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1810B1 - Null-flux levitation apparatus for magnetic levitation vehicle and system - Google Patents

Null-flux levitation apparatus for magnetic levitation vehicle and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1810B1
KR102691810B1 KR1020210076771A KR20210076771A KR102691810B1 KR 102691810 B1 KR102691810 B1 KR 102691810B1 KR 1020210076771 A KR1020210076771 A KR 1020210076771A KR 20210076771 A KR20210076771 A KR 20210076771A KR 102691810 B1 KR102691810 B1 KR 102691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ll
flux
conductor plate
flotation device
c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7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67606A (en
Inventor
임정열
이창영
최수용
최재헌
오예준
이진호
조정민
이관섭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76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1810B1/en
Publication of KR20220167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6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1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181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8Sliding or levi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4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10Combination of electric propulsion and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36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 Of Vehicles With Linear Motors And Vehicles That Are Magnetically Levitat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부상차량을 위한 널플럭스 부상 장치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널플럭스 부상 장치는 자기부상차량의 자석과 가장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널플럭스 코일, 상기 널플럭스 코일의 후면에 배치된 추진 코일 및 상기 추진 코일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추진 코일의 하단에 배치된 제 1 도체판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ull flux levitation device and system for a magnetic levitation vehicle. The null flux lev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ull flux coil disposed closest to the magnet of the magnetic levitation vehicle, a propulsion coil disposed at the rear of the null flux coil, and a rear of the propulsion coil, It includes a first conductor plat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propulsion coil.

Description

자기 부상 차량을 위한 널플럭스 부상 장치 및 시스템{NULL-FLUX LEVITATION APPARATUS FOR MAGNETIC LEVITATION VEHICLE AND SYSTEM}NULL-FLUX LEVITATION APPARATUS FOR MAGNETIC LEVITATION VEHICLE AND SYSTEM}

본 발명은 자기 부상 차량을 위한 널플럭스 부상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null flux levitation devices and systems for magnetic levitation vehicles.

자기 부상 추진은 전기 자기력을 이용하여, 궤도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부상하여 추진하는 것을 말한다. 자기 부상 차량은 궤도와 궤도 상에서 비접촉으로 부상 및 추진하는 대차를 포함한다.Magnetic levitation propulsion refers to levitating and propulsion from orbit at a certain height using electric magnetic force. Maglev vehicles include a bogie that levitates and propels non-contactly on and off track.

자기 부상 차량은 대차와 궤도 사이에서 전자석에 의한 인력 또는 반발력을 응용하여, 대차를 궤도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로 추진한다. 이와 같이 자기 부상 시스템은 궤도와 비접촉 상태로 추진하므로 소음 및 진동이 적고 고속 추진이 가능하다.A magnetically levitated vehicle uses the attractive or repulsive force of electromagnets between the bogie and the track to propel the vehicle away from the track. In this way, the magnetic levitation system is propelled in a non-contact state with the orbit, so noise and vibration are low and high-speed propulsion is possible.

자기 부상 방법에는 자석의 인력을 이용하는 흡인식과, 자석의 반발력을 이용하는 반발식이 있다. 또한, 자기 부상의 부상 방법에는 전자석의 원리에 따라, 초전도 방식과 상전도 방식이 있다. 초전도 방식은 전기 저항이 없고 강한 자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고속 차량에 적용하고, 상전도 방식은 중속도의 중단거리용 차량에 적용하고 있다.Magnetic levitation methods include a suction type that uses the attractive force of a magnet and a repulsion type that uses the repulsive force of a magnet. In addition, magnetic levitation methods include a superconducting method and a normal conduction method, depending on the principle of electromagnetism. The superconducting method has no electrical resistance and can obtain strong magnetic force, so it is applied to high-speed vehicles, while the normal conduction method is applied to medium-speed, short- to medium-distance vehicles.

자기부상 차량에 작용하는 주요 힘 성분은 부상력, 추진력 그리고 안내력이며, 자기부상 전자석이 부상력을 담당하고, 선형전동기가 추진력을 담당하며, 안내 전자석이 안내력을 부담한다.The main force components acting on a maglev vehicle are levitation force, propulsion force, and guidance force. The magnetic levitation electromagnet is responsible for the levitation force, the linear motor is responsible for the propulsion force, and the guidance electromagnet is responsible for the guidance force.

전자석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원 공급기가 설치되는데, 전원 공급기가 안정적으로 제어되어야 부상력 및 추진력을 안정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A power supply is installed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omagnet, and the power supply must be stably controlled to stably generate levitation force and propulsion force.

한편, 이와 같은 자기 부상 차량을 활용하여 최근에는 진공 상태가 유지되는 튜브형 터널에 자기 부상 차량이 주행하도록 하는 하이퍼튜브 시스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Meanwhile, using such magnetic levitation vehicles, the development of a hypertube system that allows maglev vehicles to travel in a tube-type tunnel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is currently underway.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 10-1999790호(발명의 명칭: 에너지 하비스터를 포함하는 자기 부상 열차 및 자기 부상 열차가 주행하는 인프라시스템)에서는 자기력에 의하여 부상하여 이동하는 자기 부상 차량관련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No. 10-1999790 (title of the invention: maglev train including energy harvester and infrastructure system on which maglev train runs) relates to a system related to a maglev vehicle that levitates and moves by magnetic force. It is starting.

이러한 자기 부상 차량(10)에 적용된 구조물을 살펴보면, 차량(10)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변화와 각 코일에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에 의하여 차상 자석과의 작용을 통해 부상력, 안내력, 저항력이 발생하게 된다.Looking at the structure applied to this magnetic levitation vehicle 10, the levitation force, guidance force, and resistance force are generated through the action with the magnet on the vehicle due to the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vehicle 10 and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in each coil. It happens.

도 1을 참조하면, 서로 마주보는 8자형 널플럭스 코일(21)을 연결하는 널플럭스 케이블이 주행로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때, 인프라 구조물에 배치된 부상, 안내, 추진용 코일로 8자형 널플럭스 코일(21)이 배치되며, 차량(11)의 전자석(12)이 널플럭스 코일(21)의 상측 코일과 하측 코일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차량 전자석(12)의 움직임에 따라, 널플럭스 코일(21)에 자기장 변화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코일(21)에 유도된 전류와 전자석(12)과의 작용에 의해, 부상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 a null flux cable connecting eight-shaped null flux coils 21 facing each other is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travel path. At this time, an 8-shaped null flux coil 21 is placed as a levitation, guidance, and propulsion coil placed on the infrastructure structure, and the electromagnet 12 of the vehicle 11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coils of the null flux coil 21. It is located in between. As the vehicle electromagnet 12 moves, a magnetic field change occurs in the null flux coil 21, which causes it to float due to the action of the current induced in the coil 21 and the electromagnet 12.

이러한, 종래의 유도 반발식 널플럭스 부상장치는 불연속적인 도체판의 배치에 의하여 작용력 리플이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conventional induced-repulsion null-flux flotation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force ripple becomes severe due to the discontinuous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plates.

또한, 자기부상시 주행체는 코일 중심에서 수십mm아래에서 주행하며, 도체판을 코일의 중심에 배치하면 유도 반발력으로 인해 부상력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In addition, during magnetic levitation, the traveling body travels tens of mm below the center of the coil, and when the conductor plate is placed at the center of the coil, a problem occurs in which the levitation force is reduced due to induced repulsion.

아울러, 저전도성 강자성체에서 발생하는 흡인력으로 인해 저속구간 안내력 특성이 취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a problem may arise in which the guiding force characteristics in the low-speed section become weak due to the attractive force generated from the low-conductivity ferromagnetic material.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널플럭스 연결된 부상 장치에서 도체판의 분리에 의한 작용력 리플을 최소화할 수 있는 널플럭스 부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ull-flux flotation device that can minimize the force ripple caused by separation of the conductor plate in the null-flux connected flotation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유도 반발력으로 인해 부상력 감소 및 저속구간 안내력 특성이 취약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널플럭스 부상 장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ull flux flotation device system that can solve the problems of reduced flotation force and weak low-speed section guidance force characteristics due to induced repulsion.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널플럭스 부상 장치는 자기부상차량의 자석과 가장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널플럭스 코일, 상기 널플럭스 코일의 후면에 배치된 추진 코일 및 상기 추진 코일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추진 코일의 하단에 배치된 제 1 도체판을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null flux levit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ull flux coil disposed closest to the magnet of the magnetic levitation vehicle, and a null flux coil disposed at the rear of the null flux coil. It includes a propulsion coil and a first conductor plat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propulsion coil and at a lower end of the propulsion coil.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널플럭스 부상 장치 시스템은 자기부상차량의 주행로 측벽을 따라 배치된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 및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는 자기부상차량의 자석과 가장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널플럭스 코일, 상기 제 1 널플럭스 코일의 후면에 배치된 제 1 추진 코일 및 상기 제 1 추진 코일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추진 코일의 하단에 배치된 하단 도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는 자기부상차량의 자석과 가장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 2 널플럭스 코일, 상기 제 2 널플럭스 코일의 후면에 배치된 제 2 추진 코일 및 상기 제 2 추진 코일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추진 코일의 하단에 배치된 하단 도체판을 포함한다.The null-flux levitation device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null-flux levitation device disposed along the side wall of the travel path of the maglev vehicle and a second null-flux levitation device disposed to face the first null-flux levitation device. A device including a first null flux levitation device, a first null flux coil disposed closest to the magnet of the magnetic levitation vehicle, a first propulsion coil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rst null flux coil, and the first propulsion A second null flux coil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oil and comprising a lower conductor plate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propulsion coil, wherein the second null flux levitation device is disposed closest to the magnet of the magnetic levitation vehicle, the second null flux coil It includes a second propulsion coil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econd null flux coil, and a lower conductor plat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econd propulsion coil an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propulsion coil.

본 발명은 널플럭스 연결된 부상 장치에서 도체판의 분리에 의한 작용력 리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force ripple caused by separation of the conductor plate in a null-flux connected flotation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유도 반발력으로 인해 부상력 감소 및 저속구간 안내력 특성이 취약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s of reduced levitation force and weak guidance force characteristics in low-speed sections due to induced repulsion.

도 1은 종래의 자기 부상 차량을 위한 부상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판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도체판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도체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판의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판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판의 모서리가 챔퍼링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널플럭스 부상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널플럭스 부상 시스템의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널플럭스 부상 시스템의 곡선부에서의 도체판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levitation device for a conventional magnetic levitation vehicl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null flux flo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examples of a conducto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conductor plate of the null flux flot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conductor plate of a null flux flot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null flux flotation device for a conducto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shape of a conducto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to explain that the edges of a conductor plate are chamf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ull flux flotat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Null Flux flotation device of the Null Flux flo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ize of the conductor plate in the curved portion of the null flux flo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cases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Additionally,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발명은 자기 부상 차량을 위한 널플럭스 부상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null flux levitation devices and systems for magnetic levitation vehicles.

도 1은 종래의 자기 부상 차량을 위한 부상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판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도체판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도체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판의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판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판의 모서리가 챔퍼링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널플럭스 부상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널플럭스 부상 시스템의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널플럭스 부상 시스템의 곡선부에서의 도체판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levitation device for a conventional magnetic levitation vehicl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null flux lev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conducto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awing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nd Figure 4 is a drawing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conductor plate of a null flux flot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drawing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null flux flot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a conductor plate of a flotation device, and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null flux flotation device of a conducto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conducto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shape, Figure 8 is a drawing to explain that the corners of the conductor plate are chamf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is a drawing of the null flux flo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null-flux flotation device of the null-flux flo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1 is a diagram of the conductor plate at the curved portion of the null-flux flo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to explain the size.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부상 차량을 위한 널플럭스 부상 장치(100)(이하, ‘널플럭스 부상 장치(100)’라 함)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2, a null-flux levitation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null-flux levitation device 100’) for a magnetic levitation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널플럭스 부상 장치(100)는 널플럭스 코일(110), 추진 코일(120), 및 제 1 도체판(130)을 포함한다.The null flux flotation device 100 includes a null flux coil 110, a propulsion coil 120, and a first conductive plate 130.

널플럭스 코일(110)은 자기부상차량에 부상력을 제공하고, 추진 코일(120)은 자기부상차량에 추진력을 제공하며, 제 1 도체판(130)은 자기부상차량에 안내력을 제공할 수 있다. 널플럭스 부상 장치(100)는 제 1 도체판(130)을 통해 자기부상차량에 안내력을 제공하며, 널플럭스 케이블이 불필요하여 제작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월등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으로, 널플럭스 코일(110)은 8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널플럭스 코일(11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The null flux coil 110 provides levitation force to the maglev vehicle, the propulsion coil 120 provides propulsion force to the maglev vehicle, and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can provide guidance force to the maglev vehicle. there is. The null-flux levitation device 100 provides a guiding force to the magnetic levitation vehicle through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and does not require a null-flux cable, which ha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reducing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costs. As an example, the null flux coil 110 may be formed in an 8-shape and may not include a cable connecting the null flux coils 110 facing each other.

또한, 널플럭스 부상 장치(100)는 널플럭스 코일(110), 추진 코일(120), 제 1 도체판(130)이 순차적으로 결합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null flux flotation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by sequentially combining the null flux coil 110, the propulsion coil 120, and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상세하게는, 널플럭스 코일(110)의 후면에 추진 코일(120)이 배치되며, 추진 코일(120)의 후면에 제 1 도체판(130)이 배치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널플럭스 부상 장치(100)는 널플럭스 코일(110)이 자기부상차량의 자석(12)과 가장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자기부상차량의 자석(12)은 초전도전자석 또는 영구자석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In detail, the propulsion coil 12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null flux coil 110, and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propulsion coil 120. 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8, the null flux levitation device 100 may be arranged so that the null flux coil 110 is closest to the magnet 12 of the magnetic levitation vehicle. The magnet 12 of the above-described magnetic levitation vehicle may be a superconducting electromagnet or a permanent magne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 1 도체판(130)은 자기부상차량에 안내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널플럭스 부상 장치(1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널플럭스 부상 장치(100)는 제 1 도체판(130)에 결합되며, 제 1 도체판(13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는 냉각장치(미도시됨)를 더 포함하여, 냉각 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술한 냉각장치는 쿨링핀, 냉각팬, 히트파이프, 수냉 장치 중 하나 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not only provides a guiding force to the magnetic levitation vehicle, but also provides the effect of cooling the heat generated from the null flux levitation device 100. In addition, the null flux flotation device 100 is coupled to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and further includes a cooling device (not shown) that cools the heat generated in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thereby improving cooling efficiency. It can be improved further. Illustratively, the above-described cooling device may be one of a cooling fin, cooling fan, heat pipe, or water cooling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도 3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널플럭스 부상 장치(10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various embodiments of the null flux flot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널플럭스 부상 장치(10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 코일(120)의 후면 하단에 제 1 도체판(130)이 배치되거나,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 코일(120)의 후면 하단에 제 1 도체판(130)이 배치되고, 추진 코일(120)의 후면 상단에 제 2 도체판(140)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또한, 널플럭스 부상 장치(100)는 제 1 도체판(130)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추진 코일(120)의 상단에 배치된 제 2 도체판(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도체판(130)은 직사각형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도체판(140)은 제 1 도체판(13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null flux flotation device 100 has a first conductor plate 130 disposed at the rear bottom of the propulsion coil 120 as shown in (a) of FIG. 3, or as shown in (b) of FIG. 3. A first conductor plate 130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rear of the propulsion coil 120, and a second conductor plate 140 may be disposed at the top of the rear of the propulsion coil 120. In other words, the null flux flotation device 10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an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ductor plate 140 disposed on top of the propulsion coil 120. At this time,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the second conductor plate 140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널플럭스 부상 장치(100)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 코일(120)의 후면 하단에 제 1 도체판(130)이 배치되고, 추진 코일(120)의 후면 상단에 더미 구조물(1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더미 구조물(150)은 부도체, 예시적으로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폴리머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며, 제 1 도체판(130)과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null flux flotation device 100, as shown in (c) of FIG. 3,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is disposed at the rear bottom of the propulsion coil 120, and the propulsion coil 120 A dummy structure 150 may be placed at the top of the rear. At this time, the dummy structure 150 is made of a non-conductor, for example, 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a polymer material, etc., and may have a shape symmetrical to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도체판(130), 제 2 도체판(140), 및 더미 구조물(150)은, 추진 코일의 모퉁이를 에워싸도록 형성된 L 자, ├ 또는 ┤ 형상의 절곡형 구조물일 수 있다.4 and 5,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the second conductor plate 140, and the dummy structure 150 are L-shaped, ├ or ┤ shaped, formed to surround the corners of the propulsion coil. It may be a bent structure.

제 1 도체판(130), 제 2 도체판(140), 및 더미 구조물(150)이 ├ 또는 ┤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체결수단(도면부호 미부여)을 통해 가이드웨이에 도체판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체결수단에 와셔, 라이너 등을 가감하여 체결수단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이드웨이 시공 단차 및 불균일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the second conductor plate 140, and the dummy structure 150 are formed in a ├ or ┤ shape, the conductor plates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guideway through fastening means (not provided). Can be combined.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means can be adjusted by adding or subtracting washers, liners, etc. from the fastening means, which has the effect of alleviating steps and unevenness in guideway construction.

한편, 추진 코일(120)의 후면 하단에만 제 1 도체판(130)을 배치하는 경우, 상단에는 동일한 형상을 갖되 부도체로 이루어진 더미 구조물(150)을 배치하여, 널플럭스 부상 장치(1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is placed only at the rear bottom of the propulsion coil 120, a dummy structure 150 having the same shape but made of a non-conductor is placed at the top to install the null flux flotation device 100. can facilitate.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널플럭스 부상 장치(100)는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 방식 이외에 몰딩재(160)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6, the null flux flota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using a molding material 160 in addition to a fastening method through a fastening means.

다시 말해, 널플럭스 부상 장치(100)는 널플럭스 코일(110), 추진 코일(120) 및 제 1 도체판(130)의 조합, 널플럭스 코일(110), 추진 코일(120), 제 1 도체판(130) 및 제 2 도체판(140)의 조합 또는 널플럭스 코일(110), 추진 코일(120), 제 1 도체판(130) 및 더미 구조물(150)의 조합을 각각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된 몰딩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null flux flotation device 100 is a combination of the null flux coil 110, the propulsion coil 120, and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the null flux coil 110, the propulsion coil 120, and the first conductor. Molding formed to entirely surround the combination of the plate 130 and the second conductor plate 140 or the combination of the null flux coil 110, the propulsion coil 120,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and the dummy structure 150. It may further include ash (160).

도 7을 참조하면, (a)와 (b)와 달리,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도체판(130) 또는 제 2 도체판(140)은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되 중앙 영역에 개구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내 및 저항력 특성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1 도체판(130) 또는 제 2 도체판(140)을 통한 냉각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7, unlike (a) and (b),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or the second conductor plate 140, as shown in (c),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is formed in the central area. An opening 132 may be formed. Accordingly, not only can the guidance and resistance characteristics be changed, but the cooling efficiency through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or the second conductor plate 140 can be increased.

또한, 도 8의 (a)를 참조하면, 제 1 도체판(130), 제 2 도체판(140), 또는 더미 구조물(150)은 후면 상부 모서리 또는 하부 모서리가 챔퍼링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웨이에는 제 1 도체판(130), 제 2 도체판(140), 또는 더미 구조물(15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슬롯이 형성되어, 슬롯에 제 1 도체판(130), 제 2 도체판(140), 또는 더미 구조물(150)를 삽입하여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Additionally, referring to (a) of FIG. 8, the upper or lower rear edge of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the second conductor plate 140, or the dummy structure 150 may be chamfered. At this time, a slot is formed in the guide way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the second conductor plate 140, or the dummy structure 150, and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and the second conductor are placed in the slot. The installation position can be adjusted by inserting the plate 140 or the dummy structure 150.

아울러, 도 8의 (b)를 참조하면, 제1 도체판(130)은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 연장부(134)를 포함하고, 제2 도체판(140) 또는 더미 구조물(150)은 상부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 연장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널플럭스 부상 장치(100)를 설치할 경우, 제1 연장부(134) 및 제 2 연장부(144)에 홀을 형성하고, 형성된 홀에 체결수단을 삽입하여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b) of FIG. 8,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includes a first extension portion 134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and includes a second conductor plate 140 or a dummy structure ( 150) may include a second extension portion 144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In other words, when installing the null flux flotation device 100,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be easily installed by forming a hole in the first extension part 134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44 and inserting a fastening means into the formed hole. .

아울러, 널플럭스 부상 장치(100)는 추진 코일(120)과 제 1 도체판(130) 또는 제 2 도체판(140)의 사이에 배치된 강자성판(미도시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강자성판은 제 1 도체판(130)과 추진 코일(120) 또는 제 2 도체판(140)과 추진 코일(120)이 접촉되는 부분에 한해서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추진 코일(120)의 후면에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null flux flotation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ferromagnetic plate (not shown) disposed between the propulsion coil 120 and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or the second conductor plate 140. Illustratively, the ferromagnetic plate may be formed only in the area where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and the propulsion coil 120 or the second conductor plate 140 and the propulsion coil 120 contact, but is not limited to this. The rear of the propulsion coil 12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with a predetermined area.

강자성판은 안내력을 제공하는 제 1 도체판(130) 또는 제 2 도체판(140)에 의하여 안내력과 주행저항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강자성판은 추진 코일(120)과 널플럭스 코일(110)에 대하여 각각 자기장을 강화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강자성판이 갖는 차폐효과를 이용하여 도체판(130)의 자기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며, 비선형적 유도반발력(안내력)을 흡인력으로 일부 상쇄하여, 비선형성을 완화할 수 있다.The ferromagnetic plate serves to prevent excessive guidance force and running resistance from being generated by the first conductor plate 130 or the second conductor plate 140 that provides guidance force. In addition, the ferromagnetic plate can provide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magnetic field for the propulsion coil 120 and the null flux coil 11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hielding effect of the ferromagnetic plate provides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gnetic field of the conductor plate 130, and the nonlinear induced repulsion force (guiding force) is partially offset by the attraction force, thereby alleviating nonlinearity.

또한, 널플럭스 부상 장치(100)는 강자성판을 통해 차상자석 자기장을 일부 차폐하여, 하이퍼튜브와 같은 자기부상 차량에 사용되는 진공튜브와 초전도자석으로 인한 외부 구조물과 발생하는 주행저항력을 감소시켜, 진공튜브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강자성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로는 자성체이면서 전도성은 매우 낮은 재료로서, 페라이트, 라미네이트 규소강판, 기타 복합재료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ll flux levitation device 100 partially shields the magnetic field of the car box magnet through a ferromagnetic plate, reducing the driving resistance generated from external structures due to the vacuum tube and superconducting magnets used in magnetic levitation vehicles such as hypertubes,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vacuum tube from growing unnecessarily. At this time, the material that can be used as a ferromagnetic plate is a material that is magnetic but has very low conductivity, and ferrite, laminated silicon steel plate, and other composite materials can be used.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널플럭스 부상 시스템(200)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the null flux flotation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널플럭스 부상 장치 시스템(200)은 자기부상차량의 주행로 측벽을 따라 배치된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101) 및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101)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102)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자기부상차량의 주행로의 제 1 측벽을 따라 복수의 제 1 널플럭스 부상장치(101)가 서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자기부상차량의 주행로의 제 2 측벽을 따라 복수의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102)가 서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null flux levitation device system 200 includes a first null flux levitation device 101 disposed along the side wall of the travel path of the maglev vehicle and a second null flux levitation device disposed to face the first null flux levitation device 101. Includes (102). Illustratively, a plurality of first null flux levitation devices 101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side wall of the travel path of the maglev vehicle, and a plurality of first null flux levitation devices 101 are disposed along the second side wall of the travel path of the maglev vehicle. The second null flux flotation devices 10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101)는 자기부상차량의 자석(12)과 가장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널플럭스 코일(110a), 제 1 널플럭스 코일(110a)의 후면에 배치된 제 1 추진 코일(120a) 및 제 1 추진 코일(120a)의 후면에 배치되고, 제 1 추진 코일(120a)의 하단에 배치된 하단 도체판(130a)을 포함한다. 아울러,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101)는 하단 도체판(130a)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 1 추진 코일(120a)의 상단에 배치된 상단 도체판(14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a) of FIG. 10, the first null flux levitation device 101 includes a first null flux coil 110a and a first null flux coil disposed closest to the magnet 12 of the magnetic levitation vehicle. It includes a first propulsion coil 120a disposed at the rear of 110a and a lower conductor plate 130a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rst propulsion coil 120a and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propulsion coil 120a. . In addition, the first null flux flotation device 101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ower conductor plate 130a and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conductor plate 140a disposed on top of the first propulsion coil 120a.

또한, 도 10의 (b)를 참조하며,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102)는 자기부상차량의 자석과 가장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 2 널플럭스 코일(110b), 제 2 널플럭스 코일(110b)의 후면에 배치된 제 2 추진 코일(120b) 및 제 2 추진 코일(120b)의 후면에 배치되고, 제 2 추진 코일(120b)의 하단에 배치된 하단 도체판(130b)을 포함한다. 아울러,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102)는 하단 도체판(130b)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 2 추진 코일(120b)의 상단에 배치된 상단 도체판(14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b) of FIG. 10, the second null flux levitation device 102 includes a second null flux coil 110b and a second null flux coil 110b disposed closest to the magnet of the magnetic levitation vehicle. It includes a second propulsion coil 120b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econd propulsion coil 120b and a lower conductor plate 130b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ropulsion coil 120b. In addition, the second null flux flotation device 102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ower conductor plate 130b and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conductor plate 140b disposed on top of the second propulsion coil 120b.

제 1 및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101, 102)는 상술한 널플럭스 부상 장치(100)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first and second null flux flotation devices 101 and 102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null flux flotation device 100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1을 참조하면, 널플럭스 부상 시스템(200)은 회전 구간에 설치된 제 1 플럭스 부상 장치(101)와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102) 중 회전축에 인접한, 즉 자기 부상 차량이 치우치는 방향에 위치한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도체판(130, 140)의 두께가 더 두껍거나, 해당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상단 도체판(130)과 하단 도체판(140)의 그 사이의 중심점에 더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null flux levitation system 200 is located adjacent to the rotation axis among the first flux levitation device 101 and the second null flux levitation device 102 installed in the rotation s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toward which the magnetic levitation vehicle is biased. The thickness of the conductor plates 130 and 140 of the null flux flotation device may be thicker or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center point between the upper conductor plate 130 and the lower conductor plate 140 of the null flux flotation device. there is.

상세하게는, 자기 부상 차량이 회전 구간이나 분기 구간의 경우 경로의 형상에 의해 구심력이 발생하는 경우, (a)와 같이 안내력에 차이가 발생하여 자기 부상 차량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회전 구간이나 분기 구간에서는 안내력의 편차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안내력의 상승이 필요한 어느 한측의 널플럭스 발생 장치에 대해서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판의 두께를 더 두껍게 하거나, 도체판의 위치를 중심부로 더 위치시키는 형태로 설계를 변경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 maglev vehicle is in a turning or branching section and a centripetal force is generated due to the shape of the path, a difference in guidance force may occur as shown in (a), which may cause the maglev vehicle to be biased to one side. there is. At this time, in order to minimize problems caused by the deviation of the guiding force in the rotation section or branch section, for the null flux generator on either side that requires an increase in the guiding force, as shown in (b), the conductor plate The design can be changed to make it thicker or to position the conductor plate more toward the center.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singl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자기 부상 차량
100 : 널플럭스 부상 장치
101 :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 102 :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
110 : 널플럭스 코일
110a : 제 1 널플럭스 코일 110b : 제 2 널플럭스 코일
120 : 추진 코일
120a : 제 1 추진코일 120b : 제 2 추진코일
130 : 제 1 도체판 132 : 개구부
134 : 제1 연장부
140 : 제 2 도체판
144 : 제2 연장부
130a, 130b : 하단 도체판
140a, 140b : 상단 도체판
150 : 몰딩재 160 : 더미 구조물
200 : 널플럭스 부상 장치 시스템
10: Maglev vehicle
100: null flux flotation device
101: first null flux flotation device 102: second null flux flotation device
110: null flux coil
110a: first null flux coil 110b: second null flux coil
120: Propulsion coil
120a: first propulsion coil 120b: second propulsion coil
130: first conductor plate 132: opening
134: first extension part
140: second conductor plate
144: second extension part
130a, 130b: bottom conductor plate
140a, 140b: top conductor plate
150: Molding material 160: Dummy structure
200: Null flux flotation device system

Claims (29)

자기부상차량을 위한 널플럭스 부상 장치에 있어서,
자기부상차량의 자석과 가장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널플럭스 코일,
상기 널플럭스 코일의 후면에 배치된 추진 코일 및
상기 추진 코일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추진 코일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자기부상차량에 안내력을 제공하고, 상기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열을 냉각하는 제 1 도체판을 포함하는 널플럭스 부상 장치.
In the null flux levitation device for a magnetic levitation vehicle,
Null flux coil placed closest to the magnet of the maglev vehicle,
A propulsion coil disposed at the rear of the null flux coil and
A null-flux levitation device comprising a first conductor plat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propulsion coil,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propulsion coil, providing a guiding force to the magnetic levitation vehicle, and cooling heat of the null-flux levitation device.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체판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추진 코일의 상단에 배치된 제 2 도체판을 더 포함하는, 널플럭스 부상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Null flux flotation devic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ductor plate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nductor plate disposed on top of the propulsion coi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체판 또는 제 2 도체판은 각각 상기 추진 코일의 모퉁이를 에워싸도록 형성된 L 자, ├ 또는 ┤ 형상의 절곡형 도체판인 것인, 널플럭스 부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conductor plate or the second conductor plate is a bent conductor plate of L shape, ├ or ┤ shape formed to surround the corner of the propulsion coil,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체판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추진 코일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도체판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부도체로 이루어진 더미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널플럭스 부상 장치
In paragraph 1,
A null-flux levit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ummy structure made of a non-conductor, arranged parallel to the first conductive plate and positioned on top of the propulsion coil, and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conductive plat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체판 및 더미 구조물은 상기 추진 코일의 모퉁이를 에워싸도록 형성된 L 자, ├ 또는 ┤ 형상의 절곡형 구조물인 것인, 널플럭스 부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conductor plate and the dummy structure are L-shaped, ├ or ┤ shaped bent structures formed to surround the corners of the propulsion coil, null flux flot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널플럭스 코일, 상기 추진 코일 및 상기 제 1 도체판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된 몰딩재를 더 포함하는, 널플럭스 부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null-flux flot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molding material formed to entirely surround the null-flux coil, the propulsion coil, and the first conductor plate.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체판은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되, 중앙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된 것인, 널플럭스 부상장치.
The method of claim 1, 2 or 4,
The first conductor plate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an opening is formed in the central area.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체판과 추진 코일 사이에 배치된 강자성판을 더 포함하는 것인, 널플럭스 부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2 or 4,
A null flux flot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erromagnetic plat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ductor plate and the propulsion coi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체판은 후면 상부 모서리 또는 하부 모서리가 챔퍼링된 것인, 널플럭스 부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ductor plate is a null flux flotation device whose rear upper edge or lower edge is chamfer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체판은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인, 널플럭스 부상 장치.
According to clause 9,
The first conductor plate is a null flux flotation device including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널플럭스 부상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자기부상차량의 주행로 측벽을 따라 배치된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 및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는 자기부상차량의 자석과 가장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널플럭스 코일, 상기 제 1 널플럭스 코일의 후면에 배치된 제 1 추진 코일 및 상기 제 1 추진 코일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추진 코일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자기부상차량에 안내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열을 냉각하는 하단 도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는 자기부상차량의 자석과 가장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 2 널플럭스 코일, 상기 제 2 널플럭스 코일의 후면에 배치된 제 2 추진 코일 및 상기 제 2 추진 코일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추진 코일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자기부상차량에 안내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열을 냉각하는 하단 도체판을 포함하는 것인 널플럭스 부상장치 시스템.
In the null flux flotation system,
A first null flux levitation device disposed along the side wall of the travel path of the maglev vehicle, and
Including a second null flux flotation device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null flux flotation device,
The first null flux levitation device includes a first null flux coil disposed closest to the magnet of the magnetic levitation vehicle, a first propulsion coil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rst null flux coil, and a rear of the first propulsion coil. It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propulsion coil and provides a guiding force to the magnetic levitation vehicle, and includes a bottom conductor plate that cools the heat of the first null flux levitation device,
The second null flux levitation device includes a second null flux coil disposed closest to the magnet of the magnetic levitation vehicle, a second propulsion coil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econd null flux coil, and a rear of the second propulsion coil. The null flux levitation device system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propulsion coil and includes a lower conductor plate that provides guidance to the magnetic levitation vehicle and cools the heat of the second null flux levitation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는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하단 도체판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추진 코일의 상단에 배치된 상단 도체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는 상기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하단 도체판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추진 코일의 상단에 배치된 상단 도체판을 더 포함하는, 널플럭스 부상장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The first null-flux flotation device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a lower conductor plate of the first null-flux flotation device and further includes an upper conductor plate disposed on an upper end of the first propulsion coil,
The second null-flux flotation device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ower conductor plate of the second null-flux flotation device and further includes an upper conductor plate disposed on top of the second propulsion coi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상단 도체판 또는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하단 도체판은 각각 상기 제 1 추진 코일의 모퉁이를 에워싸도록 형성된 L 자, ├ 또는 ┤ 형상의 절곡형 도체판이고,
상기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상단 도체판 또는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하단 도체판은 각각 상기 제 2 추진 코일의 모퉁이를 에워싸도록 형성된 L 자, ├ 또는 ┤ 형상의 절곡형 도체판인 것인, 널플럭스 부상장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2,
The upper conductor plate of the first null-flux flotation device or the lower conductor plate of the first null-flux flotation device is an L-shaped, ├ or ┤-shaped bent conductor plate formed to surround a corner of the first propulsion coil, respectively,
The upper conductor plate of the second null flux flotation device or the lower conductor plate of the second null flux flotation device is an L-shaped, ├ or ┤ shaped bent conductor plate formed to surround the corner of the second propulsion coil, respectively. Phosphorus, null flux flotation system.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는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하단 도체판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추진 코일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하단 도체판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부도체로 이루어진 더미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는 상기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하단 도체판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추진 코일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하단 도체판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부도체로 이루어진 더미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널플럭스 부상장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The first null-flux flotation device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lower conductor plate of the first null-flux flotation device,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first propulsion coil, and has the same shape as the lower conductor plate of the first null-flux flotation device. It further includes a dummy structure made of an insulator,
The second null-flux flotation device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lower conductor plate of the second null-flux flotation device,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second propulsion coil, and has the same shape as the lower conductor plate of the second null-flux flotation device. A null flux flotation device system further comprising a dummy structure made of an insulator to have a.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하단 도체판 및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더미 구조물은 상기 제 1 추진 코일의 모퉁이를 에워싸도록 형성된 L 자, ├ 또는 ┤ 형상의 절곡형 구조물이고,
상기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하단 도체판 및 상기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더미 구조물은 상기 제 2 추진 코일의 모퉁이를 에워싸도록 형성된 L 자, ├ 또는 ┤ 형상의 절곡형 구조물인 것인, 널플럭스 부상장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4,
The lower conductor plate of the first null flux flotation device and the dummy structure of the first null flux flotation device are L-shaped, ├ or ┤ shaped bent structures formed to surround the corners of the first propulsion coil,
The lower conductor plate of the second null flux flotation device and the dummy structure of the second null flux flotation device are L-shaped, ├ or ┤ shaped bent structures formed to surround the corners of the second propulsion coil, Null flux flotation system.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는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에서 제 1 널플럭스 코일, 상기 제 1 추진 코일 및 상기 하단 도체판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된 몰딩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는 상기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에서 제 2 널플럭스 코일, 상기 제 2 추진 코일 및 상기 하단 도체판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된 몰딩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널플럭스 부상장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The first null flux flota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molding material formed to entirely surround the first null flux coil, the first propulsion coil, and the lower conductor plate in the first null flux flotation device,
The second null flux flota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molding material formed to entirely surround the second null flux coil, the second propulsion coil, and the lower conductor plate in the second null flux flotation device. system.
제 11 항에 있어서,
회전 구간에 설치된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와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중 회전축에 인접한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도체판의 두께가 더 두껍거나, 해당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상단 도체판과 하단 도체판이 그 사이의 중심점에 더 가깝도록 배치된 것인, 널플럭스 부상장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Among the first and second null flux flotation devices installed in the rotation section, the conductor plate of the null flux flotation device adjacent to the rotation axis is thicker, or the upper and lower conductor plates of the null flux flotation device are between them. Null flux flotation system, which is placed closer to the center point of.
제 11 항, 제 12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도체판과 추진 코일 사이에 배치된 강자성판을 더 포함하는 것인, 널플럭스 부상장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12 or 14,
A null flux flotation device system further comprising a ferromagnetic plate disposed between the lower conductor plate and the propulsion coil.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하단 도체판 및 상기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하단 도체판은 후면 하부 모서리 또는 상부 모서리가 챔퍼링된 것인, 널플럭스 부상장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The lower conductor plate of the first null flux flotation device and the lower conductor plate of the second null flux flotation device have a rear lower edge or upper edge chamfered, null flux flotation device system.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하단 도체판 및 상기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하단 도체판은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인, 널플럭스 부상장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9,
The lower conductor plate of the first null flux flotation device and the lower conductor plate of the second null flux flotation device include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제12항 있어서,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하단 도체판, 상기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하단 도체판,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상단 도체판 및 상기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상단 도체판은 후면 하부 모서리 또는 상부 모서리가 챔퍼링된 것인, 널플럭스 부상장치 시스템.
In clause 12,
The lower conductor plate of the first null-flux flotation device, the lower conductor plate of the second null-flux flotation device, the upper conductor plate of the first null-flux flotation device and the upper conductor plate of the second null-flux flotation device are at the lower rear A null-flux flotation system, wherein the edges or top edges are chamfered.
제14항 있어서,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하단 도체판, 상기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하단 도체판,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더미 구조물 및 상기 제 2 널플럭스 부상 장치의 더미 구조물은 후면 하부 모서리 또는 상부 모서리가 챔퍼링된 것인, 널플럭스 부상장치 시스템.
In clause 14,
The lower conductor plate of the first null-flux flotation device, the lower conductor plate of the second null-flux flotation device, the dummy structure of the first null-flux flotation device and the dummy structure of the second null-flux flotation device are located at the rear lower edge or Null-flux flotation system with chamfered upper edges.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장치의 하단 도체판 및 상기 제 2 널플럭스 부상장치의 하단 도체판은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장치의 상단 도체판 및 상기 제 2 널플럭스 부상장치의 상단 도체판은 상부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인, 널플럭스 부상장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1,
The lower conductor plate of the first null flux flotation device and the lower conductor plate of the second null flux flotation device include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The upper conductor plate of the first null flux flotation device and the upper conductor plate of the second null flux flotation device include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장치의 하단 도체판 및 상기 제 2 널플럭스 부상장치의 하단 도체판은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널플럭스 부상장치의 더미 구조물 및 상기 제 2 널플럭스 부상장치의 더미 구조물은 상부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인, 널플럭스 부상장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2,
The lower conductor plate of the first null flux flotation device and the lower conductor plate of the second null flux flotation device include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The dummy structure of the first null-flux flotation device and the dummy structure of the second null-flux flotation device include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체판 및 제 2 도체판은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되, 중앙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된 것인, 널플럭스 부상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conductor plate and the second conductor plate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an opening is formed in the central are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체판 및 상기 제 2 도체판은 후면 상부 모서리 또는 하부 모서리가 챔퍼링된 것인, 널플럭스 부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conductor plate and the second conductor plate have rear upper or lower corners chamfered, a null flux flotation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체판 및 상기 더미 구조물은 후면 상부 모서리 또는 하부 모서리가 챔퍼링된 것인, 널플럭스 부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conductor plate and the dummy structure have a rear upper edge or lower edge chamfered, a null flux flotation device.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체판은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체판은 상부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인, 널플럭스 부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26,
The first conductor plate includes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The second conductor plate is a null flux flotation device including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체판은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미 구조물은 상부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인, 널플럭스 부상 장치.
According to clause 27,
The first conductor plate includes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The dummy structure is a null flux flotation device including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KR1020210076771A 2021-06-14 2021-06-14 Null-flux levitation apparatus for magnetic levitation vehicle and system Active KR1026918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771A KR102691810B1 (en) 2021-06-14 2021-06-14 Null-flux levitation apparatus for magnetic levitation vehicle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771A KR102691810B1 (en) 2021-06-14 2021-06-14 Null-flux levitation apparatus for magnetic levitation vehicle and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606A KR20220167606A (en) 2022-12-21
KR102691810B1 true KR102691810B1 (en) 2024-08-06

Family

ID=84536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771A Active KR102691810B1 (en) 2021-06-14 2021-06-14 Null-flux levitation apparatus for magnetic levitation vehicle and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181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2200B2 (en) * 1988-04-28 1998-12-02 清水建設株式会社 Running path structure of magnetic levitation train
JP2899020B2 (en) * 1989-09-05 1999-06-02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Ground coil laying method
JP2003032811A (en) * 2001-07-17 2003-01-31 Central Japan Railway Co Ground coil for levitated transport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7413B2 (en) * 1993-03-16 2002-12-16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Ground coil mount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2200B2 (en) * 1988-04-28 1998-12-02 清水建設株式会社 Running path structure of magnetic levitation train
JP2899020B2 (en) * 1989-09-05 1999-06-02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Ground coil laying method
JP2003032811A (en) * 2001-07-17 2003-01-31 Central Japan Railway Co Ground coil for levitated transpor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606A (en) 202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Review of maglev train technologies
CN108306477B (en) High-speed magnetic levitation linear electromagnetic propulsion system
KR20100090406A (en) Propulsion and guidance type tube transportation system
CN108448873B (en) Superconducting maglev linear electromagnetic propulsion system
CN111284330A (en)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electric magnetic suspension train
US10208431B1 (en) Permanent magnet maglev using passive, low-frequency electromagnetic stabilization
US10604898B2 (en) Rail-bound maglev train
KR20120015502A (en) Magnetic levitation system and magnetic levitation train system using superconducting member
CN111942165A (en) Coil type permanent magnet electric suspension driving device for maglev train
KR101197257B1 (en) Magnetic levitation conveyance system having enhanced stop performance
KR101069334B1 (en) Linear motor haviang segment structure magnetic levitation system
CN106926743A (en) Eddy current retarder and magnetically supported vehicle
KR102429724B1 (en) Null-flux magnetic levitation apparatus and system
KR102691810B1 (en) Null-flux levitation apparatus for magnetic levitation vehicle and system
CN101875318A (en) Magnetic suspension vehicle
CN111086395A (en) Medium-low speed maglev train traction device and medium-low speed maglev train
KR100873660B1 (en) Maglev train system with side LSM
KR20140087677A (en) Magnetic levitation system having slanted permanent magnet
EP0224617A1 (en) Rail for use in magnetic propulsive levitation apparatus
CN102350956B (en) Magnetic suspension mechanism integrating suspension, guiding and hauling functions
JPH0488810A (en) Magnetic levitated car
CN206841206U (en) Eddy current retarder and magnetically supported vehicle
KR102348816B1 (en) Magnetic levitation device using a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direct current superconducting cable
KR100639265B1 (en) Maglev Transfer System Increases Guidance
JP3954047B2 (en) Superconducting magnetic levit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06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