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5901B1 - Stool that can be assembled - Google Patents
Stool that can be assemble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5901B1 KR102675901B1 KR1020220111517A KR20220111517A KR102675901B1 KR 102675901 B1 KR102675901 B1 KR 102675901B1 KR 1020220111517 A KR1020220111517 A KR 1020220111517A KR 20220111517 A KR20220111517 A KR 20220111517A KR 102675901 B1 KR102675901 B1 KR 1026759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b
- stool
- connecting member
- assembled
- fitting gro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이 가능한 스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지지부재가 연결부재를 사이에 두고 직교하여 조립된다. 연결부재는 두 쌍의 리브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위상이 90°만큼 차이나게 세워진 것으로, 그 끝이 각각 테이퍼진 형상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받침판을 지지하는 2개의 지지부재는 계절에 따른 수축/팽창과 무관하게 연결부재에 압입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ol that can be assembled, and more specifically, two support members are assembled at right angles with a connecting member in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consists of two pairs of ribs erect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out of phase by 90°, each of which has a tapered end. Due to this feature, the two support members supporting the support plate can be press-fitted into the connection member regardless of seasonal contraction/expans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이 가능한 스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지지부재가 연결부재를 사이에 두고 직교하여 조립된다. 연결부재는 두 쌍의 리브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위상이 90°만큼 차이나게 세워진 것으로, 그 끝이 각각 테이퍼진 형상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받침판을 지지하는 2개의 지지부재는 계절에 따른 수축/팽창과 무관하게 연결부재에 압입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ol that can be assembled, and more specifically, two support members are assembled at right angles with a connecting member in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consists of two pairs of ribs erect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out of phase by 90°, each of which has a tapered end. Due to this feature, the two support members supporting the support plate can be press-fitted into the connection member regardless of seasonal contraction/expansion.
스툴(stool)은 등받이가 없는 의자를 뜻하지만, 요즘은 의자보다는 화분받침, 소품 등을 올려놓는 다용도 가구의 일종으로 여겨진다. 최근에는 전체가구 중 1인가구의 비중이 늘어나고, 소비자들이 제품의 디자인과 공간 효율성을 중시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소재의 스툴이 출시되고 있고, 시장 변화도 빠른 추세이다.A stool refers to a chair without a back, but these days, it is considered a type of multi-purpose furniture that can be used to place flower pot holders or small items rather than chairs. Recently, the propor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has increased among all households, and as consumers value product design and space efficiency, stools of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are being released, and the market is also rapidly changin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툴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받침판(100) 및 복수의 다리구조(200)이다. 스툴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다리구조와 받침판이 존재하나, 종래의 스툴은 받침판과 다리구조가 일체형인 경우 분리가 불가능하여 많은 부피를 차지하고, 이동 및 저장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basic components of the stool are a
또한, 종래의 스툴 가운데 다리구조간 끼움 홈이 있어 끼워맞춤으로 조립할 수 있는 경우는 이동 및 저장은 용이하나, 온도 및 습도 변화에 따른 목재의 수축, 팽창이 발생하여 다리구조와 그를 연결하는 부재 사이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번이라도 변형이 발생하면, 그 후 기존의 온습도로 돌아온다고 하더라도 변형 전 모습으로 완벽히 돌아오기 어렵고 따라서 분해 후 재조립이 어려운 경우도 많이 발생한다.In addition, among conventional stools, if there is a fitting groove between the leg structures and can be assembled by fitting, it is easy to move and store, but shrinkage and expansion of the wood due to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occur between the leg structures and the members connecting them. There is a problem that deformation may occur. Once deformation occurs, even if it returns to the original temperature and humidity,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return to its pre-deformation state, and thus there are many cases where disassembly and reassembly are difficul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변환경의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따라 지지부재의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지지안정성 부재 간의 결합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ensure bonding stability between support stability members even if deformation of the support member occurs due to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립이 가능한 스툴은, 받침판(100) 및 받침판을 지지하는 지지부(200)를 포함하고, 서로 다른 다리를 연결하는 제 1이음부 하단에 제 1끼움홈(211)이 형성된 제 1몸체(210), 서로 다른 다리를 연결하는 제 2이음부 상단에 제 2 끼움홈(221)이 형성된 제 2몸체(220) 및 제 1몸체와 제 2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tool that can be assembled to achieve this purpose includes a
또한, 연결부재(230)는 일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 1리브(231) 및 제 1리브의 하부에서 상기 일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한 쌍으로 이루는 제 2리브(232) 및 제 1리브와 제 2리브를 연결하는 연결판(2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또한, 연결부재(230)는 제 1리브(231)가 제 1끼움홈(211)에 결합되고, 제 2리브(232)가 제 2끼움홈(221)에 결합되며, 연결판(233)의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각각 제 1끼움홈(211) 및 제 2끼움홈(221)에 면접하여 제 1몸체(210)와 제 2몸체(220)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또한, 제 1리브(231)는 상기 받침판의 하단에 구비된 연결부위(110)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제 1리브(231)는 상부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마주하는 거리가 점차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제 2리브(232)는 하부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마주하는 거리가 점차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가능한 스툴은 지지부를 구성하는 2개의 몸체가 연결부재를 매개로 직교하여 조립된다. 연결부재는 두 쌍의 리브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위상이 90°만큼 차이나게 세워진 것으로, 그 끝이 각각 테이퍼진 형상이므로 지지부를 구성하는 2개의 몸체는 연결부재에 각각 압입되어 고정된다.In the stool that can be assem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bodies constituting the support portion are assembled at right angles via a connecting member. The connecting member is made up of two pairs of ribs erect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out of phase by 90°, and since each of the ends is tapered, the two bodies constituting the support are press-fitted and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는 제 1몸체와 결합 후 받침대 하단 연결부위와 결합하여 받침대를 단단히 고정하고, 받침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with the first body and then coupled with the lower connection portion of the pedestal to firmly fix the pedestal and prevent the pedestal from being separated.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가능한 스툴은 연결부재로 인해 몸체의 수축 또는 팽창과 무관하게 안정된 구조를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언제든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다.The assembleable s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stable structure regardless of contraction or expansion of the body due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user can disassemble and assemble it at any ti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가능한 스툴을 받침판과 지지부로 분리해서 표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가능한 스툴의 각 구성요소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가능한 스툴의 연결부재를 확대하여 표현한 도면.Figure 1 is a view showing a stool that can be assem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into a support plate and a support por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combined form of each component of the stool that can be assem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stool that can be assem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re merely for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in no way be construed as limiting.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meanings.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one or more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excluding the existence or possibility of any other characteristic, number, step, operation, element, or part or combination thereof.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is provided to facilitat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가능한 스툴을 받침판과 지지부로 분리해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가능한 스툴의 각 구성요소의 결합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가능한 스툴의 핵심요소인 연결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view showing a stool that can be assem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into a support plate and a support part,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combined form of each component of the stool that can be assem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nlarged drawing showing the connecting member, which is a key element of a stool that can be assembled according to .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가능한 스툴은 크게 받침판(100)과 지지부(200)로 구성된다.The stool that can be assem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consists of a
받침판(100)은 사용자의 둔부가 조립이 가능한 스툴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받침판의 형상, 모양, 색깔은 각양각색으로 특별한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받침판(100)의 하단 연결부위(110)는 지지부(200)의 모든 조립이 끝난 후 연결부재(230)의 제 1리브(231)와 결합하여 받침판이 지지부에 안착된 뒤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툴은 의자 외에도 화분받침, 소품 등을 올려놓는 다용도 가구로 사용할 수 있다.The
지지부(200)는 제 1몸체(210), 제 2몸체(220) 및 연결부재(230)로 구성된다.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 1몸체(210)는 지면과 맞닿는 두 개의 다리와 두 다리를 잇는 이음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 1몸체(210)의 이음부 하단에 있는 끼움홈(211)은 연결부재(230)의 제 1리브(231)를 따라 결합되고 끼움홈의 내측면은 연결부재(230)의 제 2리브(232) 및 연결부재(230)의 연결판(233)과 맞닿게 된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또한 제 1몸체(210)의 다리구조는 이음부로부터 두 개의 다리가 나란하게 연장된 '11자'구조가 아니라 알파벳 'A'의 하단부처럼 일정한 각도를 지니고 양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으로 연장된 구조이다. 이는 제 1몸체(210)의 다리구조 간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여 스툴 전체의 지지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설계이다.Additionally, the leg structure of the
제 1몸체(210)의 재질은 스툴의 지지부재가 목재인 것이 일반적이므로 목재인 것이 바람직하나 플라스틱, 알루미늄, 메탈 등의 재질 또한 적용 가능하다.The material of the
또한, 연결부재(230)의 제 1리브(231)는 경사지게 구성되면서 마주보는 한 쌍의 리브 간 거리가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으로써, 제 1몸체(210)는 결과적으로 연결부재(230)에 압입되어 고정된다.In addition, the
제 2몸체(220)는 지면과 맞닿는 두 개의 다리와 두 다리를 잇는 이음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 2몸체(210)의 이음부 상단에 있는 끼움홈(221)은 연결부재(230)의 제 2리브(232)를 따라 결합되고 끼움홈의 내측면은 연결부재(230)의 제 1리브(231) 및 연결부재(230)의 연결판(233)과 맞닿게 된다.The
또한 제 2몸체(220)의 다리구조는 제 1 몸체의 다리구조와 마찬가지로 '11자'구조가 아니라 알파벳 'A'의 하단부처럼 일정한 각도를 지니고 양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으로 연장된 구조이다. 이는 제 2몸체(220) 다리구조 간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여 스툴 전체의 지지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설계이다.In addition, the leg structure of the
제 2몸체(220)의 재질은 스툴의 지지부재가 목재인 것이 일반적이므로 목재인 것이 바람직하나 플라스틱, 알루미늄, 메탈 등의 재질 또한 적용 가능하다.The material of the
또한, 연결부재(230)의 제 2리브(232)는 경사지게 구성되면서 마주보는 한 쌍의 리브 간 거리가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으로써, 제 2몸체(220) 역시 결과적으로 연결부재(230)에 압입되어 고정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연결부재(230)는 제 1몸체(210)와 제 2몸체(220)가 직교하여 조립되도록 하기 위해 제 1리브(231)와 제 2리브(232)가 연결판(233)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위상이 90°만큼 차이나게 세워져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이는 일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 1리브(231)와 제 1리브의 하부에서 상기 일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한 쌍을 형성하는 제 2리브(232)가 있고, 제 1리브(231)와 제 2리브(232)를 연결판(233)이 연결하고 있는 것이다.It has a
이로써 연결부재(230)는 주변 환경의 온도 및 습도 변화에 따라 제 1몸체(210) 또는 제 2몸체(220)가 수축 또는 팽창하더라도, 지지부(200)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 1몸체(210)와 제 2몸체(220)가 목재인 경우는 온도 및 습도 변화에 따라 목재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등 지지부(200)의 변형량이 큰 만큼 연결부재(230)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necting
또한, 연결부재(230)의 제 1리브(231)는 제 1몸체(210)와 결합한 후 받침대(100)의 하단 연결부위(110)와 결합하여 받침대(100)를 단단히 고정하고 받침대(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연결부재(230)의 재질은 기본적으로 사출물이다.Additionally, the material of the connecting
하지만, 연결부재(230)의 제 1리브(231) 및 제 2리브(232)는 끝이 테이퍼진 형상이고, 제 1몸체(210) 및 제 2몸체(220)가 연결부재에 각각 압입되어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탄성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However, the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various embodiments,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natural that anything that can be reasonably interpreted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받침대 110 : 받침대의 하단 연결부위
200 : 지지부
210 : 제 1몸체 211 : 제 1몸체의 끼움 홈
220 : 제 2몸체 221 : 제 2몸체의 끼움 홈
230 : 연결부재 231 : 제 1리브
232 : 제 2리브 233 : 연결부재의 연결판100: stand 110: bottom connection part of the stand
200: support part
210: first body 211: fitting groove of the first body
220: second body 221: fitting groove of the second body
230: Connecting member 231: First rib
232: Second rib 233: Connecting plate of connecting member
Claims (6)
상기 받침판(100) 하부에 구비되어 받침판(100)을 지지하는 지지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200)는,
서로 다른 다리를 연결하는 제 1이음부 하단에 제 1끼움홈(211)이 형성된 제 1몸체(210);
서로 다른 다리를 연결하는 제 2이음부 상단에 제 2끼움홈(221)이 형성된 제 2몸체(220); 및
상기 제 1끼움홈(211) 및 상기 제 2끼움홈(221)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 1몸체(210)와 상기 제 2몸체(2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가능한 스툴.
Support plate (100); and
It includes a support portion 200 provided below the support plate 100 to support the support plate 100,
The support portion 200 is,
A first body 210 having a first fitting groove 211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joint connecting different legs;
A second body 220 having a second fitting groove 221 formed at the top of the second joint connecting the different legs; and
A connecting member 230 coupled to the first fitting groove 211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221, respectively, to connect the first body 210 and the second body 220;
A stool that can be assemble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상기 연결부재(230)는,
일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 1리브(231);
상기 제 1리브(231)의 하부에서 상기 일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 2리브(232); 및
상기 제 1리브(231)와 제 2리브(232)를 연결하는 연결판(23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가능한 스툴.
According to clause 1,
The connecting member 230 is,
A first rib 231 consisting of a pair facing each other in one direction;
a pair of second ribs 232 facing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ne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rib 231; and
A connection plate 233 connecting the first rib 231 and the second rib 232;
A stool that can be assemble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상기 연결부재(230)는
상기 제 1리브(231)가 상기 제 1끼움홈(211)에 결합되고,
상기 제 2리브(232)가 상기 제 2끼움홈(221)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판(233)의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각각 제 1끼움홈(211) 및 제 2끼움홈(221)에 면접하여 상기 제 1몸체와 상기 제 2몸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가능한 스톨.
According to clause 2,
The connecting member 230 is
The first rib 231 is coupled to the first fitting groove 211,
The second rib 232 is coupled to the second fitting groove 221,
The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ing plate 233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fitting groove 211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221, respectively, to connec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Possible stall.
상기 제 1리브(231)는 상기 받침판의 하단에 구비된 연결부위(1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가능한 스툴.
According to clause 3,
The first rib 231 is a stool that can be assembl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10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상기 제 1리브(231)는 상부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마주하는 거리가 점차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가능한 스툴.
According to clause 3,
The first rib 231 is formed to be tapered toward the top, so that the facing distance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top.
상기 제 2리브(232)는 하부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마주하는 거리가 점차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가능한 스툴.
According to clause 3,
A stool that can be assembled, wherein the second rib 232 is tapered toward the bottom so that the facing distance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botto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1517A KR102675901B1 (en) | 2022-09-02 | 2022-09-02 | Stool that can be assemble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1517A KR102675901B1 (en) | 2022-09-02 | 2022-09-02 | Stool that can be assemble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32483A KR20240032483A (en) | 2024-03-12 |
KR102675901B1 true KR102675901B1 (en) | 2024-06-17 |
Family
ID=90300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1517A Active KR102675901B1 (en) | 2022-09-02 | 2022-09-02 | Stool that can be assemble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5901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25351A (en) | 2005-11-04 | 2007-05-24 | Nobuyuki Sato | Assembly chair |
KR100864217B1 (en) | 2007-06-05 | 2008-10-17 | (주)키즈퍼니쳐 | Prefab chai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5205B1 (en) | 2011-05-17 | 2013-07-03 | (주)그린가이아 | Assembly stool |
KR20130005257U (en) * | 2012-02-28 | 2013-09-05 | 임윤정 | Bench legs structure |
KR20200069123A (en) * | 2018-12-06 | 2020-06-16 | 최선귀 | A bed frame having excellent bonding and assembling properties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bed frame |
-
2022
- 2022-09-02 KR KR1020220111517A patent/KR10267590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25351A (en) | 2005-11-04 | 2007-05-24 | Nobuyuki Sato | Assembly chair |
KR100864217B1 (en) | 2007-06-05 | 2008-10-17 | (주)키즈퍼니쳐 | Prefab chai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32483A (en) | 2024-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237319A1 (en) | Furniture, home decor, and other items of manufacture formed of cellular material | |
US10448744B2 (en) | Chair | |
US20130129405A1 (en) | Modular furniture system | |
US7073450B2 (en) | Stackable tabletop for fordable table | |
KR102675901B1 (en) | Stool that can be assembled | |
US4321875A (en) | Support structure | |
KR20190057487A (en) | Self-assembly paper chair | |
KR101265205B1 (en) | Assembly stool | |
KR20150002434U (en) | A Fabricated Table Using Mortise Joint | |
KR20180027097A (en) | Multifunctional furniture | |
US20120104824A1 (en) | Modular convertable furniture assembly using stackable components | |
GB2476469A (en) | Furniture item formed from a panel member folded around an inner frame | |
KR200427977Y1 (en) | Prefab chair | |
CN209789159U (en) | combined chair | |
KR200440439Y1 (en) | Prefab chair | |
KR200473929Y1 (en) | Table Having Low Wooden Bench Function | |
US3387868A (en) | Multiple member joining arrangement | |
KR101392000B1 (en) | Parts set for assembly type furniture | |
RU2463933C1 (en) | Transformable piece of furniture | |
US2913040A (en) | Foldable chair | |
KR20200062527A (en) | Easy-to-assemble wood roll table | |
JP3241992U (en) | Easy assembly table | |
JP3237803U (en) | Ready-to-assemble furniture with legs | |
KR102548719B1 (en) | Table for camping | |
KR200379700Y1 (en) | a 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