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75455B1 - 양자점을 이용한 발광형 표지판 - Google Patents

양자점을 이용한 발광형 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5455B1
KR102675455B1 KR1020220017153A KR20220017153A KR102675455B1 KR 102675455 B1 KR102675455 B1 KR 102675455B1 KR 1020220017153 A KR1020220017153 A KR 1020220017153A KR 20220017153 A KR20220017153 A KR 20220017153A KR 102675455 B1 KR102675455 B1 KR 102675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sin
mixed
light source
sig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0500A (ko
Inventor
원대희
정구철
이민상
김제오
김학윤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17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5455B1/ko
Publication of KR20230120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5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545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01L31/12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02S40/345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with cool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electrical connection means, e.g. cooling means associated with or applied to the junction box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55/00Radiation-sensitive semiconductor devices covered by groups H10F10/00, H10F19/00 or H10F30/00 being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electric light sources and electrically or optically coupled thereto
    • H10F55/18Radiation-sensitive semiconductor devices covered by groups H10F10/00, H10F19/00 or H10F30/00 being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electric light sources and electrically or optically coupled thereto wherein the radiation-sensitive semiconductor devices and the electric light source share a common body having dual-functionality of light emission and light detec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2Encapsulations
    • H10H20/853Encapsulation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2Encapsulations
    • H10H20/854Encapsulation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e.g. epoxy or silicone res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와, 표시패널부와, 광원부와,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발광형 표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가 구동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다이오드(LED) 등과 같은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표시패널부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광원케이스, 및 상기 발광소자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양자점이 혼합된 혼합레진으로 이루어진 레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은 고가의 광섬유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시인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표지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자점을 이용한 발광형 표지판{Luminescence Signal By Quantum dot}
본 발명은 양자점 발광형 교통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전지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하여 이를 다양한 형태의 문자나 기호가 표시되는 표시패널부로 제공되는 광원부를 양자점으로 이용한 발광형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내도로, 국도, 고속도로 등의 모든 도로에는 운전자들에게 진행방향을 인지시키도록 하는 도로표지판 및 안내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복잡한 시내도로의 교차로 등에 많이 설치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목적지까지 편리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도로표지판 및 안내표지판은 운전자에게 목적지를 안내하고 또한 교통안전을 위하여 도로에 표시하는 각종표지판으로 주의표지판, 규제표지판, 지시표지판, 보조표지판 등 법령에 의해 구체적 형태와 규격이 정해져 있으며, 차량이 다니는 도로뿐만 아니라 인도에도 설치되어 보행자가 편리하고 용이하게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을 인식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지판은 철판 등으로 형성된 판재 위에 재귀반사가 이루어지는 반사지를 구비하며, 이에 의해 자동차로부터의 빛을 반사시켜 운전자 등에게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하지만, 안개 발생시 대기압에 따른 표지판의 이슬 맺힘 현상시, 우천시, 야간시 등에는 반사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반사지를 이용하는 도로 표지판은 운전자에게 충분한 안전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하고 그에 따라 사고 위험이 증가 된다.
나아가, 반사지의 반사 수명이 예상 수명보다 짧아져서 반사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사고의 위험이 상당히 증가하게 된다. 반사지는 자외선에 노출됨으로써 내구성이 저하되어 반사 성능이 현저히 떨어진다.
특히, 도로 구간 중 급커브길과 같은 위험 지역에서 도로 표지판이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사망사고에 이르는 경우도 허다하다. 이러한 경우 국가는 사고 피해자 또는 보험사에게 배상 책임을 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 광원을 이용한 표지판으로서 광섬유를 이용하여 다양한 문자 또는 문양을 표시하는 표지판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표지판은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원이 필요한데, 상용교류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도로 주변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태양전지(sollar cell)를 전력공급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표지판이 개발되고 있다.
태양전지를 이용한 표지판은 주간 동안 태양전지를 통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리튬이온 이차전지와 같은 배터리에 충전시킨 다음 야간에 배터리에 축적된 에너지를 발광다이오드에 공급하여 표시정보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발광형 표지판은, 태양전지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광원부와, 광원부에 연계되어 광원부로부터 제공되는 빛 에너지가 다양한 형태의 문자나 기호로 표시되는 표시패널부를 포함한다.
광원부는, 구동회로에 연결된 발광다이오드(LED)와 같은 발광소자와, 발광소자가 장착 구비된 광원 커버와, 표시패널부의 광섬유 다발을 하나로 묶는 다발 홀더가 내측에 결합되고 광원커버가 단부에 결합된 광원케이스를 포함한다.
표시패널부는, 판상의 형태로 구비되며 광섬유들이 결합되는 결합공들이 형성된 본체와, 결합공에 각각 결합되는 광섬유들이 광원케이스 내에서 하나로 묶이는 광섬유 다발과, 각각의 광섬유 단부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결합공에 끼워지는 광섬유홀더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발광형 표지판은 고가의 광섬유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구동회로에 의한 발광소자의 구동시 발광소자에는 많은 양의 열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열로 인하여 광섬유가 손상 또는 변형될 수 있어 발광형 표지판의 제품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가의 광섬유를 대체하면서도 발광소자의 열로 인하여 손상 또는 변형이 적을 뿐만 아니라 시인성이 우수한 표지판을 제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550641호(2015.09.08. 공고) 한국 등록특허 제10-1009603호(2011.01.20. 공고) 한국 등록특허 제10-1098857호(2011.12.26. 공고) 한국 등록특허 제10-1835819호(2018.03.08. 공고)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내구성과 시인성이 우수하고 제조 단가가 양호한 양자점을 이용한 발광형 표지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110)와, 표시패널부(120)와, 광원부(130)와, 구동회로(미도시)를 포함하는 발광형 표지판(10)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130)가 구동회로(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다이오드(LED) 등과 같은 발광소자(131)와, 상기 발광소자(131)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표시패널부(120)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광원케이스(132), 상기 발광소자(131)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양자점(133)이 혼합된 혼합레진으로 이루어진 레진층(1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표지판(100)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양태에 따르면, 상기 레진층(134)은 양자점(133)이 혼합되어 있고, 표시패널부(120)에서 표시되는 형성 패턴에 적합한 패턴으로 발광소자(131)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구체적 양태에 따르면, 상기 레진층(134)은 양자점(133)의 발광 색상에 따라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에 따르면, 상기 레진층(134)의 혼합레진은 점도가 27℃에서 1,400cps 이상, 바람직하게는 27℃에서 1,400 내지 1,600cps, 보다 바람직하게는 27℃에서 1,500 ~ 1,600cps인 단일 또는 2종의 혼합 레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에 따르면, 상기 혼합 레진은 Bis-GMA(bisphenol A-glycidyl methacrylate) 레진과 희석제의 혼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에 따르면, 상기 희석제는 TEDGMA(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에 따르면, 상기 혼합 레진은 Bis-GMA와 TEDGMA가 70 내지 73: 27 내지 30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은 종래 고가의 광섬유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시인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표지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표지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진층을 구성하는 혼합레진의 점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진층을 구성하는 혼합레진의 온도에 따른 점보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이 혼합된 레진층의 휘도 및 CIE 색공간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발광형 표지판(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110)와, 표시패널부(120)와, 광원부(130)와, 구동회로(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110)는 표시패널부(12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입사되는 태양광을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태양전지(1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결정의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어 표시패널부(120)의 일측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동회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시패널부(120)가 아닌 태양전지(110)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패널부(120)는, 광원부(130)에 연계되어 광원부(130)로부터 제공되는 빛 에너지가 다양한 형태의 문자나 기호로 표시되며, 판상의 형태로 복수의 홀(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표시패널부(120)에 형성된 복수의 홀(121)의 개수와 형성 패턴은 표시하고자 하는 문자가 기호의 형태에 따라 일정한 디자인 패턴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구동회로의 제어에 의해 문자나 기호의 형상 또는 색이 가변될 수 있도록 표시패널부(120)에 형성되는 홀(121)의 형성 패턴은 별도로 디자인될 필요 없이 표시패널부(120)의 면상에 골고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원부(130)는, 태양전지(110)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시키며, 구동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다이오드(LED) 등과 같은 발광소자(131)와, 상기 발광소자(131)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표시패널부(120)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광원케이스(132), 상기 발광소자(131)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양자점이 혼합된 혼합레진으로 이루어진 레진층(134)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소자(131)는 레진층(134)에 혼합된 양자점의 광원으로 작용하거나 자체적으로 표시패널부(120)에 일정한 문자나 기호 등의 표시를 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발광다이오드(LED)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청색광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상기 레진층(134)은 발광소자(131)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데, 상기 일정간격은 발광소자(131)의 상부에 부착되어 이루어지거나 광원케이스(132)의 발광소자(131) 수용부(135)에 접촉하면서 수용부(135)와 발광소자(131)의 높이 차이로 발생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높이 차이는, 예로, 발광소자(131)의 높이가 h이고, 수용부(135)의 깊이가 h+1mm인 경우 1mm만큼의 높이차가 발생하여 레진층(134)이 발광소자(131)와 1mm만큼 이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레진층(134)은 양자점이 혼합된 혼합레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시패널부(120)에서 표시되는 형성 패턴과 일치하는 패턴으로 발광소자(131)의 상부에 위치하는데, 양자점(133)의 발광 색상에 따라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층,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예로,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표시패널부(120)에서 적색의 도넛 형상을 표시하고자 할 경우 그 도넛 형상의 하부에 위치한 발광소자(131)의 상부에 적색 양자점(133a)이 혼합된 레진층(134)이 위치하여 적색의 도넛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구체적 예로,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표시패널부(120)에서 백색의 숫자 '30'을 표시하고자 할 경우 그 숫자 '30'의 하부에 위치한 발광소자(131)의 상부에 적색 양자점(133a)이 혼합된 레진층(134) 및 녹색 양자점(133b)이 혼합된 레진층(134)이 순서대로 위치하여 백색의 숫자 '30'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 예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시패널부(120)에서 노란색의 숫자 '40'을 표시하고자 할 경우 그 숫자 '40'의 하부에 위치한 발광소자(131)의 상부에 노란색 양자점이 혼합된 레진층(134)을 위치하여 노란색의 숫자 '40'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양자점(133a, 133b)은 광원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목적하는 색상을 발현하는 수 나노미터(nm) 크기의 반도체 결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소자(131)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광다이오드(LED)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청색광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 예를 들면 용액 공정법, 플라스마 합성법 등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예로서, 용액 공정법으로 InP/GaP/ZnSe/ZnS 구조의 양자점을 합성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갈륨(Ga)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청색광을 발현하게 되므로, 바람직하게는 갈륨을 전체 mol% 농도에서 0.01 mol% 농도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진층(134)은 점도가 27℃에서 1,400cps 이상, 바람직하게는 27℃에서 1,400 내지 1,600cps, 보다 바람직하게는 27℃에서 1,500 ~ 1,600cps인 단일 또는 2종의 혼합 레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진층(134)은 하부에 구비된 발광소자(131)의 열에 의하여 점도가 감소하는데, 점도가 27℃에서 1,400cps 미만일 경우 발광소자(131)의 열에 의하여 레진층(134)의 구조를 일정하게 형성하지 못하고 유동성으로 인한 혼합된 양자점이 일정하게 배열되지 못하여 결국 광원부(130)를 구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점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구체적 예로서, 상기 레진층(134)은 Bis-GMA(bisphenol A-glycidyl methacrylate) 레진과 희석제의 혼합일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Bis-GMA의 점도를 상승시키는 물질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TEDGMA(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가 있다.
또 하나의 구체적 예로서, 상기 레진층(134)은 Bis-GMA와 TEDGMA가 70 내지 73: 27 내지 30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72: 28 내지 30 중량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71 내지 72: 28 내지 29 중량비로 혼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레진층(134)은 점도가 27℃에서 1,552cps를 나타내어 광원부(130)의 발광소자(131)에 의한 열에 의하여도 점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이 혼합된 레진층을 이용하여 발광 표지판을 제조함으로써 종래 고가의 광섬유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저렴하게 발광 표지판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시인성이 우수한 발광 표지판을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도로 표지판용 레진의 제조
도로 표지판용 레진을 만들기 위해 상업용으로 사용되는 재료로 Bis-GMA(bisphenol A-glycidyl methacrylate) (Shinnakamura Chemical Co., Japan)를 기본 수지로 사용하였으며, 희석재로는 TEGDMA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Negami Chemical Industrial Co. Ltd., Japan)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냉장 보관한 Bis-GMA 레진을 상온으로 꺼내어 레진의 온도를 25℃가 될 때까지 중탕을 사용하여 가열하였다. 이후 Bis-GMA 레진을 150g으로 고정하고, 희석제인 TEGDMA의 첨가량을 5g씩 증가하여 혼합레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혼합제의 점도 측정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혼합레진의 점도 측정은 점도측정기(brookfied DVE Viscometer, DVEERVTJ0 U.S.A)를 이용하였으며, 200ml의 비커스에 혼합레진을 넣고 측정하였다. 도로 표지판용 레진을 개발하기 위하여 혼합 레진의 점도가 1,400~1,600cps가 될 때까지 희석재를 첨가하였다. 레진과 희석재의 배합 비율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혼합 레진의 점도 측정 조건은 혼합 레진의 온도는 25℃에서 30분간 유지한 후 spindle 번호는 63번, 회전수는 30rpm에서 측정하였다.
Name Mixing(g)
Bis-GMA TEGDMA
BT50 150 50
BT55 150 55
BT60 150 60
BT65 150 65
BT70 150 70
상기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유기화합물의 점도는 분자량이 증가하면 점도가 증가하는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Bis-GMA에 희석재로 TEDGMA가 첨가됨에 따라 점도가 감소하였다. 이는 TEDGMA가 첨가됨에 따라 수소 결합이 방해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였다. 또한, TEGDMA는 레진을 유연하고 깨지지 않도록 하고, 변연 강도를 개선시키고, 외부 충격에 대한 레진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희석제로 유용하다. 혼합레진의 점도는 1,349~3,627cps을 나타내었다. 희석재의 양이 증가할수록 점도 값이 감소되었다.
또한, 레진의 점도는 주변 온도, shear rate, 측정 조건(점도계의 모델, spindle, speed 조건, 시료 측정용기의 크기, guard leg의 유무, 시료의 온도변화 등), 측정 시간, 조성 및 첨가제, 희석제, 기포(유체 안에 존재하는 공기 방울) 등의 영향을 받으므로, 혼합레진(BT 30)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점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혼합레진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도가 감소되었다(도 4 참조). 구체적으로, 18℃에서 점도는 5,156cps, 21℃에서는 3,344cps, 24℃에서 2,204cps, 27℃에서 1,552cps, 30℃에서 1,132cps를 나타내었다.
제조예 2: 양자점의 합성
양자점 합성은 용액 공정법으로 InP/GaP/ZnSe/ZnS 구조의 양자점을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100㎖ 3구 플라스크에 indium(III) chloride(InCl3), tris(dimethylamino)phosphine(TDAP), gallium chloride를 넣고 surfactant로서 oleylamine (OAm)을 주입한 후, 반응온도 230℃에서 60분간 교반하여 InP/GaP 코어를 합성하였다. ZnSe 쉘은 zinc stearate(Zn(st)2)와 1-octadecene(ODE)의 혼합물과, selenium(Se)과 trioctylphosphine(TOP)의 혼합물인 TOP;Se을 주입하고 220℃에서 쉘을 쌓은 후 1-dodecanethoil(DDT)를 주입하여 ZnS 쉘을 쌓아 양자점(QD)을 합성하였다.
제조예 3: 양자점이 첨가된 광중합형 레진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혼합 레진에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양자점(Quantum Dot; QD)를 혼합하기 위해 crude 용액을 헥산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washing 한 후 QD 사이에 잔존한 용매를 건조하였다. 건조한 QD와 표지용 혼합 레진과 교반기를 이용하여 광중합형 레진을 혼합하였다. 혼합된 레진에 환원제로 2-(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N-DMAEMA, Tokyo Chemical) 0.5wt.% 첨가 하였으며 광중합 개시제로 comphorquinone(Tokyo Chemical)를 0.5wt.% 첨가하여 양자점이 첨가된 광중합형 레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양자점의 광학 특성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QD의 광학 특성은 분광기(Absolute PL Quantum Yield Spectrometer, Hamamatsu, Quantaurus-QY model C11347)를 이용하여 발광 파장과 양자 효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로서, 코어에서 gallium의 농도에 따른 발광 파장과 절대양자 효율의 변화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갈륨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발광 파장은 blue shift 되고 양자효율은 급격히 저하되고 있는데, 갈륨 전구체가 과량 주입되는 경우 InP/GaP로의 핵생성시 결합에 참여하지 못한 잔여 전구체가 Ga을 중심으로 핵생성되어 불균일한 성장으로 작은 입자로 성장이 종료됨으로 blue shift하고 이에 따라 양자효율도 급격히 저하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갈륨 전구체 농도
(mol/%)
PL 발광 파장
(㎚)
절대양자효율
(%)
0 524 88
0.01 522 91
0.03 516 82
0.05 513 70
0 621 87
0.01 618 90
0.03 611 81
0.05 606 73
실시예 3: 양자점이 첨가된 광중합형 레진의 광학 특성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한 QD가 함유된 광중합형 레진의 광학 특성은 1.5t의 알루미늄 판에 직경 3mm 홀을 가공한 후 홀 내부로 QD가 혼합된 광중합형 레진을 주입하고, 460㎚ 파장의 1.6W blue LED 모듈을 이용하여 100초간 광중합 하였다. 시편의 광학적 특성은 Chroma Meter (Konica Minolta, CS-160)를 이용하여 휘도와 색좌표를 측정하였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QD 혼합 레진의 발광 표지의 휘도는 다음 그림과 같이 백색 영역에서 142.6cd/㎡, 적색 영역에서 104.2cd/㎡을 얻었다.
10 발광형 표지판
110 태양전지 120 표시패널부
130 광원부 131 발광소자
132 광원케이스
133a 양자점(적색) 133b 양자점(녹색)
134 레진층 135 수용부

Claims (7)

  1. 태양전지(110)와, 표시패널부(120)와, 광원부(130)와,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발광형 표지판(100)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130)가 구동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다이오드(LED)가 구비된 발광소자(131), 상기 발광소자(131)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표시패널부(120)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광원케이스(132), 및 상기 발광소자(131)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양자점이 혼합된 혼합레진으로 이루어진 레진층(134)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레진은 Bis-GMA(bisphenol A-glycidyl methacrylate) 레진과 희석제가 70 내지 73: 27 내지 30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표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층(134)은 양자점이 혼합되어 있고, 표시패널부(120)에서 표시되는 형성 패턴과 일치하는 패턴으로 발광소자(131)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표지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층(134)은 양자점의 발광 색상에 따라 1 내지 3개의 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표지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층(134)의 혼합레진은 점도가 27℃에서 1,400 내지 1,600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표지판.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는 TEDGMA(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표지판.
  7. 삭제
KR1020220017153A 2022-02-09 2022-02-09 양자점을 이용한 발광형 표지판 Active KR102675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153A KR102675455B1 (ko) 2022-02-09 2022-02-09 양자점을 이용한 발광형 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153A KR102675455B1 (ko) 2022-02-09 2022-02-09 양자점을 이용한 발광형 표지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500A KR20230120500A (ko) 2023-08-17
KR102675455B1 true KR102675455B1 (ko) 2024-06-17

Family

ID=87800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153A Active KR102675455B1 (ko) 2022-02-09 2022-02-09 양자점을 이용한 발광형 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54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529Y1 (ko) * 2002-04-26 2002-10-31 최정식 태양전지를 적용한 자체발광 이엘 도로광고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603B1 (ko) 2010-09-01 2011-01-20 (주)피엘티 발광형 표지판
KR101098857B1 (ko) 2011-08-01 2011-12-26 (주)피엘티 광케이블을 이용한 발광형 표지판
CN104838437B (zh) * 2012-10-04 2017-12-22 纳米技术有限公司 使用量子点的照明标识
KR20160001267U (ko) * 2014-10-08 2016-04-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안전 표시용 스티커
KR101918433B1 (ko) * 2014-12-25 2018-11-13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컬러 필터, 그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소자
KR101550641B1 (ko) 2015-03-31 2015-09-08 주식회사 태성 광섬유 발광형 교통 표지판
KR101835819B1 (ko) 2017-08-11 2018-03-08 주식회사 에이엘테크 광섬유 발광형 표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529Y1 (ko) * 2002-04-26 2002-10-31 최정식 태양전지를 적용한 자체발광 이엘 도로광고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500A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148B1 (ko) 백라이트 장치용 광 여기 확산시트,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용 백라이트 장치
CN107062115B (zh) 磷光照明组件
US8272758B2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8641254B2 (en) Illumination apparatus
US20090021148A1 (en) Color converting material composition and color converting medium including same
US9969932B2 (en) Class of green/yellow emitting phosphors based on benzoxanthene derivatives for LED lighting
US10532691B2 (en) Lighting assembly including light strip, photoluminescent structure, and reflector and positioned on vehicle panel
US10514152B2 (en) Highly efficient molecules showing resonant energy transfer
US20090141476A1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KR101775260B1 (ko) 색도 좌표와 색 영역 조절이 가능한 형광 필름
US20120170303A1 (en) Illumination apparatus with high conversion efficiency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9896020B2 (en) Vehicle lighting assembly
WO2006025512A1 (en) Light-emitting body,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WO2011129429A1 (ja) Led発光装置
KR100715500B1 (ko) 미세공동 유기 발광 소자와 광 여기 발광층을 이용한 광원
JP3613268B2 (ja) 色変換フィルタ、色変換層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色変換発光デバイス
WO2019031524A1 (ja) 蓄光組成物、蓄光素子および波長制御方法
KR102675455B1 (ko) 양자점을 이용한 발광형 표지판
KR20160079375A (ko) 발광색 변환 조성물, 발광색 변환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0621672B1 (ko) 광증폭층이 형성된 백라이트 장치용 광여기 확산시트,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용 백라이트 장치
US9587967B1 (en) Vehicle container illumination
US7737434B2 (en) Light-emitting diode illumination source
CN208888407U (zh) 一种导光板
KR100482414B1 (ko) 유색 야광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2054955A (ja) コンビネーションメ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