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1292B1 - Multifunctional hot air drying system for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hot air drying system for wash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91292B1 KR102691292B1 KR1020210161131A KR20210161131A KR102691292B1 KR 102691292 B1 KR102691292 B1 KR 102691292B1 KR 1020210161131 A KR1020210161131 A KR 1020210161131A KR 20210161131 A KR20210161131 A KR 20210161131A KR 102691292 B1 KR102691292 B1 KR 1026912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 drying
- laundry
- hot air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0—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된 각종 옷이나 섬유 등의 여러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세탁기용 건조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내부에 옷이나 섬유 등의 세탁물을 유입하기 위한 관통구를 구비하고, 관통구에 근접되어 내부 확인이 가능하게끔 확인창이 형성된 도어를 구비하는 본체; 본체 내부에 관통구와 서로 연통되어 옷이나 섬유 등의 세탁물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통형의 세탁조; 세탁조의 후단에 설치되어 세탁 시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수단; 본체에 세탁조와 연통되어 건조하기 위한 열풍을 공급관을 통해 공급토록 하는 열풍기를 구성한 건조수단; 상기 본체 상부에 세탁조와 연통되어 세척상황과 건조 상황에 따라 조절하면서 추가로 히터 열을 공급할 수 있어 건조효율을 향상하도록 본체 상부에 관통되어 세탁조와 연통되도록 하는 관통공과, 관통공을 막아주는 덮개와 관통공에 삽설되어 고열을 공급하는 히터가 장착된 히팅부가 서로 대응되게끔 구비하되, 덮개와 히팅부의 하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부 및 덮개와 히팅부의 일 측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고리부와, 고리부에 연결되어 덮개와 히팅부가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압실린더를 구비하는 조절수단; 및 본체에 세탁조와 연통되어 세탁조에서 발생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습기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세탁물의 세탁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세탁 시에는 관통공을 막아 세탁의 원활함이 발휘됨과 동시에 세탁물의 조기 건조를 위해 히터를 추가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열풍공급과 함께 빠른 건조가 되도록 함은 물론, 세탁을 끝마친 세탁물의 건조를 열풍과 히터에 의해 재빨리 건조되게끔 함에 따라 건조 효율성 향상과 세탁물의 건조시간을 크게 감소시킨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ying system for a washing machine for drying various types of washed laundry, such as clothes or textiles, comprising: a through-hole for introducing the laundry, such as clothes or textiles, inside the through-hole, and adjacent to the through-hole A main body including a door with a confirmation window to enable confirmation; A cylindrical washing tank that communicates with a through hole inside the main body to enable washing of clothes, textiles, etc.; Rotating mean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washing tub to enable rotation during washing; A drying means comprising a hot air blower connected to the washing machine and supplying hot air for drying through a supply pipe to the main body; A through hole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hat communicates with the washing tub so that additional heater heat can be supplied while adjusting according to the washing and drying conditions to improve drying efficiency, and a cover that blocks the through hole. Heating parts equipped with heaters that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and supply high heat are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and a rotating part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ver and the heating part to be able to rotate, and a ring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ver and the heating part to be able to rotate. Control means including a hydraulic cylinder connected to the unit and the ring unit to allow the cover and the heating unit to rotate around the rotating unit; and a moisture discharge means connected to the main body with the washing tub to discharge moisture generated in the washing tub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wash a variety of laundry, and the through hole is blocked during washing to ensure smooth washing, and at the same time, a heater is additionally inserted for early drying of the laundry, and hot air is supplied at a rapid rate. Not only does it dry the laundry, but it also dries the finished laundry quickly using hot air and a heater, thereby improving drying efficiency and greatly reducing the drying time of the laundry.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탁기용 다기능 열풍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옷이나 다양한 섬유 등의 여러 세탁물에 대한 원활한 세탁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세탁 시에는 관통공을 막아 세탁의 원활함이 발휘됨과 동시에 세탁물의 조기 건조를 위해 별도의 히터를 추가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다양한 경로로의 열풍 공급과 함께 빠른 건조가 실시되도록 함은 물론, 세탁을 끝마친 세탁물의 건조를 다양한 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과 히터에 의해 재빨리 건조되게끔 함에 따라 건조 효율성의 대폭 향상과 세탁물의 건조시간을 크게 감소시키도록 하는 세탁기용 다기능 열풍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hot air drying system for a washing machine, and more specifically, to enable smooth washing of various laundry items such as various clothes and various textiles, and to ensure smooth washing by blocking through holes during washing. At the same time, for early drying of laundry, a separate heater is additionally inserted to ensure quick drying with hot air supplied through various paths, as well as drying of washed laundry through hot air and heaters supplied through various paths. This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hot air drying system for a washing machine that significantly improves drying efficiency and significantly reduces the drying time of laundry by allowing rapid drying.
통상적으로, 세탁기는 옷이나 섬유 등의 각종 빨래거리를 직접 빨지 않고 기계를 통해 빨 수 있도록 하는 기기로서, 세탁의 편의성이 증진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세탁기에는 세탁기 빨래가 끝난 빨래거리를 빨리 건조키 위해 탈수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젖은 빨래의 물기를 제거하고 있지만, 일정양의 물기만 제거할 뿐이어서 완벽한 건조는 어려울 뿐만 아니라 건조기능 역시 미비하여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인 실정이다.Typically, 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that allows various laundry items, such as clothes or textiles, to be washed through a machine rather than directly,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washing. However, these washing machines include a dehydration function to quickly dry the finished laundry and remove moisture from wet laundry. However, since they only remove a certain amount of moisture, complete drying is difficult and the drying function is also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common for problems such as long drying times to occur.
일예로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0155403호에 따르면, '흡입구(411)와 토출구(412)가 구성된 통로(410)와, 상기 통로(410)의 내부에 모터(420)의 구동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함과 동시에 송풍시켜 주는 송풍팬(430)과, 상기 송풍팬(430)의 후방측에 송풍되는 차가운 공기를 고온의 열기로 열교환시켜 주는 열교환기(440)로 구성된 통상의 건조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통로(410)의 토출구(412) 일측에는 통로(410)의 일 측면을 관통하도록 밀폐판(510)이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411)의 저부에는 상기 밀폐판(510)의 일측 단부와 연결된 와이어(520)와 연결 설치되는 동기모터(530)가 설치되며, 상기 토출구(412)의 타측면에는 밀폐판(510)의 선단부와 연결 설치되는 복귀스프링(540)이 설치되어 송풍량 조절장치(500)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세탁기의 세탁물건조장치'를 제시한다.For example, according to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155403, 'a passage 410 consisting of an inlet 411 and an outlet 412, and a motor 420 inside the passage 410 are used to pump outside air. A typical dryer washing machine consists of a blower fan 430 that forcibly suctions and blows air at the same time, and a heat exchanger 440 that exchanges cold air blown to the rear of the blower fan 430 with high temperature heat. In this case, a sealing plate 5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port 412 of the passage 410 to penetrate one side of the passage 410, and one end of the sealing plate 51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uction port 411. A synchronous motor 530 connected to the wire 520 is installed, and a return spring 540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sealing plate 51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412 to control the airflow rate. We present a ‘laundry drying device for a drying washing machine,’ which is characterized by forming (500).
그러나 상기한 건조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장치는 와이어를 통해 밀폐판을 이동시키고 복귀스프링을 통해 밀폐판을 복귀하는 구성으로서, 단순히 열풍을 막아줌으로써 송풍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건조 효율의 한계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laundry drying device of the dryer washing machine is configured to move the sealing plate through a wire and return the sealing plate through a return spring, and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blowing volume by simply blocking hot air, which may limit drying efficiency. There is a problem.
또 다른 예로 한국 등록 특허 제1706663호에 따르면,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을 건조하도록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가열하여 순환시키는 건조 장치로서, 상기 건조 장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가 내부에 위치하는 건조 덕트와, 상기 터브와 상기 건조 덕트 내부로 공기가 순환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순환 유로와, 상기 건조 덕트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순환 유로 상으로 상기 터브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입부재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상기 터브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순환 유로 내의 공기 중 일부를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재; 상기 터브의 하부에 위치하는 배수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배출부재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와, 상기 배출부재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배수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가 유입되는 제2유입구와,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 사이에 위치하며 공기와 세탁수 중 적어도 하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를 제시한다.Another example, according to Korean Patent No. 1706663, is 'cabinet; a tub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 drum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tub; A drying device that heats and circulates air discharged from the tub to dry the laundry in the drum, the drying device comprising a drying duct in which a heater for heating air is located, and a drying duct inside the tub and the drying duct. a drying device including a circulation passage through which air circulates, and a suction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drying duct and introducing air outside the tub into the circulation passage; a discharge member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tub and discharging some of the air in the circulation passage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It includes a drain pump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ub, wherein the discharge member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discharge member and has a first inlet through which the air flows, and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discharge member and is discharged by the drain pump. A drum washing machine is provided, characterized by a second inlet through which pumped washing water flows, and an outlet located between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for discharging at least one of air and washing water.
하지만 상기한 드럼세탁기 또한 단순히 열풍의 공급효율만으로 건조를 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건조효율은 떨어지고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종종 발생할 수 있는 폐단이 있다.However, the drum washing machine described above also has a structure that dries simply by supplying hot air, so it has the disadvantage of low drying efficiency and long drying time.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옷이나 다양한 섬유 등의 여러 세탁물에 대한 원활한 세탁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세탁 시에는 관통공을 막아 세탁의 원활함이 발휘됨과 동시에 세탁물의 조기 건조를 위해 별도의 히터를 추가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다양한 경로로의 열풍 공급과 함께 빠른 건조가 실시되도록 함은 물론, 세탁을 끝마친 세탁물의 건조를 다양한 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과 히터에 의해 재빨리 건조되게끔 함에 따라 건조 효율성의 대폭 향상과 세탁물의 건조시간을 크게 감소시키도록 하는 세탁기용 다기능 열풍 건조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undamentally impro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is to enable smooth washing of various laundry items such as various clothes and various fibers, while blocking through holes during washing to ensure smooth washing. At the same time, for early drying of laundry, a separate heater is additionally inserted to ensure fast drying with hot air supplied through various paths, and drying of washed laundry is achieved by using hot air supplied through various paths. The aim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hot air drying system for a washing machine that significantly improves drying efficiency and significantly reduces the drying time of laundry by allowing rapid drying by a heat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을 살피면, 세척된 각종 옷이나 섬유 등의 여러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세탁기용 건조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내부에 옷이나 섬유 등의 세탁물을 유입하기 위한 관통구를 구비하고, 관통구에 근접되어 내부 확인이 가능하게끔 확인창이 형성된 도어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관통구와 서로 연통되어 옷이나 섬유 등의 세탁물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통형의 세탁조; 상기 세탁조의 후단에 설치되어 세탁 시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수단; 상기 본체에 세탁조와 연통되어 건조하기 위한 열풍(熱風)을 공급관을 통해 공급토록 하는 열풍기를 구성한 건조수단; 상기 본체 상부에 세탁조와 연통되어 세척상황과 건조 상황에 따라 조절하면서 추가로 히터 열을 공급하여 건조효율을 향상 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수단; 및 상기 본체에 세탁조와 연통되어 세탁조에서 발생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습기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Looking at the purpose an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constructing a drying system for a washing machine for drying various washed laundry such as clothes or textiles: A main body having a through hole and a door provided with a viewing window close to the through hole to enable internal inspection; a cylindrical washing tub that communicates with a through hole inside the main body to enable washing of laundry such as clothes or textiles; Rotating mean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washing tub to enable rotation during washing; Drying means comprising a hot air blower that communicates with the washing tank and supplies hot air for drying to the main body through a supply pipe; A control means connected to the washing tank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o improve drying efficiency by supplying additional heater heat while adjusting it according to washing and drying conditions; and a moisture discharge means connected to the main body with the washing tub to discharge moisture generated in the washing tub to the outside.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세탁조는 내부에 열풍이 세탁물 전체로 골고루 유입될 수 있게끔 다수 개의 통공을 가지는 유입관을 더 구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washing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equipped with an inflow pip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o allow hot air to flow evenly throughout the laundry.
또, 본 발명의 상기 세탁조는 세탁물이 유입되는 부분에 관통구 사이의 틈을 막아 열풍이 외부로 이탈을 방지하게끔 막음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shing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blocking plate at the part where laundry flows in to block the gap between the through-holes to prevent hot air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절수단은 세척상황과 건조 상황에 따라 조절하면서 추가로 히터 열을 공급하여 건조효율을 향상하도록 본체 상부에 관통되어 세탁조와 연통되도록 하는 관통공과, 관통공을 막아주는 덮개와 관통공에 삽설되어 고열을 공급하는 히터가 장착된 히팅부가 서로 대응되게끔 구비하되, 덮개와 히팅부의 하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부 및 덮개와 히팅부의 일 측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고리부와, 고리부에 연결되어 덮개와 히팅부가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압실린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rough hole that penetrates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washing machine to improve drying efficiency by supplying additional heater heat while adjusting according to the washing and drying situation, and a cover that blocks the through hole. and a heating part equipped with a heater that is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and supplies high heat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 rotating part formed to be able to rotate at the bottom of the cover and the heating part and a rotatable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ver and the heating part to be able to rotate.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ring portion and a hydraulic cylinder connected to the ring portion to allow the cover and the heating portion to rotate around the rotat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습기배출수단은 본체에 세탁조와 연통되어 세탁조의 세탁물에서 발생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토록 하는 배출구와, 세탁물에서 발생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주게끔 필터를 갖는 집진구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isture discharge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let in the main body that communicates with the washing tank to discharge moisture generated from the laundry in the washing tank to the outside, and a dust collection port having a filter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generated in the laundry.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Meanwhile,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patent claims prior to thi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used the concept of terms to explain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various alternatives are availab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variations may exist.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옷이나 다양한 섬유 등의 여러 세탁물에 대한 원활한 세탁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세탁 시에는 관통공을 막아 세탁의 원활함이 발휘됨과 동시에 세탁물의 조기 건조를 위해 별도의 히터를 추가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다양한 경로로의 열풍 공급과 함께 빠른 건조가 실시되도록 함은 물론, 세탁을 끝마친 세탁물의 건조를 다양한 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熱風)과 히터에 의해 재빨리 건조되게끔 함에 따라 건조 효율성의 대폭 향상과 세탁물의 건조시간을 크게 감소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wash various laundry items such as various clothes and various fibers, and at the same time, the through hole is blocked during washing to ensure smooth washing, and at the same time, a separate heater is installed for early drying of the laundry. In addition, when it is inserted, it not only provides fast drying by supplying hot air through various paths, but also dries the finished laundry quickly by using hot air and heaters supplied through various paths. It provide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mproving drying efficiency and significantly reducing the drying time of laund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 건조시스템의 전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 건조시스템의 후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 건조시스템의 조절수단이 순차적으로 작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 건조시스템의 습기배출수단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풍 건조시스템의 세탁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a와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풍 건조시스템의 세탁조를 보여주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hot air dr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hot air dr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E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equential operation of the control means of the hot air dr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ar view showing the moisture discharge means of the hot air dr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hing tank of a hot air dry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a and 6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washing tank of a hot air dry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은 세척된 각종 옷이나 섬유 등의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세탁기용 건조시스템에 관련되며, 본체(10) ㅇ 세탁조(20) ㅇ 회전수단(30) ㅇ 건조수단(40) ㅇ 조절수단(50) ㅇ 습기배출수단(60) 등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system for a washing machine for drying various washed clothes, textiles, etc., and includes a main body (10), a washing tank (20), a rotation means (30), a drying means (40), and an adjustment means (50). ) ㅇ The main components include moisture discharge means (60).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내부에 각종 옷이나 섬유 등의 여러 세탁물을 유입하도록 하기 위한 관통구(11)를 구비하며, 관통구(11)에 근접되어 내부 확인이 가능한 확인창(13)이 형성된 도어(12)를 구비한다. 본체(10)는 바닥에 안착된 상태로서, 전면에는 사용자가 각종 옷이나 섬유 등의 여러 세탁물을 유입할 수 있도록 관통구(11)가 형성되는데, 이는 본체(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구성하면서 후술하는 세탁조(20)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체(10)는 관통구(11)에 근접되어 내부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확인창(13)이 형성된 도어(12)가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또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면서 내부 옷이나 섬유 등의 여러 세탁물 상태를 외부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조(20)는 상기 본체(10) 내부에 관통구(11)와 서로 연통되어 각종 옷이나 섬유 등 여러 세탁물의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세탁조(20)는 그 내부에 각종 옷이나 섬유 등의 다양한 세탁물이 수용된 상태로서, 세척이 가능하면서도 세척 물과 헹굼 물의 유입과 빠짐(배수) 등이 원활하게 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회전수단(30)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또,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단(30)은 상기 세탁조(20)의 후단에 설치되어 세탁 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수단(30)은 상술한 세탁조(20)의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세탁조(20)의 중심축(31)을 중심으로 회전휠(32)에 벨트 또는 체인 등의 방식으로 구성되는 회전밸트(33)가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세탁조(20)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회전수단(30)은 세탁조(20)가 세탁 또는 건조 등의 행위가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회전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다양한 구성으로 형성 가능하다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rotation means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조수단(40)은 상기 본체(10)에 세탁조(20)와 연통되어 건조 시 열풍(烈風)을 공급관(41)을 통해 공급하게끔 별도의 열풍기(42)를 구비한다. 이러한 건조수단(40)은 본체(10)에 세탁조(20)와 연통되도록 공급관(41)을 형성하고, 열풍기(42)의 열풍을 공급관(41)을 통해 유입되도록 한다. 즉, 공급관(41)은 어떠한 위치에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건조효율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본체(10)의 관통구(11)와 근접된 위치에 형성되어 세탁조(20)의 방향으로 열풍이 유입되도록 함에 따라 외부로 이탈되는 열풍을 상당히 줄일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And the drying mean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이때, 상기 세탁조(20)는 내부의 열풍(熱風)들이 세탁물로 골고루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수 개의 통공(22)을 가지는 유입관(21)을 더 구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탁조(20)의 내부 면에는 공급관(41)과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공급관(41)으로부터 직접 유입되는 열풍을 세탁조(20)의 내부에 공급되도록 하거나 공급관(41)과는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세탁조(20)에 존재하는 열풍이 유입관(21)을 통해 골고루 분산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세탁조(20)는 세탁물이 유입되는 부분에서 관통구(11) 사이의 틈을 막아 열풍이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게끔 막음판(23)을 더 구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술한 건조수단(40)의 공급관(41)을 통해 공급된 열풍이 세탁조(20)와 본체(10)의 관통구(11)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부터 열풍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세탁조(20)에 막음판(23)을 탈착하거나 일체로 형성하여 열풍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따라서 열풍이 세탁조(20)의 내부에서 장시간 유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the
또, 본 발명에 따른 조절수단(50)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세탁조(20)와 연통되어 세척상황과 건조 상황에 따라 조절하면서 추가로 히터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건조효율을 크게 향상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조절수단(50)은 상술한 건조수단(40)과는 별개로 별도의 히터 열을 통해 건조효율을 크게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세탁 시와 건조 시의 상황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세탁을 실시할 때는 별도의 건조 구성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이를 교대로 시행할 수 있도록 조절수단(50)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means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이때, 상기 조절수단(50)은 세척상황과 건조 상황에 따라 조절하면서 추가로 히터 열을 공급하여 건조효율을 향상하도록 하기 위해 본체(10) 상부에서 관통되는 세탁조(20)와 연통되는 관통공(51) 및 관통공(51)을 막아주는 덮개(52)와 관통공(51)에 삽설되어 고열을 공급하는 히터(54)가 장착된 히팅부(53)가 서로 대응되끔 구비하되, 덮개(52)와 히팅부(53)의 하단에서 회전이 가능하게끔 형성되는 회전부(55) 및 덮개(52)와 히팅부(53)의 일 측면에서 회전이 가능하게끔 연결되는 고리부(56)와, 고리부(56)에 연결되어 덮개(52)와 히팅부(53)가 회전부(55)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유압실린더(5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절수단(50)은 본체(10) 상부에 관통공(51)을 형성하여 세탁조(20)와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세척상황과 건조 상황에 맞도록 조절하는 것으로서, 관통공(51)을 막아주도록 덮개(52)가 형성된 구성과 히터(54)가 장착된 히팅부(53)가 서로 대응되게끔 구비함으로써 세척상황에서는 덮개(52)가 관통공(51)을 막아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고, 건조 상황에서는 히터(54)가 장착된 히팅부(53)가 관통공(51)을 막으면서 히터(54)가 본체(10) 내부로 삽설되어 세탁조(20)에 투입된 각종 옷이나 섬유 등의 여러 세탁물을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덮개(52)와 히팅부(53)는 하단에 본체(10)로부터 회전이 가능하게끔 형성되는 회전부(55)가 형성되고, 덮개(52)와 히팅부(53)의 후단에 각각 연결되는 고리부(56)를 통해 덮개(52)와 히팅부(53)가 회전하여도 전혀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고리부(56)도 함께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고리부(56)는 각각의 유압실린더(57)가 본체(10)로부터 회전이 가능하게끔 장착되어 유압실린더(57)의 전전과 후진의 반복으로 덮개(52)와 히팅부(53)를 회전시키게 된다. At this time, the control means 5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washing situation and drying situation and additionally supplies heater heat to improve drying efficiency.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또, 본 발명에 따른 습기배출수단(60)은 상기 본체(10)에 세탁조(20)와 연통되어 세탁조(20)에서 발생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습기배출수단(60)은 전술한 건조수단(40)과 조절수단(50)을 통해 건조된 각종 옷이나 섬유 등의 여러 세탁물에서 유출되는 습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성하는 것으로서, 건조수단(40)과 조절수단(50)을 통해 세탁조(20)에 포함된 여러 세탁물을 건조하면서 발생되는 습기에 의해 건조시간이 많이 걸릴 수도 있기 때문에 건조 상황 또는 건조 작업이 끝난 이후의 상황에 구동하여 습기를 외부로 확확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oisture discharge means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이때, 상기 습기배출수단(60)은 본체(10)에 세탁조(20)와 연통되어 세탁조(20)의 세탁물에서 발생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61)와, 세탁물에서 발생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주게끔 필터(63)를 갖는 집진구(62)를 더 구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습기배출수단(60)은 본체(10)에 세탁조(20)와 연통되어 습기를 외부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61)를 구비하고, 필터(63)를 갖는 집진구(62)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별도의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습기배출수단(60)에는 내부의 열풍 등을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하면서 습기도 함께 배출하도록 하기 때문에 별도의 송풍기(미 도시) 등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며, 또 건조수단(40)의 열풍기(42)를 사용하여 외부로 배출시켜도 무방하다. 이를 통해 건조수단(40)과 조절수단(50) 및 습기배출수단(60)이 서로 연동되어 작동함에 따라 통상 1시간이상 건조하던 종래의 건조방식을 벗어나 각종 옷이나 섬유 등의 여러 세탁물을 15분 내지 25분 이내로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moisture discharge means 60 is connected to the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옷이나 다양한 섬유 등의 여러 세탁물에 대한 원활한 세탁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세탁 시에는 관통공을 막아 세탁의 원활함이 발휘됨과 동시에 세탁물의 조기 건조를 위해 별도의 히터를 추가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다양한 경로로의 열풍 공급과 함께 빠른 건조가 실시되도록 함은 물론, 세탁을 끝마친 세탁물의 건조를 다양한 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과 히터에 의해 재빨리 건조되게끔 함에 따라 건조 효율성의 대폭 향상과 세탁물의 건조시간을 크게 감소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wash various laundry items such as various clothes and various fibers, and at the same time, the through hole is blocked during washing to ensure smooth washing, and at the same time, a separate heater is installed for early drying of the laundry. In the additionally inserted state, rapid drying is performed with hot air supplied through various paths, and drying of finished laundry is done quickly by hot air and heaters supplied through various paths, thereby improving drying efficiency. It provide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mproving and significantly reducing the drying time of laundry.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said that such variations or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본체 11: 관통구
12: 도어 13: 확인창
20: 세탁조 21: 유입관
22: 통공 23: 막음판
30: 회전수단 31: 중심축
32: 회전휠 33: 회전밸트
40: 건조수단 41: 공급관
42: 열풍기 50: 조절수단
51: 관통공 52: 덮개
53: 히팅부 54: 히터
55: 회전부 56: 고리부
57: 유압실린더 60: 습기배출수단
61: 배출구 62: 집진구10: main body 11: through hole
12: Door 13: Confirmation window
20: washing tank 21: inlet pipe
22: through hole 23: blocking plate
30: Rotation means 31: Central axis
32: Rotating wheel 33: Rotating belt
40: drying means 41: supply pipe
42: Heater 50: Control means
51: through hole 52: cover
53: Heating unit 54: Heater
55: rotating part 56: ring part
57: Hydraulic cylinder 60: Moisture discharge means
61: outlet 62: dust collection port
Claims (5)
내부에 옷이나 섬유 등의 세탁물을 유입하기 위한 관통구(11)를 구비하고, 관통구(11)에 근접되어 내부 확인이 가능하게끔 확인창(13)이 형성된 도어(12)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 내부에 관통구(11)와 서로 연통되어 옷이나 섬유 등의 세탁물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통형의 세탁조(20);
상기 세탁조(20)의 후단에 설치되어 세탁 시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수단(30);
상기 본체(10)에 세탁조(20)와 연통되어 건조하기 위한 열풍을 공급관(41)을 통해 공급토록 하는 열풍기(42)를 구성한 건조수단(40);
상기 본체(10) 상부에 세탁조(20)와 연통되어 세척상황과 건조 상황에 따라 조절하면서 추가로 히터 열을 공급할 수 있어 건조효율을 향상하도록 본체(10) 상부에 관통되어 세탁조(20)와 연통되도록 하는 관통공(51)과, 관통공(51)을 막아주는 덮개(52)와 관통공(51)에 삽설되어 고열을 공급하는 히터(54)가 장착된 히팅부(53)가 서로 대응되게끔 구비하되, 덮개(52)와 히팅부(53)의 하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부(55) 및 덮개(52)와 히팅부(53)의 일 측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고리부(56)와, 고리부(56)에 연결되어 덮개(52)와 히팅부(53)가 회전부(55)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압실린더(57)를 구비하는 조절수단(50); 및
상기 본체(10)에 세탁조(20)와 연통되어 세탁조(20)에서 발생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습기배출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다기능 열풍 건조시스템In constructing a drying system for a washing machine to dry various laundry items such as various washed clothes or textiles:
A main body ( 10);
A cylindrical washing tank (20) in communication with the through hole (11) inside the main body (10) to enable washing of clothes, textiles, etc.;
Rotation means 30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washing tub 20 to enable rotation during washing;
Drying means 40 comprising a hot air blower 42 that communicates with the washing tank 20 to the main body 10 and supplies hot air for drying through a supply pipe 41;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washing tub 20, so that additional heater heat can be supplied while adjusting according to the washing and drying conditions, and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is communicated with the washing tub 20 to improve drying efficiency. A through hole (51) that prevents the through hole (51), a cover (52) that blocks the through hole (51), and a heating unit (53) equipped with a heater (54)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51) to supply high heat correspond to each other. It is provided with a rotating part 55 rotatably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ver 52 and the heating part 53, and a ring part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ver 52 and the heating part 53. (56) and an adjustment means (50) including a hydraulic cylinder (57) connected to the ring portion (56) to allow the cover (52) and the heating portion (53) to rotate about the rotating portion (55); and
A multi-functional hot air drying system for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moisture discharge means (60) in the main body (10)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washing tub (20) and discharges moisture generated in the washing tub (20) to the outside.
상기 세탁조(20)는 내부에 열풍이 세탁물 전체로 골고루 유입될 수 있게끔 다수 개의 통공(22)을 가지는 유입관(21)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다기능 열풍 건조시스템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ashing tank 20 is a multi-functional hot air drying system for a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nlet pipe 21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 to allow hot air to flow evenly throughout the laundry.
상기 세탁조(20)는 세탁물이 유입되는 부분에 관통구(11) 사이의 틈을 막아 열풍이 외부로 이탈을 방지하게끔 막음판(23)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다기능 열풍 건조시스템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ashing tub (20) is further equipped with a blocking plate (23) to block the gap between the through holes (11) where the laundry flows in to prevent hot air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상기 습기배출수단(60)은 본체(10)에 세탁조(20)와 연통되어 세탁조(20)의 세탁물에서 발생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토록 하는 배출구(61)와, 세탁물에서 발생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주게끔 필터(63)를 갖는 집진구(62)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다기능 열풍 건조시스템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oisture discharge means 60 includes an outlet 61 in the main body 10 that communicates with the washing tub 20 and discharges moisture generated from the laundry in the washing tub 20 to the outside,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generated from the laundry. A multi-functional hot air drying system for a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dust collector (62) having a filter (63) to filter ou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1131A KR102691292B1 (en) | 2021-11-22 | 2021-11-22 | Multifunctional hot air drying system for wash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1131A KR102691292B1 (en) | 2021-11-22 | 2021-11-22 | Multifunctional hot air drying system for washing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4990A KR20230074990A (en) | 2023-05-31 |
KR102691292B1 true KR102691292B1 (en) | 2024-08-05 |
Family
ID=8654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1131A Active KR102691292B1 (en) | 2021-11-22 | 2021-11-22 | Multifunctional hot air drying system for wash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9129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22564A (en) | 2023-08-08 | 2025-02-17 | 고승현 | Dryer combined washing machine with enhanced drying performan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5403B1 (en) | 1994-04-30 | 1998-10-15 | 김은영 | Novel bioactive substance MR-387A, MR-387 b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JP2008119364A (en) * | 2006-11-15 | 2008-05-29 | Sanyo Electric Co Ltd | Drum clothes drier |
KR20120107261A (en) * | 2011-03-21 | 2012-10-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KR101706663B1 (en) | 2013-02-20 | 2017-02-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Drum washing machine |
-
2021
- 2021-11-22 KR KR1020210161131A patent/KR10269129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5403B1 (en) | 1994-04-30 | 1998-10-15 | 김은영 | Novel bioactive substance MR-387A, MR-387 b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JP2008119364A (en) * | 2006-11-15 | 2008-05-29 | Sanyo Electric Co Ltd | Drum clothes drier |
KR20120107261A (en) * | 2011-03-21 | 2012-10-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KR101706663B1 (en) | 2013-02-20 | 2017-02-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Drum washing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4990A (en) | 2023-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386674A2 (en) |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and water filter thereof | |
KR102776916B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20080025519A (en) | dryer | |
JP5897390B2 (en) | Washing and drying machine | |
US10214842B2 (en) | Washing machine | |
KR102691292B1 (en) | Multifunctional hot air drying system for washing machine | |
JP7054354B2 (en) | Clothes dryer | |
KR20180136773A (en) | Wall 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 |
JP2005065907A (en) | Drum type washing/drying machine | |
JP2007325838A (en) | Washing and drying machine | |
KR101246374B1 (en) | Washing machine | |
KR20180136687A (en) | Wall 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 |
KR20240027266A (en) | Hot air drying system for washing machines that allows for uniform hot air supply and injection while effectively discharging humid exhaust | |
KR102243927B1 (en) | Washing machine | |
KR102243926B1 (en) | Washing machine | |
KR100413432B1 (en) | Pulsator type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 |
KR100655019B1 (en) | Drum-type washing machine | |
KR100870094B1 (en) | Washing machine with filter | |
KR102616494B1 (en) | Laundry Treating Machine | |
KR20180136786A (en) | Wall 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 |
KR100438599B1 (en) | Air suction port for dryer | |
KR20070116776A (en) | Washing machine with filter | |
KR102241602B1 (en) | Washing machine | |
JP2005124762A (en) | Drum type washing-drying machine | |
KR101208533B1 (en) | laundry dry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