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6750B1 - Impeller - Google Patents
Impel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6750B1 KR102676750B1 KR1020230153023A KR20230153023A KR102676750B1 KR 102676750 B1 KR102676750 B1 KR 102676750B1 KR 1020230153023 A KR1020230153023 A KR 1020230153023A KR 20230153023 A KR20230153023 A KR 20230153023A KR 102676750 B1 KR102676750 B1 KR 1026767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peller
- hub
- fluid
- vanes
- su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claims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4 vap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4—Va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205—Conventional flow pattern
- F04D29/2222—Construction and assemb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9—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10—Stators
- F05D2240/12—Fluid guiding means, e.g. va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20—Rotors
- F05D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상 능력을 향상시켜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임펠러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허브와, 상기 허브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방사형을 따라 구성되어 유체의 흡입을 유도하여 토출시키되, 허브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 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시작하여, 유선형으로 끝단을 형성하고 시작폭에 비해 끝으로 갈수록 끝폭이 협소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허브와 인접한 위치에서 유체를 흡입시키는 흡입측과 상기 흡입된 유체를 토출시키는 토출측으로 구성된 날개차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차는 상기 허브를 중심으로 r1 반경 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방사형을 따라 구성되며, 제 1 길이을 갖는 n(3이상의 자연수)개의 제 1 베인과, 상기 제 1 베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길이보다 작은 크기의 제 2 길이를 가지며, 상기 r1 반경보다 기 설정된 값만큼 큰 r2 반경을 갖는 n개의 제 2 베인을 포함하는 고흡상형 임펠러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eller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a pump by improving suction capacity. To this end, an impeller is configured with a hub and radially at positions spaced apart by a preset distance around the hub to induce suction of fluid and discharge it. However, starting from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hub by a preset radius, the end is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and the end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end compared to the starting width, and the suction side sucks flui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hub. and an impeller consisting of a discharge side that discharges the sucked fluid, wherein the impeller is configured along a radial line at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radius r1 around the hub, and has n (a natural number of 3 or more) first lengths. A high suction type impeller including one vane and n second vanes disposed between the first vanes, having a second length smaller than the first length, and having an r2 radius larger than the r1 radius by a preset value. can be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펌프의 캐비테이션 저감 및 이를 통해 펌프의 흡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임펠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eller that can reduce cavitation of a pump and thereby improve the suction power of the pump.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below simp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is embodiment and does not constitute prior art.
일반적으로, 펌프는 임펠러를 회전시켜 물에 회전력을 주어서 원심력 작용으로 양수하는 펌프로서, 베인(vane)이 형성된 임펠러, 임펠러를 지지하는 축, 및 축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모터 등으로 포함한다.In general, a pump is a pump that rotates an impeller to give rotational force to water and pump water through centrifugal force, and includes an impeller with a vane, a shaft that supports the impeller, and a motor that rotates the shaft.
펌프는 유체가 먼저 흡입유로를 통하여 임펠러 중심부에 들어가서 베인 사이를 통과하는 사이에 회전력을 받아 압력이 증가하고, 베인을 지나는 동안 속도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변환하면서 케이싱에 들어간다. 이때, 케이싱은 임펠러에서 나오는 유체를 모아서 토출구로 토출시킨다.In the pump, the fluid first enters the center of the impeller through the suction passage, receives rotational force while passing between the vanes, and the pressure increases. While passing through the vanes, the velocity energy is converted into pressure energy and enters the casing. At this time, the casing collects the fluid coming out of the impeller and discharges it through the discharge port.
상술한 바와 같이, 펌프는 유체를 흡입 및 상승(흡상)시켜 이송한다. 즉, 펌프는 임펠러의 회전을 통해 유체를 흡상시켜 이송한다. 이때, 펌프가 유체를 운송할 수 있는 높이 또는 압력(이하, '흡상력' 이라고 함)을 보통 m 단위로 표시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ump transports the fluid by suctioning and rising (suction). In other words, the pump sucks and transports fluid through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At this time, the height or pressure at which the pump can transport fluid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ction power') is usually expressed in m units.
이에 따라, 유체가 물인 경우 펌프가 대기압 하에서 흡상력이 10m 이상의 흡상력을 가질 수 없다. 실제, 흡입 배관 중의 마찰 손실과 속도 헤드에 의해 압력 일부가 사용되기 때문에 10m의 흡상력으로 유체를 흡입할 수 없다.Accordingly, when the fluid is water, the pump cannot have a suction power of 10 m or more under atmospheric pressure. In reality, it is not possible to suction fluid with a suction force of 10 m because some of the pressure is used due to friction loss in the suction pipe and the velocity head.
만약, 10m 이상으로 유체를 흡상하면, 펌프는 캐비테이션이 발생하여 각종 장애가 발생되고, 펌프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If fluid is sucked beyond 10m, cavitation may occur in the pump, causing various problems and shortening the life of the pump.
캐비테이션은 액체 중에서 기화에 의해 공동(cavity) 현상을 발생시키는 것을 의미하는데, 펌프 임펠러의 입구부에서 국부적으로 정압이 양액의 포화증기압까지 내려가서, 증기의 미세한 기포가 다수 발생하는 비등현상을 의미한다.Cavitation refers to the creation of a cavity phenomenon in a liquid by vaporization. It refers to a boiling phenomenon in which the local static pressure at the inlet of the pump impeller falls to the saturated vapor pressure of the nutrient solution, generating many fine vapor bubbles. .
즉, 흡입압이 낮게하여 캐비테이션이 발생되면, 기포가 임펠러 유로를 쓸모없게 해서 효율과 전양정이 저하하고, 결국 전양정의 급저하로 인해 양수 불능 상태가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suction pressure is low and cavitation occurs, air bubbles render the impeller passage useless, reducing efficiency and total head, and ultimately leading to a sudden drop in total head, resulting in the impossibility of pumping.
또한, 기포 발생은 펌프에 소음과 진동을 유발하며, 이 상태가 지속되면 기포의 소명 시 발생하는 충격압에 의해 임펠러와 케이싱의 표면이 손상된다.In addition, the generation of bubbles causes noise and vibration in the pump, and if this condition continues, the surfaces of the impeller and casing are damaged by the shock pressure generated when the bubbles disappear.
본 발명은 유체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날개차를 갖는 임펠러에 있어서, 흡입구측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는 형태의 베인을 갖는 날개차를 형성함으로써, 임펠러의 흡입구 직전의 압력 강하를 눌일 수 있기 때문에 캐비테이션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고흡상형 임펠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eller having an impeller that sucks in and discharges a fluid. By forming an impeller with vanes in a shape that can increase the area of the inlet side, the pressure drop just before the inlet of the impeller can be suppressed, thus preventing cavitation. We provide a high suction type impeller that can reduce gener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s. will be.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흡상형 임펠러는 유체를 흡입구에서 토출구 측으로 유동시키도록 펌프의 임펠러에 있어서, 허브와, 상기 허브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방사형을 따라 구성되어 유체의 흡입을 유도하여 토출시키되, 허브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 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시작하여, 유선형으로 끝단을 형성하고 시작폭에 비해 끝으로 갈수록 끝폭이 협소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허브와 인접한 위치에서 유체를 흡입시키는 흡입측과 상기 흡입된 유체를 토출시키는 토출측으로 구성된 날개차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차는 상기 허브를 중심으로 r1 반경 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방사형을 따라 구성되며, 제 1 길이을 갖는 n(3이상의 자연수)개의 제 1 베인과, 상기 제 1 베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길이보다 작은 크기의 제 2 길이를 가지며, 상기 r1 반경보다 기 설정된 값만큼 큰 r2 반경을 갖는 n개의 제 2 베인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o be solved above, the high suction type impe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eller of a pump to flow fluid from the inlet to the discharge port, and has a hub spaced apart from the hub by a preset distance. It is configured radially from the position to induce suction and discharge of fluid, but starting from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set radius around the hub, the end is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and the end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end compared to the starting width. It is provided with an impeller consisting of a suction side for sucking flui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hub and a discharge side for discharging the sucked fluid, and the impeller is configured along a radial line at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radius r1 around the hub. n (a natural number of 3 or more) first vanes having a first length, and r2 disposed between the first vanes and having a second length smaller than the first length, and a radius r2 larger than the r1 radius by a preset value. It may include n second vanes having a radiu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n개의 제 1 및 제 2 베인 각각은 상기 허브를 기준으로 내측면에 해당되는 부분면은 유체의 원활한 유동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유선형의 유선면과, 상기 허브를 기준으로 외측면에 해당되는 부분면은 유체의 유동에 대한 지지력을 가지도록 형성된 사선의 사선면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n first and second vanes has a par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hub, a streamlined surface formed to support the smooth flow of fluid, and a par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hub. The par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may include a diagonal diagonal surface formed to have support for the flow of flui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베인의 개수가 3개인 경우 상기 제 2 베인은 상기 제 1 베인의 제 1 길이보다 3-10% 만큼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vanes is three, the second vane may have a size that is 3-10% smaller than the first length of the first va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베인은 상기 허브의 양단 각각에 형성된 전후면 슈라우드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전후면 슈라이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는 상기 전후면 슈라우드의 구조적 형상 차이에 의해 작용하는 압력 불균형을 상쇄시키기 위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백베인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vanes are formed inside the front and rear shrouds formed at each end of the hub, and the structural shape of the front and rear shrouds is locat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hroud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back vane formed to offset pressure imbalance caused by the differe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베인은 상기 허브의 배면에 형성된 후면 슈라우드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후면 슈라우드는 기 제 1 및 제 2 베인의 개수 및 길이, 두께, 무게 및 재질을 고려하여 결정된 개수 만큼 외측에 형성된 백베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vanes are formed inside a rear shroud formed on the back of the hub, and the rear shroud has the number, length, thickness, weight, and The number of back vanes formed on the outside may be further included a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백베인은 양단 각각에 형성되어, 유체와의 마찰을 최소화되도록 유도함과 함께 분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모따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vane may be formed at each end and include a chamfer that guides friction with the fluid to be minimized and supports smooth dispersion.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유체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날개차를 갖는 임펠러에 있어서, 흡입구측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는 베인를 갖는 날개차를 형성함으로써, 임펠러의 흡입구 직전의 압력 강하를 눌일 수 있기 때문에 캐비테이션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an impeller having an impeller that sucks in and discharges a fluid, by forming an impeller with vanes that can increase the area of the inlet side, the pressure drop just before the inlet of the impeller can be suppressed. This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cavit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의 날개차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날개차에서 제 1 및 제 2 베인의 형성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베인의 구성 상태를 보인 임펠러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가 적용된 양흡입 펌프의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mpe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an impe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impeller impe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ormation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vanes in the impe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impelle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ck v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of a double suction pump to which an impeller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is provided to facilitat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nly for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meanings.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one or more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existence or possibility of any other characteristic, number, step, operation, element, or part or combination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흡상력을 향상을 위한 임펠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impeller for improving suction pow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의 날개차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날개차에서 제 1 및 제 2 베인의 형성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베인의 구성 상태를 보인 임펠러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가 적용된 양흡입 펌프의 도면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mpe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an impe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This is an enlarged view of the impeller impe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ormation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vanes in the impe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vanes in the impe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of the impelle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ck v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diagram of a double suction pump to which the impe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1)는 임펠러(10)를 회전시켜 물에 회전력을 주어서 원심력 작용으로 양수하는 것으로서, 편흡입 펌프, 양흡입 펌프, 볼류트 펌프, 터빈 펌프 등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pump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impeller 10 to give rotational force to water to pump water through centrifugal force, and is comprised of a single suction pump, a double suction pump, It may be a volute pump, a turbine pump,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10)는 펌프(1) 등에 장착되어,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으로 유체를 흡입구(12) 측에서 토출구(14) 측으로 강제 토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펠러(10)는 양단 각각에 구성되는 전후면 슈라우드(110, 120), 전후면 슈라이드(110, 120)의 중앙에 구성되어 전후면 슈라우드(110, 12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허브(130), 전후면 슈라우드(110, 120) 사이에 구성되어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유체의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날개차(140)로 구성될 수 있다.The impell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pump 1, etc., and can forcibly discharge fluid from the suction port 12 side to the discharge port 14 side by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rotation. Specifically, the impeller 10 is a hub configured to support the front and rear shrouds 110 and 120, respectively, at both ends, and the front and rear shrouds 110 and 120, respectively, at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shrouds 110 and 120. (130), it may be composed of an impeller 140 that is configur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shrouds 110 and 120 to support suction and discharge of fluid by centrifugal force caused by rotation.
또한, 전후면 슈라우드(110, 120)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 각각에 구성되어 전후면 슈라우드(110, 120) 각각에 작용하는 압력의 차이를 최소화시켜 축 스러스트를 저감시키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백베인(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임펠러(10)가 클로즈 타입(전후면 슈라우드를 모두 구비함)인 경우 백베인(160)은 전후면 슈라우드(110, 120)의 양측 또는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임펠러(10)가 오픈 타입(후면 슈라우드만을 구비함)인 경우 백베인(160)은 후면 슈라우드(120)에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back vane ( 160) can be further included. That is, if the impeller 10 is a close type (equipped with both front and rear shrouds), the back vane 160 can be formed on both sides or only one of the front and rear shrouds 110 and 120, and the impeller 10 In the case of an open type (equipped only with a rear shroud), the back vane 160 can be formed only on the rear shroud 120.
전면 슈라우드(110)는 허브(130)의 일단 예컨대, 전면에 일정 면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ront shroud 11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certain area at one end of the hub 130, for example, at the front.
후면 슈라우드(120)는 허브(130)의 타단 예컨대, 배면에 일정 면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ear shroud 12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certain area at the other end of the hub 130, for example, on the back.
전후면 슈라우드(110, 120)가 허브(130)의 양단 각각에 일정 면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경우(클로즈타입의 임펠러), 임펠러(10)에는 전후면 슈라우드(110, 120)의 사이 공간에 유체의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즉, 임펠러(10)는 허브(130)의 전면에 해당되는 위치의 전후면 슈라우드(110, 120)의 사이에 흡입구(12)가 형성되고, 허브(130)의 배면 측에 해당되는 위치의 전후면 슈라우드(110, 120)의 사이에 토출구(14)가 구성된다. 또한, 전후면 슈라우드(110, 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는 흡입구(12)에서 토출구(14)로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전면 슈라우드(110)는 허브(130)의 전면에 구성되는 특성에 의해 임펠러(10)의 고속 회전시 유체와의 마찰로 손상을 최소화시키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후면 슈라우드(120)는 허브(130)의 배면에 구성되는 특성 예컨대, 펌프의 일측에 구성되는 모터와의 기밀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구조를 채택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front and rear shrouds (110, 120) are configured to have a certain area at each end of the hub (130) (closed type impeller), the impeller (10) has flui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shrouds (110, 120). A flow path is formed to allow suction and discharge. That is, the impeller 10 has an inlet 12 form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shrouds 110 and 1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hub 130, and the front and rear of the impeller 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hub 130. A discharge port 14 is formed between the face shrouds 110 and 120. In addition, the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shrouds 110 and 120 is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to induce a smooth flow of fluid from the intake port 12 to the discharge port 14. In this case, the front shroud 110 is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to minimize damage due to friction with the fluid when the impeller 10 rotates at high spe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ont shroud 130, and the rear shroud 120 is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adopts a structure to maintain airtightness with a characteristic formed on the back of the hub 130, and a motor formed on one side of the pump.
허브(130)는 중앙에 구성되어, 전후면 슈라우드(110, 120)를 지지함과 함께, 펌프(1)에 구성되는 모터와의 연결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함으로써, 임펠러(10)의 고속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한다. 이 경우, 상기 허브(130)의 중앙에는 모터에서 연장되는 모터축이 삽입 및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삽입공(1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hub 130 is located at the center, supports the front and rear shrouds 110 and 120, and maintains a connection with the motor included in the pump 1, allowing the impeller 10 to rotate at high speed. Support to make it happen. In this case, the center of the hub 130 may include an insertion hole 132 that supports insertion and fixation of the motor shaft extending from the motor.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펌프(1)에서 임펠러(10)는 흡상 능력의 향상시키기 위해서 유체가 유입되어 부분, 흡입구(12)의 크기를 크게 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날개차(14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펠러(10)의 날개차(140)는 허브(13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제 1 반경(r1)에 끝단을 시작점으로 해서 배치되는 n(n은 3 이상의 자연수)개의 제 1 베인(142) 및 제 1 베인(142)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반경(r1)보다 큰 값의 제 2 반경(r2) 내 끝단을 시작점으로 해서 배치되는 n개의 제 2 베인(144)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ump 1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impeller 10 may be provided with an impeller 140 having a structure to increase the size of the intake port 12, a portion through which fluid flows, in order to improve the suction capacity. You can. Specifically, the impeller 140 of the impeller 10 has n (n is a natural number of 3 or more) number of first vanes ( 142) and the first vane 142, and may be composed of n second vanes 144 arranged with the end within the second radius r2 having a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radius r1 as the starting point. .
또한, 제 2 베인(144) 각각은 제 1 베인(142)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고, 허브(13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베인(142)은 3개로 구성되고, 제 2 베인(144))은 3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 1 및 제 2 베인(142, 144)의 개수는 설치 목적, 설치환경 또는 양정효율 등에 따라 개소를 달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second vanes 144 is disposed between each of the first vanes 142, and may be configured in a plurality radially around the hub 130. For example, the first vane 142 may be composed of three vanes, and the second vane 144 may be composed of three vanes. Of course,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number of first and second vanes 142 and 144 may vary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urpose, installation environment, or head efficiency.
제 1 베인(142)은 허브(13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제 1 반경(r1) 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시작하여 후면 슈라우드(120)의 외주연에서 끝나도록 형성되며, 제 2 베인(144)은 허브(13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제 2 반경(r2) 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시작하여 후면 슈라우드(120) 외주연에서 끝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베인(142, 144)은 인벌류트 곡선과 같이 유체가 흡입구(12)에서 토출구(14)로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며, 제 2 반경(r2)은 제 1 반경(r1)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베인(142)은 제 2 베인(144)보다 제 1 및 제 2 반경(r1, r2)간의 차이값 만큼 길게 형성됨으로써, 흡입구(12)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The first vane 142 starts at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first radius r1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hub 130 and is formed to en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ar shroud 120, and the second vane 144 is It may be formed to start at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second radius r2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hub 130 and en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ar shroud 120.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vanes 142 and 144 are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like an involute curve to allow fluid to flow smoothly from the suction port 12 to the discharge port 14, and the second radius r2 is It may have a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radius (r1). Accordingly, the first vane 142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second vane 144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adii (r1, r2), so that the size of the suction port 12 can be increased.
또한, 제 1 및 제 2 베인(142, 144)에서 흡입구(12) 측에 위치되는 시작에 해당되는 부분을 시작폭(L1)이라 하고, 토출구(14) 측에 위치되는 끝에 해당되는 부분을 끝폭(L2)이라 하며, 시작폭(L1)과 끝폭(L2)은 1 : 0.3 ~ 0.6 길이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시작폭이 끝폭보다 큰 것은 원심력에 의해 흡입되는 유체와의 충격에 의해 손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이 경우, 끝폭(L2)이 0.3 길이비율 이하이면 원심력을 가지는 유체에 의해 제 1 및 제 2 베인(142, 144)의 끝부분이 쉽게 손상될 수 있고, 0.6 초과하면 무게 증가로 회전효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start located on the suction port 12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vanes 142 and 144 is called the starting width L1, and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end located on the discharge port 14 side is called the end width. It is called (L2), and the start width (L1) and end width (L2) can be formed in a length ratio of 1:0.3 to 0.6. Here, the reason why the starting width is larger than the ending width is to minimize damage caused by impact with the fluid sucked by centrifugal force. In this case, if the end width (L2) is less than 0.3 length ratio,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vanes (142, 144) can be easily damaged by fluid with centrifugal force, and if it exceeds 0.6, rotation efficiency is reduced due to increased weight. You can do it.
또한, 제 1 및 제 2 베인(142, 144)은 허브(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작과 끝 사이의 둔각의 형성각(a1)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및 제 2 베인(142, 144)의 형성각(a1)은 160°~ 175°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and second vanes 142 and 144 may be formed with an obtuse formation angle a1 between the start and en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ub 130. Here, the formation angle (a1) of the first and second vanes 142 and 144 may be 160° to 175°.
한편, 제 1 및 제 2 베인(142, 144)으로 구성된 날개차(140)는 전면 슈라이드(110)와 후면 슈라이드(120)를 구비하는 클로즈 타입의 임펠러(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날개차(140)는 전면 슈라우드(110)의 면에 밀착되는 제1밀착면(140a), 후면 슈라이드(120)의 면에 밀착되는 제2밀착면(140b)을 구비하되, 시작에서 끝으로 갈수록 제2밀착면(140b)에 대하여 제1밀착면(140a)이 협소해도록 한다.Meanwhile, the impeller 140 composed of the first and second vanes 142 and 144 may be formed on a close-type impeller 10 having a front shroud 110 and a rear shroud 120. In this case, the impeller 140 is provided with a first contact surface 140a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front shroud 110 and a second contact surface 140b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rear shroud 120. The first contact surface 140a becomes narrower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tact surface 140b from end to end.
한편, 날개차(140)가 오픈 타입의 임펠러(10)에 형성될 때, 즉 후면 슈라이드(120)만을 구비한 임펠러(10)에 형성될 경우 제2밀착면(140b)만 후면 슈라이드(120)에 밀착되어 날개차(140)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mpeller 140 is formed on the open type impeller 10, that is, when it is formed on the impeller 10 provided only with the rear shroud 120, only the second contact surface 140b is formed on the rear shroud ( The impeller 140 may be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120).
한편, 상술한 임펠러(10)의 제 1 및 제 2 베인(142, 144)을 갖는 날개차(140)의 단면은 허브(130)를 기준으로 내측에 해당되는 면으로서 날개차(140)의 시작폭(L1)에서 끝폭(L2)으로 유체의 원활한 유도 및 유체와 충격을 분산시키도록 지지하는 유선형의 유선면(146)으로 형성되고, 허브(130)를 기준으로 외측에 해당되는 면으로서 단면두께를 지지함과 함께 유체를 분산시켜 원활한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선형상의 사선면(148)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ross section of the impeller 140 having the first and second vanes 142 and 144 of the impeller 10 described above is a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ide with respect to the hub 130 and is the start of the impeller 140. It is formed as a streamlined surface 146 that supports smooth guidance of fluid and dispersion of fluid and impact from the width L1 to the end width L2, and has a cross-sectional thickness as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based on the hub 130. It may be composed of a diagonal surface 148 in a diagonal shape to support and disperse the fluid to ensure smooth flow.
이러한 구조를 갖는 날개차(140)를 이용함으로써,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12)측의 크기를 크게하여 동일한 유효흡입수두(NPSHa)에서 필요흡입수두(NPSHr)를 낮출 수 있는데,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By using the impeller 140 having this structure, the size of the suction port 12 through which fluid is sucked can be increased to lower the required suction head (NPSHr) at the same effective suction head (NPSHa). The explanation is as follows.
제 1 및 제 2 베인(142, 144)의 형성 위치의 차이로 인해 제 1 및 제 2 베인(142, 144)는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및 제 2 베인(142, 144) 각각의 개수가 3개인 경우 제 2 베인(144)은 제 1 베인(142)의 제 1 길이보다 3-10%만큼 작은 길이(이하, '제 2 길이'라고 함)를 갖도록 형성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Due to differences in formation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vanes 142 and 144, the first and second vanes 142 and 144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Specifically, when the number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vanes 142 and 144 is three, the second vane 144 has a length (hereinafter, ' It may be desirable to adjust the forming position to have a 'second length').
다시말해서, 제 1 베인(142)의 형성 위치인 허브(13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제 1 반경(r1)에서 형성될 때, 제 2 베인(144)의 경우 제 1 길이보다 3-10%만큼 작은 길이를 갖도록 하기 위한 위치, 즉 허브(13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제 2 반경(r2)에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vane 142 is formed at a first radius r1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hub 130, which is the formation position, the second vane 144 is 3-10%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It may be desirable to form it at a location to have a small length, that is, at a second radius r2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hub 130.
한편, 제 2 베인(144)의 제 2 길이는 펌프(1)의 설치 위치(해발고도), 대기압(Pa), 포화증기압(kgf/m2)(Pvp), 비중량(kgf/m3)(r), 흡입수두(m)(Hz), 펌프(1)와 연결된 흡입관에 따른 손실수두(m)(Hf), 이송액체의 종류 및 온도를 토대로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된 유효흡입수두(NPSHa)를 이용하여 펌프(1) 자체에서 발생되는 손실 수두인 필요흡입수두(HPSHr)가 아래의 수학식 2에 만족하는 조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length of the second vane 144 is determined by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pump 1 (elevation above sea level), atmospheric pressure (Pa), saturated vapor pressure (kgf/m2) (Pvp), specific weight (kgf/m3) (r) ), suction head (m) (Hz), loss head (m) (Hf) according to the suction pipe connected to the pump (1), effective suction head ( Using NPSHa), the required suction head (HPSHr), which is the loss head generated from the pump 1 itself,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that satisfies Equation 2 below.
수학식 2에서 a는 여유률을 의미할 수 있다.In Equation 2, a may mean margin ratio.
한편, 백베인(160)은 전면 슈라우드(110) 또는 후면 슈라우드(120)에 구성되어 전후면 슈라우드(110, 120)의 구조적 차이에 의한 면적 불균형으로 작용하는 압력 차이를 상쇄시킴으로써, 축 스러스트를 최소화시켜 진동 유발을 억제시켜 펌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예컨대, 백베인(160)은 후면 슈라우드(120)에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back vane 160 is configured on the front shroud 110 or the rear shroud 120 to minimize the axial thrust by canceling out the pressure difference that acts as an area imbalance due to the structural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shrouds 110 and 120. This suppresses vibration and improves the durability of the pump. For example, the back vane 160 may be formed on the rear shroud 120.
또한, 백베인(160)은 후면 슈라우드(120)에 일정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허브(130)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ack vane 160 may be formed to have a certain height on the rear shroud 120 and may be form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hub 130.
또한, 백베인(16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라우드에 작용하는 압력을 원활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s shown in FIG. 6, the back vane 160 may be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to smoothly distribute the pressure acting on the shroud.
또한, 백베인(160)의 양단 각각은 유체와의 마찰을 최소화함과 함께, 유체에 대한 압력 분산작용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모따기(162)를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end of the back vane 160 may be provided with a chamfer 162 that minimizes friction with the fluid and supports the fluid to smoothly distribute pressure.
이에 따라, 상기 백베인(160)은 전후면 슈라우드(110, 120)의 구조적 형상 차이에 의한 압력 불균형을 상쇄시켜 축 스러스트를 저감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백베인(160)은 후면 슈라우드(120)에 형성할 경우, 배면에 작용하는 압력을 토출구(14) 측으로 유입시키도록 유도하여 축 스러스트를 저감시키는 부수적 효과를 가질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back vane 160 reduces axial thrust by offsetting the pressure imbalance caused by the structural shap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shrouds 110 and 120. In addition, when the back vane 160 is formed on the rear shroud 120, it may have the side effect of reducing axial thrust by inducing the pressure acting on the rear to flow into the discharge port 14.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임펠러(10)가 양흡입 펌프에 적용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양흡입 펌프의 흡입구(12)의 면적을 크게하여 흡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impeller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pplied to a double suction pump, it is as shown in FIG. 7. Specifically, the suction capacity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area of the suction port 12 of the double suction pump.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express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that are equivalent or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임펠러 110: 전면 슈라우드
120: 후면 슈라우드 130: 허브
132: 삽입공 140: 날개차
142: 제 1 베인 144 : 제 2 베인
140a: 제1밀착면 140b: 제2밀착면
146: 유선면 148: 사선면
160: 백베인 162: 모따기10: impeller 110: front shroud
120: rear shroud 130: hub
132: Insertion hole 140: Wing car
142: 1st vane 144: 2nd vane
140a: first contact surface 140b: second contact surface
146: streamlined side 148: diagonal side
160: back vane 162: chamfer
Claims (3)
허브와,
상기 허브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방사형을 따라 구성되어 유체의 흡입을 유도하여 토출시키되, 허브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 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시작하여, 유선형으로 끝단을 형성하고 시작폭에 비해 끝으로 갈수록 끝폭이 협소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허브와 인접한 위치에서 유체를 흡입시키는 흡입구 측과 상기 흡입된 유체를 토출시키는 토출구 측으로 구성된 날개차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차는,
상기 흡입구의 크기를 크게 하기 위한 구조를 갖되,
상기 허브를 중심으로 r1 반경 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방사형을 따라 구성되며, 제 1 길이을 갖는 n(3이상의 자연수)개의 제 1 베인과,
상기 제 1 베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길이보다 작은 크기의 제 2 길이를 가지며, 상기 r1 반경보다 기 설정된 값만큼 큰 r2 반경을 갖는 n개의 제 2 베인을 포함하며,
상기 n개의 제 1 및 제 2 베인 각각은,
상기 허브를 기준으로 내측면에 해당되는 부분면은 유체의 원활한 유동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유선형의 유선면과,
상기 허브를 기준으로 외측면에 해당되는 부분면은 유체의 유동에 대한 지지력을 가지도록 형성된 사선의 사선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베인의 개수가 3개이며, 상기 제 2 베인은 상기 제 1 베인의 제 1 길이보다 3-10% 만큼 작은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베인에서 흡입구 측에 위치되는 시작에 해당되는 부분을 시작폭(L1)이라 하고, 상기 토출구 측에 위치되는 끝에 해당되는 부분을 끝폭(L2)이라고 할 때, 시작폭(L1)과 끝폭(L2)은 1 : 0.3 ~ 0.6 길이비율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상형 임펠러.
In the impeller of the pump to flow fluid from the suction port to the discharge port,
herbs,
It is configured along a radial line at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set distance around the hub to induce suction and discharge the fluid. Starting from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set radius around the hub, the end is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and the starting width is Compared to the hub, the end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end, and is provided with an impeller consisting of an inlet side that suctions fluid and an outlet side that discharges the sucked flui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hub,
The wing car,
It has a structure to increase the size of the intake port,
n (a natural number of 3 or more) first vanes configured along a radial line at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radius r1 around the hub and having a first length;
It includes n second vanes disposed between the first vanes, having a second length smaller than the first length, and having an r2 radius larger than the r1 radius by a preset value,
Each of the n first and second vanes is,
The par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based on the hub is a streamlined surface formed to support the smooth flow of fluid,
The par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hub includes a diagonal diagonal surface formed to have support for the flow of fluid,
The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vanes is three, and the second vane has a size that is 3-10% smaller than the first length of the first vane,
In the first and second vanes,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start located on the suction port side is called the starting width (L1), and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end located on the discharge port side is called the end width (L2). ) and end width (L2) are high suction impeller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formed at a length ratio of 1:0.3 ~ 0.6.
상기 임펠러는,
허브의 양단 각각에 형성되어 내측에 날개차가 형성되도록 전면 및 후면 슈라우드를 구비하는 클로우즈타입이며,
상기 전면 또는 후면 슈라우드에는,
상기 전면 및 후면 슈라이드의 구조적 형상 차이에 의해 작용하는 압력 불균형을 상쇄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백베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상형 임펠러.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mpeller is,
It is a closed type with front and rear shrouds formed on both ends of the hub to form impellers on the inside.
In the front or rear shroud,
A high suction type impeller comprising at least one back vane that cancels out the pressure imbalance caused by the structural shap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shroud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53023A KR102676750B1 (en) | 2023-11-07 | 2023-11-07 | Impel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53023A KR102676750B1 (en) | 2023-11-07 | 2023-11-07 | Impell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76750B1 true KR102676750B1 (en) | 2024-06-20 |
Family
ID=9166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53023A Active KR102676750B1 (en) | 2023-11-07 | 2023-11-07 | Impell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6750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9322Y1 (en) | 2001-02-05 | 2001-07-19 | 김성기 | Centrifugal pump |
KR20110106946A (en) * | 2009-10-07 | 2011-09-29 |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Impeller of centrifugal compressor |
JP2015135068A (en) * | 2014-01-16 | 2015-07-27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Passage formation part and casing of centrifugal type rotary machine, and centrifugal type rotary machine |
JP2015178776A (en) * | 2014-03-18 | 2015-10-08 | テラル株式会社 | Centrifugal impeller and centrifugal pump including the same |
KR102228675B1 (en) * | 2020-03-27 | 2021-03-16 | 주식회사 남원터보원 | Impeller |
KR102428874B1 (en) * | 2021-12-01 | 2022-08-03 | (주)그린텍 | impeller for volute pump with double-suction |
-
2023
- 2023-11-07 KR KR1020230153023A patent/KR10267675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9322Y1 (en) | 2001-02-05 | 2001-07-19 | 김성기 | Centrifugal pump |
KR20110106946A (en) * | 2009-10-07 | 2011-09-29 |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Impeller of centrifugal compressor |
JP2015135068A (en) * | 2014-01-16 | 2015-07-27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Passage formation part and casing of centrifugal type rotary machine, and centrifugal type rotary machine |
JP2015178776A (en) * | 2014-03-18 | 2015-10-08 | テラル株式会社 | Centrifugal impeller and centrifugal pump including the same |
KR102228675B1 (en) * | 2020-03-27 | 2021-03-16 | 주식회사 남원터보원 | Impeller |
KR102428874B1 (en) * | 2021-12-01 | 2022-08-03 | (주)그린텍 | impeller for volute pump with double-su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167403B1 (en) | Centrifugal fluid machine | |
JP4295611B2 (en) | Flow stabilizer | |
JP3872966B2 (en) | Axial fluid machine | |
US9163642B2 (en) | Impeller and rotary machine | |
JP5879103B2 (en) | Centrifugal fluid machine | |
US9638211B2 (en) | Scroll tongue part and rotary machine including the same | |
KR102676750B1 (en) | Impeller | |
JP2012202260A (en) | Impeller and turbo machine including the same | |
CN205478525U (en) | Can realize single -stage centrifugal pump of axial force self -balancing | |
JP6064003B2 (en) | Centrifugal fluid machine | |
JP5558183B2 (en) | Turbo machine | |
CN109931289A (en) | A kind of vaneless diffuser of Voluteless fan | |
KR100790305B1 (en) | Centrifugal Turbo Impeller Drive Axial Blower | |
JP3899829B2 (en) | pump | |
US12258974B1 (en) | Impeller | |
CN117605707A (en) | A centrifugal fan impeller with a vortex generator structure | |
JP4079740B2 (en) | Axial fluid machine | |
CN113294342B (en) | Centrifugal pump | |
CN206636825U (en) | A kind of automobile engine cooling water pump composite impeller | |
KR102617798B1 (en) | Impeller | |
CN115467856A (en) | End wall self-adaptive jet device of axial flow compressor | |
KR102104513B1 (en) | Centrifugal fan for air-blowing | |
JP6839040B2 (en) | Centrifugal fluid machine | |
JP4174693B2 (en) | Centrifugal compressor diffuser | |
CN109519416B (en) | A centrifugal fa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11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6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