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74853B1 - Novel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nd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 Google Patents

Novel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nd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4853B1
KR102674853B1 KR1020230030723A KR20230030723A KR102674853B1 KR 102674853 B1 KR102674853 B1 KR 102674853B1 KR 1020230030723 A KR1020230030723 A KR 1020230030723A KR 20230030723 A KR20230030723 A KR 20230030723A KR 102674853 B1 KR102674853 B1 KR 102674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food composition
coffee
food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07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혜진
김철홍
김성환
신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빙그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빙그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빙그레
Priority to KR1020230030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48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85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2Prebiotics, ingredients fermente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by beneficial microflor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4Probiotics, living bacteria to be ingested for action in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75Rhamnos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균주는 대상체의 장내 균총에서 유익균(예: 락토바실러스 속)을 우수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균주는 대상체의 장내 정상균총의 균형을 유지하고 장 건강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주는 커피 섭취 빈도가 많은 대상체의 장내 균총에서 유익균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균주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예: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novel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nd a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The strain can significantly increase beneficial bacteria (eg, Lactobacillus genus) in the subject's intestinal flora. These strains can maintain the balance of the subject's normal intestinal flora and improve intestinal health. Additionally, the strain can significantly increase beneficial bacteria in the intestinal flora of subjects who frequently consume coffee. Therefore, the strain can be usefully used as a probiotic composition or food composition (e.g.,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Description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Novel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nd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Novel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nd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Novel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nd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본 개시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novel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nd a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인체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 개체 수는 38조 개로 인체 세포 수(30조 개)보다 많으며, 이 중 대부분의 미생물이 대장 내에 존재한다. 인체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이 질병을 일으키지 않고 군집을 이루는 것을 정상균총(normal flora)이라고 한다. 정상균총은 사람에게 유해한 병원성 미생물이 신체에 정착하지 못하도록 저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특히 대장의 경우 수백 종의 미생물들이 복잡한 생태계를 이루며 살아가고 있으므로 인간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상균총이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사람의 장내 균총은 여러가지 외부 요인에 의해 불균형이 생길 수 있으며, 정상균총과 유해한 병원성 미생물의 비율에 변화로 인해 정상범위를 벗어날 경우 불균형 상태(dysbiosis)가 될 수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장에서 발생한 불균형 상태가 다양한 증상 또는 질병과 관련되어 있다고 밝혀지고 있다. 특히 장내 균총은 대상체가 섭취하는 식품에 따라서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어떠한 식품을 빈번하게 섭취하는지 여부에 따라 장내 균총의 상태가 달라질 수 있다.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existing in the human body is 38 trillion, which is more than the number of human cells (30 trillion), and most of these microorganisms exist in the large intestine. Microorganisms existing in the human body that do not cause disease and form colonies are called normal flora. The normal flora plays a role in preventing pathogenic microorganisms harmful to humans from settling in the bod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large intestine, hundreds of species of microorganisms live in a complex ecosystem, so maintaining the normal flora is essential for humans to maintain a healthy state. It is important. However, the human intestinal flora can become imbalanced due to various external factors, and if the ratio of normal flora and harmful pathogenic microorganisms deviates from the normal range due to changes, it can become dysbiosis.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imbalances occurring in the intestines are associated with various symptoms or diseases. In particular, the intestinal flora can be affected by the foods a subject consumes, and the state of the intestinal flora can vary depending on which foods are frequently consumed.

한국인이 선호하는 기호식품으로서 커피는 소비 빈도가 높은 품목이다. 커피는 커피나무에서 수확한 생두를 가공하여 볶은 후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이상의 원두를 섞어 추출하여 음용하는 기호 음료로, 카페인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커피의 섭취가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한국의 커피 시장 규모는 2021년 약 5조원 규모로 세계 3위로 성장하였고, 2023년에는 약 8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커피 섭취가 잦은 현대인의 장내 균총을 정상 범위로 유지하기 위한 프로바이오틱스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As a favorite food preferred by Koreans, coffee is a frequently consumed item. Coffee is a favorite beverage that is consumed by processing and roasting green beans harvested from coffee trees, then extracting a mixture of one or two types of coffee beans, and because it contains a large amount of caffeine, the effect of coffee consumption on intestinal microorganisms is expected to be significant. do. In addition, Korea's coffee market size has grown to about 5 trillion won in 2021, ranking third in the world, and is expected to grow to about 8 trillion won in 2023.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probiotics to maintain the intestinal flora of modern people who frequently consume coffee within a normal range.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는 커피의 섭취가 잦은 현대인의 장내 균총에 안정적으로 정착하여 유익균의 증식을 도와주는 맞춤형 유산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provide customized lactic acid bacteria that stably settle in the intestinal flora of modern people who frequently consume coffee and help the proliferation of beneficial bacteria.

본 개시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probiotic composition or food composition containing a novel Lactobacillus rhamnosus strain.

1. 본 개시의 일 실시태양은, 수탁번호 KCTC14784BP로 기탁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균주에 관한 것일 수 있다.1.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late to the novel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deposited with accession number KCTC14784BP.

2. 일 실시태양에서, FB019 균주는 서열번호 1에 기재된 16S rRNA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2. In one embodiment, the FB019 strain may include the 16S rRNA bas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

3. 본 개시의 일 실시태양은, FB019 균주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3.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late to a probio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FB019 strain.

4. 일 실시태양에서,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은 FB019 균주를 1Х108 내지 1Х1011 CFU/g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4. In one embodiment, the probiotic composition may include strain FB019 at a concentration of 1Х10 8 to 1Х10 11 CFU/g.

5. 본 개시의 일 실시태양은,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5.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late to a food composition containing a probiotic composition.

6. 일 실시태양에서, 식품 조성물은 프리바이오틱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6. In one embodiment, the food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prebiotics.

7. 일 실시태양에서, 프리바이오틱스는 프락토올리고당, 치커리 식이섬유, 이눌린, 이소말토올리고당, 락티톨, 락토수크로스, 락툴로스, 파이로덱스트린, 대부 올리고당(Soy oligosaccharides), 및 자일로 올리고당(Xylo-oligosaccharid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7. In one embodiment, the prebiotics include fructooligosaccharides, chicory fiber, inulin, isomaltooligosaccharides, lactitol, lactosucrose, lactulose, pyrodextrins, soy oligosaccharides, and xylo oligosaccharides.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Xylo-oligosaccharide).

8. 일 실시태양에서, 프리바이오틱스는 치커리 식이섬유일 수 있다.8. In one embodiment, the prebiotic can be chicory dietary fiber.

9. 일 실시태양에서, 식품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액상제, 분말제 또는 발효유 형태일 수 있다.9. In one embodiment, the food composition may be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 tablet, capsule, liquid, powder, or fermented milk.

10. 일 실시태양에서, 식품 조성물은 식품에 사용 가능한 첨가물, 담체, 부형제 및 향미제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10. In one embodiment, the food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of additives, carriers, excipients, and flavoring agents that can be used in food.

11. 일 실시태양에서,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11. In one embodiment, the food composition may be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12. 일 실시태양에서, 식품 조성물은 동결건조 제품일 수 있다.12. In one embodiment, the food composition may be a freeze-dried product.

13. 일 실시태양에서, 식품 조성물은 커피 섭취가 많은 대상체의 장내균총에서 유익균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13. In one embodiment, the food composition may be intended to increase beneficial bacteria in the intestinal flora of a subject with high coffee consumption.

14.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체는 1 주에 커피를 3 회 내지 4 회 이상 섭취하는 대상체일 수 있다.14. In one embodiment, the subject may be a subject who consumes coffee 3 to 4 or more times per week.

15. 본 개시의 일 실시태양은, FB019 균주를 포함하는 식품 첨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15.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late to a composition for food addition containing the FB019 strain.

16. 본 개시의 일 실시태양은, FB019 균주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16.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late to a composition for animal feed containing the FB019 strain.

17. 본 개시의 일 실시태양은,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는 수탁번호 KCTC14784BP로 기탁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균주이고, 커피 섭취가 많은 대상체의 장내균총에서 유익균을 증가시키기 위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17.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probiotics, and the probiotics are a novel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deposited with accession number KCTC14784BP, and promote beneficial bacteria in the intestinal flora of subjects who consume a lot of coffee. It may be about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increasing

본 개시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는 대상체의 장내 균총에서 유익균(예: 락토바실러스 속)을 우수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균주는 대상체의 장내 정상균총의 균형을 유지하고 장 건강을 개선시킬 수 있다.The novel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excellently increase beneficial bacteria (eg, Lactobacillus genus) in the intestinal flora of a subject. These strains can maintain the balance of the subject's normal intestinal flora and improve intestinal health.

본 개시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는 커피 섭취 빈도가 많은 대상체의 장내 균총에서 유익균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The novel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significantly increase beneficial bacteria in the intestinal flora of subjects who frequently consume coffee.

본 개시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예: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novel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usefully used as a probiotic composition or food composition (e.g.,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와 다른 락토바실러스 비교 균주의 생장 수준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프리바이오틱스인 프락토올리고당의 농도에 따른 FB019 균주와 다른 락토바실러스 비교 균주의 생장 수준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커피 섭취가 많은 대상체에서 FB019 균주와 다른 락토바실러스 비교 균주를 처리하였을 때 장내 균총의 상대적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FB019 균주를 처리하였을 때 커피 섭취가 많은 대상체에서의 락토바실러스 속의 상대적 비율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커피를 빈번하게 섭취하는 그룹과 커피 섭취 빈도가 적은 그룹에서 장내 균총의 상대적 비율과, FB019 균주를 처리하기 전후 장내 균총의 상대적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FB019 처리 여부에 따라 커피를 빈번하게 섭취하는 그룹과 커피 섭취 빈도가 적은 그룹에서 장내 유익균(락토바실러스 속)의 비율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 shows the growth level of the novel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nd other Lactobacillus comparison strai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shows the growth level of the FB019 strain and other Lactobacillus comparison strain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fructooligosaccharide, a prebiotic.
Figure 3 shows the relative ratio of intestinal flora when the FB019 strain and other Lactobacillus comparison strains were treated in subjects with high coffee consumption.
Figure 4 shows the relative ratio change of the Lactobacillus genus in subjects with high coffee consumption when treated with the FB019 strain.
Figure 5 shows the relative ratio of intestinal flora in a group that frequently consumes coffee and a group that consumes less coffee, and the relative ratio of intestinal flora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 the FB019 strain.
Figure 6 shows the change in the ratio of intestinal beneficial bacteria (Lactobacillus genus) in a group that frequently consumes coffee and a group that consumes coffee infrequently depending on whether or not FB019 was treated.

본 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태양 또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며, 이를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본 문서에 기재된 각 실시태양 또는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대체물(alternatives) 및 각 실시태양 또는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조합된 실시태양 또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다양한 실시태양 또는 실시예들이나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various embodiments or exampl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are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clear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m to specific embodiment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lternatives, and embodiments selectively combined from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or example described in this document. Or includes examples. Additionall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various embodiments or examples or specific descriptions thereof presented below.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may hav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general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포함할 수 있다", "구비한다", "구비할 수 있다", "가진다", "가질 수 있다" 등과 같은 표현들은, 대상이 되는 특징(예: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이 존재함을 의미하며, 다른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즉, 이와 같은 표현들은 다른 실시태양을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such as “includes,” “may include,” “includes,” “may be provided,” “has,” “may have,” etc.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refer to the target feature, e.g.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etc.) exists,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other additional features. In other words, such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as open-ended terms that imply the possibility of including other embodiments.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단수형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항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The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is disclosure may include plural meanings unless the context dictates otherwise, and this also applies to the singular expressions described in the claims.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A, B 및 C," "A, B 또는 C," "A, B 및/또는 C" 또는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 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A, B 및/또는 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각각의 나열된 항목 또는 나열된 항목들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의미할 수 있다.As used in this disclosure, “A, B, and C,” “A, B, or C,” “A, B, and/or C,” or “at least one of A, B, and C,” “at least one of A, B, or C. “on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B, and/or C,”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B, and C,”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B, or C,” “selected from A, B, and/or C. Expressions such as “at least one” may mean each listed item or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listed items.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은 기술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에게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값에 대한 통상적인 오차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본 개시에 기재된 수치 값 또는 범위의 맥락에서, 일 실시태양에서 언급되거나 또는 청구된 수치 값 또는 범위의 ±20%, ±15%, ±10%, ±9%, ±8%, ±7%, ±6%, ±5%, ±4%, ±3%, ±2%, 또는 ±1%임을 의미할 수 있다.As used in this disclosure, the term “about” may indicate a typical error range for each value, as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context of numerical values or ranges set forth in this disclosure, in one embodiment this means ±20%, ±15%, ±10%, ±9%, ±8%, ±7% of the stated or claimed numerical values or ranges. , ±6%, ±5%, ±4%, ±3%, ±2%, or ±1%.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치수, 수치 및 그 범위에 대한 기재는, 문맥상 다르게 특정되지 않는 한, 해당 치수, 수치 및 그 범위 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포함하는 동등한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context, descriptions of dimensions, values, and range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only to the dimensions, values, and ranges, but may mean an equivalent range including these.

이하에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태양을 설명한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described below.

본 개시의 일 실시태양은,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에 관한 것일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late to a novel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이며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수탁번호 KCTC14785BP로 기탁된 균주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rain is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nd may be a strain deposited at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under accession number KCTC14785BP.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에 기재된 16S rRNA 염기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rain may include the 16S rRNA bas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

본 개시의 일 실시태양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late to a probio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일 실시태양에서,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인간이나 동물 등 숙주의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는 미생물 또는 그 성분으로, 구체적으로는 유산균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은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투여 용량에 특별한 제약은 없고, 체내 흡수도, 체중, 환자의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은 체중 1 kg당 약 10 내지 약 1000 mg 정도를 투여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체중 1 kg당 약 50 내지 약 500 mg 정도 투여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probiotics are microorganisms or components thereof that exhibit beneficial effects on the health of hosts such as humans and animals, and may specifically refer to lactic acid bacteria. Probiotic compositions can be used for edible and medicinal purposes, and there are no particular restrictions on the dosage, including absorption into the body, body weight, patient's age, gender, health status, diet,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method, excretion rate, severity of disease, etc. It may change accordingly. In general, the probiotic composition can be administered in an amount of about 10 to about 1000 mg per kg of body weight, and specifically, about 50 to about 500 mg per kg of body weight.

일 실시태양에서,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은 통상적인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액상제, 분말제, 발효유, 배양 현탁액 또는 건조분말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주성분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의 유효량에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부형제, 담체 또는 첨가제를 선택하여 통상적인 제형의 조성물로 제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biotic composition may be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or preparing a probiotic composition, for example,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 tablet, capsule, liquid, powder, fermented milk, culture suspension, or dry powd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In addition, the composition can be prepared in a conventional formulation by selecting an effective amount of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which is the main ingredient, and one or two or more excipients, carriers, or additives.

일 실시태양에서, 담체는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방부제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로는 향료, 비타민류, 항산화제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rrier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diluent, lubricant, binder, disintegrant, sweetener, stabilizer, and preservative, and the additive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lavoring, vitamins, and antioxidants. You can use it.

일 실시태양에서, 부형제, 담체 또는 첨가제는 그 종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체적으로는 희석제로 유당(lactose monohydrate), 트레할로스(Trehalose), 옥수수 전분(corn starch), 콩기름(soybean oil), 미결정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또는 만니톨(D-mannitorl),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stearate) 또는 탈크(talc), 결합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polyvinyipyrolidone)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hydroxypropylcellulose)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붕해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Ca-CMC: 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전분글리콜산나트륨(sodium starchglycolate), 폴라크릴린칼륨(polacrylin potassium) 또는 크로스포비돈(cross-linkedpolyvinylpyrrolidone), 감미제로는 백당, 과당, 소르비톨(sorbitol) 또는 아스파탐(aspartame), 안정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Na-CMC: carboxymethylcellulosesodium), 베타-싸이크로덱스트린(β-cyclodextrin), 백납(white bee's wax) 또는 잔탄검(xanthan gum)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methyl p-hydroxy benzoate, methlparaben),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propyl p-hydroxybenzoate, propylparaben), 또는 소르빈산칼륨(potassium sorbate)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ype of excipient, carrier, or additive is not limited, but specifically, the diluent includes lactose monohydrate, trehalose, corn starch, soybean oil, and microcrystalline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or mannitol (D-mannitorl), magnesium stearate or talc as a lubricant, and polyvinylpyrrolidone (PVP: polyvinyipyrolidone) or hydroxypropylcellulose (HPC: hydroxypropylcellulose) as a binder. You can choose. In one embodiment, the disintegrant is 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Ca-CMC), sodium starchglycolate, polacrylin potassium or cross-linked polyvinylpyrrolidone, and a sweetener. The stabilizers are white sugar, fructose, sorbitol or aspartame, and the stabilizers are carboxymethylcellulosesodium (Na-CMC), beta-cyclodextrin, white bee's wax or xanthan gum. You can choose from (xanthan gum), and as a preservative, you can choose from methyl p-hydroxy benzoate (methlparaben), propyl p-hydroxybenzoate (propylparaben), or potassium sorbate. .

일 실시태양에서,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를 약 1Х108 내지 약 1Х1011 CFU/g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는 약 1Х108 CFU/g, 약 5Х108 CFU/g, 약 1Х109 CFU/g, 약 5Х109 CFU/g, 약 1Х1010 CFU/g, 약 5Х1010 CFU/g, 또는 약 1Х1011 CFU/g 의 농도로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농도 수치 사이의 임의의 값에 해당하는 농도로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biotic composition may include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t a concentration of about 1Х10 8 to about 1Х10 11 CFU/g. Specifically, the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is about 1Х10 8 CFU/g, about 5Х10 8 CFU/g, about 1Х10 9 CFU/g, about 5Х10 9 CFU/g, about 1Х10 10 CFU/g, about 5Х10 10 CFU/g. , or may be included in the probiotic composition at a concentration of about 1Х10 11 CFU/g, or may be included in the probiotic composition at a concentration corresponding to any value between the above concentration values.

일 실시태양에서,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은 하루에 1 회, 2 회, 3 회, 4 회, 5 회, 또는 6 회 이상 대상체에 투여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biotic composition can be administered to the subject 1, 2, 3, 4, 5, or 6 or more times per day.

본 개시의 일 실시태양은, 본 개시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 또는 이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late to a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or a probio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기능성 음료,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해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foods in the conventional sense, and includes functional foods, functional beverages, nutritional supplements, health foods, and food additives. Includes all forms. Food compositions of this type can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과자, 떡, 빵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일 예로, 육류, 곡류, 카페인 음료, 일반음료, 초콜릿, 빵류, 스낵류, 과자류, 사탕, 피자, 젤리, 면류, 껌류, 유제품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성 음료, 술, 비타민 복합제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the food composition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various foods, such as beverages, gum, tea, vitamin complexe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nacks, rice cakes, bread,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No. The food composition includes, for example, meat, grains, caffeinated beverages, general beverages, chocolate, bread, snacks, confectionery, candy, pizza, jelly, noodles, gum, dairy products, ice cream, alcoholic beverages, alcohol, vitamin complexes, and I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other health supplemen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균주 또는 이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경우, 그 양은 식품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중량% 내지 약 90 중량%, 약 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 약 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또는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일 수 있고, 장기간 섭취 용도일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나, 유효 성분이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strain or a probio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is included in a food composition, the amount is about 0.001% by weight to about 90% by weight, about 0.1% by weight to about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ood composition, It may be about 0.1% by weight to about 20% by weight, about 0.1% by weight to about 10% by weight, or about 0.1% by weight to about 5% by weight, and may be less than the above range for long-term intake, but the active ingredient is safe. If there are no problems in this regard, it can be used in amounts exceeding the above range, so i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태양에서,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첨가성분은 예컨대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ood composition contain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ing agents such as synthetic and natural flavors, colorants and filler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It may contain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 carbonating agents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etc., and the above ingredi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In one embodiment, the food composition may include the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s an active ingredient, as well as ingredients commonly added during food production. In one embodiment, added ingredients include, for example, proteins, carbohydrates, fats, nutrients, seasonings, and flavoring agents. In one embodiment,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e.g., glucose, fructose, etc.), disaccharides (e.g., maltose, sucrose, oligosaccharides, etc.), and polysaccharides (e.g., dextrins, cyclodextrins, etc.). In one embodiment, the flavoring agent is a common sugar and sugar alcohol such as xylitol, sorbitol, erythritol, etc., natural flavoring agent (thaumatin, stevia extract (e.g.,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Synthetic flavoring agents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used.

일 실시태양에서, 식품 조성물은 프리바이오틱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프리바이오틱스는 프락토올리고당, 치커리 식이섬유, 이눌린, 이소말토올리고당(IMO), 락티톨, 락토수크로스, 락툴로스, 파이로덱스트린, 대부 올리고당(Soy oligosaccharides), 및 자일로 올리고당(Xylo-oligosaccharid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태양에서, 프리바이오틱스는 식품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ood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prebiotics. In one embodiment, the prebiotics include fructooligosaccharides, chicory dietary fiber, inulin, isomaltooligosaccharides (IMO), lactitol, lactosucrose, lactulose, pyrodextrins, soy oligosaccharides, and xylosaccharides.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ligosaccharides (Xylo-oligosaccharid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one embodiment, prebiotics may be included in the food composition in an amount of about 0.1 to about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ood composition.

일 실시태양에서, 식품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를 약 1Х108 내지 약 1Х1011 CFU/g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ood composition may include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t a concentration of about 1Х10 8 to about 1Х10 11 CFU/g.

일 실시태양에서, 식품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액상제, 분말제 또는 발효유 형태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ood composition may be in the form of a powder, granule, tablet, capsule, liquid, powder, or fermented milk.

일 실시태양에서, 식품 조성물은 식품에 사용 가능한 첨가물, 담체, 부형제 및 향미제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ood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of additives, carriers, excipients, and flavoring agents that can be used in foods.

일 실시태양에서, 부형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디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xcipients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ditol, starch, gum acacia,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It may includ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or mineral oil.

일 실시태양에서,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개시의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제, 분말제, 과립제, 액상제, 음료 및 환제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건강기능식품은 해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해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ood composition may be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Health functional foods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 to foods manufactured and processed in the form of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liquids, beverages, and pills using raw materials or ingredients with functional properties useful to the human body. Here, ‘functionality’ means controlling nutrients fo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or obtaining useful effects for health purposes, such as physiological effects.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manufactured by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industry, and can be manufactured by adding raw materials and ingredients commonly added in the industry.

일 실시태양에서,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the formulation of a health functional food can also be manufactur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formulation recogniz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The food composition or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and unlike general drugs, it is made from food as a raw material and has the advantage of not having side effects that may occur when taking the drug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being portable. It is excellent and can be taken as a supplement.

일 실시태양에서, 건강기능식품은 그 외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첨가제는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식품보조첨가제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첨가제의 예로는, 착향제(예를 들면, 오렌지유, 페퍼민트 오일, 또는 사과향 등), 보존제(예를 들면, 메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또는 프로필 파라옥시벤조에이트 등), pH 조정제(예를 들면, 초산, 인산, 탄산수소나트륨, 수산화 나트륨 등), 완충제, 착색제, 소포제(예를 들면, 실리콘유 등)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첨가제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첨가제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y further include other additives. In one embodiment, the additive refers to a food supplement that can be added to food,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s it is added to manufacture each type of health functional food. Examples of additives include flavoring agents (e.g., orange oil, peppermint oil, or apple flavor, etc.), preservatives (e.g., methyl paraoxybenzoate, or propyl paraoxybenzoate, etc.), and pH adjusters (e.g., , acetic acid, phosphoric acid, sodium bicarbonate, sodium hydroxide, etc.), buffering agents, colorants, anti-foaming agents (e.g., silicone oil, etc.)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se additive component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and the additiv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from about 0.001% by weight to about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태양에서, 건강기능식품 중 음료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음료는 과일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함량은 본 개시에 따른 음료 100 mL당 약 0.01 ~ 0.04 g, 또는 약 0.02 ~ 0.03 g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beverages among health functional foods may contain various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ingredients like regular beverages. These beverages may also contain pulp for the manufacture of fruit and vegetable beverages. Here, natural carbohydrates may b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As a sweetener, natural sweeteners such as thaumatin and stevia extract or synthetic sweetener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can be used. The content of the natural carbohydrate may be about 0.01 to 0.04 g, or about 0.02 to 0.03 g per 100 mL of the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일 실시태양에서, 식품 조성물은 동결건조 제품일 수 있다. 이러한 동결건조 제품은 해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통상적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ood composition may be a freeze-dried product. These freeze-dried products can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s widely known in the industry.

일 실시태양에서, 식품 조성물은 커피 섭취가 많은 대상체의 장내균총에서 유익균을 증가시키기 위한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커피 섭취가 많은 대상체는 커피 섭취 빈도가 많은 대상체를 의미하며, 1 주에 커피를 3 회 내지 4 회 이상 섭취하는 대상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커피 섭취가 많은 대상체는 1 주에 커피를 1 회 이상, 2 회 이상, 3 회 이상, 4 회 이상, 5 회 이상, 6 회 이상, 7 회 이상, 8 회 이상, 9 회 이상, 또는 10 회 이상 섭취하는 대상체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커피는 에스프레소샷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ood composition may be a food composition for increasing beneficial bacteria in the intestinal flora of a subject who consumes a lot of coffee. In one embodiment, a subject who consumes a lot of coffee refers to a subject who consumes coffee frequently and may refer to a subject who consumes coffee three to four times or more per week. In one embodiment, a subject with a high coffee intake consumes coffee 1 or more times, 2 or more times, 3 or more times, 4 or more times, 5 or more times, 6 or more times, 7 or more times, 8 or more times, or 9 times per week. It may refer to a subject who consumes more than, or more than 10 times. Here, the coffee can be based on an espresso shot.

일 실시태양에서, 커피는 커피 원두를 원료로 사용하는 식품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을 커피는 커피 원두를 가공하여 볶은 후 한 가지 혹은 두 가지 이상의 원두를 섞어 추출하여 음용하는 기호 음료를 의미할 수 있으며, 원두 커피, 인스턴트 커피(예: 고형 커피믹스 제품, 티백 원두 커피 제품, 원두 커피 추출액을 포함하는 액상 제품 등), 또는 커피 음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coffee may refer to a food that uses coffee beans as a raw material. Specifically, coffee may refer to a beverage of choice that is consumed by processing and roasting coffee beans, then extracting a mixture of one or two or more types of coffee beans, and includes coffee beans, instant coffee (e.g. solid coffee mix products, tea bag coffee bean products,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liquid products containing coffee bean extract, etc.), or coffee drinks.

본 개시의 일 실시태양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를 포함하는 식품 첨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김치, 음료, 이유식, 발효유, 빵 등의 식품에 대한 식품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발효제품 제조를 위한 스타터(starter)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효제품은 치즈, 김치, 발효생식제품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이용한 발효제품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late to a composition for food addition containing the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In one embodiment, the strain or culture thereof can be used as a food additive for foods such as kimchi, beverages, baby food, fermented milk, and bread. In one embodiment, the strain or culture thereof can be used as a starter for manufacturing fermented products. The fermented products include cheese, kimchi, fermented raw food products, etc. In one embodiment, fermented products using the strain or culture thereof can be produc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본 개시의 일 실시태양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late to a composition for animal feed containing the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동물 사료용 조성물로서 이용될 경우, 이러한 조성물은 20 내지 90% 고농축액이거나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동물 사료용 조성물은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등의 유기산이나 인산 나트륨, 인산 칼륨, 산성 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 알파-토코페롤, 로즈마리 추출물,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료로서 이용될 경우, 상기 동물 사료용 조성물은 통상의 사료 형태로 제제화 될 수 있으며, 통상의 사료 성분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When used as a composition for animal feed, this composition may be a highly concentrated solution of 20 to 90% or may be prepared in powder or granule form. In one embodiment, the composition for animal feed contains organic acids such as citric acid, humalic acid, adipic acid, lactic acid, and malic acid, phosphates such as sodium phosphate, potassium phosphate, acid pyrophosphate, and polyphosphate (polymerized phosphate), polyphenol, and catechin. , alpha-tocopherol, rosemary extract, vitamin C, green tea extract, licorice extract, chitosan, tannic acid, phytic acid, etc., may additionally contain one or more of natural antioxidants. When used as feed, the composition for animal feed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a normal feed and may include common feed ingredients.

일 실시태양에서, 동물 사료용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사료는 곡물, 예를 들면 분쇄 또는 파쇄된 밀, 귀리, 보리, 옥수수 및 쌀; 식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평지, 콩, 및 해바라기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 동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혈분, 육분, 골분 및 생선분; 당분 및 유제품, 예를 들면 각종 분유 및 유장 분말로 이루어지는 건조성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영양보충제, 소화 및 흡수향상제, 성장촉진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osition for animal feed or feed comprising the same may include grains such as ground or ground wheat, oats, barley, corn and rice; vegetable protein feeds, such as those based on rapeseed, soybean, and sunflower; Animal protein feeds such as blood meal, meat meal, bone meal and fish meal; It may further include dry ingredients such as sugar and dairy products, such as various powdered milk and whey powder, and may further include nutritional supplements, digestion and absorption enhancers, growth promoters, etc.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동물 사료용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사료는 동물에게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식용 담체 중에서 다른 사료첨가제와 조합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물 사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는 탑드레싱으로서 또는 이들을 동물사료에 직접 혼합하거나 또는 사료와 별도의 경구제형으로 용이하게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동물 사료용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사료를 동물 사료와 별도로 투여할 경우,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용 담체와 조합하여, 즉시 방출 또는 서방성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식용 담체는 고체 또는 액체, 예를 들어 옥수수전분,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콩플레이크, 땅콩유, 올리브유, 참깨유 및 프로필렌글리콜일 수 있다. 고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사료첨가제는 정제, 캡슐제, 산제, 트로키제 또는 함당정제 또는 미분산성 형태의 탑 드레싱일 수 있다. 액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상기 동물 사료용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사료는 젤라틴 연질 캡슐제, 또는 시럽제나 현탁액, 에멀젼제, 또는 용액제의 제형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osition for animal feed or feed containing the same may be administered to animal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feed additives in an edible carrier. Additionally, the composition for animal feed and feed containing the same can be easily administered to animals as a top dressing, by mixing them directly into animal feed, or in an oral dosage form separate from the feed. When the composition for animal feed or the feed containing the same is administered separately from animal feed, it can be prepared into an immediate-release or sustained-release formulation by combining it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dible carrier, as is well known in the art. These edible carriers may be solid or liquid, such as corn starch, lactose, sucrose, soy flakes, peanut oil, olive oil, sesame oil and propylene glycol. When a solid carrier is used, the feed additive may be a tablet, capsule, powder, troche or sugar-containing tablet, or a top dressing in microdisperse form. When a liquid carrier is used, the animal feed composition or feed containing the same may be in the form of a gelatin soft capsule, syrup, suspension, emulsion, or solution.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동물 사료용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사료는 보조제, 예를 들어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용액촉진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는 침주, 분무 또는 혼합하여 동물의 사료에 첨가하여 이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osition for animal feed or the feed containing the same may contain auxiliaries, such as preservatives, stabilizers, wetting or emulsifying agents, solution accelerators, etc. The feed additive can be used by adding it to animal feed by injecting, spraying, or mixing it.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동물 사료용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사료는 포유류, 가금 및 어류를 포함하는 다수의 동물 식이에 적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osition for animal feed or feed containing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diet of a number of animals, including mammals, poultry, and fish.

일 실시태양에서, 동물은 포유류를 포함하고 포유류로서 돼지, 소, 양, 염소, 실험용 설치동물, 및 실험용 설치동물뿐만 아니라, 애완동물, 예를 들면 개, 고양이 등에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가금류로서 닭, 칠면조, 오리, 거위, 꿩, 및 메추라기 등에도 사용할 수 있고, 어류로서 송어 등에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the animals include mammals and can be used for pigs, cattle, sheep, goats, laboratory rodents, and laboratory rodents, as well as pets such as dogs, cats, etc., and poultry can be used for chickens. , it can be used for turkey, duck, goose, pheasant, and quail, and can be used for fish such as trout, but is not limited to this.

본 개시의 일 실시태양은,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는 수탁번호 KCTC14785BP로 기탁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균주이고, 커피 섭취가 많은 대상체의 장내균총에서 유익균을 증가시키기 위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probiotics, and the probiotic is a novel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deposited under accession number KCTC14785BP, and is used to increase beneficial bacteria in the intestinal flora of subjects who consume a lot of coffee. It may be about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본 개시의 일 실시태양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의 장내 균총에서 유익균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late to a method for increasing beneficial bacteria in the intestinal flora of a subject, comprising administering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or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to the subject.

본 개시의 일 실시태양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대상체의 장내 균총에서 유익균을 증가시키기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일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late to the use of the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or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for increasing beneficial bacteria in the intestinal flora of a subject.

본 개시의 일 실시태양은, 대상체의 장내 균총에서 유익균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late to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or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for use in a method for increasing beneficial bacteria in the intestinal flora of a subject.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조성물은 프로바이오틱스조성물, 식품 조성물, 식품 첨가용 조성물, 동물 사료용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균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상체에 경구 투여 또는 경구 섭취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대상체는 커피 섭취가 많은 대상체일 수 있으며, 1 주에 커피를 3 회 내지 4 회 이상 섭취하는 대상체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mposition may be a probiotic composition, a food composition, a food additive composition, an animal feed composition, or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In one embodiment, the strain or a composition containing it may be orally administered or ingested by a subject. In one embodiment, the subject may be a subject who consumes a lot of coffee, and may be a subject who consumes coffee three to four times or more per week.

본 개시는 전술한 실시태양 및 후술하는 실시예 또는 실험예들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또는 실험예들을 통해 해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개시를 용이하게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또는 실험예는 본 개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또는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come clearer thr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following examples or experimental examples. 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or experimental example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implement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these examples or experimental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or experimental examples.

[실시예 1] 신생아 분변 유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 분리 및 동정[Example 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derived from newborn feces

한국인 신생아의 분변으로부터 균주를 분리하고 동정한 결과, 신규한 균주를 발견하였으며, 이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Lactobacillus rhamnosus FB019)로 명명하였다. FB019 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생물자원센터(KCTC)에 2021년 11월 18일자로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TC14784BP).As a result of isolating and identifying the strain from the feces of a Korean newborn, a new strain was discovered, which was named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The FB019 strain was deposited at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s Biological Resources Center (KCTC) on November 18, 2021 (Accession Number: KCTC14784BP).

FB019 균주의 16S rRNA 서열은 서열번호 1과 같고, 균주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The 16S rRNA sequence of strain FB019 is the same as SEQ ID NO: 1,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ain are as follows.

1)형태학적 특성 (MRS 고체배지에서 37 ℃, 2일간 배양했을 때의 형태)1)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morphology when cultured on MRS solid medium at 37°C for 2 days)

① 세포의 형태: 간균① Cell type: Bacillus

② 운동성: 없음② Mobility: None

③ 포자형성능: 없음③ Spore forming ability: None

④ 균락의 형태: 원형의 볼록하고 매끈한 형상④ Shape of fungi: circular, convex and smooth shape

2)생리학적 특성2)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① 그람(Gram) 염색: 그람 양성(Gram positive)① Gram staining: Gram positive

② 최적 생장 온도: 33~37 ℃② Optimum growth temperature: 33~37 ℃

③ 최적 생장 pH: pH 5.0~5.5③ Optimum growth pH: pH 5.0~5.5

④ 산소 요구도: 통성혐기성④ Oxygen requirement: facultative anaerobic

3)카탈라아제: -3) Catalase: -

4)가스형성여부: -4) Gas formation: -

5)인돌생산: -5) Indole production: -

6)젖산생산: +6)Lactic acid production: +

[실험예 1] 최적의 장내 균총 배양시스템(In vitro Incubation model) 조건 확립[Experimental Example 1] Establishment of optimal intestinal flora culture system (In vitro Incubation model) conditions

(1) 피험자 모집을 위한 IRB 및 분변 샘플 확보(1) IRB and securing fecal samples for subject recruitment

신규 FB019 균주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의 진행을 위해 피험자를 모집하고 그들의 분변 샘플을 확보하였다.To conduct an experiment to confirm the efficacy of the new FB019 strain, subjects were recruited and their fecal samples were obtained.

피험자 모집 및 분변 샘플 확보를 위해 생명윤리 심의 진행 및 세종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를 통한 심의 번호를 획득하였다(IRB no.: SJU-BR-E-2020-025). 피험자로부터 1회 멸균면봉을 이용한 자가 채취 방식으로 분변을 확보하였고, 산소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 하고자 확보된 즉시 in vitro 장내 균총 배양 시스템에 투입하여 기본 배지(Basal medium)와 함께 균질화 하였다. To recruit subjects and secure fecal samples, bioethics review was conducted and a review number was obtained through the Sejong University Bioethics Review Committee (IRB no.: SJU-BR-E-2020-025). Feces were collected from each subject using a one-time self-collection method using a sterilized cotton swab, and in order to minimize exposure to oxygen, they were immediately put into an in vitro intestinal flora culture system and homogenized together with the basic medium.

식단 조절 외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인을 최소화하고자 지속적인 항생제 및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을 섭취한 피험자와, 소화관 관련 질환을 보유하는 피험자 등은 제외하였다.To minimize other factors that could affect the study results other than diet control, subjects who continuously consumed antibiotics and probiotic products and subjects with digestive tract-related diseases were excluded.

(2) In vitro 장내 균총 배양 시스템 확립(2) Establishment of an in vitro intestinal flora culture system

인간의 장내에 서식하는 절대 혐기균의 안정적인 배양 및 균총 변화를 최소화 하기 위해 분변을 확보한 후 곧바로 혐기 챔버(Anaerobic chamber)로 옮겨 절대 혐기적인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샘플 증발 및 교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96 well 최외각을 빈 공간으로 둔 뒤 배양을 수행하였다. 선행 연구에 기반하여 인간의 장내 상태와 유사한 배지 조성 및 제조법을 선정하였고, 장내 균총 배양을 위한 기본 배지와 분변 접종물과의 최적 배합비를 선정하였다. 결과적으로 분변 속 1/3 균주가 구축된 기본 배지 조성에서 안정적으로 배양된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 배지의 pH는 7.0±0.1로 조정했으며, 배지의 제조 방법 및 조성은 아래와 같다.To ensure stable cultivation of obligate anaerobes living in the human intestine and to minimize changes in flora, feces were collected and immediately transferred to an anaerobic chamber to conduct experiments under obligate anaerobic conditions. To prevent sample evaporation and cross-contamination, culture was performed after leaving the outermost part of the 96 well empty. Based on previous research, a medium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similar to the human intestinal condition was selected, and the optimal mixing ratio of the basic medium and fecal inoculum for culturing intestinal flora was select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1/3 of the strains in the feces were stably cultured in the constructed basic medium composition. The pH of the final medium was adjusted to 7.0 ± 0.1, and the preparation method and composition of the medium are as follows.

(i) 열에 민감한 비타민 스톡(vitamin stock), 미량 원소 용액(trace mineral solution), 헤민 용액(Hemin solution)을 제외한 표 1의 배지 구성 성분을 증류수 1 L에 첨가하였다.(i) The medium components in Table 1, excluding heat-sensitive vitamin stock, trace mineral solution, and hemin solution, were added to 1 L of distilled water.

(ii) 5 분간 자석 교반기로 교반하여 섞어준 후, pH 미터를 사용해 pH 7.0±0.1이 되도록 조절하였다. pH 조절은 교반기 위에서 교반하며 진행하며, 1M HCl과 1M NaOH를 사용하여 적정하였다.(ii) After stirring and mixing with a magnetic stirrer for 5 minutes, the pH was adjusted to 7.0 ± 0.1 using a pH meter. pH control was carried out by stirring on a stirrer, and titration was performed using 1M HCl and 1M NaOH.

(iii) 오토클레이브 후 혐기 챔버로 옮겨 식히고 기본 배지 내로 질소 가스를 계속적으로 흘려 보내 기본 배지 내에 용존 산소를 모두 제거하고, 기본 배지에 비타민 용액 1 ml, 미량 원소 용액 1 ml, 헤민 용액 1 ml을 넣어 교반하였다.(iii) After autoclaving, transfer to an anaerobic chamber, cool, continuously flow nitrogen gas into the basic medium to remove all dissolved oxygen in the basic medium, and add 1 ml of vitamin solution, 1 ml of trace element solution, and 1 ml of hemin solution to the basic medium. It was added and stirred.

기본 배지의 구성 성분Components of basic medium 성분ingredient 제조사manufacturing company 제품 번호product no 함량content 증류수Distilled water -- -- 1 L1L 펩톤peptone DifcoDifco 211677211677 2.0 g2.0g 효소 추출물enzyme extract DifcoDifco 2127521275 2.0 g2.0g 중탄산나트륨sodium bicarbonate Sigma AldrichSigma Aldrich S5761S5761 4.0 g4.0 g Tween 80Tween 80 Sigma AldrichSigma Aldrich P8074-500 mlP8074-500 ml 2 ml2ml 돼지 위장 뮤신Pig stomach mucin Sigma AldrichSigma Aldrich M1778-100gM1778-100g 4.0 g4.0 g 담즘염 (소디움 콜레이트 및 소디움 케노데옥시콜레이트)Blemishes (sodium cholate and sodium chenodeoxycholate) Sigma AldrichSigma Aldrich C1254-25g;
C8261-1g
C1254-25g;
C8261-1g
0.5 g (0.25 g 소디움 콜레이트 및 0.25 g 소디움 케노데옥시콜레이트)0.5 g (0.25 g sodium cholate and 0.25 g sodium chenodeoxycholate)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Sigma AldrichSigma Aldrich S5886-500gS5886-500g 1.0 g1.0 g 인산수소칼륨 무수물(potassium phosphate dibasic anhydrous)Potassium phosphate dibasic anhydrous Sigma AldrichSigma Aldrich 6035360353 0.4 g0.4g 인산이수소칼륨(potassium dihydrogen phosphate)Potassium dihydrogen phosphate Sigma AldrichSigma Aldrich P9791-100gP9791-100g 0.4 g0.4g 황산 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Sigma AldrichSigma Aldrich M7506M7506 0.1 g0.1g 염화칼슘 2수화물(calcium chloride dehydrate)Calcium chloride dehydrate Sigma AldrichSigma Aldrich C8106C8106 0.1 g0.1g L-시스테인 염산염L-cysteine hydrochloride Sigma AldrichSigma Aldrich C1276C1276 0.5 g0.5g 헤민Hemin Sigma AldrichSigma Aldrich H9039-1gH9039-1g 5 mg5mg 비타민 K1Vitamin K1 Sigma AldrichSigma Aldrich 95271-1g95271-1g 10 ul10ul

[실험예 2]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의 생장 테스트[Experimental Example 2] Growth test of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와 락토바실러스 비교 균주(Lac02, Lac03, Lac08, Lac09)를 MRS 브로쓰(BD Difco, Sparks, MD, USA)에 접종하고, 37 ℃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하의 실험예에서 비교 균주는 다음과 같다.(1)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nd Lactobacillus comparison strains (Lac02, Lac03, Lac08, Lac09) were inoculated into MRS broth (BD Difco, Sparks, MD, USA) and cultured at 37°C for 24 hours. In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s, the comparative strains are as follows.

Lac02: Lactobacillus rhamnosus YF3055Lac02: Lactobacillus rhamnosus YF3055

Lac03: Lactobacillus rhamnosus YF3048Lac03: Lactobacillus rhamnosus YF3048

Lac08: Lactobacillus plantarum FB091 (수탁번호: KCTC14785BP)Lac08: Lactobacillus plantarum FB091 (Accession number: KCTC14785BP)

Lac09: Lactobacillus casei FB005Lac09: Lactobacillus casei FB005

배양 후 분광광도법을 통해 흡광도를 측정하여 각 균주의 생장 수준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FB019 균주는 다른 락토바실러스 비교 균주와 비슷한 수준으로 생장이 원활함을 확인하였다.After culturing, the growth level of each strain was confirmed by measuring the absorbance using spectrophotometry. 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1, it was confirmed that the FB019 s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grew smoothly at a similar level to other Lactobacillus comparison strains.

(2) 균주의 생장에 있어서 프리바이오틱스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MRS 브로쓰에 치커리 식이섬유 분말(COSUCRA Group Warcoing S.A., Belgium)을 농도별(0.5, 1, 1.5, 2, 5, 10%)로 첨가하고, 25 ℃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 To confirm the effect of prebiotics on the growth of strains, chicory dietary fiber powder (COSUCRA Group Warcoing S.A., Belgium) was added to MRS broth at different concentrations (0.5, 1, 1.5, 2, 5, 10%). was added and incubated at 25°C for 24 hours.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의 생장이 치커리 식이섬유 분말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에 대해 치커리 식이섬유 분말이 프리바이오틱스로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2,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wth of the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reased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chicory dietary fiber powder. It was confirmed that chicory dietary fiber powder is effective as a prebiotic against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실험예 3] 커피 섭취가 많은 대상체에서의 장내 균총에 대한 효과 [Experimental Example 3] Effect on intestinal flora in subjects with high coffee intake

커피 섭취 빈도가 잦은(에스프레소 샷을 기준으로 커피 섭취가 주 3 회 내지 4 회 이상인 대상체; 1 회 섭취시 에스프레소 1 샷을 섭취함) 총 19명의 피험자로부터 확보한 분변 샘플에 실험예 1에 따른 장내균총 배양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그 후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비교 균주를 배양 시스템에 2.00E+08 CFU/ml의 농도로 처리하고 37 ℃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샘플에 존재하는 장내 균총의 상대적 비율(relative abundance)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QIIME2 파이프라인에 기반하여 분류학적 분류(taxonomic classification)를 진행하였으며, SILVA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얼라인먼트(alignment)를 수행하였다. 그런 뒤 문(phylum), 강(class), 목(order), 과(family), 속(genus) 수준에서 장내 균총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균주 섭취에 따른 균총의 변화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Fecal samples obtained from a total of 19 subjects who frequently consume coffee (subjects who consume coffee more than 3 to 4 times a week based on espresso shots; consume 1 shot of espresso per intake) were injected into the intestine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1. A flora culture system was applied. Afterwards,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nd Lactobacillus comparison strain were treated in the culture system at a concentration of 2.00E+08 CFU/ml and cultured at 37°C for 24 hours. After culturing, the relative abundance of intestinal flora present in the samples was analyzed. Specifically, taxonomic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based on the QIIME2 pipeline, and alignment was performed using the SILVA database. Then, by relatively comparing the intestinal flora at the phylum, class, order, family, and genus levels, changes in the flora according to strain intake were confirmed and the results were reported. It is shown in 3.

그 결과 도 3과 같이 분변만 배양한 대조군(Control)에서 락토바실러스 속(genus)이 1 % 수준으로 확인된 것에 비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를 처리한 그룹은 락토바실러스 속이 7 % 수준 향상되었으며, 이는 다른 비교 균주 그룹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에 해당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3,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trol) in which only feces were cultured, the Lactobacillus genus was confirmed to be at the 1% level, in the group treated with the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the Lactobacillus genus was improved by 7%. , which corresponds to a relatively high level compared to other comparative strain group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의 처리 효과를 피험자 별로 분석한 결과, 도 4와 같이 총 19 명 중 16 명(84 %)에서 분변의 세균총 중에서 락토바실러스 속이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reatment with the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for each subject, it was confirmed that 16 out of 19 subjects (84%) showed an effect of increasing the Lactobacillus genus in the bacterial flora of the feces, as shown in Figure 4.

따라서 이러한 결과로부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가 다른 락토바실러스 비교 균주보다, 커피 섭취가 많은 사람의 장내균총에서 유익균(락토바실러스)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우수하고, 장내 정상균총(normal flora)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장 건강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Therefor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is superior to other Lactobacillus comparison strains in increasing beneficial bacteria (Lactobacillus) in the intestinal flora of people who consume a lot of coffee, and maintains the balance of normal intestinal flora. It was confirmed that intestinal health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while maintaining it.

[실험예 4] 커피 섭취 빈도에 대상체에서의 장내 균총 변화[Experimental Example 4] Changes in intestinal flora in subjects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coffee consumption

커피의 섭취 빈도에 따라 대상체의 장내 균총의 차이 및 유산균을 섭취하였을 때 균총의 변화를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the subject's intestinal flora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coffee consumption and changes in the flora when lactic acid bacteria were consumed.

실시예 3과 같이 커피 섭취 빈도가 잦은(커피 섭취가 주 3~4 회 이상인 대상체) 총 19 명의 피험자와 커피 섭취 빈도가 낮은(커피를 섭취하지 않거나 혹은 월 1~4 회 미만으로 섭취하는 대상체) 총 5 명의 피험자로부터 확보한 분변 샘플에 실험예 1에 따른 장내 균총 배양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그 후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를 배양 시스템에 2.00E+08 CFU/ml의 농도로 처리하고 37 ℃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샘플에 존재하는 장내 균총의 상대적 비율(relative abundance)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QIIME2 파이프라인에 기반하여 분류학적 분류(taxonomic classification)를 진행하였으며, SILVA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얼라인먼트(alignment)를 수행하였다. 그런 뒤 문(phylum), 강(class), 목(order), 과(family), 속(genus) 수준에서 장내 균총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균주 섭취에 따른 균총의 변화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더불어 장내 균총의 상대적 비율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초로 유익균의 LDA 점수를 Python 기반의 LEfSe(Linear discriminant analysis Effect Size)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그 결과를 도 6(A)에 나타내었다. LDA 점수는 LDA 효과 사이즈(LEfSe) 분석으로 도출되는 수치이며, 통계적인 유의성 정보 및 결과의 일관성(Biological consistency) 및 효과 크기 추정치(Effect size estimation)이 반영되어 계산되는 것이다. FB019 처리 여부에 따라, 장내 유익균(락토바실러스 속)의 상대적 비율을 확인한 결과를 도 6(B)에 나타내었다.As in Example 3, there were a total of 19 subjects with frequent coffee consumption (subjects who consumed coffee more than 3 to 4 times a week) and those with low coffee consumption (subjects who did not consume coffee or consumed coffee less than 1 to 4 times a month). The intestinal flora culture system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1 was applied to fecal samples obtained from a total of 5 subjects. Afterwards,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was treated in the culture system at a concentration of 2.00E+08 CFU/ml and cultured at 37°C for 24 hours. After culturing, the relative abundance of intestinal flora present in the samples was analyzed. Specifically, taxonomic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based on the QIIME2 pipeline, and alignment was performed using the SILVA database. Then, by relatively comparing the intestinal flora at the phylum, class, order, family, and genus levels, changes in the flora according to strain intake were confirmed and the results were reported. It is shown in 5.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relative ratio of intestinal flora, the LDA score of beneficial bacteria was calculated using a Python-based LEfSe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Effect Size) analysis program,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6(A). The LDA score is a number derived from LDA effect size (LEfSe) analysis, and is calculated by reflecting statistical significance information, biological consistency, and effect size estimation.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relative proportion of intestinal beneficial bacteria (Lactobacillus genu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FB019 was treated are shown in Figure 6(B).

도 5에 따르면, 커피 섭취빈도에 따른 장내 미생물의 조성 변화를 확인한 결과, 커피 섭취가 빈번한 그룹에서 Prevotella 속의 상대 함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커피 섭취 빈도가 적은 그룹에서는 Bacteroides 속이 높은 비율로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커피 섭취의 빈도에 따라 대상체의 장내 균총에 변화가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커피 섭취가 빈번한 그룹에서는 FB019 균주를 처리한 경우 PrevotellaLachnospiraceae 속이 높은 비율로 존재하였다. 커피 섭취 빈도가 적은 그룹에서는 Bacteroides Lachnospiraeceae 속의 비율이 증가하였고, Prevotella Escherichia 속의 비율이 감소하였다.According to Figure 5, as a result of confirming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intestinal microorganism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coffee consumption, the relative content of the genus Prevotella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group with frequent coffee consump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group that consumed coffee less frequently, the genus Bacteroides was present at a high rate.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changes may occur in the subject's intestinal flora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coffee consumption. Additionally, in the group with frequent coffee consumption, the genera Prevotella and Lachnospiraceae were present at high rates when treated with the FB019 strain. In the group with low coffee consumption, the proportions of the genera Bacteroides and Lachnospiraeceae increased, and the proportions of the genera Prevotella and Escherichia decreased.

도 6에 따르면, FB019 균주를 커피 섭취 빈도에 따라 나눈 그룹에 각각 처리한 결과, 커피를 빈번하게 섭취하는 그룹에서 락토바실러스 속의 상대 함량이 현저하고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커피를 빈번하게 섭취하는 그룹에서 락토바실러스 속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According to Figure 6, as a result of treating the FB019 strain in groups divid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coffee consumption, the relative content of the Lactobacillus genu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significantly in the group that frequently consumed coffee.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Lactobacillus genus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the group that frequently consumed coffee.

구체적으로 도 6(A)의 LDA 점수 결과에 따르면, FB019 균주를 처리한 경우 커피를 빈번하게 섭취하는 그룹에서 락토바실러스 속의 상대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커피 섭취 빈도가 적은 그룹에서도 락토바실러스 속의 상대 함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B)의 락토바실러스 속에 대한 상대 함량(relative abundance) 결과에 따르면, 커피를 빈번하게 섭취한 그룹의 경우 FB019 균주를 처리함에 따라 대상체의 장내 균총에 존재하는 락토바실러스 속의 상대 함량이 대략 0.01 에서 0.06~0.07까지 증가하여 6배 내지 7배로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커피 섭취 빈도가 적은 그룹에서도 락토바실러스 속의 상대 함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FB019 균주를 처리한 경우, 커피 섭취 빈도가 많은 그룹에서 락토바실러스 속의 상대 함량이 커피 섭취 빈도가 적은 그룹보다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확인하였다.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LDA score results in Figure 6(A), when the FB019 strain was treated, the relative content of the Lactobacillus genu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 that frequently consumed coffee, and even in the group that consumed coffee less frequently, the relative content of the Lactobacillus genus increased significantly.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 has increas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lative abundance results for the Lactobacillus genus in Figure 6(B), in the case of the group that frequently consumed coffee, the relative abundance of the Lactobacillus genus present in the subject's intestinal flora was approximately as the FB019 strain was treated. It was confirmed that it increased from 0.01 to 0.06~0.07, a significant increase of 6 to 7 times, and the relative content of Lactobacillus was confirmed to increase even in the group that consumed coffee less frequently. In addition, when the FB019 strain was trea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ve content of the Lactobacillus genus in the group with frequent coffee consumption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group with low coffee consumption.

종합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 균주는 커피 섭취 빈도가 많은 그룹(즉 커피 섭취가 많은 대상체)과 커피 섭취 빈도가 적은 그룹에서 모두 락토바실러스 속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에 따라 모든 그룹에서 장내 균총에 존재하는 유익균(락토바실러스)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우수하고, 장내 정상균총(normal flora)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장 건강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FB019 균주는 커피 섭취 빈도가 적은 그룹보다 커피 섭취 빈도가 많은 그룹에서 오히려 락토바실러스 속의 상대 함량을 큰 폭으로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에 따라 FB019 균주는 커피 섭취가 많은 대상체의 장내 균총에서 유익균을 증가시키기 위한 식품(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summary, the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tent of the Lactobacillus genus in both groups with high coffee consumption (i.e., subjects with high coffee consumption) and groups with low coffee consumption.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increasing beneficial bacteria (Lactobacillus) present in the intestinal flora was excellent in all groups and that intestinal health could be significantly improved while maintaining the balance of normal intestinal flora. . In addition, the FB019 strain showed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relative content of the Lactobacillus genus in the group with frequent coffee consumption compared to the group with low coffee consumption, and accordingly, the FB019 strain increased the presence of beneficial bacteria in the intestinal flora of subjects with high coffee consumption. It may be useful as a food (or health functional food) to increase .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 또는 실험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rom the above description,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In this regard, the examples or experimental example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한국생명공학연구원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KCTC14784BPKCTC14784BP 2021111820211118 한국생명공학연구원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KCTC14785BPKCTC14785BP 2021111820211118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Sequence list electronic file attached

Claims (17)

서열번호 1에 기재된 16S rRNA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수탁번호 KCTC14784BP로 기탁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균주.A novel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deposited under the accession number KCTC14784BP containing the 16S rRNA bas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 제1항의 균주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A probio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rain of claim 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를 1Х108 내지 1Х1011 CFU/g의 농도로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The probio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2, comprising the strain at a concentration of 1Х10 8 to 1Х10 11 CFU/g. 제2항의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A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 probiotic composition of claim 2. 제4항에 있어서, 프리바이오틱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prebiotic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바이오틱스는 프락토올리고당, 치커리 식이섬유, 이눌린, 이소말토올리고당, 락티톨, 락토수크로스, 락툴로스, 파이로덱스트린, 대부 올리고당(Soy oligosaccharides), 및 자일로 올리고당(Xylo-oligosaccharid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식품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ebiotics include fructooligosaccharides, chicory dietary fiber, inulin, isomaltooligosaccharides, lactitol, lactosucrose, lactulose, pyrodextrin, soy oligosaccharides, and xylo oligosaccharides. (Xylo-oligosaccharide). One or more food composi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바이오틱스는 치커리 식이섬유인 식품 조성물.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prebiotic is chicory dietary fiber. 제4항에 있어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액상제, 분말제 또는 발효유 형태인 식품 조성물.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4, which is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 tablet, capsule, liquid, powder or fermented milk. 제4항에 있어서, 식품에 사용 가능한 첨가물, 담체, 부형제 및 향미제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of additives, carriers, excipients, and flavoring agents that can be used in food. 제4항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인 식품 조성물.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4, which i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제4항에 있어서, 동결건조 제품인 식품 조성물.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4, which is a freeze-dried product. 제4항에 있어서, 커피 섭취가 많은 대상체의 장내균총에서 유익균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인 식품 조성물.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4, which is used to increase beneficial bacteria in the intestinal flora of subjects who consume a lot of coffe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1 주에 커피를 3 회 내지 4 회 이상 섭취하는 대상체인 식품 조성물.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subject consumes coffee 3 to 4 times or more per week. 제1항의 균주를 포함하는 식품 첨가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food addition containing the strain of claim 1. 제1항의 균주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animal feed containing the strain of claim 1.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는 서열번호 1에 기재된 16S rRNA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수탁번호 KCTC14784BP로 기탁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FB019(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균주이고,
커피 섭취가 많은 대상체의 장내균총에서 유익균을 증가시키기 위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ontains probiotics,
The probiotic is a novel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deposited under the accession number KCTC14784BP containing the 16S rRNA bas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increasing beneficial bacteria in the intestinal flora of subjects who consume a lot of coffee.
삭제delete
KR1020230030723A 2023-03-08 2023-03-08 Novel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nd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Active KR1026748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0723A KR102674853B1 (en) 2023-03-08 2023-03-08 Novel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nd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0723A KR102674853B1 (en) 2023-03-08 2023-03-08 Novel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nd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4853B1 true KR102674853B1 (en) 2024-06-18

Family

ID=9167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0723A Active KR102674853B1 (en) 2023-03-08 2023-03-08 Novel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nd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485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855A (en) * 2018-09-05 2020-03-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Lactobacillus rhamnosus hav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enhancing gut microbiot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855A (en) * 2018-09-05 2020-03-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Lactobacillus rhamnosus hav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enhancing gut microbio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5841A1 (en) Composition for beverage or food
US20250143332A1 (en) Kimchi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sakei ikim0109 having efficacy for relief of arthritis
EP1867238B1 (en) Feeding stuff composition comprising proliferation promoting agent for bifidus bacteria and use of the same
EP3747989A1 (en) Lactobacillus plantarum cjlp17 having antiviral and immunomodulatory efficacy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CN111315865A (en) Lactobacillus plantarum CJLP475 strain having antiviral action and immunoregulatory efficacy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1749065B1 (en) Enterococcus faecium MSS2 capable of fermenting at room temperature and composition for comprising the same
US20200360452A1 (en) Health beneficial composition comprising lactobacillus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WO2019182160A1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breast milk component
KR101836365B1 (en) Kimchi seasoning containing 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32 and kimchi prepared by using the same
HK1254529A1 (en) Antiallergic agent for infants
CN117731007A (en) Pumpkin seed protein composition and application thereof
KR102294456B1 (en) Infant and child origin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rhamnosus MG4502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lactic acid bacteria for enhancing intestine activity, anti-oxidant and anti-obesity
KR101905322B1 (en) Composition for immunity enhancement comprising a lactic acid bacterium
KR20160007964A (en) Lactobacillus plantarum WIKIM18 and composition for comprising the same
US11857579B2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the secretion of FGF21
KR102674853B1 (en) Novel Lactobacillus rhamnosus FB019 strain and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KR102536139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rthritis comprising of Lactobacillus brevis KU15147
KR101838280B1 (en) Leuconostoc citreum WIKIM56 having anti-arthritis activity and composition for comprising the same
KR20120110292A (en) Microorganism, pseudomonas aeruginosa. kacc 91592p, producing antibiotics against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KR20160039097A (en) Pediococcus pentosaceus w i k i m20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2753068B1 (en) Novel Lactobacillus plantarum FB091 strain and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KR102776053B1 (en) Prebiotics comprising polysaccharide from residues of immature citrus extract or immature citrus peel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omoting probiotics proliferation
KR102065180B1 (en) Lactobacillus sp. WiKim0092 having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Clostridioides difficile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20160144229A (en) Lactobacillus plantarum KMM10 capable of fermenting at room temperature and composition for comprising the same
KR102501958B1 (en) A novel Lactobacillus fermentum strain derived from Panax ginsengand the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6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