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1967B1 - Tires with grooves with multi-step wall patterns for noise reduction - Google Patents
Tires with grooves with multi-step wall patterns for noise redu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91967B1 KR102691967B1 KR1020220054655A KR20220054655A KR102691967B1 KR 102691967 B1 KR102691967 B1 KR 102691967B1 KR 1020220054655 A KR1020220054655 A KR 1020220054655A KR 20220054655 A KR20220054655 A KR 20220054655A KR 102691967 B1 KR102691967 B1 KR 1026919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ove
- tire
- noise reduction
- protruding surface
- step wa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0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2—Noise damping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structure or attached thereto, e.g. in the tyre interi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0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 B60C2011/1338—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comprising protru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노이즈 저감을 위한 멀티 스텝 월 패턴이 형성된 그루브를 갖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저감을 위한 멀티 스텝 월 패턴이 형성된 그루브를 갖는 타이어는,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들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그루브; 및 그루브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복수의 단차부를 포함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re having grooves formed with a multi-step wall pattern for noise reduction. A tire having grooves formed with a multi-step wall pattern for noise re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rooves provid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read blocks of the tire; and a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from the upper end of the groove to the lower end.
Description
본 발명은 노이즈 저감을 위한 멀티 스텝 월 패턴이 형성된 그루브를 갖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루브에 노이즈 저감 구조를 형성한 노이즈 저감을 위한 멀티 스텝 월 패턴이 형성된 그루브를 갖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re having a groove formed with a multi-step wall pattern for noise redu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tire having a groove formed with a multi-step wall pattern for noise reduction in which a noise reduction structure is formed in the groove. will be.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의 내부를 구성하는 이너라이너, 이너라이너의 외부에 적층되는 바디 플라이, 바디 플라이 외부에 적층되는 벨트, 벨트 외부에 적층되는 트레드, 타이어의 양 측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월, 및 휠에 결합되는 비드로 구성된다.A pneumatic tire consists of an inner liner that makes up the inside of the tire, a body ply that is laminat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liner, a belt that is laminat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ply, a tread that is laminated on the outside of the belt, a side wall that makes up both sides of the tire, and a wheel. It consists of beads that are bonded to.
이러한 공기입 타이어의 노면에 접지하는 트레드에는, 접지력, 배수력, 제동력, 소음 분산 등을 위하여 특정한 형태의 패턴을 형성하게 되며, 그 패턴의 형태에 따라 빗길, 눈길 그리고 핸들링 성능에 큰 영향을 주며, 이는 타이어 개발에 주요 인자가 된다.The tread that contacts the road surface of these pneumatic tires forms a specific pattern for traction, drainage, braking power, noise dispersion, etc., an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pattern,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rain, snow, and handling performance. This is a major factor in tire development.
일반적으로, 바퀴를 굴려 앞으로 나가는 자동차는 태생적으로 소음을 발생시킬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운전 중에 차량 내외부로부터 들려오는 엔진음과 풍절음(예를 들어. 바람소리) 등 소음은 운전자와 탑승자에 귀에 늘 거슬린다. 이에 방음재, 흡음재 등을 사용해 소음을 차단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In general, a car that moves forward by rolling its wheels inevitably generates noise. However, noises such as engine noise and wind noise (e.g. wind noise) coming from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while driving are always annoying to the ears of the driver and passengers. Accordingly, work is done to block noise using soundproofing and sound-absorbing materials.
최근 트럭버스 타이어 시장의 요구사항은 점차 1차 성능(내구, 마모)에서 2차성능(RR, Wet, PBN, R&H 등)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최근 유럽시장, 중국시장 등 글로벌하게 전기(EV) 트럭과 버스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기본적인 마모, 내구 성능뿐만 아니라 내연기관의 차량과 달리 소음에 대한 중요도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Recently, the requirements of the truck and bus tire market are gradually increasing from primary performance (durability, wear) to secondary performance (RR, Wet, PBN, R&H, etc.). In particular, as interest in and demand for electric (EV) trucks and buses has increased globally, including in the European and Chinese markets, the importance of not only basic wear and durability performance, but also noise, unlike vehicles with internal combustion engines, is also increasing.
차량에서는 소음 중 타이어에 대한 소음의 정도가 가장 높기 때문에 향후 전기 트럭버스 산업에서의 타이어소음은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이슈화되어, 소음 감소를 위한 구조적인 문제들을 발생시킬 것이다.Since tire noise is the highest among all noises in vehicles, tire noise will become the most important issue in the electric truck and bus industry in the future, creating structural problems for noise reductio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 홈부인 그루브에서 발생하는 소음 파장을 쪼개고 분산시켜 도로면과 타이어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기존보다 더 감소시키는 노이즈 저감을 위한 멀티 스텝 월 패턴이 형성된 그루브를 갖는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a multi-step wall pattern for noise reduction that further reduces noise generated between the road surface and tires by splitting and dispersing noise waves generated in the tire grooves. The aim is to provide a tire having this formed groov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들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그루브; 및 상기 그루브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복수의 단차부를 포함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groov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tread blocks of the tire; and a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groov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차부는 상기 그루브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계단 형상을 형성하되, 상기 그루브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돌출 면부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tep portions form a step shape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groove, and may each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ding surface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roov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 면부는 상기 복수의 단차부의 상측에서 하측까지 개수가 증가하도록 쪼개져 배치되며, 너비 및 면적이 감소된 돌출 조각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is divided and disposed to increase in numb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steps, and may include protruding pieces with reduced width and are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 면부는 상기 단차부에서 1.5mm ~ 2mm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1.5 mm to 2 mm from the step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차부는 전면 방향을 따른 상호 단차 간격이 2mm ~ 3mm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may be formed at a mutual step interval of 2 mm to 3 mm along the front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차부는 상기 그루브의 내측 일면부에 배치되되, 상기 그루브의 내측 타면부에 배치되는 돌기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may be disposed on on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and may further include protrusions disposed on the other inner surface of the groove.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타이어 홈부인 그루브에서 발생하는 소음 파장을 쪼개고 분산시켜 도로면과 타이어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기존보다 더 감소시키는 노이즈 저감을 위한 멀티 스텝 월 패턴이 형성된 그루브를 갖는 타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s that a multi-step wall pattern is formed for noise reduction, which further reduces the noise generated between the road surface and the tire by splitting and dispersing the noise waves generated in the groove, which is the tire groove, than before. A tire having a groove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저감을 위한 멀티 스텝 월 패턴이 형성된 그루브를 갖는 타이어의 트레드 일부 입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차부와 돌출 면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그루브 폭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반대 방향 입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돌기에 대한 확대도이다.1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tread of a tire having grooves in which a multi-step wall pattern is formed for noise re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step portion and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groove width direction of Figure 1.
Figure 4 is a three-dimensional view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Figure 1.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protrusion of Figure 4.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mbined)" with another part, this mean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ncludes cases where it is. Additionally,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but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ad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저감을 위한 멀티 스텝 월 패턴이 형성된 그루브를 갖는 타이어의 트레드 일부 입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단차부와 돌출 면부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그루브 폭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artial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tread of a tire having a groove formed with a multi-step wall pattern for noise re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step portion and protruding surface portion of Figure 1, and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groove width direction of FIG.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저감을 위한 멀티 스텝 월 패턴이 형성된 그루브를 갖는 타이어는,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10)들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그루브(20), 및 그루브(2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복수의 단차부(100: 101, 102, 103)를 포함한다.1 to 3, a tire having grooves formed with a multi-step wall pattern for noise re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groove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tread blocks 10 of the tire. (20), and a plurality of step portions (100: 101, 102, 103)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groove (20).
복수의 단차부(100: 101, 102, 103)는 그루브(20)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계단 형상을 형성하되, 그루브(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돌출 면부(110)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tep portions 100 (101, 102, 103) form a step shape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groove 20,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surface portions 110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roove 20. Each can be provided.
돌출 면부(110)는, 상부에서 하부까지 배치되는 제1 돌출 면부(111), 제2 돌출 면부(112), 및 제3 돌출 면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110 may include a first protruding surface portion 111, a second protruding surface portion 112, and a third protruding surface portion 113 arranged from top to bottom.
미니 커프(120)는, 제1 돌출 면부(111)들 사이에 마련되는 제1 미니 커프(121), 제2 돌출 면부(112)들 사이에 마련되는 제2 미니 커프(122), 및 제3 돌출 면부(113)들 사이에 마련되는 제3 미니 커프(1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mini cuff 120 includes a first mini cuff 121 provid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portions 111, a second mini cuff 122 provided between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portions 112, and a third mini cuff 122 provid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portions 111. It may include a third mini cuff 123 provided between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s 113.
본 실시 예에 따른 그루브(20)는 그루브(20) 벽면에 다단계 단차부(100: 101, 102, 103)를 배치하고, 각각의 미니 형상인 돌출 면부(110)를 형성하고 각 스텝(Step) 즉 돌출 면부(110) 마다 미니 커프(120, Kerf)가 삽입 형성된 구조이다. 이 때 각각의 단차부(100: 101, 102, 103) 층은 횡단력 및 주행방향에서 각각 독립적인 움직임을 보임으로 인해 기존의 그루브(20)(Groove) 및 각각의 리브(Rib)의 기존 단일 움직임, 즉 단위 면적당의 응력을 분산시켜준다. 미니 커프(120)는 각각의 단차부(101, 102, 103)에서 돌출 면부(111, 112, 113)들 사이에 마련되는 그루브(20) 경사를 따른 미세 홈부이다.The groove 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rranges multi-level step portions 100 (101, 102, 103) on the wall of the groove 20, forms each mini-shaped protruding surface portion 110, and each step (Step) That is, it is a structure in which a mini cuff (120, Kerf) is inserted into each protruding surface portion (110). At this time, each step layer (100: 101, 102, 103) shows independent movement in the transverse force and running direction, so that the existing groove 20 and the existing single rib of each rib It distributes the movement, that is, the stress per unit area. The mini cuff 120 is a fine groove portion along the slope of the groove 20 provided between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s 111, 112, and 113 in each of the step portions 101, 102, and 103.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돌출 면부(110: 111, 112, 113)는 복수의 단차부(100: 101, 102, 103)의 상측에서 하측까지 개수가 증가하도록 쪼개져 배치되며, 너비 및 면적이 감소된 돌출 조각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돌출 조각은 각 돌출 면부(110: 111, 112, 113)가 미니 커프(120: 121, 122, 123)으로 구분되어 마련된 구조이다.Referring to Figures 1 to 3,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s 110 (111, 112, 113) are divided and arranged so that the number in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step portions (100: 101, 102, 103), and the width and area are This may include reduced protruding pieces. Substantially, the protruding piece is a structure in which each protruding surface portion (110: 111, 112, 113) is divided into mini cuffs (120: 121, 122, 123).
본 실시 예에서, 돌출 면부(110: 111, 112, 113)는 각각의 단차부(100: 101, 102, 103)에서 1.5mm ~ 2mm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단차부(100: 101, 102, 103)는 전면 방향을 따른 상호 단차 간격이 2mm ~ 3mm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 면부(110: 111, 112, 113)는 최상부에서 최하부까지 각 스텝마다 2mm ~ 3mm씩 더 돌출되어 다단의 스텝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처럼 복수의 단차부(100: 101, 102, 103)는 상부에서 하부까지 경사진 계단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대적인 돌출 간격이 2mm ~ 3mm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rotruding surface parts 110: 111, 112, 113 may be formed to protrude 1.5 mm to 2 mm from each step part 100: 101, 102, 103, and a plurality of step parts 100: 101 , 102, 103) may be formed with a mutual step spacing of 2 mm to 3 mm along the front direction. That is,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s 110 (111, 112, 113) protrude 2 mm to 3 mm more at each step from the top to the bottom, forming a multi-step shape. In this way, the plurality of step portions 100 (101, 102, 103) are arranged in an inclined step shape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relative protrusion interval may be 2 mm to 3 mm.
이에 따르면, 각 단차부(101, 102, 103)에 돌출 면부(111, 112, 113)의 돌출 형상 차이에 따른 상하 위치에서 깊이 차이를 제공함으로써 그루브(20, Groove)를 지나가는 공기의 소음을 분산시켜 공명에 대한 주파수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the noise of air passing through the groove 20 is dispersed by providing a depth difference i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to each step portion 101, 102, and 103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protrusion shape of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s 111, 112, and 113. This allows you to reduce the frequency noise related to resonance.
도 4는 도 1의 반대 방향 입체도이며, 도 5는 도 4의 돌기에 대한 확대도이다.Figure 4 is a three-dimensional view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Figure 1, and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protrusion of Figure 4.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단차부(100)는 그루브(20)의 내측 일면부에 배치되되, 그루브(20)의 내측 타면부에 배치되는 돌기(130: 131, 132)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3 to 5, the plurality of step portions 100 are disposed on on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20, and further include protrusions 130 (131, 132) disposed on the other inner surface of the groove 20. It can be included.
이러한 돌기(130: 131, 132)들은 복수 줄로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돌기(131), 및 그 아래에 있는 제2 돌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These protrusions (130: 131, 132) may be provided in multiple rows,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protrusion (131) and a second protrusion (132) below it.
본 실시 예에서는, 각 단차부(Step)별 양각으로 튀어나온 부분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최소 1.5mm이상의 깊이를 부여한다. 또한 단차부 벽부(Stepped wall) 반대부 주행 방향 돌기부에 대해서도 동일한 깊이를 부여할 수 있다. 즉 돌기(130: 131, 132)들은 그루브(20)의 내측 일면부에서 1.5mm이상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rotruding portion of each step is given a depth of at least 1.5 mm to ensure a certain level of rigidity. In addition, the same depth can be given to the protrusion in the driving direc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tepped wall. That is, the protrusions 130: 131, 132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more than 1.5 mm from on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20.
이러한 돌기(130: 131, 132)들은 주행 방향을 따른 것으로서, 길이는 주행방향으로 최소 15mm 이상을 가지며 높이는 3mm 이상을 가질 수 있다.These protrusions (130: 131, 132) are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and may have a length of at least 15 mm or more in the traveling direction and a height of 3 mm or more.
이처럼 단차된 벽(Stepped Wall) 반대 측벽에는 주행방향으로 돌기(130)들을 설치 함으로써 다른 방향 공기 흐름에 대한 주파수 줄임을 만들 수 있다.In this way, by installing protrusions 130 in the driving direction on the side wall opposite the stepped wal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requency of air flow in the other direction.
이러한 본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구조는, 기존 TBR 타이어 그루브(20, Groove)에 다단계 멀티 레이어(Multi-layer)를 두고 각 레이어(Layer) 마다 커프(Kerf)를 삽입함으로써 각 레이어(Layer)에서 타이어 외부에서 들어오는 힘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 가능한 기술이다.The structure proposed in this embodiment is to place a multi-layer in the existing TBR tire groove 20 and insert a kerf in each layer to separate the tire from each layer. It is a technology that can more efficiently control forces coming from outside.
또한, 다단 스텝의 멀티 레이어(Multi-Layer)에서는 단위면적당 힘을 분산시킨다. 이때 각 레이어(Layer)에 삽입된 커프(Kerf)는, 기존 커프(Kerf)의 효과를 내게 되어 균일한 마모 진행을 확보할 수 있게 하며, 기존 TBR 타이어에서 발생하던 칩컷(Chip-cut)과 같은 뜯김 현상에 있어서도 고른 힘의 분산을 통해 기존 블록 형상 대비 높은 안전율을 가질 수 있게 만든다.In addition, the multi-layer of the multi-step distributes the force per unit area. At this time, the Kerf inserted into each layer has the effect of an existing Kerf, ensuring uniform wear progress, and is similar to the chip-cut that occurred in existing TBR tires. Even in the case of tearing, it is possible to have a higher safety factor compared to existing block shapes through even distribution of force.
본 실시 예에서는, 기주 공명음을 저감하기 위해 다단 돌출 면부(110)를 타이어 주홈인 그루브에 적용함으로써 양각으로 나온 널링 형상을 통해 주홈 내의 부피를 줄이고, 주홈 내의 유동 흐름을 보다 저해하여 기주 공명에 의한 피크(peak)를 저감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reduce the air column resonance sound, the multi-stage protruding surface portion 110 is applied to the groove, which is the main groove of the tire, thereby reducing the volume in the main groove through the embossed knurling shape and further impeding the flow in the main groove to reduce air column resonance. peak can be reduced.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크게 타이어 표면에 대한 데미지 감소 및 소음 저감의 두 가지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is embodiment provides two major effects: reduction of damage to the tire surface and noise reduction.
먼저, 타이어 표면에 대한 데미지 감소는, 그루브(20, Groove)에 다면 커프(Kerf)를 구비하여 그루브(20, Groove)에 전해지는 응력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즉, 계단형 다면 커프(Kerf)로 인해 각 커프(Kerf)에 전해지는 단위 면적당 힘의 크기를 분산시킴으로써 그루브(20) 크랙(Groove Crack)과 불규칙 마모 및 칩컷(Chip-cut) 등에 의한 타이어 표면 데미지를 줄일 수 있다.First, damage to the tire surface is reduced by minimizing the stress transmitted to the groove 20 by providing a multi-faceted kerf in the groove 20. In other words, by dispersing the size of the force per unit area transmitted to each Kerf due to the stepped multi-faceted Kerf, the tire surface is damaged due to groove cracks, irregular wear, and chip cuts in the groove 20. Damage can be reduced.
또한, 소음 저감은 계단형 커프(kerf)로 형성된 그루브(20) 측벽을 지그재그 형식의 격벽을 동시에 만듦으로써 공명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의 주파수를 줄임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루브(20)의 반대 측벽에는 주행방향으로의 돌기(130)들에 의한 격벽을 형성함으로써 더 많은 주파수 줄임을 만들어 소음을 줄이게 된다.In addition, noise reduction is achieved by reducing the frequency of noise generated by resonance by simultaneously forming a zigzag partition wall on the side wall of the groove 20 formed by a stepped kerf. By forming a partition wall with protrusions 130 in the traveling direction on the side wall opposite to the groove 20, noise is reduced by further reducing the frequency.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singl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트레드 블록
20: 그루브
100: 단차부
110: 돌출 면부
120: 미니 커프
130: 돌기10: Tread block
20: groove
100: Step part
110: protruding face part
120: mini cuff
130: protrusion
Claims (6)
상기 그루브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복수의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차부는 상기 그루브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계단 형상을 형성하되, 상기 그루브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돌출 면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돌출 면부는 상기 복수의 단차부의 상측에서 하측까지 개수가 증가하도록 쪼개져 배치되고, 너비 및 면적이 감소된 돌출 조각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저감을 위한 멀티 스텝 월 패턴이 형성된 그루브를 갖는 타이어.
a groov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tread blocks of the tire;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groove,
The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form a step shape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groove, and each has a plurality of protruding surface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roove,
A tire having a groove in which a multi-step wall pattern is formed for noise reduction, wherein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is divided and arranged to increase in numb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steps, and includes protruding pieces with reduced width and area. .
상기 돌출 면부는 상기 단차부에서 1.5mm ~ 2mm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저감을 위한 멀티 스텝 월 패턴이 형성된 그루브를 갖는 타이어.
In claim 1,
A tire having a groove formed with a multi-step wall pattern for noise reduction, wherein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1.5 mm to 2 mm from the step portion.
상기 복수의 단차부는 전면 방향을 따른 상호 단차 간격이 2mm ~ 3mm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저감을 위한 멀티 스텝 월 패턴이 형성된 그루브를 갖는 타이어.
In claim 1,
A tire having grooves formed with a multi-step wall pattern for noise red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tep portions are formed with a mutual step interval of 2 mm to 3 mm along the front direction.
상기 복수의 단차부는 상기 그루브의 내측 일면부에 배치되되,
상기 그루브의 내측 타면부에 배치되는 돌기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저감을 위한 멀티 스텝 월 패턴이 형성된 그루브를 갖는 타이어.In claim 1,
The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are disposed on on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A tire having a groove formed with a multi-step wall pattern for noise reduction, further comprising protrusions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groov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4655A KR102691967B1 (en) | 2022-05-03 | 2022-05-03 | Tires with grooves with multi-step wall patterns for noise redu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4655A KR102691967B1 (en) | 2022-05-03 | 2022-05-03 | Tires with grooves with multi-step wall patterns for noise redu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55152A KR20230155152A (en) | 2023-11-10 |
KR102691967B1 true KR102691967B1 (en) | 2024-08-05 |
Family
ID=88742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54655A Active KR102691967B1 (en) | 2022-05-03 | 2022-05-03 | Tires with grooves with multi-step wall patterns for noise redu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91967B1 (en)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607A (en) * | 1991-06-25 | 1993-01-08 | Sumitomo Rubber Ind Ltd | Pneumatic tire |
EP0393873B1 (en) * | 1989-04-21 | 1995-06-07 | Sp Reifenwerke Gmbh | A vehicle tyre |
JP2002219906A (en) * | 2000-02-07 | 2002-08-06 | Bridgestone Corp | Tire |
JP2009137518A (en) * | 2007-12-10 | 2009-06-25 | Toyo Tire & Rubber Co Ltd | Pneumatic tire |
JP2013216118A (en) * | 2012-04-04 | 2013-10-24 | Yokohama Rubber Co Ltd:The | Pneumatic tire |
JP2018016304A (en) * | 2016-07-29 | 2018-02-01 | 錦湖タイヤ株式会社Kumho Tire Co., Inc. | Non pneumatic tire |
EP2732981B1 (en) * | 2012-11-20 | 2019-03-06 |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 Pneumatic tire |
KR20190045635A (en) * | 2017-10-24 | 2019-05-03 |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 Pneumatic tire |
KR102149241B1 (en) | 2018-11-01 | 2020-08-31 |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 Tyre with improved tread-waving and high frequency noise |
-
2022
- 2022-05-03 KR KR1020220054655A patent/KR10269196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393873B1 (en) * | 1989-04-21 | 1995-06-07 | Sp Reifenwerke Gmbh | A vehicle tyre |
JPH05607A (en) * | 1991-06-25 | 1993-01-08 | Sumitomo Rubber Ind Ltd | Pneumatic tire |
JP2002219906A (en) * | 2000-02-07 | 2002-08-06 | Bridgestone Corp | Tire |
JP2009137518A (en) * | 2007-12-10 | 2009-06-25 | Toyo Tire & Rubber Co Ltd | Pneumatic tire |
JP2013216118A (en) * | 2012-04-04 | 2013-10-24 | Yokohama Rubber Co Ltd:The | Pneumatic tire |
EP2732981B1 (en) * | 2012-11-20 | 2019-03-06 |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 Pneumatic tire |
JP2018016304A (en) * | 2016-07-29 | 2018-02-01 | 錦湖タイヤ株式会社Kumho Tire Co., Inc. | Non pneumatic tire |
KR20190045635A (en) * | 2017-10-24 | 2019-05-03 |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 Pneumatic tire |
KR102149241B1 (en) | 2018-11-01 | 2020-08-31 |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 Tyre with improved tread-waving and high frequency nois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55152A (en) | 2023-1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87964B1 (en) | Pneumatic tire | |
JP5342122B2 (en) | Pneumatic tire | |
JP2006224770A (en) | Pneumatic tire | |
WO2012033204A1 (en) | Tire | |
JP2804218B2 (en) | Pneumatic tire | |
JP4800610B2 (en) | Pneumatic radial tire | |
EP2529953B1 (en) | Tyre | |
JP2008105480A (en) | Pneumatic tire | |
KR101943484B1 (en) | Medium and long distance guide wheel tyre pattern | |
JP2014076680A (en) | Pneumatic tire | |
KR102691967B1 (en) | Tires with grooves with multi-step wall patterns for noise reduction | |
JP4040750B2 (en) | Pneumatic radial tire | |
JP3103641B2 (en) | tire | |
JP4020685B2 (en) | Pneumatic tire | |
KR102088907B1 (en) | Heavy duty pneumatic tire | |
KR102218152B1 (en) | Noise reduced pneumatic tire | |
KR102741186B1 (en) | Tire with vertical rectangular kerf with variable thickness for each section | |
KR102748713B1 (en) | Heavy duty tire | |
KR102788819B1 (en) | Pneumatic tire with variable thickness cuff with interlocking band | |
KR102834041B1 (en) | Tires with Equal Split Curves | |
JP2006137239A (en) | Pneumatic tire | |
KR102106553B1 (en) | Tire | |
JP7683290B2 (en) | tire | |
KR20230146268A (en) | Tires with Equal Split Curves | |
KR20080051661A (en) | Pneumatic ti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7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