMJ) 영상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에 따라 가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턱관절(TMJ)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The processor (11) receives a request for provision of a temporomandibular joint (TMJ) image through a virtual camera setting according to a user's input, and performs an operation for obtaining a temporomandibular joint (TMJ) image captured by the virtual camera according to the request.

프로세서(11)는 구강 구조를 촬영한 CT 데이터 및 구강 스캔 데이터를 외부 장치(1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CT 데이터 및 구강 스캔 데이터를 정합한 3D 영상을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The processor (11) receives CT data and oral scan data that photograph the oral structure from an external device (10), and creates a 3D image by aligning the received CT data and oral scan data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프로세서(11)는 CT 데이터 및 구강 스캔 데이터를 정합한 3D 영상에서 하악골과 두개골을 연결하는 턱관절(TMJ) 영역에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한다. The processor (11) sets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area connecting the mandible and the skull in a 3D image that aligns CT data and oral scan data.

일 실시예로서, 프로세서(11)는 카메라의 모드가 시점 가변 모드(또는 제자리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라 턱관절(TMJ) 영역 중 하악두의 내측골(Medial Pole)에 대응하는 지점과, 하악두의 외측골(Lateral Pole)에 대응하는 지점, 및 하악두의 최상방 점에 대응하는 지점을 가상 카메라의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As an example, when the camera mode is selected as a variable view mode (or a stationary mode), the processor (11) may se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medial pole of the mandible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region,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lateral pole of the mandible, and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uppermost point of the mandible as the positions of the virtual camera according to user input.

또한, 프로세서(11)는 카메라의 모드가 위치 가변 모드(또는 이동 모드)인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라 턱관절(TMJ) 영역 중 두 개의 지점을 선택하여 가상 카메라의 위치와 가상 카메라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mera mode is a position variable mode (or a movement mode), the processor (11) can select two points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area according to user input to set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virtual camera.

영상 획득 모듈(11a)은 외부 장치(10)에 의해 설정되는 가상 카메라의 위치에서 촬영되는 턱관절(TMJ)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턱관절(TMJ) 영상은 턱관절(TMJ) 영역의 외형뿐 만 아니라 내부를 관찰하기 위해 촬영된 내시경 형태의 3D 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module (11a) can acquire a temporomandibular joint (TMJ) image captured at a location of a virtual camera set by an external device (10). At this time,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image can be provided as an endoscopic 3D image captured to observe not only the exterior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region but also the interior.

또한, 영상 획득 모듈(11a)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가상 카메라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로서,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회전시키거나, 이동 또는 줌 인/줌 아웃 시키는 동작에 의해 조절된 위치에서 새로운 턱관절 영상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acquisition module (11a) can adjust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virtual camera according to user input. For example, a new jaw joint image can be obtained at a position adjusted by rotating, moving, or zooming in/out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카메라를 이용한 TMJ 영상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a TMJ image using a virtual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카메라를 이용한 TMJ 영상 제공 방법은 치과 영상 제공 장치(1)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포함되는 일부 동작의 수행 주체에 대한 기재가 생략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그 주체는 치과 영상 제공 장치(1)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A method for providing a TMJ image using a virtua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ecuted by a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The description of a subject performing some operations included in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and in such a case,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subject is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동작 S31에서,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구강 CT 데이터 및 구강 스캔 데이터를 정합한 3D 영상에서 하악골과 두개골을 연결하는 턱관절(TMJ) 영역에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한다. Referring to FIG. 3, first, in operation S31,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sets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region connecting the mandible and the skull in a 3D image in which oral CT data and oral scan data are aligned.

일 실시예로서, 도 4의 예와 같이,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구강 CT 데이터(41) 및 구강 스캔 데이터(42)를 정합한 3D 정합 영상(43)을 생성 시, 구강 CT 데이터(41)와 구강 스캔 데이터(42)의 치아 영역 중 전치 및 좌우 구치에 대응하는 3개의 포인트를 기준점으로 설정하여 정합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s an example, as in the example of FIG. 4, when generating a 3D aligned image (43) by aligning oral CT data (41) and oral scan data (42),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can perform an alignment operation by setting three points corresponding to the anterior teeth and left and right molars among the tooth areas of the oral CT data (41) and oral scan data (42) as reference points.

여기서, 구강 스캔 데이터(42)는, 도 5를 참조하면, 환자가 입을 다물어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가 맞닿았을 때를 기록한 정적인 교합 데이터(50)와, 환자가 전방, 좌, 우로 움직였을 때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가 맞닿는 순간과 맞닿지 않는 순간을 기록한 동적인 교합 데이터(51, 52, 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동적인 교합 데이터는 전방 운동 데이터(51), 좌측방 운동 데이터(52), 우측방 운동 데이터(53)를 포함하고, 사진 촬영 방식 또는 동영상 촬영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Here, the oral scan data (42) may include static occlusion data (50) that records when the patient closes his/her mouth and the upper and lower teeth come into contact, and dynamic occlusion data (51, 52, 53) that records the moments when the upper and lower teeth come into contact and do not come into contact when the patient moves forward, left, and right. At this time, the dynamic occlusion data includes forward movement data (51), left-side movement data (52), and right-side movement data (53), and may be acquired by a photographic method or a video recording method.

예로서, 도 6과 같이, 구강 CT 데이터(60)와 전방 운동 데이터(61)를 정합한 3D 정합 영상(62)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구강 CT 데이터(60)와 좌측방 운동 데이터를 정합한 3D 정합 영상(71)을 생성하거나, 구강 CT 데이터(60)와 우측방 운동 데이터를 정합한 3D 정합 영상(72)을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a 3D aligned image (62) can be generated by matching oral CT data (60) and forward motion data (61).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a 3D aligned image (71) can be generated by matching oral CT data (60) and left-side motion data, or a 3D aligned image (72) can be generated by matching oral CT data (60) and right-side motion data.

일 실시예로서, 동작 S31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카메라의 모드가 시점 가변 모드(또는 제자리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TMJ 영역 중 하악두의 내측골(Medial Pole)에 대응하는 제1 지점과, 상기 하악두의 외측골(Lateral Pole)에 대응하는 제2 지점, 및 상기 하악두의 최상방 점에 대응하는 제3 지점을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로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영상 획득을 위하여 카메라의 방향(direction) 및 화각(angle of view 또는 FOV)도 설정할 수 있다.As an example, operation S31 may include an operation of setting a first point corresponding to the medial pole of the mandibular head in the TMJ region, a second point corresponding to the lateral pole of the mandibular head, and a third point corresponding to the uppermost point of the mandibular head as the positions of the virtual camera when the camera mode is selected as the variable view mode (or fixed-in-place mode) according to a user input. At this time,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may also set the direction and angle of view (or FOV) of the camera for image acquisition.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카메라의 모드를 시점 가변 모드(또는 제자리 모드)로 선택할 수 있고, 이 때 구강 CT 데이터 및 구강 스캔 데이터를 정합한 3D 정합 영상에서 하악골과 두개골을 연결하는 턱관절(TMJ) 영역(80) 중 세 개의 포인트(81, 82, 83)를 세 개의 가상 카메라의 위치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8,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can select the camera mode as a variable view mode (or a fixed mode) according to user input, and at this time, three points (81, 82, 83) among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region (80) connecting the mandible and the skull in the 3D aligned image in which oral CT data and oral scan data are aligned can be set as the positions of three virtual cameras, respectively.

이 때, 세 개의 가상 카메라의 위치로 설정되는 세 개의 포인트(81, 82, 83) 각각은 도 9의 예에서, 턱관절(TMJ) 영역(90) 내의 하악두의 내측골(Medial Pole)인 제1 지점(91)과, 하악두의 외측골(Lateral Pole)인 제2 지점(92), 및 하악두의 최상방 점인 제3 지점(93)으로 결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of the three points (81, 82, 83) set as the positions of the three virtual cameras can be determined as the first point (91), which is the medial pole of the mandible with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region (90), the second point (92), which is the lateral pole of the mandible, and the third point (93), which is the uppermost point of the mandible, in the example of Fig. 9.

한편, 도 9의 예에서,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턱관절(TMJ) 영역(90) 중 턱관절원판과 맞닿는 과두의 중심(94)을 설정하여, 턱관절(TMJ)이 정적 교합 상태에서 동적 운동 상태로 변화 시 과두의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과두의 중심(94)은 하악두의 내측골(Medial Pole)인 제1 지점(91)과 하악두의 외측골(Lateral Pole)인 제2 지점(92)을 이은 선과, 하악두의 최상방 점인 제3 지점(93)이 수직으로 만나는 곳으로 결정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example of Fig. 9,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sets the center (94) of the condyl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emporomandibular joint disc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region (90), so that the movement path of the condyle can be identified whe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changes from a static occlusion state to a dynamic movement state. At this time, the center (94) of the condyle can be determined as the point where the line connecting the first point (91), which is the medial pole of the mandible, the second point (92), which is the lateral pole of the mandible, and the third point (93), which is the uppermost point of the mandible, meet vertically.

일 실시예로서, 도 10의 예에서,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턱관절(TMJ)이 전방 운동 시 과두가 움직일 수 있는 각도인 관절융기 경사각(condylar angle)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T 데이터의 관상영상(coronal view)에서 UI를 통해 외이도 상연(1011)과 안와 하연(1012)을 선택하여, 외이도 상연(1011)과 안와 하연(1012)을 연결한 제1 기준면(FH plane)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CT 데이터의 관상영상(coronal view)에서 변곡 포인트를 이용하여 하악와의 최상방(1013)과 관절융기의 최하방(1014)을 자동 추출하여, 하악와의 최상방(1013)과 관절융기의 최하방(1014)을 연결한 제2 기준면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하악와의 최상방(1013)과 관절융기의 최하방(1014)은 UI를 통해 선택될 수도 있다.As an example, in the example of FIG. 10,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can set the condylar angle, which is the angle at which the condyle can move whe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moves forward. Specifically, the superior edge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1011) and the inferior edge of the orbit (1012) can be selected through the UI in the coronal view of CT data, and a first reference plane (FH plane) connecting the superior edge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1011) and the inferior edge of the orbit (1012) can be set. In addition, the uppermost part of the mandibular condyle (1013) and the inferiormost part of the condyle (1014) can be automatically extracted using the inflection point in the coronal view of CT data, and a second reference plane connecting the uppermost part of the mandibular condyle (1013) and the inferiormost part of the condyle (1014) can be set. At this time, the uppermost part of the mandibular condyle (1013) and the lowermost part of the condyle (1014) can also be selected through the UI.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설정된 제1 기준면(FH plane)과 제2 기준면이 이루는 각도를 관절융기 경사각(condylar angle)(1015)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관절융기 경사각을 이용하여 전방 운동 시 과두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can set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reference plane (FH plane) and the second reference plane set in the above manner as the condylar angle (1015). Accordingly,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can provide the movement path of the condyle during forward movement by using the condylar angle.

일 실시예로서, 도 11의 예에서,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턱관절(TMJ)이 측방 운동 시 과두가 움직일 수 있는 각도인 측방과로 경사각(bennet angle)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턱관절(TMJ)이 좌 측방 운동 또는 우 측방 운동 시, 외이도 상연(1011)과 안와 하연(1012)을 연결한 제1 기준면(FH plane)(112)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자른 제3 기준면(axial plane)(113)에서 운동 방향(작업측)(110)의 반대측(비작업측)(111)의 과두를 중심으로 움직인 각도를 측방과로 경사각(bennet angle)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측방과로 경사각(bennet angle)과 함께, 운동 방향(작업측)(110)의 반대측(비작업측)(111)의 과두를 중심으로 움직인 한계 운동 거리 또한 측정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측방과로 경사각을 이용하여 측방 운동 시 과두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As an example, in the example of FIG. 11,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can set the lateral condyle inclination angle (Bennett angle), which is the angle at which the condyle can move whe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moves lateral. Specifically,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can set the angle at which the condyle moves on the opposite side (non-working side) (111)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working side) (110) in a third reference plane (axial plane) (113) cut parallel to the first reference plane (FH plane) (112) connecting the superior border of the external auditory meatus (1011) and the inferior border of the orbit (1012) whe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moves left lateral or right lateral, as the lateral condyle inclination angle (Bennett angle). At this time,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can measure the limit movement distance centered on the condyle on the opposite side (non-working side) (111) to the movement direction (working side) (110) along with the lateral condyle inclination angle (Bennett angle). Based on this,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can provide the movement path of the condyle during lateral movement by using the lateral condyle inclination angle.

일 실시예로서, 동작 S31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가상 카메라의 모드가 위치 가변 모드(또는 이동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턱관절(TMJ) 영역 중 제4 지점과 제5 지점을 선택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 및 방향을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operation S31 may include an operation of set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virtual camera by selecting the fourth point and the fifth point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region when the mode of the virtual camera is selected as the position variable mode (or movement mode) according to user input.

예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가상 카메라의 모드를 위치 가변 모드(또는 이동 모드)로 선택할 수 있고, 이 때 구강 CT 데이터 및 구강 스캔 데이터를 정합한 3D 정합 영상에서 하악골과 두개골을 연결하는 턱관절(TMJ) 영역(120) 중 제1 지점(121)과 제2 지점(122)을 선택하여 가상 카메라의 위치 및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지점(121)이 먼저 설정된 상태에서, 제2 지점(122)이 추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점(121)의 위치에서 제2 지점(122)이 위치한 방향을 향해 촬영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이때 가상 카메라를 턱관절(TMJ) 영역(120)의 외곽을 따라 회전(R)시켜 여러 각도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2, the mode of the virtual camera can be selected as the position variable mode (or movement mode) according to the user input, and at this time,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virtual camera can be set by selecting the first point (121) and the second point (122) among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region (120) connecting the mandible and the skull in the 3D registration image that aligns the oral CT data and the oral scan data. At this time, the second point (122) can be additionally set while the first point (121) is first set according to the user input. Accordingly, an image captured from the position of the first point (121)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point (122) is located can be acquired, and at this time, the virtual camera can be rotated (R) along the outer edg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region (120) to obtain images captured from various angles.

다음으로, 동작 S32에서,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의 교합 상태가 정적 교합 상태에서 동적 운동 상태로 변환 시, 턱관절(TMJ) 영역에 설정된 가상 카메라의 위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획득한다. Next, in operation S32,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obtains an image captured at the position of a virtual camera set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area when the occlusion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changes from a static occlusion state to a dynamic movement state.

일 실시예로서, 도 12를 참조하면, 동작 S32는, 좌측 턱관절(TMJ) 영역과 우측 턱관절(TMJ) 영역 각각에서 제1 지점(121)에 위치한 가상 카메라들 사이의 시점 불일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12, operation S32 may acquire an image by utilizing the viewpoint mismatch between virtual cameras located at a first point (121) in each of the left temporomandibular joint (TMJ) region and the right temporomandibular joint (TMJ) region.

마지막으로, 동작 S33에서,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상기 동작 S32에서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Finally, in operation S33,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displays the image captured in operation S32 on the screen.

일 실시예로서,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가상 카메라의 위치, VPN(view-plane normal) 벡터, 뷰 앵글을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that can adjust the position of a virtual camera, a view-plane normal (VPN) vector, and a view angle.

예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가상 카메라를 상호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 각각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가상 카메라의 속성을 변경시킬 수 있는 UI를 제공하고, UI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방향으로 가상 카메라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X축, Y축, 및 Z축에 대한 회전 방식은 각각 Pitch, Roll, Yaw로 구현될 수 있고, 각 회전 방식은 마우스 우클릭 상태에서 드래그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이때, Pitch는 카메라의 시선이 위아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X축(가로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방식이고, Roll은 카메라의 시선이 정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바뀌도록 Y축(세로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방식이다. Yaw는 카메라의 시선이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Z축(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방식이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3,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provides a UI capable of changing the properties of a virtual camera so that the virtual camera can be rotated about each of the X-axis, Y-axis, and Z-axis which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can rotate the virtual camera in a selected direction according to a user input to the UI. At this time, the rotation methods for the X-axis, Y-axis, and Z-axis can be implemented as Pitch, Roll, and Yaw, respectively, and each rotation method can be set by dragging in the right-click state of the mouse. At this time, Pitch is a method of rotating about the X-axis (horizontal axis) so that the line of sight of the camera moves up and down, Roll is a method of rotating about the Y-axis (vertical axis) so that the line of sight of the camera changes from the front to a diagonal direction. Yaw is a method of rotating about the Z-axis (vertical axis) so that the line of sight of the camera moves left and right.

다른 예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상호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 중 상기 Z축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가상 카메라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상 카메라의 속성을 변경시킬 수 있는 UI를 제공하고, UI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Z축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 하, 좌, 우 명령에 따라 X축 및 Y축을 각각 u, v 값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14,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provides a UI that can change the properties of a virtual camera so that the virtual camera can be mov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while fixing the Z-axis among the X-axis, Y-axis, and Z-axis that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can be moved according to a user input to the UI. At this time, the X-axis and Y-axis can be moved according to the up, down, left, and right commands while fixing the Z-axis, respectively. u, It can be moved by the value v.

또 다른 예로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가상 카메라를 상호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 중 Z축 상의 양의 방향 또는 음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상 카메라의 속성을 변경시킬 수 있는 UI를 제공하고, UI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가상 카메라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마우스 스크롤을 이용하여 Z축의 양의 방향으로 n 만큼 이동하고, Z축의 음의 방향으로 n 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15,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provides a UI that can change the properties of the virtual camera so that the virtual camera can be moved in the positive or negative direction on the Z axis among the X-axis, Y-axis, and Z-axis that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the virtual camera can be mov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to the UI. At this time, the mouse scroll is used to move the virtual camera in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Z axis. Move n units, in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Z-axis. It can be moved by n amount.

일 실시예로서,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가상 카메라의 위치와 X축, Y축, 및 Z축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가상 카메라의 투시 투영 값을 조절하기 위한 배율을 설정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고, UI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가상 카메라의 배율을 0.5배, 1.0배, 1.5배, 2.0배 등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provides a UI that can set a magnification for adjusting a perspective projection value of a virtual camera while fixing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and the X-axis, Y-axis, and Z-axis, and can set the magnification of the virtual camera to 0.5 times, 1.0 times, 1.5 times, 2.0 times, etc. according to a user input to the UI.

또한,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도 12에서 제2 지점(122)을 수정하여 촬영된 영상을 회전시킬 수 있는 UI를 제공하고, UI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회전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provides a UI that can rotate the captured image by modifying the second point (122) in FIG. 12, and can display the captured image by rotating it according to user input to the UI.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치과 영상 소프트웨어에서, 가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내시경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것과 같이 턱관절(TMJ)의 외형 및 내부 구조를 관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턱관절(TMJ)이 정적 교합 상태에서 동적 운동 상태로 변화 시 가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턱관절(TMJ)과 주변 구조와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관찰하여 턱관절(TMJ)의 장애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ntal imaging softwa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observing the external appearance and internal structur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as if captured by an endoscopic camera using a virtual camera. In addition, whe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changes from a static occlusion state to a dynamic movement state, it is possible to visually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and surrounding structures using an image captured by the virtual camera, thereby diagnosing whether there is a disorder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도 16은 치과 영상 제공 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 영상 제공 장치(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 버스(107),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 프로세서(101)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05)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03)와, 컴퓨터 프로그램(105)를 저장하는 스토리지(104)를 포함할 수 있다. Fig. 16 is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As shown in Fig. 16,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101), a bus (107), a network interface (102), a memory (103) that loads a computer program (105) executed by the processor (101), and a storage (104) that stores the computer program (105).

프로세서(101)는 치과 영상 제공 장치(1)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01)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03)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03)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04)로부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105)을 로드(load) 할 수 있다. 버스(107)는 치과 영상 제공 장치(1)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는 치과 영상 제공 장치(1)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스토리지(104)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105)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05)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이 구현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05)이 메모리(103)에 로드 되면, 프로세서(101)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01)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The processor (101) can perform operations for at least one application or program for executing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103) stores various data, commands, and/or information. The memory (103) can load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105) from the storage (104) to execute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 (107) provides a communication function between components of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The network interface (102) supports wired and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of the dental image providing device (1). The storage (104) can non-temporarily store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105). The computer program (105) can include one or more instructions in which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mplemented. When a computer program (105) is loaded into the memory (103), the processor (101) can perform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xecuting one or more of the instructions.

컴퓨터 프로그램(105)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이 구현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05)이 메모리(103)에 로드 되면, 프로세서(101)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컴퓨터 프로그램(105)은 구강 CT 데이터 및 구강 스캔 데이터를 정합한 3D 영상에서 하악골과 두개골을 연결하는 TMJ(temporomandibular joint) 영역에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동작, 상악 치아와 및 하악 치아의 교합 상태가 정적 교합 상태에서 동적 운동 상태로 변환 시, 상기 TMJ 영역에 설정된 가상 카메라의 위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puter program (105) may include one or more instructions implementing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puter program (105) is loaded into the memory (103), the processor (101) may execut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to perform the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the computer program (105) may include instructions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setting a position of a virtual camera in a TMJ (temporomandibular joint) area connecting the mandible and the skull in a 3D image that aligns oral CT data and oral scan data, an operation of acquiring an image captured at a position of a virtual camera set in the TMJ area when the occlusion state of the maxillary teeth and the mandibular teeth is converted from a static occlusion state to a dynamic movement state, and an operation of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on a screen.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을 언급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6 so far.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so far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transmitted to another computing device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installed on the other computing device, thereby allowing it to be used on the other computing device.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lthough the operation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in a particular ord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the particular order depicted or in any sequential order, or that all depicted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to achieve a desired result. In certain situation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Furthermore, the separation of the various components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understood to imply that such separation is necessary, and that the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described may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발명이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s def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구강 CT 데이터 및 구강 스캔 데이터를 정합한 3D 영상에서 하악골과 두개골을 연결하는 TMJ(temporomandibular joint) 영역에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의 교합 상태가 정적 교합 상태에서 동적 운동 상태로 변환 시, 상기 TMJ 영역에 설정된 가상 카메라의 위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카메라의 모드가 시점 가변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TMJ 영역 중 하악두의 내측골(Medial Pole)에 대응하는 제1 지점과, 상기 하악두의 외측골(Lateral Pole)에 대응하는 제2 지점, 또는 상기 하악두의 최상방 점에 대응하는 제3 지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MJ 영상 제공 방법.
In a method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A step of setting the position of a virtual camera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area connecting the mandible and the skull in a 3D image that is aligned with oral CT data and oral scan data;
A step of acquiring an image captured at the position of a virtual camera set in the TMJ region when the occlusion state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is converted from a static occlusion state to a dynamic movement state; and
including a step of displaying the above-described captured image on a screen;
The step of setting the position of the above virtual camera is:
Including a step of setting at least one of a first point corresponding to the medial pole of the mandibular head in the TMJ region, a second point corresponding to the lateral pole of the mandibular head, or a third point corresponding to the uppermost point of the mandibular head as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when the mode of the virtual camera is selected as a variable viewpoint mode;
How to provide TMJ images.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카메라의 모드가 위치 가변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TMJ 영역 중 제4 지점과 제5 지점을 선택하여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와 상기 가상 카메라의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MJ 영상 제공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The step of setting the position of the above virtual camera is:
Including a step of set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virtual camera by selecting the fourth point and the fifth point among the TMJ areas when the mode of the virtual camera is selected as the position variable mode;
How to provide TMJ images.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와 상기 가상 카메라의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4 지점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지점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5 지점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추가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MJ 영상 제공 방법.
In the third paragraph,
The step of setting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and the direction of the virtual camera is:
A step of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tting the fourth point; and
A step of additionally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tting the fifth point while the fourth point is set; comprising;
How to provide TMJ images.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TMJ 영역에 설정된 가상 카메라의 위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좌우측 TMJ 영역의 상기 제4 지점에 위치된 상기 가상 카메라들 사이의 시점 불일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MJ 영상 제공 방법.
In the third paragraph,
The step of acquiring an image captured at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set in the above TMJ area is as follows.
A step of acquiring an image by utilizing the viewpoint mismatch between the virtual cameras positioned at the fourth point of the left and right TMJ region; comprising;
How to provide TMJ imag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운동 상태는,
상기 상악 치아 및 상기 하악 치아 간 전치의 교합 여부에 기초한 전방 운동 상태와, 좌우측 구치의 교합 여부에 기초한 측방 운동 상태를 포함하는,
TMJ 영상 제공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dynamic motion state is,
Including a forward movement state based on the occlusion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and anterior teeth, and a lateral movement state based on the occlusion of the left and right molars.
How to provide TMJ imag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상호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 각각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UI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회전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TMJ 영상 제공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A step of providing a UI capable of rotating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around each of the X-axis, Y-axis, and Z-axis which are mutually orthogonal; and
A step of setting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by rotating it according to a user input to the UI is further included;
How to provide TMJ imag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상호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 중 상기 Z축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UI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이동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TMJ 영상 제공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A step for providing a UI that can move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while fixing the Z-axis among the X-axis, Y-axis, and Z-axis that are mutually orthogonal; and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moving and setting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according to user input to the UI;
How to provide TMJ imag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상호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 중 상기 Z축 상의 양의 방향 또는 음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UI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이동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TMJ 영상 제공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A step of providing a UI that can move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in a positive or negative direction along the Z axis among the X-axis, Y-axis, and Z-axis that are mutually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moving and setting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according to user input to the UI;
How to provide TMJ imag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와 상호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상 카메라의 투시 투영 값을 조절하기 위한 배율을 설정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UI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 카메라의 배율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TMJ 영상 제공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A step for providing a UI capable of setting a scale for adjusting the perspective projection value of the virtual camera while fixing the X-axis, Y-axis, and Z-axis that are mutually orthogonal to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and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setting the magnification of the virtual camera according to a user input to the UI;
How to provide TMJ images.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카메라의 방향이 변경되도록 상기 제5 지점의 위치를 수정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을 회전시킬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UI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촬영된 영상을 회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TMJ 영상 제공 방법.
In the third paragraph,
A step for providing a UI that can rotate the captured image by modifying the position of the fifth point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virtual camera is changed; and
A step of rotating and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the UI is further included.
How to provide TMJ images.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구강 CT 데이터 및 구강 스캔 데이터를 정합한 3D 영상에서 하악골과 두개골을 연결하는 TMJ(temporomandibular joint) 영역에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동작,
상악 치와 및 하악 치아의 교합 상태가 정적 교합 상태에서 동적 운동 상태로 변환 시, 상기 TMJ 영역에 설정된 가상 카메라의 위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가상 카메라의 모드가 시점 가변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TMJ 영역 중 하악두의 내측골(Medial Pole)에 대응하는 제1 지점과, 상기 하악두의 외측골(Lateral Pole)에 대응하는 제2 지점, 또는 상기 하악두의 최상방 점에 대응하는 제3 지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가상 카메라의 위치로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치과 영상 제공 장치.
One or more processors;
Communicatio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s;
A memory that loads a computer program to be executed by the processor; and
Including storage for storing the above computer program,
The above computer program,
An action to set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area connecting the mandible and skull in a 3D image that aligns oral CT data and oral scan data.
An operation of acquiring an image captured at the position of a virtual camera set in the TMJ area when the occlusion state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is converted from a static occlusion state to a dynamic movement state, and
Including instructions for performing an action of displaying the above-described captured image on a screen,
The action of setting the position of the above virtual camera is:
When the mode of the virtual camera is selected as a variable viewpoint mode, an operation of setting at least one of a first point corresponding to the medial pole of the mandibular head in the TMJ region, a second point corresponding to the lateral pole of the mandibular head, or a third point corresponding to the uppermost point of the mandibular head as the position of the virtual camera is included.
Dental imaging device.
KR1020220035669A 2022-03-23 2022-03-23 Method for providing image of tmj using virtual camera,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Active KR1026965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669A KR102696585B1 (en) 2022-03-23 2022-03-23 Method for providing image of tmj using virtual camera,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669A KR102696585B1 (en) 2022-03-23 2022-03-23 Method for providing image of tmj using virtual camera,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070A KR20230138070A (en) 2023-10-05
KR102696585B1 true KR102696585B1 (en) 2024-08-20

Family

ID=88293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669A Active KR102696585B1 (en) 2022-03-23 2022-03-23 Method for providing image of tmj using virtual camera,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658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9986A1 (en) 2006-01-26 2009-07-16 Rolf Klett Method and device for the recording of body movemen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871B1 (en) 2009-09-10 2013-02-07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Virtual Endoscopy Apparatus, Method for Driving thereof and Medical Examination Apparatus
US10521969B2 (en) * 2015-02-23 2019-12-31 Osstemimplant Co., Ltd. Method for simulating mandibular movement, device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same
US10672510B1 (en) * 2018-11-13 2020-06-02 Biosense Webster (Israel) Ltd. Medical user interface
KR102277022B1 (en) * 2019-08-13 2021-07-14 주식회사 디오 Method and apparatus for matching oral scan image and oral scan im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9986A1 (en) 2006-01-26 2009-07-16 Rolf Klett Method and device for the recording of body mov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070A (en)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5614B2 (en)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for dental surgery
JP6273149B2 (en) Facial correction imag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JP3040997B1 (en) Maxillary tooth size determination device
KR101163808B1 (en) Human body information extraction device, human body imaging information reference plane conversion method, and cross section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KR101830708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positioning in cone―beam tomography
CN106537225A (en) A device for visualization of the inside of a patient's mouth
JP2013116318A (en) Panoramic tomography x-ray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device
US20240245495A1 (en) Accurate scanning of patient bite
WO2022191575A1 (en) Simulation device and method based on face image matching
Zhu et al. The difference between registered natural head position and estimated natural head position in three dimensions
KR102696585B1 (en) Method for providing image of tmj using virtual camera,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KR102473722B1 (en) Method for providing section image of tooth and den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
KR20170048100A (en) X-ray Imaging Apparatus
RU2610911C1 (en) System and method of virtual smile prototyping based on tactile computer device
JP568753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rankfurt plane calcula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663265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CN112789008A (en) Method for incorporating photographic facial images and/or films of a person into a plan for dental and/or cosmetic dental treatment and/or preparation of a restoration for said person
EP4518744A1 (en) Method for monitoring changes in bite
JP6392190B2 (en) Image registration device, method of operating image registration device, and program
JP6868255B2 (en) Abutment tooth formation support device
KR10185690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ibrating dentures
JP7695221B2 (en) DATA GENERATION DEVICE, DATA GENERATION METHOD, AND DATA GENERATION PROGRAM
CN113226186A (en) Device for visualizing the movement of the lower jaw relative to the upper jaw in the craniomaxillofacial region of a patient in real time in a dental diagnosis
CN221711890U (en) Head-wearing eye movement checking equipment
JP7365722B2 (en) Standard photography support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