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86879B1 - 레티놀과 콜라겐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법 - Google Patents

레티놀과 콜라겐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6879B1
KR102686879B1 KR1020240036359A KR20240036359A KR102686879B1 KR 102686879 B1 KR102686879 B1 KR 102686879B1 KR 1020240036359 A KR1020240036359 A KR 1020240036359A KR 20240036359 A KR20240036359 A KR 20240036359A KR 102686879 B1 KR102686879 B1 KR 102686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temperature
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3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화
Original Assignee
(주) 라이프위드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라이프위드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 라이프위드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40036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6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6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687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레티놀과 콜라겐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법{Wrinkle and pore improvement composition containing retinol and collagen active ingredien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레티놀과 콜라겐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제일 바깥층부터 표피, 진피, 피하지방층으로 나뉘며 표피의 가장 밑부분에는 기저층(Keratinocyte)이 있고, 이곳에서 계속해서 세포분화가 일어나며 분화된 세포는 유극층, 과립층 그리고, 죽은 세포인 각질층을 거쳐 탈락되며,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28일을 주기로 반복된다 이러한 주기가 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하면 각질층이 두꺼워지고 피부가 거칠어지는 원인이 된다.
또한, 모공 주위에서는 이러한 각질이 모공의 입구를 막아 분비된 피지가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모공 안에서 굳어 화이트헤드와 블랙헤드를 거쳐 여드름으로 발전하기도 하며 화농성균에 감염되어 염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특히, 모공(hair follicle)은 털이 자라나는 구멍으로 피지선과도 연결되어 있어 피지선에서 만들어 내는 피지가 모공을 통해 피부 표면으로 나오게 되며, 모공의 지름은 대략 0.02 내지 0.05mm 정도지만, 계절, 나이 등에 의해서 늘어나기도 하는데, 모공은 손바닥, 발바닥, 입술 등을 제외하고는 전신 피부에 존재하며, 주로 얼굴, 목, 가슴에 많이 분포한다.
모공이 넓어지는 이유로는 피부의 노화를 들 수 있는데, 피부의 노화는 모공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콜라겐 섬유와 탄력 섬유의 변성이나 감소에 영향을 준다. 그 결과, 모공을 지지해 주는 힘이 부족하게 되면서 모공은 자연스럽게 넓어진다. 모공이 넓어지면 미용적으로도 나쁜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넓어진 모공으로 세균들이 침입하기 쉬우므로 피부트러블을 유발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7716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늘어진 모공 개선, 모공 탄력 개선 효과,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레티놀과 콜라겐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련추출물 0.3-0.5 중량부, 한련초추출물 0.3-0.5 중량부, 아이비고드열매추출물 0.01-0.03 중량부, 향기제비꽃/잎추출물 0.01-0.03 중량부, 서양송악잎/줄기추출물 0.01-0.03 중량부, 지치뿌리추출물 0.01-0.03 중량부, 스피어민트추출물 0.01-0.03 중량부,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추출물 0.01-0.03 중량부, 석류추출물 0.01-0.03 중량부, 허니로커스트씨추출물 0.01-0.03 중량부, 광곽향오일 0.001-0.003 중량부, 팔마로사오일 0.001-0.003 중량부, 라반딘오일 0.001-0.003 중량부, 로즈마리잎오일 0.001-0.003 중량부, 마카다미아씨오일 0.001-0.003 중량부, 락토바실러스발효물 3-5 중량부, 글루코노락톤 0.4-0.6 중량부, 메틸프로판다이올 2-4 중량부, 글리세린 4-6 중량부, 프로판다이올 2-4 중량부, 폴리글리세린-3 0.4-0.6 중량부, 트로메타민 0.07-0.09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1-3 중량부, 1,2-헥산다이올 0.09-0.11 중량부, 수용성콜라겐 1-3 중량부, C12-14알케스-12 0.1-0.3 중량부, 다이메티콘 0.1-0.3 중량부, 메틸글루세스-20 0.1-0.3 중량부, 메틸글루세스-10 0.1-0.3 중량부, 글리세레스-26 0.04-0.06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2-0.4 중량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0.01-0.03 중량부, 소듐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 0.01-0.03 중량부, 레시틴 0.4-0.6 중량부,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01-0.03 중량부, 석시닉애씨드 0.01-0.03 중량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2-0.4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2-0.4 중량부, 알란토인 0.6-0.8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0.1-0.3 중량부, 아데노신 0.9-1.1 중량부,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03-0.05 중량부, 폴리락틱애씨드 0.03-0.05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03-0.0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0.004-0.006 중량부, 콜레스테롤 0.4-0.6 중량부, 실리카 0.4-0.6 중량부, 레틴알 0.4-0.6 중량부, 유채스테롤 0.4-0.6 중량부, 세테스-5 0.05-0.07 중량부, 세테스-3 0.03-0.05 중량부,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0.004-0.006,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0.004-0.006, 바쿠치올 0.4-0.6 중량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04-0.006 및 정제수 71.87-71.89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은 발효추출물 1-3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효추출물은,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세척하고, 48-5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118-122℃의 온도에서 18-2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 48-52 중량부 및 비수리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셀룰라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78-82℃의 온도로 가열하고, 18-22℃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사카로마이세스 코리아누스(Saccharomyces coreanus)를 포함하는 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정제수 38-42 중량부를 첨가하고, 118-122℃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비수리추출액은,
비수리를 세척하고, 48-5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비수리를 118-122℃의 온도에서 18-2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비수리를 분쇄한 비수리분말 8-12 중량부 및 정제수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98-102℃의 온도로 가열하여 22-26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수리를 세척하고, 48-5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비수리를 118-122℃의 온도에서 18-2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비수리를 분쇄한 비수리분말 8-12 중량부 및 정제수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98-102℃의 온도로 가열하여 22-26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수리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세척하고, 48-5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118-122℃의 온도에서 18-2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상기 비수리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셀룰라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78-82℃의 온도로 가열하고, 18-22℃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사카로마이세스 코리아누스(Saccharomyces coreanus)를 포함하는 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정제수 38-42 중량부를 첨가하고, 118-122℃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추출물 1.9-2.1 중량부, 황련추출물 0.3-0.5 중량부, 한련초추출물 0.3-0.5 중량부, 아이비고드열매추출물 0.01-0.03 중량부, 향기제비꽃/잎추출물 0.01-0.03 중량부, 서양송악잎/줄기추출물 0.01-0.03 중량부, 지치뿌리추출물 0.01-0.03 중량부, 스피어민트추출물 0.01-0.03 중량부,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추출물 0.01-0.03 중량부, 석류추출물 0.01-0.03 중량부, 허니로커스트씨추출물 0.01-0.03 중량부, 광곽향오일 0.001-0.003 중량부, 팔마로사오일 0.001-0.003 중량부, 라반딘오일 0.001-0.003 중량부, 로즈마리잎오일 0.001-0.003 중량부, 마카다미아씨오일 0.001-0.003 중량부, 락토바실러스발효물 3-5 중량부, 글루코노락톤 0.4-0.6 중량부, 메틸프로판다이올 2-4 중량부, 글리세린 4-6 중량부, 프로판다이올 2-4 중량부, 폴리글리세린-3 0.4-0.6 중량부, 트로메타민 0.07-0.09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1-3 중량부, 1,2-헥산다이올 0.09-0.11 중량부, 수용성콜라겐 1-3 중량부, C12-14알케스-12 0.1-0.3 중량부, 다이메티콘 0.1-0.3 중량부, 메틸글루세스-20 0.1-0.3 중량부, 메틸글루세스-10 0.1-0.3 중량부, 글리세레스-26 0.04-0.06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2-0.4 중량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0.01-0.03 중량부, 소듐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 0.01-0.03 중량부, 레시틴 0.4-0.6 중량부,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01-0.03 중량부, 석시닉애씨드 0.01-0.03 중량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2-0.4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2-0.4 중량부, 알란토인 0.6-0.8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0.1-0.3 중량부, 아데노신 0.9-1.1 중량부,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03-0.05 중량부, 폴리락틱애씨드 0.03-0.05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03-0.0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0.004-0.006 중량부, 콜레스테롤 0.4-0.6 중량부, 실리카 0.4-0.6 중량부, 레틴알 0.4-0.6 중량부, 유채스테롤 0.4-0.6 중량부, 세테스-5 0.05-0.07 중량부, 세테스-3 0.03-0.05 중량부,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0.004-0.006,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0.004-0.006, 바쿠치올 0.4-0.6 중량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04-0.006 및 정제수 71.87-71.89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은 늘어진 모공 개선, 모공 탄력 개선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은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량되어 기능성이 우수하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차, 2차,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은
황련추출물 0.3-0.5 중량부, 한련초추출물 0.3-0.5 중량부, 아이비고드열매추출물 0.01-0.03 중량부, 향기제비꽃/잎추출물 0.01-0.03 중량부, 서양송악잎/줄기추출물 0.01-0.03 중량부, 지치뿌리추출물 0.01-0.03 중량부, 스피어민트추출물 0.01-0.03 중량부,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추출물 0.01-0.03 중량부, 석류추출물 0.01-0.03 중량부, 허니로커스트씨추출물 0.01-0.03 중량부, 광곽향오일 0.001-0.003 중량부, 팔마로사오일 0.001-0.003 중량부, 라반딘오일 0.001-0.003 중량부, 로즈마리잎오일 0.001-0.003 중량부, 마카다미아씨오일 0.001-0.003 중량부, 락토바실러스발효물 3-5 중량부, 글루코노락톤 0.4-0.6 중량부, 메틸프로판다이올 2-4 중량부, 글리세린 4-6 중량부, 프로판다이올 2-4 중량부, 폴리글리세린-3 0.4-0.6 중량부, 트로메타민 0.07-0.09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1-3 중량부, 1,2-헥산다이올 0.09-0.11 중량부, 수용성콜라겐 1-3 중량부, C12-14알케스-12 0.1-0.3 중량부, 다이메티콘 0.1-0.3 중량부, 메틸글루세스-20 0.1-0.3 중량부, 메틸글루세스-10 0.1-0.3 중량부, 글리세레스-26 0.04-0.06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2-0.4 중량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0.01-0.03 중량부, 소듐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 0.01-0.03 중량부, 레시틴 0.4-0.6 중량부,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01-0.03 중량부, 석시닉애씨드 0.01-0.03 중량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2-0.4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2-0.4 중량부, 알란토인 0.6-0.8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0.1-0.3 중량부, 아데노신 0.9-1.1 중량부,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03-0.05 중량부, 폴리락틱애씨드 0.03-0.05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03-0.0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0.004-0.006 중량부, 콜레스테롤 0.4-0.6 중량부, 실리카 0.4-0.6 중량부, 레틴알 0.4-0.6 중량부, 유채스테롤 0.4-0.6 중량부, 세테스-5 0.05-0.07 중량부, 세테스-3 0.03-0.05 중량부,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0.004-0.006,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0.004-0.006, 바쿠치올 0.4-0.6 중량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04-0.006 및 정제수 71.87-71.89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황련추출물은 강황으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황련(黃連)은 중국 원산이며 생약용으로 한국·일본·중국 등지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산지의 수림 그늘의 습진 땅에서 자란다. 땅속줄기는 굵고 옆으로 뻗으며 많은 수염뿌리가 나고 줄기 끝에 뿌리잎 4~5개가 나며 길이 10∼27cm이며, 건위, 진정, 소염, 항균 등의 효능이 있다. 상기 황련추출물을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한련초추출물은 한련초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한련초(Eclipta prostrate)는 높이 10~70 cm되는 국화과의 한해살이 초본이다. 우리 나라 제주도, 남부지방, 중부지방의 콩밭에 많이 발생하는 식물이다. 예로부터 혈류량 촉진, 진통, 면역, 피부염, 모발 성장 촉진 및 피부가 갈라지는 피부염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한련초추출물을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아이비고드열매추출물, 향기제비꽃/잎추출물, 서양송악잎/줄기추출물, 지치뿌리추출물, 스피어민트추출물,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추출물, 석류추출물, 및 허니로커스트씨추출물은 피부 보습, 모공 개선, 피부 탄력 효과를 보조하여 주는 화장료 성분으로 적용된다.
상기 광곽향오일, 팔마로사오일, 라반딘오일, 로즈마리잎오일 및 마카다미아씨오일은 피부 보습, 모공 개선, 피부 탄력 효과를 보조하여 주는 화장료 성분으로 적용된다.
발효물은 크게 발효여과물 (Ferment Filtrate)과 발효용해물 (Ferment Lysate)로 분류될 수 있는데 발효여과물은 발효가 완료된 후 여과장치를 통해 미생물을 제거한 상등액 (supernatant)를 활용하는 것이고 발효용해물은 발효 완료 후 미생물을 열, pH, 효소 (Lysozyme) 고압 등을 활용하여 균을 사멸하여 활용하는 방법이다.
상기 락토바실러스발효물은 락토바실러스속 균주를 배지에서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액으로,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Lactobacillus pentos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및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등일 수 있다.
글루코노락톤은 광노화 증세 및 민감한 피부에 효과적이며, 수분 보습력을 증대시켜 피부 방어막 역할의 컨디셔닝 효과를 주고, 주름 부위, 피부 퍼밍, 모공관리에 효과적인 적인 원료이다.
글리세린은 야자유나 팜유 등으로부터 추출되며, 무색, 무향의 점도 높은 수용성 액체이다. 글리세린은 수분을 끌어들이는 성질을 가지므로, 피부에 도포 시 표피가 수분을 함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피부를 부드럽고 매끄럽게 하며, 진정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글리세린은 우수한 보습력을 가지고 있으며 피부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프로판다이올은 옥수수에서 얻는 성분으로, 보습, 컨디셔닝, 유화안정, 점도조절 효과가 있고, 피부 자극이 거의 없다.
폴리글리세린-3은 3개의 글리세린 단위체를 갖는 글리세린 폴리머 성분으로, 피부에 보습력을 부여하여 피부가 수분을 간직하도록 도움을 주어 촉촉한 피부로 유지할 수 있다.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비타민B군인 나이아신류의 일종으로,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니코틴아마이드라고도 알려진 수용성 비타민 B3이다.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적용하여 멜라닌 합성과 피부 명암에 관련된 많은 효소들의 활성이 가능하여 피부 개선에 효과적이다.
수용성콜라겐은 어류, 히알루론산, 포유동물(돼지, 소, 닭 등), 효모, 과일, 채소, 버섯 등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수용성콜라겐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콜라겐은 300 Da 내지 100 KDa의 분자량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성 콜라겐은 예를 들어, 300 Da 내지 100 KDa, 300 Da 내지 50 KDa, 300 Da 내지 10 KDa, 500 Da 내지 1 KDa, 700 Da
내지 1 KDa 또는 1 KDa 내지 100 KDa의 분자량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콜라겐을 포함하여 피부 노화 억제, 개선, 피부 탄력, 피부 보습에 도움을 준다.
다이메티콘은 실리콘의 일종으로 비휘발성, 선형 실리콘이다. 연화제로 적용하여 수분 손실을 방지하여 피부 보습에 효과적이다.
메틸글루세스-20 및 메틸글루세스-10은 메칠글루코시드에 산화에칠렌을 부가중합한 성분으로, 피부의 수분을 유지하여 건조함을 예방해준다.
글리세레스-26은 평균 에톡실화 값 26인 글리세린으로 된 폴리에틸렌글라이콜에터로, 피부에 보습막을 형성하고 피부 보습력 유지에 도움을 준다.
레시틴(Lecithin)은 글리세롤인지질의 하나로, 동식물의 세포 중에 존재하는 생체막구성성분으로 유량 종자 또는 난황에서 얻어지고 있다.
알란토인은 컴프리 뿌리에서 추출 및 정제하여 얻을 수 있는 성분으로, 피부 알레르기를 유발하지 않으며 피부 보습에 효과적이다.
아데노신은 세포 구성 성분에서 아데닌(Adenine)과 리보스(Ribose) 성분이 결합한 화합물로 RNA나 많은 조효소의 구성 성분으로 동·식물과 미생물 등 모든 생명체 세포에 존재하는 아미노산 계열의 단백질 성분으로서, 아데노신은 인체세포내의 성분으로 피부에 침투시 안정성과 지속력이 무척 우수한 원료로 빛이나 열에도 우수한 안정성을 가진다. 또한 피부 진피층 내에서 DNA와 단백질 합성을 활성화시켜 피부세포 자생력을 회복시키고 진피층 내 섬유아세포의 증식 강화와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킴으로써 피부 탄력을 개선한다.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은 레시틴의 구조에서 알킬기의 이중결합에 수소가 첨가되어 단일결합으로 된 구조이다. 알킬기 이중결합이 남아 있으면 부분 수첨이라고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알킬기가 단일결합으로 된 구조를 말한다.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적용하여 피부가 건조해져 각질이 생기는 현상을 줄이고 탄력을 회복시킨다.
콜레스테롤(cholesterol)은 동물세포의 세포막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기본 물질로, 식물에서는 합성되지 않고 동물에서만 합성된다. 이러한 콜레스테롤은 세포막을 만드는데 필요하다.
실리카는 규소와 산소가 만나서 만들어지는 무기 산화물로 흙과 광물에서 얻을 수 있다. 상기 실리카는 비결정질 실리카로, 피부의 유분을 흡수하고 피지를 조절하여 모공 관리에 도움을 준다.
레틴알은 레티놀 유도체의 하나이며 레티노산으로 변화하기 전 단계로 레틴알데히드 또는 레티날이라고도 불린다. 상기 레틴알을 적용하여 피부 유분을 조절하여 준다.
유채스테롤(BRASSICA CAMPESTRIS (RAPESEED) STEROLS)은 서양 유채에서 추출한 식물성 콜레스테롤로 기존에 사용했던 동물성 스테롤과는 구분되는 성분으로, 유채스테롤을 적용하여 피부 탄력에 도움을 준다.
세테스-5 및 세테스-3은 폴리에틸렌글리콜 세틸에테르이다.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는 페놀성 항산화제로 BHT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분자량이 1178로 BHT(분자량: 220)보다 매우 커서 고온에서의 휘발성이 낮기 때문에 고온 안정성이 우수하고, 광산화 과정 동안 Stilbenquinones으로 변하는 BHT와는 달리 광산화가 일어나도 거의 색깔이 없는 비공유 Bisquinonemethide로 전환되기 때문에, Stilbenquinones과는 달리 광산화 과정 중 산소나 빛에 의해 높아진 에너지를 천천히 방출함으로써 제품의 산화를 방지하고 변색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바쿠치올(Bakuchiol)은 아시아 지역 아유르베다와 중국 의학에서 사용되어온 야생 식물에서 추출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바쿠치올을 적용하여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효과에 도움을 준다.
또한, 상기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은 발효추출물 1-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발효추출물은,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세척하고, 48-5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118-122℃의 온도에서 18-2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 48-52 중량부 및 비수리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셀룰라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78-82℃의 온도로 가열하고, 18-22℃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사카로마이세스 코리아누스(Saccharomyces coreanus)를 포함하는 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정제수 38-42 중량부를 첨가하고, 118-122℃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뽕나무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유효성분으로 물베르린, 물베르로크로멘, 시클로물베르린, 시클로무베르로크로멘, 기타 스코포레틴, 움벨리페론, 트리고넬린, 타닌질, 플라보노이드이 모루신, 트리테르페노이드인 α-β-아미린, 시토스테롤, 시토스테롤-d-글루코시드, 베툴린산, 아데닌, 베타인,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뽕나무뿌리를 이용한 발효추출물을 제공한다.
석류(Punicagranatum L.)는 아시아 서남부, 인도 북서부 및 미국 캘리포니아의 자생 식물로서, 현재는 아열대 및 열대 각지에 널리 퍼져있는 식물이다. 예로부터 석류, 특히 적석류는 강장제로 알려져 왔으며, 특히 고혈압과 동맥경화 예방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수용성 당질이 38 내지 47%로 다량 포함되어 있으며, 다양한 비타민과 미네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석류껍질을 이용한 발효추출물을 제공한다.
붉나무(Rhys javanica L.)는 옻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전국 각지의 야산에서 자생한다. 옻나무에 속하지만 독성은 없으며, 한방에서는 수렴, 지혈, 해독, 향균의 효력이 있어, 설사, 탈항,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도한, 유정, 혈변, 혈뇨, 구내염 등에 처방한다. 또한 붉나무의 뿌리와 잎을 염부목(鹽膚木)이라 부르며 해열 및 제독, 타박상, 지혈 등의 용도로 사용하여 왔다. 본 발명에서는 붉나무줄기를 이용한 발효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효추출물을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에 적용하고자 하며, 상기 발효추출물은 비수리추출액을 적용한 발효공정을 통해 유효성분인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현저히 증량시켜 추출하여 적용함으로써 기능성이 높다.
또한, 셀룰라아제를 이용한 1차 효소반응 후, 사카로마이세스 코리아누스 균주를 이용해 2차 발효시킴으로써 유효성분인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증량시킬 수 있다.
상기 비수리추출액은,
비수리를 세척하고, 48-5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비수리를 118-122℃의 온도에서 18-2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비수리를 분쇄한 비수리분말 8-12 중량부 및 정제수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98-102℃의 온도로 가열하여 22-26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비수리(Lespedeza cuneata G. Don)는 콩과(Leguminosae) 싸리속(Lespedeza)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야관문, 삼엽초 등의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며, 민간에서 기침, 천식, 양기부족 등의 치료에 쓰여 왔다. 뿌리를 포함한 전초는 약용으로 이용하며, 야관문의 생리활성 물질로는 피니톨(pinitol),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페놀(phenol) 성분이 있으며 자유라디칼(free radicals) 소거능과 항산화 작용 효과가 뛰어나고, 독성과 부작용이 전무하여 노화 방지 등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수리를 이용하여 추출한 비수리추출액을 발효공정에 적용하여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에 내재된 유효성분인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증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수리를 세척하고, 48-5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비수리를 118-122℃의 온도에서 18-2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비수리를 분쇄한 비수리분말 8-12 중량부 및 정제수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98-102℃의 온도로 가열하여 22-26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수리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세척하고, 48-5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118-122℃의 온도에서 18-2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상기 비수리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셀룰라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78-82℃의 온도로 가열하고, 18-22℃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사카로마이세스 코리아누스(Saccharomyces coreanus)를 포함하는 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정제수 38-42 중량부를 첨가하고, 118-122℃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추출물 1.9-2.1 중량부, 황련추출물 0.3-0.5 중량부, 한련초추출물 0.3-0.5 중량부, 아이비고드열매추출물 0.01-0.03 중량부, 향기제비꽃/잎추출물 0.01-0.03 중량부, 서양송악잎/줄기추출물 0.01-0.03 중량부, 지치뿌리추출물 0.01-0.03 중량부, 스피어민트추출물 0.01-0.03 중량부,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추출물 0.01-0.03 중량부, 석류추출물 0.01-0.03 중량부, 허니로커스트씨추출물 0.01-0.03 중량부, 광곽향오일 0.001-0.003 중량부, 팔마로사오일 0.001-0.003 중량부, 라반딘오일 0.001-0.003 중량부, 로즈마리잎오일 0.001-0.003 중량부, 마카다미아씨오일 0.001-0.003 중량부, 락토바실러스발효물 3-5 중량부, 글루코노락톤 0.4-0.6 중량부, 메틸프로판다이올 2-4 중량부, 글리세린 4-6 중량부, 프로판다이올 2-4 중량부, 폴리글리세린-3 0.4-0.6 중량부, 트로메타민 0.07-0.09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1-3 중량부, 1,2-헥산다이올 0.09-0.11 중량부, 수용성콜라겐 1-3 중량부, C12-14알케스-12 0.1-0.3 중량부, 다이메티콘 0.1-0.3 중량부, 메틸글루세스-20 0.1-0.3 중량부, 메틸글루세스-10 0.1-0.3 중량부, 글리세레스-26 0.04-0.06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2-0.4 중량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0.01-0.03 중량부, 소듐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 0.01-0.03 중량부, 레시틴 0.4-0.6 중량부,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01-0.03 중량부, 석시닉애씨드 0.01-0.03 중량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2-0.4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2-0.4 중량부, 알란토인 0.6-0.8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0.1-0.3 중량부, 아데노신 0.9-1.1 중량부,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03-0.05 중량부, 폴리락틱애씨드 0.03-0.05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03-0.0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0.004-0.006 중량부, 콜레스테롤 0.4-0.6 중량부, 실리카 0.4-0.6 중량부, 레틴알 0.4-0.6 중량부, 유채스테롤 0.4-0.6 중량부, 세테스-5 0.05-0.07 중량부, 세테스-3 0.03-0.05 중량부,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0.004-0.006,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0.004-0.006, 바쿠치올 0.4-0.6 중량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04-0.006 및 정제수 71.87-71.89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발효추출물의 제조-1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세척하고, 5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건조한 후, 건조한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120℃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열처리하고, 열처리한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분말 50 중량부 및 정제수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사카로마이세스 코리아누스(Saccharomyces coreanus) 균주 1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의 온도에서 3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정제수 40 중량부를 첨가하고, 120℃의 온도에서 9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발효추출물의 제조-2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세척하고, 5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건조한 후, 건조한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120℃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열처리하고, 열처리한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분말 50 중량부 및 정제수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셀룰라아제 0.5 중량부를 첨가하고, 34℃의 온도에서 3일 동안 효소반응하였다. 효소반응 후, 80℃의 온도로 가열하여 종결시킨 후, 20℃의 온도로 식히고, 사카로마이세스 코리아누스(Saccharomyces coreanus) 균주 1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의 온도에서 3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정제수 40 중량부를 첨가하고, 120℃의 온도에서 9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발효추출물의 제조-3
비수리를 세척하고, 4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건조한 비수리를 120℃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열처리한 후, 열처리한 비수리를 분쇄하여 비수리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비수리분말 10 중량부 및 정제수 90 중량부를 혼합하고, 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24시간 동안 끓이고,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음으로써 비수리추출액을 제조하였다.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세척하고, 5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건조한 후, 건조한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120℃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열처리하고, 열처리한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분말 50 중량부 및 상기 비수리추출액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셀룰라아제 0.5 중량부를 첨가하고, 34℃의 온도에서 3일 동안 효소반응하였다. 효소반응 후, 80℃의 온도로 가열하여 종결시킨 후, 20℃의 온도로 식히고, 사카로마이세스 코리아누스(Saccharomyces coreanus) 균주 1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의 온도에서 3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정제수 40 중량부를 첨가하고, 120℃의 온도에서 9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의 제조-1
황련추출물 0.4 중량부, 한련초추출물 0.4 중량부, 아이비고드열매추출물 0.02 중량부, 향기제비꽃/잎추출물 0.02 중량부, 서양송악잎/줄기추출물 0.02 중량부, 지치뿌리추출물 0.02 중량부, 스피어민트추출물 0.02 중량부,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추출물 0.02 중량부, 석류추출물 0.02 중량부, 허니로커스트씨추출물 0.02 중량부, 광곽향오일 0.002 중량부, 팔마로사오일 0.002 중량부, 라반딘오일 0.002 중량부, 로즈마리잎오일 0.002 중량부, 마카다미아씨오일 0.002 중량부, 락토바실러스발효물 4 중량부, 글루코노락톤 0.5 중량부, 메틸프로판다이올 3 중량부, 글리세린 5 중량부, 프로판다이올 3 중량부, 폴리글리세린-3 0.5 중량부, 트로메타민 0.08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2 중량부, 1,2-헥산다이올 0.01 중량부, 수용성콜라겐 2 중량부, C12-14알케스-12 0.2 중량부, 다이메티콘 0.2 중량부, 메틸글루세스-20 0.2 중량부, 메틸글루세스-10 0.2 중량부, 글리세레스-26 0.05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3 중량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0.02 중량부, 소듐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 0.02 중량부, 레시틴 0.5 중량부,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02 중량부, 석시닉애씨드 0.02 중량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3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3 중량부, 알란토인 0.7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0.2 중량부, 아데노신 1 중량부,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04 중량부, 폴리락틱애씨드 0.04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04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0.005 중량부, 콜레스테롤 0.5 중량부, 실리카 0.5 중량부, 레틴알 0.5 중량부, 유채스테롤 0.5 중량부, 세테스-5 0.06 중량부, 세테스-3 0.04 중량부,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0.005,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0.005, 바쿠치올 0.5 중량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05 및 정제수 71.88 중량부를 혼합하여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의 제조-2
상기 실시예 1의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에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한 발효추출물 2 중량부를 첨가하여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유효성분 함량 분석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발효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
(m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mg/g)
제조예 1 97.32 20.31
제조예 2 138.57 28.93
제조예 3 203.47 32.56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효추출물은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항염 및 항산화 효과 분석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항염 및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나이트릭옥사이드(Nitric Oxide)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실험 및 DPPH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을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효능 (%) 실시예 1 실시예 2
항염 (NO) 68.4 76.3
항산화 (DPPH) 75.3 84.1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항염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며, 이에 따라 피부개선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피부 개선 효과 분석
1. 피지 및 모공 개선
얼굴에 피지 분비가 많고 모공이 크다고 느끼는 남녀 20명을 선정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양 볼과 코 주위 피부에 매일 저녁 세안 후 4주 동안 바르도록 하였다. 측정은 항온항습 조건에서 샘플 사용 전과 사용 후 육안 평가와 기기 측정으로 수행하였다.
육안 평가는 시험에 참가한 본인이 느끼는 정도에 따라 점수화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0은 효과 거의 없음이고, 1은 약간 효과 있음이고, 2는 효과 있음이고, 3은 효과 좋음이고, 4는 효과 매우 좋음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피부 모공 크기는 모공크기 측정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하기 표 4에 나타내었으며, 피지는 피지측정기(sebumeter)를 이용하여 피지량을 측정하였고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또한, 피부 탄력의 변화를 Skin Cutometer(C+K사, 독일)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변화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시간 모공상태
실시예 1 2주 경과 2.7
4주 완료 3.1
실시예 2 2주 경과 3.0
4주 완료 3.5
시간 모공크기(픽셀)
실시예 1 사용전 211
2주 경과 202
4주 완료 196
실시예 2 사용전 209
2주 경과 195
4주 완료 183
시간 피지량(㎍/cm2ㆍh)
실시예 1 사용전 70
2주 경과 62
4주 완료 59
실시예 2 사용전 69
2주 경과 58
4주 완료 54
시간 탄력 증진 효과(%)
실시예 1 2주 경과 48.5
4주 완료 56.7
실시예 2 2주 경과 53.4
4주 완료 67.3
상기 표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모공 축소, 피지 억제 효과를 가지며 탄력 증진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주름 개선
콜라겐의 합성의 전구체인 프로콜라겐(Procollagen Type I C-Peptide, PIP)의 생합성양을 측정하였다. Detroit551 세포를 48 well plate에 분주한 후, 세포 배양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 후, 시험 물질인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조성물들을 최종 농도 2%가 되도록 세포에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상기 과정을 통해 배양한 배지의 상층액을 희석한 일부 20 μL를 취해 PIP EIA Kit(Takara, Cat. MK101) 내 PIP 표준물질 20 μL와 함께 각각 antibody coated microtiter plate에 넣고 100 μL의 peroxidase 표식 antibody solution을 또한 각 well에 첨가하여, 37 ℃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배지를 제거하여 200 μL의 PBS로 4회 세척한 후, 각 well에 100 μL의 substrate solution을 첨가하고 차광한 상태에서 15분간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이 후 100 μL stop solution (1 N H2SO4)을 첨가하고, 45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PIP 표준농도곡선을 작성하여 단백질 양으로 보정한 시료 내 PIP 생성양을 산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PIP 함량 (ng/mL)
대조군 165
양성대조군 (TGF-β1 5 ng/mL) 190
실시예 1 218
실시예 2 237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모두 대조군보다 PIP 생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PIP 생성량 증가에 따른 피부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3)

  1. 황련추출물 0.3-0.5 중량부, 한련초추출물 0.3-0.5 중량부, 아이비고드열매추출물 0.01-0.03 중량부, 향기제비꽃/잎추출물 0.01-0.03 중량부, 서양송악잎/줄기추출물 0.01-0.03 중량부, 지치뿌리추출물 0.01-0.03 중량부, 스피어민트추출물 0.01-0.03 중량부,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추출물 0.01-0.03 중량부, 석류추출물 0.01-0.03 중량부, 허니로커스트씨추출물 0.01-0.03 중량부, 광곽향오일 0.001-0.003 중량부, 팔마로사오일 0.001-0.003 중량부, 라반딘오일 0.001-0.003 중량부, 로즈마리잎오일 0.001-0.003 중량부, 마카다미아씨오일 0.001-0.003 중량부, 락토바실러스발효물 3-5 중량부, 글루코노락톤 0.4-0.6 중량부, 메틸프로판다이올 2-4 중량부, 글리세린 4-6 중량부, 프로판다이올 2-4 중량부, 폴리글리세린-3 0.4-0.6 중량부, 트로메타민 0.07-0.09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1-3 중량부, 1,2-헥산다이올 0.09-0.11 중량부, 수용성콜라겐 1-3 중량부, C12-14알케스-12 0.1-0.3 중량부, 다이메티콘 0.1-0.3 중량부, 메틸글루세스-20 0.1-0.3 중량부, 메틸글루세스-10 0.1-0.3 중량부, 글리세레스-26 0.04-0.06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2-0.4 중량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0.01-0.03 중량부, 소듐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 0.01-0.03 중량부, 레시틴 0.4-0.6 중량부,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01-0.03 중량부, 석시닉애씨드 0.01-0.03 중량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2-0.4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2-0.4 중량부, 알란토인 0.6-0.8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0.1-0.3 중량부, 아데노신 0.9-1.1 중량부,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03-0.05 중량부, 폴리락틱애씨드 0.03-0.05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03-0.0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0.004-0.006 중량부, 콜레스테롤 0.4-0.6 중량부, 실리카 0.4-0.6 중량부, 레틴알 0.4-0.6 중량부, 유채스테롤 0.4-0.6 중량부, 세테스-5 0.05-0.07 중량부, 세테스-3 0.03-0.05 중량부,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0.004-0.006,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0.004-0.006, 바쿠치올 0.4-0.6 중량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04-0.006 및 정제수 71.87-71.89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은 발효추출물 1-3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효추출물은,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세척하고, 48-5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118-122℃의 온도에서 18-2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 48-52 중량부 및 비수리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셀룰라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78-82℃의 온도로 가열하고, 18-22℃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사카로마이세스 코리아누스(Saccharomyces coreanus)를 포함하는 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정제수 38-42 중량부를 첨가하고, 118-122℃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비수리추출액은,
    비수리를 세척하고, 48-5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비수리를 118-122℃의 온도에서 18-2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비수리를 분쇄한 비수리분말 8-12 중량부 및 정제수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98-102℃의 온도로 가열하여 22-26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
  3. 비수리를 세척하고, 48-5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비수리를 118-122℃의 온도에서 18-2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비수리를 분쇄한 비수리분말 8-12 중량부 및 정제수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98-102℃의 온도로 가열하여 22-26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수리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세척하고, 48-5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118-122℃의 온도에서 18-2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뽕나무뿌리, 석류껍질 및 붉나무줄기를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상기 비수리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셀룰라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78-82℃의 온도로 가열하고, 18-22℃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사카로마이세스 코리아누스(Saccharomyces coreanus)를 포함하는 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정제수 38-42 중량부를 첨가하고, 118-122℃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추출물 1.9-2.1 중량부, 황련추출물 0.3-0.5 중량부, 한련초추출물 0.3-0.5 중량부, 아이비고드열매추출물 0.01-0.03 중량부, 향기제비꽃/잎추출물 0.01-0.03 중량부, 서양송악잎/줄기추출물 0.01-0.03 중량부, 지치뿌리추출물 0.01-0.03 중량부, 스피어민트추출물 0.01-0.03 중량부,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추출물 0.01-0.03 중량부, 석류추출물 0.01-0.03 중량부, 허니로커스트씨추출물 0.01-0.03 중량부, 광곽향오일 0.001-0.003 중량부, 팔마로사오일 0.001-0.003 중량부, 라반딘오일 0.001-0.003 중량부, 로즈마리잎오일 0.001-0.003 중량부, 마카다미아씨오일 0.001-0.003 중량부, 락토바실러스발효물 3-5 중량부, 글루코노락톤 0.4-0.6 중량부, 메틸프로판다이올 2-4 중량부, 글리세린 4-6 중량부, 프로판다이올 2-4 중량부, 폴리글리세린-3 0.4-0.6 중량부, 트로메타민 0.07-0.09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1-3 중량부, 1,2-헥산다이올 0.09-0.11 중량부, 수용성콜라겐 1-3 중량부, C12-14알케스-12 0.1-0.3 중량부, 다이메티콘 0.1-0.3 중량부, 메틸글루세스-20 0.1-0.3 중량부, 메틸글루세스-10 0.1-0.3 중량부, 글리세레스-26 0.04-0.06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2-0.4 중량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0.01-0.03 중량부, 소듐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 0.01-0.03 중량부, 레시틴 0.4-0.6 중량부,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01-0.03 중량부, 석시닉애씨드 0.01-0.03 중량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2-0.4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2-0.4 중량부, 알란토인 0.6-0.8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0.1-0.3 중량부, 아데노신 0.9-1.1 중량부,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03-0.05 중량부, 폴리락틱애씨드 0.03-0.05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03-0.0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0.004-0.006 중량부, 콜레스테롤 0.4-0.6 중량부, 실리카 0.4-0.6 중량부, 레틴알 0.4-0.6 중량부, 유채스테롤 0.4-0.6 중량부, 세테스-5 0.05-0.07 중량부, 세테스-3 0.03-0.05 중량부,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0.004-0.006,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0.004-0.006, 바쿠치올 0.4-0.6 중량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04-0.006 및 정제수 71.87-71.89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40036359A 2024-03-15 2024-03-15 레티놀과 콜라겐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법 Active KR102686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6359A KR102686879B1 (ko) 2024-03-15 2024-03-15 레티놀과 콜라겐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6359A KR102686879B1 (ko) 2024-03-15 2024-03-15 레티놀과 콜라겐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6879B1 true KR102686879B1 (ko) 2024-07-22

Family

ID=92172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6359A Active KR102686879B1 (ko) 2024-03-15 2024-03-15 레티놀과 콜라겐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687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622A (ko) * 1996-04-23 2000-02-25 데이비드 엠 모이어 비타민 비3 화합물로 피부 외관을 조절하는 방법
KR20090034241A (ko) * 2007-10-02 2009-04-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서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화장품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100016450A (ko) * 2007-05-10 2010-02-12 김선일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77160B1 (ko) 2005-05-16 2011-10-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공 축소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54793B1 (ko) * 2018-08-31 2020-01-22 루카코스메틱(주) 천연물추출물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탄력개선 및 다크서클완화용 항산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71334A (ko) * 2018-12-11 2020-06-19 (주)에이팜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블랙커런트)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
KR102165564B1 (ko) * 2019-07-22 2020-10-14 주식회사 오퍼스아시아 모공축소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65730B1 (ko) * 2020-11-06 2021-06-17 주식회사 본에스티스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83898A (ko) * 2020-12-11 2022-06-2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622A (ko) * 1996-04-23 2000-02-25 데이비드 엠 모이어 비타민 비3 화합물로 피부 외관을 조절하는 방법
KR101077160B1 (ko) 2005-05-16 2011-10-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공 축소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100016450A (ko) * 2007-05-10 2010-02-12 김선일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90034241A (ko) * 2007-10-02 2009-04-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서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화장품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2054793B1 (ko) * 2018-08-31 2020-01-22 루카코스메틱(주) 천연물추출물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탄력개선 및 다크서클완화용 항산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71334A (ko) * 2018-12-11 2020-06-19 (주)에이팜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블랙커런트)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
KR102165564B1 (ko) * 2019-07-22 2020-10-14 주식회사 오퍼스아시아 모공축소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65730B1 (ko) * 2020-11-06 2021-06-17 주식회사 본에스티스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83898A (ko) * 2020-12-11 2022-06-2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쇼핑 '[티르티르] 시카 케어 세럼 (50ml)' (2021.7.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295B1 (ko) 겨우살이 발효추출물, 모근 발효추출물 및 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 또는 손상된 피부 회복 촉진용 발효 화장료 조성물
KR101375137B1 (ko)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00678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26892A (ko)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08678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발효 조성물
CN109330954B (zh) 美白亮肤水及其制备方法和酪氨酸酶抑制剂
KR101397160B1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6796A (ko)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KR20210144725A (ko) 항노화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및 미백제, 그리고 화장료
KR102721819B1 (ko) 녹차 뿌리 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414308A (zh) 一种祛痘组合物及制备方法和应用
KR102443283B1 (ko)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2293A (ko) 구기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54446B1 (ko) 상동나무 추출물과 미세침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9742B1 (ko) 천연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7077B1 (ko) 피부 생리활성을 가지는 백년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686879B1 (ko) 레티놀과 콜라겐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주름 및 모공 개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법
KR102471166B1 (ko) 화장료 조성물
KR20100010315A (ko)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가지는 생약 화장료 조성물
KR102006665B1 (ko) 실버위드, 히더, 밀크씨슬의 허브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미백 및 보습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14344B1 (ko)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86867B1 (ko) 피지, 여드름 개선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법
KR102686874B1 (ko) 미백 유효성분 5가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법
KR102688754B1 (ko) 귤꽃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염증 개선 및 피부 자극 완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3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