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81154B1 -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부분 식각 공정을 위한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 정밀 박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부분 식각 공정을 위한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 정밀 박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1154B1
KR102681154B1 KR1020230195927A KR20230195927A KR102681154B1 KR 102681154 B1 KR102681154 B1 KR 102681154B1 KR 1020230195927 A KR1020230195927 A KR 1020230195927A KR 20230195927 A KR20230195927 A KR 20230195927A KR 102681154 B1 KR102681154 B1 KR 102681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unit
film removal
main body
transf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95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이
Original Assignee
(주)성무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무이엔지 filed Critical (주)성무이엔지
Priority to KR1020230195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1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1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115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부분 식각 공정을 위한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 정밀 박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를 사용하는 각종 스마트기기의 제조 공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부분 식각을 위해 마스크 필름의 일부분만을 자동화 공정으로부터 빠르고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 정밀 박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 상부에서 작업 대상물을 고정하는 스테이지; 상기 본체 상부에서 헤드부를 전후 양방향으로 이송 제어하는 전후이송부; 상기 본체 상부에서 헤드부를 좌우 양방향으로 이송 제어하는 좌우이송부; 상기 본체 상부에서 헤드부를 상하 양방향으로 이송 제어하는 상하이송부; 상기 본체 및 스테이지 상부에서 작업 대상물에 점착된 보호필름을 제거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연결되며, 보호필름을 이격 또는 탈거시키는 필름제거핀과, 이격 또는 탈거된 보호필름을 흡입 배출시키는 진공흡입부를 포함하는 필름제거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핀바이스 일측 어느 한 부위에 서보모터를 포함하는 정밀구동부가 형성되어 필름제거핀이 전후 방향으로 미세한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필름제거핀은 그 외경에 나선형돌출부 또는 걸림부를 형성하여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제거부 일측 어느 한 부위에 비전센서가 형성되어 필름 제거 과정에서의 불량 여부를 영상처리방식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필름제거핀의 동작은, 전후이송부 및 좌우이송부에 의해 탈거 대상 보호필름이 위치한 곳으로 필름제거부가 이송하는 과정; 상하이송부 또는 Z축조정부에 의해 필름제거부가 설정된 값에 따라 하강 동작하는 과정; 전후이송부 또는 Y축조정부 중 어느 하나와 상하이송부 또는 Z축조정부 중 어느 하나의 동시 동작으로 필름제거핀을 전방 하측 대각선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시키면서 필름제거핀이 보호필름을 밀어내거나 결합되는 과정; 전후이송부 또는 Y축조정부 중 어느 하나와 상하이송부 또는 Z축조정부 중 어느 하나의 동시 동작으로 필름제거부를 전방 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시키면서 들어올린 보호필름 조각을 진공흡입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부분 식각 공정을 위한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 정밀 박리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ON FILM REMOVING OF DISPLAY PANEL GLAS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마스크 필름 정밀 박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를 사용하는 각종 스마트기기의 제조 공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부분 식각을 위해 마스크 필름의 일부분 만을 자동화 공정으로부터 빠르고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부분 식각 공정을 위한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 정밀 박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에는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이 적용되며, 이러한 터치스크린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으로 이루어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TFT(Thin Film Transistor, 박막트랜지스터)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최근 기술발전 및 소비자의 요구로 인해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는 그 기능이 점차 다양해지는 고사양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고 두께는 더욱 얇아지는 미려한 외관을 갖게되었다. 이 과정에서 터치스크린 패널은 다양한 회로 패턴을 형성하거나 표면을 코팅 또는 식각하는 제조과정을 거치되며, 내장된 카메라 렌즈가 터치스크린 패널과 별도 위치에 분리되었던 디자인에서 터치스크린 글라스 패널 내측에 위치하는 디자인 및 기술이 적용되면서 디스플레이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는 풀 스크린(Full Screen) 형태를 취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터치스크린 패널의 다양한 디자인 및 기능 향상을 위해 기판에 ITO Film 내지 OCA(Optically Clear Adhesive) 등의 피적층물을 적층하거나, 터치스크린 패널의 회로 패턴 구현을 위해 디스플레이패널의 특정 부분에 대한 식각 공정이 진행되기도 하였으며, 이러한 특정 부위에 대한 식각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식각 대상부위와 비대상부위를 구분하기 위해 마스크 필름을 전체 패널에 라미네이팅한 후 식각 대상부위만 마스크 필름을 제거하여 부분 식각 공정을 진행하였다.
보다 상세하게, 스마트기기의 터치스크린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부분 식각공정은,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에 마스크 필름을 라미네이팅 한 후 부분 식각 대상부위에 커팅라인을 형성하며, 이후 커팅라인이 형성된 마스크 필름 일 부분을 제거한 후 식각공정을 진행하면서 필름이 제거된 부위만 식각이 진행되도록 하였다. 이때, 커팅라인이 형성된 마스크 필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통상 자동화가 어려워 수작업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매우 피로도가 높은 작업으로 불량률 증가의 원인이 되었다.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스크린 패널 등의 보호필름을 자동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8719호(2014.07.07.)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3198호(2014.04.02.)의 '터치판넬 보호필름 제거장치' 등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들은 터치판넬에 부착된 보호필름을 제거하되 보호필름 전체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수 목적으로 보호필름의 일부분에 커팅라인을 형성하고 보호필름의 커팅된 일부분만을 제거하는 방법 및 이에 대한 자동화장치에 대한 기술구성은 포함되지 않았다.
또한,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부분 식각 공정은 카메라 렌즈가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이는 통상 2~3mm 내외의 직경을 갖는 크기로 매우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국소 커팅부위 필름만을 제거해야하며, 해당 공정은 정밀하면서도 신뢰성 높은 매커니즘이 적용된 구성이 요구되기에 자동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를 위한 식각 공정에서 정밀하게 동작하는 필름 제거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57465호(2020.09.17.)를 통해 개시된 바 있으며, 이는 3축(X축-Y축-Z축) 이송모듈로부터 필름제거핀을 이동시켜 필름 조각을 정밀하게 걷어올리고 진공 흡입으로 필름 조각을 제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제거 대상 필름은 통상 0.1mm 이내 두께로 형성되고 핀이 글라스 패널에 스크레치를 발생시키지 않으려면 핀은 0.05mm 이내로 투입되면서 필름을 들어올리는 정밀작업이 요구되는데 이는 3축(X축-Y축-Z축) 이송모듈의 위치이동시 진동에 의한 오차범위로도 발생할 수 있는 수치이며, 필름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핀이 필름으로부터 이탈하거나 필름이 제거되지 않는 등 동작불량이 발생할 수 있어 더욱 정밀하고 신뢰성 높은 구성 및 동작을 위한 장비 개선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8719호 (2014.07.0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3198호(2014.04.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57465호(2020.09.17.)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부분 식각 공정에서 마스크 필름의 일 부분을 자동화 공정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때 정밀한 작업 및 신뢰성 높은 방법으로 이루어진 매커니즘을 통해 마스크 필름의 국소 커팅부위만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의 정밀 박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 상부에서 작업 대상물을 고정하는 스테이지; 상기 본체 상부에서 헤드부를 전후 양방향으로 이송 제어하는 전후이송부; 상기 본체 상부에서 헤드부를 좌우 양방향으로 이송 제어하는 좌우이송부; 상기 본체 상부에서 헤드부를 상하 양방향으로 이송 제어하는 상하이송부; 상기 본체 및 스테이지 상부에서 작업 대상물에 점착된 보호필름을 제거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연결되며, 보호필름을 이격 또는 탈거시키는 필름제거핀과, 이격 또는 탈거된 보호필름을 흡입 배출시키는 진공흡입부를 포함하는 필름제거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핀바이스 일측 어느 한 부위에 서보모터를 포함하는 정밀구동부가 형성되어 필름제거핀이 전후 방향으로 미세한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필름제거핀은 그 외경에 나선형돌출부 또는 걸림부를 형성하여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제거부 일측 어느 한 부위에 비전센서가 형성되어 필름 제거 과정에서의 불량 여부를 영상처리방식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필름제거핀의 동작은, 전후이송부 및 좌우이송부에 의해 탈거 대상 보호필름이 위치한 곳으로 필름제거부가 이송하는 과정; 상하이송부 또는 Z축조정부에 의해 필름제거부가 설정된 값에 따라 하강 동작하는 과정; 전후이송부 또는 Y축조정부 중 어느 하나와 상하이송부 또는 Z축조정부 중 어느 하나의 동시 동작으로 필름제거핀을 전방 하측 대각선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시키면서 필름제거핀이 보호필름을 밀어내거나 결합되는 과정; 전후이송부 또는 Y축조정부 중 어느 하나와 상하이송부 또는 Z축조정부 중 어느 하나의 동시 동작으로 필름제거부를 전방 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시키면서 들어올린 보호필름 조각을 진공흡입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부분 식각 공정을 위한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 정밀 박리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에 라미네이팅된 마스크 필름의 일부분을 자동화 공정을 통해 빠르고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마스크 필름의 커팅라인이 형성된 국소 커팅부위에 대한 정밀한 작업과 신뢰성 높은 방법으로 이루어진 매커니즘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의 정밀 박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의 정밀 박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의 정밀 박리장치에서 헤드부의 구성을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의 정밀 박리장치에서 정밀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의 정밀 박리장치에서 필름감지센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의 정밀 박리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의 정밀 박리장치에 대한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 필름 정밀 박리장치(10)는,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면서 각 부위를 고정 지지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상부에 위치하며 작업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고정 배치하는 스테이지(200)와, 상기 본체(100) 상부에 위치하며 헤드부(500)를 전후 양방향으로 이송 제어하는 전후이송부(300)와, 상기 본체(100) 상부에 위치하며 헤드부(500)를 좌우 양방향으로 이송 제어하는 좌우이송부(400), 상기 본체(100) 상부에 위치하며 헤드부(600)를 상하 양방향으로 이송 제어하는 상하이송부(500), 상기 본체(100) 및 스테이지(200) 상부에 위치하며 작업 대상물에 점착된 마스크 필름을 제거하는 헤드부(600)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정밀 박리장치(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 및 동작값을 제어하는 다수의 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지(200)는 본체(100) 상부에 위치하며 작업 대상물에 해당하는 각종 터치스크린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 패널 등을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테이지(200)는 작업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진공흡착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진공흡착 방식에 의해 작업대상물이 움직이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전후이송부(300)는 본체(100) 상부에 위치하여 헤드부(500)를 전후 양방향으로 이송 제어하는 것으로, 전후 이송 동력수단과,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전후가이드레일과, 상기 전후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 동작하는 전후이송체(31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즉, 전후 이송 동력수단에서 전기적 또는 기계적 신호가 전달되면 전후이송체(310)가 전후가이드레일을 따라 전방 및 후방 양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이송동작이 구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후이송부(300)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을 변환하는 볼스크류(Ball screw), 랙과피니언(Rack and Pinion), 리니어모터(linear-motor system) 등 공지된 기술의 이송유닛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송부(400)는 본체(100) 상부에 위치하여 헤드부(500)를 좌우 양방향으로 이송 제어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전후이송부(300)의 전후이송체(310)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좌우이송부(400)는, 좌우 이송 동력수단과,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좌우가이드레일과, 상기 좌우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 동작하는 좌우이송체(41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즉, 좌우 이송 동력수단에서 전기적 또는 기계적 신호가 전달되면 좌우이송체(410)가 좌우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 양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이송동작이 구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좌우이송부(400)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을 변환하는 볼스크류(Ball screw), 랙과피니언(Rack and Pinion), 리니어모터(linear-motor system) 등 공지된 기술의 이송유닛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상하이송부(500)는 본체(100) 상부에 위치하여 헤드부(600)를 상하 양방향으로 이송 제어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좌우이송부(400)의 좌우이송체(410)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상하이송부(500)는, 상하 이송 동력수단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상하가이드레일과, 상기 상하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 동작하는 상하이송체 등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즉, 상하 이송 동력수단에서 전기적 또는 기계적 신호가 전달되면 상하이송체가 상하가이드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양방향 이송 동작이 구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하이송부(500)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을 변환하는 볼스크류(Ball screw), 랙과피니언(Rack and Pinion), 리니어모터(linear-motor system) 등 공지된 기술의 이송유닛을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하이송체는 후술되는 헤드프레임(610)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600)는 본체(100) 및 스테이지(200) 상부에 위치하여 작업 대상물에 점착된 마스크 필름 일부분을 제거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상하이송부(500)의 상하이송체(510)에 연결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헤드부(600)의 상세한 구성으로는, 헤드부(600)의 각 부위를 고정 지지하는 것으로 상하이송체(510)에 연결되는 헤드프레임(610)과, 상기 헤드프레임(610)의 일측에 위치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위해 필름제거부(650)가 다수 배치될 경우 각각의 필름제거부(650)의 위치값을 정밀 제어하는 X축조정부(620), Y축조정부(630), Z축조정부(640)와, 상기 헤드프레임(610)의 일측에 위치하여 마스크 필름을 작업 대상물로부터 탈거시키는 필름제거부(6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X축조정부(620) 및 Y축조정부(630)는 작업의 효율성을 위해 필름제거부(650)가 다수 배치될 경우 각각의 필름제거부(650)의 위치값을 정밀 제어하는 것으로, 기준이 되는 어느 하나의 필름제거부(650)에 대하여 또 다른 필름제거부(650)의 상대적인 간격 세팅을 위해 동작하는 것이며, X축조정부(620)는 기준이 되는 어느 하나의 필름제거부(650)에 대하여 X축 방향으로 상대적인 간격을 세팅하는 것이며, Y축조정부(630)는 기준이 되는 어느 하나의 필름제거부(650)에 대하여 Y축 방향으로 상대적인 간격을 세팅하는 것이다.
상기 Z축조정부(640)는 필름제거부(650)와 작업 대상물과의 거리 및 작업 대상물 또는 마스크 필름의 두께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조건값에 따라 필름제거부(650)가 동작하는 거리에 대한 정밀 세팅값을 조정하는 것으로 다수의 필름제거부(650)가 적용될 경우 각각의 필름제거부(650)에 대응하는 각각의 Z축조정부(640)가 연결 적용된다.
바람직하게, 작업의 효율성을 위해 다수의 필름제거부(650)를 적용할 경우, 필름제거부(650)는 X축조정부(620), Y축조정부(630), Z축조정부(640)에 상호 연결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 배치되어 필름제거부(650)가 상하 전후 좌우 모든 방향의 정밀 이송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필름제거부(650)는 Z축조정부(640)에 연결 설치되고, Z축조정부(640)는 Y축조정부(630)에 연결 설치되며, Y축조정부(630)는 X축조정부(620)에 연결 설치되고, X축조정부(620)는 헤드프레임(610)에 연결 설치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연결 구성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필름제거부(650)는 작업 대상물인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로부터 보호필름을 제거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필름의 국부적 위치에 커팅라인을 먼저 형성한 후 커팅라인 안쪽 필름만을 정밀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필름제거부(650)의 주요 구성은, 보호필름이 부착된 작업 대상물을 향해 배치되며 커팅라인이 형성된 보호필름을 들어올리기 위한 필름제거핀(651)과, 상기 필름제거핀(651)을 고정 지지하는 핀바이스(652)와, 필름제거핀(651)을 통해 들어올린 보호필름 조각을 흡입 제거하는 진공흡입부(65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필름제거핀(651)의 정밀 이동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정밀구동부(700)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밀구동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정밀구동부(700)는 핀바이스(652)의 일측에 형성되어 핀바이스(652)의 정밀 이동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서보모터(710)와 스크류 및 나선형 기반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정밀조절부(720)를 포함한다. 즉, 정밀구동부(700) 내의 서보모터(710) 및 정밀조절부(720)에 의해 핀바이스(652)와 필름제거핀(651)은 미세한 전진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는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에 부착된 보호필름의 두께 범위 내에서 정밀 이동하면서 필름제거핀(651) 단부에 필름이 걸릴 수 있는 동작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밀구동부(700)에 의해 미세하게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필름제거핀(651)은 그 외경에 나선형돌출부(730a)가 형성되거나,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730b)가 돌출 형성되어 필름제거핀(651)과 필름 사이의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필름제거핀(651)의 동작에서 필름이 제거되지 않을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필름감지센서(800)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감지센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필름감지센서(800)는 필름제거부(650) 일측에서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에 부착된 보호필름을 향해 배치되며, 필름제거핀(651)의 필름 제거 동작 이후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에 필름 조각이 그대로 남아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영상처리를 통해 오류 여부를 인식하는 비전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필름감지센서(800)는 커팅라인을 따라 형성된 보호필름 조각의 제거 여부를 정밀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시스템과 연계하여 오류위치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거나, 오류 위치에 대한 반복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구성도 가능하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부분 식각 공정을 위한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의 정밀 박리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마스크 필름에서 커팅라인이 형성된 특정 위치의 보호필름(20)을 자동 제거시키는 것으로, 먼저 전후이송부(300) 및 좌우이송부(400)에 의해 탈거 대상 보호필름이 위치한 곳으로 필름제거부(650)를 이송시킨다.
도 8의 1번 동작과 같이 상하이송부(500) 또는 Z축조정부(640)에 의해 필름제거부(650)는 설정된 값에 따라 하강 동작하고, 필름제거부(650)가 하강함에 따라 필름제거핀(651)이 제거 대상 보호필름(20)에 접촉하면, 도 8의 2번 동작과 같이 전후이송부(300) 또는 Y축조정부(630) 중 어느 하나와 상하이송부(500) 또는 Z축조정부(640) 중 어느 하나의 동시 동작으로 필름제거핀(651)을 전방 하측 대각선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시키면서 필름제거핀(651)으로 보호필름(20)을 밀어내거나 결합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필름제거핀(651)에 의해 커팅라인이 형성된 보호필름(20) 조각은 전체로부터 완전히 떨어진 이격 상태를 형성하고, 대다수의 보호필름(20)이 진공흡입부(656)를 통해 흡입 후 외부로 배출된다.
이후, 도 9의 3번 동작과 같이 전후이송부(300) 또는 Y축조정부(630) 중 어느 하나와 상하이송부(500) 또는 Z축조정부(640) 중 어느 하나의 동시 동작으로 필름제거부(650)을 전방 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시키면서 도 9의 4번 동작과 같이 들어올린 보호필름(20) 조각은 진공흡입부(653)를 통해 흡입 후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10 : 필름 정밀 박리장치
20 : 마스크 필름
30 :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
100 : 본체
200 : 스테이지
210 : 진공흡착부
300 : 전후이송부
310 : 전후이송체
400 : 좌우이송부
410 : 좌우이송체
500 : 상하이송부
600 : 헤드부
610 : 헤드프레임
620 : X축조정부
630 : Y축조정부
640 : Z축조정부
650 : 필름제거부
651 : 필름제거핀
652 : 핀바이스
653 : 진공흡입부
700 : 정밀구동부
710 : 서보모터
720 : 정밀조절부
730a : 나선형돌출부
730b : 걸림부
800 : 필름감지센서

Claims (5)

  1.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 상부에 위치하며 작업 대상물을 고정하는 스테이지(200); 상기 본체(100) 상부에 위치하며 헤드부(500)를 전후 양방향으로 이송 제어하는 전후이송부(300); 상기 본체(100) 상부에 위치하며 헤드부(500)를 좌우 양방향으로 이송 제어하는 좌우이송부(400); 상기 본체(100) 상부에 위치하며 헤드부(600)를 상하 양방향으로 이송 제어하는 상하이송부(500); 상기 본체(100) 및 스테이지(200) 상부에 위치하며 작업 대상물에 점착된 보호필름을 제거하는 헤드부(600); 상기 헤드부(600)에 연결되어 커팅라인이 형성된 보호필름을 박리 제거하는 것으로 필름제거핀(651)과 이를 고정하는 핀바이스(652)를 포함하는 필름제거부(65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핀바이스(652) 일측 어느 한 부위에는 서보모터(710)를 포함하는 정밀구동부(700)가 형성되어 필름제거핀(651)이 전후 방향으로 미세한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부분 식각 공정을 위한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 정밀 박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제거핀(651)은 그 외경에 나선형돌출부(73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부분 식각 공정을 위한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 정밀 박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제거핀(651)은 그 외경에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730b)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부분 식각 공정을 위한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 정밀 박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제거부(650) 일측에는 비전센서가 형성되어 필름 제거 과정에서 불량 여부를 영상처리방식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부분 식각 공정을 위한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 정밀 박리장치.
  5. 삭제
KR1020230195927A 2023-12-29 2023-12-29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부분 식각 공정을 위한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 정밀 박리장치 및 방법 Active KR102681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5927A KR102681154B1 (ko) 2023-12-29 2023-12-29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부분 식각 공정을 위한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 정밀 박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5927A KR102681154B1 (ko) 2023-12-29 2023-12-29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부분 식각 공정을 위한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 정밀 박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1154B1 true KR102681154B1 (ko) 2024-07-03

Family

ID=91899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5927A Active KR102681154B1 (ko) 2023-12-29 2023-12-29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부분 식각 공정을 위한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 정밀 박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115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1699A (ja) * 2010-10-14 2012-04-26 Lintec Corp 貼付用シート製造装置および貼付用シート製造方法、ならびに、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シート貼付方法
KR20140033675A (ko) * 2012-09-10 2014-03-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제조용 커팅장치 및 커팅방법
KR101383198B1 (ko) 2012-08-29 2014-04-09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터치판넬 보호필름 제거장치
KR101418719B1 (ko) 2014-04-18 2014-07-15 주식회사 트레이스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
KR102052007B1 (ko) * 2018-04-12 2019-12-04 (주)제이스텍 디스플레이 패널용 보호필름 버 제거장치
KR102157465B1 (ko) 2020-04-27 2020-09-17 안종이 터치스크린 패널 보호필름의 부분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1699A (ja) * 2010-10-14 2012-04-26 Lintec Corp 貼付用シート製造装置および貼付用シート製造方法、ならびに、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シート貼付方法
KR101383198B1 (ko) 2012-08-29 2014-04-09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터치판넬 보호필름 제거장치
KR20140033675A (ko) * 2012-09-10 2014-03-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제조용 커팅장치 및 커팅방법
KR101418719B1 (ko) 2014-04-18 2014-07-15 주식회사 트레이스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
KR102052007B1 (ko) * 2018-04-12 2019-12-04 (주)제이스텍 디스플레이 패널용 보호필름 버 제거장치
KR102157465B1 (ko) 2020-04-27 2020-09-17 안종이 터치스크린 패널 보호필름의 부분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465B1 (ko) 터치스크린 패널 보호필름의 부분 제거장치
US10589514B2 (en) Screen printing device having conveyance section for discharging and introducing both the screen mask and board support member
KR101882645B1 (ko) 기판의 비아홀 검사장치
KR20110137374A (ko) 실장 장치 및 실장 방법
US20170280598A1 (en) Component mounter
US20070295458A1 (en) Transferring Apparatus for Brittle Member
JP5927497B2 (ja)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方法
CN111477558B (zh) 一种产品的视觉检测设备
KR102681154B1 (ko)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부분 식각 공정을 위한 마스크 필름 국소 커팅부위 정밀 박리장치 및 방법
KR101759633B1 (ko) 부품 실장 장치, 부품 실장 방법
JP5013816B2 (ja) 表面実装装置
KR102681153B1 (ko) 디스플레이 패널 글라스의 부분 식각 공정을 위한 마스크 필름 정밀 박리장치
CN109699130B (zh) 一种高效自动化pcb移植设备
KR20220135111A (ko)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53373A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US10278317B2 (en) Board working device
WO2017013807A1 (ja) 部品実装機
KR101516177B1 (ko) 보호필름 박리시스템
KR101467239B1 (ko) 테이프 부착장치
US9894777B2 (en) ACF sticking method and ACF sticking apparatus
JP6405522B2 (ja) 部品実装装置及び部品実装方法
JP3446879B2 (ja) 基板のクランプ方法およびクランプ装置
JP2013115337A (ja) 電子部品装着方法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KR101468981B1 (ko)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
KR20190083952A (ko) 기판의 비아홀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2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3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