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2398B1 - 표시 패널 검사 장치의 모듈형 팔레트 구조 - Google Patents
표시 패널 검사 장치의 모듈형 팔레트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92398B1 KR102692398B1 KR1020220078258A KR20220078258A KR102692398B1 KR 102692398 B1 KR102692398 B1 KR 102692398B1 KR 1020220078258 A KR1020220078258 A KR 1020220078258A KR 20220078258 A KR20220078258 A KR 20220078258A KR 102692398 B1 KR102692398 B1 KR 1026923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unit
- clamp
- guide module
- coupling portion
- display pan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44—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using test interfaces, e.g. adapters, test boxes, switches, PIN driv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5—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household appliances or professional audio/video equipme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37—Characterising or performance testing, e.g. of frequency respons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3—Contacting devices, e.g. sockets, burn-in boards or mounting fixtur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87—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involving moving the probe head or the IC under test; dock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allet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의 전기적 검사를 위한 팔레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접촉되는 복수의 콘택 블록 유닛들 및 상기 복수의 콘택 블록 유닛들 각각과 결합되는 서포트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콘택 블록 유닛은, 상기 서포트 유닛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팔레트 구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패널 검사 장치의 팔레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몰레드(AMOLED) 패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및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제작 공정 중에는 제작 완성 단계의 표시 패널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검사하는 공정이 수행되며 이때 표시 패널 검사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표시 패널 검사 장치는 표시 패널에 형성된 전기 접점(Pad)에 테스트 신호를 인가하기 위하여 컨택터(Contactor)를 접촉시켜 전기적인 특성을 검사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경우, 컨택터를 표시 패널의 접점에 접촉시키기 위하여 승하강 구조의 클램프 아래에 컨택터를 장착하고, 가이드 블록을 통해 지렛대(Lever) 형식으로 클램프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표시 패널을 검사 위치로 이송한 후 클램프를 하강시켜 컨택터를 표시 패널의 접점에 접촉시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가이드 블록을 이용하는 경우, 가이드 블록을 별도로 조립함에 따라 가이드 블록의 품질 여하에 따라 아무리 미세한 세팅을 해도 평탄도가 고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이드 블록을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승강이 가능한 클램프를 서포트 유닛에 탈착 가능하도록 모듈형으로 제작하여 조립 및 세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표시 패널의 전기적 검사를 위한 팔레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접촉되는 복수의 콘택 블록 유닛들 및 상기 복수의 콘택 블록 유닛들 각각과 결합되는 서포트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콘택 블록 유닛은, 상기 서포트 유닛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콘택 블록 유닛들은, 상기 서포트 유닛의 연장된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택 블록 유닛은, 상기 표시 패널과 접촉되는 컨택터를 포함하는 클램프 및 적어도 둘 이상의 축을 포함하여, 상기 클램프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모듈은, 상기 서포트 유닛의 일측에 결합되는 면에 위치하며, 상기 서포트 유닛과 맞물리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서포트 유닛의 중앙부에 결합되는 중앙 결합부 및 상기 중앙 결합부를 중심으로 양측 상단에 위치하는 상단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 유닛은, 상기 결합부가 끼워지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 유닛은, 상기 가이드 모듈 측으로 돌출되는 L자 형상의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모듈은, 상기 가이드 모듈의 하단의 일측에 상기 걸림부가 안착되어 걸리도록 걸림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 유닛은, 상기 클램프의 일측과 결합되도록 상기 클램프 측으로 연장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의 후면에 상기 레버의 일단이 끼워지는 레버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레버의 작동 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축을 따라 승강하며, 상기 가이드 모듈은 상기 서포트 유닛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여러 측면에 의하면, 가이드 블록을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승강이 가능한 클램프를 서포트 유닛에 탈착 가능하도록 모듈형으로 제작하여 조립 및 세팅을 용이하게 하고, 평탄도를 고르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팔레트 구조가 적용되는 표시 패널 검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팔레트 구조의 콘택 블록 유닛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팔레트 구조의 가이드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팔레트 구조의 서포트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팔레트 구조의 가이드 모듈과 서포트 유닛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팔레트 구조의 가이드 클램프와 레버가 결합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팔레트 구조의 콘택 블록 유닛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팔레트 구조의 가이드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팔레트 구조의 서포트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팔레트 구조의 가이드 모듈과 서포트 유닛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팔레트 구조의 가이드 클램프와 레버가 결합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표시 패널 검사 장치의 모듈형 팔레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팔레트 구조가 적용되는 표시 패널 검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팔레트 구조가 적용되는 표시 패널 검사 장치(1)는 표시 패널의 제작 공정 중에서 제작 완성 단계의 표시 패널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검사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패널은 아몰레드(AMOLED) 패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및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 검사 장치는 표시 패널에 형성된 전기 접점(Pad)에 테스트 신호를 인가하기 위하여 컨택터(Contactor)를 접촉시켜 전기적인 특성을 검사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팔레트 구조가 적용되는 표시 패널 검사 장치(1)는 팔레트(10) 및 베이스(20)를 포함한다.
팔레트(10)는 작업 테이블에 설치되어 이송된 표시 패널의 전기적 검사를 위해 컨택터를 접촉시킨다.
베이스(20)는 본체의 상면에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된다.
팔레트(10)는 복수의 콘택 블록 유닛(100)들과 서포트 유닛(200)을 포함한다.
콘택 블록 유닛(100)은 표시 패널과 접촉되도록 마련되어, 표시 패널의 전기적 검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콘택 블록 유닛(100)들 각각은 서포트 유닛(200)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콘택 블록 유닛(100)의 후술할 클램프(110)는 하부에 컨택터를 장착할 수 있고, 지렛대 형태의 레버의 동작에 의해 승하강되면서, 표시 패널과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승하강 방향은 도 1의 D1 방향으로, z축 방향일 수 있다.
한편, 클램프(11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모듈(120)이 서포트 유닛(200)의 일측에 고정됨에 따라 콘택 블록 유닛(100)이 하나의 컨택 포인트로 서포트 유닛(200)에 장착된 이후에 가이드 모듈(120)이 서포트 유닛(200)에 고정된 채로 클램프(110)가 승강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블록을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승강이 가능한 클램프를 서포트 유닛에 탈착 가능하도록 모듈형으로 제작하여 조립 및 세팅을 용이하게 하고, 평탄도를 고르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팔레트(10)에 복수의 콘택 블록 유닛(100)들이 병렬로 설치되며, 도 1에서는 팔레트(10)에 10개의 콘택 블록 유닛(100)들을 병렬로 설치하고 그에 상응하는 10개의 표시 패널을 동시에 검사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설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포트 유닛(200)은 복수의 콘택 블록 유닛(100)들과 결합되며, 본체의 베이스(20) 상에 고정 설치된다.
서포트 유닛(200)은 베이스(20)상에 설치되는 "ㄱ"자형 지지구조를 포함하며, 정면부에 길이방향의 소정 간격으로 콘택 블록 유닛(10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콘택 블록 유닛(100)들은, 서포트 유닛(200)의 연장된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도 1에서 서포트 유닛의 연장된 길이 방향은 y축 방향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팔레트 구조의 콘택 블록 유닛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팔레트 구조의 콘택 블록 유닛(100)은 클램프(110) 및 가이드 모듈(120)을 포함한다.
클램프(110)는 표시 패널과 접촉되는 컨택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클램프(110)는 컨택터를 터치 패널의 전기 접점(Pad)에 접촉시킴으로써 테스트를 위한 신호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클램프(110)는 상단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111)를 포함하며, 레버의 동작에 의해 클램프의 상승 시, D1 방향으로 상승하여 돌출부(111)의 일 영역이 후술할 가이드 모듈(120)의 공간부(1222) 측으로 삽입될 수 있고, 클램프(110)와 가이드 모듈(120)이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검사 장치는 클램프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표시 패널을 검사 위치로 이송한 후 클램프를 하강시켜 컨택터를 표시 패널의 접점에 접촉시키게 된다.
이 경우, 클램프를 승강시킬 때 압력을 균등하게 배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택 블록 유닛(100)의 가이드 모듈(120)은 적어도 둘 이상의 축을 포함하여, 클램프의 승강을 안내하며, 클램프는, 레버의 작동 시, 적어도 둘 이상의 축을 따라 승강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축은 제1 축(130a), 제2 축(130b) 및 제3 축(130c)을 포함하며, 제1 축(130a), 제2 축(130b) 및 제3 축(130c)은 z축으로 연장되도록 놓여진다.
이에 따라, 클램프(110)는 레버에 의해 승강 시, 제1 축(130a), 제2 축(130b) 및 제3 축(130c)에 의해 압력이 균등하게 배분되어 정밀도와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가이드 모듈(120)은 고정 블록(121) 및 가이드 블록(122)을 포함한다.
고정 블록(121)은 가이드 모듈의 상단에 위치하며, 적어도 둘 이상의 축의 일단을 고정한다.
가이드 블록(122)은 고정 블록의 하단에 위치하며, 내측에 적어도 둘 이상의 축을 관통시키는 관통 홀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관통 홀들의 내측에 제1 축(130a), 제2 축(130b) 및 제3 축(130c)이 삽입되며, 클램프(110)의 승강 시 제1 축(130a), 제2 축(130b) 및 제3 축(130c)을 따라 승강하므로 제1 축(130a), 제2 축(130b) 및 제3 축(130c)의 방향인 D1 방향 이외의 각도로 어긋나지 않고 정확히 승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블록(122)의 내측에 복수의 적어도 둘 이상의 축이 포함되며, 도 2에서는 3개의 축들을 도시하였으나 설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 블록(122)은 가이드 블록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부(1222)를 포함한다.
공간부(1222)는 돌출부(111)의 일 영역이 삽입되도록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팔레트 구조의 콘택 블록 유닛(100)은 스프링 브라켓(140)을 더 포함한다.
스프링 브라켓(140)은 클램프와 가이드 모듈 간의 밀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축(130a), 제2 축(130b) 및 제3 축(130c)과 나란한 방향으로 스프링 브라켓(140)이 배치되어 그 탄성에 의해 클램프의 승강 시 밀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팔레트 구조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클램프(110)가 내부의 제1 축(130a), 제2 축(130b) 및 제3 축(130c)들을 따라 승강되도록 클램프(110)와 가이드 모듈(120)이 하나의 모듈로 형성됨으로써, 가이드 블록을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승강이 가능한 클램프를 서포트 유닛에 탈착 가능하도록 모듈형으로 제작하여 조립 및 세팅을 용이하게 하고, 평탄도를 고르게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팔레트 구조의 가이드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가이드 모듈(120)을 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면은 팔레트(10)를 x축 방향으로 바라본 방향을 의미하며, 후면은 서포트 유닛(200)이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모듈(120)은 고정 블록(121) 및 가이드 블록(122)을 포함하며, 서포트 유닛(200)과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151, 152, 153) 및 걸림홈(160)을 포함한다.
고정 블록(121)은 가이드 모듈의 상단에 위치하며, 적어도 둘 이상의 축의 일단을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고정 블록(121)은 제1 고정 홀(1212a), 제2 고정 홀(1212b) 및 제3 고정 홀(1212c)을 포함하며, 각각 가이드 블록(122)을 관통한 제1 축(130a), 제2 축(130b) 및 제3 축(130c)의 일단을 고정할 수 있다.
만일, 클램프(110)의 승강 시, 고정 블록(121)은 제1 축(130a), 제2 축(130b) 및 제3 축(130c)과 연결된 클램프(110)와 일체로 승강하므로 제1 축(130a), 제2 축(130b) 및 제3 축(130c)의 방향인 D1 방향 이외의 각도로 어긋나지 않고 정확히 승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4 고정 홀(1211a) 및 제5 고정 홀(1211a)을 포함하여, 각각 가이드 블록(122)을 관통한 스프링 브라켓(140)의 일단을 고정할 수 있다.
가이드 블록(122)은 고정 블록의 하단에 위치하며, 내측에 적어도 둘 이상의 축을 관통시키는 관통 홀들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 축(130a), 제2 축(130b) 및 제3 축(130c)이 관통 홀을 따라 수직 이동하게 되고, 클램프(110)는 승강할 수 있게 된다.
결합부(151, 152, 153)는 서포트 유닛의 일측에 결합되는 면에 위치하며, 서포트 유닛과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중앙 결합부(151)는 서포트 유닛의 중앙부에 결합되도록 가이드 블록(122)의 중앙에 하나의 라인 형상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상단 결합부(152, 153)는 중앙 결합부를 중심으로 양측 상단에 위치하며, 상부 기준면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51, 152, 153)는 복수개의 돌출부로 형성되며, 서포트 유닛은 돌출부가 외면에 인입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60)은 가이드 모듈의 하단의 일측에 걸림부가 안착되어 걸리도록 모서리의 일부에 공간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되어, 공간부에 서포트 유닛의 걸림 부재가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팔레트 구조의 서포트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서포트 유닛(200)을 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 유닛(200)은 수용부(210) 및 걸림부(220)를 포함한다.
수용부(210)는 결합부가 끼워지도록 홈으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중앙 수용부(211)는 중앙 결합부(151)가 끼워지도록 중앙에 하나의 라인 형상으로 인입된 형태로 마련된다.
상단 수용부(212, 213)은 중앙 수용부(211)를 중심으로 양측 상단에 위치하며, 상단 결합부(152, 153)와 체결되어 상부 기준면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걸림부(220)는 가이드 모듈 측으로 돌출되도록 L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가이드 모듈의 걸림홈(16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팔레트 구조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 부품을 구비하지 않고도 양측에서 맞물리도록 형성됨에 따라 콘택 블록 유닛(100)과 서포트 유닛(200)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팔레트 구조의 가이드 모듈과 서포트 유닛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콘택 블록 유닛(100)의 일 측면과 서포트 유닛(200)의 일 측면이 서로 맞물리게 체결되는 구조이다.
결합부(151, 152, 153)는 서포트 유닛의 일측에 결합되는 면에 위치하며, 서포트 유닛과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51, 152, 153)는 복수개의 돌출부로 형성되며, 서포트 유닛은 돌출부가 외면에 인입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홈(160)은 가이드 모듈의 하단의 일측에 걸림부가 안착되어 걸리도록 모서리의 일부에 공간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되어, 공간부에 서포트 유닛의 걸림 부재가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서포트 유닛의 걸림부(220)는 가이드 모듈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가이드 모듈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1)와 연장부에서 L자 형상이 되도록 연장부(221)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상승부(222)를 포함한다.
여기서, 걸림홈(160)의 공간부의 외측에는 단턱(161)이 형성됨에 따라, 단턱(161)에 연장부(221)가 끼워지게 되고, 상승부(222)가 체결된 상태를 고정함에 따라 콘택 블록 유닛(100)과 서포트 유닛(200)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팔레트 구조의 가이드 클램프와 레버가 결합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클램프의 후면에 위치하는 레버 결합부(113)에 레버(230)의 일단이 끼워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레버(230)는 지렛대 형태로서 레버 결합부(113)에 삽입되는 일단부(232)와 외부의 힘에 의해 눌러지도록 마련되는 누름부(231)를 포함하며, 레버가 눌러진 이후, 다시 복귀되도록 누름부(231)의 하단에 탄성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램프는, 레버(230)가 눌러지면, 상승하게 되며, 눌러진 이후에는 다시 하강하게 된다.
이 때, 클램프는, 레버의 작동 시, 적어도 둘 이상의 축을 따라 승강하며, 가이드 모듈은 서포트 유닛에 고정된다.
클램프(110)의 승강 시, 제1 축(130a), 제2 축(130b) 및 제3 축(130c)은 가이드 블록의 관통 홀을 이동하게 되고, 고정 블록(121)은 제1 축(130a), 제2 축(130b) 및 제3 축(130c)과 연결된 클램프(110)와 일체로 승강하므로 제1 축(130a), 제2 축(130b) 및 제3 축(130c)의 방향인 D1 방향 이외의 각도로 어긋나지 않고 정확히 승강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표시 패널 검사 장치
10: 팔레트
100: 콘택 블록 유닛
110: 클램프
120: 가이드 모듈
200: 서포트 유닛
10: 팔레트
100: 콘택 블록 유닛
110: 클램프
120: 가이드 모듈
200: 서포트 유닛
Claims (10)
- 표시 패널의 전기적 검사를 위한 모듈형 팔레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접촉되는 복수의 콘택 블록 유닛들; 및
상기 복수의 콘택 블록 유닛들 각각과 결합되는 서포트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콘택 블록 유닛은, 상기 서포트 유닛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 모듈; 및
상기 가이드 모듈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 모듈이 하강하는 압력에 의해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배치되는 스프링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모듈은,
상기 서포트 유닛의 일측에 결합되는 면에 위치하며, 상기 서포트 유닛과 맞물리는 결합부 및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서포트 유닛의 중앙부에 결합되는 중앙 결합부; 및
상기 중앙 결합부를 중심으로 양측 상단에 위치하는 상단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유닛은, 상기 중앙 결합부가 끼워지도록 중앙에 하나의 라인 형상으로 인입된 형태로 마련되는 중앙 수용부;
상기 중앙 수용부를 중심으로 양측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상단 결합부와 체결되어 상부 기준면을 고정하는 상단 수용부; 및
상기 가이드 모듈 측으로 돌출되는 L자 형상의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스프링 브라켓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모듈의 하단의 일측에 상기 걸림부가 안착되어 걸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브라켓이 외부의 힘에 의해 하강하면, 상기 가이드 모듈의 하강에 의해, 상기 걸림홈에서 상기 걸림부가 탈착되고, 상기 상단 결합부와 상단 수용부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중앙 결합부와 상기 중앙 수용부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팔레트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택 블록 유닛들은,
상기 서포트 유닛의 연장된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팔레트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블록 유닛은,
상기 표시 패널과 접촉되는 컨택터를 포함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모듈은,
적어도 둘 이상의 축을 포함하여, 상기 클램프의 승강을 안내하는 모듈형 팔레트 구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유닛은,
상기 클램프의 일측과 결합되도록 상기 클램프 측으로 연장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의 후면에 상기 레버의 일단이 끼워지는 레버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모듈형 팔레트 구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레버의 작동 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축을 따라 승강하며,
상기 가이드 모듈은 상기 서포트 유닛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팔레트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8258A KR102692398B1 (ko) | 2022-06-27 | 2022-06-27 | 표시 패널 검사 장치의 모듈형 팔레트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8258A KR102692398B1 (ko) | 2022-06-27 | 2022-06-27 | 표시 패널 검사 장치의 모듈형 팔레트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1507A KR20240001507A (ko) | 2024-01-03 |
KR102692398B1 true KR102692398B1 (ko) | 2024-08-07 |
Family
ID=8953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8258A Active KR102692398B1 (ko) | 2022-06-27 | 2022-06-27 | 표시 패널 검사 장치의 모듈형 팔레트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92398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0775B1 (ko) * | 2018-08-09 | 2019-11-05 | 주식회사 엔티에스 | 다축 구동 테스트 소켓 |
KR102088305B1 (ko) * | 2018-11-22 | 2020-03-13 |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 피검사 디바이스 검사용 테스트 소켓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7447B1 (ko) * | 2017-01-13 | 2018-10-12 | 주식회사 이엘피 | 표시 패널 검사 장치 |
-
2022
- 2022-06-27 KR KR1020220078258A patent/KR10269239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0775B1 (ko) * | 2018-08-09 | 2019-11-05 | 주식회사 엔티에스 | 다축 구동 테스트 소켓 |
KR102088305B1 (ko) * | 2018-11-22 | 2020-03-13 |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 피검사 디바이스 검사용 테스트 소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1507A (ko) | 2024-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73732B1 (ko) | 프로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브 장치 | |
KR101907447B1 (ko) | 표시 패널 검사 장치 | |
CN105510797B (zh) | 检查装置 | |
KR101741094B1 (ko) | 매니퓰레이터 | |
CN101334424A (zh) | 具多组下压头的压接机构 | |
KR102692398B1 (ko) | 표시 패널 검사 장치의 모듈형 팔레트 구조 | |
KR102696213B1 (ko) | 표시 패널 검사 장치의 다축 팔레트 구조 | |
CN100489541C (zh) | 电连接装置 | |
KR102768597B1 (ko) | 표시 패널 검사 장치의 컨택터 압착 방식의 팔레트 구조 | |
KR101689478B1 (ko) | 인쇄회로기판 검사지그 | |
US6049214A (en) | Universal printed circuit board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 |
TWI416116B (zh) | A probe unit and a test device using the same | |
KR102570532B1 (ko) |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 | |
KR20090113510A (ko) | 다이본더의 본딩영역 수평 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보정방법 | |
JP2002082142A (ja) | 面保持移動案内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配線基板等の導通試験装置 | |
KR101708488B1 (ko) | 오토 프로브 검사 장치 | |
KR102338497B1 (ko) |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 | |
JPH0829499A (ja) | 回路基板の検査装置 | |
US20210132139A1 (en) | Testing fixture and testing assembly | |
CN218677063U (zh) | 一种晶圆检测用压接机构及装置 | |
KR101020625B1 (ko) | 필름타입 프로브유닛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122479B1 (ko) | 프로브 카드 | |
JP3307166B2 (ja) | 回路基板の検査装置 | |
JP4276163B2 (ja) | Icソケット | |
KR102501619B1 (ko) | 기판의 벤딩 테스트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23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