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2328B1 - Post for temporary handrail - Google Patents
Post for temporary handrai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82328B1 KR102682328B1 KR1020220125985A KR20220125985A KR102682328B1 KR 102682328 B1 KR102682328 B1 KR 102682328B1 KR 1020220125985 A KR1020220125985 A KR 1020220125985A KR 20220125985 A KR20220125985 A KR 20220125985A KR 102682328 B1 KR102682328 B1 KR 1026823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holes
- bracket
- hook
- pressure screw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고정물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서 안전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가설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지주(10)의 하단부 또는 지주(10)의 하단부에 결합된 브라켓(20)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부(22); 상기 지주(10) 또는 상기 브라켓(20)에서 돌출형성된 스크류체결부(24)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지지부(22) 상측에 위치되며,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22)에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상기 지주(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압스크류(30);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22)와 가압스크류(30)가 피고정물(2)의 일부를 클램핑하여 설치되며,
상기 지주(10) 또는 브라켓(20)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안전걸이(40)가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관통공(16,22)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걸이(40)는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관통공(16,26)에 체결되는조절부(42)와, 후단부가 하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조절부(42)의 후단에서 연장되는 걸이부(44)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orary railing with a new configuration that can be stably installed on a fixed object and has excellent safety,
a support portion (22)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trut (10) or a bracket (2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trut (10) and protruding rearward; It is screwed to the screw fastening portion 24 protruding from the support 10 or the bracket 20 and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22, and the support 10 is positioned so that the lower end is close to or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22. ) is provided; a pressure screw 30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22 and the pressure screw 30 are installed by clamping a part of the fixture 2,
The support 10 or the bracket 20 is formed with through holes 16 and 22 that penetr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re fastened so that the safety hanger 40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safety hanger 40 is movable back and forth. It includes an adjusting portion 42 fastened to the through holes 16 and 26, and a hook portion 44 whose rear end is bent downward and extends from the rear end of the adjusting portion 42.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설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고정물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가설 난간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orary railing, and more specifically, to a temporary railing with a new configuration that can be stably installed on a fixed object.
일반적으로 건설현장 등과 같은 산업현장에서는 추락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구조물의 둘레에 가설난간을 설치하는데, 가설난간은 지주 하단에 클램핑수단이 구비된 난간대를 상기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구조물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이들 난간대 사이에 수평부재를 연결하여 이루어진다.Generally, in industrial sites such as construction sites, temporary railings are installed around the structur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s. Temporary railings are made by attaching a railing equipped with a clamping means at the bottom of a support to a fixed position on the structure using the clamping means. It is installed at intervals and connects horizontal members between these railings.
그런데 상기 난간대의 클램핑수단은 지주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지지부와, 지지부의 상측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체결된 가압스크류로 이루어져서, 상기 지지부와 가압스크류가 구조물의 상하면을 가압하여 클램핑하기 때문에 난간 설치 후에 가압스크류가 풀어지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구조물에 클램핑 상태가 헐거워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따라서 난간대가 유동되고 흔들려서 난간의 설치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므로 난간이 제구실을 하지 못하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기도 한다. However, the clamping means of the handrail consists of a support part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bottom of the support and a pressure screw screwed to be movable up and down from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art, and the support part and the pressure screw clamp by press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tructure. After installing a handrail, the clamping condition on the structure may become loose for reasons such as the pressure screw loosening. Therefore, the handrail may move and shake and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handrail cannot be maintained stably, so the handrail may not function properly and a safety accident may occur.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고정물에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안전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가설 난간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mporary railing with a new configuration that has excellent safety because it can be installed stably and firmly on a fixed obje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지주(10); 상기 지주(10)의 하단부 또는 지주(10)의 하단부에 결합된 브라켓(20)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부(22); 및 상기 지주(10) 또는 상기 브라켓(20)에서 돌출형성된 스크류체결부(24)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지지부(22) 상측에 위치되며,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22)에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상기 지주(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압스크류(30);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22)와 가압스크류(30)가 피고정물(2)의 일부를 클램핑하여 설치되며,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10); a support portion (22)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trut (10) or a bracket (2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trut (10) and protruding rearward; And the support is screwed to the
상기 지주(10) 또는 브라켓(20)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안전걸이(40)가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관통공(16,26)이 형성되고, The support (10) or bracket (20) is formed with through holes (16, 26) that penetr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re coupled to enable the safety hook (40) to move back and forth,
상기 안전걸이(40)는 상기 관통공(16,26)에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절부(42)와, 상기 조절부(42)의 후단에서 연장되며 후단부가 하향으로 절곡된 걸이부(44)를 포함하여, 상기 안전걸이(40)의 걸이부(44)를 상기 피고정물(2)의 지지부(22)와 가압스크류(30) 사이에 클램핑된 부분에 대향되는 부분에 걸고 안전걸이(4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걸이부(44)가 피고정물(2)에 가압되어 피고정물(2)에 걸린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난간대가 제공된다.Th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관통공(16,26)은 상하로 긴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부(42)는 상기 관통공(16,26)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관통공(16,26)에는 너트부재(28)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절부(42)는 나사축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너트부재(28)에 나사체결되어 전후로 이동되며, 상기 걸이부(44)는 상기 조절부(42)와 별체로 형성되어 별도의 연결구(45)에 의해 상기 조절부(42)에 대해 슬립 및 절철가능하도록 상기 조절부(42)에 결합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절부(42)는 후단부가 상기 연결구(45)에 형성된 결합공에 슬립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상기 걸이부(44)의 전단부는 상기 연결구(45)에 구비된 힌지축(4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걸이부(44)에 대해 절첩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end of the adjus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절부(42)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장공(43)이 형성된 바아로 이루어지고, 상광하협형태로 되어 상기 장공(43)에 끼움결합되는 별도의 조절핀(5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장공(43)은 상기 관통공(16,26) 전후로 걸쳐지게 위치되어, 상기 조절핀(50)을 상기 장공(43)에 끼우면 상기 조절핀(50)의 전면은 상기 장공(43)이 전방측 내측면에 가압되고, 조절핀(50)의 후면은 상기 지주(10) 또는 브라켓(20)의 전면에 가압되어 상기 안전걸이(40)가 전방으로 가압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지지부(22)와 가압스크류(30)가 피고정물의 일부를 클램핑하고, 안전걸이(40)가 피고정물의 지지부(22)와 가압스크류(30)에 클램핑된 부분의 반대쪽에 걸리도록 설치되므로 종래의 가설 난간대에 비해 설치된 상태가 안정적이고 견고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장기간 후에도 설치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안전성이 우수한 가설난간을 설치할 수 있다. Therefore,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a temporary railing with excellent safety that maintains a stable installation state even after a long period of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정면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후면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다른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정면사시도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후면사시도
도 8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above embodiment.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in use.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use state of the above embodiment.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use state
Figure 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above embodiment.
Figure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in use.
Figure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use state.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examples.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와, 지주(10)의 하단에 구비되어 피고정물의 일부를 클램핑하는 지지부(22) 및 가압스크류(30)와, 지주(10) 하단에 구비되어 피고정물의 타측에 걸리는 안전걸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to 4 are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지주(10)는 소정길이를 가지는 사각강관으로 이루어지며, 지주(10) 하단부 전면에는 좌우 폭이 지주(10)보다 넓은 브라켓(20)이 결합된다. 미설명 부호 11은 지주(10)에 난간용 수평바아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재이고, 12는 지주(10)에 로프를 걸기 위한 연결부재이다.The
그리고 상기 브라켓(20)의 하단에는 지주(10) 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부(22)가 형성되고, 브라켓(20)의 상기 지지부(22) 상측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나사체결공이 형성된 스크류체결부(24)가 상기 지지부(22)와 상하로 정렬되도록 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스크류체결부(24)의 나사체결공에 상기 가압스크류(30)가 체결되어, 가압스크류(30)는 지주(10)의 길이방향, 즉, 상하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가압스크류(30)의 하단은 지지부(22)에 근접 및 이격된다. In addition, a
이러한 지지부(22)와 가압스크류(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고정물(2)의 일부분을 클램핑하기 위한 구성이며, 미 설명 부호 32는 가압스크류(30)와 피고정물(2)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해 가압스크류(30) 하단에 구비된 가압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22)와 가압스크류(30)가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된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지지부(22)와 가압스크류(30)의 개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지지부(22)와 가압스크류(30)가 1개씩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브라켓(20)이 생략되고, 지지부(22)와 스크류체결부(24)가 지주(10)에 직접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later, the
한편, 상기 지주(10)와 브라켓(20)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관통공(16, 26)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공(16,26)은 상기 지지부(22)와 스크류체결부(24) 사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어, 상기 안전걸이(40)가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체결된다. Meanwhile, through-
상기 안전걸이(40)는 관통공(16,26)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조절부(42)와, 후단부가 하향으로 절곡되어 선단부가 조절부(42)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걸이부(44)로 이루어진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절부(42)와 걸이부(44)가 별체로 이루어져서 별도의 연결구(45)에 의해 연결된 것으로 예시되었는데, 상기 조절부(4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공(16,26)에는 너트부재(28)가 체결되어, 조절부(42)가 상기 너트부재(28)에 나사체결되어 전후로 이동된다. 이러한 조절부(42)는 후단부가 상기 연결구(45)에 형성된 결합공에 슬립되도록 끼워지며, 이에 따라 조절부(42)가 전후이동을 위해 회전되더라고 걸이부(44)가 조절부(42)와 연동되어 회전되지 않는다. In this embodiment, the adjusting
그리고 상기 걸이부(44)는 금속봉으로 이루어져서, 전단부가 상기 연결구(45)에 연결되는데, 걸이부는 연결구(45)에 구비된 힌지축(46)에 힌지결합되어 조절부(42)에 대해 절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걸이부(44)를 접어서 콤팩트하게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다. And the
한편,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고정물(2)의 두께에 따라 안전걸이(40)의 높이가 조절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관통공(16,26)은 상하로 긴 장공으로 이루어지고, 너트부재(28)는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관통공(16,26)에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너트부재(28)가 관통공(16,26)에 상하로 슬라이드가능하도록 끼워져서 양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관통공(16,26)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아울러 너트부재(28)의 외주면 양측에는 관통공(16,26)의 좌우 내측면에 가이드되는 평면부가 형성되어 너트부재(28)의 회전은 규제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height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조절부(42)와 걸이부(44)가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구(45)에 의해 연결된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조절부(42)와 걸이부(44)가 연결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걸이부(44)가 조절부(42)에 연동되어 회전되지 않고 걸이부(44)가 절첩되는 어떠한 구성으로도 채택이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또,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22)와 가압스크류(30)가 지주(10)를 중심으로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고, 안전걸이(40)가 체결되는 상기 관통공(16,26)이 지주(10)와 브라켓(20)에 상호 정렬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었는데, 이와 같이 관통공(16,26)이 브라켓(20) 뿐만 아니라 지주(10)에도 형성되면 너트부재(28)가 브라켓(20) 뿐만 아니라 지주(10)에도 지지되므로 비교적 긴 길이를 가지는 너트부재(28)를 별도의 추가 부품없이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체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H빔, T빔과 같이 양측으로 플랜지가 형성된 피고정물(2)에 특히 사용이 유용하며, 설치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H빔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is configuration is particularly useful for
먼저, 피고정물(2), 즉, H빔의 일측 플랜지가 상기 지지부(22)와 가압스크류(30) 사이에 삽입되도록 본 발명을 위치시키고, 가압스크류(30)를 조여서 지지부(22)와 가압스크류(30)로 피고정물(2)의 플랜지부를 클램핑하여 본 발명을 피고정물(2)에 1차 고정시킨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so that the
그리고 상기 안전걸이(40)의 걸이부(44) 후단부를 피고정물(2)의 타측 플랜지에 걸쳐 놓고, 안전걸이(40)의 조절부(42)를 회전시켜서 안전걸이(40)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걸이부(44)가 조절부(42)에 연동되어 회전되지 않으므로 조절부(42)를 회전시키더라도 걸이부(44)는 회전되지 않고 후단부가 하향으로 절곡되어 피고정물(2)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Then, the rear end of the
이와 같이 조절부(42)를 회전시켜서 안전걸이(4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걸이부(44)의 하향으로 절곡된 후단부가 피고정물(2)에 가압되어 안전걸이(40)가 피고정물(2)에 걸린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22)와 가압스크류(30)가 피고정물(2)의 일측을 클램핑하고, 그 반대쪽에 안전걸이(40)가 걸려서 가압되기 때문에, 종래의 가설 난간대에 비해 한층 더 안정적으로 설치되며, 장기간사용하더라도 설치된 상태가 와해될 우려가 없다. When the
한편,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안전걸이(40)의 걸이부(44)를 절첩시켜서 콤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안전걸이(40)를 분리하여 보관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안전걸이(4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너트부재(28)에서 분리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used,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ut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nd effect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걸이(40)가 전산볼트로 이루어져서, 조절부(42)와 걸이부(44)가 일체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전산볼트의 후단부를 하향으로 절곡시켜서 전산볼트의 후반부가 걸이부(44)를 이루고 나머지 부분이 조절부(42)를 이룬다.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the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Figures 6 to 8 are views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전걸이(40)의 조절부(42)가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43)이 형성된 바아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공(43)에 끼워지는 조절핀(50)이 더 구비되어, 안전걸이(40)가 상기 조절핀(50)에 의해 전후이동이 조절되는 구성을 가진다.In this embodiment, th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공(43)은 상기 관통공(16,26) 전후로 걸쳐지게 위치되고, 조절핀(50)은 상광하협 형상을 가진다. As shown in FIG. 8, the
이러한 본 실시예에서는 안전걸이(40)의 걸이부(44)를 피고정물(2)에 걸고 상기 장공(43)에 조절핀(50)을 끼워서 설치하는데, 조절핀(50)이 장공(43)에 끼워짐에 따라 안전걸이(40)가 전방으로 당겨져서 걸이부(44)의 하향으로 절곡된 후단이 피고정물(2)에 가압되고, 안전걸이(40)가 피고정물(2)에 걸린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조절핀(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양단이 각각 장공(43)의 전방측 내측면과 브라켓(20) 전면에 가압되어 장공(43)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도 걸이부(44)가 절첩가능하도록 별도의 연결구(45)에 의해 조절부(42)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걸이부(44)를 접어서 보관 및 운반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안전걸이(40)를 분리하여 보관한다.In this embodiment as well, it is illustrated that the hanging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안전걸이(40)가 하나의 바아부재로 이루어져서, 조절부(42)와 걸이부(44)가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산볼트의 전반부에 상기 장공(43)을 형성하여 전산볼트의 전반부가 조절부(42)를 이루고, 전산볼트의 후반부를 하향으로 절곡시켜서 전산볼트의 후반부가 걸이부(44)를 이루도록 제조된다. Figure 9 is a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이와 같이 전산볼트를 사용하여 안전길이(40)를 형성하면, 전산볼트의 표면요철에 의해 걸이부(43)의 피고정물(2)에 걸린 상태가 좀 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전걸이(40)를 관통공(16,26)에서 분리하여 본 발명을 콤팩트하게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다. In this way, if the
Claims (5)
상기 지주(10)의 하단부 또는 지주(10)의 하단부에 결합된 브라켓(20)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부(22); 및
상기 지주(10) 또는 상기 브라켓(20)에서 돌출형성된 스크류체결부(24)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지지부(22) 상측에 위치되며,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22)에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상기 지주(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압스크류(30);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22)와 가압스크류(30)가 피고정물(2)의 일부를 클램핑하여 설치되는 가설 난간대에 있어서,
상기 지주(10) 또는 브라켓(20)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안전걸이(40)가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관통공(16,26)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걸이(40)는 상기 관통공(16,26)에는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관통공(16,26)에 결합되는 조절부(42)와, 후단부가 하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조절부(42)의 후단에서 일체 또는 별체로 연장되는 걸이부(44)를 포함하여,
상기 조절부(42)는 상기 관통공(16,26) 전후로 걸쳐지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긴 장공(43)이 형성된 바아로 이루어지고, 상광하협형태로 되어 상기 장공(43)에 끼움결합되는 별도의 조절핀(50)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걸이(40)의 걸이부(44)를 상기 피고정물(2)의 지지부(22)와 가압스크류(30) 사이에 클램핑된 부분에 대향되는 부분에 걸고 상기 조절핀(50)을 상기 장공(43)에 끼우면, 상기 조절핀(50)의 전면은 상기 장공(43)이 전방측 내측면에 가압되어 조절핀(50)의 후면은 상기 지주(10) 또는 브라켓(20)의 전면에 가압되어 안전걸이(40)가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걸이부(44)가 피고정물(2)에 걸린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난간대.
landowner (10);
a support portion (22)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trut (10) or a bracket (2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trut (10) and protruding rearward; and
It is screwed to the screw fastening portion 24 protruding from the support 10 or the bracket 20 and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22, and the support 10 is positioned so that the lower end is close to or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22. ) is provided with a pressure screw 30 that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temporary railing where the support part 22 and the pressure screw 30 are installed by clamping a part of the fixed object (2),
The support (10) or bracket (20) is formed with through holes (16, 26) that penetr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re coupled to enable the safety hook (40) to move back and forth,
The safety hook 40 has an adjustment part 42 coupled to the through hole 16, 26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nd the rear end is bent downward to form the control part 42. Including a hanging portion 44 extending integrally or separately from the rear end of
The adjusting part 42 is made of a bar with a long hole 43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span before and after the through holes 16 and 26, and has a separate upper and lower narrow shape that is fitted into the long hole 43. Includes an adjustment pin (50),
The hook part 44 of the safety hook 40 is hung on the part opposite to the part clamped between the support part 22 and the pressure screw 30 of the fixed object 2, and the control pin 50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When inserted into (43), the front of the adjustment pin 50 is pressed against the front inner surface of the long hole 43, and the rear of the adjustment pin 50 is pressed against the front of the support 10 or bracket 20. A temporary railing, characterized in that as the safety hook (40) moves forward, the hook portion (44) is maintained on the fixed object (2).
상기 관통공(16,26)은 상하로 긴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부(42)는 상기 관통공(16,26)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난간대.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hrough holes 16 and 26 are composed of long holes extending vertically,
A temporary rail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adjusting portion (42) is coupl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through holes (16, 2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5985A KR102682328B1 (en) | 2022-10-04 | 2022-10-04 | Post for temporary handrai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5985A KR102682328B1 (en) | 2022-10-04 | 2022-10-04 | Post for temporary handrai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6958A KR20240046958A (en) | 2024-04-12 |
KR102682328B1 true KR102682328B1 (en) | 2024-07-09 |
Family
ID=90680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5985A Active KR102682328B1 (en) | 2022-10-04 | 2022-10-04 | Post for temporary handrai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82328B1 (e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02791Y1 (en) | 1990-08-31 | 1993-05-21 | 금성계전 주식회사 | Circuit breaker |
KR20120044047A (en) * | 2010-10-27 | 2012-05-07 | (주)엠에스엔지니어링 | Attachable fixing unit having vertical stand |
KR20150098771A (en) | 2014-02-21 | 2015-08-31 | 윤종철 | A post for temporary handrail |
KR20150004455U (en) * | 2014-06-03 | 2015-12-11 | 이남수 | safety railing |
KR200482903Y1 (en) * | 2015-04-21 | 2017-03-15 | 주식회사 장우이엔지 | Lifeline mounting pole |
-
2022
- 2022-10-04 KR KR1020220125985A patent/KR102682328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6958A (en) | 2024-04-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69714899T2 (en) | Universal hanging device for one carrier | |
CN1925770A (en) | Suspended storage shelf | |
US6406003B1 (en) | Barbed wire fence brace and gate hanger and method therefor | |
US20090196679A1 (en) | Stanchion systems, stanchion attachment systems, and horizontal lifeline systems including stanchion systems | |
JP5160143B2 (en) | Suspended scaffold structure | |
DE3936198C2 (en) | ||
KR200446363Y1 (en) | Rebar Railing Fixture | |
US5377958A (en) | Safety railing system | |
KR102682328B1 (en) | Post for temporary handrail | |
CN117846132A (en) | Assembled steel structure based on archaize building and installation method | |
JPH09506686A (en) | Prop stand for fences, especially catch fences | |
KR101252728B1 (en) | The link type ladder that have a stood | |
KR100931957B1 (en) | Prefabricated fence | |
US2752992A (en) | Canopy assembly units | |
JP2006143136A (en) | Flexible top frame | |
JP2588122B2 (en) | Automatic door base and rail mounting device and mounting method | |
KR200184377Y1 (en) | An angle adjustment possibility for fold type fence | |
DE60037063T2 (en) | Railing of several interconnected individual elements, especially for balconies and stairs | |
DE3213899A1 (en) | Device for suspending precast concrete parts | |
CN220888322U (en) | Cast-in-situ construction template supporting structure | |
CN216406269U (en) | Auxiliary support device for ramp electric pole | |
JPH0748781Y2 (en) | Urinal mounting structure | |
KR102406625B1 (en) | Safe scaffold and its suspending method | |
JP2001241184A (en) | Pier stud extension tool for vertical frame of scaffold and auxiliary extension tool therefor | |
KR102350422B1 (en) | Bridge inspe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