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88196B1 -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8196B1
KR102688196B1 KR1020220093773A KR20220093773A KR102688196B1 KR 102688196 B1 KR102688196 B1 KR 102688196B1 KR 1020220093773 A KR1020220093773 A KR 1020220093773A KR 20220093773 A KR20220093773 A KR 20220093773A KR 102688196 B1 KR102688196 B1 KR 102688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aerosol
cartridge
insertion space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7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015918A (en
Inventor
허다미
신한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Priority to KR1020220093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8196B1/en
Publication of KR20240015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9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8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819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공기의 유입 통로의 관경과, 무화 공간에 연통되며 유입 통로에 접하는 연결 통로의 관경 간의 비율이나 단면적 비율을 가변하여 흡압을 조절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여,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을 배출하는 배출 경로와, 배출 경로의 서로 다른 부분에 연통되는 복수의 연결 통로들을 구비하는 카트리지와, 카트리지가 삽입되고 분리되는 삽입 공간과, 삽입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입 통로를 구비하는 본체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카트리지의 하단부가 일 평면에서의 적어도 복수 개의 회전 각도들 각각에서 삽입 공간에 삽입이 가능하며, 유입 통로는 복수의 연결 통로들 중의 어느 하나의 연결 통로에 연통되며, 유입 통로에 연통되지 않은 연결 통로는 삽입 공간의 저면에 의해 폐쇄되며, 복수의 연결 통로들의 단면적은 서로 상이하다.
The embodiment relates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in particular,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adjusts the intake pressure by varying the ratio or cross-sectional area ratio between the diameter of the external air inlet passage and the pipe diameter of the connecting passage that communicates with the atomization space and contacts the inflow passage. will be.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artridge that accommodates an aerosol-forming substrate and has a discharge path for discharging aerosol generated from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assages communicating with different portions of the discharge path, and the cartridge is inserted. A main body device having a separate insertion space and an inlet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space and the outside, the lower end of the cartridge being insertable into the insertion space at each of at least a plurality of rotation angles in one plane, the inlet passage is in communication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ssages, the connection passage not in communication with the inflow passage is closed by the bottom of the insertion space, and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ssag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Description

에어로졸 발생 장치{AEROSOL GENERATING APPARATUS}Aerosol generating devic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실시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공기의 유입 통로의 관경과, 무화 공간에 연통되며 유입 통로에 접하는 연결 통로의 관경 간의 비율이나 단면적 비율을 가변하여 흡압을 조절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in particular,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adjusts the intake pressure by varying the ratio or cross-sectional area ratio between the diameter of the external air inlet passage and the pipe diameter of the connecting passage that communicates with the atomization space and contacts the inflow passage. will be.

일반적으로, 전자담배는 교환 가능한 카트리지에 채워진 니코틴을 포함하는 용액을 에어로졸 또는 기체 상태(무화 상태)로 만들어 흡입할 수 있도록 만든 전자기기를 말한다.In general, an electronic cigarette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made to inhale a solution containing nicotine filled in a replaceable cartridge into an aerosol or gaseous state (atomized state).

이와 같은 전자담배는 일반 담배를 대신하여 흡연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면서 타르와 같은 유해 성분이 포함되지 않아 담배로부터 유발되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흡연의 간접적 피해를 유발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어 사용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즉, 전자담배는 실내에서 흡연이 가능하고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는 담배의 피해를 방지하면서 담배를 피우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다.Such electronic cigarettes can satisfy the desire to smoke in place of regular cigarettes, and do not contain harmful ingredients such as tar, thereby reducing the harmful effects on the human body caused by cigarettes. At the same time, they do not cause the indirect damage of smoking. Due to its advantages, the number of users is increasing explosively. In other words, electronic cigarettes allow smoking indoors and have the same effect as smoking cigarettes while preventing the damage caused by cigarettes that cause various diseases.

특히 최근에는 담배의 맛에 과일 등과 같은 다른 향을 추가하여 다양한 풍미를 느낄 수 있는 전자담배의 출시도 이루어지고 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electronic cigarettes have been released that allow users to enjoy a variety of flavors by adding other flavors, such as fruit, to the taste of cigarettes.

이러한 전자담배는, 액상 니코틴이 수용된 무화기를 배터리부에 결합하면 무화기의 가열체가 발열하면서 액상 니코틴을 기화시키는 연무가 이루어진다.In these electronic cigarettes, when an atomizer containing liquid nicotine is connected to the battery unit, the heating element of the atomizer generates heat and creates a haze that vaporizes the liquid nicotine.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담배들에서는 무화기에 의해 연무나 에어로졸이 발생된 공간(무화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공이 항상 일정 직경으로 유지됨에 따라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이나 흡압을 조절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In electronic cigarett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air inlet hole through which air flows into the space where fog or aerosol is generated by the atomizer (atomization space) is always maintained at a constant diameter, so there are problems such as the inability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inflow or suction pressure. occurred.

실시예는 관능적인 요소인 흡압이나 공기 유입량에 관련된 외부 공기의 유입 통로의 관경과, 무화 공간에 연통되며 유입 통로에 접하는 연결 통로의 관경 간의 복수의 직경 비율이나 복수의 단면적 비율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여 흡압이나 공기 유입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embodiment allows selection of a plurality of diameter ratios or a plurality of cross-sectional area ratios between the pipe diameter of the external air inlet passage related to the suction pressure or air inflow amount, which is a sensual element, and the pipe diameter of the connecting passage that communicates with the atomization space and touches the inflow passage.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can vary the suction pressure or air inflow amount.

실시예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여,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을 배출하는 배출 경로와, 배출 경로의 서로 다른 부분에 연통되는 복수의 연결 통로들을 구비하는 카트리지와, 카트리지가 삽입되고 분리되는 삽입 공간과, 삽입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입 통로를 구비하는 본체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카트리지의 하단부가 일 평면에서의 적어도 복수 개의 회전 각도들 각각에서 삽입 공간에 삽입이 가능하며, 유입 통로는 복수의 연결 통로들 중의 어느 하나의 연결 통로에 연통되며, 유입 통로에 연통되지 않은 연결 통로는 삽입 공간의 저면에 의해 폐쇄되며, 복수의 연결 통로들의 단면적은 서로 상이하다.An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artridge that accommodates an aerosol-forming substrate and has a discharge path for discharging aerosol generated from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assages communicating with different portions of the discharge path, and the cartridge is inserted. A main body device having a separate insertion space and an inlet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space and the outside, the lower end of the cartridge being insertable into the insertion space at each of at least a plurality of rotation angles in one plane, the inlet passage is in communication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ssages, the connection passage not in communication with the inflow passage is closed by the bottom of the insertion space, and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ssag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카트리지의 하단부의 형상과 삽입 공간의 형상은 서로 동일하거나 비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lower end of the cartridge and the shape of the insertion space are the same or proportional to each other.

또한, 카트리지가 삽입 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는, 카트리지가 회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artridge is not rotated when the cartridge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ertion space.

또한, 유입 통로의 단면적은 복수의 연결 통로들 중에서 가장 단면적이 작은 연결 통로의 단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flow passage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nection passage with the smallest cross-sectional area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ssages.

또한, 연결 통로에 마주하는 유입 통로의 관통홀의 중심축은 관통홀에 마주하는 연결 통로의 중심축과 동일하거나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ral axis of the through hole of the inlet passage facing the connecting passage is the same or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connecting passage facing the through hole.

또한, 배출 경로에는 무화기가 장착되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열 에너지를 인가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무화 통로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path is equipped with an atomizer to form an atomization passage that generates an aerosol by applying heat energy to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또한, 카트리지는 본체 디바이스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 받아 무화기의 가열 소자에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receive power while the cartridge is inserted into the main device and apply it to the heating element of the atomizer.

실시예는 탈착 가능한 카트리지의 결합 시에 관능적인 요소인 흡압이나 공기 유입량에 관련된 외부 공기의 유입 통로의 관경과, 연결 통로의 관경 간의 복수의 직경 비율이나 복수의 단면적 비율들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결합된 카트리지의 분리 및 위치 변경 이전까지는 선택된 직경 비율이나 단면적 비율이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카트리지의 분리 시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본체부의 유입 통로에 대한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embodiment allows selec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diameter ratios or a plurality of cross-sectional area ratios between the diameter of the external air inflow passage related to the suction pressure or air inflow amount, which is a sensual element, when combining the detachable cartridge, and the diameter of the connection passage, It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selected diameter ratio or cross-sectional area ratio until the combined cartridge is separated and changed in position, and has the effect of making it easy to clean the inlet passage of the main body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n the cartridge is separated.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부분 수직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본체 디바이스와 카트리지 간의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부분 수직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partial vertical cross-sectional views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of Figure 1;
Figure 3 is a schematic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between the main device and the cartridge of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4 are partial vertical cross-sectional views of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5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ure 1.

이하에서, 실시예들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그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to specific embodiments, and the 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bers may b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have,” “may have,” “includes,” or “may include” refer to the presence of the corresponding feature (e.g., a numerical value,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such as a part). , and does not rule out the existence of additional features.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A or B,” “at least one of A or/and B,” or “one or more of A or/and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 For example,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or “at least one of A or B” (1) includes at least one A, (2) includes at least one B, or (3) it may refer to all cases including both at least one A and at least one B.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As used herein,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may describe various elements in any order and/or importance, and may refer to one element as another. It is only used to distinguish from components and does not limit the components. For example, a first user device and a second user device may represent different user device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named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named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When referred to as “connected t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y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r may be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exists between other components.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expression “configured to” used in this document may mean, for example, “suitable for,” “having the capacity to,” or “having the capacity to.” I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 "designed to," "adapted to," "made to," or "capable of." The term “configured (or set) to” may not necessarily mean “specifically designed to” in hardware. Instead, in some contexts, the expression “a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working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described in this document.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terms defined in general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s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is document, they may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It is not interpreted. In some cases, even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액상이나 겔 상태의 물질로, 예를 들면, 니코틴, 약액, VG, PG, 가향제, 건강식품(홍삼, 도라지액)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aerosol-forming base material may be a liquid or gel-like material, for example, nicotine, chemical solution, VG, PG, flavoring agent, health food (red ginseng, bellflower extract), etc.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부분 수직 단면도들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ure 2 is a partial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of Figure 1.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액상이나 겔 상태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본체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무화 통로(130)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무화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며, 사용자의 흡입에 의해 본체 디바이스(200)의 유입 통로(214)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기류)와 함께 발생된 에어로졸을 배출시키는 배출 통로(120)를 구비하는 카트리지(100)와, 카트리지(100)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카트리지(100)로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고, 카트리지(100)의 무화 통로(130)에 연통되는 유입 통로(214)를 구비하는 본체 디바이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has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an aerosol-forming substrate in a liquid or gel state, receives power from the main device 200, atomizes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in the atomization passage 130, and generates an aerosol, and generates an aerosol for the user. A cartridge 100 having an discharge passage 120 for discharging the aerosol generated with the air (airflow) flowing in from the inlet passage 214 of the main device 200 by suction, and the cartridge 100 and the detachab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in body device 200 that is connected to and supplies power to the cartridge 100, and has an inlet passage 214 that communicates with the atomization passage 130 of the cartridge 100.

카트리지(100)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방에 개방구(122)가 형성된 중공 형태의 배출 통로(120)와, 배출 통로(120)에 연통되며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대한 열 에너지 공급에 의해 에어로졸이 발생되는 무화 통로(130)와, 무화 통로(130)의 서로 다른 부분들 각각에 연통되며 외부나 유입 통로(214)와 연통되며 서로 다른 관경이나 단면적이나 체적을 지닌 제 1 및 제 2 연결 통로들(142, 144)을 구비하는 케이스(110)로 구성된다. 배출 통로(120)의 개방구(122)에는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마우스피스(미도시)나 필터나 궐련 등의 흡입 보조부가 삽입 장착된다.The cartridge 100 has a hollow discharge passage 120 formed with an opening 122 at the top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passage 120, and aerosol is generated by supplying heat energy to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The atomizing passage 130 and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assages 142 that communicate with each of the different parts of the atomizing passage 130 and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or inlet passage 214 and have different pipe diameters, cross-sectional areas, or volumes. It consists of a case 110 provided with , 144). A suction auxiliary part such as a mouthpiece (not shown), a filter, or a cigarette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122 of the discharge passage 120 so that the user can inhale.

또한, 카트리지(100)는 무화 통로(130) 내에 또는 무화 통로(130)에 접하여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무화시키는 무화기(미도시)를 구비한다. 무화기는 가열 소자를 구비하고, 수용 공간 내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접하거나 공급 받아 가열 소자의 발열 동작에 의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열 에너지를 공급하여 무화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Additionally, the cartridge 100 is provided with an atomizer (not shown) within the atomization passage 130 or in contact with the atomization passage 130 to atomize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The atomizer is provided with a heating element, and is in contact with or supplied to the aerosol-forming base material in the receiving space, and supplies heat energy to the aerosol-forming base material by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heating element to atomize the aerosol-forming base material and generate an aerosol.

도 1에서, 배출 통로(1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연결 통로(142)는 제 2 연결 통로(144)와 서로 다른 측의 케이스(110)에 형성된다. 제 1 연결 통로(142)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케이스(110)의 하측면에 외부에 노출되는 연결구(142a)를 구비하고, 제 2 연결 통로(144)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케이스(110)의 하측면에 외부에 노출되는 연결구(144a)를 구비한다. 연결구(142a)와 연결구(144a)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며, 연결구(142a)의 수직 단면적과 연결구(144a)의 수직 단면적(또는 관경)은 서로 상이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구(142a)의 수직 단면적이 연결구(144a)의 수직 단면적보다 크므로, 통과되는 공기 유입량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된다.In FIG. 1,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discharge passage 120 as the center,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42 is formed in the case 110 on a different side from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44.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42 has a connector 142a exposed to the outside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110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44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case 110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 connector 144a exposed to the outside is provided on the side. The connector 142a and the connector 144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nector 142a and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r pipe diameter) of the connector 144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nector 142a is different.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is larger than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nector 144a, the amount of air inflow passing through becomes relatively larger.

본체 디바이스(200)는 내부에 도 2의 제어 장치들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본체 케이스(210)를 구비한다. 본체 디바이스(200)의 본체 케이스(210)는 카트리지(100)의 하측면이 형성된 하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분리되어 제거되는 삽입 공간(212)과, 삽입 공간(212)이 형성된 측면 이외의 측면에 형성되며 외부와의 연통을 위한 공기의 유입구인 제 1 관통홀(214a)과, 삽입 공간(212)과의 연통을 위한 공기의 배출구인 제 2 관통홀(214b)을 구비하여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유입 통로(214)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입 통로(214)는 'L'자 형태로 절곡부를 지닌다.The main body device 200 includes a main body case 210 inside which a receiving space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control devices of FIG. 2 . The main body case 210 of the main body device 20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lower end where the lower side of the cartridge 100 is formed, an insertion space 212 that is separated and removed, and a side other than the side where the insertion space 212 is formed. It is formed in and has a first through hole 214a, which is an air inlet for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nd a second through hole 214b, which is an air outlet for communication with the insertion space 212, and has a hollow interior. It is provided with a formed inlet passage 214. In this embodiment, the inlet passage 214 has a bend in an 'L' shape.

케이스(110)의 하단부의 형상(또는 구조)과 삽입 공간(212)의 형상(또는 구조)은 서로 동일하고, 케이스(110)의 하단부가 삽입 공간(212)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케이스(110)의 하단부의 단면적과 삽입 공간(212)의 단면적이 결정된다. The shape (or structure) of the lower part of the case 110 and the shape (or structure) of the insertion space 212 are the same, and the lower part of the case 110 can be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space 212.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ower end of 110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sertion space 212 are determined.

케이스(110)의 하단부에 삽입 공간(212)에 삽입될 때, 케이스(110)는 수평면 또는 수평면 상에서의 적어도 복수 개의 회전 각도들 각각에서 삽입 공간(212)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각도는 케이스(110)와 삽입 공간(212) 간의 상대적인 각도에 해당되며, 수평면은 케이스(110)의 하측면과 삽입 공간(212)의 저면(212a)에 평행한 면이며, 케이스(110)의 하단부가 삽입 공간(212)에 삽입(결합)되는 방향의 연장선(가상선)은 수평면의 수선에 해당된다. When the lower end of the case 1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212, the case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212 at each of the horizontal plane or at least a plurality of rotation angles on the horizontal plane. Here, the rotation angle corresponds to the relative angle between the case 110 and the insertion space 212, and the horizontal plane is a plane parallel to the lower side of the case 110 and the bottom surface 212a of the insertion space 212, and the case ( The extension line (imaginary lin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end of 110) is inserted (combined) into the insertion space 212 corresponds to the perpendicular line of the horizontal plane.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110)의 하단부의 단면과 삽입 공간(212)의 단면은 정사각형이 아닌 직사각형이다. 이 경우, 2개의 회전 각도들이 가능하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회전 각도가 0°인 경우(제 1 회전 각도에서의 결합 상태-제 1 결합 상태)에 케이스(110)의 하단부가 삽입 공간(212)에 삽입 가능하고, 케이스(110)를 수평면에서 180°회전시킨 경우(제 2 회전 각도에서의 결합 상태-제 2 결합 상태)에, 케이스(110)의 하단부가 삽입 공간(212)에 삽입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cross section of the lower end of the case 110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insertion space 212 are rectangular rather than square. In this case, two rotation angles are possible. That is, as shown in FIG. 1, when the rotation angle is 0° (coupled state at the first rotation angle - first coupled state), the lower end of the case 11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212, and the case ( When 110) is rotated 180° in the horizontal plane (coupled state at the second rotation angle - second coupled state), the lower end of the case 11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212.

도 2의 (a)와 같은 제 1 회전 각도에서의 결합 상태에서, 유입 통로(214)의 제 2 관통홀(214b)은 제 1 연결 통로(142)의 연결구(142a)에 만나거나 마주하게 되어 연통된다. 이때, 제 2 연결 통로(144)의 연결구(144a)는 삽입 공간(212)의 저면(212a)에 의해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의 기류 경로는 유입 통로(214)와, 제 1 연결 통로(142)와, 무화 통로(130) 및 배출 통로(120)로 구성된다. 도 2의 (a) 및 (b)에서의 청색 화살표는 에어로졸의 배출 방향을 의미한다.In the coupled state at the first rotation angle as shown in (a) of FIG. 2, the second through hole 214b of the inlet passage 214 meets or faces the connector 142a of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42. It connects. At this time, the connector 144a of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44 is closed by the bottom surface 212a of the insertion space 212. The airflow path in this state consists of an inlet passage 214, a first connection passage 142, an atomization passage 130, and an discharge passage 120. The blue arrows in Figures 2 (a) and (b) indicate the direction of aerosol discharge.

도 2의 (b)와 같은 제 2 회전 각도에서의 결합 상태에서, 유입 통로(214)의 제 2 관통홀(214b)은 제 2 연결 통로(144)의 연결구(144a)에 만나거나 마주하게 되어 연통된다. 이때, 제 1 연결 통로(142)의 연결구(142a)는 삽입 공간(212)의 저면(212a)에 의해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의 기류 경로는 유입 통로(214)와, 제 2 연결 통로(144)와, 무화 통로(130) 및 배출 통로(120)로 구성된다.In the coupled state at the second rotation angle as shown in (b) of FIG. 2, the second through hole 214b of the inlet passage 214 meets or faces the connector 144a of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44. It connects. At this time, the connector 142a of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42 is closed by the bottom surface 212a of the insertion space 212. The airflow path in this state consists of an inlet passage 214, a second connection passage 144, an atomization passage 130, and an discharge passage 120.

제 1 결합 상태에서의 공기 유입량이 제 2 결합 상태에서의 공기 유입량보다 크도록 하기 위해서, 제 2 관통홀(214b)과 연결구(142a) 간의 서로 대향하는 면적(공기가 공통적으로 흐를 수 있는 면적)이 제 2 관통홀(214b)와 연결구(144a) 간의 서로 대향하는 면적보다 크도록 되어야 한다. 이러한 것을 위해, 제 2 관통홀(214b)의 단면적은 연결구(144a)의 단면적보다 크도록 되며, 제 1 결합 상태에서 제 2 관통홀(214b)의 중심축과 연결구(142a)의 중심축이 같거나 평행해야 하며, 제 2 결합 상태에서 제 2 관통홀(214b)의 중심축과 연결구(144a)의 중심축이 같거나 평행해야 한다.In order to ensure that the air inflow amount in the first combined state is greater than the air inflow amount in the second combined state, the opposing area between the second through hole 214b and the connector 142a (area through which air can commonly flow) It must be larger than the opposing area between the second through hole 214b and the connector 144a. For this purpos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through-hole 214b is made larger than that of the connector 144a, and in the first coupled state,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through-hole 214b and the central axis of the connector 142a are the same. or must be parallel, and in the second coupled state,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through-hole (214b) and the central axis of the connector (144a) must be the same or parallel.

카트리지(100)와 본체 디바이스(2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카트리지(100)는 수평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각 결합 상태에서의 공기 유입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공기 유입량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카트리지(100)를 본체 디바이스(200)에서 분리시킨 이후에, 회전시킨 후에 다시 본체 디바이스(200)에 결합시키면 된다.When the cartridge 100 and the main device 200 are coupled, the cartridge 100 is prevented from rotating in the horizontal plane, so that the amount of air inflow in each coupled state is maintained constant. In order for the user to change the amount of air inflow, the cartridge 100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device 200, rotated, and then coupled to the main device 200 again.

본 실시예에서, 배출 통로(120)는 무화 통로(130)를 포함하는 배출 경로로 지칭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discharge passage 120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discharge path including atomization passage 130.

상술된 바와 같이, 관능적인 요소인 흡압이나 공기 유입량에 관련된 외부 공기의 유입 통로의 관경과, 무화 공간에 연통되며 유입 통로에 접하는 연결 통로의 관경 간의 복수의 직경 비율이나 복수의 단면적 비율이 선택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diameter ratios or a plurality of cross-sectional area ratios can be selected between the pipe diameter of the external air inlet passage related to the suction pressure or air inflow amount, which is a sensual element, and the pipe diameter of the connecting passage that communicates with the atomization space and is in contact with the inflow passage. do.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본체 디바이스와 카트리지 간의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들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between the main device and the cartridge of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3의 (a)에서, 카트리지 케이스(310)와 본체 디바이스 케이스(410)가 결합된 상태로, 카트리지 케이스(310)의 하단부의 단면 형상과, 본체 디바이스 케이스(410)의 삽입 공간(412)의 단면 형상이 타원 형태인 경우가 도시된다. 이 경우에도, 케이스(310)는 수평면에서 2개의 회전 각도들에서 삽입 공간(412)에 삽입될 수 있다.In (a) of FIG. 3, the cartridge case 310 and the main device case 410 are combined,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wer part of the cartridge case 310 and the insertion space 412 of the main device case 410 are shown. A case wher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is oval is shown. In this case as well, the case 31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412 at two rotation angles in the horizontal plane.

도 3의 (a)에서, 카트리지 케이스(310)는 배출 통로(미도시)와, 배출 통로에 연통되는 무화 통로(330)와, 무화 통로(330)의 서로 다른 부분들 각각으로 연통되는 제 1 연결 통로(342)와, 제 2 연결 통로(344)를 구비한다. 제 1 연결 통로(342)와 제 2 연결 통로(344) 각각은 카트리지 케이스(310)의 단면에서의 서로 반대 방향의 타원의 꼭지점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In Figure 3 (a), the cartridge case 310 is a discharge passage (not shown), an atomization passage 330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assage, and a first atomization passage 330 that communicates with different parts of the atomization passage 330, respectively. It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assage 342 and a second connection passage 344.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34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344 is formed to pass through vertices of ellipses in opposite directions in the cross section of the cartridge case 310.

도 3의 (a)에서, 본체 디바이스 케이스(410)는 외부와 삽입 공간(412)을 연통시키는 유입 통로(414)를 구비하며, 유입 통로(414)는 삽입 공간(412)의 단면에서의 타원의 꼭지점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In Figure 3 (a), the main device case 410 is provided with an inlet passage 414 that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nd the insertion space 412, and the inlet passage 414 is an ellipse in the cross section of the insertion space 412. It is formed to penetrate the vertex of .

도 3의 (b)에서, 카트리지 케이스(510)와 본체 디바이스 케이스(610)가 결합된 상태로, 카트리지 케이스(510)의 하단부의 단면 형상과, 본체 디바이스 케이스(610)의 삽입 공간(612)의 단면 형상이 정사각형 형태인 경우가 도시된다. 이 경우에도, 케이스(610)는 수평면에서 4개의 회전 각도들에서 삽입 공간(612)에 삽입될 수 있다.In (b) of FIG. 3, the cartridge case 510 and the main device case 610 are combined,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wer part of the cartridge case 510 and the insertion space 612 of the main device case 610 are shown. A case wher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is square is shown. In this case as well, the case 61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612 at four rotation angles in the horizontal plane.

도 3의 (b)에서, 카트리지 케이스(310)는 배출 통로(미도시)와, 배출 통로에 연통되는 무화 통로(530)와, 무화 통로(530)의 서로 다른 부분들 각각으로 연통되는 제 1 내지 제 4 연결 통로(542, 544, 546, 548)를 구비한다. 제 1 내지 제 4 연결 통로(542, 544, 546, 548) 각각은 카트리지 케이스(510)의 서로 다른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In Figure 3 (b), the cartridge case 310 is a discharge passage (not shown), an atomization passage 530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assage, and a first atomization passage 530 that communicates with different parts of the atomization passage 530, respectively. to fourth connection passages 542, 544, 546, and 548. Each of the first to fourth connection passages 542, 544, 546, and 548 is formed to penetrate different sides of the cartridge case 510.

도 3의 (b)에서, 본체 디바이스 케이스(410)는 외부와 삽입 공간(612)을 연통시키는 유입 통로(614)를 구비하며, 유입 통로(614)는 삽입 공간(612)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In Figure 3 (b), the main device case 410 is provided with an inlet passage 614 that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nd the insertion space 612, and the inlet passage 614 penetrates the side of the insertion space 612. is formed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부분 수직 단면도들이다.4 are partial vertical cross-sectional views of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카트리지 케이스(710)는 배출 통로(720)와, 배출 통로(720)와 연통되는 무화 통로(730)와, 무화 통로(730)의 서로 다른 부분에서 각각 연통되는 제 1 연결 통로(732)와 제 2 연결 통로(734)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무화 통로(730)의 중심축과 제 1 연결 통로(732)의 중심축 및 제 2 연결 통로(734)의 중심축은 일치하거나 서로 평행하다.The cartridge case 71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discharge passage 720, an atomization passage 730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passage 720, and a first connection passage communicating in different parts of the atomization passage 730, respectively ( 732) and a second connection passage 734. In this embodiment, the central axis of the atomizing passage 730,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connecting passage 732, and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connecting passage 734 are coincident or parallel to each other.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본체 디바이스 케이스(810)는 카트리지 케이스(710)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812)와, 삽입 공간(812)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입 통로(814)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입 통로(814)는 절곡부가 없는 일직선 형태이다. The main device case 81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s an insertion space 812 into which the cartridge case 710 is inserted, and an inflow passage 814 that communicates the insertion space 812 with the outside. In this embodiment, the inlet passage 814 is straight with no bends.

도 4에서와 같이, 유입 통로(814)와 마주하는 제 1 연결 통로(732)의 중심축과 유입 통로(814)의 중심축은 동일하거나 서로 평행하다.As shown in FIG. 4 ,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732 facing the inlet passage 814 and the central axis of the inlet passage 814 are the same or parallel to each other.

도 5는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Figure 5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ure 1.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카트리지(100)와, 본체 디바이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cartridge 100 and a main device 200.

카트리지(100)는 본체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기 위한 제 1 및 제 2 전원 단자(101a), (101b)와, 무화기에 구비되며, 제 1 및 제 2 전원 단자(101a), (101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열 소자(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artridge 100 is provided in the atomizer with first and second power terminals 101a and 101b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device 200, and has first and second power terminals 101a and 101b.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eating element 170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본체 디바이스(200)는 입력부(220)와, 표시부(225)와, 전원부(230)와, 전원부(230)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프로세서(29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 1 및 제 2 전원 단자(203a), (203b)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 공급부(240)와, 유입 통로(214)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흡입 여부를 감지하여 흡입 감지 신호를 프로세서(290)에 인가하는 흡입 센서(250)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전원 공급부(240)를 제어하여 가열 소자(170)의 가열 동작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29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ain body device 200 receives power from the input unit 220, the display unit 225, the power supply unit 230, and the power supply unit 230, and operates the first and second power terminal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processor 290. A power supply unit 240 that supplies or blocks power to 203a) and 203b, and a suction sensor 250 mounted on the inlet passage 214 to detect whether the user inhales and applies a suction detection signal to the processor 290. , and a processor 290 that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240 by controlling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nd performs an aerosol generating function by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heating element 170.

카트리지(100)와 본체 디바이스(200)가 분리 가능하며, 액상 카트리지(100)의 분리 시에 본체 디바이스(200)의 유입 통로(214)와 삽입 공간(212)에 대한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cartridge 100 and the main device 200 are separable, and when the liquid cartridge 100 is separated, the inlet passage 214 and insertion space 212 of the main device 200 are easily cleaned. there i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카트리지 200: 본체 디바이스100: cartridge 200: main device

Claims (7)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여,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을 배출하는 배출 경로와, 배출 경로의 서로 다른 부분에 연통되는 복수의 연결 통로들을 구비하는 카트리지와;
카트리지가 삽입되고 분리되는 삽입 공간과, 삽입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입 통로를 구비하는 본체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카트리지의 하단부가 일 평면에서의 적어도 복수 개의 회전 각도들 각각에서 삽입 공간에 삽입이 가능하며, 유입 통로는 복수의 연결 통로들 중의 어느 하나의 연결 통로에 연통되며, 유입 통로에 연통되지 않은 연결 통로는 삽입 공간의 저면에 의해 폐쇄되며,
복수의 연결 통로들의 단면적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 cartridge that accommodates an aerosol-forming substrate and has a discharge path for discharging aerosol generated from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assages communicating with different portions of the discharge path;
A main body device hav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cartridge is inserted and separated, and an inlet passage communicating the insertion space with the outside,
The lower end of the cartridge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t each of at least a plurality of rotation angles in one plane, and the inlet passage is in communication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ssages, and the connection passage is not in communication with the inflow passage. is closed by the bottom of the insertion spac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assag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하단부의 형상과 삽입 공간의 형상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lower end of the cartridge and the shape of the insertion space are the same.
제 2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가 삽입 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는, 카트리지가 회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claim 2,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rein the cartridge does not rotate when the cartridge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ertion spac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입 통로의 단면적은 복수의 연결 통로들 중에서 가장 단면적이 작은 연결 통로의 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re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passage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nection passage with the smallest cross-sectional area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ssages.
제 4 항에 있어서,
연결 통로에 마주하는 유입 통로의 관통홀의 중심축은 관통홀에 마주하는 연결 통로의 중심축과 동일하거나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claim 4,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rein the central axis of the through hole of the inlet passage facing the connecting passage is the same or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connecting passage facing the through hole.
제 4 항에 있어서,
배출 경로에는 무화기가 장착되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열 에너지를 인가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무화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claim 4,
An atomizer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ath to form an atomization passage that generates an aerosol by applying heat energy to the aerosol-forming substrate.
제 6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본체 디바이스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 받아 무화기의 가열 소자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According to claim 6,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tridge receives power whil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main device and applies it to the heating element of the atomizer.
KR1020220093773A 2022-07-28 2022-07-28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ctive KR1026881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773A KR102688196B1 (en) 2022-07-28 2022-07-28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773A KR102688196B1 (en) 2022-07-28 2022-07-28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918A KR20240015918A (en) 2024-02-06
KR102688196B1 true KR102688196B1 (en) 2024-07-25

Family

ID=89858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773A Active KR102688196B1 (en) 2022-07-28 2022-07-28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8196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081B1 (en) * 2010-11-24 2013-01-11 이영인 Electronic cigarette with means of controlling amount of nicotine
CN113365518B (en) * 2018-11-05 2024-12-13 尤尔实验室有限公司 Cartridges for evaporator units
KR102397449B1 (en) * 2019-07-23 2022-05-1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 gener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918A (en)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728065U (en) Component suction nozzle, nebul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WO2015184747A1 (en) Multi-flavour electronic cigarette
WO2023020405A1 (en) Electronic atomization device
CN211721878U (en) Aerosol generating system
KR102768918B1 (en) Ceramic a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JP7405916B2 (en) Seasoning parts and electronic atomization equipment
CN106418727A (en) Electronic cigarette holder with smoke gas concentration adjustment convenience
CN212279873U (en) Atomizing device and electronic cigarette comprising same
JP7482942B2 (en) Heating module and electronic atomizer
WO2021120965A1 (en) Atomization device with stable aerosol components and use of atomization device
CN111588084A (en) Atomizing core piece of atomizing device, atomizing device of electron cigarette and electron cigarette
CN116099082A (en) Portable atomizer and vertical medicine placing and atomizing assembly thereof
KR102688196B1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CN209270566U (en) A kind of double atomizing space oxygen mixers of two-flow
US20220175026A1 (en) Device for vaporizing liquid
CN207100516U (en) Ventilation component, atomizer and its electronic cigarette
CN206371523U (en) Electronic cigarette
CN221670983U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CN112089099A (en) An electronic cigarette vaporizer
CN216135180U (en) Seasoning component and electronic atomization device
CN106213589B (en) Getter device with sensory material
TWI747438B (en) Electronic cigarette with filtering function
CN204483026U (en) A kind of electronic cigarette smoking set
CN112450488B (en) Electron smog core and atomizer
CN209732598U (en) Electronic cigarette capable of adjusting smoke amou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