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5218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5218B1
KR102695218B1 KR1020160143757A KR20160143757A KR102695218B1 KR 102695218 B1 KR102695218 B1 KR 102695218B1 KR 1020160143757 A KR1020160143757 A KR 1020160143757A KR 20160143757 A KR20160143757 A KR 20160143757A KR 102695218 B1 KR102695218 B1 KR 102695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substrate
layer
crystal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549A (ko
Inventor
박세홍
김도연
이태림
박종신
황이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3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5218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5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521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22Colour filters incorporated i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1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common or backgroun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3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pix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는 제1 및 제2기판과,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과, 제1 및 제2기판 외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편광판과, 제1기판 내면에 배치되고, 제1편광판의 투과축과 동일한 투과축을 갖는 편광층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백라이트유닛에 가까운 기판 내면에 편광층을 배치함으로써, 응력에 의한 가장자리영역의 빛샘이 감소되어 대조비 및 영상의 표시품질이 개선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 내면에 편광층을 형성함으로써, 응력에 의한 가장자리영역의 빛샘이 최소화 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사회로 시대가 급진전함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분야가 발전하고 있는데, 박형화, 경량화, 저 소비전력화 등의 시대상에 부응하기 위해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색 재현성이 우수하고 박형인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LCD)가 개발되었는데, 액정표시장치는 액정분자의 광학적 이방성과 분극성질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10)는,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는 제1 및 제2기판(20, 50)과, 제1 및 제2기판(20, 50)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70)과, 제1기판(60) 하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유닛(60)을 포함한다.
제1기판(20) 내면의 각 화소영역(P)에는 공통배선(22)이 형성되고, 공통배선(22) 상부에는 게이트절연층(24)이 형성된다.
게이트절연층(24) 상부의 화소영역(P) 경계에는 반도체물질의 하부층(26)과 금속물질의 상부층(28)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배선이 형성되고, 데이터배선 상부에는 보호층(30)이 형성된다.
보호층(30) 상부의 각 화소영역(P)에는 컬러필터층(32)이 형성되고, 컬러필터층(32) 상부에는 평탄화층(34)이 형성된다.
평탄화층(34) 상부의 화소영역(P) 및 화소영역(P)의 경계에는 공통전극(36)이 형성되고, 평탄화층(34) 상부의 화소영역(P)에는 공통전극(36)과 이격되는 화소전극(38)이 형성된다.
제2기판(50) 내면에는 컬럼스페이서(52)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기판(20, 50) 외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편광판(60, 6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기판(20, 50) 사이에는 액정층(70)이 형성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10)는, 공통전극(36) 및 화소전극(38) 사이에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하여 액정층(70)의 위상지연(retardation)을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하는데, 제1편광판(60)을 통과한 빛이 액정층(70)을 통과하면서 액정층(70)의 위상지연에 따라 상이한 편광상태를 갖게 되고 제2편광판(62)을 통과하거나 제2편광판(62)에 흡수되어 계조를 표시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기판(20, 50)은 약 2nm ~ 약 10nm의 위상지연을 갖지만, 광축을 갖지 않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110)가 영상을 표시하는 동안 광학적으로 역할을 하지 않는다.
그런데, 제1 및 제2기판(20, 50)에 응력(stress)이 가해질 경우 제1 및 제2기판(20, 50)은 원하지 않는 위상지연의 변화량을 갖게 되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응력의 변화량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10)는,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는 제1 및 제2기판(20, 50)과, 제1 및 제2기판(20, 50)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70)을 포함하는데, 제1 및 제2기판(20, 50)은 가장자리부의 씰패턴(72)에 의하여 합착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10)의 중앙영역(A1)에 상부에서 하부로 외압이 가해지면, 제1 및 제2기판(20, 50)은 위로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휘어지게 되는데, 제1기판(20)의 외면과 제2기판(50)의 내면에는 인장응력(tensile stress)이 인가되고, 제1기판(20)의 내면과 제2기판(50)의 외면에는 압축응력(compressive stress)이 인가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 씰패턴(72)에 의하여 제1 및 제2기판(20, 50)의 내면 가장자리부가 고정되므로, 액정표시장치(10)의 중앙영역(A1)에서는 제1 및 제2기판(20, 50)의 내면 및 외면의 인장응력 및 압축응력의 크기는 동일한 반면, 액정표시장치(10)의 가장자리영역(A2)에서는 제1기판(20)의 외면의 인장응력의 크기는 제1기판(20)의 내면의 압축응력의 크기보다 크고 제2기판(50)의 외면의 압축응력의 크기는 제2기판(50)의 내면의 인장응력의 크기보다 크다.
즉, 액정표시장치(10)의 중앙영역(A1)으로부터 가장자리영역(A2)으로 갈수록, 제1 및 제2기판(20, 50)의 제1 및 제2중심선(C1, C2)은 각각 제1 및 제2기판(20, 50)의 내면에 가까워지는 형태를 가지며, 인장응력 및 압축응력은 제1 및 제2기판(20, 50)의 외면에 크게 인가된다.
제1 및 제2기판(20, 50) 각각의 위상지연은 광탄성계수, 두께 및 응력의 곱으로 결정되므로, 정상상태에서 제1 및 제2기판(20, 50) 각각은 광축을 갖지 않고 약 2nm ~ 약 10nm의 위상지연을 갖고, 인장응력 및 압축응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기판(20, 50) 각각은 광축을 갖고 약 2nm ~ 약 10nm보다 큰 위상지연을 갖는다.
즉, 액정표시장치(10)의 중앙영역(A1)에서는, 제1 및 제2기판(20, 50) 각각의 내면 및 외면의 동일한 크기와 상이한 방향의 인장응력 및 압축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이 서로 상쇄되어 제1 및 제2기판(20, 50) 각각의 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의 변화량이 실질적으로 0이 된다.
반면에, 액정표시장치(10)의 가장자리영역(A2)에서는, 내면의 압축응력보다 큰 외면의 인장응력에 의하여 제1기판(20)의 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의 변화량은 0보다 큰 값이 되고, 내면의 인장응력보다 큰 외면의 압축응력에 의하여 제2기판(50)의 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의 변화량은 0보다 큰 값이 된다. ("+, -"는 각각 인장응력 및 압축응력의 방향을 표시함)
이와 같은 제1 및 제2기판(20, 50)의 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의 변화량과 이에 따른 총 위상지연의 증가는 액정표시장치(10)의 가장자리영역(A2)에서의 빛샘의 원인이 되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가장자리영역의 단면과 다면의 다수의 위치에서의 위상지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기판(20, 50)의 가장자리영역(도 2의 A2)에서, 제1기판(20)의 외면 및 내면에는 각각 인장응력 및 압축응력이 인가되고, 제2기판(50)의 내면 및 외면에는 각각 인장응력 및 압축응력이 인가된 경우, 제1 및 제2기판(20, 50)이 0보다 큰 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의 변화량을 갖게 되어 제1 및 제2기판(20, 50)의 총 위상지연이 증가하며, 제1기판(20) 하부의 백라이트유닛(도 1의 80)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은 제1 및 제2편광판(60, 62), 제1 및 제2기판(20, 50), 액정층(70)을 통과하면서 편광상태가 변하게 된다.
즉, 입사광은, 제1편광판(60)을 통과한 후 제1기판(20)의 외면에 대응되는 제1위치(P1)에서 푸앵카레 구(Poincare sphere)의 적도 A지점에 대응되는 선편광 상태가 되고, 제1기판(20)을 통과한 후 제1기판(20)의 내면에 대응되는 제2위치(P2)에서 제1기판(20)의 총 위상지연에 의하여 푸앵카레 구의 상반구의 제1지점에 대응되는 타원편광 상태가 된다.
그리고, 액정층(70)을 통과한 후 제2기판(50)의 내면에 대응되는 제3위치(P3)에서 액정층(70)의 위상지연에 의하여 푸앵카레 구의 하반구의 제1지점에 대응되는 타원편광 상태가 되고, 제2기판(50)을 통과한 후 제2기판(50)의 외면에 대응되는 제4위치(P4)에서 제2기판(50)의 총 위상지연에 의하여 푸앵카레 구의 하반구의 제2지점에 대응되는 타원편광 상태가 되는데, 제2지점은 제1지점보다 적도의 A지점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지점이다.
이때, 제1 및 제2편광판(60, 62)이 각각 푸앵카레 구의 적도의 A지점 및 B지점에 대응되는 서로 수직한 투과축을 가지므로, 제2편광판(62)의 흡수축은 푸앵카레 구의 적도의 A지점에 대응된다.
따라서, 제2기판(50)을 통과한 빛은, 푸앵카레 구의 적도의 A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하반구의 제2지점에 대응되는 타원편광 상태를 가지므로, 제2편광판(62)에 완전히 흡수되지 못하고 액정표시장치(10)의 가장자리영역(A2)에서의 빛샘으로 나타난다.
도 4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중앙영역 및 가장자리영역의 휘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10)에 무거운 봉(F)을 놓아 외압을 가할 경우, 씰패턴(도 2의 72)으로부터 먼 중앙영역(A1)에서는 제1 및 제2기판(20, 50)의 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의 변화량이 0이 되고 총 위상지연이 증가하지 않아서 빛샘이 발생하지 않으나, 씰패턴(72)에 가까운 가장자리영역(A2)에서는 제1 및 제2기판(도 1의 20, 50)의 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의 변화량이 0보다 크게 되어 총 위상지연이 증가해서 빛샘이 발생하고, 그 결과 중앙영역(A1) 및 가장자리영역(A2)이 상이한 휘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외압을 가하지 않은 경우, 블랙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10)의 중앙영역(A1) 및 가장자리영역(A2)은 모두 약 0.4nit의 휘도를 갖는 반면, 약 200g, 약 400g, 약 600g의 봉(F)에 의한 외압을 가하는 경우, 블랙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10)의 중앙영역(A1)은 각각 약 0.4nit의 휘도를 갖고, 블랙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10)의 가장자리영역(A2)은 각각 약 0.91nit, 약 1.31nit, 약 1.82nit의 휘도를 갖는다.
즉, 외압 또는 응력이 커질수록 액정표시장치(10)의 가장자리영역(A2)의 빛샘이 증가한다.
이와 같은 빛샘은 액정표시장치(10)의 대조비를 저하시키고 액정표시장치(10)가 표시하는 영상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기판 내면에 편광층을 배치함으로써, 응력에 의한 가장자리영역의 빛샘이 감소되어 대조비 및 영상의 표시품질이 개선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백라이트유닛에 가까이 배치되는 기판 내면에 편광층을 배치함으로써, 경사 시야각에서의 색변이가 최소화 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박막트랜지스터 및 컬러필터층을 제1기판 내면에 형성하고 백라이트유닛에 가까이 배치되는 제2기판 내면에 편광층을 형성함으로써, 편광판의 안정성 및 신뢰성이 개선되고 경사 시야각에서의 색변이가 최소화 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는 제1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외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편광판과, 상기 제1기판 내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편광판의 투과축과 동일한 투과축을 갖는 편광층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제1기판 하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층은 광축과 투과축이 평행한 E타입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편광층은 코팅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편광층 상부에 배치되고,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과, 상기 게이트배선 및 상기 데이터배선에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되고, 상기 화소영역에 배치되는 화소전극과, 상기 화소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화소전극으로부터 이격되는 공통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의 상기 화소영역의 경계에 배치되는 컬럼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화소전극 및 상기 공통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컬러필터층과, 상기 컬러필터층 상부에 배치되는 평탄화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제2기판 내면에 배치되고,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과, 상기 게이트배선 및 상기 데이터배선에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되고, 상기 화소영역에 배치되는 화소전극과, 상기 화소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화소전극으로부터 이격되는 공통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의 상기 화소영역의 경계에 배치되는 컬럼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화소전극 및 상기 공통전극 하부에 배치되는 컬러필터층과, 상기 컬러필터층 하부에 배치되는 평탄화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판 내면에 편광층을 배치함으로써, 응력에 의한 가장자리영역의 빛샘이 감소되어 대조비 및 영상의 표시품질이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백라이트유닛에 가까이 배치되는 기판 내면에 편광층을 배치함으로써, 경사 시야각에서의 색변이가 최소화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박막트랜지스터 및 컬러필터층을 제1기판 내면에 형성하고 백라이트유닛에 가까이 배치되는 제2기판 내면에 편광층을 형성함으로써, 편광층의 안정성 및 신뢰성이 개선되고 경사 시야각에서의 색변이가 최소화 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응력의 변화량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가장자리영역의 단면과 다면의 다수의 위치에서의 위상지연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중앙영역 및 가장자리영역의 휘도를 촬영한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가장자리영역의 단면과 다면의 다수의 위치에서의 위상지연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가장자리영역의 단면과 다면의 다수의 위치에서의 위상지연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중앙영역 및 가장자리영역의 휘도를 촬영한 사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10)는,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는 제1 및 제2기판(120, 150)과, 제1 및 제2기판(120, 150)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170)과, 제1기판(120) 하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유닛(180)을 포함한다.
제1기판(120) 내면 전면에는 인셀타입(in-cell type)의 편광층(164)이 형성되는데, 인셀타입의 편광층(164)은 코팅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셀타입의 편광층(164)은, 초분자 착물(supramolecular complex) 또는 다수개의 유기화합물(organic compound)로 이루어지는 디스크(disc) 형태의 E(extraordinary)타입 일 수 있으며, 코팅방향에 평행한 광축을 가지며, 광축에 수직인 흡수축과 광축에 평행한 투과축을 가질 수 있다.
편광층(164) 상부의 각 화소영역(P)에는 공통배선(122)이 형성되고, 공통배선(122) 상부에는 게이트절연층(124)이 형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기판(120) 내면의 각 화소영역(P)에는 게이트전극이 형성되고, 제1기판(120) 내면의 화소영역(P) 경계에는 게이트전극에 연결되는 게이트배선이 형성되고, 게이트절연층(124)은 게이트전극 및 게이트배선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124) 상부의 화소영역(P) 경계에는 반도체물질의 하부층(126)과 금속물질의 상부층(128)으로 이루어지고 게이트배선과 교차하여 화소영역(P)을 정의하는 데이터배선이 형성되고, 데이터배선 상부에는 보호층(130)이 형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게이트절연층(124) 상부의 각 화소영역에는 반도체물질의 액티브층이 형성되고, 액티브층 양단 상부에는 데이터배선에 연결되는 금속물질의 소스전극과 소스전극으로부터 이격되는 드레인전극이 형성되고, 보호층(130)은 액티브층,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 액티브층, 소스전극, 드레인전극은 각 화소영역(P)에 배치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구성한다.
보호층(130) 상부의 각 화소영역(P)에는 컬러필터층(132)이 형성되고, 컬러필터층(132) 상부에는 평탄화층(134)이 형성되는데, 컬러필터층(132)은 화소영역(P) 별로 배치되는 적, 녹, 청 컬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평탄화층(134) 상부의 화소영역(P) 및 화소영역(P)의 경계에는 공통전극(136)이 형성되고, 평탄화층(134) 상부의 화소영역(P)에는 공통전극(136)과 이격되는 화소전극(138)이 형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공통전극(136)은 공통배선(122)에 연결되고, 화소전극(138)은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기판(120, 150) 사이에는 컬럼스페이서(152)가 배치되는데, 컬럼스페이서(152)를 제1기판(120)의 화소영역(P) 경계의 공통전극(136) 상부에 형성하거나 제2기판(150) 하부에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기판(120, 150) 외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편광판(160, 162)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편광판(160, 162)의 투과축은 서로 수직(노멀리 블랙 모드의 경우)하거나 서로 평행(노멀리 화이트 모드의 경우)할 수 있으며, 제1기판(120) 내면의 편광층(164)의 투과축은 제1기판(120) 외면의 제1편광판(160)의 투과축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기판(120, 150) 사이에는 액정층(170)이 형성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110)는,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공통전극(136) 및 화소전극(138) 사이에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하여 액정층(170)의 위상지연(retardation)을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하는데, 제1편광판(160) 및 편광층(164)을 통과한 빛이 액정층(170)을 통과하면서 액정층(170)의 위상지연에 따라 상이한 편광상태를 갖게 되고 제2편광판(162)을 통과하거나 제2편광판(162)에 흡수되어 계조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응력(stress)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실질적으로 0의 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의 변화량에 의해 제1 및 제2기판(120, 150) 각각의 총 위상지연은 변화없이 그대로 유지되고, 응력이 인가되는 상태에서는 중앙영역(도 2의 A1)에서 실질적으로 0의 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의 변화량에 의해 제1 및 제2기판(120, 150) 각각의 총 위상지연은 변화없이 그대로 유지되고 가장자리영역(도 2의 A2)에서 실질적으로 0보다 큰 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의 변화량에 의해 제1 및 제2기판(120, 150) 각각의 총 위상지연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백라이트유닛(180)의 빛이 제1편광판(160)을 통과한 후 갖는 편광상태는, 제1기판(120)을 통과하면서 가장자리영역(A2)의 제1기판(120)의 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의 변화량에 의하여 변경되지만, 제1편광판(160)과 동일한 투과축을 갖는 제1기판(120) 내면의 인셀타입의 편광층(164)에 의하여 다시 제1편광판(160)을 통과한 직후의 편광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인셀타입의 편광층(164)은 제1기판(120)의 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의 변화량에 의하여 변경된 빛의 편광상태를 원상태로 회복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그 결과 백라이트유닛(180)에 가까운 제1기판(120)의 가장자리영역(A2)의 위상지연에 의한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편광층(164)에 의한 빛샘 감소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가장자리영역의 단면과 다면의 다수의 위치에서의 위상지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기판(120, 150)의 가장자리영역(도 2의 A2)에서, 제1기판(120)의 외면 및 내면에는 각각 인장응력 및 압축응력이 인가되고, 제2기판(150)의 내면 및 외면에는 각각 인장응력 및 압축응력이 인가된 경우, 제1 및 제2기판(120, 150)이 0보다 큰 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의 변화량을 갖게 되어 제1 및 제2기판(120, 150)의 총 위상지연이 증가하며, 제1기판(120) 하부의 백라이트유닛(도 5의 180)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은 제1 및 제2편광판(160, 162), 편광층(164), 제1 및 제2기판(120, 150), 액정층(170)을 통과하면서 편광상태가 변하게 된다.
즉, 입사광은, 제1편광판(160)을 통과한 후 제1기판(120)의 외면에 대응되는 제1위치(P1)에서 푸앵카레 구(Poincare sphere)의 적도 A지점에 대응되는 선편광 상태가 되고, 제1기판(120)을 통과한 후 제1기판(120)의 내면에 대응되는 제2위치(P2)에서 제1기판(120)의 총 위상지연에 의하여 푸앵카레 구의 상반구의 제1지점에 대응되는 타원편광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1편광판(160)과 동일한 투과축을 갖는 편광층(164)을 통과한 후 액정층(170)의 하면에 대응되는 제3위치(P3)에서 다시 푸앵카레 구의 적도 A지점에 대응되는 선편광 상태가 된다.
여기서, 인셀타입의 편광층(164)의 편광도는 약 99%로, 제1 및 제2편광판(160, 162) 각각의 편광도인 약 99.995%에 비하여 다소 낮으며, 그 결과 편광층(164)을 통과한 후의 입사광의 편광상태는 푸앵카레 구의 적도 A지점으로부터 다소 이격된 특정 지점에 대응될 수 있으나, 이러한 특정지점은 제1기판(120)을 통과한 후의 입사광의 편광상태인 푸앵카레 구의 상반구의 제1지점보다는 푸앵카레 구의 적도 A지점에 훨씬 근접한 지점일 수 있다.
또한, 액정층(170)을 통과한 후 제2기판(150)의 내면에 대응되는 제4위치(P4)에서 액정층(170)의 위상지연에 의하여 푸앵카레 구의 하반구의 제1지점에 대응되는 타원편광 상태가 되고, 제2기판(150)을 통과한 후 제2기판(150)의 외면에 대응되는 제5위치(P5)에서 제2기판(150)의 총 위상지연에 의하여 푸앵카레 구의 하반구의 제2지점에 대응되는 타원편광 상태가 되는데, 제2지점은 제1지점보다 적도의 A지점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지점이다.
여기서, 편광층(164)에 의하여 액정층(170)을 통과하기 전의 입사광의 편광상태가 푸앵카레 구의 적도 A지점에 대응되므로, 액정층(170)을 통과한 후의 입사광의 편광상태가 대응되는 푸앵카레 구의 하반구의 제1지점은 도 3의 종래의 액정층(70)을 통과한 후의 입사광의 편광상태가 대응되는 푸앵카레 구의 하반구의 제1지점보다 푸앵카레 구의 적도의 A지점에 더 가깝게 되고, 제2기판(150)을 통과한 후의 입사광의 편광상태가 대응되는 푸앵카레 구의 하반구의 제2지점도 도 3의 종래의 제2기판(50)을 통과한 후의 입사광의 편광상태가 대응되는 푸앵카레 구의 하반구의 제2지점보다 푸앵카레 구의 적도의 A지점에 더 가깝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편광판(160, 162)이 각각 푸앵카레 구의 적도의 A지점 및 B지점에 대응되는 서로 수직한 투과축을 가지므로, 제2편광판(162)의 흡수축은 푸앵카레 구의 적도의 A지점에 대응된다.
따라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도 3의 10)에 비하여, 제2기판(150)을 통과한 빛은, 푸앵카레 구의 적도의 A지점에 더 가까운 하반구의 제2지점에 대응되는 타원편광 상태를 가지므로, 제2편광판(162)에 더 많이 흡수되고 액정표시장치(110)의 가장자리영역(A2)에서의 빛샘은 최소화 된다.
예를 들어, 제1기판(120)의 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의 변화량에 대응되는 편광상태의 변경이 제거되고 제2기판(150)의 위상지연에 의해서만 원하지 않는 편광상태의 변경이 발생하므로, 제1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110)의 빛샘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도 3의 10)의 빛샘의 약 50%일 수 있다.
특히, 일반적인 보상필름은 파장(색상) 별로 상이하게 위상지연을 보상하여 편광상태를 변경하는 반면, 제1실시예의 편광층(164)은 파장과 무관하게 편광상태를 회복하므로, 적, 녹, 청과 같은 모든 색상에 대하여 빛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편광층(164)을 제2기판(150) 내면에 형성할 수도 있는데, O(ordinary)-모드의 경우, 편광층(164)이 백라이트유닛(180)에 가까이 배치되는 제1기판(120) 내면에 형성되는 제1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110)가 편광층(164)이 백라이트유닛(180)으로부터 멀리 배치되는 제2기판(150) 내면에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보다 경사 시야각에서의 색변이(color shift)가 더 작게 나타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O-모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백라이트유닛(180)에 가까운 제1편광판(160)의 흡수축과 액정층(170)의 배향방향이 서로 평행하고, E-모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백라이트유닛(180)에 가까운 제1편광판(160)의 흡수축과 액정층(170)의 배향방향이 서로 수직한데, O-모드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광축이 평행한 편광층(164)과 액정층(170)의 하면이 인접하여 위상지연이 상대적으로 작은 반면, E-모드의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광축이 평행한 편광층(164)과 액정층(170)의 상면이 이격되어 위상지연이 상대적으로 커서 빛샘이 더 크게 발생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10)에서는, 제1기판(120) 내면에 인셀타입의 편광층(164)을 형성함으로써, 제1기판(120)을 통과한 직후의 편광상태를 제1편광판(160)을 통과한 직후의 편광상태(제1기판(120)을 통과하기 직전의 편광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제1기판(120)의 위상지연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여 빛샘을 최소화 하고 대조비 및 표시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기판(150)보다 백라이트유닛(180)에 더 가까이 배치되는 제1기판(120) 내면에 인셀타입의 편광층(164)을 형성함으로써, 경사 시야각에서의 색변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210)는,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는 제1 및 제2기판(250, 220)과, 제1 및 제2기판(250, 220)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270)과, 제1기판(250) 하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유닛(280)을 포함한다.
제1기판(250) 내면 전면에는 인셀타입(in-cell type)의 편광층(264)이 형성된다.
인셀타입의 편광층(264)은 코팅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인셀타입의 편광층(264)은, 초분자 착물(supramolecular complex) 또는 다수개의 유기화합물(organic compound)로 이루어지는 디스크(disc) 형태의 E(extraordinary)타입 일 수 있으며, 코팅방향에 평행한 광축을 가지며, 광축에 수직인 흡수축과 광축에 평행한 투과축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기판(220, 250) 사이에는 컬럼스페이서(252)가 배치되는데, 컬럼스페이서(252)를 제1기판(250)의 편광층(264) 상부에 형성하거나 제2기판(220)의 화소영역(P) 경계의 공통전극(236) 하부에 형성할 수 있다.
제2기판(220) 내면의 각 화소영역(P)에는 공통배선(222)이 형성되고, 공통배선(222) 하부에는 게이트절연층(224)이 형성된다.
게이트절연층(224) 하부의 화소영역(P) 경계에는 반도체물질의 하부층(226)과 금속물질의 상부층(228)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배선이 형성되고, 데이터배선 하부에는 보호층(230)이 형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기판(260) 내면에는 게이트배선 및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고,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은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P)을 정의하고, 박막트랜지스터는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에 연결될 수 있다.
보호층(230) 하부의 각 화소영역(P)에는 컬러필터층(232)이 형성되고, 컬러필터층(232) 하부에는 평탄화층(234)이 형성되는데, 컬러필터층(232)은 화소영역(P) 별로 배치되는 적, 녹, 청 컬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평탄화층(234) 하부의 화소영역(P) 및 화소영역(P)의 경계에는 공통전극(236)이 형성되고, 평탄화층(234) 하부의 화소영역(P)에는 공통전극(236)과 이격되는 화소전극(238)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기판(250, 220) 외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편광판(262, 260)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편광판(262, 260)의 투과축은 서로 수직(노멀리 블랙 모드의 경우)하거나 서로 평행(노멀리 화이트 모드의 경우)할 수 있으며, 제1기판(250) 내면의 편광층(264)의 투과축은 제1기판(250) 외면의 제1편광판(262)의 투과축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기판(250, 220) 사이에는 액정층(270)이 형성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210)는,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공통전극(236) 및 화소전극(238) 사이에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하여 액정층(270)의 위상지연(retardation)을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하는데, 제1편광판(262) 및 편광층(264)을 통과한 빛이 액정층(270)을 통과하면서 액정층(270)의 위상지연에 따라 상이한 편광상태를 갖게 되고 제2편광판(260)을 통과하거나 제2편광판(260)에 흡수되어 계조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기판(250, 220)은, 응력(stress)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실질적으로 0의 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의 변화량을 가지고, 응력이 인가되는 상태에서는 중앙영역(도 2의 A1)에서 실질적으로 0의 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의 변화량을 갖고 가장자리영역(도 2의 A2)에서 0보다 큰 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의 변화량을 갖는다.
이에 따라, 백라이트유닛(280)의 빛이 제1편광판(262)을 통과한 후 갖는 편광상태는, 제1기판(250)을 통과하면서 가장자리영역(A2)의 제1기판(250)의 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의 변화량에 의하여 변경되지만, 제1편광판(262)과 동일한 투과축을 갖는 제1기판(250) 내면의 인셀타입의 편광층(264)에 의하여 다시 제1편광판(262)을 통과한 직후의 편광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인셀타입의 편광층(264)은 제1기판(250)의 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의 변화량에 의하여 변경된 빛의 편광상태를 원상태로 회복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그 결과 백라이트유닛(280)에 가까운 제1기판(250)의 가장자리영역(A2)의 위상지연에 의한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편광층(264)에 의한 빛샘 감소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가장자리영역의 단면과 다면의 다수의 위치에서의 위상지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기판(250, 220)의 가장자리영역(도 2의 A2)에서, 제1기판(250)의 외면 및 내면에는 각각 인장응력 및 압축응력이 인가되고, 제2기판(220)의 내면 및 외면에는 각각 인장응력 및 압축응력이 인가된 경우, 액정층(270)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기판(250, 220)도 위상지연을 갖게 되며, 제1기판(250) 하부의 백라이트유닛(도 5의 180)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은 제1 및 제2편광판(262, 260), 편광층(264), 제1 및 제2기판(250, 220), 액정층(270)을 통과하면서 편광상태가 변하게 된다.
즉, 입사광은, 제1편광판(262)을 통과한 후 제1기판(250)의 외면에 대응되는 제1위치(P1)에서 푸앵카레 구(Poincare sphere)의 적도 A지점에 대응되는 선편광 상태가 되고, 제1기판(250)을 통과한 후 제1기판(250)의 내면에 대응되는 제2위치(P2)에서 제1기판(250)의 총 위상지연에 의하여 푸앵카레 구의 상반구의 제1지점에 대응되는 타원편광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1편광판(262)과 동일한 투과축을 갖는 편광층(264)을 통과한 후 액정층(270)의 하면에 대응되는 제3위치(P3)에서 다시 푸앵카레 구의 적도 A지점에 대응되는 선편광 상태가 된다.
여기서, 인셀타입의 편광층(264)의 편광도는 약 99%로, 제1 및 제2편광판(262, 264) 각각의 편광도인 약 99.995%에 비하여 다소 낮으며, 그 결과 편광층(264)을 통과한 후의 입사광의 편광상태는 푸앵카레 구의 적도 A지점으로부터 다소 이격된 특정 지점에 대응될 수 있으나, 이러한 특정지점은 제1기판(250)을 통과한 후의 입사광의 편광상태인 푸앵카레 구의 상반구의 제1지점보다는 푸앵카레 구의 적도 A지점에 훨씬 근접한 지점일 수 있다.
또한, 액정층(270)을 통과한 후 제2기판(220)의 내면에 대응되는 제4위치(P4)에서 액정층(270)의 위상지연에 의하여 푸앵카레 구의 하반구의 제1지점에 대응되는 타원편광 상태가 되고, 제2기판(220)을 통과한 후 제2기판(220)의 외면에 대응되는 제5위치(P5)에서 제2기판(220)의 총 위상지연에 의하여 푸앵카레 구의 하반구의 제2지점에 대응되는 타원편광 상태가 되는데, 제2지점은 제1지점보다 적도의 A지점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지점이다.
여기서, 편광층(264)에 의하여 액정층(270)을 통과하기 전의 입사광의 편광상태가 푸앵카레 구의 적도 A지점에 대응되므로, 액정층(270)을 통과한 후의 입사광의 편광상태가 대응되는 푸앵카레 구의 하반구의 제1지점은 도 3의 종래의 액정층(70)을 통과한 후의 입사광의 편광상태가 대응되는 푸앵카레 구의 하반구의 제1지점보다 푸앵카레 구의 적도의 A지점에 더 가깝게 되고, 제2기판(220)을 통과한 후의 입사광의 편광상태가 대응되는 푸앵카레 구의 하반구의 제2지점도 도 3의 종래의 제2기판(50)을 통과한 후의 입사광의 편광상태가 대응되는 푸앵카레 구의 하반구의 제2지점보다 푸앵카레 구의 적도의 A지점에 더 가깝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편광판(262, 260)이 각각 푸앵카레 구의 적도의 A지점 및 B지점에 대응되는 서로 수직한 투과축을 가지므로, 제2편광판(260)의 흡수축은 푸앵카레 구의 적도의 A지점에 대응된다.
따라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도 3의 10)에 비하여, 제2기판(220)을 통과한 빛은, 푸앵카레 구의 적도의 A지점에 더 가까운 하반구의 제2지점에 대응되는 타원편광 상태를 가지므로, 제2편광판(260)에 더 많이 흡수되고 액정표시장치(210)의 가장자리영역(A2)에서의 빛샘은 최소화 된다.
예를 들어, 제1기판(250)의 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의 변화량에 대응되는 편광상태의 변경이 제거되고 제2기판(220)의 위상지연에 의해서만 원하지 않는 편광상태의 변경이 발생하므로, 제2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210)의 빛샘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도 3의 10)의 빛샘의 약 50%일 수 있다.
특히, 일반적인 보상필름은 파장(색상) 별로 상이하게 위상지연을 보상하여 편광상태를 변경하는 반면, 제2실시예의 편광층(264)은 파장과 무관하게 편광상태를 회복하므로, 에 대하여 적, 녹, 청과 같은 모든 색상에 대하여 빛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편광층(264)을 제2기판(220) 내면에 형성할 수도 있는데, O(ordinary)-모드의 경우, 편광층(264)이 백라이트유닛(280)에 가까이 배치되는 제1기판(250) 내면에 형성되는 제1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210)가 편광층(264)이 백라이트유닛(280)으로부터 멀리 배치되는 제2기판(220) 내면에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보다 경사 시야각에서의 색변이(color shift)가 더 작게 나타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O-모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백라이트유닛(280)에 가까운 제1편광판(260)의 흡수축과 액정층(270)의 배향방향이 서로 평행하고, E-모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백라이트유닛(280)에 가까운 제1편광판(260)의 흡수축과 액정층(270)의 배향방향이 서로 수직한데, O-모드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광축이 평행한 편광층(264)과 액정층(270)의 하면이 인접하여 위상지연이 상대적으로 작은 반면, E-모드의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광축이 평행한 편광층(264)과 액정층(270)의 상면이 이격되어 위상지연이 상대적으로 커서 빛샘이 더 크게 발생한다.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및 컬러필터층(232)을 제2기판(220)에 형성하고, 편광층(264)을 박막트랜지스터 및 컬러필터층(232)이 형성되지 않는 제1기판(250) 내면에 형성함으로써,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및 컬러필터층(232) 형성을 위한 고온공정에 의하여 편광층(264)이 열화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편광층(264)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중앙영역 및 가장자리영역의 휘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210)에 무거운 봉(F)을 놓아 외압을 가할 경우, 씰패턴(도 2의 72)으로부터 먼 중앙영역(A1)에서는 제1 및 제2기판(250, 220)의 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의 변화량이 0이 되고 총 위상지연이 증가하지 않아서 빛샘이 발생하지 않으나, 씰패턴(72)에 가까운 가장자리영역(A2)에서는 제1 및 제2기판(도 7의 250, 220)의 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의 변화량이 0보다 크게 되어 총 위상지연이 증가하는데, 제1기판(250) 내면에 형성되는 편광층(도 7의 264)에 의하여 제1기판(250)의 응력에 의한 위상지연의 변화량에 대응되는 편광상태 변경이 제거되어 빛샘이 최소화 되어, 중앙영역(A1) 및 가장자리영역(A2)이 유사한 휘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외압을 가하지 않은 경우, 블랙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210)의 중앙영역(A1) 및 가장자리영역(A2)은 모두 약 0.3nit의 휘도를 갖는 반면, 약 200g, 약 400g, 약 600g의 봉(F)에 의한 외압을 가하는 경우, 블랙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210)의 중앙영역(A1)은 각각 약 0.3nit의 휘도를 갖고, 블랙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210)의 가장자리영역(A2)은 각각 약 0.64nit, 약 0.74nit, 약 0.91nit의 휘도를 갖는다.
즉, 외압을 가하는 경우의 가장자리영역(A1)의 휘도값(약 0.64nit, 약 0.74nit, 약 0.91nit)은 각각 외압을 가하는 경우의 종래의 가장자리영역(A1)의 휘도값(약 0.91nit, 약 1.31nit, 약 1.82nit)의 약 70%, 약 56%, 약 50%가 되어, 빛샘이 최소화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210)에서는, 제1기판(250) 내면에 인셀타입의 편광층(264)을 형성함으로써, 제1기판(250)을 통과한 직후의 편광상태를 제1편광판(262)을 통과한 직후의 편광상태(제1기판(250)을 통과하기 직전의 편광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제1기판(250)의 위상지연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여 빛샘을 최소화 하고 대조비 및 표시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기판(220)보다 백라이트유닛(280)에 더 가까이 배치되는 제1기판(250) 내면에 인셀타입의 편광층(264)을 형성함으로써, 경사 시야각에서의 색변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박막트랜지스터 및 컬러필터층(232)이 형성되지 않는 제1기판(250) 내면에 인셀타입의 편광층(264)을 형성함으로써, 고온공정에 의한 편광층(264)의 열화를 방지하여 편광층(264)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10: 액정표시장치 250: 제1기판
220: 제2기판 270: 액정층
262: 제1편광판 260: 제2편광판
264: 편광층

Claims (10)

  1.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는 제1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외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편광판과;
    상기 제1기판 내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편광판의 투과축과 동일한 투과축을 갖는 편광층
    을 포함하고,
    상기 편광층은, 초분자 착물 또는 다수개의 유기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디스크 형태의 E타입이고,
    상기 편광층은, 코팅방식으로 형성되고, 코팅방향에 평행한 광축, 상기 광축에 수직한 흡수축, 상기 광축에 평행한 투과축을 갖고,
    상기 제1기판에 응력이 인가되어 상기 제1기판은 위상지연의 변화량을 갖고,
    선편광 상태의 빛은 상기 제1기판을 통과한 후 상기 위상지연의 변화량에 의하여 타원편광 상태의 빛이 되고,
    타원편광 상태의 빛은 상기 편광층을 통과한 후 선편광 상태의 빛이 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 하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은 상기 제1편광판을 통과한 후 푸앵카레 구의 적도 A지점에 대응되는 선편광 상태의 빛이 되고,
    선편광 상태의 빛은 상기 제1기판을 통과한 후 푸앵카레 구의 상반구의 제1지점에 대응되는 타원편광 상태의 빛이 되고,
    타원편광 상태의 빛은 상기 편광층을 통과한 후 푸앵카레 구의 상기 적도 A지점에 대응되는 선편광 상태의 빛이 되고,
    선편광 상태의 빛은 상기 액정층을 통과한 후 푸앵카레 구의 하반구의 제2지점에 대응되는 타원편광 상태의 빛이 되고,
    타원상태의 빛은 상기 제2기판을 통과한 후 상기 제2기판의 응력에 따른 위상지연의 변화량에 의하여 푸앵카레 구의 하반구의 제3지점에 대응되는 타원편광 상태의 빛이 되는 액정표시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 상부에 배치되고,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과;
    상기 게이트배선 및 상기 데이터배선에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되고, 상기 화소영역에 배치되는 화소전극과;
    상기 화소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화소전극으로부터 이격되는 공통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컬럼스페이서
    를 더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 및 상기 공통전극 하부에 배치되는 컬러필터층과;
    상기 컬러필터층 상부에 배치되는 평탄화층
    을 더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 내면에 배치되고,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과;
    상기 게이트배선 및 상기 데이터배선에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되고, 상기 화소영역에 배치되는 화소전극과;
    상기 화소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화소전극으로부터 이격되는 공통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컬럼스페이서
    를 더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 및 상기 공통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컬러필터층과;
    상기 컬러필터층 하부에 배치되는 평탄화층
    을 더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상기 제1기판의 내면에 직접 접촉되고,
    상기 편광층의 편광도는 상기 제1 및 제2편광판의 편광도보다 낮은 액정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판의 흡수축과 상기 액정층의 배향방향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편광층의 광축과 상기 액정층의 하면의 광축은 서로 평행한 액정표시장치.
KR1020160143757A 2016-10-31 2016-10-31 액정표시장치 Active KR102695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757A KR102695218B1 (ko) 2016-10-31 2016-10-31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757A KR102695218B1 (ko) 2016-10-31 2016-10-31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549A KR20180047549A (ko) 2018-05-10
KR102695218B1 true KR102695218B1 (ko) 2024-08-13

Family

ID=62184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757A Active KR102695218B1 (ko) 2016-10-31 2016-10-31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52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82109A (ja) * 2020-05-20 2021-11-25 シャープ株式会社 曲面表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902B1 (ko) 2014-06-24 2015-09-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2132B2 (ja) * 2004-09-24 2009-07-08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KR20070099399A (ko) * 2006-04-03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그에 사용되는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743524B1 (ko) * 2010-12-13 2017-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35931B1 (ko) * 2013-12-31 2020-07-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간격 스페이서와 누름 스페이서를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902B1 (ko) 2014-06-24 2015-09-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549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13599B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8208099B2 (en) Transmissive type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a main pixel region having a first color filter and a sub-pixel region having a second color filter having a higher transmittance
US7486355B2 (en) Color filter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CN100476543C (zh) 液晶显示器件
US9001294B2 (en) Liquid-crystal display panel
JP2002072219A (ja) 液晶表示装置
US2009031006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18014993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7034308A (ja) 液晶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8488089B2 (en)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6002860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2024993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retardation compensation
KR102695218B1 (ko) 액정표시장치
US20050030448A1 (en) Color filter arr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805442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4023985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JP4366985B2 (ja) 液晶表示装置
JP2015203753A (ja) 液晶表示装置
KR101322982B1 (ko)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TW201728979A (zh) 液晶顯示裝置
JP2005196043A (ja) 液晶表示素子
KR102395571B1 (ko) 액정표시장치
US8576364B2 (en) Method for forming multiple alignment films on a substrate and pixel structur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JP5316270B2 (ja) 液晶表示装置
US20170299906A1 (en) Curved display pane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related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8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0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