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5950B1 - 침투형 방수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침투형 방수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5950B1
KR102695950B1 KR1020220012710A KR20220012710A KR102695950B1 KR 102695950 B1 KR102695950 B1 KR 102695950B1 KR 1020220012710 A KR1020220012710 A KR 1020220012710A KR 20220012710 A KR20220012710 A KR 20220012710A KR 102695950 B1 KR102695950 B1 KR 102695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organic filler
hydrogen gas
weight
zirconium
aluminum pow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5803A (ko
Inventor
김철규
Original Assignee
김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규 filed Critical 김철규
Priority to KR1020220012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5950B1/ko
Publication of KR20230115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5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59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7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masses bonded by inorganic cements
    • C04B41/5089Silica sols, alkyl, ammonium or alkali metal silicate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8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11Polyalk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7Non-superficial impregnation or infiltration of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03Polysaccharides, e.g. 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1Metallising, e.g. infiltration of sintered ceramic preforms with molten metal
    • C04B41/515Other specific metals
    • C04B41/5155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6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artificial st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7Water resistance, i.e.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카리실리케이트, 계면활성제, 아크릴-에폭시 공중합체, 수소화 폴리터르펜, 무기계 충진제를 포함하되, 상기 무기계 충진제에는, 알루미늄 분말과 지르코늄이 중량비 8 : 2 내지 9 : 1로 혼합되는 혼합물이 포함되고, 페이스트의 팽창을 유도하는 상기 알루미늄 분말과 조기경화를 위해 첨가되는 상기 수소화 폴리터르펜이 첨가됨에 따른 수소가스 발생으로 표면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상기 지르코늄의 첨가에 의해 수소가스가 제거되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형 방수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침투형 방수제 조성물{Penetrating type waterproof composi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콘크리트의 표면에 도포됨으로써 내균열성, 방수성 등을 향상시키는 침투형 방수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건조수축과 균열수축 현상에 의한 균열이 발생되며, 이러한 균열로 방수성능이 필요한 구조물에 누수가 발생되게 된다. 또한 방수성능이 없는 콘크리트의 경우 콘크리트 내부에 물이 침투하여 동결융해가 발생되고 각종 자연환경과 인공적 작업에 의한 염해, 중성화, 화학적 침식 등 다양한 열화요인이 발생된다.
종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에폭시, 우레탄 방수 등 다양한 특허기술들이 개시되어 있으며,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04307호에서는 경질유 100 중량부, 실란계 커플링제 55 내지 65 중량부, 실리콘계 발수제 5 내지 10 중량부, 계면활성제 2 내지 4 중량부 및 물 25 내지 35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질유는 수소처리된 등유로 이루어지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노닐 페닐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노닐 페닐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노닐 페닐 에테르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노닐 페닐 에테르의 블록 코폴리머,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패티 에씨드에스터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형 콘크리트 방수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모체인 콘크리트와 열팽창계수가 달라 시공 후 장시간 경과되면 접착면의 부착강도가 저하되어 방수층이 파괴되는 단점 있으며, 균열을 회복하지 않는 이상 균열이 확장되어 결국 최종적인 방수 성능을 발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04307호
이에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방수성능 향상과 동시에 내균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수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침투형 방수제 조성물(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이라 함)은, 알카리실리케이트, 계면활성제, 아크릴-에폭시 공중합체, 수소화 폴리터르펜, 무기계 충진제를 포함하되, 상기 무기계 충진제에는, 알루미늄 분말과 지르코늄이 중량비 8 : 2 내지 9 : 1로 혼합되는 혼합물이 포함되고, 페이스트의 팽창을 유도하는 상기 알루미늄 분말과 조기경화를 위해 첨가되는 상기 수소화 폴리터르펜이 첨가됨에 따른 수소가스 발생으로 표면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상기 지르코늄의 첨가에 의해 수소가스가 제거되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라피노오스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표면에 도포됨에 의해 내부조직을 치밀화 함으로써 내구성, 강도 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은 물론 콘크리트 균열을 치유하여 방수성능 확보 및 균열의 추가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 예 및 실험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카리실리케이트, 계면활성제, 아크릴-에폭시 공중합체, 수소화 폴리터르펜, 무기계 충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표면에 2회 정도 도포를 하여 재령 28일 정도 경과되면 구조물의 표면에 방수층이 2 내지 4 cm 가량 만들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리카겔 수화생성물은 콘크리트 내부에서 경화되어 표면경도 저항성, 압축강도 및 휨 강도를 증가시키며, 아울러 영구 보호막으로서 방수층을 형성토록 하는 것이다.
방수성능 등을 위해 알카리실리케이트가 주제로 사용되는 바, 상기 알카리실리케이트는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나 예로 Na2O·SiO2, Li2O·SiO2가 적용됨이 타당하다.
이러한 알카리실리케이트는 콘트리트의 Ca(OH)2와 반응하여 고분자의 실리콘 망상구조(-(Si-O-Si)n-)를 형성하여 방수효과를 발현시키는 것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며, 예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가 적용될 수 있는 바, 상기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는 콘크리트 내부에 제품 침투력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디메치콘 코폴리올,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 실리콘 인산 에스테르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에폭시 공중합체는 페이스트 내부에 폴리머 필름을 형성하여 휨, 인장 및 부착강도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폴리머 필름막으로 인하여 내구성을 개선시킨다.
상기 수소화 폴리터르펜은 빠른 경화속도 및 압축강도 등의 물리적 특성을 개선시키는 기능이 발현되도록 한다.
상기 무기계충진제는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구조물의 미세균열에 충진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균열을 보강하는 기능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카리실리케이트 100중량부에 대해 계면활성제 1 내지 3중량부, 아크릴-에폭시 공중합체 1 내지 3중량부, 수소화 폴리터르펜 0.1 내지 1중량부, 무기계 충진제 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배합하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증점제가 첨가되어 균열부분에 상기 무기충진제 등이 침투되도록 하면서 부착력을 강화시키도록 하는 것이 타당한데, 이러한 증점제의 첨가에 의해 부착강도 등은 향상되나 충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가 증점제로 포함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하는데, 상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는 점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분산과정에서는 점성을 낮추어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균열부위 등에 무기충진제 등이 충분한 충진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분산 후 점성이 복원되도록 하여 충진후 균열부위에서 무기충진제에 부착강도를 증진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알카리실리케이트 100중량부에 대해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가0.01 내지 0.5중량부로 배합되도록 함이 타당하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수소화 폴리터르펜이 첨가되도록 하여 조기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수분증발에 따른 페이스트의 건조수축균열 등이 유발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라피노오스가 더 포함되는 예가 제시되는데, 라피노오스는 보습제로서 기능이 발현되도록 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건조수축 등에 의해 유발되는 균열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알카리실리케이트 100중량부에 대해 라피노오스가 0.01 내지 0.5중량부로 배합되도록 함이 타당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무기계 충진제에 알루미늄 분말과 지르코늄 분말 혼합물이 포함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알루미늄 분말은 Ca와 Na가 존재할 때 다음과 같은 반응에 의해서 수소가스를 발생하며, 발포되고 팽창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2Al + Ca(OH)2 + 2H2O → CaAl2O4 + 3H2
2Al + 2NaOH + 2H2O → 2NaAlO3 + 3H2
따라서 무기계 충진제에 알루미늄 분말이 포함됨에 의해 페이스트의 팽창을 유도하여 수축균열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알루미늄 분말만을 첨가하는 경우 상기 반응식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소가스가 발생되어 이러한 수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표면공극을 형성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표면공극은 균열발생 포인트로서 작용될 수 있고, 이러한 표면공극을 통해 탄산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조기경화를 위해 수소화 폴리터르펜이 첨가되도록 하는데 상기 수소화 폴리터르펜의 경우도 반응과정에서 수소가스를 발생시켜 상기와 같은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무기계 충진제에 지르코늄의 더 첨가에 의해 수소가스를 제거하여 수소가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토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알루미늄 분말 및 지르코늄은 중량비로 (8 : 2) 내지 (9 : 1)의 혼합비로 배합토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의 실험예를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 1은 알카리실리케이트 100중량부에 대해 계면활성제 3중량부, 아크릴-에폭시 공중합체 3중량부, 수소화 폴리터르펜 1중량부, 무기계 충진제로 알루미늄 분말 5중량부, 증점제로 검 0.1중량부를 배합된 시료이며,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증점제로 검 대신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가 0.1중량부가 배합된 시료이고, 실시예 3은 실시예 2와 동일하되 라피노오스 0.1중량부가 더 배합된 시료이며, 실시예 4는 실시예 3과 동일하되 지르코늄 분말 0.5중량부가 더 배합된 시료이다.
<투수성 실험>
내투수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KS F 4930에 의거 각 실시예들을 도포한 것을 14일간 표준상태에서 양생 후 투수시험장치를 사용하여 1 bar의 수압을 1시간 동안 가하여 내투수성을 평가하였다.
<내염화성능 실험>
내염화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KS F 4930의 의거 각 실시예들을 도포한 것을 14일간 표준상태에서 양생 후 5%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7일간 침지하여 침지 전ㆍ후의 질량변화를 통하여 내염화성능을 평가하였다.
구분 내투수성(투수량(g)) 내염화성(감소량(%))
실시예 1 6.17 0.246602
실시예 2 6.01 0.213301
실시예 3 5.03 0.193321
실시예 4 4.91 0.182221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투수성 및 내염화성면에서 실시예 1보다 실시예 2가 더 좋은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과 달리 증점제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가 첨가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는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첨가에 의해 무기계 충진제가 분산과정에서는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균열부위 등에 무기충진제의 충분한 충진이 이루어진 후에 점성이 발현되도록 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내투수성 및 내염화성면에서 실시예 2보다 실시예 3이 더 좋은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실시예 3에 라피노오스가 더 첨가되어 균열저항성이 향상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시예 4가 내투수성 및 내염화성면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도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무기계 충진제에 지르코늄이 더 첨가됨에 기인한 것으로, 실시예 3 등은 무기계 충진제로 알루미늄 분말만이 첨가되고, 또한 조기경화를 위해 수소화 폴리터르펜이 첨가됨에 따라 반응과정에서 수소가스가 발생되어 표면공극이 문제가 유발되는데, 실시예 4의 경우 발생되는 수소가스가 지르코늄에 의해 제거가 되어 표면공극의 문제가 해결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4)

  1. 알카리실리케이트, 계면활성제, 아크릴-에폭시 공중합체, 수소화 폴리터르펜, 무기계 충진제를 포함하되,
    상기 무기계 충진제에는,
    알루미늄 분말과 지르코늄이 중량비 8 : 2 내지 9 : 1로 혼합되는 혼합물이 포함되고, 페이스트의 팽창을 유도하는 상기 알루미늄 분말과 조기경화를 위해 첨가되는 상기 수소화 폴리터르펜이 첨가됨에 따른 수소가스 발생으로 표면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상기 지르코늄의 첨가에 의해 수소가스가 제거되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형 방수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형 방수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라피노오스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형 방수제 조성물.
  4. 삭제
KR1020220012710A 2022-01-27 2022-01-27 침투형 방수제 조성물 Active KR102695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710A KR102695950B1 (ko) 2022-01-27 2022-01-27 침투형 방수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710A KR102695950B1 (ko) 2022-01-27 2022-01-27 침투형 방수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803A KR20230115803A (ko) 2023-08-03
KR102695950B1 true KR102695950B1 (ko) 2024-08-16

Family

ID=8756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710A Active KR102695950B1 (ko) 2022-01-27 2022-01-27 침투형 방수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59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306B1 (ko) * 2016-02-04 2016-08-30 강병선 무기질 분말 도포 방수제
KR102093646B1 (ko) * 2019-11-22 2020-03-26 이병연 친환경 침투형 무기계 방수·방식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방식 시공 방법
KR102336116B1 (ko) * 2021-04-07 2021-12-07 최병우 콘크리트 외벽 무황변을 가진 고탄성 크랙 보수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632A (ko) * 2004-02-18 2004-04-01 김복일 에폭시 또는 아크릴 에폭시 시멘트 몰탈을 이용한 방수,방식 공법
WO2010013744A1 (ja) * 2008-07-31 2010-02-04 株式会社日本触媒 水硬性材料用収縮低減剤および水硬性材料用収縮低減剤組成物
KR101804307B1 (ko) 2015-11-11 2017-12-04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침투형 콘크리트 방수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306B1 (ko) * 2016-02-04 2016-08-30 강병선 무기질 분말 도포 방수제
KR102093646B1 (ko) * 2019-11-22 2020-03-26 이병연 친환경 침투형 무기계 방수·방식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방식 시공 방법
KR102336116B1 (ko) * 2021-04-07 2021-12-07 최병우 콘크리트 외벽 무황변을 가진 고탄성 크랙 보수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803A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57726B (zh) 一种高渗透性多效混凝土防水剂及其制备方法
TW515823B (en) Emulsions of organosilicon compounds for imparting water repellency to building materials
JP7243982B2 (ja) コンクリート補修剤
CA1162204A (en) Process for preparing structural components
KR102248278B1 (ko) 철 및 콘크리트 구조물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75490B1 (ko) 시멘트 혼합물용 이온 고정화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단면보수용 이온 고정화형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그리고 그 모르타르 조성물을 활용한 고내구성 콘크리트 단면보수 공법
CN101580356B (zh) 水乳型有机硅防水剂
KR100643524B1 (ko) 단면복구용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복구방법
CN107445561A (zh) 聚合物防腐蚀砂浆及其使用方法
KR20120086770A (ko) 발수성과 비동결성을 지닌 수성 알칼리규산염계 콘크리트 표면강화제, 상기 콘크리트 표면강화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강화공법
KR20200069824A (ko) 콘크리트 균열 보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 보수 방법
KR100916306B1 (ko) 수용성 합성고무 라텍스 개질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공법
KR101586416B1 (ko) 자기치유 특성을 갖는 고성능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공법
KR102177102B1 (ko) 콘크리트 균열 보수용 코팅제 조성물
KR102695950B1 (ko) 침투형 방수제 조성물
KR100526418B1 (ko) 콘크리트 무기보수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처리 방법
KR10155623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2337977B1 (ko) 지반차수 및 보강용 그라우팅 약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EP0398356B1 (en) Method of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a hardened cement-based mass
KR101586488B1 (ko) 수용성 팽창 및 급결 성능을 가지는 무기계 지수제 조성물
KR10136873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침투형 코팅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43875B1 (ko) 콘크리트 씰러
KR20220148912A (ko) 시멘트 조성물 및 그의 경화물
KR101804307B1 (ko) 침투형 콘크리트 방수제
KR102035523B1 (ko) 균열 치유형 방수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