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88635B1 - 래치 구조체 - Google Patents

래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8635B1
KR102688635B1 KR1020210056864A KR20210056864A KR102688635B1 KR 102688635 B1 KR102688635 B1 KR 102688635B1 KR 1020210056864 A KR1020210056864 A KR 1020210056864A KR 20210056864 A KR20210056864 A KR 20210056864A KR 102688635 B1 KR102688635 B1 KR 102688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plunger
latch head
head
stop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9347A (ko
Inventor
맹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직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직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직방
Priority to KR1020210056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8635B1/ko
Priority to US17/514,359 priority patent/US11781346B2/en
Publication of KR20220149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8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86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5/00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 E05B55/12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the bolt being secured by the operation of a hidden parallel member ; Automatic latch bolt deadlocking mechanisms, e.g. using a trigger or a feel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2Bolts having movab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7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3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not following the movement of the bolt
    • E05B17/2034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not following the movement of the bolt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63/0069Override systems, e.g. allowing opening from inside without the key, even when locked from out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means carried by the bolt for interlocking with the keeper
    • E05B63/121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means carried by the bolt for interlocking with the keeper using balls or the like cooperating with no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03Wound springs
    • E05B2015/0406Wound springs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03Wound springs
    • E05B2015/0406Wound springs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 E05B2015/041Wound springs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loaded perpendicular to cylinder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03Wound springs
    • E05B2015/0406Wound springs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 E05B2015/0413Wound springs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loaded by compre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55Torsion springs of ba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2063/0082Locking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래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몸체부; 외부 조작에 따라 이동가능한 락킹바디(locking body);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락킹바디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되는 경우 회전 가능한 래치헤드;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부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래치헤드의 회전을 방지하는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가 상기 몸체부 내부에 유지되는 경우 돌출된 상기 래치헤드가 상기 몸체부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래치스토퍼;를 포함하는, 래치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래치 구조체{LATCH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래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튜블러 래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틀에 대해 회전되는 도어를 록킹 및 개방시키기 위한 장치를 도어락 장치라 한다. 현대 철제 도어에는 주로 도어 모티스가 설치되며 도어 모티스 내에는 사용자의 실내 또는 실외 측 핸들 등의 조작에 의해 개방되는 래치볼트 조립체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목재로 형성된 목문에는 실린더 형상의 튜블러 래치볼트가 설치될 수 있고, 튜블러 래치볼트의 래치헤드는 도어틀 내의 개폐홈 내에 삽입 위치되어 도어를 잠금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회전형 레버 또는 푸쉬/풀 방식의 핸들을 통해 래치헤드를 도어 내측으로 인입시킬 수 있고,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튜블러 래치볼트는 사용자의 레버 또는 핸들 조작시 래치해드가 직선 운동하며 도어 내측으로 삽입되었는데, 래치헤드가 완전히 인입되기 이전에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래치헤드와 스트라이크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또한, 튜블러 래치볼트는 푸시풀 방식의 핸들 구조나 모터 등에 의한 자동구동 방식에는 적용되기 어려운데, 이는 튜블러 래치볼트의 돌출된 래치를 넣어주기 위해서는 샤프트 축의 회전이 약 35~45° 정도 회전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푸시풀 핸들의 경우에는 이러한 회전을 발생시키는 것이 어렵고, 모터 구동 방식에서 이러한 회전을 발생시키다 보면 래치볼트의 마찰력에 의해서 전력 소모량이 클 뿐만 아니라 모터에도 무리가 가서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43715호(2006.01.1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샤프트 축의 적은 회전으로도 래치헤드가 풀리도록 하는 래치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튜블러 래치볼트에 푸시풀 방식 또는 자동개폐(모터구동)방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래치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부의 이물질에 의한 래치볼트 풀림을 방지 할수 있는 래치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내측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평면 사이에 락킹바디 스프링이 끼워져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락킹바디(locking body); 상기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래치헤드; 상기 몸체부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부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래치헤드의 회전을 방지하는 플런저; 및 상기 몸체부 내부에 상기 플런저와의 사이에 플런저 스프링이 끼워져 배치되고, 상기 플런저가 상기 몸체부 내부에 유지되고, 상기 래치헤드가 상기 몸체부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상기 래치헤드에 형성되는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돌출된 상기 래치헤드가 상기 몸체부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래치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조작이 없으면, 상기 락킹바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락킹바디가 상기 래치헤드를 가압하여, 상기 래치헤드의 일부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시키며, 상기 래치헤드의 일부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바디가 상기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평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락킹바디가 상기 래치헤드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되는 경우, 상기 래치헤드가 회전가능하게 되고, 상기 래치헤드가 회전하면, 상기 래치스토퍼가 상기 래치헤드의 걸림부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래치헤드가 상기 몸체부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래치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래치스토퍼의 일단에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가 상기 몸체부 내면 측으로 밀림에 의해서 상기 래치스토퍼의 타단이 상기 래치헤드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래치스토퍼의 상기 일단은 상기 플런저에 연결되는 플런저 스프링에 의해 상기 몸체부 내면 측으로 밀릴 수 있다.
상기 플런저가 상기 몸체부 외부로 돌출된 경우, 상기 래치스토퍼의 상기 타단이 상기 래치헤드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플러저의 일측에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헤드가 상기 몸체부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에 상기 래치헤드에 의해 상기 래치스토퍼의 상기 타단이 상측으로 올라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래치헤드가 상기 몸체부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에 상기 래치헤드에 걸려서 상기 플런저가 상기 몸체부 내부로 같이 인입되도록 하는 돌출부가 상기 플런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가 상기 몸체부 내부로 인입된 경우, 상기 플런저의 리브에 의해 상기 래치스토퍼의 상기 타단이 상기 래치헤드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래치스토퍼에 커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헤드의 회전에 대해서 복원력을 제공하는 래치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를 열리는 중에 샤프트가 회전하면 링크 가이드에 의해 상기 락킹바디가 당겨지면서 상기 락킹바디와 상기 래치헤드 간에 상기 기 설정된 거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샤프트 축의 적은 회전으로도 래치헤드가 풀리도록 하는 래치 구조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튜블러 래치볼트에 푸시풀 방식 또는 자동개폐(모터구동)방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래치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외부의 이물질에 의한 래치볼트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래치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도어가 닫히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래치헤드와 플런저가 몸체부 내에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어가 닫혀서 래치헤드가 스트라이크 내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래치스토퍼의 이면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 6을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8은 도어가 닫혀있다가 사용자가 도어를 여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어가 다시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 구조체(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는 래치 구조체(10)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래치 구조체(10)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 구조체(10)는 몸체부(100), 래치헤드(200) 및 샤프트 홀(7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몸체부(100)는 도어 내측에 설치될 수 있고, 래치헤드(200)는 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몸체부(100)는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도어틀 상에 형성된 스트라이크(도 6의 30)에 인접하도록 동일한 높이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스트라이크(30)에는 개폐홈이 형성될 수 있고, 래치헤드(200)는 몸체부(100) 외부로 돌출 위치되어 개폐홈에 삽입 위치됨으로써 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래치헤드(200)가 몸체부(100) 내측으로 인입되는 경우 래치헤드(200)는 개폐홈에서 이탈됨으로써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샤프트 홀(700)은 핸들 또는 푸시-풀 핸들(미도시됨)의 샤프트에 연결되어 도어를 여는 경우에 레치헤드(200)를 몸체부(100)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 구조체(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몸체부(100)의 내부에는 외부 조작에 따라 이동가능한 락킹바디(locking body; 150)가 배치될 수 있다. 락킹바디(150)는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동됨에 따라 래치헤드(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래치헤드(200)는 락킹바디(150)의 말단에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락킹바디(150)가 이동되는 경우 래치헤드(200)는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따라 락킹바디(150)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경우, 래치헤드(200)는 회전될 수 있다. 즉, 문닫힘 상태에서 락킹바디(150)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되지 않는 경우, 래치헤드(200)는 회전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 구조체(10)는 래치헤드(200)의 회전을 제한 가능한 플런저(plunger; 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300)는 적어도 일부가 몸체부(10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플런저(300)는 몸체부(100)의 내측에서 플런저 스프링(350)를 통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런저(300)는 몸체부(100) 내의 일측에서 플런저 스프링(350)와 접촉 지지되어 위치될 수 있고, 플런저(300)의 타단부(후술할 플런저헤드(310))는 몸체부(100) 외측으로 탄성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플런저(300)의 돌출 방향은 래치헤드(200)의 돌출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몸체부(100)는 래치헤드(200)의 돌출 또는 인입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가 중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는 상술한 플런저 스프링(350) 및 후술할 락킹바디 스프링(140)가 지지되는 프레임(도 7의 11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프레임(110)에서 연장된 복수의 바에 플런저 스프링(350) 및 락킹바디 스프링(140)가 끼워져서 지지될 수 있다. 플런저 스프링(350)의 타단은 후술할 래치스토퍼(400)의 일단에 접촉될 수 있고, 프레임(110)의 반대 측으로 가이드 래치(400)를 가압 지지할 수 있다.
래치스토퍼(400)는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플런저(300)에 형성되는 리브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눌려 있는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래치스토퍼(400)는 플런저(300)가 몸체부(100) 내부에 유지되는 경우 돌출된 래치헤드(200)가 몸체부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플런저(30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3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런저(300)는 도어틀의 스트라이크(30)에 접하는 플런저헤드(3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플런저(300)가 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에, 래치스토퍼(400)의 타단이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래치스토퍼(400)를 누르도록 하는 리브(3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플런저(300)에는 래치헤드(200)가 몸체부(100)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에 래치헤드(200)와 함께 플런저(300)도 같이 몸체부(100) 내부로 인입되도록 래치헤드(200)에 걸리는 돌출부(330)가 플런저(300)의 상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도어가 닫히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래치헤드(200)는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락킹바디(150)를 래치헤드(200) 측으로 미는 락킹바디 스프링(140) 및 래치헤드(200)에 연결되는 래치스프링(250)에 의해 2중으로 힘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래치헤드(200) 및 플런저(300)가 모두 외부로 돌출된 상태인데, 몸체부(100) 내에서 플런저(300)의 하측에 위치하는 래치스토퍼(400)의 일단(410)은 플런저 스프링(350)의 미는 힘을 항상 받고 있는 상태이므로 래치스토퍼(400)에서 반대측인 타단을 항상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려는 힘을 받게 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래치스토퍼(400)의 일단(410)에 경사부가 형성됨으로써, 래치스토퍼(400)의 일단(410)에 플런저 스프링(350)에 의한 힘을 받는 경우에 래치스토퍼(400)의 타단(430)이 들어올려지는 힘으로 전환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플런저(300)가 외부로 돌출되는 상태는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이므로 래치스토퍼(400)가 래치헤드(200)에 대하여 작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플런저(300)에서 측면으로 돌출되는 리브(320)가 래치스토퍼(400)를 하측으로 미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는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래치헤드(200)와 플런저(300)가 몸체부(100) 내에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어를 닫는 과정에서 래치헤드(200)가 도어틀의 스트라이크(도 6의 30) 일측에 접촉하면서 몸체부(100) 내부로 인입되고 그와 함께 플런저(300)도 함께 인입될 수 있다. 플런저(300)에는 돌출부(330)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돌출부(330)는 래치헤드(200)에 형성될 걸림부(201)에 걸린 상태로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 래치헤드(200)가 스트라이크(도 6의 30)의 일측에 의해 몸체부(100) 내부로 인입되면 래치헤드(200)의 걸림부(201)에 걸려있는 돌출부(330)에도 몸체부(100) 내부로 힘이 가해지고 그에 따라서 플런저(300)도 래치헤드(200)와 함께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래치헤드(200)가 몸체부(100) 내부로 인입되면서 래치헤드(200)의 하측면이 래치스토퍼(400) 상에 위치하면서 래치헤드(200)가 래치스토퍼(400)를 아래로 눌러서 상측으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런저(300)가 이동하면서 리브(320)가 래치스토퍼(400)를 누르지 못하게 되더라도 래치헤드(200)에 의해서 래치스토퍼(400)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어가 닫혀서 래치헤드(200)가 스트라이크(30) 내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어가 도어틀에 맞춰져서 도어가 닫히게 되면, 래치헤드(200)가 스트라이크(30)의 개폐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래치헤드(200)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중의 탄성력에 의해서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래치헤드(200)가 스트라이크(30)의 개폐홈에 대응되는 위치로 오게 되면 래치헤드(200)는 개폐홈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래치헤드(200)는 돌출되지만 플런저(300)는 스트라이크(30)에 걸려서 외부로 돌출되지 못하고 몸체부(100) 내부에서 유지될 수 있다.
래치헤드(200)가 외부로 돌출되면서도 플런저(300)가 몸체부(100) 내부에 유지됨으로써, 래치스토퍼(400) 상에서 래치스토퍼(400)를 아래로 누르는 힘이 사라지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래치스토퍼(400)는 플런저 스프링(350)의 힘에 의해서 래치스토퍼(400)의 일단(410)에 형성된 경사부가 몸체부(100) 내측(도 6의 지면상 좌측)으로 밀리게 되고 그에 따라서 래치스토퍼(400)의 타단(420)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플런저(300)가 몸체부(100)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에 플런저(300)의 리브(320)에 의해서 래치스토퍼(400)의 움직임이 방해되어서 래치스토퍼(400)의 타단(4200이 래치헤드(200)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래치스토퍼(400)에는 커팅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커팅부(430)는 래치스토퍼(400)의 움직임이 플런저(300)의 리브(320) 등에 의해서 방해받지 않을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면, 커팅부(430)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면, 래치스토퍼(400)의 타단(420)이 래치헤드(200)의 걸림부(201)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래치스토퍼(400)의 타단(420)이 래치헤드(200)에 걸리게 되어서, 래치헤드(200)가 몸체부(100)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래치스토퍼(400)의 일단(410)이 플런저 스프링(350)에 의해 밀리는 것을 도 7에 의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래치스토퍼(400)의 이면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 6을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따라서, 도 7은 도 6과 좌우가 바뀐 상태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레임(110)에서 돌출된 바에 의해 플런저 스프링(350)이 유지되어 있고, 플런저 스프링(350)의 일측은 래치스토퍼(400)의 일단(410)에 접해 있을 수 있다. 플런저 스프링(350)의 탄성력에 의해서 래치스토퍼(400)의 일단(410)은 몸체부(100)의 내주면(110')측, 보다 정확하게는 프레임(110)측으로 밀릴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런저(300)의 리브(320) 또는 래치헤드(200)에 의해서 래치스토퍼(400)의 상방향 움직임이 제한되어 있다가 도어가 닫히면서 플런저(300) 및 래치헤드(200)의 제한이 해제되면 래치스토퍼(400)의 움직임이 가능해져서 래치스토퍼(400)의 일단(410)에 가해지는 플런저 스프링(350)의 힘에 의해서 래치스토퍼(400)의 일단(410)의 경사부에 의해 래치스토퍼(400)가 기울어지게 되어 래치스토퍼(400)의 타단(420)이 들어올려지게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래치스토퍼(400)의 타단(420)이 래치헤드(200)의 걸림부(201)에 걸리게 되어서, 래치스토퍼(400)가 래치헤드(200)가 몸체부(100) 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에서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이물질을 통해 래치헤드(200)에 힘을 작용하더라도 래치스토퍼(400)가 래치헤드(200)의 인입을 방지함으로써 래치헤드(200)가 몸체부(100) 내로 들어오지 못하여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어가 닫혀 있다가 사용자가 도어를 여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샤프트 홀(700)에 연결된 샤프트가 외부 조작에 의해서 회전하게 되면, 샤프트 홀(700)이 회전하면서 링크 가이드(130)를 움직일 수 있다. 링크 가이드(130)는 락킹바디(150)를 잡아당겨서 락킹바디(150)와 래치헤드(200) 간에 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2mm) 만큼 이격시키게 되어 래치헤드(200)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래치헤드(200)가 회전할 수 있게 된 상태에서 도어를 사용자가 밀게 되면 래치헤드(200)가 스트라이크(30)와의 접촉에 의해서 회전하게 되면서 몸체부(100) 내로 들어올 수 있다. 래치헤드(200)가 회전하면서 래치스토퍼(400)와 래치헤드(200) 간의 걸림이 해제되어서 래치헤드(200)는 래치스토퍼(400)로부터 벗어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가 스트라이크로부터 벗어나면서 플런저(300)의 플런저헤드(310)가 스트라이크의 제한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서 플런저(300)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러면 플런저(300)의 리브(320)가 래치스토퍼(400)의 상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게 되어서 래치스토퍼(400)는 다시 아래로 눌린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락킹바디(150)를 적게 이동시켜도 되기 때문에 샤프트의 회전량도 줄일 수 있게 되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 구조체(튜블러 래치)는 푸시풀 방식의 핸들 또는 모터 구동과 같은 자동개폐 방식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도어가 다시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어가 다시 완전히 열려서 사용자가 핸들을 놓게 되면 링크 가이드(130)의 잡아당김도 해제되어서 락킹바디(150)는 락킹바디 스프링(140)의 복원력에 의해서 래치헤드(400)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래치스프링(250)도 복원되면서 래치헤드(200)를 역시 외부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래치헤드(200)를 밀 수 있다. 이에 의해, 래치헤드(200)는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될 수 있고, 플런저(300)도 마찬가지로 외부로 돌출된 상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래치 구조체
30 : 스트라이크
100 : 몸체부
100' : 몸체부의 내면
110 : 프레임
130 : 링크 가이드
140 : 락킹바디 스프링
150 : 락킹바디
200 : 래치헤드
201 : 걸림부
250 : 래치스프링
300 : 플런저
310 : 플런저헤드
320 : 리브
330 : 돌출부
350 : 플런저스프링
400 : 래치스토퍼
410 : 일단
420 : 타단
430 : 커팅부
700 : 샤프트 홈

Claims (9)

  1. 도어 내측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평면 사이에 락킹바디 스프링이 끼워져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락킹바디(locking body);
    상기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래치헤드;
    상기 몸체부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부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래치헤드의 회전을 방지하는 플런저; 및
    상기 몸체부 내부에 상기 플런저와의 사이에 플런저 스프링이 끼워져 배치되고, 상기 플런저가 상기 몸체부 내부에 유지되고, 상기 래치헤드가 상기 몸체부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상기 래치헤드에 형성되는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돌출된 상기 래치헤드가 상기 몸체부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래치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조작이 없으면, 상기 락킹바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락킹바디가 상기 래치헤드를 가압하여, 상기 래치헤드의 일부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시키며,
    상기 래치헤드의 일부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바디가 상기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평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락킹바디가 상기 래치헤드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되는 경우, 상기 래치헤드가 회전가능하게 되고, 상기 래치헤드가 회전하면, 상기 래치스토퍼가 상기 래치헤드의 걸림부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래치헤드가 상기 몸체부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래치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스토퍼의 일단에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가 상기 몸체부 내면 측으로 밀림에 의해서 상기 래치스토퍼의 타단이 상기 래치헤드 내부로 인입되는, 래치 구조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래치스토퍼의 상기 일단은 상기 플런저에 연결되는 상기 플런저 스프링에 의해 상기 몸체부 내면 측으로 밀리는, 래치 구조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가 상기 몸체부 외부로 돌출된 경우, 상기 래치스토퍼의 상기 타단이 상기 래치헤드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플런저의 일측에 리브가 형성되는, 래치 구조체.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래치헤드가 상기 몸체부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에 상기 래치헤드에 의해 상기 래치스토퍼의 상기 타단이 상측으로 올라오는 것이 방지되는, 래치 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헤드가 상기 몸체부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에 상기 래치헤드에 걸려서 상기 플런저가 상기 몸체부 내부로 같이 인입되도록 하는 돌출부가 상기 플런저에 형성되는, 래치 구조체.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가 상기 몸체부 내부로 인입된 경우, 상기 플런저의 리브에 의해 상기 래치스토퍼의 상기 타단이 상기 래치헤드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래치스토퍼에 커팅부가 형성되는, 래치 구조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헤드의 회전에 대해서 복원력을 제공하는 래치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래치 구조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열리는 중에 샤프트가 회전하면 링크 가이드에 의해 상기 락킹바디가 당겨지면서 상기 락킹바디와 상기 래치헤드 간에 상기 기 설정된 거리가 발생하는, 래치 구조체.
KR1020210056864A 2021-04-30 2021-04-30 래치 구조체 Active KR102688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864A KR102688635B1 (ko) 2021-04-30 2021-04-30 래치 구조체
US17/514,359 US11781346B2 (en) 2021-04-30 2021-10-29 Latch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864A KR102688635B1 (ko) 2021-04-30 2021-04-30 래치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347A KR20220149347A (ko) 2022-11-08
KR102688635B1 true KR102688635B1 (ko) 2024-07-26

Family

ID=83809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864A Active KR102688635B1 (ko) 2021-04-30 2021-04-30 래치 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781346B2 (ko)
KR (1) KR1026886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007B1 (ko) * 2018-08-21 2019-05-24 전병화 개선된 구조의 래치유닛을 갖는 실내 도어용 푸쉬풀 도어락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7300A (en) * 1932-07-27 1938-02-08 Howard M Kilpatrick Jimmyproof lock-latch
US2591647A (en) * 1948-11-12 1952-04-01 American Hardware Corp Latch
US2696398A (en) * 1951-01-10 1954-12-07 Ralph R Teetor Door latch
US2784019A (en) * 1955-07-07 1957-03-05 Lawrence Brothers Latch mechanism
US3316001A (en) * 1964-05-05 1967-04-25 Russell Unit lock deadlocking blocker lifter
US3337250A (en) * 1964-05-05 1967-08-22 Russell Deadlocking mechanism blocker
US3257135A (en) * 1964-05-05 1966-06-21 Russell Unit lock combination latch bolt and dead bolt retractor mechanism
US3266276A (en) * 1964-08-26 1966-08-16 Yulkowski Leon Door lock
US3359027A (en) * 1965-04-21 1967-12-19 Schlage Lock Co Swinging bolt door latch
US3469876A (en) * 1967-02-27 1969-09-30 Norris Industries Unit lock dual dead bolts
US3397002A (en) * 1967-05-12 1968-08-13 Fred J. Russell Two-way auxiliary bolt
US3480314A (en) * 1967-06-27 1969-11-25 Albert L Robinson Lock structure
US4135746A (en) * 1977-02-17 1979-01-23 Sterling John G Latch bolt assembly
US4516798A (en) * 1983-04-11 1985-05-14 Emhart Industries, Inc. Latch bolt operating assembly having bolt operating improvements
FI82287C (fi) * 1987-04-13 1991-02-11 Waertsilae Oy Ab Doerrlaos.
US5113676A (en) * 1990-12-31 1992-05-19 Misak Panossian Double acting dead latch mechanism
US5611581A (en) * 1995-03-13 1997-03-18 Emhart Inc. Latch assembly
KR200177989Y1 (ko) * 1997-06-13 2000-04-15 정소영 도어록
US6419288B1 (en) * 2000-02-10 2002-07-16 Weiser Lock Corporation Door latch assembly with accelerated bolt motion, deadbolt and replacement face plates
FR2829520B1 (fr) * 2001-09-11 2004-11-12 Jpm Sa Serrure a montage universel
GB2383079B (en) * 2003-02-07 2004-10-13 Security Products Uk Ltd Lock
US20070113602A1 (en) * 2003-07-04 2007-05-24 Watts John R Locks
KR100543715B1 (ko) 2003-10-16 2006-01-23 주식회사 봉영 프라이버시 도어록용 튜블라래치
FR2885155B1 (fr) * 2005-04-29 2007-07-27 Jpm Sas Soc Par Actions Simpli Serrure a deux positions de blocage longitudinalement decalees.
DE102005039958A1 (de) * 2005-08-24 2007-03-15 Wilka Schließtechnik GmbH Schloss mit einem Riegel
NL1034174C2 (nl) * 2007-07-23 2009-01-27 Nemef B V Schootbehuizing met een schoot, en een schootmodule.
SE531998C2 (sv) * 2008-02-01 2009-09-22 Assa Ab Lås med fallkolv
US7980603B2 (en) * 2008-11-03 2011-07-19 Hanchett Entry Systems, Inc. Rotating latch for latching and unlatching a door
FI124791B (fi) * 2012-12-19 2015-01-30 Abloy Oy Ovenlukko
FI124790B (fi) * 2012-12-19 2015-01-30 Abloy Oy Ovenlukko
CA2959255C (en) * 2014-09-05 2019-03-05 Hampton Products International Corporation Cylindrical latch bolt assembly having beleved blocking surface
FI128706B (fi) * 2015-09-18 2020-10-30 Abloy Oy Lukkorunko
US10392831B2 (en) * 2015-10-29 2019-08-27 American Security Products Co. Dead-latching slam bolt lock
US10487545B2 (en) * 2016-03-03 2019-11-26 Dan Raz Ltd. Latch arrangement having a stop latch
WO2017160822A2 (en) * 2016-03-16 2017-09-21 Spectrum Brands, Inc. Latch assembly
DE102016207939B4 (de) * 2016-05-09 2020-05-28 Geze Gmbh Schloss für einen schwenkbaren Flügel
SE542823C2 (en) * 2018-12-17 2020-07-14 Electec System Ab Door lock arrangement comprising elongated guiding element translatab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007B1 (ko) * 2018-08-21 2019-05-24 전병화 개선된 구조의 래치유닛을 갖는 실내 도어용 푸쉬풀 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81346B2 (en) 2023-10-10
KR20220149347A (ko) 2022-11-08
US20220349213A1 (en)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5946B2 (en) Mortise lock having double locking function
US7510222B2 (en) Reversible latch bolt
WO2011115198A1 (ja) 摺動補助装置
KR101254436B1 (ko) 회동체의 어시스트기구
KR102688635B1 (ko) 래치 구조체
KR100823022B1 (ko) 미닫이문의 잠금 및 잠금 해제장치
KR101691323B1 (ko) 매립형 도어록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1228161B1 (ko) 도어의 보조잠금장치
KR102462356B1 (ko) 미닫이문용 오목형 잠금장치
KR102580808B1 (ko) 도어락 모티스
KR20170066195A (ko) 푸쉬 풀 도어락
KR200223979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393226Y1 (ko) 모티스 록 장치
KR101965692B1 (ko) 도어락의 클러치 연동장치
KR100427402B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US11261619B2 (en) Lock with a roller deadbolt
KR102640772B1 (ko) 도어 래치볼트 조립체
KR100991053B1 (ko) 미닫이문의 도난방지용 잠금장치
JP7589990B2 (ja) 扉開閉装置
KR890006984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KR101924717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1887403B1 (ko) 도어잠금장치
KR200279106Y1 (ko) 배전반용 도어의 록킹 장치
JP4693535B2 (ja) 施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30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207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04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