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8773B1 - 압력센서 모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점검 시스템 - Google Patents
압력센서 모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점검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8773B1 KR102678773B1 KR1020220085721A KR20220085721A KR102678773B1 KR 102678773 B1 KR102678773 B1 KR 102678773B1 KR 1020220085721 A KR1020220085721 A KR 1020220085721A KR 20220085721 A KR20220085721 A KR 20220085721A KR 102678773 B1 KR102678773 B1 KR 1026787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ure
- pressure sensor
- circuit board
- value
- simulation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123 defe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56 performanc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071 polychlorinated bipheny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2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for measuring force,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 G01L25/006—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for measuring force,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for measuring work or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01L1/225—Measuring circuits therefor
- G01L1/2262—Measuring circuits therefor involving simple electrical bridg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01L1/2287—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strain gau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을 특정 값으로 모사하는 압력센서 모의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며, 별도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조립 하우징, 조립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며, 압력 값을 모사하는 회로기판 및 회로기판과 연결되며, 압력의 허용 범위 내 모든 값을 모사하도록 저항 값을 가변하는 가변 저항을 포함하는 압력센서 모의 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압력센서 모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압력센서를 모의하는 압력센서 모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압력센서를 모의하기 위한 휴대용 장비는 방산용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압력센서 검증용 장비는 부피가 크고 가격이 비싸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압력센서를 0으로 모의하기 위한 장비로 쇼팅 플러그를 사용하였다. 쇼팅 플러그는 압력센서의 커넥터를 분리하게 되면 해당 값이 플로팅(Floating)되는데, 특정 값으로 모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쇼팅 플러그는 압력센서의 시그널(Signal) 라인을 쇼트시키거나, 0옴의 저항을 달아 값이 0으로 읽히게 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쇼팅 플러그는 입력 값을 0으로 모사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으며, 특정 값을 모사하기 위해서는 저항 값을 계속 바꿔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압력센서의 선형성(Linearity)이 제품마다 다르기 때문에 저항값 선정을 위해서는 제조사 데이터시트를 항상 참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압력센서의 제조사 변경 또는 저항값의 변경 시 제품을 새로 제작해야 해 비용 및 시간적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센서를 모의함에 있어서 압력센서의 스펙을 알 필요가 없고, 압력을 원하는 값으로 모사할 수 있는 압력센서 모의 장치를 구현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력을 특정 값으로 모사하는 압력센서 모의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며, 별도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조립 하우징; 상기 조립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며, 압력 값을 모사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며, 압력의 허용 범위 내 모든 값을 모사하도록 저항 값을 가변하는 가변 저항을 포함하는 압력센서 모의 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립 하우징은, 상기 회로기판이 내측에 구비되도록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는 제1 조립 하우징; 및 상기 제1 조립 하우징의 상단에서 조립되어 고정되는 제2 조립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 조립 하우징 및 상기 제2 조립 하우징에 의해 외부와의 접촉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변 저항은, 상기 고정 홈과 이격된 위치에 조립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흐르는 전류를 변화시켜 저항값을 변화시키며, 상기 저항값을 변화시킴에 따라 상기 압력을 특정 값으로 모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조립 하우징의 외측에 조립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전원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스위치는 상기 회로기판을 통한 압력 값의 모사를 제어하도록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전력을 차단하거나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조립 하우징은, 상기 전원 스위치가 상단 일측에 조립되어 고정되는 고정 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홈은 상기 전원 스위치의 하측면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조립 하우징은, 일측에 별도의 압력 장치와 연결되는 커넥터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연결부는 상기 압력 장치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압력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로기판은, 일정 전압에서 복수의 저항값을 형성하는 저항에 따른 전위차가 0이 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압력 값을 모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로기판은, 제1 저항, 제2 저항, 제3 저항 및 상기 제4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저항 및 상기 제2 저항 사이에 제1 브릿지 지점 및 상기 제3 저항 및 상기 제4 저항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브릿지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저항 및 상기 제4 저항의 곱과 상기 제2 저항 및 상기 제3 저항의 곱이 같은 경우, 상기 제1 브릿지 지점과 상기 제2 브릿지 지점간의 전위차가 0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로기판은,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도 비행체의 구동을 시험하는 구동 시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험을 위한 전원을 인가하는 점검 장치; 상기 점검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와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며, 별도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조립 하우징; 상기 조립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며, 압력 값을 모사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며, 압력의 허용 범위 내 모든 값을 모사하도록 저항 값을 가변하는 가변 저항을 포함하는 압력센서 모의 장치를 포함하는 점검 시스템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점검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된 전원을 전달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 장치를 구동하는 작동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센서 모의 장치와 커넥터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고압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전원이 인가하여, 상기 가변 저항을 가변함에 따라 변환되는 상기 압력 값을 확인하여 목표하는 압력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립 하우징은, 상기 회로기판이 내측에 구비되도록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는 제1 조립 하우징; 및 상기 제2 조립 하우징의 상단에서 조립되어 고정되는 제2 조립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립 하우징은, 일측에 상기 고압 용기와 연결되며, 상기 고압 용기의 압력을 측정하고 모사하도록 상기 고압 용기와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센서 모의 장치는, 상기 고압 용기에 형성되는 제1 커넥터를 통해 상기 고압 용기와 연결되고, 상기 압력의 허용 범위 내에서 제1 압력 값을 모사하는 제1 압력센서 모의 장치; 및 상기 고압 용기에 형성되는 제2 커넥터를 통해 상기 고압 용기와 연결되고, 상기 압력의 허용 범위 내에서 제2 압력 값을 모사하는 제2 압력센서 모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압력 값 및 상기 제2 압력 값의 일정 범위가 중복되도록 구현되며, 상기 중복되는 범위의 압력 값을 모의하는 경우, 상기 제1 압력센서 모의 장치 또는 상기 제2 압력센서 모의 장치의 온오프 및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압력센서 모의 장치 또는 상기 제2 압력센서 모의 장치를 상기 고압 용기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압력센서가 모사할 수 있는 전체 값을 모사함에 따라 압력센서의 종류와 상관없이 압력센서를 모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센서 모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센서 모의 장치의 가변 저항이 적용된 회로기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간에 따른 전력을 측정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센서 모의 장치를 포함하는 점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압력센서 모의 장치를 포함하는 점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센서 모의 장치의 가변 저항이 적용된 회로기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간에 따른 전력을 측정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센서 모의 장치를 포함하는 점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압력센서 모의 장치를 포함하는 점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압력센서 모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커넥터에 저항을 연결하여 압력 신호를 0으로 모사해 주는 장치를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압력센서를 모의하기 위한 휴대용 장치는 방산용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검증용 장치는 부피가 크고, 가격이 비싸 그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압력센서를 0으로 모의하기 위한 장비로는 쇼팅 플러그가 있으며, 쇼팅 플러그는 압력을 0으로 모사하기 위한 장비로서 다른 특정압을 모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압력센서의 값을 모사해주는 쇼팅 플러그는 압력센서의 커넥터를 분리하게 되면, 해당 값이 되는데 특정 값으로 모사해주기 위해 사용된다. 쇼팅 플러그는 압력센서의 신호(Signal) 라인을 쇼트 시키거나, 0옴 저항을 달아서 값이 0으로 읽히게 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압력값을 0으로 모사할 수 밖에 없는 한계점 존재하며, 또한 특정값을 모사하기 위해서는 저항값을 계속 바꾸어 주어야 한다. 압력센서의 선형성(Linearity)이 제품마다 다르기 때문에, 저항값 선정을 위해서는 제조사 데이터시트를 항상 참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압력센서의 제조사 변경 또는 값 변경시 제품을 새로 제작 해야해 비용 및 시간적 낭비가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압력센서 모의 장치(10)는 유도탄에 주요 데이터 중 하나인 압력센서를 효율적으로 모사하기 위한 것으로, 장치의 신뢰성이 높은 수준에서 요구됨에 따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시험 또한 높은 수준에서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압력센서를 모의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압력센서 모의 장치(10)는 압력센서의 대체재로써, 유도무기 외의 압력센서가 필요한 시험에서 압력센서를 모의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센서 모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압력센서 모의 장치(10)는 조립 하우징(100), 회로기판(200) 및 가변 저항(300)을 포함한다. 압력센서 모의 장치(10)는 도 1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는 하우징, 커넥터 및 PCB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PCB는 단순 저항만 구성되어 있으며, 특정 1개의 압력을 모사해줄 수는 있으나, 여러 개의 압력을 모사해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만약 종래에는 여러 개 모의 시 PCB를 특정 압력에 맞는 저항값으로 선정해야 한다.
본 발명의 압력센서 모의 장치(10)는 압력센서를 특정값으로 모사할 수 있으며, 압력센서를 모의하기 위한 압력센서의 스펙을 알 필요가 없으며, 압력센서의 종류에 따라 압력센서 모의기를 만들 필요가 없고, 압력을 원하는 값으로 모사할 수 있다.
조립 하우징(100)은 외부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며, 별도의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다.
조립 하우징(100)은 제1 조립 하우징(110) 및 제2 조립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제1 조립 하우징(110)은 회로기판(200)이 내측에 구비되도록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립 하우징(110)은 커넥터 연결부(112)를 포함한다.
커넥터 연결부(112)는 일측에 별도의 압력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연결부(112)는 압력 장치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압력 장치와 연결되며, 회로기판(2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조립 하우징(120)은 제2 조립 하우징(110)의 상단에서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조립 하우징(120)은 전원 스위치(400)가 상단 일측에 조립되어 고정되는 고정 홈(12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홈(122)은 전원 스위치(400)의 하측면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200)은 조립 하우징(100)의 내측에 구비되며, 압력 값을 모사할 수 있다.
회로기판(200)은 제1 조립 하우징(110) 및 제2 조립 하우징(120)에 의해 외부와의 접촉이 차단될 수 있다.
회로기판(200)은 일정 전압에서 복수의 저항값을 형성하는 저항에 따른 전위차가 0이 되는 것을 기반으로 압력 값을 모의할 수 있다.
회로기판(200)은 제1 저항(210), 제2 저항(220), 제3 저항(230) 및 제4 저항(240)을 포함한다. 또한, 회로기판(200)은 제1 저항(210) 및 제2 저항(220) 사이에 제1 브릿지 지점(250)을 포함하고, 제3 저항(230) 및 제4 저항(240) 사이에 제2 브릿지 지점(260)을 포함한다.
회로기판(200)은 제1 저항(210) 및 제4 저항(240)의 곱과, 제2 저항(220) 및 제3 저항(230)의 곱이 같은 경우, 제1 브릿지 지점(250) 및 제2 브릿지 지점(260)간의 전위차가 0이 될 수 있다.
회로기판(200)은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가변 저항(300)은 회로기판(200)과 연결되며, 압력의 허용 범위 내 모든 값을 모사하도록 저항 값을 가변할 수 있다.
가변 저항(300)은 고정 홈과 이격된 위치에 조립되어 회로기판(200)과 연결되어 회로기판(200)에 흐르는 전류를 변화시켜 저항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
가변 저항(300)은 저항값을 변화시킴에 따라 압력을 특정 값으로 모사할 수 있다.
압력센서 모의 장치(10)는 전원 스위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치(400)는 제2 조립 하우징(120)의 외측에 조립되어 회로기판(200)과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치(400)는 회로기판(200)을 통한 압력 값의 모사를 제어하도록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되어 회로기판(200)에 전력을 차단하거나 연결할 수 있다.
압력센서 모의 장치(10)는 회로기판(200) 및 가변 저항(300)을 사용하여, 입력전압 대비 원하는 전압을 인가할 수 있어 원하는 압력을 모의할 수 있다.
압력센서 모의 장치(10)는 가변 저항(300)을 통해 압력센서의 허용 범위 내에서 모든 값을 모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압력센서 모의 장치(10)는 압력센서 검증 시험 및 다양한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압력센서의 압력은 입력 전원 대비 출력 전원의 비율이 압력값으로 표시될 수 있다.
압력센서 모의 장치(10)는 압력값을 모사하기 위해 회로기판(200)이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고하여, 회로기판(200)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센서 모의 장치의 가변 저항이 적용된 회로기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회로기판(200)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회로기판(200)은 PX = RQ를 만족할 때 a - b간 전위차가 0이 될 수 있다.
회로기판(200)은 일정 전압에서 전위차가 0이 되는 Q의 저항값을 찾기 위한 회로로 사용되지만, 저항 값에 따라 전위차가 다르게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압력을 모의한다.
따라서, 상술한 방안을 통해 압력센서의 선형성(Linearity)과 상관없이 원하는 값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회로기판(200)은 저항 P, Q, X와, 가변 저항(300)을 나타내는 R을 이용하여 저항값을 모의할 수 있다.
회로기판(200)은 저항의 변화를 측정하여 압력으로 환산하는 방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간에 따른 전력을 측정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시간에 따른 전력을 확인할 수 있다.
압력센서 모의 장치(10)는 특정값만을 모사할 수 있는 종래의 쇼팅 플러그와 달리, 압력센서가 모사할 수 있는 전체 값을 모사할 수 있어 압력센서의 종류와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센서 모의 장치를 포함하는 점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의 점검 시스템은 고압용기에 압력센서 커넥터를 연결하여 고압용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방식이나, 고압용기의 위험성 때문에 성능시험 시 고압용기에 압력센서 커넥터를 제거하였다.
도 4를 참고하면, 점검 시스템(1)은 압력센서 모의 장치(10), 점검 장치(20) 및 구동 장치(30)를 포함한다. 점검 시스템(1)은 도 4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압력센서 모의 장치(10)는 구동 장치(30)와 연결될 수 있다.
점검 장치(20)는 구동 시험을 위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점검 장치(20)는 제어부(34)에 전원이 인가하여, 가변 저항(300)을 가변함에 따라 변환되는 압력 값을 확인하여 목표하는 압력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동 장치(30)는 점검 장치(20)와 연결되며,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할 수 있다.
구동 장치(30)는 제어부(34), 작동부(36) 및 고압 용기(38)를 포함한다.
제어부(34)는 점검 장치(20)와 연결되어 인가된 전원을 전달받을 수 있다.
작동부(36)는 제어부(34)와 연결되며, 구동 장치(30)를 구동할 수 있다.
고압 용기(38)는 제어부(34)와 연결되며, 압력센서 모의 장치(10)와 커넥터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점검 시스템(1)은 고압 용기(38)의 커넥터(32)에 압력센서 모의 장치(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고압 용기(38)와 압력센서 모의 장치(10)의 연결은 고압 용기(38)의 커넥터(32)와 압력센서 모의 장치(10)의 커넥터 연결부(112)에 연결되는 커넥터(12) 간의 연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점검 장치(20)는 제어부(34)와 연결되어, 제어부(34)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점검 장치(20)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통해 압력센서의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압력센서 모의 장치(10)는 가변 저항(300)을 변경하여, 점검 장치(20)의 프로그램을 통해 변경되는 압력센서 값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필요한 압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수행한 후, 구동 장치(30)는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센서 모의 장치(10)는 압력센서를 모의함에 따라 유도탄 모의 시험시 압력을 원하는 값으로 모사할 수 있다.
압력센서 모의 장치(10)는 고압 용기(38)의 압력을 감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압력센서 모의 장치(10)는 회로기판(200)을 통해 압력의 변화가 생기면 변화하는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센서 모의 장치(10)는 회로기판(200)을 통해 알고 있는 저항값 2개와 미지의 저항값과, 가변 저항(300)을 이용하여 미지의 저항값을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미지의 저항값은 고압 용기(38)의 저항값을 나타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압력센서 모의 장치(10)는 회로기판(200)과 연결되는 가변 저항(300)의 값을 변화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전위차를 기반으로 압력 값을 모의할 수 있으며, 이 모의된 압력 값을 기반으로 점검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센서 모의 장치(10)는 점검 시험을 통해 고압용기에 부착되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를 모사하는 장치로서, 고압 용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구동장치를 구동하나 고압용기의 위험성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모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압력센서 모의 장치를 포함하는 점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점검 시스템(1)의 압력센서 모의 장치(10)는 제1 압력센서 모의 장치(10a) 및 제2 압력센서 모의 장치(10b)를 포함한다.
제1 압력센서 모의 장치(10a)는 고압 용기(38)에 형성되는 제1 커넥터(32a)를 통해 고압 용기(38)와 연결되고, 압력의 허용 범위 내에서 제1 압력 값을 모사할 수 있다.
제2 압력센서 모의 장치(10b)는 고압 용기(38)에 형성되는 제2 커넥터(32b)를 통해 고압 용기(38)와 연결되고, 압력의 허용 범위 내에서 제2 압력 값을 모사할 수 있다.
제1 압력센서 모의 장치(10a) 및 제2 압력센서 모의 장치(10b) 각각에서 모사하는 압력 값은 제1 압력 값 및 제2 압력 값의 일정 범위가 중복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압력센서 모의 장치(10)는 중복되는 범위의 압력 값을 모의하는 경우, 제1 압력센서 모의 장치(10a) 및 제2 압력센서 모의 장치(10b)의 온오프 및 제1 커넥터(32a) 및 제2 커넥터(32b)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제1 압력센서 모의 장치(10a) 또는 제2 압력센서 모의 장치(10b)를 고압 용기(38)와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압력센서 모의 장치(10a) 및 제2 압력센서 모의 장치(10b)의 온오프는 전원 스위치(4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압력센서 모의 장치(10a)를 동작하기 위해 제1 압력센서 모의 장치(10a)에 포함되는 전원 스위치를 온(On)시키고, 제2 압력센서 모의 장치(10b)에 포함되는 전원 스위치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커넥터(32a) 및 제2 커넥터(32b)의 온오프 제어는 제1 커넥터(32a) 및 제2 커넥터(32b)가 연결되는 연결 제어부(33)에서 연결을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32a) 및 제2 커넥터(32b)의 온오프 제어는 제1 압력센서 모의 장치(10a)를 연결하는 경우, 고압 용기(38)와 제1 커넥터(32a)가 연결되는 연결 제어부(33)를 온(On)하여 제1 커넥터(32a)와 고압 용기(38)를 연결시키며, 고압 용기(38)와 제2 커넥터(32b)가 연결되는 연결 제어부(33)를 오프(Off)하여 제2 커넥터(32b)와 고압 용기(38)를 연결 해제시킬 수 있다.
점검 시스템(1)는 압력센서 모의 장치(10)와 고압 용기(38) 간의 연결 확인을 위해 압력센서 모의 장치(10)와 커넥터(32)간의 연결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32a)를 통한 고압 용기(38)와 제1 압력센서 모의 장치(10a)의 연결 확인을 위해 제1 압력센서 모의 장치(10a)가 제1 커넥터(32a)를 통해 고압 용기(38)로 연결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반사되어 돌아오는 연결 확인 신호에 의해 연결된 것으로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검 시스템(1)는 압력센서 모의 장치(10)를 통해 중복되는 범위의 압력 값을 모의하는 경우, 제1 압력센서 모의 장치(10a) 및 제2 압력센서 모의 장치(10b) 중 하나를 선택하는 기준은 모사된 압력 값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사된 압력 값을 기반으로 제1 압력센서 모의 장치(10a) 및 제2 압력센서 모의 장치(10b)의 내부 부품 중 일부가 고장난 경우를 확인하여 이를 기반으로 점검을 위한 모의 장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점검 시스템 10: 압력센서 모의 장치
100: 조립 하우징 200: 회로기판
300: 가변 저항 400: 전원 스위치
20: 점검 장치 30: 구동 장치
100: 조립 하우징 200: 회로기판
300: 가변 저항 400: 전원 스위치
20: 점검 장치 30: 구동 장치
Claims (13)
- 압력을 특정 값으로 모사하는 압력센서 모의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며, 별도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조립 하우징;
상기 조립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며, 압력 값을 모사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며, 압력의 허용 범위 내 모든 값을 모사하도록 저항 값을 가변하는 가변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 하우징은, 상기 회로기판이 내측에 구비되도록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는 제1 조립 하우징; 및 상기 제1 조립 하우징의 상단에서 조립되어 고정되는 제2 조립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 조립 하우징 및 상기 제2 조립 하우징에 의해 외부와의 접촉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 모의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은,
상기 제2 조립 하우징에 형성되는 고정 홈과 이격된 위치에 조립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흐르는 전류를 변화시켜 저항값을 변화시키며,
상기 저항값을 변화시킴에 따라 상기 압력을 특정 값으로 모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 모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립 하우징의 외측에 조립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전원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스위치는 상기 회로기판을 통한 압력 값의 모사를 제어하도록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전력을 차단하거나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 모의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립 하우징은,
상기 전원 스위치가 상단 일측에 조립되어 고정되는 고정 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홈은 상기 전원 스위치의 하측면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 모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 하우징은,
일측에 별도의 압력 장치와 연결되는 커넥터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연결부는 상기 압력 장치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압력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 모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일정 전압에서 복수의 저항값을 형성하는 저항에 따른 전위차가 0이 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압력 값을 모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 모의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제1 저항, 제2 저항, 제3 저항 및 제4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저항 및 상기 제2 저항 사이에 제1 브릿지 지점 및 상기 제3 저항 및 상기 제4 저항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브릿지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저항 및 상기 제4 저항의 곱과 상기 제2 저항 및 상기 제3 저항의 곱이 같은 경우, 상기 제1 브릿지 지점과 상기 제2 브릿지 지점간의 전위차가 0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 모의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휘트스톤 브릿지 회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 모의 장치. - 유도 비행체의 구동을 시험하는 구동 시험 시스템에 있어서,
구동 시험을 위한 전원을 인가하는 점검 장치;
상기 점검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와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며, 별도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조립 하우징; 상기 조립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며, 압력 값을 모사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며, 압력의 허용 범위 내 모든 값을 모사하도록 저항 값을 가변하는 가변 저항을 포함하는 압력센서 모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 하우징은, 상기 회로기판이 내측에 구비되도록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는 제1 조립 하우징; 및 상기 제1 조립 하우징의 상단에서 조립되어 고정되는 제2 조립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 조립 하우징 및 상기 제2 조립 하우징에 의해 외부와의 접촉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점검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된 전원을 전달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 장치를 구동하는 작동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센서 모의 장치와 커넥터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고압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전원이 인가하여, 상기 가변 저항을 가변함에 따라 변환되는 상기 압력 값을 확인하여 목표하는 압력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 하우징은,
일측에 상기 고압 용기와 연결되며, 상기 고압 용기의 압력을 측정하고 모사하도록 상기 고압 용기와 연결되는 커넥터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 모의 장치는,
상기 고압 용기에 형성되는 제1 커넥터를 통해 상기 고압 용기와 연결되고, 상기 압력의 허용 범위 내에서 제1 압력 값을 모사하는 제1 압력센서 모의 장치; 및
상기 고압 용기에 형성되는 제2 커넥터를 통해 상기 고압 용기와 연결되고, 상기 압력의 허용 범위 내에서 제2 압력 값을 모사하는 제2 압력센서 모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압력 값 및 상기 제2 압력 값의 일정 범위가 중복되도록 구현되며, 상기 중복되는 범위의 압력 값을 모의하는 경우, 상기 제1 압력센서 모의 장치 또는 상기 제2 압력센서 모의 장치의 온오프 및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압력센서 모의 장치 또는 상기 제2 압력센서 모의 장치를 상기 고압 용기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5721A KR102678773B1 (ko) | 2022-07-12 | 2022-07-12 | 압력센서 모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점검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5721A KR102678773B1 (ko) | 2022-07-12 | 2022-07-12 | 압력센서 모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점검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8632A KR20240008632A (ko) | 2024-01-19 |
KR102678773B1 true KR102678773B1 (ko) | 2024-06-26 |
Family
ID=8971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5721A Active KR102678773B1 (ko) | 2022-07-12 | 2022-07-12 | 압력센서 모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점검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8773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86819A (zh) | 2018-09-10 | 2019-01-11 | 博脉有限公司 | 一种mems压力传感器模组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09122A (en) * | 1991-11-20 | 1993-05-11 |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 Pressurer sensor and method for assembly of same |
KR20030008025A (ko) * | 2001-07-12 | 2003-01-24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모의 압력 시뮬레이션 장치 |
US10371591B2 (en) * | 2016-11-11 | 2019-08-06 | Measurement Specialtie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on of pressure sensors |
-
2022
- 2022-07-12 KR KR1020220085721A patent/KR10267877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86819A (zh) | 2018-09-10 | 2019-01-11 | 博脉有限公司 | 一种mems压力传感器模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8632A (ko) | 2024-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80097A (en) | Isolated DC voltage monitoring system | |
KR102037434B1 (ko) | 케이블 조립체 시험 장치 및 그 방법 | |
JPS61502013A (ja) | 伝達校正装置 | |
CN101821642A (zh) | 仿真传统测试系统的行为 | |
CN111060761A (zh) | 测试模拟装置、液体火箭发动机试验测试系统和测试方法 | |
KR102514263B1 (ko) | 프로그래밍가능한 액츄에이터 시뮬레이션 카드 | |
KR101950423B1 (ko) | 스퀴브 회로 점검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
KR102678773B1 (ko) | 압력센서 모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점검 시스템 | |
US10168382B2 (en) | Sensitive, dangerous, vulnerable, or expendable installed equipment item(s) safe programmable and expandable resource electronic test equipment apparatuses and related methods for testing and interfacing with multiple classes or types of systems under test with or without the sensitive, dangerous, vulnerable, or expendable item(s) installed | |
CN108896796A (zh) | 电阻模拟器及其实现方法、绝缘测试系统及方法 | |
RU2377649C2 (ru) | Способ имитации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и информационного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ракеты с аппаратурой носител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 |
RU75079U1 (ru) | Устройство имитации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и информационного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ракеты с аппаратурой носителя | |
KR20200063552A (ko) | 태양 전지판 모사 장치 및 자기 진단 방법 | |
US3071876A (en) | Electronic training apparatus | |
RU2475696C1 (ru) |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араметров системы вооружений и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
KR101047131B1 (ko) | 다채널 신호조절 회로의 교정데이터 자동생성 장치 | |
CN106097850A (zh) | 一种教学实验通路的附加路径损耗补偿电路及方法 | |
KR101806929B1 (ko) | 다중 신호선 연결 장치 | |
KR20240058551A (ko) | 내전압 검사 제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RU2620453C1 (ru) | Способ проверки аппаратуры носителя с контролем линий связи и регистрацией информационного обмена | |
KR101687202B1 (ko) | 지상지원장비의 인터페이스 장치 | |
JP2020201255A (ja) | 試験測定装置用スイッチ・マトリクス及びその動作方法 | |
CN109774967B (zh) | 模拟发动机滑油温度与航电系统交联在线检测方法 | |
CN114719671A (zh) | 用于武器系统导弹发射车的导弹负载模拟装置和方法 | |
KR100788501B1 (ko) | 키패드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04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