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5514B1 -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5514B1 KR102675514B1 KR1020190177163A KR20190177163A KR102675514B1 KR 102675514 B1 KR102675514 B1 KR 102675514B1 KR 1020190177163 A KR1020190177163 A KR 1020190177163A KR 20190177163 A KR20190177163 A KR 20190177163A KR 102675514 B1 KR102675514 B1 KR 1026755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housing
- locking lever
- tip
- connector assemb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넥터(10)의 제1하우징(12)에는 록킹레버(14)가 탄성변형가능하게 있고, 상기 록킹레버(14)에 제2커넥터(30)의 걸림턱(34)에 걸어지는 걸이턱(20)이 형성된다. 상기 록킹레버(14)에 형성된 누름버튼(22)의 선단에서 록킹레버(14)의 레버몸체(16)를 향해서 경사지게 제1연동경사면(23)이 있고, 상기 제1연동경사면(23)에 보조체결턱(24)이 제2하우징(32)의 안내경사(35)에 형성된 보조체결홈(36)에 걸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assembly.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or (10) and a second connector (30). A locking lever 14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first housing 12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a hook is hung on the locking lever 14 on the locking protrusion 34 of the second connector 30. A jaw 20 is formed. At the tip of the push button 22 formed on the locking lever 14, there is a first interlocking inclined surface 23 inclined toward the lever body 16 of the locking lever 14, and auxiliary to the first interlocking inclined surface 23. The fastening jaw 24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fastening groove 36 formed in the guide slope 35 of the second housing 32.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사이의 임의의 해제가 방지되면서도 작업자에 의한 해제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ssembly,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arbitrary release between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is prevented and release by an operator is quickly achieved.
커넥터는 절연재질로 된 하우징이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이 설치되어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커넥터는 다양한 형태로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데, 일반적으로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서로 결합되어 와이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A connector is made by having a housing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m the exterior and framework, and a terminal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Such connectors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s in various forms. Generally,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are coupled together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wires.
여기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탄성변형가능한 록킹레버가, 예를 들면 제1커넥터에 있고, 상대 측인 제2커넥터에는 상기 록킹레버가 걸어지는 걸림턱을 둔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사이의 결합상태가 록킹레버와 걸림턱 사이의 결합에 의해 유지되는데, 불의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록킹레버가 탄성변형되면서 걸림턱에서 분리되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사이의 결합상태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Here, in order to maintain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n elastically deformable locking lever is provided, for example, on the first connector, and a locking lever on which the locking lever is hung is placed on the second connector on the other side. . In this configuration,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s maintained by the coupling between the locking lever and the locking protrusion, and when an unexpected external force acts, the locking lever is elastically deformed and separated from the locking protrus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s separated.
그리고, 종래의 커넥터 조립체에서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사이의 결합을 분리하기 위해 록킹레버의 일측을 눌러서 걸림턱과의 결합상태를 분리하고 다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분리하는 2단계 동작을 수행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And, in the conventional connector assembly, in order to separate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one side of the locking lever is pressed to separate the coupling with the locking jaw, and t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performing the two-step operation of separating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불의의 외력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결합상태 해지를 방지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o prevent disconnection of the connector assembly due to unexpected external for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사이의 결합상태 분리를 한번의 동작으로 완성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plete separation of the mating state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constituting the connector assembly in one oper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탄성변형가능하고 걸이턱을 구비한 록킹레버가 제1하우징의 외면에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하우징의 선단이 내부로 삽입되는 제2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선단 내면에 상기 록킹레버의 걸이턱이 걸어지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제2커넥터와, 상기 록킹레버의 구비된 누름버튼의 보조체결턱이 상기 제2하우징의 선단 외면의 안내경사에 형성된 보조체결홈에 걸어져 체결된다.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or in which a locking lever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has a hook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a tip of the first housing. A second connector including a second housing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and a locking jaw on which the locking lever of the locking lever hang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ip of the second housing, and an auxiliary fastening jaw of the push button provided on the locking lever. This is engaged and fastened to an auxiliary fastening groove formed on the guide slo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ip of the second housing.
상기 누름버튼의 선단에서 록킹레버의 레버몸체를 향해서는 제1연동경사면이 형성되어 제2하우징의 상기 안내경사가 형성된 부분이 서로 접촉되어 위치된다.A first interlocking inclined surface is formed from the tip of the push button toward the lever body of the locking lever, and the portions of the second housing where the guiding slope is formed are position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제1연동경사면에 상기 보조체결턱이 형성된다.The auxiliary fastening jaw is formed on the first interlocking slope.
상기 누름버튼의 제1연동경사면 선단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안내경사에 안내되는 연동곡면이 형성된다.An interlocking curved surface guided by the guide slope of the second housing is formed at the tip of the first interlocking slope of the push button.
상기 록킹레버는 상기 제1하우징의 선단과 선단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제1하우징의 후단과 후단 연결레그를 통해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브릿지 형상으로 된다.The locking lever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housing through a front end connection portion, and is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first housing through a rear connection leg to form an overall bridge shape.
상기 제1하우징의 양측 외면에는 제1안내리브가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과 분리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제2내부공간에는 상기 제1안내리브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안내리브가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과 분리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First guide ribs are formed 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first housing and extend in the direction of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nd a second inner space of the second housing guides the movement of the first guide ribs. The second guide rib is form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상기 제2안내리브는 제2내부공간 내측에 해당되는 영역의 평면부와 제2내부공간 입구 측의 경사부로 구성되어 상기 경사부에 상기 제1안내리브가 안내되면서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에서 분리되는 것을 안내한다.The second guide rib is composed of a flat part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and an inclined part on the entrance side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As the first guide rib is guided to the inclined part, the first connector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connector. Guidance on what to do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완료된 상태에서 제2커넥터의 제2하우징의 선단이 제1커넥터의 록킹레버에 있는 누름버튼과 결합된 상태로 되고, 누름버튼에 불의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제1커넥터의 제연동경사면과 제2커넥터의 안내경사 사이의 연동에 의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단지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사이의 상대 위치만이 변동된다. 따라서, 불의의 외력에 의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사이의 결합해지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fully coupled, the tip of the second housing of the second connector is coupled to the push button on the locking lever of the first connector, and an unexpected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ush button. Even if this action occurs, the coupling state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s not released due to the interlocking between the anti-locking slope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guide slope of the second connector, and only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s changed. This changes.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dis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due to unexpected external forc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커넥터의 제1연동경사면과 제2커넥터의 안내경사 사이의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누름버튼을 계속하여 눌러주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사이가 멀어지도록 이동되면서 동시에 록킹레버의 걸이턱이 제2하우징의 걸림턱에서 분리되도록 록킹레버가 탄성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한 번의 동작으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사이의 결합을 해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push button is continuously pressed to achieve interlocking between the first interlocking slope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guide slope of the second connector,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moves away,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lever The locking lever may b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hook of the second housing is separated from the lock of the second housing.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cancel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with a single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사이가 결합상태보다 상대적으로 멀어진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first connecto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coupl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relatively distant compared to the coupled stat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는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는 반드시 터미널에 와이어가 연결되어 후방으로 와이어가 연장되는 형태는 아니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후방으로 와이어가 연장되지 않는 형태로,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가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커넥터(10,30)들은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상기 제1커넥터(10)의 외관과 골격을 제1하우징(12)이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12)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하우징(12)의 내부에는 제1내부공간(도시되지 않음)이 있는데, 상기 제1하우징(12)의 선단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1내부공간으로 제1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의 선단이 위치되도록 상기 제1하우징(12)에 제1터미널이 설치되는데,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이 부분이 요지가 아니므로 도시하지 않았다.The
상기 제1하우징(12)에는 상기 제2커넥터(30)와의 체결을 위한 록킹레버(14)가 일측 외면에 제1하우징(1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록킹레버(14)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형태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록킹레버(14)는 대략 선단과 후단이 제1하우징(12)에 연결된 브릿지 형태이다.A
상기 록킹레버(14)의 골격을 레버몸체(16)가 형성한다. 상기 레버몸체(16)는 띠모양의 판형상이다. 상기 레버몸체(16)의 선단에는 선단연결부(17)가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12)의 선단 일측에 연결된다. 상기 레버몸체(16)의 후단에는 후단연결레그(18)가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12)의 후단 일측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레버몸체(16)는 선단연결부(17)와 후단연결레그(18)에 의해 선단과 후단이 제1하우징(12)에 각각 연결되어 브릿지 형태로 구성된다.The
상기 레버몸체(16)의 중간부 상면에는 걸이턱(20)이 있다. 상기 걸이턱(20)은 상기 제2커넥터(30)의 걸림턱(34)에 걸어져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의 체결상태를 유지한다.There is a
상기 레버몸체(16)에는 상기 걸이턱(20)과 후단연결레그(18) 사이에 누름버튼(22)이 있다. 상기 누름버튼(22)은 평면도로 볼 때 사각형상으로 된다. 상기 누름버튼(22)의 선단에서 하부를 향해서는 제1연동경사면(23)이 있다. 상기 제1연동경사면(23)은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버튼(22)의 선단에서 레버몸체(16)의 상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버튼(22)과 레버몸체(16)의 사이에는 제2하우징(32)의 선단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The
상기 제1연동경사면(23)에는 보조체결턱(24)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보조체결턱(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하우징(32)의 보조체결홈(36)에 걸어져 체결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보조체결턱(24)이 보조체결홈(36)에 체결된 상태는 일정 이상의 힘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즉,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체결상태가 해제된다.An
상기 제1연동경사면(23)의 선단, 즉 상기 누름버튼(22)의 선단에는 연동곡면(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동곡면(25)은 상기 누름버튼(22)이 눌러질 때, 제2하우징(30)의 안내경사(35)를 따라 안내된다.An interlocking curved
상기 록킹레버(14)의 폭방향 양단에 해당되는 상기 제1하우징(12)의 외면에는 보호펜스(22)가 있다. 상기 보호펜스(22)는 양단의 것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나란히 상기 제1하우징(12)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보호펜스(22)의 높이는 상기 레버몸체(16)의 상면보다 약간 낮은 정도이다.There is a
상기 제1하우징(12)의 양 측면에는 제1안내리브(28)가 있다. 상기 제1안내리브(28)는 제1하우징(12)의 일 측면에 2개씩 총 4개가 형성된다. 상기 제1안내리브(28)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안내리브(38)와 연동되어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 사이의 결합과 분리를 안내한다.There are
상기 제2커넥터(30)의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32)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32)도 절연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2하우징(32)의 내부에는 선단으로 개방되게 제2내부공간(33)이 형성된다. 상기 제2내부공간(33)에는 상기 제1하우징(12)의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제2내부공간(33)에는 제2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의 선단이 위치된다. 제2터미널의 구성과 이와 관련된 설치 구조는 본 발명의 중요구성이 아니므로 설명을 생략한다.The
상기 제2하우징(32)의 선단 내면에는 걸림턱(3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34)은 도 2 및 도 4 등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34)에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록킹레버(14)에 있는 걸이턱(20)이 걸어진다. A locking
상기 제2하우징(32)의 선단 일측 영역에는 안내경사(35)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35)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누름버튼(22)에 형성된 제1연동경사면(23)과 연동된다. 상기 안내경사(35)에는 보조체결홈(36)이 있다. 상기 보조체결홈(36)은 상기 제1커넥터(10)의 보조체결턱(24)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보조체결홈(36)은 보조체결턱(24)이 걸어지는 홈형상이다.A
상기 제2하우징(32)의 제2내부공간(33) 내면에는 제2안내리브(38)가 있다. 상기 제2안내리브(38)는 상기 제1안내리브(28)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제2안내리브(38)는 상기 제1안내리브(28)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안내리브(38)에서 상대적으로 제2내부공간(33)의 내측에 있는 부분은 평면부(40)이고, 제2내부공간(33)의 입구측에 있는 부분은 경사부(42)이다. 상기 평면부(40)는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가 결합되고 분리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되고, 상기 경사부(42)는 상기 평면부(40)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가진다. 상기 경사부(42)에 의해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의 체결이 해지되어 분리되는 과정에서 제1커넥터(10)가 제2내부공간(33)에서 쉽게 분리되어 빠져나오게 된다.There is a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가 결합되는 것은, 도 2의 상태에서와 같이,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커넥터(10)가 상기 제2커넥터(30)의 제2내부공간(33)으로 진입하면서 상기 록킹레버(14)의 걸이턱(20)이 상기 제2하우징(32)의 선단 내측에 안내된다. 이와 같은 되면 상기 록킹레버(14)가 눌러지면서 레버몸체(16)가 상기 제1하우징(12)의 외면쪽으로 가까워지게 탄성변형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걸이턱(20)이 상기 걸림턱(34)을 넘어서 걸림턱(34)의 내측에 걸어지게 되면 상기 록킹레버(14)는 원래의 상태로 탄성변형이 복원된다.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제2커넥터(30)에서 안내경사(35)가 형성된 제2하우징(32)의 선단이 상기 누름버튼(22)의 하단으로 진입한다.When the hanging
따라서, 상기 누름버튼(22)의 보조체결턱(24)이 상기 제2하우징(32)의 안내경사(35)에 형성된 보조체결홈(36)에 안착되어 걸어진 상태가 된다. 상기 보조체결턱(24)과 보조체결홈(36)의 결합은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 해제되므로 외부에서 작용하는 일정 이하의 불의의 외력에 의해서는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 사이의 체결상태가 해지되지 않는다. 도 4에는 상기 보조체결홈(36)에 상기 보조체결턱(24)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Accordingly, the
한편, 상기 보조체결턱(24)과 보조체결홈(36) 사이의 결합이 해지되더라도 상기 제1하우징(12)의 걸이턱(20)이 제2하우징(32)의 걸림턱(34)에 걸어진 상태가 해지되기 전까지는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 사이의 체결상태가 해지되지는 않는다.Meanwhile, even if the coupling between the
도 4에 도시된 상태로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누름버튼(22)에 힘(F)을 가한다. 누름버튼(22)이 눌러지면 상기 록킹레버(14)가 탄성변형되면서 제1하우징(12)의 외면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는데, 상기 제2하우징(32)의 안내경사(35)에 의해 상기 누름버튼(22)의 제1연동경사면(23)과 연동곡면(25)이 안내되면서 상기 제1커넥터(10)는 제2커넥터(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When the
이와 같은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누름버튼(22)에서 상기 제2하우징(32)의 선단이 벗어난다. 즉, 상기 보조체결홈(36)에서 상기 보조체결턱(24)이 분리된다.Due to this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한편, 이 과정에서 작업자가 상기 누름버튼(22)에 계속해서 힘을 가하면 상기 레버몸체(16)가 더 탄성변형되고, 상기 제1하우징(12)의 걸이턱(20)이 제2하우징(32)의 걸림턱(34)에서 걸리지 않은 상태로 되면서 상기 록킹레버(14)의 걸이턱(20)이 제2하우징(32)의 걸림턱(34)의 위치를 지나 제2내부공간(33)의 외부로 빠질 수 있게 된다.Meanwhile, in this process, if the operator continues to apply force to the
특히, 이 시점에서는 상기 제1하우징(12)의 양측 외면에 있는 제1안내리브(28)들이 상기 제2하우징(32)의 제2내부공간(33)의 양측 내면에 있는 제2안내리브(38)의 경사부(42)를 따라 안내되면서 제2내부공간(33)의 외부로 제1하우징(12)이 더 원활하게 빠져나가게 된다.In particular, at this point,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therefore do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제1커넥터 12: 제1하우징
14: 록킹레버 16: 레버몸체
17: 선단연결부 18: 후단 연결레그
20: 걸이턱 22: 누름버튼
23: 제1연동경사면 24: 보조체결턱
25: 연동곡면 26: 보호펜스
28: 제1안내리브 30: 제2커넥터
32: 제2하우징 33: 제2내부공간
34: 걸림턱 35: 안내경사
36: 보조체결홈 38: 제2안내리브
40: 평면부 42: 경사부10: first connector 12: first housing
14: Locking lever 16: Lever body
17: front end connection 18: rear end connection leg
20: Hook 22: Push button
23: first interlocking slope 24: auxiliary fastening jaw
25: Interlocking curved surface 26: Protection fence
28: first guide rib 30: second connector
32: second housing 33: second internal space
34: Stopper 35: Guide slope
36: Auxiliary fastening groove 38: Second guide rib
40: flat part 42: inclined part
Claims (7)
상기 제1하우징의 선단이 내부로 삽입되는 제2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선단 내면에 상기 록킹레버의 걸이턱이 걸어지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제2커넥터와,
상기 록킹레버의 구비된 누름버튼의 보조체결턱이 상기 제2하우징의 선단 외면의 안내경사에 형성된 보조체결홈에 걸어져 체결되는 커넥터 조립체.
a first connector in which a locking lever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has a hook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 second connector provided with a second housing into which the tip of the first housing is inserted, and a locking tab on which the locking lever of the locking lever is hu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ip of the second housing;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the auxiliary fastening jaw of the push button provided on the locking lever is engaged and fastened to the auxiliary fastening groove formed in the guide slo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ip of the second housing.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rst interlocking inclined surface is formed from the tip of the push button toward the lever body of the locking lever, and the portions of the second housing where the guide slope is formed are position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nnector assembly of claim 2, wherein the auxiliary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first interlocking inclined surface.
The connector assembly of claim 3, wherein an interlocking curved surface guided by a guide slope of the second housing is formed at a tip of the first interlocking slope of the push button.
The connector assembly of claim 4, wherein the locking lever is connected through a front end of the first housing through a front end connection portion and a rear end of the first housing through a rear connection leg, thereby forming an overall bridge shape.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first guide ribs are formed 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first housing and extend in a direction of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second guide ribs of the second housing are formed 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first housing.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a second guide rib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first guide rib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of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7163A KR102675514B1 (en) | 2019-12-27 | 2019-12-27 | Connector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7163A KR102675514B1 (en) | 2019-12-27 | 2019-12-27 | Connector assemb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4146A KR20210084146A (en) | 2021-07-07 |
KR102675514B1 true KR102675514B1 (en) | 2024-06-14 |
Family
ID=76862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7163A Active KR102675514B1 (en) | 2019-12-27 | 2019-12-27 | Connector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551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22911A (en) | 2022-02-15 | 2023-08-2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
KR20240103679A (en) | 2022-12-27 | 2024-07-04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79266A (en) | 2004-12-22 | 2006-07-06 | Yazaki Corp | connecto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8128B1 (en) * | 2009-09-03 | 2015-12-16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assembly |
KR102432325B1 (en) * | 2017-12-29 | 2022-08-1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and connect assembly |
-
2019
- 2019-12-27 KR KR1020190177163A patent/KR10267551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79266A (en) | 2004-12-22 | 2006-07-06 | Yazaki Corp |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4146A (en) | 2021-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09093B2 (en) | Connector | |
US10424862B2 (en) | Locking structure for terminals and connector | |
KR102591645B1 (en) | Connector assembly | |
KR102675514B1 (en) | Connector assembly | |
KR20190034097A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 |
EP3457502B1 (en) | Connector assembly | |
KR20200000709U (en) | Plug-in connector arrangement | |
EP4199267A1 (en) |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same | |
KR102666089B1 (en) | Receptacle connector housing with hold-down ribs | |
KR20120120810A (en) |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 |
KR102376682B1 (en) | A connecting clip, a connector and a assembly | |
CN114080732A (en) |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 |
US12224525B2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US12341295B2 (en) | Connector having a regular fitting detecting member | |
CN105024202A (en) | Connection terminal | |
AU2016252218B2 (en) | Re-wireable electrical connector | |
KR20130067557A (en) | Connector assembly | |
KR102658829B1 (en) | Connector | |
KR102077011B1 (en) | Connector | |
KR20130022229A (en) | Connector assembly | |
KR102444187B1 (en) | Terminals with protection and connectors including them | |
KR102836191B1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ie | |
KR20240098704A (en) | Connector and connectors assembly having the same | |
KR200471375Y1 (en) | Connector assembly | |
KR102637752B1 (en) | Mal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6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