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87831B1 - 통발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통발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7831B1
KR102687831B1 KR1020230176140A KR20230176140A KR102687831B1 KR 102687831 B1 KR102687831 B1 KR 102687831B1 KR 1020230176140 A KR1020230176140 A KR 1020230176140A KR 20230176140 A KR20230176140 A KR 20230176140A KR 102687831 B1 KR102687831 B1 KR 102687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trap
fish trap
cleaning device
fis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6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석
김태석
차봉진
김현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30176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7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7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783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01K73/06Hauling devices for the head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발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체에 설치된 인양기에 의해 상기 통발이 회수되는 과정에서 통발을 세척하기 위한 통발 세척 장치에 있어서, 통발 세척 장치는, 선체 난간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펌프수단과 연결되어 선체 외측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유닛과, 상기 펌프수단과 분사유닛을 연결하는 공급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 및 상기 선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발에 의해 조작되며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 및 폐쇄하는 급수페달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선체의 난간측에 유체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분사유닛을 설치하여, 통발이 세척되도록 하였으며, 특히, 유체가 선체 외측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하여, 통발에 잔류하는 부착물의 제거 작업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통발 세척 장치{FISH TRAP WASHING DEVICE}
본 발명은 통발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체에 설치되며 인양기에 의해 선체 내부로 이송되는 통발을 세척하여, 통발에 잔류하는 부착물을 제거하는 통발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발은 원통형의 그물망 구조로, 상호 이격된 상부링 및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 부착된 다수의 지지대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지지골조와, 어망이 상기 지지골조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통발을 활용한 어로작업에 있어서, 상기 통발은 일정한 해역에 설치되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 다시 회수되며, 어획물을 꺼낸 이후 다시 통발이 재설치되는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통발이 회수되는 과정에서, 통발은 선체에 설치된 인양기에 의해 선체 내부로 이송되고 목표 어종이 꺼내진 뒤, 다음 회차의 어로 작업을 위해 작업자에 의해 통발 내부에 부착된 부착물이 제거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통발이 해저에 부설되는 경우, 상기 통발에는 해저 지질의 특성 및 침지 시간에 따라 부착생물 및 해저의 다양한 부착물이 다수 부착되며, 종래에는 통발에 부착된 부착생물 및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해 작업자가 통발을 들고 수작업으로 선체의 단단한 부분에 부딪혀 통발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부착물을 털어 내었다.
이에 통발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며, 이러한 작업을 수작업으로 진행함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도 증가 및 근골격계질환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실수로 통발을 놓치는 등의 행위로 인해 2차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작업의 안정성이 낮으며, 통발에도 지속적으로 피로도가 쌓이므로 통발의 프레임이나 어망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5244호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선체의 외측방향으로 고압의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유닛을 포함하여, 통발의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통발에 잔류하는 부착물의 제거 작업이 용이한 통발 세척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통발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체에 설치된 인양기에 의해 상기 통발이 회수되는 과정에서 통발을 세척하기 위한 통발 세척 장치에 있어서, 통발 세척 장치는, 선체 난간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펌프수단과 연결되어 선체 외측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유닛과, 상기 펌프수단과 분사유닛을 연결하는 공급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 및 상기 선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발에 의해 조작되며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 및 폐쇄하는 급수페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선체 난간에 난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며 좌우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급수페달의 터치 횟수에 따라 유체의 분사 압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발 세척 장치는, 상기 분사유닛을 통해 유체가 분사되기 전, 제어부로부터 상기 급수페달의 터치신호를 수신받아 점멸되는 발광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체의 난간측에 유체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분사유닛을 설치하여, 통발이 세척되도록 하였으며, 특히, 유체가 선체 외측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하여, 통발에 잔류하는 부착물의 제거 작업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발 세척 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통발 세척 장치의 측면 개요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례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발 세척 장치의 개요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 개요도이다.
본 발명은 선체(10)에 설치되어 인양기(30)에 의해 선체 내부로 이송되는 통발을 세척하여 통발에 잔류하는 부착물을 제거함으로써 다음 회차 어로작업의 효율이 향상되는 통발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해수 및 담수와 같은 유체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통발이 세척되도록 하였으며, 특히, 유체가 선체 외측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하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발 세척 장치(100)는, 지지부(120), 분사유닛(140), 펌프수단(도면미도시), 급수페달(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지지부(120)는, 선체(10)의 난간(12)의 상면 또는 외측면에 설치되어 분사사유닛(140)을 지지하기 위한 요소이다.
상기 지지부(120)는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는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선체의 난간(12) 상면에 용접 또는 볼트 체결 등의 방법으로 고정설치된다.
상기 선체에는, 통발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기(30)가 설치되며, 선체에는 인양기에 의해 로프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롤러(32)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가이드롤러(32)보다 낮게 설치되어, 통발이 가이드롤러(32)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세척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팔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20)의 실시례로서, 상기 지지부는, 선체 난간에 난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며 좌우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프레임은 레일에 장착되며, 별도의 고정핀 또는 내부구조에 의해 레일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고,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 개 마련되므로, 상기 하부프레임은 통발의 크기 및 간격등에 따라 서로 이격되는 거리를 달리하여 통발의 세척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하부프레임은 소정 길이만큼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실시례로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복수 개가 내부가 빈 중공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다단으로 신축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의 높이가 조절 가능함에 따라 작업자는 자신의 키에 맞게 분사유닛(1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통발 세척 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은, 별도의 각도조절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은 하부프레임에 대해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상부프레임은 분사유닛이 설치되는 요소인 것으로, 상기 상부프레임이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마련됨에 따라 해수의 분사 방향이 조절 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통발 세척 장치의 측면 개요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는, 선체 난간의 외측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가 선체 난간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는 선체 외측면에 고정설치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분사유닛이 설치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이처럼 상기 지지부는 작업자가 분사유닛(140)을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설계변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사유닛(140)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설치되며, 선체 외측 방향으로 해수를 분사하는 요소이다.
상기 분사유닛은 상하좌우 네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작업자의 필요에 분사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분사유닛의 분사노즐은, 선체의 외측 하방향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마련되어 해수가 하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통발이 세척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분사유닛(140)은, 해수를 압송하는 펌프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펌프수단과 분사유닛을 연결하는 공급관로에 설치된 개폐밸브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펌프 수단은 해수를 분사유닛으로 공급하는 요소인 것으로, 상기 펌프수단은, 수중의 해수를 직접 끌어 올리는 별도의 펌프이거나 또는 선체에 이미 갖추어진 기존의 펌프이며,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덧붙여, 상기 분사유닛의 측방에는 통발이 세척되는 과정에서 해수가 사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림막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급수페달(160)은, 상기 분사유닛(140)을 작동시키기 위한 요소이다.
작업자는 통발 세척 작업을 수행할 때, 양손으로 통발(20)을 잡고 있어야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발로 급수페달을 밟음에 따라 상기 분사유닛에서 해수가 분사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급수페달이 분사유닛이 설치된 난간측의 선체 바닥면에 설치되도록 하였으나, 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설계 변경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급수페달(160)은 사용자가 페달을 횟수에 따라 분사되는 해수의 압력이 조절도록 하여,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압력의 해수가 분사되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급수페달은,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페달을 밟는 동안에만 해수가 분사되고, 페달을 밟지 않으면 자동으로 급수가 중단되도록 이루어지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급수페달은, 상기 공급관로에 설치된 개폐밸브와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분사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며,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례로서 상기 급수페달이 공급관로를 개폐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개폐밸브)와 연결되어 분사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페달(160)은, 발로 터치됨에 따라 내부에 스위치가 접점되어 터치신호를 생성하며, 제어부는 상기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의 실시례로서, 상기 제어부는 내장프로그램에 의해 터치신호가 1회 입력되면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하여 중간 압력으로 해수가 분사되도록 하고, 터치신호가 2회 입력되면 높은 압력으로 해수가 분사되도록 하고, 터치신호가 3회 입력되면 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하여 단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공급관로 내부에 복수 개가 마련되어, 유량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분사유닛을 통해 분사되는 해수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은 선체 난간 또는/및 선체 외부에 설치되는 발광모듈(도면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발광모듈은 상기 분사유닛을 통해 해수가 선체 외부로 분사되는 경우, 근처에 있는 선박들에 경고를 하기 위한 요소이다.
상기 발광모듈은 급수페달의 터치신호를 수신받아, 분사유닛을 통해 해수가 분사되기 전 점멸되며, 이에 따라 주변 선박에 있는 작업자들은 육안으로 주의신호를 확인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급수페달의 터치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는 분사유닛이 작동되기 전 발광모듈로 점멸신호를 명령하여, 해수가 분사되기 전 발광모듈이 점멸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발광모듈은 분사유닛에서 분사되는 해수의 압력에 따라 출력되는 색상을 달리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해수가 중간 압력으로 분사되는 경우, 녹색 등이 점멸(또는 점등)되고, 해수가 높은 압력으로 분사되는 경우, 적색 등이 점멸(또는 점등)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모듈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도 점등 및 소등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발광모듈을 활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모듈과 함께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람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선체에 설치된 인양기에 의해 상기 통발이 회수되는 과정에서, 통발을 세척하는데 활용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분사부는, 인양기와 연동되어, 상기 인양기에 의해 통발이 이동되는 시간만큼 해수를 연속 분사하고, 인양기가 오프되면 함께 오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통발이 인양되는 속도와 통발이 세척되는 시간을 계산하여 일정시간 해수를 분사한뒤, 단수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체의 난간측에 유체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분사유닛을 설치하여, 통발이 세척되도록 하였으며, 특히, 유체가 선체 외측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하여, 통발에 잔류하는 부착물의 제거 작업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것이다.
10: 선체
12: 난간
20: 통발
100: 통발 세척 장치
120: 지지부
140: 분사유닛
160: 급수페달

Claims (4)

  1. 선체에 설치된 인양기에 의해 통발이 회수되는 과정에서 통발을 세척하기 위한 통발 세척 장치에 있어서,
    선체 난간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펌프수단과 연결되어 선체 외측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유닛;
    상기 펌프수단과 분사유닛을 연결하는 공급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
    상기 선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발에 의해 조작되며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 및 폐쇄하는 급수페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세척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선체 난간에 난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며 좌우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세척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급수페달의 터치 횟수에 따라 유체의 분사 압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세척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발 세척 장치는,
    상기 분사유닛을 통해 유체가 분사되기 전, 제어부로부터 상기 급수페달의 터치신호를 수신받아 점멸되는 발광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세척 장치.
KR1020230176140A 2023-12-07 2023-12-07 통발 세척 장치 Active KR102687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6140A KR102687831B1 (ko) 2023-12-07 2023-12-07 통발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6140A KR102687831B1 (ko) 2023-12-07 2023-12-07 통발 세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7831B1 true KR102687831B1 (ko) 2024-08-05

Family

ID=92378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6140A Active KR102687831B1 (ko) 2023-12-07 2023-12-07 통발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783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437Y1 (ko) * 2000-03-03 2000-07-15 이재균 발판 권양기
KR200351462Y1 (ko) * 2004-03-11 2004-05-22 김명환 어선박용복합양망장치
KR101074144B1 (ko) * 2011-03-16 2011-10-17 제노스주식회사 싱크대의 족답식 급수장치
KR20120007291U (ko) * 2011-04-14 2012-10-24 김인철 어망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245244B1 (ko) 2012-05-31 2013-03-19 (주)비엔씨하이텍 어망용 유압식 고압 세척 장치
US9566381B2 (en) * 2005-11-21 2017-02-14 Acist Medical Systems, Inc. Disposable fluid connector having multiple tubing components and an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437Y1 (ko) * 2000-03-03 2000-07-15 이재균 발판 권양기
KR200351462Y1 (ko) * 2004-03-11 2004-05-22 김명환 어선박용복합양망장치
US9566381B2 (en) * 2005-11-21 2017-02-14 Acist Medical Systems, Inc. Disposable fluid connector having multiple tubing components and an electrical connector
KR101074144B1 (ko) * 2011-03-16 2011-10-17 제노스주식회사 싱크대의 족답식 급수장치
KR20120007291U (ko) * 2011-04-14 2012-10-24 김인철 어망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245244B1 (ko) 2012-05-31 2013-03-19 (주)비엔씨하이텍 어망용 유압식 고압 세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7886A (en) Pool cleaning device
US7444952B1 (en) Boat hull rinsing device
SE512334C2 (sv) Hållare för spenkoppar och sätt för att rengöra spenkoppar i en hållare för spenkoppar
JP6440180B1 (ja) 貝類養殖用丸カゴの洗浄方法及び貝類養殖用丸カゴの洗浄装置
KR101945898B1 (ko) 굴 알맹이 분리장치
KR102687831B1 (ko) 통발 세척 장치
WO2014027894A1 (en) Apparatus for cleaning of a floating body and method for use of the apparatus
US2560060A (en) Pickle pumping machine
JP4796162B2 (ja) 食品洗浄装置
CN204638673U (zh) 移动式发酵罐清洗机
CN103015498B (zh) 一种清洁池及其下水装置
CN103962334A (zh) 用于大型工件的清洗机
KR102256798B1 (ko) 해삼 세척장치
US20180345335A1 (en) Portable shellfish basket washer
KR101495144B1 (ko) 수류확산장치
CN104923530A (zh) 移动式发酵罐清洗机
CN205851192U (zh) 搭载机器人控制的高压喷水装置
NO20181427A1 (no) Rengjøringsapparat for en neddykket overflate
CN211027299U (zh) 一种喷头清洗装置
KR102037778B1 (ko) 페인트가 자동으로 분사되는 브러시 장치
JP2012236459A (ja) 航空機機体洗浄装置
US20150151340A1 (en) Assembly for Chemical Container Incising, Purging, and Water Rinsing
KR20150052427A (ko) 잭업 플랫폼의 제트 분사 시스템 및 방법
US451708A (en) Extension fire-ladder
JPH09233960A (ja) 灌水用又は農薬散布用ホースの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2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2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719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19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