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4140B1 - Automatic water level regulator - Google Patents
Automatic water level regul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84140B1 KR102684140B1 KR1020220009610A KR20220009610A KR102684140B1 KR 102684140 B1 KR102684140 B1 KR 102684140B1 KR 1020220009610 A KR1020220009610 A KR 1020220009610A KR 20220009610 A KR20220009610 A KR 20220009610A KR 102684140 B1 KR102684140 B1 KR 1026841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ervoir
- flap gate
- pulley
- water level
- outl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6—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having several drums or barr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수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위 조절 장치는 물이 담기는 저수부의 측벽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개폐하여 상기 저수부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자동 수위 조절 장치로서, 상기 저수부의 측벽 중 상기 배출구의 위에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와 결합하여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위아래로 회전되는 플랩 게이트로서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저수부의 측벽과 포개지면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고 상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하는 플랩 게이트와, 상기 플랩 게이트가 수평일 때 상기 플랩 게이트의 상방을 향하는 면에 결합되는 부채꼴 형태의 당김줄 풀리와, 상기 저수부의 위에 설치되는 주 당김줄 인양수단과, 한쪽 말단은 상기 주 당김줄 인양수단과 연결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상기 플랩 게이트와 결합되는 주 당김줄로서 상기 플랩 게이트가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움직이면 상기 당김줄 풀리의 외주면에 상기 주 당김줄의 일부가 감기는 주 당김줄과, 상기 주 당김줄의 중간 부분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주 당김줄을 올리거나 내리는 것에 따라 상기 주 당김줄과 함께 상하로 움직이는 도르래와, 상기 저수부의 위에 설치되는 보조 당김줄 인양수단과, 상기 저수부에 담긴 물에 뜨는 부체와, 한쪽 말단은 상기 보조 당김줄 인양수단과 연결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상기 부체와 연결되는 보조 당김줄로서, 상기 보조 당김줄 인양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뻗다가 상기 도르래의 하부를 둘러싸면서 "U"자 형으로 구부러진 다음 상기 부체까지 상방으로 뻗도록 설치되는 보조 당김줄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The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reservoir by opening and closing an outlet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reservoir containing water, A hinge part that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outlet among the side walls of the reservoir, and a flap gate that rotates up and down about the hinge part in conjunction with the hinge part, which rotates downward and closes the outlet when overlapped with the side wall of the reservoir. a flap gate that opens the outlet when the flap gate rotates upward, a fan-shaped pulley coupled to the upward-facing side of the flap gate when the flap gate is horizontal, and a main puller installed on the water reservoir. A rope lifting mean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ain pulling rope lifting means,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a main pulling line coupled to the flap gate. When the flap gate moves to close the outlet, the main pulling line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ulling rope pulley. A main pull cord around which a part of the pull cord is wound, a pulley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middle part of the main pull cord and moves up and down with the main pull cord as the main pull cord is raised or lowered, and on the water reservoir. An auxiliary pull line lifting means installed, a floating body that floats on water contained in the reservoir, and an auxiliary pull line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pull line lifting means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loating body, the auxiliary pull line It includes an auxiliary pull cord that extends downward from the lifting means, is bent into a "U" shape while surrounding the lower part of the pulley, and then is installed to extend upward to the floating body.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 수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방식으로 개폐되는 게이트에 의하여 배수량을 조절하는 한편 부체의 운동에 의해 자동으로 수위가 조절되는 자동 수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in which the water level is automatically adjusted by the movement of a floating body while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 by a gate that opens and closes by rotating around a hinge axis. .
기존의 수문으로는 수위센서에 의하여 수위조절을 하기에 수위센서 오동작 시 물 넘침 등으로 누수가 발생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Existing water gates use water level sensors to control the water level, so when the water level sensor malfunctions, there is a problem in water leakage due to water overflow, which can lead to accidents.
종래의 스마트팜 수경제배에서는 월류위어를 사용하여 수조 바닥부분에 쌓이는 슬러리를 주기적으로 배출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논농사 작업시 빗물의 유입으로 사람이 물트임 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Conventional smart farm hydroponics has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periodically discharge the slurry accumulated at the bottom of the tank using an overflow weir, and has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be watered by a person due to the inflow of rainwater during rice paddy farming work.
또한, 기존 정수장 여과지 퇴수밸브는 자동제어방식으로 역세 시 퇴수밸브의 오동작으로 물이 넘쳐 아래층의 기계실 및 밸브실의 누전 사고가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water purification plant filter paper drain valve is an automatic control system,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causing water to overflow due to malfunction of the drain valve during backwashing, causing a short circuit in the machine room and valve room on the lower floor.
그러므로 기존에는 저수부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 또는 일정 수위 이하로 유지하고자 할 때 수위계와 밸브를 연동하여 자동으로 조절하는 방식은 오작동의 문제점이 있고, 사람이 직접 수위를 확인하여 밸브를 조절하는 방식, 사람이 물트임 작업과 같은 재래식 방법은 많은 노동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existing method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water level by linking the water level gauge and the valve when trying to keep the water level in the reservoir constant or below a certain level has problems with malfunction, and requires a person to directly check the water level and adjust the valve. There is a problem with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man-made water openings, that they require a lot of labor.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부체와 도르래 및 당김줄을 이용한 수위 자동조절 장치를 구성하여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비가 저렴하고 고장이 없어서 유지보수비가 거의 없으며, 사용이 편리하고 효율적인 연속 운전이 가능하고, 설비 고장과 운전자 착오로 인한 오동작에 따른 사고 위험 가능성이 없는 저수 시설의 자동 수위 조절과 수위센서등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n automatic water level adjustment device using a floating body, pulley, and pull rope, and has a simple structure, low installation cost, and no breakdown, so there is almost no maintenance cost. A device that is convenient to use, enables efficient continuous operation, and maintains a constant water level without installing separate devices such as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and water level sensors in water storage facilities with no risk of accidents due to equipment failure or malfunction due to operator error. The purpose is to provide.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위 조절 장치는 물이 담기는 저수부의 측벽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개폐하여 상기 저수부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자동 수위 조절 장치로서, 상기 저수부의 측벽 중 상기 배출구의 위에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와 결합하여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위아래로 회전되는 플랩 게이트로서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저수부의 측벽과 포개지면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고 상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하는 플랩 게이트와, 상기 플랩 게이트가 수평일 때 상기 플랩 게이트의 상방을 향하는 면에 결합되는 부채꼴 형태의 당김줄 풀리와, 상기 저수부의 위에 설치되는 주 당김줄 인양수단과, 한쪽 말단은 상기 주 당김줄 인양수단과 연결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상기 플랩 게이트와 결합되는 주 당김줄로서 상기 플랩 게이트가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움직이면 상기 당김줄 풀리의 외주면에 상기 주 당김줄의 일부가 감기는 주 당김줄과, 상기 주 당김줄의 중간 부분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주 당김줄을 올리거나 내리는 것에 따라 상기 주 당김줄과 함께 상하로 움직이는 도르래와, 상기 저수부의 위에 설치되는 보조 당김줄 인양수단과, 상기 저수부에 담긴 물에 뜨는 부체와, 한쪽 말단은 상기 보조 당김줄 인양수단과 연결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상기 부체와 연결되는 보조 당김줄로서, 상기 보조 당김줄 인양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뻗다가 상기 도르래의 하부를 둘러싸면서 "U"자 형으로 구부러진 다음 상기 부체까지 상방으로 뻗도록 설치되는 보조 당김줄을 포함한다.The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by opening and closing an outlet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reservoir containing water. A hinge part coupled to the top of the outlet among the side walls of the water reservoir, and a flap gate coupled with the hinge part to rotate up and down around the hinge part, which rotates downward and overlaps the side wall of the reservoir to close the outlet and move upward. A flap gate that opens the outlet when rotated, a fan-shaped pulley pulley coupled to an upwardly facing surface of the flap gate when the flap gate is horizontal, and a main pull cord installed on the water reservoir. mean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ain pull line lifting means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a main pull cord coupled to the flap gate, and when the flap gate moves to close the outlet, the main pull cord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ulley pulley. A main pull cord on which a part of the main pull cord is wound, a pulley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middle part of the main pull cord and moves up and down with the main pull cord as the main pull cord is raised or lowered, and a pulley installed on the water reservoir. An auxiliary pull line lifting means, a floating body floating in water contained in the reservoir, an auxiliary pull line connected to the auxiliary pull line lifting means at one end and the floating body at the other end, the auxiliary pull line lifting means It includes an auxiliary pull cord that extends downward from, surrounds the lower part of the pulley, bends into a "U" shape, and then extends upward to the floating body.
또한, 주 당김줄 끝에 부체를 설치하여 고정된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In addition, it includes a device that can maintain a fixed water level by installing a floating body at the end of the main pull line.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위 조절 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수위계와 밸브 등을 이용한 자동 수위 조절 장치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액츄에이터 등의 복잡한 구조물이 필요하지 않아서 설치비가 저렴하고 고장의 위험이 적으며, 유지 및 보수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As seen above, the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r structure compared to the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using a conventional water level gauge and valve, and does not require complicated structures such as actuators, so installation costs are low and the risk of failure is reduc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low and requiring almost no maintenance and repair cos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위 조절 장치에 의하면 폐유 등 비중이 다른 유체 처리 시 효율적인 연속 운전이 가능하고,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어서 일정한 압력 유지가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fficient continuous operation is possible when treating fluids with different specific gravity such as waste oil, and a constant water level can be maintained, making it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pressure.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설비 고장과 운전자의 착오로 인한 오동작에 따른 사고로 정수장 여과지가 넘쳐서 지하 장비의 고장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위 조절 장치에 의하여 일정수위 이상이 되면 수문이 자동으로 열리게 됨으로서 범람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고, 장치 셋팅 후 별도의 조작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소요 인력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an accident due to malfunction due to equipment failure or operator error may cause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filter to overflow and cause a breakdown of underground equipment. However, with the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gate opens when the water level exceeds a certain level. It opens automatically, preventing the risk of accidents due to flooding, and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manpower requirements because no separate operation is required after setting the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위 조절 장치를 기존 논농사 시설에 적용할 경우 물빼기 작업을 위한 농부의 수고가 경감된다.In addition, when the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existing rice paddy farming facilities, the farmer's effort for water draining work is reduced.
또한, 종래의 스마트팜 등에 적용 시 보조인양수단 필요 없이 주 당김줄에 부체를 설치하면 복잡한 자동화 기기에 비해 구현히 쉽고 원가가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pplied to conventional smart farms, etc., installing a floating body on the main pull line without the need for auxiliary lifting means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ier to implement and reducing costs compared to complex automated devic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위 조절 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자 추가 교육이 불필요하고, 기존의 장치보다 조작이 쉽고 고장이 없는 편리한 운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simple structure, eliminating the need for additional user training, being easier to operate than existing devices, and enabling convenient, trouble-free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저수위 자동 수위 조절 장치에 의해 플랩 게이트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수위 자동 수위 조절 장치에 의해 플랩 게이트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수위 조절이 없이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는 장치에 의해 플랩 게이트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1 is a side view showing a flap gate closed state by the automatic low water leve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flap gate opened by the automatic high water leve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flap gate opened by a device that maintains a constant water level without water level control.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수위 조절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 1은 배출구(2)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가 올라간 경우 부체(float)(80)의 상승으로 자동 수위 조절 장치의 플랩 게이트(20)에 의해 배출구(2)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은 부체(80)을 단순히 설치하여 자동으로 일정한 수위 유지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Figures 1, 2, and 3 are diagrams showing the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shows the outlet (2) in a closed state, and Figure 2 shows the float when the water level ri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rise of (80) indicates that the outlet (2) is opened by the flap gate (20) of the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and Figure 3 show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maintains a constant water level by simply installing the floating body (80). .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수위 조절 장치는 힌지부(10), 플랩 게이트(20), 당김줄 풀리(30), 주 당김줄(40), 당김줄 인양수단(50), 도르래(60), 보조 당김줄(70), 부체(80) 및 보조 당김줄 인양수단(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inge part (10), a flap gate (20), a pulley pulley (30), a main pull cord (40), a pull cord lifting means (50), a pulley (60), and an auxiliary puller. It is composed of a rope (70), a floating body (80), and an auxiliary rope lifting means (90).
저수부는 물이 담길 수 있는 공간을 가진 구조를 의미하며, 저수부는 인공적인 저수조및 자연에 설치하여 물을 가둬놓고 필요에 따라 배출하는 구조물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A reservoir refers to a structure with a space that can contain water, and the reservoir can be a concept that includes both artificial reservoirs and structures installed in nature to trap water and discharge it as needed.
저수부의 측벽(1)은 그 하부에 물이 빠져나갈 수 있게 하는 배출구(2)가 형성된 수직하게 이루어진 벽체로서, 배출구(2)는 저수부로부터 물이 빠져나가는 통로인 배수로(3)의 입구 역할을 한다.The side wall (1) of the reservoir is a vertical wall with an outlet (2) formed at the bottom to allow water to escape, and the outlet (2) is the entrance to the drainage channel (3),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water drains from the reservoir. It plays a role.
힌지부(10)는 수평 방향으로 뻗은 축으로서, 힌지부(10)는 저수부의 측벽(1) 중 배출구(20)보다 위쪽에 있는 부분에 고정 설치된다.The hinge portion 10 is a shaft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hinge portion 10 is fixedly installed on a portion of the side wall 1 of the water reservoir above the outlet 20.
플랩 게이트(20)는 힌지부(10)와 결합하여 힌지부(10)를 중심으로 위아래로 회전되며, 하방으로 회전하여 저수부의 측벽(1)과 포개지면 배출구(2)를 폐쇄하고, 상방으로 회전하면 배출구(2)가 개방되도록 한다.The flap gate 20 is combined with the hinge part 10 and rotates up and down around the hinge part 10, and rotates downward to close the side wall of the reservoir (1) and the overlapping surface outlet (2), and Rotate to open the outlet (2).
당김줄 풀리(30)는 플랩 게이트(20)의 양 면 중에서 플랩 게이트(20)가 배출구(2)를 막은 상태일 때를 기준으로 배출구(2)를 향하는 면과 반대쪽 면에 결합되는 부채꼴 형태의 구조물로서, 당김줄 풀리(30)의 외주면에는 주(main) 당김줄(40)이 삽입되어 주 당김줄(40)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내홈이 형성된다.The pulley pulley 30 has a fan-shaped shape that is coupled to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facing the outlet 2 based on the state when the flap gate 20 blocks the outlet 2 among both sides of the flap gate 20. As a structure, the main pull cord 40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ull cord pulley 30, and a guide groove is form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ain pull cord 40.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당김줄 풀리(30)는 플랩 게이트(20)가 닫힌 상태일 때 부채꼴 형태의 당김줄 풀리(30)의 원호 부분이 하방을 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플랩 게이트(20)가 닫힌 상태일 때 주 당김줄(40)의 일부가 당김줄 풀리(30)의 안내홈에 삽입되어 주 당김줄(40)의 하단부가 당김줄 풀리(30)의 외주면에 감긴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pulley pulley 30 is configured so that the arc portion of the fan-shaped pulley pulley 30 faces downward when the flap gate 20 is closed, so that the flap gate 20 When (20) is in the closed state, a part of the main pull cord (4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of the pull cord pulley (3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main pull cord (40) i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ull cord pulley (30). It is structured as possible.
주 당김줄 인양수단(50)으로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공압밸브, 액추에이터 등을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윈치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main pull rope lifting means (50), existing pneumatic valves, actuators, etc. can be connected and used, and in some cases, a winch can be used.
플랩 게이트(20)는 인양수단(50)의 직선에 가하는 힘을 당김줄 풀리(30)를 통하여 회전력으로 작용하게 구성된다.The flap gate 20 is configured to apply a force applied to the straight line of the lifting means 50 as a rotational force through the pulley pulley 30.
도르래(60)는 주 당김줄(40)의 중간 부분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도르래로서, 물 속에 잠겨 움직일 수 있으며, 주 당김줄(40)을 올리거나 내리는 것에 따라 주 당김줄(40)과 함께 상하로 움직이며, 보조 당김줄(70)과 주 당김줄(40)의 운동을 서로 이어주는 기능을 한다.The pulley 60 is a pulley fixedly coupled to the middle part of the main pull line 40, and can move while submerged in water, and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main pull line 40 depending on whether the main pull line 40 is raised or lowered. It moves and functions to connect the movements of the auxiliary pull cord (70) and the main pull cord (40).
보조 당김줄 인양수단(90)은 저수부 위에 설치되고 보조 당김줄(70)의 한쪽 끝이 연결되는 것으로서, 부체(80)가 수위에 따라 오르내리면 이에 따라 보조 당김줄 인양수단(90)이 보조 당김줄(70)을 당기거나 풀어서 도르래(60)를 들어올리거나 내려가게 함으로써 저수부의 목표 수위를 조절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auxiliary pull line lifting means (90) is installed on the water reservoir and one end of the auxiliary pulling line (70) is connected. When the floating body (80) rises and falls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the auxiliary pull line lifting means (90) assists accordingly. It plays a role in controlling the target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by pulling or releasing the pull line (70) to raise or lower the pulley (60).
만약, 스마트팜 등에서 고정된 수위를 원하는 경우 도 3과 같이 인양수단이 없는 부체(80)로 자동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If a fixed water level is desired in a smart farm, etc., it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using a floating body 80 without a lifting means as shown in FIG. 3.
부체(60)는 저수부에 담긴 물에 뜨는 것으로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공 등과 같은 것을 부체(60)로 사용 할 수 있다.The floating body 60 floats on water contained in the reservoir, and a ball made of plastic, etc. can be used as the floating body 60.
부체(60)는 보통 물에 떠있으나, 경우에 따라 꼭 물 위에 떠 있지 않고 물 속에 약간 가라앉아 있어도 된다. 부체(60)는 부력에 의해 뜨는 힘이 있으므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위가 올라가면 부체(60)와 연결된 보조 당김줄(70) 부분이 부체(60)에 의해 위로 올라가도록 당겨지는 힘을 받으며, 보조 당김줄(70) 중 도르래(60)를 밑에서 감싸고 있는 부분이 도르래(60)를 위로 들어올리게 된다.The floating body 60 usually floats on water, but in some cases, it may not necessarily float on the water but slightly submerge in the water. The floating body 60 has the power to float due to buoyancy, so when the water level rises as shown in FIG. 2, the auxiliary pull line 70 connected to the floating body 60 receives a force that is pulled upward by the floating body 60. , the part of the auxiliary pull cord (70) that surrounds the pulley (60) from below lifts the pulley (60) upward.
보조 당김줄(70)은 한쪽 말단은 보조 당김줄 인양수단(90)과 연결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부체(60)와 연결되는 와이어로서, 보조 당김줄(70)은 보조 당김줄 인양수단(90)으로부터 하방으로 뻗다가 중간 부분이 도르래(60)의 하부를 둘러싸면서 "U"자 형으로 구부러진 다음 부체(60)까지 상방으로 뻗도록 설치된다.The auxiliary pull line (70) is a wire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pull line lifting means (9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loating body (60), and the auxiliary pull line (70)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pull line lifting means (90). It extends downward from and is bent into a "U" shape with its middle portion surrounding the lower part of the pulley 60 and then installed to extend upward to the floating body 60.
저수부의 물을 교체하기 위해 대량으로 물을 뺄 필요가 있거나 폭우가 와서 급히 플랩 게이트(20)를 활짝 열어야 할 때는 주 당김줄(40)에 의해 플랩 게이트(20)를 잡아당겨서 열어야 하므로 주 당김줄(40)은 두껍고 튼튼하게 제작할 필요가 있으나, 보조 당김줄(70)은 자동 수위 조절을 위해서만 사용되며 직접적으로 플랩 게이트(20)를 당기는 것은 아니고, 도르레 원리에 따라 주 당김줄(30)에 비해 1/2 정도 얇게 구성해도 된다.When it is necessary to drain a large amount of water to replace the water in the reservoir or when heavy rain occurs and the flap gate (20) needs to be opened wide in a hurry, the flap gate (20) must be pulled and opened by the main pull line (40). The rope (40) needs to be made thick and strong, but the auxiliary pull rope (70) is used only for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and does not directly pull the flap gate (20), but is attached to the main pull rope (30) according to the pulley principle. It can be made about 1/2 thinner than that.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수위 조절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1은 플랩 게이트(20)가 하방으로 회동되어 저수부의 측벽(1)과 포개져 있는 상태로서 배출구(2)가 플랩 게이트(20)에 의해 폐쇄된다. 이때 저수부에 담긴 물의 압력이 플랩 게이트(20)를 밀어줌으로써 플랩 게이트(20)의 밀폐력이 대폭 향상되어 확실한 밀폐력이 발생한다.1 shows a state in which the flap gate 20 is rotated downward and overlaps the side wall 1 of the reservoir, and the outlet 2 is closed by the flap gate 20. At this time, the pressur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reservoir pushes the flap gate 20,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sealing force of the flap gate 20, thereby generating a reliable sealing force.
이와 같이 배출구(2)가 닫힌 상태에서 비가 오거나 물이 유입되는 경우 저수부의 수위가 높아져서 물을 배출해야 할 필요가 생기기도 하고, 저수부에 모인 물을 사용하기 위해 배수로(3)를 통해 내보낼 필요가 생기기도 한다.In this way, if it rains or water flows in while the outlet (2) is closed, the water level in the reservoir increases and it becomes necessary to discharge water. In order to use the water collected in the reservoir, it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age channel (3). Sometimes a need arises.
특히 저수부에 담긴 물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게 요구되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어 논농사를 할 때는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논 농사의 경우 수위가 높으면 작물이 썩고 적으면 말라 죽기 때문에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해줄 필요가 있다.In particular, there are cases where it is important to keep the water level in the reservoir constant. For example, when farming rice fields, it is very important to keep the water level constant. In the case of rice paddy farming, if the water level is high, the crops will rot, and if the water level is low, they will dry out and die, so it is necessary to keep the water level constant.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위 조절 장치는 부체(80)와 보조 당김줄(70)과 보조 당김줄 인양장치(90) 및 도르래(60)가 설치되어 있어서 자동으로 수위를 조절해주는 작용을 한다.The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floating body (80), an auxiliary pull line (70), an auxiliary pull rope lifting device (90), and a pulley (60) to automatically adjust the water level.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위가 낮은 경우에는 물 위에 뜨는 부체(80)가 밑으로 많이 내려간 상태로 있는데, 그러다가 수위가 높아지면 부체(80)가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보조 당김줄(70)을 당기고 이로써 도르래(60)가 위로 올라가면서 주 당김줄(40)이 플랩 게이트(20)를 당김으로써 배출구(2)가 열리게 되어 물이 빠져나가게 된다. 물이 빠져나가서 수위가 낮아지면 다시 부체(80)가 아래로 내려가게 되어 도 1과 같은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수위가 자동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ure 1, when the water level is low, the floating body 80, which floats on the water, is lowered significantly. Then, when the water level rises, the floating body 80 rises upward and pulls the auxiliary pull line 70. As a result, the pulley 60 moves up and the main pull line 40 pulls the flap gate 20, thereby opening the discharge port 2 and allowing the water to drain. When the water drains and the water level decreases, the floating body 80 goes down again and returns to the state shown in Figure 1. Through this action, the water level is automatically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한편, 물을 대량으로 배출시킬 필요가 있을 때는 주 당김줄 인양수단(50)을 작동시켜 주 당김줄(40)을 위로 당겨서 플랩 게이트(20)를 상방으로 회전시켜 물을 대량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necessary to discharge a large amount of water, the main pull line lifting means (50) is operated to pull the main pull line (40) upward and the flap gate (20) is rotated upward to discharge a large amount of water. do.
이때 플랩 게이트(20)가 들어올려지면서 저수부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모래와 슬러지를 밀어주면서 물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만들어주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침전물이 많이 쌓여있는 경우 플랩 게이트(20)를 필요한 만큼 많이 열어서 물이 잘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the flap gate (20) is lifted, it pushes the sand and sludge settled on the bottom of the reservoir and also serves to create a hole through which water can pass. Therefore, if a lot of sediment is accumulated, the flap gate (20) is necessary. It is advisable to open it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water can drain well.
도 3은 일정한 수위를 요구하는 스마트팜 등의 설비 등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 is preferably installed in facilities such as smart farms that require a constant water level.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s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only with respect to specific preferred examples, but it is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specific examples, and such modifications It is natural that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저수부의 측벽 2 : 배출구
3 : 배수로 10 : 힌지부
20 : 플랩 게이트 30 : 당김줄 풀리
40 : 주 당김줄 50 : 주 당김줄 인양수단
60 : 도르래 70 : 보조 당김줄
80 : 부체 90 : 보조 당김줄 인양수단1: Side wall of reservoir 2: Discharge port
3: Drain 10: Hinge part
20: Flap gate 30: Pull rope pulley
40: main pull cord 50: main pull cord lifting means
60: pulley 70: auxiliary pull cord
80: Floating body 90: Auxiliary pull rope lifting means
Claims (2)
상기 저수부의 측벽 중 상기 배출구의 위에 결합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와 결합하여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위아래로 회전되는 플랩 게이트로서,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저수부의 측벽과 포개지면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고, 상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하는 플랩 게이트;
상기 플랩 게이트가 수평일 때 상기 플랩 게이트의 상방을 향하는 면에 결합되는 부채꼴 형태의 당김줄 풀리;
상기 저수부의 위에 설치되는 주 당김줄 인양수단;
한쪽 말단은 상기 주 당김줄 인양수단과 연결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상기 플랩 게이트와 결합되는 주 당김줄로서, 상기 플랩 게이트가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움직이면 상기 당김줄 풀리의 외주면에 상기 주 당김줄의 일부가 감기는 주 당김줄;
상기 주 당김줄의 중간 부분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주 당김줄을 올리거나 내리는 것에 따라 상기 주 당김줄과 함께 상하로 움직이는 도르래;
상기 저수부의 위에 설치되는 보조 당김줄 인양수단;
상기 저수부에 담긴 물에 뜨는 부체; 및
한쪽 말단은 상기 보조 당김줄 인양수단과 연결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상기 부체와 연결되는 보조 당김줄로서, 상기 보조 당김줄 인양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뻗다가 상기 도르래의 하부를 둘러싸면서 "U"자 형으로 구부러진 다음 상기 부체까지 상방으로 뻗도록 설치되는 보조 당김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위 조절 장치.An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by opening and closing an outlet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reservoir containing water,
A hinge portion coupled to the outlet of the side wall of the water reservoir;
A flap gate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and rotating up and down about the hinge portion, the flap gate closing the outlet when rotated downward and overlapped with the side wall of the reservoir, and opening the outlet when rotated upward;
A fan-shaped pulley pulley coupled to an upwardly facing surface of the flap gate when the flap gate is horizontal;
Main pull rope lifting means installed on the water reservoir;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ain pull cord lifting means and the other end is a main pull cord coupled to the flap gate. When the flap gate moves to close the outlet, a portion of the main pull cord is plac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ulley pulley. False coiled main guy rope;
a pulley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main pull cord and moves up and down with the main pull cord as the main pull cord is raised or lowered;
Auxiliary pull rope lifting means installed on the water reservoir;
A floating body floating in water contained in the reservoir;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pull line lifting means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loating body,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auxiliary pull line lifting means and forms a "U" shape while surrounding the lower part of the pulley. An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comprising an auxiliary pull line that is bent and then installed to extend upward to the floating body.
상기 저수부의 측벽 중 상기 배출구의 위에 결합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와 결합하여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위아래로 회전되는 플랩 게이트로서,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저수부의 측벽과 포개지면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고, 상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하는 플랩 게이트;
상기 플랩 게이트가 수평일 때 상기 플랩 게이트의 상방을 향하는 면에 결합되는 부채꼴 형태의 당김줄 풀리;
상기 저수부에 담긴 물에 뜨는 부체;
한쪽 말단은 상기 부체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상기 플랩 게이트와 결합되는 주 당김줄로서, 상기 플랩 게이트가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움직이면 상기 당김줄 풀리의 원호상의 외주면에 상기 주 당김줄의 일부가 감기는 주 당김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위 조절 장치.An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by opening and closing an outlet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reservoir containing water,
A hinge portion coupled to the outlet of the side wall of the water reservoir;
A flap gate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and rotating up and down about the hinge portion, the flap gate closing the outlet when rotated downward and overlapped with the side wall of the reservoir, and opening the outlet when rotated upward;
A fan-shaped pulley pulley coupled to an upwardly facing surface of the flap gate when the flap gate is horizontal;
A floating body floating in water contained in the reservoir;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loating body and the other end is a main pull cord coupled to the flap gate. When the flap gate moves to close the outlet, a part of the main pull cord is wound around the arcuat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ulley pulley. is an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 device comprising a main pull lin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9610A KR102684140B1 (en) | 2022-01-23 | 2022-01-23 | Automatic water level regul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9610A KR102684140B1 (en) | 2022-01-23 | 2022-01-23 | Automatic water level regul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3679A KR20230113679A (en) | 2023-08-01 |
KR102684140B1 true KR102684140B1 (en) | 2024-07-11 |
Family
ID=8756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9610A Active KR102684140B1 (en) | 2022-01-23 | 2022-01-23 | Automatic water level regul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84140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166128A (en) * | 2016-03-14 | 2017-09-21 | 日立造船株式会社 | Flap gate and gate equipment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2861B1 (en) * | 2005-04-08 | 2006-12-28 | 방연석 | Hydrologic switchgear for waterways and drip blocks |
KR101252187B1 (en) | 2012-10-04 | 2013-04-05 | 주식회사 삼안 | Sliding watertight doors |
KR101355949B1 (en) | 2013-12-10 | 2014-01-28 | 김상국 | Flap gate |
-
2022
- 2022-01-23 KR KR1020220009610A patent/KR10268414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166128A (en) * | 2016-03-14 | 2017-09-21 | 日立造船株式会社 | Flap gate and gate equip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3679A (en) | 2023-08-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67723A (en) | Valve for regulating water level in a swimming pool | |
KR102684140B1 (en) | Automatic water level regulator | |
US6148852A (en) | Sump pit regulating valve | |
KR20090027496A (en) | Stormwater Flow Control System of Combined Sewage System | |
CN111945676B (en) | Water tank, 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CN213952461U (en) | Prefabricated pump station | |
KR20100057110A (en) | Watergate control apparatus | |
KR102037006B1 (en) |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sealing water | |
CN207829130U (en) | Gate grille well for industrial enterprise's Tail water reuse | |
RU2770486C1 (en) | Drainage device | |
RU2584313C1 (en) | Two-level drainage system | |
KR102318612B1 (en) | Buoyancy type flow control device | |
KR102684147B1 (en) | Water-gate | |
KR101534199B1 (en) | flow control device for intercepting facility | |
US10676947B2 (en) | Modulating butterfly valve for controlling water level in a swimming pool | |
KR100919132B1 (en) | Water level keeping structure for floodgate and floodgate using the same | |
KR102008815B1 (en) | Manhole structure for preventing flowing backward | |
KR200466978Y1 (en) | Rain water storing apparatus using digging hole | |
KR101885903B1 (en) | Water gate system | |
KR100784989B1 (en) | Manhole with adjustable flow | |
KR100576386B1 (en) | Water pump | |
JP3726025B2 (en) | Underdrain gate pump system | |
KR100494735B1 (en) | A draining devices for the draining works | |
KR20190122030A (en) | Block foreign substance entering the manhole | |
KR200454424Y1 (en) | Automatic slu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7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