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82084B1 - 차량 및 차량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차량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2084B1
KR102682084B1 KR1020190125052A KR20190125052A KR102682084B1 KR 102682084 B1 KR102682084 B1 KR 102682084B1 KR 1020190125052 A KR1020190125052 A KR 1020190125052A KR 20190125052 A KR20190125052 A KR 20190125052A KR 102682084 B1 KR102682084 B1 KR 102682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 unit
supply
power
interrup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2469A (ko
Inventor
박명수
김우근
권진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5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2084B1/ko
Priority to US16/788,666 priority patent/US11847830B2/en
Publication of KR20210042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2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20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07Measures or means for preventing or attenuating colli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1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 B60L50/15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with additional electric pow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nominal vol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메인 배터리로부터의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또는 차단)되면, 보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보조 전력을 이용하여 차량의 전장 요소들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메인 전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메인 배터리와; 보조 전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보조 배터리와; 상기 메인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기록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촬영 및 기록을 계속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영상 기록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이 상기 차량의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로 공급되도록 상기 보조 전력의 공급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의 동작이 계속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차량 제어 방법{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전력 제어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엔진의 점화 및 전장 요소들의 구동을 위한 동력원으로서 배터리를 구비한다.
일반적인 차량용 배터리는 엔진 룸의 한쪽에 단일의 배터리가 설치되어 차량의 엔진 점화 장치와 여러 전장 요소들에 전력을 공급한다. 차량에서는, 이 단일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엔진을 점화하거나 각종 등화류를 점등하고, 멀티미디어 기기 등을 동작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일의 배터리를 운용하는 차량에서 배터리로부터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차량의 엔진 시동은 물론 각종 전장 요소들의 동작이 불가능해진다. 만약 배터리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중단된 상황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긴급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여러 조치들을 취할 수 없게 된다. 그 조치들이 배터리 전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라면 탑승객이 더욱 곤란한 상황에 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메인 배터리로부터의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또는 차단)되면, 보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보조 전력을 이용하여 차량의 전장 요소들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서, 보조 배터리는, 메인 배터리와는 별개의 것으로서, 차량의 생산 단계에서 차량 제조사가 차량에 내장한 영상 기록 장치의 동작을 보장하도록 추가로 설치되는 보조 배터리이다. 즉 별도의 보조 배터리를 추가하는 것이 아닌 차량 내장형 영상 기록 장치의 백업 전원으로서 구비되는 보조 배터리를 긴급 상황에서 다른 전장 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백업 용도로도 활용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메인 전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메인 배터리와; 보조 전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보조 배터리와; 상기 메인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기록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촬영 및 기록을 계속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영상 기록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이 상기 차량의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로 공급되도록 상기 보조 전력의 공급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의 동작이 계속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차량은, 차량의 충돌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충돌 감지 센서와; 상기 충돌 감지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충돌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에어백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충돌 감지 신호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이 상기 차량의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로 공급되도록 상기 보조 전력의 공급 경로를 제어한다.
상술한 차량은,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충돌 감지 신호의 발생과 상기 가속도 센서의 검출 결과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충돌 여부를 판단한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는, 상기 차량의 탑승객의 안전을 위한 안전 조치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시트 포지션이 조정되는 전동 시트이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전동 시트에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전동 시트의 포지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는, 미리 설정된 장소로 자동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되는 통신부이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통신부에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통신부의 긴급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는, 상기 차량이 하이브리드 차량일 때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와 엔진을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제어부이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에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에 의한 모터 및 엔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차량은, 메인 전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메인 배터리와; 보조 전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보조 배터리와; 상기 메인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기록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촬영 및 기록을 계속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영상 기록 제어부와; 상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충돌 감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충돌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충돌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이 상기 차량의 탑승객의 안전을 위한 안전 조치를 수행하도록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로 공급되도록 상기 보조 전력의 공급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의 동작이 계속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충돌 감지부는, 차량의 충돌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충돌 감지 센서와;
상기 충돌 감지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충돌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에어백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충돌 감지부는,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시트 포지션이 조정되는 전동 시트이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전동 시트에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전동 시트의 포지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는, 미리 설정된 장소로 자동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되는 통신부이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통신부에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통신부의 긴급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는, 상기 차량이 하이브리드 차량일 때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와 엔진을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제어부이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에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에 의한 모터 및 엔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메인 전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메인 배터리와; 보조 전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보조 배터리와; 상기 메인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기록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촬영 및 기록을 계속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영상 기록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이 상기 차량의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로 공급되도록 상기 보조 전력의 공급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의 동작이 계속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은, 상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충돌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돌 감지 신호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이 상기 차량의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로 공급되도록 상기 보조 전력의 공급 경로를 제어한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시트 포지션이 조정되는 전동 시트이고; 상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전동 시트에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전동 시트의 포지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는, 미리 설정된 장소로 자동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되는 통신부이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통신부에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통신부의 긴급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는, 상기 차량이 하이브리드 차량일 때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와 엔진을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제어부이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에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에 의한 모터 및 엔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차량은, 메인 전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메인 배터리와; 보조 전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보조 배터리와;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충돌 감지부와; 상기 메인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기록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촬영 및 기록을 계속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영상 기록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충돌이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이 상기 차량의 전동 시트로 공급되도록 상기 보조 전력의 공급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전동 시트의 시트 포지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메인 배터리로부터의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또는 차단)되면, 보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보조 전력을 이용하여 차량의 전장 요소들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서, 보조 배터리는, 메인 배터리와는 별개의 것으로서, 차량의 생산 단계에서 차량 제조사가 차량에 내장한 영상 기록 장치의 동작을 보장하도록 추가로 설치되는 보조 배터리이다. 따라서, 별도의 보조 배터리를 추가하지 않고, 차량 내장형 영상 기록 장치의 백업 전원으로서 구비되는 보조 배터리를 긴급 상황에서 메인 배터리의 백업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서 메인 배터리로부터의 전력 공급 중단(또는 차단) 시 보조 배터리의 전력 공급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차량의 충돌 감지 시 메인 배터리(130)로부터 공급되는 메인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면 보조 배터리(140)로부터 공급되는 보조 전력을 긴급 제어 대상(190)에 공급하여 탑승객의 안전을 위한 긴급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이와 같은 일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동작한다.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차량의 전방과 후방을 촬영하여 그 영상을 메모리에 기록하도록 마련되는 영상 기록 장치의 제어부이다. 영상 기록 장치는 차량의 생산 단계에서 차량 제조사가 차량에 내장한 장치(DVRS, Drive Video Record System)로서, 차량의 다른 여러 전장 요소들 및 전자 제어 유닛들(ECU)과 CAN(Control Area Network)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서로 유기적으로 협업하도록 마련된다.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는 차량 출고 이후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설치하는 영상 기록 장치(일명 '블랙 박스')와는 구별된다. 앞서 잠시 언급한 보조 배터리(140)는 이와 같은 차량 내장형 영상 기록 장치의 동작을 보장하도록 추가로 설치되는 보조 배터리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차량에 이미 마련되어 있는 차량 내장형 영상 기록 장치의 백업 전원으로서 구비되는 보조 배터리를 긴급 상황에서 다른 전장 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백업 전원으로도 활용한다.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미리 정해진 이벤트 발생 시 차량의 전방과 후방을 촬영하여 그 영상을 기록한다. 미리 정해진 이벤트는, 주행, 주차, 외부 충격 감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차량의 다른 구성 요소들과 차량의 CAN(Control Area Network)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기록 제어부(102)가 통신하는 다른 구성 요소들은, 예를 들면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AVN) 또는 전자 제어 장치(ECU)일 수 있다.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차량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인 가속도 센서(12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즉,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가속도 센서(120)의 검출 값이 미리 정해진 일정 수준 이상을 초과하면 이를 외부 충격 이벤트의 발생으로 인식하여 영상 촬영 및 기록을 수행한다.
가속도 센서(120)는 후술하게 될 충돌 감지 센서(112) 및 에어백 제어부(110)와 함께 '충돌 감지부'로 통칭할 수 있다.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기본적으로 메인 배터리(1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메인 배터리(130)는 엔진 시동 시 점화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고 또 차량의 다른 여러 전장 요소들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배터리이다.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메인 배터리(1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데, 차량이 장시간 주차 상태일 때 영상 기록 제어부(102)의 영상 촬영 및 기록을 위해 메인 배터리(130)의 전력이 모두 소모될 수 있다(방전). 이와 같이 메인 배터리(130)의 전력이 모두 소모되는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영상 기록 제어부(102)에는 보조 배터리(140)가 연결된다. 보조 배터리(140)는, 메인 배터리(130)와는 별개의 것으로서, 메인 배터리(130)로부터의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또는 차단)되더라도 보조 배터리(140)에서는 보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메인 배터리(1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는 상황이 되면,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보조 배터리(140)로부터 보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 보조 배터리(140)의 전력(점선 화살표)이 영상 기록 제어부(102)에 도달하지 않는 것으로 표현된 것은, 보조 배터리(140)의 전력이 영상 기록 제어부(102)에 전달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나, 영상 기록 제어부(102)에서 보조 배터리(140)의 보조 전력을 사용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 1에서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메인 배터리(130)의 메인 전력을 사용하고 있으며, 만약 메인 배터리(130)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중단(또는 차단)되면,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즉시 보조 배터리(140)로부터 보조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 배터리(140)의 보조 전력은, 영상 기록 제어부(102)의 제어 하에 긴급 제어 대상(190)으로도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더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에어백 제어부(110)(ACU, Airbag Control Unit)는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에어백의 전개를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즉, 차량이 타 차량 또는 구조물 등과 충돌하여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이 충격이 차량에 가해지면, 에어백 제어부(110)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에 응답하여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에어백을 전개시킨다. 에어백 제어부(110)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충돌 감지 센서(112)를 통해 감지한다. 충돌 감지 센서(112)는 FIS(Frontal Impact Sensor) 및 SIS(Side Impact Sensor)와 같은 충격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충돌 감지 센서(112) 및 에어백 제어부(110)는 앞서 설명한 가속도 센서(120)와 함께 '충돌 감지부'로 통칭할 수 있다.
차량에 일정 수준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것이 충돌 감지 센서(112)를 통해 감지되면, 에어백 제어부(110)는 충돌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것과 함께, 이 충돌 감지 신호를 영상 기록 제어부(102)에도 전달한다.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에어백 제어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충돌 감지 신호를 통해 차량의 충돌 여부를 확인한다. 앞에서,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가속도 센서(120)를 통해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음을 설명한 바 있다. 따라서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에어백 제어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충돌 감지 신호와 가속도 센서(120)의 검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차량의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의 충돌 여부를 더욱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는 에어백 제어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충돌 감지 신호와 가속도 센서(120)의 검출 결과를 모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긴급 제어 대상(190)은 위급 상황 발생 시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긴급하게 안전 조치를 위한 제어를 필요로 하는 구성 요소이다. 긴급 제어 대상(190)의 실시 예로는, 전동 시트(150)와 통신부(160), 하이브리드 제어부(170)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전동 시트(150)와 통신부(160), 하이브리드 제어부(170) 등은 긴급 제어 대상(190)의 실시 예일 뿐, 긴급 제어 대상(190)이 전동 시트(150)와 통신부(160), 하이브리드 제어부(170) 등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보조 배터리(140)의 보조 전력이 반드시 긴급 제어 대상(190)으로만 공급되는 것은 아니다. 긴급 제어 대상(190)으로 보조 전력을 공급하는 것은, 긴급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긴급 제어 대상(190)에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한 것일 뿐, 보조 배터리(140)의 전력 보유량이 충분하다면 긴급 제어 대상(190) 이외의 다른 전장 요소들에도 보조 배터리(140)의 보조 전력을 공급해도 좋다.
전동 시트(150)는 모터(미도시)의 힘을 이용하여 포지션을 조정할 수 있는 시트이다. 예를 들면, 탑승객은 전동 시트(150)의 관련 버튼을 조작하는 것 만으로 전동 시트(150)의 전후 위치, 등받이 각도, 높이 등을 쉽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전동 시트(150)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야만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이를 위해 전동 시트(150)는 기본적으로 메인 배터리(1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만약 전동 시트(150)의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130)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중단(또는 차단)되면 탑승객은 전동 시트(150)를 조정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와 같이 메인 배터리(130)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중단(또는 차단)되는 경우, 영상 기록 제어부(102)가 보조 배터리(140)의 전력이 전동 시트(150)에 공급되도록 보조 전력 공급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전동 시트(150)가 보조 배터리(140)의 전력을 이용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운전석 시트와 전면 대시보드 사이의 공간이 좁아서 탑승객이 미처 차량에서 벗어나지 못할 때, 공간 확보를 위해 운전석 시트를 뒤쪽으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만약 전동 시트인 운전석으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운전자가 버튼을 조작하더라도 운전석 시트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지 않기 때문에 운전석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공간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위급 상황에서 탑승객이 차량에서 벗어나기 위해 전동 시트(150)의 포지션을 후방으로 이동(슬라이딩)할 필요가 있을 때, 비록 메인 배터리(150)로부터의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또는 차단)되더라도, 영상 기록 제어부(102)를 통해 보조 배터리(140)의 보조 전력을 전동 시트(150)에 공급함으로써 전동 시트(15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서, 탑승객이 위급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160)는 차량과 외부 통신망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장치이다. 차량의 탑승객은 이 통신부(160)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와 텔레매틱스 서비스, 무선 통신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위급 상황 발생 시 미리 정해진 장소(병원, 경찰서, 보험사 등)로 자동으로 긴급 호출 전화를 걸 수 있는 긴급 호출 서비스도 통신부(160)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 통신부(160) 역시 기본적으로 메인 배터리(1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만약 통신부(160)에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130)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중단(또는 차단)되면 긴급 호출은 물론 일반적인 통신조차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와 같이 메인 배터리(130)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중단(또는 차단)되는 경우, 영상 기록 제어부(102)가 보조 배터리(140)의 전력이 통신부(160)에 공급되도록 보조 전력 공급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통신부(160)가 보조 배터리(140)의 전력을 이용하여 정상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하이브리드 제어부(170)(HCU, Hybrid Control Unit)는 하이브리드 차량 고유의 특징적인 기능을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특히, 하이브리드 제어부(170)는 모터의 기동과 엔진의 점화 등에 관여하는데, 모터의 기동과 엔진의 점화는 모두 전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제어부(170) 역시 기본적으로는 메인 배터리(1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만약 전동 시트(150)의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130)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중단(또는 차단)되면 탑승객은 전동 시트(150)를 조정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와 같이 메인 배터리(130)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중단(또는 차단)되는 경우, 영상 기록 제어부(102)가 보조 배터리(140)의 전력이 전동 시트(150)에 공급되도록 보조 전력 공급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전동 시트(150)가 보조 배터리(140)의 전력을 이용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서 메인 배터리로부터의 전력 공급 중단(또는 차단) 시 보조 배터리의 전력 공급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상황은 메인 배터리(130)로부터의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또는 차단)되어 메인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여러 전장 요소들이 동작하지 못하는 상황을 가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차량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여 메인 배터리(130)의 출력 측 케이블 등이 파손되었을 때 여러 전장 요소들이 메인 배터리(130)로부터 메인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에어백 제어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충돌 감지 신호와 가속도 센서(120)의 검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차량의 충돌 여부를 판단하고, 또 메인 배터리(130)로부터의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또는 차단)된 것을 확인한 후, 긴급 제어 대상(190)인 전동 시트(150)와 통신부(160), 하이브리드 제어부(170) 등에 보조 배터리(140)의 보조 전력이 공급되도록 보조 배터리(140)의 전력 공급 경로를 제어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메인 배터리(130)로부터의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또는 차단)된 상태이더라도, 보조 배터리(140)의 보조 전력(점선 화살표)이 영상 기록 제어부(102)의 제어 하에 긴급 제어 대상(190)으로 공급됨으로써, 긴급 제어 대상(190)의 구성 요소들이 보조 배터리(140)의 보조 전력을 이용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에서,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차량의 충돌 감지 시 메인 배터리(130)로부터 공급되는 메인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면 보조 배터리(140)로부터 공급되는 보조 전력을 긴급 제어 대상(190)에 공급하여 탑승객의 안전을 위한 긴급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이와 같은 일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동작한다.
에어백 제어부(110)는 충돌 감지 센서(112)를 통해 차량의 충돌 여부를 모니터링한다(312).
차량에 일정 수준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것이 충돌 감지 센서(112)를 통해 감지되면(3124의 '예') 에어백 제어부(110)는 충돌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316). 생성된 충돌 감지 신호는 에어백의 전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에어백 제어부(110)는 생성한 충돌 감지 신호를 영상 기록 제어부(102)로 전송한다(318).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에어백 제어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충돌 감지 신호를 통해 차량에 충돌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차량의 충돌 여부는 영상 기록 제어부(102)에 연결되어 있는 가속도 센서(120)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차량의 충돌 여부를 더욱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에어백 제어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충돌 감지 신호와 가속도 센서(120)의 검출 결과를 모두 이용할 수도 있다.
충돌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322의 '예'),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메인 배터리(130)로부터의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또는 차단)되거나 또는 차량의 CAN 통신이 차단되었는지를 확인한다(324). 메인 배터리(130)로부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또는 차단)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차량의 긴급 상황 발생 시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반드시 전력을 공급해야 하는 장치들에 메인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만약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또는 차단)되었다면,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메인 전력 대신 보조 배터리(140)의 보조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긴급 상황 발생 시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반드시 전력을 공급해야 하는 장치들에 보조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영상 기록 제어부(102)가 CAN 통신의 차단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메인 배터리(130)의 메인 전력의 공급을 관리하는 메인 회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인 회로의 이상 유무를 통해 긴급 제어 대상(19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제어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차량의 충돌로 인해 메인 배터리(130)로부터 메인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324의 '예'),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즉시 보조 배터리(140)로부터 보조 전력을 수신한다(326).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메인 배터리(130)의 메인 전력 대신 보조 배터리(140)의 보조 전력을 이용하여 계속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보조 배터리(140)로부터 공급되는 보조 전력을 차량의 다른 전장 요소들 예를 들면 긴급 제어 대상(190)에도 공급되도록 하는 보조 전력 공급 제어를 실시한다(328). 앞서 도 2의 설명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차량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여 메인 배터리(130)의 출력 측 케이블 등이 파손되었을 때 여러 전장 요소들이 메인 배터리(130)로부터 메인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게 된다. 이 경우 영상 기록 제어부(102)는, 긴급 제어 대상(190)인 전동 시트(150)와 통신부(160), 하이브리드 제어부(170) 등에 보조 배터리(140)의 보조 전력이 공급되도록 보조 배터리(140)의 전력 공급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긴급 제어 대상(190)의 구성 요소들이 보조 배터리(140)의 보조 전력을 이용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긴급 제어 대상(190)의 구성 요소들 즉 전동 시트(150)와 통신부(160), 하이브리드 제어부(170) 등은 영상 기록 제어부(102)의 제어 하에 보조 배터리(140)로부터 공급되는 보조 전력을 이용하여 계속 동작을 유지하고 충돌 사고로부터 탑승객의 안전을 고려한 긴급 상황 대처 동작을 수행한다(332). 특히 전동 시트(150)의 경우 탑승객이 차량으로부터 벗어나야 하는 상황에서 전동 시트와 대시 보드 사이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을 때 보조 배터리(140)의 보조 전력을 통해 전동 시트(150)의 시트 포지션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객이 전동 시트(150)의 시트 포지션 변경을 통해 차량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공간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긴급 제어 대상(190) 이외의 다른 전장 요소들도 영상 기록 제어부(102)의 제어 하에 보조 배터리(140)로부터 공급되는 보조 전력을 이용하여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보조 배터리(140)의 용량이 메인 배터리(130)의 용량보다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긴급 상황 발생 시에는 다른 전장 요소들보다는 탑승객의 안전 확보에 기여하는 긴급 제어 대상(190)에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보조 전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위의 설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위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2 : 영상 기록 제어부
110 : 에어백 제어부
112 : 충돌 감지 센서
120 : 가속도 센서
130 : 메인 배터리
140 : 보조 배터리
150 : 전동 시트
160 : 통신부
170 : 하이브리드 제어부
190 : 긴급 제어 대상

Claims (19)

  1. 메인 전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메인 배터리와;
    보조 전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보조 배터리와;
    상기 메인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기록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촬영 및 기록을 계속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영상 기록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이 상기 차량의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로 공급되도록 상기 보조 전력의 공급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의 동작이 계속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시트 포지션이 조정되는 전동 시트이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전동 시트에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전동 시트의 포지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충돌 감지 센서와;
    상기 충돌 감지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충돌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에어백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충돌 감지 신호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이 상기 차량의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로 공급되도록 상기 보조 전력의 공급 경로를 제어하는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충돌 감지 신호의 발생과 상기 가속도 센서의 검출 결과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충돌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는, 미리 설정된 장소로 자동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되는 통신부이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통신부에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통신부의 긴급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는, 상기 차량이 하이브리드 차량일 때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와 엔진을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제어부이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에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에 의한 모터 및 엔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8. 메인 전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메인 배터리와;
    보조 전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보조 배터리와;
    상기 메인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기록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촬영 및 기록을 계속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영상 기록 제어부와;
    상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충돌 감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충돌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충돌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이 상기 차량의 탑승객의 안전을 위한 안전 조치를 수행하도록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로 공급되도록 상기 보조 전력의 공급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의 동작이 계속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시트 포지션이 조정되는 전동 시트이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전동 시트에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전동 시트의 포지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감지부는,
    차량의 충돌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충돌 감지 센서와;
    상기 충돌 감지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충돌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에어백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감지부는,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차량.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는, 미리 설정된 장소로 자동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되는 통신부이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통신부에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통신부의 긴급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는, 상기 차량이 하이브리드 차량일 때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와 엔진을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제어부이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에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에 의한 모터 및 엔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14. 메인 전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메인 배터리와; 보조 전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보조 배터리와; 상기 메인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기록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촬영 및 기록을 계속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영상 기록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이 상기 차량의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로 공급되도록 상기 보조 전력의 공급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의 동작이 계속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시트 포지션이 조정되는 전동 시트이고;
    상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전동 시트에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전동 시트의 포지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충돌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돌 감지 신호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조 전력이 상기 차량의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로 공급되도록 상기 보조 전력의 공급 경로를 제어하는 차량 제어 방법.
  16. 삭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는, 미리 설정된 장소로 자동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되는 통신부이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통신부에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통신부의 긴급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전장 요소는, 상기 차량이 하이브리드 차량일 때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와 엔진을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제어부이고;
    상기 영상 기록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상기 메인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에 상기 보조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에 의한 모터 및 엔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9. 삭제
KR1020190125052A 2019-10-10 2019-10-10 차량 및 차량 제어 방법 Active KR102682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052A KR102682084B1 (ko) 2019-10-10 2019-10-10 차량 및 차량 제어 방법
US16/788,666 US11847830B2 (en) 2019-10-10 2020-02-12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052A KR102682084B1 (ko) 2019-10-10 2019-10-10 차량 및 차량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469A KR20210042469A (ko) 2021-04-20
KR102682084B1 true KR102682084B1 (ko) 2024-07-08

Family

ID=75382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052A Active KR102682084B1 (ko) 2019-10-10 2019-10-10 차량 및 차량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847830B2 (ko)
KR (1) KR10268208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0570B1 (en) * 2000-07-21 2006-09-19 Trw Inc. Application of human facial features recognition to automobile security and convenience
RU2007119135A (ru) * 2004-11-30 2009-01-10 Каяба Индастри Ко., Лтд. (Jp) Аварийный источник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KR20120001978A (ko) * 2010-06-30 2012-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주변기록 장치
JP5791819B2 (ja) * 2012-10-10 2015-10-07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用蓄電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117575B1 (ko) * 2013-04-29 2020-06-01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관리 방법
JP5730975B2 (ja) * 2013-10-11 2015-06-1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KR102584581B1 (ko) * 2016-07-18 2023-10-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20180047896A (ko) * 2016-11-01 2018-05-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기차량 구동용 외장 배터리 팩 및 이의 사용방법
KR102383451B1 (ko) * 2016-12-16 2022-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발전 제어 장치 및 방법
JP6601386B2 (ja) * 2016-12-27 2019-11-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駆動装置および自動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47830B2 (en) 2023-12-19
US20210107375A1 (en) 2021-04-15
KR20210042469A (ko) 202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4151B2 (en) Mounting system for an electronic control module housing in a vehicle
JP6103145B2 (ja) 車両用緊急通報装置
JP2006062568A (ja) 自動車
CN105480181A (zh) 乘员状态推定系统以及车载装置
CN114715067B (zh) 车辆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储存介质
US11568684B2 (en) Control unit and control system for vehicle
JP2008080978A (ja) 乗員保護制御装置の展開判断方法及び装置
US20230158987A1 (en) Pet guard apparatus to be applied to vehicle, and vehicle
JP2003529491A (ja) 車両乗員保護安全システムの安全確認方法
KR102682084B1 (ko) 차량 및 차량 제어 방법
JP3501208B2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装置
CN112193196B (zh) 车辆
US20210370801A1 (en) Method for a vehicle seat, computer program, memory medium and device
JP2015149697A (ja) 衝突記録装置
JP3968671B2 (ja) 車両用エアバックシステム
KR102801439B1 (ko) 차량, 그 제어 방법 및 에어백 제어 장치
KR102134759B1 (ko) 스마트 부스터를 이용한 차량 제동 시스템 및 방법
JP3230880B2 (ja) 車両の交通事故対策装置
US7246822B2 (en) Motorized seat belt system
CN113492785A (zh) 乘员保护装置
TR201603654A2 (tr) Aci̇l çağri ci̇hazli motorlu araç
JP2020113189A (ja) 緊急通報装置
JP2014141158A (ja) 乗員保護制御装置
CN111688620A (zh) 车辆的乘员监控装置和交通系统
KR101821569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0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0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