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6470B1 - A portable emergency lifesaving device - Google Patents
A portable emergency lifesav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96470B1 KR102696470B1 KR1020230134533A KR20230134533A KR102696470B1 KR 102696470 B1 KR102696470 B1 KR 102696470B1 KR 1020230134533 A KR1020230134533 A KR 1020230134533A KR 20230134533 A KR20230134533 A KR 20230134533A KR 102696470 B1 KR102696470 B1 KR 1026964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e
- vest
- pouch
- gas
- operating p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3022 vent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3647 Drow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860 com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63C9/12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 B63C9/125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inflatabl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는 파우치부에 구명조끼부를 임의로 접어 수용하고, 위급 상황시 파우치부에서 꺼내 착용되는 상기 구명조끼부가 인플레이터부의 작동으로 자동으로 팽창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상이나 강에서의 재난사고에 대비하여 착용자의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용 비상 구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가스를 주입하여 팽창되는 구명조끼부 및 어깨 또는 허리에 착용 가능한 착용 끈이 구비되고, 폴딩된 상기 구명조끼부가 수용되는 파우치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비상 구명 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The disclosed subject matter relates to a portable emergency life-saving device configured to safely protect the wearer's body in case of a disaster at sea or on a river by arbitrarily folding and storing a life jacket portion in a pouch portion worn on the user's body, and automatically inflating the life jacket portion by taking it out of the pouch portion and wearing it in an emergency situation through the operation of an inflator portion.
The disclosed content presents, as one embodiment, a portable emergency life-saving device including a life-saving vest part that is inflated by injecting gas and a wearing strap that can be worn on a shoulder or waist, and a pouch part that accommodates the folded life-saving vest part.
Description
개시된 내용은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는 파우치부에 구명조끼부를 임의로 접어 수용하고, 위급 상황시 파우치부에서 꺼내 착용되는 상기 구명조끼부가 인플레이터부의 작동으로 자동으로 팽창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상이나 강에서의 재난사고에 대비하여 착용자의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용 비상 구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subject matter relates to a portable emergency life-saving device configured to safely protect the wearer's body in case of a disaster at sea or on a river by arbitrarily folding and storing a life jacket portion in a pouch portion worn on the user's body, and automatically inflating the life jacket portion by taking it out of the pouch portion and wearing it in an emergency situation through the operation of an inflator portion.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materials described in this section are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their inclusion in this section is not an admission that they are prior art.
일반적으로, 구명조끼는 어선, 선박, 낚시, 해양레포츠, 해상작업, 안전요원 등과 같은 해상 활동중에 발생하기 쉬운 각종 해난사고로부터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것으로, 신체의 목 뒤에서 어깨, 가슴 앞쪽을 포함하는 상반신에 착용함으로써 물에 빠져도 몸이 뜰 수 있어 소중한 인명을 보호한다.In general, life jackets are worn to protect the user from various maritime accidents that can easily occur during maritime activities such as fishing boats, ships, fishing, marine sports, maritime work, and safety personnel. They are worn on the upper body including the back of the neck, shoulders, and front of the chest, so that the body can float even if it falls into the water, thereby protecting precious human lives.
한편, 해상이나 강에서 발생하는 익사 사고의 경우, 익사자 중에서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고 있었던 것으로 조사된 바 있으며, 이는 선박의 비상보관함에 보관되어 있는 구명조끼(구명동의)를 꺼내서 착용하도록 하고 있어 해상이나 강에서의 사고에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고, 상기 구명조끼는 신체의 착용감 및 활동성이 나쁘고 불편하기 때문에 대부분 착용을 기피하고 있다.Meanwhile, in the case of drowning accidents that occur at sea or in rivers, it has been investigated that many of the drowning victims were not wearing life jackets. This is because life jackets (life vests) stored in the ship's emergency storage locker are taken out and put on, making it difficult to respond quickly to accidents at sea or in rivers. In addition, most people avoid wearing life jackets because they are uncomfortable and do not fit well on the body and do not allow for movement.
즉, 종래의 구명조끼는 신체의 상반신에 착용할 수 있게 조끼를 구성하고 조끼 내부에는 가벼운 부력재를 투입하거나 또는 에어튜브로 이루어진 공기 팽창식 구명조끼에 구비되어 있는 가스발사기가 입수와 동시에 에어튜브에 기체(공기)를 주입하여 자동으로 팽창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전자의 부력재는 다소 딱딱하여서 신체활동이 불편하여 착용을 기피하고 있으며, 후자의 공기 팽창식 구명조끼의 경우에는 가볍고 착용이 간편하며 부력이 크지만, 에어튜브 및 에어유니트를 신체에 착용하거나 휴대하기가 불편하며 쉽게 손상 및 파손됨으로 위급 상황 시 재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conventional life jackets are designed to be worn on the upper body, and light buoyancy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jacket, or a gas injector is installed in an air-inflatable life jacket made of an air tube to automatically inflate the jacket by injecting gas (air) into the air tube as soon as the jacket is put into the water. However, the former buoyancy material is somewhat hard, which makes it inconvenient to move around in, and thus people tend to avoid wearing it, while the latter air-inflatable life jacket is light, easy to wear, and has high buoyancy, but the air tube and air unit are inconvenient to wear or carry on the body, and they are easily damaged or broken, which makes it difficult to perform their function in an emergency.
또한,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자동 팽창식 구명 조끼의 경우, 수분 및 습기에 취약하고 오작동의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구명 조끼의 가격이 종래의 자동 팽창식 구명 조끼보다 높아 가격 경쟁력이 취약한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utomatic inflatable life jackets using carbon diox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y are vulnerable to moisture and humidity and have the risk of malfunctioning, and the price of the life jackets is higher than that of conventional automatic inflatable life jackets, making them less competitive in price.
이러한 종래의 구명 조끼 및 구명 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82898호(2012.09.07. 등록)는 파우치의 내측 수납부에 가스공급수단을 부착하기 위한 발사기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파우치는 수납부에 가스공급수 및 상기 가스공급수단에 의해 팽창되는 구명동의를 다단으로 접어서 부피를 줄여서 수납하고, 좌/우측의 제1, 제2커버와 저면의 제3커버 및 상면의 제4커버로 감싸고 상기의 커버가 접합수단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가스공급수단의 가스발사기 안전핀에 연결된 당김줄이 파우치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당김줄의 끝단에 구비되는 손잡이를 당김에 따라, 상기의 커버가 전개되면서 구명동의가 노출되고 상기 가스발사기에 의해 기체를 주입하여 구명동의가 팽창하도록 된 것으로, 자동팽창식 구명조끼가 가지는 높은 부력과 함께 부력의 손실이 거의 없으며, 평상시 부피가 소형으로 보관이 용이하여 활동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구명조끼의 전면부에 구비되어 있는 부력재에 의해 외부충격력을 흡수완화하여 가슴부위(특히 심장)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착용감이 좋고 보온성을 겸비하고 있고, 사고발생시 신체를 더욱더 안전하게 보호하여 해상 안전사고에 의한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콤팩트한 휴대형 구명조끼가 개시된다.As an example of such conventional life jackets and life-saving device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82898 (registered on September 7, 2012) is provided with a launcher fixing part for attaching a gas supply means to the inner storage portion of a pouch, and the pouch is configured to store a gas supply water and a life jacket inflated by the gas supply means in the storage portion by folding them in multiple stages to reduce the volume, and is wrapped with first and second cove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 third cover on the bottom, and a fourth cover on the top, and the covers are detachable and attachable by a joining means, and a pull cord connected to the safety pin of the gas launcher of the gas supply means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uch, and when a handle provided at the end of the pull cord is pulled, the cover is unfolded to expose the life jacket, and gas is injected by the gas launcher to inflate the life jacket, so that the high buoyancy of an automatically inflatable life jacket is accompanied by almost no loss of buoyancy, and the normal volume is A compact, portable life jacket is disclosed that is not only compact and easy to store, allowing for excellent mobility, but also absorbs and alleviates external impact force through a buoyancy material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life jacket to safely protect the chest area (especially the heart), is comfortable to wear, has heat retention, and protects the body more safely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reby preventing casualties from maritime accidents.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59187호(2020.09.17. 등록)은 발열수단은 내부에 발열공간부를 형성한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 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발열팩, 상기 카트리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발열팩의 발열작용에 필요한 물을 유입시키는 물 유입구 및 상기 카트리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발열공간부 내에서 발생한 기체 또는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압 배출부를 포함하는 구명조끼가 개시된다.In addition,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59187 (registered on September 17, 2020) discloses a life jacket including a cartridge having a heating space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heating packs arranged at intervals within the cartridge, a water inlet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artridge and introducing water necessary for the heating action of the heating packs, and a pressure discharge portion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artridge and discharging gas or pressure generated within the heating space to the outside.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명조끼의 경우에는 구명조끼에 가스를 공급하여 자동 팽창하는 단순기능만이 제공되어, 착용자가 구명조끼를 편리하게 휴대하고, 위급 상황에서 긴급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지 않아 한계를 갖는다.However, in the case of life jackets as described above, only a simple function of supplying gas to the life jacket to automatically inflate it is provided, and thus,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does not include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wearer to conveniently carry the life jacket and use it urgently in an emergency situation.
가스를 주입하여 팽창되는 구명조끼부 및 어깨 또는 허리에 착용 가능한 착용 끈이 구비되고, 폴딩된 상기 구명조끼부가 수용되는 파우치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는 파우치부에 구명조끼부를 임의로 접어 수용하고, 위급 상황시 파우치부에서 꺼내 사용자에 착용되는 구명조끼부가 인플레이터부의 작동으로 자동으로 팽창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상이나 강에서의 재난사고에 대비하여 착용자의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휴대용 비상 구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mergency life-saving device capable of safely protecting the body of a wearer in case of a disaster at sea or in a river, wherein the life-saving device comprises a life-saving device part that is inflated by injecting gas and a wearing strap that can be worn on a shoulder or waist, and a pouch part in which the folded life-saving device part is accommodated, so that the life-saving device part can be arbitrarily folded and accommodated in the pouch part worn on the user's body, and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life-saving device part that is taken out of the pouch part and worn on the user is automatically infla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flator part.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It is also clear that the technical challenges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that other technical challenges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개시된 내용은 가스를 주입하여 팽창되는 구명조끼부 및 어깨 또는 허리에 착용 가능한 착용 끈이 구비되고, 폴딩된 상기 구명조끼부가 수용되는 파우치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비상 구명 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The disclosed subject matter presents, as one embodiment, a portable emergency life-saving device including a life-saving vest part that is inflated by injecting gas and a wearable strap that can be worn on a shoulder or waist, and a pouch part that accommodates the folded life-saving vest part.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명조끼부는 내부에 가스 팽창 공간이 형성된 조끼본체, 상기 조끼본체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고, 격발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가스 팽창 공간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부, 상기 조끼본체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팩, 상기 조끼본체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LED발광부재 및 상기 조끼본체의 전면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가스 팽창 공간으로 공기를 강제 공급시키는 공기주입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life vest part includes a vest body having a gas expansion space formed therein, an inflator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of the vest body and supplying gas to the gas expansion space when a trigger signal is generated, a heating pack spaced apart at a certain interval on the inside of the vest body and generating heat when supplied with power, an LED light-emitting memb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st body and emitting light when supplied with power, and an air injecto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of the vest body and forcibly supplying air into the gas expansion space.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플레이터부는 가스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 수단이 구비된 인플레이터, 상기 배출 수단의 작동을 개시하는 트리거작동핀, 상기 트리거작동핀에 연결되는 작동줄 및 상기 인플레이터에 공급되는 가스가 수용되는 가스실린더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inflator part includes an inflator having a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gas, a trigger operating pin for initiat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means, an operating line connected to the trigger operating pin, and a gas cylinder for receiving gas supplied to the inflator.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파우치부는 상기 파우치부의 저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트리거작동핀이 관통되어 상기 파우치부의 외주면 측으로 돌출 배치되도록 통공된 작동핀관통공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pouch portion includes an actuation pin through-ho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ouch portion and formed such that the trigger actuation pin passes through it and protrudes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pouch portion.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작동핀관통공은 상기 작동줄은 통과되고 상기 트리거작동핀은 걸려지는 직경을 갖도록 통공된 중심공 및 상기 중심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일정 길이로 절단된 다수개의 절개선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구명조끼부를 착용할 때 상기 트리거작동핀이 작동핀관통공에 걸려 인플레이터부의 격발 신호가 생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actuating pin through hole includes a central hole having a diameter through which the actuating line passes and the trigger actuating pin is caught, and a plurality of cutting lines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central hole and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when a user wears the life jacket portion, the trigger actuating pin is caught in the actuating pin through hole, thereby generating a triggering signal of the inflator portion.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파우치부는 상기 구명조끼부를 수용하는 조끼수용부 및 상기 파우치부의 전면에 부착되고, 내부에 사용자단말기를 수용하며 방수 기능을 갖는 단말기수용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pouch portion includes a vest receiving portion that receives the life jacket portion and a terminal receiving portion that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pouch portion, receives a user terminal therein, and has a waterproof function.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파우치부는 상기 조끼수용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명조끼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pouch portion includes a battery provided inside the vest receiving portion and supplying power to the life jacket portion.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절개선은 상기 구명조끼부를 상기 조끼수용부에 수용할 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트리거작동핀을 관통시켜 상기 트리거작동핀이 상기 파우치부의 외주면 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cut line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life jacket part is accommodated in the vest receiving part, the trigger operating pin is penetrated by a user's manipulation so that the trigger operating pin protrudes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uch part.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구명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는 파우치부에 구명조끼부를 임의로 접어 수용하고, 위급 상황시 파우치부에서 꺼내 사용자에 착용되는 구명조끼부가 인플레이터부의 작동으로 자동으로 팽창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상이나 강에서의 재난사고에 대비하여 착용자의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 portable emergency life-sav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a life-saving device is configured such that a life-saving device part is arbitrarily folded and accommodated in a pouch part worn on a user's body, and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life-saving device part taken out from the pouch part and worn on the user is automatically inflated by the operation of an inflator part, thereby having the effect of safely protecting the wearer's body in case of a disaster accident at sea or on a river.
아울러, 파우치부의 저면 일측에 트리거작동핀이 관통되어 파우치부의 외주면 측으로 돌출 배치되도록 통공된 작동핀관통공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명조끼부를 착용할 때 상기 트리거작동핀이 작동핀관통공에 걸려 인플레이터부의 격발 신호가 별도의 조작없이도 생성되어 구명조끼의 신속한 가스 공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including an actuation pin through-hole formed through the bottom side of the pouch portion so that a trigger actuation pin penetrates and protrudes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pouch portion, when the user wears the life jacket portion, the trigger actuation pin is caught in the actuation pin through-hole, and a trigger signal of the inflator portion is generated without separate operation, thereby enabling rapid gas supply to the life jacke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구명 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구명 장치의 파우치부에 수용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구명 장치의 구명조끼부 및 사용자단말이 파우치부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구명 장치가 사용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인플레이터부에 격발신호가 발생하여 조끼본체에 가스가 주입되어 팽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구명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portable emergency rescu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accommodated in a pouch portion of a portable emergency rescu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fe jacket portion and a user terminal of a portable emergency life-sa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are accommodated in a pouch portion.
FIG.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emergency rescu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is equipped to a user.
FIG.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igger signal is generated in the inflator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and gas is injected into the vest body and expanded.
Figure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age status of a portable emergency rescu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al effects of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examin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For reference, in the drawings below, each component is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reflect the actual size.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 numerals for the same configuration in individual drawings are omitted.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구명 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구명 장치가 사용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구명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portable emergency rescu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FIG.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emergency rescu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is mounted on a user, and FIG.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emergency rescu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is used.
개시된 내용은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는 파우치부(200)에 구명조끼부(100)를 임의로 접어 수용하고, 위급 상황시 파우치부(200)에서 꺼내 착용되는 상기 구명조끼부(100)가 인플레이터부(120)의 작동으로 자동으로 팽창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상이나 강에서의 재난사고에 대비하여 착용자의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 1,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명조끼부(100), 파우치부(200) 및 연결끈(3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closed content is configured to arbitrarily fold and accommodate a life jacket part (100) in a pouch part (200) worn on the user's body, and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life jacket part (100) taken out from the pouch part (200) and worn is automatically infla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flator part (120), thereby safely protecting the wearer's body in preparation for a disaster accident at sea or on a river, and may include a life jacket part (100), a pouch part (200), and a connecting strap (300) as illustrated in FIGS. 1, 4, and 6.
상기 구명조끼부(100)는 가스를 주입하면 팽창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몸에 착용되는 구명 조끼의 구성이다.The above life jacket part (100) is configured to expand when gas is injected, and is a configuration of a life jacket worn on the user's body.
구체적으로, 상기 구명조끼부(100)는 평상시에는 가스가 주입되지 않아 팽창되지 않은 상태로 구성되어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고, 상기 파우치부(200)에 수용된 상태로 사용자의 몸에 착용되어 휴대되도록 구성되며, 위급상황 시에는 가스가 주입되어 팽창됨으로써, 부력이 생성되어 사용자가 수중에서 안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life jacket part (100) is configured to be in an uninflated state with no gas injected in normal times, making it convenient to carry and store, and is configured to be carried by being worn on the user's body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pouch part (200). In an emergency, gas is injected and the life jacket part (100) is expanded, thereby generating buoyancy and allowing the user to maintain a safe state underwater.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명조끼부(100)는 사용자의 어깨에 견착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필요시 내부에 구비된 가스 팽창 공간이 팽창하여 사용자에게 부력을 제공함으로써, 일예로 해안가에서 해수욕을 즐기고 있을 때 갑작스럽게 발생한 이안류 등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life jacket part (100) is designed to be worn on the user's shoulder and used so that, when necessary, the gas expansion space provided inside expands to provide buoyancy to the user,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such as those caused by rip currents that suddenly occur when enjoying a swim at a beach, to the greatest extent possible.
즉, 갑작스럽게 이안류 또는 거친 파도가 몰려올 때 사용자가 순식간에 파도에 휩쓸여서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자의 신속하면서도 간단한 푸시 동작을 통해 가스 팽창 공간을 팽창시키도록 이루어져, 사용자의 인명을 효율적으로 구조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hen a rip current or rough waves suddenly come in, the gas expansion space is expanded through the user's quick and simple push action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swept away by the waves in an instant and causing a safety accident, thereby efficiently rescuing the user's life.
따라서, 상기 구명조끼부(100)는 조끼본체(110), 인플레이터부(120), 발열팩(130), LED발광부재(140) 및 공기주입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fe jacket part (100) may include a jacket body (110), an inflator part (120), a heating pack (130), an LED light-emitting member (140), and an air injector (150).
상기 조끼본체(110)는 내부에 가스 팽창 공간이 형성된 구명조끼의 구성이다.The above-mentioned vest body (110) is configured as a life vest with a gas expansion space formed inside.
구체적으로, 상기 조끼본체(110)는 일반적인 구명조끼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피과 외피 사이에 가스 팽창 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인플레이터부(120)로 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팽창되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vest body (1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ypical life jacket, and a gas expansion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kins to supply gas from the inflator part (120) and inflate.
따라서, 상기 조끼본체(110)는 내부에 구성된 가스 팽창 공간에 가스가 공급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부력을 제공하여 착용자가 물 위에 뜰 수 있게 한다.Accordingly, the vest body (110) provides buoyancy to the user by supplying gas to the gas expansion space configured inside, thereby allowing the wearer to float on the water.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인플레이터부에 격발신호가 발생하여 조끼본체에 가스가 주입되어 팽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FIG.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igger signal is generated in the inflator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and gas is injected into the vest body and expanded.
개시된 내용에 따른 상기 인플레이터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끼본체(110)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고, 격발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가스 팽창 공간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구성이다.The inflator part (120) according to the disclosed conten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of the vest body (110) as shown in FIG. 5, and is configured to supply gas to the gas expansion space when a trigger signal is generated.
또한, 상기 인플레이터부(120)는 가스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 수단이 구비된 인플레이터(121), 상기 배출 수단의 작동을 개시하는 트리거작동핀(122), 상기 트리거작동핀(122)에 연결되는 작동줄(123) 및 상기 인플레이터(121)에 공급되는 가스가 수용되는 가스실린더(124)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nflator part (120) includes an inflator (121) equipped with a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gas, a trigger operating pin (122) for initiat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means, an operating line (123) connected to the trigger operating pin (122), and a gas cylinder (124) for receiving gas supplied to the inflator (121).
상기 트리거작동핀(122)은 배출 수단의 작동을 개시하는 것으로, 펀칭 부위(미도시)의 일부를 파손시켜 기체가 배출되도록 한다.The above trigger operating pin (122) initiates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means, thereby destroying a portion of the punching portion (not shown) to allow gas to be discharged.
또한, 상기 트리거작동핀(122)은 상기 작동줄(123)과 연결되어 작동줄(123)에 의해 상기 배출수단으로 외력이 작용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rigger operating pin (122)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line (123) so that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ischarge means by the operating line (123).
또한, 개시된 내용에 따른 트리거작동핀(122)은 구명조끼부(100)가 상기 파우치부(200) 내에 수용될 때 파우치부(200)에 통공된 후술할 작동핀관통공(210)을 관통하여 파우치부(200)의 외주면 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된다.In addition, the trigger operating pin (122) according to the disclosed content is positioned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uch part (200) by penetrating the operating pin penetration hole (210) that is formed in the pouch part (200) when the life jacket part (100) is accommodated in the pouch part (200).
이렇게 파우치부(200)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트리거작동핀(122)은 사용자가 상기 구명조끼부(100)를 착용할 때 작동핀관통공(210)에 걸려 인플레이터부(120)에 외력을 작용함으로써, 상기 인플레이터(121)에 격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The trigger operating pin (122)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ouch portion (200) is caught in the operating pin penetration hole (210) when the user wears the life jacket portion (100) and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inflator portion (120), thereby generating a triggering signal to the inflator (121).
따라서, 상기 트리거작동핀(122)은 사용자가 구명조끼부(100)를 착용할 때 상기 트리거작동핀(122)이 작동핀관통공(210)에 걸려 인플레이터부(120)의 격발 신호가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없이도 작동줄(123)의 장력에 의해 생성되어, 조끼본체(110)에 신속하게 가스가 공급되어 위급 상황에서의 빠른 대처가 가능한 효과를 갖도록 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wears the life jacket part (100), the trigger operating pin (122) is caught in the operating pin penetration hole (210), and the triggering signal of the inflator part (120) is generated by the tension of the operating line (123)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by the user, so that gas is quickly supplied to the vest body (110), enabling a quick response in an emergency situation.
상기 가스실린더(124)는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와 같은 압축기체가 저장 가능한 다양한 용량을 가지는 압축 기체 보관을 위한 카트리지가 될 수 있다.The above gas cylinder (124) can be a cartridge for storing compressed gas having various capacities capable of storing compressed gas such as carbon dioxide, for example.
또한, 상기 가스실린더(124)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가스실린더(124)의 앞쪽에 펀칭 부위(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펀칭 부위(미도시)의 앞쪽에 밀봉 면 또는 펀칭 면이 형성될 수 있다. 펀칭 면이 예를 들어 타정 핀과 같은 펀칭 수단에 의하여 펀칭이 되면서 배출 홀이 형성되어 압축 기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스실린더(124)에 압축 기체가 수용될 수 있고, 가스실린더(124)는 카트리지 또는 봄베(bombe)와 유사한 구조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gas cylinder (124) may have a punching portion (not shown) formed in the front of the gas cylinder (124), and a sealing surface or a punching surface may be formed in the front of the punching portion (not shown). When the punching surface is punched by a punching means such as a stamping pin, a discharge hole is formed so that the compressed ga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is way, the compressed gas can be accommodated in the gas cylinder (124), and the gas cylinder (124) may have a structure similar to a cartridge or a bombe.
또한, 개시된 내용에 따른 상기한 기체는 이산화탄소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g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isclosed content may be carbon dioxide.
또한, 개시된 내용에 따른 상기한 기체는 이산화탄소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 다른 공지의 가스일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g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may be another known gas having the same effect as carbon dioxide.
상기 발열팩(130)은 상기 조끼본체(110)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구성이다.The above heating pack (130)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side of the vest body (110)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power and generate heat.
따라서, 상기 발열팩(130)은 상기 파우치부(200)에 내장되는 후술할 배터리(240)에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heating pack (130) can be he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 battery (240) built into the pouch portion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LED발광부재(140)는 상기 조끼본체(110)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구성이다.The above LED light-emitting member (14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st body (110) and is configured to emit light when supplied with power.
구체적으로, 상기 LED발광부재(140)는 전원 공급 시 빛이 조사되어, 구조 대원이 조난자를 용이하게 발견하여 구조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LED light-emitting member (140) emits light when power is supplied, allowing rescue workers to easily find and rescue victims.
상기 공기주입기(150)는 상기 조끼본체(110)의 전면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가스 팽창 공간으로 공기를 강제 공급시키는 구성이다.The above air injector (15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st body (110) and is configured to forcibly supply air into the gas expansion space.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주입기(150)는 조끼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된 가스 팽창 공간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인플레이터부(120)에서 공급된 가스가 일정 시간이 지나 조끼본체(110)에서 외부로 빠져 나가 가스 팽창 공간의 가스량이 줄어들 경우 착용자가 입으로 불어서 조끼본체(110)에 공기를 충전시키는 구성이다.Specifically, the air injector (150) is configured to supply gas to a gas expansion space provided inside the vest body (110), and when the gas supplied from the inflator part (120) escapes from the vest body (110) to the outsid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gas in the gas expansion space, the wearer blows air with his/her mouth to fill the vest body (110).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구명 장치의 파우치부에 수용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구명 장치의 구명조끼부 및 사용자단말이 파우치부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accommodated in a pouch portion of a portable emergency life-sa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and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fe jacket portion and a user terminal of a portable emergency life-sa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are accommodated in a pouch portion.
개시된 내용에 따른 상기 파우치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 또는 허리에 착용 가능한 착용 끈이 구비되고, 폴딩된 상기 구명조끼부(100)가 수용되는 가방의 구성이다.The pouch part (2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content is configured as a bag that is provided with a wearable strap that can be worn on the shoulder or waist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in which the folded life jacket part (100) is accommodated.
구체적으로, 상기 파우치부(200)는 상기 구명조끼부(100)를 접어 보관 및 휴대하는 가방의 구성으로, 착용끈(25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몸에 차고 다닐 수 있으며, 위급상황시 내부에 보관된 구명조끼부(100)를 꺼내 인플레이터(121)에 격발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몸에 착용하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pouch part (200) is configured as a bag for storing and carrying the life jacket part (100) by folding it, and is provided with a wearing strap (250) so that the user can wear it on the body, and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life jacket part (100) stored inside is taken out and a trigger signal is generated for the inflator (121) so that the user can wear it on the body.
따라서, 상기 파우치부(200)는 상기 구명조끼부(100)를 수용하는 조끼수용부 (220) 및 상기 파우치부(200)의 전면에 부착되고, 내부에 사용자단말기(10)를 수용하며 방수 기능을 갖는 단말기수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ouch portion (200) may include a vest receiving portion (220) that receives the life jacket portion (100) and a terminal receiving portion (230) that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pouch portion (200) and receives a user terminal (10) therein and has a waterproof function.
즉, 상기 파우치부(200)는 조끼수용부(220)에서 조끼본체(110)를 접어 보관하고, 전면에 사용자의 휴대폰이나 사용자단말기(10)를 보관할 수 있는 방수 기능을 갖는 단말기수용부(230)를 포함한다.That is, the pouch part (200) folds and stores the vest body (110) in the vest storage part (220) and includes a terminal storage part (230) with a waterproof function that can store the user's mobile phone or user terminal (10) on the front.
상기 단말기수용부(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기 즉, 휴대폰등을 보관하여, 물에 빠진 사용자가 긴급하게 사용자단말기(10)를 꺼내 수중에서도 사용자단말기(10)로 구조 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한다.The terminal receiving unit (230) as shown in Fig. 6 stores the user's terminal, i.e., a mobile phone, etc., so that a user who has fallen into water can urgently take out the user terminal (10) and request rescue using the user terminal (10) even underwater.
따라서, 상기 단말기수용부(230)는 사용자단말기(10)에 수분이 침투되지 않도록 방수처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the terminal receiving portion (230) is configured to be waterproofed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user terminal (10).
또한, 상기 파우치부(200)는 상기 파우치부(200)의 저면 일측에 작동핀관통공(210)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ouch portion (200) may include an operating pin penetration hole (210)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ouch portion (200).
상기 작동핀관통공(210)은 상기 트리거작동핀(122)이 관통되어 상기 파우치부(200)의 외주면 측으로 돌출 배치되도록 통공된 구성이다.The above-mentioned operating pin penetration hole (210) is configured to allow the trigger operating pin (122) to penetrate through and protrude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pouch portion (200).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핀관통공(210)은 상기 조끼수용부(220) 내에 보관된 구명조끼부(100)의 트리거작동핀(122)이 파우치부(200)의 외주면 측으로 관통 배치되도록 통공된 구성으로, 일정한 부피를 갖는 트리거작동핀(122)이 관통되고, 관통된 상태로 파우치부(200) 외주면 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above-mentioned operating pin penetration hole (210) is configured to allow the trigger operating pin (122) of the life vest part (100) stored in the vest receiving part (220) to penetrate and be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uch part (200), and is configured to allow the trigger operating pin (122) having a certain volume to penetrate and be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uch part (200) in a penetrated state.
또한, 상기 작동핀관통공(210)은 외력에 의해 상기 트리거작동핀(122)이 관통되면서도 별도의 사용자 조작이 없을 경우에는 관통 배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중심공(211) 및 절개선(212)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operating pin penetration hole (210) may be configured with a center hole (211) and a cut line (212) so that the trigger operating pin (122) can be penetrated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penetration arrangement can be maintained without a separate user oper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핀관통공(210)은 상기 작동줄(123)은 통과되고 상기 트리거작동핀(122)은 걸려지는 직경을 갖도록 통공된 중심공(211) 및 상기 중심공(21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일정 길이로 절단된 다수개의 절개선(2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operating pin penetration hole (2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central hole (211) that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through which the operating line (123) passes and the trigger operating pin (122) is caught, and a plurality of cutting lines (212) that are arranged radially around the central hole (211) and cut to a certain length.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구명조끼부(100)를 착용할 때 상기 트리거작동핀(122)이 작동핀관통공(210)에 걸려 인플레이터부(120)의 격발 신호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wears the life jacket part (100), the trigger operating pin (122) is caught in the operating pin penetration hole (210) so that a triggering signal of the inflator part (120) can be generated.
즉, 상기 절개선(212)은 상기 구명조끼부(100)를 상기 조끼수용부(220)에 수용할 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트리거작동핀(122)을 관통시켜 상기 트리거작동핀(122)이 상기 파우치부(200)의 외주면 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별도의 사용자 조작이 없을 경우에는 트리거작동핀(122)이 통과되지 않고 파우치부(200)의 외주면 측에 걸려 배치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above-mentioned cutting line (212) is configured so that when the life vest part (100) is accommodated in the vest receiving part (220), the trigger operating pin (122) is passed through by the user's manipulation so that the trigger operating pin (122) can protrude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uch part (200), and in the absence of a separate user manipulation, the trigger operating pin (122) is fixed in a state where it is caught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uch part (200) without passing through.
따라서, 개시된 내용에 따른 상기 작동핀관통공(210)은 사용자가 구명조끼부(100)를 착용할 때 상기 트리거작동핀(122)이 작동핀관통공(210)에 걸려 인플레이터부(120)의 격발 신호가 별도의 조작없이도 생성되어 구명조끼의 신속한 가스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operating pin penetration hole (210) according to the disclosed content has the effect of enabling rapid gas supply of the life jacket by generating a trigger signal of the inflator part (120) without separate manipulation when the user wears the life jacket part (100) by the above-described trigger operating pin (122) being caught in the operating pin penetration hole (210).
또한, 상기 파우치부(200)는 상기 조끼수용부(22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명조끼부(10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uch portion (200) may include a battery (240) provided inside the vest receiving portion (220) to supply power to the life jacket portion (100).
이 경우, 상기 배터리(240)는 구명조끼부(100)의 발열팩(130) 및 LED발광부재(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한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battery (2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ing pack (130) and LED light-emitting member (140) of the life jacket part (100), thereby supplying power to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또한, 상기 배터리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방수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attery may include a waterproof function, although this is not shown.
상기 연결끈(300)은 상기 구명조끼부(100)와 상기 파우치부(200)를 연결하는 끈의 구성이다.The above connecting string (300) is configured as a string connecting the life jacket part (100) and the pouch part (200).
또한, 상기 연결끈(300)은 사용자의 몸에 착용된 파우치부(200)와 사용자가 입게 되는 구명조끼부(100)를 끈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착용자가 물 위에 뜬 상태에서 구명조끼부(100)를 파우치부(200)에 견고하게 고정 및 연결시켜 구명조끼부(100)가 착용자의 몸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string (300) connects the pouch part (200) worn on the user's body and the life jacket part (100) worn by the user with a string, thereby firmly fixing and connecting the life jacket part (100) to the pouch part (200) while the wearer is floating on the water, thereby ensuring that the life jacket part (100) is fixed without being detached from the wearer's body.
즉, 상기 연결끈(300)은 구명조끼가 사용자의 몸에 연결되도록 구비된 일반적인 구명조끼에 구비된 끈의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That is, 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string (300) serves the role of a string provided in a general life jacket that allows the life jacket to be connected to the user's body.
따라서, 상기 연결끈(300)은 사용자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 부재를 구비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for 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string (300) to have a length-adjusting member that can adjust the length according to the user.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구명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는 파우치부에 구명조끼부를 임의로 접어 수용하고, 위급 상황시 파우치부에서 꺼내 사용자에 착용되는 구명조끼부가 인플레이터부의 작동으로 자동으로 팽창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상이나 강에서의 재난사고에 대비하여 착용자의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 portable emergency life-sav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a life-saving device is configured such that a life-saving device part is arbitrarily folded and accommodated in a pouch part worn on a user's body, and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life-saving device part taken out from the pouch part and worn on the user is automatically inflated by the operation of an inflator part, thereby having the effect of safely protecting the wearer's body in case of a disaster accident at sea or on a river.
또한, 파우치부의 저면 일측에 트리거작동핀이 관통되어 파우치부의 외주면 측으로 돌출 배치되도록 통공된 작동핀관통공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명조끼부를 착용할 때 상기 트리거작동핀이 작동핀관통공에 걸려 인플레이터부의 격발 신호가 별도의 조작없이도 생성되어 구명조끼의 신속한 가스 공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including an actuation pin through-hole formed through the bottom side of the pouch portion so that a trigger actuation pin penetrates and protrudes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pouch portion, when the user wears the life jacket portion, the trigger actuation pin is caught in the actuation pin through-hole, and a trigger signal of the inflator portion is generated without separate operation, thereby enabling rapid gas supply to the life jacke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ed example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휴대용 비상 구명 장치
10 : 사용자단말기 100 : 구명조끼부
110 : 조끼본체 120 : 인플레이터부
121 : 인플레이터 122 : 트리거작동핀
123 : 작동줄 124 : 가스실린더
130 : 발열팩 140 : LED발광부재
150 : 공기주입기 200 : 파우치부
210 : 작동핀관통공 211 : 중심공
212 : 절개선 220 : 조끼수용부
230 : 단말기수용부 240 : 배터리
250 : 착용끈 300 : 연결끈1: Portable emergency rescue device
10: User terminal 100: Life jacket section
110: Vest body 120: Inflator part
121: Inflator 122: Trigger operating pin
123: Operating line 124: Gas cylinder
130: Heating pack 140: LED light emitting element
150 : Air injector 200 : Pouch part
210: Operating pin through hole 211: Center hole
212: Incision line 220: Vest receiving area
230: Terminal receiving section 240: Battery
250 : Wearing strap 300 : Connecting strap
Claims (8)
어깨 또는 허리에 착용 가능한 착용 끈이 구비되고, 폴딩된 상기 구명조끼부가 수용되는 파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명조끼부는,
내부에 가스 팽창 공간이 형성된 조끼본체;
상기 조끼본체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고, 격발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가스 팽창 공간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부;
상기 조끼본체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발열팩;
상기 조끼본체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LED발광부재; 및
상기 조끼본체의 전면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가스 팽창 공간으로 공기를 강제 공급시키는 공기주입기를 포함하며,
상기 인플레이터부는,
가스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 수단이 구비된 인플레이터;
상기 배출 수단의 작동을 개시하는 트리거작동핀;
상기 트리거작동핀에 연결되는 작동줄; 및
상기 인플레이터에 공급되는 가스가 수용되는 가스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부는,
상기 파우치부의 저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트리거작동핀이 관통되어 상기 파우치부의 외주면 측으로 돌출 배치되도록 통공된 작동핀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핀관통공은,
상기 작동줄은 통과되고 상기 트리거작동핀은 걸려지는 직경을 갖도록 통공된 중심공; 및
상기 중심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일정 길이로 절단된 다수개의 절개선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구명조끼부를 착용할 때 상기 트리거작동핀이 작동핀관통공에 걸려 인플레이터부의 격발 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파우치부는,
상기 구명조끼부를 수용하는 조끼수용부; 및
상기 파우치부의 전면에 부착되고, 내부에 사용자단말기를 수용하며 방수 기능을 갖는 단말기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 구명 장치.
A life jacket part that expands by injecting gas; and
It has a wearable strap that can be worn on the shoulder or waist, and includes a pouch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folded life jacket portion.
The above life jacket part,
A vest body with a gas expansion space formed inside;
An inflator sec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of the main body of the vest and supplying gas to the gas expansion space when a trigger signal is generated;
A heating pack that i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f the vest and generates heat by receiving power;
An LED light-emitting memb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vest and emitting light when supplied with power; and
An air injector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above-mentioned vest body and forcibly supplies air into the gas expansion space.
The above inflator part,
An inflator provided with a venting means to allow gas to escape;
A trigger operating pin that initiates operation of the above discharge means;
An operating line connected to the above trigger operating pin; and
A gas cylinder is included in which gas supplied to the above inflator is received,
The above pouch part,
It includes an operating pin penetration ho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above pouch portion and formed such that the trigger operating pin penetrates through it and protrudes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above pouch portion.
The above operating pin penetration hole is,
A central hole having a diameter through which the above operating line passes and through which the above trigger operating pin is caught;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cutting lines cut to a certain length and arranged radially around the center hole,
When the user wears the life jacket, the trigger pin is caught in the operating pin penetration hole, and a trigger signal from the inflator is generated.
The above pouch part,
A vest receiving section for receiving the above life jacket section; and
A portable emergency rescue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terminal receiving portion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pouch portion, receiving a user terminal therein, and having a waterproof function.
상기 파우치부는,
상기 조끼수용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명조끼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 구명 장치.
In paragraph 1,
The above pouch part,
A portable emergency life-saving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battery provided inside the vest receiving portion and supplying power to the life-saving vest portion.
상기 절개선은,
상기 구명조끼부를 상기 조끼수용부에 수용할 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트리거작동핀을 관통시켜 상기 트리거작동핀이 상기 파우치부의 외주면 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 구명 장치.In paragraph 1,
The above incision line is,
A portable emergency life-sa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life-saving vest part is accommodated in the vest receiving part, the trigger operating pin is penetrated by the user's operation so that the trigger operating pin protrudes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pouch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34533A KR102696470B1 (en) | 2023-10-10 | 2023-10-10 | A portable emergency lifesav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34533A KR102696470B1 (en) | 2023-10-10 | 2023-10-10 | A portable emergency lifesav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96470B1 true KR102696470B1 (en) | 2024-08-21 |
Family
ID=92546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34533A Active KR102696470B1 (en) | 2023-10-10 | 2023-10-10 | A portable emergency lifesav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96470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33076U (en) * | 1994-05-25 | 1995-12-16 | Life jacket | |
KR101182898B1 (en) | 2012-04-18 | 2012-09-13 | 김재홍 | The compact type life jacket |
KR20180015448A (en) * | 2016-08-03 | 2018-02-13 | 송창섭 | LED life jacket for position-tracking function of smart phone |
KR20180038772A (en) * | 2016-10-07 | 2018-04-17 | 정선진 | Rescue structure for marine distress structure and marine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it |
KR102159187B1 (en) | 2020-04-24 | 2020-09-23 | 원세호 | life jacket |
-
2023
- 2023-10-10 KR KR1020230134533A patent/KR10269647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33076U (en) * | 1994-05-25 | 1995-12-16 | Life jacket | |
KR101182898B1 (en) | 2012-04-18 | 2012-09-13 | 김재홍 | The compact type life jacket |
KR20180015448A (en) * | 2016-08-03 | 2018-02-13 | 송창섭 | LED life jacket for position-tracking function of smart phone |
KR20180038772A (en) * | 2016-10-07 | 2018-04-17 | 정선진 | Rescue structure for marine distress structure and marine distress rescue system using it |
KR102159187B1 (en) | 2020-04-24 | 2020-09-23 | 원세호 | life jacket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420yskkk/220776163959"(2016.08.01) *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82898B1 (en) | The compact type life jacket | |
US8920205B2 (en) | Personal floatation device | |
US20060270290A1 (en) | Lightweight personal rescue tube flotation device | |
US7128629B2 (en) | Throwable emergency response automatic inflatable personal flotation device | |
US7264525B2 (en) | Flotation device | |
KR100863845B1 (en) | A Personal Lifeboat | |
CA2805051A1 (en) | Manual/automatic inflatable water survival device | |
KR100938973B1 (en) | Personal life preserver | |
KR101919954B1 (en) | Compact life jacket with water sensinig sensor and timer | |
US7004807B1 (en) | Throwable emergency response automatic inflatable personal flotation device | |
CN102105195A (en) | An inflatable spherical hood for protection against drowning and submersion in avalanches | |
KR102696470B1 (en) | A portable emergency lifesaving device | |
US20050118906A1 (en) | Tactical flotation support system | |
KR20140007536A (en) | Life belt | |
CN206050019U (en) | A kind of lifesaving Abseiling device and life jacket, water survival gear | |
JP2002127986A (en) | Neck-worn expansion type life jacket | |
KR20170086920A (en) | Life jackets with inflated buryeokjae | |
KR102499772B1 (en) | body wearable buoyancy lifesaving device | |
CA2837229C (en) | Marker and recovery device | |
KR101702095B1 (en) | A Lifesaving Air Band | |
CA2720574C (en) | Electronic aquatic survival device | |
KR20200031835A (en) | Automatically expanding life vest | |
KR102640453B1 (en) | Portable Life Saving Bag | |
KR20190105397A (en) | A Life Jacket | |
KR200292609Y1 (en) | Life bel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0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10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2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813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813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