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6631B1 - 과민성 방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과민성 방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6631B1 KR102676631B1 KR1020210133441A KR20210133441A KR102676631B1 KR 102676631 B1 KR102676631 B1 KR 102676631B1 KR 1020210133441 A KR1020210133441 A KR 1020210133441A KR 20210133441 A KR20210133441 A KR 20210133441A KR 102676631 B1 KR102676631 B1 KR 1026766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ula
- overactive bladder
- preventing
- ctibd
- compou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bladd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 C07D26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6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6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61/1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BKca 채널을 활성화 시키는 효능이 우수하여, BKca 채널의 비활성화에 의한 방광 평활근 수축을 억제하고, 이로 인한 과민성 방광을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기에, 과민성 방광 치료제로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도 1의 B는 대표적인 8개의 화합물 및 vehicle(DMSO, 1%)의 형광 값을 RFU 값을 통해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의 C는 대표적인 8개의 화합물 및 vehicle(DMSO, 1%)의 형광 값을 fold increase 값을 통해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의 A는 compound 1 및 이의 유도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의 B는 compound 1 및 이의 유도체의 형광 값 결과를 RFU 값을 통해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의 C는 compound 1 및 이의 유도체의 형광 값 결과를 fold increase 값을 통해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의 A는 compound 1, compound 4, 및 compound 7의 BKca 채널 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기반 형광 어세이를 통해 형광 값 결과를 RFU 값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의 B는 compound 1, compound 4, 및 compound 7의 형광 값 결과를 fold increase 값을 통해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의 A는 다양한 농도의 CTIBD를 활동과잉 돌연변이 BKca 채널을 발현하는 AD-293 세포에 처리한 후 이의 형광 값을 RFU를 통해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의 B는 다양한 농도의 CTIBD를 활동과잉 돌연변이 BKca 채널을 발현하는 AD-293 세포에 처리한 후 이의 형광 값을 fold increase를 통해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전기생리 검사를 통해 CTIBD에 의한 BKca 채널의 바깥 전류의 역강화 유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의 A는 CTIBD 및 vehicle 처리 후, BKca 채널의 전류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의 B는 CTIBD의 G-V 관계에 대한 효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의 C는 CTIBD의 V1/2에 대한 효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의 A는 CTIBD 또는 vehicle을 처리하였을 때 BKca 채널의 활성화 상태의 전류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의 B는 CTIBD 또는 vehicle을 처리하였을 때 BKca 채널의 비활성화 상태의 전류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의 C는 CTIBD 또는 vehicle을 처리하였을 때 BKca 채널의 활성화 시간-전도도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의 D는 CTIBD 또는 vehicle을 처리하였을 때 BKca 채널의 비활성화 시간-전도도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의 A는 CTIBD가 분리된 랫트 방광 힘줄의 ACh-유도 수축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의 B는 Ach-유도 수축의 피크에 따른 CTIBD의 Ach-유도 수축 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의 A는 증류수, 아세트산, 및 CTIBD에 의한 랫트 내 방광내압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의 B는 증류수, 아세트산, 및 CTIBD에 의한 랫트 내 기저 압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의 C는 증류수, 아세트산, 및 CTIBD에 의한 랫트 내 배뇨 수축의 최대 압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의 D는 증류수, 아세트산, 및 CTIBD에 의한 랫트의 상호 수축 간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의 E는 증류수, 아세트산, 및 CTIBD에 의한 랫트의 배뇨 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CTIBD 및 이의 유도체가 BKca 채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화합물을 3uM 농도로 한 세포-기반 형광 어세이의 형광 값 결과를 RFU 값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CTIBD 및 이의 유도체가 BKca 채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화합물을 1uM 농도로 한 세포-기반 형광 어세이의 형광 값 결과를 RFU 값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CTIBD 및 이의 유도체가 BKca 채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화합물을 5uM 농도로 한 세포-기반 형광 어세이의 형광 값 결과를 RFU 값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CTIBD 및 이의 유도체가 BKca 채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화합물을 2uM 농도로 한 세포-기반 형광 어세이의 형광 값 결과를 RFU 값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TIBD | GM 90114 | ||
GM 90113 | GM 90116 | ||
GM 90120 | GM 90112 | ||
GM 90118 | GM 90119 | ||
GM 90115 | GM 90117 |
GM 90181 | GM 90178 | ||
GM 90170 | GM 90174 | ||
GM 90169 | GM 90172 | ||
GM 90179 | GM 90171 | ||
GM 90173 | GM 90167 | ||
GM 90164 | GM 90175 | ||
GM 90180 | GM 90166 | ||
GM 90165 | GM 90163 | ||
GM 90176 | GM 90177 | ||
GM 90168 |
GM Code | 구조 | 명칭 | NMR |
90113 | 4-(4-(4-fluorophenyl)-3-(trifluoromethyl)isoxazol-5-yl)benzene-1,3-diol | 1H NMR (CDCL3) δ 7.37-7.23 (m, 2H), 7.19-7.07 (m, 2H), 6.93 (d, J = 8.54 Hz, 1H), 6.43 (d, J = 2.44 Hz, 1H), 6.30 (dd, J = 8.54, 2.44 Hz, 1H). | |
90114 | 4-(4-(4-bromophenyl)-3-(trifluoromethyl)isoxazol-5-yl)benzene-1,3-diol | 1H NMR (DMSO-d6) 9.95 (s, 2H), 7.61 (d, J = 8.24 Hz, 2H), 7.20 (d, J = 8.24 Hz, 2H), 7.09 (d, J = 8.24 Hz, 1H), 6.32 (d, J = 2.14 Hz, 1H), 6.28 (dd, J = 8.39, 2.14 Hz, 1H). | |
90116 | 2-(4'-(5-(2,4-dihydroxyphenyl)-3-(trifluoromethyl)isoxazol-4-yl)-[1,1'-biphenyl]-4-yl)acetic acid | 1H NMR (DMSO-d6) δ 11.80 (s, 1H), 9.95 (s, 1H), 7.92 (s, 1H), 7.70 (d, J= 8.24 Hz, 2H), 7.63 (d, J = 8.24 Hz, 2H), 7.31 (dd, J = 8.24, 2.75 Hz, 4H), 7.10 (d, J = 8.54 Hz, 1H), 6.34 (d, J = 2.14 Hz, 1H), 6.25 (dd, J = 8.54, 2.14 Hz, 1H), 3.72 (s, 2H). | |
90118 | ethyl 2-(4'-(5-(2,4-dihydroxyphenyl)-3-(trifluoromethyl)isoxazol-4-yl)-[1,1'-biphenyl]-4-yl)acetate | 1H NMR (DMSO-d6) δ 9.98 (s, 1H), 7.95 (s,1H), 7.71 (d, J= 8.24 Hz, 2H), 7.65 (d, J = 8.24 Hz, 2H), 7.35 (dd, J = 8.24, 2.75 Hz, 4H), 7.08 (d, J = 8.54 Hz, 1H), 6.35 (d, J = 2.14 Hz, 1H), 6.26 (dd, J = 8.54, 2.14 Hz, 1H), 4.09 (q, J = 7.02 Hz, 2H), 3.70 (s, 2H), 1.19 (t, J = 7.02 Hz, 3H). | |
90119 | 4-(3-(trifluoromethyl)-4-(4'-(trifluoromethyl)-[1,1'-biphenyl]-4-yl)isoxazol-5-yl)benzene-1,3-diol | 1H NMR (DMSO-d6) δ 10.00 (s, 1H), 9.94 (s, 1H), 8.02-7.92 (m, 2H), 7.86-7.76 (m, 3H), 7.40 (d, J= 8.24 Hz, 2H), 7.11 (d, J = 8.24 Hz, 2H), 6.53 (s, 1H), 6.35 (d, J = 2.14 Hz, 1H), 6.28 (dd, J = 8.39, 2.14 Hz, 1H). | |
90120 | 4-(4-(4-(6-methoxypyridin-3-yl)phenyl)-3-(trifluoromethyl)isoxazol-5-yl)benzene-1,3-diol | 1H NMR (DMSO-d6) δ 9.98 (s, 1H), 8.52 (d, J= 2.44 Hz, 1H), 8.05 (dd, J = 8.70, 2.75 Hz, 1H), 7.94 (s, 1H), 7.71 (d, J = 8.24 Hz, 2H), 7.34 (d, J = 7.93 Hz, 2H), 7.08 (d, J = 8.54 Hz, 1H), 6.90 (d, J = 8.85 Hz, 1H), 6.34 (s, 1H), 6.26 (d, J = 8.54 Hz, 1H), 3.88 (s, 3H). | |
90163 | 4-chloro-6-(4-(4-chlorophenyl)-3-(trifluoromethyl)isoxazol-5-yl)benzene-1,3-diol | 1H NMR (DMSO-d6) δ 10.80 (s, 1H), 10.20 (s,1H), 7.49 (d, J= 8.54 Hz, 2H), 7.35-7.26 (m, 3H), 6.54 (s, 1H). | |
90164 | 4-chloro-6-(4-(4-fluorophenyl)-3-(trifluoromethyl)isoxazol-5-yl)benzene-1,3-diol | 1H NMR (DMSO-d6) δ 10.75 (s, 1H), 10.20 (s, 1H), 7.38-7.22 (m, 5H), 6.55 (s, 1H). | |
90165 | 4-(4-(4-bromophenyl)-3-(trifluoromethyl)isoxazol-5-yl)-6-chlorobenzene-1,3-diol | 1H NMR (DMSO-d6) δ 10.78 (s, 1H), 10.21 (s, 1H), 7.68-7.60 (m, 2H), 7.34-7.18 (m, 3H), 6.55 (s, 1H). | |
90170 | 4-(4-(2,4-dichlorophenyl)-3-(trifluoromethyl)isoxazol-5-yl)benzene-1,3-diol | 1H NMR (MeOD) δ 7.55 (d, J= 1.83 Hz, 1H), 7.42-7.28 (m, 2H), 7.14 (d, J= 8.54 Hz, 1H), 6.32 (dd, J = 8.39, 2.14 Hz, 1H), 6.27 (d, J = 2.14 Hz, 1H), 5.55-5.41 (m, 2H). | |
90172 | 4-(4-(3-chlorophenyl)-3-(trifluoromethyl)isoxazol-5-yl)benzene-1,3-diol | 1H NMR (DMSO-d6) δ 10.00 (s, 1H), 9.96 (s, 1H), 7.62-7.40 (m, 2H), 7.33 (s, 1H), 7.23 (d, J = 7.02 Hz, 1H), 7.10 (d, J = 8.54 Hz, 1H), 6.33 (d, J = 2.14 Hz, 1H), 6.29 (dd, J = 8.39, 2.14 Hz, 1H). | |
90174 | 4-(4-(2,3-dichlorophenyl)-3-(trifluoromethyl)isoxazol-5-yl)benzene-1,3-diol | 1H NMR (DMSO-d6) δ 10.20-9.90 (m, 2H), 7.72 (dd, J = 7.02, 2.44 Hz, 1H), 7.52-7.36 (m, 2H), 7.10 (d, J = 8.54 Hz, 1H), 6.31 (d, J = 2.44 Hz, 1H), 6.27 (dd, J = 8.39, 2.44 Hz, 1H). | |
90176 | 4-bromo-6-(4-(4-chlorophenyl)-3-(trifluoromethyl)isoxazol-5-yl)benzene-1,3-diol | 1H NMR (CDCl3) δ 7.39 (d, J = 8.54 Hz, 2H), 7.27-7.20 (m, 3H), 6.59 (s, 1H). | |
90178 | 4-(4-(3,4-dichlorophenyl)-3-(trifluoromethyl)isoxazol-5-yl)benzene-1,3-diol | 1H NMR (DMSO-d6) δ 10.00 (s, 2H), 7.69 (d, J = 8.24 Hz, 1H), 7.53 (d, J = 1.83 Hz, 1H), 7.25 (dd, J = 8.39, 2.14 Hz, 1H), 7.16 (d, J = 9.16 Hz, 1H), 6.38-6.29 (m, 2H). | |
90181 | 4-(4-(2-chlorophenyl)-3-(trifluoromethyl)isoxazol-5-yl)benzene-1,3-diol | 1H NMR (CDCl3) δ 7.50 (d, J = 7.63 Hz, 1H), 7.45-7.28 (m, 3H), 6.82 (d, J = 8.54 Hz, 1H), 6.45 (d, J = 2.14 Hz, 1H), 6.25 (dd, J = 8.70, 2.14 Hz, 1H). |
Claims (14)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은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브로모인 것인,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내지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클로로이고, R1 내지 R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클로로인 것인,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R4 및 R5는 수소이고, 상기 R3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카르복시메틸페닐, 또는 메톡시피리디닐인 것인,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15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인,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2]
[화학식 3]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화학식 7]
[화학식 8]
[화학식 9]
[화학식 10]
[화학식 11]
[화학식 12]
[화학식 13]
[화학식 14]
[화학식 15]
.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는 방광 평활근 이완에 의한 것인,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는 BKca 채널의 활성화에 의한 것인,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는 BKca 채널의 활성화를 위한 전압 역치가 감소되어 최대 열림-가능성 상태의 증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는 BKca 채널의 열림 상태의 안정한 유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1]
R1 내지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카르복시메틸페닐, 또는 메톡시피리디닐이고,
R6는 수소 또는 할로겐임.
-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민성 방광 예방 또는 치료방법: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카르복시메틸페닐, 또는 메톡시피리디닐이고,
R6는 수소 또는 할로겐임.
-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카르복시메틸페닐, 에톡시카보닐메틸페닐,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또는 메톡시피리디닐이고,
R6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되,
단, R1, R2, R4, R5 및 R6이 수소이고, R3이 수소, 클로로 또는 브로모인 화합물은 제외함.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 내지 8 및 10 내지 1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3]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화학식 7]
[화학식 8]
[화학식 10]
[화학식 11]
[화학식 12]
[화학식 13]
[화학식 14]
[화학식 15]
[화학식 16]
[화학식 17]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29572 | 2020-10-07 | ||
KR1020200129572 | 2020-10-0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6505A KR20220046505A (ko) | 2022-04-14 |
KR102676631B1 true KR102676631B1 (ko) | 2024-06-19 |
Family
ID=8112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3441A Active KR102676631B1 (ko) | 2020-10-07 | 2021-10-07 | 과민성 방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6631B1 (ko) |
WO (1) | WO202207578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3689B1 (ko) | 2023-12-28 | 2024-04-02 |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 방광염 및 요실금과 같은 방광의 배뇨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식품 조성물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7051133A2 (en) | 2005-10-26 | 2007-05-03 | Mutsubishi Tanabe Pharma Corporation | Substituted thiazoles and their use |
WO2007071653A1 (en) | 2005-12-19 | 2007-06-28 |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 Use of aminoalcohol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overactive bladder |
WO2009026658A1 (en) * | 2007-08-29 | 2009-03-05 | The University Of Sydney | Ppar agonists |
JP2009530238A (ja) | 2006-03-14 | 2009-08-27 | ノイロサーチ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 ジフェニル尿素誘導体及び塩化物チャネル遮断薬又はBKCaチャネル調節薬としてのその使用 |
US20120252797A1 (en) | 2003-02-11 | 2012-10-04 | Vernalis (Cambridge) Limited | Isoxazole Compounds As Inhibitors Of Heat Shock Protein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0020556T2 (de) * | 1999-05-12 | 2005-10-27 | Neurosearch A/S | Ionenkanal modulierende mittel |
KR102248831B1 (ko) * | 2016-03-18 | 2021-05-06 | 광주과학기술원 | BKCa 채널 활성화용 조성물 |
-
2021
- 2021-10-07 WO PCT/KR2021/013819 patent/WO202207578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10-07 KR KR1020210133441A patent/KR10267663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252797A1 (en) | 2003-02-11 | 2012-10-04 | Vernalis (Cambridge) Limited | Isoxazole Compounds As Inhibitors Of Heat Shock Proteins |
WO2007051133A2 (en) | 2005-10-26 | 2007-05-03 | Mutsubishi Tanabe Pharma Corporation | Substituted thiazoles and their use |
WO2007071653A1 (en) | 2005-12-19 | 2007-06-28 |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 Use of aminoalcohol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overactive bladder |
JP2009530238A (ja) | 2006-03-14 | 2009-08-27 | ノイロサーチ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 ジフェニル尿素誘導体及び塩化物チャネル遮断薬又はBKCaチャネル調節薬としてのその使用 |
WO2009026658A1 (en) * | 2007-08-29 | 2009-03-05 | The University Of Sydney | Ppar agonis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075780A1 (ko) | 2022-04-14 |
KR20220046505A (ko) | 2022-04-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259271B1 (en) | Fluorinated derivatives of 3-(2-oxo-3-(3-(5,6,7,8-tetrahydro-1,8-naphthyridin-2-yl)propyl)imidazolidin-1-yl)propanoic acid and uses thereof | |
RU2535667C2 (ru) | Энантиомеры спиро-оксиндольных соединений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терапевтических средств | |
RU2321401C2 (ru) |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против гиперактивного мочевого пузыря, включающее производное анилида уксусной кислоты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 |
US11058690B2 (en) | Use of cytochrome bc1 complex inhibitor in prepar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 |
CN105849111B (zh) | 吡喃并秋葵纤维异甲酚衍生物以及代谢综合征或炎症疾病治疗用药学组成物 | |
KR20080018857A (ko) | 기관 또는 조직에서 섬유증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 제조용1-(치환된 페닐)-5-메틸-2-(1h)-피리돈 | |
JP2010168387A (ja) | 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受容体自己リン酸化を阻害するキノリン誘導体およびキナゾリン誘導体 | |
AU2018392985A1 (en) |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for neurological disorders comprising motor neuron diseases | |
JP2021507945A (ja) | 認知症を含む神経障害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治療方法 | |
KR20080027191A (ko) | 신규한 벤즈옥사졸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
JP2013528646A (ja) | 新規なロダニ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エイズ(aids)予防又は治療用薬学組成物 | |
EP4410786A1 (en) | Sulfonamide compou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 |
KR20170091154A (ko) | 섬유증의 소분자 억제제 | |
KR102676631B1 (ko) | 과민성 방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RU2448093C2 (ru) | Производные пиридина для лечения метаболических нарушений, связанных с устойчивостью к действию инсулина или гипергликемией | |
JP2023516838A (ja) | カリウムチャネル調節剤としての化合物ならびにその調製および応用 | |
TW200946118A (en) | Soluble epoxide hydrolase inhibitors | |
IL281335B2 (en) | A gabaa receptor ligand | |
CN104487427B (zh) | 四唑衍生物和它们作为钾通道调节剂的用途 | |
US20180117043A1 (en) | Use of src protein inhibitor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prophylaxis and/or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 |
CA3181902A1 (en) |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chronic kidney disease | |
CN113368249A (zh) | 一种ogt抑制剂及其用途 | |
US12310967B2 (en) |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for neurological disorders comprising motor neuron diseases | |
Yu et al. | Pirfenidone improves early cardiac function following myocardial infarction by enhancing the elastin/collagen ratio | |
KR20060079122A (ko) | 당뇨 및 비만 치료예방에 유효한 벤조티아졸 유도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