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84420B1 - 부트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 - Google Patents

부트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4420B1
KR102684420B1 KR1020180111673A KR20180111673A KR102684420B1 KR 102684420 B1 KR102684420 B1 KR 102684420B1 KR 1020180111673 A KR1020180111673 A KR 1020180111673A KR 20180111673 A KR20180111673 A KR 20180111673A KR 102684420 B1 KR102684420 B1 KR 102684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ernet
plug
grip
width
boot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2533A (ko
Inventor
신상식
하경호
김수종
김준엽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1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4420B1/ko
Publication of KR20200032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4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442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의 다수의 이더넷 패치코드가 접속되는 패치패널 등에서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밴딩 방향의 자유도를 제공하며, 이더넷 커넥터의 파손과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부트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트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BOOT MEMBER AND ETHERNET CONNECTOR}
본 발명은 이더넷 커넥터를 구성하기 위한 부트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작업자의 다수의 이더넷 패치코드가 접속되는 패치패널 등에서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밴딩 방향의 자유도를 제공하며, 이더넷 커넥터의 파손과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부트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더넷 패치코드는 UTP 또는 STP 케이블의 양단에 이더넷 패치코드(100')의 커넥터가 연결되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더넷 패치코드(100')의 커넥터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부트부재와 케이블의 복수 페어를 구성하는 도체선과 외부로 노출되는 접속단자를 내부에서 접속하여 수용하는 RJ45 규격의 이더넷 커넥터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종래의 전산실 등에 구비된 패치패널에 다수의 이더넷 패치코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산실 또는 대형 데이터 센터 등에서는 이더넷 패치코드 및 패치패널 또는 스위치 등에 대량으로 연결 및 설치된다.
각각의 패치패널 시스템(400)은 복수 개의 패치패널(400a, 400b 400c)이 적층되어 구비되고, 각각의 층의 패치패널의 이더넷 패치코드(100')의 커넥터의 연결을 위한 이더넷 패치코드(100')의 커넥터의 플러그와 접속되는 모듈러잭이 내측에 구비되는 삽입구(410)는 일렬로 복수 개가 구비되므로, 이러한 패치패널 삽입구(410)의 층간 간격 및 삽입구의 좌우 간격 또는 이격 공간은 상당히 협소하다.
이러한 환경에서 이더넷 패치패널(400a, 400b 400c)의 이더넷 커넥터 삽입구(410)에 이더넷 패치코드(100')의 연결 또는 분리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각각의 이더넷 커넥터 삽입구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더넷 패치코드의 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를 장착하거나 분리해야 하지만 공간이 협소한 경우 작업성이 떨어진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패치패널 시스템에서 작업자가 중간층 패치패널(400b)의 이더넷 커넥터 삽입구에 장착된 이더넷 패치코드(100')의 커넥터들을 분리 또는 장착하는 경우 성인 작업자의 엄지 및 검지 손가락으로 이더넷 패치코드(100')의 커넥터를 그립한 상태로 중간층 이더넷 패치패널(400b)의 삽입구(410)에 이더넷 패치코드(100')의 커넥터를 삽입하여 장착하고 분리시에는 이더넷 패치코드(100')의 커넥터의 래치 등을 누른 상태로 인출하여 분리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또한, 전산실 또는 대형 데이터 센터 등에서 이더넷 패치코드는 대량으로 접속되고, 이더넷 패치코드를_구성하는 이더넷 케이블은 다양한 방향에서 패치패널에 밴딩되어 장착될 수 있으나 종래의 이더넷 패치코드(100')의 커넥터는 이더넷 케이블의 꺾임을 방지하면서 충분한 밴딩 방향의 자유도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전산실 등의 환경 외에도 이더넷 패치코드를 이더넷 전원 공급(PoE) 시스템, 예를 들면 조명 시스템 등에 적용하는 경우, 이더넷 패치코드를 천정 마감재 내부의 협소한 공간으로 도입하여 이더넷 패치코드의 커넥터 등을 조명의 전원부 등에 각각 접속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문제가 된다. 이더넷 전원 공급(PoE) 시스템은 IEEE 802.3af 및 802.3at 표준에 의해 정의된 네트워킹 기능을 의미한다. 이더넷 전원 공급(PoE) 기술을 사용하면 기존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네트워크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더넷 전원 공급(PoE) 조명 시스템의 설치작업은 협소한 공간에서 조명유닛과 이더넷 패치코드를 연결하는 작업을 전제하며, 도체를 노출시켜 단순 삽입하거나 도체 연결 후 절연 테이프 등으로 마감하는 조명용 전원 케이블과 달리 이더넷 패치코드는 커넥터의 접속 방향이 제한되므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또한, 조명유닛의 커넥터 연결방향과 이더넷 패치코드의 배선 방향이 다른 경우 각각의 조명에 접속된 이더넷 패치코드의 커넥터에 연결된 이더넷 케이블이 심하게 꺾여 커넥터 연결부위에서 이더넷 케이블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다수의 이더넷 패치코드가 접속되는 패치패널 등에서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밴딩 방향의 자유도를 제공하며, 이더넷 커넥터의 파손과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부트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더넷 패치코드를 구성하기 위한 부트부재에 있어서, 케이블이 후방으로 도입되고, 외주면에 복수 개의 절개홈이 구비되며, 원형 또는타원형 또는 타원형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 케이블 지지부; 및, 상기 케이블 지지부 전방에 구비되고, 폭이 변경되는 방법으로 측면에 그립용 단차가 구비되며 플러그와 연결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부트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홈은 상기 케이블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되, 동일 원주 상에서 적어도 2개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홈 중 상기 케이블 지지부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절개홈은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의 폭은 상기 케이블 지지부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립부의 폭은 상기 케이블 지지부의 최대 외경의 1.05 내지 1.4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의 후방의 폭은 상기 케이블 지지부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그립용 단차는 상기 그립부의 전방과 후방의 경계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립부의 전방의 폭이 상기 플러그의 폭보다 크거나 같으며, 그 편차는 0.2 밀리미터(mm) 이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지지부, 상기 그립부 및 상기 플러그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의 전방의 폭이 상기 그립부의 후방의 폭의 1.02배 이상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더넷 케이블이 후방에서 도입되는 전술한 부트부재; 및, 상기 부트부재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이더넷 케이블과 접속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이더넷 패치코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러그는 상면에 구비된 래치 하부에 걸림단차가 구비되고 하면에 단자가 구비되는 단자부가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의 단자부 보호를 위하여 상기 단자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된 단자부 삽입구, 상기 플러그의 걸림단차가 로킹되는 로킹용 개구부가 구비되는 캡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부재는 하우징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단자부 삽입구는 상기 캡부재의 측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로킹용 개구부는 상기 캡부재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부재의 상기 로킹용 개구부의 주변 테두리 중 플러그 삽입구 방향 테두리는 상방향으로 만곡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트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에 의하면, 협소한 공간에서 이더넷 커넥터의 장착 및 분리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트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에 의하면, 이더넷 케이블의 밴딩 방향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트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에 의하면, 이더넷 커넥터의 보호를 위한 별도의 캡부재를 구비하여 이더넷 커넥터의 플러그 등의 파손과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커넥터의 상부 사시도 및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커넥터의 상부 평면도, 측면도 및 하부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커넥터와 캡부재의 분리상태와 장착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종래의 전산실 등에 구비된 패치패널에 다수의 이더넷 패치코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커넥터(100)의 상부 사시도 및 하부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커넥터(100)의 상부 평면도, 측면도 및 하부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더넷 패치코드는 복수 페어의 도체선을 구비하는 UTP 또는 STP 방식의 이더넷 케이블(50)과 이더넷 케이블(50)의 적어도 일단에 RJ45 규격의 이더넷 커넥터(100)가 장착되어 구성되는 통신 연결수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이더넷 커넥터(100)는 이더넷 케이블(50)의 4 페어 도체선이 접속되는 플러그(10)와 상기 플러그(10) 후방에 장착되는 부트부재(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트부재(20)는 플러그(10)에 접속되는 이더넷 케이블(50)이 관통하는 구조를 가지며 유연한 수지재질로 구성되고, 이더넷 케이블(50)의 꺾임을 방지하고 플러그 후방으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부트부재(20)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더넷 커넥터(100)를 구성하기 위한 부트부재(20)는 이더넷 케이블(50)이 후방으로 도입되고, 밴딩 유연성을 위하여 외주면에 복수 개의 절개홈(26g)이 구비되며, 원형 또는 타원형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 케이블 지지부(26); 및, 상기 케이블 지지부(26) 전방에 구비되고, 폭이 변경되는 방법으로 측면에 그립용 단차(21s)가 구비되며 플러그(10)와 연결되는 그립부(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이더넷 커넥터용 부트부재의 경우, 납잡한 직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하 방향 밴딩은 용이하지만, 좌우 방향 밴딩은 그 부트부재의 폭의 증가로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떨어지고, 그 이외의 방향 예를 들면 대각선 방향의 밴딩은 쉽지 않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실의 패치패널에는 이더넷 패치코드가 대량으로 접속되고 그 접속 방법도 다양하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트부재(20)의 케이블 지지부(26)은 원형 또는 가로폭이 세로폭보다 긴 타원형 파이프 구조를 가지고, 밴딩 유연성을 위하여 외주면에 복수 개의 절개홈(26g)이 구비된다.
즉, 부트부재(20)를 구성하는 케이블 지지부(26)를 원형 또는 타원형 파이프 형태로 구성하면 그 내부에 지지되는 이더넷 케이블(50)은 밴딩 방향과 무관하게 꺾임이 방지되고,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밴딩 방향의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더넷 케이블(50) 밴딩 방향의 자유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부트부재(20)를 구성하는 케이블 지지부(26)를 원형 또는 타원형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 것 이외에 부트부재(2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절개홈(26g)이 구비될 수 있다.
종래에도 부트부재(20)에 절개홈(26g)이 구비된 제품이 소개된 바가 있으나, 본 발명의 부트부재(20)의 절개홈(26g)은 상기 케이블 지지부(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되 동일 원주 상에서 적어도 2개로 분할되어 형성되고, 더 나아가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홈(26g) 중 상기 케이블 지지부(26)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절개홈(26g)은 엇갈리게 형성되어 유연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즉, 원형 또는 타원형 파이프 형태의 부트부재(20)의 외주면 특정 지점에서 원형 절개홈(26g)을 형성하면 밴딩 유연성은 확보되나 지나친 밴딩시 응력이 집중되어 부트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절개홈(26g)은 연결되지 않고 분할되어 동일 지점의 원주에서 분할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주 방향으로 외주면을 따라 분할되어 구성되는 절개홈(26g) 역시 부트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절개홈(26g)은 엇갈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절개홈(26g)은 부트부재(2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인접한 절개홈(26g)은 평행하되 나란하지 않고 엇갈리게 구성하여 부트부재(20)의 특정 방향으로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부트부재(20)의 전방에는 그립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21)는 폭이 변경되는 방법으로 측면에 그립용 단차(21s)가 구비되며, 그 전방에 플러그(10)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이더넷 커넥터(100)는 작업자가 패치패널 등에 수작업으로 장착 또는 분리를 수행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패치패널의 이더넷 커넥터(100) 삽입구는 밀집되어 구성되므로 이더넷 커넥터(100)를 삽입구에 장착 또는 분리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손가락 2개 정도를 이더넷 커넥터(100)를 그립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이더넷 커넥터(100)를 구성하는 플러그(10)는 표면이 매끄럽고 구조가 규격화되므로 별도의 그립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트부재(20)는 삽입구가 밀집된 패치패널 등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케이블 지지부(26)와 플러그(10) 사이에 그립부(21)를 구비하되 주변 이더넷 커넥터(100) 등과 간섭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채용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부트부재(20)의 그립부(21)는 폭이 변경되는 방법으로 측면에 그립용 단차(21s)가 구비된다.
플러그(10) 상면에는 이더넷 커넥터(100) 분리를 위한 래치(11)가 구비되므로 래치(11)와 간섭없이 커넥팅 작업을 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일반적으로 이더넷 커넥터(100)의 측면을 지지하여 이더넷 커넥터(100)의 장착 또는 분리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트부재(20)는 작업자의 작업시 플러그(10)의 후방에 위치하는 그립용 단차(21s)를 잡고 패치패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그립용 단차(21s)는 상기 그립부(21)의 폭을 변경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부(21)의 전방의 폭(w2)은 상기 플러그(10)의 폭(w3)과 일치되며, 상기 그립부(21)의 후방의 폭(w1)은 상기 케이블 지지부(26)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그립용 단차(21s)는 상기 그립부(21)의 전방과 후방의 경계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립용 단차(21s)가 작업자의 작업에 실질적 도움을 제공하고 플러그를 패치패널 등에 장착하는 경우 슬립현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그립부(21)의 전방폭(w2)은 상기 그립부(21)의 후방폭(w1)의 1.02 배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그립용 단차(21s) 형성을 위해 그립부(21)의 특정 영역의 폭을 인위적으로 증가시키거나 돌기부 등을 형성하는 경우 오히려 플러그 삽입구가 밀집된 영역에서 주변 이더넷 커넥터와 간섭 등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부트부재(20)는 부트부재(20) 전방의 그립부(21)의 폭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그립용 단차(21s)를 형성하여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그립용 단차(21s)를 상기 그립부(21)의 측면에 구비하므로 상기 케이블 지지부(26), 상기 그립부(21) 및 상기 플러그(10)의 두께는 동일하게 구성하여 부트부재(20)가 플러그의 후방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이더넷 케이블(50)의 하중 등에 의한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플러그(10)는 RJ45 규격의 플러그이고, 상기 이더넷 케이블(50)은 4페어 UTP 케이블인 경우, 이더넷 케이블(50)의 외경은 약 5.1밀리미터(mm)이고, 상기 부트부재(20)의 케이블 지지부(26)는 가로 최대 외경이 9밀리미터(mm)이며, 세로 최대 외경이 8밀리미터(mm)인 타원형 또는 타원형 파이프며, 상기 부트부재(20)의 그립부(21)의 후방 최대 폭은 10.4 밀리미터(mm), 그립부(21)의 전방 최대 폭은 11.7 밀리미터(mm)이고, 상기 플러그(10)의 폭은 11.6 밀리미터(mm)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크기가 규격화된 상기 플러그 이외에 상기 케이블과 상기 부츠부재 등은 다양한 치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작업성과 밴딩 성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그립부(21)의 폭이 상기 케이블 지지부(26)의 최대 외경의 1.05 내지 1.4 배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그립부(21)의 전방의 폭이 상기 플러그(10)의 폭보다 크거나 같으며, 그 편차는 0.2 밀리미터(mm) 이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실험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상기 케이블 지지부(26)의 최대 외경이 상기 그립부(21)의 폭의 1.05보다 작은 경우에는 이더넷 케이블(50) 등이 밴딩되는 경우 이더넷 케이블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하고, 상기 케이블 지지부(26)의 최대 외경이 상기 그립부(21)의 폭의 1.4배를 넘으면 다수의 이더넷 패치코드가 사용되는 환경에서 커넥터의 플러그 등에 작업자의 손가락 등이 접근하기 위한 접근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그립부(21)의 전방폭(w2)은 상기 그립부(21)의 후방폭(w1)의 1.02 배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그립부(21)의 전방폭(w2)과 규격화된 크기를 갖는 플러그(10)의 폭의 편차가 0.2 밀리미터(mm) 보다 작은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양 조건을 만족하도록 상기 그립부(21)의 전방폭(w2) 및 후방폭(w1)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부트부재(20)가 상기 플러그(10)와 측면이 연결되는 방법으로 구성되나, 상기 그립부의 전방이 연장되어 플러그(10)의 후방 및 상기 래치(11)의 단부를 감싸 보호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 케이블 지지부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그립부(21)의 측면에 폭이 변경되는 방법으로 단차가 구비되어 작업성과 밴딩 특성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커넥터(100)와 캡부재(110)의 분리상태와 장착상태를 도시한다.
이더넷 커넥터(100)는 취급 과정 또는 작업 현장에서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이 단자부(15)를 오염시키는 경우, 이더넷 커넥터(100)가 패치패널 삽입구에 정상적으로 장착된 경우에도 연결 불량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고, 연결 불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플러그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 패치패널의 삽입구 내의 모듈러잭에 문제가 있는지 이더넷 커넥터(100)를 각각 분리하여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더넷 커넥터(100)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캡부재(1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10)는 구조가 규격화되고, 상면에 구비된 래치(11) 하부에 걸림단차(13)가 구비되고 하면에 이더넷 케이블(50)의 도체선과 각각 접속되는 복수 개의 단자가 구비되는 단자부(15)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단차(13)는 이더넷 커넥터(100)의 플러그가 상기 패치패널의 삽입구에 장착된 상태에서 삽입구의 걸림턱에 걸림단차(13)가 걸림 고정되기 위한 구성으로 이더넷 커넥터(100) 연결상태에서 이더넷 커넥터(100)가 패치패널에서 이더넷 케이블(50)의 자중 등의 이유로 스스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래치(11)는 상기 이더넷 커넥터(100)의 플러그를 모듈러잭이 구비된 패치패널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상기 걸림단차(13)가 패치패널의 삽입구의 걸림턱에 걸림된 상태를 해재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특정 이더넷 커넥터(100)의 플러그를 패치패널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해당 플러그의 래치(11)를 눌러 래치 하부의 걸림단차(13)가 삽입구의 걸림턱과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여 이더넷 커넥터(100)가 패치패널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캡부재(110)는 이더넷 커넥터(100)의 플러그 래치(11)의 파손 또는 단자부(15) 오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더넷 커넥터(100)의 플러그를 감싸는 하우징 구조를 가지며, 상기 캡부재(110)는 스스로 또는 쉽게 분리되지 않는 로킹 구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10)의 단자부(15) 보호를 위하여 상기 단자부(15)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공간(102), 상기 수용공간(102)과 연결된 플러그 삽입구(101), 상기 플러그(10)의 걸림단차(13)가 로킹되는 로킹용 개구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부재(110)는 상기 이더넷 커넥터(100)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101)와 플러그가 삽입되어 래치(11)와 단자부(15)가 보호되며 상기 플러그 삽입구(101)와 연결된 수용공간(102)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로킹 구조를 위하여 상기 캡부재(110)의 상부에는 상기 플러그(10)의 걸림단차(13)가 로킹되는 로킹용 개구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킹용 개구부(111)는 캡부재(110)의 상면에 형성되며, 래치(11)가 눌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로킹용 개구부의 주변 테두리 중 플러그 삽입구(101) 방향 테두리(113)는 상방향으로 만곡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부재(110)에 상기 이더넷 커넥터(100)의 플러그(10)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래치(11)는 상기 로킹용 개구부(111)의 주변 테두리 중 플러그 삽입구 방향 테두리(113)에 의한 눌림이 최소화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래치(11) 하부에 구비된 걸림단차(13)가 상기 로킹용 개구부의 주변 테두리 중 플러그 삽입구 방향 테두리(113)의 내측단(113s)에 걸려 로킹되어 캡부재(1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이더넷 커넥터
10 : 플러그
20 : 부트부재

Claims (13)

  1. 이더넷 패치코드를 구성하기 위한 부트부재에 있어서,
    케이블이 후방으로 도입되고, 외주면에 복수 개의 절개홈이 구비되며,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타원형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 케이블 지지부; 및,
    상기 케이블 지지부 전방에 구비되고, 플러그와 연결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지지부, 상기 그립부 및 상기 플러그의 두께는 동일하고,
    상기 그립부는 단면의 폭이 두께보다 큰 형상을 가지며, 상기 그립부의 그립용 단차는 상기 그립부의 전방과 후방의 경계 영역에 구비되되,
    상기 그립용 단차의 전방의 측면은 플러그의 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그립용 단차의 후방의 측면은 상기 그립용 단차에 의하여 단면 폭이 감소되되 상기 그립용 단차의 전방 측면과 평행하고, 상기 그립용 단차의 후방의 단면 폭은 상기 케이블 지지부 최대 외경보다 크며,
    상기 그립용 단차는 그 후방의 단면 폭(w1)에서 상기 그립부의 전방의 단면 폭(w2)으로 확장되는 경사면 형태로 구성되어 플러그의 장착시 슬립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홈은 상기 케이블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되, 동일 원주 상에서 적어도 2개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홈 중 상기 케이블 지지부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절개홈은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부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폭은 상기 케이블 지지부의 최대 외경의 1.05 내지 1.4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부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전방의 폭이 상기 플러그의 폭보다 크거나 같으며, 그 편차는 0.2 밀리미터(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부재.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전방의 폭이 상기 그립부의 후방의 폭의 1.02배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부재.
  10. 이더넷 케이블이 후방에서 도입되는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부트부재;
    상기 부트부재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이더넷 케이블과 접속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이더넷 패치코드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면에 구비된 래치 하부에 걸림단차가 구비되고 하면에 단자가 구비되는 단자부가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의 단자부 보호를 위하여 상기 단자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된 단자부 삽입구, 상기 플러그의 걸림단차가 로킹되는 로킹용 개구부가 구비되는 캡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패치코드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하우징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단자부 삽입구는 상기 캡부재의 측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로킹용 개구부는 상기 캡부재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패치코드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의 상기 로킹용 개구부의 주변 테두리 중 플러그 삽입구 방향 테두리는 상방향으로 만곡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패치코드 커넥터.
KR1020180111673A 2018-09-18 2018-09-18 부트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 Active KR102684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673A KR102684420B1 (ko) 2018-09-18 2018-09-18 부트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673A KR102684420B1 (ko) 2018-09-18 2018-09-18 부트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533A KR20200032533A (ko) 2020-03-26
KR102684420B1 true KR102684420B1 (ko) 2024-07-11

Family

ID=6995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673A Active KR102684420B1 (ko) 2018-09-18 2018-09-18 부트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44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4858A (ja) * 2004-11-02 2006-05-25 Siemon Co 軸方向ラッチアクチュエータ
JP2010161049A (ja) * 2009-01-08 2010-07-22 Harmonet Kk モジュラープラグrj45保護キャップ
CN103378474A (zh) * 2012-04-25 2013-10-30 名门电脑科技股份有限公司 网络线组及其护套
JP2015072771A (ja) * 2013-10-02 2015-04-16 エレコム株式会社 コネクタ部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4858A (ja) * 2004-11-02 2006-05-25 Siemon Co 軸方向ラッチアクチュエータ
JP2010161049A (ja) * 2009-01-08 2010-07-22 Harmonet Kk モジュラープラグrj45保護キャップ
CN103378474A (zh) * 2012-04-25 2013-10-30 名门电脑科技股份有限公司 网络线组及其护套
JP2015072771A (ja) * 2013-10-02 2015-04-16 エレコム株式会社 コネクタ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533A (ko)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5250B2 (en) Patch cord plug organizer
JP5889384B2 (ja) 改良されたケーブルマネージャを備える通信プラグ
CN103238257B (zh) 应变减轻装置
US5538438A (en) RJ connector and cover therefor
JP6686193B2 (ja) 統合解放タブを持つrj45プラグラッチガード
EP2137794B1 (en) Modular connector with reduced termination variability and improved performance
US10186797B2 (en) Coupler connector and cable terminator with side contacts
US8747150B1 (en) Multidirectional modular jack and face panel mounting structure
US20090163043A1 (en) Patch panel with angled module
US20090068881A1 (en) Telecommunication patch panel
US9525255B2 (en) Low profile faceplate having managed connectivity
US20120064760A1 (en) Port Replication Assembly With Adapter Cable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2008527947A (ja) 抑制コアを備えた通信チャンネル
CA2910260C (en) Ganged housing for coaxial cable connectors
US6284980B1 (en) Cable organizer with conductor termination array
KR102684420B1 (ko) 부트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더넷 커넥터
US6358080B1 (en) Snap-in module system
US6332795B1 (en) Hinged connection system
US10833431B2 (en) Keyed cable and connector system
US8357011B2 (en) Plug assembly for telecommunications cable
KR102588303B1 (ko) 패치코드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패치코드
US20250079780A1 (en) Single piece cat 6/6a plugs
CN107078484A (zh) 用于线缆通道中的转接器以及线缆分配系统
US9431770B2 (en) Shielded communication connectors and systems comprising shielded communication connectors
KR200209881Y1 (ko) 터미널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8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9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8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3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