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4443B1 -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4443B1
KR102694443B1 KR1020207016528A KR20207016528A KR102694443B1 KR 102694443 B1 KR102694443 B1 KR 102694443B1 KR 1020207016528 A KR1020207016528 A KR 1020207016528A KR 20207016528 A KR20207016528 A KR 20207016528A KR 102694443 B1 KR102694443 B1 KR 102694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b
terminal device
setting
identifier
establish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5841A (ko
Inventor
다까꼬 호리
쇼헤이 야마다
히데까쯔 츠보이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85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4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444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2Manipulation of transport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프로토콜 처리의 복잡함을 경감시켜, 효율적으로 통신을 행할 수 있는 단말 장치, 방법, 및 집적 회로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 하나 또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단말 장치가, 기지국 장치로부터 DRB 설정을 포함하는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가 수신한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에, 풀 설정이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DRB 설정의 정보에 포함되는 DRB 식별자가, 단말 장치의 현재의 설정의 일부가 아닌 경우이며, DRB 식별자를 갖는 확립된 DRB에, LTE PDCP 엔티티가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확립된 DRB와, DRB 설정의 정보에 포함되는 EPS 베어러 식별자를 관련짓는 처리부를 갖는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이동 통신의 무선 액세스 방식 및 무선 네트워크(이하, 「Long Term Evolution(LTE: 등록상표)」, 또는,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라고 칭함) 및 코어 네트워크(이하, 「Evolved Packet Core: EPC」)가, 제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에 있어서 검토되고 있다.
또한, 3GPP에 있어서, 제5세대의 셀룰러-시스템에 적합한 무선 액세스 방식 및 무선 네트워크 기술로서, LTE의 확장 기술인 LTE-Advanced Pro 및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인 NR(New Radio technology)의 기술 검토 및 규격 책정이 행해지고 있다(비특허문헌 1). 또한 제5세대 셀룰러 시스템에 적합한 코어 네트워크인, 5GC(5 Generation Core Network)의 검토도 행해지고 있다(비특허문헌 2).
3GPP RP-170855, "Work Item on New Radio (NR) Access Technology" 3GPP TS 23.501, "System Architecture for the 5G System; Stage 2" 3GPP TS 36.300, "Evolved Universal Terestrial Radio Access (E-UTRA) and Evolved Universal Te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Overall description; Stage 2" 3GPP TS 36.331, "Evolved Universal Terestrial Radio Access (E-UTRA); Radio Resource Control (RRC); Protocol specifications" 3GPP TS 36.323, "Evolved Universal Terestrial Radio Access (E-UTRA);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specification" 3GPP TS 36.322, "Evolved Universal Terestrial Radio Access (E-UTRA); Radio Link Control (RLC) protocol specification" 3GPP TS 36.321, "Evolved Universal Terestrial Radio Access (E-UTRA);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specification" 3GPP TS 37.340, "Evolved Universal Terestrial Radio Access (E-UTRA) and NR; Multi-Connectivity; Stage 2" 3GPP TS 38.300, "NR; NR and NG-RAN Overall description; Stage 2" 3GPP TS 38.331, "NR; Radio Resource Control (RRC); Protocol specifications" 3GPP TS 38.323, "NR;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specification" 3GPP TS 38.322, "NR; Radio Link Control (RLC) protocol specification" 3GPP TS 38.321, "NR;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specification" 3GPP TS 23.401 v14.3.0,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enhancements for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access" 3GPP TS 23.502, "Procedure for 5G System; Stage 2" 3GPP TS 37.324, "NR; 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SDAP) specification"
NR의 기술 검토의 하나로서, E-UTRA와 NR의 양쪽의 RAT(Radio Access Technology)의 셀을 RAT마다 셀 그룹화하여 UE에 할당하여, 단말 장치와 하나 이상의 기지국 장치가 통신하는 구조(MR-DC: Multi-RAT Dual Connectivity)가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8).
그러나, E-UTRA와 NR에서 이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포맷이나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RAT로서 E-UTRA만을 사용하는 종래의 LTE에서의 Dual Connectivity에 비해, 프로토콜 처리가 복잡해져서, 기지국 장치와 단말 장치의 통신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지국 장치와의 통신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단말 장치, 해당 단말기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 해당 단말 장치에 이용되는 방법, 해당 기지국 장치에 이용되는 방법, 해당 단말 장치에 실장되는 집적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이하와 같은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단말 장치이며,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DRB(Data Radio Bearer) 설정을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DRB 설정에 포함되는 DRB 식별자가 상기 단말 장치에 설정되지 않은 것, 및 상기 DRB 설정에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어 있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DRB가 확립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확립된 DRB의 EPS 베어러 식별자를 상위 레이어에 통지하는 처리부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단말기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장치이며, DRB(Data Radio Bearer) 설정을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가지며, 상기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는,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해서, 상기 DRB 설정에 포함되는 DRB 식별자가 상기 단말 장치에 설정되지 않은 것, 및 상기 DRB 설정에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어 있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DRB가 확립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확립된 DRB의 EPS 베어러 식별자를 하위 레이어로부터 상위 레이어에 통지시키는 메시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단말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이며,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DRB(Data Radio Bearer) 설정을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DRB 설정에 포함되는 DRB 식별자가 상기 단말 장치에 설정되지 않은 것, 및 상기 DRB 설정에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어 있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DRB가 확립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확립된 DRB의 EPS 베어러 식별자를 상위 레이어에 통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단말기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이며, DRB(Data Radio Bearer) 설정을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는,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해서, 상기 DRB 설정에 포함되는 DRB 식별자가 상기 단말 장치에 설정되지 않은 것, 및 상기 DRB 설정에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어 있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DRB가 확립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확립된 DRB의 EPS 베어러 식별자를 하위 레이어로부터 상위 레이어에 통지시키는 메시지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는, 프로토콜 처리의 복잡함을 경감시켜, 효율적으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E-UTRA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와 기지국 장치의 UP 및 CP의 프로토콜 스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R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와 기지국 장치의 UP 및 CP의 프로토콜 스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RRC 커넥션 재설정 수순의 플로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DRB 설정에 따른 정보, 및 정보의 ASN.1(Abstract Syntax Notation One) 기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방법의 일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방법의 다른 일례.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LTE(및 LTE-A Pro)와 NR은, 서로 다른 RAT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NR은, LTE에 포함되는 기술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LTE는, NR에 포함되는 기술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NR과 Multi RAT Dual connectivity로 접속 가능한 LTE는, 종래의 LTE와 구별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는 NR, LTE 및 다른 RAT에 적용되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LTE 및 NR에 관련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다른 용어를 사용하는 다른 기술에 있어서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E-UTRA라는 용어는, LTE라는 용어로 치환되어도 되고, LTE라는 용어는 E-UTRA라는 용어로 치환되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E-UTRA(100)는 비특허문헌 3 등에 기재된 무선 액세스 기술이며, 하나 또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구성하는 셀 그룹(Cell Group: CG)을 포함한다. eNB(E-UTRAN Node B)(102)는, E-UTRA의 기지국 장치이다. EPC(Evolved Packet Core)(104)는, 비특허문헌 14 등에 기재된 코어망이며, E-UTRA용 코어망으로서 설계되었다. 인터페이스(112)는 eNB(102)와 EPC(104) 사이의 인터페이스(interface)이며, 제어 신호가 통과하는 제어 플레인(Control Plane: CP)과, 그 유저 데이터가 통과하는 유저 플레인(User Plane: UP)이 존재한다.
NR(106)은 현재 3GPP에서 검토하고 있는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이며, 하나 또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구성하는 셀 그룹(Cell Group: CG)을 포함한다. gNB(g Node B)(108)는, NR의 기지국 장치이다. 5GC(110)는, 현재 3GPP에서 검토하고 있는 NR용의 새로운 코어망이며, 비특허문헌 2 등에 기재된다.
인터페이스(114)는 eNB(102)와 5GC(110) 사이의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116)는 gNB(108)와 5GC(110) 사이의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118)는 gNB(108)와 EPC(104) 사이의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120)는 eNB(102)와 gNB(108) 사이의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124)는 EPC(104)와 5GC(110)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인터페이스(114), 인터페이스(116), 인터페이스(118), 인터페이스(120), 인터페이스(124)는 CP만, 또는 UP만, 또는 CP 및 UP 양쪽을 통과시키는 인터페이스이지만 상세는 3GPP에 있어서 논의 중이다. 또한, 인터페이스(114), 인터페이스(116), 인터페이스(118), 인터페이스(120), 인터페이스(124)는,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 따라서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UE(122)는 NR에 대응, 또는 E-UTRA 및 NR 양쪽에 대응한 단말 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E-UTRA 무선 액세스 레이어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와 기지국 장치의 UP 및 CP의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도이다.
도 2의 (A)는 UE(122)가 eNB(102)와 통신을 행할 때 사용하는 UP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PHY(Physical layer)(200)는, 무선 물리층이며,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층에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PHY(200)는, 후술하는 상위의 MAC(Medium Access Control layer)(202)와 트랜스포트 채널(Transport Channel)에서 접속된다. 트랜스포트 채널을 통해 MAC(202)와 PHY(200)의 사이에서 데이터가 이동한다. UE(122)와 eNB(102)의 PHY 간에 있어서, 무선 물리 채널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MAC(202)는, 다양한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다양한 트랜스포트 채널에 매핑을 행한다. MAC(202)는, 후술하는 상위의 RLC(Radio Link Control layer)(204)와, 논리 채널에서 접속된다. 논리 채널은,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크게 나뉘고,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과 유저 정보를 전송하는 트래픽 채널로 나뉜다. MAC(202)는, 간헐 수송신(DRX·DTX)을 행하기 위해서 PHY(200)의 제어를 행하는 기능,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수순을 실행하는 기능, 송신 전력의 정보를 통지하는 기능, HARQ 제어를 행하는 기능 등을 갖는다(비특허문헌 7).
RLC(204)는, 후술하는 상위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Layer)(206)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할(Segmentation)하고, 하위층이 적절하게 데이터 송신할 수 있도록 데이터 사이즈를 조절한다. 또한, RLC(200)는, 각 데이터가 요구하는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증하기 위한 기능도 갖는다. 즉, RLC(204)는, 데이터의 재송 제어 등의 기능을 갖는다(비특허문헌 6).
PDCP(206)는, 유저 데이터인 IP 패킷(IP Packet)을 무선 구간에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불필요한 제어 정보의 압축을 행하는 헤더 압축 기능을 가져도 된다. 또한, PDCP(206)는, 데이터의 암호화의 기능을 가져도 된다(비특허문헌 5).
또한, MAC(202), RLC(204), PDCP(206)에 있어서 처리된 데이터를, 각각 MAC PDU(Protocol Data Unit), RLC PDU, PDCP PDU라고 칭한다. 또한, MAC(202), RLC(204), PDCP(206)에 상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또는 상위층에 전달되는 데이터를, 각각 MAC SDU(Service Data Unit), RLC SDU, PDCP SDU라고 칭한다.
도 2의 (B)는 UE(122)가 eNB(102)와 통신을 행할 때 사용하는 CP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CP의 프로토콜 스택에는, PHY(200), MAC(202), RLC(204), PDCP(206)에 추가하여, RRC(Radio Resource Control layer)(208)가 존재한다. RRC(208)는,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의 설정·재설정 등을 행하고, 논리 채널, 트랜스포트 채널 및 물리 채널의 제어를 행한다. RB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ignaling Radio Bearer: SRB)와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로 나뉘어도 되고, SRB는, 제어 정보인 RRC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로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DRB는, 유저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로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eNB(102)와 UE(122)의 RRC(208)사이에서 각 RB의 설정이 행해져도 된다(비특허문헌 4).
전술한 MAC(202), RLC(204), PDCP(206), 및 RRC(208)의 기능 분류는 일례이며, 각 기능의 일부 혹은 전부가 실장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각 층의 기능 일부 혹은 전부가 다른 층에 포함되어도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R 무선 액세스 레이어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와 기지국 장치의 UP 및 CP의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도이다.
도 3의 (A)는 UE(122)가 gNB(108)와 통신을 행할 때 사용하는 UP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PHY(Physical layer)(300)는, NR의 무선 물리층이며,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층에 전송 서비스를 제공해도 된다. PHY(300)는, 후술하는 상위의 MAC(Medium Access Control layer)(302)와 트랜스포트 채널(Transport Channel)에서 접속되어도 된다. 트랜스포트 채널을 통해 MAC(302)와 PHY(300)의 사이에서 데이터가 이동해도 된다. UE(122)와 gNB(108)의 PHY 간에 있어서, 무선 물리 채널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져도 된다. 상세에 있어서는 E-UTRA의 무선 물리층 PHY(200)와는 달리, 3GPP에 있어서 논의 중이다.
MAC(302)는, 다양한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다양한 트랜스포트 채널에 매핑을 행해도 된다. MAC(302)는, 후술하는 상위의 RLC(Radio Link Control layer)(304)와, 논리 채널에서 접속되어도 된다. 논리 채널은,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에 의해 크게 나뉘고,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과 유저 정보를 전송하는 트래픽 채널로 나뉘어도 된다. MAC(302)는, 간헐 수송신(DRX·DTX)을 행하기 위해서 PHY(300)의 제어를 행하는 기능,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수순을 실행하는 기능, 송신 전력의 정보를 통지하는 기능, HARQ 제어를 행하는 기능 등을 가져도 된다(비특허문헌 13). 상세에 있어서는 E-UTRA의 MAC(202)와는 달리, 3GPP에 있어서 논의 중이다.
RLC(304)는, 후술하는 상위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Layer)(206)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할(Segmentation)하고, 하위층이 적절하게 데이터 송신할 수 있도록 데이터 사이즈를 조절해도 된다. 또한, RLC(304)는, 각데이터가 요구하는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증하기 위한 기능도 가져도 된다. 즉, RLC(304)는, 데이터의 재송 제어 등의 기능을 가져도 된다(비특허문헌 12). 상세에 있어서는 E-UTRA의 RLC(204)와는 달리, 3GPP에 있어서 논의 중이다.
PDCP(306)는, 유저 데이터인 IP 패킷(IP Packet)을 무선 구간에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불필요한 제어 정보의 압축을 행하는 헤더 압축 기능을 가져도 된다. 또한, PDCP(306)는, 데이터의 암호화의 기능도 가져도 된다(비특허문헌 11). 상세에 있어서는 E-UTRA의 PDCP(206)와는 달리, 3GPP에 있어서 논의 중이다.
SDAP(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310)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기지국 장치를 통해 단말 장치에 보내지는 다운링크의 QoS 플로우와 DRB의 매핑(mapping) 및 단말 장치로부터 기지국 장치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로 보내지는 업링크의 QoS 정보 플로우와, DRB의 매핑을 행하고, 매핑 룰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가져도 된다(비특허문헌 16). QoS 플로우는 동일한 QoS 폴리시에 의해 처리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서비스 데이터 플로(Service Data Flow: SDF)를 포함한다(비특허문헌 2). 또한 SDAP는 다운링크 QoS 플로우의 정보를 기초로, 업링크의 QoS 플로우와 DRB의 매핑을 행하는, 리플렉티브 QoS(Reflective QoS)의 기능을 가져도 된다(비특허문헌 2, 비특허문헌 16). 상세에 있어서는 3GPP에 있어서 논의 중이다.
또한, IP 레이어 및 IP 레이어보다 위의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레이어, UDP(User Datagram Protocol) 레이어,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등은, SDAP의 상위 레이어가 된다(도시생략). 또한 단말 장치의 SDAP에 있어서, 서비스 데이터 플로와 QoS 플로우의 대응짓기를 행하는 레이어도, SDAP의 상위 레이어로 된다.
또한, MAC(302), RLC(304), PDCP(306), SDAP(310)에 있어서 처리된 데이터를, 각각 MAC PDU(Protocol Data Unit), RLC PDU, PDCP PDU, SDAP PDU라고 칭해도 된다. 또한, MAC(202), RLC(204), PDCP(206)에 상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또는 상위층에 전달하는 데이터를, 각각 MAC SDU(Service Data Unit), RLC SDU, PDCP SDU, SDAP SDU라고 칭해도 된다.
도 3의 (B)는 UE(122)가 gNB(108)와 통신을 행할 때 사용하는 CP의 프로토콜 스택도이다.
CP의 프로토콜 스택에는, PHY(300), MAC(302), RLC(304), PDCP(306)에 추가하여, RRC(Radio Resource Control layer)(308)가 존재한다. RRC(308)는,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의 설정·재설정 등을 행하고, 논리 채널, 트랜스포트 채널 및 물리 채널의 제어를 행해도 된다. RB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ignaling Radio Bearer: SRB)와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로 나뉘어도 되며, SRB는, 제어 정보인 RRC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로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DRB는, 유저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로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gNB(108)와 UE(122)의 RRC(308) 사이에서 각 RB의 설정이 행해져도 된다(비특허문헌 10).
전술한 MAC(302), RLC(304), PDCP(306), SDAP(310) 및 RRC(308)의 기능 분류는 일례이며, 각 기능의 일부 혹은 전부가 실장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각 층의 기능 일부 혹은 전부가 다른 층에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 E-UTRA의 프로토콜과 NR의 프로토콜을 구별하기 위해서, MAC(202), RLC(204), PDCP(206), 및 RRC(208)를, 각각 E-UTRA용 MAC 또는 LTE용 MAC, E-UTRA용 RLC 또는 LTE용 RLC, E-UTRA용 PDCP 또는 LTE용 PDCP, 및 E-UTRA용 RRC 또는 LTE용 RRC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MAC(302), RLC(304), PDCP(306), RRC(308)를, 각각 NR용 MAC, NR용 RLC, NR용 RLC, 및 NR용 RRC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또는, E-UTRA PDCP 또는 LTE PDCP, NR PDCP 등과 스페이스를 사용하여 기술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eNB(102), gNB(108), EPC(104), 5GC(110)는, 인터페이스(112), 인터페이스(116), 인터페이스(118), 인터페이스(120), 및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연결되어도 된다. 이 때문에,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기 위해서, 도 2의 RRC(208)는, 도 3의 RRC(308)로 치환되어도 된다. 또한 도 2의 PDCP(206)는, 도 3의 PDCP(306)로 치환되어도 된다. 또한, 도 3의 RRC(308)는, 도 2의 RRC(208)의 기능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도 3의 PDCP(306)는, 도 2의 PDCP(206)여도 된다.
(실시 형태)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RRC 커넥션 재설정 수순의 플로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RRC 커넥션 재설정 수순(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은, 비특허문헌 4에 기재된, LTE에 있어서의 RB의 확립, 변경, 및 해방 및 세컨더리 셀의, 변경, 해방 등을 행하는 것 외에, 핸드 오버 및 측정(Mesurement) 등을 위해서 사용되는 수순이다. 또한 RRC 커넥션 재설정 수순은, MR-DC에 있어서, 특히 코어망이 EPC(104)이고, 마스터 노드가 eNB(102)인 경우의 MR-DC인, EN-DC(E-UTRA-NR Dual Connectivity) 및 코어망이 5GC(110)이고, 마스터 노드가 eNB(102)인 경우의 MR-DC인, NGEN-DC(NG-RAN E-UTRA-NR Dual Connectivity)에 있어서는, RRC 커넥션 재설정 수순은, LTE뿐만 아니라, 비특허문헌 10에 기재된, NR에 있어서의 RB의 확립, 변경, 및 해방, 및 세컨더리 셀의, 변경, 해방 등의 일부를 행하는 것 외, 핸드 오버 및 측정(Mesurement) 등의 일부를 행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NR에 있어서의 RB의 확립, 변경, 및 해방, 및 셀 그룹의 추가, 변경, 해방, 핸드 오버, 및 측정(Mesurement) 등을 위해서 사용되는 수순을, RRC 커넥션 재설정 수순이라고 칭하지만, 다른 명칭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RB의 확립, 변경, 및 해방, 및 셀 그룹의 추가, 변경, 해방, 핸드 오버 및 측정(Mesurement) 등의 수순은, 비특허문헌 10에 기재된 NR에 있어서의 수순이어도 되고, RRC 재설정 수순이라는 명칭이어도 된다.
RRC 커넥션 재설정 수순에 있어서, UE(122)는 eNB(102)로부터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RRCConnectionReconfigration)를 수신하고(스텝 S400),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서 각종 설정, 예를 들어 DRB의 설정 등의 처리를 행한다(스텝 S402). 스텝 S402의 후, UE(122)는 eNB(102)에, RRC 커넥션 재설정 완료 메시지(RRCConnectionReconfigrationComplete) 등을 보내도 된다(도시생략).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UE(12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설명이 번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5에서는, 본 발명과 밀접하게 관련된 주된 구성부만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한 UE(122)는, eNB(102)로부터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500), 및 메시지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502)를 포함한다.
도 6은 도 4에 있어서의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 중, EN-DC 및 NGEN-DC에 있어서의 마스터 노드의 셀 그룹에 있어서의 DRB 설정 중, LTE에 관한 정보, 및 정보의 ASN.1(Abstract Syntax Notation One) 기술의 일례이다. 3GPP에 있어서, RRC에 관한 사양서(비특허문헌 4, 비특허문헌 10)는, RRC에 관한 메시지, 및 정보(Information Element: IE) 등을 ASN.1을 사용하여 기술한다. 도 6의 ASN.1의 예에서, <생략> 및 <중략>은, ASN.1의 표기의 일부가 아니라, 다른 정보를 생략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생략> 또는 <중략>이라는 기재가 없는 부분에서도, 정보가 생략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의 ASN.1의 예는 ASN.1 표기 방법에 정확하게 따른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있어서의 DRB 설정의 파라미터의 일례를 표기한 것이며, 다른 명칭이나 다른 표기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의 ASN.1의 예는, 설명이 번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밀접하게 관련된 주된 정보에 관한 예만을 나타낸다.
도 6에 있어서 fullConfig로 표시되는 정보는, 풀 설정이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true, enable 등을 사용하여 풀 설정이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도 된다. DRB-ToAddModList로 표시되는 정보는, DRBToAddMod로 표시되는, 추가 또는 변경하는 DRB의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의 리스트여도 된다. DRB-ToAddMod(추가 또는 변경하는 DRB의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 중, eps-BearerIdentity로 표시되는 정보는, 비특허문헌 3에 설명되는 EPS 베어러를 식별하는, EPS 베어러 식별자의 정보 여도 된다. 도 6의 예에서는 0 내지 15의 정수값으로 하고 있지만, 별도의 값을 취해도 된다. EPS 베어러 식별자의 정보는, 설정하는 DRB와 일대일로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추가 또는 변경하는 DRB의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 중, DRB-Identity로 표시되는 정보는, 추가 또는 변경하는 DRB의 DRB 식별자의 정보이다. 도 6의 예에서는 1 내지 32의 정수값으로 하고 있지만, 별도의 값을 취해도 된다. 또한 추가 또는 변경하는 DRB의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 중, pdcp-Config로 표시되는 정보는 PDCP(206)의 확립이나 변경을 행하기 위한, LTE PDCP 엔티티의 설정에 관한 정보여도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일부, 또는 모든 정보는, 옵셔널이어도 된다. 즉 도 6에 도시한 정보는 필요에 따라서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에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EN-DC에 대응한 UE(122)에 있어서의 DRB의 PDCP로서, LTE PDCP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LTE PDCP 엔티티의 설정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도 되고, NR PDCP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LTE PDCP 엔티티의 설정에 관한 정보는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UE(122)에 있어서, PDCP 엔티티의 설정은, 대응하는 RRC 엔티티에 의해 설정된다. 즉 LTE PDCP 엔티티 설정은, 비특허문헌 4에 기재된 LTE용 RRC 엔티티에 의해 설정되고, NR PDCP 엔티티의 설정은, 비특허문헌 10에 기재된 NR용 RRC 엔티티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LTE용 RRC 엔티티로 행해지는 처리에서는, LTE PDCP이 확립, 혹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NR용 RRC 엔티티로 행해지는 처리에서는, NR PDCP이 확립, 혹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UE(122)는, eNB(102)로부터 수신한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 중에, NR PDCP 엔티티의 설정에 관한 정보 등의, NR에 관한 설정의 정보가 컨테이너 등의 형태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NR RRC 엔티티로 디코드하여 설정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하, 추가 또는 변경하는 DRB의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를 DRB 설정, EPS 베어러 식별자의 정보를 EPS 베어러 식별자, DRB 식별자의 정보인 것을 DRB 식별자, LTE PDCP 엔티티의 설정에 관한 정보를 LTE PDCP 설정이라고 각각 기술하는 경우도 있다.
도 7은 도 5에 있어서의 UE(122)의 처리부(502)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방법의 일례를, 도 8은 도 5에 있어서의 UE(122)의 처리부(502)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방법의 다른 일례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DRB 설정은, DRB 설정의 리스트에 포함되도록 하고, UE(122)의 처리부(502)에 있어서의 DRB 설정에 대한 처리는, DRB 설정의 리스트에 포함되는, 각 DRB 설정에 대하여 행해지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DRB 설정 수순의 예를 설명한다.
UE(122)의 처리부(502)는, 수신부(500)로부터 수신한, DRB 설정을 포함하는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에, 풀 설정이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확인한다(스텝 S700).
다음으로 UE(122)의 처리부(502)는, 상기 DRB 설정에 포함되는 DRB 식별자의 값이, UE(122)의 현재 설정의 일부가 아닌 경우이며, 또한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확립된 DRB에, LTE PDCP 엔티티가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확립된 DRB와, 상기 EPS 베어러 식별자를 관련짓는다(스텝 S702). UE(122)의 처리부(502)는, 상기 DRB 설정에 포함되는 DRB 식별자의 값이, UE(122)의 현재 설정의 일부가 아닌 경우이며, 또한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확립된 DRB에, LTE PDCP 엔티티가 확립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확립된 DRB와, 상기 EPS 베어러 식별자를 관련짓지 않는다. 또한, 상기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확립된 DRB에, LTE PDCP 엔티티가 확립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확립된 DRB에, LTE에 의해 PDCP 엔티티가 확립되어 있는 경우」로 치환해도 되고, 「상기 DRB 설정에 LTE PDCP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로 치환해도 된다. 또한, 「LTE PDCP 엔티티가 확립되어 있는 경우」란, PDCP 엔티티의 확립이, LTE용 RRC 엔티티로 확립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DRB 설정에 LTE PDCP 설정이 포함된다」란 LTE용 RRC 엔티티의 DRB 설정에 PDCP 설정이 포함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확립된 DRB에, LTE PDCP 엔티티가 확립되지 않은 경우」란,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확립된 DRB에, LTE에 의해 PDCP 엔티티가 확립되지 않은 경우」로 치환해도 되고, 「상기 DRB 설정에 LTE PDCP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로 치환해도 된다. 또한, 「LTE PDCP 엔티티가 확립되지 않은 경우」란, PDCP 엔티티의 확립이, LTE용 RRC 엔티티로 확립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DRB 설정에 LTE PDCP 설정이 포함되지 않는다」란 LTE용 RRC 엔티티의 DRB 설정에 PDCP 설정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각 정보를 확인하는 순번은 이와 같지 않아도 된다. 풀 설정이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의 확인은, 스텝 S702에 있어서, DRB 식별자의 정보값이, UE(122)의 현재 설정의 일부가 아닌 것을 확인한 후, 혹은 LTE PDCP 엔티티가 확립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에 행해져도 된다.
다음으로 도 5, 도 6 및 도 8을 이용하여, DRB 설정 수순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UE(122)의 처리부(502)는, 수신부(500)로부터 수신한, DRB 설정을 포함하는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에, 풀 설정이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것을 확인한다(스텝 S800).
다음으로 UE(122)의 처리부(502)는, 상기 DRB 설정에 포함되는 DRB 식별자의 값이, UE(122)의 현재 설정의 일부가 아닌 경우이며, 또한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확립된 DRB에, LTE PDCP 엔티티가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DRB가 확립되었다는 정보와, 상기 확립된 DRB의 EPS 베어러 식별자를, 상위 레이어에 통지한다(스텝 S802). UE(122)의 처리부(502)는, 상기 DRB 설정에 포함되는 DRB 식별자의 값이, UE(122)의 현재 설정의 일부가 아닌 경우이며, 또한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확립된 DRB에, LTE PDCP 엔티티가 확립되지 않은 경우에는, DRB가 확립되었다는 정보와, 상기 확립된 DRB의 EPS 베어러 식별자를, 상위 레이어에 통지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확립된 DRB에, LTE PDCP 엔티티가 확립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확립된 DRB에, LTE에 의해 PDCP 엔티티가 확립되어 있는 경우」로 치환해도 되고, 「상기 DRB 설정에 LTE PDCP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로 치환해도 된다. 또한, 「LTE PDCP 엔티티가 확립되어 있는 경우」란, PDCP 엔티티의 확립이, LTE용 RRC 엔티티로 확립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DRB 설정에 LTE PDCP 설정이 포함된다」란 LTE용 RRC 엔티티의 DRB 설정에 PDCP 설정이 포함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확립된 DRB에, LTE PDCP 엔티티가 확립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확립된 DRB에, LTE에 의해 PDCP 엔티티가 확립되지 않은 경우」로 치환해도 되고, 「상기 DRB 설정에 LTE PDCP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로 치환해도 된다. 또한, 「LTE PDCP 엔티티가 확립되지 않은 경우」란, PDCP 엔티티의 확립이, LTE용 RRC 엔티티로 확립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DRB 설정에 LTE PDCP 설정이 포함되지 않는다」란 LTE용 RRC 엔티티의 DRB 설정에 PDCP 설정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각 정보를 확인하는 순번은 이와 같지 않아도 된다. 풀 설정이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것의 확인은, 스텝 S802에 있어서, DRB 식별자의 정보값이, UE(122)의 현재 설정의 일부가 아닌 것을 확인한 후, 혹은 LTE PDCP 엔티티가 확립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에 행해져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 장치는, 프로토콜 처리의 복잡함을 경감시켜, 효율적으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DRB 설정은, RRC 커넥션 재설정 수순뿐만 아니라, RRC 확립(RRC Establishment) 수순이나, RRC 재확립(RRC Re-Establishment) 수순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LTE PDCP」라고 기술하였지만, 비특허문헌 4에 기재된 LTE용 RRC 엔티티로 설정하는 PDCP인 것이 명확한 경우에는, LTE는 붙이지 않고, 「PDCP」라고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도록, Central Processing Unit(CPU) 등을 제어하여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프로그램 혹은 프로그램에 의해 취급되는 정보는, 처리 시에 일시적으로 Random Access Memory(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에 읽어들여지거나, 혹은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나 Hard Disk Drive(HDD)에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서 CPU에 의해 판독, 수정·기입이 행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치의 일부를 컴퓨터로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 이 제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이도록 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란, 장치에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주변 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반도체 기록 매체, 광기록 매체, 자기 기록 매체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나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을 통해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경우의 통신선과 같이, 단시간, 동적으로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것, 그 경우의 서버나 클라이언트로 되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와 같이, 일정 시간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되며, 나아가 전술한 기능을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사용한 장치의 각 기능 블록 또는 여러 특징은, 전기 회로, 즉 전형적으로는 집적 회로 혹은 복수의 집적 회로에 실장 또는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전기 회로는, 범용 용도 프로세서,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SP), 특정 용도용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그 밖의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디스크리트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스크리트 하드웨어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을 포함해도 된다. 범용 용도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여도 되고, 그 대신에 프로세서는 종래형의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이어도 된다. 범용 용도 프로세서 또는 전술한 각 회로는, 디지털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아날로그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에 의해 현재의 집적 회로를 대체할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출현할 경우, 당해 기술에 의한 집적 회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에서는, 장치의 일례를 기재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옥내외에 설치되는 거치형 또는 비가동형의 전자 기기, 예를 들어 AV 기기, 주방 기기, 청소·세탁 기기, 공조 기기, 사무 기기, 자동 판매기, 기타 생활 기기 등의 단말 장치 혹은 통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결론〕
본 발명의 양태 1에 따른 단말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단말 장치이며,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DRB 설정을 포함하는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에, 풀 설정이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DRB 설정의 정보에 포함되는 DRB 식별자가, 상기 단말 장치의 현재의 설정의 일부가 아닌 경우이며,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확립된 DRB에, LTE PDCP 엔티티가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확립된 DRB와, 상기 DRB 설정의 정보에 포함되는 EPS 베어러 식별자를 관련짓는 처리부를 갖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양태 2에 따른 단말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단말 장치이며, 기지국 장치로부터 DRB 설정을 포함하는 RRC 커넥션 재설정 요구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에, 풀 설정이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는 포함되지 않고, 상기 DRB 설정에 포함되는 DRB 식별자가, 상기 단말 장치의 현재의 설정의 일부가 아닌 경우이며,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확립된 DRB에, LTE PDCP 엔티티가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DRB가 확립된 정보, 및 상기 확립된 DRB의 EPS 베어러 식별자를 상위 레이어에 통지하는 처리부를 갖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양태 3에 따른 단말 장치는, E-UTRA의 기지국 장치 및 NR의 기지국 장치와, MR-DC를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단말 장치이며,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DRB 설정을 포함하는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에, 풀 설정이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DRB 설정의 정보에 포함되는 DRB 식별자가, 상기 단말 장치의 현재의 설정의 일부가 아닌 경우이며,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확립된 DRB에, LTE PDCP 엔티티가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확립된 DRB와, 상기 DRB 설정의 정보에 포함되는 EPS 베어러 식별자를 관련짓는 처리부를 갖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양태 4에 따른 단말 장치는, E-UTRA의 기지국 장치 및 NR의 기지국 장치와, MR-DC를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단말 장치이며, 기지국 장치로부터 DRB 설정을 포함하는 RRC 커넥션 재설정 요구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에, 풀 설정이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는 포함되지 않고, 상기 DRB 설정에 포함되는 DRB 식별자가, 상기 단말 장치의 현재의 설정의 일부가 아닌 경우이며,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확립된 DRB에, LTE PDCP 엔티티가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DRB가 확립된 정보, 및 상기 확립된 DRB의 EPS 베어러 식별자를 상위 레이어에 통지하는 처리부를 갖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양태 5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단말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이며,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DRB 설정을 포함하는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에, 풀 설정이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DRB 설정의 정보에 포함되는 DRB 식별자가, 상기 단말 장치의 현재의 설정의 일부가 아닌 경우이며,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확립된 DRB에, LTE PDCP 엔티티가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확립된 DRB와, 상기 DRB 설정의 정보에 포함되는 EPS 베어러 식별자를 관련짓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양태 6에 따른 단말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단말 장치이며,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DRB(Data Radio Bearer) 설정을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DRB 설정에 포함되는 DRB 식별자가 상기 단말 장치에 설정되지 않은 것, 및 상기 DRB 설정에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어 있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DRB가 확립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확립된 DRB의 EPS 베어러 식별자를 상위 레이어에 통지하는 처리부를 갖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양태 7에 따른 기지국 장치는, 단말기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장치이며, DRB(Data Radio Bearer) 설정을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가지며, 상기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는,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해서, 상기 DRB 설정에 포함되는 DRB 식별자가 상기 단말 장치에 설정되지 않은 것, 및 상기 DRB 설정에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어 있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DRB가 확립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확립된 DRB의 EPS 베어러 식별자를 하위 레이어로부터 상위 레이어에 통지시키는 메시지인 구성이다.
본 발명의 양태 8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단말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이며,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DRB(Data Radio Bearer) 설정을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DRB 설정에 포함되는 DRB 식별자가 상기 단말 장치에 설정되지 않은 것, 및 상기 DRB 설정에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어 있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DRB가 확립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확립된 DRB의 EPS 베어러 식별자를 상위 레이어에 통지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양태 9에 따른 방법은, 단말기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이며, DRB(Data Radio Bearer) 설정을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는,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해서, 상기 DRB 설정에 포함되는 DRB 식별자가 상기 단말 장치에 설정되지 않은 것, 및 상기 DRB 설정에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어 있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DRB 식별자를 갖는 DRB가 확립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확립된 DRB의 EPS 베어러 식별자를 하위 레이어로부터 상위 레이어에 통지시키는 메시지인 방법이다.
또한, 이들 포괄적 또는 구체적인 양태는, 시스템, 장치, 방법, 집적 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기록 매체로 실현되어도 되고, 시스템, 장치, 방법, 집적 회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서로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요소이며,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요소끼리를 치환한 구성도 포함된다.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11월 1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7-219899호에 대해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것을 참조함으로써, 그 내용의 전부가 본서에 포함된다.
100: E-UTRA
102: eNB
104: EPC
106: NR
108: gNB
110: 5GC
112, 114, 116, 118, 120, 124: 인터페이스
122: UE
200, 300: PHY
202, 302: MAC
204, 304: RLC
206, 306: PDCP
208, 308: RRC
310: SDAP
500: 수신부
502: 처리부

Claims (4)

  1. 하나 또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단말 장치이며,
    처리부와,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 중 하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 RRC(Radio Resource Control)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는, DRB(Data Radio Bearer) 식별자에 관련되는 DRB용으로서, NR(New Radio technology)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티티 설정과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PDCP 엔티티 설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이고,
    상기 DRB 식별자가 상기 단말 장치에 현재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DRB 식별자에 관련되는 DRB 설정에 상기 E-UTRA PDCP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는 경우와, 상기 DRB 식별자에 관련되는 상기 DRB 설정에 상기 E-UTRA PDCP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상기 처리부는, 2개의 조건의 양쪽을 충족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DRB가 확립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확립된 DRB의 EPS 베어러 식별자를 상위 레이어에 통지하고,
    상기 2개의 조건은, 상기 DRB 식별자가 상기 단말 장치에 현재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조건, 및, 상기 DRB 식별자에 관련되는 상기 DRB 설정에 상기 E-UTRA PDCP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는 조건인, 단말 장치.
  2. 단말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장치이며,
    RRC(Radio Resource Control)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가지며,
    상기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는, DRB(Data Radio Bearer) 식별자에 관련되는 DRB용으로서, NR(New Radio technology)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티티 설정과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PDCP 엔티티 설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이고,
    상기 DRB 식별자가 상기 단말 장치에 현재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DRB 식별자에 관련되는 DRB 설정에 상기 E-UTRA PDCP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는 경우와, 상기 DRB 식별자에 관련되는 상기 DRB 설정에 상기 E-UTRA PDCP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상기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는,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해서, 2개의 조건의 양쪽을 충족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DRB가 확립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확립된 DRB의 EPS 베어러 식별자를 상위 레이어에 통지시키는 메시지이고,
    상기 2개의 조건은, 상기 DRB 식별자가 상기 단말 장치에 현재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조건, 및, 상기 DRB 식별자에 관련되는 상기 DRB 설정에 상기 E-UTRA PDCP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는 조건인, 기지국 장치.
  3. 하나 또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단말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이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 중 하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 RRC(Radio Resource Control)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는, DRB(Data Radio Bearer) 식별자에 관련되는 DRB용으로서, NR(New Radio technology)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티티 설정과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PDCP 엔티티 설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이고,
    상기 DRB 식별자가 상기 단말 장치에 현재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DRB 식별자에 관련되는 DRB 설정에 상기 E-UTRA PDCP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는 경우와, 상기 DRB 식별자에 관련되는 상기 DRB 설정에 상기 E-UTRA PDCP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2개의 조건의 양쪽을 충족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DRB가 확립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확립된 DRB의 EPS 베어러 식별자를 상위 레이어에 통지하고,
    상기 2개의 조건은, 상기 DRB 식별자가 상기 단말 장치에 현재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조건, 및, 상기 DRB 식별자에 관련되는 상기 DRB 설정에 상기 E-UTRA PDCP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는 조건인, 방법.
  4. 단말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이며,
    RRC(Radio Resource Control)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는, DRB(Data Radio Bearer) 식별자에 관련되는 DRB용으로서, NR(New Radio technology)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티티 설정과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PDCP 엔티티 설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이고,
    상기 DRB 식별자가 상기 단말 장치에 현재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DRB 식별자에 관련되는 DRB 설정에 상기 E-UTRA PDCP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는 경우와, 상기 DRB 식별자에 관련되는 상기 DRB 설정에 상기 E-UTRA PDCP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상기 RRC 커넥션 재설정 메시지는,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해서, 2개의 조건의 양쪽을 충족하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DRB가 확립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확립된 DRB의 EPS 베어러 식별자를 상위 레이어에 통지시키는 메시지이고,
    상기 2개의 조건은, 상기 DRB 식별자가 상기 단말 장치에 현재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조건, 및, 상기 DRB 식별자에 관련되는 상기 DRB 설정에 상기 E-UTRA PDCP 엔티티 설정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는 조건인, 방법.
KR1020207016528A 2017-11-15 2018-11-09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방법 Active KR102694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19899A JP7095977B2 (ja) 2017-11-15 2017-11-15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方法
JPJP-P-2017-219899 2017-11-15
PCT/JP2018/041736 WO2019098143A1 (ja) 2017-11-15 2018-11-09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841A KR20200085841A (ko) 2020-07-15
KR102694443B1 true KR102694443B1 (ko) 2024-08-13

Family

ID=66537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528A Active KR102694443B1 (ko) 2017-11-15 2018-11-09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1910464B2 (ko)
EP (2) EP4114133B1 (ko)
JP (1) JP7095977B2 (ko)
KR (1) KR102694443B1 (ko)
CN (2) CN117750540A (ko)
CA (1) CA3082921A1 (ko)
MY (1) MY204920A (ko)
TW (1) TWI787389B (ko)
WO (1) WO20190981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3252B2 (ja) * 2017-12-28 2022-03-29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7145611B2 (ja) 2017-12-28 2022-10-03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方法、および、集積回路
EP4030841A4 (en) * 2019-09-30 2022-09-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43763B (zh) * 2012-09-28 2023-03-31 三菱电机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
MX344890B (es) * 2012-11-13 2017-01-10 Huawei Tech Co Ltd Metodo, estacion base y equipo de usuario de transmision de datos.
WO2015008989A1 (en) 2013-07-14 2015-01-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radio bearers for dual connectiv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349389B (zh) * 2013-08-02 2019-03-01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建立无线承载的方法和装置
EP3496495B1 (en) * 2013-10-31 2020-11-25 Ne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15070445A1 (zh) * 2013-11-15 2015-05-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建立无线承载的方法及基站
JP6507425B2 (ja) * 2014-01-24 2019-05-08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アクセス制御方法および集積回路
GB2528913B (en) * 2014-08-04 2017-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ling in dual connectivity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WO2017173586A1 (zh) * 2016-04-05 2017-10-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户终端的管理方法及相关设备
JP2017219899A (ja) 2016-06-03 2017-12-1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ナレッジ検索装置、ナレッジ検索方法、および、ナレッジ検索プログラム
EP3596997B1 (en) * 2017-04-27 2023-03-08 Sony Group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frastructure equipment,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s
JP7093614B2 (ja) 2017-06-15 2022-06-30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CN116347668A (zh) 2017-06-16 2023-06-27 苹果公司 用于承载类型更改的l2处理
JP2019009720A (ja) 2017-06-28 2019-01-17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EP4369848A3 (en) * 2017-08-11 2024-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bearer type change of a plurality of bearers configured for user equipment
US11026291B2 (en) * 2017-09-29 2021-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handling user plane in dual connectiv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704192
3GPP R2-1708036
3GPP R2-171196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20117767A (ru) 2021-12-16
WO2019098143A1 (ja) 2019-05-23
EP3713371A4 (en) 2021-03-03
CN111587607A (zh) 2020-08-25
EP4114133A1 (en) 2023-01-04
TWI787389B (zh) 2022-12-21
EP3713371A1 (en) 2020-09-23
CN111587607B (zh) 2023-12-15
KR20200085841A (ko) 2020-07-15
US20210176813A1 (en) 2021-06-10
US11910464B2 (en) 2024-02-20
JP7095977B2 (ja) 2022-07-05
CA3082921A1 (en) 2019-05-23
EP3713371B1 (en) 2022-09-28
EP4114133B1 (en) 2025-02-12
CN117750540A (zh) 2024-03-22
US12193098B2 (en) 2025-01-07
TW201924471A (zh) 2019-06-16
US20240188171A1 (en) 2024-06-06
MY204920A (en) 2024-09-23
JP2019092055A (ja) 2019-06-13
RU2020117767A3 (ko)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31345A1 (ja) 端末装置、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11375563B2 (en) Terminal apparatus,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CN111345064B (zh) 终端装置以及方法
WO2019098148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方法
JP7645333B2 (ja) 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
KR102694443B1 (ko)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방법
US12022549B2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US11582094B2 (en) Terminal apparatus,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11382165B2 (en) Terminal apparatus,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KR102492757B1 (ko)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N112470544A (zh)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方法
WO2020095838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方法
WO2019098266A1 (ja) 端末装置および方法
JP7518306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方法
WO2019031217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及び、これらの装置により実行される方法
JP2022118227A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方法
WO2020013029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方法
JP2022185122A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9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