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79633B1 - Lif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if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9633B1
KR102679633B1 KR1020230107889A KR20230107889A KR102679633B1 KR 102679633 B1 KR102679633 B1 KR 102679633B1 KR 1020230107889 A KR1020230107889 A KR 1020230107889A KR 20230107889 A KR20230107889 A KR 20230107889A KR 102679633 B1 KR102679633 B1 KR 102679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frame
lifting device
roller
front structure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78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승섭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07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9633B1/en
Priority to TW112139889A priority patent/TW202508955A/en
Priority to PCT/KR2023/018994 priority patent/WO2025037678A1/en
Priority to KR1020240082843A priority patent/KR202500267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9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963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66F7/0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승강 장치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승강 장치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물류의 승강 작업을 수행하는 승강 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물류가 수용되고, 승강 동작이 수행되는 수용 프레임과, 상기 수용 프레임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수용 프레임을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구조 프레임과, 상기 구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 장치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바퀴부와, 상기 구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 프레임이 연결되며, 상기 수용 프레임의 승강을 야기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A lifting device is provided.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lifting device that is movably installed and performs a lifting operation of materials, comprising: a receiving frame in which materials are accommodated and a lift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the receiving frame. A structural frame provid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frame to structurally support the receiving frame, a wheel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ructural frame to enable the lifting device to move, and a wheel portion provided in the structural frame to accommodate the receiving frame. The frame is connected and includes a driving unit that causes the receiving frame to be raised and lowered.

Description

승강 장치{LIFTING APPARATUS}Lifting Apparatus {LIF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물류의 상하차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동 설치가 가능한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lifting device that is used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logistics and can be moved and installed.

택배나 화물의 상하차 작업은 물류 및 운송 산업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특히, 물류의 상하차 효율은 전체적인 비용 및 배송자의 신뢰성 향상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특히 신속한 배송이 중요시 여겨지는 오늘날에는 그 중요도가 더욱 강조된다.The loading and unloading of parcels and cargo is an important part of the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industry. In particular, the efficiency of loading and unloading logistics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overall costs and the reliability of deliverers, and its importance is especially emphasized these days when rapid delivery is considered important.

일반적으로, 화물차의 적재함은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배치되는데, 이러한 적재함으로부터 순수 인력에만 의존하여 물류를 상하차시키는 경우 상하차 효율이 저하되고, 작업자의 부상이 잦은 등의 문제가 있다.Generally, the loading box of a truck is plac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floor, and when loading and unloading goods from this loading box solely relying on human resources, there are problems such as lower loading and unloading efficiency and frequent injuries to workers.

따라서, 종래에는 물류 창고와 같이 물류가 대량으로 상하차되는 지점에 적재함 높이의 도크를 마련하여 물류를 오르내릴 필요 없이 곧바로 물류의 상하차가 가능하게 하는 도크 시스템이 사용되거나, 또는 화물차 자체에 리프트를 마련하여 물류를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자체 리프트 시스템이 사용되었다.Therefore, conventionally, a dock system is used that provides a dock with the height of a loading box at a point where large quantities of goods are loaded and unloaded, such as a logistics warehouse, and allows loading and unloading of goods immediately without the need to climb up and down the goods, or a lift is provided on the truck itself. A self-lift system was used to move the goods up and down.

그러나, 도크 시스템의 경우 도크가 마련될 수 있는 공간이 매우 한정적이어서 도크가 마련되지 않은 곳에서는 여전히 상하차의 문제점이 그대로 존재하였다. 또한, 자체 리프트 시스템의 경우 모든 화물차에 리프트를 장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dock system, the space where the dock can be installed is very limited, so problems with loading and unloading still exist in places where the dock is not provided. Additionally, in the case of the self-lift system,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realistically very difficult to install a lift on all truck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류가 상하차되는 지점에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테이블 리프트 시스템이 도입되었고, 이러한 테이블 리프트를 여러 물류 현장에 설치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To solve this problem, a table lift system that is fixedly installed at the point where logistics are loaded and unloaded was introduced, and a method of installing such table lifts at various logistics sites was us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테이블 리프트 시스템 역시 바닥에 매립되어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것이어서, 상하차 장소가 테이블 리프트가 설치된 장소에 한정되어 이루어질 수 있었고, 그에 따라 물류의 상하차 장소의 자유도가 여전히 떨어져 배송 및/또는 운송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However, since this conventional table lift system is also embedded in the floor and fixedly installed, the loading and unloading location can be limited to the location where the table lift is installed, and as a result, the degree of freedom in the loading and unloading location for logistics is still limited for delivery and/or transportation. There were limits to improving efficiency.

또한, 테이블 리프트 시스템은 시저 리프트(Scissor Lift) 방식으로 승강 동작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시저 리프트는 그 자체의 부피가 상당하여 리프트와 설치 장소 바닥 사이의 단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설치 장소의 바닥에 성큰(sunken)을 타공해야만 했다. 따라서, 종래의 테이블 리프트 시스템은 바닥 타공 공사에 별도의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the table lift system is lifted and lowered using a scissor lift. This scissor lift itself has a large volume, so in order to eliminate the gap between the lift and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site, it must be placed on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site. I had to drill a sunken hole. Therefore, the conventional table lift system also had a problem of low economic feasibility due to the extra time and cost required for floor drilling work.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류의 상하차가 가능한 장소의 범위를 넓혀, 물류의 배송 및/또는 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hat this specification seeks to solve is to provide an elevating device that can improve delivery and/or transportation efficiency of logistics by expanding the range of places where logistics can be loaded and unloaded.

또한, 바닥 타공 공사를 수행할 필요가 없는 이동 설치가 가능한 리프트 구조를 통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lifting device that can improve economic efficiency is provided through a lift structure that allows for mobile installation without the need for floor drilling.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면(aspect)에 따른 승강 장치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물류의 승강 작업을 수행하는 승강 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물류가 수용되고, 승강 동작이 수행되는 수용 프레임과, 상기 수용 프레임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수용 프레임을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구조 프레임과, 상기 구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 장치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바퀴부와, 상기 구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 프레임이 연결되며, 상기 수용 프레임의 승강을 야기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achieving the above problem is a lifting device that is movably installed and performs a lifting operation of materials, in which the materials are accommodated inside and a receiving frame in which the lift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a structural frame provid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an edge of the receiving frame and structurally supporting the receiving frame, a wheel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ructural frame to enable the lifting device to move, and the structural frame It is provided and connected to the receiving frame, and may include a driving part that causes the receiving frame to be raised and lowered.

이를 통해, 물류의 상하차가 가능한 장소의 범위를 넓혀, 물류의 배송 및/또는 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range of places where logistics can be loaded and unloaded, thereby improving logistics delivery and/or transportation efficiency.

또한, 바닥 타공 공사를 수행할 필요 없이 이동 설치가 가능할 리프트 구조를 통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economic efficiency can be improved through a lift structure that allows mobile installation without the need for floor drilling.

또한, 상기 수용 프레임의 전면의 바닥 가장자리에 힌지 결합되는 립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립 플레이트는 상기 수용 프레임이 하강했을 때에는 세워져있고, 상기 수용 프레임이 상승했을 때에는 눕혀지면서 개방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ncludes a lip plate hinged to the front bottom edge of the receiving frame, and the lip plate can be opened when the receiving frame is lowered and can be opened by lying down when the receiving frame is raised.

또한, 상기 구조 프레임은 상기 수용 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구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립 플레이트는 세워져있을 때 상기 전방 구조부의 내측에 기대어져 있고, 개방됐을 때에는 전방 구조부의 상단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al frame includes a front structure provided in front of the receiving frame, and the lip plate leans against the inside of the front structure when upright, and is support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by the top of the front structure when open. It can be.

또한, 상기 전방 구조부는 상기 수용 프레임의 전면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수용 프레임이 상승하여 개방된 상기 립 플레이트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되는 제1 전방 구조부와, 상기 제1 전방 구조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 프레임이 상승하여 개방된 상기 립 플레이트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되는 제2 전방 구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structure is connected to a first front structure that extends horizontally along the front of the receiving frame and is provid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lip plate where the receiving frame is raised and opened, and the first front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first front structure. The receiving frame may include a second front structure provid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raised and opened lip plate.

또한, 상기 제2 전방 구조부는 상기 제1 전방 구조부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front structure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front structure.

또한, 상기 전방 구조부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1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프레임이 상승할 때, 상기 립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롤러에 접한 상태로 움직일 수 있다.Additionally, it includes a first roll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ront structure, and when the receiving frame rises, the lip plate can move in contact with the first roller.

또한, 상기 수용 프레임이 최저 높이에 있을 때, 상기 립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롤러에 기대어질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receiving frame is at its lowest height, the lip plate can lean against the first roller.

또한, 상기 전방 구조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프레임이 승강할 때, 상기 립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롤러에 접한 상태로 움직이면서 개방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ncludes a second roller provided at the top of the front structure, and when the receiving frame is raised and lowered, the lip plate may be opened while mov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 roller.

또한, 상기 수용 프레임이 최고 높이에 있을 때 상기 립 플레이트는 눕혀져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롤러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receiving frame is at its highest height, the lip plate may be support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by the second roller in a laid down and open state.

또한, 상기 전방 구조부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1 롤러와, 상기 전방 구조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의 사이 간격은 상기 립 플레이트의 길이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it includes a first roll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ront structure and a second roller provided at the top of the front structur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lip plate. Or it can be small.

또한,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제1 롤러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roller may be disposed ahead of the first roller.

또한, 상기 구조 프레임은, 상기 수용 프레임의 측방향 일측의 하부 영역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 구조부와, 상기 수용 프레임의 측방향 타측의 하부 영역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 구조부와, 상기 수용 프레임의 전면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구조부 및 상기 제2 구조부을 연결하는 전방 구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al frame includes a first structural part extending horizontally in a lower area on one lateral side of the receiving frame, a second structural part extending horizontally in a lower area on the other lateral side of the receiving frame, and the receiving frame. It may include a front structure extending horizontally along the front of the front structure and connecting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또한, 상기 구조 프레임은 상기 제1 구조부 및 상기 제2 구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구비되는 마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tructural frame may include a mast provided to stand vertically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tructural part and the second structural part.

또한, 상기 수용 프레임이 최저 높이에 있을 때, 상기 수용 프레임의 하단의 높이는 상기 구조 프레임의 하단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receiving frame is at its lowest height,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frame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structural frame.

또한, 상기 수용 프레임의 일면은 물류가 출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거나, 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할 수 있다.Additionally, one side of the receiving frame may be open to allow logistics to enter or exit, or may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또한, 상기 수용 프레임의 상기 일면의 바닥에 힌지 결합되는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it may include a lamp hinged to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receiving frame.

또한, 상기 수용 프레임의 바닥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수용 프레임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수용 프레임의 하부로 펼쳐질 수 있다. Additionally, it includes a cover connected along the bottom edge of the receiving frame, and the cover can be expanded to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frame as the receiving frame rises.

본 명세서를 통해, 물류의 상하차가 가능한 장소의 범위를 넓혀, 물류의 배송 및/또는 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specification, the range of places where logistics can be loaded and unloaded can be expanded, and logistics delivery and/or transport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바닥 타공 공사를 수행할 필요 없이 이동 설치가 가능할 리프트 구조를 통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economic efficiency can be improved through a lift structure that allows mobile installation without the need for floor drilling.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측면도로써, 수용 프레임이 최저 높이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측면도로, 수용 프레임이 최고 높이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단면도로, 승강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is a side view of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frame is at the lowest height.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wing the receiving frame at its highest height.
Figure 3 is a front view of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4 is a rear view of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5 to 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illustrate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lifting device.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ar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disclosure,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etc.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relevant descrip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is disclosure, rather than simply the name of the term.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에 포함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에 포함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개시에 포함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ease of prepar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ncluded in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included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includ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The expression “at least one of a, b, and c”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means ‘a alone’, ‘b alone’, ‘c alone’, ‘a and b’, ‘a and c’, ‘b and c ', or 'all of a, b, and c'.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m.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측면도로써, 수용 프레임이 최저 높이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측면도로, 수용 프레임이 최고 높이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단면도로, 승강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1 is a side view of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frame is at the lowest height.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wing the receiving frame at its highest height. Figure 3 is a front view of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4 is a rear view of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5 to 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illustrate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lifting device.

이하,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100)는 수용 프레임(110)과, 립 플레이트(120)와, 구조 프레임(130)과, 바퀴부(140)와, 구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물리적·기계적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예를 들어, 수용 프레임과 구조 프레임이 하나의 기계적 단위로 구현됨)을 배제하지 않으며, 이 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Hereinafter, the lif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receiving frame 110, a lip plate 120, a structural frame 130, a wheel part 140, and a driving part 150. This does not exclude that at least two or more components can be implemented as one physical/mechanical device (for example, the receiving frame and the structural frame are implemented as one mechanical unit), and additional It does not rule out composi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100)는 물류의 승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류는 승강 장치(100)에 의해 승강되어 높이가 있는 화물차의 적재함에 상차되거나 하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4 , the lif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perform a lifting operation of logistics. Specifically, materials can be lift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device 100 and loaded onto or unloaded from a tall cargo truck.

승강 장치(100)는 수용 프레임(11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 프레임(110)의 내측에는 물류가 수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100)의 수용 프레임(110)은 철제 프레임 부재에 의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용 프레임(110)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측벽에 의해 물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용 프레임(110)은 바닥면과 이를 둘러싼 일정 높이의 측벽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바닥면만 존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lif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receiving frame 110 . Logistics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receiving frame 110. The receiving frame 110 of the lif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formed into a box shape by using a steel frame member. Through this,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receiving frame 110 can be secured, and the material can be prevented from leaving by the side wall.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receiving frame 110 may be composed of a bottom surface and side walls of a certain height surrounding the bottom surface, or may be configured to have only the bottom surface.

수용 프레임(110)은 승강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 프레임(110)은 구조 프레임(13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수용 프레임(110)은 구동부(150)의 구동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물류는 수용 프레임(110)에 수용된 상태로, 수용 프레임(110)이 승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부(150)에 의한 수용 프레임(110)의 승강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receiving frame 110 may perform a lifting operation. Specifically, the receiving frame 110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tructural frame 130. The receiving frame 110 can be lifted and lowered by driving the driving unit 150. Materials ar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frame 110 and can be moved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s the receiving frame 110 is raised and lowered.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receiving frame 110 by the driving unit 15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수용 프레임(110)이 최저 높이에 있을 때, 수용 프레임(110)의 하단의 높이는 구조 프레임(130)의 하단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용 프레임(110)이 최저 높이에 있을 때, 수용 프레임(110)의 하단은 승강 장치(100)가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에 접하거나 매우 밀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1, 3, and 4, when the receiving frame 110 is at its lowest height,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frame 110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structural frame 130. More preferably, when the receiving frame 110 is at the lowest height,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frame 110 may be in contact with or very close to the floor of the place where the lifting device 100 is installed.

구체적으로, 물류는 수용 프레임(110)이 최저 높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용 프레임(110)으로부터 외부로 반출되거나 외부에서 수용 프레임(110)으로 반입될 수 있다. 이 때, 물류가 롤테이너(RT) 등 같이 바퀴가 달린 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경우, 롤테이너(RT)가 수용 프레임(110)으로 쉽게 이송되기 위해서는 승강 장치(100)가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과 수용 프레임(110)의 단차가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100)에서는, 수용 프레임(110)이 최저 높이에 있을 때, 수용 프레임(110)의 하단이 구조 프레임(130)의 하단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물류의 이동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Specifically, materials may be carried out from the receiving frame 110 or brought into the receiving frame 110 from the outside while the receiving frame 110 is located at the lowest height. At this time, when the goods are transported through a device with wheels, such as a roll container (RT), in order for the roll container (RT) to be easily transported to the receiving frame 110, the floor and the space where the lifting device 100 is installed must be installed. It may be desirable for the step of the receiving frame 110 to be minimized. In the lif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the receiving frame 110 is at the lowest height,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frame 110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structural frame 130. , movement of logistics can become easier.

수용 프레임(110)의 일면, 보다 구체적으로 수용 프레임(110)의 배면은 물류가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거나, 도어(111)에 의해 개폐 가능할 수 있다. One side of the receiving frame 110, more specifically, the rear side of the receiving frame 110, may be open to allow logistics to enter or exit, or may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111.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승강 장치(100)는 도어(1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1)는 수용 프레임(110)의 배면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류가 수용 프레임(110)으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도어(111)는 개방될 수 있고, 물류가 수용 프레임(110)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도어(111)가 폐쇄될 수 있다. 도어(111)는 승강 장치(100)가 이동하거나 수용 프레임(110)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수용 프레임(110)의 내부에 수용된 물류가 수용 프레임(110)의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 the lif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door 111 . The door 111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rear surface of the receiving frame 110. The door 111 may be opened while the goods ar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frame 110, and the door 111 may be closed while the goods ar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frame 110. The door 111 can prevent materials stored inside the receiving frame 110 from falling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frame 110 while the lifting device 100 moves or the receiving frame 110 is lifted.

도 4를 참조하면, 도어(111)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수용 프레임(110)의 양 측면 가장자리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111)는 한 짝으로 구비되어 수용 프레임(110)의 일 측면 가장자리에 힌지 결합될 수도 있고, 수용 프레임(110)의 천장의 가장자리에 힌지 결합되어 위아래로 회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어(111)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수용 프레임(110)의 하단 가장자리에 힌지 결합된 램프(180)가 도어(111)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doors 111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hinged to both side edges of the receiving frame 110. However, the door 111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hinged to one side edge of the receiving frame 110, or may be hinged to the edge of the ceiling of the receiving frame 110 and rotated up and down. It may be possible. In addition, unlike shown in FIG. 4, the door 111 may not be provided, in which case the lamp 180 hinged to the lower edge of the receiving frame 110 may replace the role of the door 111. there is.

승강 장치(100)는 립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립 플레이트(120)는 수용 프레임(110)의 전면의 바닥 가장자리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립 플레이트(120)는 수용 프레임(110)이 화물차의 적재함 높이만큼 상승했을 때, 수용 프레임(110)과 적재함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수용 프레임(110)에 수용된 물류는 립 플레이트(120)를 거쳐 화물차의 적재함에 적재되거나, 화물차의 적재함에 적재된 물류는 립 플레이트(120)를 통해 수용 프레임(110)에 수용될 수 있다. The lif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lip plate 120 . The lip plate 120 may be hinged to the front bottom edge of the receiving frame 110. The lip plate 120 may serve as a bridge connecting the receiving frame 110 and the loading box when the receiving frame 110 rises to the height of the loading box of the truck. Logistic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frame 110 may be loaded into the loading box of a truck through the lip plate 120, or logistics loaded into the loading box of a truck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frame 110 through the lip plate 120.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립 플레이트(120)는 반자동으로 세워지거나 눕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립 플레이트(120)는 기계적인 메커니즘에 의해 세워지거나 눕혀질 수 있다. 이 때, 립 플레이트(120)가 세워진 상태를 립 플레이트(120)가 폐쇄된 상태, 그리고 립 플레이트(120)가 눕혀진 상태는 립 플레이트(120)가 개방된 상태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5 to 7, the lip plate 120 can be erected or laid down semi-automatically. In other words, the lip plate 120 can be erected or laid down by a mechanical mechanism. At this time, a state in which the lip plate 120 is upright may be understood as a state in which the lip plate 120 is closed, and a state in which the lip plate 120 is laid down may be understood as a state in which the lip plate 120 is open.

립 플레이트(120)는 수용 프레임(110)이 하강했을 때에는 세워져있을 수 있다. 립 플레이트(120)는 세워져있을 때 전방 구조부(133)의 내측에 기대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립 플레이트(120)는 세워져있을 때 제1 롤러(160)에 기대어질 수 있다. 립 플레이트(120)가 전방 구조부(133)의 내측에 기대어지는 구조를 통해 별도의 구동 메커니즘 없이 수용 프레임(110)가 상승함에 따라 자동으로 립 플레이트(120)가 개방될 수 있다. The lip plate 120 may remain standing when the receiving frame 110 is lowered. The lip plate 120 can lean against the inside of the front structure 133 when upright. Specifically, the lip plate 120 may lean against the first roller 160 when standing upright. Through the structure in which the lip plate 120 leans against the inside of the front structure 133, the lip plate 120 can be opened automatically as the receiving frame 110 rises without a separate driving mechanism.

립 플레이트(120)는 수용 프레임(110)이 상승했을 때에는 눕혀지면서 개방될 수 있다. 립 플레이트(120)는 개방됐을 때 전방 구조부(133)의 상단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립 플레이트(120)는 제2 롤러(170)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물류는 립 플레이트(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립 플레이트(120)를 통해 수용 프레임(110)과 화물차의 적재함 사이를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립 플레이트(120)가 전방 구조부(133)의 상단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지지됨에 따라 립 플레이트(120)의 구조가 보강될 수 있다. The lip plate 120 may be opened by being laid down when the receiving frame 110 is raised. The lip plate 120 may be support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by the top of the front structure 133 when open. Specifically, the lip plate 120 may be support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by the second roller 170. Logistics are moved between the receiving frame 110 and the loading box of the truck through the lip plate 120 with the lip plate 120 open. At this time, the lip plate 120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front structure 133. The structure of the lip plate 120 can be strengthened by being support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수용 프레임(110)이 상승함에 따라 립 플레이트(120)가 개방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 process of opening the lip plate 120 as the receiving frame 110 ris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5 를 참조하면, 립 플레이트(120)는 수용 프레임(110)이 최저 높이에 있을 때, 제1 롤러(160)에 기대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lip plate 120 may lean against the first roller 160 when the receiving frame 110 is at its lowest height.

립 플레이트(120)는 수용 프레임(110)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전방 구조부(133)에 기대어진 상태로 수용 프레임(110)을 따라 상승할 수 있다. 수용 프레임(110)이 상승하는 초기 단계에서, 립 플레이트(120)는 제1 롤러(160)에 접한 상태로 움직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립 플레이트(120)는 조금씩 전방으로 눕혀질 수 있다.The lip plate 120 may rise along the receiving frame 110 while leaning against the front structure 133 while the receiving frame 110 rises. In the initial stage when the receiving frame 110 rises, the lip plate 120 may move in contact with the first roller 160. In this process, the lip plate 120 may be gradually laid forward.

도 6을 참조하면, 수용 프레임(110)이 일정 높이까지 상승했을 때, 립 플레이트(120)는 제1 롤러(160)와 제2 롤러(170)에 동시에 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when the receiving frame 110 rises to a certain height, the lip plate 12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roller 160 and the second roller 170 at the same time.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수용 프레임(110)이 조금 더 상승하게 되면, 립 플레이트(120)는 제1 롤러(160)에는 접하지 않고, 제2 롤러(170)에 접한 상태로 움직일 수 있다. 이 과정에서도, 립 플레이트(120)는 조금씩 더 전방으로 눕혀질 수 있다. When the receiving frame 110 is raised slightly in the state shown in FIG. 6, the lip plate 120 can move in contact with the second roller 170 without contacting the first roller 160. Even in this process, the lip plate 120 may be laid forward little by little.

도 7를 참조하면, 수용 프레임(110)이 최고 높이에 있을 때, 립 플레이트(120)는 눕혀져 개방된 상태에서 제2 롤러(170)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when the receiving frame 110 is at its highest height, the lip plate 120 may be support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by the second roller 170 in a lying open state.

상술한 과정을 통해, 립 플레이트(120)는 수용 프레임(110)이 상승함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승강 장치(100)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립 플레이트(120)의 오작동으로 인한 파손 및/또는 고장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롤러(160)와 제2 롤러(170)에 순차적으로 접하는 구조를 통해 립 플레이트(120)가 단계적으로 개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립 플레이트(120)의 급격한 동작으로 인한 고장이나 소음 발생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lip plate 120 can be automatically opened as the receiving frame 110 rises,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lifting device 100 and the lip plate 120. This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damage and/or failure due to malfunction. In addition, the lip plate 120 can be opened in stages through a structure that sequentially contacts the first roller 160 and the second roller 170, thereby preventing failure or noise due to rapid movement of the lip plate 120. Problems arising can be prevented.

수용 프레임(110)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립 플레이트(120)가 세워지는 과정은 도 5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설명한 립 플레이트(120)의 개방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process of erecting the lip plate 120 during the process of lowering the receiving frame 110 may be understood as proceeding in the reverse order of the opening process of the lip plate 1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이와 달리, 립 플레이트(120)는 별도로 구비되는 모터를 통해 전자식으로 개폐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lip plate 120 may be opened and closed electronically through a separately provided motor.

승강 장치(100)는 구조 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 프레임(130)은 수용 프레임(110)을 구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승강 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조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lif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structural frame 130 . The structural frame 130 may structurally support the receiving frame 110 and further serve as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lifting device 100.

구조 프레임(130)은 수용 프레임(110)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 프레임(130)은 수용 프레임(110)의 배면을 제외한 나머지 3면에 걸쳐 구비될 수 있다. Structural frame 130 may be provid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an edge of receiving frame 110 . For example, the structural frame 130 may be provided on the remaining three sides of the receiving frame 110 except for the rear side.

구조 프레임(130)은 제1 구조부(131) 및 제2 구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조부(131)는 수용 프레임(110)의 측방향 일측의 하부 영역에서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구조부(132)는 수용 프레임(110)의 측방향 타측의 하부 영역에서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The structural frame 130 may include a first structural part 131 and a second structural part 132. The first structural part 131 may extend horizontally in a lower area on one lateral side of the receiving frame 110. The second structural portion 132 may extend horizontally in a lower area on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frame 110 in the lateral direction.

구조 프레임(130)은 전방 구조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구조부(133)는 수용 프레임(110)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전방 구조부(133)는 수용 프레임(110)의 전면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전방 구조부(133)는 제1 구조부(131) 및 제2 구조부(132)를 연결할 수 있다. Structural frame 130 may include a front structural portion 133 . The front structure 133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receiving frame 110. The front structure 133 may extend horizontally along the front of the receiving frame 110. The front structure 133 may connect the first structure 131 and the second structure 132.

이와 같이, 구조 프레임(130)은 제1 구조부(131), 제2 구조부(132) 및 전방 구조부(133)를 통해 수용 프레임(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수용 프레임(110)의 배면은 개방시킬 수 있다. 구조 프레임(130)이 수용 프레임(110)의 배면에 형성되지 않는 구조를 통해, 물류는 수용 프레임(110)의 배면을 통해 수용 프레임(110)으로 용이하게 반출입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structural frame 130 stably supports the receiving frame 110 through the first structural portion 131, the second structural portion 132, and the front structural portion 133, while the rear surface of the receiving frame 110 is open. You can do it. Through a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al frame 130 is not formed on the back of the receiving frame 110, goods can be easily carried in and out of the receiving frame 110 through the rear of the receiving frame 110.

전방 구조부(133)는 제1 전방 구조부(13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방 구조부(1331)는 수용 프레임(110)의 전면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구조부(131)와 제2 구조부(132)는 제1 전방 구조부(133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The front structure 133 may include a first front structure 1331. The first front structure 1331 may extend horizontally along the front of the receiving frame 110. The first structural part 131 and the second structural part 132 may be connected by a first front structural part 1331.

제1 전방 구조부(1331)는 일정 높이의 벽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방 구조부(1331)는 승강 장치(100)로 접근하는 화물차의 충돌로부터 승강 장치(100)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제2 전방 구조부(1332)가 충분한 높이로 구비되는 경우, 제1 전방 구조부(1331)는 제1 구조부(131) 및/또는 제2 구조부(132)와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first front structure 1331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wall with a certain height. This first front structure 1331 may serve to protect the lifting device 100 from collision by a freight car approaching the lifting device 100. However, if the second front structure 1332 is provided at a sufficient height, the first front structure 1331 may be provid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ructure 131 and/or the second structure 132. there is.

제1 전방 구조부(1331)는 수용 프레임(110)이 상승하여 개방된 립 플레이트(12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용 프레임(110)이 목표 높이에 도달했을 때, 립 플레이트(120)가 제1 전방 구조부(1331)에 간섭되지 않고 온전히 개방될 수 있다. The first front structure 1331 may be provid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height of the lip plate 120 when the receiving frame 110 is raised and opened. Through this, when the receiving frame 110 reaches the target height, the lip plate 120 can be fully open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irst front structure 1331.

전방 구조부(133)는 제2 전방 구조부(1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방 구조부(1332)는 제1 전방 구조부(133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방 구조부(1332)는 제1 전방 구조부(1331)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제2 전방 구조부(1332)는 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전방 구조부(133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Front structure 133 may include a second front structure 1332. The second front structure 133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ront structure 1331. The second front structure 1332 may protrude above the first front structure 1331.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the second front structure 1332 may be provided in a pillar shape. Alternatively, the second front structure 1332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제2 전방 구조부(1332)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방 구조부(1332)는 두 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수용 프레임(110)이 가로로 더욱 길게 형성되어 립 플레이트(120)의 중력 방향 지지력이 보강되어야 하는 경우, 제2 전방 구조부(1332)는 세 개 이상 구비될 수도 있고, 수용 프레임(110)이 가로로 짧게 형성되는 경우, 제2 전방 구조부(1332)는 하나만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front structure 1332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wo second front structures 1332 may be provided. However, if the receiving frame 110 is formed to be longer horizontally and the gravitational support force of the lip plate 120 needs to be strengthened, three or more second front structures 1332 may be provided, and the receiving frame 110 In the case where it is formed to be horizontally short, only one second front structure 1332 may be provided.

제2 전방 구조부(1332)는 수용 프레임(110)이 최대 높이에 있을 때 개방된 립 플레이트(120)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용 프레임(110)이 목표 높이에 도달하여 립 플레이트(120)가 개방되었을 때, 립 플레이트(120)는 수평 상태에서 제2 전방 구조부(1332)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The second front structure 1332 may be provid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open lip plate 120 when the receiving frame 110 is at its maximum height. Through this, when the receiving frame 110 reaches the target height and the lip plate 120 is opened, the lip plate 120 can be support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by the second front structure 1332 in a horizontal state.

제2 전방 구조부(1332)는 제1 전방 구조부(133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2 전방 구조부(1332)는 제1 전방 구조부(1331)의 전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전방 구조부(1332)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 롤러(170)가 제1 전방 구조부(1331)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1 롤러(16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어, 립 플레이트(120)의 단계적인 개폐가 가능해질 수 있다.The second front structure 1332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front structure 1331.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second front structure 1332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first front structure 1331 . Through this, the second roller 170 provided at the top of the second front structure 1332 can be placed ahead of the first roller 16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front structure 1331, so that the lip plate Step-by-step opening and closing of (120) may be possible.

이와 달리, 제2 전방 구조부(1332)는 제1 전방 구조부(1331)의 상단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롤러(160)는 제1 전방 구조부(1331)의 후면에 구비되고, 제2 롤러(170)는 제2 전방 구조부(1332)의 상단에 구비되므로, 제1 롤러(160)와 제2 롤러의 배치 위치, 제1 전방 구조부(1331)와 제2 전방 구조부(1332)의 높이의 적절한 설정을 통해 립 플레이트(120)의 단계적인 개폐를 구현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second front structure 1332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top of the first front structure 1331. In this case, the first roller 16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front structure 1331, and the second roller 170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second front structure 1332, so the first roller 160 and Stepwis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p plate 120 may be implemented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second roller and the height of the first front structure 1331 and the second front structure 1332.

제2 전방 구조부(1332)는 제1 전방 구조부(1331)에 대해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화물차의 적재함의 높이는 화물차마다 다를 수 있고, 그에 따라 수용 프레임(110)의 목표 높이는 달라질 수 있는데, 이 때 제2 전방 구조부(1332)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립 플레이트(120)가 제2 전방 구조부(1332)에 간섭되지 않고 온전히 개방될 수 있고, 개방된 립 플레이트(120)는 높이가 조절된 제2 전방 구조부(1332)에 의해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The second front structure 1332 may be provided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rst front structure 1331. The height of the loading box of the truck may be different for each truck, and the target height of the receiving frame 110 may vary accordingly. At this tim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cond front structure 1332, the lip plate 120 is adjusted to the second front structure ( 1332), and the opened lip plate 120 can be effectively supported by the second front structure 1332 whose height is adjusted.

제2 전방 구조부(1332)는 제1 전방 구조부(1331)의 전면에 구비되고 제2 전방 구조부(133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는 브라켓(1333)과 제2 전방 구조부(1332)를 동시에 관통하는 고정 부재(1334)에 의해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front structure 1332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first front structure 1331 and penetrates the second front structure 1332 and the bracket 1333 on which the second front structure 1332 can be slidably seated. The height can be fixed by a fixing member 1334.

상술한 바와 달리, 제1 전방 구조부(1331)가 화물차의 적재함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되고, 제1 롤러(160)가 제1 전방 구조부(1331)의 상단에 구비되며, 수용 프레임(110)이 최저 높이에 있을 때 립 플레이트(120)가 제1 롤러(160)에 기대어질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구비되는 경우, 제2 전방 구조부(1332)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Unlike the above-mentioned, the first front structure 1331 is provid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loading box of the truck, the first roller 160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first front structure 1331, and the receiving frame 110 If the lip plate 120 is provided with a length that allows it to lean against the first roller 160 when at this lowest height, the second front structure 1332 may not be provided.

구조 프레임(130)은 마스트(134)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트(134)는 제1 구조부(131) 및 제2 구조부(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마스트(134)는 제1 구조부(131)와 제2 구조부(132)에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Structural frame 130 may include mast 134 . The mast 134 may be provided to stand vertically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tructural part 131 and the second structural part 132.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the mast 134 may be provided to st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structural part 131 and the second structural part 132.

마스트(134)는 수용 프레임(11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스트(134)에는 수용 프레임(110)의 측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부(11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수용 프레임(110)의 승강 동작이 수행될 때, 마스트(134)는 가이드부(112)가 움직일 수 있는 레일(rail)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수용 프레임(110)의 승강 동작이 가이드될 수 있다. The mast 134 may guide the movement path of the receiving frame 110. Specifically, the guide portion 112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eceiving frame 110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mast 134, and when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receiving frame 110 is performed, the mast 134 As the guide portion 112 functions as a movable rail, the lifting and lowering motion of the receiving frame 110 can be guided.

마스트(134)는 구동부(150)의 구동력을 수용 프레임(110)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50)의 힘을 수용 프레임(110)에 전달하는 체인(155)의 일단이 마스트(134)에 고정됨으로써, 구동부(150)의 힘이 온전히 수용 프레임(110)에 전달될 수 있다. 구동부(150)에 의한 수용 프레임(110)의 승강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mast 134 may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150 to the receiving frame 110. Specifically, one end of the chain 155, which transmits the force of the driving unit 150 to the receiving frame 110, is fixed to the mast 134, so that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150 can be completely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frame 110. there is.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receiving frame 110 by the driving unit 150 will be described later.

승강 장치(100)는 제1 롤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러(160)는 전방 구조부(133)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롤러(160)는 제1 전방 구조부(1331)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롤러(160)는 바퀴로 구비될 수 있다. 수용 프레임(110)이 최저 높이에 있을 때 제1 롤러(160)에 기대어진 립 플레이트(120)는, 수용 프레임(110)이 상승함에 따라 제1 롤러(160)를 타고 상승할 수 있다. The lif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first roller 160. The first roller 16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structure 133. Specifically, the first roller 16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front structure 1331. The first roller 160 may be provided as a wheel. When the receiving frame 110 is at the lowest height, the lip plate 120 leaning on the first roller 160 may rise on the first roller 160 as the receiving frame 110 rises.

승강 장치(100)는 제2 롤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롤러(170)는 전방 구조부(133)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롤러(170)는 제2 전방 구조부(1332)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수용 프레임(110)이 일정 높이에 도달한 이후에는, 립 플레이트(120)는 제2 롤러(170)에 기대어진 상태로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수용 프레임(110)이 목표 높이에 도달했을 때에는, 립 플레이트(120)는 제2 롤러(170)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The lif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second roller 170. The second roller 170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front structure 133. Specifically, the second roller 170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second front structure 1332. After the receiving frame 110 reaches a certain height, the lip plate 120 may rise while leaning on the second roller 170. Additionally, when the receiving frame 110 reaches the target height, the lip plate 120 may be support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by the second roller 170.

도 6을 참조하면, 제1 롤러(160)와 제2 롤러(170)의 사이 간격은 립 플레이트(120)의 길이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용 프레임(110)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립 플레이트(120)가 제1 롤러(160)와 제2 롤러(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는 계속해서 접할 수 있으므로, 립 플레이트(120)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gap between the first roller 160 and the second roller 170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lip plate 120. Through this, the lip plate 120 can continue to contact at least one of the first roller 160 and the second roller 170 during the process of lifting the receiving frame 110, so that the lip plate 120 Opening and closing can be performed smoothly.

상술한 바와 달리, 립 플레이트(120)의 길이가 충분한 경우(예를 들어, 도 5 에서 립 플레이트(120)가 제2 롤러(170)에 닿을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1 롤러(16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Unlike the above-mentioned, when the length of the lip plate 120 is sufficient (for example, when the lip plate 120 in FIG. 5 is provided with a length sufficient to reach the second roller 170), the first roller 170 The roller 160 may not be provided.

승강 장치(100)는 바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퀴부(140)는 구조 프레임(13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퀴부(140)는 구조 프레임(130)의 하부의 적어도 네 꼭지점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바퀴부(140)는 승강 장치(100)를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바퀴부(140)는 휠(wheel)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바퀴부(140)는 상하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승강 장치(100)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lif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wheel portion 140. The wheel portion 14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tructural frame 130. For example, the wheel portion 140 may be provided at at least four vertices of the lower part of the structural frame 130. The wheel portion 140 may enable the lifting device 100 to move. The wheel portion 140 may be composed of a wheel. Each wheel unit 140 is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to enable free movement of the lifting device 100.

바퀴부(140)가 구비된 승강 장치(100)는 바닥에 매립되는 것이 아니므로, 화물차가 접근하는 과정에서 승강 장치(100)에 충격을 가한다고 하더라도, 바퀴부(140)에 의한 승강 장치(100)의 움직임을 통해 충격이 완화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승강 장치(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lifting device 100 provided with the wheel portion 140 is not embedded in the floor,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to the lifting device 100 in the process of approaching a truck, the lifting device (100) by the wheel portion 140 The impact can be alleviated through the movement of 100, and damage to the lifting device 100 can be prevented through this.

도 3을 참조하면, 승강 장치(100)는 고정 장치(14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장치(141)는 승강 장치(10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 장치(100)가 사용되는 곳으로 이동되어 배치된 후에는, 고정 장치(141)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lif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fixing device 141 . The fixing device 141 may prevent the lifting device 100 from moving. Specifically, after the lifting device 100 is moved and placed in a place where it is used, its movement may be restricted by the fixing device 141.

고정 장치(141)는 구조 프레임(13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 장치(141)는 구조 프레임(130)의 네 꼭지점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 장치(141)는 상하로 움직이는 앵커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장치(141)는 승강 장치(100)가 이동하는 동안에는 상승한 상태이고, 승강 장치(100)가 설치되어야 하는 위치로 이동한 후에는, 하강한 상태일 수 있다. 고정 장치(141)가 하강할 때에는, 적어도 바퀴부(140)의 하단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만큼 하강하거나, 바퀴부(140)의 하단보다 더 아래까지 하강할 수 있다. 고정 장치(141)가 바퀴부(140)의 하단보다 더 아래까지 하강한 경우, 고정 장치(141)에 의해 승강 장치(100)가 부양하게 되고, 이 때 바퀴부(140)는 승강 장치(100)가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에서 떨어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fixing device 141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tructural frame 130. Fixing devices 141 may be provided at four vertices of the structural frame 130. The fixing device 14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anchor that moves up and down. Specifically, the fixing device 141 may be in an elevated state while the lifting device 100 is moving, and may be in a lowered state after moving to a position where the lifting device 100 is to be installed. When the fixing device 141 descends, it may descend at least as much as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wheel unit 140, or it may descend to a level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wheel unit 140. When the fixing device 141 is lowered to a lower level than the lower end of the wheel portion 140, the lifting device 100 is lifted by the fixing device 141, and at this time, the wheel portion 140 is connected to the lifting device 100. ) can be understood as falling from the floor of the space where it is installed.

고정 장치(141)는 전동식으로 작동할 수도 있고, 작업자가 직접 물리적으로 조작하여 작동할 수도 있다.The fixing device 141 may be operated electrically or may be operated physically by an operator.

이와 달리, 고정 장치(141)는 바퀴부(140) 자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장치(141)는 각각의 바퀴부(140)에 구비되고, 바퀴부(140)를 구성하는 휠의 움직임을 제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fixing device 141 may be provided on the wheel portion 140 itself. Specifically, the fixing device 141 may be provided on each wheel unit 140 and may be provided to suggest movement of the wheels constituting the wheel unit 140.

승강 장치(100)는 구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50)는 구조 프레임(130)에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150)는 수용 프레임(110)에 연결되어 수용 프레임(110)의 승강을 야기할 수 있다. 구동부(150)의 작동은 컨트롤 패널(151)의 조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lif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driving unit 150. The driving unit 150 may be provided on the structural frame 130. The driving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frame 110 to cause the receiving frame 110 to be raised and lowered.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50 can be performed by manipulating the control panel 151.

구체적으로, 구동부(150)는 제1 구조부(131) 및 제2 구조부(132)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유압 실린더(152)와, 유압 실린더(152)의 상단에 구비되고 양 측에 도르래(154)가 구비되는 지렛대부(153)와, 일측이 마스트(134)에 구비되는 가로 부재(1341)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용 프레임(110)에 연결되며 중간 부분은 지렛대부(153)의 도르래(154)에 걸리는 체인(155)과, 유압 실린더(152)의 작동을 야기하는 모터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100)에서, 유압 실린더(152)는 제1 구조부(131) 및 제2 구조부(132)에 구비되는 마스트(134)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riving unit 150 includes a hydraulic cylinder 152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tructural part 131 and the second structural part 132, and a pulley 154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ydraulic cylinder 152. ), one end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member 1341 provided on the mast 134,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frame 110, and the middl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pulley 154 of the lever unit 153. ) may include a chain 155 caught on the chain 155 and a motor unit 156 that causes the hydraulic cylinder 152 to operate. In the lif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hydraulic cylinder 152 may be disposed on the mast 134 provided in the first structural part 131 and the second structural part 132, respectively.

모터부(156)의 작동에 의해 유압 실린더(152)가 상승하면, 그에 따라 지렛대부(153)가 함께 상승할 수 있다. 이 때, 도르래(154)에 걸린 체인(155)이 들어올려지면서 체인(155)의 타단에 연결된 수용 프레임(110)이 상승할 수 있다. 반대로, 모터부(156)의 작동에 의해 유압 실린더(152)가 하강하면, 그에 따라 수용 프레임(110)이 하강할 수 있다.When the hydraulic cylinder 152 is rais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unit 156, the lever unit 153 may rise together with it. At this time, as the chain 155 hung on the pulley 154 is lifted, the receiving frame 11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hain 155 may rise. Conversely, when the hydraulic cylinder 152 is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unit 156, the receiving frame 110 may be lowered accordingly.

이와 같이, 수용 프레임(110)의 승강이 유압 실린더(152) 및 체인(155)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수용 프레임(110)의 하부에 수용 프레임(110)의 승강을 위한 별도의 공간(예를 들어, 성큰 공간)이 불필요하다. 그에 따라, 별도의 매립 설치를 위한 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lifting of the receiving frame 110 is achieved by the hydraulic cylinder 152 and the chain 155, so that a separate space (e.g., A large space is unnecessary. Accordingly, the cost for separate landfill installation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economic efficiency.

도 5를 참조하면, 승강 장치(100)를 램프(180)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180)는 수용 프레임(110)의 일면의 바닥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램프(180)는 힌지 결합에 의해 회전하여 가로 상태로 펼쳐지거나 세로 상태로 세워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램프(180)는 수용 프레임(110)이 최저 높이에 있을 때 가로 상태로 펼쳐질 수 있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세로 상태로 세워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lif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ramp 180. The lamp 180 may be hinged to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receiving frame 110. The lamp 180 can be rotated by a hinge connection to unfold horizontally or stand vertically. Specifically, the lamp 180 may be unfolded horizontally when the receiving frame 110 is at its lowest height, and may be erected vertically in other cases.

램프(180)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어 펼쳐질 수도 있고, 별도의 램프(180) 작동을 위한 모터가 구비되어 전자식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The lamp 180 may be manually operated and unfolded by an operator, or a separate motor for operating the lamp 180 may be provided and controlled electronically.

수용 프레임(110)이 최저 높이에 있을 때, 램프(180)를 통해 승강 장치(100)가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과 수용 프레임(110)의 바닥 사이의 단차를 해소할 수 있다. 즉, 수용 프레임(110)이 최저 높이에 있을 때, 롤테이너(RT) 등과 같이 바퀴가 달린 장치를 이용하여 운송되는 물류는 램프(180)를 타고 수용 프레임(110)에 반입되거나 수용 프레임(110)으로부터 반출될 수 있다.When the receiving frame 110 is at the lowest height,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floor of the space where the lifting device 100 is installed and the floor of the receiving frame 110 can be resolved through the ramp 180. That is, when the receiving frame 110 is at the lowest height, materials transported using a device with wheels, such as a roll container (RT), are brought into the receiving frame 110 on the ramp 180 or are transported to the receiving frame 110. ) can be exported from.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승강 장치(100)는 커버(19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90)는 수용 프레임(110)의 바닥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커버(190)는 수용 프레임(110)이 상승함에 따라 수용 프레임(110)의 하부로 펼쳐질 수 있다. 커버(190)는 수용 프레임(110)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수용 프레임(110)의 하부에 작업자의 접근을 방지하여 사고를 예방하거나, 수용 프레임(110)의 하부에 물류 등이 끼임으로써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6, and 7, the lif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cover 190. The cover 190 may be connected along the bottom edge of the receiving frame 110. The cover 190 may unfold to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frame 110 as the receiving frame 110 rises. The cover 190 prevents accidents by preventing workers from accessing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frame 110 while the receiving frame 110 is being raised or lowered, or accidents that occur due to logistics, etc. getting caught in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frame 110. can be prevented.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100)는 상술한 특징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lif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by at least some of the above-described features.

승강 장치(100)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승강 장치(100)는 특정 장소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공간에 설치될 수 있어, 물류의 상하차 가능 범위가 확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물류의 배송 및/또는 운송 스케쥴을 보다 자유롭게 조율할 수 있어 물류의 배송 및/또는 운송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The lifting device 100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Through this, the lifting device 100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location and can be installed in various spaces, so the possible range of loading and unloading of logistics can be expanded, and accordingly, the delivery and/or transportation schedule of logistics can be more freely coordinated. This can maximize logistics delivery and/or transportation efficiency.

앞에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Any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described above may have their respective components or functions used in combination or combined.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this means that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a particular embodiment and/or drawing may be combined with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and/or drawings. In other words, even if the combination between components is not directly explained, it means that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cases where it is explained that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ny respect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is specifica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is specification.

100 : 승강 장치
110 : 수용 프레임
111 : 도어
112 : 가이드부
120 : 립 플레이트
130 : 구조 프레임
131 : 제1 구조부
132 : 제2 구조부
133 : 전방 구조부
1331 : 제1 전방 구조부
1332 : 제2 전방 구조부
1333 : 브라켓
1334 : 고정 부재
134 : 마스트
1341 : 가로 부재
140 : 바퀴부
141 : 고정 장치
150 : 구동부
151 : 컨트롤 패널
152 : 유압 실린더
153 : 지렛대부
154 : 도르래
155 : 체인
156 : 모터부
160 : 제1 롤러
170 : 제2 롤러
180 : 램프
190 : 커버
RT : 롤테이너
100: lifting device
110: receiving frame
111: door
112: Guide part
120: lip plate
130: structural frame
131: first structural part
132: second structural unit
133: Front structural part
1331: First anterior structure
1332: Second anterior structure
1333: bracket
1334: fixing member
134: mast
1341: horizontal member
140: wheel part
141: Fixing device
150: driving unit
151: control panel
152: hydraulic cylinder
153: lever
154: pulley
155: chain
156: motor part
160: first roller
170: second roller
180: lamp
190: cover
RT: Rolltainer

Claims (17)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물류의 승강 작업을 수행하는 승강 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물류가 수용되고, 승강 동작이 수행되는 수용 프레임;
상기 수용 프레임의 가장자리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구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프레임을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구조 프레임;
상기 전방 구조부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수용 프레임의 전면의 바닥 가장자리에 힌지 결합되는 립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립 플레이트는 상기 수용 프레임이 하강했을 때에는 상기 제1 롤러에 기대어져 있고, 상기 수용 프레임이 상승함에 따라 눕혀지면서 개방되어 상기 전방 구조부의 상단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지지되는 승강 장치.
In a lifting device that is movably installed and performs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s of logistics,
A receiving frame in which materials are accommodated inside and a lifting operation is performed;
a structural frame including a front structure provided in front of an edge of the receiving frame and structurally supporting the receiving frame;
a first roll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ront structure; and
A lip plate hinged to the front bottom edge of the receiving frame,
The lip plate is leaned against the first roller when the receiving frame is lowered, and is opened while being laid down as the receiving frame rises, and is support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by the upper end of the front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구조부는 상기 수용 프레임의 전면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수용 프레임이 상승하여 개방된 상기 립 플레이트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되는 제1 전방 구조부와, 상기 제1 전방 구조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 프레임이 상승하여 개방된 상기 립 플레이트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되는 제2 전방 구조부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ront structure includes a first front structure extending horizontally along the front of the receiving frame and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lip plate with which the receiving frame is raised and opened, and connected to the first front structure and receiving the receiving frame. A lifting device comprising a second front structure provid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lip plate when the frame is raised and open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방 구조부는 상기 제1 전방 구조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승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A lifting device wherein the second front structure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front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프레임이 상승할 때, 상기 립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롤러에 접한 상태로 움직이는 승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the receiving frame rises, the lip plate moves in contact with the first roll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프레임이 최저 높이에 있을 때, 상기 립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롤러에 기대어지는 승강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When the receiving frame is at its lowest height, the lip plate leans against the first 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구조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프레임이 승강할 때, 상기 립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롤러에 접한 상태로 움직이면서 개방되는 승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t includes a second roller provided at the top of the front structure,
When the receiving frame is raised and lowered, the lip plate moves in contact with the second roller and open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프레임이 최고 높이에 있을 때 상기 립 플레이트는 눕혀져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롤러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지지되는 승강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A lifting device in which the lip plate is support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by the second roller in a laid down and open state when the receiving frame is at its highest h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구조부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1 롤러와, 상기 전방 구조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의 사이 간격은 상기 립 플레이트의 길이와 같거나 작은 승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t includes a first roll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ront structure and a second roller provided at the top of the front structure,
A lifting device wherein the gap between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lip pla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제1 롤러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승강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second roller is a lifting device disposed ahead of the first 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프레임은, 상기 수용 프레임의 측방향 일측의 하부 영역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 구조부와, 상기 수용 프레임의 측방향 타측의 하부 영역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 구조부와, 상기 수용 프레임의 전면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구조부 및 상기 제2 구조부을 연결하는 전방 구조부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ructural frame includes a first structural part extending horizontally in a lower area on one lateral side of the receiving frame, a second structural part extending horizontally in a lower area on the other lateral side of the receiving frame, and a front surface of the receiving frame. A lifting device comprising a front structure extending horizontally along and connecting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프레임은 상기 제1 구조부 및 상기 제2 구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구비되는 마스트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
According to clause 12,
The structural frame is a lifting device including a mast provided to stand vertically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tructural part and the second structural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프레임이 최저 높이에 있을 때, 상기 수용 프레임의 하단의 높이는 상기 구조 프레임의 하단의 높이보다 낮은 승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lifting device wherein, when the receiving frame is at its lowest height,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frame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structural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프레임의 일면은 물류가 출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거나, 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한 승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One side of the receiving frame is open to allow material to enter and exit, or an elevator devic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프레임의 상기 일면의 바닥에 힌지 결합되는 램프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
According to clause 15,
A lifting device comprising a ramp hinged to the bottom of the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프레임의 바닥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수용 프레임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수용 프레임의 하부로 펼쳐지는 승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t includes a cover connected along the bottom edge of the receiving frame,
The cover is a lifting device that extends to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frame as the receiving frame rises.
KR1020230107889A 2023-08-17 2023-08-17 Lifting apparatus Active KR1026796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7889A KR102679633B1 (en) 2023-08-17 2023-08-17 Lifting apparatus
TW112139889A TW202508955A (en) 2023-08-17 2023-10-19 Lifting apparatus
PCT/KR2023/018994 WO2025037678A1 (en) 2023-08-17 2023-11-23 Lifting/lowering device
KR1020240082843A KR20250026732A (en) 2023-08-17 2024-06-25 Lif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7889A KR102679633B1 (en) 2023-08-17 2023-08-17 Lifting appa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82843A Division KR20250026732A (en) 2023-08-17 2024-06-25 Lif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9633B1 true KR102679633B1 (en) 2024-07-01

Family

ID=919444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7889A Active KR102679633B1 (en) 2023-08-17 2023-08-17 Lifting apparatus
KR1020240082843A Pending KR20250026732A (en) 2023-08-17 2024-06-25 Lifting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82843A Pending KR20250026732A (en) 2023-08-17 2024-06-25 Lif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2679633B1 (en)
TW (1) TW202508955A (en)
WO (1) WO2025037678A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993A (en) * 1993-03-09 1994-09-13 Daifuku Co Ltd Carriage with elevatable table
JP2005179051A (en) * 2003-12-15 2005-07-07 Kazuhisa Hanamiya Transfer lifting truck
JP2008222326A (en) * 2007-03-08 2008-09-25 Miura Co Ltd Lift device
KR20100042343A (en) * 2008-10-16 2010-04-26 현대체육산업(주) Lifting plat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907B1 (en) * 2010-08-31 2012-07-11 한일이화주식회사 Parts suppl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993A (en) * 1993-03-09 1994-09-13 Daifuku Co Ltd Carriage with elevatable table
JP2005179051A (en) * 2003-12-15 2005-07-07 Kazuhisa Hanamiya Transfer lifting truck
JP2008222326A (en) * 2007-03-08 2008-09-25 Miura Co Ltd Lift device
KR20100042343A (en) * 2008-10-16 2010-04-26 현대체육산업(주) Lifting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5037678A1 (en) 2025-02-20
TW202508955A (en) 2025-03-01
KR20250026732A (en) 202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41878A1 (en) Bulk material transport vehicle access structure
EA015431B1 (en) Track building vehicle having a roofed loading space
JP2012167468A (en) Unloading device
KR0128483B1 (en) Automatically high-raised parking system
JP2020063119A (en) Mobile lift
KR102679633B1 (en) Lifting apparatus
JP6342238B2 (en) Elevator-type parking facility entrance / exit deck device, elevator-type parking facility equipped with the same
JPH0972123A (en) Elevator-type multi-level parking device and elevator-type self-propelled vertical parallel multi-level parking facility
JP2005179051A (en) Transfer lifting truck
KR100846224B1 (en) Vehicle for facility inspection
EP3403955B1 (en) Bottom seal assembly for dock ramp
KR102446299B1 (en) Aerial platform boarding device
JP2020147901A (en) Elevator type park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3246579U (en) Mobile lift with ladder
GB2500764A (en) A platform with a levelling function for loading and unloading vehicles
CN113666299B (en) Lifting device
JP2932879B2 (en) In / out device with cab
US11591114B2 (en) Aircraft loader
JP7316660B2 (en) Multi-stage lifting device
KR100579707B1 (en) Cassette Carriers for Display Products
JP2019019528A (en) Horizontal circulation type parking device
KR101851110B1 (en) Two layer stacking apparatus for vehicle
JP2000351410A (en) Article storage device
EP3078618B1 (en) Goods movement apparatus
JP2006143363A (en) Article storage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8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30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62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6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