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4995B1 - Apparatus of opening and closing for door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opening and closing for do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84995B1 KR102684995B1 KR1020230189992A KR20230189992A KR102684995B1 KR 102684995 B1 KR102684995 B1 KR 102684995B1 KR 1020230189992 A KR1020230189992 A KR 1020230189992A KR 20230189992 A KR20230189992 A KR 20230189992A KR 102684995 B1 KR102684995 B1 KR 1026849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housing
- buffer cylinder
- closing device
- hin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06—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in which a torsion spring rotates a member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ist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도어 개폐장치는 본체에 고정되는 제1바디부와,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2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에 장착되고 제1바디부에 연결되어 도어의 닫힘 동작시 도어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닫힘동작이 되도록 하는 스프링 유닛과, 상기 제2바디부에 장착되고 제1바디부에 접촉되어 도어 닫힘 동작시 완충력을 제공하여 충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 실린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유닛 및 완충 실린더 유닛은 제2바디부에 일체로 조립되어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어, 도어에 조립이 편리하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part fixed to the main body, a second body part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a door that is openable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mounted on the second body part and connected to the first body part. a spring unit that provides elastic force to the door during the door closing operation so that the door automatically closes; and a spring unit that is mounted on the second body and contacts the first body to provide a buffering force during the door closing operation to prevent shock. It includes a buffer cylinder unit that prevents damage, and the spring unit and the buffer cylinder unit are integrally assembled with the second body to form a single module, making it convenient to assemble on the door and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스프링 장치와 도어의 닫힘 동작 중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실린더장치가 일체로 구비되는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is integrally equipped with a spr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opens or closes the door and a buffer cylinder device that relieves shock generated during the door closing operation.
현재, 도어에는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도록 회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 장치와 도어의 열림 충격 또는 닫힘 충격을 흡수하고 도어가 천천히 닫히거나 열리도록 하는 댐핑장치가 구비된다. Currently, doors are equipped with a spring device that provides rotational force so that the door can automatically open or close, and a damping device that absorbs the shock of opening or closing the door and allows the door to close or open slowly.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583649(2016년 01월 04일)에 개시된 도어 힌지장치는 제1힌지장치에 되어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 장치가 설치되고, 제2힌지장치에 도어가 닫히거나 열릴 때 댐핑력을 부여하는 댐핑장치가 설치된다. The door hinge devic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583649 (January 4, 2016) includes a spring device that provides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hinge device, and a damping device to the second hinge device when the door is closed or opened. A damping device that provides force is installed.
이와 같은 도어 힌지장치는 스프링 장치와 댐핑장치가 각각 별도의 힌지장치에 설치되어 각각 개별적으로 도어에 조립되기 때문에 조립성이 떨어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This type of door hinge device has problems of poor assembling and increased cost because the spring device and the damping device are installed in separate hinge devices and are individually assembled to the doo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도어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는 스프링 장치와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 실린더 장치가 하나의 모듈로 되어 비용을 줄이고 설치가 편리한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door when it opens and closes, so that the door opens automatically, and a buffer cylinder device that can absorb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door opens and closes, as a single module. The goal is to provide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reduces costs and is easy to instal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어 개폐장치는 본체에 고정되는 제1바디부와,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2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에 장착되고 제1바디부에 연결되어 도어의 닫힘 동작시 도어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닫힘동작이 되도록 하는 스프링 유닛과, 상기 제2바디부에 장착되고 제1바디부에 접촉되어 도어 닫힘 동작시 완충력을 제공하여 충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 실린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유닛 및 완충 실린더 유닛은 제2바디부에 일체로 조립되어 하나의 모듈로 형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part fixed to the main body, a second body part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a door openable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mounted on the second body part. A spring unit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and provides elastic force to the door during the door closing operation to automatically close the door, and is mounted on the second body and contacts the first body to close the door. It includes a buffer cylinder unit that provides buffering force to prevent shock from occurring, and the spring unit and the buffer cylinder unit are integrally assembled to the second body to form one module.
상기 제1바디부는 본체에 고정되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일측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스프링 유닛의 샤프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되는 샤프트 삽입부와, 상기 샤프트 삽입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완충 실린더 유닛의 롤러부재가 접촉되어 구름 운동되도록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캠부와, 제2바디부의 힌지 돌기부가 회전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ody portion includes a flat plate portion fixed to the main body, a shaft insertion portion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one side of the flat portion to support the shaft of the spring unit from rotating, and a buffer cylinder formed on a side of the shaft insertion portion. A cam portion formed in a curved shape so that the roller member of the unit contacts and rolls, and a hinge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hinge protrusion of the second body part is inserted to enable rotational movement may be formed.
상기 캠부에는 도어가 닫힘 상태일 때 롤러부재가 삽입되어 완충 실린더 유닛의 완충력이 해제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캠부에는 오목한 형태의 오목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A concave groove may be formed in the cam portion so that a roller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am portion when the door is closed so that the buffering force of the buffer cylinder unit is released.
상기 제2바디부는 도어의 하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브라켓부와, 상기 브라켓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스프링 유닛이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브라켓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완충 실린더 유닛이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의 하면에는 형성되어 제1바디부의 힌지홈부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힌지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part includes a bracket part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oor in a horizontal direction, a first fixing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bracket part to which a spring unit is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hock absorbing cylinder unit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racket part. It may include a second fixing part fix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hinge protrus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inserted into the hinge groove of the first body part and rotatably supported.
상기 제1고정부는 상면에 스프링 유닛의 다각형 형태인 하우징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다각형 형태의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스프링 유닛의 샤프트가 인출되는 원형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art may have a polygonal insertion groove formed on its upper surface to insert the lower end of the polygonal housing of the spring unit, and a circular groove into which the shaft of the spring unit is pulled out may be formed on its lower surface.
상기기 완충 실린더 유닛은 제2바디부의 제2고정부에 고정되고 일측이 개방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일측에 작동로드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인출되어 제1하우징의 일측 내면에 지지되어 완충력을 발생시키는 완충 실린더와,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바디부의 캠부에 접촉되어 구름 운동되는 롤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hock absorbing cylinder unit includes a first housing fixed to the second fixing part of the second body and having one side open, a second housing slideably inserted into the open sid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 buffer cylinder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and has an operating rod drawn out on one side so as to be able to move linearly and is supported on on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to generate a buffer force, and a cam por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rotat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It may include a roller member that is in contact with and roll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개폐장치는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도어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는 스프링 장치와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 실린더 장치가 제2바디부에 장착되어 제2바디부를 도어에 고정하면 조립이 완료되므로 조립이 쉽고, 비용을 줄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ring device that provides elastic force to the door to automatically open the door when it opens and closes, and a buffer cylinder device that can absorb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door opens and closes. It is mounted on the second body and assembly is completed by fixing the second body to the door, making assembly easy and reducing cost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제1바디부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캠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제1바디부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1 and 2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top view of the first body por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top view of the first body portion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am por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dditionally,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단면도이다. Figures 1 and 2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는 개폐 가능한 도어가 장착되는 본체에 고정되는 제1바디부(10)와, 도어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2바디부(12)와, 제2바디부(12)에 장착되고 제1바디부(10)에 연결되어 도어의 닫힘 동작시 도어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닫힘동작이 되도록 하는 스프링 유닛(14)과, 제2바디부(12)에 장착되고 제1바디부(10)에 접촉되어 도어 닫힘 동작시 완충력을 제공하여 충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 실린더 유닛(16)을 포함한다. 1 to 4,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와 같은 도어 개폐장치는 제2바디부(12)에 스프링 유닛(14) 및 완충 실린더 유닛(16)이 장착되어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고, 하나의 모듈을 도어에 고정하면 되므로 조립이 편리하고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This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formed as one module by mounting the
제1바디부(10)는 본체에 고정되는 평판부(20)와, 평판부(20)의 일측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스프링 유닛(14)의 샤프트(40)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되는 샤프트 삽입부(22)와, 샤프트 삽입부(22)의 측면에 형성되어 완충 실린더유닛(16)의 롤러부(42)가 접촉되어 구름 운동되는 캠부(24)와, 제2바디부(12)의 힌지 돌기부(44)가 설정된 범위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반원형 형태의 힌지홈부(26)가 형성된다. The
샤프트 삽입부(22)는 샤프트가 회전되지 않게 지지될 수 있도록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The
제2바디부(12)는 도어의 하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브라켓부(30)와, 브라켓부(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스프링 유닛(14)이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제1고정부(32)와, 브라켓부(30)의 하면에 형성되어 완충 실린더 유닛(16)이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제2고정부(34)를 포함한다. The
제1고정부(32)는 상면에 스프링 유닛(14)의 다각형 형태인 하우징(46)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다각형 형태의 삽입홈부(36)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스프링 유닛(14)의 샤프트(40)가 인출되는 원형홈부(38)가 형성된다. The
그리고, 제1고정부(32)의 하면에는 제1바디부(10)의 힌지홈부(26)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힌지 돌기부(44)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힌지 돌기부(44)는 90도 정도의 각도를 갖는 호 형태로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여기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홈부(26)는 180도의 호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고, 힌지 돌기부(44)는 힌지홈부와 동일한 반경을 갖는 90도의 호 형태의 돌기로 형성되어, 힌지 돌기부(44)가 힌지홈부(26)에 삽입되면 90도 범위에서만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도어가 본체에서 90도의 범위 내에서서만 열림 동작되는 스톱핑 역할을 수행하게된다. Here, as shown in FIG. 5, the
이와 같은 힌지 돌기부(44) 및 힌지홈부(2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열림 각도를 90도 이상으로 하고자 할 경우 힌지홈부의 형태가 270도로 형성하면 도어의 열림 범위를 90도 이상으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의 열림 각도가 90도로 한정한 구조이지만, 힌지 돌기부 및 힌지홈부의 형상을 변경하여 도어의 열림 각도를 다양한 각도로 변경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6,
제2고정부(34)는 브라켓부(30)의 하면에 완충 실린더 유닛(16)이 삽입되도록 홈 형태로 형성되고 완충 실린더 유닛(16)을 삽입한 후 볼트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The
스프링 유닛(14)은 제2바디부(12)의 제1고정부(32)에 장착되는 하우징(46)과, 하우징(46) 내부에 설치되어 비틀림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50)과, 하우징(46)의 일단에 설치되어 토션 스프링(5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력 조절부(52)와, 하우징(46)의 타단에 설치되어 도어의 회전각도에 따라 토션 스프링(50)의 탄성력을 전달 및 차단하는 클러치부(54)와, 토션 스프링(50)과 연결되고 하우징(46)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제1바디부(10)의 샤프트 삽입부(22)에 삽입되는 샤프트(40)를 포함한다. The
하우징(46)은 그 외면이 다각형 형태이고, 그 하단이 제2바디부(12)의 제1고정부(32)에 장착되고 도어의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된다. The
탄성력 조절부(52) 및 클러치부(54)의 구조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The structures of the elastic
완충 실린더 유닛(16)은 제2바디부(12)의 제2고정부(34)에 삽입 고정되고 일측이 개방된 제1하우징(60)와, 제1하우징(60)의 개방된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하우징(62)과, 제2하우징(62)의 내부에 삽입되고 일측에 작동로드(64)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인출되어 제1하우징(60)의 일측 내면에 지지되어 완충력을 발생시키는 완충 실린더(66)와, 제2하우징(6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바디부(10)의 캠부(24)에 접촉되어 구름 운동되는 롤러부재(42)를 포함한다. The shock absorbing
제1하우징(60)은 그 양쪽에 볼트 체결용 플랜지부(70)가 형성되어 제2바디부(12)의 제2고정부(34)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완충 실린더(66)는 그 내부에 유체가 충진되고 작동로드와 연결되는 피스톤이 완충 실린더 내면에 직선 이동되게 배치되며, 피스톤에는 유체가 통과하는 오리피스 등의 통로가 형성되거나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유체가 통과할 때의 유동저항에 의해 피스톤이 직선 이동될 때 완충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다양한 구조의 완충 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작동로드(64)가 직선 이동될 때 완충력을 발생시키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의 완충 실린더도 적용이 가능하다. The
여기에서, 완충 실린더(66)의 작동로드(64)가 제1하우징(60)의 내면에 지지되는 구조이고, 완충 실린더(66)의 작용에 의해 제2하우징(62)이 제1하우징(60)에 직선 이동되면서 완충력을 발휘하게 되며, 제2하우징(62)에 롤러부재(42)가 장착되는 구조이므로 완충 실린더(66)의 작동로드(64)는 직선 운동되는 힘만 작용되므로 작동로드(64)에 휨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Here, the
즉, 일예로, 작동로드(64)의 끝부분에 롤러부재가 장착될 경우 롤러부재의 회전운동에 따라 작동로드에는 측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로드에 휨이 발생되어 완충 실린더가 고장이 발생될 우려가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로드에는 직선 운동력만 작용하도록 하여 완충 실린더의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as an example, when a roller member is mounted at the end of the operating
제2하우징(60)의 전면에는 롤러부재(42)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 지지부(72)가 형성된다. A
제2하우징(60)의 전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부재(42)가 없이 제2하우징의 전면에 곡면 형태의 접촉면부(90)가 형성되고, 이 접촉면부(90)가 제1바디부(10)의 캠부(24)에 접촉되어 캠부(24)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캠부(24)의 곡면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롤러부재(42)가 구름 운동될 수 있고 제2하우징(60)에 일체로 형성되는 접촉면부(90)가 접촉되어 이동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a curved
제1바디부(10)의 캠부(2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도어의 회전시 그 표면에 롤러부재(42)가 구름 운동되면서 도어에 완충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캠부(24)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닫힘 상태일 때 롤러부재(42)가 삽입되어 완충 실린더 유닛의 완충력이 해제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캠부에는 오목한 형태의 오목홈부(82)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6, the
도어가 닫힘된 상태일 때 롤러부재(42)가 오목홈부(82)에 삽입되어 걸림되므로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때, 완충 실린더 유닛(16)의 완충력이 해제된 상태로 되어 도어에는 완충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When the door is closed,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in this way will be described below.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작용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의 a는 도어가 열림된 상태이고, 도 8의 b는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이고, 도 8의 c는 도어가 닫힘된 상태이다. Figure 8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n FIG. 8 shows the door in an open state, B in FIG. 8 shows the door in a closed state, and c in FIG. 8 shows the door in a closed state.
도어가 열림된 상태에서 도어를 닫으면 스프링 유닛(14)이 작동되어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닫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도어의 닫힘 동작이 진행되면 완충 실린더 유닛(16)의 롤러부재(42)가 캠부(24)를 따라 구름 운동되면서 도어의 닫힘 동작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진다. When the door is closed while the door is open, the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는 스프링 유닛 및 완충 실린더 유닛이 제2바디부에 장착되어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고, 제2바디부를 도어에 고정함녀 조립이 완료되므로 조립이 쉽고 편리하다.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formed as a single module by mounting the spring unit and the buffer cylinder unit to the second body, and the assembly is completed by fixing the second body to the door, making assembly easy and convenien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by taking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s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s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within the scope of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by those who have.
10: 제1바디부 12: 제2바디부
14: 스프링 유닛 16: 완충 실린더 유닛
20: 평판부 22: 샤프트 삽입부
24: 캠부 26: 힌지홈부
30: 브라켓부 32: 제1고정부
34: 제2고정부 42: 롤러부재
44: 힌지 돌기부
10: first body part 12: second body part
14: Spring unit 16: Shock absorbing cylinder unit
20: flat plate portion 22: shaft insertion portion
24: Cam part 26: Hinge groove part
30: Bracket part 32: First fixing part
34: second fixing part 42: roller member
44: Hinge protrusion
Claims (8)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2바디부;
상기 제2바디부에 장착되고 제1바디부에 연결되어 도어의 닫힘 동작시 도어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닫힘동작이 되도록 하는 스프링 유닛; 및
상기 제2바디부에 장착되고 제1바디부에 접촉되어 도어 닫힘 동작시 완충력을 제공하여 충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 실린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유닛 및 완충 실린더 유닛은 제2바디부에 일체로 조립되어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며,
상기 제1바디부는 본체에 고정되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일측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스프링 유닛의 샤프트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되는 샤프트 삽입부와, 상기 샤프트 삽입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완충 실린더 유닛이 접촉되어 구름 운동되도록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캠부와, 제2바디부의 힌지 돌기부가 회전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홈부가 형성되는 도어 개폐장치. A first body portion fixed to the main body;
a second body portion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a door that is openable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a spring unit mounted on the second body and connected to the first body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door when the door is closed so that the door automatically closes; and
A buffer cylinder unit mounted on the second body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body to provide a buffering force during a door closing operation to prevent shock from occurring,
The spring unit and the buffer cylinder unit are integrally assembled with the second body to form one module,
The first body portion includes a flat plate portion fixed to the main body, a shaft insertion portion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one side of the flat portion to support the shaft of the spring unit from rotating, and a buffer cylinder formed on a side of the shaft insertion portion.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mprising a cam portion formed in a curved shape so that the unit contacts and rolls, and a hinge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hinge protrus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is inserted to enable rotational movement.
상기 캠부에는 도어가 닫힘 상태일 때 롤러부재가 삽입되어 완충 실린더 유닛의 완충력이 해제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캠부에는 오목한 형태의 힌지홈부가 형성되는 도어 개폐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 which a concave hinge groove is formed in the cam portion so that a roller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am portion when the door is closed and the buffering force of the buffer cylinder unit is released.
상기 제2바디부는 도어의 하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브라켓부와,
상기 브라켓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스프링 유닛이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브라켓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완충 실린더 유닛이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의 하면에는 형성되어 제1바디부의 힌지홈부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힌지 돌기부를 포함하는 도어 개폐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ond body part includes a bracket part fixed horizontall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oor,
A first fixing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bracket part and fixing the spring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fixing part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racket part and fixing the buffer cylinder un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mprising a hinge protrusion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a hinge groove por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rotatably supported.
상기 힌지홈부는 180도 ~ 270도의 호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 돌기부는 상기 힌지홈부에 삽입되도록 힌지홈부와 동일한 반경을 갖는 90도의 호 형태의 돌기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를 제한하는 도어 개폐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hinge groove portion is formed as an arc-shaped groove of 180 degrees to 270 degrees, and the hinge protrusion is formed as an arc-shaped protrusion of 90 degrees having the same radius as the hinge groove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hinge groove portion to limit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상기 제1고정부는 상면에 스프링 유닛의 다각형 형태인 하우징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다각형 형태의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스프링 유닛의 샤프트가 인출되는 원형홈부가 형성되는 도어 개폐장치. According to clause 4,
The first fixing part is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 which a polygonal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o insert the lower end of the polygonal housing of the spring unit, and a circular groove through which the shaft of the spring unit is pulled ou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상기 완충 실린더 유닛은 제2바디부의 제2고정부에 고정되고 일측이 개방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일측에 작동로드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인출되어 제1하우징의 일측 내면에 지지되어 완충력을 발생시키는 완충 실린더와,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바디부의 캠부에 접촉되어 구름 운동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도어 개폐장치. According to clause 4,
The buffer cylinder unit includes a first housing fixed to a second fixing part of the second body part and open on one side,
a second housing slidably inserted into one open side of the first housing;
A buffer cylinder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and having an operating rod drawn out from one side so as to be able to move linearly and supported on on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to generate a buffering force;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ing a roller member rotat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and rolling in contact with a cam por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상기 완충 실린더 유닛은 제2바디부의 제2고정부에 고정되고 일측이 개방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일측에 작동로드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인출되어 제1하우징의 일측 내면에 지지되어 완충력을 발생시키는 완충 실린더와,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1바디부의 캠부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접촉면부를 포함하는 도어 개폐장치.According to clause 4,
The buffer cylinder unit includes a first housing fixed to a second fixing part of the second body part and open on one side,
a second housing slidably inserted into one open side of the first housing;
A buffer cylinder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and having an operating rod drawn out from one side so as to be able to move linearly and supported on on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to generate a buffering force;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mprising a contact surface portion that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and moves in contact with a cam por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89992A KR102684995B1 (en) | 2023-12-22 | 2023-12-22 | Apparatus of opening and closing for do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89992A KR102684995B1 (en) | 2023-12-22 | 2023-12-22 | Apparatus of opening and closing for do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84995B1 true KR102684995B1 (en) | 2024-07-12 |
Family
ID=91950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89992A Active KR102684995B1 (en) | 2023-12-22 | 2023-12-22 | Apparatus of opening and closing for do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84995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3649B1 (en) | 2014-03-20 | 2016-01-08 |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 Hinge apparatus for door |
KR20220045096A (en) * | 2020-10-04 | 2022-04-12 | 박용훈 | Door closer for opening and closing doors |
-
2023
- 2023-12-22 KR KR1020230189992A patent/KR10268499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3649B1 (en) | 2014-03-20 | 2016-01-08 |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 Hinge apparatus for door |
KR20220045096A (en) * | 2020-10-04 | 2022-04-12 | 박용훈 | Door closer for opening and closing door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17013A (en) | Overhead door closer with slide rail for concealed installation in door panels or door frames | |
KR101603462B1 (en) | Furniture hinge | |
US8443487B2 (en) | Door closer with a braking mechanism | |
AU2010285912B2 (en) |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US8225459B2 (en) | Multi-link hinge | |
JP5103471B2 (en) | Hinged structures for self-closing doors and other glass doors and the like, and assemblies with such structures | |
RU2429333C2 (en) | Furniture hinge | |
RU2437996C2 (en) | Furniture hinge | |
RU2427697C2 (en) | Furniture hinge | |
CA2771496C (en) | Damper position adjusting device | |
US5309676A (en) | Balanced door closing apparatus | |
KR102684995B1 (en) | Apparatus of opening and closing for door | |
KR101710692B1 (en) | bidirectional damping device of the sliding door | |
RU2468171C2 (en) | Furniture hinge | |
EP1681490B1 (en) | Damping system for dampening the rotary movement of a rotatable body and hinge comprising such a system | |
KR200243185Y1 (en) | Inner type door open & close damper | |
CN220909449U (en) | Door closer assembly and shower room device | |
WO2023027672A1 (en) | A deceleration mechanism for household appliances or hinges | |
KR200482013Y1 (en) | Adapter for hinge of furniture | |
KR20250041578A (en) | Buffering device for a door hinge and door hinge | |
KR20040034308A (en) | Hydraulic hinge for fire-door | |
KR101164376B1 (en) | Door closer | |
WO2022071904A1 (en) | A hinge which has ball structure | |
JPH02180321A (en) | Shock absorber | |
CA2075111A1 (en) | Balanced door clos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2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12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7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