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2008B1 - Proprobe pallet - Google Patents

Proprobe pal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2008B1
KR102692008B1 KR1020240018714A KR20240018714A KR102692008B1 KR 102692008 B1 KR102692008 B1 KR 102692008B1 KR 1020240018714 A KR1020240018714 A KR 1020240018714A KR 20240018714 A KR20240018714 A KR 20240018714A KR 102692008 B1 KR102692008 B1 KR 102692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robe
fastening
pallet
inspec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187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현
오제헌
김현정
박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이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이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이천
Priority to KR1020240018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20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2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200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44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using test interfaces, e.g. adapters, test boxes, switches, PIN dr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5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household appliances or professional audio/video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브블록의 교체가 가능한 프로브파렛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으로서, 피검사체의 성능검사의 종류 및 규격에 맞는 상기 프로브블록을 헤드블록에 장착하는 단계; 수동 또는 자동의 방법으로 상기 프로브파렛을 정렬시키는 단계; 피검사체를 상기 프로브파렛에 구비된 파렛베이스의 상부에 정렬시키는 단계; 및 프로브블록과 체결된 체결블록을 승강 이동시켜 프로브블록을 상기 피검사체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검사방법이 게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검사체의 성능검사의 종류 및 규격에 따라 프로브블록만을 교체하고, 헤드블록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implemented by a probe pallet in which probe blocks can be replaced, comprising the steps of mounting the probe block that matches the type and standard of the performance test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on a head block; Aligning the probe pallet manually or automatically; Aligning the object to be inspec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llet base provided on the probe pallet; and the step of bringing the probe block into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inspected by lifting and moving the fastening block fastened to the prob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only the probe block can be replaced and the head block can be used as is, depending on the type and standard of the performance test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Description

검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프로브파렛{PROPROBE PALLET}Inspection method and probe pallet using it {PROPROBE PALLET}

본 발명은 검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프로브파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검사체의 규격 및 피검사체의 검사의 종류에 따라 프로브블록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FPCB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브파렛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pection method and a probe pallet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probe pallet and inspection method based on an FPCB that can be used by replacing the probe block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of the inspection object and the type of inspection of the inspection object. It's about.

본 섹션에서 제시된 내용은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일 뿐이며 선행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presented in this section on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constitute prior art.

프로브장치(probe device)는 피검사체(test subject),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패널과 같은 전자부품에 검사신호(test signal)를 입력하여, 피검사체의 품질 및 성능을 검사하는 장치를 말한다. 프로브장치는 프로브핀(probe pin)을 이용하여 피검사체의 패드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A probe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inspects the quality and performance of a test subject, for example, an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a display panel by inputting a test signal. The probe device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pad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using a probe pin.

프로브장치의 일종인 프로브파렛은, 검사신호를 생성하는 인쇄회로기판, 검사신호를 입력하는 프로브핀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피검사체가 안착되는 파렛베이스를 일체로 포함할 수 있다.A probe pallet, a type of probe device, is a device that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that generates an inspection signal and a probe pin that inputs the inspection signal, and may integrally include a pallet base on which the inspection subject is seated.

피검사체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은 출력기능 외에 입력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데, 터치스크린패널이 이에 해당한다. 터치스크린패널(touch screen panel, TSP)에 대한 성능검사는 화소검사(automotive visual inspection, AVI) 및 터치스크린패널(TSP)검사를 포함한다. AVI는 화소검사를 뜻하고, TSP검사는 터치스크린패널검사를 뜻하는 용어로 자주 사용된다.The display panel corresponding to the object to be inspected may include an input function in addition to an output function, and a touch screen panel corresponds to this. Performance testing for touch screen panels (TSP) includes pixel inspection (automotive visual inspection, AVI) and touch screen panel (TSP) inspection. AVI stands for pixel inspection, and TSP inspection is a term often used to refer to touch screen panel inspection.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에 개시된, 평판표시패널 검사용 프로브장치는, 제1접촉부, 제2접촉부, 복수의 니들 및 제1가이드블록과 제2가이드블록을 갖는 프로브블록을 포함하나, 이 관련 기술에서 복수의 니들은 화소검사를 위해 모두 동일 단자에 접촉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서, 화소검사 및 터치검사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과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 면에서 서로 구별된다.As a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be device for inspecting a flat display panel disclosed in the Korean Patent Publication includes a probe block having a first contact part, a second contact part, a plurality of needles, and a first guide block and a second guide block. However, in this related technology, a plurality of needles are all in contact with the same terminal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for pixel inspection, and in terms of the purpos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applied to both pixel inspection and touch inspection,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2154호 (2006.07.19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602154 (announced on July 19, 200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피검사체의 성능검사의 종류 및 규격에 따라 호환 사용될 수 있는 프로브파렛 및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is to provide a probe pallet and inspection method tha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according to the type and standard of the performance test of the inspected obje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피검사체의 성능검사의 종류 및 규격에 따라 프로브블록의 교체가 가능한 프로브파렛 및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is to provide a probe pallet and inspection method in which the probe block can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type and standard of the performance test of the inspected obje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탄성력을 이용하면서도 프로브블록의 수평을 유지하게 하는 프로브파렛 및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is to provide a probe pallet and inspection method that maintains the level of the probe block while using elastic for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제1FPCB가 경사지게 고정된 상태에서, 제2FPCB를 수평 방향으로 안착시켜 안정적으로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수 있는 프로브파렛 및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is to provide a probe pallet and inspection method that can stably form electrical contact by seating the second FPCB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the first FPCB is fixed at an angl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브블록의 교체가 가능한 프로브파렛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으로서, 피검사체의 성능검사의 종류 및 규격에 맞는 상기 프로브블록을 헤드블록에 장착하는 단계; 수동 또는 자동의 방법으로 상기 프로브파렛을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피검사체를 상기 프로브파렛에 구비된 파렛베이스의 상부에 정렬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프로브블록과 체결된 체결블록을 승강 이동시켜 상기 프로브블록을 상기 피검사체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검사방법이 게시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is implemented by a probe pallet capable of replacing the probe block, and the probe suitable for the type and standard of the performance test of the subject to be inspected is used. Mounting the block to the head block; Aligning the probe pallet manually or automatically; Aligning the object to be inspected on an upper part of a pallet base provided on the probe pallet; and a step of lifting and moving a fastening block fastened to the probe block to bring the probe block into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inspect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바디블록; 바디블록과 결합되고, 피검사체가 정렬되는 파렛베이스; 및 파렛베이스 및 상기 피검사체의 정렬에 사용되는 마크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바디블록은, 프로브블록의 수직(z축)의 승강을 제어하는 헤드블록; 및 피검사체에 검사신호를 입력시키는 상기 프로브블록을 포함하고, 헤드블록은, 전기신호를 입력받는 메인FPCB를 포함하고, 프로브블록은, 상기 메인FPCB와 전기적 접촉이 가능한 서브FPCB를 포함하고, 프로브블록은, 피검사체의 성능사의 종류 및 규격에 따라 상기 헤드블록에서 분리되어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block; A pallet base that is combined with the body block and on which the object to be inspected is aligned; And a pallet base and a mark plate used to align the object to be inspected, and the body block includes: a head block that controls the vertical (z-axis) elevation of the probe block; and a probe block that inputs a test signal to an object to be inspected, wherein the head block includes a main FPCB that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probe block includes a sub-FPCB that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main FPCB, and the probe The block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head block and replaceable depending on the type and standard of the performance yarn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또한, 프로브파렛은, 헤드블록이, 파렛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블록; 및 피검사체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블록의 안내를 받아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체결블록을 포함하고, 체결블록은, 제1체결부를 포함하고, 프로브블록은, 제1체결부와 기계적으로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be pallet includes a head block, a fixed block fixed to the pallet base; and a fastening block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to be lifted and lowered under the guidance of the fixing block. The fastening block includes a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probe block can be mechanically fastened to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fastening par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fastening portion.

또한, 프로브파렛은, 헤드블록이, 체결블록에 작용점을 갖는 레버조립체를 포함하고, 체결블록은 레버조립체에 작용하는 외부압력을 이용하여 프로브블록의 승강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be pallet may include a head block and a lever assembly having an action point on the fastening block, and the fastening block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probe block using external pressure acting on the lever assembly.

또한, 프로브파렛은, 레버조립체가, 복수 개의 레버; 복수 개의 레버를 서로 연결시키는 레버플레이트바; 및 레버 또는 상기 레버플레이트바를 가압하여 체결블록을 상승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픽스브라켓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be pallet includes a lever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levers; A lever plate bar connecting a plurality of levers to each other;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x bracket that fixes the fastening block in the raised position by pressing the lever or the lever plate bar.

또한, 프로브파렛은,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를 포함하고, 제1접촉부는 메인FPCB; 및 메인FPCB를 지지하는 메인FPCB커넥트를 포함하고, 제2접촉부는 서브FPCB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be pallet includes a first contact part and a second contact part, and the first contact part includes a main FPCB; and a main FPCB connect supporting the main FPCB,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ub FPCB.

또한, 프로브파렛은,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의 전기적 접촉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안내부는, 제1안내부로서 상기 체결블록에 구비된 슬라이딩슬롯; 및 제2안내부로서 상기 프로브블록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슬롯과 결합하는 슬라이딩핀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be pallet further includes a guide part that guides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first contact part and the second contact part, and the guide part includes a sliding slot provided in the fastening block as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liding pin provided on the probe block and coupled to the sliding slot.

또한, 프로브파렛은, 제1체결부는 제1마그넷을 포함하고, 제2체결부는, 제1마그넷과 결합하는 제2마그넷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be palle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first magnet,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magnet coupled to the first magnet.

또한, 프로브파렛은, 제1체결부가 체결핀을 더 포함하고, 제2체결부는 체결핀에 체결 및 해제될 수 있는 후크조립체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be palle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fasten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pin,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hook assembly that can be fastened to and released from the fastening pin.

또한, 프로브파렛은, 프로브블록이, 제2체결부가 설치되는 베이스블록; 베이스블록과 결합하고, 상기 제2접촉부가 설치되는 서브PCB; 및 제2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검사신호를 피검사체에 입력시키는 프로브슬릿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be pallet includes a probe block, a base block on which a second fastening part is installed; A sub-PCB coupled to the base block and on which the second contact part is installed;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robe sli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inputs a test signal to the test subject.

기타 실시 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and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dvantages and/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 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each embodiment disclosed below, but may also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However, each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ensures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each claim.

본 발명에 의하면, 피검사체의 성능검사의 종류 및 규격에 따라 프로브블록의 교체만으로 하나의 프로브파렛이 호환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probe palle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by simply replacing the probe block depending on the type and standard of the performance test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또한, 피검사체의 성능검사의 종류 및 규격에 따라 프로브블록의 교체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obe block can be replaced depending on the type and standard of the performance test of the test subject.

또한, 탄성력을 이용하면서도 프로브블록의 수평이 유지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evel of the probe block can be maintained while using elastic force.

또한, 제1FPCB가 경사지게 고정된 상태에서, 제2FPCB를 수평 방향으로 안착시켜 안정적으로 전기적 접점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while the first FPCB is fixed at an angle, the second FPCB can be se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stable electrical contact.

또한, 교체된 프로브블록이 이중의 기계적 체결을 통해 헤드블록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eplaced probe block can be stably fixed to the head block through double mechanical fastening.

또한, 파렛베이스와 바디블록 간의 원터치 체결 및 해제를 통해 수명이 다된 FPC의 교체가 용이하다.In addition, it is easy to replace an FPC that has reached the end of its lifespan through one-touch fastening and releasing between the pallet base and body block.

또한, 경사지게 고정된 제1FPC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제2FPC를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FPC들 간에 오차없이 전기적 접촉을 이룰 수 있다.Additionally, by sliding the second FPC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first FPC fixed at an angle, electrical contact can be made between the FPCs without error.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프로브파렛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achieved by the probe palle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obta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be clearly understo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사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을 실행하는 프로브파렛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프로브파렛가 분해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프로브파렛의 바디블록이 확대 묘사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프로브파렛의 내부의 구성요소를 묘사하기 위해 고정블록바디가 투명하게 묘사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프로브파렛의 측면이 묘사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프로브파렛의 일부가 투명하게 묘사된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프로브파렛의 일부가 확대 묘사된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프로브파렛에서 고정블록바디가 누락된 바디블록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2의 프로브파렛의 바디블록의 저면에 형성되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2의 프로브파렛의 바디블록의 양단에 구비된 후크조립체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2의 프로브파렛에서 블록들의 수평을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예시도이다.
1 is a flowchart of an insp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ample diagram of a probe palette executing Figure 1.
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probe pallet of Figure 2 in a disassembled state.
Figure 4 is an enlarged illustration of the body block of the probe pallet of Figure 2.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the fixed block body is depicted transparently to depict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probe pallet of FIG. 2.
Figure 6 is an example diagram depicting the side of the probe pallet of Figure 2.
FIG. 7 is an example diagram in which a portion of the probe pallet of FIG. 6 is depicted transparently.
FIG. 8 is an enlarged illustration of a portion of the probe pallet of FIG. 6.
Figure 9 is an example of a body block with a fixed block body missing from the probe pallet of Figure 2.
FIG. 10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first contact portion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dy block of the probe pallet of FIG. 2.
FIG. 1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hook assemb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ody block of the probe pallet of FIG. 2.
FIG. 12 is an example diagram of a method of maintaining the horizontality of blocks in the probe pallet of FIG. 2.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unconditionally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at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ppropriately define and use the concepts of various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manner, and further that these terms or words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That is,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with the intention of specifically limiting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terms refer to various possibiliti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is a term defined with consideration in mind.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a different meaning, and may include singular meanings even if similarly expressed in plural. .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including” another component, it does not exclude any other component, but includes any other compon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could mean that you can do it.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라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하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Furthermore,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within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this component may be installed in direct connection or contact with the other component and may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ther component and may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ther component. It may be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and in the case where it is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there may be a third component or means for fixing or connecting the component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r means of 3 may be omitted.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third component or means is present.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Likewise,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and "directly neighboring", have the same meaning. It should be interpreted a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one side", "other side", "one side", "the other side", "first", "second", etc., if used, refer to one component. It is used to clearly distinguish it from other components,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eaning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is term.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related to position such as "top", "bottom", "left", "right", etc., if used, should be understood as indica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n the corresponding drawing. Unless the absolute location is specified, these location-related term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ferring to the absolute loc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specifying the reference numeral for each component in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 has the same reference number even if the component is shown in different drawings, that is, the same reference is made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ymbols indicate the same component.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the size, position, connection relationship, etc.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exaggerated, reduced, or omitted in order to convey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ufficiently clearly o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may be described, and therefore its proportions or scale may not be exact.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configurations that are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known technologies including prior art, may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related drawings.

각 도면에 표시된 XYZ 좌표축에서 X축 방향을 프로브파렛(100)의 폭 방향으로, Y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그리고 Z축 방향을 높이 방향으로 각각 정하기로 한다.In the XYZ coordinate axes shown in each drawing,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브파렛(100)은 피검사체, 예를 들어 전자디바이스에 최종적으로 조립될 디스플레이패널에 대한 성능검사, 예를 들어, MVI(manual visual inspection) 또는 AVI(automotive visual inspection)에 있어서, 피검사체와의 컨택을 통해 검사신호를 핀검사체의 검사단자에 입력시키는 기능을 갖는다.The probe pall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performance inspection of an inspection object, for example, a display panel to be finally assembled into an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manual visual inspection (MVI) or automotive visual inspection (AVI). ), it has the function of inputting a test signal to the test terminal of the pin test object through contact with the test obj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사방법의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of an insp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검사방법(S100)은 프로브블록의 교체가 가능한 프로브파렛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inspection method (S100) can be performed using a probe pallet in which the probe block can be replaced.

검사방법(S100)은, 피검사체의 성능검사의 종류 및 규격에 맞는 프로브블록을 헤드블록에 장착하는 단계(S110), 수동 또는 자동의 방법으로 프로브파렛을 정렬시키는 단계(S120), 피검사체를 프로브파렛에 구비된 파렛베이스의 상부에 정렬시키는 단계(S130) 및 프로브블록과 체결된 체결블록을 승강 이동시켜 프로브블록을 상기 피검사체에 접촉시키는 단계(S1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est method (S100) includes the steps of mounting a probe block that matches the type and standard of the performance test of the test object on the head block (S110), aligning the probe pallet manually or automatically (S120),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step of aligning the pallet base provided on the probe pallet (S130) and the step of bringing the probe block into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inspected by lifting and moving the fastening block fastened to the probe block (S14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브파렛의 예시도이다.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probe pal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프로브파렛이 분해된 상태의 예시도이다.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probe pallet of Figure 2 in a disassembled stat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피검사체의 성능검사의 종류, 예를 들어 AVI, MVI 또는 TSP 및 규격, 예를 들어 크기에 맞는 프로브블록(160)이 선택되고, 선택된 프로브블록(160)이 헤드블록(104)에 장착하는 단계(S110)에서, 프로브블록(160)에 속하는 제1접촉부와 헤드블록(104)에 속하는 제2접촉부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안내부(146)가 안내부(165a)를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브블록(160)에 속하는 제1체결부(147)와 헤드블록(104)에 속하는 제2체결부(166)가 기계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a probe block 160 that matches the type of performance test of the test object, for example, AVI, MVI or TSP and the standard, for example, size, is selected, and the selected probe block 160 is In the step of mounting on the head block 104 (S110), the first contact part belonging to the probe block 160 and the second contact part belonging to the head block 104 may be electrically contacted. Here, the first guide 146 can guide the guide 165a. And the first fastening part 147 belonging to the probe block 160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66 belonging to the head block 104 can be mechanically fastened.

프로브파렛(100)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예를 들어 컨베이어시스템을 통해 작업위치로 이동되어 정렬될 수 있다(S120). 프로브파렛(100)을 정렬시키는 단계(S120)에서, 파렛베이스(101)의 저면에 부착된 복수의 마크플레이트(119)가 정렬의 기준이 될 수 있다. 비젼시스템은 파렛베이스(101)의 저면에 부착된 마크플레이트(119)의 위치를 인식하고, 프로브파렛(100)은 지그에 의해 마크플레이트(119)의 위치를 기반으로 정렬될 수 있다.The probe pallet 100 can be moved to the working position and aligned manually or automatically, for example, through a conveyor system (S120). In the step of aligning the probe pallet 100 (S120), a plurality of mark plates 119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pallet base 101 may serve as a standard for alignment. The vision system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mark plate 119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pallet base 101, and the probe pallet 100 can be align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mark plate 119 using a jig.

피검사체를 파렛베이스(101)의 상부에 정렬시키는 단계(S130)에서, 프로브블록(160)의 저면에 부착된 마크플레이트(119)가 정렬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즉 비젼시스템은, 파렛베이스(101) 상의 투명한 비젼글라스(112a)를 통해 프로브블록(160)의 저면에 부착된 마크플레이트(119)의 위치를 인식하고, 마크플레이트(119)의 위치에 기반하여 피검사체가 파렛베이스(101)에서 정렬될 수 있다.In the step (S130) of aligning the object to be inspec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llet base 101, the mark plate 119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probe block 160 may serve as a standard for alignment. That is, the vision system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mark plate 119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probe block 160 through the transparent vision glass 112a on the pallet base 101, an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mark plate 119 Objects to be inspected may be aligned on the pallet base 101.

프로브블록(160)을 피검사체에 접촉시키는 단계(S140)에서, 헤드블록(104)은 체결블록(140)의 승강을 제어하고, 체결블록(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기계적으로 체결된 프로브블록(160)이 피검사체와 접촉을 시도할 수 있다.In the step (S140) of contacting the probe block 160 with the object to be inspected, the head block 104 controls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fastening block 140, and the prob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astening block 140 and mechanically fastened. Block 160 may attempt to contact the object to be inspected.

도 4는 도 2의 프로브파렛의 바디블록이 확대 묘사된 예시도이다.Figure 4 is an enlarged illustration of the body block of the probe pallet of Figure 2.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파렛(100)은 프로브시스템에 속하는 프로브장치 중의 하나이다. 프로브시스템은 최종의 하우징 조립을 앞두고 있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성능검사를 하는 시스템이다. 프로브파렛(100)은, 상부에 피검사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패널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피검사체의 검사단자, 예를 들어 커넥터단자에 프로브핀을 접촉시켜 성능검사에 필요한 검사신호를 입력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프로브파렛(100)은, 프로브핀이 포함된 프로브블록(160)을 피검사체의 상부에서 승강 이동시켜 실시간으로 교체되는 피검사체에 접촉을 시도하는 기능을 갖는다.Referring to FIG. 2, the probe pall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of the probe devices belonging to the probe system. The probe system is a system that inspects the performance of the display panel ahead of final housing assembly. The probe pallet 100 has the function of inputting a test signal necessary for a performance test by contacting the probe pin to the test terminal of the test object, for example, a connector terminal, with the test object, for example, a display panel, seated on the top. have The probe pallet 100 has a function of attempting to contact the inspected object that is replaced in real time by moving the probe block 160 containing the probe pin up and down from the upper part of the inspected object.

도 3을 참조하면, 프로브파렛(100)은, 파렛베이스(101), 파렛베이스(101)에 설치되는 바디블록(102), 파렛베이스(101)에 설치되는 PCB조립체(110) 및 PCB조립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보드조립체(10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블록(102)은 헤드블록(104) 및 프로브블록(16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the probe pallet 100 includes a pallet base 101, a body block 102 installed on the pallet base 101, a PCB assembly 110 installed on the pallet base 101, and a PCB assembly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oard assembly 103 electrically connected to 110). And the body block 102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ead block 104 and a probe block 160.

프로브파렛(100)의 구성요소 중에서 프로브블록(160)은 피검사체의 성능검사의 종류 및 피검사체의 규격 별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프로브블록(160)은 피검사체의 성능검사의 목적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헤드블록(104)과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되고, 동시에 기계적으로 체결 및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mong the components of the probe pallet 100, the probe block 160 can be used interchangeably depending on the type of performance test and the standard of the inspected object. That is, since the probe block 160 can be replac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performance testing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it can be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separated from the head block 104, and to be mechanically fastened and released at the same time.

파렛베이스(101)는 피검사체를 안착시키고, 각종의 구성요소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파렛베이스(101)는 베이스바디(111), 베이스바디(11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비젼글라스(112a), 비젼글라스(112a)를 베이스바디(111)에 고정시키는 글라스바(112b) 및 베이스바디(111)의 측면과 결합하는 손잡이(1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allet base 101 has the function of seating an object to be inspected and fixing various components. The pallet base 101 includes a base body 111, a vision glass 112a installed through the base body 111, a glass bar 112b that secures the vision glass 112a to the base body 111, and a base bod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andle 113 coupled to the side of (111).

베이스바디(111)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바디(111)의 탑면은 a영역(111a), b영역(111b), c영역(111c) 및 d영역(111d)으로 구획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a영역(111a)에는 피검사체가 안착될 수 있다. b영역(111b)에는 비젼글라스(112a) 및 비젼글라스바(112b)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비젼글라스(112a)의 상부에는 피검사체의 검사단자가 안착될 수 있다. c영역(111c) 및 d영역(111d)에는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될 수 있다. 각종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base body 111 may be made of metal. The top surface of the base body 111 may include regions divided into a region 111a, b region 111b, c region 111c, and d region 111d. An object to be inspected may be seated in area a (111a). Vision glass 112a and vision glass bar 112b may be installed in b area 111b. And the inspection terminal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may be seated on the top of the vision glass 112a. Various components may be installed in the c area 111c and d area 111d. Various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later.

비젼글라스(112a)는 투명한 소재, 예를 들어 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비젼글라스(112a)는, 베이스바디(111)의 b영역(111b)에 형성된 홀을 덮도록 베이스바디(111)에 설치될 수 있다. 비젼글라스(112a)의 상부에 피검사체의 검사단자가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바디(111)의 하부에서 베이스바디(111)의 바닥 쪽으로 봤을 때, 피검사체의 검사단자가 비젼글라스(112a)를 통해 시각적으로 보이게 된다.The vision glass 112a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 example, glass. The vision glass 112a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body 111 to cover the hole formed in the b area 111b of the base body 111. The test terminal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may be seated on the top of the vision glass 112a. Therefore, when viewed from the bottom of the base body 111 toward the bottom of the base body 111, the test terminal of the test object is visually visible through the vision glass 112a.

비젼글라스바(112b)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비젼글라스바(112b)는, 비젼글라스(112a)의 양단에서 비젼글라스(112b)를 베이스바디(111)에 결합시켜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The vision glass bar 112b may be made of metal or plastic. The vision glass bar 112b has the function of fixing the vision glass 112b to the base body 111 at both ends of the vision glass 112a.

손잡이(113)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113)는 베이스바디(111)의 양쪽 측면에 쌍으로 설치되되, 복수의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손잡이(113)는 프로브파렛(100)을 기계 또는 사람이 안전하게 운반하는 때에 사용될 수 있다.The handle 113 may be made of metal or plastic. The handles 113 are install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base body 111, and may be installed in multiple pairs. The handle 113 can be used when the probe pallet 100 is safely transported by a machine or a person.

도 4를 참조하면, 파렛베이스(101) 상에 설치된 바디블록(102)이 묘사되어 있다. 바디블록(102)은 헤드블록(104) 및 프로브블록(16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 the body block 102 installed on the pallet base 101 is depicted. The body block 102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ead block 104 and a probe block 160.

헤드블록(104)은 프로브블록과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되고, 기계적으로 체결 및 해제되는 기능을 갖는다. 헤드블록(104)은 고정블록(130) 및 체결블록(1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ead block 10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separated from the probe block, and has the function of mechanically fastening and disengaging. The head block 104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block 130 and a fastening block 140.

도 5는 도 2의 프로브파렛의 내부의 구성요소를 묘사하기 위해 고정블록바디가 투명하게 묘사된 상태의 예시도이다.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the fixed block body is depicted transparently to depict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probe pallet of FIG. 2.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블록(130)은 체결블록과 슬라이딩 결합하여 체결블록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고정블록(130)은 고정블록바디(131), 리니어모듈(linear module, LM)(132), 제1탄성체(133a), 고정핀(133b), 체결부B(13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블록과 결합하는 파렛베이스(101)는 체결부A(1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탄성체(133a)는 고정블록바디(131)와 체결블록(140)의 T블록(141) 사이에서 리니어모듈이 부드럽게 작용되게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갖는다.Referring to FIG. 5, the fixing block 130 is slidingly coupled to the fastening block and has the function of raising and lowering the fastening block. The fixing block 13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block body 131, a linear module (LM) 132, a first elastic body 133a, a fixing pin 133b, and a fastening part B 134. there is. The pallet base 101 coupled with the fixed block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astening portion A (114). The first elastic body 133a has the function of alleviating shock so that the linear module operates smoothly between the fixing block body 131 and the T block 141 of the fastening block 140.

리니어모듈(132)은 LM레일(132a), LM바디(132b)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LM레일(132a)은 고정블록바디(131)와 결합하고, LM바디(132b)는 T블록(141)과 결합할 수 있다. LM바디(132b)는 내부의 베어링을 이용하여 LM레일(132a)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The linear module 132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LM rail (132a) and an LM body (132b). The LM rail (132a) can be combined with the fixed block body (131), and the LM body (132b) can be combined with the T block (141). The LM body (132b)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LM rail (132a) using an internal bearing.

체결부A(114)와 체결부B(134)는 쿼터 클램퍼, 즉 1/4회전을 통해 잠금/해제가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체결부A(114)와 체결부B(134)는 두개의 쌍으로 파렛베이스(101)와 고정블록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A (114) and the fastening part B (134) may be implemented as quarter clampers, that is, in a form that allows locking/unlocking through 1/4 rotation. The fastening part A (114) and the fastening part B (134) can be installed in two pairs on the pallet base 101 and the fixed block, respectively.

체결블록(140)은 고정블록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고, 저면에서 프로브블록과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되고, 기계적으로 체결 및 해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체결블록(140)은 T블록(141), 제1접촉부(143), 제1안내부(146), 제1체결부(147)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block 140 rises and falls along the fixed block,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separated from the probe block at the bottom, and has the function of mechanically fastening and disengaging. The fastening block 1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 block 141, a first contact part 143, a first guide part 146, and a first fastening part 147.

제1접촉부(143)는 메인PCB(115)에서 검사신호를 전달받아 제2접촉부(163)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1접촉부(143)는 메인FPCB 및 메인FPCB커넥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tact unit 143 has the function of receiving an inspection signal from the main PCB 115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cond contact unit 163. The first contact portion 143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in FPCB and a main FPCB connect.

제1체결부(147)는 프로브블록의 제2체결부(166)를 기계적으로 체결시키거나, 해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제1체결부(147)는 제1마그넷(147a), 제1체결핀(147b) 및 제2체결핀(147c)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art 147 has the function of mechanically fastening or releasing the second fastening part 166 of the probe block.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47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magnet 147a, a first fastening pin 147b, and a second fastening pin 147c.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헤드블록(104)은 제1가이드부(146)를 포함하고, 프로브블록(160)은 제1가이드부(146)와 체결되는 제2가이드부(16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부(146)와 제2가이드부(165)는, 프로브블록(160)이 헤드블록(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시, 프로브블록(160)의 움직임을 안내하여 제2접촉부(163)의 접점이 제1접촉부(143)의 접점과 접촉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Referring again to FIG. 5, the head block 104 includes a first guide portion 146, and the probe block 160 includes a second guide portion 165 coupled to the first guide portion 146. It can be configured. That is, the first guide part 146 and the second guide part 165 guide the movement of the probe block 160 when the probe block 1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d block 104 to form the second contact part 163. ) has the function of allowing the contact point to contact the contact point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143.

제1가이드부(146)는 슬라이딩슬롯(146a)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가이드부(165)는 슬라이딩핀(165a)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슬라이딩핀(165a)이 슬라이딩슬롯(146a)에 삽입된 후, 슬라이딩 이동 후에 슬라이딩슬롯(146a)의 말단에 안착되면, 상대적인 위치가 미리 조정되어 있는 제2접촉부(163)와 제1접촉부(143) 간의 전기적 컨택이 이루어진다. 전기적 컨택과 거의 동시에 프로브블록(160)은 체결블록(140)에 기계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portion 146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liding slot 146a. And the second guide part 16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liding pin 165a. After the sliding pin (165a)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slot (146a) and is seated at the end of the sliding slot (146a) after sliding movement, the second contact portion 163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143 whose relative positions are adjusted in advance Electrical contact is made between the two. Almost simultaneously with the electrical contact, the probe block 160 may be mechanically fastened to the fastening block 140.

제1체결부(147)는 제1마그넷(147a)을 포함하고, 제2체결부(166)는 제2마그넷(166a)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마그넷(147a)은 체결블록(140) 내부에 삽입되고, 제2마그넷(166a)은 프로브블록(160)의 베이스블록(16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1마그넷(147a)과 제2마그넷(166a)은 서로 다른 극이므로 상호간에 인력의 자기력이 작용한다. 즉 제1마그넷(147a)의 저면과 제2마그넷(166a)의 탑면 사이에 인력의 자기력이 작용한다. 그런데, Z축 방향에서 제1마그넷(147a)과 제2마그넷(166a)을 바라볼 때, 제1마그넷(147a)과 제2마그넷(166a)이 100% 오버랩되게 배치되기 보다는 Y축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게 배치될 경우, 즉 오버랩 비율이 100%보다 작게, 예를 들어 70~90%으로 할 경우, 인력의 자기력이 가장 강하게 작용하게 되어, 기계적 체결의 강도가 더 높아질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art 147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magnet 147a,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66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magnet 166a. The first magnet 147a may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block 140, and the second magnet 166a may be inserted into the base block 161 of the probe block 160. Since the first magnet 147a and the second magnet 166a have different poles, magnetic force of attraction acts on them. That is, the magnetic force of attraction acts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agnet (147a) and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magnet (166a). However, when looking at the first magnet (147a) and the second magnet (166a) in the Z-axis direction, the first magnet (147a) and the second magnet (166a) are not arranged to overlap 100%, but rather overlap each other in the Y-axis direction. When placed far apart, that is, when the overlap ratio is less than 100%, for example, 70 to 90%, the magnetic force of attraction acts the strongest, and the strength of the mechanical fastening can be higher.

도 6은 도 2의 프로브파렛의 측면이 묘사된 예시도이다.Figure 6 is an example diagram depicting the side of the probe pallet of Figure 2.

도 6을 참조하면, 파렛베이스(101) 상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블록(130)이 묘사되어 있다. 고정블록(130)을 따라 체결블록(140)이 상하로 승강하도록 구성된다. 프로브블록(160)은, 체결블록(140)의 저면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즉 프로브블록(160)은, 성능검사의 종류, 예를 들어 MVI(manual visual inspection), AVI(automotive visual inspection), TSP 및 피검사체의 규격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즉 프로브블록(160)만 교체되면, 나머지 구성요소인 헤드블록(104), 즉 고정블록(130)과 체결블록(140)은 성능검사의 종류 및 피검사체의 규격과 관계 없이 호환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ure 6, a fixed block 130 is depicted, which is fixed on the pallet base 101. The fastening block 140 is configured to go up and down along the fixed block 130. The probe block 160 can be detached from the bottom of the fastening block 140. That is, the probe block 160 can be replaced with different types depending on the type of performance inspection, for example, manual visual inspection (MVI), automotive visual inspection (AVI), TSP, and the specifications of the inspection object. That is, if only the probe block 160 is replaced, the remaining components, the head block 104, that is, the fixing block 130 and the fastening block 140, are compatible regardless of the type of performance test and the specifications of the test object.

레버조립체(150)를 가압하면 체결블록(140)이 상승하게 되고, 레버조립체(150)가 릴리즈되면 체결블록(140)이 하강하면서, 프로브블록(160)의 피감사체에 대한 컨택이 이루어진다. 전기신호는 보드조립체, PCB조립체(110), 메인FPCB(144), 서브FPCB(164a)를 거쳐 프로브블록(160)에 전해진다. 파렛베이스(101) 상에 피검사체가 안착되면, 체결블록(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기계적으로 체결된 프로브블록이 하강하여 피검사체의 검사단자를 컨택하게 된다. When the lever assembly 150 is pressed, the fastening block 140 rises, and when the lever assembly 150 is released, the fastening block 140 descends, and the probe block 160 makes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audited. The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robe block 160 through the board assembly, PCB assembly 110, main FPCB 144, and sub FPCB 164a. When the object to be inspected is placed on the pallet base 101, the probe block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astening block 140 and mechanically fastened descends to contact the test terminal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도 7은 도 6의 프로브파렛의 일부가 투명하게 묘사된 예시도이다.FIG. 7 is an example diagram in which a portion of the probe pallet of FIG. 6 is depicted transparently.

도 8은 도 6의 프로브파렛의 일부가 확대 묘사된 예시도이다.FIG. 8 is an enlarged illustration of a portion of the probe pallet of FIG. 6.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체결블록(140)과 프로브블록(160)의 기계적 체결 및 해제에 따라, 제1접촉부(143)와 제2접촉부(163)는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ogether, according to the mechanical fastening and disengagement of the fastening block 140 and the probe block 160, the first contact portion 143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63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separated. there is.

제1접촉부(143) 메인FPCB(144) 및, 메인FPCB(144)를 지지하는 메인FPCB커넥트(145)의 형태로, 제2접촉부(163)는, FPCB조립체(164)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접촉부(163)는 서브FPCB(164a), P2K파렛(164B) 및 에이징파렛(164c)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tact portion 143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ain FPCB 144 and a main FPCB connect 145 supporting the main FPCB 144,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63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FPCB assembly 164. . The second contact portion 163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ub-FPCB 164a, a P2K pallet 164B, and an aging pallet 164c.

서브FPCB(164a)는, 일측이 메인FPCB(144)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고, 타측이 서브PCB(1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메인FPCB(144)로부터 검사신호를 수신하여 서브PCB(162)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One side of the sub-FPCB (164a)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main FPCB (144), and the other si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PCB (162), so that it receives an inspection signal from the main FPCB (144) and supports the sub-PCB (144). 162).

메인FPCB(144) 및 서브FPCB(164a)는, 전체가 필름에 의해 싸여졌으나, 일부 범위에서 노출된 케이블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ain FPCB 144 and the sub FPCB 164a may be entirely wrapped with a film, bu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cables exposed in a portion.

프로브블록(160)의 슬라이딩핀(165a)이, 체결블록(140)의 슬라이딩슬롯(146a)에 삽입되면서, 서브FPCB(164a)의 서브케이블이 메인FPCB(144)의 메인케이블과 접촉하게 된다. 즉, 베이스블록(161)에 대해 접촉면이 평행하게 배치된 서브FPCB(164a)는, 일단이 서브PCB(162)와 연결되고, 타단은 180도 각도로 휘어져서 베이스블록(161)과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일단과 타단의 중간 부위는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탄성력을 띠게 된다. 서브FPCB(164a)의 곡면과 이어지는 상부의 탑면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FPCB커넥트(145)에 의해 θ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고정된 메인FPCB(144)의 저면과 접촉할 수 있다. 두 FPCB들(144, 164a)의 전기적 접촉을 위해 FPCB들의 케이블이 미리 노출되어 있다. 즉 메인FPCB(144)의 복수의 메인케이블과 서브FPCB(164a)의 복수의 서브케이블이 일대일로 접촉함으로써 전기적 접촉(CP, contact point)을 형성할 수 있다.As the sliding pin 165a of the probe block 160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slot 146a of the fastening block 140, the sub cable of the sub FPCB 164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ain cable of the main FPCB 144. That is, the sub-FPCB (164a) whose contact surface is arranged parallel to the base block 161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sub-PCB 162, and the other end is bent at an angle of 180 degrees and coupled to the base block 161 to be fixed. It can be. The middle part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becomes elastic by forming a curved surface. The upper top surface connected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sub-FPCB 164a may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FPCB 144, which is obliquely fixed at an angle of θ by the FPCB connect 145, using elastic force. For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two FPCBs 144 and 164a, the cables of the FPCBs are exposed in advance. That is, the plurality of main cables of the main FPCB 144 and the plurality of sub-cables of the sub-FPCB 164a contact each other to form electrical contact (CP, contact point).

P2K파렛(164B)은 탄성력을 갖는 플레이트로서 일단이 서브PCB(162)와 기계적으로 결합하고, 타단이 프로브슬릿과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P2K파렛(164B)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프로브슬릿을 서브PCB(162)에 지지시키는 기능을 갖는다.The P2K pallet (164B) is a plate with elastic force, and one end is mechanically coupled to the sub-PCB 162, and the other end is mechanically coupled to the probe slit. The P2K pallet 164B has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probe slit on the sub-PCB 162 using elastic force.

에이징파렛(164c)은 프로브슬릿과 서브PCB(16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다. 프로브파렛(100)의 전기적 연결 순서는, 보드조립체, 메인PCB(115), 메인FPCB(144), 서브FPCB(164a), 서브PCB(162), 에이징파렛(164c) 및 프로브슬릿과 같다.The aging pallet 164c has the function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be slit and the sub-PCB 162. The electrical connection order of the probe pallet 100 is the same as the board assembly, main PCB 115, main FPCB 144, sub FPCB 164a, sub PCB 162, aging pallet 164c, and probe slit.

메인FPCB(144)와 서브PCB(162)는 필름에 싸여진 메인케이블 및 서브케이블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영역의 필름이 벗겨져 있어서 노출된 메인케이블과 서브케이블이 서로 접촉하여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main FPCB 144 and the sub PCB 162 may each include a main cable and a sub cable wrapped in film. Because the film is peeled off in some areas, the exposed main cable and sub cable can contact each other to form a contact surface.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프로브블록(160)은 베이스블록(161) 및 프로브슬릿(168)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브슬릿(168)은 피검사체와 직접 접촉하는 부위이다. 따라서 프로브슬릿(168)의 저면이 임계 높이 이하로 낮아지면 프로브슬릿(168)이 손상될 수 있는데, 프로브슬릿(168)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로브슬릿(168)의 저면과 같은 높이와, 스토퍼가 프로브슬릿(168)의 위치에서 +Y축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베이스블록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7, the probe block 16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ase block 161 and a probe slit 168. The probe slit 168 is a part that directly contacts the object to be inspected. Therefore, if the bottom of the probe slit 168 is lowered below the critical height, the probe slit 168 may be damaged. To prevent damage to the probe slit 168, the probe slit 168 should be at the same height as the bottom of the probe slit 168. , the stopper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ase block at a position away from the position of the probe slit 168 in the +Y-axis direction.

도 9는 도 2의 프로브파렛에서 고정블록바디가 누락된 바디블록의 예시도이다.Figure 9 is an example of a body block with a fixed block body missing from the probe pallet of Figure 2.

도 9를 참조하면, FPCB커넥트는 메인FPCB의 타단을 체결블록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즉 메인FPCB의 일단은 메인PCB(115)에 연결되고, 타단은 탄성력 있는 FPCB커넥트의 저면과 결합하여 고정된다.Referring to Figure 9, the FPCB connect has the function of fixing the other end of the main FPCB to the fastening block. That is, one end of the main FPCB is connected to the main PCB (115), and the other end is fixed by combining with the bottom of the elastic FPCB connector.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레버조립체(150)를 구성하는 레버(151) 또는 레버플레이트바(152)를 고정시킬 수 있는 픽스브라켓(153)이 고정블록(130)에 설치될 수 있다. 픽스브라켓(153)에 의해 레버(151)가 눌려진 상태, 즉 프로브블록(160)이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프로브블록(160)이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9, a fix bracket 153 capable of fixing the lever 151 or the lever plate bar 152 constituting the lever assembly 150 may be installed on the fixing block 130. The probe block 160 may be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lever 151 is pressed by the fix bracket 153,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probe block 160 moves upward.

도 10은 도 2의 프로브파렛의 바디블록의 저면에 형성되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의 예시도이다.FIG. 10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first contact portion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dy block of the probe pallet of FIG. 2.

도 10을 참조하면, 제2접촉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연결상태가 묘사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 10,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econd contact part is depicted.

프로브슬릿(168)의 일단은 피검사체와 접촉하고, 타단은 에이징파렛(164c)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에이징파렛(164c)의 타단은 서브PCB(1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서브PCB(162)는 다시 서브FPCB(164a)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probe slit 168 may be in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inspected, and the other e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ging pallet 164c. The other end of the aging pallet 164c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PCB 162, and the sub-PCB 16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b-FPCB 164a.

P2K파렛(164B)은, 탄성력을 갖고 있어서, 프로브슬릿(168)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면서, 서브PCB(162)와 프로브슬릿(168) 사이를 기계적으로 결합한다. 즉 P2K파렛(164B)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프로브슬릿(168)을 서브PCB(162)에 지지시키는 기능을 갖는다.The P2K pallet 164B has elastic force and mechanically couples the sub-PCB 162 and the probe slit 168 while mitigating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probe slit 168. That is, the P2K pallet 164B has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probe slit 168 on the sub-PCB 162 using elastic force.

마크플레이트는, 본래 파렛베이스(101)의 저면에 다수 개가 부착될 수 있으며, 파렛베이스(101)의 저면에 부착된 마크플레이트는 프로브파렛(100)의 대략의 위치 및 정렬여부를 파악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mark plates may be original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pallet base 101, and the mark plat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pallet base 101 is used to determine the approximate position and alignment of the probe pallet 100. can be used

도 10을 다시 참조하면, 프로브슬릿(168)의 저면에 마크플레이트(mark plate)(119)가 추가로 부착되어 있어서, 비젼시스템은 파렛베이스(101)에 설치된 투명한 비젼글라스(112a)를 통해 프로브슬릿(168)의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0, a mark plate 119 is additional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probe slit 168, so the vision system detects the probe through the transparent vision glass 112a installed on the pallet base 101.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osition of the slit 168 can be precisely determined.

도 11은 도 2의 프로브파렛의 바디블록의 양단에 구비된 후크조립체의 예시도이다.FIG. 1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hook assemb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ody block of the probe pallet of FIG. 2.

도 11을 참조하면, 제1체결부 및, 제1체결부와 결합될 수 있는 제2체결부(166)의 또 하나의 실시 예가 묘사되어 있다. 제1체결부 중의 하나로서 체결핀이, 제2체결부(166) 중의 하나로서 후크조립체는, 헤더블록과 프로브블록을 기계적으로 체결 및 분리시킬 수 있다. 체결핀과 후크조립체는 한 쌍으로 바디블록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fastener and the second fastener 166 that can be coupled to the first fastener is depicted. The fastening pin as one of the first fastening parts and the hook assembly as one of the second fastening parts 166 can mechanically fasten and separate the header block and the probe block. The fastening pin and hook assembly can be installed as a pair on both sides of the body block.

후크조립체는 레버, 제1후크, 제2후크, 회전축 및 제2탄성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ook assembly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ever, a first hook, a second hook, a rotation axis, and a second elastic body.

제2탄성체의 탄성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이 레버에 가히지면, 레버 반대 쪽의 제1후크 및 제2후크가 회전하면서 제1체결핀과 제2체결핀에서 각각 풀리게 된다.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lev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body, the first hook and the second hook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ever rotate and are released from the first fastening pin and the second fastening pin, respectively.

제1후크는 제1체결핀과 체결 및 해제할 수 있다. 제2후크는 제2체결핀과 체결 및 해제할 수 있다. 제2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제1후크가 제1체결핀에 가하는 힘과, 제2후크가 제2체결핀에 가하는 힘이 반대 방향으로 서로 평행을 이루므로 체결블록과 프로브블록이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hook can be fastened to and released from the first fastening pin. The second hook can be fastened to and released from the second fastening pin.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body, the force applied by the first hook to the first fastening pin and the force applied by the second hook to the second fastening pin are parallel to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so the fastening block and the probe block can be stably fixed. You can.

회전축은 베이스블록에 마련될 수 있다. 레버에 힘이 가해지면, 제1후크 및 제2후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1후크와 제1체결핀의 체결 및 제2 후크와 제2체결핀의 체결이 각각 해제될 수 있다.The rotation axis may be provided in the base block. When force is applied to the lever, the first hook and the second hook rotate around the rotation axis, and the fastening of the first hook and the first fastening pin and the fastening of the second hook and the second fastening pin may be released, respectively.

제2탄성체는 레버의 저면을 가압하여, 레버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제1후크와 제1체결핀의 체결 및 제2후크와 체2체결핀의 체결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body presses the bottom of the lever and prevents rotation of the lever, thereby further strengthening the fastening of the first hook and the first fastening pin and the fastening of the second hook and the second fastening pin.

도 12는 도 2의 프로브파렛에서 블록들의 수평을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예시도이다.FIG. 12 is an example diagram of a method of maintaining the horizontality of blocks in the probe pallet of FIG. 2.

도 12를 참조하면, 프로브파렛의 측면이 묘사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 12, the side of the probe pallet is depicted.

프로브블록의 컨택 진행 시 블록 간의 평탄이 깨지는 문제에 대비하기 위하여 프로브블록의 상부에 러버(rubber)를 장착하여 텐션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즉 프로브블록, 일명 컨택블록에 개별적 텐션을 적용할 수 있다. 러버는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러버이고, 결합블록과 프로브블록의 사이에서, 프로브블록의 수평을 유지시킨다. 프로브블록이, 탄성력이 있는 PK파렛에 의해 지지되므로, 임계치 이상으로 수평을 벗어날 경우, 컨택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To prepare for the problem of the flatness between blocks being broken during probe block contact, a tension function can be added by installing a rubber on the top of the probe block. In other words, individual tension can be applied to the probe block, also known as the contact block. The rubber is a rubber formed long in the X-axis direction, and between the coupling block and the probe block, it maintains the horizontality of the probe block. This is because the probe block is supported by an elastic PK pallet, so if it deviates from horizontal beyond a threshold, a contact error may occu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하면, 피검사체의 성능검사의 종류 및 규격에 따라 프로브블록의 교체만으로 하나의 프로브파렛이 호환 사용될 수 있다.As such,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probe palle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simply by replacing the probe block depending on the type and standard of the performance test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또한, 피검사체의 성능검사의 종류 및 규격에 따라 프로브블록의 교체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obe block can be replaced depending on the type and standard of the performance test of the test subject.

또한, 탄성력을 이용하면서도 프로브블록의 수평이 유지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evel of the probe block can be maintained while using elastic force.

또한, 제1FPCB가 경사지게 고정된 상태에서, 제2FPCB를 수평 방향으로 안착시켜 안정적으로 전기적 접점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while the first FPCB is fixed at an angle, the second FPCB can be se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stable electrical contact.

또한, 교체된 프로브블록이 이중의 기계적 체결을 통해 헤드블록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eplaced probe block can be stably fixed to the head block through double mechanical fastening.

또한, 파렛베이스와 바디블록 간의 원터치 체결 및 해제를 통해 수명이 다된 FPC의 교체가 용이하다.In addition, it is easy to replace an FPC that has reached the end of its lifespan through one-touch fastening and releasing between the pallet base and body block.

또한, 경사지게 고정된 제1FPC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제2FPC를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FPC들 간에 오차없이 전기적 접촉을 이룰 수 있다.Additionally, by sliding the second FPC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first FPC fixed at an angle, electrical contact can be made between the FPCs without error.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Above, variou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y giving some examples, but the description of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Content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section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or equivalent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above description is inten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is common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only to fully inform those with knowledge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each claim in the claims.

100: 프로브파렛, 101: 파렛베이스, 102: 헤드블록, 111: 베이스바디, 130: 고정블록, 140: 체결블록, 160: 프로브블록100: Probe pallet, 101: Pallet base, 102: Head block, 111: Base body, 130: Fixed block, 140: Fastening block, 160: Probe block

Claims (10)

프로브블록의 교체가 가능한 프로브파렛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으로서,
피검사체의 성능검사의 종류 및 규격에 맞는 상기 프로브블록을 헤드블록에 장착하는 단계;
수동 또는 자동의 방법으로 상기 프로브파렛을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피검사체를 상기 프로브파렛에 구비된 파렛베이스의 상부에 정렬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프로브블록과 체결된 체결블록을 승강 이동시켜 상기 프로브블록을 상기 피검사체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블록은, 레버에 의해 승강 이동되며,
복수 개의 상기 프로브블록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레버는 레버플레이트바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픽스브라켓에 의해 상기 레버 또는 상기 레버플레이트바가 가압되면, 상기 프로브블록은 상승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검사방법.
A method executed by a probe pallet capable of replacing the probe block,
Mounting the probe block that matches the type and standard of the performance test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on the head block;
Aligning the probe pallet manually or automatically;
Aligning the object to be inspected on an upper part of a pallet base provided on the probe pallet; and
It includes the step of bringing the probe block into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inspected by lifting and moving the fastening block fastened to the probe block,
The probe block is lifted and moved by a lever,
A plurality of lever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robe block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lever plate bar,
When the lever or the lever plate bar is pressed by the fix bracket, the probe block is configured to be fixed in the raised position,
method of inspection.
바디블록;
상기 바디블록과 결합되고, 피검사체가 정렬되는 파렛베이스; 및
상기 파렛베이스 및 상기 피검사체의 정렬에 사용되는 마크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블록은,
프로브블록의 수직(z축)의 승강을 제어하는 헤드블록; 및
피검사체에 검사신호를 입력시키는 상기 프로브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블록은, 전기신호를 입력받는 메인FPCB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블록은, 상기 메인FPCB와 전기적 접촉이 가능한 서브FPCB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블록은, 피검사체의 성능검사의 종류 및 규격에 따라 상기 헤드블록에서 분리되어 교체가 가능하고,
상기 헤드블록은, 레버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조립체는,
복수 개의 레버;
상기 복수 개의 레버를 서로 연결시키는 레버플레이트바; 및
상기 레버 또는 상기 레버플레이트바를 가압하여 상기 프로브블록을 상승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픽스브라켓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프로브파렛.
body block;
A pallet base coupled to the body block and on which the object to be inspected is aligned; and
It includes a mark plate used to align the pallet base and the inspection object,
The body block is,
A head block that controls the vertical (z-axis) elevation of the probe block; and
It includes the probe block that inputs a test signal to the test object,
The head block includes a main FPCB that receives electrical signals,
The probe block includes a sub-FPCB capable of electrical contact with the main FPCB,
The probe block can be separated from the head block and replaced depending on the type and standard of the performance test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The head block includes a lever assembly,
The lever assembly is,
a plurality of levers;
A lever plate ba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levers to each other; and
Configured to include a fix bracket that presses the lever or the lever plate bar to fix the probe block in the raised position,
Probe palet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헤드블록은,
상기 파렛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피검사체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블록의 안내를 받아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체결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블록은, 제1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블록은, 상기 제1체결부와 기계적으로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프로브파렛.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ead block is:
A fixed block fixed to the pallet base; and
It includes a fastening block installed at the top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to be lifted up and down under the guidance of the fixing block,
The fastening block includes a first fastening part,
The probe block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fastening part that can be mechanically fastened to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fastening part,
Probe palett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버조립체는 상기 체결블록에 작용점을 갖고,
상기 체결블록은 상기 레버조립체에 작용하는 외부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브블록의 승강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브파렛.
In claim 3,
The lever assembly has an action point on the fastening block,
The fastening block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probe block using external pressure acting on the lever assembly,
Probe palette.
삭제delete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메인FPCB; 및
상기 메인FPCB를 지지하는 메인FPCB커넥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서브FPCB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프로브파렛.
In claim 3,
It includes a first contact part and a second contact part,
The first contact part includes the main FPCB; and
Includes a main FPCB connector supporting the main FPCB,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sub-FPCB,
configured to include,
Probe palett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의 전기적 접촉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제1안내부로서 상기 체결블록에 구비된 슬라이딩슬롯; 및
제2안내부로서 상기 프로브블록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슬롯과 결합하는 슬라이딩핀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프로브파렛.
In claim 6,
It further includes a guide part that guides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first contact part and the second contact part,
The information department said,
A sliding slot provided in the fastening block as a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is provided on the probe block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sliding pin coupled to the sliding slot.
Probe palett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제1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제1마그넷과 결합하는 제2마그넷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프로브파렛.
In claim 7,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first magnet,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magnet coupled to the first magnet,
Probe palett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체결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체결핀에 체결 및 해제될 수 있는 후크조립체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프로브파렛.
In claim 8,
The first fastening part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pi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hook assembly that can be fastened to and released from the fastening pin,
Probe palett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블록은,
상기 제2체결부가 설치되는 베이스블록;
상기 베이스블록과 결합하고, 상기 제2접촉부가 설치되는 서브PCB; 및
상기 제2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검사신호를 피검사체에 입력시키는 프로브슬릿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프로브파렛.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be block is:
A base block on which the second fastening part is installed;
A sub-PCB coupled to the base block and on which the second contact part is installed; and
Configured to include a probe sli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inputs a test signal to the test subject,
Probe palette.
KR1020240018714A 2024-02-07 2024-02-07 Proprobe pallet Active KR1026920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8714A KR102692008B1 (en) 2024-02-07 2024-02-07 Proprobe pal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8714A KR102692008B1 (en) 2024-02-07 2024-02-07 Proprobe pall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92008B1 true KR102692008B1 (en) 2024-08-05

Family

ID=92378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8714A Active KR102692008B1 (en) 2024-02-07 2024-02-07 Proprobe pal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200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04977B1 (en) * 2024-08-30 2025-05-12 주식회사 프로이천 Probe palle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3918A1 (en) * 2000-11-08 2002-05-09 Toshio Okuno Unit with inspection probe blocks mounted thereon in parallel
KR100602154B1 (en) 2006-03-09 2006-07-19 (주)엠씨티코리아 Probe device for flat panel display inspection
KR20140126799A (en) * 2013-04-22 2014-11-03 (주) 루켄테크놀러지스 Auto probe inspection apparatus and inspection method of organic light emmiting pannel using the same
KR102225541B1 (en) * 2020-10-28 2021-03-10 주식회사 프로이천 Array Unit Capable Of Adjusting Probe Pin Minutely
KR102277909B1 (en) * 2020-11-06 2021-07-16 주식회사 프로이천 Apparatus for testing display panel
KR102467601B1 (en) * 2022-02-17 2022-11-16 주식회사 프로이천 Probe unit based on magnet
KR102542185B1 (en) * 2021-12-24 2023-06-13 주식회사 프로이천 Vision alignment probe unit
KR102599360B1 (en) * 2023-05-31 2023-11-07 주식회사 프로이천 Pinboard with interchangeable probes
KR20240000408A (en) * 2022-06-23 2024-01-02 주식회사 프로이천 Probe block automatic exchanging probe system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3918A1 (en) * 2000-11-08 2002-05-09 Toshio Okuno Unit with inspection probe blocks mounted thereon in parallel
KR100602154B1 (en) 2006-03-09 2006-07-19 (주)엠씨티코리아 Probe device for flat panel display inspection
KR20140126799A (en) * 2013-04-22 2014-11-03 (주) 루켄테크놀러지스 Auto probe inspection apparatus and inspection method of organic light emmiting pannel using the same
KR102225541B1 (en) * 2020-10-28 2021-03-10 주식회사 프로이천 Array Unit Capable Of Adjusting Probe Pin Minutely
KR102277909B1 (en) * 2020-11-06 2021-07-16 주식회사 프로이천 Apparatus for testing display panel
KR102542185B1 (en) * 2021-12-24 2023-06-13 주식회사 프로이천 Vision alignment probe unit
KR102467601B1 (en) * 2022-02-17 2022-11-16 주식회사 프로이천 Probe unit based on magnet
KR20240000408A (en) * 2022-06-23 2024-01-02 주식회사 프로이천 Probe block automatic exchanging probe system
KR102599360B1 (en) * 2023-05-31 2023-11-07 주식회사 프로이천 Pinboard with interchangeable prob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04977B1 (en) * 2024-08-30 2025-05-12 주식회사 프로이천 Probe pall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92008B1 (en) Proprobe pallet
KR101732629B1 (en) Alignment device for multi probe unit
CN110191578B (en) Flexible circuit board and test fixture
KR101920856B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Camera Module
KR101066507B1 (en) Relay connector
KR102599359B1 (en) Probe replaceable pinboard and method for replacing probe on the pinboard
KR102500663B1 (en) Hybrid pin board
KR101648799B1 (en) In circuit tester inspection System for Flexible PCB assembly
CN106918727B (en) Automatic plug wire testing device
KR102599360B1 (en) Pinboard with interchangeable probes
KR20110022202A (en) Multi Probe Unit
KR102805011B1 (en) Probe block automatic exchanging probe system
KR20120075083A (en) Test apparatu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N101988932B (en) Probe unit and tes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70109205A (en) Probe unit and probe device including same
KR200488774Y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display panel
KR102635451B1 (en) Display panel test apparatus
KR102752321B1 (en) Probe pallet
KR102570532B1 (en)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KR101124512B1 (en) Testing apparatus for printed circuit board
KR101949873B1 (en) Test Block For Electronic Module
KR102768597B1 (en) Pallet structure using contactor pressing method of display panel testing apparatus
KR102804977B1 (en) Probe pallet
KR102692398B1 (en) Modular pallet structure of display panel testing apparatus
KR102804939B1 (en) Pin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2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