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1251B1 - 음료 용기 홀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 홀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1251B1
KR102691251B1 KR1020210148613A KR20210148613A KR102691251B1 KR 102691251 B1 KR102691251 B1 KR 102691251B1 KR 1020210148613 A KR1020210148613 A KR 1020210148613A KR 20210148613 A KR20210148613 A KR 20210148613A KR 102691251 B1 KR102691251 B1 KR 102691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bottleneck
beverage container
retainer
support b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3489A (ko
Inventor
남상경
Original Assignee
남상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경 filed Critical 남상경
Priority to KR1020210148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1251B1/ko
Publication of KR20230063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1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12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 B65D23/104Handles formed separately
    • B65D23/106Handles formed separately the gripping region of the handle extending between the neck and the base of the bottle or jar and being located in a radial plane comprising the axis of the bottle or j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2External fitting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음료 용기를 외부의 바아에 걸어둘 수 있는 음료 용기 홀더를 제안한다. 본 발명 홀더 어셈블리는, 병목 부분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는 병목 리테이너(10); 그리고 병목 리테이너가 삽입되는 결합슬롯(26)이 구비되고, 외부의 지지 바아가 출입할 수 있는 개방부분(22)을 구비하며, 전체적으로 원형의 홀더(20)로 구성된다. 결합슬롯(26)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호상으로 성형되고, 외부의 지지 바아가 홀더(20)의 내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홀더(20)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개방부분(2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슬롯(26)은 연속되는 땅콩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음료 용기 홀더 어셈블리{A holder assembly for a drinking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 용기를 편리하게 걸어두거나 휴대할 수 있는 음료 용기 휴대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 용기를 예를 들면 자전거의 일부분(핸들바아)에 편리하게 걸어둘 수 있거나 휴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음료 용기용 휴대용 홀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음료 용기를 보다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선행 특허문헌으로 한국 특허 제10-1415093호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선행 특허 문헌에서 제안하는 것은, 음료 용기를 감싸는 홀더를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는 착용구(10)에 결합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주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 특허 문헌에 의한 선행 기술은, 음료 용기를 감싸면서 잡은 것과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면 팔)에 부착하는 것이 각각 전체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고 있고, 이로 인하여 생산 및 제조에 있어서도 상당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휴대가 간편하며, 음료수 용기를 예를 들면 원통상의 바아에 걸어둘 수 구성되는 휴대용 음료 용기 홀더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자전거 핸들과 같은 막대 형상의 부재에 걸어두기 편리한 것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편리하게 휴대할 수도 있는 음료 용기 홀더를 제안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용기 홀더 어셈블리는, 병목 부분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는 병목 리테이너; 그리고 병목 리테이너가 삽입되는 결합슬롯이 구비되고, 외부의 지지 바아가 출입할 수 있는 개방부분을 구비하며, 전체적으로 원형의 홀더로 구성된다. 여기서 결합슬롯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호상으로 성형되고, 외부의 지지 바아가 홀더의 내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홀더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개방부분(2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결합슬롯은 연속되는 땅콩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된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개방부분의 양측 단부 내측에는 걸림턱이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홀더 어셈블리는, 병목 부분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는 병목 리테이너; 그리고 병목 리테이너가 삽입되는 결합슬롯이 구비되고, 외부의 지지 바아가 출입할 수 있는 개방부분을 구비하며, 전체적으로 원형의 홀더로 구성된다. 여기서 음료 용기를 잡고 있는 병목 리테이너가 결합슬롯에 결합된 상태에서, 홀더의 개방부분은 측면 또는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용기 홀더는, 음료 용기의 병목부분을 클램핑하는 병목 리테이너과, 병목 리테이너에 결합되는 파지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편리하게 음료 용기를 휴대하거나 음료 용기를 나뭇가지 등에 걸어 둘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점은 실질적으로 음료 용기의 휴대 편의성은 물론이고, 선택적으로 특정 장소에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등의 사용 편의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도 1은 본 발명 홀더의 사용 상태를 보인 예시 정면도.
도 2의 (a)는 본 발명 홀더의 병목 리테이너를 보인 예시 사시도, (b)는 다른 실시례에 의한 병목 리테이너를 보인 예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홀더의 걸이부의 구성예를 보인 예시 정면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음료 용기 홀더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료 용기(B)의 병목부분을 감아서 지지하는 병목 리테이너(10)와, 이러한 병목 리테이너(10)에 의하여 지지되고 다른 부분(예를 들면 자전거의 핸들 바아)에 지지될 수 있는 홀더(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병목 리테이너(10)는 음료 용기(B)를 잡아서 지지하는 것이고, 홀더(20)는 다른 부분에 걸어 둘 수 있는 부분이다.
본 명세서에서 홀더(20)를 이용하여 음료 용기를 걸어두는 부분을 이하에서는 "지지바아"라고 칭하기로 하는데, 이러한 지지바아는 예를 들면 자전거의 핸들 바아와 같이 홀더(10)로 걸 수 있는 모든 부재를 총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병목 리테이너(10)는 음료 용기(B)의 병목 부분을 감아서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원형을 가지고 있고,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병목 리테이너(10)는 일부가 열려 있으며, 병목을 감싼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만들 수 있는 결합부(12)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한 실시례에서 결합부(12)는 서로 결합되도록 열린 단부에 각각 성형된 결합홈(12a)과 결합돌기(12b)로 구성된다. 그리고 결합홈(12a)과 결합돌기(12b)가 성형되는 각각의 단부는 수평방향으로 반으로 절개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는 방향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결합부(12)는 병목 리테이너(10)의 열린 부분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병목을 걸어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고, 위에서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될 수 없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도 2의 (b)에는 다른 실시례의 병목 리테이너(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는 후술하는 홀더(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부(14)를 구비하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결합부(14)의 내측에 만들어지는 오목한 공간을 이용하여 홀더(20)를 결합할 수 있는 편리함을 기대할 수 있다.
다음에는 상술한 병목 리테이너(10)의 내측, 즉 병목 리테이너(10)와 음료 용기(B) 사이에 결합되는 홀더(20)에 대하여, 도 3을 참고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음료 용기(B)를 다른 지지바아에 걸어 두는 역할을 가지는 홀더(20)는,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성형되며, 외부의 지지바아에 걸기 위하여 개방부분(22)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개방부분(22)을 통하여 외부의 지지바아가 홀더(20)의 내부로 들어가고, 이때 홀더(20)는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그리고 홀더(20)의 내측에 지지바아가 들어간 후에는 개방부분(22)은 다시 탄성적으로 좁아져서, 내부의 지지바아가 임의로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유지되어야 한다. 이때 개방부분(22)이 직하 방향에 위치하게 되면, 홀더(10)의 자중에 의하여 개방부분(22)이 벌어져서 지지바아에서 이탈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임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방부분(22)에 음료 용기(B)의 하중이 집중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
여기서 결합슬롯(26)은 실질적으로 병목 리테이너(10)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병목 리테이너(10)가 결합슬롯(26)의 내부를 통과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병목 리테이너(10)가 홀더(20)에 결합되어 이탈하지 않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병목 리테이너(10)의 열린 부분 일단부를 상기 결합슬롯(26)을 통과시킨 후, 병목 리테이너(10)이 결합부(12)를 이용하여 병목 리테이너(10)를 폐쇄한다.
이러한 상태는 실질적으로 병목 리테이너(10)가 결합슬롯(26)에 걸려서 임의로 이탈하지 않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음료 용기(B)을 결합한 상태의 병목 리테이너(10)가 결합슬롯(26)에 끼워지면, 이에 해당하는 하중이 홀더(20)에 걸리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때 홀더(20)의 개방부분(22)이 하방을 향하고 있으면, 외력에 의하여 내측에 걸려 있는 지지 부재를 중심으로 홀더(10)의 개방부분(22)이 더 열리는 변형을 하면서 지지 부재에서 이탈할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음료 용기(B)를 결합한 상태에서, 홀더(20)는 개방부분(22)이 하단부가 아닌 측면 중간부분 또는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외부의 지지 바아에 홀더(20)를 결합한 상태에서, 병목 리테이너(10)가 홀더(20)의 결합슬롯(26)의 다른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A)부분을 통하여 병목 리테이너(10)가 삽입되어 있으면, 홀더(20)를 돌려서 병목 리테이너(10)가 (B)부분에 위치하도록 조절한다.
이렇게 되면 홀더(20)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할 때, 개방부분(22)은 실질적으로 측면부분(중간 부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개방부분(22)이 벌어져서 외부의 지지부재에서 홀더(20)가 이탈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홀더(20)의 회전 조절은 실질적으로 개방부분(22)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게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슬롯(26)이 성형된 부분은 홀더(20)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껍게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슬롯(26)은 연속되는 땅콩형상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것이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는데 더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는 홀더(10)의 열린부분(22)의 양단부 내측에 걸림턱(28)을 성형하여, 지지 부재에서 이탈하는 것을 더 방지할 수도 있다.
도시한 실시례에서는, 결합슬롯(26)을 일정한 원호상의 길이를 가지도록 성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결합슬롯(26)을 단순한 구멍형태로 만드는 것도 가능한데, 이러한 경우에는 홀더(20)의 개방부분(22)이 상방을 향하도록 하여, 병목 리테이너(10)에 결합하여 유지하는 것이 외부의 지지부재에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특허법의 규정 취지상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10 ..... 병목 리테이너
12 ..... 결합부분
20 ..... 홀더
22 ..... 개방부분
26 ..... 결합슬롯
28 ..... 걸림턱

Claims (4)

  1. 병목 부분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도록 병목을 감싼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되는 결합부(12)를 구비하는 병목 리테이너(10); 그리고
    병목 리테이너가 삽입되는 결합슬롯(26)이 구비되고, 외부의 지지 바아가 출입할 수 있는 개방부분(22)을 구비하며, 전체적으로 원형의 홀더(20)로 구성되고;
    병목 리테이너(10)는 홀더(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부(14)를 구비하며,
    결합슬롯(26)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호상으로 성형되고, 연속되는 땅콩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되며, 외부의 지지 바아가 홀더(20)의 내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홀더(20)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외부의 지지 바아에 대한 개방부분(2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음료 용기 홀더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개방부분의 양측 단부 내측에는 걸림턱(28)이 성형되는 음료 용기 홀더 어셈블리.

  3. 삭제
  4. 삭제
KR1020210148613A 2021-11-02 2021-11-02 음료 용기 홀더 어셈블리 Active KR102691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613A KR102691251B1 (ko) 2021-11-02 2021-11-02 음료 용기 홀더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613A KR102691251B1 (ko) 2021-11-02 2021-11-02 음료 용기 홀더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489A KR20230063489A (ko) 2023-05-09
KR102691251B1 true KR102691251B1 (ko) 2024-08-05

Family

ID=8640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613A Active KR102691251B1 (ko) 2021-11-02 2021-11-02 음료 용기 홀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125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997U (ja) * 2001-06-25 2002-02-22 株式会社コウプラクリエイツ ペットボトル入り飲料のキャリーホルダー
KR200419271Y1 (ko) * 2006-04-04 2006-06-16 손경섭 책상 또는 의자용 높이조절 볼트
JP2007097512A (ja) * 2005-10-06 2007-04-19 Dainippon Printing Co Ltd 吊下型防虫剤容器
JP2011031909A (ja) * 2009-07-30 2011-02-17 Yoshino Kogyosho Co Ltd ボトルホルダー
US20150211678A1 (en) * 2014-01-27 2015-07-30 David Bulka Universal versatile multi-use clamping holder
JP2021160785A (ja) * 2020-03-31 2021-10-11 株式会社トムズ・クリエイティブ ボトルホル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997U (ja) * 2001-06-25 2002-02-22 株式会社コウプラクリエイツ ペットボトル入り飲料のキャリーホルダー
JP2007097512A (ja) * 2005-10-06 2007-04-19 Dainippon Printing Co Ltd 吊下型防虫剤容器
KR200419271Y1 (ko) * 2006-04-04 2006-06-16 손경섭 책상 또는 의자용 높이조절 볼트
JP2011031909A (ja) * 2009-07-30 2011-02-17 Yoshino Kogyosho Co Ltd ボトルホルダー
US20150211678A1 (en) * 2014-01-27 2015-07-30 David Bulka Universal versatile multi-use clamping holder
JP2021160785A (ja) * 2020-03-31 2021-10-11 株式会社トムズ・クリエイティブ ボトルホル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489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7351T3 (es) Dispositivo de cierre del tipo de salto elástico
US9345353B2 (en) Portable shopping cart beverage carrier
FR2653067A3 (ko)
EP0959725B1 (fr) Dispositif de blocage pour bouteilles et son utilisation
KR102691251B1 (ko) 음료 용기 홀더 어셈블리
US5664709A (en) Garment set hanger with adjustable support bar
EP0296943B1 (fr) Cintre antivol pour vêtements
USD491018S1 (en) Sports bottle and bottle carrier for bicycle use
KR20200138651A (ko) 접이식 옷걸이
KR102516739B1 (ko) 음료용기 홀더
EP2319385B1 (en) Container holder for a dish basket of a dishwasher
KR102423649B1 (ko) 휴대용 음료용기 홀더
US2861766A (en) Shampoo bottle holder
FR2781552A1 (fr) Support amovible de recipient cylindrique de boisson
JP3143578U (ja) ドリンクホルダー
KR200299921Y1 (ko) 병 걸이장치
JP2007319625A (ja) 吊掛装置
KR200478427Y1 (ko) 음료 용기 거치대
KR100685470B1 (ko) 케이스 출몰식 소형 양산
KR102621305B1 (ko) 자전거용 물병 거치대
ES2299516T3 (es) Dispositivo para el enjuague de los ojos facil de transportar.
KR200496082Y1 (ko) 풍선부케 및 풍선부케 홀더
ES2284315B1 (es) Dispositivo para sujecion de jamones.
JP3148728U (ja) ハンガー
KR101802072B1 (ko) 오프너 기능이 구비된 물병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