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82082B1 -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암 방사선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암 방사선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2082B1
KR102682082B1 KR1020210070866A KR20210070866A KR102682082B1 KR 102682082 B1 KR102682082 B1 KR 102682082B1 KR 1020210070866 A KR1020210070866 A KR 1020210070866A KR 20210070866 A KR20210070866 A KR 20210070866A KR 102682082 B1 KR102682082 B1 KR 102682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g
glycero
phosphocholine
cancer
liposo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2422A (ko
Inventor
임형준
이우승
최진영
김가은
전미연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70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2082B1/ko
Publication of KR20220162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2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208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Synthetic bilayered vehicles, e.g. liposomes or liposomes with cholesterol as the only non-phosphatidyl surfactant
    • A61K9/1271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or liposomes coated or grafted wit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242Gold;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38Radiosensitizing, i.e. administration of pharmaceutical agents that enhance the effect of radio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효율적인 방사선 감작 효과를 갖는 금 나노입자가 담지된 리포좀(Au-Lipo)에 대한 발명이다. 금 나노 입자(AuNP)가 담지되어 효과적인 방사선 감작제로 작용하며, 페길화(PEGylation)된 리포좀은 실질적으로 긴 혈액 순환 및 효율적인 수동 종양 표적능을 보여준다. 따라서, 정맥 주사를 통한 리포좀의 전신 순환으로 다수의 병변을 표적할 수 있는 방사선 감작제로서 효과가 있으며 이를 포함한 암 방사선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치료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암 방사선 치료용 약학 조성물{Liposo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cancer radiation therap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암 방사선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 요법(RT)은 암 환자의 50% 이상에게 적용되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항암 치료 방법 중 하나이다. 높은 원자번호 물질(high-Z materials)은 방사선의 강한 감쇠에 기초하여 국소 선량 축적을 향상시키기 위해 방사선 감작제로서 제안되어 왔다. 특히, 금 나노 입자(AuNP)는 높은 광전 흡수 계수 및 간단한 제조 절차에 기초한 효과적인 방사선 감작제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금 나노 입자(AuNP)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종양 내로 주사 되거나 시험관 내에서 실험되었고, 정맥 내 주사 된 AuNP는 낮은 종양세포의 섭취 효율을 나타내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 0699212호
본 발명은 금 나노 입자가 담지된 페길화 리포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금 나노 입자가 담지된 리포좀을 포함하는 암 방사선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1.인지질 이중층 막 및 그 막 내부에 담지된 금 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인지질 중 적어도 일부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이 접합된 인지질인, 리포좀.
2. 위 1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은 PEG 비접합 인지질 및 PEG 접합 인지질을 포함하고, 그 몰비는 1 : 0.2 내지 4 인 리포좀.
3.위 1에 있어서, 상기 금 나노 입자의 크기는 1 nm 내지 20 nm인 리포좀.
4. 위 1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의 크기는 30 nm 내지 200 nm인 리포좀.
5. 위 2에 있어서, 상기 PEG 비접합 인지질은 1,2-디미리스토일 -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myristoyl-sn-Glycero-3-Phosphocholine, DMPC), 1,2-디펙사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hex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헵타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hept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옥타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oct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나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non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didec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운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undec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라우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lauroyl-snglycero-3-phosphocholine, DLPC), 1,2-디트리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tridec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펜타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pentadec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palmitoyl-sn-glycero-3-phosphocholine, DPPC), 1,2-디헵타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heptadec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stearoyl-sn-glycero-3-phosphocholine, DSPC),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타놀아민 (1,2-Distearoyl-sn-glycero-3-phosphorylethanolamine, DSPE), 1,2-디노나 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nonadec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아라키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arachid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헤나라키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henarachid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베헤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dibehe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트리코사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tricos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리그노세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lignoceroyl-sn-glycero-3-phosphocholi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포스파티딜콜린(hydrogenated phosphatidylcholine),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dioleoyl-sn-glycero-3-phosphocholine, DOPC), L-α-포스파티딜콜린(L-α-phosphatidylcholine, HSPC), 1-미리스토일-2-스테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myristoyl-2-stearoyl-sn-glycero-3-phosphocholine, MSPC) 및 1-미리스토일-2-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myristoyl-2-palmitoyl-sn-glycero-3-phosphocholine, MP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리포좀.
6. 위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이 접합된 인지질은 PEG가 결합된 DMPC, PEG가 결합된 1,2-디펙사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1,2-디헵타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1,2-디옥타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1,2-디나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1,2-디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1,2-디운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DLPC, PEG가 결합된 1,2-디트리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1,2-디펜타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DPPC, PEG가 결합된 1,2-디헵타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DSPC, PEG가 결합된 DSPE, PEG가 결합된 1,2-디노나 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1,2-디아라키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1,2-디헤나라키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1,2-디베헤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1,2-디트리코사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1,2-디리그노세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포스파티딜콜린, PEG가 결합된 DOPC, PEG가 결합된 HSPC, PEG가 결합된 MSPC 및 PEG가 결합된 MP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리포좀.
7. 위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리포좀을 포함하는 암 방사선 치료용 약학 조성물.
본 발명 페길화(PEGylation) 리포좀은 체내 안정성이 우수하며 종양세포로의 섭취율이 우수하다.
본 발명 리포좀은 체내 안정성이 우수해 정맥 주사를 통한 전신 순환을 통해 다수의 병변을 표적할 수 있다.
본 발명 리포좀에 담지된 금 나노 입자는 방사선 감작 효과가 뛰어나 상기 리포좀 처리와 방사선 조사가 함께 이뤄지는 경우 뛰어난 암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 리포좀을 포함한 암 방사선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체내에 투여된 후, 리포좀에 담지된 금 나노 입자가 X-선으로 활성화되고 방사선 감수성을 선택적으로 증강시켜 방사선에 의한 암 질환 등의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금 나노 입자가 담지된 페길화 리포좀(Au-Lipo)의 모식도다.
도 2a는 금 나노 입자가 담지된 페길화 리포좀(Au-Lipo), 금 나노입자(AuNP) 및 Aurovist의 크기자료를 나타낸다.
도 2b는 금 나노 입자가 담지된 페길화 리포좀(Au-Lipo), 금 나노입자(AuNP) 및 Aurovist의 zeta-potential, 흡광도 특성, 흡광도 특성을 이용한 금 나노입자 담지효율을 나타낸다.
도 3a은 금 나노 입자가 담지된 페길화 리포좀(Au-Lipo)의 안정성 평가자료를 나타낸다.
도 3b는 Aurovist의 안정성 평가자료를 나타낸다.
도 4a는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한 형광 이미징 결과 자료를 통해 금 나노 입자가 담지된 페길화 리포좀(Au-Lipo)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접합 인지질 비율 별 섭취정도를 나타낸다.
도 4b는 생체 내 형광 이미징을 통해 금 나노 입자가 담지된 페길화 리포좀(Au-Lipo)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접합 인지질 비율 별 체내순환능을 나타낸 자료다.
도 4c는 금 나노 입자가 담지된 페길화 리포좀(Au-Lipo)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접합 인지질 비율 별 종양 대 주요 장기 섭취율을 나타낸 자료다.
도 5a는 금 나노 입자가 담지된 페길화 리포좀(Au-Lipo) 내 금 나노 입자(AuNP)의 시간에 따른 세포 섭취정도를 나타낸다.
도 5b는 금 나노 입자가 담지된 페길화 리포좀(Au-Lipo) 내 금 나노 입자(AuNP)의 농도 별 세포 독성을 나타낸다.
도 6a는 금 나노 입자가 담지된 페길화 리포좀의(Au-Lipo) 처리와 X-선 조사량에 따른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다.
도 6b는 금 나노 입자가 담지된 페길화 리포좀의(Au-Lipo) 처리와 X-선 조사량에 따른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다.
도 7은 금 나노 입자가 담지된 페길화 리포좀(Au-Lipo)의 처리와 X-선 조사에 따른 DNA 이중 가닥 파괴정도 및 ROS발생량을 나타낸다.
도 8은 양전자 방출 단층 영상 촬영을 통한 금 나노 입자가 담지된 페길화 리포좀(Au-Lipo)의 생체 순환능 및 종양으로의 섭취 효율을 나타낸다.
도 9는 금 나노 입자가 담지된 페길화 리포좀(Au-Lipo)의 생체 내 방사선 감작효과를 통한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리포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금 나노 입자가 담지된 페길화(PEGylation) 리포좀을 제공한다.
금 나노 입자는 방사선요법의 효능을 증진시키는 방사선감작제(radiosensitizer)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방사선요법의 예는 외부 빔 방사선요법, 원격요법(teletherapy), 단거리요법(brachtherapy), 밀봉 선원(sealed source) 방사선요법 및 개방 선원(unsealed source) 방사선요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방사선 요법"은 이온화 방사선에 상응하는 방사선 조사로 종양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된다. 이온화 방사선은 이의 유전 물질을 손상시켜 치료 대상 영역 (표적 조직)의 세포를 손상시키거나 파괴하는 에너지를 축적하여 이들 세포가 계속 성장할 수 없게 한다.
용어 "방사선증감제"란, 방사선에 대한 암 또는 종양 세포의 민감성을 증가시켜, 이러한 방사선에 노출되었을 때 암 또는 종양 세포 파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사선 증감제는 금 나노 입자가 X-선으로 활성화되어, 방사선 감수성을 선택적으로 증강시켜 방사선에 의한 암 질환 등의 치료효과를 높이는 것일 수 있다.
금 나노 입자의 유체 역학적 크기는 1nm 내지 20nm, 1nm 내지 5nm, 또는 2.5nm 내지 5n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리포좀에 담지되는 금 나노 입자의 비교실험 대상인 AuroVist는 'nanoprobes'사에서 X-선 조영제로 판매하는 금 나노 입자이다.
용어 '페길화 리포좀'은 인지질이 페길화(PEGylated) 된 리포좀으로 리포좀의 인지질 이중층 표면에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사슬이 결합된 리포좀 제제다. 인체 투여 시 면역계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체내 반감기가 길어 우수한 약리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리포좀은 인지질 이중층 막 및 그 막 내부에 담지된 금 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인지질 중 적어도 일부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접합 인지질이다.
리포좀의 유체 역학적 크기는 30 nm 내지 200 nm, 30 nm 내지 100 nm, 또는 40 nm 내지 90 n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PEG 비접합 인지질은 1,2-디미리스토일 -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myristoyl-sn-Glycero-3-Phosphocholine, DMPC), 1,2-디펙사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hex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헵타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hept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옥타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oct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나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non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didec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운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undec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라우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lauroyl-snglycero-3-phosphocholine, DLPC), 1,2-디트리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tridec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펜타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pentadec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palmitoyl-sn-glycero-3-phosphocholine, DPPC), 1,2-디헵타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heptadec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stearoyl-sn-glycero-3-phosphocholine, DSPC),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타놀아민 (1,2-Distearoyl-sn-glycero-3-phosphorylethanolamine, DSPE), 1,2-디노나 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nonadec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아라키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arachid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헤나라키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henarachid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베헤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dibehe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트리코사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tricosanoyl-sn-glycero-3-phosphocholine), 1,2-디리그노세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2-dilignoceroyl-sn-glycero-3-phosphocholi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포스파티딜콜린(hydrogenated phosphatidylcholine),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dioleoyl-sn-glycero-3-phosphocholine, DOPC), L-α-포스파티딜콜린(L-α-phosphatidylcholine, HSPC), 1-미리스토일-2-스테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myristoyl-2-stearoyl-sn-glycero-3-phosphocholine, MSPC) 및 1-미리스토일-2-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1-myristoyl-2-palmitoyl-sn-glycero-3-phosphocholine, MP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이 접합된 인지질은 PEG가 결합된 DMPC, PEG가 결합된 1,2-디펙사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1,2-디헵타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1,2-디옥타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1,2-디나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1,2-디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1,2-디운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DLPC, PEG가 결합된 1,2-디트리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1,2-디펜타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DPPC, PEG가 결합된 1,2-디헵타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DSPC, PEG가 결합된 DSPE, PEG가 결합된 1,2-디노나 데카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1,2-디아라키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1,2-디헤나라키도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1,2-디베헤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1,2-디트리코사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1,2-디리그노세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EG가 결합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포스파티딜콜린, PEG가 결합된 DOPC, PEG가 결합된 HSPC, PEG가 결합된 MSPC 및 PEG가 결합된 MP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은 PEG 비접합 인지질과 PEG 접합 인지질을 혼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 리포좀은 DSPC와 PEG가 결합된 DSPE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리포좀 제조에 사용되는 PEG 비접합 인지질 또는 PEG 접합 인지질의 종류나 함량은 제조하고자 하는 리포좀의 크기 등 다양한 성질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포좀을 구성하는 PEG 비접합 인지질 : PEG 접합 인지질은 몰비가 1 : 0.1 내지 4, 1 : 0.1 내지 2, 1 : 0.2 내지 4, 1 : 0.2 내지 2, 1 : 0.2 내지 0.8, 또는 1 : 0.2 내지 0.4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인지질 조성비가 상기 비율 내인 경우 체내 안정성과 종양의 리포좀 섭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 리포좀은 체내 안정성과 종양 리포좀 흡수율이 우수하여 상기 리포좀을 환자에 정맥주사하는 경우에도 종양섭취율이 뛰어나 방사선치료를 병행할 경우 우수한 암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 리포좀은 스테롤계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테롤계 화합물은 인지질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스테롤계 화합물은 콜레스테롤, 3b-[N-(N',N'-디메틸아미노에탄)-카바밀}콜레스테롤(3b-[N-(N',N'-dimethylaminoethane)-cabamyl]cholesterol, DCCh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캄페스테롤 (campesterol), 시토스테롤 (sitosterol), 에르고스테롤(ergosterol), 라노스테롤(lanosterol), 디노스테롤 (dinosterol), 고르고스테롤(gorgosterol), 아베나스테롤(avenasterol), 사린고스테롤(saringosterol), 퓨코스테롤(fucosterol), 콜레스테릴 헤미석시네이트(cholesteryl hemisuccinate), 콜레스테릴 벤조에이트 (cholesteryl benzoate), 콜레스테릴 올레이트(cholesteryl oleate), 콜레스테릴 올레일 카보네이트 (cholesteryl oleyl carbonate), 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레이트(cholesterylisostearate), 콜레스테릴 리놀레 이트(cholesteryl linoleate), 콜레스테릴 아세테이트(cholesteryl acetate), 콜레스테릴 팔미테이트 (cholesteryl palmitate), 콜레스테릴 스테아레이트(cholesteryl stearate), 콜레스테릴 클로라이드(Cholesteryl chloride), 콜레스테릴 노나노에이트(Cholesteryl nonanoate) 및 콜레스테릴 아라키도네이트 (Cholesteryl arachido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전술한 스테롤계 화합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리포좀의 구조가 더욱 안정화될 수 있다.
리포좀을 구성하는 스테롤계 화합물의 함량은 인지질(PEG 비접합 인지질 및 PEG 접합 인지질 모두 포함) : 스테롤계 화합물의 몰비가 1 : 0.1 내지 4, 1 : 0.5 내지 4, 1 : 0.5 내지 2, 또는 1 : 0.5 내지 1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리포좀은 자기 조립(self-assembly)을 통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은 예를 들면 금 나노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PEG 비접합 인지질 및 PEG 접합 인지질을 용매에 첨가하여 지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지질 용액의 유기용매를 증발시켜 지질 박막을 만든 후, 초미세 금 나노 입자 현탁액에 수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지질 박막을 수화시킨 현탁액을 초음파 처리하여 금 나노 입자가 담지된 페길화 리포좀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 나노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금 나노 입자는 gold chloride solution에 환원제를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 나노 입자는 sodium hydroxide, tetrakis(hydroxymethyl)phosphonium chloride 및 gold chloride solution을 반응시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금 나노 입자는 증류수 1 내지 2 중량부에 대하여 0.4M sodium hydroxide 0.03 중량부 내지 0.05 중량부, 1.2% tetrakis(hydroxymethyl)phosphonium chloride solution 0.03 중량부 내지 0.04 중량부, 및 gold chloride solution 0.12 중량부 내지 0.16 중량부를 첨가하여 제조된 것이거나, 증류수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에 대하여 0.4M sodium hydroxide 0.02 중량부 내지 0.06 중량부, 1.2% tetrakis(hydroxymethyl)phosphonium chloride solution 0.02 중량부 내지 0.05 중량부, 및 gold chloride solution 0.1 중량부 내지 0.18 중량부를 첨가하여 제조된 것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1 mL 내지 2 mL의 증류수, 30 μL 내지 50 μL의 0.4M sodium hydroxide, 30 μL 내지 40 μL의 1.2% tetrakis(hydroxymethyl)phosphonium chloride solution, 및 120 μL 내지 160 μL의 gold chloride solution을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거나, 1 mL 내지 5 mL의 증류수, 20 μL 내지 60 μL의 0.4M sodium hydroxide, 20 μL 내지 50 μL의 1.2% tetrakis(hydroxymethyl)phosphonium chloride solution, 및 100 μL 내지 180 μL의 gold chloride solution을 사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PEG 비접합 인지질 및 PEG 접합 인지질을 용매에 첨가하여 지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첨가하는 지질의 몰비는 PEG비접함 인지질 : PEG 접합 인지질이 1 : 0.1 내지 4이거나, PEG비접함 인지질 : PEG 접합 인지질이 1 : 0.1 내지 2이거나, PEG비접함 인지질 : PEG 접합 인지질이 1 : 0.2 내지 4이거나, PEG비접함 인지질 : PEG 접합 인지질이 1 : 0.2 내지 2이거나, PEG비접함 인지질 : PEG 접합 인지질이 1 : 0.2 내지 0.8이거나, 또는 PEG비접함 인지질 : PEG 접합 인지질이 1 : 0.2 내지 0.4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지질 용액은 5 mg DSPC 및 4 mg 내지 16 mg의 DSPE-PEG을 유기용매에 첨가하여 제조된 것이거나, 5 mg DSPC 및 8 mg 내지 12 mg의 DSPE-PEG을 유기용매에 첨가하여 제조된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리포좀 제조방법의 상기 PEG 비접합 인지질 및 PEG 접합 인지질을 용매에 첨가하여 지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PEG 비접합 인지질 및 PEG 접합 인지질과 함께 스테롤계 화합물을 더 첨가하여 지질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스테롤계 화합물을 더 첨가하여 지질 용액을 제조하는 경우 첨가하는 지질의 몰비는 인지질 : 스테롤계 화합물이 1 : 0.1 내지 4 이거나, 인지질 : 스테롤계 화합물이 1 : 0.5 내지 4 이거나, 인지질 : 스테롤계 화합물이 1 : 0.5 내지 2이거나, 인지질 : 스테롤계 화합물이 1 : 0.5 내지 1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에틸아세테이트 및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의 용매 또는 1종 이상을 혼합한 용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로로폼(chloroform)과 메탄올을 혼합한 용매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탄올 1부피부에 대하여 클로로폼을 1 부피부 내지 2 부피부 또는 클로로폼을 0.5 부피부 내지 4 부피부로 혼합한 용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질 박막을 수화시킨 현탁액에 대한 초음파 처리는 초음파 분산기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로브형 초음파를 10kHz 내지 30kHz에서 100W 내지 1000W 출력으로 10분 내지 15분처리한 것일 수 있고, 10kHz 내지 30kHz에서 100W 내지 4000W 출력으로 5분 내지 20분 처리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포좀을 포함하는 암 방사선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리포좀은 페길화(PEGylation)되어 우수한 혈액 순환 및 종양세포로의 우수한 섭취율을 보이며, 내부에 담지된 금 나노 입자는 방사선 감작제로서 효과가 있어 이를 포함한 암 방사선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치료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리포좀은 정맥 주사를 통해 체내에 주입될 수 있으며 리포좀이 전신 순환하며 다수의 병변을 표적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학조성물의 치료대상 암은 예를 들어 전립선암, 담낭암, 간내 담도암, 담도암, 구강암, 인두암, 후두암, 설암, 십이지장암, 안종양, 종격동암, 부비동암, 신우암, 심장암, 교모세포종, 신경모세포종, 간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경부암, 유방암, 폐암, 피부 또는 안내 악성 흑색종, 신장암, 자궁암, 난소암, 결장암, 직장암, 항문 부위 암, 대장암, 위암, 고환암, 나팔관 암종, 자궁 내막 암종, 자궁 경부 암종, 질 암종, 외음부암, 비호지킨림프종,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계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샘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소아암, 림프구성 림프종, 방광암, 요관암, 신장 골반 암종, 중추 신경계 (CNS) 암, 원발성 CNS 림프종, 종양 혈관 신생, 척추암, 뇌간 신경 교종 , 뇌하수체 선종, 카포시 육종, 표피 암, 편평 상피 세포 암, 다발성 골수종, B-세포 림프종, 호지킨 림프종, 급성 골수성 림프종, 만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림프성 백혈병, 여포성 림프종,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버킷 림프종, 면역성 대세포 림프종, 전구 B-림프모구 림프종, 맨틀 세포 림프종, 급성 림프모구 림프종, 균상식육종, 역형성 대세포 림프종, 급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림프성 백혈병, 간모세포종, 망막모세포종, 복막암, 뇌종양, 흉선암, T-세포 림프종 및 전구체 T-림프모구 림프종, 및 상기 암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이성 암의 치료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암 치료'란 암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 약학 조성물은 캡슐, 정제, 과립, 주사제, 연고제, 분말 또는 음료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캡슐, 정제, 수성 현탁액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주사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경구 투여 시에는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일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국소투여용의 경우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구 투여시에는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서(elixir), 서스펜션,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단위 투약 앰플 또는 다수회 투약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 현탁액, 정제, 캡슐, 서방형 제제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제화를 위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디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된다.
본 발명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 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 약학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000mg/kg 또는 0.001 내지 500mg/kg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 약학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약학 조성물은 종래에 알려져 있는 암 치료 물질과 혼합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암 치료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물질과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용어 '투여'란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용어 '개체'란 질병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방법
1. Au-Lipo(금 나노 입자가 담지된 리포좀) 합성법 및 특성 평가
초미세 AuNP(금 나노 입자)는 500rpm 교반 조건에서 증류수 1.5 mL, 0.4M 수산화나트륨 40 μL, 1.2% of tetrakis(hydroxymethyl)phosphonium chloride solution 35 μL, 및 gold chloride solution 140 μL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지질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제조하였다. Distearoyl-sn-glycero-3-phosphorylcholine (DSPC) 5 mg, 콜레스테롤(cholesterol) 2 mg, 1,2-distear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N-[amino(polyethylene glycol)] (DSPE-PEG) 8 mg을 chloroform과 methanol을 2:1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에 용해시켰다. 그 후 유기용매를 증발시켜 지질 박막을 만들고 2 mL의 AuNP 현탁액에 지질 박막을 수화시켰다. 수화 된 지질 박막과 AuNP가 자기조립 방법을 이용해 AuNP를 담지한 리포좀을 만들도록 프로브형 초음파 분산기(Branson SFX550)를 사용했다. 12분 동안 14kHz에서 550W 출력으로 초음파 처리하였다. (도 1 참조). 투과 전자 현미경 (TEM) 촬영을 통해 리포좀 내에 미세 금 나노 입자가 담지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유체역학적 크기 및 표면 전하는 동적 광산란 분석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Au-Lipo의 담지 효율 측정은 AuNP의 흡광도에 기초한 캘리브레이션 곡선으로부터 정량화되었다. 시간에 따른 시험관 내 크기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증류수, 인산 버퍼 용액, 세포 배양 배지 등에 현탁된 Au-Lipo 및 AuNP의 크기를 동적 광산란 (DLS) 분석을 이용하여 최대 7일까지 (0, 1, 2, 3, 7d) 관찰하였다.
2. 최적화된 PEG 비율 선정을 위한 Au-Lipo의 세포 섭취 및 생체 순환능 확인
진행되는 모든 시험관 내 실험에는 4T1 유방암 세포를 사용하였다. 리포좀의 구성 성분 중 하나인 DSPE-PEG의 비율에 따른 초미세 금나노입자를 담지한 리포좀 나노입자를 합성하였다.
1x PEG는 지질 용액 제조 단계에서 첨가한 DSPC 대 DSPE-PEG의 몰비가 1 : 0.25인 경우, 0.5x PEG는 DSPC 대 DSPE-PEG의 몰비가 1 : 0.11인 경우, 2x PEG는 DSPC 대 DSPE-PEG의 몰비가 1 : 0.67인 경우, 4x PEG는 DSPC 대 DSPE-PEG의 몰비가 1 : 4인 경우에 해당한다. PEG의 경우, 생체 내에서 나노입자의 체내 순환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본 실험에서는 PEG의 비율에 따른 생체순환능을 확인하고, 세포 섭취 정도를 통해 적절한 구성 비율의 리포좀 나노입자를 선정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한 형광 이미징을 위하여 4T1 유방암 세포에서 형광 표지시킨 PEG 비율 별 리포좀 나노입자를 도포 후 한 시간 후에 그 섭취 정도를 촬영하였다. 또한 생체 내 형광 이미징을 통하여 PEG 비율 별 체내 순환능을 비교해보았다. 모든 종양 모델은 BALB/C-nude mouse의 오른쪽 허벅지 피하에 4T1 유방암 세포를 106 cells만큼 주사하였고, 10일 후에 종양이 형성됨을 확인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4T1 종양 모델에서 형광 표지된 리포좀 나노입자를 정맥 주사한 후 바로 그리고 24시간 후에 촬영하였고, 24시간 째에 주요 장기 및 종양을 얻은 후 형광 촬영을 실행하였다.
3. 선정된 구성 비율의 Au-Lipo를 이용한 세포 독성 및 섭취 정도 확인
세포 생존력 및 세포 섭취는 MTT 분석 및 공초점 레이저 스캐닝 현미경에 의해 관찰되었다. 세포 섭취 정도는 Au-Lipo에 형광 염색제 표지 후 섭취 시간에 따라 공초점 현미경의 형광 영상 촬영을 통해 측정되었다. 세포 생존력 평가는 4T1 유방암 세포를 96-well microplate에 배양 24시간 후에 금 나노 입자와 Au-Lipo를 금 농도별로 도포하고 6시간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4. Au-Lipo의 방사선 감작 효과 확인
X-선 조사기를 사용하여 시험관 내 방사선 치료를 수행하였다. Clonogenic assay를 위해 4T1 유방암 세포는 dish별로 정확한 양으로 배양되었다. 나노입자 도포 6시간 후에 PBS로 세척하였고 각 dose 별 (0, 1, 2, 4, 6 Gy)로 방사선이 조사되었다. 그 후 2주간 세포가 배양되었고, crystal violet으로 세포 염색 후 colony의 개수를 imagej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정량하였다. 그 후, dose enhancement factor at 2Gy의 계산을 위해 R 프로그램의 CFAssay 패키지를 사용하여 DEF2Gy를 계산하였다. Annexin V-FITC와 propium iodide를 염색 후 유세포 분석을 진행하여 세포 사멸 분석을 수행하였다. ROS 탐지 시약인 cellROX 제품을 이용해 ROS 발생 정도를 공초점 현미경으로 측정하였고, DNA 손상 정도는 γ-H2AX antibody 처리 후 공초점 현미경을 사용하여 정량되었다.
5. Au-Lipo의 방사성 동위원소 표지 후 양전자 방출 단층 영상 촬영을 통한 생체 순환능 및 종양 섭취 효율 확인
64Cu와 Au-Lipo를 37도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PD10 column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그 후 4T1 종양 보유 BALB/C-nude mouse에 정맥 주사하였고, 시간 별로 양전자 방출 단층 영상 촬영을 수행하였다. 그 후 MIM 프로그램을 이용해 각 장기 및 종양세포의 섭취 효율, 반감기를 정량하여 나타냈다.
6. Au-Lipo의 생체 내 방사선 감작 효과를 통한 치료 효과 확인
4T1 종양 마우스 모델에서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모델 생성 후 10일 째에 각 나노 입자를 정맥 주사하였고, 24시간 후 6Gy의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다. 그 후 2일 간격으로 각 그룹의 종양 크기와 쥐 무게 측정을 통해 그 치료 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1. Au-Lipo 합성법 및 특성 평가
Au-Lipo의 TEM 이미지를 통해 약 60 nm 정도 되는 리포좀 안에 AuNP가 리포좀 내에 담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a참조). AuNP 및 Au-Lipo는 각각 3.62 ± 0.74 및 65.72 ± 21.32 nm의 유체 역학적 크기를 나타내었고, Aurovist는 약 1.6nm 정도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도 2a의 (A) 참조). Zeta-potential 측정 결과 Au-Lipo는 약 -27.47±7.26 mV 정도로 측정되었다 (도 2b의 (B) 참조). 초미세 AuNP의 Au-Lipo로의 담지 효율은 금 나노 입자의 509nm에서의 흡광도 특성을 이용해 계산되었다 (도 2b (C) 참조). 초미세 금 나노 입자의 농도별 표준 곡선을 그린 후, Au-Lipo의 509nm에서의 흡광도를 이용해 역추산하여 농도를 측정하고, 초기 넣어준 금 나노 입자의 농도를 이용해 계산한 결과, 담지 효율은 약 94.91 ± 1.81% 였다 (도 2b 참조). 다양한 용매에서 Au-Lipo는 7일 동안 모든 시점에서 유사한 크기를 나타냈으며, 이는 우수한 안정성을 증명한다 (도 3a의 (A) 참조). 반면 현재 사용되는 1.6nm 크기의 Aurovist의 경우, 불균일한 편차 및 증가된 나노입자의 크기 변화를 통해 PBS 및 세포 배양액에서 안정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b의 (B) 참조)
2. 최적화된 PEG 비율 선정을 위한 Au-Lipo의 세포 섭취 및 생체 순환능 확인
1x PEG는 지질 용액 제조 단계에서 첨가한 DSPC 대 DSPE-PEG의 중량비가 5 : 8 (몰비가 1 : 0.25)인 경우, 0.5x PEG는 DSPC 대 DSPE-PEG의 중량비가 5.7 : 4 (몰비가 1 : 0.11)인 경우, 2x PEG는 DSPC 대 DSPE-PEG의 중량비가 3.8 : 16 (몰비가 1 : 0.67)인 경우, 4x PEG는 DSPC 대 DSPE-PEG의 중량비가 1.3 : 32 (몰비가 1 : 4)인 경우에 해당한다.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한 형광 이미징 결과 1x PEG에서 가장 높은 Au-Lipo의 섭취를 보였다 (도 4a 참조). 또한 생체 내 형광 이미징을 통하여 PEG 비율 별 체내 순환능을 비교해보았을 때, PEG가 없는 경우 정맥 주사 후 바로 모두 간에 섭취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x PEG 및 2x PEG의 경우 24시간 후에도 혈류에서 순환하는 것으로 보아, PEG 비율이 높아질수록 체내순환능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b 참조). 24시간 후에 주요 장기 및 종양을 떼어낸 후 형광 이미지 측정하였고, living image 프로그램을 통해 형광 값을 정량하여 종양 대 주요 장기 (간, 비장, 폐) 섭취율을 계산하였다. 1x PEG와 2x PEG의 종양 대 간 섭취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도 4c 참조). 결과적으로, 여러 PEG 비율 중 1x PEG에서 종양세포의 리포좀 섭취 정도가 가장 뛰어나고, 우수한 체내 순환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선정된 구성 비율의 Au-Lipo를 이용한 세포 독성 및 섭취 정도 확인
세포 생존력 및 세포 섭취 정도 측정 결과, Au-Lipo는 6시간 째에서 최대 섭취 정도를 나타냈다 (도 5a의 (A) 참조). Au-Lipo는 190ug/mL의 농도까지도 4T1 세포에서 명백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도 5b 의 (B) 참조). 따라서, Au 농도가 190 ug/mL인 Au-Lipo를 이용하였고, 섭취 시간은 6시간으로 고정하여 차후의 시험관 내 실험에 사용하였다.
4. Au-Lipo의 방사선 감작 효과 확인
X-선 조사기를 사용하여 시험관 내 방사선 치료를 수행하였다. Au-Lipo의 방사선 감작 효과는 다양한 X-선 조사량 (0, 1, 2, 4, 6 Gy) 하에서 평가되었다. 방사선 조사 시 Au-Lipo 가 없는 것보다 Au-Lipo가 있는 세포에서 세포 생존율이 상당히 낮았고, Dose enhancement factor (DEF)는 2Gy에서 2.56 ± 0.31로 계산되었다 (도 6a의 (A),(B),(C) 참조). Annexin V-FITC/PI 염색 후 유세포 분석을 통한 실험 또한 Au-Lipo가 없는 것보다 Au-Lipo가 있는 방사선 조사된 세포에서 세포 사멸 비율이 더 높음을 확인하였다 (11.66% vs. 5.49%) (도 6b의 (D),(E) 참조). ROS 발생량은 Au-Lipo와 방사선 조사를 같이 시행한 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도 7의 (A) 참조). DNA 이중 가닥 파괴는 X-선 조사보다 Au-Lipo와 X-선 조사를 함께 실시한 군에서 약 4배 정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도 7의 (B), (C) 참조). 실험 결과, Au-Lipo와 방사선 조사를 함께 시행한 군에서 ROS 발생량이 많았고, DNA 이중 가닥 파괴 정도가 높았음을 통해 이것이 암세포 사멸에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Au-Lipo의 방사성 동위원소 표지 후 양전자 방출 단층 영상 촬영을 통한 생체 순환능 및 종양 섭취 효율 확인
방사성 동위원소를 표지한 Au-Lipo 주입 후 생체 내 PET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정량 분석에서, PET 영상을 통해 Au-Lipo의 체내 순환 정도 및 종양으로의 섭취 효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순환 반감기는 11.39 시간으로 계산되었고, 주사 후 24시간에 20 %ID/g의 종양 흡수가 관찰되었다. 종양 대 간 섭취율은 24시간 째에 약 0.47로 확인되었다 (도 8 참조).
6. Au-Lipo의 생체 내 방사선 감작 효과를 통한 치료 효과 확인
Au-Lipo의 방사선 감작능을 확인해보고자 4T1 subcutaneous tumor model에서 X-ray와 함께 치료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Au-Lipo와 방사선 치료를 동시에 한 군에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군에 비해 더 좋은 치료 효과가 나타났음을 통해 Au-Lipo의 방사선 감작제로서의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 참조).

Claims (7)

  1. 인지질 이중층 막 및 그 막 내부에 담지된 금 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인지질 중 적어도 일부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이 접합된 인지질이고,
    PEG 비접합 인지질과 PEG 접합 인지질의 몰비가 1 : 0.2 내지 0.4이고,
    상기 PEG 비접합 인지질은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DSPC)이고,
    상기 PEG 접합 인지질은 PEG가 결합된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타놀아민 (PEG-DSPE)인 리포좀을 포함하는,
    암 방사선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 나노 입자의 크기는 1 nm 내지 20 nm인, 암 방사선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의 크기는 30 nm 내지 200 nm인, 암 방사선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70866A 2021-06-01 2021-06-01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암 방사선 치료용 약학 조성물 Active KR102682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866A KR102682082B1 (ko) 2021-06-01 2021-06-01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암 방사선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866A KR102682082B1 (ko) 2021-06-01 2021-06-01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암 방사선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422A KR20220162422A (ko) 2022-12-08
KR102682082B1 true KR102682082B1 (ko) 2024-07-05

Family

ID=8443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866A Active KR102682082B1 (ko) 2021-06-01 2021-06-01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암 방사선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20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203B1 (ko) 2011-04-01 2011-11-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의약 전달용 인지질 나노입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P0105285A3 (en) 1999-02-08 2006-07-28 Alza Corp Mountain View Liposome composition and method for its preparation and its use
IL319503A (en) * 2016-05-16 2025-05-01 Access To Advanced Health Inst PEGylated liposomes and methods of use
KR101967537B1 (ko) * 2017-07-10 2019-04-0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 조사 기포 발생 리포좀 조성물
KR102203483B1 (ko) * 2018-12-28 2021-01-1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방사성 금속 및 유로피움을 포함하는 광역동 요법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203B1 (ko) 2011-04-01 2011-11-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의약 전달용 인지질 나노입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no-Micro Lett., Vol. 10, No. 10, pp. 1-10 (20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422A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liana et al. Preclinical antitumor efficacy of senescence-inducing chemotherapy combined with a nanoSenolytic
Wang et al. Ginsenosides emerging as both bifunctional drugs and nanocarriers for enhanced antitumor therapies
US20220117894A1 (en) Targeted polymerized nanoparticles for cancer treatment
CZ20023913A3 (cs) Kationtová diagnostická, zobrazovací a terapeutická činidla spojená s aktivovanými cévními místy
JP2010248269A (ja) 標的とする組織及び細胞の治療に有用なナノ粒子を含む薬剤組成物及び診断のための組成物
Keshavarz et al. CAR, a homing peptide, prolongs pulmonary preferential vasodilation by increasing pulmonary retention and reducing systemic absorption of liposomal fasudil
US9457082B2 (en) Liposome including complex of hydrophobic active ingredient and polypeptide and use of the liposome
US9072879B2 (en) Methods and system for ultrasound-mediated drug delivery
JP2005519078A (ja) 急性骨髄性白血病の治療方法
JP2005534718A (ja) カチオンキャリヤー系において診断化合物および治療化合物を安定化させる新規方法
Cytryniak et al. Cubosomal lipid formulation for combination cancer treatment: delivery of a chemotherapeutic agent and complexed α-particle emitter 213Bi
Azimizonuzi et al. A state-of-the-art review of the recent advances of theranostic liposome hybrid nanoparticles in cancer treatment and diagnosis
US10517823B1 (en) ROS—responsive liposomes for specific targeting
Novoselova et al. Polymer/magnetite carriers functionalized by HER2-DARPin: avoiding lysosomes during internalization and controlled toxicity of doxorubicin by focused ultrasound induced release
Kozak et al. Navigating the Clinical Landscape of Liposomal Therapeutics in Cancer Treatment
KR102682082B1 (ko)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암 방사선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05519861A (ja) 治療剤及び撮像剤としての脂質構築物
US20200330432A1 (en) Therapeutics for preterm labor management
US20150017098A1 (en) Carrier that targets fucosylated molecule-producing cells
Yu et al. Targeted co-delivery of rapamycin and oxaliplatin by liposomes suppresses tumor growth and metastasis of colorectal cancer
CN114848843B (zh) 一种化疗协同靶向联合治疗纳米药物及其在肿瘤治疗中的应用
Liu et al. Recent Advances in Nanobiotechnology for the Treatment of Non-Hodgkin's Lymphoma
US11896713B2 (en) Strategies to enhance lung cancer treatment
US20180235992A1 (en) Immunotherapies for malignant, neurodegenerative and demyelinating diseases by the use of targeted nanocarriers
US12226496B2 (en) Polymeric core-shell 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7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4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9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404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4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9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