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3854B1 - Felet stove having backflame preventive pellet input structure - Google Patents
Felet stove having backflame preventive pellet input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83854B1 KR102683854B1 KR1020220060852A KR20220060852A KR102683854B1 KR 102683854 B1 KR102683854 B1 KR 102683854B1 KR 1020220060852 A KR1020220060852 A KR 1020220060852A KR 20220060852 A KR20220060852 A KR 20220060852A KR 102683854 B1 KR102683854 B1 KR 1026838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llet
- plate
- pellets
- supply pipe
- hopp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2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16754 Flashback Diseases 0.000 description 32
- 239000000567 combustion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4000017020 Ipomoea batata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2678 Ipomoea batat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06145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15 potato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24—Closed stoves for pulverulent fu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5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is fed into or through the combustion zone by gravity, e.g. from a fuel storage situated above the combustion zone
- F23B50/12—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is fed into or through the combustion zone by gravity, e.g. from a fuel storage situated above the combustion zone the fuel being fed to the combustion zone by free fall or by sliding along inclined surfaces, e.g. from a conveyor terminating above the fuel b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16—Closed stoves with fuel storage in multiple or divided hoppers within the stove or ran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화방지 펠릿투입구조를 갖는 펠릿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면에 펠릿연소판(140)이 배치되며, 후방벽면에 펠릿투입구(160)가 구비된 연소실(110)이 구비된 난로본체(100)와; 상기 난로본체(100)의 후방에 상기 펠릿투입구(160)에 결합되어 펠릿호퍼(210)에 수용된 펠릿(P)을 상기 펠릿연소판(140)으로 자중에 의해 공급하는 펠릿공급관(220)과, 상기 펠릿호퍼(210)와 상기 펠릿공급관(220)의 결합영역에 전후 이동되며 펠릿 공급을 단속하는 개폐단속판(230)을 갖는 펠릿공급부(200)와; 상기 개폐단속판(230)과 상기 펠릿공급관(2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연소실(110) 내부의 열이 상기 펠릿공급관(220)을 따라 상기 펠릿호퍼(210) 측으로 전달되며 역화가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화방지판(300)을 포함하며, 상기 역화방지판(300)은, 판면에 펠릿공급공(320)이 형성된 방지판본체(310)와; 상기 방지판본체(310)의 펠릿공급공(320)의 일측에 하부를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개폐단속판(230)이 개방된 상태에서 열이 상기 펠릿호퍼(2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방역화차단판(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llet stove with a flashback prevention pellet input structure, wherein a pellet combustion plate 140 is disposed on the bottom, and a stove body provided with a combustion chamber 110 with a pellet inlet 160 on the rear wall ( 100) and; A pellet supply pipe 220 that is coupled to the pellet inlet 160 at the rear of the stove body 100 and supplies the pellets (P) accommodated in the pellet hopper 210 to the pellet combustion plate 140 by its own weight, A pellet supply unit 200 that moves back and forth in the coupling area of the pellet hopper 210 and the pellet supply pipe 220 and has an opening/closing intermittent plate 230 that regulates the supply of pellets; It is provided between the opening/closing control plate 230 and the pellet supply pipe 220 so that the heat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110 is transferred to the pellet hopper 210 along the pellet supply pipe 220 and prevents backfire from occurring. It includes a flashback prevention plate 300, wherein the flashback prevention plate 300 includes an prevention plate body 310 having a pellet supply hole 320 formed on the plate surface;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ellet supply hole 320 of the prevention plate body 310 to be inclined at a certain angle toward the bottom to block heat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pellet hopper 210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30 is ope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ront fire blocking plate (330).
Description
본 발명은 펠릿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무동력으로 자중에 의해 펠릿이 공급되는 펠릿투입구조에 역화방지기능이 구비된 펠릿난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llet stove, and more specifically, to a pellet stove equipped with a flashback prevention function in a pellet input structure in which pellets are supplied by their own weight without power.
일반적으로 겨울철에 기름, 가스 또는 전기 등을 이용한 다양한 난방용 난로들이 사용된다. 난방난로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나, 고유가와 더불어 난방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고 연소 가스에 의한 대기 오염이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various heating stoves using oil, gas, or electricity are used in winter. Heating stoves can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are convenient to use, but there are problems such as rising heating costs along with high oil prices and air pollution caused by combustion gases.
이에 최근에는 임업 폐기물이나 벌채 목 등을 분쇄하여 톱밥으로 만든 후 원기둥 모양으로 압축해 가공한 펠릿(wood-pellets)을 이용한 펠릿난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Accordingly, the use of pellet stoves using wood-pellets, which are processed by crushing forestry waste or felled wood into sawdust and then compressing it into a cylindrical shape, has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종래 펠릿난로는 펠릿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연소실이 형성된 난로본체와, 난로본체에 연결된 배기관으로 구성된다. 종래 펠릿난로는 투입구를 통해 난로본체 내부로 펠릿을 투입하고 연소실 내부에서 펠릿이 연소하면서 발생한 열이 난로본체의 외부를 통해 전달되어 난방이 이루어진다. A conventional pellet stove consists of an inlet through which pellets are introduced, a stove body with a combustion chamber, and an exhaust pipe connected to the stove body. In a conventional pellet stove, pellets are introduced into the stove body through an inlet, and the heat generated as the pellets burn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stove body to provide heating.
그런데, 이러한 종래 펠릿난로는 펠릿이 저장된 호퍼와, 투입구를 연결하는 펠릿공급관 내부에 펠릿이 채워져 있으므로 난로본체 내부에서 장기간 연소 또는 화염이 꺼져 연소가스의 외부 배기 압력이 낮아지면 펠릿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고온의 열이 배기관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펠릿공급관으로 전달되며 내부의 펠릿에 화염이 옮겨 붙어 호퍼에 저장된 펠릿까지 연소되는 역화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is conventional pellet stove, the pellets are filled inside the pellet supply pipe connecting the hopper where the pellets are stored and the inlet, so when combustion occurs for a long period of time inside the stove body or the flame is extinguished and the external exhaust pressure of the combustion gas is lowered, combustion of the pellets occur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high-temperature heat could not be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ipe, but was transmitted to the pellet supply pipe, and the flame would transfer to the pellets inside, causing a backfire phenomenon in which even the pellets stored in the hopper would be burn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이 펠릿공급관으로 전달되더라도 호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호퍼의 역화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펠릿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to provide a pellet stove that can prevent backfire in the hopper by blocking heat transfer to the hopper even if heat is transferred to the pellet supply pipe.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역화방지 펠릿투입구조를 갖는 펠릿난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펠릿난로는, 바닥면에 펠릿연소판(140)이 배치되며, 후방벽면에 펠릿투입구(160)가 구비된 연소실(110)이 구비된 난로본체(100)와; 상기 난로본체(100)의 후방에 상기 펠릿투입구(160)에 결합되어 펠릿호퍼(210)에 수용된 펠릿(P)을 상기 펠릿연소판(140)으로 자중에 의해 공급하는 펠릿공급관(220)과, 상기 펠릿호퍼(210)와 상기 펠릿공급관(220)의 결합영역에 전후 이동되며 펠릿 공급을 단속하는 개폐단속판(230)을 갖는 펠릿공급부(200)와; 상기 개폐단속판(230)과 상기 펠릿공급관(2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연소실(110) 내부의 열이 상기 펠릿공급관(220)을 따라 상기 펠릿호퍼(210) 측으로 전달되며 역화가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화방지판(300)을 포함하며, 상기 역화방지판(300)은, 판면에 펠릿공급공(320)이 형성된 방지판본체(310)와; 상기 방지판본체(310)의 펠릿공급공(320)의 일측에 하부를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개폐단속판(230)이 개방된 상태에서 열이 상기 펠릿호퍼(2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측면 빈공간을 형성하는 전방역화차단판(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pellet stove having a flashback prevention pellet injection structure. The pellet sto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ve body 100 with 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역화방지판(300)은 상기 방지판본체(310)의 펠릿공급공(320)의 타측에 상기 전방역화차단판(330)과 마주보는 방향에 수직하게 절곡형성되어 상기 개폐단속판(230)이 닫힌 상태에서 열이 상기 펠릿호퍼(2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상부 빈공간을 형성하는 후방역화차단판(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방역화차단판(330)은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역화차단판(340)은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ront fire-blocking
본 발명에 따른 펠릿난로는 펠릿공급관과 펠릿호퍼 사이의 경계영역에 역화방지판이 구비되어 연소실 내부의 배기압력이 낮아졌을 때 연소열이 펠릿공급관으로 전달되더라도 펠릿호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펠릿호퍼에 역화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ellet st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flashback prevention plate in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pellet supply pipe and the pellet hopper, so that when the exhaust pressure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is lowered, even if combustion heat is transferred to the pellet supply pipe, it blocks the transfer to the pellet hopper and causes a flashback in the pellet hopper.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특히, 역화방지판에 형성된 전방역화차단판과 후방역화차단판은 각각 개폐단속판이 개방되었을 때와 닫혔을 때 열의 전달을 차단하는 빈 공간을 형성하여 열이 펠릿호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역화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front fire prevention plate and the rear fire prevention plate formed on the flashback prevention plate form an empty space that blocks the transfer of heat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s opened and closed, respectively, and blocks heat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pellet hopper, causing a flashback.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난로의 측면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난로의 펠릿공급부와 역화방지판의 측면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난로의 펠릿공급부와 역화방지판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난로의 펠릿개폐단속판이 개방되었을 때 역화방지판의 역화방지동작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난로의 펠릿개폐단속판이 닫혔을 때 역화방지판의 역화방지동작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the side configuration of a pellet st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ide configuration of the pellet supply unit and the backfire prevention plate of the pellet st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pellet supply part and the flashback prevention plate of the pellet st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ample showing the backfire prevention operation of the backfire prevention plate when the pellet opening and closing plate of the pellet st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Figure 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backfire prevention operation of the backfire prevention plate when the pellet opening and closing plate of the pellet st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xample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members in each drawing may b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난로(1)의 측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펠릿난로(1)는 펠릿(P)의 연소가 진행되는 연소실(110)이 형성된 난로본체(100)와, 난로본체(100)로 펠릿(P)을 연속하여 공급하는 펠릿공급부(200)와, 펠릿공급부(200)에 결합되어 연소실(110)의 열이 펠릿공급부(200)를 따라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펠릿호퍼(210)의 역화발생을 방지하는 역화방지판(300)을 포함한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ide configuration of the pellet stov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ellet stove 1 includes a stove body 100 formed with a
본 발명의 펠릿난로(1)는 연소실(110)에서 펠릿(P)의 연소 중 연소가스의 배기압력이 낮아지며 열(H)이 펠릿공급부(200)를 통해 이동될 때, 펠릿호퍼(210)와 펠릿공급관(220) 사이에 구비된 역화방지판(300)이 열(H)이 펠릿호퍼(2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의해 열(H)이 펠릿호퍼(210)로 전달되어 펠릿호퍼(210) 내부의 펠릿(P)에 불이 옮겨 붙는 역화가 발생되는 것을 차단한다. The pellet stov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by a pellet hopper (210) when the exhaust pressure of the combustion gas is lowered during combustion of pellets (P) in the combustion chamber (110) and heat (H) is moved through the pellet supply unit (200). The
난로본체(100)는 펠릿공급부(200)로부터 펠릿(P)을 공급받아 펠릿(P)이 연소되며 화염이 발생되게 한다. 난로본체(100)는 펠릿(P)의 연소가 진행되는 연소실(110)과, 연소실(110)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하우징(120)과, 연소실(110)의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130)와, 연소실(110)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펠릿연소판(140)과, 하부하우징(120)에 구비되어 펠릿연소판(140)을 통해 떨어진 재(B)가 수용되는 재받이(150)와, 연소실(110)의 배면에 펠릿공급부(200)와 연통되게 관통되어 펠릿(P)을 펠릿연소판(140)으로 투입하는 펠릿투입구(160)와, 연소실(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펠릿(P)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연소가스(C)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통(170)을 포함한다. The stove body 100 receives pellets (P) from the
연소실(110)은 펠릿(P)이 연소되어 화염이 발생되고, 이에 의해 발생된 열을 외부로 전달하여 공간을 난방한다. 도어(130)는 연소실(1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연소실(110)을 개폐한다. In the
하부하우징(120)은 연소실(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펠릿연소판(140)과 재받이(150)가 결합된다. 펠릿연소판(140)은 연소실(110) 바닥의 공기공급공(111)에 배치되어 하부하우징(120)으로부터 이동된 공기가 펠릿(P)으로 공급되어 펠릿(P)의 연소가 진행되게 한다. The lower housing 120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재받이(150)는 펠릿 연소시 발생된 재를 수용하여 재를 외부로 폐기할 수 있게 한다. 재받이(150)의 전면에는 공기공급공(111)을 통해 연소실(110)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량조절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The ash catcher 150 accommodates ash generated during pellet combustion and allows the ash to be disposed of externally. An air volume control device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ash catch 150 to adjust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연소실(110)의 후방에는 펠릿공급부(200)로부터 펠릿(P)을 공급받는 펠릿투입구(160)가 관통형성된다. 펠릿투입구(160)에는 펠릿공급부(200)이 펠릿공급관(220)이 결합되어 펠릿을 펠릿연소판(140)으로 배출한다. A pellet inlet 160 through which pellets (P) are supplied from the
연소실(110)의 상부에는 펠릿(P)의 연소시 발생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통(170)이 구비된다. The upper part of the
한편, 연소실(110)의 상부에는 고구마나 감자와 같은 음식물을 내부로 삽입하여 조리할 수 있는 고구마오븐(18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Meanwhile, a sweet potato oven 180, which can cook foods such as sweet potatoes or potatoes by inserting them into the
펠릿공급부(200)는 펠릿(P)을 자중에 의해 연속하여 연소실(110)로 공급한다. 도 2는 펠릿공급부(200)와 역화방지판(300)이 결합된 측면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펠릿공급부(200)와 역화방지판(3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The
도시된 바와 같이 펠릿공급부(200)는 펠릿(P)이 저장되는 펠릿호퍼(210)와, 펠릿호퍼(210)와 연소실(110)의 펠릿투입구(160)를 연결하는 펠릿공급관(220)과, 펠릿공급관(220)과 펠릿호퍼(210) 사이를 개폐하는 개폐단속판(230)을 포함한다. As shown, the
펠릿호퍼(210)는 함체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펠릿이 저장된다. 펠릿호퍼(210)의 하부에는 지지판플랜지(211)가 일정면적 수평하게 연장된다. 펠릿공급관(220)은 일정 길이를 갖는 관형태로 형성되며 펠릿(P)이 자중에 의해 공급될 수 있게 경사진 형태로 구비된다. The
펠릿공급관(220)의 하부는 펠릿투입구(160)와 결합되고, 상부는 역화방지판(300)과 결합된다. 펠릿공급관(220)의 상단에 역화방지판(300)이 구비되고, 역화방지판(300)의 상부에 단속판지지프레임(240)이 적층된다. 그리고, 단속판지지프레임(240)과 지지판플랜지(211) 사이에 개폐단속판(230)이 구비된다. The lower part of the
단속판지지프레임(240)의 판면에는 펠릿이동공(241)이 관통형성된다. 개폐단속판(230)은 펠릿이동공(241)을 막는 크기로 구비되어 단속판지지프레임(240)과 지지판플랜지(211) 사이를 전후 이동하며 펠릿이동공(241)을 개폐한다. A
개폐단속판(230)의 후단에는 손잡이(231)가 수직하게 구비된다. 사용자는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231)를 전후로 가압하여 개폐단속판(230)이 펠릿이동공(241)을 개폐하게 한다. A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단속판(230)이 단속판지지프레임(240)의 후방으로 당겨지면 펠릿이동공(241)이 개폐되며 펠릿호퍼(210) 내부의 펠릿(P)이 자중에 의해 펠릿공급관(220)으로 이동되고 연소실(110)의 펠릿연소판(140) 상부로 공급된다. As shown in Figure 4, when the opening and
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단속판(230)이 단속판지지프레임(240) 상부로 삽입되면 펠릿이동공(241)이 닫혀지며 펠릿(P) 이동이 차단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when the opening/
역화방지판(300)은 펠릿공급관(220)의 상단과 단속판지지프레임(240) 사이에 구비되어 연소실(110) 내부의 고온의 열(H)이 펠릿공급관(220)을 따라 이동되어 펠릿(P)에 옮겨붙어 펠릿호퍼(210) 내부에 역화가 발생되는 것을 차단한다. The
역화방지판(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구비된 방지판본체(310)와, 방지판본체(310)에 관통형성된 펠릿공급공(320)과, 펠릿공급공(320)의 전방에 구비된 전방역화차단판(330)과, 전방역화차단판(330)과 마주보게 구비된 후방역화차단판(34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the
방지판본체(310)는 단속판지지프레임(240)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판형태로 구비된다. 방지판본체(310)는 펠릿공급관(220)의 상단에 용접되어 고정결합된다. The
펠릿공급공(320)은 펠릿공급관(220)에 대응되는 형태로 절개되어 개폐단속판(230)이 개방되었을 때 펠릿(P)이 펠릿공급관(220)으로 이동되게 한다. The
전방역화차단판(330)은 방지판본체(310)로부터 펠릿공급공(320)을 통해 하부로 경사지게 절곡형성되어 개폐단속판(230)이 개방되었을 때 연소실(110) 내부의 열(H)이 펠릿호퍼(210) 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열(H) 전달을 차단한다. The front
도 4는 개폐단속판(230)이 개방되었을 때 전방역화차단판(330)의 역화차단 과정을 도시한 측면 예시도이다.Figure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process of blocking a backfire of the front backfire blocking
전방역화차단판(330)은 방지판본체(310)로부터 30~45˚범위의 경사각(θ1)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단속판(230)이 개방되면 펠릿공급공(320)을 통해 자중에 의해 낙하된 펠릿(P)이 하부로 낙하된다. 이 때, 전방역화차단판(330)에 부딪친 펠릿(P)들은 펠릿공급관(220)의 하부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려 펠릿연소판(140)으로 공급된다. The front
전방역화차단판(330)에 부딪친 펠릿(P)들은 하부로 내려오면서 점차 하부로 넓게 퍼지면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전방역화차단판(330)의 하부에는 펠릿(P)이 이동되지 못하는 빈공간(S1)이 형성된다. The pellets (P) that hit the front fire blocking plate (330) fall to the bottom and are discharged while gradually spreading downward. Accordingly, an empty space (S1) in which the pellet (P) cannot be moved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fire blocking plate (330).
펠릿연소판(140)의 펠릿(P)이 연소되며 발생된 열(H)은 뜨거운 온도에 의해 펠릿공급관(220)의 상부내측면을 따라 이동된다. 이 때, 열(H)은 펠릿공급관(220)의 상부측을 따라 경사지게 구비된 전방역화차단판(330)에 부딪치며 더 이상 상부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된다. The heat (H) generated when the pellets (P) of the
또한, 열(H)이 전방역화차단판(330) 배면의 빈공간(S1)을 이동하게 되면서 옮겨 붙을 매질이 없으므로 열(H)에 의해 화염이 발생될 위험이 줄어든다. 이에 의해 열(H)이 전방역화차단판(330) 상부의 펠릿호퍼(210)로 전달되어 화염이 발생되는 역화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In addition, as the heat (H) moves through the empty space (S1) on the back of the front flash fire blocking plate (330), there is no medium to transfer to,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a flame being generated by the heat (H). As a result, heat (H) is transferred to the
전방역화차단판(330)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는 열(H)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차 면적이 좁아지는 반원형상, 삼각형 형상 등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ront
전방역화차단판(330)의 경사각(θ1)이 30°보다 작으면 열(H)의 상부이동 차단효과는 향상될 수 있으나 펠릿호퍼(210)로부터 공급되는 펠릿(P)이 펠릿공급관(220)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아 펠릿(P)이 정체될 수 있다. If the inclination angle (θ1) of the front
또한, 전방역화차단판(330)의 경사각(θ1)이 45°보다 커지면 전방역화차단판(330)과 펠릿공급관(220)의 상면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측면 빈공간(S1)이 좁아져 열(H)이 펠릿공급관(220) 내부의 펠릿(P)으로 전달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inclination angle (θ1) of the front
한편, 후방역화차단판(340)은 전방역화차단판(330)의 맞은편에 배치된다. 도 5는 개폐단속판(230)이 닫혀졌을 때 후방역화차단판(340)의 역화차단 과정을 도시한 측면 예시도이다.Meanwhile, the rear
후방역화차단판(340)은 방지판본체(310)로부터 수직하게 절곡형성된다. 이에 의해 개폐단속판(230)이 닫혀질 때 전방역화차단판(330)과 후방역화차단판(340) 사이에 잔류하던 펠릿(P)이 후방역화차단판(340)의 수직면을 따라 하부로 수직하게 낙하한다. The rear
이에 의해 전방역화차단판(330)과 후방역화차단판(340) 사이에 열의 전달매체인 펠릿(P)이 잔류하지 않고 상부 빈공간(S2)이 형성된다. As a result, the pellet P, which is a heat transfer medium, does not remain between the front
후방역화차단판(340)에 의해 수직하게 낙하된 펠릿(P)은 하부로 경사지게 흘러내리며 펠릿연소판(140)으로 공급된다. The pellets (P) that fall vertically by the rear flashback blocking plate (340) flow obliquely downward and are supplied to the pellet combustion plate (140).
연소실(110) 내부의 화염(F)이 줄어들어 내부의 흡력이 약해질 경우 열(H)이 펠릿공급관(220)의 상부내측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승된 열(H)은 전방역화차단판(330)에 부딪친 후 후방역화차단판(340)에 부딪치고 상부 빈공간(S2)에 의해 전달이 차단된다. When the flame (F)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110) is reduced and the internal suction power is weakened, heat (H) may be moved along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pellet supply pipe (220). The increased heat (H) hits the front fire-blocking
이에 의해 열(H)이 펠릿호퍼(210)로 전달되어 역화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heat (H) is transferred to the
후방역화차단판(340)은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펠릿(P)을 하부로 빠르게 낙하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반원 또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As shown enlarged in FIG. 3, the rear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난로(1)의 동작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ellet stov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펠릿공급부(200)의 개폐단속판(230)을 이동시켜 펠릿이동공(241)을 개방하면 펠릿호퍼(210)의 펠릿(P)이 펠릿공급관(220)을 통해 연소실(110)의 펠릿연소판(140)에 투입된다. As shown in Figure 1, when the user moves the opening/
펠릿연소판(140)의 펠릿(P)을 점화하면 연소실(110)에서 펠릿(P)이 연소되며 화염(F)이 발생된다. 화염(F)에 의해 발생된 열이 연소실(110) 표면을 가열하여 펠릿난로(1)가 위치된 공간을 난방하게 된다. When the pellets (P) of the
펠릿(P)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연소가스(C)는 연통(17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펠릿(P)의 연소 후 펠릿연소판(140)에 남은 재(B)는 하부하우징(120)의 재받이(150)로 낙하되어 수용된다. The combustion gas (C) generated by combustion of the pellets (P)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lue 170, and the ash (B) remaining on the
펠릿호퍼(210)에 투입된 펠릿(P)은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어 펠릿(P)이 연소된 만큼 천천히 펠릿연소판(140)으로 공급되어 펠릿호퍼(210)에 저장된 펠릿(P)이 모두 소모될 때까지 펠릿(P)의 연소가 연속하여 진행된다. The pellets (P) introduced into the
이 과정에서 장시간 펠릿(P)의 연소가 진행되며 연소실(110) 내부의 온도가 낮아져 외부로 연소가스(C)가 배출되는 배출압력이 낮아지면 연소실(110)의 열(H)이 펠릿공급관(220)으로 이동될 수 있다. In this process, combustion of the pellets (P) proceeds for a long time,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110) decreases, lowering the discharge pressure at which the combustion gas (C)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22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단속판(230)이 개방된 상태에서 연소실(110)의 열(H)이 펠릿공급관(220)으로 유입되면 온도가 높은 열(H)은 펠릿공급관(220)의 상부 내벽면을 따라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heat (H) of the
이 때, 전방역화차단판(330)에 의해 펠릿공급관(220)의 상부 내벽면 측으로는 펠릿(P)의 공급이 차단되므로 전방역화차단판(330)과 펠릿공급관(220)의 상부 내벽면 사이에는 측면 빈공간(S1)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supply of pellets (P) to the upper inner wall side of the
펠릿공급관(220)으로 유입된 열(H)은 빈공간(S1)을 따라 이동되므로 열이 전달될 매질이 없어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열(H)은 전방역화차단판(330)에 막혀 더 이상 상부로의 이동이 차단된다. 이에 의해 열(H)이 펠릿이동공(241)을 통해 펠릿호퍼(210) 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펠릿호퍼(210)에 역화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heat (H) flowing into the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개폐단속판(230)을 닫으면, 개폐단속판(230)과 방지판본체(310) 사이에 잔류하던 펠릿(P)이 후방역화차단판(340)의 경사각에 의해 하부로 빠르게 이동된다. 그리고, 펠릿공급관(220)의 높이방향을 따라 펠릿(P)들은 경사지게 배치되어 펠릿연소판(140)으로 공급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closes the opening/
이에 의해 펠릿공급관(220)의 상부영역에는 펠릿(P)이 존재하지 않게 되고, 전방역화차단판(330)과 후방역화차단판(340) 사이에 상부 빈공간(S2)이 형성된다. 열(H)이 펠릿공급관(220)을 유입되어 펠릿공급관(220)의 상부영역을 따라 이동된 후 상부 빈공간(S2) 펠릿(P)이 잔류하지 않으므로 열(H)이 펠릿(P)으로 전달되어 역화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no pellets (P) exist in the upper area of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펠릿난로는 펠릿공급관과 펠릿호퍼 사이의 경계영역에 역화방지판이 구비되어 연소실 내부의 배기압력이 낮아졌을 때 연소열이 펠릿공급관으로 전달되더라도 펠릿호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펠릿호퍼에 역화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een above, the pellet st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flashback prevention plate in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pellet supply pipe and the pellet hopper to block combustion heat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pellet hopper even if the combustion heat is transferred to the pellet supply pipe when the exhaust pressure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is lowered. This can prevent backfire from occurring in the pellet hopper.
특히, 역화방지판에 형성된 전방역화차단판과 후방역화차단판은 각각 개폐단속판이 개방되었을 때와 닫혔을 때 열의 전달을 차단하는 빈 공간을 형성하여 열이 펠릿호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역화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front fire prevention plate and the rear fire prevention plate formed on the flashback prevention plate form an empty space that blocks the transfer of heat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s opened and closed, respectively, and blocks heat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pellet hopper, causing a flashback.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펠릿난로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ellet stov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 will be.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펠릿난로 100 : 난로본체
110 : 연소실 111 : 공기공급공
120 : 하부하우징 130 : 도어
140 : 펠릿연소판 150 : 재받이
160 : 펠릿투입구 170 : 연통
180 : 고구마오븐 200 : 펠릿공급부
210 : 펠릿호퍼 211 : 지지판플랜지
220 : 펠릿공급관 230 : 개폐단속판
231 : 손잡이 240 : 단속판지지프레임
241 : 펠릿이동공 300 : 역화방지판
310 : 방지판본체 320 : 펠릿공급공
330 : 전방역화차단판 340 : 후방역화차단판
B : 재
F : 화염
H : 열
P : 펠릿
S1 : 측면 빈공간
S2 : 상부 빈공간1: Pellet stove 100: Stove body
110: combustion chamber 111: air supply hole
120: lower housing 130: door
140: Pellet combustion plate 150: Ash catcher
160: pellet inlet 170: flue
180: Sweet potato oven 200: Pellet supply unit
210: Pellet hopper 211: Support plate flange
220: Pellet supply pipe 230: Opening and closing plate
231: Handle 240: Intermittent plate support frame
241: pellet moving hole 300: backfire prevention plate
310: Prevention plate body 320: Pellet supply hole
330: Front fire-blocking plate 340: Rear fire-blocking plate
B:ash
F: Flame
H: heat
P: Pellet
S1: side empty space
S2: Upper empty space
Claims (3)
상기 난로본체(100)의 후방에 상기 펠릿투입구(160)에 결합되어 펠릿호퍼(210)에 수용된 펠릿(P)을 상기 펠릿연소판(140)으로 자중에 의해 공급하는 펠릿공급관(220)과, 상기 펠릿호퍼(210)와 상기 펠릿공급관(220)의 결합영역에 전후 이동되며 펠릿 공급을 단속하는 개폐단속판(230)을 갖는 펠릿공급부(200)와;
상기 개폐단속판(230)과 상기 펠릿공급관(2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연소실(110) 내부의 열이 상기 펠릿공급관(220)을 따라 상기 펠릿호퍼(210) 측으로 전달되며 역화가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화방지판(300)을 포함하며,
상기 펠릿공급관(220)은 일정 길이를 갖는 관형태로 형성되며 펠릿(P)이 자중에 의해 공급될 수 있게 경사진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역화방지판(300)은,
판면에 펠릿공급공(320)이 형성된 판형태의 방지판본체(310)와;
상기 방지판본체(310)의 펠릿공급공(320)의 일측에 하부를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개폐단속판(230)이 개방된 상태에서 열이 상기 펠릿호퍼(2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측면 빈공간(S1)을 형성하는 전방역화차단판(330)과;
상기 방지판본체(310)의 펠릿공급공(320)의 타측에 상기 전방역화차단판(330)과 마주보는 방향에 수직하게 절곡형성되어 상기 개폐단속판(230)이 닫힌 상태에서 열이 상기 펠릿호퍼(2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상부 빈공간(S2)을 형성하는 후방역화차단판(340)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역화차단판(330)은 상기 방지판본체(310)로부터 30~45˚ 범위의 경사각(θ1)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넓어지게 반원 또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역화차단판(340)은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게 반원 또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 A stove body 100 with a pellet combustion plate 140 disposed on the bottom and a combustion chamber 110 with a pellet inlet 160 on the rear wall;
A pellet supply pipe 220 coupled to the pellet inlet 160 at the rear of the stove main 100 and supplying the pellets (P) accommodated in the pellet hopper 210 to the pellet combustion plate 140 by its own weight, A pellet supply unit 200 that moves back and forth in the coupling area of the pellet hopper 210 and the pellet supply pipe 220 and has an opening/closing intermittent plate 230 that regulates the supply of pellets;
It is provided between the opening/closing control plate 230 and the pellet supply pipe 220 so that the heat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110 is transferred to the pellet hopper 210 along the pellet supply pipe 220 and prevents backfire from occurring. It includes a flashback prevention plate (300),
The pellet supply pipe 2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ube with a certain length and is provided in an inclined form so that the pellets (P) can be supplied by their own weight,
The flashback prevention plate 300 is,
A plate-shaped prevention plate body 310 with a pellet supply hole 320 formed on the plate surface;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ellet supply hole 320 of the prevention plate body 310 to be inclined at a certain angle toward the bottom to block heat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pellet hopper 210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30 is open. A front fire blocking plate 330 forming a side empty space S1;
The other side of the pellet supply hole 320 of the prevention plate body 310 is bent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facing the front fire blocking plate 330, so that when the opening/closing control plate 230 is closed, heat is transferred to the pellet hopper. It includes a rear fire blocking plate (340) forming an upper empty space (S2) that blocks transmission to (210),
The front fire-blocking plate 33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n inclination angle θ1 in the range of 30 to 45 degrees from the prevention plate body 310 and is formed in a semicircular or triangular shape with an area expanding toward the bottom, and the rear fire-blocking plate (340) is a pellet stov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emicircle or inverted triangle shape with the area narrowing toward the botto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0852A KR102683854B1 (en) | 2022-05-18 | 2022-05-18 | Felet stove having backflame preventive pellet input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0852A KR102683854B1 (en) | 2022-05-18 | 2022-05-18 | Felet stove having backflame preventive pellet input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61173A KR20230161173A (en) | 2023-11-27 |
KR102683854B1 true KR102683854B1 (en) | 2024-07-10 |
Family
ID=88968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60852A Active KR102683854B1 (en) | 2022-05-18 | 2022-05-18 | Felet stove having backflame preventive pellet input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83854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9989B1 (en) * | 2012-12-26 | 2014-06-20 | 세온엔텍주식회사 | Pellet Stove |
KR101529432B1 (en) * | 2014-06-23 | 2015-06-29 | 박종철 | Pellet heater having pellet feeder device for backflow prevention of smok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0763B1 (en) * | 2013-02-15 | 2015-05-13 | 이재학 | Non-powered pellet stove |
KR20160016104A (en) * | 2014-08-04 | 2016-02-15 | 박정원 | Pallet Wooden Stove |
-
2022
- 2022-05-18 KR KR1020220060852A patent/KR10268385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9989B1 (en) * | 2012-12-26 | 2014-06-20 | 세온엔텍주식회사 | Pellet Stove |
KR101529432B1 (en) * | 2014-06-23 | 2015-06-29 | 박종철 | Pellet heater having pellet feeder device for backflow prevention of smok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61173A (en) | 2023-1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89521A (en) | Gravity fed pellet burner | |
KR101138127B1 (en) | Looking downward type combustion form adopted stove for using wood | |
KR101587377B1 (en) | Reverse combustion firewood stove | |
US4347831A (en) | Fuel burning stove | |
KR101579258B1 (en) | Pellet stove type heating | |
KR102683854B1 (en) | Felet stove having backflame preventive pellet input structure | |
KR100977012B1 (en) | Combustion unit combined boiler using barometric pressure difference | |
KR20120039369A (en) | Wood pellet fired stove | |
CN207907286U (en) | A kind of outdoor heating stove | |
CN216652090U (en) | A pellet burning oven | |
KR200498774Y1 (en) | Pellet stove with a V-shaped combustion plate | |
JP2008298395A (en) | Groove type combustion pot | |
CN204860790U (en) | Smokeless environmental protection charcoal oven is directly drawn in gas | |
CN202066058U (en) | Lower combustion type continuous-combustion firewood-coal cooking and heating two-purpose furnace | |
KR102011676B1 (en) | Fireplace | |
CN106801892A (en) | A kind of heating stove with the oxygen-enriched environmental protecting device of sustainability | |
KR20170081346A (en) | Wood pellet stove | |
CN206709083U (en) | A kind of garbage pyrolysis gasification incinerator | |
KR20170081494A (en) | Pallet Stove | |
KR20250028114A (en) | Pellet stove with a small combustion chamber | |
KR101634360B1 (en) | Upswing and downward combust style heater | |
WO2014148956A1 (en) | Pellet combustion method and device | |
CN222392925U (en) | Combustion device and heating equipment | |
KR102742890B1 (en) | Pellet stove capable of complete combustion of pellets by eddy current formation in a narrow combustor | |
KR102761777B1 (en) | Pellet stove capable of complete combustion of pellets by heating pi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9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