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77336B1 -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7336B1
KR102677336B1 KR1020240026365A KR20240026365A KR102677336B1 KR 102677336 B1 KR102677336 B1 KR 102677336B1 KR 1020240026365 A KR1020240026365 A KR 1020240026365A KR 20240026365 A KR20240026365 A KR 20240026365A KR 102677336 B1 KR102677336 B1 KR 102677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looring
asphalt concrete
building
mastic aspha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26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환
손현장
서영규
이진호
박지용
동배선
Original Assignee
우산건설 주식회사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산건설 주식회사,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26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7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7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73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8Fats; Fatty oils; Ester 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8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바닥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기존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단점을 보완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건조수축이 없는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건축물 바닥재 시공방법은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 상부에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접착층과 방수층 사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방수층 상부에 미끄럼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 시공방법{Mastic asphalt concrete composition used for building floor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flo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바닥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기존 도로 포장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단점을 보완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건조수축이 없는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는 개질 아스팔트 및 천연 아스팔트에 다량의 석분 및 골재가 함유된 혼합물을 고온(150~240℃)의 쿠커 장비에서 혼합한 조성물로, 일반 아스팔트 혼합물과 달리 소정의 유동성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한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는 불투수성, 충격저항성, 소음저감, 내화학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도로 포장 분야에서 다수 활용되고 있으며, 콘크리트 도로의 포장이나 강상판 교량, 측구 등의 방수 포장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도로 포장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는 건축 분야에서는 적용사례가 전무한 상태이며, 그 원인은 다음과 같다. 도로 환경과 달리 건축물의 경우, 가구, 전시물 또는 지하주차장에 주차된 자동차 등으로 하중 변화가 크다. 이 때문에 콘크리트 혼합물의 경도 및 하중에 의한 콘크리트 두께 감소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된다.
또한, 도로 포장 시 사용되는 대형 장비가 건축물 내부로 진입하기 어렵고, 건축물 기둥 및 형상이 도로 상황에 비해 복잡하기 때문에 장비 사용에 제약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수작업에 의한 레벨링 시공이 필요하나 도로 포장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에 사용되는 바인더 점도 및 골재합성 입도로는 인력 포설에 필요한 작업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건축용 바닥재는 성능뿐만 아니라 폴리싱 후 시각적으로 보이는 표면 디자인이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며 이러한 표면 디자인은 골재의 합성입도가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하지만 도로 포장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합성 입도는 이러한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어렵다.
또한, 도로 포장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는 고온(150~240℃)에서 생산하기 때문에 이 과정 중에 발생하는 악취로 인한 민원 발생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시멘트 콘크리트계 바닥재의 단점을 해결하는 대체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건축물 바닥 시공방법이 필요하다.
한편, 종래의 기술인 등록특허 제10-2527674호(이하 종래기술)는 콘크리트 및 강 구조물의 도장 및 방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스아스팔트 비투멘 나노캡슐을 함유한 초속경 폴리우레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청 도장 및 차열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시멘트 콘크리트계 바닥재의 수축 균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체재인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로 포장용에 적합한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단점을 보완하여 건축물 바닥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작업이 가능한 최적 배합비를 찾고자 한다.
또한 건축물 바닥 시공기간을 단축하고 건축비를 절감할 수 있는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 시공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미끄럼 방지층, 폴리싱 및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바닥재 표면 처리 시공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아스팔트 침입도가 5 내지 30인 건축물 바닥재용 아스팔트 바인더 6 내지 10 중량%; 굵은골재, 잔골재 및 채움재 중 2개 이상의 골재를 포함하고, 상기 골재는 5mm 체에서 70 내지 90 중량%를 통과하고, 2.5mm 체에서 55 내지 75 중량%를 통과하고, 0.6mm 체에서 35 내지 50 중량%를 통과하고, 0.3mm 체에서 25 내지 40 중량%를 통과하고, 0.15mm 체에서 20 내지 35 중량%를 통과하고, 0.08mm 체에서 15 내지 30 중량%를 통과하도록 만들어진 합성골재 89 내지 93 중량%; Fischer-Tropsch 공법으로 제조된 합성왁스 0.05 내지 0.5 중량%;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10 내지 30 중량%, 귤껍질 에센셜 오일, 오렌지 껍질 에센셜 오일, 유향 에센셜 오일 및 몰약 에센셜 오일 중 1개 이상의 천연 에센셜 오일 20 내지 40 중량% 및 씨앗으로부터 추출된 식물성 오일 30 내지 70 중량%로 혼합된 기능성 첨가제를 상기 건축물 바닥재용 아스팔트 바인더 대비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DIN 18560-AS-IC 40 규격에 따른 관입량이 1 내지 4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합성골재는 바닥재의 표면 디자인 형성을 위해 유색골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5mm 체에 잔류한 합성골재의 50 내지 100 중량%의 유색골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건축물 바닥재 시공 방법은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 상부에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층과 방수층 사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는 아스팔트계 프라이머 및 아스팔트계 에폭시 프라이머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보호층은 유리섬유부직포 및 역청고무계 아스팔트 시트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층 상부에 5 내지 7호 규사를 도포하여 미끄럼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층을 폴리싱하여 상기 골재를 노출하고, 세라믹계, 에폭시계 및 MMA계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건축물 바닥재로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하고 건조 수축이 없어 바닥재 균열 발생 저감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바닥재는 양생 기간이 짧아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바닥재는 천장 높이를 기존의 시멘트 콘크리트계 바닥재에 비해 1/4로 줄일 수 있어 건축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건축물 바닥재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바닥재 표면 디자인을 위해 유색골재를 혼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건축물 바닥재의 시공 적용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건축물 바닥재의 인력포설 작업 현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건축물 바닥재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재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의 방수층은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이며, 구스 아스팔트와 매스틱 아스팔트는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도 4는 건축물 바닥재 표면 디자인을 위해 유색골재를 포함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건축물 바닥재 시공 적용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a)는 물류 창고 바닥재, (b)는 로비 바닥재, (c)는 교회 바닥재 및 (d)는 지하주차장 바닥재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건축물 바닥재의 인력포설 작업 현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특징은 시멘트 콘크리트계 바닥재를 대신하여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바닥재를 사용함으로써 건축물 바닥재의 내구성을 높이고 균열 발생을 저감시키며 방수성을 향상시키고 매끄러운 표면처리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양생 기간이 짧고 두께를 얇게 포설할 수 있어 공사 기간을 단축하고 건축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인력 포설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어 기둥이 있거나 형상이 복잡한 건축물을 시공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불투수성, 충격 저항성, 소음저감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화학제품, 휘발유, 알코올 등에 대한 내화학성이 우수하므로 물류 창고 바닥재, 지하주차장 바닥재, 로비 바닥재 등을 시공하는데 적합하며, 특히 수분에 민감하고 높은 압축 강도가 필요한 건축물 옥상 바닥재 및 지하 주차장 바닥재를 시공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아스팔트 침입도가 5 내지 30인 건축물 바닥재용 아스팔트 바인더를 6 내지 10 중량%; 굵은골재, 잔골재 및 채움재 중 2개 이상의 골재를 포함하고, 상기 골재는 5mm 체에서 70 내지 90 중량%를 통과하고, 2.5mm 체에서 55 내지 75 중량%를 통과하고, 0.6mm 체에서 35 내지 50 중량%를 통과하고, 0.3mm 체에서 25 내지 40 중량%를 통과하고, 0.15mm 체에서 20 내지 35 중량%를 통과하고, 0.08mm 체에서 15 내지 30 중량%를 통과하도록 만들어진 합성골재 89 내지 93 중량%; Fischer-Tropsch 공법으로 제조된 합성왁스 0.05 내지 0.5 중량%;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10 내지 30 중량%, 귤껍질 에센셜 오일, 오렌지 껍질 에센셜 오일, 유향 에센셜 오일 및 몰약 에센셜 오일 중 1개 이상의 천연 에센셜 오일 20 내지 40 중량% 및 씨앗으로부터 추출된 식물성 오일 30 내지 70 중량%로 혼합된 기능성 첨가제를 상기 건축물 바닥재용 아스팔트 바인더 대비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상기 합성골재는 바닥재 표면 디자인을 형성하기 위해 유색골재를 포함할 수 있고, 5mm 체에 잔류한 합성골재의 50 내지 100 중량%의 유색골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성왁스는 Fischer-Tropsch 공법으로 제조된 것으로, 아스팔트 바인더의 점도를 저감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로 사용된다. 합성왁스는 0.05 내지 0.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5 중량% 이상을 첨가하면 점도 저하에 따른 골재와 바인더의 재료 분리 현상이 일부 발생하여 작업성이 저하된다.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고온 상태의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에서 방출되는 냄새를 저감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것이며,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탈취효과가 우수하고 천연 에센셜 오일은 방향효과, 식물성 오일은 천연 에센셜 오일의 급격한 휘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황화합물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DIN 18560-AS-IC 40 규격에 따른 관입량이 1 내지 4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의 동적안정도는 1900 내지 2700mm/회 범위이며 윤하중에 의한 두께 감소량은 0.09 내지 0.30m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조성물은 하중 및 유동 바퀴 자국에 대해 저항성이 우수하고 경도가 우수한 바닥재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재는 굵은골재, 잔골재 및 채움재의 체 통과 중량에 따른 합성 입도 구성비를 갖는 합성골재로 바닥재의 표면 디자인을 위해 유색골재를 첨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색골재가 첨가된 바닥재의 표면 디자인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a)는 유색골재를 포함하지 않은 바닥재의 사진이고, 도 4의 (b)는 5mm 체에 잔류한 합성골재 50 중량%의 유색골재를 포함하는 바닥재의 사진이며, 도 4의 (c)는 5mm 체에 잔류한 합성골재의 100 중량%의 유색골재를 포함하는 바닥재의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바닥재는 시멘트 콘크리트계 바닥재와 달리 양생 기간이 짧을 수 있다.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계 바닥재는 무근 콘크리트 포설 후 강도 발현을 위해 최소 7일에서 최대 28일 정도 양생 기간을 거친다. 또한 건물 바닥에 무근 콘크리트, 상부에 방수층이 포설되는데 이 때 상기한 무근 콘크리트 및 방수층의 두께는 약 20cm로 두껍게 포설된다. 따라서 공사 기간이 길고 건축비가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면,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바닥재는 양생기간이 1일로 매우 짧으며 바닥재의 두께도 2 내지 5cm로 기존 시멘트 콘크리트계 바닥재 대비 15cm 이상 낮출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바닥재는 건물 바닥 상부에 프라이머 접촉층, 보호층, 방수층 및 표면 보호층을 얇은 두께로 포설할 수 있다.
상기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바닥재 시공방법은 기본적으로 바닥면을 청소하고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한 뒤 시공 작업을 진행한다. 청소된 바닥면에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1) 및 상기 보호층 상부에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S3)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층과 방수층 사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S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상기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바닥재의 필수 구성층은 아니며 시공 장소 및 용도에 따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접착층 형성에 사용되는 프라이머는 아스팔트계 프라이머 및 아스팔트계 에폭시 프라이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을 형성할 때 사용되는 시트는 유리섬유부직포 및 역청고무계 아스팔트 시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S3) 이후, 방수층 상부에 5 내지 7호 규사를 도포하여 미끄럼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S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방수층을 폴리싱 하여 골재를 노출하고, 세라믹계, 에폭시계 및 MMA계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 보호층은 미끄럼 방지층 및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바닥재는 상기 프라이머 접촉층, 보호층, 방수층, 미끄럼 방지층 및 코팅층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바닥재는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1),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S2),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S3), 미끄럼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S4) 및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5)를 거쳐 시공될 수 있다. 상기 바닥재의 두께는 2~5cm 정도로 포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생 기간은 24시간 정도면 충분하다. 방수층을 폴리싱하고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면 시공면이 매끄럽게 마무리되고 내마모성도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배합비에 따라 관입량, 작업성, 동적 안정도, 윤하중에 의한 두께 감소량, 악취 농도 저감 시험을 진행한 결과를 하기에서 설명한다.
실시예
상기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9의 구체적인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배합비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표 2는 각 실시예 1 내지 9의 관입량, 작업성, 동적안정도, 윤하중에 의한 두께 감소량, 황화합물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의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시험 결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1. 아스팔트 바인더 침입도에 따른 시험결과
아스팔트 바인더 침입도에 따른 시험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그룹 1(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 그룹 2 (실시예 4, 실시예 5 및 실시예 6) 및 그룹 3 (실시예 7, 실시예 8 및 실시예 9)으로 나누었다. 아스팔트 바인더 침입도(이하 침입도)를 6, 16 및 29로 설정하여 그룹을 나누었으며, 침입도의 증가에 따라 관입량 및 윤하중에 의한 두께 감소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동적안정도 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경도 및 소성변형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관입량(1~4mm), 윤하중에 의한 두께 감소량(3mm 이하) 및 동적안정도(2000회/mm 이상)의 품질 기준을 고려 시, 그룹 1 내지 그룹 3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아스팔트 바인더 침입도가 6 이하 또는 29 이상일 때 상기 품질 기준을 만족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아스팔트 바인더 침입도는 5 내지 30이 바람직한 범위로 판단된다.
2. 체 크기별 통과 중량에 따른 시험결과
체 크기별 통과 중량에 따른 시험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그룹 1(실시예 1, 실시예 4 및 실시예 7), 그룹 2(실시예 2, 실시예 5 및 실시예 8) 및 그룹 3(실시예 3, 실시예 6 및 실시예 9)으로 나누었다. 5mm 체 통과 중량이 가장 낮은 그룹 1에서 관입량 및 작업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그룹 1의 조성물로 작업을 진행하였을 때 시공이 어려울 정도로 수작업에 의한 평탄화 작업이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5mm 이상의 굵은 골재가 많고 전반적으로 골재 크기가 커짐에 따라 골재 간의 걸림 현상이 증가하여 수작업 진행에 어려움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다.
3. 합성왁스 함량에 따른 시험결과
합성왁스 함량에 따른 시험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그룹 1(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 그룹 2(실시예 4, 실시예 5 및 실시예 6) 및 그룹 3(실시예 7, 실시예 8 및 실시예 9)으로 나누었다. 합성왁스는 아스팔트 바인더의 점도를 저감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로써, 합성왁스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와 첨가했을 때를 비교하였을 때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합성왁스 함량이 0.5%일 때 0.2%에 비해 작업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는 필요 이상의 점도 저하에 따른 골재와 바인더의 재료 분리 현상이 발생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합성왁스 함량은 작업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였을 때 0.5% 이하의 함량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기능성 첨가제 함량에 따른 시험결과
기능성 첨가제 함량에 따른 시험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그룹 1(실시예 1, 실시예 4 및 실시예 7), 그룹 2(실시예 2, 실시예 5 및 실시예 8) 및 그룹 3(실시예 3, 실시예 6 및 실시예 9)으로 나누었다. 기능성 첨가제는 고온 상태의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에서 방출되는 냄새를 저감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기능성 첨가제 첨가 유무에 따라 황화합물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성 첨가제 증가율 대비 황화합물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함량의 감소 비율은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냄새 저감 효율 및 경제성 관점에서 볼 때 1.0% 이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청구범위를 통해 한정되지 않은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아스팔트 침입도가 5 내지 30인 건축물 바닥재용 아스팔트 바인더 6 내지 10 중량%,
    굵은골재, 잔골재, 채움재 중 2개 이상의 골재를 포함하고,
    5mm 체에서 70 내지 90 중량%를 통과하고,
    2.5mm 체에서 55 내지 75 중량%를 통과하고,
    0.6mm 체에서 35 내지 50 중량%를 통과하고,
    0.3mm 체에서 25 내지 40 중량%를 통과하고,
    0.15mm 체에서 20 내지 35 중량%를 통과하고,
    0.08mm 체에서 15 내지 30 중량%를 통과하도록 만들어진 합성골재 89 내지 93 중량%,
    Fischer-Tropsch 공법으로 제조된 합성왁스 0.05 내지 0.5 중량%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10 내지 30 중량%, 귤껍질 에센셜 오일, 오렌지 껍질 에센셜 오일, 유향 에센셜 오일 및 몰약 에센셜 오일 중 1개 이상의 천연 에센셜 오일 20 내지 40 중량% 및 씨앗으로부터 추출된 식물성 오일 30 내지 70 중량%로 혼합된 냄새 저감을 위한 기능성 첨가제를 상기 건축물 바닥재용 아스팔트 바인더 대비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고,
    DIN 18560-AS-IC 40 규격에 따른 관입량이 1 내지 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골재는 표면 디자인 형성을 위해, 상기 5mm 체에 잔류한 합성골재의 50 내지 100 중량%의 유색골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3. 청구항 1의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건축물 바닥재 시공방법에 있어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 상부에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과 방수층 사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는 아스팔트계 프라이머 및 아스팔트계 에폭시 프라이머 중 하나를 사용하고,
    상기 보호층은 유리섬유부직포 및 역청고무계 아스팔트 시트 중 하나를 사용하고,
    상기 방수층 상부에 5 내지 7호 규사를 도포하여 미끄럼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수층을 폴리싱하여 골재를 노출하고,
    세라믹계, 에폭시계 및 MMA계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재의 두께는 2 내지 5cm로 포설하고,
    상기 바닥재의 양생 시간은 24시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건축물 바닥재 시공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40026365A 2024-02-23 2024-02-23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 시공방법 Active KR102677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6365A KR102677336B1 (ko) 2024-02-23 2024-02-23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6365A KR102677336B1 (ko) 2024-02-23 2024-02-23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7336B1 true KR102677336B1 (ko) 2024-06-24

Family

ID=91711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6365A Active KR102677336B1 (ko) 2024-02-23 2024-02-23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73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933B1 (ko) * 2008-04-30 2009-01-28 (주)대호특수건설 콘크리트 구조물의 3중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1045361B1 (ko) * 2011-01-24 2011-06-30 우리개발주식회사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및 도막형 바닥재
KR102266762B1 (ko) * 2021-03-17 2021-06-18 우산건설 주식회사 단기 양생 프라이머를 이용한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도로포장방법
KR20220089356A (ko) * 2020-12-21 2022-06-28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바닥재용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구조물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933B1 (ko) * 2008-04-30 2009-01-28 (주)대호특수건설 콘크리트 구조물의 3중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1045361B1 (ko) * 2011-01-24 2011-06-30 우리개발주식회사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및 도막형 바닥재
KR20220089356A (ko) * 2020-12-21 2022-06-28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바닥재용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266762B1 (ko) * 2021-03-17 2021-06-18 우산건설 주식회사 단기 양생 프라이머를 이용한 구스 매스틱 아스팔트 도로포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4006165A1 (de) Wasserdurchlässiger Bodenbela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zur Herstellung eines Bodenbelags
US9139960B2 (en) Paving with a pollution-abating activity and a photocatalytic mixture for its preparation
US2798822A (en) Method of forming a surface covering
Kar A laboratory study of bituminous mixes using a natural fibre
KR101134498B1 (ko) 친환경 주차장 바닥재 시공방법
Moreno et al. Reuse of sludge from the decorative quartz industry in hot bituminous mixes
KR102677336B1 (ko) 건축물 바닥재용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바닥 시공방법
KR101221783B1 (ko) 수용성 고무칼라 아스팔트 몰탈 및 그 시공방법
KR102207040B1 (ko) Ldpe를 포함하는 불투수성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07012B1 (ko)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불투수성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EP0556194A1 (de) Lufttrocknende bindemittel.
KR102207013B1 (ko) 폐타이어 분말을 포함하는 불투수성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27898B1 (ko) 바닥재용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구조물의 시공방법
Hashim et al. A comparison study between porous and conventional asphalt concrete mixtures
Villegas et al. Use of foamed asphalt and foamed bitumen for recycled asphalt mixtures: a review
CN106187057A (zh) 一种水泥基自流平干粉砂浆及其制备方法
Iwanski et al. Application of recycled aggregates to the road base mixtures with foamed bitumen in the cold recycling technology
KR20010099200A (ko) 도로포장재 조성물
Townsend et al. Construction Materials and Their Properties
KR102188826B1 (ko)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sis 및 개선된 입도분포의 골재를 포함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DE202004001884U1 (de) Wasserdurchlässiger Bodenbelag
KR102188827B1 (ko)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및 sis를 포함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DE2319535A1 (de) Risse ueberbrueckendes, isolierendes bodenbelagsystem
KR102220486B1 (ko) 고강도 재생 상온 아스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고강도 상온 아스콘
KR102188824B1 (ko)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si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6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