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87773B1 - 와인 칠러 - Google Patents

와인 칠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7773B1
KR102687773B1 KR1020210113603A KR20210113603A KR102687773B1 KR 102687773 B1 KR102687773 B1 KR 102687773B1 KR 1020210113603 A KR1020210113603 A KR 1020210113603A KR 20210113603 A KR20210113603 A KR 20210113603A KR 102687773 B1 KR102687773 B1 KR 102687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e
thermoelectric module
condensate
unit
coo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3091A (ko
Inventor
김서영
박성훈
장동현
Original Assignee
하이리움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리움산업(주) filed Critical 하이리움산업(주)
Priority to KR1020210113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7773B1/ko
Publication of KR20230033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7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77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5Removal of heat
    • F25B2321/0251Removal of heat by a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5Removal of heat
    • F25B2321/0252Removal of heat by liquids or two-phase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와인 칠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인 칠러는, 와인병이 수용되는 수용부, 전면부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부 내부 공간으로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열전모듈, 상기 열전모듈의 냉각면 측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면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상기 유입구로 공급하기 위한 냉각팬, 및 상기 열전모듈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수용부 내부 공간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와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수용부 내부 공간의 온도를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인 칠러{Wine chiller}
본 발명은 와인 칠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직접 온도를 설정하지 않아도 와인 종류별로 다른 최적 온도로 자동으로 냉각시킬 수 있으면서, 냉각에 따라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응축수를 활용하여 냉각장치(예컨대, 열전모듈)에 대한 방열 효율을 향상시켜 결과적으로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와인 칠러에 관한 것이다.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 및 제백효과(Seebeck Effect)의 흡열 및 발열을 이용한 열전소자를 사용하여 냉각 또는 발열을 수행하는 열전모듈을 이용하여 음료나 주류 등의 용기를 필요에 따라 냉각(냉장) 또는 가열(온장)할 수 있는 컵홀더나 냉온장 장치 등의 보급이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와인의 경우 다른 음료나 주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도에 민감한 편이다. 보통 대부분의 와인이 상온에 비해 낮은 온도로 냉각되어야 최적의 맛을 즐길 수 있어, 와인을 마시는 도중에는 와인 병을 얼음 등이 담긴 용기에 넣은 상태로 보관하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얼음을 이용한 와인병의 냉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얼음이 녹게 되어 일정한 온도 유지에 어려움이 있고, 얼음이 녹으면서 와인병의 표면이 젖게 되어 와인병에서 와인을 추가로 따를 때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와인의 종류(예컨대, 레드 와인, 화이트 와인, 스파클링 와인 등)에 따라서도 최적의 맛을 내는 온도가 각기 다르지만, 종래의 얼음을 이용한 냉장보관 방식은 이러한 온도를 각각 맞추기는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음료 또는 음료 용기(병, 캔 등)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들이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들은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어, 사용자가 와인의 종류별 최적 온도를 일일이 외우고 있어햐 함은 물론 온도 수치를 직접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와인의 종류만 알고 있으면 와인 종류별 최적 온도를 자동으로 맞추어 냉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한편 전술한 열전모듈을 냉각장치로 사용할 경우, 열전모듈의 냉각면의 반대면은 열을 발산하는 발열면으로 동작하게 되는데, 이 발열면에 대한 방열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는 경우 냉각 효율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어 열전모듈의 사용에 있어 방열이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종래에는 열전모듈을 이용한 음료 냉각장치들은 단순히 방열블록이나 방열핀, 히트 파이프 등을 통한 열교환에 그치거나, 소정의 팬을 구비하여 방열블록 등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공랙식 냉각에 그치고 있어 열전모듈의 냉각효율을 충분히 활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간편한 방식으로 열전모듈의 발열면에 대한 방열 효율을 높이고, 이에 따라 열전모듈의 냉각 효율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 10-1084001, "마이컴을 통한 음료, 주류 휴대용 저온보관장치")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사용자가 직접 온도를 설정하지 않아도 와인 종류별로 다른 최적 온도로 자동으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냉각에 따라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응축수를 활용하여 냉각장치(예컨대, 열전모듈)에 대한 방열 효율을 향상시켜 결과적으로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인 칠러는, 와인병이 수용되는 수용부, 전면부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부 내부 공간으로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열전모듈, 상기 열전모듈의 냉각면 측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면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상기 유입구로 공급하기 위한 냉각팬, 및 상기 열전모듈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수용부 내부 공간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와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수용부 내부 공간의 온도를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열전모듈의 가열면에 결합되는 방열부, 및 상기 열전모듈의 냉각면에 생성되는 응축수가 수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는 응축수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열부는, 하단 일부가 상기 응축수 케이스에 수집된 응축수에 잠길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케이스는, 상기 수용부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상기 수용부 내부 공간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상기 응축수 케이스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내부 공간의 바닥면이 상기 응축수 케이스 방향을 향해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후면에 외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흡입구, 및 흡입된 외부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양 측면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열부를 향해 구동되는 흡입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방열부를 지나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흡입팬의 후면측에 구비되어 흡입되는 외부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와인병이 수용되는 경우, 수용된 와인병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와 밀착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인 칠러는, 와인병이 수용되는 수용부, 전면부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부 내부 공간으로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열전모듈, 상기 열전모듈의 냉각면 측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면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상기 유입구로 공급하기 위한 냉각팬, 및 상기 열전모듈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수용부 내부 공간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열전모듈의 가열면에 결합되는 방열부, 및 상기 열전모듈의 냉각면에서 생성되는 응축수가 수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는 응축수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부는, 하단 일부가 상기 응축수 케이스에 수집된 응축수에 잠길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사용자가 구체적인 온도 수치를 기억하고 입력하지 않더라도, 와인의 종류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와인 종류별 최적 온도로 냉각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인병이 수용되는 수용부의 상단에 수용된 와인병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덮개부를 통해,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서 냉각된 공기의 유출을 최소화하여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전모듈의 냉각면이나 수용부의 내부 공간에서 냉각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응축수를 열전모듈의 방열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방열 효율이 향상되면서 열전모듈의 냉각효과 또한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인 칠러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인 칠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인 칠러의 응축수 활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인 칠러의 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인 칠러의 전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인 칠러의 구현 예를 나타내며,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인 칠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인 칠러(1)는 와인병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100)와, 전면부가 상기 수용부(100)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1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200), 및 상기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110)를 통해 상기 수용부(100) 내부 공간으로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와인병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100)는 일측에 상기 구동부(210)로부터 냉각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200)은 전면부가 상기 유입구(1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10)는 열전모듈(211), 상기 열전모듈(211)의 냉각면 측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면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상기 유입구로 공급하기 위한 냉각팬(213), 및/또는 상기 열전모듈(211)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수용부(100) 내부 공간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모듈(211)은 적어도 하나의 열전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열전소자는 양단에 전류를 흘리면 전하를 따라 열이 이동하여 한쪽은 냉각이 되고, 다른 쪽은 가열이 되는 펠티어 효과를 이용하여 전류를 이용한 냉각장치 및/또는 발열장치를 만드는데 주로 사용되는 소자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열전소자를 사용한 열전모듈(211)을 통해 상기 수용부(100)의 내부 공간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비교적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214)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와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수용부(100) 내부 공간의 온도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연산 및 타 구성(예컨대, 열전모듈(211), 냉각팬(213), 및/또는 흡입팬(215)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14)는 프로세서, 저장장치, 및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CPU, GPU, MCU, APU, 마이크로프로세서, 싱글 코어 CPU혹은 멀티 코어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214)로 하여금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와인 칠러(1) 및/또는 제어부(214)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한다고 함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수행하는 일련의 데이터 처리 및/또는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인 칠러(1)에서 상기 제어부(214)는 상기 수용부(100)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입력부(214-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용부(100)에 수용될 와인의 종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부(214-1)는 터치패널, 또는 각종 스위치를 사용한 장치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14-1)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인의 종류를 입력받는 것 뿐만 아니라, 상기 와인 칠러(1)의 전원을 on/off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또는 전원 패널)를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214)는 상기 입력부(214-1)에 상기 수용부(100) 내부의 현재 온도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214)는 상기 수용부(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소정의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와인의 종류는 예컨대, 화이트 와인, 레드 와인, 및/또는 스파클링 와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와인은 그 종류에 따라 최적의 맛을 내는 온도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드 와인은 약 13℃, 화이트 와인은 약 8℃, 스파클링 와인은 약 6℃를 유지할 경우 각각 최적의 맛을 낼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4)는 와인의 종류별로 각각 설정된 최적 온도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입력부(214-1)로부터 입력되는 와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수용부(100)의 내부 공간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어부(214)가 상기 수용부(100)의 내부 공간 온도를 제어한다고 함은, 상기 수용부(100) 내부 공간의 온도가 반드시 설정된 온도와 정확히 일치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예컨대, 사용자가 레드 와인이 담긴 와인병을 상기 수용부(100)에 수용한 경우, 레드 와인에 상응하는 설정온도는 13℃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14)는 상기 수용부(100)의 내부 공간 온도가 13℃를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 내를 유지하도록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214)는 상기 수용부(100)의 내부 공간 온도가 약 12℃ ~ 14℃ 범위를 유지하도록 상기 열전모듈(211) 및/또는 상기 냉각팬(213)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4)가 상기 수용부(100)의 내부 공간 온도를 제어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센서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제어부(214)는 측정되는 상기 수용부(100)의 내부 공간 온도에 따라 상기 열전모듈(21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214)는 입력되는 와인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패턴으로 상기 열전모듈(211)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수용부(100)의 내부 공간 온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14)는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온도를 필요로 하는 와인 (예컨대, 스파클링 와인)을 기준으로 하여, 스파클링 와인의 경우 상기 열전모듈(211)이 100% 구동율로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와인의 종류가 화이트 와인인 경우에는, 와인병이 수용된 초기 소정의 시간(예컨대, 약 30분)동안 상기 열전모듈(211)이 100% 구동되도록 한 후, 이후에는 상기 열전모듈(211)이 대략 90%의 구동율로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인의 종류가 레드 와인인 경우, 초기에는 소정의 시간(예컨대, 약 30분) 동안 상기 열전모듈(211)이 100% 구동되도록 한 후, 이후에는 상기 열전모듈(211)이 대략 80%의 구동율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열전모듈(211)의 구동율 및/또는 최대 구동되는 시간 등은 상기 열전모듈(211)의 성능이나 기타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사용자는 와인병이 수용될 상기 수용부(100) 내부 온도 조절을 위해 와인의 종류별 구체적인 온도를 직접 입력하지 않더라도, 와인의 종류만 알고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214)에 의해 와인 종류에 따른 최적 온도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구동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열전모듈(211) 및 상기 냉각팬(213)이 구동되면, 상기 열전모듈(211)의 냉각면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상기 수용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냉각팬(213)의 구동으로 인해 상기 수용부(100)의 내부 공간에서 냉각된 공기가 대류하면서, 수용된 와인병을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전모듈(211)의 한 면이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되면서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다. 응축수는 상기 열전모듈(211)의 냉각면뿐 아니라, 냉각된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수용부(100)의 내부 공간에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상기 열전모듈(211)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상기 열전모듈(211)의 발열면에 대한 방열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인 칠러의 응축수 활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인 칠러(1)에서, 상기 구동부(210)에는 상기 열전모듈(211)의 가열면에 결합되는 방열부(212)와, 상기 열전모듈(211) 냉각면에 생성되는 응축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0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응축수 케이스(21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열부(212)는 하단의 일부가 상기 응축수 케이스(216)에 수집된 응축수에 잠길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결과적으로 상기 와인 칠러(1)는 와인 칠러(1)의 사용으로 인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상기 방열부(212)에 대한 수냉각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어, 상기 방열부(212)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열부(212)는 상기 열전모듈(211)의 발열면에 밀착되어 상기 발열면과 외부 공기 간의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212)는 금속블록의 형태나, 복수 개의 금속 박판들이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열전모듈(211)의 냉각면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00)의 유입구(110) 및 상기 하우징(200)이 결합되는 위치에서 상기 응축수 케이스(216)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유입구(110)측과 상기 응축수 케이스(216)를 연결하는 응축수 유도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응축수 유도관(미도시)이 별도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열전모듈(211)의 냉각면으로부터 응축수가 상기 응축수 케이스(216)로 직접 떨어지도록 상기 응축수 케이스(216)의 상부 일부가 개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전모듈(211)의 냉각면은 물론, 상기 수용부(100) 내부 공간 역시 냉각되면서 상기 수용부(100)의 내벽 및/또는 수용되어 있는 와인병의 표면에도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수용부(100)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는 상기 수용부(100)의 바닥면에 고이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응축수 케이스(216)는 일측이 상기 수용부(100)의 하단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수용부(100)의 바닥면에 고인 응축수가 상기 응축수 케이스(216)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응축수는 비교적 차가운 온도를 가지고 있어, 열전도율이 높은 상기 방열부(212)의 일부분이라도 상기 응축수에 담겨있을 경우 상기 열전모듈(211)의 발열면에 대한 방열 효과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측에 외부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220)가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흡입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토출구(23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구동부(210)에는 상기 하우징(200) 내부에 상기 방열부(212)를 향해 구동되는 흡입팬(215)이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흡입팬(215)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방열부(212)를 향해 보내면서 상기 방열부(212)에 대한 공냉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방열부(212)를 거친 더운 공기는 상기 토출구(230)를 통해 토출되면서 상기 수용부(100) 내부의 냉각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흡입팬(215)의 후면측에 소정의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토출구(23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일정 수준 정화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인 칠러(1)가 와인 칠러로써의 기능은 물론, 부가적으로 소규모 공기청정기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필터는 예컨대, 널리 사용되고 있는 헤파 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와인 칠러(1)의 구동으로 최적의 온도로 냉각된 와인을 즐기면서, 주변 소정 범위에 대한 공기청정 기능까지 누릴 수 있는 만족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수용부(100)는 내부 공간에서 대류하는 냉각된 공기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덮개부(1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가 도 5에 도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인 칠러의 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100)의 상단에는 상기 수용부(100)에 와인병이 수용되는 경우 수용된 와인병의 외주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덮개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120)는 와인병이 상기 수용부(100)에 수용되어 냉각될 때, 상기 수용부(100)의 내부 공간에서 대류하는 냉각된 공기가 상기 수용부(100)의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덮개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00)의 상단 내주면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덮개들이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덮개부(120)가 상기 수용부(100)의 상단 내주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냉각팬(213)에 의해 상기 수용부(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조금씩 외부로 유출되면서 공기의 순환이 일어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120)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인 칠러(1)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인 칠러의 전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인 칠러(1)는 상기 구동부(210)의 하부에 배터리(300)를 내장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별도의 전원 케이블을 연결할 필요없이 용이하고 편리하게 와인 칠러(1)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센트가 마련되지 않은 야외나 기타 공간에서 와인을 마시고자 할 때에도, 상기 와인 칠러(1)는 상기 배터리(300)를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어 어디서든 사용자가 최적의 온도로 칠링된 와인을 즐길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와인병이 수용되는 수용부;
    전면부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부 내부 공간으로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열전모듈;
    상기 열전모듈의 냉각면 측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면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상기 유입구로 공급하기 위한 냉각팬; 및
    상기 열전모듈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수용부 내부 공간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열전모듈의 가열면에 결합되는 방열부; 및
    상기 열전모듈의 냉각면에 생성되는 응축수가 수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는 응축수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는,
    하단 일부가 상기 응축수 케이스에 수집된 응축수에 잠길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응축수 케이스는,
    상기 수용부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상기 수용부 내부 공간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상기 응축수 케이스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칠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내부 공간의 바닥면이 상기 응축수 케이스 방향을 향해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칠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후면에 외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흡입구; 및
    흡입된 외부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양 측면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열부를 향해 구동되는 흡입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방열부를 지나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칠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흡입팬의 후면측에 구비되어 흡입되는 외부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와인 칠러.
  7. 삭제
  8. 삭제
KR1020210113603A 2021-08-27 2021-08-27 와인 칠러 Active KR102687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603A KR102687773B1 (ko) 2021-08-27 2021-08-27 와인 칠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603A KR102687773B1 (ko) 2021-08-27 2021-08-27 와인 칠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091A KR20230033091A (ko) 2023-03-08
KR102687773B1 true KR102687773B1 (ko) 2024-07-25

Family

ID=85508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603A Active KR102687773B1 (ko) 2021-08-27 2021-08-27 와인 칠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77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245B1 (ko) 2001-10-19 2005-03-16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품 저장고와 그 제어방법
KR100860929B1 (ko) * 2007-06-23 2008-09-29 이진영 음용수 냉각기
KR101323876B1 (ko) 2013-06-19 2013-10-30 주식회사 아맥스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
US20180080700A1 (en) * 2016-09-19 2018-03-22 Corey M. Cooper Cylindrical cool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854A (ko) * 2008-08-28 2010-03-10 (주)거우엔지니어링 소형 냉장고
KR101084001B1 (ko) 2010-08-16 2011-11-16 정강용 마이컴을 통한 음료·주류 휴대용 저온보관장치
KR20190064165A (ko) * 2017-11-30 2019-06-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인과 화장품 저장이 가능한 저온 저장장치
KR102631643B1 (ko) * 2018-12-21 2024-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인 셀러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744974B1 (ko) * 2019-07-22 2024-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인 냉장고에 탑재된 인공 지능 장치
KR20210102755A (ko) * 2020-02-12 2021-08-20 퓨트로텍 주식회사 에어 컨디셔닝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245B1 (ko) 2001-10-19 2005-03-16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품 저장고와 그 제어방법
KR100860929B1 (ko) * 2007-06-23 2008-09-29 이진영 음용수 냉각기
KR101323876B1 (ko) 2013-06-19 2013-10-30 주식회사 아맥스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
US20180080700A1 (en) * 2016-09-19 2018-03-22 Corey M. Cooper Cylindrical coo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091A (ko) 202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2446B2 (ja) 空気の流れを最適化したフードチラー
CN108626932B (zh) 冰箱
EP1604156B1 (en) Food chiller with ductless air circulation
JP3874343B2 (ja) 食物冷却装置
US6658858B1 (en) Food chiller with enclosing air duct system (SE-2)
KR20190062946A (ko) 냉온장고
JP4422613B2 (ja) 省スペースフードチラー
CN108626933B (zh) 冰箱
KR101836672B1 (ko) 냉온장 컵홀더
EA012237B1 (ru) Охлаждение выдачной линии
KR20120066212A (ko) 자동차의 냉온장고
KR102687773B1 (ko) 와인 칠러
KR101826874B1 (ko) 정수 공급 장치
RU261232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или замораживания емкости
KR101647640B1 (ko) 정수 공급 장치
KR20110023942A (ko) 액체 냉각 장치
JP6614836B2 (ja) 保冷米びつ装置
CN103822425B (zh) 冰箱速冷装置
KR20220086877A (ko) 초소형 냉난방장치
KR102359787B1 (ko) 정수기
KR102413202B1 (ko) 정수기
CN114165940B (zh) 一种半导体冷热组件、低温设备及控制方法
KR101527543B1 (ko) 정수 공급 장치
KR200274901Y1 (ko) 음료수 및 주류 용기 수납기
JP3751710B2 (ja) 熱電モジュール式電気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206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7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