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2771B1 - 이물질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2771B1
KR102692771B1 KR1020230055395A KR20230055395A KR102692771B1 KR 102692771 B1 KR102692771 B1 KR 102692771B1 KR 1020230055395 A KR1020230055395 A KR 1020230055395A KR 20230055395 A KR20230055395 A KR 20230055395A KR 102692771 B1 KR102692771 B1 KR 102692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foreign substances
roll
foreign matter
su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5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석
Original Assignee
안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석 filed Critical 안병석
Priority to KR1020230055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2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2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27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E01H1/0854Apparatus in which the mechanically dislodged dirt is partially sucked-off, e.g. dislodging- sweeping apparatus with dirt collector in brush housing or dirt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4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from a small area, e.g. a to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63Apparatus loosening or removing the dirt by blowing and subsequently dislodging it at least partially by suction ; Combined suction and blowing nozz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3/00Applying liquids to roads or like surfaces, e.g. for dust control; Stationary flushing devices
    • E01H3/02Mobile apparatus, e.g. watering-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러쉬를 진행방향과 반대로 회전시킴에 따라 이물질을 비산시켜 흡입할 수 있는 이물질 흡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장치의 하단에 결합되어 이동 중 이물질을 흡입하는 이물질 흡입장치에 있어서, 집진장치의 하단에 형성되며,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챔버와 포집챔버의 일단에 형성되며, 동력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이물질을 수거하는 수거장치와 포집챔버의 외측에 형성되며, 지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포집챔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이물질 흡입장치{Suction Appararus for Foreign Substance}
본 발명은 브러쉬를 진행방향과 반대로 회전시킴에 따라 이물질을 비산시켜 흡입할 수 있는 이물질 흡입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차량 본체; 차량 본체에 장착되며, 노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 흡입부로 흡입력을 제공하는 송풍력 발생부;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을 중력에 의해 1차적으로 이물질 처리를 하는 제1적재부; 제1 적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사이클론부가 구비되어 제1 적재부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에 대해 2차적으로 이물질 처리를 하는 제2 적재부; 제2 적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제2 적재부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에 대해 제1 필터를 통해 3차적으로 이물질 처리를 하는 제3 적재부; 제1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공기는 메인덕트로 안내되고, 제2 필터를 통해 메인덕트로 유입된 공기에 대해 4차적으로 이물질 처리를 하는 미세 필터부; 및 미세 필터부를 통해 필터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덕트; 를 포함하는 다단 이물질 처리 방식의 도로분진 흡입청소차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도로면으로부터 흡입되는 이물질이 수용되고, 제1, 2 배출구가 하단에 형성되는 적재함; 제1, 2배출구와 연통되는 제1, 2 유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이물질을 회전되는 이송스크류에 의해 배출구쪽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물질 이송장치; 배출구를 왕복운동하는 게이트에 의해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개폐실린더; 배출구에 개구부가 끼워지고 이물질이 임의량으로 채워질 경우 개구부를 조여 결속시키기 위한 띠 형태의 결속구가 형성되는 포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제2 구동모터와 제2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외주연에 스크류형태의 돌기부가 형성되는 원통형태의 체결구와 체결구 외측으로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며, 양단이 개방되는 원통형태의 케이싱을 구비하여, 포대에 이물질이 임의량으로 채워져 개폐실린더의 신장구동시 게이트에 의해 배출구가 닫히는 경우, 결속구 체결에 의해 포대의 개구부를 결속시키는 결속장치; 를 포함하는 도로분진청소차의 비산방지용 분진 배출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차량에 장착되는 마운팅패널이 후면에 부착되고 양측 내면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마운팅 가이더와, 가이드레일에 사방에 설치된 가이드롤러가 결합되고, 리프팅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리프트와, 리프트의 상하에 수평상으로 이격 설치된 이송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송하는 이송하우징과, 이송하우징에 연결된 수거함 지지대가 후면 및 양측면을 감싸게 일체로 연결되고 전방이 개방된 쓰레기 수거함과, 수거함 지지대의 양측 선단에 설치된 스위퍼 장착대에 장착되고, 스위퍼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전방의 쓰레기를 쓰레기 수거함으로 쓸어 담는 회전스위퍼로 구성된 전방쓰레기 수거장치; 차량의 운전석 후방에 설치된 탑의 내부에 저상으로 형성된 작업룸; 작업룸의 양측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측방에 산재한 쓰레기의 수거작업시 작업룸을 개방시키는 슬라이딩도어; 를 포함하는 다기능 저상형 도로청소차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차량의 측부와 하부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설치되어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도로면의 슬러지를 제거하는 고압살수부; 제거된 슬러지를 흡입하는 흡입부; 고압살수부와 흡입부가 도로면의 굴곡에 따라 도로면에 밀착하도록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틸팅되도록 하는 틸팅구동부; 가 포함되고, 틸팅구동부는 흡입부에 연결되어 도로면의 굴곡에 따라 고압살수부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1틸팅아암과, 도로면의 굴곡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 및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흡입부에 연결된 후륜 바퀴부와, 도로면의 굴곡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 및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고압살수부에 연결된 전륜 바퀴부와, 전륜 바퀴부와 흡입부에 각각 연결되고, 고압살수부와 전륜 바퀴부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2틸팅아암이 포함되는 도로면의 비점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고압살수장치가 구비된 진공흡입 청소차량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1975035 B1 (2019년04월26일) KR 10-2064528 B1 (2020년01월03일) KR 10-0901150 B1 (2009년05월29일) KR 10-0959401 B1 (2010년05월14일)
본 발명은 브러쉬를 진행방향과 반대로 회전시킴에 따라 이물질을 비산시켜 흡입할 수 있는 이물질 흡입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이물질 흡입장치에 대한 것으로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장치(1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이동 중 이물질을 흡입하는 이물질 흡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1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챔버(200); 상기 포집챔버(200)의 일단에 형성되며, 동력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이물질을 수거하는 수거장치(300); 상기 포집챔버(200)의 외측에 형성되며, 지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포집챔버(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장치(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이물질 흡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포집챔버(200); 수거장치(300); 지지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포집챔버(200)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수거장치(300)가 수용되는 수거부(210); 상기 수거부(2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수거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220); 상기 포집부(220)의 상부에 형성되며, 포집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집진장치(100)로 전달하는 흡입부(2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이물질 흡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포집챔버(200); 수거장치(300); 지지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수거부(210)에 형성되며,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수거함체(211); 상기 수거함체(211)의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수거장치(300)가 체결되는 체결판(212);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이물질 흡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포집챔버(200); 수거장치(300); 지지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포집부(220)에 형성되며, 상기 수거부(210)에서 수거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함체(221); 상기 포집함체(221)의 일면에 형성되며, 이물질이 유입 및 배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222);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이물질 흡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포집챔버(200); 수거장치(300); 지지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흡입부(230)에 형성되며, 상기 집진장치(100)와 연결되는 흡입관(231); 상기 흡입관(231)의 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포집부(220)의 일측과 사선으로 연장되는 흡입함체(232);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이물질 흡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포집챔버(200); 수거장치(300); 지지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수거장치(300)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챔버(2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거롤(310); 상기 수거롤(3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물질을 수거하는 브러쉬(3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이물질 흡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포집챔버(200); 수거장치(300); 지지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브러쉬(330)는 상기 수거롤(310)의 중심에서 양측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사선으로 설치되는 수거브러쉬(331); 상기 수거브러쉬(331)의 양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이물질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브러쉬(332);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이물질 흡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포집챔버(200); 수거장치(300); 지지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수거롤(310)에 형성되며, 상기 수거브러쉬(331)가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리되는 제 1수거롤(311); 상기 제 1수거롤(311)의 양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브러쉬(332)가 체결되는 제 2수거롤(312);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이물질 흡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포집챔버(200); 수거장치(300); 지지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지지장치(400)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챔버(200)의 양측에 결합되는 지지휠(410); 상기 포집챔버(200)의 후면에 형성되며, 탄성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완충휠(42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집진장치에서 포집챔버가 승하강함에 따라 이동 중 지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브러쉬가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브러쉬가 'V'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이물질이 포집부로 상승하여 전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흡입부가 사선으로 형성됨에 따라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거롤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리됨에 따라 교체가 간단히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가 설치된 집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거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거롤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거장치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이물질 흡입장치에 있어서,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장치(1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이동 중 이물질을 흡입하는 이물질 흡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1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챔버(200); 상기 포집챔버(200)의 일단에 형성되며, 동력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이물질을 수거하는 수거장치(300); 상기 포집챔버(200)의 외측에 형성되며, 지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포집챔버(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장치(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100)는 청소차 및 청소기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100)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챔버(200)에 포집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펌프; 상기 흡입펌프에 연결되며, 이물질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포집챔버(200)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집진장치(100)와 결합되는 결합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챔버(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수거장치(300)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포집챔버(200)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물질 흡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이물질 흡입장치는 도로, 인도, 세대내 바닥 등을 이동하며 이물질을 포집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물질 흡입장치는 도 1을 참조하면, 청소차, 청소기 등으로 형성되는 집진장치(100)에 결합되어 이동함에 따라 이물질을 흡입하는 것으로 집진장치(100)는 지면에서 흡입한 이물질이 집진되는 것으로 공기를 흡입한다. 이때, 이물질 흡입장치는 지면에서 흡입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펌프와 흡입펌프에 연결되어 이물질을 저장하는 저장탱크가 형성되며, 흡입펌프와 저장탱크는 일체 또는 분리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물질 흡입장치는 집진장치(1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챔버(200)가 형성된다. 포집챔버(200)는 집진장치(100)와 결합되는 결합장치가 형성되며, 결합장치는 포집챔버(20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높이조절장치가 형성되어 집진장치(100)에서 이물질을 흡입하지 않고 이동할 때 포집챔버(200)를 집진장치(100)의 하단면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높이조절장치는 실린더에 의하여 포집챔버(200)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결합장치가 힌지로 형성됨에 따라 포집챔버(200)를 회전 또는 승하강시킨다.
또한, 포집챔버(200)의 일단에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수거장치(300)가 형성되며, 수거장치(300)는 집진장치(100)가 이동할 때 회전함에 따라 이물질에 타격을 가하여 집진장치(100)로 이송한다.
그리고 포집챔버(200)의 외측에는 포집챔버(200)의 하단이 지면에 접하지 않고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지지장치(400)가 형성되며, 지지장치(400)는 집진장치(100)가 이동할 때 포집챔버(2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지면을 이동하는 집진장치(100)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수거 및 포집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이물질 흡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포집챔버(200)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수거장치(300)가 수용되는 수거부(210); 상기 수거부(2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수거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220); 상기 포집부(220)의 상부에 형성되며, 포집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집진장치(100)로 전달하는 흡입부(23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220)에 형성되며, 상기 수거부(210)에서 수거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함체(221);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포집함체(221)는 상기 수거부(210)의 전면 중심에서 전면으로 돌출되어 흡입부(230)가 결합되는 제 1포집판; 상기 제 1포집판의 단부에서 하부로 하강하도록 연장되는 제 2포집판; 상기 제 2포집판의 전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3포집판;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포집함체(221)의 일면에 형성되며, 이물질이 유입 및 배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222);을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222)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부(220)의 전면에 형성되어 이물질이 유입되는 유입가이드판(222a); 상기 유입가이드판(222a)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이물질의 배출을 방지하는 배출가이드판(222b);을 포함한다.
(실시예 2-6)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230)에 형성되며, 상기 집진장치(100)와 연결되는 흡입관(231); 상기 흡입관(231)의 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포집부(220)의 일측과 사선으로 연장되는 흡입함체(2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포집챔버(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포집챔버(200)는 집진장치(100)의 하단에 형성되어 수거장치(300)가 수용되어 이물질을 수거 및 포집하는 것이다. 이러한 포집챔버(200)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동력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이물질을 수거하는 수거장치(300)가 수용되는 수거부(210)가 형성되며, 수거부(210)는 집진장치(100)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인 포집챔버(200)의 후면에 형성되어 전면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타격하여 수거부(210)의 일측에 형성되는 포집부(220)로 전달한다. 그리고 수거부(210)는 집진장치(100)의 진행방향과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전면의 포집부(220)로 이물질을 전달하는 것으로 포집부(220)에 형성되는 포집함체(221)에 이물질이 포집된다. 또한, 포집함체(221)는 수거부(210)의 전면에 이물질을 비산시켜 포집부(220)의 상부에 형성되는 흡입부(230)를 통해 흡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포집함체(221)는 수거부(210)의 전면 중심에서 전면으로 돌출되어 흡입부(230)가 결합되는 제 1포집판과 제 1포집판의 단부에서 하부로 하강하도록 연장되는 제 2포집판과 제 2포집판의 전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3포집판이 형성된다. 이때, 제 3포집판의 전면 일단에는 사선으로 상승하도록 형성되는 유입판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가이드판(222)이 결합된다. 그리고 제 1포집판은 수거부(210)의 전면 중심에서 연장됨에 따라 수거장치(300)가 회전할 ‹š 이물질이 수거부(210)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포집부(220)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포집함체(221)의 하단 전면부와 측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판(222)이 형성되며, 가이드판(222)은 포집함체(221)의 전면에 사선으로 형성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가이드하는 유입가이드판(222a)이 형성된다. 유입가이드판(222a)은 금속 재질의 포집챔버(200)와 동일하거나 다른 종류의 합성수지, 고무로 형성되어 이물질이 원활히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유입가이드판(222a)은 지면에서 이격되어 형성됨에 따라 이물질을 유입하는 것으로 이물질의 크기에 따라 유입되는 이물질의 종류가 결정된다.
그리고 유입가이드판(222a)의 양측에는 포집챔버(200)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배출가이드판(222b)이 형성되며, 배출가이드판(222b)은 유입가이드판(222a)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나 지면과 접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집함체(221)의 상부에 형성되는 흡입부(230)는 집진장치(100)의 흡입펌프와 연결되어 고압으로 이물질을 흡입하는 것으로 이물질이 이동하는 흡입관(231)이 형성되며, 흡입관(231)은 주름관 또는 복수의 관이 서로 겹치게 형성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관(231)과 포집함체(221)가 서로 접하는 위치에는 흡입함체(232)가 형성되며, 흡입함체(232)는 상기 흡입관(231)의 양측에서 사선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물질이 흡입관(231)으로 집중되어 흡입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흡입함체(232)는 폭이 흡입관(231)과 일치하거나 좁게 형성되거나 상부에서 하부로 향할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포집함체(221)에 형성되는 흡입 범위가 넓어지도록 하여 비산되는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한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이물질 흡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210)에 형성되며,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수거함체(211); 상기 수거함체(211)의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수거장치(300)가 체결되는 체결판(212);을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체(211)의 후면 하단에 형성되며, 이물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213);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체(211)와 상기 포집함체(221)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챔버(200)를 고정하는 고정판(214);을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212)은 상기 고정판(214)에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212)에 형성되며, 상기 수거장치(3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12a);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거부(21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수거부(210)는 수거장치(300)가 수용되어 이물질이 수거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거부(210)는 도 4를 참조하면,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수거함체(211)가 형성되며, 수거함체(211)는 하단이 개방되어 형성되어 이물질이 수거장치(300)에 의하여 포집부(220)로 전달된다. 그리고 수거함체(211)의 양측에는 체결판(212)이 형성되며, 체결판(212)은 수거장치(300)가 체결되는 것으로 체결판(212)에는 사선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212a)이 형성되어 수거장치(300)의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판(212)은 수거함체(211)와 포집함체(221)의 양측을 연결하는 고정판(214)이 형성되며, 고정판(214)은 체결판(212)이 결합되는 위치가 개방되어 체결판(212)이 고정판(214)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수거함체(211)의 후면 하단에는 수거장치(300)가 회전할 때 포집부(220)로 전달되지 않는 이물질이 수거함체(2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213)이 형성된다. 이탈방지판(213)은 하단이 고무로 형성되어 이물질이 지면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이물질 흡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수거장치(300)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챔버(2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거롤(310); 상기 수거롤(3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물질을 수거하는 브러쉬(33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수거롤(310)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수거롤(310)을 회전시키는 수거모터(320);를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수거모터(320)에 형성되며, 상기 수거롤(310)에 결합되는 결합롤(321); 상기 결합롤(321)과 연결되며, 상기 수거모터(320)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레일(322);을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수거롤(310)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롤(321)이 체결되는 베어링;을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수거모터(320)는 상기 포집챔버(20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수거판(323)에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4-5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330)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7)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4-5에 있어서, 상기 수거롤(310)에 형성되며, 수거브러쉬(331)가 결합되는 제 1체결홀(314); 상기 제 1체결홀(314)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이탈방지브러쉬(332)가 결합되는 제 2체결홀(31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거장치(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수거장치(300)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이물질을 수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거장치(300)는 도 5를 참조하면, 포집챔버(200)의 수거부(210)에 수용되는 수거롤(310)에 형성되며, 수거롤(310)의 외측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복수의 브러쉬(3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수거롤(310)은 원형의 관으로 형성되며, 포집챔버(200)의 외측에 형성되는 수거모터(320)에 의하여 회전한다. 또한, 수거모터(320)는 포집챔버(20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수거판(323)에 결합되는 것으로 수거판(323)은 수거함체(211)와 포집함체(221)를 연결하는 고정판(214) 중 어느 하나에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수거모터(320)는 수거롤(31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롤(321)과 회전레일(322)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회전레일(322)이 수거모터(320)에 의하여 회전하면 결합롤(321)이 회전함에 따라 수거롤(310)을 회전시킨다.
또한, 수거롤(310)은 양단부에 베어링이 형성되어 결합롤(321)이 회전함에 따라 수거롤(310)을 효과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수거롤(310)에는 브러쉬(330)가 체결되는 것으로 수거롤(310)은 후술되는 수거브러쉬(331)가 결합되는 제 1체결홀(314)과 제 1체결홀(314)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이탈방지브러쉬(332)가 결합되는 제 2체결홀(315)이 형성된다. 또한, 제 1체결홀(314)은 'V'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체결홀(315)은 원형의 수거롤(310)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이물질 흡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330)는 상기 수거롤(310)의 중심에서 양측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사선으로 설치되는 수거브러쉬(331); 상기 수거브러쉬(331)의 양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이물질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브러쉬(332);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수거브러쉬(331)는 서로 이격되도록 등간격으로 상기 수거롤(310)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브러쉬(332)는 상기 수거브러쉬(331)의 양측에 서로 접하도록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수거브러쉬(331)는 상기 포집부(220) 방면으로 이물질이 전달되도록 중심에서 양측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사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브러쉬(33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브러쉬(330)는 수거롤(310)에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이물질을 포집부(220)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브러쉬(330)는 도 5를 참조하면,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수거롤(310)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거홀에 결합된다. 그리고 각각의 수거홀에는 복수의 브러쉬(330)가 체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브러쉬(330)는 수거롤(310)의 중심에서 양측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사선으로 상승하도록 배치되는 수거브러쉬(3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수거브러쉬(331)는 포집부(220) 방면으로 중심에서 양측으로 상승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V'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물질이 수거브러쉬(331)에 의하여 중심으로 모아진 상태로 포집부(220)로 전달된다. 또한, 수거브러쉬(331)는 복수가 줄로 형성되며, 각각의 줄은 서로 이격되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는 이물질이 복수의 줄 사이로 유이보디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이 타격되어 상부로 상승하도록 한다.
그리고 수거롤(310)의 양측에는 원형으로 이탈방지브러쉬(332)가 형성되며, 이탈방지브러쉬(332)는 수거브러쉬(331)와 달리 이격되지 않고 촘촘히 형성되어 수거롤(310)의 외측으로 이물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이물질 흡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수거롤(310)에 형성되며, 상기 수거브러쉬(331)가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리되는 제 1수거롤(311); 상기 제 1수거롤(311)의 양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브러쉬(332)가 체결되는 제 2수거롤(312);를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제 1수거롤(311)은 복수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제 1수거롤(311)은 양단부가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4)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6-3에 있어서, 상기 제 2수거롤(312)은 일단부가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5)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6-4에 있어서, 상기 제 1수거롤(311)과 상기 제 2수거롤(312)의 일단부는 내측에서 외부로 돌출하는 결합돌기(3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거롤(31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수거롤(310)은 수거장치(300)에 형성되며, 수거브러쉬(331)와 이탈방지브러쉬(332)가 체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거롤(310)은 도 7을 참조하면, 수거브러쉬(331)와 이탈방지브러쉬(332)가 각각 체결되는 제 1수거롤(311)과 제 2수거롤(312)로 형성되며, 제 1수거롤(311)과 제 2수거롤(312)은 서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분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제 1수거롤(311)은 중심에서 양측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 1수거롤(311)은 중심에서 분리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수거롤(310)을 제작할 때 일방향으로 수거브러쉬(331)가 사선으로 형성되도록 제작한 후 중심을 절단하여 한측을 회전시켜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제 1수거롤(311)의 제작 공정을 줄일 수 있으며, 제 1수거롤(311)이 지면에서 이물질을 수거할 때 수거브러쉬(331)가 파손되면 교체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수거롤(312)은 이탈방지브러쉬(332)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제 1수거롤(31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제 1수거롤(311)은 양단부가 단차지도록 형성되며, 일단부는 내부로 단차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내측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3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2수거롤(312)은 일단부가 내측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313)가 형성되나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어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 1수거롤(311) 및 제 2수거롤(312)은 서로 결합될 때 결합돌기(313)가 타 제 1수거롤(311)과 제 2수거롤(312)의 내측 단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이물질 흡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400)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챔버(200)의 양측에 결합되는 지지휠(410); 상기 포집챔버(200)의 후면에 형성되며, 탄성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완충휠(420);을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지지휠(410)은 베어링이 결합되며, 상기 집진장치(10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7-3)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실시예 7-2에 있어서, 상기 완충휠(420)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챔버(200)의 수거부(210)에서 연장되는 연장브라켓(421); 상기 연장브라켓(421)의 단부에 형성되며, 탄성에 의하여 완충하는 완충장치(4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지장치(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지지장치(400)는 포집챔버(200)의 외측에 형성되어 포집챔버(200)가 지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장치(400)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포집챔버(200)의 양측에 결합되는 지지휠(410)이 형성되며, 지지휠(410)은 집진장치(10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베어링에 의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수거부(210)의 외측에 형성되어 수거장치(3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유도하는 완충휠(420)이 형성되며, 완충휠(420)은 수거부(210)에서 연장되는 연장브라켓(421)과 연장브라켓(421)의 단부에서 탄성에 의하여 완충하는 완충장치(422)가 형성된다. 완충장치(422)는 케이싱 내부에 스프링, 공기가 충진되어 압력으로 완충휠(420)을 완충시키며, 완충휠(420)에 의하여 포집챔버(200)의 일단부가 지면에 닿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장치(100), 상기 집진장치(1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챔버(200), 상기 포집챔버(200)의 일단에 형성되며 동력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이물질을 수거하는 수거장치(300), 상기 포집챔버(200)의 외측에 형성되며 지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포집챔버(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장치(400)를 포함하는 이물질 흡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집챔버(200)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수거장치(300)가 수용되는 수거부(210); 상기 수거부(2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수거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220); 상기 포집부(220)의 상부에 형성되며, 포집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집진장치(100)로 전달하는 흡입부(230); 상기 수거장치(300)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챔버(2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거롤(310); 상기 수거롤(3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물질을 수거하는 브러쉬(330); 상기 브러쉬(330)는 상기 수거롤(310)의 중심에서 양측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사선으로 설치되는 수거브러쉬(331); 상기 수거브러쉬(331)의 양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이물질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브러쉬(332); 상기 이탈방지브러쉬는 상기 수거롤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탈방지브러쉬는 상기 수거브러쉬 보다 배치간격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00: 집진장치 200: 포집챔버
210: 수거부 211: 수거함체
212: 체결판 212a: 가이드홈
213: 이탈방지판 214: 고정판
220: 포집부 221: 포집함체
222: 가이드판 222a: 유입가이드판
222b: 배출가이드판 230: 흡입부
231: 흡입관 232: 흡입함체
300: 수거장치 310: 수거롤
311: 제 1수거롤 312: 제 2수거롤
313: 결합돌기 314: 제 1체결홀
315: 제 2체결홀 320: 수거모터
321: 결합롤 322: 회전레일
323: 수거판 330: 브러쉬
331: 수거브러쉬 332: 이탈방지브러쉬
400: 지지장치 410: 지지휠
420: 완충휠 421: 연장브라켓
422: 완충장치

Claims (9)

  1.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장치(100), 상기 집진장치(1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챔버(200), 상기 포집챔버(200)의 일단에 형성되며 동력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이물질을 수거하는 수거장치(300), 상기 포집챔버(200)의 외측에 형성되며 지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포집챔버(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장치(400)를 포함하는 이물질 흡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집챔버(200)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수거장치(300)가 수용되는 수거부(210);
    상기 수거부(2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수거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220);
    상기 포집부(220)의 상부에 형성되며, 포집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집진장치(100)로 전달하는 흡입부(230);
    상기 수거장치(300)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챔버(2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거롤(310);
    상기 수거롤(3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물질을 수거하는 브러쉬(330);
    상기 브러쉬(330)는 상기 수거롤(310)의 중심에서 양측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사선으로 설치되는 수거브러쉬(331);
    상기 수거브러쉬(331)의 양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이물질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브러쉬(332);
    상기 이탈방지브러쉬는 상기 수거롤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탈방지브러쉬는 상기 수거브러쉬 보다 배치간격이 작게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하는 이물질 흡입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210)에 형성되며,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수거함체(211);
    상기 수거함체(211)의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수거장치(300)가 체결되는 체결판(212);을 포함하는 이물질 흡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220)에 형성되며, 상기 수거부(210)에서 수거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함체(221);
    상기 포집함체(221)의 일면에 형성되며, 이물질이 유입 및 배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222);을 포함하는 이물질 흡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230)에 형성되며, 상기 집진장치(100)와 연결되는 흡입관(231);
    상기 흡입관(231)의 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포집부(220)의 일측과 사선으로 연장되는 흡입함체(232);를 포함하는 이물질 흡입장치.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거롤(310)에 형성되며, 상기 수거브러쉬(331)가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리되는 제 1수거롤(311);
    상기 제 1수거롤(311)의 양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브러쉬(332)가 체결되는 제 2수거롤(312);을 포함하는 이물질 흡입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400)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챔버(200)의 양측에 결합되는 지지휠(410);
    상기 포집챔버(200)의 후면에 형성되며, 탄성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완충휠(420);을 포함하는 이물질 흡입장치.
KR1020230055395A 2023-04-27 2023-04-27 이물질 흡입장치 Active KR102692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395A KR102692771B1 (ko) 2023-04-27 2023-04-27 이물질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395A KR102692771B1 (ko) 2023-04-27 2023-04-27 이물질 흡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92771B1 true KR102692771B1 (ko) 2024-08-06

Family

ID=9239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5395A Active KR102692771B1 (ko) 2023-04-27 2023-04-27 이물질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277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629A (ko) * 2001-09-29 2003-04-07 장대식 도로 청소용 차
KR100901150B1 (ko) 2008-12-08 2009-06-04 이텍산업 주식회사 다기능 저상형 도로청소차
KR100959401B1 (ko) 2009-08-21 2010-05-24 대경건설산업(주) 도로면의 비점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고압살수장치가 구비된 진공흡입 청소차량
KR100960548B1 (ko) * 2009-12-31 2010-06-03 김환용 쓰레기 청소장치
KR20150109812A (ko) * 2014-03-21 2015-10-02 하종일 노면의 상태에 따라 청소강도를 조절하는 청소차
KR101975035B1 (ko) 2018-10-30 2019-05-03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다단 이물질 처리 방식의 도로분진 흡입청소차
KR102064528B1 (ko) 2017-11-07 2020-01-09 김혜경 도로분진청소차의 비산방지용 분진 배출장치
US20200129031A1 (en) * 2014-07-16 2020-04-30 Markus Kress Roller Brush, In Particular For A Cleaning and/or Maintenance Device And A Cleaning and/or Maintenance Devi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629A (ko) * 2001-09-29 2003-04-07 장대식 도로 청소용 차
KR100901150B1 (ko) 2008-12-08 2009-06-04 이텍산업 주식회사 다기능 저상형 도로청소차
KR100959401B1 (ko) 2009-08-21 2010-05-24 대경건설산업(주) 도로면의 비점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고압살수장치가 구비된 진공흡입 청소차량
KR100960548B1 (ko) * 2009-12-31 2010-06-03 김환용 쓰레기 청소장치
KR20150109812A (ko) * 2014-03-21 2015-10-02 하종일 노면의 상태에 따라 청소강도를 조절하는 청소차
US20200129031A1 (en) * 2014-07-16 2020-04-30 Markus Kress Roller Brush, In Particular For A Cleaning and/or Maintenance Device And A Cleaning and/or Maintenance Device
KR102064528B1 (ko) 2017-11-07 2020-01-09 김혜경 도로분진청소차의 비산방지용 분진 배출장치
KR101975035B1 (ko) 2018-10-30 2019-05-03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다단 이물질 처리 방식의 도로분진 흡입청소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5902C1 (ru) Чистящая насадка для пылесоса
CN1974934B (zh) 道路的清洁单元
US7281296B2 (en) Debris collection systems, vehicles, and methods
KR101975035B1 (ko) 다단 이물질 처리 방식의 도로분진 흡입청소차
US7559962B2 (en) Apparatus for on-site cleaning of landscape rock
KR101552163B1 (ko) 고효율 건식 노면 청소차
KR20160136532A (ko) 건식 청소차
CN106758996B (zh) 清扫车
KR102000240B1 (ko) 대기 미세먼지 정화장치를 포함하는 청소차
WO2010045952A1 (en) Road planer for milling road-surface
KR101997574B1 (ko) 도로 낙하물 수거 장치
CN105603921A (zh) 一种城市路面清洁装置
CN111053501A (zh) 清扫机器人
CN102599868B (zh) 洗涤干燥擦洗机
WO2000025654A9 (en) Machine for removing water from outdoor surfaces
KR102527532B1 (ko) 도로분진 흡입청소차
CN1765276A (zh) 复合型清洁器
KR102692771B1 (ko) 이물질 흡입장치
KR102466427B1 (ko) 쓰레기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청소차
KR102625559B1 (ko) 전기청소차
CN209443418U (zh) 一种环卫扫路车
KR102607258B1 (ko) 전기청소차
KR102308523B1 (ko) 도로 먼지 제거장치
US5257479A (en) Pressure-enhanced air sweep system for mobile surface abrading apparatus
CN206986812U (zh) 一种落叶清理、除尘清洁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4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