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0310B1 - Liquid container with ventilation means - Google Patents
Liquid container with ventilation mea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90310B1 KR102690310B1 KR1020210068629A KR20210068629A KR102690310B1 KR 102690310 B1 KR102690310 B1 KR 102690310B1 KR 1020210068629 A KR1020210068629 A KR 1020210068629A KR 20210068629 A KR20210068629 A KR 20210068629A KR 102690310 B1 KR102690310 B1 KR 1026903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pper
- neck
- contents
- neck portion
- contai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GXCLVBGFBYZDAG-UHFFFAOYSA-N N-[2-(1H-indol-3-yl)ethyl]-N-methylprop-2-en-1-amine Chemical compound CN(CCC1=CNC2=C1C=CC=C2)CC=C GXCLVBGFBYZDA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71 blow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0 keros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63 liquid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을 배출할 때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게 한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에 관한 것으로, 내용물을 수납하기 위한 용기본체의 상단에 운반을 위한 손잡이와 내용물의 주입,배출을 위하여 원통부에 개구홀이 형성된 네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네크부는 손잡이를 중심으로 일측으로는 제1네크부가, 타측으로는 제2네크부가 양측 단부에 이중 배치되며, 상기 제1,2네크부에는 나선체결부가 형성되어 제1네크부와 제2네크부에 각각 마개가 나선구조로 장착되어 밀봉이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제1,2네크부에 장착된 마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내용물을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게 되는 액체수납용 말통에 있어서, 상기 제1네크부와 제2네크부는 원통부의 개구홀 직경이 어느 한쪽이 상대적으로 작고 다른 한쪽은 상대적으로 크게 유로크기를 달리하도록 형성하되, 개구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측의 네크부는 원통부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체결부에 요철패턴으로 구성된 흡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흡기부는 나선체결부가 형성된 원통부의 외주연 부분 중에서 나선체결부가 수직으로 절단된 구조를 갖도록 내입된 형상의 통기로를 형성하며, 상기 마개는 마개의 조임정도에 따라 완전히 밀봉되거나 용기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흡입량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덮개부 내면에 네크부의 원통부 상단과 맞닿아 통기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돌출된 구조의 돌기림을 형성하여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할 때 꿀렁거림을 방지하도록 마개를 밸브로 활용하여 공기흡입량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사용하는 액체저장용 말통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생산공정의 변화 없이 액체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공기흡입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함은 물론, 외부공기를 인입시키는 구조가 매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storing liquid, which has a ventilation means that allows air to flow into the container when discharging the contents, and has a handle for transportation on the top of the container body for storing the contents and for injecting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A neck portion having an opening hole is formed in the cylindrical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is dually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handle, with a first neck portion on one side and a second neck portion on the other side, and the first and second neck portions have a spiral thread. A fastening part is formed, and a stopper is mounted in a spiral structure on the first and second neck parts, respectively, to achieve sealing, and the user can selectively open the stopper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neck parts to inject or discharge the contents. In the liquid storage barrel that can be used, the first neck portion and the second neck portion are formed so that the opening hol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portion is different in size, with one side being relatively small and the other side being relatively large. The neck portion on the relatively large side forms an intake portion composed of a concavo-convex pattern on a spiral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rical portion, and the intake por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piral fastening portion is cut vertically from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where the spiral fastening portion is formed. It forms an internally shaped ventilation passage, and the stopper blocks the ventilation passage by contacting the top of the cylindrical part of the neck par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to completely seal it or adjust the amount of air intake into the container body depending on the degree of tightness of the stopper. By forming a protruding rim with a protruding structure that opens or opens, the stopper is used as a valve to prevent gurgling when dischargi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and the amount of air intake is controlled, there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liquid storage container. It has a structure that allows air intake when discharging liquid contents without changing the production process while maintaining the same structure, and the structure that allows external air to be drawn in makes it very easy to use.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이나 기름, 액상 제품과 같은 다양한 액체를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액체수납용 말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배출할 때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게 한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container used to store various liquids such as water, oil, and liquid products, and more specifically, to a liquid container having a ventilation means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container when discharging the contents. It's about the dragon horse barrel.
일반적으로 물이나 기름 등의 액체 내용물을 담아서 보관하는 용기 중의 하나로서, 일명 말통이라고 불리는 블로워 성형된 용기가 주로 사용된다.In general, as one of the containers for storing liquid contents such as water or oil, a blow molded container called a maltong is mainly used.
말통은 곡식이나 액체 등을 한 말(약 18리터 내지 20리터)에 해당하는 분량을 담을 수 있는 수납용기를 말하는 것으로, 용기 상단에는 용기를 운반하거나 내용물을 배출할 때 용기를 기울여서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다.A barrel is a storage container that can hold a volume equivalent to one horse (approximately 18 to 20 liters) of grain or liquid. There is a device at the top of the container that allows the container to be tilted when transporting or discharging the contents. A handle is formed to allow
특히, 말통 중에서도 물이나 간장 등의 식품, 등유와 같은 액체를 보관하는 액체수납용 말통은 내용물을 배출할 때 유로가 막히면 꿀렁거림이 심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목표한 곳에 깨끗이 따라지지 않아서 깔대기를 사용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In particular, among the barrels, the liquid container, which stores food such as water or soy sauce, and liquids such as kerosene, has a problem in that it generates a severe gurgling sound when the passage is blocked when discharging the contents, and it does not pour cleanly into the target area, so it is not poured into the funnel. There were inconveniences such as using .
그리고 액체를 배출시킬 때 꿀렁거림 때문에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가 없고, 사용자가 들고 서있는 상태에서 배출시키는 것이 매우 힘이 들며, 용기의 기울어짐에 의하여 유로를 완전히 막아버리게 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액체가 배출구로 배출될 때 공기가 용기 내부로 흡입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액체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안이 제시된다.Also, when discharging the liquid, it cannot be discharged quickly because of the gurgling noise, it is very difficult to discharge it while the user is holding it and standing,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low path is completely blocked due to the tilt of the container, so the liquid flows into the outlet.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allow liquid to be discharged quickly using the principle that air is sucked into the container when discharged.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22554호(1998.05.12.)에서는 손잡이 내측통로를 용기 내부로 연통되게 하고, 액체 유출구에 끼워 맞춤식으로 접속되는 소케트를 마련하여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For example, in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22554 (May 12, 1998), the inner passage of the handle is communicated with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d a socket is provided that is fitted and connected to the liquid outlet to ensure ventilation.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블로워 방식에 의하여 제작되는 액체수납용기의 특성상 제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제품화가 불가능하거나, 제품화가 가능하더라도 생산성이 지나치게 떨어지기 때문에 실용화가 매우 어렵다.However, such a structure cannot be commercialized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o manufacture due to the nature of the liquid storage container produced by the blower method, or even if commercialized, productivity is extremely low, making it very difficult to commercialize.
다른 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0748호(2016.06.27.)에서는 주입구 내경에 내용물이 배출될 때 외부로부터 공기를 용기 내부로 유입시키는 통기부재를 마련하여 내용물이 원활히 배출되게 한 구조가 개시되었다.As another example, i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0748 (June 27, 2016), a structure was disclosed that allows the contents to be discharged smoothly by providing a ventilation member that allows air to flow from the outside into the container whe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from the inner diameter of the injection port. .
그러나 이렇게 별도의 통기부재를 장착하는 구조는 생산성이 떨어지고 반드시 별도의 조립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작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여전히 상용화하기는 어려눈 문제가 있다.However, this structure of installing a separate ventilation member has low productivity and requires a separate assembly process, which reduces manufacturing efficiency, making it difficult to commercialize.
또 다른 예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68258호(2013.07.26.)에서는 별도의 중간마개를 마련한 구조로서, 내용물을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 중간마개의 통기로를 개방하여 용기내로 공기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액체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말통이 보급화되어 있다.Another example is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68258 (July 26, 2013), which has a structure with a separate middle stopper. When the contents are to be discharged, the ventilation passage of the middle stopper is opened to allow air intake into the container. Malt containers that can quickly drain liquid are widespread.
그러나 이러한 중간마개도 역시 기존의 설계를 크게 변경하여야 하고, 중간마개에 조립되는 밸브를 별도로 제작한 후 조립해야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생산성과 가격경쟁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is intermediate stopper also requires significant changes to the existing design, and because the valve to be assembled to the middle stopper must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n assembled, there is a problem of reduced productiv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또한, 중간마개를 사용하는 방법은 밸브를 당겨서 사용한 후, 일정량 이상 내용물을 배출시킨 이후에 완전히 개방하여 사용하는데, 이러한 사용법을 사용자들이 잘 알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공기흡입을 위하여 확보할 수 있는 유로의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처음부터 완전히 개방하지 않는 이상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using the middle stopper is to use it by pulling the valve and then completely opening it after discharging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contents. Not only are users unfamiliar with how to use this, but it is also difficult to use the flow path that can be secured for air intake. Because the size is too small, it will not be discharged smoothly unless it is completely opened from the beginning.
그리고 처음부터 열어서 사용하는 경우 용기의 기울기를 제대로 조절하지 못하면 가득차 있는 내용물이 중간마개를 통하여 흘러내리게 되어 내용물이 유출될 우려가 높고, 특히 중간마개의 위치로 인하여 용기를 조금만 기울이더라도 흘러넘치기 때문에 기울기 조절이 매우 중요하며 사용상 불편을 초래한다.Also, when opening the container from the beginning and using it, if the tilt of the container is not properly adjusted, the full contents will flow through the middle stopper, and there is a high risk of the contents leaking. In particular, due to the position of the middle stopper, it will overflow even if the container is tilted slightly, so it is tilted. Control is very important and causes inconvenience during 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에 사용하는 액체저장용 말통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생산공정의 변화 없이 액체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공기흡입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함은 물론, 외부공기를 인입시키는 구조가 매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를 충분히 확보하여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maintains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liquid storage bottle, while having a structure that allows air intake when discharging the liquid contents without changing the production process, as well as external The structure for sucking in air makes it very easy to use, and a sufficient flow path for air to be sucked in is secured to ensure smooth dischar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납하기 위한 용기본체의 상단에 운반을 위한 손잡이와 내용물의 주입,배출을 위하여 원통부에 개구홀이 형성된 네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네크부는 손잡이를 중심으로 일측으로는 제1네크부가, 타측으로는 제2네크부가 양측 단부에 이중 배치되며, 상기 제1,2네크부에는 나선체결부가 형성되어 제1네크부와 제2네크부에 각각 마개가 나선구조로 장착되어 밀봉이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제1,2네크부에 장착된 마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내용물을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게 되는 액체수납용 말통에 있어서, 상기 제1네크부와 제2네크부는 원통부의 개구홀 직경이 어느 한쪽이 상대적으로 작고 다른 한쪽은 상대적으로 크게 유로크기를 달리하도록 형성하되, 개구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측의 네크부는 원통부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체결부에 요철패턴으로 구성된 흡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흡기부는 나선체결부가 형성된 원통부의 외주연 부분 중에서 나선체결부가 수직으로 절단된 구조를 갖도록 내입된 형상의 통기로를 형성하며, 상기 마개는 마개의 조임정도에 따라 완전히 밀봉되거나 용기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흡입량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덮개부 내면에 네크부의 원통부 상단과 맞닿아 통기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돌출된 구조의 돌기림을 형성하여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할 때 꿀렁거림을 방지하도록 마개를 밸브로 활용하여 공기흡입량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idea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have a handle for transportation at the top of the container body for storing the contents and a neck portion having an opening hole formed in the cylindrical portion for injecting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and the neck portion is formed. Centering around the handle, a first neck portion is disposed on one side and a second neck portion on the other side, and spiral fastening portions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neck portions, respectively, in the first neck portion and the second neck portion. In the bottle for storing liquid, the stopper is mounted in a spiral structure to seal it, and the user can selectively open the stopper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neck parts to inject or discharge the contents, wherein the first neck part And the second neck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flow path size varies so that one side of the opening hol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portion is relatively small and the other side is relatively large, and the neck portion on the side where the opening hole diameter is formed relatively large is a spiral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rical portion. An intake portion composed of a concavo-convex pattern is formed at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intake portion forms a ventilation passage of an internal shape such that the spiral fastening portion has a vertically cut structure among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where the spiral fastening portion is formed, and the stopper is a stopper. Depending on the degree of tightening, a protruding rim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to block or open the ventilation passage by contacting the top of the cylindrical part of the neck to completely seal or control the amount of air intake flowing into the container body. To prevent gurgling when discharging the contained contents, the stopper is used as a valve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intake.
본 발명의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에 의하면, 액체를 배출할 때 용기 내부와 외기가 연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내,외부의 압력차로 인해 액체가 급격하게 토출되면서 꿀렁거리는 것을 방지하고, 액체가 원활하게 배출되며 안정적인 토출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liquid container having a ventila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ischarging the liqui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ir to suck in the outside air, preventing the liquid from being rapidly discharged and gurgling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 Liquid is discharged smoothly and stable discharge is possible.
또한, 마개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말통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고, In addition, the existing malt barrel structure, which has a double stopper structure, is maintained as is,
기존의 제조공정을 변경하지 않고도 기존의 생산시설을 그대로 유지한 채 그대로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이고, 저렴한 비용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Because it can be manufactured while maintaining existing production facilities without changing the existing manufacturing process, it is very economical and can provide high-quality products at a low cost.
또한, 내용물을 배출할 때 용기본체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가 최상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내용물이 넘치거나 흐르지 않으므로 청결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주입마개를 잠그거나 해제하면서 공기흡입량 조절이 이루어지는 직관적인 사용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In addition, when discharging the contents, the container body is tilted and the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s located at the top, so the contents do not overflow or flow, making it possible to use it cleanly. The amount of air intake can be adjusted by locking or unlocking the injection cap.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because it is intuitive.
또한, 마개를 돌려서 닫을 때 적당한 인장력을 주면서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밀폐효과를 향상시키면서도 여러번 반복 사용하더라도 마개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irtightness can be secured by applying appropriate tension when closing the stopper, and the sealing effect is improved while minimizing deformation of the stopper even when used repeatedly, providing a product with improved durability.
그리고 마개만을 분리하여 기성제품인 말통 마개를 대체하여 사용하면, 공기흡입량 조절이 가능하게 되므로 매우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Also, if you separate the stopper and use it as a replacement for the ready-made maltong stopper, the amount of air intake can be adjusted, making it possible to use it in a variety of ways.
도 1은 종래의 액체수납용기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액체수납용 말통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네크부와 마개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말통의 통기유로가 밀봉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상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말통의 통기유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상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네크부에 마개가 장착된 상태의 평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통기유로를 활용한 공기연통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0는 도 9의 마개에 의하여 통기유로의 크기 조절이 이루어지는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마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마개의 A-A'단면구조도
도 13은 본 발명의 마개의 돌기림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폐구조 단면도Figure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onventional liquid storage container.
Figure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ontainer for storing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neck portion and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ntilation passage of the horse barre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aled state.
Figure 5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Figure 4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ntilation passage of the horse barre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state.
Figure 7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Figure 6
Figure 8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opper mounted on the neck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usage state diagram showing an air communication structure utilizing the ventilation flow path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usage state diagram in which the size of the ventilation passage is adjusted by the stopper of Figure 9.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A-A' cross-sectional structural diagram of the stopper of Figure 11.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otruding rim of the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의 액체수납용기는 통기수단이 구비되어 내용물을 배출할 때 꿀렁임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용기본체(100)에 손잡이(120)와, 제1네크부(140a) 및 제2네크부(140b)를 포함하는 네크부(140)가 구비되고, 제1네크부(140a) 및 제2네크부(140b)에는 각각 마개(200)가 장착되며, 마개(200)가 네크부(140)에 장착되는 구조에서 통기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용기본체 내의 내용물을 배출할 때 용기본체 내부로 공기가 연통되어 안정적으로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quid sto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ventilation means to prevent splashing and ensure stable discharge when discharging the contents. The
먼저, 용기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을 수납하기 위하여 중공된 구조로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용기본체(100)의 상단에는 운반 등을 위하여 손잡이(1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용기본체(100)의 하단에는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사용하는 보조 손잡이(140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ure 2, the
그리고 용기본체(100)의 상단에는 내용물의 주입,배출을 위하여 원통부(142)에 개구홀(144)이 형성된 네크부(140)가 형성되는 것으로, 네크부(140)는 손잡이(120)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형성된 제1네크부(140a)와, 손잡이(120)를 중심으로 타측에 형성된 제2네크부(140b)로 구성하여 용기본체(100)의 상단 양 끝부분에 제1네크부(140a)와 제2네크부(140b)가 각각 배치되게 하여 네크부가 이중으로 배치된다.And at the top of the
또한, 상기 제1,2네크부(140a,140b)에는 나선체결부(146)가 형성되어 제1네크부와 제2네크부에 각각 마개(200)가 나선구조로 장착되어 밀봉이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제1,2네크부에 장착된 마개(200)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내용물을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a
본 발명에서는 제1네크부(140a)는 개구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으면서 토출구로 사용하고, 제2네크부(140b)는 개구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주입구로 이루어지도록 설명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러나 제1네크부(140a)와 제2네크부(140b)는 크기나 용도가 뒤바뀔 수 있으므로 그 용도가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선택이나 필요에 따라서 제1네크부(140a)를 내용물의 주입 또는 배출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거나, 제2네크부(140b)를 내용물의 주입 또는 배출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sizes and uses of the
즉, 용기본체(1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2네크부(140a,140b)가 배치되므로 이중으로 개구홀(144)이 형성되어 배출 또는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각각의 개구홀(144)에 마개가 결합되며, 그 두 개의 네크부 중 어느 일측의 네크부에는 마개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완전히 밀봉되지 않는 이상 통기유로를 통한 공기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말통에 담겨진 내용물을 배출할 때 공기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irst and
더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개구홀(144) 중에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된 개구홀을 내용물을 담기 위한 주입구 용도로 사용하고, 반대로 직경이 작게 형성된 개구홀을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 용도로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이다.More preferably, among the two opening
이때, 상기 네크부(140) 중 상대적으로 작은 제1네크부(140a)의 개구홀(144)에는 마개(200) 이외에도 플랙시블 호스로 이루어지는 토출마개(30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제2네크부(140b)의 개구홀(144)에는 나선구조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마개(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마개(200)를 개폐시킴으로써 통기수단을 연통하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n addition to the
이때, 마개(200)를 개폐함에 따라서 외부 공기가 용기본체 내부로 흡입되게 하는 통기수단이 연통되거나 차단되는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크부(140)에 흡기부(160)가 형성되어 통기유로를 형성한다.At this time, as the
상기 흡기부(160)는 개구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제2네크부(140b)의 원통부(142)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체결부(146)에 요철패턴으로 구성되어 통기유로를 형성하며, 흡기부(160)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 나선체결부(146)가 형성된 원통부의 외주연 부분 중에서 나선체결부가 수직으로 절단된 구조를 갖도록 내입된 형상의 통기로(162)가 형성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흡기부(160)는 네크부(140)에 결합되는 마개(200)의 조임정도에 따라 흡기부(160)가 완전히 밀봉되거나 개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고, 또한 그 개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용기본체(100)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때 용기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흡입량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여 내용물을 배출할 때 꿀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덮개부(240)는 나선체결부(222)가 형성되는 벽체(220)와 상단의 덮개부(240)로 구성되는데, 덮개부(240)의 내면, 즉 하부면에 네크부(140)의 원통부(142) 상단과 맞닿아 통기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돌출된 구조의 돌기림(242)을 형성함으로써 네크부(140)와 마개(200)가 체결되는 구조에서 통기로(162)가 형성되더라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림(242)에 의하여 네크부(140)의 개구홀(144)이 완전히 밀봉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흡기부(160)는 원통부(142)의 외주연을 따라서 방사상으로 복수의 흡기부(160)가 배열되어 통기유로를 확보하게 함으로써 개구홀(144)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마개(200)를 돌리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림(242)에 의한 밀봉 상태가 해제되고, 통기로(162)에 의하여 네크부(140)에 마개(200)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수직으로 흡기부(160)를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크부(140)와 마개(200)의 나선체결부(146,222)가 서로 맞물려 나선 결합된 상태에서도 통기로(162)에 의하여 통기유로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마개(200)에 의한 밀봉상태가 해제되는 순간 통기유로가 연통되면서 용기본체(100) 내부로 공기흡입이 이루어지고, 내용물을 배출할 때 꿀렁임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ventilation passage can be secured by the
따라서 제2네크부(140b)에 장착되는 마개(200)를 조절하여 용기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마개(200) 자체를 밸브로 사용하여 통기유로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면서 공기흡입 여부를 결정하고, 또한 주입마개의 개폐정도에 따라 유량 제어가 가능하게 되므로 매우 간편하게 조작이 가능함은 물론, 추가되는 부속이 필요없이도 기존에 사용하는 액체저장용 말통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공기 흡입이 이루어지면서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amount of air intake flowing into the
특히, 개구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큰 네크부(제2네크부)에 흡기부(160)를 형성함으로써 공기흡입을 위한 유로확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제1네크부(140a)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용기본체(10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최상단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제2네크부(140b)에 장착되는 마개(200)를 활용하여 통기로의 개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용물이 흘러내리거나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by forming the
그리고 상기 흡기부(160)는 통기로(162)의 내면이 원통부(142)의 외주연과 마개(200)의 벽체가 상호 맞물려 체결이 이루어지는 접촉단(α)보다 상대적으로 더 내입되게 형성함으로써 네크부(140)에 마개(200)가 나선체결부가 서로 맞물려 체결된 상태에서도 수직방향의 통기유로를 확보하고, 마개(200)를 개폐함에 따라 돌기림(242)의 상하강 작동에 의해서만 통기로의 개폐 또는 통기로의 유량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흡기부(160)는 원통부(142)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서 2개 이상 복수의 흡기부(160)가 방사상으로 배열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말통을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에 의한 제조시 양개되는 금형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네크부(140)의 나선체결부(146)에 파팅라인에 절개면이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절개면이 형성되는 경우 절개면과 교차하게 통기로(162)를 복수로 배열함으로써 용기본체(100)를 기울여 내용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마개(200)가 일부 개방되어 통기로가 확보된 상태에서도 마개(200)가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지 않고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가 일정하게 확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돌기림(242)이 제2네크부(140b)의 원통부(142)에 밀착되면서 밀폐되는 구조는, 돌기림(242)의 외경이 원통부(142)의 내경에 밀착되게 돌기림(242)이 원통부(142)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돌기림(242)의 선단은 마개(200)를 조여서 잠글 때 돌기림(242)이 가압되면서 실링이 이루어짐을 유도하기 위하여 외주연에 경사지게 가이드면(244)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ding
따라서 제2네크부(140b)에 마개(200)를 장착할 때 돌기림(242)이 가이드면(244)에 의하여 원통부(142)의 정중앙에 안내되어 정확하게 조립이 유도되기 때문에 실링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mounting the
한편, 상기 마개(2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크부(140)에 체결되는 구조에서 공기가 연통가능하도록 마개(200)의 내측에 보조 흡기부(260)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보조 흡기부(260)는 벽체(220)의 내면에 수직방향으로 나선체결부(222)가 일부 형성되지 않은 통기로(262)가 형성되어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유로를 형성하며, 네크부(140)와 마개(200)에 이중으로 통기유로를 구비함으로써 통기유로를 더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마개(200)를 조금만 조작하더라도 유로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The
이때, 상기 보조 흡기부(260)는 벽체의 내주연을 따라서 방사상으로 복수의 마개 흡기부(260)가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통기유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마개(200)는 마개의 개폐시 논슬립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외주연에 수직으로 돌출보스(280)가 형성되는데, 그 돌출보스(280)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게 보조 흡기부(260)를 방사형으로 배열하면 통기로(262)에 의하여 유로가 확보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마개(200)의 전체적인 성형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성형 후 냉각되는 과정에서의 비틀림을 방지하여 성형성을 개선함은 물론, 마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 마개만을 종래의 말통 마개에 대체사용함으로써도 공기흡입이 가능한 구조가 되므로 매우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if necessary, i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because it has a structure that allows air intake by replacing the stopper with the conventional stopper.
또한, 상기 마개(200)는 미세한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 돌기림(242)을 이중으로 구성하여 네크부(140)에 마개(200)를 장착할 때 원통부(142) 상단과의 실링이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림(242)을 내측 돌기림(242a)과 외측 돌기림(242b)으로 이중 구성하여 원통부(142)와 이중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네크부(140)와 마개(200)가 나선체결부로 체결된 상태에서 유로가 개방되는 구조를 갖더라도 미세한 누설을 방지하고 완전한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3, the
이때, 바람직하게는 내측 돌기림(242a)을 외측 돌기림(242b)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하여 원통부(142)의 내벽에 밀착되게 하는 한편, 외측 돌기림(242b)은 원통부(142)의 상단 또는 외벽에 밀착되게 하여 이중으로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내측 돌기림(242a)의 외주연에 원통부(142)의 내벽에 밀착되게 돌출테를 형성하면, 그 돌출테가 원통부의 내벽을 외측으로 가압하면서 외측 돌기림(242b)과의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외측 돌기림(242a,242b)이 길이 편차를 가짐으로써 순차적인 밀봉이 이루어지게 된다.And when a protruding fram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protruding
즉, 마개(200)를 닫을 때 내측 돌기림(242a)이 네크부(140)의 내벽에 먼저 끼워져 밀폐가 이루어지고, 그 이후에 외측 돌기림(242b)이 순차적으로 밀착되어 밀폐가 이루어지면서 돌기림이 원통부(142)의 형상에 대응하게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완전히 밀착되며, 마개를 돌려서 닫을 때 적당한 인장력을 주면서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밀폐효과를 향상시키면서도 여러번 반복 사용하더라도 마개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That is, when closing the
100: 용기본체
120: 손잡이
140: 네크부 140a: 제1네크부 140b: 제2네크부
142: 원통부 144: 개구홀 146: 나선체결부
160: 흡기부 162: 통기로
200: 마개
220: 벽체 222: 나선체결부
240: 덮개부 242: 돌기림 244: 가이드면
260: 보조 흡기부 262: 통기로
280: 돌출보스100: Container body
120: handle
140:
142: cylindrical part 144: opening hole 146: spiral fastening part
160: intake section 162: ventilation passage
200: stopper
220: Wall 222: Spiral fastener
240: Cover portion 242: Protrusion rim 244: Guide surface
260: auxiliary intake unit 262: ventilation passage
280: Protruding boss
Claims (6)
상기 제1네크부(140a)는 제2네크부(140b)의 원통부(142)의 개구홀(144)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액체의 주입이 용이토록 하고,
상기 제1네크부를 구성하는 원통부(142)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체결부(146)에 구비되는 흡기부(160)는 나선체결부(146)가 형성된 원통부의 외주연 부분 중에서 나선체결부가 수직으로 절단된 구조를 갖도록 내입된 형상의 통기로(162)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기로(162)는 원통부(142)의 둘레를 따라서 방사상으로 복수의 통기로(162)가 배열되어 마개(200) 조작에 의한 통기의 량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1네크부에 결합되는 마개(200)에는 내측에 보조 흡기부(260)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흡기부(260)는 벽체(220)의 내면에 수직방향으로 나선체결부(222)가 일부 형성되지 않은 통기로(262)가 형성되며,
상기 마개(200)는 외주연에 수직으로 돌출보스(280)가 형성되고, 그 돌출보스(280)는 내주연에 보조 흡기부(260)가 형성된 위치마다 대응하게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마개(200)의 성형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A handle 120 for transportation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container body 100 for storing the contents, and a neck portion 140 with an opening hole 144 formed in the cylindrical portion 142 for injection and discharge of the contents is provided with the handle 120. ), a first neck portion (140a) is disposed on one side and a second neck portion (140b) is disposed on both ends on the other side, and the first and second neck portions (140a, 140b) have spiral fastening portions. (146) is formed, and a stopper 200 is mounted in a spiral structure on the first neck part and the second neck part, respectively, to achieve sealing, and the user opens the stopper 200 mounted on the first neck part to remove the contents. is injected, and a discharge stopper 300 made of a flexible hose is installed on the second neck part, and a ventilation means is provided on the first net part to prevent the discharged liquid from slurping due to pressure when discharging. In the container for storing liquid,
The first neck portion 140a is formed to be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pening hole 144 of the cylindrical portion 142 of the second neck portion 140b to facilitate injection of liquid,
The intake portion 160 provided in the spiral fastening portion 146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rical portion 142 constituting the first neck portion is such that the spiral fastening portion is vertical among the outer peripheral portions of the cylindrical portion where the spiral fastening portion 146 is formed. It consists of a ventilation passage 162 that is internally shaped to have a cut structure,
The ventilation passage 162 has a plurality of ventilation passages 162 arranged radial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142, making it possible to further secure the amount of ventilation by manipulating the stopper 200,
An auxiliary intake portion 260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topper 200 coupled to the first neck portion, and the auxiliary intake portion 260 has a spiral fastening portion 222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220. A partially unformed ventilation passage 262 is formed,
The stopper 200 has a protruding boss 280 formed vertically on the outer periphery, and the protruding boss 280 is radially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position where the auxiliary intake portion 260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forming the stopper 200. A barrel for storing liquid with a ventila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wisting while maintaining the molded thickness constant.
상기 통기로(162)의 내면은 원통부(142)의 외주연과 마개(200)의 벽체가 상호 맞물려 체결이 이루어지는 접촉단(α)보다 상대적으로 더 내입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수단을 갖는 액체수납용 말통.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ner surface of the ventilation passage 162 has a ventila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rical portion 142 and the wall of the stopper 200 are formed to be relatively more inward than the contact end (α) at which fastening is performed. A container for storing liquid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8629A KR102690310B1 (en) | 2021-05-27 | 2021-05-27 | Liquid container with ventilation mea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8629A KR102690310B1 (en) | 2021-05-27 | 2021-05-27 | Liquid container with ventilation mean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0414A KR20220160414A (en) | 2022-12-06 |
KR102690310B1 true KR102690310B1 (en) | 2024-08-01 |
Family
ID=8440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8629A Active KR102690310B1 (en) | 2021-05-27 | 2021-05-27 | Liquid container with ventilation mean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9031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513638B (en) * | 2023-07-03 | 2024-03-26 | 河北回头路科技有限公司 | Hollow container convenient to use and conforming to communicating vessel principle |
KR20250040411A (en) | 2023-09-15 | 2025-03-24 | 주식회사 파세코 | Liquid Storage Container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2805Y1 (en) * | 2005-05-16 | 2005-08-17 | 배선열 | Water pail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HU220385B (en) * | 1996-01-30 | 2002-01-28 | Crown Cork Ag. | Bottle neck closure cap with double screw thread and closure arrangement |
JPH09290854A (en) * | 1996-04-23 | 1997-11-11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Air breather device |
-
2021
- 2021-05-27 KR KR1020210068629A patent/KR10269031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2805Y1 (en) * | 2005-05-16 | 2005-08-17 | 배선열 | Water pai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0414A (en) | 2022-1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90310B1 (en) | Liquid container with ventilation means | |
US2545350A (en) | Valved pouring attachment for milk bottles | |
US4600130A (en) | Squeeze pressure dispenser with integral siphon tube | |
US5573143A (en) | Blow molded multi-chamber containers with dispenser/doser | |
US5964383A (en) | Pinch neck pour spout container | |
KR102134935B1 (en) | Container and set of preforms for forming a container | |
US9486754B2 (en) | Wine and liquor aerator fitment | |
US20070062942A1 (en) | Cup assembly | |
US20050269372A1 (en) | Vented dispensing package | |
US5449098A (en) | Fluid flow controller for bottle | |
US20060261096A1 (en) | Liquid dispensing valve assembly having a unitarily formed base and a vacuum release feature | |
AU2008323322A1 (en) | Dispensing device | |
US20030106872A1 (en) | Nipple with air intake valve | |
US5961001A (en) | Venting liquid dispensing spout for closed container | |
KR102344980B1 (en) | Closure for liquid storage containers with vents | |
US20070023385A1 (en) | Container and blow mold assembly | |
US6422423B1 (en) | Cap for liquid containers | |
US8215512B2 (en) | Cap for a consumable liquid container | |
AU2005242173B2 (en) | Anti-Glug Container | |
EP4196398B1 (en) | Bag in container and adapter for connecting a bag in container to a tapping device | |
KR102178314B1 (en) | A cosmetic vessel with increased sealing | |
KR200242766Y1 (en) | Plastic Containers with a Air Hole and Cap as a one body | |
JP2008184191A (en) | Spouting cap of container | |
KR20250064294A (en) | Wine storage system | |
JP2022031100A (en) | Pouring ca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6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05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5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