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0853B1 - Window with automated glazing maintenance system - Google Patents
Window with automated glazing maintenanc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90853B1 KR102690853B1 KR1020190115099A KR20190115099A KR102690853B1 KR 102690853 B1 KR102690853 B1 KR 102690853B1 KR 1020190115099 A KR1020190115099 A KR 1020190115099A KR 20190115099 A KR20190115099 A KR 20190115099A KR 102690853 B1 KR102690853 B1 KR 1026908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moving means
- axis moving
- vertical
- clea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050 mo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2—Power-driven machines or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청소 시스템이 구비된 창호에 관한 것으로써,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틀 프레임의 바깥면 상측과 하측에서 상기 창틀 프레임의 양쪽 측부를 연결하는 X축 이동수단과, 상기 X축 이동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Z축 이동수단과, 상기 Z축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를 상기 Z축 수단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Y축 이동수단 및 상기 창틀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가 출입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equipped with an automatic cleaning system, and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includes an A Z-axis moving means connected to the mean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vacuum cleaner body installed on the Z-axis moving means, a Y-axis moving means for moving the vacuum cleaner body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Z-axis means, and one side of the window frame. It is installed in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otective cover through which the main body of the cleaner enters and exits.
Description
본 발명은 창호의 유리창을 청소하기 위한 자동 청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의 일측에 설치되어 창호의 유리창을 안전하면서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자동 청소 시스템이 구비된 창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leaning system for cleaning window panes, and more specifically, to a window equipped with an automatic cleaning system tha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a window and can safely and effectively clean the window panes.
일반적으로, 창호는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햇빛과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켜 실내 환기를 가능하게 준다.In general, windows play a role in isolating the indoors and outdoors and at the same time allow sunlight and fresh air from outside to enter the indoor space, allowing indoor ventilation.
창호는 개폐방법에 따라 여닫이 창호, 미서기 창호, 리프트 기능의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개폐 시 창짝이 레일 위로 들어 올려져 움직이는 리프트 슬라이딩(Lift sliding) 창호 등이 있다.Depending on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windows include casement windows, non-sliding windows, and lift sliding windows, which use hardware with a lift function to lift and move the window onto a rail when opening and closing.
한편, 고층건물이나 고층아파트의 외벽에 설치되는 창호는 각종 이물질과 미세먼지 등에 의해 오염되기 쉽기 때문에 선명한 조망을 위해서는 수시로 창호를 청소해줄 필요가 있다.Meanwhile, windows installed on the exterior walls of high-rise buildings or high-rise apartments are prone to contamination by various foreign substances and fine dust, so it is necessary to clean the windows from time to time to ensure a clear view.
그러나 이러한 창호의 외부 청소는 일반인이 직접 청소하기에 위험하고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업체의 대행을 통해 청소를 하거나, 창문 청소용 로봇과 같은 청소 시스템을 이용하여 청소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since the exterior cleaning of these windows is dangerous and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clean on their own, the cleaning is done through a company's agency or by using a cleaning system such as a window cleaning robot.
그러나 업체의 대행을 통한 청소는 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청소 날짜나 시간을 자유롭게 선택하기 어려워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청소 시스템은 청소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고, 유지 및 관리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leaning through a company's agency costs a lot of money, and it is difficult to freely select the cleaning date or time, which reduces efficiency. The cleaning system has unsatisfactory cleaning effects and has problems with maintenance and management.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6235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4623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창호의 일측에 설치되는 청소장치가 창호의 외부 유리창을 따라 이동되면서 유리창의 청소를 간편하면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청소장치의 사용 및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 청소 시스템이 구비된 창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cleaning devic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indow moves along the outer glass pane of the window, making it possible to clean the window simply, safely, and effectively, and to use and maintain the cleaning device. The purpose is to provide windows equipped with an automatic cleaning system that can facilitat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be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청소 시스템이 구비된 창호는 창틀 프레임의 바깥면 상측과 하측에서 상기 창틀 프레임의 양쪽 측부를 연결하는 X축 이동수단과,A window equipped with an automatic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purpose includes an
상기 X축 이동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Z축 이동수단과,A Z-axis moving mean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X-axis moving means,
상기 Z축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청소기 본체와,A vacuum cleaner body installed on the Z-axis moving means,
상기 청소기 본체를 상기 Z축 수단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Y축 이동수단 및 Y-axis mov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er body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Z-axis means, and
상기 창틀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가 출입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indow frame and includes a protective cover through which the cleaner main body enters and exits.
더 바람직하게 상기 X축 이동수단은 상기 창틀 프레임의 바깥면 상측에서 상기 창틀 프레임의 양쪽 측부를 연결하는 상측 레일과,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상측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상측 슬라이더가 포함되는 상측 LM가이드 및 More preferably, the
상기 창틀 프레임의 바깥면 하측에서 상기 창틀 프레임의 양쪽 측부를 연결하는 하측 레일과,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하측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하측 슬라이더가 포함되는 하측 LM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rail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window frame at the low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ow frame, and a lower LM guide including a lower slider moved along the lower rail by a drive moto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Z축 이동수단은 상기 상측 LM가이드의 상측 슬라이더와 상기 하측 LM가이드의 하측 슬라이더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 레일과,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수직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수직 슬라이더가 포함되는 수직 LM가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Z-axis moving means includes a vertical rail connecting the upper slider of the upper LM guide and the lower slider of the lower LM gu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vertical slider moved along the vertical rail by a drive motor. It can be configured as a vertical LM guid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수직 LM가이드의 수직 슬라이더에 유리창을 향하여 하우징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와이퍼와, 세정액 노즐과, 세척액 노즐 및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cleaner body may have a housing installed on the vertical slider of the vertical LM guide toward the glass window, and a wiper, a cleaning fluid nozzle, a cleaning fluid nozzle, and a sensor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Y축 이동수단은 상기 수직 LM가이드의 수직 슬라이더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을 연결해주는 리프트 및 상기 리프트의 상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수직 슬라이더와 상기 하우징의 간격을 조절하는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Y-axis moving means may include a lift connecting the vertical slider of the vertical LM guide and the rear of the housing, and a motor that adjusts the vertical length of the lift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vertical slider and the housing. .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호커버는 한쪽 측면이 개방되면서 상기 청소기 본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부를 제공하고, 상기 공간부에는 세정액 통과, 상기 세정액 통을 상기 세정액 노즐과 연결시켜주는 세정액 릴 호스와, 세척액 통과, 상기 세척액 통을 상기 세척액 노즐과 연결시켜주는 세척액 릴 호스 및 상기 X축 이동수단과 상기 Z축 이동수단과 상기 Y축 이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의 신호를 인가받는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protective cover is open on one side and provides a space so that the cleaner body can be accommodated, and the space part has a space for passing the cleaning fluid, a cleaning fluid reel hose connecting the cleaning fluid container to the cleaning fluid nozzle, and a cleaning fluid passing through the space. , a cleaning fluid reel hose connecting the cleaning fluid container to the cleaning fluid nozzle,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X-axis moving means, the Z-axis moving means, and the Y-axis moving means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sensor. there is.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호커버는 실내에 위치하는 후면에 덮개가 설치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protective cover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ide located indoors.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는 상기 청소기 본체와 유리창 사이 거리를 판단하기 위한 근접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sensor may be configured as a proximity sensor for determ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leaner body and the glass window.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유리창의 오염도를 판단할 수 있는 빛 투과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sensor consists of a plurality of sensors, and may further include a light transmission sensor capable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indow.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청소 시스템이 구비된 창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Windows equipped with the automatic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ve the following effects.
즉, 창틀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호커버 내부에 청소기 본체가 수용됨에 따라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청소기 본체를 보호할 수 있고, 청소기 본체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청소기 본체로 인해 창호의 외관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창호의 청소시에는 청소기 본체가 X축과 Z축과 Y축의 이동을 통해 유리창의 표면을 따라 정확하게 이동되면서 청소가 이루어짐에 따라 유리창 청소의 효율성이 배가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other words, as the vacuum cleaner body is accommodated inside the protective cov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indow frame, the vacuum cleaner body can be protected from external influences, maintenance of the vacuum cleaner body is easy, and the vacuum cleaner body prevents the appearance of the window from becoming poor. This has the effect of doubling the efficiency of window cleaning as the main body of the cleaner moves precisely along the surface of the window through movement of the X-axis, Z-axis, and Y-axis when cleaning the window. .
아울러,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is way are naturally exerted by the composition of the described contents regardless of whether the inventor is aware of it, s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re only a few effects according to the described contents, and all effects recognized or existing by the inventor It should not be accepted as written.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further understood by the overall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even if it is not described in explicit sentence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described content pertains will be able to achieve such effect through this specification. If it is an effect that can be recognized as an effect, it should be viewed as the effec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호에 설치된 자동 청소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호에 설치된 자동 청소 시스템의 X축 이동수단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호에 설치된 자동 청소 시스템의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호에 설치된 자동 청소 시스템의 Z축 이동수단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호에 설치된 자동 청소 시스템이 Y축 이동수단을 통해 유리창과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호에 설치된 자동 청소 시스템이 Y축 이동수단을 통해 유리창에 근접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보호커버의 개방된 일측면에 설치되는 개폐도어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cleaning system installed on 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X-axis moving means of an automatic cleaning system installed on 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an automatic cleaning system installed on 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Z-axis moving means of an automatic cleaning system installed on 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automatic cleaning system installed on a window and door spaced apart from the window through a Y-axis mov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automatic cleaning system installed on a window and door in close proximity to the window through a Y-axis mov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an opening and closing door installed on one open side of the protective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This is intended to provide a detailed description so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ractice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mited. .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판단되어야 한다.In addition,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indicat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taking into accoun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pecially defined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and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judged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청소 시스템이 구비된 창호의 구성은 창호의 유리창을 청소할 수 있는 청소기 본체와 이러한 청소기 본체를 창틀 프레임의 가로방향을 따라 이동시켜주는 X축 이동수단과, 청소기 본체를 창틀 프레임의 세로방향을 따라 이동시켜주는 Z축 이동수단과 청소기 본체를 유리창을 향하여 전후 이동시켜주는 Y축 이동수단과, 창틀 프레임의 한쪽에 설치되어 청소기 본체가 출입되는 보호커버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 예시된 도면을 통해 각 구성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a window equipped with an automatic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body capable of cleaning the glass window of the window, an It can be broadly divided into a Z-axis moving means that move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a Y-axis moving means that moves the vacuum cleaner body back and forth toward the glass window, and a protective cov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indow frame through which the vacuum cleaner body goes in and out. , Looking at each component in more detail through the illustrated drawings below, as follows.
먼저, X축 이동수단은, First, the X-axis movement means is,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될 청소기 본체(300)를 창틀 프레임(610)의 가로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수단이다.It is a means for moving the
X축 이동수단은 창틀 프레임(610)의 바깥면 상측 또는 하측 또는 바람직하게 상측과 하측에 함께 설치될 수 있으며, 청소기 본체(300)는 이러한 X축 이동수단에 직접 연결되거나,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될 Z축 이동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It can be connected through a Z-axis moving means.
X축 이동수단은 하나의 실시 예로 창틀 프레임(610) 상측과 하측의 마주하는 양쪽에 스프로킷이 각각 설치되고, 그러한 스프로킷은 체인으로 연결되며, 어느 한쪽 스프로킷은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동모터의 정회전 내지 역회전에 의해 체인이 양방향으로 회전되면 이러한 체인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청소기 본체(300)가 창틀 프레임(610)의 X축인 가로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In one embodiment, the When the chain is rotated in both directions by the forward or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the
X축 이동수단은 다른 실시 예로 창틀 프레임(610)의 상측과 하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가 설치되고, 청소기 본체(300) 또는 청소기 본체(300)와 연결된 가이드에 피니언기어를 설치한 후, 그러한 피니언기어를 랙기어에 연결시켜 구성함으로써, 피니언기어와 연결된 구동모터의 정회전 내지 역회전에 의해 청소기 본체(300) 또는 청소기 본체(300)와 연결된 가이드가 랙기어에 치합된 상태에서 창틀 프레임(610)의 X축인 가로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In another embodiment, the By connecting such a pinion gear to a rack gear, the window frame frame is engaged with the
X축 이동수단은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 및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LM가이드(Liner Motion Guide)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X-axis moving means may be configured using an LM guide (Liner Motion Guide)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즉, 창틀 프레임(610)의 바깥면 상측에 상측 LM가이드(110)가 설치되되, 상측 LM가이드(110)는 창틀 프레임(610)의 바깥면 상측에서 창틀 프레임(610)의 가로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상측 레일(111)과,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상측 레일(111)을 따라 양방향 이동되는 상측 슬라이더(112)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그리고 창틀 프레임(610)의 바깥면 하측에는 하측 LM가이드(120)가 설치되되, 하측 LM가이드(120)는 창틀 프레임(610)의 바깥면 하측에서 창틀 프레임(610)의 가로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하측 레일(121)과,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하측 레일(121)을 따라 양방향 이동되는 하측 슬라이더(122)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Z축 이동수단은,The Z-axis movement means is,
뒤에서 자세히 설명되는 청소기 본체(300)를 창틀 프레임(610)의 세로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줄 수 있는 수단이며, Z축 이동수단은 창틀 프레임(610)의 상하에 설치된 X축 이동수단에 세로 방향으로 직교하여 연결된다.It is a means for moving the
Z축 이동수단은 하나의 실시 예로 창틀 프레임(610) 상측과 하측의 X축 이동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 되는 스크류와, 그러한 스크류에 나사 결합 되어 스크류의 정회전 내지 역회전에 의해 스크류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동체를 포함하며, 이러한 이동체에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되는 청소기 본체(300)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Z-axis moving means includes a screw that is rotatably vertically connected to the It includes a movable body that is screw-coupled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rew by the forward or reverse rotation of the screw, and the
Z축 이동수단은 다른 실시 예로 창틀 프레임(610) 상측과 하측의 X축 이동수단에 랙기어가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되면서 랙기어에 치합되어 양방향으로 이동되는 피니언기어가 청소기 본체(300)에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Z-axis moving means is a rack gear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The pinion gear may be connected to the
Z축 이동수단은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2 및 도 4 에 예시한 바와 같이 X축 이동수단이 상측 LM가이드(110)와 하측 LM가이드(120)로 구성되는 경우, 상측 LM가이드(110)의 상측 레일(111)을 따라 이동되는 상측 슬라이더(112)와 하측 LM가이드(120)의 하측 레일(121)을 따라 이동되는 하측 슬라이더(122)를 서로 연결해주는 수직 레일(211)과,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수직 레일(211)을 따라 상하 양방향 이동되는 수직 슬라이더(212)로 구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Z-axis moving means is an upper side of the
아울러, 창짝의 유리창(620)을 바라보는 수직 슬라이더(212)의 후면에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된 청소기 본체(300)가 설치됨에 따라 수직 슬라이더(212)의 상하 양방향 이동에 따라 청소기 본체(300)가 상하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the
청소기 본체(300)는, The
앞에서 설명한 Z축 이동수단에 설치되며, 창짝의 유리창(620)을 향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유리창(620)의 표면을 청소하게 된다. It is installed on the Z-axis moving means described above, and cleans the surface of the
청소기 본체(300)는 도 4 및 도 5 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310)과, 그러한 하우징(310) 내부에 위치하는 와이퍼(311)와, 세정액 노즐(312)과, 세척액 노즐(313) 및 센서(314)를 포함한다. As illustrated in FIGS. 4 and 5, the
하우징(310)은 와이퍼(311)와 세정액 노즐(312)과 세척액 노즐(313) 및 센서(314)를 지지 및 보호하면서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될 Y축 이동수단과 연결된다.The
와이퍼(311)는 선단의 블레이드 고무가 유리창(620)에 접면된 후, X축 수단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유리창(620)의 표면에 묻어 있는 세정액을 제거하거나, 유리창(620)의 표면에 남아 있는 물기를 제거하게 된다.After the blade rubber at the tip comes into contact with the
와이퍼(311)의 선단의 블레이드 고무는 마모될 수 있으므로 와이퍼(311)의 몸체로부터 교체 가능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Since the blade rubber at the tip of the
아울러, 와이퍼(311)의 몸체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블레이드 고무를 설치함으로써, 세정액 및 물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pair of blade rub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body of the
와이퍼(311)의 상하 길이는 유리창(620)의 상하 길이와 대응하도록 길게 구성될 수 있으며, 유리창(620)의 상하 길이의 반 또는 그보다 작은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The top and bottom length of the
세정액 노즐(312)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액은 분사각도를 크게 하여 넓게 퍼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유리창(620)에 세정액이 고르고 넓게 분사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세척액 노즐(313)은 분사각도를 크게 하여 넓게 퍼지도록 하거나, 분사각도를 작게 하여 한정된 부위에 집중적으로 분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leaning liquid sprayed through the cleaning
또한, 세척액 노즐(313)에서 분사되는 세척액은 필요에 따라 공압을 이용하여 고압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cleaning liquid sprayed from the cleaning
센서(314)는 청소기 본체(300)가 X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창짝과 창짝이 겹치는 여밈대와 같이 단차가 발생될 경우, 단차지는 유리창의 표면과의 상대 거리를 정확히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써, 예를 들면 근접센서가 될 수 있다.The
이러한 근접센서는 후술되는 제어부(510)에 신호를 인가하여 후술되는 Y축 이동수단을 통해 청소기 본체(300)가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해준다.This proximity sensor applies a signal to the
센서(314)는 근접센서와 함께 필요에 따라 다른 종류의 센서가 더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일 예로 유리창의 오염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적외선 센서나 조도 센서와 같은 빛 투과 센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빛 투과 센서 또한 후술되는 제어부에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유리창의 오염도에 따라 청소의 횟수나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다.The
Y축 이동수단은,The Y-axis movement means is,
전술한 Z축 이동수단과 청소기 본체(300)를 연결하며, 청소기 본체(300)를 유리창(620)을 향하여 전진 또는 후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It connects the above-described Z-axis moving means and the cleaner
Y축 이동수단은 그 실시 예로 도 5 와 도 6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410)의 일단이 Z축 이동수단의 수직 슬라이더(212)에 고정되고, 타단이 청소기 본체(300)의 하우징(310)에 고정되며, 리프트(410)의 하측에 엑츄이이터 또는 모터(420)가 설치됨에 따라 이러한 모터(420)의 정회전 내지 역회전에 의해 리프트(410)의 상하가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면서 청소기 본체(300)가 유리창(620)을 향하여 전,후 이동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Y-axis moving means, as illustrated in FIGS. 5 and 6, one end of the
여기서, 모터(420)는 후술되는 제어부(510)와 연결되어 제어부(510)를 통해 제어되며, 세정액 노즐(312)을 통해 세정액이 분사되거나, 세척액 노즐(313)을 통해 세척액이 분사되는 경우에는 리프트(410)의 상하를 최대한 벌려 청소기 본체(300)와 유리창(620)이 최대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세정액 내지 세척액의 분사 범위를 넓게 하고, 와이퍼(311)를 이용하여 유리창(620)을 닦는 경우에는 리프트(410)의 상하를 오므려 청소기 본체(300)와 유리창(620)과의 거리를 근접시킴으로써, 와이퍼(311)가 유리창(620)에 정확하게 닿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Here, the
보호커버(500)는,The
도 1 과 도 3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창틀 프레임(610)의 어느 한쪽에 측면에 구비되며, 창틀 프레임(610)에 일체 형태 또는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3,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보호커버(500)는 전술한 청소기 본체(300)가 출입될 수 있도록 측면 한쪽이 개방되며,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함체 형태로 구성된다.The
보호커버(500)의 내부에는 세정액 통(540)이 구비되고, 세정액 통(540)은 전술한 세정액 노즐(312)과 세정액 릴 호스(520)로 연결됨에 따라 세정액 노즐(312)이 X축 이동수단 또는 Z축 이동수단 및 Y축 이동수단에 의해 세정액 통(540)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세정액 릴 호스(520)가 풀리면서 그 길이가 연장되고, 세정액 노즐(312)이 세정액 통(540)에 가까워지게 되면 세정액 릴 호스(520)가 다시 감기면서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A cleaning
보호커버(500)의 내부에는 세척액 통(550)이 함께 구비되고, 세척액 통(550)은 전술한 세척액 노즐(313)과 세척액 릴 호스(530)로 연결됨에 따라 세척액 노즐(313)이 X축 이동수단 또는 Z축 이동수단 및 Y축 이동수단에 의해 세척액 통(550)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세척액 릴 호스(530)가 풀리면서 그 길이가 연장되고, 세척액 노즐(313)이 세척액 통(550)에 가까워지게 되면 세척액 릴 호스(530)는 다시 감겨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A cleaning
보호커버(500)의 내부에는 제어부(510)가 설치되며, 이러한 제어부(510)는 X축 이동수단에서 상측 슬라이더(112)와 하측 슬라이더(122)를 이동시켜주는 구동모터와 Z축 이동수단에서 수직 슬라이더(212)를 이동시켜주는 구동모터와 세정액 통(540)에 저장된 세정액이나 세척액 통(550)에 저장된 세척액을 세정액 노즐(312) 및 세척액 노즐(313)로 분사시킬 수 있는 각각의 펌프를 제어한다.A
제어부는 청소기 본체(300)와 유리창(620) 표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근접센서 및 유리창(620)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빛 투과 센서와 같은 센서(314)들과 연결되어 그 신호를 인가받아 앞서 설명한 구동모터나 펌프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아울러, 제어부(510)는 전원의 인가를 위한 전원부 및 청소기 본체(300)의 이동 방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와 연결되며, 전원부는 전원공급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조작부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조이스틱이나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보호커버(500)의 후면은 실내를 향하게 되며, 이러한 보호커버(500)의 후면에는 덮개(570)를 구비함으로써, 덮개(570)의 개방을 통해 보호커버(500)의 공간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공간부에 위치한 세정액 통(540)에 세정액을 보충하거나, 세척액 통(550)에 세척액을 보충하거나, 제어부(510) 등의 부품을 점검하거나 교체 하는 등의 유지 및 보수 등을 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ar of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를 이용하여 창호의 유리창이 청소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Let's look at the process of cleaning window glass using th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창호(600)의 창짝에 구비된 유리창(620)의 청소가 필요 없는 상황에서는 청소기 본체(300)가 보호커버(500)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내부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청소기 본체(300)가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손상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no need to clean the
그리고 유리창(620)이 오염된 경우에는 청소기 준비 단계, 세정액 분사 단계, 와이퍼 청소 단계, 세척수 분사 단계, 와이퍼 물기 제거 단계, 청소기 보관 단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Additionally, if the
먼저, 청소기 준비 단계는,First, the vacuum cleaner preparation step is:
X축 이동수단에 의해 보호커버(500)의 내부에 위치하던 청소기 본체(300)가 보호커버(500)에서 빠져나와 유리창(620)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후 Y축 이동수단을 통해 청소기 본체(300)가 유리창(620)의 표면으로부터 최대한 멀어진 상태에서 Z축 이동수단을 통해 유리창(620)의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청소기 본체(300)는 유리창(620)의 좌측 모서리쪽에 위치하게 된다.By the )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세정액 분사 단계는,The cleaning liquid spraying step is,
청소기 본체(300)에 구비된 세정액 노즐(312)로부터 세정액이 분사되며, 이때 X축 이동수단에 의해 청소기 본체(300)가 유리창(620)의 가로방향으로 천천히 이동됨에 따라 세정액이 유리창(620) 상측에 뿌려지게 되고, 뿌려진 세정액은 유리창(620)을 따라 아래쪽으로 흘러내리기 된다. Cleaning liquid is sprayed from the cleaning
필요에 따라서는 Z축 이동수단을 통해 청소기 본체(300)를 유리창(620)의 중앙쪽으로 이동시킨 다음 X축 이동수단을 통해 가로방향으로 다시 한번 이동시켜 유리창(620)에 세척액이 유리창(620)의 중간부분에서 가로방향을 따라 한 번 더 뿌려지도록 할 수도 있다.If necessary, the
와이퍼 청소 단계는,The wiper cleaning steps are:
세척액이 뿌려진 유리창(620)을 청소기 본체(300)의 와이퍼(311)를 이용하여 청소하는 단계이며, Y축 이동수단을 통해 청소기 본체(300)가 유리창(620)에 접근하게 되면서 근접센서와 같은 센서(314)의 제어를 받아 와이퍼(311)의 선단이 유리창(620)의 표면에 닿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X축 이동수단에 의해 청소기 본체(300)가 가로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와이퍼(311)가 세척액이 뿌려진 유리창(620)의 표면을 닦게 된다.This is a step of cleaning the
이때, 와이퍼(311)의 상하 길이에 따라 유리창(620)을 한 번에 닦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유리창(620)의 영역과 와이퍼(311)의 길이를 고려하여 유리창(620)의 영역을 와이퍼(311)의 길이에 상응하게 구획한 후 Z축 수단을 이용하여 청소기 본체(3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유리창(620)을 전체적으로 닦을 수도 있다.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top and bottom length of the
아울러, 청소기 본체(300)의 와이퍼(311)가 유리창(620)에 접면된 상태에서 X축 이동수단을 통해 이동될 때, 여밈대에 의해 유리창(620) 사이에 단차가 발생되는 경우, 센서(314)가 이를 인지하여 Y축 이동수단을 통해 와이퍼(311)와 유리창(620) 표면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세척수 분사단계는,The washing water spraying step is,
와이퍼(311)를 통해 닦인 유리창(620)에 깨끗한 물인 세척수를 충분히 분사하여 흐르는 세척수를 통해 세정액과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로써, 이 단계에서는 Y축 이동수단에 의해 청소기 본체(300)가 유리창(620) 표면으로부터 최대한 멀어진 상태에서 세척액 노즐(313)을 통해 세척액이 유리창(620)으로 분사되며, X축 이동수단과 Z축 이동수단을 통해 유리창(620) 전체에 세척수가 뿌려지도록 함으로써, 유리창에 남아 있는 세정액과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This is a step in which washing water, which is clean water, is sufficiently sprayed onto the
와이퍼 물기 제거단계는,The wiper water removal step is,
유리창(620)에 분사된 후 표면에 남아 있는 세척수를 제거하는 단계이며, Y축 이동수단을 통해 청소기 본체(300)가 다시 유리창(620) 표면으로 접근하여 와이퍼(311)의 선단이 유리창(620)의 표면에 접면된 상태에서 X축 이동수단과 Z축 이동수단을 통해 유리창의 표면에 남아 있는 물기를 제거하게 된다.This is a step of removing the washing water remaining on the surface after being sprayed on the
아울러, 물기의 제거 과정에서 청소기 본체(300)에 구비된 센서(314)를 통해 유리창(620) 표면의 오염도를 측정함으로써, 오염이 남아 있는 경우 세정액 분사 단계와 와이퍼 청소 단계와 세척수 분사 단계와 와이퍼 물기 제거 단계가 다시 반복함으로써, 유리창(620)의 오염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removing water,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n the surface of the
청소기 보관 단계는,The steps for storing the vacuum cleaner are:
유리창(620)의 청소가 완료된 청소기 본체(300)가 보호커버(500)에 수납되는 단계로써, 유리창(620)의 청소가 완료되면 와이퍼(311)가 유리창(620) 표면에서 분리되도록 Y축 이동수단에 의해 청소기 본체(300)가 유리창(620)의 표면에서 멀어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Z축 이동수단을 통해 청소기 본체(300)가 유리창(620)의 하측으로 이동된 후 X축 이동수단을 통해 보호커버(500)쪽으로 이동되어 보호커버(500) 내부에 수용된다.This is a step in which the
한편, 보호커버(500)의 실내쪽에 위치하는 후면에는 덮개(570)가 설치됨에 따라 덮개(57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보호커버(500)의 내부에 위치한 세정액 통(540)이나 세척액 통(55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필요시 세정액이나 세척액을 보충할 수도 있다.Meanwhile, as the
아울러, 보호커버(500)의 개방된 측면은 개방된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개방된 측면을 통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외기를 차단하고, 보호커버(500)의 내부에 수납되는 청소기 본체(300)의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외부 영향으로부터 청소기 본체(300)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커버(500)의 개방된 측면에 개폐도어(58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pen side of the
개폐도어(580)는 그 실시 예로 도 7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300)가 보호커버(500)의 내부를 출입할 때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개폐도어(580)의 길이방향 일측을 보호커버(500)의 길이방향 일측에 탄력적으로 힌지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opening/
따라서, 개폐도어(580)는 보호커버(500)의 개방된 측면을 항시 폐쇄하게 되며, 청소기 본체(300)는 개폐도어(580)를 밀어 회전시키면서 출입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opening/
또한, 보호커버(500)의 상측 및 하측은 상측 레일(111)과 하측 레일(121) 및 수직 레일(211)과의 간섭을 고려하여 개폐도어(580)를 형성하지 않고, 상측 레일(111)과 하측 레일(121) 및 수직 레일(211)이 관통되도록 구멍(591)이 형성된 기밀유지부(590)를 형성하되, 구멍(591)의 내측둘레에는 상측 레일(111)이나 하측 레일(121) 및 수직 레일(211)과 유연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모헤어(592) 또는 가스켓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모헤어(592) 또는 가스켓은 상측 레일(111)과 하측 레일(121)을 따라 이동되는 상측 슬라이더(112)와 하측 슬라이더(122) 및 수직 레일(211)이 보호커버(500)의 내부로 이동될 때 기밀유지부(590)와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기밀을 유지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descriptions of specific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described content nee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as well as equivalents to these claims.
100 : X축 이동수단 110 : 상측 LM 가이드
111 : 상측 레일 112 : 상측 슬라이더
120 : 하측 LM 가이드 121 : 하측 레일
122 : 하측 슬라이더 210 : 수직 LM 가이드
211 : 수직 레일 212 : 수직 슬라이더
300 : 청소기 본체 310 : 하우징
311 : 와이퍼 312 : 세정액 노즐
313 : 세척액 노즐 314 : 센서
400 : Y축 이동수단 410 : 리프트
420 : 모터 500 : 보호커버
510 : 제어부 520 : 세정액 릴 호스
530 : 세척액 릴 호스 540 : 세정액 통
550 : 세척액 통 570 : 덮개
580 : 개폐도어 590 : 기밀유지부
591 : 구멍 592 : 모헤어100: X-axis moving means 110: Upper LM guide
111: upper rail 112: upper slider
120: Lower LM Guide 121: Lower Rail
122: lower slider 210: vertical LM guide
211: vertical rail 212: vertical slider
300: Cleaner body 310: Housing
311: Wiper 312: Cleaning liquid nozzle
313: cleaning liquid nozzle 314: sensor
400: Y-axis moving means 410: Lift
420: Motor 500: Protective cover
510: Control unit 520: Cleaning liquid reel hose
530: Cleaning fluid reel hose 540: Cleaning fluid container
550: Washing liquid container 570: Cover
580: Open/close door 590: Confidentiality maintenance unit
591: Hole 592: Mohair
Claims (9)
상기 X축 이동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Z축 이동수단;
상기 Z축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청소기 본체(300);
상기 청소기 본체(300)를 상기 Z축 이동수단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Y축 이동수단; 및
상기 창틀 프레임(6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창틀 프레임(610)의 측면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사각의 함체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300)가 출입되는 보호커버(500);가 포함되며,
상기 X축 이동수단은 상기 창틀 프레임(610)의 바깥면 상측에서 상기 창틀 프레임(610)의 양쪽 측부를 연결하는 상측 레일(111)과,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상측 레일(111)을 따라 이동되는 상측 슬라이더(112)가 포함되는 상측 LM가이드(110) 및 상기 창틀 프레임(610)의 바깥면 하측에서 상기 창틀 프레임(610)의 양쪽 측부를 연결하는 하측 레일(121)과,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하측 레일(121)을 따라 이동되는 하측 슬라이더(122)가 포함되는 하측 LM가이드(120)가 포함되고,
상기 Z축 이동수단은 상기 상측 LM가이드(110)의 상측 슬라이더(112)와 상기 하측 LM가이드(120)의 하측 슬라이더(122)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 레일(211)과,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수직 레일(211)을 따라 이동되는 수직 슬라이더(212)가 포함되는 수직 LM가이드(210)로 구성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300)는 상기 수직 LM가이드(210)의 수직 슬라이더(212)에 유리창(620)을 향하여 하우징(310)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 와이퍼(311)와, 세정액 노즐(312)과, 세척액 노즐(313) 및 센서(314)가 설치되며,,
상기 보호커버(500)는 전방의 안쪽 측면에 탄력적으로 회전 개폐되는 개폐도어(580)가 구비되면서 상기 청소기 본체(300)가 출입되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는 세정액 통(540)과, 상기 세정액 통(540)을 상기 세정액 노즐(312)과 연결시켜주는 세정액 릴 호스(520)와, 세척액 통(550)과, 상기 세척액 통(550)을 상기 세척액 노즐(313)과 연결시켜주는 세척액 릴 호스(530) 및 상기 X축 이동수단과 상기 Z축 이동수단과 상기 Y축 이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314)의 신호를 인가받는 제어부(510)가 구비되며,
상기 창틀 프레임(610)의 안쪽인 실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보호커버(500)의 후면에는 덮개(570)가 설치되어 상기 덮개(570)의 개방을 통해 상기 청소기 본체(300)를 확인하고, 상기 세정액 통(540)에 세정액을 보충하며, 상기 세척액 통(550)에 세척액을 보충하고, 상기 제어부(510)를 점검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자동 청소 시스템이 구비된 창호.X-axis moving means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window frame 610 at the upper and lower outer surfaces of the window frame 610;
Z-axis moving mean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X-axis moving means;
A vacuum cleaner body 300 installed on the Z-axis moving means;
Y-axis mov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er body 300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Z-axis moving means; and
A protective cover 500 that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window frame 610, has the same length as the side length of the window frame 610, and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quare enclosure, through which the cleaner main body 300 enters and exits. ); includes,
The X-axis moving means includes an upper rail 111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window frame 610 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window frame 610, and moving along the upper rail 111 by a drive motor. The upper LM guide 110 including the upper slider 112 and the lower rail 121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window frame 610 at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window frame 610, and the drive motor A lower LM guide 120 including a lower slider 122 that moves along the lower rail 121 is included,
The Z-axis moving means is operated by a vertical rail 211 connecting the upper slider 112 of the upper LM guide 110 and the lower slider 122 of the lower LM guide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drive motor. It consists of a vertical LM guide 210 including a vertical slider 212 that moves along the vertical rail 211,
The cleaner main body 300 has a housing 310 installed on the vertical slider 212 of the vertical LM guide 210 toward the window 620, a wiper 311 inside the housing 310, and a cleaning liquid. A nozzle 312, a cleaning liquid nozzle 313, and a sensor 314 are installed,
The protective cover 500 is provided with an opening/closing door 580 that opens and closes elastically by rotating on the front inner side, and is provided with a space through which the cleaner main body 300 enters and exits, and the space includes a cleaning liquid container 540 and the A cleaning fluid reel hose 520 that connects the cleaning fluid container 540 with the cleaning fluid nozzle 312, a cleaning fluid container 550, and a cleaning fluid reel connecting the cleaning fluid container 550 with the cleaning fluid nozzle 313. A control unit 510 is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ose 530, the X-axis moving means, the Z-axis moving means, and the Y-axis moving means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sensor 314,
A cover 570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protective cover 500, which is located indoors inside the window frame 610, so that the cleaner body 300 can be checked by opening the cover 570, and A window equipped with an automatic cleaning system capable of replenishing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540 with cleaning solution, replenishing the cleaning fluid container 550, and inspecting or replacing the control unit 510.
상기 Y축 이동수단은,
상기 수직 LM가이드(210)의 수직 슬라이더(212)와 상기 하우징(310)의 후면을 연결해주는 리프트(410) 및 상기 리프트(410)의 상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수직 슬라이더(212)와 상기 하우징(310)의 간격을 조절하는 모터(420)가 포함되는 것인 자동 청소 시스템이 구비된 창호.According to claim 1,
The Y-axis moving means is,
By adjusting the vertical slider 212 of the vertical LM guide 210 and the rear of the housing 310, and the vertical length of the lift 410, the vertical slider 212 and the housing ( A window equipped with an automatic cleaning system that includes a motor 420 that adjusts the spacing of 310).
상기 센서(314)는 상기 청소기 본체(300)와 유리창(620)과의 거리를 판단하기 위한 근접센서로 구성된 것인 자동 청소 시스템이 구비된 창호.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314 is a proximity sensor for determ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leaner body 300 and the window 620. A window equipped with an automatic cleaning system.
상기 센서(314)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유리창(620)의 오염도를 판단할 수 있는 빛 투과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인 자동 청소 시스템이 구비된 창호.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314 is comprised of a plurality of sensors, and a window equipped with an automatic cleaning system further includes a light transmission sensor capable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indow 6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5099A KR102690853B1 (en) | 2019-09-19 | 2019-09-19 | Window with automated glazing maintenanc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5099A KR102690853B1 (en) | 2019-09-19 | 2019-09-19 | Window with automated glazing maintenance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3616A KR20210033616A (en) | 2021-03-29 |
KR102690853B1 true KR102690853B1 (en) | 2024-08-02 |
Family
ID=7524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5099A Active KR102690853B1 (en) | 2019-09-19 | 2019-09-19 | Window with automated glazing maintenance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9085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482814B (en) * | 2022-01-19 | 2024-08-23 | 浙江乐宁工贸有限公司 | T-shaped burglary-resisting door convenient to clean |
KR102740128B1 (en) * | 2023-11-27 | 2024-12-10 | 유한회사 엘림산업 | Smart window and clean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77603A1 (en) * | 2002-03-19 | 2003-09-25 | Halvorsen Leif A. | Portable blower |
JP2013526915A (en) * | 2011-03-31 | 2013-06-27 | 廖福彰 | Wall cleaning equipment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18971B2 (en) * | 1991-03-14 | 1996-07-31 | 重倫 海津 | Surface cleaning equipment |
KR20040091886A (en) * | 2003-04-23 | 2004-11-03 | 정훈 | Glass cleaner for both sides of the glass |
KR20050027807A (en) * | 2003-09-16 | 2005-03-21 | 주식회사 로보아이모요 | A driverless auto cleaner |
KR20060122513A (en) * | 2005-05-27 | 2006-11-30 | 박경수 | Building window cleaners. |
KR200446235Y1 (en) | 2009-03-19 | 2009-10-09 | 윤종윤 | Double sided windshield cleaner |
KR20110031016A (en) * | 2009-09-18 | 2011-03-24 | (주)에스앤케이솔루션 | Window cleaner |
KR102028882B1 (en) * | 2017-06-07 | 2019-10-04 | 주식회사 비엠글로벌산업 | Intelligent Window Cleaning Robot Having Triaxial Moving Device |
-
2019
- 2019-09-19 KR KR1020190115099A patent/KR10269085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77603A1 (en) * | 2002-03-19 | 2003-09-25 | Halvorsen Leif A. | Portable blower |
JP2013526915A (en) * | 2011-03-31 | 2013-06-27 | 廖福彰 | Wall cleaning equip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3616A (en) | 2021-03-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90853B1 (en) | Window with automated glazing maintenance system | |
ES2566530T3 (en) | Robot with a cleaning device and corresponding operating procedure | |
KR101369042B1 (en) | Sliding window having cleaning unit | |
JPH08117154A (en) | Automatical cleaning of external walls of building and device therefor | |
CN208988682U (en) | A kind of cleaning device of casement window | |
KR102565692B1 (en) | Automatic car washing equipment | |
CN118635029B (en) | Automatic spray painting equipment for the surface of forklift support cover | |
KR101804229B1 (en) | Cleaning robot | |
KR102397636B1 (en) | Automatic cleaning device and system | |
KR101870561B1 (en) | Automatic cleaning device for glass windows of building exterior walls | |
KR102515658B1 (en) | Outdoor window frame structure | |
JPH08322763A (en) | Glass window cleaning apparatus | |
JPH11253362A (en) | Automatic washing device for glass window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 |
KR102287824B1 (en) | Window structure of veranda | |
KR20090081669A (en) | Powerless self cleaning windows | |
KR101771526B1 (en) | Cleaning robot | |
KR101128651B1 (en) | A boundary block washing machine | |
KR102242062B1 (en) | Automatic window cleaning of buildings | |
CN210214488U (en) | Environment-friendly elevator with elevator door protection and cleaning device | |
CN115428676B (en) | Self-cleaning glass ceiling | |
KR20090081668A (en) | Powerless self cleaning windows | |
CN212044761U (en) | Auxiliary supervision robot | |
CN216162181U (en) | High-voltage power distribution cabinet | |
CN214744727U (en) | Engineering cost intelligence advisor | |
US20230116013A1 (en) | Window washing systems and method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1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9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