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7776B1 - 소리 발생 향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 Google Patents
소리 발생 향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87776B1 KR102687776B1 KR1020210118608A KR20210118608A KR102687776B1 KR 102687776 B1 KR102687776 B1 KR 102687776B1 KR 1020210118608 A KR1020210118608 A KR 1020210118608A KR 20210118608 A KR20210118608 A KR 20210118608A KR 102687776 B1 KR102687776 B1 KR 1026877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et
- smoking
- flavor
- fragrance
- smoking art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2—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reconstituted tobacco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281—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the action of the chemical substances being delayed
- A24B15/282—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the action of the chemical substances being delayed by indirect addition of the chemical substances, e.g. in the wrapper, in the case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5—Treatment of cigarette paper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24D1/025—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the covers having material applied to defined areas, e.g. bands for reducing the ignition propensity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4—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 A24D1/045—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with smoke filter mea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6—Cellulose ethers
- C08L1/28—Alkyl eth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6—Cellulose ethers
- C08L1/28—Alkyl ethers
- C08L1/284—Alkyl ethers with hydroxylated hydrocarbon radic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6—Pectin; Derivative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12—Agar or agar-agar, i.e. mixture of agarose and agaropectin; Derivative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9/00—Compositions of prote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5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orm
- D21H21/52—Additives of definite length or shape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0—Packing paper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12—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fibrous materials
- D21H5/14—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fibrous materials of cellulose fibres only
- D21H5/16—Tobacco or cigarette paper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02—Cigars; Cigarettes with additives, e.g. for flavouring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8—Plasticizers; Solv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Abstract
소리 발생 향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물품은, 흡연물질부, 필터부 및 흡연물질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있는 래퍼(wrapp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흡연물질부 또는 래퍼의 적어도 일부에는 소리발생요소로 기능하는 다공성의 향료시트가 적용됨으로써, 흡연자에게 보다 향상된 흡연 체험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소리 발생 향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흡연물품에 후각적(또는 미각적) 효과뿐만 아니라 청각적 효과를 더 부가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흡연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향료시트,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흡연자에게 보다 향상된 흡연 체험을 제공하기 위해, 담배 제품에 청각적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캐비티(cavity) 필터에 과립 또는 캡슐을 투입함으로써, 흔들릴 때마다 소리가 발생하는 궐련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제안된 궐련의 경우, 필터 부위가 흔들릴 때에만 소리가 발생하기 때문에 흡연 중에 소리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기 어려우며, 흡연자가 직접 필터 부위를 흔들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인도네시아에서 널리 애용되는 크레텍(kretek) 담배는 위와 같은 연구의 산물은 아니나, 흡연 중에 연소음을 발생시키는 제품이다. 크레텍 담배는 흡연 시에 클로브 물질이 연소하면서 타닥-타닥(또는 크리틱-크리틱)하는 크래클링 사운드(crackling sound)를 발생시키며, "크레텍"이라는 명칭도 이 같은 특징으로부터 유래한 것이다. 이러한 크래클링 사운드는 흡연 시에 청각적 효과를 더하고 흡연 행위가 유희적 행위로 인지되도록 함으로써, 흡연자에게 보다 향상된 흡연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클로브 물질 특유의 향은 흡연자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담배 제품에 보편적으로 적용되기는 어렵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흡연물품에 후각적(또는 미각적) 효과뿐만 아니라 청각적 효과를 더 부가할 수 있는 향료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흡연 중에 소리가 발생됨으로써 보다 향상된 흡연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흡연물품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물품은, 흡연물질부, 필터부 및 상기 흡연물질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있는 래퍼(wrapper)를 포함하고, 상기 흡연물질부 또는 상기 래퍼의 적어도 일부에는 소리발생요소로 기능하는 다공성의 향료시트가 적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향료시트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물질 및 오일성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향료시트는,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부의 상기 오일성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향료시트는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향료시트는 벌킹제(bulking age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향료시트는 절각된 형태로 상기 흡연물질부에 첨가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향료시트는 상기 래퍼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흡연물품 내에서 소리발생요소로 기능하는 다공성의 향료시트가 제조될 수 있다. 제조된 향료시트는 흡연물품에 후각적(또는 미각적) 효과뿐만 아니라 청각적 효과를 더 부가함으로써 흡연자에게 보다 향상된 흡연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공성의 향료시트를 투입함으로써 흡연 중에 소리가 발생되는 흡연물품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물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향료시트의 적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향료시트의 다른 적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향료시트의 또 다른 적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물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물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향료시트의 적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향료시트의 다른 적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향료시트의 또 다른 적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물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물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먼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몇몇 용어들에 대하여 명확하게 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흡연물품"(smoking article)이란, 담배, 담배 파생물, 팽화처리 담배(expanded tobacco), 재생 담배(reconstituted tobacco) 또는 담배 대용물에 기반하느냐에 상관 없이 흡연 가능한 임의의 제품 또는 흡연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제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물품은 궐련, 엽궐련(cigar) 및 작은 엽궐련(cigarillo) 등 같은 흡연 가능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흡연물품은 연소형 흡연물품과 가열형 흡연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흡연 물질"(smoking material)이란, 연기(smoke) 및/또는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키거나 흡연에 이용되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 물질은 담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담배 물질은 예를 들어 담배 잎 조각, 담배 줄기 또는 이들로부터 가공된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써, 담배 물질은 분쇄된 담배의 잎, 분쇄된 재생 담배, 팽화각초, 팽화주맥 및 판상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상류"(upstream) 또는 "상류 방향"은 흡연자의 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류"(downstream) 또는 "하류 방향"은 흡연자의 구부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류 및 하류라는 용어는 흡연물품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상대적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예시된 흡연물품(100)에서, 필터부(120)는 흡연물질부(110)의 하류 또는 하류 방향에 위치하고, 흡연물질부(110)는 필터부(120)의 상류 또는 상류 방향에 위치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은 흡연물품의 길이 방향 축에 상응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퍼프(puff)"는 사용자(흡연자)의 흡입(inhalation)을 의미하며, 흡입이란 사용자의 입이나 코를 통해 사용자의 구강 내, 비강 내 또는 폐로 끌어 당기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시트(sheet)"는 그의 두께보다 실질적으로 큰 폭 및 길이를 갖는 박층 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시트란 용어는 웹(web), 필름(film) 등의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향료시트(flavor sheet or flavoring sheet)"는 시트 형태로 제조된 향료 함유 재료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흡연물품에 후각적(또는 미각적) 효과뿐만 아니라 청각적 효과를 더 부가할 수 있는 향료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흡연물품에서 소리발생요소로 기능할 수 있는 향료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제공된 향료시트는 다공성을 갖도록 제조됨으로써 연소(또는 가열)됨에 따라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가령, 연소(또는 가열)됨에 따라 향료시트 내에 형성된 기공들(또는 기공을 형성하는 막)이 터지면서 소리가 발생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공된 향료시트는 내부에 고정된 향료를 흡연 중에 서서히 방출함으로써, 흡연물품의 향 발현성 및 향 지속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향료시트는 액상(e.g. 슬러리 상태)의 시트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제조된 시트조성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액상은 액체 상태뿐만 아니라 액체와 고체가 혼합된 상태(e.g. 슬러리 상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향료시트는 시트조성물을 소정의 기재 상에 도포(캐스팅)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인 제조 방식은 달라질 수도 있다.
시트조성물의 세부 조성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시트조성물은 증류수(water) 및/또는 에탄올 등의 용매, 하이드로콜로이드 물질 및 오일성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향료시트는 다공성을 갖기 때문에 흡연물품 내에서 소리발생요소로 기능할 수 있다. 가령, 친수성의 하이드로콜로이드 물질과 친유성의 향료가 용매와 함께 배합되면서 조성물 내에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고, 이러한 시트조성물이 건조됨에 따라 다공성의 향료시트가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시트조성물의 각 구성 물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증류수, 에탄올 등의 용매는 슬러리형 시트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한 요소일 수 있다.
다음으로, 하이드로콜로이드 물질은 향료를 피복하여 고정하는 물질이자, 시트를 형성하는 시트 형성제일 수 있다. 하이드로콜로이드 물질의 예로는 젤라틴, 한천(agar), 젤란검, 펙틴(pectin), 구아검, 잔탄검, 글루코만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메틸셀룰로오스(MC), 에틸셀룰로오스(EC),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전분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이드로콜로이드 물질은 용매(e.g. 증류수, 에탄올)와 접촉 시 자체적으로 점성을 띠기 때문에,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흡연물품의 래퍼 등에 부착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향료시트의 배치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으며, 접착제로 인한 안전성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시트조성물은 다양한 하이드로콜로이드 물질 중에서 개질된 셀룰로오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질된 셀룰로오스"는 분자 구조 내에서 특정 작용기가 치환된 셀룰로오스를 의미할 수 있다. 개질된 셀룰로오스의 예로는 HPMC, MC, CMC, EC를 들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HPMC는 하이드록시프로필기 및 메틸기(또는 메톡시기)가 치환된 비율 및 분자량에 따라서 약 4 내지 40000의 범위 내의 등급(grade)을 가질 수 있다. 등급에 따라서, 개질된 셀룰로오스의 점도가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HPMC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메톡시기의 비율, 하이드록시프로필기의 비율 및 분자량과 관계가 있는데, 미국약전(USP)에 따르면 HPMC의 종류는 메톡시기 및 하이드록시프로필기의 비율에 따라서 HPMC1828, HPMC2208, HPMC2906 및 HPMC291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앞의 두 숫자는 메톡시기의 비율이고, 뒤의 두 숫자는 하이드록시프로필기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지속적인 실험 결과, 개질된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시트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향료시트는 시트 물리성 및 향 보유량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오일성 향료의 예로는 식물, 나무, 그 열매 등으로부터 추출된 천연 오일(e.g. 시나몬, 세이지, 허브, 카모마일, 갈초, 감차, 클로브, 라벤더, 카더멈, 정향, 육두구, 베르가모트, 제라늄, 벌꿀 에센스, 로즈 유, 레몬, 오렌지, 계피, 캐러웨이, 쟈스민, 생강, 코리앤더, 바닐라 엑기스, 스피어민트, 페퍼민트, 카시아, 커피, 셀러리, 카스카릴라, 샌들우드, 코코아, 일랑일랑, 페널, 아니스, 리코리스, 세인트존즈브레드, 자두 엑기스, 복숭아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몇몇 실시예들에서, 시트조성물은 LM-펙틴(low methoxyl pectin)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LM-펙틴은 에스터화가 비교적 적게 이루어진 저에스터 펙틴 또는 저메톡실 펙틴으로서, 구체적으로 분자 구조 내부에 카복시기(carboxyl group)가 약 50% 미만으로 함유된 펙틴을 의미할 수 있다. LM-펙틴은 카라기난과 달리 방냉시 겔화되지 않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슬러리형 시트조성물의 점도를 낮출 수 있다(e.g. 약 600 cp 내지 800 cp 정도). 아울러, 유화제 없이도 슬러리형 시트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하여, 유화제로 인한 안전성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LM-펙틴은 분자 구조 내부에 카복시기를 약 50% 미만, 약 40% 미만, 약 30% 미만, 약 20% 미만, 또는 약 10% 미만으로 함유할 수 있다. LM-펙틴의 분자 구조 내부에 카복시기 함유량이 적어질수록, LM-펙틴을 포함하는 슬러리의 점도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시트조성물은 벌킹제(bulking agent)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벌킹제는 증류수 이외의 구성 성분의 합계 질량(즉, 건물 질량)을 증가시켜, 제조되는 향료시트의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향료시트의 본래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물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벌킹제는 향료시트의 부피를 증가시키되, 슬러리의 점도를 실질적으로 상승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향료시트의 향료 보류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벌킹제는 향료시트의 부피 증가를 통해 기공의 크기 또한 증가시킴으로써 향료시트의 소리 발생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벌킹제는 전분류, 변성전분, 또는 전분 가수 분해물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변성전분은 초산전분, 산화전분, 히드록시프로필인산이전분, 히드록시프로필전분, 인산이전분, 인산일전분, 인산화인산이전분 등을 가리킨다.
또한, 전분 가수 분해물이란, 전분을 가수 분해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프로세스에 의해 얻어지는 물질을 가리킨다. 전분 가수 분해물은, 예를 들어, 전분을 직접 가수 분해하여 얻어지는 물질(즉, 덱스트린), 또는 전분을 가열 처리한 후에 가수 분해하여 얻어지는 물질(즉,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할 수 있다. 벌킹제는, 예를 들어, 덱스트린(dextrin)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일 수 있다.
전분 가수 분해물은, 일반적으로, 약 2 내지 약 40의 범위에 포함되는 DE값을 가지는 전분 가수 분해물,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20의 범위에 포함되는 DE값을 가지는 전분 가수 분해물일 수 있다. 약 2 내지 약 20의 범위에 포함되는 DE값을 가지는 전분 가수 분해물로서, 예를 들면, 파인덱스 #100(마쓰타니 화학공업(주)), 파인파이버(마쓰타니 화학공업(주)), TK-16(마쓰타니 화학공업(주))이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DE"는, dextrose equivalent의 약어이며, DE값은, 전분의 가수 분해의 정도, 즉 전분의 당화율을 나타낸다. 본 개시에서 DE값은, 빌슈테터·슈델(Willstatter-Schudel)법에 의해 측정된 값일 수 있다. 가수 분해된 전분(전분 가수 분해물)의 특성, 예를 들면, 전분 가수 분해물의 분자량이나 전분 가수 분해물을 구성하는 당 분자의 배열 등의 특성은, 전분 가수 분해물의 분자마다 일정하지 않고, 어떤 분포 또는 배리에이션(variation)을 갖고서 존재하고 있다. 전분 가수 분해물의 특성의 분포나 배리에이션, 또는 커트되는 구간의 차이 등에 의해, 전분 가수 분해물은, 그 분자마다 다른 물성 특징(예를 들면 DE값)이 발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분 가수 분해물은, 다른 물성 특징을 나타내는 분자의 집합이지만, 빌슈테터·슈델(Willstatter-Schudel)법에서의 측정 결과(즉 DE값)는, 전분의 가수 분해의 정도를 나타내는 대표값으로서 취급되고 있다.
바람직하게, 전분 가수 분해물은, 약 2 내지 약 5의 DE값을 가지는 덱스트린, 약 10 내지 약 15의 DE값을 가지는 난소화성 덱스트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약 2 내지 약 5의 DE값을 가지는 덱스트린으로서, 예를 들면 파인덱스 #100(마쓰타니 화학공업(주))이 활용될 수 있다. 약 10 내지 약 15의 DE값을 가지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으로서, 예를 들면 파인파이버(마쓰타니 화학공업(주))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시트조성물은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가소제는 향료시트에 적절한 유연성을 부연함으로써 시트의 물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소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리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시트조성물은 유화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유화제는 지용성이 강한 향료와 수용성의 하이드로콜로이드 물질 간의 가교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향료시트의 향 보유량 및 향 보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유화제의 예로는 레시틴을 둘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시트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향료시트는 다양한 함량비(조성비)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향료시트는,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10 내지 30 중량부의 오일성 향료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2 내지 28 중량부, 약 14 내지 26 중량부의 오일성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치범위 내에서, 적절한 수준의 향 발현성과 소리 효과가 보장될 수 있고, 시트도 잘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오일성 향료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향 발현성이 떨어지고 기공이 잘 형성되지 않아 소리도 잘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오일성 향료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다수의 기공이 발생되거나 시트 형성제의 함량이 줄어드는 등으로 인해 시트가 잘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향료시트는,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2 내지 약 15 중량부의 수분, 약 25 내지 약 90 중량부의 개질된 셀룰로오스 및 약 10 내지 약 30 중량부의 오일성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향료시트는,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2 내지 약 15 중량부의 수분, 약 1 내지 약 60 중량부의 하이드로콜로이드 물질, 약 1 내지 약 60 중량부의 LM-펙틴 및 약 10 내지 약 30 중량부의 오일성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가소제는, 향료시트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15 중량부만큼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수치범위 내에서 적절한 유연성을 갖는 시트가 형성될 수 있다. 가령, 가소제가 너무 적게 첨가되는 경우에는 시트의 유연성이 떨어져 공정 중에 향료시트가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가소제가 너무 많이 첨가되는 경우에는 시트가 잘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흡연 중에 소리가 발생되는 흡연물품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다공성의 향료시트가 흡연물품에 적용됨으로써 흡연 중에 소리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흡연자에게 보다 향상된 흡연 체험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물품(e.g. 100)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물품(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물품(100)은 필터부(120), 흡연물질부(110) 및 래퍼(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는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개시가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물품들의 일부 예시를 도시하고 있을 뿐이며, 흡연물품의 세부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라질 수도 있다. 흡연물품의 세부 구조의 다른 예시에 관하여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 흡연물품(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터부(120)는 흡연물질부(110)에서 발생된 연기 및/또는 에어로졸에 대한 여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필터부(120)는 필터(여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물질의 예로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 종이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터부(120)는 필터 물질(플러그)을 감싸고 있는 래퍼(13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필터부(120)는 흡연물질부(110)의 하류에 위치하여 흡연물질부(110)의 하류 말단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120)와 흡연물질부(110)는 원기둥(로드)의 형상을 갖고 길이 축 방향으로 정렬되며, 티핑 래퍼(tipping wrapper)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티핑 래퍼는 필터부(120)의 적어도 일부와 흡연물질부(110)의 적어도 일부를 함께 래핑하여 필터부(120)와 흡연물질부(110)를 연결할 수 있다. 필터부(120)가 흡연물품(100)의 하류 말단을 형성하는 경우, 필터부(120)는 흡연자의 구부와 접촉되는 마우스피스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필터부(120)는 로드의 형태로 제조되므로, 경우에 따라 "필터로드(120)"로 칭해질 수도 있으며, 원기둥형,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형, 리세스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흡연물질부(110)는 연소 또는 가열됨에 따라 연기 및/또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는 흡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흡연물질부(110)는 흡연 물질을 감싸고 있는 래퍼(13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흡연물질부(110)는 필터부(120)의 상류에 위치하여 필터부(120)의 상류 말단과 연결될 수 있다. 흡연물질부(110)에서 발생된 연기 및/또는 에어로졸은 퍼프에 의해 필터부(120)를 거쳐 흡연자의 구부로 전달될 수 있다.
흡연물질부(110)도 로드의 형태로 제조되므로, 경우에 따라 "흡연물질로드(110)"로 칭해질 수도 있다.
흡연 물질은 예를 들어 담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담배 물질은 예를 들어 담배 잎 조각, 담배 줄기 또는 이들로부터 가공된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써, 담배 물질은 분쇄된 담배의 잎, 분쇄된 재구성 담배, 팽화각초, 팽화주맥 및 판상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담배 물질은 담배 각초, 담배 입자(particle), 담배 시트(sheet), 담배 비즈(beads), 담배 과립(granule) 또는 담배 추출물의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흡연 물질은 습윤제(보습제), 향미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첨가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윤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습윤제는 담배 물질 내의 수분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고유의 맛을 부드럽게 하고, 무화량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향미제는 예를 들어 감초, 자당, 과당 시럽, 이소감미제(isosweet), 코코아, 라벤더, 시나몬, 카르다몸, 셀러리, 호로파, 카스카릴라, 백단, 베르가못, 제라늄, 벌꿀 에센스, 장미 오일, 바닐라,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민트 오일, 계피, 케러웨이, 코냑, 자스민, 카모마일, 멘톨, 계피, 일랑일랑, 샐비어, 스피어민트, 생강, 고수, 클로브 추출물(또는 클로브 물질) 또는 커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래퍼(130)는 흡연물질부(110) 및/또는 필터부(1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래퍼(130)는 흡연물질부(110) 또는 필터부(120)의 개별 래퍼를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고, 티핑 래퍼 등과 같이 흡연물질부(110)와 필터부(120)의 적어도 일부를 함께 감싸고 있는 래퍼를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흡연물품(100)에 이용된 모든 래퍼를 총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 래퍼(130)는 다공성 또는 비다공성의 래핑페이퍼(wrapping paper)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래퍼(130)는 금속포일(foil) 또는 래핑페이퍼와 금속포일의 합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리발생요소로 기능하는 향료시트(10)가 흡연물질부(110) 및/또는 래퍼(130)에 적용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흡연 중에 소리가 발생될 수 있으며, 흡연자에게 보다 향상될 흡연 체험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그 구체적인 적용 방식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료시트(10)의 절각물(11)이 각초(111; e.g. 잎담배 각초, 판상엽 각초 등)와 배합되어 흡연물질부(110)에 투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절각물(11)이 흡연물질부(110) 내에 고르게 분포되기 때문에, 흡연 중에 일정한 크기의 소리가 지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료시트(10)가 담배시트(20)와 함께 흡연물질부(110)에 투입될 수 있다. 여기서, 담배시트(20)는 시트 형태로 제조된 담배 물질로서, 예를 들어 판상엽과 같은 재구성 담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예시에서, 향료시트(10)는 담배시트(20)와 적절하게 섞여서(e.g. 향료시트 10를 담배시트 20에 적층하거나 함께 둘둘 마는 등) 흡연물질부(110)에 투입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료시트(10)가 래퍼(130)의 내측에 배치(적용)될 수 있다. 가령,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료시트(10)가 흡연물품(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흡연 중에 일정한 크기의 소리가 지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향료시트(10-1 내지 10-3)가 래퍼(130)의 내측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배치 간격을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흡연 중에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소리가 발생될 수 있는 바, 흡연자에게 색다른 흡연 체험이 제공될 수 있다.
앞선 실시예들에서, 래퍼(130)의 적어도 일부가 금속포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향료시트(10)가 금속포일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금속포일을 통해 전달된 열에 의해 향료시트(10)의 향 발현 및 소리 발생이 더욱 촉진될 수 있다.
향료시트(10)를 래퍼(130)에 배치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는, 향료시트(10)를 래핑페이퍼에 합지(부착)하는 공정을 통해 래핑재료가 제조되고, 제조된 래핑재료가 래퍼(130)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향료시트(10)가 하이드로콜로이드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접착제 없이 향료시트(10)가 래핑페이퍼에 부착될 수 있다. 가령, 향료시트(10)에 물, 에탄올 등의 액체를 분사하면 접착제 없이도 향료시트(10)가 래핑페이퍼에 부착될 수 있는데, 이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물질이 예시된 액체와 접촉 시 자체적으로 점성을 띠기 때문이다. 이 경우, 접착제로 인한 안전성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몇몇 예들에서는, 향료시트(10)의 원료인 시트조성물을 래핑페이퍼에 도포하고 건조하는 코팅 공정을 통해 래핑재료가 제조되고, 제조된 래핑재료가 래퍼(130)로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몇몇 예들에서는, 향료시트(10)가 래퍼(130)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향료시트(10) 자체가 흡연물품(100)의 래퍼(130)로 기능할 수 있다. 이때, 래퍼(130)의 적어도 일부는 향료시트(1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향료시트(10)와 레핑페이퍼가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향료시트(10)를 래퍼(130)에 배치하는 공정(e.g. 합지 공정, 코팅 공정)이 수행될 필요가 없는 바, 흡연물품(100)의 제조 공정이 보다 간소화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향료시트(10)의 크기(e.g. 길이, 두께), 다공도, 배치 위치, 배치 간격 및/또는 배치 형태 등을 변경함으로써, 흡연 시의 소리 발생 패턴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향료시트(10-1 내지 10-3)를 일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함으로써, 흡연 시 일정 간격으로 소리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하류 방향으로 갈수록 래퍼(130)에 배치된 향료시트(10)의 크기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함으로써, 흡연이 진행됨에 따라 소리가 점점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소리 변화를 통해 흡연 종료 시점을 흡연자에게 알리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하류 방향으로 갈수록 래퍼(130)에 배치된 향료시트(10)의 다공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함으로써, 흡연이 진행됨에 따라 소리가 점점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소리 변화를 통해 흡연 종료 시점을 흡연자에게 알리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향료시트(10)의 다공도는 예를 들어 오일성 향료 함량, 벌킹제의 함량, 건조 조건 등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예로서, 하류 방향으로 갈수록 향료시트(10)의 배치 간격을 넓어지거나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흡연이 진행됨에 따라 소리 발생 간격이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물품(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다공성의 향료시트(10)를 적용함으로써 흡연 중에 소리가 발생되는 흡연물품(100)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흡연자에게 보다 향상된 흡연 체험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물품들(200, 300)에 대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개시의 명료함을 위해, 앞서 설명된 흡연물품(100)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물품(200)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물품(200)은 흡연물질부(210)와 필터부(220)를 포함할 수 있고, 필터부(220)는 복수의 세그먼트(221, 22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연물질부(210)는 앞서 설명한 흡연물질부(110)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필터부(220)는 제1 세그먼트(221)와 제2 세그먼트(222)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필터부(220)는 제3 세그먼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세그먼트(221)는 흡연물질부(210)에서 발생된 연기 및/또는 에어로졸에 대한 냉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제1 세그먼트(221)는 "냉각 세그먼트(221)" 또는 "냉각부(221)"로 칭해질 수도 있다.
제1 세그먼트(221)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세그먼트(221)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고 중공을 포함하는 원통 형태의 지관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세그먼트(221)는 고분자 물질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가령, 제1 세그먼트(221)는 폴리락트산(PLA) 섬유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세그먼트(221)는 복수개의 구멍들이 뚫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세그먼트(221)는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필터일 수 있다. 가령, 제1 세그먼트(221)는 중공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제1 세그먼트(221)는 예시된 바와 다른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2 세그먼트(222)는 제1 세그먼트(221)를 통과한 연기 및/또는 에어로졸에 대한 여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제2 세그먼트(222)는 "필터 세그먼트(222)" 또는 "필터부(222)"로 칭해질 수도 있다. 또는, 제2 세그먼트(222)는 마우스피스 부위에 위치하는 바, "마우스피스 세그먼트(222)" 또는 "마우스피스부(222)"로 칭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2 세그먼트(222)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2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240)은 향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슐(240)은 향료를 포함하는 액체를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캡슐(240)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래퍼(230)는 앞서 설명한 래퍼(130)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흡연물질부(210) 및/또는 래퍼(230)에는 소리발생요소로 기능하는 다공성의 향료시트(10)가 적용될 수 있다. 그렇게 됨으로써, 흡연물품(200)의 향 발현성 및 향 지속성이 증진될 수 있고, 흡연 중에 소리가 발생됨으로써 흡연자에게 보다 향상된 흡연 체험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흡연물품(200)은 말단에 배치된 플러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는 흡연물품(200)의 상류 말단에 배치되어, 흡연물품(200)의 전체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흡연물품(200)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미도시)에 삽입되는 경우, 플러그는 흡연물질부(210)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물품(3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물품(300)은 흡연물질부(310) 및 필터부(320)를 포함할 수 있고, 흡연물질부(310) 및 필터부(320) 각각은 복수의 세그먼트(311, 312, 321, 3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물질부(310)은 제1 세그먼트(311)와 제2 세그먼트(312)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흡연물질부(310)는 제3 세그먼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세그먼트(311)는 보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그먼트(311)는 보습제가 함침된 권축 종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습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세그먼트(312)는 담배 물질과 같은 니코틴 발생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니코틴 발생 기재는, 예를 들어, 담배 각초, 담배 입자, 담배 시트, 담배 비즈, 담배 과립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니코틴 발생 기재는 담배 추출물이 함침된 권축 종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니코틴 발생 기재가 가열되는 경우, 니코틴 발생 기재로부터 니코틴이 발생되어 필터부(320)로 니코틴이 이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필터부(320)도 복수의 세그먼트(321, 3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320)는 냉각 기능을 수행하는 제3 세그먼트(321)와 여과 기능을 수행하는 제4 세그먼트(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도 6의 필터부(220) 에 대한 내용들이 필터부(32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래퍼(330)는 앞서 설명한 래퍼(130)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흡연물질부(310) 및/또는 래퍼(330)에는 소리발생요소로 기능하는 향료시트(10)가 적용될 수 있다. 그렇게 됨으로써, 흡연물품(300)의 향 발현성 및 향 지속성이 증진될 수 있고, 흡연 중에 소리가 발생됨으로써 흡연자에게 보다 향상된 흡연 체험이 제공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물품(200, 3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상술한 향료시트(10)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하여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 예시에 불과하므로, 본 개시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
하기 표 1의 조액에 개시되어 있는 조성의 시트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하기 표 1의 완제품에 개시되어 있는 조성을 갖는 향료시트를 제조하였다.
조성(중량%) | 실시예 1 | 실시예 2 | ||
조액 | 완제품 | 조액 | 완제품 | |
HPMC | - | - | - | - |
MC | 7 | 34.8 | - | - |
Agar | - | - | 2 | 10.1 |
Pectin | - | - | 3 | 15.2 |
Dextrin | 7 | 34.8 | 5 | 25.3 |
물 | 73 | 8.0 | 82 | 8.9 |
주정 | 8.5 | - | - | - |
Glycerin | 1.5 | 7.5 | 3 | 15.2 |
Peppermint oil | - | - | 5 | 25.3 |
Clove oil | 3 | 14.9 | - | - |
합계 | 100 | 100 | 100 | 100 |
비교예 1~3
하기 표 2의 조액에 개시되어 있는 조성의 시트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하기 표 2의 완제품에 개시되어 있는 조성을 갖는 향료시트를 제조하였다.
조성(중량%)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
조액 | 완제품 | 조액 | 완제품 | 조액 | 완제품 | |
HPMC | 7 | 39.0 | - | - | 7 | 40.2 |
MC | - | - | - | - | - | - |
Agar | - | - | 2 | 8.6 | - | - |
Pectin | - | - | 3 | 12.9 | - | - |
Dextrin | 7 | 39.0 | 5 | 21.6 | 7 | 40.2 |
물 | 75 | 8.0 | 79 | 9.4 | 75 | 8.0 |
주정 | 8.5 | - | - | - | 9 | - |
Glycerin | 2 | 11.2 | 3 | 12.9 | 2 | 11.5 |
Peppermint oil | 0.5 | 2.8 | - | - | - | - |
Clove oil | - | - | 8 | 34.5 | - | - |
합계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실험예: 오일성 향료 함량에 따른 향료시트 제조 작업성, 품질, 소리 발현 정도 평가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에 따른 향료시트에 대해 시트조성물(조액)을 기재에 도포, 기재하여 향료시트를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작업성(용이성), 제조된 향료시트의 품질 및 소리 발현 여부에 대해 평가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여기서 향료시트의 품질은 향료시트에 형성된 기공 정도와 유연성 정도가 사용에 적합한지 여부에 대해서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향료시트 작업성이 우수한 경우, 품질이 사용에 적합한 경우, 소리가 발현되는 경우 ○로 표기하고, 반대로 작업성이 나쁘고, 품질이 사용에 부적합한 경우, 소리가 발현되지 않는 경우는 Ⅹ로 표기하였다.
구분 | 시트 제조 작업성 | 시트 품질 | 소리 발현 여부 |
실시예 1 | ○ | ○ | ○ |
실시예 2 | ○ | ○ | ○ |
비교예 1 | ○ | ○ | Ⅹ |
비교예 2 | Ⅹ | Ⅹ | Ⅹ |
비교예 3 | ○ | ○ | Ⅹ |
표 3을 참고하면, 오일성 향료를 각각 14.9중량% 및 25.3중량%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 시트 제조 작업성, 시트 품질 및 소리 발현 정도가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오일성 향료를 2.8중량%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의 경우 소리가 발현되지 않았고, 오일성 향료를 34.5중량% 포함하는 비교예 2의 경우 제조 작업성이 나쁘고, 시트 품질이 사용에 부적합하고, 소리도 발현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오일성 향료 적정 함량의 첨가가 향료시트의 제조 작업성, 물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소리 발현성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금까지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상술한 향료시트(10)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하여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였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개시가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향료시트
20: 담배시트
100, 200, 300: 흡연물품
110, 210, 310: 흡연물질부
120, 220, 320: 필터부
130, 230, 330: 래퍼
20: 담배시트
100, 200, 300: 흡연물품
110, 210, 310: 흡연물질부
120, 220, 320: 필터부
130, 230, 330: 래퍼
Claims (11)
- 흡연물질부;
필터부; 및
상기 흡연물질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있는 래퍼(wrapper)를 포함하고,
상기 흡연물질부 또는 상기 래퍼의 적어도 일부에는 소리발생요소로 기능하며, 복수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의 향료시트가 적용되되,
상기 향료시트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물질 및 오일성 향료를 포함하되,
상기 향료시트는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부의 상기 오일성 향료를 포함하고,
흡연 시 상기 향료시트 내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기공이 터지면서 소리가 발생하고, 상기 향료시트 내부에 고정된 상기 오일성 향료가 방출되는, 흡연물품.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시트는 가소제를 더 포함하는, 흡연물품.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시트는 벌킹제(bulking agent)를 더 포함하는, 흡연물품.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시트는 절각된 형태로 상기 흡연물질부에 첨가되는, 흡연물품.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시트는 상기 래퍼의 내측에 배치되는, 흡연물품.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시트는 복수개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시트는 상기 래퍼의 내측에 이격 배치되는, 흡연물품.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시트는 복수개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시트의 크기는 하류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흡연물품.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시트는 복수개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시트의 다공도는 하류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흡연물품.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시트는 액상의 시트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제조되고,
상기 시트 조성물은 용매,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물질 및 상기 오일성 향료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8608A KR102687776B1 (ko) | 2021-09-06 | 2021-09-06 | 소리 발생 향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
CN202280022185.9A CN117015314A (zh) | 2021-09-06 | 2022-07-11 | 发声香料片和包括其的吸烟制品 |
US18/287,380 US20240206529A1 (en) | 2021-09-06 | 2022-07-11 | Sound-generating flavoring sheet and smoking article including the same |
JP2023553578A JP7646988B2 (ja) | 2021-09-06 | 2022-07-11 | 音発生香料シートおよびこれを含む喫煙物品 |
PCT/KR2022/010034 WO2023033347A1 (ko) | 2021-09-06 | 2022-07-11 | 소리 발생 향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
EP22864856.4A EP4298926A4 (en) | 2021-09-06 | 2022-07-11 | SOUND GENERATING SCENTED SHEET AND SMOKING PRODUCT COMPRISING 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8608A KR102687776B1 (ko) | 2021-09-06 | 2021-09-06 | 소리 발생 향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6595A KR20230036595A (ko) | 2023-03-15 |
KR102687776B1 true KR102687776B1 (ko) | 2024-07-25 |
Family
ID=85411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8608A Active KR102687776B1 (ko) | 2021-09-06 | 2021-09-06 | 소리 발생 향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206529A1 (ko) |
EP (1) | EP4298926A4 (ko) |
JP (1) | JP7646988B2 (ko) |
KR (1) | KR102687776B1 (ko) |
CN (1) | CN117015314A (ko) |
WO (1) | WO202303334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9269B1 (ko) | 2021-04-14 | 2024-02-22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향 지속성이 증진된 흡연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
KR102616655B1 (ko) * | 2021-09-06 | 2023-12-21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향보유량과 향보류성이 증진된 향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60021927A1 (en) | 2013-04-15 | 2016-01-28 | Sunsho Pharmaceutical Co., Ltd. | Disintegrable capsule,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and smoking equipment containing said disintegrable capsule |
US20180168220A1 (en) | 2016-05-10 | 2018-06-21 | Lik Hon | A kind of microburst-microcapsule used for cigarettes and smoking articles with such microburst-microcapsules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PL2609822T3 (pl) | 2010-08-24 | 2018-11-30 | Japan Tobacco, Inc. | Inhalator aromatu typu niegrzejnego i sposób wytwarzania wkładu aromatu |
GB201220280D0 (en) * | 2012-11-12 | 2012-12-26 | British American Tobacco Co | Products including capsules, uses and preparation thereof |
JP6312689B2 (ja) | 2013-10-07 | 2018-04-18 | フロイント産業株式会社 | 植物性シームレスカプセル、及びその利用 |
KR102450714B1 (ko) * | 2019-12-16 | 2022-10-04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소리가 발생되는 흡연 물품 |
KR102450713B1 (ko) * | 2019-12-16 | 2022-10-04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소리가 발생되는 흡연 물품 |
KR102450712B1 (ko) * | 2019-12-16 | 2022-10-04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소리가 발생되는 흡연 물품 |
KR102623332B1 (ko) * | 2021-04-30 | 2024-01-09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맞춤형 흡연 체험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
-
2021
- 2021-09-06 KR KR1020210118608A patent/KR102687776B1/ko active Active
-
2022
- 2022-07-11 CN CN202280022185.9A patent/CN117015314A/zh active Pending
- 2022-07-11 JP JP2023553578A patent/JP7646988B2/ja active Active
- 2022-07-11 WO PCT/KR2022/010034 patent/WO202303334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7-11 EP EP22864856.4A patent/EP4298926A4/en active Pending
- 2022-07-11 US US18/287,380 patent/US20240206529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60021927A1 (en) | 2013-04-15 | 2016-01-28 | Sunsho Pharmaceutical Co., Ltd. | Disintegrable capsule,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and smoking equipment containing said disintegrable capsule |
US20180168220A1 (en) | 2016-05-10 | 2018-06-21 | Lik Hon | A kind of microburst-microcapsule used for cigarettes and smoking articles with such microburst-microcapsul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40206529A1 (en) | 2024-06-27 |
EP4298926A1 (en) | 2024-01-03 |
EP4298926A4 (en) | 2024-09-18 |
CN117015314A (zh) | 2023-11-07 |
JP2024509189A (ja) | 2024-02-29 |
JP7646988B2 (ja) | 2025-03-18 |
WO2023033347A1 (ko) | 2023-03-09 |
KR20230036595A (ko) | 2023-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60124B1 (ko) | 개질된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용 향료 함유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 |
JP7626319B2 (ja) | 物理性が向上した香料シート、これを含む喫煙物品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 |
KR102616655B1 (ko) | 향보유량과 향보류성이 증진된 향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 |
KR102687776B1 (ko) | 소리 발생 향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 |
KR102687777B1 (ko) | 담배 풍미가 향상된 흡연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2639269B1 (ko) | 향 지속성이 증진된 흡연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 |
EP4338602A1 (en) | Flavor sheet having improved surface roughness, smoking article comprising same, and respective methods for producing same | |
KR102605497B1 (ko) | 담배추출물시트,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 |
RU2833403C2 (ru) |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с улучшенной стойкостью аромат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 |
KR102628986B1 (ko) | Lm-펙틴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용 향료 함유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8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