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78353B1 -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8353B1
KR102678353B1 KR1020220037557A KR20220037557A KR102678353B1 KR 102678353 B1 KR102678353 B1 KR 102678353B1 KR 1020220037557 A KR1020220037557 A KR 1020220037557A KR 20220037557 A KR20220037557 A KR 20220037557A KR 102678353 B1 KR102678353 B1 KR 102678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spa
holder
frame
spar buo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9204A (ko
Inventor
이한구
Original Assignee
이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구 filed Critical 이한구
Priority to KR1020220037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8353B1/ko
Publication of KR20230139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8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83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floating carg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 위치하는 크레인의 붐대에 연결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일단 및 타단 각각으로부터 하부로 이어지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 각각의 일 단부를 홀더의 잠금을 통해 고리 형태로 고정하여 진수 또는 회수 대상 스파 부이에 걸어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는 윈치 작동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며, 상기 결속부재에 마련되는 상기 홀더의 잠금 해제에 따라 고리 형태 고정이 풀려 상기 스파 부이에의 결속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launch and recovery apparatus for spa buoy}
본 발명은 부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둥형 몸체를 갖는 스파 부이의 진수 및 회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수 및 회수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상의 기상 상황 및 파고, 파향 등의 감지 또는 위험수역 또는 어망 등의 위치 표시를 목적으로 각종의 '부이'가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태풍이나 쓰나미와 같은 기상이변 및 해양환경의 변화를 미리 예측하거나, 해류와 함께 이동하는 어군 등을 파악하여 어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해류의 흐름 파악을 위하여 부이를 이용 물 입자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부이는 설치 상태에서 수면과의 접촉 면적이 상당함에 따라 태풍 등의 상황에서 파도에 휩쓸려 애초 위치를 쉽게 이탈하였던바, 제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더 이상 감지 수단 또는 표시 수단으로서 활용할 수 없게되므로 신규 부이의 설치가 필요할 수밖에 없어 비용 상의 부담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6297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스파 부이'의 이용이 늘고 있다.
스파 부이는, 기둥형 몸체를 갖는바, 수중에서 설치된 상태에서 대략 바르게 선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다른 형태의 부이에 비해 수면과의 접촉 면적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파도의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어 파도의 영향으로 인한 망실 등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스파 부이의 진수 및 회수 과정에서는 와이어 또는 로프의 결속이 요구된다.
이때, 스파 부이의 그 크기 및 하중이 상당하므로 취급이 쉽지 않아 와이어 또는 로프의 결속에 상당한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되므로 이로 인하여 진수 및 회수가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 분야에서는 기둥형 몸체를 갖는 스파 부이의 진수 및 회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62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기둥형 몸체를 갖는 스파 부이의 진수 및 회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에 위치하는 크레인의 붐대에 연결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일단 및 타단 각각으로부터 하부로 이어지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 각각의 일 단부를 홀더의 잠금을 통해 고리 형태로 고정하여 진수 또는 회수 대상 스파 부이에 걸어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는 윈치 작동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며, 상기 결속부재에 마련되는 상기 홀더의 잠금 해제에 따라 고리 형태 고정이 풀려 상기 스파 부이에의 결속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붐대로부터 이어지는 와이어 또는 로프가 상면의 고리에 결속됨에 따라 상기 붐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와이어 또는 로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원격지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윈치 및 홀더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는 원격지로부터의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수신기를 포함하여 상기 수신기로의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입력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윈치 및 홀더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는, 프레임으로부터 이어지는 연결부재 각각의 일 단부가 결속부재에 의해 고리 형태로 고정되어 스파 부이의 서로 다른 지점 걸려 결속되는바, 크레인을 통해 프레임을 들어올림으로써 연결부재가 결속된 스파 부이가 손쉽게 안정적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으므로 수중으로의 스파 부이 투입 및 수중으로부터 스파 부이의 인양이 용이할 수 있어 스파 부이의 진수 및 회수가 원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바, 프레임에 마련되는 윈치 및 결속부재에 마련되는 홀더의 작동이 제어기에 의해 원격 제어될 수 있으므로 윈치 및 홀더 작동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스파 부이의 진수 및 회수가 더욱 원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를 통한 스파 부이 결속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를 통한 스파 부이의 입수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에서 연결부재 어느 하나의 결속 해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에서 연결부재 전체의 결속 해제에 의한 스파 부이 진수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를 통한 스파 부이의 다른 결속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에서 연결부재의 연결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를 통한 스파 부이 진수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A)는, 프레임(10); 연결부재(20); 및 결속부재(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프레임(10)은 선박(도면상 미도시)에 위치하는 크레인(도면상 미도시)의 붐대(200)에 연결된다.
따라서 프레임(10)에 연결부재(20) 및 결속부재(30)를 연결함으로써 크레인 작동에 의해 프레임(10)과 함께 연결부재(20) 및 결속부재(3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프레임(10)은 상면에 배치되는 고리(11)를 포함함으로써 고리(11)에 붐대(200)로부터 이어지는 와이어 또는 로프(210) 일단이 결속됨에 따라 붐대(200)와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0)은 윈치(12)를 포함함으로써 윈치(12) 작동에 의해 연결부재(20)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여기서, 윈치(12)는 프레임(10) 일단 및 타단 각각에 배치됨으로써 프레임(10)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이어지는 연결부재(20) 각각이 개별적으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한편, 윈치(12)는 연결부재(20)를 원활하게 감고 풀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한바, 윈치(12)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윈치(12)는 원격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
윈치(12) 작동이 원격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윈치(12) 작동에 따르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결부재(20)는 프레임(10) 일단 및 타단 각각으로부터 하부로 이어진다.
따라서 연결부재(20) 각각의 일 단부를 진수 또는 회수 대상 스파 부이(100)에 걸어 결속함으로써 크레인 작동에 의해 스파 부이(10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20)는, 프레임(10)에 배치되는 윈치(12) 작동에 의해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각각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아래에서 설명하는 결속부재(30)에 의해 고리 형태로 고정된 상태에서 윈치(12) 자동에 의해 감김에 따라 고리 형태로 고정된 일 단부가 오므려질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20)는 스파 부이(100)의 결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종류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와이어 또는 로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결속부재(30)는 연결부재(20) 각각의 일 단부를 홀더(31)의 잠금을 통해 고리 형태로 고정하여 진수 또는 회수 대상 스파 부이(100)에 걸어 결속한다.
따라서 결속부재(30)에 의해 스파 부이(100)상의 연결부재(20)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결속부재(30)의 홀더(31) 잠금에 의해 고리(11) 형태로 고정되는 연결부재(20)는 홀더(31)의 잠금 해제에 의해 고리(11) 형태 고정이 풀림으로써 스파 부이(100)상의 결속이 해제될 수 있다.
한편, 홀더(31)는 원격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
홀더(31) 작동이 원격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홀더(31) 작동에 따르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A)는 원격지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에 따라 윈치(12) 및 홀더(31)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40)를 더 포함한다.
제어기(40)에 의해 윈치(12) 및 홀더(31) 작동이 원격 제어됨에 따라 윈치(12) 및 홀더(31) 작동에 따르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윈치(12) 및 홀더(31) 작동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어기(40)는 원격지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수신기(41)를 포함함으로써 수신기(41)로의 원격 제어 신호 입력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윈치(12) 및 홀더(31)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기(41)는 원격지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 수신이 원활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한바, 수신기(41)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A)를 통한 스파 부이(100) 진수 및 회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수를 앞둔 스파 부이(100)는 선박에 위치, 예컨대 선박에 마련되는 거치대(도면부호 미표시)에 거치된다.
따라서 선박에 설치된 크레인을 통해 선상의 스파 부이(100)를 들어올려 수중으로 투입함으로써 진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크레인과 스파 부이(100)를 연결에는 번거로움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프레임(10); 연결부재(20); 및 결속부재(30);를 포함하는바, 크레인의 붐대(200)로부터 이어지는 와이어 또는 로프(210)를 프레임(10) 상면에 배치되는 고리(11)에 결속한 상태에서 연결부재(20) 각각을 스파 부이(100)에 이르도록 늘어뜨린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부재(30)를 통해 연결부재(20) 각각의 일 단부, 더욱 구체적으로 하단부를 고리(11) 형태로 고정하여 스파 부이(100)에 걸어 결속함으로써 크레인과 스파 부이(100)가 간단히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과 스파 부이(100)를 연결한 상태에서 크레인을 통해 스파 부이(100)를 들어올려 이동시킴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 부이(100)가 간단히 수중으로 투입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스파 부이(100)의 진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20) 각각은 프레임(10)에 배치되는 윈치(12) 작동에 의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바, 붐대(200) 승강에 의해 스파 부이(100)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재(20)의 감김 또는 풀림에 의해서도 스파 부이(100)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스파 부이(100) 승강 폭의 미세한 조절이 요구되거나 할 때 윈치(12) 작동을 통해 연결부재(20)를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스파 부이(100)가 의도하는 미세한 폭으로 승강할 수 있어 스파 부이(100)의 진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스파 부이(100)가 수중에 투입된 상태에서도 연결부재(20)는 여전히 스파 부이(100)에 결속된 상태이므로 완전 진수를 위해서는 이의 해제가 요구된다.
이때, 연결부재(20)의 결속 해제에는 번거로움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결속부재(30)는 잠금 및 잠금 해제가 가능한 홀더(31)를 포함하는바, 스파 부이(100)가 수중에 투입된 상태에서 홀더(31)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 부이(100)에 걸린 연결부재(20) 일 단부의 고리(11) 형태 고정이 풀리게 되므로 이에 의해 연결부재(20)의 결속이 간단히 해제될 수 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 부이(100)의 진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과정에서 윈치(12) 및 홀더(31)의 작동은 원격 제어하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수신기(41)를 통해 원격지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기(40)를 더 포함하는바, 제어기(40)에 의해 윈치(12) 및 홀더(31) 작동이 원격 제어될 수 있으므로 윈치(12) 및 홀더(31) 작동에 따르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윈치(12) 및 홀더(31) 작동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스파 부이(100)의 진수가 더욱 원활할 수 있다.
이때, 수신기(41)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원격지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바, 수신기(41)로의 원격 제어 신호 입력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윈치(12) 및 홀더(31)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위의 설명을 통해서는 본 발명이 스파 부이(100) 진수만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스파 부이(100) 회수 또한 원활할 수 있다.
즉, 크레인의 붐대(200)로부터 이어지는 와이어 또는 로프(210)를 프레임(10) 상면에 배치되는 고리(11)에 결속한 상태에서 연결부재(20) 각각을 수중의 스파 부이(100)에 이르도록 늘어뜨려 결속부재(30)를 통해 연결부재(20) 각각의 일 단부, 더욱 구체적으로 하단부를 고리(11) 형태로 고정하여 수중의 스파 부이(100)에 걸어 결속함으로써 크레인과 스파 부이(100)를 연결한 후 크레인을 통해 수중의 스파 부이(100)를 들어올려 이동시킴에 따라 스파 부이(100)가 간단히 선박으로 인양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스파 부이(100)의 회수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위의 설명을 통해서는 연결부재(20)가 스파 부이(10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높이 차이를 두고 결속되는 것으로만 보일 수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 스파 부이(100)상의 연결부재(20) 결속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즉, 연결부재(20)는 스파 부이(100) 상단과 하단 사이에 높이 차이를 두고 결속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연결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 부이(100) 상단과 하단 사이 일 지점의 양측에 좌우 대칭 형태로 결속될 수 있는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의 진행에 의해서도 스파 부이(100)의 진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프레임
11 : 고리
12 : 윈치
20 : 연결부재
30 : 결속부재
31 : 홀더
40 : 제어기
41 : 수신기
100 : 스파 부이
200 : 붐대
210 : 와이어 또는 로프
A : 진수 및 회수장치

Claims (5)

  1. 선박에 위치하는 크레인의 붐대에 연결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일단 및 타단 각각으로부터 하부로 이어지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 각각의 일 단부를 홀더의 잠금을 통해 고리 형태로 고정하여 진수 또는 회수 대상 스파 부이에 걸어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는 윈치 작동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며, 상기 결속부재에 마련되는 상기 홀더의 잠금 해제에 따라 고리 형태 고정이 풀려 상기 스파 부이에의 결속이 해제되는 것을 포함하고,
    원격지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윈치 및 홀더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붐대로부터 이어지는 와이어 또는 로프가 상면의 고리에 결속됨에 따라 상기 붐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와이어 또는 로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수신기를 포함하여 상기 수신기로의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입력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윈치 및 홀더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
KR1020220037557A 2022-03-25 2022-03-25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 Active KR102678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557A KR102678353B1 (ko) 2022-03-25 2022-03-25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557A KR102678353B1 (ko) 2022-03-25 2022-03-25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204A KR20230139204A (ko) 2023-10-05
KR102678353B1 true KR102678353B1 (ko) 2024-06-25

Family

ID=88293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557A Active KR102678353B1 (ko) 2022-03-25 2022-03-25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83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0656A (ja) * 2006-10-30 2008-05-15 Kenwood Corp 水中撮影ブ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297B1 (ko) 2008-06-19 2008-12-31 뉴마린엔지니어링(주) 폴리머 스파부이
KR101401985B1 (ko) * 2012-09-28 2014-05-30 (주)살코 수상구조물 설치용 잭업식 플로팅 크레인
KR101672017B1 (ko) * 2014-10-24 2016-11-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무어링장치
KR101657224B1 (ko) * 2015-02-09 2016-09-13 박병룡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KR20170097949A (ko) * 2016-02-19 2017-08-29 (주)에코원 수상 구조물의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수상 지지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0656A (ja) * 2006-10-30 2008-05-15 Kenwood Corp 水中撮影ブ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204A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7155B2 (ja) 中層浮魚礁の回収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回収用金具
EP3188960B1 (en) Vessel recovery system and method
CN112805215B (zh) 绳索处理系统、专用船、绳索处理系统的用途及导引杆
US7675821B2 (en) Deployment of seismic sensor
US5097788A (en) Method and device for fishing up an immersed body
US67360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an underwater buoy to a vessel
KR102678353B1 (ko) 스파 부이 진수 및 회수장치
US6508190B1 (en) Safe remotely operated single operator personal boat mooring system
CN213649837U (zh) 船体的引缆回收装置以及船体布放回收系统
EP35683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deployment, towing and recovery of marine equipment from a waterborne carrier
JP4247850B2 (ja) 水中機器の着水揚収装置
JP2003137189A (ja) 気球の繋留装置
JP2000085685A (ja) 水中浮遊物揚収支援装置及び方法
JP4161334B2 (ja) 水中浮遊物揚収支援装置及び方法
US4447083A (en) Net recovery device and method
US4392447A (en) Offshore mooring system
KR101743282B1 (ko) 쌍동선에서 소형 작업선의 진회수 장치 및 방법
WO1985005608A1 (fr) Agencement d'amarrage
CN112193362B (zh) 船体布放回收系统及方法
CN213571938U (zh) 一种砂被铺设装置
CN118907304B (zh) 一种半潜驳浅水区域的起抛锚方法
CN213354777U (zh) 一种托架式无人艇收放装置
JP5667458B2 (ja) 中層浮魚礁設備
JP2647517B2 (ja) 無人潜水機の揚収方法
CN102632976A (zh) 一种海洋锚系打捞装置及其打捞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6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