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7429B1 - 센서 신호의 디지털 변환 장치 및 그 변환 방법 - Google Patents
센서 신호의 디지털 변환 장치 및 그 변환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7429B1 KR102677429B1 KR1020210167949A KR20210167949A KR102677429B1 KR 102677429 B1 KR102677429 B1 KR 102677429B1 KR 1020210167949 A KR1020210167949 A KR 1020210167949A KR 20210167949 A KR20210167949 A KR 20210167949A KR 102677429 B1 KR102677429 B1 KR 1026774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delay
- time
- value
- clock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4—HOROLOGY
- G04F—TIME-INTERVAL MEASURING
- G04F10/00—Apparatus for measuring unknown time intervals by electric means
- G04F10/005—Time-to-digital converters [TDC]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H03L7/0814—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the phase shifting device being digitally controlled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99—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loop
- H03L7/099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loop the oscillator being a digital oscillator, e.g. composed of a fixed oscillator followed by a variable frequency divider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and to synchronisation
- H03L2207/50—All digital phase-locked loo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클럭 신호 생성부의 구성도.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지연기의 구성도.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 신호 생성부의 구성도.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 시간값 산출부의 구성도.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 1-1 시간값 산출기의 구성도.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스타트-스톱값 생성부의 구성도.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 2 스타트-스톱값 생성부의 구성도.
도 9는 제 1 스타트-스톱값 생성부와 제 2 스타트-스톱값 생성부의 출력 타이밍도.
10 : 클럭 신호 생성부 20 : 보정 신호 생성부
30 : 기준 시간값 산출부 40 : 제 1 스타트-스톱값 생성부
50 : 제 2 스타트-스톱값 생성부 60 : 정규화부
70 : 시간 차이 생성부 80 : 보정 시간 차이 생성부
11a : 제 1 지연기 11b : 제 2 지연기
11c : 제 3 지연기 11d : 제 4 지연기
11e : 제 5 지연기 11f : 제 6 지연기
12 : 제 1 플립 플롭 13 : 제 1 카운터
14a : 제 1-1 클럭 신호 생성기 14b : 제 1-2 클럭 신호 생성기
14c : 제 1-3 클럭 신호 생성기 14d : 제 1-4 클럭 신호 생성기
15a : 제 1 분주기 15b : 제 2 분주기
15c : 제 3 분주기 15d : 제 4 분주기
21 : 제 5 분주기 22 : 제 2 카운터
23 : 보정 신호 산출기 31 : 제 1-1 시간값 산출기
32 : 제 1-2 시간값 산출기 33 : 제 1 시간값 산출기
41 : 제 1-1 스타트-스톱값 카운터 42 : 제 1-2 스타트-스톱값 카운터
43 : 제 1 스터트-스톱값 산출기 51 : 제 2-1 시간값 산출기
52 : 제 2-2 예비 시간값 산출기 53 : 제 2-2 시간값 산출기
54 : 제 2 스타트-스톱값 산출기
Claims (30)
-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입력된 스타트 신호와 스톱 신호 사이의 시간 차이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디지털 변환 장치에 있어서,
제 1 오실레이터의 출력 및 제 2 오실레이터의 출력 중 하나로부터 출력된 오실레이터 신호의 주파수를 체배하여 제 1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클럭 신호 생성부;
상기 스타트 신호 및 상기 스톱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타트 신호와 상기 스톱 신호 사이의 시간 차이인 제 1 시간 차이 신호를 생성하는 시간 차이 생성부;
상기 제 1 오실레이터의 출력 및 상기 제 1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오실레이터의 출력과 상기 제 1 클럭 신호 사이의 오차에 따른, 상기 제 1 시간 차이 신호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보정 신호 생성부; 및
상기 보정 신호 및 상기 제 1 시간 차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시간 차이 신호를 보정한 제 2 시간 차이 신호를 생성하는, 보정 시간 차이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정 신호는,
상기 보정 신호의 제 1 부분인 제 1 보정 신호와 상기 보정 신호의 제 2 부분인 제 2 보정 신호를 포함하되,
상기 보정 시간 차이 생성부는,
상기 제 1 시간 차이 신호에 상기 제 1 보정 신호를 곱한 값;과 상기 제 1 시간 차이 신호에 상기 제 2 보정 신호를 더한 값;을 합산하여, 상기 제 2 시간 차이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변환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1 오실레이터의 출력을 분주하는 제 5 분주기;
상기 제 1 클럭 신호를 클럭 신호로 입력받아, 상기 제 5 분주기의 출력을 카운팅한 제 2 카운팅값을 출력하는 제 2 카운터; 및
미리 설정된 제 2 값과 상기 제 2 카운팅값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보정 신호를 산출하는, 보정 신호 산출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변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변환 장치는,
상기 제 1 클럭 신호 및 상기 제 1 클럭 신호를 반전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주기 또는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반주기의 시간값에 대응하는 값인 제 1 시간값을 산출하는, 기준 시간값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변환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간값 산출부는,
체인 구조로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지연 시간만큼 각각 지연하여 출력하는 L개의 지연 셀을 포함하되, L개의 지연 셀 중 가장 앞단의 지연 셀의 데이터 신호인 상기 제 1 클럭 신호가 활성화된 후,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의 라이징 에지 또는 폴링 에지 중 하나의 지점에서 L개의 지연 셀 중 상기 제 1 클럭 신호가 전송된 셀의 개수를 이용하여, 제 1-1 시간값을 산출하는 제 1-1 시간값 산출기; 또는,
체인 구조로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지연 시간만큼 각각 지연하여 출력하는 L개의 지연 셀을 포함하되, L개의 지연 셀 중 가장 앞단의 지연 셀의 데이터 신호인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가 활성화된 후,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라이징 에지 또는 폴링 에지 중 하나의 지점에서, L개의 지연 셀 중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가 전송된 셀의 개수를 이용하여, 제 1-2 시간값을 산출하는 제 1-2 시간값 산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L은 5 이상의 자연수인, 디지털 변환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간값 산출부는,
상기 제 1-1 시간값 및 상기 제 1-2 시간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시간값을 산출하는 제 1 시간값 산출기;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변환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변환 장치는,
상기 스타트 신호와 상기 스톱 신호 사이를, 상기 제 1 클럭 신호 또는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를 이용하여 카운팅하여 제 1 스타트-스톱값을 산출하는 제 1 스타트-스톱값 생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스타트-스톱값은,
상기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이후의 제 1 에지로부터 상기 스톱 신호가 입력되기 이전의 제 2 에지까지의 시간이고,
상기 제 1 에지는,
상기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이후 처음으로 출력되는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라이징 에지 또는 폴링 에지; 또는,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의 라이징 에지 또는 폴링 에지;이고,
상기 제 2 에지는,
상기 스톱 신호가 입력되기 직전에 출력되는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라이징 에지 또는 폴링 에지; 또는,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의 라이징 에지 또는 폴링 에지;인, 디지털 변환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변환 장치는,
상기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이후로부터 상기 제 1 에지 이전까지의 제 2-1 시간값 및 상기 제 2 에지로부터 상기 스톱 신호까지의 제 2-2 시간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 2-1 시간값 및 상기 제 2-2 시간값을 합산한 제 2 스타트-스톱값을 산출하는 제 2 스타트-스톱값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변환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타트-스톱값 생성부는,
체인 구조로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지연 시간만큼 각각 지연하여 출력하는 S개의 지연 셀을 포함하되, S개의 지연 셀 중 가장 앞단의 지연 셀의 데이터 신호로 상기 스타트 신호가 활성화된 후, 상기 제 1 클럭 신호 또는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의 라이징 에지 또는 폴링 에지 중 하나의 지점에서 S개의 지연 셀 중 상기 제 1 클럭 신호 또는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가 전송된 셀의 개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 2-1 시간값을 산출하는 제 2-1 시간값 산출기;
체인 구조로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지연 시간만큼 각각 지연하여 출력하는 S개의 지연 셀을 포함하되, S개의 지연 셀 중 가장 앞단의 지연 셀의 데이터 신호로 상기 스톱 신호가 활성화된 후, 상기 제 1 클럭 신호 또는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의 라이징 에지 또는 폴링 에지 중 하나의 지점에서 S개의 지연 셀 중 상기 제 1 클럭 신호 또는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가 전송된 셀의 개수를 이용하여, 제 2-2 예비 시간값을 산출하는 제 2-2 예비 시간값 산출기; 및
상기 제 1 시간값으로부터 상기 제 2-2 예비 시간값을 감산하여, 상기 제 2-2 시간값을 산출하는 제 2-2 시간값 산출기;를 포함하되,
상기 S는 5 이상의 자연수인, 디지털 변환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변환 장치는,
상기 제 2 스타트-스톱값과 상기 제 1 시간값에 대한 비율을 이용하여 제 2 스타트-스톱 정규화값을 산출하는, 정규화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시간 차이 생성부는,
상기 제 1 스타트-스톱값 및 상기 제 2 스타트-스톱 정규화값을 입력받아, 상기 제 1 시간 차이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변환 장치. -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입력된 스타트 신호와 스톱 신호 사이의 시간 차이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디지털 변환 장치에 있어서,
제 1 오실레이터의 출력 및 제 2 오실레이터의 출력 중 하나로부터 출력된 오실레이터 신호의 주파수를 체배하여 제 1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클럭 신호 생성부;
상기 스타트 신호 및 상기 스톱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타트 신호와 상기 스톱 신호 사이의 시간 차이인 제 1 시간 차이 신호를 생성하는 시간 차이 생성부;
상기 제 1 오실레이터의 출력 및 상기 제 1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오실레이터의 출력과 상기 제 1 클럭 신호 사이의 오차에 따른, 상기 제 1 시간 차이 신호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보정 신호 생성부; 및
상기 보정 신호 및 상기 제 1 시간 차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시간 차이 신호를 보정한 제 2 시간 차이 신호를 생성하는, 보정 시간 차이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클럭 신호 생성부는,
체인 구조로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지연 시간만큼 각각 지연하여 출력하는 P개의 지연 셀을 포함하고, 상기 오실레이터 신호를 P개의 지연 셀 중 가장 앞단의 지연 셀이 데이터 신호로 입력받는 제 1 지연기;
체인 구조로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지연 시간만큼 각각 지연하여 출력하는 P개의 지연 셀을 포함하고, 상기 오실레이터 신호를 P개의 지연 셀 중 가장 앞단의 지연 셀이 데이터 신호로 입력받는 제 2 지연기;
상기 제 1 지연기의 출력을 데이터 신호로 입력받고, 상기 제 2 지연기의 출력을 클럭 신호로 입력받는 제 1 플립 플롭; 및
상기 오실레이터 신호를 클럭 신호로 입력받고, 상기 제 1 플립 플롭의 출력을 데이터 신호로 입력받아 카운팅하는 제 1 카운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카운터의 출력이 상기 제 2 지연기의 제어 신호로 입력되고,
상기 제 2 지연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 2 지연기에 포함된 P개의 지연 셀 각각의 지연 시간이 설정되고,
상기 P는 3 이상의 자연수인, 디지털 변환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연기에 포함된 상기 P개의 지연 셀 각각의 지연 시간은,
제 1-1 지연 시간 및 제 1-2 지연 시간을 합산한 값을 포함하되,
상기 P개의 지연 셀 각각의 상기 제 1-1 지연 시간은, 모두 동일한 값을 갖고,
상기 P개의 지연 셀 각각의 상기 제 1-2 지연 시간은, '0' 또는 상기 P개의 지연 셀 각각의 고유값을 갖도록 상기 제 1 지연기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디지털 변환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P개의 지연 셀 각각의 고유값은,
해당 지연 셀의 위치가 체인 구조의 후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디지털 변환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 생성부는,
체인 구조로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지연 시간만큼 각각 지연하여 출력하는 P개의 지연 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립 플롭의 출력을 P개의 지연 셀 중 가장 앞단의 지연 셀이 데이터 신호로 입력받는 제 3 지연기; 및
상기 제 1 플립 플롭의 출력과 상기 제 3 지연기의 출력을 이용하여, 제 1-1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제 1-1 클럭 신호 생성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카운터의 출력을 N으로 나눈 신호에 의해, 상기 제 3 지연기에 포함된 P개의 지연 셀 각각의 지연 시간이 설정되고,
상기 N은 2 이상의 자연수인, 디지털 변환 장치. -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입력된 스타트 신호와 스톱 신호 사이의 시간 차이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디지털 변환 방법에 있어서,
제 1 오실레이터의 출력 및 제 2 오실레이터의 출력 중 하나로부터 출력된 오실레이터 신호의 주파수를 체배하여 제 1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클럭 신호 생성 단계;
상기 스타트 신호 및 상기 스톱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타트 신호와 상기 스톱 신호 사이의 시간 차이인 제 1 시간 차이 신호를 생성하는 시간 차이 생성 단계;
상기 제 1 오실레이터의 출력 및 상기 제 1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오실레이터의 출력과 상기 제 1 클럭 신호 사이의 오차에 따른, 상기 제 1 시간 차이 신호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보정 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보정 신호 및 상기 제 1 시간 차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시간 차이 신호를 보정한 제 2 시간 차이 신호를 생성하는, 보정 시간 차이 생성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정 신호는,
상기 보정 신호의 제 1 부분인 제 1 보정 신호와 상기 보정 신호의 제 2 부분인 제 2 보정 신호를 포함하되,
상기 보정 시간 차이 생성 단계는,
상기 제 1 시간 차이 신호에 상기 제 1 보정 신호를 곱한 값;과 상기 제 1 시간 차이 신호에 상기 제 2 보정 신호를 더한 값;을 합산하여, 상기 제 2 시간 차이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변환 방법. - 삭제
- 삭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신호 생성 단계는,
상기 제 1 오실레이터의 출력을 분주하는 제 5 분주 단계;
상기 제 1 클럭 신호를 클럭 신호로 입력받아, 상기 제 5 분주 단계의 출력을 카운팅한 제 2 카운팅값을 출력하는 제 2 카운팅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제 2 값과 상기 제 2 카운팅값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보정 신호를 산출하는 보정 신호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변환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변환 방법은,
상기 제 1 클럭 신호 및 상기 제 1 클럭 신호를 반전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주기 또는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반주기의 시간값에 대응하는 값인 제 1 시간값을 산출하는, 기준 시간값 산출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변환 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간값 산출 단계는,
체인 구조로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지연 시간만큼 각각 지연하여 출력하는 L개의 지연 셀을 이용하되, L개의 지연 셀 중 가장 앞단의 지연 셀의 데이터 신호인 상기 제 1 클럭 신호가 활성화된 후,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의 라이징 에지 또는 폴링 에지 중 하나의 지점에서 L개의 지연 셀 중 상기 제 1 클럭 신호가 전송된 셀의 개수를 이용하여, 제 1-1 시간값을 산출하는 제 1-1 시간값 산출 단계; 또는,
체인 구조로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지연 시간만큼 각각 지연하여 출력하는 L개의 지연 셀을 이용하되, L개의 지연 셀 중 가장 앞단의 지연 셀의 데이터 신호인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가 활성화된 후,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라이징 에지 또는 폴링 에지 중 하나의 지점에서, L개의 지연 셀 중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가 전송된 셀의 개수를 이용하여, 제 1-2 시간값을 산출하는 제 1-2 시간값 산출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L은 5 이상의 자연수인, 디지털 변환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간값 산출 단계는,
상기 제 1-1 시간값 및 상기 제 1-2 시간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시간값을 산출하는 제 1 시간값 산출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변환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변환 방법은,
상기 스타트 신호와 상기 스톱 신호 사이를, 상기 제 1 클럭 신호 또는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를 이용하여 카운팅하여 제 1 스타트-스톱값을 산출하는 제 1 스타트-스톱값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스타트-스톱값은,
상기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이후의 제 1 에지로부터 상기 스톱 신호가 입력되기 이전의 제 2 에지까지의 시간이고,
상기 제 1 에지는,
상기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이후 처음으로 출력되는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라이징 에지 또는 폴링 에지; 또는,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의 라이징 에지 또는 폴링 에지;이고,
상기 제 2 에지는,
상기 스톱 신호가 입력되기 직전에 출력되는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라이징 에지 또는 폴링 에지; 또는,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의 라이징 에지 또는 폴링 에지;인, 디지털 변환 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변환 방법은,
상기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이후로부터 상기 제 1 에지 이전까지의 제 2-1 시간값 및 상기 제 2 에지로부터 상기 스톱 신호까지의 제 2-2 시간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 2-1 시간값 및 상기 제 2-2 시간값을 합산한 제 2 스타트-스톱값을 산출하는 제 2 스타트-스톱값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변환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타트-스톱값 생성 단계는,
체인 구조로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지연 시간만큼 각각 지연하여 출력하는 S개의 지연 셀을 이용하되, S개의 지연 셀 중 가장 앞단의 지연 셀의 데이터 신호로 상기 스타트 신호가 활성화된 후 상기 제 1 에지까지 S개의 지연 셀 중 상기 제 1 클럭 신호 또는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가 전송된 셀의 개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 2-1 시간값을 산출하는 제 2-1 시간값 산출 단계;
체인 구조로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지연 시간만큼 각각 지연하여 출력하는 S개의 지연 셀을 이용하되, S개의 지연 셀 중 가장 앞단의 지연 셀의 데이터 신호로 상기 스톱 신호가 활성화된 후, 상기 제 1 클럭 신호 또는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의 라이징 에지 또는 폴링 에지 중 하나의 지점에서 S개의 지연 셀 중 상기 제 1 클럭 신호 또는 상기 제 1 클럭 신호의 반전 신호가 전송된 셀의 개수를 이용하여, 제 2-2 예비 시간값을 산출하는 제 2-2 예비 시간값 산출 단계; 및
상기 제 1 시간값으로부터 상기 제 2-2 예비 시간값을 감산하여, 상기 제 2-2 시간값을 산출하는 제 2-2 시간값 산출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S는 5 이상의 자연수인, 디지털 변환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변환 방법은,
상기 제 2 스타트-스톱값과 상기 제 1 시간값에 대한 비율을 이용하여 제 2 스타트-스톱 정규화값을 산출하는, 정규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시간 차이 생성 단계는,
상기 제 1 스타트-스톱값 및 상기 제 2 스타트-스톱 정규화값을 입력받아, 상기 제 1 시간 차이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변환 방법. -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입력된 스타트 신호와 스톱 신호 사이의 시간 차이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디지털 변환 방법에 있어서,
제 1 오실레이터의 출력 및 제 2 오실레이터의 출력 중 하나로부터 출력된 오실레이터 신호의 주파수를 체배하여 제 1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클럭 신호 생성 단계;
상기 스타트 신호 및 상기 스톱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타트 신호와 상기 스톱 신호 사이의 시간 차이인 제 1 시간 차이 신호를 생성하는 시간 차이 생성 단계;
상기 제 1 오실레이터의 출력 및 상기 제 1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오실레이터의 출력과 상기 제 1 클럭 신호 사이의 오차에 따른, 상기 제 1 시간 차이 신호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보정 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보정 신호 및 상기 제 1 시간 차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시간 차이 신호를 보정한 제 2 시간 차이 신호를 생성하는, 보정 시간 차이 생성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클럭 신호 생성 단계는,
체인 구조로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지연 시간만큼 각각 지연하여 출력하는 P개의 지연 셀을 이용하되, 상기 오실레이터 신호를 P개의 지연 셀 중 가장 앞단의 지연 셀이 데이터 신호로 입력받아 지연하는 제 1 지연 단계;
체인 구조로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지연 시간만큼 각각 지연하여 출력하는 P개의 지연 셀을 이용하되, 상기 오실레이터 신호를 P개의 지연 셀 중 가장 앞단의 지연 셀이 데이터 신호로 입력받아 지연하는 제 2 지연 단계;
제 1 플립 플롭을 이용하되, 상기 제 1 플립 플롭의 데이터 신호로 상기 제 1 지연 단계의 출력을 입력받고, 상기 제 1 플립 플롭의 클럭 신호로 제 2 지연 단계의 출력을 입력받아, 출력하는 플립 플롭 단계;
상기 오실레이터 신호를 클럭 신호로 입력받고, 상기 제 1 플립 플롭의 출력을 데이터 신호로 입력받아 카운팅하는 제 1 카운팅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카운팅 단계의 출력이 상기 제 2 지연 단계의 제어 신호로 입력되고,
상기 제 2 지연 단계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 2 지연 단계에 이용되는 P개의 지연 셀 각각의 지연 시간이 설정되고,
상기 P는 3 이상의 자연수인, 디지털 변환 방법.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연 단계에 이용되는 상기 P개의 지연 셀 각각의 지연 시간은,
제 1-1 지연 시간 및 제 1-2 지연 시간을 합산한 값을 포함하되,
상기 P개의 지연 셀 각각의 상기 제 1-1 지연 시간은, 모두 동일한 값을 갖고,
상기 제 1 지연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지연 단계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 1 지연 단계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P개의 지연 셀 각각의 상기 제 1-2 지연 시간을, '0' 또는 상기 P개의 지연 셀 각각의 고유값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는, 디지털 변환 방법.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P개의 지연 셀 각각의 고유값은,
해당 지연 셀의 위치가 체인 구조의 후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디지털 변환 방법.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 생성 단계는,
체인 구조로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지연 시간만큼 각각 지연하여 출력하는 P개의 지연 셀을 이용하고, 상기 제 1 플립 플롭의 출력을 P개의 지연 셀 중 가장 앞단의 지연 셀이 데이터 신호로 입력받아 지연하는 제 3 지연 단계; 및
상기 제 1 플립 플롭의 출력과 상기 제 3 지연 단계의 출력을 이용하여, 제 1-1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제 1-1 클럭 신호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지연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카운팅 단계의 출력을 N으로 나눈 신호를 상기 제 3 지연 단계의 제어 신호로 입력받고, 상기 제 3 지연 단계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 3 지연 단계에 포함된 P개의 지연 셀 각각의 지연 시간이 설정되고,
상기 N은 2 이상의 자연수인, 디지털 변환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7949A KR102677429B1 (ko) | 2021-11-30 | 2021-11-30 | 센서 신호의 디지털 변환 장치 및 그 변환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7949A KR102677429B1 (ko) | 2021-11-30 | 2021-11-30 | 센서 신호의 디지털 변환 장치 및 그 변환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0607A KR20230080607A (ko) | 2023-06-07 |
KR102677429B1 true KR102677429B1 (ko) | 2024-06-25 |
Family
ID=8676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7949A Active KR102677429B1 (ko) | 2021-11-30 | 2021-11-30 | 센서 신호의 디지털 변환 장치 및 그 변환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7429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46482A (ja) * | 2008-03-28 | 2009-10-22 | Advantest Corp | プライオリティエンコーダならびにそれを利用した時間デジタル変換器、試験装置 |
JP2011519529A (ja) | 2008-04-14 | 2011-07-07 |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完全デジタル位相ロックループにおける位相デジタル変換器 |
JP2019507554A (ja) | 2016-02-29 | 2019-03-14 | フラウンホーファーゲゼルシャフト ツール フォルデルング デル アンゲヴァンテン フォルシユング エー.フアー. | 無線センサネットワークのセンサノードの発振器の周波数補正の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4197B1 (ko) * | 1996-03-08 | 2005-02-23 |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시간계수회로및펄스신호생성방법 |
KR102035019B1 (ko) * | 2017-09-20 | 2019-10-22 | 주식회사 유진로봇 | 거리 측정 장치, 시간 디지털 변환기, 및 이동체 |
KR102056982B1 (ko) * | 2018-04-27 | 2020-01-14 | 울산과학기술원 | 주파수 체배 장치 및 방법 |
KR102204827B1 (ko) | 2019-10-04 | 2021-01-19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5ps 해상도를 갖는 펄스이동 시간 차 반복회로를 이용한 8비트 2단 시간-디지털 변환기 |
-
2021
- 2021-11-30 KR KR1020210167949A patent/KR10267742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46482A (ja) * | 2008-03-28 | 2009-10-22 | Advantest Corp | プライオリティエンコーダならびにそれを利用した時間デジタル変換器、試験装置 |
JP2011519529A (ja) | 2008-04-14 | 2011-07-07 |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完全デジタル位相ロックループにおける位相デジタル変換器 |
JP2019507554A (ja) | 2016-02-29 | 2019-03-14 | フラウンホーファーゲゼルシャフト ツール フォルデルング デル アンゲヴァンテン フォルシユング エー.フアー. | 無線センサネットワークのセンサノードの発振器の周波数補正の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0607A (ko) | 2023-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a Dalt | Linearized analysis of a digital bang-bang PLL and its validity limits applied to jitter transfer and jitter generation | |
CN103257569B (zh) | 时间测量电路、方法和系统 | |
Zhang et al. | An 8.5-ps two-stage Vernier delay-line loop shrinking time-to-digital converter in 130-nm flash FPGA | |
CN104460304B (zh) | 一种具有自动校正功能的高分辨率时间间隔测量装置 | |
CN104320130A (zh) | 一种基于双环dll的三段式高精度时间数字转换方法及其电路 | |
KR101503732B1 (ko) | 시간-디지털 변환기 | |
Kim et al. | A low-cost and low-power time-to-digital converter using triple-slope time stretching | |
CN110515292B (zh) | 基于双向运行环形进位链的tdc电路及测量方法 | |
CN112838851A (zh) | 一种基于差分采样的剩余时间采样电路和时间数字转换器 | |
Korkan et al. | A novel time-to-amplitude converter and a low-cost wide dynamic range FPGA TDC for LiDAR application | |
JP6844368B2 (ja) | 時間デジタル変換器 | |
Priyanka et al.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ime to digital converters | |
KR102677429B1 (ko) | 센서 신호의 디지털 변환 장치 및 그 변환 방법 | |
Katoh et al. | An analysis of stochastic self-calibration of TDC using two ring oscillators | |
Liu et al. | Multi-stage pulse shrinking time-to-digital converter for time interval measurements | |
CN118759498A (zh) | 一种基于差分进位链的快速tdc测量系统与方法 | |
Wang et al. | Performance analysis and IP core implementation of two high performance time-to-digital converters on Xilinx 7-series FPGA | |
Nguyen et al. | A 4.7-ps resolution recirculating cyclic Vernier TDC using DWA-based mismatch correction and a register-based time amplifier | |
JP2024023650A (ja) | A/d変換回路 | |
Ramzy et al. | High resolution time-to-digital converter using low resources FPGA for time-of-flight measurement | |
CN214480526U (zh) | 一种基于差分采样的剩余时间采样电路和时间数字转换器 | |
Caram et al. | Harmonic ring oscillator time-to-digital converter | |
US10545462B2 (en) | Time-to-voltage converter | |
CN110045592B (zh) | 时间校正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 |
Uemori et al. | Multi-bit sigma-delta TDC architecture with self-calibr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6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