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85259B1 - 건축용 석재보드 흔들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석재보드 흔들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5259B1
KR102685259B1 KR1020230092783A KR20230092783A KR102685259B1 KR 102685259 B1 KR102685259 B1 KR 102685259B1 KR 1020230092783 A KR1020230092783 A KR 1020230092783A KR 20230092783 A KR20230092783 A KR 20230092783A KR 102685259 B1 KR102685259 B1 KR 102685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
shaped
stone
steel wire
movable ta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2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재
Original Assignee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30092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5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5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525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04F13/085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marble or other natural st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석재보드 흔들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티형걸림판(21)을 일정한 폭으로 절개하여 좌우로 분할하고, 석재지지판(20)을 향해 일정한 깊이로 형성하는 중첩안내부(22); 중첩안내부(22)에서 티형걸림판(21)과 어긋난 방향으로 이동하여 티형걸림판(21)과 상반된 방향으로 걸림홈(11)에 힘을 가하는 T자 단면의 티형가동조(30); 티형가동조(30)의 후단부에 형성하고, 석재지지판(20)의 상하면에 밀착하여 티형가동조(30)와 함께 이동하는 ㄷ자 단면의 말굽부(31); 말굽부(31)의 상부에 상하관통형으로 형성하고,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역원추형의 접시구멍(32);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외경이 작아지고, 접시구멍(32)의 내주면에 선접촉하여 티형걸림판(21)과 티형가동조(30)가 서로 멀어지도록 하는 역원추형의 콘헤드(40); 콘헤드(40)의 하단 중심에 형성하는 수나사부(41); 석재지지판(20)에 형성하여 수나사부(41)와 나사 결합하고, 접시구멍(32)과 편심을 이루는 편심나사구멍(23); 말굽부(31)의 하부에 형성하여 수나사부(41)의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방지구멍(33)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석재보드 흔들림 방지장치{Anti-sway Device for Stone Boards}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벽 마감재로 사용되는 석재보드를 내벽에 설치하는데 이용하는 건축용 석재보드 흔들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재보드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내진 성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석재보드 흔들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마감재인 석재보드를 콘크리트 내벽에 설치하는 공법에는 습식법과 건식법이 있다. 습식공법은 모르타르나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하여 석재보드를 내벽에 부착하는 것으로, 모르타르나 에폭시 접착제의 경화에 시간이 필요하고 아래쪽에 위치한 석재보드로 내려갈수록 상층부에 위치한 석재보드의 하중이 누적하므로 하중분산이 어려워 주로 소규모 마감에 적용하고 있다.
건식공법은 석재보드를 볼트, 너트 및 앵글과 같은 금속 체결물에 의해 내벽에 설치하는 것으로 경화에 필요한 시간이 필요치 않으므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결로방지에 효과적인 공법이다.
이러한 건식공법에 적용하는 종래 석재보드 고정장치의 일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 하였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1a)와 앵커너트(1b)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내벽(2)에 앵글(1)을 설치한 다음 하부에 위치한 석재보드(3)의 상면(3a) 보다 약간 높은 곳에 위치하는 석재지지판(4)을 근각볼트(4a)와 플랜지너트(4b)를 이용하여 앵글(1)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또, 앵글(1)에 형성한 수직장공(1c)을 통해 앵글(1)을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석재보드(3)의 높낮이를 변경하도록 되어 있고, 석재지지판(4)과 앵글(1)에 형성한 제 1수평장공(4h)과 제 2수평장공(1h)에 의해 석재지지판(4)을 내벽(2)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다음 플랜지너트(4b)를 타이트 하게 조여 변경한 위치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앵글(1)의 상하위치와 석재지지판(4)의 전후위치 변경을 마치고 나면, 석재고정핀(5)을 석재지지판(4)에 형성한 핀구멍(4p)으로 삽입한 다음 석재보드(3)의 상면(3a)에 형성한 홈(3g)에 석재고정핀(5)을 걸어서 석재보드(3)가 석재지지판(4)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또, 석재보드(3)를 석재지지판(4) 위에 올려서 지지한 다음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하부에 위치한 석재보드(3)의 사이에 실리콘과 같은 연성의 줄눈재(3e)를 주입하여 메우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석재보드 고정장치는 석재보드(3)에 형성한 홈(3g)에 석재고정핀(5)이 헐겁게 걸려 있으므로, 강풍 또는 지진 발생시 석재보드(3)가 심하게 흔들리면서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389114호(공고 2003.06.27.) 국내 등록특허 제10-0561968호(공고 2006.03.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석재보드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석재보드 흔들림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축용 석재보드 흔들림 방지장치는, 상부에 위치한 석재보드를 지지하고, 하부에 위치한 석재보드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하는 석재지지판; 석재지지판의 단부에 T자 단면으로 형성하여 석재보드에 형성한 걸림홈에 걸리는 티형걸림판을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티형걸림판을 일정한 폭으로 절개하여 좌우로 분할하고, 석재지지판을 향해 일정한 깊이로 형성하는 중첩안내부; 중첩안내부에서 티형걸림판과 어긋난 방향으로 이동하여 티형걸림판과 상반된 방향으로 걸림홈에 힘을 가하는 T자 단면의 티형가동조; 티형가동조의 후단부에 형성하고, 석재지지판의 상하면에 밀착하여 티형가동조와 함께 이동하는 ㄷ자 단면의 말굽부; 말굽부의 상부에 상하관통형으로 형성하고,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역원추형의 접시구멍;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외경이 작아지고, 접시구멍의 내주면에 선접촉하여 티형걸림판과 티형가동조가 서로 멀어지도록 하는 역원추형의 콘헤드; 콘헤드의 하단 중심에 형성하는 수나사부; 석재지지판에 형성하여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하고, 접시구멍과 편심을 이루는 편심나사구멍; 말굽부의 하부에 형성하여 수나사부의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방지구멍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하부에 위치한 석재보드와 석재지지판 사이의 공간과 만나도록 티형걸림판의 좌우측면에 형성하는 한 쌍의 강선걸림홈; 하부에 위치한 석재보드와 석재지지판의 사이에서 중첩안내부를 가로지르는 오픈 루프 형태의 강선스토퍼; 강선스토퍼의 양단에서 강선걸림홈을 향해 서로 나란하게 연장하여 강선걸림홈에 걸리는 한 쌍의 강선걸림부; 강선걸림부의 단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티형걸림판의 후면에 밀착하는 한 쌍의 강선결속부; 한 쌍의 강선결속부 중에 한쪽 강선결속부의 단부에 형성하고, 티형걸림판의 후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멀어지는 자유변형부; 자유변형부의 단부에서 티형가동조의 후면을 향해 활모양으로 형성하여 티형가동조의 후면에 접촉하고, 티형가동조가 티형걸림판에 중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티형가동조에 탄성력을 가하는 외팔스프링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콘헤드(40)와 접시구멍(32)에 의해 티형걸림판(21)과 티형가동조(30)가 석재보드(10)에 형성한 걸림홈(11)의 내측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홈(11)의 내측 전후면에 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석재보드(1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강선스토퍼(50)와 외팔스프링(54)에 의해 티형가동조(30)가 티형걸림판(21)에 중첩한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티형걸림판(21)과 티형가동조(30)를 석재보드(10)에 형성한 걸림홈(11)에 쉽게 삽입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티형걸림판(21)에 형성한 강선걸림홈(24)과 강선스토퍼(50)의 양단에 형성한 강선걸림부(51)에 의해 강선스토퍼(50)와 외팔스프링(5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티형가동조(30)에 의해 외팔스프링(54)이 변형할 때 자유변형부(53)로 인한 공간에 의해 티형가동조(30)의 에지부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강선걸림홈(24)이 하부에 위치한 석재보드(10)와 석재지지판(20) 사이의 공간과 만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강선스토퍼(50)와 강선걸림부(51)가 상부에 위치한 석재보드(10)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시구멍(32)의 중심과 편심나사구멍(23)의 중심이 서로 편심하여 어긋나 있으므로, 콘헤드(40)를 돌려서 하강하면 말굽부(31)를 석재지지판(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간섭방지구멍(33)에 의해 수나사부(41)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석재보드 고정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석재보드 고정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석재보드 고정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를 반대편 저면에서 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티형가동조가 외팔스프링과 강선스토퍼에 의해 티형걸림판에 중첩하여 석재보드의 걸림홈에 삽입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을 아래쪽에서 본 저면사시도
도 8은 도 6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헤드와 접시구멍에 의해 티형가동조가 티형걸림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홈의 내측에 흔들림 없이 걸린 것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을 아래쪽에서 본 저면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측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B부 확대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저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부에 위치한 석재보드(10)를 지지하고, 하부에 위치한 석재보드(10)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하는 석재지지판(20); 석재지지판(20)의 단부에 T자 단면으로 형성하여 석재보드(10)에 형성한 걸림홈(11)에 걸리는 티형걸림판(21)을 포함한다.
석재보드(10)는 천연석, 인조대리석을 소재로 하여 성형할 수 있다. 석재보드(1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사각형으로 가공할 수 있다. 석재보드(10)에 형성한 걸림홈(11)은 다이아몬드 팁이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접합된 원형톱을 이용하여 반달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다.
석재지지판(20)과 티형걸림판(21)은 알루미늄, 황동을 소재로 하여 압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석재지지판(20)과 티형걸림판(21)의 표면은 변색을 방지하고 내식성을 갖도록 도금할 수 있다.
석재지지판(20)은 도 8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볼트(12)와 앵커너트(13)에 의해 내벽(17)에 설치한 벽면고정앵글(14)에 연결한다. 벽면고정앵글(14)과 석재지지판(20)은 근각볼트(15)와 플랜지너트(16)에 의해 서로 연결한다.
벽면고정앵글(14)에는 앵커볼트(12)가 통과하는 수직장공(14a)을 형성하고, 벽면고정앵글(14)과 석재지지판(20)에는 근각볼트(15)가 통과하는 수평장공(14h)(20h)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티형걸림판(21)을 일정한 폭으로 절개하여 좌우로 분할하고, 석재지지판(20)을 향해 일정한 깊이로 형성하는 중첩안내부(22); 중첩안내부(22)에서 티형걸림판(21)과 어긋난 방향으로 이동하여 티형걸림판(21)과 상반된 방향으로 걸림홈(11)에 힘을 가하는 T자 단면의 티형가동조(30)를 포함한다.
중첩안내부(22)는 티형걸림판(21)과 석재지지판(20)의 중간을 엔드밀과 같은 커터에 의해 일정한 폭과 일정한 깊이로 절삭하여 성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첩안내부(22)는 티형가동조(30)를 전후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티형가동조(30)의 T형 단면은 티형걸림판(21)과 석재지지판(20)이 이루는 T형 단면에 대응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티형가동조(30)의 후단부에 형성하고, 석재지지판(20)의 상하면에 밀착하여 티형가동조(30)와 함께 이동하는 ㄷ자 단면의 말굽부(31); 말굽부(31)의 상부에 상하관통형으로 형성하고,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역원추형의 접시구멍(32)을 포함한다.
말굽부(31)의 중앙에는 석재지지판(20)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교차안내홈(34)을 형성한다. 교차안내홈(34)은 티형가동조(30)와 말굽부(31)의 상하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중첩안내부(22)는 티형가동조(30)와 말굽부(31)의 좌우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이로 인해 티형가동조(30)와 말굽부(31)는 석재보드(10)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전후 직선방향으로 이동한다.
접시구멍(32)의 하단에는 날카로움을 제거하기 위해 원통형의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외경이 작아지고, 접시구멍(32)의 내주면에 선접촉하여 티형걸림판(21)과 티형가동조(30)가 서로 멀어지도록 하는 역원추형의 콘헤드(40); 콘헤드(40)의 하단 중심에 형성하는 수나사부(41)를 포함한다.
콘헤드(40)와 수나사부(41)는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금속 환봉을 소재로 하여 전조가공 또는 선삭가공에 의해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콘헤드(40)의 상면 중심에는 육각홈(42)을 형성하여 알렌-렌치 또는 육각드라이버와 같은 체결공구를 이용하여 콘헤드(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수나사부(41)의 직경은 콘헤드(40)의 하단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여 수나사부(41)가 접시구멍(32)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한다.
본 발명은 석재지지판(20)에 형성하여 수나사부(41)와 나사 결합하고, 접시구멍(32)과 편심을 이루는 편심나사구멍(23); 말굽부(31)의 하부에 형성하여 수나사부(41)의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방지구멍(33)을 포함한다.
첨부도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티형가동조(30)가 티형걸림판(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홈(11)의 내측면에 걸려 정지한 위치에서 티형가동조(30)의 후면에서 접시구멍(32)의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티형가동조(30)의 후면에서 편심나사구멍(23)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더 멀어지도록 편심나사구멍(23)을 형성한다.
간섭방지구멍(33)의 내경은 수나사부(4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한다. 즉 티형가동조(30)가 티형걸림판(21)에 중첩하거나 어긋난 위치에서 수나사부(41)가 간섭방지구멍(33)에 접촉하지 않는 내경을 갖도록 간섭방지구멍(33)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하부에 위치한 석재보드(10)와 석재지지판(20) 사이의 공간과 만나도록 티형걸림판(21)의 좌우측면에 형성하는 한 쌍의 강선걸림홈(24); 하부에 위치한 석재보드(10)와 석재지지판(20)의 사이에서 중첩안내부(22)를 가로지르는 오픈 루프 형태의 강선스토퍼(50)를 포함한다.
강선걸림홈(24)의 상하폭은 하기 강선걸림부(51)의 직경에 대응하여 형성한다. 강선걸림홈(24)의 천장이 석재지지판(20)의 저면에 일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강선스토퍼(50)와 하기의 강선걸림부(51), 강선결속부(52), 자유변형부(53) 및 외팔스프링(54)은 일정한 직경을 갖는 스프링 강선을 소재로 하여 모두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선스토퍼(50)는 하기의 외팔스프링(54)에 의해 티형가동조(30)가 내벽(17)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티형가동조(30)가 티형걸림판(21)에 중첩하는 위치에서 티형가동조(30)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강선스토퍼(50)의 양단에서 강선걸림홈(24)을 향해 서로 나란하게 연장하여 강선걸림홈(24)에 걸리는 한 쌍의 강선걸림부(51); 강선걸림부(51)의 단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티형걸림판(21)의 후면에 밀착하는 한 쌍의 강선결속부(52)를 포함한다.
강선걸림부(51)는 강선걸림홈(24)에 압입할 수 있다. 강선걸림부(51)는 강선스토퍼(50)와 외팔스프링(54)의 이탈을 방지한다. 강선결속부(52)는 티형걸림판(21)의 후면에 밀착하여 강선스토퍼(50), 강선걸림부(51)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강선결속부(52) 중에 한쪽 강선결속부(52)의 단부에 형성하고, 티형걸림판(21)의 후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멀어지는 자유변형부(53); 자유변형부(53)의 단부에서 티형가동조(30)의 후면을 향해 활모양으로 형성하여 티형가동조(30)의 후면에 접촉하고, 티형가동조(30)가 티형걸림판(21)에 중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티형가동조(30)에 탄성력을 가하는 외팔스프링(54)를 포함한다.
자유변형부(53)는 도 12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티형가동조(30)에 의해 외팔스프링(54)이 변형할 때 외팔스프링(54)의 볼록한 부분이 티형가동조(30)의 후면에 점접촉 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티형가동조(30)의 에지부 간섭을 회피하여 부드러운 움직임을 갖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외팔스프링(54)은 도 10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티형가동조(30)의 후면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하는 활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팔스프링(54)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형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티형가동조(30)가 외팔스프링(54)에 의해 강선스토퍼(50)를 향해 이동한다.
티형가동조(30)가 강선스토퍼(50)에 걸리면 외팔스프링(54)과 티형가동조(30)의 이동은 정지한다. 이때 티형가동조(30)는 측방향에서 볼 때 티형걸림판(21)과 중첩한 모양으로 된다.
이와 같이 중첩한 티형걸림판(21)과 티형가동조(30)를 석재보드(10)에 형성한 걸림홈(11)에 삽입하면, 상호간에 형성한 유격으로 인해 티형걸림판(21)과 티형가동조(30)의 삽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후 첨부도면 도 9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헤드(40)를 하강방향으로 돌려서 하강시키면 콘헤드(40)의 외주면이 접시구멍(32)에 선접촉하고, 말굽부(31)과 티형가동조(30)가 티형걸림판(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중첩안내부(22)에 의해 안내되는 티형가동조(30)는 중첩안내부(22)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구속된 상태에서 이동하고, 말굽부(31)에 형성한 교차안내홈(34)에 삽입되어 있는 석재지지판(20)에 의해 말굽부(31)는 상하방향으로 구속된 상태에서 이동한다. 즉 티형가동조(30)와 말굽부(31)는 전후 직선방향으로 이동한다.
첨부도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티형가동조(30)가 콘헤드(40)에 의해 티형걸림판(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티형걸림판(21)과 티형가동조(30)가 이루는 폭이 넓어지면, 티형걸림판(21)과 티형가동조(30)가 걸림홈(11)의 내벽에 밀착하므로 석재보드(10)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한편, 티형가동조(30)가 이동할 때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팔스프링(54)과 자유변형부(53)는 탄성복원력을 갖고 변형한다.
10 : 석재보드 11 : 걸림홈
20 : 석재지지판 21 : 티형걸림판
22 : 중첩안내부 23 : 편심나사구멍
24 : 강선걸림홈 30 : 티형가동조
31 : 말굽부 32 : 접시구멍
33 : 간섭방지구멍 40 : 콘헤드
41 : 수나사부 50 : 강선스토퍼
51 : 강선걸림부 52 : 강선결속부
53 : 자유변형부 54 : 외팔스프링

Claims (2)

  1. 상부에 위치한 석재보드(10)를 지지하고, 하부에 위치한 석재보드(10)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하는 석재지지판(20);
    상기 석재지지판(20)의 단부에 T자 단면으로 형성하여 상기 석재보드(10)에 형성한 걸림홈(11)에 걸리는 티형걸림판(21);
    을 포함하는 건축용 석재보드 흔들림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티형걸림판(21)을 일정한 폭으로 절개하여 좌우로 분할하고, 상기 석재지지판(20)을 향해 일정한 깊이로 형성하는 중첩안내부(22);
    상기 중첩안내부(22)에서 상기 티형걸림판(21)과 어긋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티형걸림판(21)과 상반된 방향으로 상기 걸림홈(11)에 힘을 가하는 T자 단면의 티형가동조(30);
    상기 티형가동조(30)의 후단부에 형성하고, 상기 석재지지판(20)의 상하면에 밀착하여 상기 티형가동조(30)와 함께 이동하는 ㄷ자 단면의 말굽부(31);
    상기 말굽부(31)의 상부에 상하관통형으로 형성하고,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역원추형의 접시구멍(32);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외경이 작아지고, 상기 접시구멍(32)의 내주면에 선접촉하여 상기 티형걸림판(21)과 상기 티형가동조(30)가 서로 멀어지도록 하는 역원추형의 콘헤드(40);
    상기 콘헤드(40)의 하단 중심에 형성하는 수나사부(41);
    상기 석재지지판(20)에 형성하여 상기 수나사부(41)와 나사 결합하고, 상기 접시구멍(32)과 편심을 이루는 편심나사구멍(23);
    상기 말굽부(31)의 하부에 형성하여 상기 수나사부(41)의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방지구멍(3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보드 흔들림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하부에 위치한 상기 석재보드(10)와 상기 석재지지판(20) 사이의 공간과 만나도록 상기 티형걸림판(21)의 좌우측면에 형성하는 한 쌍의 강선걸림홈(24);
    하부에 위치한 상기 석재보드(10)와 상기 석재지지판(20)의 사이에서 상기 중첩안내부(22)를 가로지르는 오픈 루프 형태의 강선스토퍼(50);
    상기 강선스토퍼(50)의 양단에서 상기 강선걸림홈(24)을 향해 서로 나란하게 연장하여 상기 강선걸림홈(24)에 걸리는 한 쌍의 강선걸림부(51);
    상기 강선걸림부(51)의 단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티형걸림판(21)의 후면에 밀착하는 한 쌍의 강선결속부(52);
    한 쌍의 상기 강선결속부(52) 중에 한쪽 강선결속부(52)의 단부에 형성하고, 상기 티형걸림판(21)의 후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멀어지는 자유변형부(53);
    상기 자유변형부(53)의 단부에서 상기 티형가동조(30)의 후면을 향해 활모양으로 형성하여 상기 티형가동조(30)의 후면에 접촉하고, 상기 티형가동조(30)가 상기 티형걸림판(21)에 중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티형가동조(30)에 탄성력을 가하는 외팔스프링(5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보드 흔들림 방지장치.
KR1020230092783A 2023-07-18 2023-07-18 건축용 석재보드 흔들림 방지장치 Active KR102685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2783A KR102685259B1 (ko) 2023-07-18 2023-07-18 건축용 석재보드 흔들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2783A KR102685259B1 (ko) 2023-07-18 2023-07-18 건축용 석재보드 흔들림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5259B1 true KR102685259B1 (ko) 2024-07-17

Family

ID=92173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2783A Active KR102685259B1 (ko) 2023-07-18 2023-07-18 건축용 석재보드 흔들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5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86798B2 (en) * 2022-06-24 2025-04-29 Blox, Llc Three axis clip system for mounting panels to a wal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114B1 (ko) 2000-05-17 2003-06-27 김안수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KR100561968B1 (ko) 2003-11-17 2006-03-27 이순호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KR101891627B1 (ko) * 2018-04-17 2018-08-27 김용철 건축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KR102290060B1 (ko) * 2021-04-12 2021-08-17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102516970B1 (ko) * 2022-02-21 2023-04-04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114B1 (ko) 2000-05-17 2003-06-27 김안수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KR100561968B1 (ko) 2003-11-17 2006-03-27 이순호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KR101891627B1 (ko) * 2018-04-17 2018-08-27 김용철 건축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KR102290060B1 (ko) * 2021-04-12 2021-08-17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102516970B1 (ko) * 2022-02-21 2023-04-04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86798B2 (en) * 2022-06-24 2025-04-29 Blox, Llc Three axis clip system for mounting panels to a w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82921A1 (en) Slip Bracket Connector for Rigid Members
KR102685259B1 (ko) 건축용 석재보드 흔들림 방지장치
US20150204103A1 (en) Railing system
KR102256356B1 (ko) 데크조립체
KR102285238B1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US20030140590A1 (en) Flange connector
KR101805361B1 (ko) 안전난간용 철골고정 클램프
JP2023164821A (ja) 継手及び部材の接合方法
CN110121582A (zh) 铺板连接器
JP2008138359A (ja) 棒状材把持具とその使用方法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7001335B2 (ja) 単管パイプの取り付け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締付具
JP5057356B2 (ja) 波形石綿スレートの屋根リフォーム工法
KR200214426Y1 (ko) 석재 벽판 지지용 앵글
KR102601794B1 (ko) 건축용 앵커 스페이서
US20190360513A1 (en) Tension Bracket
US20140215960A1 (en) Grating Clamp and Method for Fixing a Grating to a Support
JP5570857B2 (ja) 長尺床材の固定金具
US11525474B1 (en) Fastener device for securing articles to a slatted floor
US6634151B1 (en) Support apparatus for supporting one or more objects from a concrete structure
US20070196168A1 (en) Holding element for gratings
CZ51196A3 (en) Supporting anchor for elevation slabs
KR102781970B1 (ko) 멍에재용 데크 플레이트 고정 브라켓
JP7409945B2 (ja) 天井吊り金具及び天井吊り金具の固定方法
KR200284085Y1 (ko) 석공사 건식시공용 앵글
KR102799864B1 (ko) 공동주택 석재보드용 유실 방지 파스너 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7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308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309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311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12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406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