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88552B1 -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8552B1
KR102688552B1 KR1020210123833A KR20210123833A KR102688552B1 KR 102688552 B1 KR102688552 B1 KR 102688552B1 KR 1020210123833 A KR1020210123833 A KR 1020210123833A KR 20210123833 A KR20210123833 A KR 20210123833A KR 102688552 B1 KR102688552 B1 KR 102688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vehicle
replacement
wear value
we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0556A (ko
Inventor
윤종국
Original Assignee
타이어플라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어플라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어플라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3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8552B1/ko
Publication of KR20230040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8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85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24Wear-indic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02Inspecting tyres
    • B60C25/007Inspecting tyres outside su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18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ep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원 차량의 타이어 마모율을 시간별로 확인하고 타이어 교체에 해당되는 기준 마모율을 갖는 예상 교체시점을 계산하여 회원에게 제공하는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시스템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10)의 영상을 촬영하고, RFID 리더에서 확인된 타이어의 패턴을 확인하며, 타이어의 마모값을 측정하는 타이어 검정장치(1000)와, 타이어 검정장치(1000)로부터 제공받은 차량영상에서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회원정보를 확인하고, 타이어의 마모값에 대응되는 마모율을 확인하며, 시간에 따른 타이어에 대한 누적된 타이어 마모율의 변화를 기준으로 타이어 교체에 해당되는 마모율에 도달하는 예상 교체시점을 계산하여 회원에게 제공하는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Tire replacement time guidance system and guidance method}
본 발명은 회원 차량의 타이어 마모율을 시간별로 확인하고 타이어 교체에 해당되는 기준 마모율을 갖는 예상 교체시점을 계산하여 회원에게 제공하는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들은 자신의 차량을 어떻게 관리하여야 하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기본적인 소모품은 차량이 고도화되면서 차량자체에서 운전자에게 알려주거나 주행거리(km)에 따라 소모품을 교체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에 비해 타이어의 마모는 운전자가 알기 어렵다. 더욱이, 운전자가 직접 확인하기 어려워서 차량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타이어 관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운전자가 차량을 평상시대로 이용하면서도 타이어 교체에 대하여 안내받을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특허 10-0907048호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회원 차량의 타이어 마모율을 시간별로 확인하고 타이어 교체에 해당되는 기준 마모율을 갖는 예상 교체시점을 계산하여 회원에게 제공하는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시스템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10)의 영상을 촬영하고, RFID 리더에서 확인된 타이어의 패턴을 확인하며, 타이어의 마모값을 측정하는 타이어 검정장치(1000)와, 타이어 검정장치(1000)로부터 제공받은 차량영상에서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회원정보를 확인하고, 타이어의 마모값에 대응되는 마모율을 확인하며, 시간에 따른 타이어에 대한 누적된 타이어 마모율의 변화를 기준으로 타이어 교체에 해당되는 마모율에 도달하는 예상 교체시점을 계산하여 회원에게 제공하는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타이어 검정장치(1000)는, 진입하는 차량(10)의 번호판이 포함되도록 촬영하여 차량영상을 획득하는 차량 카메라(1100)와; 타이어에 내장된 RFID 칩(25)과 통신하면서 타이어 패턴을 포함하는 타이어의 이력정보를 확인하는 RFID 리더(1200)와; 지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차량(10)에 장착된 타이어의 마모값을 측정하는 타이어 마모값 측정부(1300)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차량영상, RFID 리더(1200)에서 확인된 타이어의 패턴, 타이어 마모값 측정부(1300)에서 측정된 타이어의 마모값을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0)로 제공하는 차량 점검정보 제공부(1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타이어 마모값 측정부(1300)는, 차량 카메라(1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진입하는 차량(10)의 방향을 확인하는 차량방향 확인부(1310)와; 지면에 위치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투명창이 형성되는 타이어 측정케이스(1320)와; 타이어측정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내장된 상태로 투명창을 통해서 타이어로 마그네틱센서, 레이저, 레이더, 초음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타이어에 형성된 트래드부(21)에서 그루부홈(22)까지의 깊이(a)를 타이어의 마모값으로 확인하는 타이어 마모값 확인부(1330)와; 타이어 마모값 측정부(1300)에서 측정된 타이어의 마모값을 차량방향 확인부(1310)에서 확인된 타이어의 위치에 매칭시키는 타이어 위치 매칭부(1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타이어 마모값 측정부(1300)는, 차량 카메라(1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진입하는 차량(10)의 방향을 확인하는 차량방향 확인부(1350)와; 지상에 위치하면서 차량의 타이어를 촬영하는 타이어 카메라(1360)와; 타이어 카메라(1360)에서 촬영된 영상을 차량방향 확인부(1350)에서 확인된 타이어의 위치에 매칭시키는 타이어 영상 위치 매칭부(1370)와; 타이어 카메라(1360)에서 촬영된 타이어 영상을 분석하여 타이어에 형성된 트래드부(21)에서 그루부홈(22)까지의 깊이(a)를 타이어의 마모값으로 확인하는 타이어 마모값 확인부(13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0)는, 차량(10)의 영상을 촬영하고 타이어의 마모값을 측정하는 타이어 검정장치(1000)에 대한 설치위치, 식별정보 등을 회원정보로 등록하고 관리하는 타이어 검정장치 관리부(2010)와;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회원의 차량번호, 연락처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등록받아 관리하는 차량회원 관리부(2020)와; 타이어 패턴별로 기준 마모값에 대응하는 기준 마모율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준 마모율 저장부(2030)와; 타이어 검정장치(1000)로부터 제공받은 차량 카메라(1100)에서 촬영된 차량영상에서 차량번호를 확인하고 등록된 회원을 확인하는 차량번호 인식부(2040)와; 타이어 검정장치(1000)로부터 제공받은 RFID 리더(1200)에서 인식된 타이어정보 중에서 타이어 패턴을 확인하는 타이어 패턴확인부(2050)와; 타이어의 패턴이 확인되면 타이어 검정장치(1000)로부터 타이어의 마모값을 등록된 타이어 패턴의 기준 마모값과 비교하고 일치되는 마모값과 이에 대응되는 마모율을 확인하는 타이어 마모율 확인부(2060)와; 타이어 마모율 확인부(2060)에서 확인된 타이어의 마모율을 누적하여 회원정보에 기록하는 회원 타이어 마모율 기록부(2070)와; 회원별로 기록된 타이어에 대한 마모율의 증가율을 기준으로 타이어 교체에 해당되는 기준 마모율에 도달하는 예상 교체시점을 계산하는 타이어 교체시점 계산부(2080)와; 타이어 교체시점 계산부(2080)에서 계산된 타이어의 교체시점을 회원에게 안내하는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부(20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판매대상의 타이어를 종류별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판매 타이어 관리부(2100)와;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부(2090)에서 회원에게 타이어 교체시점을 안내하는 경우에 교체 가능한 타이어를 회원에게 함께 제공하는 교체 타이어 추천부(2110)와; 회원으로부터 교체되는 타이어에 대해서 주문받으면 타이어 교체업체로 교체정보를 제공하는 타이어 주문내역 관리부(2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원 차량의 타이어 마모율을 시간별로 확인하고 타이어 교체에 해당되는 기준 마모율을 갖는 예상 교체시점을 계산하여 미리 회원에게 제공하여 정확한 시점에 타이어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원마다 차량의 운행시간, 운전습관 등의 차이를 기반으로 타이어의 교체시점을 계산하여 알려주기 때문에 운전 초보자라도 타이어 교체를 걱정할 필요가 없으며 교체할 수 있는 타이어를 추천받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검정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값 측정부(1300)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값 측정부(1300)에 의해 타이어가 측정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검정장치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값 측정부(1300)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0)의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과정의 플로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시스템은 차량 카메라(1100)를 이용하여 차량(10)의 영상을 촬영하고, RFID 리더(1200)에서 확인된 타이어(20)의 패턴을 확인하며, 타이어(20)의 마모값을 측정하는 타이어 검정장치(1000), 타이어 검정장치(1000)로부터 제공받은 차량영상에서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회원정보를 확인하고, 타이어(20)의 마모값에 대응되는 마모율을 확인하며, 시간에 따른 타이어(20)에 대한 누적된 타이어 마모율의 변화를 기준으로 타이어 교체에 해당되는 마모율에 도달하는 예상 교체시점을 계산하여 회원에게 제공하는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0)를 포함한다.
타이어 검정장치(1000)는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한 차량을 촬영하고 타이어의 마모값을 확인하여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0)로 제공한다. 타이어 검정장치(1000)는 차량 카메라(1100), RFID 리더(1200), 타이어 마모값 측정부(1300), 차량 점검정보 제공부(1400)를 포함한다.
차량 카메라(1100)는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이 포함되도록 촬영하여 차량영상을 획득한다. 차량 카메라(1100)에 의해서 주유소나 주차장 등의 지면에 그려진 안내라인(30)으로 진입하는 차량(10)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RFID 리더(1200)는 타이어(20)에 내장된 RFID 칩(25)과 통신하면서 타이어의 이력정보를 확인한다. 이러한 RFID 리더(1200)에 의해서 타이어(20)의 RFID 칩(25)에 내장된 타이어의 제조일, 타이어의 명칭, 타이어 패턴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타이어 마모값 측정부(1300)는 지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20)의 마모값을 측정한다.
그리고, 차량 점검정보 제공부(1400)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차량영상, RFID 리더(1200)에서 확인된 타이어(20)의 패턴, 타이어 마모값 측정부(1300)에서 측정된 타이어(20)의 마모값을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0)로 제공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값 측정부(1300)는 차량방향 확인부(1310), 타이어 측정케이스(1320), 타이어 마모값 확인부(1330), 타이어 위치 매칭부(1340)를 포함한다.
차량방향 확인부(1310)는 차량 카메라(1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진입하는 차량(10)의 방향을 확인한다. 이러한 차량방향으로 차량(10)의 전면 또는 후면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른 타이어(20)의 위치를 전면 우측, 전면 좌측, 후면 우측, 후면 좌측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타이어 측정케이스(1320)는 지면에 위치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투명창(1321)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타이어 측정케이스(1320)는 주유소나 주차장 등과 같이 차량(10)이 일시 주차하는 경우에 전, 후 방향으로 수평한 한쌍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차량(10)이 통과하는 출입구인 경우에 수평한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타이어 마모값 확인부(1330)는 타이어 측정케이스(1320)의 내부공간에 내장된 상태로 투명창(1321)을 통해서 타이어(20)로 마그네틱센서, 레이저, 레이더, 초음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타이어(20)에 형성된 트래드부(21)에서 그루부홈(22)까지의 깊이(a)를 타이어(20)의 마모값으로 확인한다. 이때, 타이어 마모값 확인부(1330)는 차량(10)의 폭에 맞추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어 위치 매칭부(1340)는 타이어 마모값 측정부(1300)에서 측정된 타이어의 마모값을 차량방향 확인부(1310)에서 확인된 타이어의 위치에 매칭시킨다. 이에 따라 전면 우측 타이어, 전면 좌측 타이어, 후면 우측 타이어, 후면 좌측 타이어에 대한 각각의 타이어 마모값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차량(10)이 직진하면서 진입하면서 타이어 마모값 확인부(1330)에서 좌측 및 우측 타이어의 마모값이 순차적으로 2번 측정되면 1번째 측정값은 전면의 좌측 및 우측 타이어의 마모값으로 매칭시키고, 1번째 측정값을 후면의 좌측 및 우측 타이어의 마모값으로 매칭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값 측정부(1300)는 마그네틱센서, 레이저, 레이더,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타이어의 마모값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값 측정부(1300)는 차량방향 확인부(1350), 타이어 카메라(1360), 타이어 영상 위치 매칭부(1370), 타이어 마모값 확인부(1380)를 포함한다.
차량방향 확인부(1350)는 차량 카메라(1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진입하는 차량(10)의 방향을 확인한다. 이러한 차량방향으로 차량(10)의 전면 또는 후면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른 타이어의 위치를 전면 우측, 전면 좌측, 후면 우측, 후면 좌측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타이어 카메라(1360)는 지상에 위치하면서 차량(10)의 타이어(20)를 촬영한다. 이때, 타이어 카메라(1360)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차량(10)의 좌측 타이어, 우측 타이어를 촬영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어 영상 위치 매칭부(1370)는 타이어 카메라(1360)에서 촬영된 영상을 차량방향 확인부(1350)에서 확인된 타이어(20)의 위치에 매칭시킨다. 예를 들면, 차량방향 확인부(1350)에서 차량(10)의 전면 또는 후면을 확인되면 타이어 카메라(1360)에서 촬영된 영상을 좌측 전방 타이어, 우측 전방 타이어, 좌측 후방 타이어 및 우측 후방 타이어에 각각 매칭시킬 수 있게 된다.
타이어 마모값 확인부(1380)는 타이어 카메라(1360)에서 촬영된 타이어 영상을 분석하여 타이어에 형성된 트래드부(21)에서 그루부홈(22)까지의 깊이(a)를 타이어의 마모값으로 확인한다. 타이어 마모값 확인부(1380)는 타이어 영상 위치 매칭부(1370)에 의해 매칭된 타이어의 위치별로 타이어의 마모값을 확인한다.
이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값 측정부(1300)는 타이어(20)를 촬영하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타이어의 마모값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0)는 타이어 검정장치 관리부(2010), 차량회원 관리부(2020), 기준 마모율 저장부(2030), 차량번호 인식부(2040), 타이어 패턴확인부(2050), 타이어 마모율 확인부(2060), 회원 타이어 마모율 기록부(2070), 타이어 교체시점 계산부(2080),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부(2090), 판매 타이어 관리부(2100), 교체 타이어 추천부(2110), 타이어 주문내역 관리부(2120)를 포함한다.
타이어 검정장치 관리부(2010)는 차량(10)의 영상을 촬영하고 타이어의 마모값을 측정하는 타이어 검정장치(1000)에 대한 설치위치, 식별정보 등을 회원정보로 등록하고 관리한다.
차량회원 관리부(2020)는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회원의 차량번호, 전화번호 등을 등록받아 관리한다.
기준 마모율 저장부(2030)는 타이어 패턴별로 기준 마모값에 대응하는 기준 마모율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예를 들면, 마모율은 타이어(20)에 형성된 트래드부(21)에서 그루부홈(22)까지의 깊이(a)인 마모값에 대응되도록 저장된다.
차량번호 인식부(2040)는 타이어 검정장치(1000)로부터 제공받은 차량 카메라(1100)에서 촬영된 차량영상에서 차량번호를 확인하고 등록된 회원을 확인한다. 이때, 등록된 회원이 아닌 경우에는 타이어패턴 등의 확인을 진행하지 않게 된다.
타이어 패턴확인부(2050)는 타이어 검정장치(1000)로부터 제공받은 RFID 리더(1200)에서 인식된 타이어정보 중에서 타이어 패턴을 확인한다.
타이어 마모율 확인부(2060)는 타이어(20)의 패턴이 확인되면 타이어 검정장치(1000)로부터 타이어의 마모값을 등록된 타이어 패턴의 기준 마모값과 비교하고 일치되는 마모값과 이에 대응되는 마모율을 확인한다. 이에 따라 차량(10)의 좌측 전방 타이어, 우측 전방 타이어, 좌측 후방 타이어 및 우측 후방 타이어에 대한 각각의 마모율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회원 타이어 마모율 기록부(2070)는 타이어 마모율 확인부(2060)에서 확인된 타이어의 마모율을 누적하여 회원정보에 기록한다. 이때, 회원 타이어 마모율 기록부(2070)는 타이어의 마모율을 타이어의 위치에 따라 기록한다. 이에 따라 회원별로 기록된 타이어의 마모율을 기록된 시간별로 누적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타이어 교체시점 계산부(2080)는 회원별로 기록된 타이어에 대한 마모율의 증가율을 기준으로 타이어 교체에 해당되는 기준 마모율에 도달하는 예상 교체시점을 계산한다. 이때, 타이어 교체시점 계산부(2080)는 타이어의 위치에 따라 교체시점을 계산한다. 이에 따라 회원의 과거 차량의 운행시간, 운전습관 등의 차이로 기반으로 교체시점을 계산하기 때문에 회원마다 정확하게 교체시점을 예상할 수 있게 된다.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부(2090)는 타이어 교체시점 계산부(2080)에서 계산된 타이어의 교체시점을 회원에게 안내한다. 이때, 타이어의 교체안내는 교체시점으로부터 교체2개월전, 1개월전, 15일전, 7일전에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매 타이어 관리부(2100)는 판매대상의 타이어(20)를 종류별로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때, 판매 타이어 관리부(2100)는 타이어의 종류마다 서로 대체 가능한 타이어를 함께 매칭시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체 타이어 추천부(2110)는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부(2090)에서 회원에게 타이어 교체시점을 안내하는 경우에 교체 가능한 타이어를 회원에게 함께 제공한다. 이때, 교체 타이어 추천부(2110)는 교체대상의 타이어로 대체가능한 타이어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운전자는 자신의 차량(10)에 장착되어 마모된 타이어와 동일한 타이어모델 또는 대체 가능한 타이어를 안내받을 수 있다.
타이어 주문내역 관리부(2120)는 회원으로부터 교체되는 타이어(20)에 대해서 주문받으면 타이어 교체업체로 교체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타이어 교체업체는 회원을 방문하여 차량의 타이어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8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방법은 차량 확인단계(S100)와, 타이어 마모값 측정단계(S200), 타이어 마모값 제공단계(S300), 타이어 마모율 확인단계(S400), 타이어 교체시점 계산단계(S500), 교체 타이어 추천단계(S600)를 포함한다.
진입차량 인식단계(S100)는 주유소나 주차장 등의 지면에 그려진 안내라인(30)으로 진입하는 차량(10)을 인식한다. 진입차량의 인식은 차량 카메라(1100)의 촬영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차량(10)의 진입을 확인하거나 또는 마그네틱센서, 레이저, 레이더, 초음파 등을 조사하여 차량(10)의 진입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진입차량 인식단계에서 차량이 감지되면 타이어 마모값 제공단계(S300)가 작동하게 된다.
타이어 마모값 측정단계(S200)는 타이어 검정장치(1000)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 타이어의 패턴, 타이어의 마모값을 확인한다. 차량번호는 차량 카메라(1100)에서 촬영된 차량영상을 분석하여 확인하고, 타이어 패턴은 RFID 리더(1200)에서 타이어의 RFID 칩(25)과 통신하면서 확인된 타이어의 이력정보 중에서 확인하게 된다. 또한, 타이어의 마모값은 마그네틱센서, 레이저, 레이더,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타이어(20)의 그루부홈(22)의 깊이(a)를 확인하거나 또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타이어영상을 분석하여 타이어(20)의 그루부홈(22)의 깊이(a)를 확인하게 된다.
타이어 마모값 제공단계(S300)는 타이어 검정장치(1000)에서 측정된 타이어의 마모값을 차량번호, 타이어 패턴 및 타이어 검정장치(1000)의 식별정보와 함께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0)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0)는 등록된 회원여부를 확인하고 회원별로 측정된 타이어의 마모값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타이어 마모율 확인단계(S400)는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0)에서 이루어진다.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0)는 타이어 검정장치(1000)로부터 수신된 타이어의 마모값을 기 등록된 타이어 패턴의 기준 마모값과 비교하고 일치되는 마모값과 이에 대응되는 마모율을 확인하여 회원정보에 저장한다. 예를 들면, 타이어 패턴별로 마모율에 대응되도록 마모값을 저장한 상태에서 타이어 검정장치(1000)로부터 제공받은 마모값을 비교하여 일치되거나 또는 가장 유사한 마모값에 대응되는 마모율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차량(10)의 좌측 전방 타이어, 우측 전방 타이어, 좌측 후방 타이어 및 우측 후방 타이어에 대한 각각의 마모율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타이어 교체시점 계산단계(S500)는 회원별로 기록된 타이어의 마모율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증가율을 계산하고, 증가율을 이용하여 타이어 교체에 해당되는 기준 마모율에 도달하는 예상 교체시점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타이어마다 시간에 따른 마도율의 증가율을 수학식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타이어 교체시점에 해당되는 마모율을 계산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회원의 과거 차량의 운행시간, 운전습관 등의 차이로 기반으로 교체시점을 계산하기 때문에 회원마다 정확하게 교체시점을 예상할 수 있게 된다.
교체 타이어 추천단계(S600)는 회원에게 타이어의 교체시점을 안내하는 경우에 교체대상의 타이어에 알맞은 판매타이어를 추천타이어로 회원에게 제공한다. 이때, 교체대상의 타이어와 동일한 타이어 및 대체가능한 타이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운전자는 자신의 차량(10)에 장착되어 마모된 타이어(20)와 동일한 타이어모델 및 타이어가격을 안내받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운전자는 안내받은 타이어모델을 주문하여 교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0 : 타이어 검정장치 1100 : 차량 카메라
1200 : RFID 리더 1300 : 타이어 마모값 측정부
1400 : 차량 점검정보 제공부 1310 : 차량방향 확인부
1320 : 타이어 측정케이스 1330 : 타이어 마모값 확인부
1340 : 타이어 위치 매칭부 1350 : 차량방향 확인부
1360 : 타이어 카메라 1370 : 타이어 영상 위치 매칭부
1380 : 타이어 마모값 확인부 2000 :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
2010 : 타이어 검정장치 관리부 2020 : 차량회원 관리부
2030 : 기준 마모율 저장부 2040 : 차량번호 인식부
2050 : 타이어 패턴확인부 2060 : 타이어 마모율 확인부
2070 : 회원 타이어 마모율 기록부 2080 : 타이어 교체시점 계산부
2090 :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부 2100 : 판매 타이어 관리부
2110 : 교체 타이어 추천부 2120 : 타이어 주문내역 관리부

Claims (12)

  1.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10)의 영상을 촬영하고, RFID 리더에서 확인된 타이어의 패턴을 확인하며, 타이어의 마모값을 측정하는 타이어 검정장치(1000)와;
    타이어 검정장치(1000)로부터 제공받은 차량영상에서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회원정보를 확인하고, 타이어의 마모값에 대응되는 마모율을 확인하며, 시간에 따른 타이어에 대한 누적된 타이어 마모율의 변화를 기준으로 타이어 교체에 해당되는 마모율에 도달하는 예상 교체시점을 계산하여 회원에게 제공하는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0)를 포함하되,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0)는
    차량(10)의 영상을 촬영하고 타이어의 마모값을 측정하는 타이어 검정장치(1000)에 대한 설치위치, 식별정보 등을 회원정보로 등록하고 관리하는 타이어 검정장치 관리부(2010)와;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회원의 차량번호, 연락처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등록받아 관리하는 차량회원 관리부(2020)와;
    타이어 패턴별로 기준 마모값에 대응하는 기준 마모율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준 마모율 저장부(2030)와;
    타이어 검정장치(1000)로부터 제공받은 차량 카메라(1100)에서 촬영된 차량영상에서 차량번호를 확인하고 등록된 회원을 확인하는 차량번호 인식부(2040)와;
    타이어 검정장치(1000)로부터 제공받은 RFID 리더(1200)에서 인식된 타이어정보 중에서 타이어 패턴을 확인하는 타이어 패턴확인부(2050)와;
    타이어의 패턴이 확인되면 타이어 검정장치(1000)에서 측정된 타이어의 마모값을 등록된 타이어 패턴의 기준 마모값과 비교하고 일치되는 마모값과 이에 대응되는 마모율을 확인하는 타이어 마모율 확인부(2060)와;
    타이어 마모율 확인부(2060)에서 확인된 타이어의 마모율을 누적하여 회원정보에 기록하는 회원 타이어 마모율 기록부(2070)와;
    회원별로 기록된 타이어에 대한 마모율의 증가율을 기준으로 타이어 교체에 해당되는 기준 마모율에 도달하는 예상 교체시점을 계산하는 타이어 교체시점 계산부(2080)와;
    타이어 교체시점 계산부(2080)에서 계산된 타이어의 교체시점을 회원에게 안내하는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부(20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타이어 검정장치(1000)는
    진입하는 차량(10)의 번호판이 포함되도록 촬영하여 차량영상을 획득하는 차량 카메라(1100)와;
    타이어에 내장된 RFID 칩(25)과 통신하면서 타이어 패턴을 포함하는 타이어의 이력정보를 확인하는 RFID 리더(1200)와;
    지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차량(10)에 장착된 타이어의 마모값을 측정하는 타이어 마모값 측정부(1300)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차량영상, RFID 리더(1200)에서 확인된 타이어의 패턴, 타이어 마모값 측정부(1300)에서 측정된 타이어의 마모값을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0)로 제공하는 차량 점검정보 제공부(1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타이어 마모값 측정부(1300)는
    차량 카메라(1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진입하는 차량(10)의 방향을 확인하는 차량방향 확인부(1310)와;
    지면에 위치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투명창이 형성되는 타이어 측정케이스(1320)와;
    타이어측정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내장된 상태로 투명창을 통해서 타이어로 마그네틱센서, 레이저, 레이더, 초음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타이어에 형성된 트래드부(21)에서 그루부홈(22)까지의 깊이(a)를 타이어의 마모값으로 확인하는 타이어 마모값 확인부(1330)와;
    타이어 마모값 측정부(1300)에서 측정된 타이어의 마모값을 차량방향 확인부(1310)에서 확인된 타이어의 위치에 매칭시키는 타이어 위치 매칭부(1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타이어 측정케이스(1320)는 전, 후 방향으로 수평한 한쌍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수평한 일렬로 형성되고, 타이어 마모값 확인부(1330)는 타이어의 위치별로 타이어의 마모값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타이어 마모값 측정부(1300)는
    차량 카메라(1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진입하는 차량(10)의 방향을 확인하는 차량방향 확인부(1350)와;
    지상에 위치하면서 차량(10)의 타이어를 촬영하는 타이어 카메라(1360)와;
    타이어 카메라(1360)에서 촬영된 영상을 차량방향 확인부(1350)에서 확인된 타이어의 위치에 매칭시키는 타이어 영상 위치 매칭부(1370)와;
    타이어 카메라(1360)에서 촬영된 타이어 영상을 분석하여 타이어에 형성된 트래드부(21)에서 그루부홈(22)까지의 깊이(a)를 타이어의 마모값으로 확인하는 타이어 마모값 확인부(13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차량방향 확인부(1350)는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을 확인되면 타이어 카메라(1360)에서 촬영된 영상을 좌측 전방 타이어, 우측 전방 타이어, 좌측 후방 타이어 및 우측 후방 타이어에 각각 매칭시키고, 타이어 마모값 확인부(1380)는 타이어 영상 위치 매칭부(1370)에 의해 매칭된 타이어의 위치별로 타이어의 마모값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시스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0)는
    판매대상의 타이어를 종류별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판매 타이어 관리부(2100)와;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부(2090)에서 회원에게 타이어 교체시점을 안내하는 경우에 교체 가능한 타이어를 회원에게 함께 제공하는 교체 타이어 추천부(2110)와;
    회원으로부터 교체되는 타이어에 대해서 주문받으면 타이어 교체업체로 교체정보를 제공하는 타이어 주문내역 관리부(2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교체 타이어 추천부(2110)는 교체대상의 타이어로 대체가능한 타이어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시스템.
  10. 차량(10)의 진입을 인식하는 진입차량 인식단계(S100)와;
    타이어 검정장치(1000)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 타이어의 패턴, 타이어의 마모값을 확인하는 타이어 마모값 측정단계(S200)와;
    타이어 검정장치(1000)에서 측정된 타이어의 마모값을 차량번호, 타이어 패턴 및 타이어 검정장치(1000)의 식별정보와 함께 타이어 교체 관리센터(2000)로 제공하는 타이어 마모값 제공단계(S300)와;
    타이어 검정장치(1000)로부터 수신된 타이어의 마모값을 기 등록된 타이어 패턴의 기준 마모값과 비교하고 일치되는 마모값과 이에 대응되는 마모율을 확인하여 등록된 회원정보에 저장하는 타이어 마모율 확인단계(S400)와;
    회원별로 기록된 타이어의 마모율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증가율을 계산하고, 증가율을 이용하여 타이어 교체에 해당되는 기준 마모율에 도달하는 예상 교체시점을 계산하는 타이어 교체시점 계산단계(S500)와;
    회원에게 타이어의 교체시점을 안내하는 경우에 교체대상의 타이어에 알맞은 판매타이어를 추천타이어로 회원에게 제공하는 교체 타이어 추천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차량번호는 차량 카메라(1100)에서 촬영된 차량영상을 분석하여 확인하고, 타이어 패턴은 RFID 리더(1200)에서 타이어의 RFID 칩(25)과 통신하면서 확인된 타이어의 이력정보 중에서 확인하며, 타이어의 마모값은 마그네틱센서, 레이저, 레이더, 초음파 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타이어(20)의 그루부홈(22)의 깊이(a)를 확인하거나 또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타이어영상을 분석하여 타이어(20)의 그루부홈(22)의 깊이(a)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방법.
  12. 삭제
KR1020210123833A 2021-09-16 2021-09-16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Active KR102688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833A KR102688552B1 (ko) 2021-09-16 2021-09-16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833A KR102688552B1 (ko) 2021-09-16 2021-09-16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556A KR20230040556A (ko) 2023-03-23
KR102688552B1 true KR102688552B1 (ko) 2024-08-29

Family

ID=85799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833A Active KR102688552B1 (ko) 2021-09-16 2021-09-16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85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90602A1 (en) * 2023-10-25 2025-05-01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tire rfid authentication using permanently locked memor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358B1 (ko) * 2014-04-30 2016-02-18 주식회사 아모센스 Rfid 태그를 이용한 타이어 교체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788812B1 (ko) * 2016-02-18 2017-11-15 정창우 공유경제를 이용한 큐레이팅 타이어 교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545101B1 (ko) * 2017-10-31 2023-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타이어 마모 상태 알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알림 방법
KR102305510B1 (ko) * 2019-10-18 2021-09-28 (주)무브칠팔 타이어 분석을 통한 패턴분석과 마모도 측정 및 공기압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556A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454B1 (ko) 차종 판별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요금 자동 수수 시스템
US9405988B2 (en) License plate recognition
JP5517393B2 (ja) 移動体課金システム、移動体課金システムによる移動体課金方法
JP7225993B2 (ja) 同一車両判定装置、同一車両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3431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rface wear determination
JP6569138B2 (ja) 車軸数検出装置、車種判別システム、車軸数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21137A (ko) 온라인을 이용한 타이어 교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0853391A (zh) 智能共享停车系统
CN108961085A (zh) 一种车险智能定损系统及方法
KR102688552B1 (ko) 타이어 교체시점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KR20190110844A (ko) 복수의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상황 인식 기반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205057B1 (ko) 동일 차량 검출 장치, 요금 수수 설비, 동일 차량 검출 방법 및 프로그램
CN113071500A (zh) 车道线的获取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9345395A (zh) 一种保险理赔的反欺诈系统及方法
JP6535938B2 (ja) 料金収受設備、料金収受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310027A (ja) 車両交通調査システム
KR20240157208A (ko) 차량 주차 모니터링 정보 기반 탄소배출량 산정 방법
JP6369494B2 (ja) 識別情報判定装置、識別情報判定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識別情報判定方法
KR20190068210A (ko) 차량 인식 장치
JP3562417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CN117593806B (zh) 一种行车记录仪的自由流精准计费系统实现方法
CN114550464B (zh) 车辆信息确定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240157207A (ko) 차량 주차 모니터링 정보 기반 탄소배출량 산정 시스템
JP2024015738A (ja) 車両監視システム、車両監視装置、及び車両監視方法
JP2024147338A (ja) デー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19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407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